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5-09)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2010-05-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측량

1. 지표에 설치된 중심선을 기준으로 터널 입구에서 굴착을 시작하고 굴착이 진행됨에 따라 터널 내의 중심선을 설정하는 작업은?

  1. 예측
  2. 조사
  3. 지하설치
  4. 지표설치
(정답률: 알수없음)
  • 지표에 설치된 중심선은 지표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터널 굴착을 시작하면 지하로 들어가게 되어 지표선을 참조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굴착이 진행됨에 따라 터널 내의 중심선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지하에 새로운 중심선을 설치해야 합니다. 이를 지하설치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철도 곡선부의 캔트량을 계산할 때 필요 없는 요소는?

  1. 궤간
  2. 속도
  3. 교각
  4. 곡선의 반지름
(정답률: 알수없음)
  • 철도 곡선부의 캔트량은 궤간, 속도, 곡선의 반지름에 따라 결정되는데, 교각은 캔트량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교각은 철도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이지만, 캔트량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교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경관을 일반적으로 경관구성 요소에 의하여 시점계, 대상계, 경관장계, 상호계로 구분할 때 경관장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인식의 주체
  2. 인식대상이 되는 사물
  3. 대상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
  4. 각 구성요인과 성격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
(정답률: 30%)
  • 경관장계는 대상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의미합니다. 이는 인식대상이 되는 대상을 더욱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경관장계는 인식의 주체와 인식대상이 되는 사물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를 더욱 확실하게 만들어주는 중요한 구성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완화곡선의 캔트(cant)계산에서 동일한 조건에서 반지름만을 2배로 증가시키면 캔트는?

  1. 4배로 증가
  2. 2배로 증가
  3. 1/2로 감소
  4. 1/4로 감소
(정답률: 알수없음)
  • 완화곡선의 캔트는 반지름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반지름을 2배로 증가시키면 캔트는 1/4로 감소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2로 감소"인 이유는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두점 AB를 연결하는 터널을 굴진하고자 한다. A점의 좌표는 (1000.00, 1000.00)이고 B점의 좌표는 (2000.00, 1820.55)일 때 터널의 거리는? (단, 좌표의 단위는 m이다.)

  1. 2704.52m
  2. 2305.31m
  3. 1799.44m
  4. 1293.56m
(정답률: 70%)
  •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x2-x1)² + (y2-y1)²)

    여기서 (1000.00, 1000.00)과 (2000.00, 1820.55)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2000.00-1000.00)² + (1820.55-1000.00)²)

    = √((1000.00)² + (820.55)²)

    = √(1,000,000 + 673,672.25)

    = √1,673,672.25

    = 1293.56m

    따라서 정답은 "1293.56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지구에 연직방향인 A, B 2개의 수직 터널에 의해서 터널 내외를 연결하는 경우, 터널 외에서 수직 터널간의 거리가 400m일 때, 수직 터널 깊이가 500m라면 터널 내에서의 두 수직 터널간 거리는? (단, 지구는 반지름 6370km의 구로 가정한다.)

  1. 399.969m
  2. 399.992m
  3. 400.008m
  4. 400.031m
(정답률: 알수없음)
  • 지구의 반지름을 R이라고 하면, 수직 터널간의 거리는 Rcosθ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θ는 지구의 중심에서 두 수직 터널을 잇는 직선과 지구의 표면이 이루는 각도이다.

    먼저 수직 터널간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 삼각함수를 이용해 θ를 구해보자.

    cosθ = 인접변(지구의 반지름) / 빗변(지구의 반지름 + 수직 터널 깊이)
    = 6370 / (6370 + 500)
    = 0.926

    따라서 θ는 약 22.6도이다.

    이제 터널 내에서의 두 수직 터널간 거리를 구해보자. 이 거리는 θ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Rcos(90 - θ) - Rcosθ

    = Rsinθ - Rcosθ

    = 6370sin22.6 - 6370cos22.6

    = 399.969m

    따라서 정답은 "399.969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댐 측량의 일반적 순서는?

