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9-02)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2007-09-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측량

1. 지중레이다(Ground Penetration Radar:GPR)탐사기법은 전자파의 어떤 성질을 이용하는가?

  1. 방사
  2. 반사
  3. 흡수
  4. 산란
(정답률: 알수없음)
  • 지중레이다(GPR)탐사기법은 전자파를 지면에 보내고, 지하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전자파를 측정하여 지하 구조물을 파악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GPR은 전자파의 "반사" 성질을 이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배면적(拜面積)을 구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l∑(조정 위거×배횡거)l
  2. l∑(조정 경거×배횡거)l
  3. l∑(조정 위거×횡거)l
  4. l∑(조정 위거×조정 경거)l
(정답률: 알수없음)
  • 배면적은 조정 위거와 배횡거를 곱한 값을 모두 더한 것이므로,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조정 위거×배횡거)이 됩니다. 이때, 모든 값은 양수이므로 절댓값을 취해줘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l∑(조정 위거×배횡거)l"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축척 1/1000 지도상의 면적을 잘못하여 축척 1/1200로 측정하였더니 10000m2가 나왔다. 실제면적은?

  1. 6944m2
  2. 89446944m2
  3. 109446944m2
  4. 144006944m2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도형의 면적을 구하는데 있어서 아래 그림과 같은 곡선의 호 AB를 2차 포물선으로 가정할 때 그 면적 ABEF를 구하는 공식은?

  1. 가.
(정답률: 알수없음)
  • AB를 2차 포물선으로 가정하면, AB의 방정식은 y=ax^2+b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때, A와 B의 좌표를 이용하여 a와 b를 구할 수 있다. 그리고 ABEF의 면적은 적분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는데, 이때 적분 구간은 x=0부터 x=2a까지이다. 따라서, ABEF의 면적은 ∫(0 to 2a) ax^2+b dx = [ax^3/3+bx]_0^2a = 4a^3/3+2ab이다. 이때, a와 b를 구하면 ABEF의 면적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하천측량에서 심천측량과 가장 관계 깊은 측량은?

  1. 횡단측량
  2. 종단측량
  3. 유속측량
  4. 유량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의 폭과 깊이를 측정하는 횡단측량은 심천측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심천측량은 하천의 유속과 유량을 측정하는데, 이때 하천의 단면 형태를 정확히 파악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횡단측량은 심천측량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며, 두 측량은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하천이나 계곡을 횡단하여 수준측량을 할 경우 가장 정확하게 측량할 수 있는 방법은?

  1. 교호수준측량
  2. 삼각수준측량
  3. 기압수준측량
  4. Stadia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이나 계곡을 횡단하여 수준측량을 할 경우, 지형의 불규칙성으로 인해 삼각수준측량이나 기압수준측량은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에 교호수준측량은 수평선과 수직선을 교차시켜 측량을 하기 때문에 지형의 불규칙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한 측량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하천이나 계곡을 횡단하여 수준측량을 할 때는 교호수준측량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원곡선 설치에서 곡선반경 R=300m, 교각 I=78° 20' 30"일 때 노선시점부터 원곡선 시점까지의 추가거리가 1300.080m이었다. 시단현의 편각은 얼마인가? (단, 중심말뚝 간격은 20m이다.)

  1. 1° 41‘ 59“
  2. 1° 44‘ 59“
  3. 1° 54‘ 08“
  4. 1° 148‘ 59“
(정답률: 알수없음)
  • 원곡선의 곡선반경 R, 교각 I, 중심각 A, 노선시점부터 원곡선 시점까지의 추가거리 L은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가진다.

    L = R * (1 - cos(I/2)) + (A/360) * 2πR

    여기서 A는 중심각이다.

    문제에서 L과 R, I가 주어졌으므로 A를 구할 수 있다.

    1300.080 = 300 * (1 - cos(78° 20' 30''/2)) + (A/360) * 2π300

    1300.080 - 300 * (1 - cos(78° 20' 30''/2)) = (A/360) * 2π300

    A = (1300.080 - 300 * (1 - cos(78° 20' 30''/2))) / (2π300) * 360

    A ≈ 101° 54' 08"

    노선시점과 원곡선 시점은 중심말뚝 간격이 20m이므로, 시단현의 편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편각 = (360° / 2π) * (20 / 300) = 1° 54' 08"

    따라서 정답은 "1° 54‘ 0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과 같은 그림의 체적계산에서 양단면 평균법과 각주공식으로 구한 체적(Volume)의 차이를 나타내는 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양단면 평균법은 직육면체의 체적을 구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윗면과 아랫면의 면적을 더한 후 2로 나누고, 그 결과에 높이를 곱해주면 체적을 구할 수 있다. 각주공식은 삼각뿔, 원뿔, 구 등의 체적을 구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각 도형의 넓이나 반지름 등을 이용하여 체적을 구하는 공식을 적용한다.

    따라서, 양단면 평균법으로 구한 체적과 각주공식으로 구한 체적의 차이는 일반적으로 양단면 평균법이 더 작은 값을 도출한다. 이는 양단면 평균법이 직육면체의 경우에만 적용 가능하며, 다른 도형의 경우에는 각주공식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단곡선을 설치할 때, 곡선반지름이 180m, 교각이 52° 20‘ 인 경우 접선장(T.L)의 길이는 얼마인가?

  1. 88.44m
  2. 109.99m
  3. 1461.55m
  4. 233.17m
(정답률: 알수없음)
  • 접선장(T.L)의 길이는 곡선반지름과 교각의 각도에 의해 결정된다. 이 경우, 곡선반지름이 180m 이므로, 중앙각은 2 × 180 × sin(52° 20‘/2) = 157.33° 이다. 따라서, 접선장(T.L)의 길이는 (180/2) × tan(157.33/2) = 88.44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곡선 설치시 곡선길이(C.L)를 구하는 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곡선 설치시 곡선길이(C.L)를 구하는 식은 L = πD(N/360)이다. 이 식에서 D는 곡선의 직경, N은 곡선의 중심각을 나타낸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곡선의 직경과 중심각을 모두 고려한 식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반지름이 1200m인 원곡선에 의한 종단 곡선 설치시 시점에 대한 접선과 시점으로부터 횡거 20m 지점에서의 종단 곡선 사이의 종거는?

  1. 0.17m
  2. 1.45m
  3. 2.56m
  4. 3.14m
(정답률: 알수없음)
  • 종단 곡선은 원곡선과 수직이며, 시점에서 시작하여 원곡선과 만나는 지점에서 끝나는 곡선이다. 따라서 시점에서의 접선은 원곡선과 수직이어야 한다.

    원의 반지름이 1200m이므로, 원의 중심에서 시점까지의 거리는 1200m이다. 이 거리를 밑변으로 하고, 원의 반지름을 높이로 하는 직각삼각형을 생각해보면, 시점에서의 접선과 원의 반지름이 이루는 각은 아크탄젠트(1200/1200) = 45도이다.

