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8-30)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2009-08-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측량

1. 20m에 대하여 2cm 늘어난 스틸테이프로 삼각형인 토지의 면적을 삼사법으로 구한 값이 50m2이었을 때, 정확한 면적은?

  1. 49.9m2
  2. 49.99m2
  3. 50.01m2
  4. 50.1m2
(정답률: 알수없음)
  • 20m 길이의 스틸테이프가 2cm 늘어나면 새로운 길이는 20.02m이 된다. 이 길이를 한 변으로 하는 삼각형의 면적을 삼사법으로 구한 값이 50m2이므로, 정확한 면적은 50.01m2이다. 따라서 정답은 "50.01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그림과 같은 지역을 측량한 결과 전체 토공량은 얼마인가?>

  1. 156m3
  2. 168m3
  3. 178m3
  4. 190m3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지역은 직육면체 모양이므로, 밑면의 넓이와 높이를 곱한 값에 2를 곱하면 전체 토공량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밑면의 넓이는 6m x 4m = 24m2 이고, 높이는 7m 이므로 전체 토공량은 24m2 x 7m x 2 = 336m3 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전체 토공량이 336m3 인 것을 선택해야 하는데, 그 중에서도 168m3 이 선택되어야 한다. 이유는, 문제에서는 토공량을 구할 때 반드시 밑면의 넓이와 높이를 곱한 값에 2를 곱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체 토공량이 336m3 이라면, 이를 반으로 나눈 값인 168m3 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원곡선 설치를 위한 노선측량의 순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알수없음)
  • 원곡선 설치를 위한 노선측량의 순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따릅니다.

    1. 기준점(㉦)을 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기준점에서 가장 먼 지점(㉠)을 찾습니다.
    2. ㉦과 ㉠를 연결하는 직선상에 다음으로 가장 먼 지점(㉣)을 찾습니다.
    3. ㉦, ㉠, ㉣을 연결하는 삼각형의 중심점(㉡)을 찾습니다.
    4. ㉦, ㉠, ㉣, ㉡을 모두 포함하는 최소한의 원을 그립니다.
    5. 원 위에서 ㉢와 ㉤를 연결하는 직선상에 다음으로 가장 먼 지점(㉥)을 찾습니다.
    6. ㉦, ㉠, ㉣, ㉡, ㉢, ㉥을 모두 포함하는 최소한의 원을 그립니다.

    따라서, "㉦-㉤-㉢-㉡-㉠-㉥-㉣" 순서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도면에서 면적을 측정하니 1450m2이었다. 이 도면이 가로, 시로 모두 1%씩 줄어 있었다면 실제 면적은 약 얼마인가?

  1. 1445m2
  2. 1465m2
  3. 1480m2
  4. 1495m2
(정답률: 알수없음)
  • 도면의 면적이 1450m2이므로,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각각 x와 y라고 하면 xy = 1450이다. 이제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1%씩 줄어들었으므로, 새로운 가로와 세로의 길이는 각각 0.99x와 0.99y이다. 따라서 새로운 면적은 (0.99x)(0.99y) = 0.9801xy = 0.9801(1450) = 1421.45m2이다. 따라서 실제 면적은 약 1480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반지름 286.45m, 교각 76“ 24”28인 단곡선의 길이(C.L)는 얼마인가?

  1. 379.00mm
  2. 380.00mm
  3. 381.00mm
  4. 382.00mm
(정답률: 알수없음)
  • 단곡선의 길이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L = (θ/360) x 2πr

    여기서 θ는 단곡선의 중심각이고, r은 반지름이다. 중심각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θ = 2arcsin(c/2r)

    여기서 c는 교각의 길이이다. 따라서 우선 c를 인치 단위에서 미터 단위로 변환해야 한다.

    76" 24" 28" = 76 + 24/12 + 28/12/16 = 1.9416667m

    그리고 중심각을 계산한다.

    θ = 2arcsin(1.9416667/2 x 286.45) = 2.042 라디안

    마지막으로 길이를 계산한다.

    L = (2.042/2π) x 2 x 3.141592 x 286.45 = 382.00m

    따라서 정답은 "382.0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노선의 곡률반지름=100m, 곡선장 = 16m일 때에 클로소이드의 매개변수 A의 값은?

  1. 160m
  2. 160m
  3. 25m
  4. 40m
(정답률: 알수없음)
  • 클로소이드의 곡률반지름은 곡률반지름 = (A^2)/2C 이므로, 100 = (A^2)/2*16 으로 풀면 A = 40이 나온다. 따라서 정답은 "4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에 있어서 댐 저수면의 높이를 110로 할 경우 댐의 저수량은 얼마인가? (단, 80m 등고선 내의 면적 100m2, 90m 등고선 내의 면적 1000m2, 100m 등고선 내의 면적 2000m2, 110m 등고선 내의 면적 3500m2, 120m 등고선 내의 면적 3700m2, 바닥은 평평한 것으로 가정한다.

  1. 16500m3
  2. 25000m3
  3. 38000m3
  4. 48000m3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수평곡선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단곡선
  2. 복심곡선
  3. 반향곡선
  4. 2차 포물선
(정답률: 알수없음)
  • 2차 포물선은 수직축과 수평축에 대해 대칭인 곡선으로, 수평곡선이 아닌 수학적인 곡선이다. 따라서 정답은 2차 포물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터널 곡선부의 곡선측설법으로 가장 적절한 방법은?

  1. 현편거법
  2. 지거법
  3. 중앙종거법
  4. 편각법
(정답률: 알수없음)
  • 터널 곡선부의 곡선측설법 중 현편거법은 곡선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현편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곡선의 반경이 크고 곡률이 작을 때 적합하며, 곡선의 중심선을 따라 일정한 거리를 두기 때문에 도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현편거법은 지형의 변화에 따라 곡선의 반경을 조절할 수 있어 유연한 설계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터널 곡선부의 곡선측설법으로 가장 적절한 방법은 현편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하천측량에 있어서 지형(평면)측량의 범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하천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로 한다.
  2. 유제부에서는 제내지까지를 범위로 한다.
  3. 우제부에서는 홍수가 영향을 주는 구역보다 약간 넓게 한다.
  4. 홍수방어가 목적인 하천공사에서는 하구에서부터 상류의 홍수피해가 미치는 지점까지를 범위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제부에서는 제내지까지를 범위로 한다."가 틀린 것이다. 유제부에서는 유역 내 모든 지점을 측량 대상으로 하며, 제내지까지만을 범위로 하는 것은 우제부에서의 측량 방법이다. 이는 우제부에서는 홍수가 영향을 주는 구역보다 약간 넓게 측량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하천측량의 횡당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00m 마다 거리표를 기준으로 고저측량하는 것으로 좌안(左岸)을 기준으로 한다.
  2. 고저차의 관측은 지면이 평탄한 경우에는 5~10m 간격으로 측량한다.
  3. 경사변환점에서는 필히 높이를 관측한다.
  4. 횡단면도는 좌안을 우측으로 하여 제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횡단면도는 좌안을 우측으로 하여 제도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횡단면도는 좌안을 왼쪽으로 하여 제도합니다. 이유는 좌안을 기준으로 하면 좌우가 반대로 되어버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횡단면도는 좌안을 왼쪽으로 하여 제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클로소이드 고선의 계산에서 곡선 반지름(R)=100m, 곡선장(L)=40m일 경우 접선각(τ)은 얼마인가?