  1. 조사계획측량-실시설계측량-안전관리측량
  2. 조사계획측량-안전관리측량-실시설계측량
  3. 실시설계측량-조사계획측량-안전관리측량
  4. 실시설계측량-안전관리측량-조사계획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댐 측량의 일반적인 순서는 조사계획측량, 실시설계측량, 안전관리측량 순서이다. 이는 먼저 조사계획을 수립하고, 그에 따라 실시설계측을 진행한 후 안전관리측량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사계획측량-실시설계측량-안전관리측량"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표와 같은 트래버스 계산에서 △ABC의 면적은?

  1. 756.35m2
  2. 783.53m2
  3. 1449.52m2
  4. 2142.68m2
(정답률: 알수없음)
  • 트래버스 계산에서 △ABC의 면적은 밑변과 높이를 알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 밑변은 AC이고, 높이는 BD입니다.

    우선, 삼각형 ABD와 CBD의 면적을 구해보겠습니다.

    삼각형 ABD의 면적은 (AB × BD) ÷ 2 = (12 × 9) ÷ 2 = 54입니다.

    삼각형 CBD의 면적은 (BC × BD) ÷ 2 = (15 × 9) ÷ 2 = 67.5입니다.

    따라서 △ABC의 면적은 △ABD와 △CBD의 면적을 더한 값에서 △ABD와 △CBD의 겹치는 부분의 면적을 빼면 됩니다.

    △ABD와 △CBD의 겹치는 부분은 사다리꼴의 면적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사다리꼴의 밑변은 AD와 BC의 합인 27이고, 높이는 BD입니다. 따라서 사다리꼴의 면적은 (27 × 9) ÷ 2 = 121.5입니다.

    따라서 △ABC의 면적은 (54 + 67.5) - 121.5 = 783입니다.

    단위를 붙이면 783m2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783.53m2"이 아니라 "783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단곡선 설치에서 접선과 현이 이루는 각을 이용하는 곡선설치 방법으로 정확도가 비교적 높아 많이 이용되는 것은?

  1. 접선에 대한 지거법
  2. 지거에 의한 설치법
  3. 장현에서 종거에 의한 설치법
  4. 편각에 의한 설치법
(정답률: 알수없음)
  • 편각에 의한 설치법은 단곡선 상에서 접선과 현이 이루는 각을 이용하여 곡선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접선과 현이 이루는 각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아 많이 이용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편각에 의한 설치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하천측량을 통해 유속(V)과 유적(A)을 관측하여 유량(Q)을 계산하는 공식은?

  1. Q=AㆍV
  2. Q=A2ㆍV
(정답률: 알수없음)
  • 유량(Q)은 단위 시간당 흐르는 물의 양을 나타내는 값이며, 이는 유속(V)과 유적(A)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유속은 단위 시간당 흐르는 물의 양을 단위 면적으로 나눈 값이며, 유적은 단위 시간당 흐르는 물의 양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유속과 유적을 곱한 값인 AㆍV는 단위 시간당 흐르는 물의 양을 나타내므로, 이를 유량(Q)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Q=Aㆍ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지상 9km2의 면적을 지도상에서 36cm2로 표시하기 위한 축척은?

  1. 1:30000
  2. 1:40000
  3. 1:50000
  4. 1:60000
(정답률: 알수없음)
  • 면적의 비율과 길이의 비율은 제곱근 관계이므로, 지상 1km2를 지도상에서 표시하기 위한 축척은 1:1000 x 1:1000 = 1:1,000,000 이다. 따라서, 지상 9km2를 지도상에서 표시하기 위한 축척은 1:1,000,000 x 9 = 1:9,000,000 이다. 이를 지도상에서 36cm2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1cm2에 9,000,000 ÷ 36 = 250,000의 면적이 들어가야 한다. 따라서, 1:250,000의 축척이 필요하며, 이는 보기 중에서 "1:50000"이 아닌 다른 보기들보다 큰 값이므로 정답은 "1:5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하천측량에서 수애선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애선은 평수위에 따른 경계선이다.
  2. 수애선은 교호수준측량에 의해 결정된다.
  3. 수애선은 수면과 하안의 경계선을 말한다.
  4. 수애선은 동시관측에 의한 방법과 심천측량에 의한 방법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애선은 교호수준측량에 의해 결정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수애선은 평수위에 따른 경계선이며, 수면과 하안의 경계선을 말한다. 교호수준측량은 하천의 수위를 측정하여 수위변화에 따른 하천의 지형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수애선은 수위변화와는 관계없이 하안과 수면의 경계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교호수준측량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세변이 30m, 40m, 50m인 삼각형의 면적은 얼마인가?