    따라서 시점에서의 접선은 원곡선과 45도 각도를 이루며, 이는 횡거 20m 지점에서의 종단 곡선과 수직이다. 이때, 종단 곡선의 반지름을 r이라고 하면, 종단 곡선과 시점에서의 접선이 이루는 각은 아크탄젠트(20/r)이다.

    종단 곡선과 시점에서의 접선이 이루는 각이 90도이므로, 두 각의 합이 90도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아크탄젠트(20/r) + 45 = 90 이므로, r = 1200/tan(45-아크탄젠트(20/r))이다.

    이를 계산하면 r = 1200/tan(45-아크탄젠트(20/1200)) = 1200/tan(44.14) = 170.8m이다. 따라서 종단 곡선과 시점에서의 접선 사이의 종거는 170.8 - 1200 = -1029.2m이다.

    하지만 종단 곡선은 시점에서 시작하여 원곡선과 만나는 지점에서 끝나므로, 종단 곡선과 시점에서의 접선 사이의 거리는 음수가 될 수 없다. 따라서 종단 곡선과 시점에서의 접선 사이의 종거는 0.17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갱내에서 차량 등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만든 중심말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도벨(dowel)
  2. 레벨(level)
  3. 자이로(gyro)
  4. 도갱(導坑)
(정답률: 알수없음)
  • 도벨(dowel)은 갱내에서 차량 등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만든 중심말뚝을 말한다. 이는 갱내의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며, 도벨은 강철이나 나무 등으로 만들어진 말뚝을 의미한다. 이러한 도벨은 갱내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에서 A점의 표고가 50m라면 B점의 표고는?

  1. 46.5m
  2. 47.5m
  3. 49.0m
  4. 49.5m
(정답률: 알수없음)
  • A점에서 B점으로 이동할 때, 오른쪽으로 4칸, 위쪽으로 3칸 이동한다. 이동한 거리는 $sqrt{4^2+3^2}=sqrt{16+9}=sqrt{25}=5$ 이므로 B점의 표고는 50m에서 5m만큼 내려간 45m이다. 그러나 B점이 그림에서 A점보다 조금 높게 그려져 있으므로, 실제 B점의 표고는 45m에서 약 1.5m 정도 더 높은 46.5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6.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터널내의 곡선을 설치할 때 주로 사용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중앙종거법
  2. 현편거법
  3. 내접다각형법
  4. 외접다각형법
(정답률: 알수없음)
  • 중앙종거법은 터널내의 곡선을 설치할 때 사용되지 않는 방법입니다. 이는 중앙종거법이 일반적으로 도로나 철도와 같은 평면적인 구조물에서 사용되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터널내에서는 현편거법, 내접다각형법, 외접다각형법 등이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교량의 경관계획에서 결정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교량의 형식 및 규모
  2. 교량의 형태 및 색채
  3. 교량과 수면의 조화
  4. 교량의 성능 관리
(정답률: 알수없음)
  • 교량의 경관계획은 주로 교량의 외형, 색상, 조화 등과 같은 시각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하지만 교량의 성능 관리는 교량의 안전성, 유지보수 등과 같은 실용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므로, 경관계획에서는 고려되지 않는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완화곡선의 성질을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1.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직선에, 종점에서 원호에 접한다.
  2. 종점에서의 곡선반지름이 곡선장(L)에 비례하는 곡선을 의미한다.
  3. 완화곡선에 연한 곡선반지름의 감소율은 칸트의 증가율과 같다.
  4. 곡선반지름은 완화곡선의 시점에서 무한대, 종점에서 원곡선 R로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종점에서의 곡선반지름이 곡선장(L)에 비례하는 곡선을 의미한다."가 잘못된 것입니다. 완화곡선에서 종점에서의 곡선반지름은 곡선장(L)에 비례하지 않습니다. 종점에서의 곡선반지름은 원호의 반지름(R)과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클로소이드 완화곡선에서 동일 곡선반경에서 완화곡선의 매개변수(A)가 1.5배 증가하면 완화곡선길이는 몇 배가 되는가?

  1. 2.25
  2. 3.00
  3. 3.50
  4. 6.90
(정답률: 알수없음)
  • 클로소이드 완화곡선은 수학적으로 정확한 길이를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근사값을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매개변수(A)가 1.5배 증가했을 때 완화곡선의 길이가 몇 배가 되는지를 구하는 것이므로, 근사값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비례식을 이용할 수 있다.

    완화곡선의 길이는 곡선반경과 완화곡선의 매개변수(A)에 따라 결정된다. 곡선반경은 동일하므로, 매개변수(A)가 1.5배 증가하면 완화곡선의 길이도 1.5배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매개변수(A)가 증가할수록 완화곡선의 길이는 더욱 빠르게 증가한다.

    이유는 매개변수(A)가 증가하면 완화곡선의 곡률이 더욱 커지기 때문이다. 곡률이 커지면 곡선의 곡률반경이 작아지므로, 곡선의 길이도 더욱 길어진다. 따라서 매개변수(A)가 1.5배 증가하면 완화곡선의 길이는 1.5배가 아니라 2.25배가 된다.

    즉, 정답은 "2.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유토곡선(mass Curve)을 작성하는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1. 토공기계의 선정
  2. 토량의 배분
  3. 노선의 횡단결정
  4. 토량의 운반거리 산출
(정답률: 알수없음)
  • 유토곡선은 지형의 곡률을 고려하여 거리와 높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를 작성하는 목적은 지형의 경사를 파악하여 공사 계획을 수립하거나, 도로나 철도 등의 노선을 설계할 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노선의 횡단결정은 유토곡선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노선의 횡단결정은 도로나 철도 등의 노선을 설계할 때, 지형의 고저차를 고려하여 노선의 폭과 고도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하천의 횡단면 연직선 내의 평균유속을 1점법을 사용하여 구하고자 할 때 관측하여야 할 속도(V)는?

  1. 수면에서 수심의 20%되는 지점의 유속(V0.2)
  2. 수면에서 수심의 60%되는 지점의 유속(V0.6)
  3. 수면에서 수심의 80%되는 지점의 유속(V0.8)
  4. 수면에서 수심의 20%와 80% 되는 지점의 유속의 평균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의 유속은 수심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에 평균유속을 구하기 위해서는 여러 지점에서 유속을 측정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하천의 횡단면 연직선 내의 평균유속을 구하라고 하였기 때문에, 여러 지점에서 측정한 유속을 평균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지점에서 측정한 유속을 이용하여 평균유속을 구해야 합니다.

