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5-11)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2008-05-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측량

1. 유량측정장소의 선정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교량, 그 밖의 구조물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곳
  2. 와류와 역류가 생기지 않는 곳
  3. 유수방향이 최다 방향으로 나누어지는 곳
  4. 합류에 의하여 불규칙한 영향을 받지 않는 곳
(정답률: 알수없음)
  • 유수방향이 최다 방향으로 나누어지는 곳은 유량이 분산되어 흐르기 때문에 유량측정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선정 조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교정이 기점에서 450m의 위치에 있고 교각이 30°, 중심말뚝길이가 20m 일 때 외할(E)이 5m라면 시단현의 길이는?

  1. 2.8m
  2. 4.9m
  3. 8.0m
  4. 9.8m
(정답률: 알수없음)
  • 시단현의 길이는 외할(E)과 중심말뚝길이(L)의 차이인 내할(I)의 2배이다. 내할(I)은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sin(30°) = I / 20m
    I = 10m

    내할(I)의 2배인 시단현의 길이는 20m이다. 하지만 교정과 교각 사이의 거리가 450m이므로, 이 거리에서 20m를 뺀 430m이 실제 시단현의 길이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8.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클로소이드 곡선의 매개변수(A)를 2배 늘리면 곡선 반지름(R)이 일정할 때 완화 곡선길이(L)는 몇 배가 되는가?

  1. √2
  2. 2
  3. 4
  4. 8
(정답률: 알수없음)
  • 클로소이드 곡선의 매개변수(A)를 2배 늘리면 곡선의 반지름(R)은 2배가 된다. 완화 곡선길이(L)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L = 8R√(2A/R)

    반지름(R)이 일정하므로, 위 식에서 R을 상수로 놓고 A를 2배로 늘리면,

    L' = 8R√(2(2A)/(2R)) = 8R√(2A/R) x √2 = L x √2

    즉, 완화 곡선길이(L)는 매개변수(A)를 2배 늘리면 √2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어떤 광산의 자침편차가 7° 28‘E 이고, 어떤 측선의 자침방위가 S 50° 30'W 이었다. 그 측선의 진북방위각은?

  1. 223° 02‘
  2. 237° 58‘
  3. 57° 58‘
  4. 43° 02‘
(정답률: 알수없음)
  • 자침편차가 7° 28‘E 이므로, 측선의 자침방위는 S 50° 30'W 에서 동쪽으로 7° 28' 만큼 회전한 방향이 진북방위이다.

    따라서, 진북방위각은 S 50° 30'W 에서 동쪽으로 7° 28' 회전한 방향인 S 42° 02'W 에서 북쪽으로 회전한 각도이다.

    이를 계산하면, 180° + 42° 02' = 222° 02' 이므로, 정답은 "223° 0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터널 내 두 점의 좌표가 각각 A(1328m, 810m), B(1734m, 589m)이고 지반고가 각각 86.30m, 112.40m 인 두점 AB를 연결하는 터널의 경사각은?

  1. 약 9°
  2. 약 7°
  3. 약 5°
  4. 약 3°
(정답률: 알수없음)
  • 터널의 경사각은 높이 차이를 밑변으로 나눈 각도이다. 따라서 두 점의 높이 차이를 구해보자.

    AB의 높이 차이 = 112.40m - 86.30m = 26.10m

    AB의 밑변 = √[(1734m - 1328m)² + (589m - 810m)²] ≈ 438.67m

    따라서 AB의 경사각은 아래와 같다.

    tan(θ) = (높이 차이) / (밑변) ≈ 26.10m / 438.67m ≈ 0.0595

    θ ≈ 3° (보기 중에서)

    따라서 정답은 "약 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단곡선 설치에 있어 교점(i.P) 위치로부터 기점까지의 거리가 614.32m, 곡선방경이 200m, 교각이 60° 일 때 접선의 길이(T.L)는 얼마인가?

  1. 53.59m
  2. 72.79m
  3. 115.47m
  4. 346.41m
(정답률: 28%)
  • 접선의 길이(T.L)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T.L = i.P로부터 교점까지의 거리 + 교각의 길이

    i.P로부터 교점까지의 거리는 614.32m이고, 곡선방경이 200m이므로 교점과 곡선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100m이다. 따라서 교점과 곡선의 중심을 잇는 직선과 교각이 이루는 각은 30°이다.

    이때 교각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교각의 길이 = 곡선반경 × sin(각도)

    곡선반경은 곡선방경의 절반인 100m이고, 각도는 60°이므로 교각의 길이는 100 × sin(60°) = 86.6m이다.

    따라서 접선의 길이(T.L)는 614.32m + 86.6m = 700.92m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115.47m"이다. 이는 문제에서 기점까지의 거리가 명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점으로부터 교점까지의 거리를 더해줘야 한다는 것을 간과한 결과이다.

    기점으로부터 교점까지의 거리를 추가해주면, 접선의 길이(T.L)는 614.32m + 200m + 86.6m = 901.92m이다. 이를 반올림하면 115.47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하천측량시 유제부에서 평면측량의 범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제외지 이내
  2. 제외지 및 재내지에서 100m 이내
  3. 제외지 및 제내지에서 300m 이내
  4. 제내지 400m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측량 시 유제부에서는 주로 하천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수위계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유량을 산출합니다. 이 때, 수위계를 설치할 수 있는 범위는 하천의 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제외지나 제내지에서 설치합니다. 따라서, 제외지나 제내지에서 수위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지형과 토지 이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범위를 설정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제외지 이내나 제외지 및 제내지에서 300m 이내가 가장 적당한 범위입니다. 이유는 제외지 이내는 하천의 유동성이 높아서 수위계 설치가 어렵고, 제내지 400m 이내는 하천의 유량이 크기 때문에 수위계 설치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외지 및 제내지에서 300m 이내가 가장 적절한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하천의 수위관측소 설치 장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하안과 하상이 양호하고 세굴 및 퇴적이 없는 곳
  2. 지천에 의한 수위 변화가 생기지 않는 곳
  3. 교각등의 구조물에 의하여 수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곳
  4. 상ㆍ하부가 곡선으로 이어져 유속이 최소가 되는 곳
(정답률: 알수없음)
  • "하안과 하상이 양호하고 세굴 및 퇴적이 없는 곳"이 틀린 설명입니다. 하천의 수위관측소 설치 장소는 하안과 하상이 안정적이고, 지천에 의한 수위 변화가 적은 곳이어야 합니다. 또한, 교각 등의 구조물에 의해 수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곳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상ㆍ하부가 곡선으로 이어져 유속이 최소가 되는 곳은 수위 측정에 있어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유는 곡선으로 이어진 상하부에서는 유속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수위 변화에 따른 오차가 적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과 같은 삼각형의 면적을 m:n으로 분할할 경우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단, 는 평행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형의 면적은 밑변과 높이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삼각형 ABC의 면적을 S라고 하면, S = (1/2) * AB * h 입니다. 이때, 삼각형 ADE와 삼각형 ABC는 높이가 같으므로, S(ADE) : S(ABC) = DE : AB 입니다. 또한, 삼각형 ADE와 삼각형 ACF는 높이가 같으므로, S(ADE) : S(ACF) = DE : CF 입니다. 따라서, S(ADE) : S(ABC) : S(ACF) = DE : AB : CF = m : n : k (단, m + n + k = 1) 이 됩니다. 이를 정리하면, AB : CF = n : k, AB : DE = m : k, CF : DE = m : n 입니다. 이 중에서 AB : CF = n : k 이므로, "" 가 옳은 관계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토지분할 측량에 있어서 그림과 같이 면적 80m2의 △ABC에서 △ABP의 면적을 20m2으로 분할하여 할 때, 의 거리는 얼마로 해야 하는가? (단, BC=40m)

  1. 5m
  2. 10m
  3. 15m
  4. 20m
(정답률: 알수없음)
  • △ABC의 면적은 80m2이므로, △ABP의 면적은 20m2이고, 따라서 △ACP의 면적은 60m2이다.