  1. 1200m2
  2. 900m2
  3. 600m2
  4. 300m2
(정답률: 80%)
  • 해론의 공식을 이용하여 삼각형의 면적을 구할 수 있다. 해론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면적 = √(s(s-a)(s-b)(s-c))

    여기서 s는 삼각형의 둘레의 절반을 의미하고, a, b, c는 각각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s = (30+40+50)/2 = 60 이다. 그리고 a=30, b=40, c=50 이므로,

    면적 = √(60(60-30)(60-40)(60-50)) = √(60×30×20×10) = √(1800000) = 600

    따라서 정답은 "600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원곡선의 설치에 필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1. 접선길이(T.L)
  2. 이정량(△R)
  3. 곡선길이(C.L)
  4. 외할(E)
(정답률: 알수없음)
  • 원곡선의 설치에 필요한 요소는 접선길이(T.L), 곡선길이(C.L), 외할(E)이다. 이정량(△R)은 곡률반경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값으로, 원곡선 설치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요소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은 도로계획면을 만들고자 한다. 이 단면의 넓이는 얼마인가? (단, 좌표의 단위 : m)

  1. 122.0m2
  2. 98.0m2
  3. 87.6m2
  4. 78.8m2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하천의 유속측정에 있어서 최소유속, 최대유속, 평균유속, 표면유속의 4가지 유속은 크기가 다르게 나타난다. 이 4가지 유속을 하천의 표면에서부터 하저에 이르기까지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순서대로 옳게 열거한 것은?

  1. 표면유속-최대유속-최소유속-평균유속
  2. 표면유속-평균유속-최대유속-최소유속
  3. 표면유속-최소유속-평균유속-최대유속
  4. 표면유속-최대유속-평균유속-최소유속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표면유속-최대유속-최소유속-평균유속"이다.

    하천의 표면에서부터 하저로 내려갈수록 유속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표면에서는 유속이 가장 높고, 하저에 가까워질수록 유속이 낮아진다. 이에 따라 최대유속은 하천의 유속 중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며, 이는 보통 하천의 중앙 부분에서 나타난다. 최소유속은 하천의 유속 중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며, 이는 보통 하천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나타난다. 평균유속은 하천 전체의 유속을 평균한 값이며, 이는 하천의 유속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표면유속은 하천의 표면에서 나타나는 유속으로, 이는 하천의 유속 중 가장 높은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하천측량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수위관측
  2. 조석관측
  3. 유속관측
  4. 유량관측
(정답률: 알수없음)
  • 조석관측은 하천측량과는 관련이 없는 측정 방법으로, 조석(물이 흐르는 방향을 바꾸는 물체)의 위치와 방향을 측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하천의 수위, 유속, 유량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하천의 유속 측정에 있어서 수면으로부터 깊이가 0.2h, 0.6h, 0.8h인 지점의 유속이 0.562m/sec, 0.497m/sec, 0.364m/sec일 때, 평균 유속이 0.480m/sec 이었다면 이 평균 유속을 구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단, h : 하천의 수심)

  1. 1점법
  2. 2점법
  3. 3점법
  4. 4점법
(정답률: 87%)
  • 정답은 "3점법"입니다.

    3점법은 하천의 유속을 측정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하천의 수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3개의 지점에서 유속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유속 측정 지점은 수면으로부터 0.2h, 0.6h, 0.8h인 지점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평균 유속은 이 3개의 지점에서 측정된 유속을 이용하여 계산됩니다. 이 경우, 각 지점에서 측정된 유속을 가중평균하여 계산합니다. 가중치는 각 지점에서의 유속 측정 지점과 수면 간의 거리에 반비례합니다. 따라서, 수면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 측정된 유속은 더 작은 가중치를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평균 유속을 구하기 위해 사용된 방법은 3점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단곡선 설치시 교각 60°, 반지름 200m일 경우 접선장은 얼마인가?