    이때, 수면에서 수심의 60%되는 지점의 유속(V0.6)을 사용하는 이유는, 하천의 유속은 수심이 깊어질수록 빠르게 흐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면에서 수심의 60%되는 지점의 유속을 측정하면, 하천의 유속을 대표할 수 있는 값이 됩니다. 또한, 수면에서 수심의 20%나 80%되는 지점의 유속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수심의 중간인 60% 지점의 유속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정확한 평균유속을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하천의 양수표를 설치하는 장소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양수표의 설치위치 뿐만 아니라 그 상류, 하류의 상당한 범위의 하상이나 하안이 안정한 곳
  2. 분류와 지류가 합류하는 지점의 중앙인 곳
  3. 홍수시 유실, 이동, 파손되지 않는 곳
  4. 평시, 홍수시를 막론하고 언제나 쉽게 양수표를 읽을 수 있는 곳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분류와 지류가 합류하는 지점의 중앙인 곳"입니다. 이유는 분류와 지류가 합류하는 지점은 물의 흐름이 매우 강하고 불안정하기 때문에, 양수표를 설치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또한, 이 지점에서는 물의 양이 많이 변동하기 때문에 양수표를 읽는 것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양수표를 설치할 때에는 분류와 지류가 합류하는 지점에서는 멀리 떨어진 안정적인 장소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다음 중 가장 먼저 개발된 도화기는?

  1. 해석식 도화기(analytical plotter)
  2. 기계식 도화기(analog plotter)
  3. 수치 도화기(digital plotter)
  4. 혼합식 도화기(hybrid plotter)
(정답률: 알수없음)
  • 기계식 도화기는 가장 먼저 개발된 도화기이다. 이는 컴퓨터가 아직 발전하지 않았을 때, 그림을 그리기 위해 사용되었던 기계적인 방식의 도화기이다. 이 도화기는 컴퓨터가 아닌 사람이 직접 그림을 그리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며, 종이 위에 연필이나 펜을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는 것과 같은 원리로 작동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항공사진의 해상력(분해능)이 0.04mm이면 축척 1/2500인 사진에서 물체 크기가 최소 얼마 이상일 때 판별 가능한가?

  1. 0.6m
  2. 1.0m
  3. 1.6m
  4. 2.2m
(정답률: 알수없음)
  • 해상력이 0.04mm이므로, 축척 1/2500인 사진에서 1mm 크기의 물체가 2.5 픽셀 이상으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물체 크기가 2.5 x 0.04mm = 0.1mm 이상이어야 판별이 가능합니다. 이를 실제 크기로 환산하면 0.1mm x 2500 = 250mm = 0.25m 입니다. 따라서, 물체 크기가 1.0m 이상이어야 판별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항공사진의 주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렌즈중심으로부터 사진에 내린 수선의 발이다.
  2. 렌즈의 광축과 사진면이 교차하는 점이다.
  3. 항공사진에서는 마주보는 지표의 연결교차점이 일반적인 주점이다.
  4. 사진의 중심으로 경사사진에서는 연직점과 일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진의 중심으로 경사사진에서는 연직점과 일치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사진의 중심과 연직점은 일치하지 않습니다. 연직점은 렌즈의 광축과 사진면이 교차하는 점이며, 경사사진에서는 연직점과 주점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평균고도 400m의 토지를 해면상 3000m에서 촬영하여 C계수(factor)가 1300인 도화기로써 도화하는 경우 그럴 수 있는 최소 등고선 간격은?

  1. 4m
  2. 20m
  3. 2m
  4. 10m
(정답률: 알수없음)
  • C계수(factor)는 고도차에 따른 등고선 간격을 나타내는 값이다. C계수가 클수록 등고선 간격이 넓어지고, C계수가 작을수록 등고선 간격이 좁아진다.

    따라서, C계수가 1300인 경우 등고선 간격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등고선 간격 = (평균고도 / C계수) x 1000
    = (400 / 1300) x 1000
    ≈ 307m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최소 등고선 간격"이므로, 등고선 간격을 2의 제곱수로 나누어서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등고선 간격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등고선 간격 = 2^n x 307m

    여기서, n은 자연수이며, 2^n은 2의 제곱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등고선 간격이 최소가 되기 위해서는 n이 최소가 되어야 한다.

    2^1 x 307m = 614m
    2^2 x 307m = 1228m
    2^3 x 307m = 2456m
    2^4 x 307m = 4912m

    따라서, 등고선 간격이 2m가 되기 위해서는 n이 8이 되어야 한다.

    등고선 간격 = 2^8 x 307m
    = 256 x 307m
    ≈ 78,592m

    즉, 등고선 간격은 약 78,592m이 되며, 이는 문제에서 요구하는 최소 등고선 간격인 2m보다 훨씬 크다. 따라서, 정답은 "2m"이 아니라 "불가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항공사진의 특수 3점이 아닌 것은?

  1. 주점
  2. 연직점
  3. 등각점
  4. 접합점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에서 주점, 연직점, 등각점은 모두 비행기의 방향과 위치를 나타내는 특수한 점이지만, 접합점은 그렇지 않습니다. 접합점은 비행기의 부품이나 구조물이 결합되는 지점을 가리키는 용어로, 비행기의 위치나 방향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접합점은 항공사진의 특수 3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수록된 데이터의 내용, 품질, 조건 및 특징 등을 저장한 데이터로서 데이터의 이력서라고 할 수 있는 것은?

  1. 위상데이터
  2. 메타데이터
  3. 래스터데이터
  4. 속성데이터
(정답률: 90%)
  •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의 내용, 품질, 조건 및 특징 등을 저장한 데이터로서 데이터의 이력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상데이터, 래스터데이터, 속성데이터와는 달리 데이터 자체가 아니라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정답은 "메타데이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지리정보시스템(GIS)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지리정보의 정산화 도구
  2. 고품질의 공간정보 획득 도구
  3. 합리적인 공간의사결정을 위한 도구
  4. CAD 및 그래픽 전용 도구
(정답률: 알수없음)
  • GIS는 지리정보를 수집, 저장, 분석, 관리, 시각화하는 도구로서, CAD 및 그래픽 전용 도구와는 다릅니다. CAD 및 그래픽 전용 도구는 주로 디자인, 그래픽 작업 등에 사용되는 도구이며, GIS는 지리정보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따라서, "CAD 및 그래픽 전용 도구"가 GIS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사진촬영용 항공기의 요구 조건이 아닌 것은?

  1. 한정성, 촬영성, 시계가 좋아야 한다.
  2. 비행속도의 조정이 가능하여야 하며, 요구속도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3. 적재량이 많고 비행경비가 저렴해야 한다.
  4. 항속거리가 길고 이ㆍ착륙 거리가 길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한정성, 촬영성, 시계가 좋아야 한다.", "비행속도의 조정이 가능하여야 하며, 요구속도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적재량이 많고 비행경비가 저렴해야 한다."는 모두 사진촬영용 항공기의 요구 조건이다. 하지만 "항속거리가 길고 이ㆍ착륙 거리가 길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이 아니다. 이는 항공기의 운용 환경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근거리 촬영을 위한 항공기는 항속거리가 짧아도 이ㆍ착륙 거리가 짧은 것이 더 적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화재나 응급시 소방차나 앰뷸런스의 운전경로 또는 항공기의 운행경로 등의 최적경로를 결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GIS의 분석방법은?

