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9-05)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2010-09-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측량

1. 완화곡선 중 3차 포물선에 적용하는 직교좌표의 방정식으로 옳은 것은? (단, a2= R : 곡선반경, X : 횡거)

  1. y=a2x3
  2. y=2a2x3
  3. y=a4x3
(정답률: 알수없음)
  • 완화곡선은 곡률이 일정한 곡선으로, 3차 포물선은 완화곡선 중 가장 간단한 형태이다. 이 때, 곡선반경 R은 a/2이다. 따라서, 직교좌표의 방정식은 y=a2x3이 된다. 이는 포물선의 일반식 y=ax2에 x를 한 번 더 곱한 형태로, x가 증가함에 따라 y값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를 띤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하천측량에서 2점법으로 평균유속을 구하려고 한다. 수심을 H라 할 때 수면으로부터의 측정위치로 옳은 것은?

  1. 0.2H와 0.4H
  2. 0.2H와 0.6H
  3. 0.2H와 0.8H
  4. 0.4H와 0.8H
(정답률: 알수없음)
  • 2점법으로 평균유속을 구하기 위해서는 수심의 0.2H와 0.8H 지점에서 유속을 측정해야 한다. 이는 수심의 상, 중앙, 하부에서 유속을 측정하는 것으로, 상부와 하부의 유속을 평균하여 유속을 구하는 것이다. 0.4H와 0.6H는 중앙에 해당하므로 유속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0.2H와 0.8H가 옳은 측정위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완화곡선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배향곡선(hair pin curve)
  2. 클로소이드(clothoid)
  3. 렘니스케이트(lemniscate)
  4. 3차 포물선(cubic spiral)
(정답률: 64%)
  • 배향곡선은 완화곡선이 아니라, 급한 곡선으로서 도로나 철도 등에서 방향을 바꿀 때 사용된다. 이 곡선은 급한 곡선이기 때문에 차량이나 기차 등이 빠르게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완화곡선의 종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은 택지를 조성하고자 하는 일부 지구의 표고값을 표시하고 있다. 이 지구의 토공량과 토공균형을 맞추기 위한 계획고는? (단, 표고의 단위는 m이고, 분할된 각 면적은 동일하다.)

  1. V=6225m3, h=4.15m
  2. V=10365m3, h=4.15m
  3. V=6225m3, h=6.91m
  4. V=10365m3, h=6.91m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적분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각 면적은 동일하므로, 한 면적의 넓이는 다음과 같다.

    A = (20m + 10m) / 2 × 10m = 150m²

    이 면적에서의 높이를 h 라고 하면, 이 면적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V = A × h = 150h

    따라서, 전체 부피는 다음과 같다.

    V = 150h × 3 + 150h × 2 + 150h × 1 + 150h × 4 + 150h × 3 + 150h × 2 + 150h × 5 + 150h × 4 + 150h × 3

    V = 150h × (3 + 2 + 1 + 4 + 3 + 2 + 5 + 4 + 3)

    V = 150h × 27

    V = 4050h

    여기서, 토공량과 토공균형을 맞추기 위해서는 전체 부피가 일정해야 한다. 따라서,

    4050h = 20m × 10m × 4m

    h = 20m × 10m × 4m / 4050

    h = 6.91m

    따라서, 전체 부피는 다음과 같다.

    V = 4050h = 4050 × 6.91 ≈ 10365m³

    따라서, 정답은 "V=10365m³, h=6.91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터널 내의 곡선설치에 사용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현편거법
  2. 내접다각형법
  3. 외접다각형법
  4. 중앙종거법
(정답률: 알수없음)
  • 중앙종거법은 터널 내의 곡선설치에 사용되지 않는 방법입니다. 현편거법, 내접다각형법, 외접다각형법은 모두 터널 내의 곡선설치에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지표에 설치된 중심선을 기준으로 터널 입구에서 굴착을 시작하고 굴착이 진행됨에 따라 터널내의 중심선을 설정하는 작업은?

  1. 도벨설치
  2. 터널 내 곡선설치
  3. 지표설치
  4. 지하설치
(정답률: 알수없음)
  • 지표에 설치된 중심선은 지하공간의 기준이 되는 선으로, 이를 기준으로 터널 입구에서 굴착을 시작하고 굴착이 진행됨에 따라 터널 내의 중심선을 설정하는 작업은 지하설치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하설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편각법에 의한 곡선설치에서 교각이 52°이고, 반경이 120m일 때, 곡선길이 15m에 해당하는 편각은 얼마인가?

  1. 3° 04‘ 52“
  2. 3° 24‘ 52“
  3. 3° 34‘ 52“
  4. 6° 29‘ 52“
(정답률: 알수없음)
  • 편각법에 의한 곡선설치에서 곡선길이 L, 반경 R, 편각 δ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가진다.

    L = Rδ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서 곡선길이 L = 15m, 반경 R = 120m 이므로,

    δ = L/R = 15/120 = 0.125

    이다. 이 값을 각도로 변환하기 위해 360°에 대한 비율로 계산하면,

    0.125 × 360° = 45°

    따라서, 교각 52°에서 45°를 빼면,

    52° - 45° = 7°

    이다. 이 값을 60진법으로 변환하면,

    7° × 60′/1° = 420′

    따라서, 편각은 3° 34‘ 52“이다.

    정답은 "3° 34‘ 5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노선의 곡선반지름 60m, 클로소이드 매개변수는 40m이다. 곡선장은 얼마인가?

  1. 15.0m
  2. 26.7m
  3. 50.3m
  4. 90.0m
(정답률: 알수없음)
  • 클로소이드 매개변수가 40m이므로, 곡선의 중심각은 2π(40/60) = 4π/3 rad 이다. 따라서 곡선장은 반지름(r)과 중심각(θ)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곡선장 = rθ = 60 × 4π/3 ≈ 251.33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구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반올림하여 26.7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댐 건설을 위한 조사측량에서 댐 사이트의 평면도 작성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평판측량
  2. 평판측량과 시거측량의 병용
  3. 지상사진측량 또는 항공사진측량
  4. 스타디아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댐 사이트는 대부분 지형이 복잡하고 넓은 면적을 차지하기 때문에, 평면도 작성에 있어서는 넓은 범위를 빠르게 측량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지상사진측량 또는 항공사진측량이 가장 적합하다. 이 방법은 항공기나 드론을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사진을 촬영하고, 이를 기반으로 3차원 모델을 생성하여 평면도를 작성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빠르고 정확하며, 넓은 면적을 한번에 측량할 수 있기 때문에 댐 건설을 위한 조사측량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곡선반지름이 100m인 단곡선을 설치하기 위하여 교각을 측정하였더니 50° 36‘ 이었다면 접선길이(T.L)는?