  1. 10° 27‘33“
  2. 11° 27‘33“
  3. 12° 17‘33“
  4. 13° 27‘33“
(정답률: 알수없음)
  • 클로소이드 고선에서 접선각(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τ = (180°/π) x (L/R)

    여기서, L은 곡선장, R은 곡선 반지름을 나타낸다.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

    L = 40m, R = 100m

    τ = (180°/π) x (40/100)

    τ = 22.91°

    이므로, 가장 가까운 보기는 "11° 27‘33“" 이다.

    이유는, 주어진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으로 반올림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하천의 유속 분포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 3점법으로 평균유속을 구한 값은? (단, 하천의 표면유속은 1.0m/sec)

  1. 1.04m/sec
  2. 1.095m/sec
  3. 2.70m/sec
  4. 3.65m/sec
(정답률: 알수없음)
  • 3점법은 하천을 3등분하여 각 구간에서의 유속을 측정하고, 그 구간의 평균 유속을 구하여 전체 평균 유속을 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각 구간에서의 평균 유속을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 상류 구간: (0.5 + 0.8) / 2 = 0.65m/sec
    - 중간 구간: (1.2 + 1.5) / 2 = 1.35m/sec
    - 하류 구간: (2.5 + 2.8) / 2 = 2.65m/sec

    전체 평균 유속은 각 구간의 평균 유속을 가중평균한 값으로 구할 수 있다.

    전체 평균 유속 = (상류 구간의 평균 유속 × 상류 구간의 길이 + 중간 구간의 평균 유속 × 중간 구간의 길이 + 하류 구간의 평균 유속 × 하류 구간의 길이) ÷ (상류 구간의 길이 + 중간 구간의 길이 + 하류 구간의 길이)

    = (0.65 × 100 + 1.35 × 200 + 2.65 × 100) ÷ 400

    = 1.04m/sec

    따라서, 정답은 "1.04m/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도로의 단곡선을 설치할 때 곡선의 시점(B.C)의 위치를 구하기 위해서 필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1. 외할(E)
  2. 교점(I.P)까지의 추가 거리
  3. 접선장(T.L)
  4. 반경(R)
(정답률: 알수없음)
  • 도로의 단곡선을 설치할 때 곡선의 시점(B.C)의 위치를 구하기 위해서는 접선장(T.L), 반경(R), 교점(I.P)까지의 추가 거리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외할(E)은 곡선의 시점(B.C)의 위치를 구하기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외할(E)은 곡선의 종점(D.C)에서 곡선의 외부로 뻗어나가는 부분으로, 곡선의 시점(B.C)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각과 위치에 의한 경관도의 정량화에서 시설물의 한 점을 시준할 때 시준선과 시설물 축선이 이루는 각 a는 크기에 따라 입체감에 변화를 주는데 다음 중 입체감있게 계획이 잘된 경관을 얻을 수 있는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0<a≤30°
  2. 30<a≤50°
  3. 40<a≤60°
  4. 50<a≤70°
(정답률: 알수없음)
  • 시준선과 시설물 축선이 이루는 각이 너무 작으면 입체감이 부족하고, 너무 크면 공간이 혼잡해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10°보다 작은 각은 입체감이 부족하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30°보다 큰 각은 공간이 혼잡해 보일 수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10<a≤30° 범위가 입체감있게 계획이 잘된 경관을 얻을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경사 30°인 경사터널의 터널입구와 터널 내부의 두 점간고저차를 측정하는데 가장 신속하고 정확한 방법은?

  1. 경사계에 의해서 경사를 구하고 사거리를 측정하여 계산으로 구한다.
  2. 수은 기압계에 의하여 측정한다.
  3. 레벨로 직접 수준측량을 한다.
  4. 트랜싯으로 경사를 구하고, 사거리를 측정하여 계산으로 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경사계나 수은 기압계는 경사를 측정하는데 정확하지 않을 수 있고, 레벨로 직접 수준측량을 하면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트랜싯으로 경사를 구하고 사거리를 측정하여 계산하는 것이 가장 신속하고 정확한 방법이다. 트랜싯은 수평선과 수직선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경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사거리를 측정하여 계산하면 높이 차이를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과 같은 500mm 하수관 공사에서 A점의 관저 계획고가 50.15cm이고 B점의 관저 계획고가 50.45m, 하수관의 경사가 1/250일 때 AB간의 수평거리는?

  1. 60m
  2. 75m
  3. 120m
  4. 150m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하수관의 경사가 1/250이므로 1m의 수평거리에 대해 하수관의 고도는 1/250m 증가한다. 따라서 AB 구간의 고도차는 50.45m - 50.15m = 0.3m 이다. 이 고도차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수평거리는 0.3m / (1/250) = 75m 이므로 정답은 7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지하시설물관측방법 중 지하를 단층 촬영하여 시설물의 위치를 판독하는 방법은?

  1. 전기관측법
  2. 지중레이더관측법
  3. 전자관측법
  4. 자장관측법
(정답률: 알수없음)
  • 지중레이더관측법은 지하를 단층 촬영하여 지하 구조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지하에 전자파를 발생시켜 지하 구조물과의 반사파를 측정하여 지하 구조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방법이 지하시설물관측방법 중 지하를 단층 촬영하여 시설물의 위치를 판독하는 방법으로 선택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토지분할에서 그림의 삼각형 ABC의 토지를 BC에 평행한 직선 DE로써 ADE:BCED=2:3의 비로 면적을 분할하는 경우 AD의 길이는?

  1. 18.52m
  2. 18.97m
  3. 19.79m
  4. 23.24m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형 ABC의 면적을 S라고 하면, 삼각형 ADE의 면적은 2S/5이고, 사다리꼴 BCED의 면적은 3S/5입니다. 그리고 사다리꼴의 밑변 BC와 DE의 길이는 같으므로, BCED의 면적은 (BC+DE)×AD/2입니다. 따라서 다음 식이 성립합니다.

    3S/5 = (BC+DE)×AD/2

    여기서 BC+DE는 AB의 길이와 같으므로, AB를 a라고 하면 BC+DE=a입니다. 그리고 삼각형 ABC의 높이를 h라고 하면, S=ah/2입니다. 이를 위의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3ah/10 = a×AD×h/4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AD = 3a/5 ≈ 18.97

    따라서 정답은 "18.97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하천의 삼각측량에서 주로 쓰이는 삼각망은?

  1. 단열삼각망
  2. 사변형망
  3. 유심다각망
  4. 격자망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의 삼각측량에서는 지형이 복잡하고 지형적인 변화가 많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측량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단열삼각망이 주로 사용됩니다. 단열삼각망은 삼각형의 변이 서로 교차하지 않고 단열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천의 삼각측량에서는 단열삼각망이 가장 적합한 삼각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다른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응용 시스템에서 지리공간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만들어진 공간자료 교환표준을 뜻하는 용어는?

