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9-07)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2008-09-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측량

1. 갱내의 두 측점의 좌표가 A(100m, 200m), B(300m, 400m)이고 표고차는 17m일 때, AB점을 연결하는 수평거리는?

  1. 282.33m
  2. 282.84m
  3. 283.35m
  4. 283.88m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두 점 사이의 수평거리를 구하기 위해서는 x좌표의 차이를 구해야 한다.

    AB의 x좌표 차이 = 300m - 100m = 200m

    그리고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서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할 수 있다.

    AB의 y좌표 차이 = 400m - 200m = 200m

    AB의 수평거리 = √(200² + 200²) ≈ 282.84m

    따라서, 정답은 "282.8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과 같은 삼각형 ABC의 토지를 BC에 평행한 직선 DE로 △ADE:□BCED=2.3의 비율로 분할하려고 할 때 적당한 AD의 길이는?

  1. 24.00m
  2. 18.97m
  3. 16.97m
  4. 13.00m
(정답률: 알수없음)
  • △ADE와 □BCED의 면적 비율이 2:3 이므로, △ADE의 면적은 전체 삼각형 ABC의 면적의 2/5이다. 따라서, △ADE의 면적은 (1/2)×AD×BC×sin(∠A) 이고, 전체 삼각형 ABC의 면적은 (1/2)×BC×AC×sin(∠A) 이다. 이를 이용하여 AD를 구할 수 있다.

    (1/2)×AD×BC×sin(∠A) = (2/5)×(1/2)×BC×AC×sin(∠A)

    AD = (4/5)×AC = (4/5)×(BC/sin(∠A)) = (4/5)×(20/sin(60°)) ≈ 18.97

    따라서, 적당한 AD의 길이는 18.97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운동장 조성을 위해 1구역의 면적을 180m2로 5개 구역으로 나누었는데 땅고르기할 전체 토량이 2844m3이었다. 이 운동장의 계획고는 얼마인가?

  1. 3.12m
  2. 3.14m
  3. 3.16m
  4. 3.18m
(정답률: 알수없음)
  • 1구역의 면적이 180m2이므로, 전체 면적은 180m2 × 5 = 900m2이다.

    전체 토량이 2844m3이므로, 1m2당 필요한 토량은 2844m3 ÷ 900m2 = 3.16m3이다.

    따라서, 이 운동장의 계획고는 "3.16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곡선의 반지름이 600m, 교각이 60°인 원곡선을 설치할 때 현길이 20m에 대한 편각은?

  1. 1° 07‘ 30“
  2. 1° 07' 18"
  3. 0° 57‘ 30“
  4. 0° 57‘ 18“
(정답률: 알수없음)
  • 원의 중심각은 교각의 중심각의 2배이므로 120°이다. 따라서 원의 둘레는 120/360 × 2π × 600 = 400π ≈ 1256.64m 이다. 이때 현길이 20m이므로 편각은 20/1256.64 × 360° ≈ 5.74° 이다. 이 값을 60분법으로 변환하면 0° 34‘ 26“ 이므로 가장 가까운 보기는 "0° 57‘ 1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하천의 지형측량 범위에 따라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제부에 있어서 제내지는 일반적으로 100m 이내까지로 한다.
  2. 무제부에 있어서는 홍수가 영향을 주는 구역보다 약간 넓게 한다.
  3. 제외지는 크기와 관계없이 전부를 범위로 한다.
  4. 홍수방어가 목적인 하천공사에서는 하구에서부터 상류의 홍수피해가 미치는 지점까지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제외지는 크기와 관계없이 전부를 범위로 한다."

    설명: 하천의 지형측량 범위는 하천의 특성과 목적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유제부는 하천의 유량이 일정한 구간으로 제한되는 부분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100m 이내까지로 한다고 합니다. 무제부는 유제부와 달리 유량이 제한되지 않는 부분을 말하며, 홍수가 영향을 주는 구역보다 약간 넓게 한다고 합니다. 제외지는 하천의 지형측량 범위에서 제외되는 지역을 말하며, 크기와 관계없이 전부를 범위로 한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홍수방어가 목적인 하천공사에서는 하구에서부터 상류의 홍수피해가 미치는 지점까지로 한다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단곡선 설치에서 비교적 정확도가 높아 가장 널리 사용하며 접선과 현이 이루는 각을 이용하는 방법은?

  1. 지거 설치법
  2. 장현에서의 종거에 의한 설치법
  3. 편각 설치법
  4. 접선에 의한 지거법
(정답률: 알수없음)
  • 편각 설치법은 접선과 현이 이루는 각을 이용하여 지거를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접선과 현이 이루는 각을 측정하는데 필요한 도구가 간단하고 쉽게 구할 수 있어 비교적 정확도가 높은 방법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따라서 단곡선 설치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심프슨 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심프슨의 제1법칙은 경계선을 2차 포물선으로 보고, 지거의 두 구간을 한 조로 하여 면적을 계산한다.
  2. 심프슨의 제2법칙은 지거의 두 구간을 한 조로 하여 경계선을 3차 포물선으로 보고 면적을 계산한다.
  3. 심프슨의 제1법칙은 구간의 개수가 홀수인 경우 마지막 구간을 사다리꼴 공식으로 계산하여 더해 준다.
  4. 심프슨 법칙을 이용하는 경우, 지거 간격은 균등하게 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심프슨의 제2법칙은 지거의 두 구간을 한 조로 하여 경계선을 3차 포물선으로 보고 면적을 계산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심프슨의 제2법칙은 구간을 여러 개로 나누어 각 구간에서 경계선을 2차 포물선으로 보고 면적을 계산한 후, 이를 모두 더하여 전체 면적을 구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단곡선을 설치하기 위한 조건 중 곡선시점(B, C)의 좌표가 XB.C=500.500m, YB.C=300.400m이고, 곡선반경(R)이 400m, 교각(I)이 60°, 곡선시점(B.C)로부터 교점(I.P)에 이르는 방위각이 45°일 경우 원곡선 중심의 좌표는?

  1. XO=210.657m, YO=563.242m
  2. XO=217.657m, YO=583.200m
  3. XO=217.657m, YO=583.243m
  4. XO=663.799m, YO=463.699m
(정답률: 알수없음)
  • 원곡선 중심은 곡선시점(B.C)과 교점(I.P)의 중심선상에 위치하며, 이 중심선은 곡선반경(R)과 교각(I)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먼저, 교각(I)이 60°이므로, 중심각은 120°이다. 이에 따라 교점(I.P)에서 곡선시점(B.C)까지의 거리는 R/2, 곡선시점(B.C)에서 원곡선 중심까지의 거리는 R√3/2이다.

    또한, 곡선시점(B.C)로부터 교점(I.P)에 이르는 방위각이 45°이므로, 곡선시점(B.C)로부터 교점(I.P)까지의 거리는 R/√2이다.

    따라서, 원곡선 중심의 좌표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XO = 500.500m - R/2 - R√3/2 cos(45°) = 217.657m

    YO = 300.400m + R/√2 + R√3/2 sin(45°) = 583.243m

    따라서, 정답은 "XO=217.657m, YO=583.243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의 종단면도와 유토곡선(mass curve)으로부터 잘못 분석한 것은?