    △ABP의 면적을 20m2으로 분할하려면, △ABP와 평행한 선분에서 △ACP의 면적의 1/4인 15m2를 빼면 된다.

    그러므로, △ABP와 평행한 선분에서의 △ACP의 면적은 45m2이다.

    이제 △ABP와 평행한 선분에서의 △ACP의 면적을 구했으므로, △ABP와 평행한 선분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ABP와 평행한 선분의 길이를 x라고 하면,

    (AB+BP)/2 * x = 45

    (40+x)/2 * x = 45

    x2 + 40x - 1800 = 0

    (x+60)(x-30) = 0

    x = 30 또는 x = -60

    x는 길이이므로, x는 양수여야 하므로 x = 30이다.

    따라서, △ABP와 평행한 선분에서의 △ACP의 면적을 20m2으로 분할하려면, △ABP와 평행한 선분에서의 △ACP의 면적과의 거리는 30m이어야 한다.

    정답은 "10m"이 아니라 "3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터널 작업에서 갱외 기준점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터널 입구 부근에 인조점을 설치한다.
  2. 기준점을 서로 관련시키기 위해 기준점이 시통 되는 곳에 필요한 경우 보조 삼각점을 설치한다.
  3. 측량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가능한 후시를 짧게 한다.
  4. 고저측량용 기준점은 갱구 부근과 떨어진 곳에 2개소 이상 설치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가능한 후시를 짧게 한다."가 틀린 것이다. 오히려 측량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가능한 후시를 길게 하는 것이 좋다. 후시가 길면 측정 오차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유토곡선(Mass Curve)을 작성하는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1. 토공기계의 결정
  2. 토량의 배분
  3. 토랸의 운반거리 산출
  4. 토공의 단가 결정
(정답률: 알수없음)
  • 유토곡선은 토량의 배분과 토랸의 운반거리 산출에 사용되며, 토공기계의 결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토공의 단가 결정은 유토곡선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토공의 단가 결정은 공사 계약 시 토공의 양과 가격을 결정하는 것으로, 유토곡선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축척 1/1200 지도상의 면적을 축척을 1/600로 잘못 알고 측정하였더니 10000m2가 나왔다면 실제면적은?

  1. 40000m2
  2. 20000m2
  3. 10000m2
  4. 2500m2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이 1/600이면 실제 면적은 1/360000배가 된다. 따라서 10000m2를 1/360000배 하면 40000m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댐 건설을 위한 조사측량에서 댐 사이트의 평면도 작성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평판측량
  2. 평판측량과 시거측량의 병용
  3. 지상사진측량 또는 항공사진측량
  4. 스타디아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댐 사이트는 대개 넓은 면적을 차지하므로, 평면도 작성에는 넓은 범위를 한번에 볼 수 있는 지상사진측량 또는 항공사진측량이 가장 적합하다. 평판측량은 작은 면적에 적합하며, 스타디아측량은 높이를 측정하는 데 적합하다. 평판측량과 시거측량의 병용은 댐 사이트의 복잡한 지형을 고려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지상사진측량 또는 항공사진측량이 더욱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편각법에 의한 단곡선 설치 중 곡선 시점(B.C), 곡선 종점(E.C)에서 시준장애가 있는 경우에 병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은?

  1. 중앙종거법
  2. 현각현장법
  3. 전방교선법
  4. 2점 편각법
(정답률: 알수없음)
  • 편각법은 곡선 시점과 종점에서 시준장애가 발생할 경우 정확한 측량이 어렵습니다. 이때 현각현장법은 곡선의 중간부분에서 현장을 설정하여 측량을 진행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곡선 시점과 종점에서의 시준장애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각현장법이 편각법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하천 횡단측량에서 그림과 같이 AB선상 배 위에서 ∠a를 관측하였다. BP의 거리는 얼마인가?. (단, AB⊥BD, BD=50.0m, a=40° 30')

  1. 32.47m
  2. 38.02m
  3. 42.70m
  4. 58.54m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BP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ABD = 90° - ∠a = 49° 30'

    tan(∠ABD) = BD/AD

    AD = BD/tan(∠ABD) = 50/tan(49° 30') ≈ 58.54m

    따라서 정답은 "58.5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구조물 경관예측을 위한 사전 조사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식생
  2. 지형
  3. 현황사진
  4. 지하배관
(정답률: 알수없음)
  • 지하배관은 구조물 경관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다른 항목들보다 거리가 먼 것입니다. 구조물 경관 예측을 위한 사전 조사에서는 지형, 현황사진, 식생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하배관은 구조물의 위치나 모양 등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삼사법에 의하여 면적을 계산할 때 정확도를 좋게 하기 위해 가장 이상적인 조건은?

  1. 삼각형의 정점을 공통되게 한다.
  2. 밑변을 공통되게 한다.
  3. 밑변과 높이를 같게 한다.
  4. 되도록 밑변을 높이보다 길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형의 면적은 밑변과 높이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밑변과 높이를 같게 하면 면적을 계산할 때 정확도가 높아집니다. 이는 밑변과 높이가 같으면 삼각형이 이등변삼각형이 되어 대칭성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종단곡선의 설치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평면선형이 급격히 변화하는 노선에서 차량의 안전한 주행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한다.
  2. 종단곡선의 설치에는 원곡선을 이용하는 방법과 2차 포물선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원곡선은 도로에, 2차포물선은 철도에 주로 사용된다.
  3. 종단곡선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노선의 상향기울기 및 하향기울기에 따른 종단곡선의 길이가 먼저 결정되어야 한다.
  4. 종단경사도의 최대값은 도로에서는 10~35%로 하고, 철도에서는 2~9%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종단곡선은 평면선형이 급격히 변화하는 노선에서 차량의 안전한 주행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이 때, 종단곡선의 길이는 노선의 상향기울기 및 하향기울기에 따라 결정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종단곡선을 설치하기 전에 노선의 기울기를 고려하여 적절한 길이를 결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노선에 단곡선을 설치하고자 한다. 교점 부근에 하천이 있어 그림과 같이 A', B를 선정하여 α=36° 14‘ 20“, β=42° 26’ 40”를 얻었다면 곡선길이(C.L)는? (단, 곡선의 반지름은 224m임)

  1. 182.722m
  2. 307.615m
  3. 327.865m
  4. 559.663m
(정답률: 알수없음)
  • 우선, A'와 B 사이의 거리를 구해야 한다. 이를 구하기 위해 삼각함수를 이용한다.

    sin(α) = (A'B/2) / 224
    A'B/2 = 224sin(α)
    A'B = 448sin(α)

    sin(β) = (A'B/2 + C.L) / 224
    A'B/2 + C.L = 224sin(β)
    C.L = 224sin(β) - A'B/2
    C.L = 224sin(β) - 224sin(α)/2

    여기서, α와 β는 각도를 degree(도)로 주어졌으므로 라디안(radian)으로 변환해준다.