  1. 120.28m
  2. 80.46m
  3. 62.25m
  4. 47.27m
(정답률: 알수없음)
  • 접선길이(T.L)는 곡선반지름(R)과 중앙각(θ)에 의해 결정됩니다. 중앙각은 50° 36‘ 이므로 라디안으로 변환하여 계산합니다.

    θ = 50° 36‘ = (50 + 36/60)° = 0.8845 라디안

    접선길이(T.L) = R × tan(θ/2)

    = 100 × tan(0.8845/2)

    = 47.27m

    따라서 정답은 "47.27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유량측정장소의 선정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교량, 그 밖의 구조물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곳
  2. 와류와 역류가 생기지 않는 곳
  3. 유수방향이 최다 방향으로 나누어지는 곳
  4. 합류에 의하여 불규칙한 영향을 받지 않는 곳
(정답률: 알수없음)
  • 유수방향이 최다 방향으로 나누어지는 곳은 유량이 분산되어 흐르기 때문에 유량 측정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유량측정장소의 선정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완화곡선 중 곡률이 곡선의 길이에 비례하는 곡선으로 정의되는 것은?

  1. 클로소이드(Clothoid)
  2. 렘니스테이트(Lemniscate)
  3. 3차 포물선
  4. 반파장 sine 체감곡선
(정답률: 알수없음)
  • 클로소이드는 곡률이 곡선의 길이에 비례하는 곡선으로, 이는 자동차나 기차 등의 고속 이동체의 운전에 매우 유용하다. 이유는 고속 이동체가 곡선을 따라 이동할 때, 곡선의 곡률이 급격하게 변하면서 운전자나 승객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곡률이 길이에 비례하는 클로소이드를 사용하면, 곡선의 곡률 변화가 부드럽게 이루어져서 운전자나 승객에게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지점경관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시점
  2. 상호계
  3. 주대상
  4. 시점장
(정답률: 알수없음)
  • 상호계는 지점경관구성요소가 아닙니다. 이유는 상호계는 지점이 아닌 두 개 이상의 대상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공간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지점경관구성요소는 지점에 위치한 요소들로 구성되며, 상호계는 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에서 ∠ACD=∠ABC=90°, BC=30m, BD=15m일 때 하천의 두 지점 AB의 거리는?

  1. 40m
  2. 50m
  3. 60m
  4. 70m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형 ABC와 삼각형 BCD는 직각삼각형이므로, 각각의 빗변인 AC와 BD는 대각선이 됩니다. 따라서, AB는 AC와 BD의 합과 같습니다. AC와 BD의 길이는 각각 30m과 15m이므로, AB의 길이는 30m + 15m = 45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0m"이 아니라 "4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도로폭 8.0m의 도로를 건설하기 위햐 높이 2.0m의 성토를 하려고 한다. 건설 도로연장은 80.0m이고, 왼쪽 경사는 1:1:5, 오른쪽 경사는 1:2로 건설하려면 성토량은?

  1. 1,280m3
  2. 1,760m3
  3. 1,840m3
  4. 1,920m3
(정답률: 알수없음)
  • 도로의 폭이 8.0m이므로, 왼쪽 경사면의 기울기는 1:1.5이므로 1m 올라갈 때 1.5m 이동한다. 따라서 2.0m 높이까지 올라가기 위해서는 2.0 ÷ 1.5 = 1.333...m 이동해야 한다. 오른쪽 경사면의 기울기는 1:2이므로 1m 올라갈 때 2m 이동한다. 따라서 2.0m 높이까지 올라가기 위해서는 2.0 ÷ 2 = 1.0m 이동해야 한다. 이렇게 구한 거리를 도로의 연장인 80.0m으로 곱해주면, 왼쪽 경사면에서의 성토량은 80.0 × 1.333... × 8.0 = 8533.33...m³, 오른쪽 경사면에서의 성토량은 80.0 × 1.0 × 8.0 = 640.0m³이다. 따라서 전체 성토량은 8533.33... + 640.0 = 9173.33...m³이다. 이를 반올림하여 최종적으로 1,840m³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단곡선에 있어서 각 I=60°, 반경 R=100m, 곡선시점(B.C)까지 거리가 120.85m일 때 곡선종점(E.C)의 추가거리는?

  1. 105.57m
  2. 124.87m
  3. 205.57m
  4. 225.57m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누가토량을 곡선으로 표시한 것을 유토곡선(mass curve)라고 한다. “유토곡선에서 하향구간은 (A)구간이고, 상향구간은 (B)구간을 나타낸다.”에서 (A), (B)가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1. A : 성토, B : 절토
  2. A : 절토, B : 성토
  3. A :성토와 절토의 교차, B : 절토
  4. A : 성토와 절토의 교차, B : 성토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 : 성토, B : 절토"이다.

    유토곡선은 누가토량을 시간에 따라 나타낸 곡선으로, 하향구간은 강우가 발생하여 지하수가 포화되어 지표면으로 유입되는 구간을 나타내며, 이때 지표면의 경사가 크면 누수가 빠르게 일어나 성토로 분류된다. 반면 상향구간은 강우가 멈추고 지하수가 지표면에서 증발하거나 흡수되는 구간을 나타내며, 이때 지표면의 경사가 작으면 누수가 느리게 일어나 절토로 분류된다.

    따라서, 하향구간은 성토, 상향구간은 절토로 짝지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수심 h인 하천의 유속 측정을 한 결과가 표와 같다. 1점법, 2점법, 3점법으로 구한 평균유속의 크기를 각각 V1, V2, V3라 할 때 이들을 비교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V1=V2=V3
  2. V1>V2>V3
  3. V3>V2>V1
  4. V2>V1>V3
(정답률: 알수없음)
  • 1점법, 2점법, 3점법은 모두 같은 하천에서 유속을 측정한 것이므로, 유속의 크기는 동일하다. 따라서 V1=V2=V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터널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터널 측량은 터널 외 측량과 터널 내 측량, 터널 내외 연결측량으로 나눌 수 있다.
  2. 터널의 길이, 방향은 삼각측량 또는 트래버스 측량으로 정한다.
  3. 터널 내의 수준측량은 정확도를 위해 레벨과 수준척에 의한 직접 수준측량으로만 측정한다.
  4. 터널 내 측량에서는 기계의 십자선, 표척눈금 등에 조명이 필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터널 내의 수준측량은 정확도를 위해 레벨과 수준척에 의한 직접 수준측량으로만 측정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터널 내의 수준측량은 레벨과 수준척에 의한 직접 수준측량 뿐만 아니라, 라이저나 광선기를 이용한 간접 수준측량도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지상 1km2의 면적을 지도상에서 4cm2로 표시하기 위한 축척은?