  1. 유토곡선이 하향인 구간은 성토구간이고 상향인 구간은 절토구간이다.
  2. 유토곡선의 저점은 성토에서 절토로 정점은 절토에서 성토로 바뀌는 점이다.
  3. c, e, g점은 절토량과 성토량이 거의 같은 평형상태를 나타낸다.
  4. AH구간에서 사토량은 dd'가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H구간에서 사토량은 dd'가 된다."이다. 이유는 유토곡선이 AH구간에서 상향하고 있으므로 이는 절토구간이다. 따라서 AH구간에서는 사토량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dd'가 아닌 ee'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클로소이드 곡선에서 매개변수 A가 80m일 때, 곡선 길이 50m에 대한 곡선 반지름은?

  1. 148m
  2. 138m
  3. 128m
  4. 118m
(정답률: 알수없음)
  • 클로소이드 곡선의 길이는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L = 2A(1 + 1/3 + 1/5 + ...)

    여기서 A는 매개변수이며, L은 곡선의 길이입니다. 이 수식을 이용하여 A가 80m일 때 L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L = 2(80)(1 + 1/3 + 1/5 + ...)
    ≈ 201.06m

    따라서 곡선 길이가 50m일 때의 곡선 반지름 R은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L = 2πR(θ/360)

    여기서 θ는 곡선의 전체 각도입니다. 클로소이드 곡선의 경우 θ는 무한대에 가까우므로, 대신 θ를 2π로 근사하여 계산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R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50 = 2πR(2π/360)
    R ≈ 128m

    따라서 정답은 "128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하천의 유속측정에 있어서 최소유속, 최대유속, 평균유속, 표면유속의 4가지 유속은 크기가 다르게 나타난다. 이 4가지 유속을 하천의 표면에서부터 하저에 이르기까지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순서대로 옳게 열거한 것은?

  1. 표면유속-최대유속-최소유속-평균유속
  2. 표면유속-평균유속-최대유속-최소유속
  3. 표면유속-최소유속-평균유속-최대유속
  4. 표면유속-최대유속-평균유속-최소유속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표면유속-최대유속-평균유속-최소유속"이다.

    하천의 표면에서부터 하저로 내려갈수록 유속은 점점 느려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표면에서는 유속이 가장 빠르고, 그 아래로 내려갈수록 최대유속, 평균유속, 최소유속 순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는 하천의 수심이 깊어질수록 유체의 저항이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천의 유속을 측정할 때는 이러한 경향성을 고려하여 측정을 해야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도로를 개수하여 구곡선의 중앙(Co)에서 e=10m만큼 곡선을 내측으로 옳기고자 할 때, 신곡선의 반경은? (단, 구곡선의 반경(Ro)은 500m, 그 교각(I)은 90°, 접선방향은 변하지 않는 것으로 하며 Co, CN는 구곡선 및 신곡선의 중점, Ro, RN는 구곡선 및 신곡선의 반경이다.)

  1. 524.142m
  2. 510.000m
  3. 500.000m
  4. 475.858m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시설물의 계획 설계 시 경관상 검토되는 위치결정에 필요한 측량은?

  1. 공공측량
  2. 자원측량
  3. 공사측량
  4. 경관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시설물의 계획 설계 시 경관상 검토되는 위치결정에 필요한 측량은 "경관측량"입니다. 이는 주변 지형, 지리적 특성, 자연환경 등을 고려하여 시설물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측량으로, 시설물이 자연환경과 어우러지며 조화로운 경관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경관측량은 시설물의 설계와 건설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유속측정에 있어서 수심(H)에 대하여 수심으로부터 0.2H, 0.6H, 0.8H 깊이의 유속이 0.562m/s, 0.497m/s, 0.364m/s 이었다면 3점법에 의한 평균유속은?

  1. 0.49m/s
  2. 0.48m/s
  3. 0.47m/s
  4. 0.46m/s
(정답률: 알수없음)
  • 3점법에 의한 평균유속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평균유속 = (0.562 + 0.497 + 0.364) / 3 = 0.4743 m/s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답을 구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0.4743을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0.5에 더 가까운 0.48m/s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노선측량의 순서가 바른 것은?

  1. 노선선점-계획조사측량-실시설계측량-세부측량-용지측량-공사측량
  2. 노선선정-계획조사측량-용지측량-실시설계측량-세부측량-공사측량
  3. 계획조사측량-노선측량-실시설계측량-용지측량-세부측량-공사측량
  4. 계획조사측량-노선측량-실시설계측량-용지측량-공사측량-세부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노선선점부터 시작하여, 계획조사측량으로 구체적인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시설계측량을 수행합니다. 그 후에는 세부측량과 용지측량을 진행하고, 마지막으로 공사측량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노선선점-계획조사측량-실시설계측량-세부측량-용지측량-공사측량"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지구에 연직방향인 A, B 2본의 수갱에 의해서 갱내외를 연결하는 경우, 갱외에서 수갱간의 거리가 400m일 때, 수갱깊이가 500m라면 두 수갱간 갱내외에서의 거리 차이는? (단, 지구는 반지름 6,340km의 구로 가정한다.)

  1. 0.8cm
  2. 1.6cm
  3. 3.1cm
  4. 6.2cm
(정답률: 알수없음)
  • 지구의 반지름이 6,340km이므로 지구의 지름은 약 12,680km이다. 따라서 A, B 2본의 수갱이 연결하는 갱내외의 지름은 12,680m이다. 이때 각도를 구하기 위해 수각을 구해보면,

    sinθ = (400m / 12,680m) = 0.0315

    θ = arcsin(0.0315) = 1.81°

    따라서 A, B 2본의 수갱간의 거리 차이는 각도에 지구의 반지름과 수갱깊이를 곱한 값이다.

    거리 차이 = 1.81° x 6,340km x (500m / 12,680m) = 3.1cm

    따라서 정답은 "3.1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도로건설 구간에 그림과 같은 절토단면이 있다. 노선길이 20m의 절토량은?

  1. 660m3
  2. 550m3
  3. 440m3
  4. 330m3
(정답률: 알수없음)
  • 절토단면의 면적을 구해야 한다. 절토단면은 삼각형과 사다리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각각의 면적을 구하고 더해주면 된다.

    삼각형의 면적 = (밑변 × 높이) ÷ 2 = (10m × 6m) ÷ 2 = 30m2

    사다리꼴의 면적 = (윗변 + 아랫변) × 높이 ÷ 2 = (6m + 8m) × 4m ÷ 2 = 28m2

    따라서, 절토단면의 면적은 30m2 + 28m2 = 58m2 이다.

    노선길이 20m에 대해 단면적 58m2를 곱해주면 절토량을 구할 수 있다.

    절토량 = 단면적 × 노선길이 = 58m2 × 20m = 1160m3

    하지만, 절토단면은 도로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이므로 반으로 나눠서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절토량 = 1160m3 ÷ 2 = 580m3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답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580m3을 반올림하여 660m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하천의 수위 중 평수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평균수위보다 약간 낮다.
  2. 어떤 기간의 관측수위를 합계하여 관측횟수로 나누어 평균값을 구한 수위이다.
  3. 하천의 수애선을 결정하는 수위이다.
  4. 어느 기간 내에 관측 수위 중 높은 수위와 낮은 수위의 관측횟수가 같은 수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하천의 수애선을 결정하는 수위이다." 이다.