  1. 105.47m
  2. 115.47m
  3. 116.47m
  4. 117.47m
(정답률: 알수없음)
  • 접선장은 곡선과 접하는 선분의 길이를 말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교각의 각도와 반지름이 주어졌으므로,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접선장을 구할 수 있습니다.

    먼저, 교각의 중심각은 120°입니다. 이는 전체 원의 중심각 360°에서 교각의 각도 60°를 뺀 값입니다. 따라서 교각의 중심각에 해당하는 호의 길이는 (120/360) × 2π × 200 = 41.89m입니다.

    이제, 교각의 중심에서 교각의 끝까지의 거리를 구해야 합니다. 이 거리는 교각의 길이와 같으며, 이는 반지름 200m에서 교각의 중심각에 해당하는 호의 길이를 빼면 구할 수 있습니다. 즉, (200 × 2π × 120/360) - 200 = 58.11m입니다.

    마지막으로, 이 거리를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접선장으로 변환합니다. 교각의 끝과 원의 접점을 잇는 선분이 접선이므로, 이 선분의 길이를 구하면 됩니다. 이를 구하기 위해, 교각의 끝과 원의 중심을 잇는 선분의 길이를 구한 후, 이를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합니다. 즉, √(200² - 58.11²) × tan(60°/2) × 2 = 115.47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15.47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노선측량의 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클로소이드 곡선은 완화곡선의 일종이다.
  2. 철도의 종단곡선은 주로 원곡선이 사용된다.
  3. 클로소이드 곡선은 고속도로에 적합하다.
  4. 클로소이드 곡선은 곡률이 곡선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클로소이드 곡선은 고속도로에 적합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클로소이드 곡선은 물리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곡선으로, 두 점 사이를 가장 빠르게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고속도로와 같이 직선적인 도로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클로소이드 곡선의 곡률이 곡선의 길이에 반비례하는 이유는, 클로소이드 곡선이 무한히 반복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곡선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곡선의 곡률은 작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촬영고도 3000m, 초점거리 20cm인 카메라로 평지를 촬영한 밀착사진의 크기가 23cm×23cm이고, 종중복도 54%, 횡중복도 30%인 연직사진의 스테레오 모델(stereomodel)의 면적은?

  1. 6.83km2
  2. 5.83km2
  3. 4.83km2
  4. 3.83km2
(정답률: 30%)
  • 촬영고도 3000m에서 평지를 촬영한 밀착사진의 크기가 23cm×23cm이므로, 이를 통해 실제 평면 면적을 구할 수 있다.

    23cm × 23cm = 0.23m × 0.23m = 0.0529m2

    종중복도와 횡중복도를 고려하여 스테레오 모델의 면적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면적 = (평면 면적) × (1 - 종중복도) × (1 - 횡중복도)
    = 0.0529m2 × (1 - 0.54) × (1 - 0.3)
    = 0.0529m2 × 0.46 × 0.7
    = 0.0169m2

    이제 이 값을 다시 평면 면적으로 변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 스테레오 모델의 높이를 구해야 하는데, 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높이 = (초점거리) × (촬영고도) / (촬영고도 - 초점거리)
    = 0.2m × 3000m / (3000m - 0.2m)
    ≈ 600m

    따라서 스테레오 모델의 면적은 다음과 같다.

    면적 = (평면 면적) × (높이)
    = 0.0169m2 × 600m
    = 10.14m2 = 0.001014km2

    따라서 정답은 "3.83km2"이 아닌 "0.001014k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초점거리가 200mm인 카메라로 해면고도 2500m의 항공기에서 평균해발 300m의 지역을 촬영하였을 때 사진축척은?

  1. 1:10000
  2. 1:11000
  3. 1:12500
  4. 1:14000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진축척은 초점거리와 항공기와 지면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이 경우, 초점거리가 200mm이므로, 사진축척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사진축척 = 초점거리 / (항공기 고도 - 지면 해발고도)

    = 200 / (2500 - 300)

    = 200 / 2200

    = 1/11

    즉, 사진축척은 1:11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10000, 1:11000, 1:12500, 1:14000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이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은 1:11000이므로, 정답은 1:11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편위수정에 있어서 만족해야 할 3가지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샤임 프러그 조건
  2. 타이 포인트 조건
  3. 광학적 조건
  4. 기하학적 조건
(정답률: 62%)
  • 옳지 않은 것은 "광학적 조건"입니다.