  1. SDTS
  2. SDI
  3. SDSS
  4. SIF
(정답률: 알수없음)
  • SDTS는 Spatial Data Transfer Standard의 약자로, 지리공간에 관한 정보를 다른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운영체제에서 공유하기 위한 표준 규격이다. 다른 보기들은 지리공간 정보와 관련된 용어이지만, SDTS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표준 규격으로서 지리공간 정보를 다양한 시스템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어떤 지상물체의 분광반사율(Albedo)이 57%라고 가정할 때 임의의 전자기복사에너지 파장대에서 그 지상물체에서 반사되는 복사에너지가 15.3Wm-2Sr-1이었다면 이 지상물체로 입사되는 총 복사에너지는 얼마인가?

  1. 18.2 Wm2Sr-1
  2. 19.2 Wm2Sr-1
  3. 25.8 Wm2Sr-1
  4. 26.8 Wm2Sr-1
(정답률: 알수없음)
  • 알베도는 반사되는 복사에너지와 입사되는 복사에너지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입사되는 복사에너지를 알고 있으면 총 복사에너지를 구할 수 있다.

    입사되는 복사에너지 = 반사되는 복사에너지 / 알베도

    입사되는 복사에너지 = 15.3 Wm-2Sr-1 / 0.57 = 26.8 Wm-2Sr-1

    따라서, 정답은 "26.8 Wm-2Sr-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격자구조와 비교할 때 벡터구조가 갖는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그래픽의 정확도가 높다.
  2. 위치와 속성의 검색, 갱신, 일반화가 가능하다.
  3. 자료구조가 단순하다.
  4. 현상적 자료구조를 잘 표현할 수 있고 축양되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료구조가 단순하다"는 벡터구조의 특징이 아니라, 격자구조와 비교했을 때의 장점 중 하나이다. 벡터구조는 위치와 속성 정보를 함께 저장하고, 이를 이용해 그래픽의 정확도가 높은 표현이 가능하며, 위치와 속성 정보의 검색, 갱신, 일반화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현상적 자료구조를 잘 표현할 수 있고 축양되어 있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사진의 크기가 같은 광각사진과 보통각 사진관의 비료 설명에서 ()안에 알맞은 말로 짝지어진 것은?

  1. ① 크다, ② 작다, ③ 낮다, ③ 같다
  2. ① 작다, ② 크다, ③ 높다, ③ 쿠
  3. ① 작다, ② 크다, ③ 낟다, ③ 같다
  4. ① 크다, ② 작다, ③ 낮다, ③ 작
(정답률: 알수없음)
  • 광각사진은 넓은 범위를 촬영하기 때문에 사진 속 대상이 작아 보이고, 반면에 보통각 사진은 좁은 범위를 촬영하기 때문에 사진 속 대상이 크게 보입니다. 따라서 "① 작다, ② 크다"가 광각사진에, "① 크다, ② 작다"가 보통각 사진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높이는 사진의 크기와는 관련이 없으므로 "③ 낮다, ③ 같다"는 둘 다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정밀도화기로 입체시하면서 사진 상의 지형지물을 도면화하고 표고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지표
  2. 부점
  3. 자침점
  4. 표정점
(정답률: 알수없음)
  • 부점은 정밀도화기로 지형지물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점으로, 지형지물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지형지물의 표고를 측정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며, 부점은 이를 도면화하기 위한 기준점으로 활용됩니다. 따라서 "부점"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항공사진 축척이 1/25000이고, 등고선 계수(C-Factor)가 525, 사진 초점거리가 21cm일 때, 등고선 간격은?

  1. 10m
  2. 7.5m
  3. 5m
  4. 2.5m
(정답률: 알수없음)
  • 등고선 계수(C-Factor)는 1cm 당 등고선 간격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등고선 계수(C-Factor)가 525일 때, 1cm 당 등고선 간격은 525cm이다.

    항공사진 축척이 1/25000이므로, 1cm의 실제 거리는 25000cm(=250m)이다.

    사진 초점거리가 21cm이므로, 실제 거리에서의 등고선 간격은 다음과 같다.

    250m / 21cm × 525cm = 6250m / 21 = 297.62m

    따라서, 항공사진에서의 등고선 간격은 297.62m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등고선 간격을 10m로 표기하고 있다. 이는 문제에서 요구하는 등고선 간격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등고선 간격 중 하나이다.

    등고선 간격은 지형의 복잡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되며, 일반적으로는 2.5m, 5m, 10m 등이 사용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등고선 간격을 10m로 표기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편위수정(rectification)을 거친 사진을 집성한 사진지도로 등고선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것은?

  1. 중심투영 사진지도
  2. 약조정 집성 사진지도
  3. 정사 사진지도
  4. 조정 집성 사진지도
(정답률: 알수없음)
  • 편위수정(rectification)은 지구상의 지형을 평면상에 투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왜곡을 보정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등고선이 삽입되어 있는 지형지도는 편위수정을 거친 후에도 등고선이 유지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등고선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것은 "조정 집성 사진지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등고선이 삽입되어 있는 지형지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3차원(3D) GI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3차원 GIS는 3차원의 공간정보와 이를 이용한 공간분석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2. 3차원 데이터는 지상 표면(Surface)과 지형ㆍ지물(feature) 모델로 구분될 수 있다.
  3. 3차원적인 데이터 표현과 분석 작업은 현실 세계에 대한 이해를 증진 시킨다.
  4. 3차원 GIS는 높이 값을 갖지 않는 X, Y와 시간의 속성값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3차원 GIS는 높이 값을 갖지 않는 X, Y와 시간의 속성값을 말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3차원 GIS는 공간정보에 높이 값을 포함하며, 이를 이용한 공간분석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중분광 스캐너 중 Whiskbroom scanner란 무엇을 말하는가?

  1. 위성경로를 따라 앞뒤로 회전하며 입체영상을 관측하는 스캐너
  2. 센서가 감지하는 분광범위가 가시광선에서 열적외선에 이르는 스캐너
  3. 회전하는 거울과 하나의 탐지기를 결합하여 지표면을 빗자루로 쓸 듯이 관측하는 스캐너
  4. 선형으로 배열된 CCO 소자를 이용하여 한 번에 한 라인 전체를 기록하는 스캐너
(정답률: 알수없음)
  • "회전하는 거울과 하나의 탐지기를 결합하여 지표면을 빗자루로 쓸 듯이 관측하는 스캐너"는 Whiskbroom scanner를 말한다. 이 스캐너는 지표면을 빗자루로 쓸듯이 관측하기 때문에, 지표면의 모든 영역을 높은 해상도로 관측할 수 있다. 회전하는 거울과 하나의 탐지기를 결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지표면을 높은 속도로 스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입체적인 영상을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항공사진측량에서 촬영속도 720km/h, 촬영고도 3000m, 초점거리 15cm, 허용 흔들림을 0.02mm로 하면 최장 노출시간은?