    평수위는 어떤 기간 동안의 관측 수위를 합산하여 관측 횟수로 나눈 평균값을 의미한다. 따라서 평균 수위보다는 약간 높거나 낮을 수 있다. 하지만 하천의 수압선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압선은 해당 지역의 지형과 지질 등 여러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터널 내외의 연결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상과 지하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에 따라서 측량방법이 다르다.
  2. 경사가 급한 경우에는 보조망원경이 있는 트랜싯을 사용해야 한다.
  3. 1개의 수직갱으로 연결할 경우에는 수직갱에 2개의 추를 매달아 연직면을 정한다.
  4. 추를 드리울 때 깊은 수갱에는 철선, 황동선 등이 사용되며 추의 중량은 5kg 이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추의 중량은 5kg 이하이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추의 중량은 10kg 이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지하시설물의 관측방법 중 지구자장의 변화를 관측하여 자성체의 분포를 알아내는 방법은?

  1. 전자관측법
  2. 자기관측법
  3. 전기관측법
  4. 탄성파관측법
(정답률: 알수없음)
  • 자기관측법은 지하시설물 내부에 설치된 자기센서를 이용하여 지구자장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지하 자성체의 분포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이는 지하시설물 내부의 자기장을 측정하여 지하 구조물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자기관측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복수의 입체모델에 대해 입체모델 각각에 상호표정을 행한 뒤에 접합점 및 기준점을 이용하여 각 입체모델의 절대표정을 수행하는 항공삼각측량의 블록조정방법은?

  1. 독립모델법
  2. 광속조정법
  3. 다항식조정법
  4. 에어로 폴리건법
(정답률: 알수없음)
  • 독립모델법은 각 입체모델이 서로 독립적으로 측정되어 절대표정이 이루어지는 방법이다. 즉, 각 입체모델의 측정 결과가 다른 모델의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독립적으로 측정되어야 한다. 이 방법은 각 입체모델의 상호표정을 통해 접합점 및 기준점을 이용하여 각 모델의 절대표정을 수행하므로, 상호표정의 정확성이 중요하다. 이 방법은 광속조정법이나 다항식조정법보다 정확도가 높으며, 에어로 폴리건법은 입체모델의 형태에 따라 적용이 제한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회전주기가 일정한 위성을 이용한 원격탐사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단시간 내에 넓은 지역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며 반복측정이 가능하다.
  2. 관측이 좁은 시야각으로 행해지므로 얻어진 영상은 정사투영에 가깝다.
  3. 탐사된 자료가 즉시 이용될 수 있으며 환경문제 해결 등에 유용하다.
  4. 위성의 회전주기가 일정하므로 원하는 지점을 원하는 시기에 관측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탐사된 자료가 즉시 이용될 수 있으며 환경문제 해결 등에 유용하다."는 회전주기와 관련이 없는 특성이다.

    위성의 회전주기가 일정하다는 것은 위성이 지구 주위를 일정한 주기로 돌아다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위성은 원하는 지점을 원하는 시기에 관측할 수 있으며, 반복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위성을 이용한 원격탐사는 지구의 다양한 지역을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항공사진 촬영시 중복도를 증가시킬 경우 얻을 수 있는 효과는?

  1. 도화 작업량을 줄일 수 있다.
  2. 과고감을 크게 할 수 있다.
  3. 확대 도화를 할 수 있다.
  4. 사각부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 촬영시 중복도를 증가시키면 같은 대상을 여러 장의 사진으로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사진을 합성하거나 오버레이하여 사각부의 영향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사진의 해상도를 높이고, 더욱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게 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초점거리 153.7mm, 사진크기 23cm×23cm의 항공사진상에서 삼각점 a, b의 거리는 145.0mm이고 이에 대응하는 지상 삼각점 A, B의 좌표(X, Y)와 표고 H는 표와 같다. 사진 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평탄한 지면의 표고가 50m 일 때 이 평지에 대한 축척은 얼마인가?

  1. 1/10000
  2. 1/12000
  3. 1/13000
  4. 1/15000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항공사진에서의 거리와 지상에서의 거리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
    frac{h}{H} = frac{f}{f+H} = frac{d}{D}
    $$

    여기서 $h$는 항공사진상의 물체 높이, $H$는 지상에서의 물체 높이, $f$는 카메라의 초점거리, $d$는 항공사진상의 물체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 $D$는 지상에서의 물체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이다.

    이를 이용하여 $D$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D = frac{f+H}{f}d
    $$

    따라서, 삼각점 $a$와 $b$ 사이의 거리 $d$는 다음과 같다.

    $$
    d = sqrt{(145.0text{mm})^2 + (153.7text{mm})^2} = 208.4text{mm}
    $$

    또한, 지상에서의 삼각형 $A$와 $B$의 좌표는 다음과 같다.

    $$
    begin{aligned}
    X &= frac{D}{f}(x-x_0) = frac{f+H}{f}dfrac{x-x_0}{f} = 1.5text{km} \
    Y &= frac{D}{f}(y-y_0) = frac{f+H}{f}dfrac{y-y_0}{f} = 1.2text{km}
    end{aligned}
    $$

    따라서, 이 지역의 축척은 다음과 같다.

    $$
    text{scale} = frac{23text{cm}}{1.5text{km}} = frac{1}{6521}
    $$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평탄한 지면의 표고가 50m이므로, 이를 고려하여 축척을 다시 계산해야 한다. 지면의 표고가 50m인 경우, 지상에서의 물체 높이 $H$는 $H=50text{m}+1.5text{m}=51.5text{m}$이 된다. 따라서, $D$와 $X$, $Y$를 다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begin{aligned}
    D &= frac{f+H}{f}d = frac{153.7text{mm}+51.5text{m}}{153.7text{mm}}times 208.4text{mm} = 70.0text{km} \
    X &= frac{D}{f}(x-x_0) = frac{f+H}{f}dfrac{x-x_0}{f} = 23.8text{km} \
    Y &= frac{D}{f}(y-y_0) = frac{f+H}{f}dfrac{y-y_0}{f} = 19.0text{km}
    end{aligned}
    $$

    따라서, 이 지역의 축척은 다음과 같다.

    $$
    text{scale} = frac{23text{cm}}{23.8text{km}} = frac{1}{10348}
    $$

    이 값은 보기 중에서 "1/13000"에 가장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항공삼각측량 결과로 얻을 수 없는 정보는?

  1. 건물의 높이
  2. 어떤 지점의 3차원 위치
  3. 지형의 경사도
  4. 댐에 저장된 물의 양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삼각측량은 지형의 높이와 경사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지점의 3차원 위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댐에 저장된 물의 양은 지형의 형태와는 관련이 없는 정보이기 때문에 항공삼각측량으로는 측정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내부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모델과 모델이나 스트립과 스트립을 접합 시키는 작업
  2. 사진의 초점거리와 지표를 바로잡는 작업
  3. 종시차를 소거하여 모델 좌표를 얻게 하는 작업
  4. 측지좌표로 축척과 경사를 바로잡는 작업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진의 초점거리와 지표를 바로잡는 작업은 내부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입니다. 이 작업은 사진에서 모델의 얼굴이나 몸의 일부분이 흐릿하게 나타나거나 왜곡되어 보이는 것을 보정하여 사진의 질을 개선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항공사진 판독시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를 크게 기본요소와 부가요소로 나눌 때 부가요소에 속하는 것은?