    편위수정에 있어서 만족해야 할 3가지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샤임 프러그 조건 (Shim-Plate Condition) : 편광판을 통과한 빛이 편광축과 수직이 되도록 하는 조건
    2. 타이 포인트 조건 (Tilt Condition) : 표면의 기울기가 일정 범위 이내여야 하는 조건
    3. 기하학적 조건 (Geometric Condition) : 표면의 곡률이 일정 범위 이내여야 하는 조건

    타이 포인트 조건은 표면의 기울기가 일정 범위 이내여야 하는 조건으로, 편광판을 통과한 빛이 표면에서 반사되어 다시 편광판을 통과할 때 편광축과 수직이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반사된 빛이 편광축과 일치하지 않아 광학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영상을 취득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관측이 좁은 시야각으로 행하여지므로 얻어진 영상은 정사투영영상에 가깝다.
  2. 회전 주기가 일정하므로 반복적인 관측이 가능하다.
  3. 다중 파장대 영상은 이용한 다양한 정보의 취득이 가능하다.
  4. 필요한 시점의 영상을 신속하게 수신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관측이 좁은 시야각으로 행하여지므로 얻어진 영상은 정사투영영상에 가깝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필요한 시점의 영상을 신속하게 수신할 수 있는 이유는 인공위성이 지구 주변을 고속으로 돌면서 지구의 모든 지역을 관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인공위성은 궤도를 일정한 주기로 돌며, 이를 반복적으로 관측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다중 파장대 영상을 이용하여 지구의 특정 지역을 다양한 각도와 파장으로 관측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GIS 자료의 저장방식은 파일 저장방식과 DBMS(Data Base Management System)방식으로 구분할 때 파일 저장방식에 비해 DBMS 방식이 갖는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료의 신뢰도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2. 새로운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용이하다.
  3. 시스템이 간단하여 경제적이다.
  4. 사용자 요구에 맞는 다양한 양식의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정답률: 50%)
  • "시스템이 간단하여 경제적이다."는 DBMS 방식의 특징이 아니라 파일 저장방식의 특징입니다. 파일 저장방식은 간단하고 경제적이지만, 자료의 신뢰도가 유지되지 않고 새로운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DBMS 방식은 자료의 신뢰도를 유지하고 새로운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용이하며, 다양한 양식의 자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상호표정의 인자로만 짝지어진 것은?

  1. k, bx
  2. λ, by
  3. Ω, Sx
  4. ω, bz
(정답률: 60%)
  • 상호표정의 인자는 대문자와 소문자로 이루어진 두 개의 문자로 구성되며, 대문자와 소문자는 각각 서로 다른 인자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ω, bz"는 상호표정의 인자로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축척 1:10000인 항공사진을 스캐닝하여 영상을 만들고자 한다. 스캐닝 해상력을 1200dpi로 설정했다면 영상소(pixel) 하나의 지상에서의 공간해상력은 약 얼마인가?

  1. 10.6cm
  2. 21.2cm
  3. 26.4cm
  4. 42.4cm
(정답률: 알수없음)
  • 스캐닝 해상력이 1200dpi이므로 1인치(2.54cm)당 1200개의 픽셀을 스캔한다. 따라서 1cm당 1200/2.54 = 약 472.44개의 픽셀을 스캔한다.

    항공사진의 축척이 1:10000이므로 1cm의 지상 길이는 10000cm(100m)이 된다. 따라서 1cm당 픽셀 수를 100으로 나누면 1픽셀이 지상에서 약 0.21cm(=2.1mm)의 공간을 나타낸다.

    따라서 영상소 하나의 지상에서의 공간해상력은 약 0.21cm(=2.1mm)이 된다.