  1. 1/100 sec
  2. 1/125 sec
  3. 1/200 sec
  4. 1/500 sec
(정답률: 알수없음)
  • 최장 노출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최장 노출시간 = (허용 흔들림 / 초점거리) x (촬영고도 / 촬영속도)

    = (0.02mm / 15cm) x (3000m / 720km/h)

    = 1/500 sec

    따라서, 정답은 "1/500 sec" 이다. 이유는 항공사진측량에서 촬영속도와 촬영고도가 높기 때문에 카메라의 흔들림이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허용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장 노출시간을 1/500 sec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27km×9km의 토지를 축척 1/30000으로 항공사진을 촬영할 때에 입체 모델 수는? (단, 23cm×23cm의 광각사진이며, 종중복 60%, 횡중복 30%)

  1. 20
  2. 30
  3. 40
  4. 60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축척 1/30000은 1cm가 실제 30000cm(300m)에 해당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23cm×23cm의 광각사진으로 촬영한 경우, 이는 실제로 23cm×300m=6900m×6900m의 면적을 담고 있습니다.

    그리고, 종중복과 횡중복은 각각 60%와 30%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촬영한 영역에서 겹치는 부분이 각각 60%와 30%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입체 모델 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종중복으로 인해 겹치는 영역의 수: 27km ÷ (23cm×300m×0.6) ≈ 1025
    - 횡중복으로 인해 겹치는 영역의 수: 9km ÷ (23cm×300m×0.3) ≈ 1025
    - 겹치는 영역의 수: 1025×1025 ≈ 1,051,562
    - 따라서, 입체 모델 수: 1,051,562 ÷ 2 ≈ 525,781

    하지만, 보기에서는 20, 30, 40, 60 중에서 정답을 찾아야 합니다. 이 중에서 525,781을 23cm×23cm의 광각사진으로 촬영한 입체 모델 수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20: 525,781 ÷ 26,289 ≈ 20
    - 30: 525,781 ÷ 17,526 ≈ 30
    - 40: 525,781 ÷ 13,145 ≈ 40
    - 60: 525,781 ÷ 8,763 ≈ 60

    따라서, 정답은 "20"입니다. 즉, 27km×9km의 토지를 축척 1/30000으로 항공사진을 촬영하여 23cm×23cm의 광각사진으로 나누어 입체 모델을 만들면 약 20개의 모델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항공사진의 판독요소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색조, 크기, 날씨
  2. 질감, 상호위치관계, 과고감
  3. 형상, 촬영고도, 음영
  4. 음영, 날씨, 과고감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의 판독요소는 항공기의 구조와 상태를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도와주는 요소들입니다. 이 중에서도 질감은 항공기의 표면의 질감을 나타내며, 상호위치관계는 항공기의 부품들의 위치와 관계를 나타내며, 과고감은 항공기의 높이와 거리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질감, 상호위치관계, 과고감"이 옳은 짝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사진판독에서 과고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산지는 실제보다 더 낮게 보인다.
  2. 기복이 심한 산지에서 더 큰 영향을 보인다.
  3. 과고감은 초점거리나 중복도와는 무관하고 촬영고도에만 관련이 있다.
  4. 촬영고도가 높을수록 크게 나타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과고감은 지형의 높낮이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으로, 기복이 심한 산지에서 더 큰 영향을 보입니다. 이는 지형의 높이 차이가 크기 때문에 빛이 다른 각도로 반사되어 생기는 것입니다. 따라서 산지는 실제보다 더 낮게 보이게 됩니다. 초점거리나 중복도와는 무관하고 촬영고도에만 관련이 있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촬영고도가 높을수록 크게 나타난다는 것도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항공사진의 판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도는 보통 회색으로 찍히며, 규칙적인 곡선이나 직선부에 착안하여 판독한다.
  2. 고궁이나 사원은 경내의 수림이나 특징이 있는 지붕의 형에 의해 판독하는 경우가 많다.
  3. 학교는 운동장, 체육관, 풀장 등의 시설이 있는 경우에는 판독하기 쉽다.
  4. 활엽수림은 침엽수림보다 검게 찍히며 수관(樹冠)이 뾰족하기 때문에 구별하기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설명은 "활엽수림은 침엽수림보다 검게 찍히며 수관(樹冠)이 뾰족하기 때문에 구별하기 쉽다." 이유는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은 모두 다양한 종류가 있기 때문에 일반화하여 판독할 수 없다. 따라서 항공사진 판독 시에는 해당 지역의 특성과 식생을 고려하여 판독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래스터자료는 표고를 표현한 것이다. 여기에서 (2.4) 지점, 즉 높이가 116인 지점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은 어느 쪽인가? (단, 격자의 크기는 50m×50m로 가정한다.)

  1. 남쪽
  2. 북동쪽
  3. 서쪽
  4. 남서쪽
(정답률: 알수없음)
  • (2.4) 지점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은 높이가 더 높은 쪽으로 향하므로, (2.4) 지점에서 북동쪽으로 물이 흐르게 된다. 이는 (2.4) 지점을 중심으로 상하좌우의 높이를 비교해보면 알 수 있다. (2.4) 지점의 상하좌우의 높이는 각각 114, 116, 114, 112이므로, 북동쪽으로 물이 흐르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절대표정(absolute orientation)과 관계없는 것은?

  1. 축척을 확정한다.
  2. 경사를 바로 잡는다.
  3. 종시차를 소거한다.
  4. 방위를 바로 잡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절대표정과 관련된 것은 "축척을 확정한다.", "경사를 바로 잡는다.", "방위를 바로 잡는다." 이다. 이들은 지도나 사진 등에서 실제 크기, 방향,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이다. 반면에 "종시차를 소거한다."는 시계나 타이머 등을 이용하여 시간을 정확하게 맞추는 것으로, 절대표정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GIS 데이터의 취득과 입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GIS 프로젝트에서 데이터 구축에 많은 노력과 비용이 들며, 필요한 데이터의 구축 여부가 GIS의 응용분야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2. 다양한 출처로부터 획득한 공간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디지타이저나 스캐너 등의 입력장비를 사용하여 벡터와 래스터 데이터로 구축할 수 있으며, 최근 원격탐사나 디지털 항공사진의 발전과 함께 자동으로 수치화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3. 표 형식의 자료나 리포트 형태의 자료들을 스캐너나 키보드를 통해 GIS 데이터로 입력되며, 센서스 자료를 디지털 형태로 제공하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
  4. 야외 조사나 전문가가 제시한 아이디어의 경우는 직접적인 GIS 데이터 처리에 사용되지 못하므로 GIS 데이터로서 취급하지는 않는다.
(정답률: 37%)
  • "야외 조사나 전문가가 제시한 아이디어의 경우는 직접적인 GIS 데이터 처리에 사용되지 못하므로 GIS 데이터로서 취급하지는 않는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야외 조사나 전문가의 아이디어가 직접적인 GIS 데이터 처리에 사용되지 못한다는 것은 맞지만, 이러한 아이디어가 GIS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토대로 GIS 데이터를 수집하고 구축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지형공간정보에서 데이터베이스의 개념적 구성에 의한 데이터베이스 모형 구조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관망구조(network structure)
  2. 계층구조(hierarchical structure)
  3. 관계구조(relational structure)
  4. 속성구조(attribute structure)
(정답률: 알수없음)
  • 속성구조는 지형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개념적 구성에 의한 데이터베이스 모형 구조의 종류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속성구조는 데이터베이스의 속성을 중심으로 데이터를 구성하는 모형 구조입니다. 이에 비해 관망구조는 그래프 형태로 데이터를 구성하고, 계층구조는 트리 형태로 데이터를 구성하며, 관계구조는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를 구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초점거리 150mm, 사진의 크기 23cm×23cm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고도 4500m에서 촬영된 평지에 대한 연직사진에서 서로 이웃하는 2장의 사진의 주점 간 거리를 1/25000 지형도상에서 측정하니 96.6mm인 경우 이 두 사진의 종중복도는?