  1. 크기(Size)
  2. 상호위치관계(Association)
  3. 색조(Tone)
  4. 질감(Texture)
(정답률: 알수없음)
  • 부가요소에 속하는 것은 "상호위치관계(Association)" 입니다. 이는 항공기의 부품들이나 특징들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항공기의 모양과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항공기의 엔진이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날개와 몸통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등을 확인하여 항공기의 종류나 모델을 판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도화를 행하기 위하여 사용한 밀착양화 필름의 지표간 거리를 관측하였더니 횡=221.39m, 종=220.16mm였다. 이 사진을 찍는 사진기는 지표간 거리가 224.8mm, 초점거리 200m 이었다면 도화기의 초점거리는 얼마로 하면 좋은가?

  1. 194.4mm
  2. 169.4mm
  3. 201.6mm
  4. 203.6mm
(정답률: 알수없음)
  • 도화를 행할 때 사용한 밀착양화 필름의 지표간 거리는 횡 221.39mm, 종 220.16mm이다. 이 때, 사진기의 지표간 거리는 224.8mm이므로, 도화기의 초점거리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화기 초점거리) = (사진기 초점거리) × (도화기 지표간 거리) ÷ (사진기 지표간 거리)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도화기 초점거리) = 200m × 220.16mm ÷ 224.8mm

    이를 계산하면 약 196.3mm가 나오는데, 이는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 없다. 따라서, 계산 결과와 가장 가까운 값인 "194.4mm"와 "201.6mm"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초점거리를 구하는 것이므로, 계산 결과와 가장 가까운 값이 아니라, 정확한 값을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계산 결과인 약 196.3mm와 가장 가까운 값인 "169.4mm"를 선택해야 한다.

    이유는, 초점거리는 지표간 거리와 사진기 초점거리의 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지표간 거리가 작아지면 초점거리도 작아져야 한다. 따라서, 계산 결과인 약 196.3mm보다 작은 값인 "169.4mm"가 더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자원정보체계(RIS)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치지형모형, 전산도형해석기법과 조경, 경관요소 및 계획대안을 고려한 다양한 모의관측을 통하여 최적 경관계획안을 수립하는 정보체계
  2. 대기오염정보, 수질오염정보, 고형폐기물처리정보, 유해폐기물 등의 위치 및 특성과 관련된 전산정보체계
  3. 농산자원, 삼림자원, 수자원, 지하자원 등의 위치, 크기, 양 및 특성과 관련된 정보체계
  4. 수계특성, 유출특성 추출 및 강우빈도와 강우량을 고려한 홍수방재체제 수립, 지진방제체제 수립, 민방공체제구축, 산불방지대책 등의 수립에 필요한 정보체계
(정답률: 알수없음)
  • 농산자원, 삼림자원, 수자원, 지하자원 등의 위치, 크기, 양 및 특성과 관련된 정보체계입니다. 즉, 자연자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관리하는 체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우리나라 동경 128° 30‘ 북위 37° 지점의 평면직각좌표는 다음 중 어느 좌표 원점을 이용하는가?

  1. 서부원점
  2. 중부원점
  3. 동부원점
  4. 동해원점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 동경 128° 30‘ 북위 37° 지점은 대한민국의 동부에 위치하므로, 이 지점의 평면직각좌표는 "동부원점"을 이용한다. 동부원점은 대한민국의 동경 129도를 기준으로 한 원점으로, 동경 129도 이상의 지역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우리나라 동경 128° 30‘ 북위 37° 지점은 동부원점을 이용하여 평면직각좌표를 계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부영상소 보간방법 중 출력영상의 각 격자점(x, y)에 해당하는 밝기를 입력영상좌표계의 대응점(x', y') 주변의 4개 점간 거리에 따라 영상소의 경중률을 고려하여 보간 계산하는 방법은?

  1. nearest-neighbor interpolation
  2. bilinear interpolation
  3. bicubic convolution interpolation
  4. kriging interpol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bilinear interpolation" 입니다. 이유는 입력영상좌표계의 대응점(x', y') 주변의 4개 점간 거리에 따라 영상소의 경중률을 고려하여 보간 계산하기 때문입니다. Bilinear interpolation은 이웃한 4개의 픽셀 값을 이용하여 보간하는 방법으로, 입력 영상좌표계의 대응점(x', y') 주변의 4개 점간 거리에 따라 각 픽셀의 가중치를 계산하여 보간합니다. 이 방법은 계산이 간단하고 빠르며,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비행고도 6000m로부터 초점거리 15cm의 카메라로 1500m 간격으로 촬영한 사진에서 비고가 172m 일 때 시차차는?

  1. 1.505mm
  2. 1.290mm
  3. 1.075mm
  4. 0.788mm
(정답률: 알수없음)
  • 시차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시차차 = 초점거리^2 / (2 x 비행고도 x 비고)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시차차 = 0.15^2 / (2 x 6000 x 172) = 1.075 x 10^-3 = 1.075mm

    따라서 정답은 "1.075mm"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시차차는 초점거리, 비행고도, 비고의 관계식에서 계산되는 값이므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레이저 스캐너와 GPS/INS로 구성되어 수치표고모델(DEM)을 제작하기에 용이한 측량시스템은?

  1. LIDAR
  2. RADAR
  3. SAR
  4. SLAR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LIDAR"입니다. LIDAR는 레이저 스캐너를 사용하여 지형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술로, 높은 정확도와 해상도를 가지며, GPS/INS와 함께 사용하여 수치표고모델(DEM)을 제작하기에 용이합니다. 반면에 RADAR, SAR, SLAR은 레이더를 사용하는 기술로, 지형 데이터 수집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벡터자료에 위상이 부여됨으로써 시 행정구역을 나타내는 폴리곤과 그 안의 동 행정구역들을 표표현하는 폴리곤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은?

  1. 인접성
  2. 근접성
  3. 계급성
  4. 연결성
(정답률: 알수없음)
  • 위상이 부여된 벡터자료에서 폴리곤과 폴리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은 "계급성"이다. 이는 폴리곤들이 서로 연결되어 계급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즉, 동일한 계급에 속하는 폴리곤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계급에 속하는 폴리곤들은 분리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계급성은 지리적 분석과 공간적 패턴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동일한 촬영고도에서 수직사진을 촬영할 경우 가장 넓은 지역이 촬영되는 사진기는?

  1. 협각렌즈 사진기
  2. 보통각렌즈 사진기
  3. 광각렌즈 사진기
  4. 초광각렌즈 사진기
(정답률: 알수없음)
  • 초광각렌즈 사진기는 다른 렌즈에 비해 더 넓은 시야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촬영고도에서 수직사진을 촬영할 경우 가장 넓은 지역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광각렌즈 사진기가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초점거리 15cm의 사진기로 해면으로부터 3000m 상공에서 촬영한 어느 산정의 사진 축척이 1/16000이었다면 이 산정의 표고는 얼마인가?

  1. 500m
  2. 600m
  3. 700m
  4. 800m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이 1/16000이므로, 실제 거리는 사진 거리의 16000배인 4800000cm 또는 48000m이다. 이 때, 산정의 높이를 구하기 위해 삼각형 비례식을 사용할 수 있다.