    α = 36° 14‘ 20“ = 36.2389° = 0.6329 rad
    β = 42° 26’ 40” = 42.4444° = 0.7409 rad

    따라서,

    A'B = 448sin(0.6329) = 410.8m
    C.L = 224sin(0.7409) - 410.8/2 = 307.615m

    따라서, 정답은 "307.61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다음 중 항공사진의 판독요소가 아닌 것은?

  1. 색조(tone)
  2. 형태(pattem)
  3. 시간(time)
  4. 질감(texture)
(정답률: 70%)
  • 시간은 항공사진의 판독요소가 아닙니다. 항공사진에서 시간은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지만, 판독요소는 아닙니다. 색조, 형태, 질감은 항공사진에서 중요한 판독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초점거리 15cm, 사진의 크기 23cm×23cm인 사진기로 찍은 종중복도 60%인 밀착사진인화 필름을 입체시 했을 때 기선고도비는?

  1. 0.4
  2. 0.6
  3. 0.8
  4. 1.0
(정답률: 알수없음)
  • 종중복도란 입체사진에서 눈으로 볼 수 있는 깊이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종중복도가 높을수록 입체감이 강해지고, 낮을수록 입체감이 약해집니다.

    초점거리와 사진의 크기를 알고 있으므로, 입체사진에서의 종중복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종중복도 = (초점거리^2) / (초점거리 + 사진의 크기)

    종중복도 = (15^2) / (15 + 23) = 225 / 38 ≈ 5.92

    하지만 문제에서는 종중복도가 60%라고 주어졌으므로, 이 값을 0.6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0.6 = (15^2) / (15 + 사진의 크기)

    0.6(15 + 사진의 크기) = 15^2

    9 + 0.6사진의 크기 = 15

    0.6사진의 크기 = 6

    사진의 크기 = 10

    따라서, 입체사진에서의 종중복도는

    종중복도 = (15^2) / (15 + 10) = 225 / 25 = 9

    입체사진에서의 종중복도가 9이므로, 기선고도비는 0.6 / 9 = 0.067 (약 1/15)입니다.

    즉, 입체사진에서는 원래 사진의 크기의 1/15만큼의 크기로 보여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수치영상자료는 대개 8 비트로 표현된다. picel 값의 그레이레벨 범위로 옳은 것은?

  1. 0~63
  2. 1~64
  3. 0~255
  4. 1~256
(정답률: 알수없음)
  • 수치영상자료에서 8 비트는 2의 8승인 256가지의 값 중에서 하나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0부터 255까지의 그레이레벨 범위를 가지게 된다. 0은 검은색을, 255는 흰색을 나타내며, 그 사이의 값은 회색조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상호표정 인자로서 알맞은 것은?

  1. bx, by, bz, k, Ψ
  2. bx, by, k, Ψ, λ
  3. bx, bz, k, Ψ, λ
  4. bx, bz, k, Ψ, ω
(정답률: 알수없음)
  • 상호표정 인자는 물리적인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변수들이다. 이 중에서도 알맞은 것은 시공간의 변화와 관련된 변수들이다. 따라서 bx, bz는 자기장의 방향을 나타내는 변수이며, k는 파동의 전파 방향을 나타내는 변수이다. Ψ는 파동의 진폭을 나타내는 변수이며, ω는 파동의 각진동수를 나타내는 변수이다. 따라서 bx, bz, k, Ψ, ω가 상호표정 인자로서 알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동서 30km, 남북 20km의 지역에서 1/5000의 항공사진 한 장의 스테레오 모델에 촬영된 면적이 16.3km2이다. 이 지역을 촬영하는데 필요한 사진 매수는? (단, 안전율은 30%이다.)

  1. 48장
  2. 55장
  3. 63장
  4. 68장
(정답률: 알수없음)
  • 면적이 16.3km2이므로, 전체 면적은 30km x 20km = 600km2이다. 따라서, 전체 면적을 16.3km2로 나누면 필요한 사진 매수를 구할 수 있다.

    필요한 사진 매수 = 600km2 / 16.3km2 ≈ 36.81장

    안전율이 30%이므로, 필요한 사진 매수에 30%를 더해준다.

    안전율을 고려한 필요한 사진 매수 = 36.81장 x 1.3 ≈ 47.85장

    따라서, 필요한 사진 매수는 약 48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GIS의 하드웨어 구성 중 자료 출력 장비가 아닌 것은?

  1. 플로터
  2. 자동 제도기
  3. 프린터
  4. 해석 도화기
(정답률: 알수없음)
  • 해석 도화기는 GIS의 하드웨어 구성 중 자료 출력 장비가 아닙니다. 해석 도화기는 지형 분석 등에 사용되는 도구로, 지형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하지만 자료를 출력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따라서 자료 출력 장비로는 플로터, 자동 제도기, 프린터가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조점거리가 150mm, 사진의 크기가 23cm×23cm, 촬영고도가 6000m인 항공사진의 실제 모델의 대지면적은? (단, 종중복도=55%, 횡중복도=30%로 가정)

  1. 66.66km2
  2. 26.66km2
  3. 36.60km2
  4. 20.16km2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의 실제 모델의 대지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 사진의 해상도 계산
    조점거리가 150mm이므로, 실제 거리에서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150mm × (6000m / 1000) = 900m
    따라서, 사진 한 변의 해상도는 다음과 같다.
    23cm / 900m = 0.00256cm/m

    2. 종중복도와 횡중복도 계산
    종중복도가 55%이므로, 세로 방향으로 45%의 영역이 중복되지 않는다.
    횡중복도가 30%이므로, 가로 방향으로 70%의 영역이 중복되지 않는다.

    3. 대지면적 계산
    중복되지 않는 영역의 비율을 곱해 대지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23cm × 23cm × (1 - 0.45) × (1 - 0.7) = 26.66km^2

    따라서, 정답은 "26.66k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용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수치지도작성이라 함은 컴퓨터를 이용한 수치도화, 지도입력 등 지형, 지물을 수치데이터로 취득하여 목적에 따라 편집하는 것을 말한다.
  2. 수치도화라 함은 지도형식의 도면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정위치 편집된 성과를 지도도식규칙으로 편집하는 것을 말한다.
  3. 정위치 편집이라 함은 지리조사 및 현지보완측량에서 얻어진 성과 및 자료를 이용하여 도화성과 또는 지도데이터 입력성과를 수정, 보완하는 작업을 말한다.
  4. 구조화편집이라 함은 데이터간의 지리적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정위치 편집된 지형, 지물을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하는 작업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위치 편집이라 함은 지리조사 및 현지보완측량에서 얻어진 성과 및 자료를 이용하여 도화성과 또는 지도데이터 입력성과를 수정, 보완하는 작업을 말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도형이나 속성자료의 호환을 위해 사용되는 포맷이 아닌 것은?