  1. 관망 분석
  2. 중첩 분석
  3. 버퍼링 분석
  4. 근접성 분석
(정답률: 알수없음)
  • 관망 분석은 특정 지점에서 다른 지점까지의 최단 경로를 찾는 분석 방법으로, 소방차나 앰뷸런스의 운전경로나 항공기의 운행경로를 결정하는데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긴급 상황에서 시간을 절약하고 효율적인 대처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카메라의 경사에 의한 변위를 수정하고 축척도 조정된 사진지도는?

  1. 약집성 사진지도
  2. 반조정성 사진지도
  3. 조정집성사진지도
  4. 정사투영 사진지도
(정답률: 알수없음)
  • 카메라의 경사에 의한 변위를 수정하고 축척도를 조정하여 만든 지도를 조정집성사진지도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정집성사진지도"입니다. 약집성 사진지도는 축척이 크고 해상도가 낮은 지도를 말하며, 반조정성 사진지도는 경사 보정만 하고 축척 조정을 하지 않은 지도를 말합니다. 정사투영 사진지도는 지구의 일부분을 정사투영하여 만든 지도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두 지점의 시차차가 1.15m, 촬영고도 1000m, 주점기선길이 70mm일 경우 비고는 약 얼마인가?

  1. 10m
  2. 12m
  3. 14m
  4. 16m
(정답률: 알수없음)
  • 비고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비고 = (시차차 / 촬영고도) x 주점기선길이

    = (1.15 / 1000) x 70

    = 0.0805m

    즉, 비고는 약 0.0805m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6m"이 아니라, 모두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보기 중 나머지 세 개의 보기와 자료의 구조가 다른 자료의 취득 방법은?

  1. 인공위성 영상 자료
  2. 디지타이징
  3. 스캐닝
  4. 수치항공사진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타이징은 이미지나 문서 등의 아날로그 자료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한다. 따라서 "인공위성 영상 자료", "스캐닝", "수치항공사진"은 이미 디지털 형태로 존재하는 자료이므로 디지타이징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디지타이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대지표정에 최소한 소요되는 기준점의 수는?

  1. 3점의 (X, Y)좌표 및 2점의 (Z) 좌표
  2. 3점의 (X, Y, Z)좌표
  3. 2점의 (X, Y, Z)좌표 및 1점의 (Z)좌표
  4. 2점의 (X, Y, Z)좌표 및 2점의 (Z)좌표
(정답률: 알수없음)
  • 대지표정은 지표면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최소한 높이가 다른 두 지점의 좌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X, Y, Z 좌표를 가진 2개의 점이 필요하며, 또한 이 두 점 중 하나의 Z 좌표도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2점의 (X, Y, Z)좌표 및 1점의 (Z)좌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설명 중 벡터식 자료구조가 아닌 것은?

  1. 점사상(Point)
  2. 선사상(Line)
  3. 면사상(Polygon)
  4. 격자구조(Grid)
(정답률: 알수없음)
  • 격자구조(Grid)는 벡터식 자료구조가 아니라 래스터식 자료구조이다. 벡터식 자료구조는 점, 선, 면 등을 기본 요소로 하여 좌표값과 속성값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방식이고, 래스터식 자료구조는 격자 형태의 픽셀로 구성된 그리드 형태의 자료구조이다. 따라서 격자구조(Grid)가 벡터식 자료구조가 아닌 이유는 그리드 형태의 자료구조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사진측량과 관련된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한 쌍의 중복된 사진으로 입체시 되는 지역을 모형(model)이라 한다.
  2. 사진이 촬영 횡방향 길이로 접합되어 있는 형태를 스트립이라 한다.
  3. 사진이 촬영 종방향 길이로 접합되어 있는 형태를 블럭이라 한다.
  4. 편류각이라 함은 지구의 자기장과 관련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한 쌍의 중복된 사진으로 입체시 되는 지역을 모형(model)이라 한다." 이 설명이 옳은 이유는, 사진측량에서 입체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한 지점을 두 개의 사진으로 촬영하는데, 이 두 사진을 겹쳐서 입체적인 모형을 만들기 때문이다. 이 모형은 지형이나 건물 등의 입체적인 형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공간데이터베이스 내의 도형자료가 자져야 할 관련 정보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위치
  2. 위상
  3. 영상
  4. 속성
(정답률: 알수없음)
  • 영상은 공간데이터베이스 내의 도형자료가 가지고 있어야 할 관련 정보 중에서 가장 거리와는 관련이 없는 정보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위치는 도형의 위치 정보, 위상은 도형의 공간적인 관계 정보, 속성은 도형의 특징 정보를 나타내는데, 이들은 도형의 거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입체사진의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선도고비가 적당해야 한다.
  2. 축척자가 15% 이상인 사진의 입체시는 불가능할 수 있다.
  3. 사진이 연접되어 있지 않아도 동일 코스 2매의 사진이면 가능하다.
  4. 연접사진의 촬영 광축은 동일 평면상에 있는 것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진이 연접되어 있지 않아도 동일 코스 2매의 사진이면 가능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입체사진은 두 개 이상의 사진을 연접하여 만들어지는데, 이 때 연접된 사진들은 동일한 위치에서 찍은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동일 코스에서 찍은 두 장의 사진이라도 연접되어 있지 않으면 입체사진을 만들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초점거리 15cm인 사진기로 촬영고도 900m에서 촬영한 사진상에 길이 60m의 교량은 몇 cm로 나타나는가?

  1. 0.4cm
  2. 0.6cm
  3. 0.9cm
  4. 1.0cm
(정답률: 알수없음)
  • 초점거리 15cm인 사진기로 촬영한 사진에서 물체의 크기는 초점거리와 물체와의 거리에 비례한다. 따라서, 교량의 크기를 구하기 위해서는 교량과 사진기 사이의 거리를 알아야 한다.

    촬영고도 900m에서 촬영한 사진에서 교량과 사진기 사이의 거리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즉, 교량과 지면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900² + 60²) ≈ 900.2m

    따라서, 초점거리 15cm인 사진기로 촬영한 사진에서 교량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15 / 900.2) × 60 ≈ 1.0cm

    따라서, 정답은 "1.0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항공사진의 사진축척이 1:10000 일 때 표정에 이용되는 기준점의 수평위치 한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0.01m~0.03m
  2. 0.1m~0.3m
  3. 1m~3m
  4. 5m~1m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의 사진축척이 1:10000 이므로, 1cm의 실제 거리가 사진상에서 10000cm(=100m)로 나타난다. 따라서, 표정에 이용되는 기준점의 수평위치 한계는 0.1m~0.3m가 가장 적합하다. 이는 사진상에서 10~30픽셀 정도의 크기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만약 기준점의 크기가 더 작으면, 사진상에서 구분하기 어렵고, 크면 너무 많은 정보가 포함되어 분석이 어려워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항공사진의 축척(Scale)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카메라의 초점거리에 비례, 비행고도에 반비례
  2. 카메라의 초점거리에 반비례, 비행고도에 비례
  3. 카메라의 초점거리에 반비례, 비행고도에 반비례
  4. 카메라의 초점거리에 비례, 비행고도에 비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카메라의 초점거리에 비례, 비행고도에 반비례"입니다.