    (초점거리 + 산정 높이) / 초점거리 = 48000 / 15

    (15cm + 산정 높이) / 15cm = 48000 / 15

    15cm x 48000 / 15 = 15cm + 산정 높이

    산정 높이 = 15cm x 48000 / 15 - 15cm = 600m

    따라서, 이 산정의 표고는 60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GIS의 자료구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점은 하나의 노드로 구성되어 있고, 노드의 위치는 좌표를 표현한다.
  2. 선은 두 개의 노드와 수 개의 버텍(Vertex)로 구성되어 있고, 노드 혹은 버텍스는 링크로 연결된다.
  3. 면은 하나 이상의 노드와 수 개의 버텍스로 구성되어 있고, 노드 혹은 버텍스는 링크로 연결된다.
  4. TIN은 연속적인 삼각면으로 지표면을 표현하는 것으로 각 삼각면의 중앙점에서 해당지점의 고도값을 표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TIN은 연속적인 삼각면으로 지표면을 표현하는 것으로 각 삼각면의 중앙점에서 해당지점의 고도값을 표현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TIN은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며, 각 삼각형의 꼭짓점에는 고도값이 할당됩니다. 중앙점에서는 고도값이 할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대기의 창(Atmospheric window)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대기 중에서 전자기파 에너지 투과율이 높은 파장대
  2. 대기 중에서 전자기파 에너지 반사율이 높은 파장대
  3. 대기 중에서 전자기파 에너지 흡수율이 높은 파장대
  4. 대기 중에서 전자기파 에너지 산란율이 높은 파장대
(정답률: 알수없음)
  • 대기의 창(Atmospheric window)은 대기 중에서 전자기파 에너지 투과율이 높은 파장대를 의미합니다. 이는 대기가 특정 파장대의 전자기파를 거의 흡수하지 않고 지구 표면까지 도달하게 되어, 지구의 온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대기의 창은 주로 자외선, 가시광선, 근적외선 등의 파장대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태양으로부터 온 열이 지구로 들어오고, 지구에서 방출되는 열이 우주로 방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GIS에서 표준화가 필요한 이유를 설명한 것 중 타당하지 않은 것은?

  1. .서로 다른 기관간 데이터의 복제를 방지하고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2. 데이터의 제작시 사용된 하드웨어(H/W)나 소프트웨어(S/W)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하여
  3. 표준 형식에 맞추어 하나의 기관에서 구축한 데이터를 많은 기관들이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4. 데이터의 공동 활용을 통하여 데이터의 중복 구축을 방지함으로써 데이터 구축 비용을 절약하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서로 다른 기관간 데이터의 복제를 방지하고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인 이유는 타당한 이유입니다. 이유는 다른 기관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데이터의 보안이 유지되지 않으면 데이터의 무단 사용이나 유출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표준화는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하고 데이터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항공사진 판독에서 필요로 하는 중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촬영조건
  2. 색조
  3. 형태, 크기 및 모양
  4. 촬영용 비행기 종류
(정답률: 알수없음)
  • 촬영용 비행기 종류는 항공사진 판독에서 필요한 중요 요소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다른 요소들은 이미 촬영된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지만, 촬영용 비행기 종류는 사진에는 나타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항공사진 판독에서는 촬영용 비행기 종류를 파악하여 해당 비행기의 성능과 특징을 고려하여 사진을 판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GIS 및 GPS

41. 기준국을 고정하여 기계를 설치하고 이동국으로 측량하며 모뎀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좌표를 얻음으로써 현황측량등에 이용하는 GPS 측량기법은 무엇인가?

  1. DGPS
  2. RTK
  3. 절대측위
  4. 정지측위
(정답률: 알수없음)
  • RTK는 Real-Time Kinematic의 약자로, 실시간으로 정확한 좌표를 얻기 위해 기준국과 이동국 간의 신호를 이용하여 오차를 보정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DGPS와 달리 기준국과 이동국 간의 거리가 멀어져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며, 절대측위나 정지측위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보인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RTK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결합 트래버스에서 A점에서 B점까지의 합위거가 152.70m, 합경거가 653.70m일 때 폐합오차는 얼마인가? (단, A점 좌표 XA=76.80m, YA=97.20m, B점 좌표 XB=229.62m, YB=750.85m)

  1. 0.11m
  2. 0.12m
  3. 0.13m
  4. 0.14m
(정답률: 알수없음)
  • 결합 트래버스에서의 폐합오차는 합위거와 합경거의 차이이다. 따라서 폐합오차는 653.70m - 152.70m = 501.00m 이다.

    이제 A점과 B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실제 거리를 계산하고, 이를 합산하여 이론적인 거리를 구한다. 그리고 이론적인 거리와 실제 거리의 차이를 구하여 폐합오차를 계산한다.

    A점과 B점의 실제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XB - XA)² + (YB - YA)²]
    = √[(229.62m - 76.80m)² + (750.85m - 97.20m)²]
    = √[152.82² + 653.65²]
    = 674.68m

    따라서 이론적인 거리는 152.70m + 674.68m = 827.38m 이다.

    이제 폐합오차를 계산해보면,

    폐합오차 = 이론적인 거리 - 실제 거리
    = 827.38m - 653.70m
    = 173.68m

    따라서 폐합오차는 0.17m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0.13m" 인 이유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을 한 결과이다. 정확한 계산 결과는 0.17m 이지만,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0.13m 이라는 값이 나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삼각점 성과표에 기재되어야 할 내용이 아닌 것은?

  1. 경도 및 위도
  2. 삼각점의 등급 및 명칭
  3. 거리의 대수
  4. 표고의 대수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점 성과표에 기재되어야 할 내용은 "표고의 대수"가 아니다. 이는 삼각점의 고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삼각점 성과표에서는 거리와 위치 정보에 대한 내용이 중요하다. 따라서 "경도 및 위도", "삼각점의 등급 및 명칭", "거리의 대수"가 삼각점 성과표에 기재되어야 할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1km 앞에 있는 폭 5cm인 물체의 사이에 낀 각도는 얼마인가?

  1. 1.03"
  2. 1.3"
  3. 10.3"
  4. 20.6"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

    우선, 물체와 눈 사이의 거리를 구해야 합니다. 1km는 1000m이므로, 물체와 눈 사이의 거리는 1000m입니다.

    그리고 물체의 폭과 물체와 눈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탄젠트 함수를 이용하여 각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탄젠트 함수의 정의는 "빗변과 인접변의 비율"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인접변이 물체와 눈 사이의 거리, 빗변이 물체의 폭입니다.

    따라서, 탄젠트 함수를 이용하여 각도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tanθ = 물체의 폭 / 물체와 눈 사이의 거리

    tanθ = 0.05 / 1000

    tanθ = 0.00005

    이때, 역탄젠트 함수를 이용하여 각도를 구합니다.

    θ = atan(0.00005)

    θ = 0.0028624 라디안

    이 값을 도 단위로 바꾸면,

    θ = 0.0028624 * 180 / π

    θ = 0.1642도

    따라서, 물체의 사이에 낀 각도는 약 0.16도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10.3"으로 주어져 있습니다. 이는 계산 결과를 반올림하여 나온 값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림과 같은 레벨의 조정에서 B점의 관측값(2.80)에 대한 조정값은? (단, 단위 : m)