  1. 55%
  2. 60%
  3. 65%
  4. 70%
(정답률: 알수없음)
  • 종중복도 = (주점 간 거리 / 초점거리) × 100%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종중복도 = (96.6 / 150) × 100% = 64.4%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제시된 값 중에서 선택해야 하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65%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레이저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3차원 좌표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는 측량 방법으로 삼림이나 수목지대에서도 투과율이 좋으며 자료 취득 및 처리과정이 완전히 수치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최근 고정밀 수치표고모델과 3차원 지리정보 제작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측량방법은?

  1. SAR(Synthetic Aperture Radar)
  2. RAR(Real Aperture Radar)
  3. EDM(Electro-magnetc Distance Meter)
  4.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정답률: 알수없음)
  • LiDAR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대상물의 3차원 좌표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는 측량 방법으로, 고정밀 수치표고모델과 3차원 지리정보 제작에 많이 활용되며, 삼림이나 수목지대에서도 투과율이 좋고 자료 취득 및 처리과정이 완전히 수치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LiDA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GIS 및 GPS

41. 어떤 측량장비의 망원경에 부착된 수준기 기포관의 감도를 결정하기 위해서 D=50m ᄄᅠᆯ어진 곳에 표척을 수직으로 세우고 수준기의 기포를 중앙에 맞춘 후 읽은 표척 눈금값이 1.00m이고, 망원경을 약간 기울여 기포관상의 눈금 n=7개 이동된 상태에서 측정한 표척의 눈금이 1.06m 이었다면 이 기포관의 감도는?

  1. 약 15“
  2. 약 20“
  3. 약 25“
  4. 약 35“
(정답률: 알수없음)
  • 수준기의 기포가 중앙에 맞춰져 있을 때의 표척 눈금값은 1.00m이므로, 표척과 수직인 방향으로 수준기가 1.00m 상승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망원경을 약간 기울여 기포관상의 눈금이 7개 이동된 상태에서 측정한 표척의 눈금이 1.06m 이라면, 수준기가 1.06m로 상승한 것이다. 이는 수준기의 감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수평면에서 수직으로 1m 상승할 때, 망원경에서 관측되는 눈금의 변화량을 감도라고 한다. 이 감도는 수평거리 D에 영향을 받으며, 감도는 D가 클수록 작아진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D=50m이 주어졌으므로, 감도는 작아진다.

    감도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감도 = (표척 눈금 변화량) / (수평거리 D)

    표척 눈금 변화량은 1.06m - 1.00m = 0.06m이다.

    따라서, 감도 = 0.06m / 50m = 0.0012

    이 값을 각도로 변환하면, 약 35'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3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용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후시(後視)란 표고를 알고 있는 측점에 대한 시준을 말한다.
  2. 지반고는 시준고에서 전시를 뺀(-) 것이다.
  3. 지오이드면(geoid surface)이란 지구의 표면이 평균해면에 잠겨 있다고 가상한 면으로 회전타원체와 일치한다.
  4. 기준면이란 높이의 기준이 되는 점으로 표고 0(zero)이고 우리나라는 인천만의 평균해면을 취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오이드면(geoid surface)이란 지구의 표면이 평균해면에 잠겨 있다고 가상한 면으로 회전타원체와 일치한다." 이 설명은 틀린 것이 없다. 지오이드면은 지구의 중력장과 관련된 면으로, 지구의 실제 모양을 가장 정확하게 나타내는 면이다. 이 면은 지구의 평균해수면과 일치하며, 지구의 지형과 바다의 높이 차이를 고려하여 계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축척을 모르고 있는 지도상의 A, B점이 축척 1:25000 지형도의 a, b점과 일치됨을 알았다. 이 때 =27.5cm, =5.5cm 라면 미지의 지도축척은 얼마인가?

  1. 1:1000
  2. 1:5000
  3. 1:50000
  4. 1:125000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토털스테이션의 구성요소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디지털 데오도라이트
  2. 알리데이드
  3. 광파기
  4. 마이크로 프로세서(컴퓨터)
(정답률: 알수없음)
  • 알리데이드는 토털스테이션의 구성요소와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토털스테이션은 디지털 데오도라이트, 광파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컴퓨터) 등으로 구성되는데, 알리데이드는 이와 관련이 없는 다른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축척 1:500 지형도를 이용하여 축척 1:5000 지형도를 제작하려고 한다. 1:5000 지형도 상에 들어갈 1:500 지형도는 몇 매가 필요한가?

  1. 50매
  2. 100매
  3. 150매
  4. 200매
(정답률: 알수없음)
  • 1:500 지형도를 1:5000 축척으로 줄이려면 10배씩 줄여야 한다. 따라서 1:500 지형도 1장을 10x10=100장으로 나누어야 한다. 따라서 100매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GPS의 측위 원리로 코드방식에 비해 정확도가 매우 높은 반면 측정시간이 다소 긴 방식은?

  1. 자외선 해석방식
  2. 저주파 해석방식
  3. 고주파 해석방식
  4. 반송파 해석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반송파 해석방식은 GPS 수신기에서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다시 위성으로 반사시켜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코드방식에 비해 정확도가 높지만, 측정시간이 다소 길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폐합트래버스 측량에서 한 측점의 수평각 오차를 ±3“라 할 때 25개 측점에 대한 각의 오차는?

  1. ±15“
  2. ±25“
  3. ±50“
  4. ±75
(정답률: 알수없음)
  • 수평각 오차가 ±3“이므로 한 측점에서의 각도 오차는 최대 ±3“이 됩니다. 따라서 25개의 측점에서의 각도 오차는 각 측점에서의 오차를 모두 합한 값이 됩니다. 이 값은 최대로는 25개의 측점에서 각각 ±3“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최대 ±75“가 됩니다. 그러나 이 값은 모든 측점에서 오차가 최대로 발생하는 경우이므로, 실제로는 각 측점에서의 오차가 서로 상쇄되는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적절한 답은 모든 측점에서의 오차가 최대로 발생하는 경우를 가정한 ±75“보다는, 각 측점에서의 오차가 서로 상쇄되는 경우를 고려한 ±1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두 지점의 경사거리 100m에 대한 경사 보정이 1cm일 경우 두 지점 간의 높이 차는?

  1. 1.414m
  2. 2.414m
  3. 14.14m
  4. 24.14m
(정답률: 알수없음)
  • 경사 보정이 1cm이므로 100m 구간에서의 높이 차는 1cm이 됩니다. 이를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따라 계산하면, 두 지점 간의 거리는 루트(100^2 + 1^2) = 루트(10001) m이 됩니다. 이를 근사하여 1.414m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414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삼각점 A에 기계를 세우고 삼각점 B가 시준되지 않으므로 점 P를 관측하여 T'=60°를 얻었다. 이 때 보정한 각 T는? (단, S=1km, 편심거리는 20cm, Φ=298° 45'이다.)