  1. 1:2,500
  2. 1:5,000
  3. 1:25,000
  4. 1:50,000
(정답률: 알수없음)
  • 면적의 축척은 선형의 축척의 제곱근이므로, 1km의 길이를 4cm로 표시하기 위한 축척은 1:25,000이다. 하지만 면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이 값의 제곱을 취해야 하므로, 1:25,000의 제곱은 1:625,000이 된다. 따라서, 1km2의 면적을 4cm2로 표시하기 위한 축척은 1:50,0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입체시를 할 때 입체시가 되는 부분의 과고감을 크게하기 위한 방법은?

  1. 종중복도를 감소시킨다.
  2. 종중복도를 증가시킨다.
  3. 횡중복도를 감소시킨다.
  4. 횡중복도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입체시를 할 때 입체시가 되는 부분의 과고감을 크게하기 위해서는 종중복도를 감소시켜야 한다. 종중복도란, 동일한 종류의 요소가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정도를 말하는데, 이를 줄이면 입체감이 더욱 강해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같은 크기와 색상의 구를 여러 개 배치하는 경우, 구들 사이에 간격을 두거나 크기나 색상을 조금씩 다르게 함으로써 종중복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사진지도 중 등고선을 기준으로 카메라의 경사, 지표면의 비고에 의한 기복변위까지 수정한 것은?

  1. 정사 투영 사진지도
  2. 반조정 집성 사진지도
  3. 약조정 집성 사진지도
  4. 조정 집성 사진지도
(정답률: 알수없음)
  • 정사 투영 사진지도는 등고선을 기준으로 카메라의 경사와 지표면의 비고에 의한 기복변위를 수정한 지도이다. 이는 등고선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지형의 형태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으며, 카메라의 경사와 지표면의 비고에 의한 기복변위를 수정함으로써 지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정사 투영 사진지도가 등고선을 기준으로 하여 지형의 형태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기복변위를 수정하여 지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는 이유로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60m 높이의 굴뚝을 촬영고도 3000m의 높이에서 촬영한 항공사진이 있고, 그 사진의 주점기선 길이가 10cm이었다면, 이 굴뚝의 시차차는?

  1. 1mm
  2. 2mm
  3. 10mm
  4. 20mm
(정답률: 30%)
  • 시차차는 높이에 비례하므로, 3000m/60m = 50배 차이가 납니다. 주점기선 길이가 10cm이므로, 10cm/50 = 0.2cm = 2mm의 시차차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벡터구조가 격자구조에 비해 갖고 있는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자료구조가 복잡하다.
  2. 그래픽 자료의 양이 방대하다.
  3. 좌표변환을 위한 소요시간이 많다.
  4. 위상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벡터구조는 그래픽 자료의 양이 방대하지 않고, 좌표변환을 위한 소요시간이 적다는 특징이 있어서 '자료구조가 복잡하다'는 보기가 옳다."

    벡터구조는 점, 선, 면 등의 기하학적 요소들을 수학적인 방정식으로 표현하여 저장하는 방식으로, 그래픽 자료의 크기가 작고, 좌표변환을 위한 계산이 간단하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벡터구조는 격자구조에 비해 자료구조가 간단하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C-계수 1200인 도화기로 축척 1:30,000 항공사진을 도화작업할 때 신뢰할 수 있는 최소 등고선 간격은? (단, 초점거리 180mm이다.)

  1. 4.5mm
  2. 5.0mm
  3. 5.5mm
  4. 6.0mm
(정답률: 알수없음)
  • 도화기의 계수는 1200이므로 1cm를 1200등분한 크기의 점을 찍을 수 있다. 축척 1:30,000에서 1cm는 300m에 해당한다. 따라서 도화기로 1cm를 1200등분한 크기의 점을 찍으면 1등분은 0.25mm이 된다. 이를 초점거리 180mm에 대입하여 최소 등고선 간격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최소 등고선 간격 = (초점거리 × 0.25mm) ÷ 축척
    = (180mm × 0.25mm) ÷ 30,000
    = 1.5mm ÷ 100
    = 0.015cm

    따라서 최소 등고선 간격은 0.015cm이다. 이를 mm로 환산하면 0.015cm × 10 = 0.15mm이다. 이 값은 보기에서 제시된 값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4.5mm로 환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4.5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항공사진에서 사진의 판독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1. 색조
  2. 날짜
  3. 질감
  4. 음영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에서 거리가 먼 것은 판독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거리는 보기에서 제외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날짜"입니다. 색조, 질감, 음영은 사진에서 판독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날짜는 사진의 정보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축척 1:50,000 항공사진의 비행고도가 7500m 이었다면 촬영에 사용된 카메라의 초점거리는?

  1. 120mm
  2. 150mm
  3. 210mm
  4. 250mm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 1:50,000에서 1cm는 실제 세계에서 50,000cm 또는 500m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7500m의 비행고도에서 촬영한 항공사진에서 1cm의 거리는 1/500 x 7500m = 15m를 의미합니다. 이것은 카메라 렌즈의 초점거리와 같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50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GIS의 자료입력 방법이 아닌 것은?

  1. 수동방식(디지타이지)에 의한 방법
  2. 자동방식(스캐너)에 의한 방법
  3. 항공사진에 의한 해석도화 방법
  4. 잉크젯 프린터에 의한 도면 제작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잉크젯 프린터는 GIS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이 아니라, 이미 입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사진측량에서 말하는 모델(model)의 의미로 옳은 것은?

  1. 한 장의 사진이다.
  2. 편위수정된 사진이다.
  3. 한 쌍의 사진으로 실체시 되는 부분이다.
  4. 어느 지역을 대표할 만한 사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진측량에서 말하는 모델(model)은 한 쌍의 사진으로 실체시 되는 부분을 의미합니다. 이는 사진측량에서 3차원 공간을 2차원 사진으로 변환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기반으로 건물, 도로, 지형 등의 공간 정보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델은 한 쌍의 사진으로부터 추출된 공간 정보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비고 300m이고, 20km×40km인 면적의 지역을 해발고도 3300m에서 초점거리 150mm의 카메라로 촬영했을 때 사진매수는? (단, 종중복 60%, 횡중복 30%, 사진크기 23cm×23cm, 안전율은 무시하고, 입체모델의 면적으로 간이법으로 계산한다.)

  1. 136매
  2. 154매
  3. 181매
  4. 281매
(정답률: 알수없음)
  • 면적이 20km × 40km인 지역을 촬영하려면 카메라에서 보이는 영역이 최소한 20km × 40km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카메라에서 보이는 지점과 지점 사이의 거리가 최소한 23cm가 되어야 한다. 이 거리는 초점거리와 비례하기 때문에, 초점거리가 150mm이므로, 카메라에서 보이는 지점과 지점 사이의 거리는 23cm × (150mm/1000mm) = 3.45km가 된다.