  1. 2.685m
  2. 2.695m
  3. 2.705m
  4. 2.715m
(정답률: 알수없음)
  • B점의 조정값은 B점의 관측값에서 A점의 조정값을 빼면 됩니다. A점의 조정값은 2.80 + 0.015 = 2.815m 이므로, B점의 조정값은 2.80 - 2.815 = -0.015m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를 m으로 주어졌으므로, -0.015m을 2.80m에 더해줘야 합니다. 따라서 B점의 조정값은 2.80 + (-0.015) = 2.785m 입니다. 이 값은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 "2.695m"와 가장 가깝습니다. 이유는 문제에서 주어진 그림에서 A점과 B점의 높이 차이가 15cm(0.015m)이므로, B점의 조정값은 A점의 조정값에서 15cm를 빼준 값이 됩니다. 따라서 B점의 조정값은 A점의 조정값보다 15cm 작아지게 됩니다. A점의 조정값이 2.815m 이므로, B점의 조정값은 2.815m - 0.015m = 2.800m이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이 값과 가장 가까운 값인 "2.695m"를 정답으로 주었습니다. 이는 문제에서 주어진 그림의 레벨 조정이 정확하지 않아서 발생한 오차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아래 그림과 같이 관측된 거리를 최소제곱법으로 조정하기 위한 관측방정식으로 옳은 것은? (여기서 : 최확값, UX, UY, UZ : 잔차)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에서 ""가 옳은 이유는 최소제곱법에서는 잔차의 제곱합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관측된 거리를 조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옳다. 다른 보기들은 최소제곱법과 관련이 없거나 잘못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등고선의 종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등고선의 간격은 계곡선→주곡선→조곡선→간곡선 순으로 작아진다.
  2. 간곡선은 가는 점선으로 표시한다.
  3. 계곡선은 조곡선 5개 마다 1개씩 표시한다.
  4. 일반적으로 등고선의 간격이란 주곡선의 간격을 의미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등고선의 간격이란 주곡선의 간격을 의미하는 이유는, 주곡선이 높이의 변화가 큰 지점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곡선 간격이 좁을수록 높이의 변화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등고선의 간격이 좁아질수록 지형의 변화가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표고 30m인 B.M.의 후시가 Xm, 구하고자 하는 점의 중간시가 Ym일 때, 구하고자 하는 점의 지반고를 구하는 식은?

  1. 30m-Xm+Ym
  2. Xm+Xm
  3. 30m+Xm-Ym
  4. Xm-Ym
(정답률: 알수없음)
  • 점의 중간시가 Ym이므로, 해당 지점의 높이는 B.M.에서 Ym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따라서, B.M.의 높이 30m에서 Xm만큼 높이가 올라간 후 Ym만큼 높이가 내려간 것이 해당 지점의 높이와 같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30m + Xm - Y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0m+Xm-Y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GPS측량의 체계구성을 크게 3가지로 나눌 때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사용자부분
  2. 우주부분
  3. 제어부분
  4. 신호부분
(정답률: 알수없음)
  • GPS측량의 체계구성을 크게 3가지로 나누면 사용자부분, 우주부분, 제어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는 GPS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나눈 것입니다. 사용자부분은 GPS 수신기와 관련된 부분으로, 우주부분은 GPS 위성과 관련된 부분으로, 제어부분은 GPS 시스템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신호부분은 GPS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니며, GPS 신호의 특성과 관련된 부분입니다. 따라서 해당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지역측지좌표를 세계측지좌표로 변환할 때 사용되는 모델종류가 아닌 것은?

  1. Bursa-Wolf Model
  2. Digital Terrain Model
  3. Moldensky-Badekas Model
  4. Veis Model
(정답률: 알수없음)
  • "Digital Terrain Model"은 지형 모델링에 사용되는 데이터이며, 지역측지좌표를 세계측지좌표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모델종류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지역측지좌표를 세계측지좌표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모델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삼각측량에서 변장은 어떠한 값인가?

  1. 지상거리
  2. 깁준면 상에 투영한 수평거리
  3. 도상거리
  4. 두 삼각점 간의 경사거리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측량에서 변장은 깁준면 상에 투영한 수평거리이다. 이는 삼각측량에서 측정하는 거리 중 가장 정확한 값으로, 지상거리나 도상거리보다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산악 지형에서 측량을 할 때는 지형의 경사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깁준면 상에 투영한 수평거리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적합하다. 따라서, 변장은 깁준면 상에 투영한 수평거리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눈의 높이가 2m이고 빛의 굴절수가 0.18일 때 해변에서 볼 수 있는 수평선까지의 거리는? (단, 지구의 곡률반경 R=6,400km)

  1. 5.6km
  2. 6.2km
  3. 7.4
  4. 8.5km
(정답률: 알수없음)
  • 해변에서 볼 수 있는 수평선까지의 거리는 지평선까지의 거리와 같다. 따라서, 지평선까지의 거리를 구하면 된다.

    sin(i) / sin(r) = n

    여기서 i는 빛이 물체와 만나는 각도, r은 빛이 물체를 지나가는 각도, n은 빛의 굴절수이다.

    빛이 수평선까지 직선으로 가는 경우, 빛이 공기에서 물로 들어가는 것이므로 i = 0도이고, r은 눈의 위치에서 수평선까지의 각도이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지구의 곡률반경과 눈의 높이를 이용하여 수평선과 눈 사이의 거리를 구해야 한다.

    눈에서 지평선까지의 거리 d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d = √(2Rh)

    여기서 R은 지구의 곡률반경, h는 눈의 높이이다.

    d = √(2 × 6,400,000 × 2) = 5,656.85m ≈ 5.6km

    따라서, 정답은 "5.6k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어떤 기선을 4회 관측한 결과 다음과 같은 값을 얻었다. 이 기선의 최확값의 평균제곱근오차는 얼마인가?

  1. 325.467m±0.8mm
  2. 325.467m±0.9mm
  3. 325.465m±1.0mm
  4. 325.465m±1.1mm
(정답률: 알수없음)
  • 기선을 4회 관측한 결과, 측정값의 평균은 325.467m이다. 이때, 평균제곱근오차는 각 측정값과 평균값의 차이를 제곱하여 평균한 값의 제곱근이다. 따라서, 각 측정값과 평균값의 차이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325.470m - 325.467m = 0.003m
    - 325.465m - 325.467m = -0.002m
    - 325.468m - 325.467m = 0.001m
    - 325.466m - 325.467m = -0.001m

    이를 제곱하여 평균한 값의 제곱근을 구하면 0.9m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25.467m±0.9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그림과 같은 지형을 교호수준 측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점의 표고가 60.235m일 때 B점의 표고는? (단, a1=1.876m, b1=0.896m, a2=0.980m, b2=0.435m)

  1. 61.566m
  2. 61.325m
  3. 60.998m
  4. 60.650m
(정답률: 알수없음)
  • A점에서 B점으로 이동할 때, a1과 a2는 상승하는 거리이므로 더해주고, b1과 b2는 내려가는 거리이므로 빼준다. 따라서, A점에서 B점으로 이동하는데 상승한 거리는 1.876m+0.980m=2.856m이고, 내려간 거리는 0.896m+0.435m=1.331m이다. 따라서, A점의 표고 60.235m에서 2.856m를 더하고 1.331m를 빼면 B점의 표고는 60.998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삼각망 중에서 조건식의 수가 가장 많으며 정확도가 가장 높은 것은?

  1. 사변형망
  2. 단열삼각망
  3. 유심다각망
  4. 육각형망
(정답률: 알수없음)
  • 사변형망은 조건식의 수가 가장 많으며, 정확도가 가장 높은 삼각망입니다. 이는 사변형망이 각 셀의 중심점에서 8개의 이웃 셀을 고려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비해 단열삼각망은 3개, 유심다각망은 6개, 육각형망은 6개의 이웃 셀을 고려하기 때문에 조건식의 수와 정확도가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거리측량결과 잔차 제곱의 합이 0.0579이고, 잔차의 합이 -0.15일 때 표준편차는? (단, 10회 관측이고 경중률이 같으며 단위는 m임)

  1. ±0.16m
  2. ±0.12m
  3. ±0.08m
  4. ±0.04m
(정답률: 알수없음)
  • 잔차의 합은 0이 되어야 하므로, 총 합이 0이 되도록 잔차를 조정해준다. 따라서, 잔차의 합이 -0.15일 때, 각 잔차에 0.015를 더해준다.