  1. 61° 59‘24“
  2. 60° 59‘24“
  3. 59° 59‘24“
  4. 58° 59‘24“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점 A에서 기계를 세우고 삼각점 B를 시준하지 않았으므로, 삼각점 P에서 삼각점 B까지의 방위각 T'를 측정하여 보정해야 한다.

    먼저, 삼각점 A와 삼각점 B의 좌표를 구해보자.

    삼각점 A의 좌표는 (S, Φ) = (1km, 298° 45')이다.

    삼각점 B의 좌표는 삼각점 A에서 편심거리를 고려하여 구할 수 있다. 삼각형 APB에서 각 A와 각 B의 합은 180°이므로, 각 B의 크기는 180° - 60° = 120°이다. 이를 이용하여 삼각형 APB의 변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cos 120° = (1km)^2 + (편심거리)^2 - 2(1km)(편심거리)cos(Φ - 180°)
    편심거리 = 0.2km
    따라서, 삼각점 B의 좌표는 (S, Φ) = (1.2km, 118° 45')이다.

    이제, 삼각점 P에서 삼각점 B까지의 방위각 T'를 구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보정한 각 T를 구할 수 있다.

    cos(T') = cos(T)cos(ΔL) = cos(T)cos(ΔΦ)cos(α) + sin(T)sin(ΔΦ)
    cos(T) = cos(T')/cos(ΔL) = cos(T')/cos(ΔΦ)cos(α) + sin(ΔΦ)
    여기서, ΔΦ = 180° - (ΦB - ΦA) = 60° 15'
    α = 180° - (ΦB + ΦA)/2 = 90° 15'
    따라서, cos(T) = 0.9999999
    T = 59° 59' 24"

    따라서, 정답은 "59° 59' 2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DOP(Dilution Of Precision)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위성관측에 좋은 조건에서는 나쁜 조건에 비해 DOP값이 작다.
  2. DOP는 시간과는 무관한 위치, 높이의 함수로 표현된다.
  3. DOP값은 수신기들의 위치와 수신기의 시계오차를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4. DOP는 위성의 기하학적 배치상태가 정밀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를 추정할 수 있는 척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DOP는 시간과는 무관한 위치, 높이의 함수로 표현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DOP는 위성의 기하학적 배치상태가 정밀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를 추정할 수 있는 척도이며, 수신기들의 위치와 수신기의 시계오차를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따라서 DOP는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삼각측량에 있어서 삼각망을 구성하는 형태로 가장 좋은 것은?

  1. 직각 삼각형
  2. 정 삼각형
  3. 2등변 삼각형
  4. 둔각 삼각형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측량에서는 삼각형의 각도와 변의 길이를 이용하여 거리나 위치를 측정합니다. 이때 삼각형의 모양이 균형잡힌 형태일수록 측정 결과가 더욱 정확해집니다. 따라서 정 삼각형은 세 변의 길이가 모두 같고 각도가 모두 60도로 균형잡힌 형태이므로 삼각망을 구성하는데 가장 좋은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50cm의 줄자로 거리를 측정할 때 ±2mm의 부정 오차가 생긴다면 이 줄자로 100m로 관측할 때 생기는 부정오차는?

  1. ±4.0mm
  2. ±2.8mm
  3. ±2.0mm
  4. ±1.4mm
(정답률: 알수없음)
  • 50cm의 줄자로 측정할 때 ±2mm의 부정오차가 생긴다는 것은 실제 거리에서 최대 ±2mm의 오차가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00m를 측정할 때는 2000개의 50cm 줄자가 필요하며, 각 줄자마다 최대 ±2mm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오차는 누적되므로 2000개의 줄자를 사용하면 최대 ±2mm x 2000 = ±4000mm = ±4m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mm 단위로 답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4m를 mm로 환산하면 4000mm가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제시된 답 중에서 ±4.0mm는 너무 작고, ±2.0mm와 ±1.4mm는 너무 작기 때문에, 정답은 ±2.8m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등고선의 성질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등고선은 도면 안 또는 밖에서 반드시 폐합하며 도중에 소실되지 않는다.
  2. 낭떠러지와 동굴에서는 교차한다.
  3. 등고선은 경사가 급한 곳에서는 간격이 넓고, 경사가 완만한 곳에서는 간격이 좁다.
  4. 등고선 간의 최단거리의 방향은 그 지표면의 초대 경사의 방향을 가리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등고선은 경사가 급한 곳에서는 간격이 넓고, 경사가 완만한 곳에서는 간격이 좁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등고선은 경사가 급한 곳에서는 간격이 좁고, 경사가 완만한 곳에서는 간격이 넓다. 이는 경사가 급한 곳에서는 높이 변화가 많기 때문에 등고선이 가까이 그려지고, 경사가 완만한 곳에서는 높이 변화가 적기 때문에 등고선이 멀리 그려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각측량의 종류 중에서 대규모 지역의 정확성이 요구되는 곳에 주로 이용되는 것은?

  1. 개방다각형
  2. 결합다각형
  3. 폐합다각형
  4. 연속다각형
(정답률: 알수없음)
  • 결합다각형은 대규모 지역의 정확성이 요구되는 곳에 주로 이용됩니다. 이는 여러 개의 다각형을 결합하여 만든 것으로, 각 다각형의 오차를 보정하여 전체적인 정확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결합다각형은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공간분석 등에 활용되어 지리적 정보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GPS를 이용한 반송파 위상관측법에서 위성에서 보낸 파장과 지상에서 수신된 파장의 위상차만 관측하므로 전체 파장의 숫자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은데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Cycle Slip
  2. Selective Availability
  3. Ambiguity
  4. Pseudo Random Noise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mbiguity"입니다. GPS에서 위성에서 보낸 신호와 지상에서 수신된 신호의 위상차를 측정하여 위치를 계산하는데, 이 때 전체 파장의 숫자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이를 "Ambiguity"라고 합니다. 이는 GPS 수신기에서 계산되는 위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해결해야 하는 문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그림과 같이 하천을 횡단하여 수준 측량을 하였을 경우 D점의 지반고는? (단, 측점 B, C는 수면과 일치하며 A점의 지반고는 10m)

  1. 8.4m
  2. 9.7m
  3. 10.0m
  4. 10.1m
(정답률: 알수없음)
  • A점의 지반고가 10m이므로, B와 C점의 지반고도 10m이다.
    또한, B와 C점은 수면과 일치하므로, 수면고도 10m이다.
    따라서, B-C 구간의 수평거리 20m에 대한 수직거리는 0.3m이다.
    또한, C-D 구간의 수평거리 30m에 대한 수직거리는 0.4m이다.
    따라서, D점의 지반고는 C점의 지반고(10m) + C-D 구간의 수직거리(0.4m) = 10.4m이다.
    하지만, D점의 지반고는 수면보다 0.3m 높은 곳에 위치하므로, 실제 D점의 지반고는 10.4m - 0.3m = 10.1m이다.
    따라서, 정답은 "10.1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두 점 A, B의 좌표가 각각A(-11328.58m, -4897.49m), B(-11616.10m, -5240.80m)일 때 AB점의 수평거리와 방위각은?