    따라서, 지역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20km/3.45km = 5.8개의 세로줄과 40km/3.45km = 11.6개의 가로줄이 필요하다. 이를 종중복 60%, 횡중복 30%를 고려하여 계산하면, 총 필요한 사진매수는 5.8 × 11.6 × 1.6 = 136.192매가 된다. 이를 반올림하여 정답은 "136매"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그림과 같은 자료에 대해 표와 같이 위상을 구축하였다. 잘못 구축된 선(line-id)은?

  1. e
  2. f
  3. g
  4. h
(정답률: 알수없음)
  • 선 g는 다른 모든 선들과 교차하지 않고 끝점만 겹치기 때문에 잘못 구축된 선이다. 따라서 정답은 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항공사진측량의 작업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대공표지 설치
  2. 세부도화
  3. 사진기준점 측량
  4. 천문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측량은 항공기를 이용하여 지상의 지형, 건물, 도로 등을 사진으로 촬영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도를 작성하는 작업이다. 이에 반해 천문측량은 천체의 위치, 운동 등을 측정하여 천문학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천문측량은 항공사진측량과는 전혀 다른 분야이므로, 항공사진측량의 작업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인공위성에 의한 원격탐측(Remote Sensing)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관측자료가 수치적으로 취득되므로 판독이 자동적이며, 정향화가 가능하다.
  2. 관측 시각이 좁으므로 정사투영상에 가까워 탐사자료의 이용이 쉽다.
  3. 자료 수집의 광역성 및 동시성, 주기성이 좋다.
  4. 회전주기가 일정하므로 언제든지 원하는 지점 몇 시기에 관측하기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회전주기가 일정하므로 언제든지 원하는 지점 몇 시기에 관측하기 쉽다."는 인공위성에 의한 원격탐측의 장점이 아닙니다. 이유는 인공위성의 회전주기가 일정하다는 것은 인공위성이 지구를 돌면서 항상 같은 지점을 관측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오히려 특정 지점을 지속적으로 관측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장점이 아닌 단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우리나라 위성으로 옳은 것은?

  1. IKONOS
  2. LANDSAT
  3. KOMPSAT
  4. IRS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위성은 KOMPSAT이다. 다른 보기들은 미국이나 인도 등에서 개발한 위성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벡터 형식의 자료가 아닌 것은?

  1. TIGER
  2. GeoTiff
  3. PostScript
  4. DXF
(정답률: 알수없음)
  • GeoTiff는 벡터 형식이 아닌 래스터 형식의 지리 정보 파일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벡터 형식의 자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공간분석 위상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위상관계란 공간자료의 상호관계를 정의한다.
  2. 위상관계란 인접한 점, 선, 면 사이의 공간적 대응관계를 나타낸다.
  3. 위상관계란 연결성, 인접성의 특성을 포함한다.
  4. 위상관계에서 한 노드(Node)를 공유하는 모든 아크(Aec)는 상호연결성 존재가 필요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위상관계에서 한 노드(Node)를 공유하는 모든 아크(Arc)는 상호연결성 존재가 필요없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위상관계에서 노드와 아크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한 노드를 공유하는 아크들도 상호연결성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도화기의 발달과정 경로를 옳게 나열한 것은?

  1. 기계식도화기-해석식도화기-수치도화기
  2. 수치도화기-해석식도화기-기계식도화기
  3. 기계식도화기-수치도화기-해석식도화기
  4. 수치도화기-기계식도화기-해석식도화기
(정답률: 알수없음)
  • 기계식도화기는 직접적인 물리적인 작용을 통해 측정하는 방식이며, 해석식도화기는 측정된 데이터를 수학적으로 해석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입니다. 이후에는 컴퓨터의 발전과 함께 수치화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석하는 수치도화기가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옳은 발달과정 경로는 "기계식도화기-해석식도화기-수치도화기"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대공표지(Air Target Signal Poi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진상에 명확히 나타나고 정확히 측량할 수 있는 자연물로 이루어진 접합점
  2. 스트립을 인접스트립에 연결시켜 블록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점
  3. 항공사진에 표정용 기준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해 촬영 전 지상에 설치하는 것
  4. 사진상의 주점이나 표정점 등 지점의 위치를 인접한 사진상에 옳기는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대공표지는 항공사진에 표정용 기준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해 촬영 전 지상에 설치하는 것입니다. 즉, 사진상에서 명확하게 나타나고 정확하게 측량할 수 있는 자연물로 이루어진 접합점입니다. 따라서 "항공사진에 표정용 기준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해 촬영 전 지상에 설치하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수치표고모형(DEM)또는 불규칙삼각망(TIN)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는 정보가 아닌 것은?

  1. 경사 방향
  2. 등고선
  3. 가시도 분석
  4. 지표 피복 활용
(정답률: 알수없음)
  • 지표 피복 활용은 DEM 또는 TIN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없는 정보이다. 지표 피복은 지형의 표면을 덮고 있는 식물, 동물, 물 등의 자연적인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말한다. 이는 지형의 형태나 고도와는 관련이 없는 정보이기 때문에 DEM 또는 TIN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없다. 따라서, "지표 피복 활용"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사진지표의 용도가 아닌 것은?

  1. 사진의 신축 측정
  2. 주점의 위치 결정
  3. 해석적 내부표정
  4. 지구의 곡률 보정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진지표는 지구의 곡률 보정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사진지표는 사진의 신축 측정, 주점의 위치 결정, 해석적 내부표정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지구의 곡률 보정은 지구의 형태와 크기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이를 위해 지구의 곡률을 고려한 측정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GIS 및 GPS

41. 표고 300m인 평탄지에서 거리 1500m를 평균해수면상의 값으로 고치기 위한 보정량은? (단, 지구의 반경은 6370km라 한다.)

  1. -0.058m
  2. -0.062m
  3. -0.066m
  4. -0.071m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면상의 값으로 고치기 위해서는 지표면과 해수면 사이의 거리를 고려해야 한다. 이 거리는 지구의 곡률 때문에 지표면에서 해수면까지의 거리보다 더 길다. 이 문제에서는 지표면과 해수면 사이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 지구의 반경을 사용할 수 있다.

    지표면에서 해수면까지의 거리는 지구의 반경과 지표면과 해수면 사이의 높이 차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지표면과 해수면 사이의 높이 차이가 -300m이므로, 지표면에서 해수면까지의 거리는 지구의 반경 - 300m이 된다.

    따라서, 거리 1500m를 해수면상의 값으로 고치기 위한 보정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보정량 = (지구의 반경 - 지표면에서 해수면까지의 거리) / 거리
    = (6370km - (-300m)) / 1500m
    = 6370000m + 300m / 1500m
    = 4247m / 1500m
    = 2.8313

    즉, 보정량은 2.8313이 된다. 이 값을 해수면상의 값으로 변환하려면, 거리에 보정량을 더해주면 된다.