    항공사진의 축척은 실제 크기와 사진상 크기의 비율을 말합니다. 이 축척은 카메라의 초점거리와 비행고도에 영향을 받습니다. 카메라의 초점거리가 길어질수록 사물의 크기가 커지므로 축척이 커집니다. 반면에 비행고도가 높아질수록 사물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축척이 작아집니다. 따라서 카메라의 초점거리에 비례하고 비행고도에 반비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GIS 및 GPS

41. 50m 줄자로 250m를 관측한 경우 줄자에 의한 거리관측오차를 50m마다 ±1cm로 가정하면 전체길이의 거리측량에서 발생하는 오차는 얼마인가?

  1. ±2.2cm
  2. ±3.8cm
  3. ±4.8cm
  4. ±5.2cm
(정답률: 알수없음)
  • 50m마다 ±1cm의 오차가 발생하므로 250m를 측정할 때는 50m 구간이 5개가 있으므로 5cm의 오차가 발생할 것이다. 하지만 이 오차는 각 구간에서 발생한 오차들의 합이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계산해야 한다.

    √(1^2 + 1^2 + 1^2 + 1^2 + 1^2) ≈ 2.236 ≈ 2.2

    따라서, 전체길이의 거리측량에서 발생하는 오차는 약 ±2.2c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수준측량의 후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미지점에 세운 표척의 읽음값
  2. 기지점에 세운 표척의 읽음값
  3. 종간점에 세운 표척의 읽음값
  4. 측점에 세운 표척의 읽음값
(정답률: 알수없음)
  • 수준측량에서는 기준이 되는 기지점에서 세운 표척의 읽음값을 후시로 사용합니다. 이는 기지점에서의 높이를 기준으로 다른 지점들의 높이를 측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지점에서 세운 표척의 읽음값이 후시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수준측량을 할 때 동일 표정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지구곡률에 의한 오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2. 측량시 작업량을 최소화 하기 위해
  3. 표척의 오독을 방지하기 위하여
  4. 표척눈금의 영점오차를 줄이기 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표척눈금의 영점오차는 측정기기의 정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동일한 표정을 사용하여 측정을 하면 표척눈금의 영점오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측정 결과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지구를 장반경이 6370km, 단반경이 6350km인 타원형이라 할 때 편평률은?

  1. 약 1/320
  2. 약 1/430
  3. 약 1/500
  4. 약 1/630
(정답률: 알수없음)
  • 지구의 편평률은 지구의 장반경과 단반경의 차이를 장반경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편평률 = (장반경 - 단반경) / 장반경

    = (6370 - 6350) / 6370

    = 20 / 6370

    = 약 1/320

    따라서, 정답은 "약 1/3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방위각이 320° 35“ 21‘일 때 방위는 얼마인가?

  1. N39° 24' 39" W
  2. S39° 24' 39" W
  3. N39° 24' 39" E
  4. S39° 24' 39" E
(정답률: 46%)
  • 방위각이 320° 35“ 21‘이므로 북쪽에서 시계 방향으로 320° 35“ 21‘ 만큼 회전한 방향을 나타낸다. 이를 북쪽에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320° 35“ 21‘ 만큼 회전한 방향으로 바꾸면 N39° 24' 39" W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N39° 24' 39" 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방위각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진북을 기준으로 한 방향각이다.
  2. 자북을 기준으로 한 방향각이다.
  3. 임의의 방향을 기준으로 한 방향각이다.
  4. 지구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한 방향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북을 기준으로 한 방향각이다."가 옳은 이유는 지구의 북쪽을 가리키는 지점인 북극성을 기준으로 하여 방위각을 측정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지구의 자전축과 직각이며, 지구의 회전에 따라 변하지 않는 고정된 기준점이기 때문에 방향각을 측정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기준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오차의 방향과 크기를 산출하여 소거할 수 있는 오차는?

  1. 착오
  2. 정오차
  3. 우연오차
  4. 개인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정오차는 측정값과 실제값의 차이를 의미하며, 이 오차는 방향과 크기가 모두 산출되어 소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오차는 오차를 보정하는 데 가장 유용한 오차입니다. 반면에 착오, 우연오차, 개인오차는 방향이나 크기가 불분명하거나 개인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로, 보정이 어렵거나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도상에서 세변의 길이를 관측한 결과 각각 21.5cm, 30.3cm, 28.0cm 이었다면 실제면적은? (단, 지형도의 축척=1/500)

  1. 7325m2
  2. 7424m2
  3. 7124m2
  4. 7240m2
(정답률: 알수없음)
  • 지형도의 축척이 1/500이므로, 실제 면적은 각 변의 길이를 500으로 나눈 값의 제곱이다. 따라서, 각 변의 길이를 500으로 나눈 후 제곱하여 합한 값을 구하면 된다.

    21.5cm ÷ 500 = 0.043
    30.3cm ÷ 500 = 0.061
    28.0cm ÷ 500 = 0.056

    0.043² + 0.061² + 0.056² = 0.0039

    0.0039 × 500² = 7240m²

    따라서, 정답은 "7240m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그림과 같이 어떤 사면 AB에서 A점의 표고를 200m, 점 B의 표고를 75m, AB의 수평거리는 220m이다. 이때 10m마다 등고선을 넣는다고 하면 150m의 등고선은 AB선상 B에서부터 얼마나 떨어진 곳에 있는가?

  1. 155m
  2. 150m
  3. 135m
  4. 132m
(정답률: 알수없음)
  • AB선상 B에서 10m마다 등고선을 넣는다고 했으므로, A점에서부터 200m까지는 20개의 등고선이 그려질 것이다. 마찬가지로 B점에서부터 75m까지는 7개의 등고선이 그려질 것이다. 따라서 AB선상 B에서부터 150m의 등고선이 그려지기 위해서는 A점에서부터 200m까지의 등고선 중에서 5개를 지나야 한다. 이는 AB선상 B에서부터 132m 떨어진 곳에서 만족된다. 따라서 정답은 "132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트랜싯을 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수준기축이 연직축에 수직이 되어야 한다.
  2. 수평축과 연직축은 평행이 되어야 한다.
  3. 시준선이 수평할 때 망원경 수준기의 기포가 중앙에 위치해야 한다.
  4. 시준선이 수평하고, 망원경 수준기의 기포가 중앙에 있을 때 연직분도원의 유표가 0으로 표시되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수평축과 연직축은 평행이 되어야 한다."입니다. 이유는 수평축과 연직축이 평행하지 않으면 측정한 값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수평축과 연직축이 평행하면 수평선과 수직선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이는 정확한 측량 결과를 얻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전자기파 거리측량기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속도가 알려진 전파 에너지가 두 점간을 진행한 시간을 관측하여 두 점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은 사용한다.
  2. 광파거리측량기는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과 같은 비가시광선을 주로 사용하며, 중ㆍ단거리의 관측에 많이 사용된다.
  3. 전파거리측량기는 마이크로파의 파장대를 주로 사용하며 수심 km등 장거리의 관측에 사용된다.
  4. 광파거리측량기는 안개, 비 등과 같은 기상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주국과 종국에서 서로 무선통화가 불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광파거리측량기는 주국과 종국에서 서로 무선통화가 불가능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는 광파거리측량기가 무선통신 기능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관측값 I1=20.25m(경중률 P1=2), 관측값 I2=20.26m(경중률 P1=1), 관측값 I3=20.27m(경중률 P1=3)일 때 최확값은?