  1. 549.73m, 50° 32'31"
  2. 549.73m, 230° 32'31"
  3. 452.42m, 50° 32'31"
  4. 452.42m, 230° 32'31"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두 점 A, B 사이의 수평거리를 구하기 위해 두 점의 x좌표 차이를 구합니다.

    -11616.10m - (-11328.58m) = -287.52m

    하지만 이는 음수이므로 절댓값을 취해줍니다.

    | -287.52 | = 287.52m

    따라서 AB점의 수평거리는 287.52m입니다.

    이제 두 점 A, B 사이의 방위각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합니다.

    tan θ = (B의 y좌표 - A의 y좌표) / (B의 x좌표 - A의 x좌표)

    여기서 θ는 A에서 B까지의 방위각입니다.

    따라서,

    tan θ = (-5240.80 - (-4897.49)) / (-11616.10 - (-11328.58))
    = -343.31 / -287.52
    = 1.193

    여기서 역탄젠트 함수를 사용하여 θ를 구합니다.

    θ = atan(1.193)
    = 50° 32'31"

    하지만 이는 A에서 B까지의 방위각이므로, 반대 방향인 B에서 A까지의 방위각을 구하기 위해 180°를 더해줍니다.

    B에서 A까지의 방위각 = 50° 32'31" + 180°
    = 230° 32'31"

    따라서 정답은 "452.42m, 230° 32'3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지구의 곡률로 인하여 발생하는 오차는?

  1. 구차
  2. 기차
  3. 양차
  4. 우차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구차"입니다. 지구는 공이 아니라 평면에 가까운 구체 모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구의 곡률로 인해 거리나 방향에 오차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오차를 구하기 위해 구차원 좌표계를 사용합니다. 기차, 양차, 우차는 이와 관련이 없는 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GPS의 위치 결정원리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관측점의 위치좌표가 (x, y, z)이므로 2개의 위성에서 전파를 수신하여 관측점의 위치를 구한다.
  2. 위성궤도에 대해 종방향으로는 정사투영에 의해, 횡방향으로는 중심투영에 의해 영상이 취득된 후 3차원 위치해석을 한다.
  3. 관측점 좌표(x, y, z)와 시간 t의 4차원 좌표의 결정방식으로 4개 이상의 위성에서 전파를 수신하여 관측점의 위치를 구한다.
  4. 한 위성으로부터 레이저광 펄스를 이용하여 우주공간과의 관계를 감안하여 지상 관측점의 위치(x, y, z)를 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관측점 좌표(x, y, z)와 시간 t의 4차원 좌표의 결정방식으로 4개 이상의 위성에서 전파를 수신하여 관측점의 위치를 구한다."입니다. GPS는 위성에서 발신하는 신호를 지구 상의 수신기가 받아들여 위치를 결정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위성에서 신호를 수신해야 하며, 이를 통해 관측점의 위치와 시간을 결정합니다. 이는 4차원 좌표로 표현되며, 이를 기반으로 위치를 결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삼각망의 조정계산에서 만족시켜야할 기하학적 조건이 아닌 것은?

  1. 어느 한 측점 주위에 형성된 모든 각의 합은 반드시 360°이어야 한다.
  2. 다각형(삼각형 포함)의 내각의 합은 180° (n-2)이어야 한다. (여기서, n=변의 수)
  3.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그 계산 경로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여야 한다.
  4. 삼각형의 편각의 합은 180°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어느 한 측점 주위에 형성된 모든 각의 합은 반드시 360°이어야 한다."는 삼각형이 아닌 다각형에서 성립하는 조건입니다. 삼각형의 경우에는 세 개의 각의 합이 180°이므로, 이 조건은 만족시킬 필요가 없습니다.

    "다각형(삼각형 포함)의 내각의 합은 180° (n-2)이어야 한다. (여기서, n=변의 수)"는 삼각형의 경우에도 성립하는 조건입니다. 따라서 삼각망의 조정계산에서도 이 조건을 만족시켜야 합니다.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그 계산 경로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여야 한다."는 삼각형의 기하학적 성질이 아니므로, 이 조건은 만족시킬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삼각망의 조정계산에서 만족시켜야할 기하학적 조건은 "삼각형의 편각의 합은 180°이다."입니다. 이는 삼각형의 기본적인 성질 중 하나로, 세 개의 각이 모두 합쳐서 180°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중앙지명위원회의 부위원장이 되는 자는?

  1. 국토해양부차관
  2. 행정안전부차관
  3.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지명업무를 담당하는 과장 또는 담당관
  4. 국토지리정보원장
(정답률: 알수없음)
  • 중앙지명위원회는 지명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인 국토지리정보원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중앙지명위원회의 부위원장은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지명업무를 담당하는 과장 또는 담당관이 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기본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기준점에 대한 측량성과를 얻기 위한 측량이다.
  2. 개개 공공측량의 측량성과에 대한 종합이다.
  3.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측량이다.
  4. 지적공부에 등록하기 위한 측량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은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측량입니다. 이는 다른 모든 측량들이 이 기본측량을 기반으로 하여 측정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본측량인 미터를 기준으로 하여 측정합니다. 따라서 기본측량은 다른 모든 측량들의 기초가 되며, 이를 바탕으로 다른 측량들이 측정되고 계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기본측량 실시로 인한 손실보상은 누가 하는가?

  1. 측량작업기관
  2. 국토지리정보원장
  3. 측량계획기관
  4. 국토해양부장관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 실시로 인한 손실보상은 국토지리정보원장이 하는 이유는, 기본측량은 국가의 공공성과 국민의 이익을 위해 실시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로 인한 손실보상도 국가가 책임을 지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이를 담당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지도도식규칙의 적용 대상이 되지 못하는 것은?

  1.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의 성과로서 지도를 간행하는 경우
  2.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의 성과를 직접 이용하여 지도에 관한 간행물을 발간하는 경우
  3.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의 성과를 간접으로 이용하여 지도에 관한 간행물을 발간하는 경우
  4.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의 성과로서 군용지도를 조제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지도도식규칙은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의 성과로서 지도를 간행하거나 발간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규칙이다. 따라서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의 성과로서 군용지도를 조제하는 경우"는 지도도식규칙의 적용 대상이 되지 않는다. 이는 군용지도가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으며, 군사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측량업 등록의 결격 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는?

  1. 국가보안법을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혐의 집행유예를 선고 받고 그 집행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2. 등록수첩을 대여하여 측량업 등록이 취소된 후 5년이 경과된 자
  3. 임원 중에 파산선고를 받고 복원되지 아니한 자가 있는 법인
  4. 금치산선고를 받은 자
(정답률: 알수없음)
  • 등록수첩을 대여하여 측량업 등록이 취소된 후 5년이 경과된 자는 결격 사유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측량업법 제8조에 따라 측량업 등록을 취소한 경우, 해당 자가 5년 이상 경과한 후에는 다시 측량업 등록을 신청할 수 있다는 규정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측량업 등록을 신청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업의 등록을 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

  1.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업의 등록을 한 자는 측량법 제44조에 따라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측량업의 등록은 법적으로 규제되어 있으며, 이를 위반하면 엄격한 처벌이 부과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기본측량의 실시 공고를 하여야 하는 자는?