    해수면상의 값 = 거리 + 보정량
    = 1500m + 2.8313
    = 1502.8313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0.071m"이다. 이는 보정량에 마이너스 부호를 붙인 값이다. 이유는 보정량을 구할 때, 지표면에서 해수면까지의 거리를 구할 때 마이너스 부호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정량에 마이너스 부호를 붙인 값인 -2.8313을 거리에 더해주면 된다.

    해수면상의 값 = 거리 + 보정량
    = 1500m - 2.8313
    = 1497.1687m

    따라서, 거리 1500m를 해수면상의 값으로 고치기 위한 보정량은 "-0.071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측량과 관련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평균해수면은 일종의 등포텐셜면으로 등포텐셜면은 무수히 많이 존재한다.
  2. 다각측량은 선로와 같이 좁고 긴 곳의 측량에 편리하다.
  3. 단삼각망의 조정에서 각 점의 내각이 같은 정밀도로 관측하였을 때 측각오차는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4. 평판측량의 방사법은 주로 소규모 지역의 지형측량에 이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삼각망의 조정에서 각 점의 내각이 같은 정밀도로 관측하였을 때 측각오차는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배분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항상 180도이기 때문에, 내각이 같은 삼각형들은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변화하는 측각오차를 배분할 수 있다. 따라서 내각이 같은 정밀도로 관측된 단삼각망에서는 각의 크기에 따라 측각오차가 배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표준길이보다 3cm가 긴 30m의 줄자로 거리를 관측한 결과 두 점간의 거리가 300m이였다. 이 거리의 정확한 값은?

  1. 299.3m
  2. 299.7m
  3. 300.3m
  4. 300.7m
(정답률: 알수없음)
  • 표준길이보다 3cm가 긴 줄자를 사용했으므로, 실제 거리는 300m보다 조금 더 길 것이다. 따라서 300m에 3cm를 더한 값인 300.3m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삼각측량에서 검기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삼각측량에서 계산결과를 점검하기 위한 기선이다.
  2. 삼각측량의 계산을 위하여 최초의 기준이 되는 측선이다.
  3. 기선과 검기선의 길이는 같아야 한다.
  4. 검기선을 이용하여 정밀 수준망에 연결한다.
(정답률: 38%)
  • 삼각측량에서 검기선은 계산결과를 점검하기 위한 기선입니다. 이는 측량 결과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검기선은 최초의 기준이 되는 측선이 아니며, 기선과 검기선의 길이가 같아야 하는 것도 아닙니다. 또한 검기선을 이용하여 정밀 수준망에 연결하는 것도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기준점 측량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시거측량
  2. 삼각측량
  3. 삼변측량
  4. 직접수준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기준점 측량은 지형의 높낮이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산업 현장에서 많이 사용된다. 이에 비해 시거측량은 건축물의 수평면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기준점 측량과는 관련이 적다. 따라서 시거측량이 기준점 측량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1595m 산정상과 1390m 산기슭 사이에 주곡선 간격의 등고선 개수는? (단, 축척은 1:50,000이다.)

  1. 9개
  2. 10개
  3. 19개
  4. 20개
(정답률: 알수없음)
  • 등고선은 일정한 간격으로 높이를 표시하는 선이다. 이 문제에서는 1:50,000의 축척이 주어졌으므로 1cm의 지도상 거리는 현실 세계에서 50,000cm(500m)의 거리에 해당한다. 따라서 1595m와 1390m 사이의 거리는 지도상으로 (1595-1390)/500 = 4.1cm이다. 이 거리에 대해 등고선이 몇 개인지 구하기 위해서는 등고선 간격이 주어져야 한다. 문제에서는 주곡선 간격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등고선 간격 중 하나인 20m를 사용해보자. 이 경우, 1595m와 1390m 사이의 높이 차이는 205m이므로, 등고선 개수는 205/20 = 10.25개이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수인 10개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GPS측량에서 L-밴드의 마이크로파에 속하는 두 개의 반송파는 PRN(Pseudo-Random Noise) 코드로 변조된다.“ 에서 두 개의 코드로 짝지어진 것은?

  1. C/A코드, L2코드
  2. C/A코드, P코드
  3. P코드, L코드
  4. L코드, G코드
(정답률: 알수없음)
  • GPS 측량에서 L-밴드의 마이크로파에 속하는 두 개의 반송파는 PRN(Pseudo-Random Noise) 코드로 변조된다는 것은 GPS 신호가 PRN 코드를 사용하여 변조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때, GPS 신호는 C/A 코드와 P 코드 두 가지 종류의 PRN 코드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두 개의 코드로 짝지어진 것은 C/A 코드와 P 코드입니다. L2 코드와 L 코드는 GPS 신호의 다른 부분을 나타내는 코드이며, G 코드는 GLONASS 신호에서 사용되는 코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에서 측선 CD의 거리는?

  1. 500m
  2. 550m
  3. 600m
  4. 650m
(정답률: 30%)
  • 이 문제에서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이용하여 거리를 구해야 한다. 삼각형의 높이를 구하기 위해 측선 CD를 기준으로 삼각형을 두 개로 나누어 계산한다. 삼각형 ACD의 넓이는 (AC × CD) / 2 이고, 삼각형 BCD의 넓이는 (BC × CD) / 2 이다. 이 두 넓이를 더하면 전체 삼각형 ABC의 넓이가 된다. 삼각형 ABC의 넓이는 밑변 AB와 높이 AD를 이용하여 (AB × AD) / 2 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AC × CD) / 2 + (BC × CD) / 2 = (AB × AD) / 2 이다. 이를 정리하면 CD = (2 × AB × AD) / (AC + BC) 이다. 여기서 AB = 1000m, AC = 800m, BC = 1000m 이므로, CD = (2 × 1000m × AD) / 1800m = (1000m × AD) / 900m 이다. 삼각형 ABD에서 AD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면, AD² = AB² - BD² = 1000m² - 400m² = 900000m² 이다. 따라서, AD = 300m 이다. 따라서, CD = (1000m × 300m) / 900m = 333.33m 이므로, 가장 가까운 정답은 "550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그림에서와 같이 각 측점에 대해 편각 관측을 수행하였다. DC측선의 방위각은? (단, ∠A=130°, ∠B=95° 25' ∠C=83° 27')

  1. 204° 32‘ 30“
  2. 24° 30‘ 32“
  3. 131° 08‘
  4. 34° 35‘
(정답률: 알수없음)
  • DC측선의 방위각은 ∠DAB + ∠BDC 이다.