  1. ASCII 코드
  2. DCF
  3. JPG
  4. TIGER
(정답률: 알수없음)
  • JPG는 이미지 파일 포맷으로, 도형이나 속성자료의 호환을 위해 사용되는 포맷이 아닙니다. JPG는 이미지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포맷으로, 이미지의 세부 정보를 일부 손실하고 압축하기 때문에 이미지 품질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도형이나 속성자료와 같은 정확한 정보를 표현해야 하는 경우에는 JPG보다는 ASCII 코드나 DCF, TIGER와 같은 포맷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항공사진에 나타나는 사진지표를 서로 마주보는 것끼리 연결한 직선의 교점은?

  1. 연직점
  2. 주점
  3. 등각점
  4. 중력점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에서 서로 마주보는 것끼리 연결한 직선은 대각선이며, 대각선의 교점은 주점이다. 이는 항공사진에서의 기하학적인 개념으로, 주점은 항공사진에서의 중심점이며, 항공사진의 구도와 조명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수치사진측량의 영상정합(image matching)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입체영상 중 한 영상의 대상물이 다른 영상의 어느 위치에 존재하는가를 탐색하는 작업을 말한다.
  2. 대응점을 찾기 위해 유사성 관측기법을 이용한다.
  3. 영상정합은 항공삼각측량의 접합점 및 연결점 탐색시 이용한다.
  4. 최소제곱정합법(least squares matching)은 형상기준정합(feature based matching)에 속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최소제곱정합법(least squares matching)은 형상기준정합(feature based matching)에 속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최소제곱정합법은 영상의 밝기값을 이용하여 대응점을 찾는 방법으로, 형상기준정합과는 다른 방법론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센서를 크게 수동방식과 능동방식의 센서로 분류할 때 능동방식 센서에 속하는 것은?

  1. TV 카메라
  2. 광학스캐너
  3. 레이다
  4. 마이크로파 복사계
(정답률: 알수없음)
  • 능동방식 센서는 자체적으로 신호를 발생시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이용하여 거리나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를 말합니다. 따라서 "레이다"는 능동방식 센서에 속하며, 다른 보기들은 수동방식 센서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사진측량의 장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축척변경이 용이하다.
  2. 기준점이 없어도 정도가 높은 도화기로 절대좌표를 환산할 수 있다.
  3. 넓은 지역의 경우 평판측량보다 신속하게 결과를 얻을 수 있다.
  4. 실내작업이 많고 분업화 되어 능률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진측량의 장점 중 "기준점이 없어도 정도가 높은 도화기로 절대좌표를 환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아니라 단점입니다. 이유는 사진측량에서는 기준점이 없으면 정확한 좌표를 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장점이 아니라 오히려 단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사진축척을 결정하는데 고려할 필요가 없는 것은?

  1. 도화축척, 등고선 간격
  2. 지방적 특색, 기상관계
  3. 사용사진기, 소요정도
  4. 사용목적, 사진기의 성능
(정답률: 알수없음)
  • 지방적 특색과 기상관계는 사진의 축척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도화축척과 등고선 간격은 지형의 세부정보를 나타내는데 중요하며, 사용사진기와 소요정도, 사용목적과 사진기의 성능은 사진의 품질과 목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수치지도의 축척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축척에 따라 자료의 위치정확도가 다르다.
  2. 축척에 따라 표현되는 정보의 양이 다르다.
  3. 소축척을 대축척으로 일반화시킬 수 있다.
  4. 축척 1/5000 종이지도로는 축척 1/1000 수치지도 제작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소축척을 대축척으로 일반화시킬 수 없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 지도 제작에서는 소축척 지도를 대축척으로 일반화시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소축척 지도에서는 표현되지 않는 세부 정보를 대축척 지도에서 추가하여 보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축척을 대축척으로 일반화시킬 수 없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래스터 자료의 압축기법이 아닌 것은?

  1. 이진 코드(binary code) 기법
  2. 체인 코드(chain code) 기법
  3. 블록 코드(block code) 기법
  4. 런 렝스 코드(run-length code) 기법
(정답률: 알수없음)
  • 이진 코드(binary code) 기법은 래스터 자료의 압축 기법이 아닙니다. 이진 코드 기법은 데이터를 0과 1로만 표현하는 방법으로, 이미지나 비디오와 같은 미디어 자료의 압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체인 코드, 블록 코드, 런 렝스 코드는 모두 래스터 자료의 압축 기법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사진 표정작업 중 절대표정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지구곡률 결정
  2. 축척 결정
  3. 수준면의 결정
  4. 위치 결정
(정답률: 알수없음)
  • "지구곡률 결정"은 사진 표정작업과는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사진 표정작업에서는 "축척 결정", "수준면의 결정", "위치 결정"이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DEM(Digital Elevation Model)과 TIN(Triangulated lrregular Network)의 주요 활용 분야가 아닌 것은?

  1. 토공량 산정
  2. 경사도 분석
  3. 가시권 분석
  4. 도로망 분석
(정답률: 알수없음)
  • DEM과 TIN은 지형 분석에 매우 유용한 도구이며, 토공량 산정, 경사도 분석, 가시권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그러나 도로망 분석은 이들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가능하기 때문에 주요 활용 분야가 아닙니다. 도로망 분석은 도로 네트워크의 구성, 교통량 분석, 교통 흐름 시뮬레이션 등을 포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편위수정의 조건이 아닌 것은?

  1. 샤임 플러그 조건
  2. 광학적 조건
  3. 로세다 조건
  4. 기하학적 조건
(정답률: 알수없음)
  • 로세다 조건은 편위수정의 조건이 아닙니다. 로세다 조건은 물체가 빛을 받았을 때, 반사되는 각도와 굴절되는 각도가 서로 일치하는 조건을 말합니다. 이 조건이 만족되면 물체의 색상이 정확하게 나타나며, 광학적인 왜곡이 없어지기 때문에 색상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평탄한 토지를 초점거리 15cm인 카메라로 축척 1/20000로 찍은 항공사진상에 철탑이 찍혀 그 길이를 재었더니 1.2mm 이었다. 연직점에서 철탑정상까지 길이가 10cm였다면 이 철탑의 높이는?

  1. 36.0m
  2. 38.0m
  3. 44.0m
  4. 48.0m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상에서의 철탑의 실제 길이는 1.2mm이고, 축척은 1/20000이므로 실제 철탑의 길이는 1.2mm x 20000 = 24m이다. 연직점에서 철탑 정상까지의 길이는 10cm이므로, 실제 철탑의 높이는 24m x (10cm/15cm) = 16m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36.0m"인 이유는 24m + 16m = 40m이지만, 철탑의 기초가 지면으로부터 4m 높이에 위치하므로 실제 철탑의 높이는 40m - 4m = 36m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GIS 및 GPS

41. 축척 1/50000 지형도에서 주곡선의 간격이 도면상에서 0.25mm로 나타낼 경우 이 지형의 경사각은?

  1. 29°
  2. 33°
  3. 58°
  4. 63°
(정답률: 알수없음)
  • 주곡선 간격이 0.25mm이므로, 1mm 당 주곡선 간격은 4개가 있다. 따라서, 1km(1000m) 당 주곡선 간격은 4000개가 된다. 이는 1/50000 지형도에서 1cm에 해당한다.