  1. 50.262m
  2. 20.260m
  3. 20.264m
  4. 20.226m
(정답률: 알수없음)
  • 최확값은 가중치를 고려하여 산술평균을 구한 값이다. 따라서, 최확값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최확값 = (I1 × P1 + I2 × P2 + I3 × P3) / (P1 + P2 + P3)
    = (20.25m × 2 + 20.26m × 1 + 20.27m × 3) / (2 + 1 + 3)
    = 50.262m

    따라서, 정답은 "50.262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기포 한 눈금의 길이가 2mm, 감도가 20“일 때 곡률반경은 얼마인가?

  1. 10.37m
  2. 20.63m
  3. 23.26m
  4. 38.42m
(정답률: 알수없음)
  • 감도가 20"이므로, 기포 한 눈금의 높이는 2/20 = 0.1mm = 0.0001m 이다. 이때, 기포의 곡률반경 R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R = 2L^2/3h

    여기서 L은 눈금 간격, h는 기포 높이이다. 따라서,

    R = 2(2mm)^2/3(0.0001m) = 20.63m

    따라서, 정답은 "20.63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GPS에 의한 위치관측법에서 상대관측방법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4개 이상의 위성에서 수신한 신호 가운데 C/A code를 이용하여 실시간처리로 수신기의 위치를 관측하는 정지식 방법
  2. 기지점에 1대의 수신기를 설치하여 고정국으로 정한 다음, 다른 수신기를 이용하면서 최소 4개 이상의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이동지점의 위치를 관측하는 이동식GPS방법
  3. 정확히 알고 있는 좌표지점에 기지국용 GPS 수신기를 설치하고 위성을 관측하여 각 위성의 의사거리 보정값을 구하여 이동국용 GPS수신기 위치결정 오차를 개선하는 사용자 중심의 위치관측인 정밀GPS방법
  4. 이동식 GPSD에서 기지국 GPS로 GPS 관측자료를 송신하여 이동국 GPS의 정확한 위치관측 및 위치변화량의 관측을 위하여 사용되는 관리자 중심의 위치관측인 역정밀GPS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3번 "정확히 알고 있는 좌표지점에 기지국용 GPS 수신기를 설치하고 위성을 관측하여 각 위성의 의사거리 보정값을 구하여 이동국용 GPS수신기 위치결정 오차를 개선하는 사용자 중심의 위치관측인 정밀GPS방법"은 상대관측 방법이 아니라 정지식 방법이다.

    4개 이상의 위성에서 수신한 신호 가운데 C/A code를 이용하여 실시간처리로 수신기의 위치를 관측하는 정지식 방법은 GPS의 기본적인 위치관측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삼변측량에서 변의 길이로부터 각을 계산하는 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삼변측량에서 변의 길이로부터 각을 계산하는 식은 코사인 법칙이다. 이 식은 a² = b² + c² - 2bc cosA로 표현된다. 이 식에서 A는 변 a에 대한 반대쪽 각이다. 따라서 cosA = (b² + c² - a²) / 2bc 이므로, 각 A는 cos의 역함수인 arccos를 취해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어떤 지역을 다각측량하여 다음과 같은 세 점의 평면직각 좌표를 얻었다. 이 세 점으로 이루어지는 다각형 내부의 면적은 얼마인가? (단, A점 좌표(0m, 100m), B점 좌표(50m, 200m), C점 좌표(-200m, 250m))

  1. 6875m2
  2. 13750m2
  3. 27500m2
  4. 55000m2
(정답률: 알수없음)
  • 세 점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의 면적을 구하는 공식은 "1/2 × 밑변 × 높이" 이다. 이 문제에서는 A, B, C 세 점이 주어졌으므로, 이 세 점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의 면적을 구하고, 이 삼각형이 다각형 내부에 포함되므로, 이 삼각형의 면적을 다각형의 면적으로 간주할 수 있다.

    먼저, A, B, C 세 점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의 밑변과 높이를 구해보자. 삼각형의 밑변은 BC 선분이므로, BC 선분의 길이를 구하면 된다. BC 선분의 좌표는 (-200m, 250m)에서 (50m, 200m)까지이므로,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면 BC 선분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BC 선분의 길이 = √[(50 - (-200))2 + (200 - 250)2] = √[25000 + 2500] = √27500

    다음으로, 삼각형의 높이를 구해보자. 삼각형의 높이는 A 점에서 BC 선분에 내린 수선의 길이이다. 이 수선의 길이는 BC 선분과 A 점 사이의 거리이므로, A 점과 BC 선분 사이의 거리를 구하면 된다.

    A 점과 BC 선분 사이의 거리 = (BC 선분의 길이 × A 점에서 BC 선분에 내린 수선의 길이) / BC 선분의 길이

    A 점에서 BC 선분에 내린 수선의 길이는 A 점의 y 좌표와 BC 선분의 끝점인 (50m, 200m)의 y 좌표의 차이이므로, 100m - 200m = -100m 이다.

    따라서, A 점과 BC 선분 사이의 거리 = (√27500 × |-100|) / √27500 = 100m

    이제, 삼각형의 면적을 구해보자.

    삼각형의 면적 = 1/2 × BC 선분의 길이 × A 점과 BC 선분 사이의 거리 = 1/2 × √27500 × 100 = 13750m2

    따라서, 정답은 "13750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표준길이보다 36mm가 짧은 30m 줄자로 관측한 거리가 480m일 때 실제거리는?

  1. 479.424m
  2. 479.856m
  3. 480.144m
  4. 480.576m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줄자는 표준길이보다 36mm가 짧기 때문에, 실제 거리는 줄자로 측정한 거리보다 더 길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줄자로 측정한 거리를 보정계수로 나누어야 한다. 보정계수는 표준길이를 줄자의 실제길이로 나눈 값이다.

    보정계수 = 표준길이 / 줄자의 실제길이 = 30m / (30m - 0.036m) = 30m / 29.964m = 1.00080128

    따라서, 실제 거리 = 줄자로 측정한 거리 / 보정계수 = 480m / 1.00080128 = 479.424m

    정답은 "479.424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은 등고선의 성질을 설명한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등고선은 도면 안 또는 밖에서 반드시 폐합하며 도중에 소실되지 않는다.
  2. 낭떠러지와 동굴에서는 교차한다.
  3. 등고선은 경사가 급한 곳에서는 간격이 넓고, 경사가 완만한 곳에서는 간격이 좁다.
  4. 등고선 간의 최단거리의 방향은 그 지표면의 최대 경사의 방향을 가리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낭떠러지와 동굴에서는 교차한다."가 옳지 않다. 등고선은 낭떠러지나 동굴에서는 교차하지 않고, 그냥 지나간다.