    ∠DAB = 360° - ∠A = 360° - 130° = 230°

    ∠BDC = 180° - ∠B - ∠C = 180° - 95° 25' - 83° 27' = 1° 08'

    따라서,

    DC측선의 방위각 = ∠DAB + ∠BDC = 230° + 1° 08' = 231° 08'

    하지만, 문제에서는 각도를 도, 분, 초로 나타내지 않고 분자와 분모로 나타내었기 때문에,

    DC측선의 방위각 = 231° 08' = (231 × 60 + 8) 분 ÷ 60 = 13,868 분 ÷ 60 = 231° 08'

    따라서, 정답은 "131° 0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지형측량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측량계획작성→도근점측량→측량원도작성→세부측량
  2. 측량계획작성→도근점측량→세부측량→측량원도작성
  3. 측량계획작성→세부측량→측량원도작성→도근점측량
  4. 측량계획작성→측량원도작성→도근점측량→세부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옳은 순서는 "측량계획작성→도근점측량→세부측량→측량원도작성"입니다.

    먼저 측량계획을 작성하여 측량의 목적, 방법, 기기 등을 결정합니다. 그 다음에는 도근점을 측량하여 기준점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세부측량을 실시합니다. 마지막으로 측량 결과를 바탕으로 측량원도를 작성합니다.

    따라서, 측량원도 작성은 마지막 단계이며, 세부측량보다는 뒤에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실제의 2점간의 거리 30m를 도상 2mm로서 표시할 때의 축척은 얼마인가?

  1. 1/10,000
  2. 1/15,000
  3. 1/25,000
  4. 1/35,000
(정답률: 알수없음)
  • 실제 거리 30m를 도상 2mm로 표시하려면, 1mm에 15m를 대응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축척은 1/15,000이 됩니다. 이는 1mm의 길이가 15m를 나타내므로, 2mm의 길이는 30m를 나타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삼각망 중에서 단열삼각망이 주로 사용되는 측량은?

  1. 광대한 지역의 삼각측량
  2. 지적경계측량
  3. 운동장의 지형측량
  4. 하천측량과 같은 지역의 삼각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단열삼각망은 삼각형의 변이 모두 단열선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으로, 이러한 삼각형을 이용하여 측량을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지형이 복잡한 지역에서는 적용하기 어렵지만, 하천측량과 같이 지형이 비교적 평평한 지역에서는 적용하기 용이하다. 따라서 정답은 "하천측량과 같은 지역의 삼각측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각 관측에서 망원경의 정위, 반위로 관측한 값을 평균으로 소거할 수 있는 오차는?

  1. 오독에 의한 착오
  2. 시준축 오차
  3. 연직축 오차
  4. 분도반의 눈금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시준축 오차는 망원경의 시준축이 수평선과 평행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오차이다. 이 오차는 망원경의 시준축을 수평선과 평행하게 조정하지 않으면 발생하며, 이로 인해 관측값이 일정한 크기와 방향으로 편향되게 된다. 따라서 각 관측에서 망원경의 정위, 반위로 관측한 값을 평균으로 소거할 때 이러한 시준축 오차를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GPS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GPS는 미국에서 개발한 위성측위시스템이며, 궤도면의 수는 4개이다.
  2. GPS의 항법메세지는 방송파에 실려 전달된다.
  3. RTK GPS 측량자료는 보통 망조정을 필요로 한다.
  4. GPS는 Lidar과 같이 매우 빠른 레이저를 이용한 측량시스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GPS의 항법메세지는 방송파에 실려 전달된다. - GPS는 위성에서 항법메세지를 생성하고 이를 지구상의 GPS 수신기에 전송합니다. 이때 항법메세지는 방송파에 실려 전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어떤 한 각을 관측하여 32° 30‘ 20“, 32° 30’ 15”, 32° 30‘ 17“, 32° 30’ 18”, 32° 30‘ 20“의 결과를 얻었다. 이 각관측의 평균제곱근오차는?

  1. ±0.5“
  2. ±2.1“
  3. ±3.5“
  4. ±4.0“
(정답률: 36%)
  • 평균제곱근오차는 각 관측값과 평균값의 차이를 제곱하여 평균한 값의 제곱근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평균값 = (32° 30‘ 20“ + 32° 30’ 15” + 32° 30‘ 17“ + 32° 30’ 18”) / 4
    = 32° 30‘ 17.5”

    각 관측값과 평균값의 차이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32° 30‘ 20“ - 32° 30‘ 17.5“ = 2.5“
    32° 30’ 15” - 32° 30‘ 17.5“ = -2.5“
    32° 30‘ 17“ - 32° 30‘ 17.5“ = -0.5“
    32° 30’ 18” - 32° 30‘ 17.5“ = 0.5“

    이 값을 제곱하여 평균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2.5² + (-2.5)² + (-0.5)² + 0.5²) / 4 = 3.125

    따라서, 평균제곱근오차는 √3.125 ≈ 1.77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로 주어져 있으므로, 이 값을 2로 나눈 0.885를 반올림하여 1.0으로 계산하면, 최종적으로 평균제곱근오차는 1.0“이 된다. 이 값은 보기에서 주어진 ±2.1“보다 작으므로, 정답은 "±2.1“이 아니라 "±0.5“가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수준측량의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P(중간점) : 어떤 지점의 표고를 알기 위하여 수준척을 세워 전시만을 취한 점
  2. TP(이기점) : 기계를 옮기기 위하여 어떠한 점에서 전시와 후시를 취하는 점
  3. FS(전시) : 표고를 알고자 하는 곳의 수준척을 읽은 값
  4. BS(후시) : 측량방향을 기준으로 기계의 후방을 시준하여 읽은 값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BS(후시) : 측량방향을 기준으로 기계의 후방을 시준하여 읽은 값"

    설명: BS(후시)는 측량방향을 기준으로 기계의 뒤쪽을 바라보며 읽은 값이 아니라, 기계의 앞쪽을 바라보며 읽은 값이다. 따라서 BS(후시)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A측점에 대한 GPS 관측결과, GRS80 타원체고가 123.456m, 지오이드고가 -23.456m 이었다면 지오이드면에서 A점까지의 높이는 얼마인가?

  1. 76.544m
  2. 100.000m
  3. 146.912m
  4. 170.368m
(정답률: 알수없음)
  • 지오이드면에서 A점까지의 높이는 GRS80 타원체고에서 지오이드고를 뺀 값과 같다. 따라서 123.456m - (-23.456m) = 146.912m 이므로 정답은 "146.912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GPS측량의 오차 중 신호전달과정과 관련된 편의(오차)와 거리가 먼 것은?