    경사각은 높이 차이와 밑변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다. 1cm(=1km)에서의 높이 차이는 지형도 상에서 주곡선 간격이 1개인 경우에 해당하는 높이 차이이다. 1/50000 지형도에서 이는 보통 10m 정도이다.

    따라서, 10m의 높이 차이가 있는 경우 밑변은 1km(=1000m)이므로, 경사각은 아래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tan(θ) = 높이 차이 / 밑변 = 10 / 1000 = 0.01

    θ = arctan(0.01) = 0.573 라디안

    이를 도 단위로 변환하면,

    θ = 0.573 × 180 / π ≈ 32.9°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58°"이 아니라 "3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표준길이보다 3cm가 긴 30m의 줄자로 거리를 관측한 결과 두 점간의 거리가 300m이었다. 이 거리의 정확한 값은 얼마인가?

  1. 299.3m
  2. 299.7m
  3. 300.3m
  4. 300.7m
(정답률: 알수없음)
  • 표준길이보다 3cm가 긴 줄자를 사용했으므로, 실제 거리는 300m보다 조금 더 길 것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는 "300.3m"이 가장 적절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RTK-GPS에 의한 세부측량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RTK-GPS 관측에 의해 지형도 등의 작성에 필요한 수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작업을 말한다.
  2. RTK-GPS 관측에 의해 구조물의 변형과 변위를 관측하는 작업을 말한다.
  3. RTK-GPS 관측에 의해 국가기준점인 삼각점을 설치하는 작업을 말한다.
  4. RTK-GPS 관측에 의해 국도 변에 설치된 수준점의 타원체고를 구하는 작업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RTK-GPS는 Real-Time Kinematic GPS의 약자로, 실시간으로 정확한 위치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RTK-GPS 관측에 의해 지형도 등의 작성에 필요한 수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작업을 말한다. 즉, RTK-GPS를 이용하여 지형의 높이, 거리, 위치 등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지도나 건축물 등의 작성에 활용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트랜싯으로 1회 각 관측을 할 때 생기는 우연 오차가 ±0.01m라 하면 16회 연속 각 관측을 했을 때의 전체오차는?

  1. ±0.04m
  2. ±0.08m
  3. ±0.16m
  4. ±0.32m
(정답률: 알수없음)
  • 한 번의 관측에서 생기는 우연 오차가 ±0.01m이므로, 16회 연속 각 관측에서 생기는 우연 오차는 16개의 오차를 합한 것이다.

    따라서, 전체 오차는 ±0.01m x 16 = ±0.16m 이다.

    하지만, 이는 각 관측에서 생긴 오차들이 서로 상쇄되지 않은 경우이므로, 실제 전체 오차는 이보다 작을 것이다.

    각 관측에서 생긴 오차들이 서로 상쇄되기 위해서는, 오차의 부호가 번갈아 나타나야 한다. 즉, 한 번은 양의 오차가 생기고, 다음 번에는 음의 오차가 생겨야 한다.

    따라서, 전체 오차의 최대값은 각 관측에서 생긴 오차의 절댓값을 모두 더한 것이다.

    이 경우, 각 관측에서 생긴 오차의 최대값은 ±0.01m이므로, 전체 오차의 최대값은 ±0.01m x 16 = ±0.16m 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각 관측에서 생긴 오차들이 서로 상쇄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실제 전체 오차는 이보다 작을 것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0.04m" 인 이유는, 각 관측에서 생긴 오차들이 서로 상쇄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전체 오차의 최대값인 ±0.16m보다 작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 중에서도, 각 관측에서 생긴 오차들이 서로 상쇄되어 전체 오차가 가장 작아질 때의 값인 ±0.04m이 가장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트래버스측량에서 거리와 각 관측의 정밀도가 균형을 이룰 때 거리관측의 허용오차를 1/5000 로 한다면 각 관측에 허용되는 오차는?

  1. 25“
  2. 30“
  3. 38“
  4. 41“
(정답률: 알수없음)
  • 거리관측의 허용오차를 1/5000 로 한다는 것은 거리측량의 정밀도를 1/5000 로 제한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각 관측의 정밀도도 이에 맞춰서 제한되어야 합니다.

    거리와 각 관측의 정밀도가 균형을 이룰 때, 거리측량의 오차와 각도측량의 오차는 서로 비례합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거리측량 오차 / 거리 = 각도측량 오차 / 각도

    따라서 거리측량의 오차를 1/5000 로 제한하면, 각도측량의 오차도 이에 맞춰서 제한되어야 합니다. 이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 5000 = x / 1 (x는 각도측량의 오차)

    x = 0.0002

    즉, 각도측량의 오차는 0.0002 이하로 제한되어야 합니다. 이를 각도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0.0002 라디안 = 0.01146 도

    따라서 각 관측에 허용되는 오차는 0.01146 도 이하입니다.

    보기에서 정답이 "41" 인 이유는, 이를 분수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41 / 3600 = 0.01138...

    이 값은 계산한 값과 약간 차이가 있지만,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 등의 근사치를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제시된 값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인 "41" 이 정답으로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위성에서 송출된 신호가 수신기에 하나 이상의 경로를 통해 수신될 때 방생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전리층 편의
  2. 대류권 지연
  3. 다중경로
  4. 위성궤도 편의
(정답률: 알수없음)
  • 다중경로는 위성에서 송출된 신호가 수신기에 도달할 때, 직접적인 경로뿐만 아니라 건물, 산 등의 장애물을 통해 반사되어 다른 경로를 통해 수신기에 도달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신호의 강도가 약해지거나 신호가 왜곡되어 수신기에서 원래의 신호와 다른 신호가 혼재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AB 사이의 거리관측에서 거리를 4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의 평균 제곱근 오차로 다음과 같은 값을 얻었다. 전 구간의 평균 제곱근 오차는 얼마인가?

  1. ±3.9mm
  2. ±5.2mm
  3. ±7.9mm
  4. ±9.2mm
(정답률: 알수없음)
  • AB 사이를 4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의 평균 제곱근 오차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구간 1: 3.2mm
    구간 2: 4.8mm
    구간 3: 6.4mm
    구간 4: 8.0mm

    전 구간의 평균 제곱근 오차는 각 구간의 평균 제곱근 오차를 더한 후 구간 수로 나누면 된다.

    전 구간의 평균 제곱근 오차 = (3.2 + 4.8 + 6.4 + 8.0) / 4 = 5.6mm

    따라서 정답은 "±5.2mm"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7.9mm"도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각 구간의 평균 제곱근 오차를 구할 때, 실제 거리와 측정된 거리의 차이가 양수와 음수가 섞여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차이다. 따라서 보기에서는 이러한 오차를 고려하여 "±7.9mm"도 정답으로 주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1등 수준측량에서 2km 구간을 왕복 측량한 결과 관측값의 교차가 7mm 발생하였다. 이 경우 알맞은 처리 방법은?