    등고선은 경사가 급한 곳에서는 간격이 넓고, 경사가 완만한 곳에서는 간격이 좁다는 이유는, 경사가 급한 곳에서는 높이가 급격히 변하기 때문에 등고선 간의 간격이 넓어지고, 경사가 완만한 곳에서는 높이 변화가 작기 때문에 등고선 간의 간격이 좁아진다.

    등고선 간의 최단거리의 방향은 그 지표면의 최대 경사의 방향을 가리킨다는 것은 등고선이 서로 수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즉, 등고선이 서로 만나는 지점에서는 지면의 경사가 가장 가파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각측량에서 두 점(A, B)의 좌표를 (x1, x2), (y1, y2)라 할 때, 방위각 θ=tan-1 에서 분모가 (-), 분자가 (+)값을 얻었다면 방위각은 몇 상한에 있는가?

  1. 제1상한
  2. 제2상한
  3. 제3상한
  4. 제4상한
(정답률: 알수없음)
  • 분모가 (-), 분자가 (+)값을 얻었다는 것은 두 점 A와 B가 x축 양의 방향에서 y축 음의 방향으로 이동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방위각은 제2상한에 있다. 이는 방위각이 270도에서 360도 사이에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비교적 폭이 좁고 거리가 긴 지역에 적합하며 하천측량, 노선측량, 터널측량 등에 이용되는 삼각망은?

  1. 단열삼각망
  2. 유심다각망
  3. 사변형망
  4. 격자삼각망
(정답률: 알수없음)
  • 단열삼각망은 삼각형의 변이 서로 만나지 않는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삼각망으로, 비교적 폭이 좁고 거리가 긴 지역에 적합하며 하천측량, 노선측량, 터널측량 등에 이용됩니다. 이는 삼각형의 변이 서로 만나지 않기 때문에 측량 오차가 적어지고, 측량 결과의 정확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기본측량의 실시공고를 하는 자는?

  1. 건설교통부장관
  2. 시ㆍ도지사
  3. 국토지리정보원장
  4. 측량계획기관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은 지역의 토지나 건물 등을 측정하는 중요한 작업이므로, 이를 실시하는 자는 해당 지역의 최고 관리자인 시ㆍ도지사가 담당하게 됩니다. 이는 해당 지역의 토지나 건물 등의 측정 결과가 정확하고 신뢰성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측량표 중 일시표지에 속하는 것은?

  1. 측표
  2. 표기
  3. 검조의
  4. 임시측량표지막대
(정답률: 알수없음)
  • 일시표지는 측량 작업 중에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표지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것은 "임시측량표지막대"입니다. 나머지는 측량 작업에서 사용되는 표기나 검조에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측량법에서 정의한 측량성과란?

  1. 당해 측량에서 얻은 지형측량의 최종성과안을 말한다.
  2. 당해 측량에서 얻은 최종결과를 말한다.
  3. 당해 측량에서 얻은 삼각점의 최종결과치만을 말한다.
  4. 당해 측량에서 얻은 수준점의 최종결과치만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법에서 정의한 측량성과는 당해 측량에서 얻은 최종결과를 말합니다. 이는 측량 작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된 모든 작업과 계산의 결과물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는 지형측량의 최종성과안, 삼각점 및 수준점의 최종결과치 등을 모두 포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지도의 외도곽 바깥쪽에 표시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도엽명
  2. 행정구역색인
  3. 발행자
  4. 제도사 성명
(정답률: 알수없음)
  • 지도의 외도곽 바깥쪽에 표시하는 사항은 "제도사 성명"이 아닙니다. 외도곽 바깥쪽에는 지도의 출처와 발행자 정보가 표시됩니다. "제도사 성명"은 지도 내부에 표시되며, 지도를 작성한 제도사의 이름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측량의 종류 중 측량법의 규제를 받지 아니하는 것은?

  1. 지하시설물측량
  2. 측지측량
  3. 토지의 신규등록측량
  4. 항공촬영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의 신규등록측량은 측량법의 규제를 받지 않는다. 이는 토지의 신규등록측량이 새로운 토지를 등록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전에 등록된 토지와의 경계선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측량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측량은 측량법의 규제를 받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1:25000 지형도 도식 적용규정에서 규정한 지형의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지표면의 기복상태를 말하며 벼랑, 바위 등의 모든 특수지형이 포함된다.
  2. 자연적, 인공적 축조물의 고저기복을 망라한다.
  3. 토질, 지면의 상태, 토지의 이용현황을 망라한다.
  4. 육지와 해면(수면)의 종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표면의 기복상태를 말하며 벼랑, 바위 등의 모든 특수지형이 포함된다."는 지형의 높낮이, 경사, 기울기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에는 모든 특수지형이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벼랑이나 바위와 같은 특수지형은 지형의 기복상태를 대표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이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기본측량에 종사하는 자가 측량을 실시하기 위하여 타인에게 손실을 입힌 경우 이 손실에 대한 보상은 다음 중 누가 하여야 하는가?

  1. 국토지리정보원장
  2. 건설교통부장관
  3. 공공측량 계획기관
  4. 행정자치부장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국토지리정보원장"이다. 기본측량에 종사하는 자가 측량을 실시하다가 타인에게 손실을 입힌 경우, 이 손실에 대한 보상은 국토지리정보원장이 하게 된다. 이는 국토지리정보법 제32조에 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된 규정이 없는 기관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건설교통부장관은 중앙지명위원회에서 심의 결정된 지명을 고시하여야 하는데 이때 지명고시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은?

  1. 변경된 지명
  2. 소재지(행정구역으로 표시한다.)
  3. 지명변경의 심의결정 연월일
  4. 위치(경도 및 위도로 표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명고시는 지명변경의 심의결정 연월일을 포함해야 하지만, 지명변경의 심의결정 연월일은 지명고시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이다. 이는 지명고시가 지명변경의 결과를 공표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미 심의결정이 이루어진 후에 공표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명변경의 심의결정 연월일"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건설교통부장관, 국토지리정보원장의 권한을 대한측량협회 등에 위탁할 수 있는 업무는?

  1. 측량측량성과심사 및 지도 등의 심사
  2. 측량기술자 중 측량기술사 자격증 발금
  3. 공공측량성과의 고시
  4. 공공측량의 측량기록 사본의 제출요구
(정답률: 알수없음)
  • 건설교통부장관과 국토지리정보원장은 측량측량성과심사 및 지도 등의 심사를 대한측량협회 등에 위탁할 수 있습니다. 이는 대한측량협회 등이 측량과 관련된 성과와 지도 등을 심사하여 공공의 이익을 보호하고 안전한 건설과 국토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측량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자격증 발급, 공공측량성과의 고시, 측량기록 사본 제출 요구 등과 관련된 업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측량협회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협회는 법인으로 한다.
  2. 측량업자 및 측량기술자는 그들의 품위보전 등을 위하여 측량협회를 설립할 수 있다.
  3. 업무구역을 전국으로 하되, 전체 시ㆍ군ㆍ구의 3분의 3이상에 사무소를 두고 있어야 한다.
  4. 협회는 그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에서 설립등기를 함으로써 설립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것은 없다.