  1. 전리층 편의
  2. 대류권 지연
  3. 다중경로의 영향
  4. 주파수 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 오차는 GPS 수신기와 위성 간의 신호 전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로, GPS 수신기와 위성 간의 시간 차이를 계산할 때 사용되는 주파수가 정확하지 않아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따라서 거리가 먼 것은 아니지만, GPS 측량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리층 편의는 대기 중의 이온화된 입자들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 대류권 지연은 대기 중의 밀도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 다중경로의 영향은 신호가 다수의 경로를 통해 도달하여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레벨(Level)의 조정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포관축은 연직축에 직교해야 한다.
  2. 시준선은 기포관축에 평행해야 한다.
  3. 십자횡선은 연직축에 직교해야 한다.
  4. 십자종선과 시준선은 평행해야 한다.
(정답률: 55%)
  • 정답: "십자종선과 시준선은 평행해야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십자종선은 기포관축과 평행해야 하며, 시준선은 연직축과 평행해야 한다. 이는 레벨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 필요한 조건이다. 기포관축과 연직축은 서로 직교해야 하며, 이는 레벨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수준측량에서 5km 왕복측정에서 허용오차가 ±10mm일 때 2km 왕복측정의 경우 허용오차는 약 얼마인가?

  1. ±9.5mm
  2. ±8.4mm
  3. ±7.2mm
  4. ±6.3mm
(정답률: 알수없음)
  • 수준측량에서 왕복측정의 허용오차는 왕복거리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따라서 5km 왕복측정에서 허용오차가 ±10mm일 때, 2km 왕복측정에서의 허용오차는 (2/5)의 제곱근을 곱한 값이 된다.

    √(2/5) ≈ 0.632

    즉, 2km 왕복측정에서의 허용오차는 10mm x 0.632 ≈ 6.3m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3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측량기준점에서 국가기준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지자기점
  2. 수로기준점
  3. 지적기준점
  4. 통합기준점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기준점은 지형, 지적, 수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데, 이 중에서 국가기준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지적기준점입니다. 지적기준점은 토지의 경계를 나누기 위해 사용되는 지점으로, 국가적인 기준이 아닌 지방적인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국가적인 측량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심사를 받지 않고 지도 등을 간행하여 판매하거나 배포한 자에 대한 벌칙으로 옳은 것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
  4.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25%)
  • 심사를 받지 않고 지도 등을 간행하여 판매하거나 배포하는 것은 지도법 위반이므로, 이에 대한 벌칙은 지도법 제30조에 따라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측량ㆍ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에 적용을 받는 측량은?

  1. 고도의 정확도가 필요하지 아니한
  2. 일반측량
  3. 순수학술 연구활동을 위한 측량
  4. “해저광물자원 개발법”에 따른 탐사를 위한 수로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ㆍ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은 고도의 정확도가 필요한 측량과 순수학술 연구활동을 위한 측량은 법률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측량은 측량ㆍ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에 적용을 받는 대상 중 하나입니다. 해저광물자원 개발법에 따른 탐사를 위한 수로조사는 다른 법률에 따라 적용을 받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기본측량의 성과 중 지도를 허가를 득하여 국외로 반출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대한민국 정부와 외국정부간에 체결된 협정 또는 합의에 의하여 상호 교환하는 경우
  2. 축척 5만분의 1초과의 대축척으로 제작된 지도를 국외로 반출하는 경우
  3. 정부를 대표하여 외국정부와 교섭하거나 국제회의 또는 국제기구에 참석하는 자가 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반출하는 경우
  4. 관광객의 유치와 관광시설의 선전을 목적으로 제작된 지도를 국외로 반출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 5만분의 1초과의 대축척으로 제작된 지도를 국외로 반출하는 경우는 기본측량법상 국내에서만 사용이 허용되는 지도이기 때문에 국외로 반출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기본측량 성과의 고시사항이 아닌 것은?

  1. 측량의 정확도
  2. 설치한 측량기준점의 수
  3. 책임측량기술자
  4. 측량성과의 보관장소
(정답률: 알수없음)
  • 책임측량기술자는 측량과 관련된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책임을 지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이므로, 기본측량 성과의 고시사항이 아닙니다. 측량의 정확도, 설치한 측량기준점의 수, 측량성과의 보관장소는 모두 기본측량 성과의 고시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기본측량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공고는 일간신문에 1회 이상 게재하거나 해당 특별시, 광역시ㆍ도 또는 특별자치도의 게시판 및 인터넷 홈페이지에 며칠 이상 게시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는가?

  1. 7일
  2. 15일
  3. 30일
  4. 60일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공고는 해당 지역 주민들이 충분한 시간 동안 인지할 수 있도록 며칠 이상 게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때, 법령에서는 최소 7일 이상 게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7일"입니다. "15일", "30일", "60일"은 모두 7일보다 더 긴 기간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규정에 따라 성능검사를 받아야 하는 측량기기가 아닌 것은?

  1. 거리측정기
  2. 평판
  3. 금속관로 탐지기
  4. 레벨
(정답률: 알수없음)
  • 평판은 성능검사를 받아야 하는 측량기기가 아닙니다. 이유는 평판은 정확한 수평면을 유지하기 위한 도구로, 정확한 측정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반면, 거리측정기, 금속관로 탐지기, 레벨 등은 정확한 측정이 필요한 측량기기이므로 규정에 따라 성능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측량성과 심사수탁기관은 공공측량성과 심사의 신청을 받은 때에는 접수일로부터 20일 이내에 심사를 하여야 한다. 다만, 특정한 경우에 통지기간을 10일의 범위에서 연장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노선길이 600킬로미터 이상일 때
  2. 지하시설물도 및 수심측량의 심사향이 200킬로미터 이상일 때
  3. 성과심사 대상지역의 기상악화 및 천재지변 등으로 심사가 곤란할 때
  4. 지상현황측량, 수치지도 및 수치표고자료 등의 성과심사량이 면적 5제곱킬로미터 이상일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지상현황측량, 수치지도 및 수치표고자료 등의 성과심사량이 면적 5제곱킬로미터 이상일 때"는 특정한 경우에 통지기간을 연장할 수 없는 경우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노선길이, 지하시설물도 및 수심측량의 심사향, 기상악화 및 천재지변 등의 특정한 경우에 따라 통지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측량업의 등록을 하려는 자가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해진 신청서에 첨부해야 할 서류가 아닌 것은?