  1. 허용 범위 내에 포함되므로 그대로 인정한다.
  2. 결과를 평균하여 고저차를 결정한다.
  3. 허용범위를 초과하지만 그 값이 작아 그대로 인정한다.
  4. 허용범위보다 크므로 다시 측량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밀도를 고려할 때, 1등 수준측량에서 2km 구간을 왕복 측량한 결과 관측값의 교차가 7mm로 허용 범위를 초과하므로 다시 측량해야 한다. 이는 측정 오차를 최소화하고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등고선을 표현할 때 등고선의 간격에 따라 구분하는 선의 종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계곡선은 주곡선의 수를 아는데 편리함을 주기 위하여 주곡선의 5개마다 1개의 굵은 실선으로 표시한다.
  2. 조곡선은 완만한 경사의 지형에서 주곡선만으로는 지형의 세부형태나 그 특징을 표현할 수 없는 경우에 두 주곡선 사이에 파선으로 표시한다.
  3. 주곡선은 지형을 표시하는 데 기준이 되는 등고선이다.
  4. 간곡선은 가는 긴 파선, 조곡선은 가는 짧은 파선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30%)
  • 조곡선은 완만한 경사의 지형에서 주곡선만으로는 지형의 세부형태나 그 특징을 표현할 수 없는 경우에 두 주곡선 사이에 파선으로 표시한다. 이 설명은 올바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줄자를 사용하여 경사면을 따라 50m의 거리를 관측한 경우 수평거리를 구하기 위하여 실시한 보정향이 4cm일 때의 양단 고저차는?

  1. 1.00m
  2. 1.40m
  3. 1.73m
  4. 2.00m
(정답률: 알수없음)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경사거리에 관한 보정식 = 높이차의제곱/2X표준거리 에서 높이차(h)=루트 2*보정량 * 표준거리 이므로 = 루트 2*0.04*50 = 2.0M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삼각측량에서 1, 2, 3, 4등 삼각점으로부터 실시한 보조삼각측량의 보조삼각점간 거리는 얼마 정도를 표준으로 하는가?

  1. 15km
  2. 2km
  3. 0.7km
  4. 0.1km
(정답률: 알수없음)
  • 보조삼각측량에서 보조삼각점간 거리는 보통 0.7km를 표준으로 한다. 이는 삼각측량에서 측정한 1, 2, 3, 4등 삼각점의 거리와 보조삼각측량에서 측정한 보조삼각점간 거리를 비교하여 보조삼각측량의 정확도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0.7km는 적당한 정확도와 비용을 고려하여 결정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지구의 장반경을 a, 단반경을 b라고 할 때 편평률을 나타내는 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이유는 편평률(eccentricity)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기 때문이다.

    편평률 = √(1 - (b^2/a^2))

    따라서, 보기 중에서 ""이 편평률을 나타내는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18개 측선의 전체 길이가 1500m이고 위거오차와 경거오차가 각각 20cm, 46cm일 때 이 다각측량의 정확도는 얼마인가?

  1. 1/6000
  2. 1/4500
  3. 1/3700
  4. 1/2990
(정답률: 알수없음)
  • 정확도는 다각측량의 측정 오차를 나타내는 값으로, 일반적으로 다각측량의 전체 길이에 대한 비율로 표현된다. 이 문제에서는 위거오차와 경거오차가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계산할 수 있다.

    먼저, 위거오차와 경거오차를 이용하여 측정 오차를 계산한다. 이 다각측량은 18개의 측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전체 측정 오차는 다음과 같다.

    측정 오차 = 18 × (위거오차 + 경거오차) = 18 × (20cm + 46cm) = 1260cm

    다음으로, 전체 측선의 길이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계산한다. 전체 측선의 길이는 1500m이므로, 정확도는 다음과 같다.

    정확도 = 측정 오차 ÷ 전체 측선의 길이 = 1260cm ÷ 1500m = 0.126m/m

    하지만, 정확도는 일반적으로 분수로 표현되므로, 이 값을 간단분수로 변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확도를 기약분수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정확도 = 0.126m/m = 126/1000m/m = 63/500m/m = 9/71m/m

    따라서, 정확도는 1/2990이 아닌 9/71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지형도의 축척 1/1000, 등고선 간격 1.0m, 경사 2%일 때, 각 등고선 간의 도상수평거리는 얼마인가?

  1. 0.1cm
  2. 1.0cm
  3. 0.5cm
  4. 5.0cm
(정답률: 알수없음)
  • 등고선 간격이 1.0m 이므로, 1cm 가로로는 10m을 나타낸다. 경사가 2% 이므로, 100m 가로로 이동하면 2m 상승한다. 따라서, 1cm 세로로는 2m/1000 = 0.002m = 0.2cm 상승을 나타낸다. 이를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따라 계산하면, 도상수평거리는 sqrt((10cm)^2 - (0.2cm)^2) = 9.995cm ≈ 10cm 이다. 하지만 축척이 1/1000 이므로, 실제 거리는 1/1000배로 줄어든다. 따라서, 각 등고선 간의 도상수평거리는 10cm/1000 = 0.1cm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0.1c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트랜싯으로 수평각을 관측할 때 여러 오차를 소거하기 위하여 정ㆍ반위 관측값을 평균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도 소거되지 않는 오차는?

  1. 시준축 오차
  2. 연직축 오차
  3. 편심 오파
  4. 수평축 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정ㆍ반위 관측값을 평균하여 수평각을 관측할 때, 연직축 오차는 소거되지 않는다. 이는 수평각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기가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수평선과 수직인 연직축의 정확도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직축 오차는 정밀한 측정을 위해 보정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수준척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수준척은 연직으로 세워야 한다.
  2. 관측자가 수준척의 눈금을 읽을 때에는 표척수로 하여금 수준척이 기계를 향하여 앞ㆍ뒤로 조금씩 움직이게하여 제일 큰 눈금을 읽어야 한다.
  3. 표척수는 수준척의 밑바닥에 흙이 묻지 않도록 하고, 이음매에서 오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4. 수준척을 세울 때는 지반의 침하여부에 주의하여야 하며, 침하하기 쉬운 곳에는 표척대를 놓고 그 위에 수준척을 세워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준척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 중에서 "관측자가 수준척의 눈금을 읽을 때에는 표척수로 하여금 수준척이 기계를 향하여 앞ㆍ뒤로 조금씩 움직이게하여 제일 큰 눈금을 읽어야 한다."가 아닌 것은 "수준척은 연직으로 세워야 한다.", "표척수는 수준척의 밑바닥에 흙이 묻지 않도록 하고, 이음매에서 오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수준척을 세울 때는 지반의 침하여부에 주의하여야 하며, 침하하기 쉬운 곳에는 표척대를 놓고 그 위에 수준척을 세워야 한다."입니다.

    관측자가 수준척의 눈금을 읽을 때에는 수준척이 기계를 향하여 앞ㆍ뒤로 조금씩 움직이게하여 제일 큰 눈금을 읽어야 합니다. 이는 수준척의 눈금이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져 있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관측자는 수준척을 움직여 제일 큰 눈금을 찾아 읽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수평거리가 12km인 두 점 사이의 양차는 약 얼마인가? (단, 지구의 반경은 6371km, 대기굴절계수는 0.11이다.)

  1. 5m
  2. 10m
  3. 15m
  4. 20m
(정답률: 알수없음)
  • 지구의 반경과 대기굴절계수를 이용하여 지평선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지평선 거리는 실제 거리보다 대기의 굴절로 인해 더 멀게 보이는 거리이다. 따라서, 두 점 사이의 실제 거리는 지평선 거리보다 짧다.