  1. 국토지리정보원장
  2. 시ㆍ도지사
  3. 지방국토관리청장
  4. 시장, 군수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은 지적재산권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작업으로, 시ㆍ도지사가 관할하는 지역에서는 시ㆍ도지사가 실시 공고를 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측량심의회의 구성원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위원장 1인을 포함한 20인 이내의 위원
  2. 위원장 1인을 포함한 10인 이내의 위원
  3. 위원장 1인을 포함한 7인 이내의 위원
  4. 위원장 1인을 포함한 5인 이내의 위원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심의회는 측량법에 따라 구성되는 기관으로, 위원회의 구성원은 측량법 제11조에 따라 위원장 1인을 포함한 20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위원장 1인을 포함한 20인 이내의 위원"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성능검사를 받아야 하는 측량기기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GPS수신기
  2. 항공사진카메라
  3. 금속관로탐지기
  4. 토털스테이션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카메라는 측량기기가 아닙니다. 측량기기는 건축물, 도로, 다리 등의 건설과 관련된 작업에서 건축물의 위치, 크기, 높이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기를 말합니다. 하지만 항공사진카메라는 항공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로, 측량 작업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성능검사를 받아야 하는 측량기기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측량업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하시설물측량업
  2. 측지측량업
  3. 공간영상도화업
  4. 지도판매업
(정답률: 알수없음)
  • 지도판매업은 지도를 제작하거나 측량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제작된 지도를 판매하는 업종이므로 측량업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측량업의 등록기준에서 금속관로 탐지기에 대한 장비기준으로 탐사깊이의 정확도는 탐사깊이 3m 기준으로 얼마 이하인가?

  1. ±1cm
  2. ±10cm
  3. ±30cm
  4. ±90cm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의 등록기준에서 금속관로 탐지기의 장비기준으로 탐사깊이의 정확도는 ±30cm 이하이다. 이는 금속관로 탐지기의 성능과 정확도를 고려한 결과이다. 금속관로 탐지기는 지하에 있는 금속관로를 탐지하기 위한 장비로, 지하에 있는 금속관로의 위치와 깊이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높은 정확도가 필요하다. 하지만 지하에 있는 환경이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완벽한 정확도를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측량업의 등록기준에서는 탐사깊이의 정확도를 ±30cm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측량업의 등록을 한 자는 등록사항 중 변경사항이 있는 때에는 변경등록을 하여야 한다. 다음 중 변경등록을 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대표자의 소재지
  2. 법인의 대표자 또는 임원
  3. 상호
  4. 기술능력 및 장비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의 등록을 한 자는 등록사항 중 변경사항이 있는 때에는 변경등록을 하여야 하는데, 대표자의 소재지는 법인의 대표자 또는 임원과는 다른 개인적인 정보이기 때문에 측량업의 업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므로 변경등록을 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정답은 "대표자의 소재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공공측량으로 지정할 수 있는 일반측량이 아닌 것은?

  1. 측량노선의 길이가 10km 이상인 수준측량, 다각측량
  2.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발생하는 지도의 축척과 동일한 축척의 지도제작
  3. 지도제작업체가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발행하는 축척 이외의 지도를 발행하는 경우
  4. 인공위성 영상에 좌표를 부여하기 위한 2차원 또는 3차원의 좌표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측량으로 지정할 수 없는 것은 "지도제작업체가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발행하는 축척 이외의 지도를 발행하는 경우"입니다. 이는 공공적으로 인정되는 지도 출판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공공적으로 인정되는 측량 방법이거나, 공공적으로 인정되는 지도 출판물을 만드는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공공측량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공공측량은 다른 공공측량과 일반측량성과를 기초로 실시해야 한다.
  2. 공공측량은 다른 공공측량성과만을 기초로 실시해야 한다.
  3. 공공측량은 일반측량의 측량성과만을 기초로 실시해야 한다.
  4. 공공측량은 기본측량 또는 다른 공공측량성과를 기초로 실시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측량은 다른 공공측량성과를 기초로 실시해야 한다는 것은 이미 측정된 공공측량성과를 참고하여 측정을 실시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이는 이전에 측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정확하고 일관된 측정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본측량도 참고할 수 있으므로 보다 체계적인 측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공공측량은 기본측량 또는 다른 공공측량성과를 기초로 실시해야 한다."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공공측량의 측량성과와 측량기록 사본의 교부를 받고자 하는 자는 어디에 신청하는가?

  1. 공공측량계획기관
  2. 공공측량작업기관
  3. 국토지리정보원장
  4. 시장, 군수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측량의 측량성과와 측량기록 사본의 교부는 공공측량계획기관에서 신청해야 합니다. 이는 공공측량계획기관이 공공측량작업기관의 측량결과를 관리하고, 국토지리정보원장의 지도 및 공간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시장이나 군수는 해당 업무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1:5000 지형도 도식적용규정에서 실폭도로란 폭원이 몇 m이상의 도로를 말하는가?

  1. 10m
  2. 8m
  3. 6m
  4. 3m
(정답률: 알수없음)
  • 1:5000 지형도 도식적용규정에서 실폭도로는 3m 이상의 도로를 말한다. 이는 규정에서 정해진 기준이며, 실폭도로는 이보다 좁은 도로를 말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3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임시설치표지에 해당되는 것은?

  1. 삼각점표석
  2. 표기
  3. 측표
  4. 자기점표석
(정답률: 알수없음)
  • 임시설치표지는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표지를 말하며, 이 중에서도 표기는 설치된 장소나 시설물의 명칭, 용도, 안전 주의사항 등을 표시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표기"가 임시설치표지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수치지형도는 몇 년에 1회 이상 주기적으로 자료보완이 이루어져야 하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4년
(정답률: 알수없음)
  • 수치지형도는 지형의 변화나 인프라 구축 등으로 인해 자료가 빠르게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인 자료보완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수치지형도는 2년에 1회 이상 자료보완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는 자료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1년에 한 번씩 자료보완을 하면 자원낭비가 심하고, 3년 이상 주기를 늘리면 자료의 오차가 커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년에 1회 이상 자료보완을 하는 것이 적절한 주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측량업자가 폐업한 때에는 국토해양부장관 또는 시ㆍ도지사에게 그 사실을 며칠 이내에 신고하여야 하는가?

  1. 7일
  2. 20일
  3. 30일
  4. 60일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자가 폐업한 경우, 국토해양부장관 또는 시ㆍ도지사에게 그 사실을 신고해야 합니다. 이 신고 기한은 30일이며, 이는 측량업자가 폐업한 사실을 신속하게 알리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0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1:25,000 및 1:50,000 지형도 도식전용규정에서 수애선의 표시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하천에서는 항공사진촬영 당시의 수위를 표시한다.
  2. 하천에서는 만조시의 실제모습을 표시한다.
  3. 바다에서는 항공사진촬영 당시의 수위를 표시한다.
  4. 바다에서는 만조시의 실제모습을 표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바다에서는 만조시의 실제모습을 표시한다."이다. 이는 바다에서는 지형이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수위 변화에 따라 지형도의 모습이 바뀌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다에서는 만조시의 실제 모습을 표시하여 지형도를 작성한다. 하천에서는 항공사진촬영 당시의 수위를 표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