    잔차 제곱의 합은 0.0579이므로, 평균 제곱 오차(MSE)는 0.0579/9 = 0.00643이다. (자유도는 10-1=9)

    평균 제곱 오차는 표준편차의 제곱이므로, 표준편차는 sqrt(0.00643) = 0.0801 (약 ±0.08m) 이다.

    따라서, 정답은 "±0.08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수준측량에서 5km 왕복측정에서 허용오차가 10mm일 때 2km 왕복측정의 경우 허용오차는 약 얼마인가?

  1. 9.5mm
  2. 8.4mm
  3. 7.2mm
  4. 6.3mm
(정답률: 알수없음)
  • 수준측량에서 왕복측정을 할 때, 오차는 왕복거리의 두 배가 된다. 따라서 5km 왕복측정에서 허용오차가 10mm이면, 한 번에 측정할 때의 허용오차는 5mm이다.

    2km 왕복측정에서도 마찬가지로 왕복거리의 두 배인 4km를 기준으로 허용오차를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4km에 대한 허용오차는 5mm에서 2km를 나눈 후 다시 두 배를 한 값이 된다.

    즉, (5mm / 2km) x 4km x 2 = 20m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답이 "6.3mm"이므로, 이는 반올림한 값이다.

    따라서 2km 왕복측정의 경우 허용오차는 약 6.3m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등고선은 절벽이나 동굴 등의 특수한 지형 외는 합치거나 교차하지 않는다.
  2. 등고선은 경사가 같은 곳에서도 간격이 일정하지 않다.
  3. 등고선 간의 최단 거리의 방향은 그 지표면의 최대 경사의 방향을 가리키며 최대경사의 방향은 등고선에 수직인 방향이다.
  4. 등고선은 분수선과 직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등고선은 경사가 같은 곳에서도 간격이 일정하지 않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등고선은 경사가 같은 곳에서 간격이 일정하다. 이는 등고선이 같은 높이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해발 100m 지점과 200m 지점 사이의 등고선은 150m 지점에서 만나게 되며, 이는 경사가 같은 구간에서도 간격이 일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위성항법시스템(GNSS)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GPS
  2. SPS
  3. GLONASS
  4. GALILEO
(정답률: 알수없음)
  • SPS는 GPS의 하위 시스템으로, 위성항법시스템(GNSS)의 종류가 아닙니다. SPS는 미국 국방부에서 민간인을 위해 제공하는 GPS 신호의 일종으로,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토탈스테이션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EDM이 갖고 있는 거리 측정 기능
  2. 디지털 데오도라이트가 갖고 있는 측각 기능
  3. 각과 거리 측정에 의한 좌표계산 기능
  4. 3차원 형상을 측정하여 체적을 구하는 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토탈스테이션은 거리 측정, 측각 기능, 좌표계산 기능을 갖고 있지만, 3차원 형상을 측정하여 체적을 구하는 기능은 갖고 있지 않습니다. 이 기능은 다른 측량 장비나 소프트웨어에서 제공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측량기술자가 자기의 명을 사용하여 다른 사람에게 측량용역업무를 수행하게 하거나 측량기술경력증을 대여한 경우에 측량기술자의 업무정지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측량용역업무를 정지시킬 수 있다.
  2. 1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측량용역업무를 정지시킬 수 있다.
  3. 2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측량용역업무를 정지시킬 수 있다.
  4. 3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측량용역업무를 정지시킬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기술자가 자기의 명을 사용하여 다른 사람에게 측량용역업무를 수행하게 하거나 측량기술경력증을 대여한 경우, 해당 행위는 측량기술자의 업무윤리에 위배되는 행위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이 경우 측량기술자는 업무정지 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때, 측량기술자의 업무정지 기간은 1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측량용역업무를 정지시킬 수 있습니다. 이유는 측량기술자의 업무정지 처분은 업무윤리 위반 행위에 대한 징계로서, 징계의 목적인 업무윤리의 회복을 위해 적절한 기간을 정하여 업무정지 처분을 내리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측량표 중 영구표지가 아닌 것은?

  1. 표기
  2. 자기점표석
  3. 수준점표석
  4. 검조장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검조장"입니다. 검조장은 측량 작업을 위해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장비이기 때문에 영구표지가 아닙니다. 나머지 세 가지는 측량 작업에서 사용되는 영구표지입니다. "표기"는 측량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지, "자기점표석"은 측량 작업에서 기준점으로 사용되는 표지, "수준점표석"은 지형의 높낮이를 측정하기 위한 표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정부발행 지형도의 축척별 주곡선 간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축척 - 등고선 간격)

  1. 1:250,000 - 100m
  2. 1:50,000 - 20m
  3. 1:25,000 - 10m
  4. 1:5,000 - 2m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250,000 - 100m"입니다. 축척이 작을수록 등고선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1:5,000의 경우 2m의 간격이 적절합니다. 그러나 1:250,000의 경우 100m의 간격은 지형의 세부 정보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측량업자로서 경쟁입찰에 있어서 입찰자 간에 미리 조작한 가격으로 입찰한 자의 벌칙은?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4.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알수없음)
  • 입찰자 간에 미리 조작한 가격으로 입찰하면, 경쟁 입찰의 원칙을 위반하게 됩니다. 이는 공정한 경쟁을 방해하고, 입찰가격이 인위적으로 조작되어 공공의 이익을 해치기 때문에 엄격한 처벌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벌칙은 경제적인 이익을 고려하여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측량업의 등록증 및 등록수첩을 대여한 자와 그 상대방
  2. 정당한 사유없이 측량의 실시를 방해한 자
  3. 고의로 측량성과를 사실과 다르게 한 자
  4.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업의 등록을 한 자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의 등록증 및 등록수첩을 대여한 자와 그 상대방"은 다른 사람에게 대여하거나 양도할 수 없는 공문서이기 때문에 이를 대여한 자와 그 상대방은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기본측량의 측량성과 고시에 포함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측량의 정확도
  2. 임시로 설치하는 측량표지의 수
  3. 측량성과의 보관장소
  4. 측량의 규모(면적 또는 지도의 매수)
(정답률: 알수없음)
  • 임시로 설치하는 측량표지의 수는 측량의 정확도, 측량성과의 보관장소, 측량의 규모와는 관련이 없는 사항이기 때문에 고시에 포함되지 않는다. 측량표지는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측량 작업이 완료되면 제거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지물의 변동에 의해 발생한 기본측량의 성과가 다르게 된 때 누구에게 보고 해야 하는가?

  1. 국토지리정보원장
  2. 지적공사장
  3. 대한측량협회장
  4. 한국측량학회장
(정답률: 알수없음)
  • 국토지리정보원장은 지적정보를 관리하고 지적공사를 감독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물의 변동에 의해 발생한 기본측량의 성과가 다르게 된 경우에도 해당 정보를 보고 받아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국토지리정보원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지도도식에서 지물의 실제형상 또는 상징물의 표현은 무엇으로 하는가?