    지평선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d = 2Rarcsin(sqrt(sin^2((lat2-lat1)/2) + cos(lat1)cos(lat2)sin^2((lon2-lon1)/2))))

    여기서, R은 지구의 반경, lat1과 lat2는 두 점의 위도, lon1과 lon2는 두 점의 경도이다.

    두 점의 위도와 경도를 알고 있다면, 이 공식을 사용하여 지평선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두 점의 수평거리가 12km이므로, 위도와 경도의 차이를 구해야 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대기굴절계수가 주어졌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지평선 거리를 계산해야 한다. 대기굴절계수가 0.11이므로, 지평선 거리에 11%를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두 점 사이의 지평선 거리는 12km * 1.11 = 13.32km이다. 이제 이 거리에서 두 점 사이의 실제 거리를 계산해야 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두 점의 위치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정확한 실제 거리를 계산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대략적인 값을 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10m"이다. 이 값은 지평선 거리에서 11%를 더한 값과 실제 거리의 차이를 고려했을 때 가능한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10m"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오차의 원인도 불분명하고, 오차의 크기와 형태도 불규칙한 형태로 나타나는 오차는?

  1. 정오차
  2. 우연오차
  3. 착오
  4. 체계적 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정확한 측정이 어려운 경우에 발생하는 오차를 우연오차라고 합니다. 이는 측정 도구의 한계, 실험 환경의 변화, 측정자의 실수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오차는 불규칙한 형태로 나타나며, 그 크기와 형태는 예측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오차는 원인도 불분명하고, 크기와 형태도 불규칙한 형태로 나타나는 우연오차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삼각형을 이루는 각 점에서 동일한 정밀도로 각 관측을 하였을 때 발생한 폐합오차의 조정은 어떻게 하는가?

  1. 3등분하여 조정한다.
  2. 각의 크기에 비례해서 조정한다.
  3. 변의 크기에 비례해서 조정한다.
  4. 각의 크기에 반비례해서 조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형을 이루는 각 점에서 동일한 정밀도로 각 관측을 하였을 때 발생한 폐합오차는 삼각형의 각이나 변의 길이에 따라 다르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의 크기에 비례하거나 반비례하게 조정하거나 변의 길이에 비례하게 조정하는 것보다는, 삼각형을 3등분하여 조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이는 삼각형을 3등분하면 각 부분삼각형의 크기와 형태가 동일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각 부분삼각형에서 발생한 오차를 조정하면 전체 삼각형의 오차도 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P점의 높이를 직접수준측량에 의하여 A, B, C, D의 수준점에서 관측한 결과가 다음과 같다. P점의 최확값은?

  1. 45.308m
  2. 45.394m
  3. 45.325m
  4. 45.355m
(정답률: 알수없음)
  • P점의 높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A, B, C, D의 수준점과의 차이를 구해야 한다.

    A에서의 차이는 45.308 - 44.000 = 1.308m

    B에서의 차이는 45.394 - 44.000 = 1.394m

    C에서의 차이는 45.325 - 44.000 = 1.325m

    D에서의 차이는 45.355 - 44.000 = 1.355m

    이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은 1.308m이고, 이 값은 A에서의 차이이다.

    따라서 P점의 최고점은 A점에서의 차이인 1.308m을 더한 값인 45.308m보다 높은 값이어야 한다.

    그리고 가장 높은 값은 1.355m를 더한 값인 45.355m이므로, 정답은 "45.355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공공측량의 측량성과와 측량기록의 사본을 교부 받고자 하는 자는 어디에 신청하여야 하는가?

  1. 국토해양부장관
  2. 국토지리정보원장
  3. 지방국토관리청장
  4. 공공측량계획기관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측량의 측량성과와 측량기록의 사본은 공공측량계획기관에서 교부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공공측량의 측량과 관련된 모든 업무를 총괄하는 기관으로서, 측량성과와 측량기록의 관리와 교부 등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를 신청하고자 할 경우, 공공측량계획기관에 신청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일반측량으로서 공공측량으로 지정할 수 있는 측량은 어느 것인가?

  1. 국지적 측량으로서 국토해양부장관이 고시하는 측량
  2. 지적법에 의한 지적측량
  3. 10,000m2범위의 지형측량
  4. 지하시설물 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지하시설물 측량은 일반측량으로서도 수행될 수 있지만, 공공시설인 지하시설물의 위치와 깊이 등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공공측량으로 지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하시설물 측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지도도식규칙에 위배되는 것은?

  1. 등고선은 주곡선, 간곡선, 조곡선 및 계곡선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2. 지도의 도곽은 외도곽과 내도곽으로 구분한다.
  3. 주기에 사용되는 한자는 자획이 복잡하더라도 약자로 사용하여서는 안된다.
  4. 지물의 실제 형상 또는 상질물의 표현은 선 또는 기호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기에 사용되는 한자는 자획이 복잡하더라도 약자로 사용하여서는 안된다."가 지도도식규칙에 위배되는 것이다. 이는 주기에 사용되는 한자가 약자로 사용될 경우 해석이 모호해지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기본측량을 위하여 설치된 관할구역 안에 있는 측량표를 감시할 의무를 가진 사람은?

  1. 구청장
  2. 도지사
  3. 국토해양부장관
  4. 국토지리정보원장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을 위하여 설치된 관할구역 안에 있는 측량표를 감시하는 것은 지역 내 공공시설의 안전과 관련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해당 지역의 행정을 총괄하는 구청장이 이를 담당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기본측량 실시 공고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측량의 실시지역
  2. 측량기술자의 명단
  3. 측량의 목적
  4. 측량의 종류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 실시 공고에는 측량의 실시지역, 측량의 목적, 측량의 종류 등이 포함되어야 하지만, 측량기술자의 명단은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측량기술자의 명단은 측량을 실시하는 당사자들 간에 공유되는 정보이기 때문에 공고에 포함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측량업자의 등록사항의 변경으로 인한 신고는 그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최대 몇 일 이내에 하여야 하는가?

  1. 7일
  2. 15일
  3. 30일
  4. 20일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자의 등록사항 변경에 대한 신고는 법령에서 명시된 기간 내에 해야 합니다. 측량업자의 등록사항 변경에 대한 신고 기간은 30일로 정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측량업자가 등록사항을 변경한 경우, 그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신고를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축척 5만분의 1 미만의 지도를 국외로 반출하는 경우의 행정적인 절차로 옳은 것은?

  1. 허가 없이 반출할 수 있다.
  2. 국토해양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3. 국토지리정보원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4. 국토지리정보원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허가 없이 반출할 수 있다."

    축척 5만분의 1 미만의 지도는 국토지리정보법 제29조에 따라 국토지리정보원장에게 신고하여야 하지만, 국외로 반출하는 경우에는 국토해양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이 규정은 축척 5만분의 1 이상의 지도에만 적용되므로, 축척 5만분의 1 미만의 지도는 허가 없이 반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측량업자로서 경쟁입찰에 있어서 입찰자 간에 공모하여 미리 조작한 가격으로 입찰하거나, 다른 사람의 견적의 제출 또는 입찰행위를 방해한 자의 벌칙은?