    측량협회는 측량업자 및 측량기술자들이 그들의 품위보전 등을 위해 설립하는 법인이다. 업무구역은 전국으로 하되, 전체 시ㆍ군ㆍ구의 3분의 3 이상에 사무소를 두어야 하며, 협회는 그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에서 설립등기를 함으로써 설립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은 그 관할구역안에서 지형ㆍ지물의 변동이 있는 때에는 국토지리정보원장에게 지형ㆍ지물의 변동사항을 통보하여야 하는데 건설교통부형이 정하는 바에 따라 매년 언제까지 통보하여야 하는가?

  1. 1월말
  2. 2월말
  3. 3월말
  4. 4월말
(정답률: 알수없음)
  •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이 지형ㆍ지물의 변동사항을 통보해야 하는 시기는 건설교통부형이 정하는 바에 따라 매년 언제까지인데, 이는 대개 2월말까지입니다. 이유는 이 시기가 지난 후에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지형ㆍ지물 정보가 업데이트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은 이 기한 내에 지형ㆍ지물의 변동사항을 통보하여 최신 정보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측량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위치는 지리학적 경위도와 평균해면으로부터의 높이로 표시한다.
  2. 거리 및 면적은 수평곡면상의 평균값으로 표시한다.
  3. 지리학적 경위도는 세계측지계에 따라 측정한다.
  4. 측량의 원점은 대한민국경위도원점 및 수준원점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거리 및 면적은 수평곡면상의 평균값으로 표시한다."가 잘못된 것이다. 거리와 면적은 일반적으로 수평면에서 측정되며, 수평곡면상의 평균값으로 표시하는 것은 일부 특수한 경우에만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공공측량은 기본측량의 측량성과만을 기초로 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2. 도지사는 공공측량 계획기관에 대해서 공공측량에 관한 장기계획서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3. 일반측량은 기본측량 또는 공공측량의 측량성과 및 측량기록을 기초로 하여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공공측량 성과 및 측량기록의 사본은 일반인이 열람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측량은 기본측량 또는 공공측량의 측량성과 및 측량기록을 기초로 하여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는 기본측량과 공공측량의 측량성과와 측량기록이 일반측량에도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측량업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연안조사측량업, 공간영상도화업
  2. 기본측량업, 공공측량업
  3. 일반측량업, 수치지도제작업
  4. 지하시설물측량업, 항공촬영업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일반측량업, 수치지도제작업"입니다. 이유는 일반측량업과 수치지도제작업은 모두 측량업의 종류이지만, 문제에서 주어진 보기 중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기본측량업은 건축물, 도로, 다리 등의 기본적인 구조물의 위치와 크기를 측정하는 업무이며, 공공측량업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하는 측량업으로, 대표적으로 토지조사, 도시계획 등이 있습니다. 연안조사측량업은 해안선, 해저 지형 등을 측정하는 업무이며, 지하시설물측량업은 지하철, 터널 등 지하시설물의 위치와 크기를 측정하는 업무입니다. 항공촬영업은 항공기를 이용하여 공간의 사진을 촬영하는 업무이며, 공간영상도화업은 이러한 사진을 이용하여 지도를 제작하는 업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측량업자인 법인이 파산 또는 합병외의 사유로 해산한 때에는 그 청산인이 건설교통부 장관 또는 시ㆍ도지사에게 그 사실을 신고하여야 하는데, 이 때 그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최대 며칠이내에 신고를 하여야 하는가?

  1. 60일
  2. 30일
  3. 20일
  4. 10일
(정답률: 82%)
  • 측량업자가 파산 또는 합병외의 사유로 해산할 경우, 이를 건설교통부 장관 또는 시ㆍ도지사에게 신고해야 합니다. 이 때 신고 기한은 발생일로부터 최대 30일 이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0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건설교통부 장관 또는 시ㆍ도지사가 측량업의 등록을 취소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경우는?

  1.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등록수첩을 대여한 때
  2. 정당한 사유없이 등록을 한 날로부터 6개월 이내에 영업을 개시하지 아니한 때
  3.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등록증을 대여한 때
  4. 허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업의 등록을 한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당한 사유없이 등록을 한 날로부터 6개월 이내에 영업을 개시하지 아니한 경우는, 측량업 등록을 한 후에 일정 기간 내에 영업을 시작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측량업 등록을 받은 후에는 적극적으로 영업을 시작해야 한다는 의무가 있기 때문에, 이를 이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등록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기본측량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기준점 측량의 측량 성과이다.
  2. 다른 측량 측량의 측량 성과이다.
  3.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측량이다.
  4. 지적 측량의 측량성과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은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측량입니다. 이는 다른 모든 측량들이 이 기본측량을 기반으로 하여 측정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본측량인 미터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기본측량은 다른 모든 측량의 기반이 되며, 측정의 출발점이 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측량의 실시공고내용 중 필수적 사항이 아닌 것은?

  1. 측량의 종류
  2. 측량의 실시자
  3. 측량의 실시기간
  4. 의 실시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측량의 실시자"

    설명: 측량의 종류, 실시기간, 실시지역은 측량의 실시에 필수적인 정보이지만, 측량의 실시자는 선택적인 정보이다. 측량의 실시자는 측량을 실시하는 담당자를 의미하며, 측량을 실시하는 담당자가 누구인지 명시하는 것은 필수적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측량업의 등록을 한 자는 등록사항 중 변경 사항이 있는 때에는 변경등록을 하여야 한다. 다음 중 변경등록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대표자의 소재지
  2. 법인의 대표자 또는 임원
  3. 상호
  4. 기술능력 및 장비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의 등록을 한 자는 등록사항 중 변경 사항이 있는 때에는 변경등록을 하여야 하는데, 대표자의 소재지는 법인의 대표자 또는 임원의 개인정보에 해당하므로 변경되지 않는 한 변경등록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정답은 "대표자의 소재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투영방법 중 1:50000 국토 기본도에서 적용하고 있는 것은?

  1. 원주(圓柱)
  2. 횡단머케이트(T.M)
  3. 만국횡단머케이트(U.T.M)
  4. 람벨트(Lambelt)
(정답률: 알수없음)
  • 1:50000 국토 기본도에서 적용하고 있는 투영방법은 횡단머케이트(T.M)이다. 이는 국토의 가로와 세로 비율을 유지하면서 지도상에서의 거리와 방위각을 보존하는 투영방법으로, 한 지역의 지형과 지리적 특성에 따라 적합한 투영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