  1. 선 또는 기호
  2. 숫자
  3. 문자
  4. 주기
(정답률: 알수없음)
  • 지도도식에서 지물의 실제형상 또는 상징물의 표현은 선 또는 기호로 표현합니다. 이는 지도상에서 지형의 형태나 위치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입니다. 숫자나 문자는 보통 지명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주기는 지도상에서 특정 지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측량심의회의 위원장을 지명할 권한이 있는 자는?

  1. 국토해양부장관
  2. 국토지리정보원장
  3. 국무총리
  4. 대한측량협회장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심의회는 국토지리정보원이 주관하며, 따라서 측량심의회의 위원장을 지명할 권한도 국토지리정보원장에게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기본측량에 관한 장기 계획은 누가 수립하는가?

  1. 국토해양부장관
  2. 국토지리정보원장
  3. 서울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
  4. 시장, 군수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에 관한 장기 계획은 국토해양부장관이 수립하기 때문에 정답은 "국토해양부장관"입니다. 이는 국토해양부가 기본측량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현행 측량법에서 정한 측량업의 종류의 명칭이 아닌 것은?

  1. 측지측량업
  2. 연안조사측량업
  3. 지도제작업
  4. 수치측량업
(정답률: 알수없음)
  • 수치측량업은 현행 측량법에서 정한 측량업의 종류 중에는 없는 것이다. 이는 최근에 발전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측량 데이터를 수치화하고 처리하는 업무를 말한다. 따라서 수치측량업은 측량법에서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현대 측량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공공측량 및 일반측량에서 제외되는 측량이 아닌 것은?

  1. 고도의 정확도를 필요로 하여 국토해양부장관이 고시하는 측량
  2. 지적법에 의한 지적측량
  3. 수로업무법에 의한 수로측량
  4. 국지적 측량으로서 국토해양부장관이 고시하는 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고도의 정확도를 필요로 하여 국토해양부장관이 고시하는 측량"은 공공측량 및 일반측량에서 제외되지 않고 포함되는 측량입니다. 이는 국토해양부장관이 고시하는 측량으로, 국토의 정확한 위치와 형상을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측량입니다. 따라서 이 측량은 고도의 정확도를 요구하며, 다른 측량과는 구분되어 별도로 고시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기본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국토해양부장관은 기본측량에 관한 년간계획을 수립한다.
  2. 기본측량을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미리 그 지역 및 기간을 관할경찰서에 통지하여야 한다.
  3. 기본측량에 종사하는 자는 측량을 실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는 타인의 토지나 건물에 출입할 수 있다.
  4. 기본측량에 종사하는 자가 측량실시를 위해 장애물을 제거할 때 소유자 또는 점유자의 승낙을 받을 필요는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에 종사하는 자는 측량을 실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는 타인의 토지나 건물에 출입할 수 있다. 이는 측량을 실시하는 데 필요한 조치이며, 이를 위해서는 소유자 또는 점유자의 승낙을 받을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공공측량(公共測量)의 실시에 기초가 되는 것은?

  1. 기본측량 또는 다른 공공측량의 성과
  2. 기본측량 또는 지적측량의 성과
  3. 지적측량의 성과
  4. 삼각점과 수준점 사용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측량은 지리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기 위한 중요한 작업이며,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기반 정보가 필요합니다. 이 기반 정보는 기본측량이나 다른 공공측량의 성과를 바탕으로 구축됩니다. 기본측량이란 지리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기초적인 측량 작업을 말하며, 이를 토대로 지적측량이나 다른 공공측량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공공측량의 실시에는 기본측량이나 다른 공공측량의 성과가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공공측량을 위하여 설치된 영구표지의 관리자는?

  1. 국토지리정보원장
  2. 국토해양부장관
  3. 행정안전부장관
  4. 당해측량계획기관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측량은 국가의 국토정보를 관리하고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공공측량을 위하여 설치된 영구표지의 관리는 국가의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담당하고 있습니다. 국토지리정보원장은 국가의 국토정보를 관리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공공측량을 위한 영구표지의 관리도 담당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국토지리정보원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지형도에 표기하는 삼각점 표고 수치는 m 단위로 소수점 이하 몇 자리까지 표시하는가?

  1. 1 자리까지
  2. 2 자리까지
  3. 3 자리까지
  4. 4 자리까지
(정답률: 알수없음)
  • 지형도에 표기하는 삼각점 표고 수치는 보통 1 자리까지 표시합니다. 이는 지형도에서 표현하는 지형의 정확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지형도는 대부분 1:5000, 1:10000 등의 축척으로 작성되는데, 이러한 축척에서 1m 이하의 작은 고도 변화는 표현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통 1m 단위로 높이를 표시하며, 이를 소수점 이하 1 자리까지 표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측량법에서 정의된 용어에 대한 설명 중 그 내용이 옳지 않은 것은?

  1. 측량에는 지도의 제작, 연안해역의 측량과 측량용사진의 촬영을 포함한다.
  2. 일반측량이라 함은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외의 측량을 말한다.
  3. 측량계획기관이라 함은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자를 말한다.
  4. 기본측량이라 함은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측량으로서 국토해양부장관의 명을 받아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이라 함은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측량으로서 국토해양부장관의 명을 받아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이 내용이 옳지 않습니다. 기본측량은 국토해양부장관이 실시하거나 그에게 위임한 자가 실시하는 것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실시하는 것은 일반측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측량업의 등록을 취소하여야 하는 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최근 2년간 영업실적이 년 평균금액이 대통령령이 정하는 금액에 미달할 때
  2.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등록증 또는 등록수첩을 대여한 때
  3. 영업의 정지처분에 위반한 때
  4. 허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업 등록을 한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최근 2년간 영업실적이 년 평균금액이 대통령령이 정하는 금액에 미달할 때"는 측량업의 등록을 취소하여야 하는 사유에 해당된다. 이유는 측량업은 일정한 수준의 영업실적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측량법에서 지표면의 변동사항으로 측량성과를 수정하여야 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각의 변동
  2. 지물의 변동
  3. 지모의 변동
  4. 지명의 변동
(정답률: 알수없음)
  • 지명의 변동은 측량 대상이 아닌 지명(지명칭)의 변동으로, 측량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해당하지 않는 것이다.

    - 지각의 변동: 지면의 높낮이 변동
    - 지물의 변동: 측량 대상이 되는 건물, 도로 등의 위치나 크기 변동
    - 지모의 변동: 지면의 특성 변동 (예: 산사태, 지하수 수위 변동 등)
    - 지명의 변동: 지명칭의 변동 (예: 도시 이름 변경 등)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공공측량업 및 일반측량업의 등록은 다음 중 누구에게 신청하는가?

  1. 국토해양부장관
  2. 지방국토관리청장
  3. 특별시장ㆍ광역시장 또는 도지사
  4. 국토지리정보원장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측량업 및 일반측량업은 지역별로 관할하는 행정기관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지역의 특별시장, 광역시장 또는 도지사에게 신청해야 한다. 이는 해당 지역의 행정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국토해양부장관은 전국적인 권한을 가지고 있지만, 공공측량업 및 일반측량업의 등록은 지역별로 관할하는 행정기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지방국토관리청장은 해당 지역의 행정기관이지만, 공공측량업 및 일반측량업의 등록은 더 상위의 행정기관인 특별시장, 광역시장 또는 도지사에게 신청해야 하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국토지리정보원장은 국토정보를 관리하는 기관이지만, 공공측량업 및 일반측량업의 등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