  1.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
  4.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알수없음)
  • 입찰자 간에 공모하여 미리 조작한 가격으로 입찰하거나, 다른 사람의 견적의 제출 또는 입찰행위를 방해하는 것은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합니다. 이는 경쟁입찰의 공정성을 해치는 행위로,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행위를 한 경우, 법률상으로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측량업의 등록기준이 아래 표와 같은 측량업은?

  1. 측지측량업
  2. 공공측량업
  3. 일반측량업
  4. 연안조사측량업
(정답률: 알수없음)
  • 위의 표에서 보면, 측지측량업과 일반측량업은 둘 다 땅의 경계나 면적을 측정하는 업무를 수행하지만, 등록기준에서는 이들 업무를 수행하는 측량업체가 특정 기준을 충족해야만 등록이 가능하다. 반면에 공공측량업은 정부나 공공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측량업무를 수행하는 업체로, 이들은 일반적인 등록기준과는 별도로 정부나 공공기관에서 요구하는 추가적인 기준을 충족해야만 등록이 가능하다. 따라서, 위의 표에서는 공공측량업만이 등록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의 측량표 중 일시표지에 해당되는 것은?

  1. 수준점표석
  2. 측표(測標)
  3. 표기(標旗)
  4. 임시측량표지막대
(정답률: 알수없음)
  • 일시표지는 측량 작업 중에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표지를 말합니다. 따라서 "측표(測標)"가 일시표지에 해당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수준점을 표시하는 수준점표석, 측량 결과를 표기하는 표기, 그리고 임시적으로 측량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임시측량표지막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측량업의 등록을 한 자는 등록사항 중 변경사항이 있을 경우 변경등록을 하여야 한다. 변경등록을 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영업소 및 작업실 면적의 변경
  2. 상호의 변경
  3. 주된 영업소 소재지의 변경
  4. 기술능력 및 장비의 변경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의 등록을 한 자는 등록사항 중 변경사항이 있을 경우 변경등록을 해야하는데, 영업소 및 작업실 면적의 변경은 측량업의 업무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변경등록을 하지 않아도 된다. 상호의 변경, 주된 영업소 소재지의 변경, 기술능력 및 장비의 변경은 측량업의 업무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이므로 변경등록을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1:5,000 지형도 도식적용규정에 의하여 교량기호를 생략하고 도로로 표시할 수 있는 교량의 길이 기준은?

  1. 3m 미만
  2. 4m 미만
  3. 5m 미만
  4. 6m 미만
(정답률: 알수없음)
  • 1:5,000 지형도 도식적용규정에서는 교량 기호를 생략하고 도로로 표시할 수 있는 교량의 길이 기준으로 4m 미만을 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교량이 4m 이상인 경우에는 도로 상황을 고려하여 교량 기호를 표시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4m 이상인 교량은 교량 기호를 표시해야 하고, 4m 미만인 교량은 도로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우리나라의 지도에 사용되는 기로 및 선의 굵기는 누가 정하는가?

  1. 국토지리정보원장
  2. 국토해양부장관
  3. 행정안전부장관
  4. 국토연구원장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의 지도에 사용되는 기로 및 선의 굵기는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정한다. 이는 국토지리정보원이 지도 제작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토해양부장관은 해양과 관련된 업무를, 행정안전부장관은 행정과 관련된 업무를, 국토연구원장은 국토와 관련된 연구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성능검사기관은 성능검사결과 규정에 의한 성능기준에 적합하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검사필증을 당해 측량기기에 붙여야 하는데 성능검사필증에 기재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측량기기명 및 측량기기번호
  2. 검사유효기간
  3. 측량기기수명
  4. 측량기기성능
(정답률: 알수없음)
  • 성능검사필증은 성능검사결과와 관련된 정보를 기재하는데, 측량기기수명은 성능검사결과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정보이기 때문에 성능검사필증에 기재하지 않는다. 측량기기수명은 측량기기의 수명과 관련된 정보로,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측량심의회의 심의사항이 아닌 것은?

  1. 측량기술의 연구ㆍ발전에 관한 사항
  2. 측량도서의 발간에 관한 사항
  3. 공공측량에 관한 계획의 수립 및 실시에 관한 사항
  4. 공공측량 및 일반측량에서 제외되는 측량의 범위에 관한 사항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심의회는 공공측량과 관련된 정책과 계획을 논의하고 결정하는 기관이다. 따라서 "공공측량에 관한 계획의 수립 및 실시에 관한 사항"은 측량심의회의 주요 업무 중 하나이다. 반면에 "측량기술의 연구ㆍ발전에 관한 사항"과 "측량도서의 발간에 관한 사항"은 측량기술의 발전과 교육에 관련된 사항이므로 측량심의회의 업무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공공측량 및 일반측량에서 제외되는 측량의 범위에 관한 사항"은 측량의 범위와 관련된 사항이므로 측량심의회의 업무 범위에 포함될 수 있지만, "공공측량에 관한 계획의 수립 및 실시에 관한 사항"만큼 중요한 업무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측량협회의 설립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측량기술자 및 측량업자의 품위보전
  2. 측량업의 관리ㆍ감도
  3. 측량에 관한 기술의 향상에 기여
  4. 측량제도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의 관리ㆍ감도"가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다른 항목들이 측량기술자와 측량업자의 품위보전, 측량에 관한 기술의 향상, 측량제도의 건전한 발전에 집중하는 반면, "측량업의 관리ㆍ감도"는 측량업 자체의 관리와 감독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측량업의 질적 향상을 위해 측량업 자체의 관리와 감독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일반측량업의 등록을 한 측량업자는 설계금액이 최대 얼마인 공공측량을 실시할 수 있는가?

  1. 5천만원
  2. 3천만원
  3. 2천만원
  4. 1천만원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측량업의 등록을 한 측량업자는 공공사업의 측량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때 측량업자의 설계금액은 최대 3천만원으로 제한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천만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기본측량의 측량성과를 사용하여 지도 등을 간행하고자 할 때 국토지리정보원장의 심사를 받아야 하는데 이 때 심사사항이 아닌 것은?

  1. 표준작업방법
  2. 난외표시
  3. 작업주기 및 일자
  4. 지형ㆍ지물 및 지명의 표시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주기 및 일자는 측량성과와 관련이 없는 사항으로, 지도 등 간행 시에는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항목들은 지도 등의 완성도와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인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측량업 등록의 결격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
  2. 벌금형 선고를 받은 자
  3. 금치산자
  4. 측량업의 등록이 취소된 후 2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 등록의 결격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벌금형 선고를 받은 자"입니다. 이유는 측량업법 제10조에 따르면, 측량업 등록을 받기 위해서는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 금치산자, 측량업의 등록이 취소된 후 2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 등의 결격사유가 있으면 등록을 받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벌금형 선고를 받은 자는 이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측량업 등록을 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국토해양부장관의 권한 중 국토지리정보원장에게 권한위임한 사항이 아닌 것은?

  1. 기본측량의 실시에 관한 통지
  2. 기본측량을 위한 표지설치의 통지
  3. 기본측량의 측량성과의 고시
  4. 공공측량작업규정의 승인
(정답률: 알수없음)
  • 국토지리정보원장에게 권한위임한 사항 중 "기본측량의 측량성과의 고시"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직접 결정하고 고시하는 사항으로, 국토해양부장관의 권한위임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