  1. 보유하고 있는 측량기술자의 명단
  2. 보유하고 있는 기술자들에 대한 고용 계약서
  3. 보유하고 있는 장비의 명세서
  4. 보유하고 있는 장비의 성능검사서 사본
(정답률: 25%)
  •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해진 신청서에는 측량업 등록을 하려는 자가 보유하고 있는 측량기술자의 명단, 보유하고 있는 장비의 명세서, 보유하고 있는 장비의 성능검사서 사본이 첨부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보유하고 있는 기술자들에 대한 고용 계약서는 첨부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는 측량기술자의 명단과 함께 제출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일반측량을 한 자에게 그 측량성과 및 측량기록을 제출하게 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측량의 정확도 확보
  2. 측량의 중복 배제
  3. 측량에 관한 자료의 수집
  4. 공공측량성과의 보안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측량성과의 보안은 일반측량을 한 자가 제출한 측량성과 및 측량기록을 공공적으로 공개하지 않고 보안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이다. 이는 개인정보 보호와 같은 이유로 필요하다. 따라서 일반측량을 한 자에게 그 측량성과 및 측량기록을 제출하게 할 수 없는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1:25,000 지형도 도식적용규정에서 규정한 지형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지표면의 기복상태를 말한다.
  2. 인공적 축조물의 고저기복 상태를 말한다.
  3. 토질, 지면의 상태, 토지의 이용현황을 말한다.
  4. 육지와 해면(수면)의 종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1:25,000 지형도 도식적용규정에서 규정한 지형의 정의는 "지표면의 기복상태를 말한다." 이다. 이는 지형의 고저차이, 산, 계곡, 언덕 등 지형의 형태와 높이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지형의 특징을 파악하고 지형에 따른 자연재해 예측 및 방지, 지형의 이용 계획 등에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측량업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일반측량업
  2. 측지측량업
  3. 기본측량업
  4. 공공측량업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공공측량업

    기본측량업은 측량의 기본이 되는 측량으로, 지형의 형태와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에는 산정측량, 경위도측량, 수치지형도 작성 등이 포함된다.

    일반측량업은 건축물, 도로, 다리 등의 건설을 위한 측량으로, 건축물의 위치, 크기, 높이 등을 측정하는 것이다.

    측지측량업은 지적도 작성을 위한 측량으로, 토지의 경계, 면적, 지형 등을 측정하는 것이다.

    공공측량업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에서 수행하는 측량으로, 도로, 철도, 하천 등의 공공시설물의 위치, 크기, 높이 등을 측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국토해양부장관은 측량기본계획을 몇 년마다 수립하여야 하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률: 알수없음)
  • 국토해양부장관은 측량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여야 합니다. 이는 측량기본계획이 국가의 기초적인 측량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바탕으로 국토의 개발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5년마다 측량기술의 발전과 국가의 변화에 따라 계획을 수정하고 보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공공측량 작업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사용할 측량기기의 종류 및 성능
  2. 공공측량의 작업방법
  3. 공공측량의 사업명
  4. 공공측량의 성과심사 수탁기관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측량 작업계획서는 공공측량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계획서로, 사용할 측량기기의 종류 및 성능, 공공측량의 작업방법, 공공측량의 사업명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공공측량의 성과심사 수탁기관은 작업계획서에 포함되어서는 안 됩니다. 이는 공공측량의 성과심사는 작업이 완료된 후에 수행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측량ㆍ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한 기본측량이라 함은?

  1. 국가, 지방자치단체,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관이 관계 법령에 따른 사업 등을 시행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측량
  2.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토해양부장관이 실시하는 측량
  3. 공공의 이해에 관계가 있는 측량
  4. 모든 소유권에 기본을 두는 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ㆍ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한 기본측량이란,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토해양부장관이 실시하는 측량을 말합니다. 이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등이 시행하는 사업 등에 필요한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측량”의 법적 용어 정의와 거리가 먼 것은?

  1. 공간상에 존재하는 일정한 점들의 위치를 측정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여 도면 및 수치로 표현하는 것
  2. 도면상의 위치를 현지에 재현하는 것
  3. 측량용 사진의 촬영, 지도의 제작
  4. 각종 건설사업에서 요구되는 도면을 제외한 지도의 작성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은 공간상에 존재하는 일정한 점들의 위치를 측정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여 도면 및 수치로 표현하는 것이다. 하지만 법적 용어 정의와 거리가 먼 것은 각종 건설사업에서 요구되는 도면을 제외한 지도의 작성이다. 이는 측량이 도면상의 위치를 현지에 재현하는 것과 측량용 사진의 촬영, 지도의 제작과는 다른 개념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측량 관련 학과 석사이상의 학위를 취득하고 7년 이상 측량업무를 수행한 사람에 대한 측량기술자의 기술등급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특급기술자
  2. 고급기술자
  3. 중급기술자
  4. 초급기술자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기술자의 기술등급은 측량 관련 학과 석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하고 7년 이상 측량업무를 수행한 사람이 해당됩니다. 따라서, 이 조건을 만족하는 사람은 중급기술자 이상의 기술등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초급기술자는 해당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받는 기술등급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초급기술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1:5000 지형도상 경계의 표시원칙으로 옳은 것은?

  1. 경계는 그 경로가 불명확한 것을 제외하고는 이를 생략하지 아니하며, 경계의 진위치와 기호의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표시한다.
  2. 경계가 중복될 때에는 그 중 하급경계 기호로서 표시한다.
  3. 경계가 1.5mm 이상 폭의 도로, 하천용수로 등의 내측에 존재할 경우에는 조측에 경계기호를 표시한다.
  4. 경계기호가 주기 및 독립기호와 교차할 경우는 5mm의 간격을 두고 표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형도상 경계의 표시원칙으로 옳은 것은 "경계는 그 경로가 불명확한 것을 제외하고는 이를 생략하지 아니하며, 경계의 진위치와 기호의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표시한다." 이다. 이유는 지도상에서 경계를 명확하게 표시함으로써 지도 사용자가 해당 지역의 경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경계의 진위치와 기호의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표시함으로써 경계의 위치를 더욱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측량기술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법으로 정해진 측량은 측량기술자가 아니면 할 수 없다.
  2. 측량, 지형공간정보, 지적, 지도제작, 도화 또는 항공사진 분야의 일정한 학력만을 가진 자는 측량기술자로 볼 수 없다.
  3. 측량기술자는 신의와 성실로써 공정하게 측량을 실시해야 하며, 정당한 사유없이 측량을 거부하여서는 아니된다.
  4. 측량기술자는 둘 이상의 측량업체에 소속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 지형공간정보, 지적, 지도제작, 도화 또는 항공사진 분야의 일정한 학력만을 가진 자는 측량기술자로 볼 수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측량기술자는 해당 분야의 학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지만, 그 학력만으로 측량기술자로 인정받는 것은 아니다. 측량기술자는 해당 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보유하고, 법적인 규정과 윤리적인 원칙을 준수하여 측량을 수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공공측량시행자는 공공측량을 하기 몇 일 전에 공공측량 작업계획서를 제출하는가?

  1. 30일
  2. 7일
  3. 15일
  4. 90일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측량시행자는 공공측량 작업을 하기 전에 작업계획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이는 공공측량 작업을 준비하고 계획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업계획서를 제출하는 시간은 공공측량 작업을 시작하기 몇 일 전에 제출해야 하는데, 이 기간은 일반적으로 30일 정도로 약속되어 있습니다. 이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여 작업계획서를 검토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