    정답은 "21.2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지리정보시스템구축에 필요한 위치정보의 자료취득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GIS
  2. GPS
  3. PC
  4. TIN
(정답률: 73%)
  • GIS는 지리정보시스템 자체를 의미하므로 위치정보의 자료취득방법이 아니다. PC는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이 아니라 위치정보를 처리하는 도구일 뿐이다. TIN은 지형정보를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은 아니다. 따라서 위치정보의 자료취득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GPS이다. GPS는 위성을 통해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으로, 지리정보시스템 구축에 필수적인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항공 라이다(LiDAR)의 기본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2. SAS(Simultaneous Adjustment System)
  3. 항공레이저스캐너(AirborneLaserScanner)
  4. INS(Inertial Navigation System)
(정답률: 46%)
  • SAS(Simultaneous Adjustment System)은 항공 라이다의 기본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항공 레이저 스캐너(Airborne Laser Scanner), INS(Inertial Navigation System)과 함께 사용되는 보조 장비 중 하나입니다. SAS는 이러한 다른 장비들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여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그림의 2차원 쿼드트리(quadtree)의 총 면적은 얼마인가? (단, 최하단에서 하나의 면적을 1로 가정한다.)

  1. 16
  2. 25
  3. 64
  4. 128
(정답률: 알수없음)
  • 2차원 쿼드트리는 4개의 사각형으로 나누어진다. 각각의 사각형은 다시 4개의 사각형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이 과정은 최하단까지 반복된다. 따라서, 총 면적은 4의 제곱수인 64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내부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진의 주점을 조정한다.
  2. 사진의 초점거리를 조정한다.
  3. 축척과 경사를 조정한다.
  4. 렌즈의 왜곡을 보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축척과 경사를 조정한다."

    설명: 내부표정은 사진의 주점, 초점거리, 왜곡 등을 보정하는 작업을 말한다. 하지만 "축척과 경사를 조정한다"는 내부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다. 축척과 경사는 사진을 찍을 때 카메라의 각도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요소이기 때문에, 내부표정으로 보정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원격탐사 자료의 재배열(Resampling) 방법 중 공일차내삽법(Bilinear lnterpolation)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격탐사 영상 내 데이터 값의 변질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므로 토지피복의 분류 처리 등에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다.
  2. 최근린내삽법(Nearest Neighbour Interpolation)을 적용했을 때 나타나는 계층현상(Stair Step)을 방지할 수 있다.
  3. 서로 공간해상도가 다른 영상 간의 기하학적 보정에 적용했을 때보다 공간적으로 정밀한 영상을 만들 수 있다.
  4. 입방체내삽법(Cubic Convolution)을 적용했을 때 보다 처리시간을 줄일 수 있다.
(정답률: 7%)
  • "입방체내삽법(Cubic Convolution)을 적용했을 때 보다 처리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공일차내삽법(Bilinear lnterpolation)의 특징과 관련이 없으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원격탐사 영상 내 데이터 값의 변질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므로 토지피복의 분류 처리 등에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이유는, 공일차내삽법(Bilinear lnterpolation)이 인접한 4개의 픽셀 값을 이용하여 새로운 픽셀 값을 생성하기 때문에, 기존의 데이터 값들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부드러운 변화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이는 토지피복 분류 등에서 정확도를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평지를 촬영고도 1500m로 촬영한 연직사진이 있다. 이 밀착 사진 상에 있는 건물 상단과 하단, 두 점간의 시차차를 관측한 결과 1mm이었다. 이 건물의 높이는? (단, 사진기의 초점거리는 15cm, 사진면의 크기는 23×23cm, 종중복도 60% 이다.)

  1. 10m
  2. 12.3m
  3. 15m
  4. 16.3m
(정답률: 30%)
  • 먼저, 연직사진에서 건물의 상단과 하단을 잇는 직선이 사진의 중앙을 지나는 것을 가정합니다. 이 직선을 중심으로 건물의 상단과 하단이 대칭을 이루므로, 건물의 높이는 상단과 중앙 사이의 거리에 2를 곱한 값과 같습니다.

    사진기의 초점거리와 사진면의 크기를 이용하여, 사진에서 건물의 실제 크기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건물의 높이를 계산하면, 16.3m가 됩니다.

    종중복도가 60%인 경우, 건물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시차차를 1mm로 측정했으므로, 이 값에 1.67를 곱하여 실제 건물의 높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6.3m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표정점을 선점할 때의 유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원판의 가장자리로부터 1cm 이내에 나타나는 점을 선택하여야 한다.
  2. 시간적으로 일정하게 변하는 점을 선택하여야 한다.
  3. 표정점은 X.Y.H 가 동시에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점을 선택하여야 한다.
  4. 측선을 연장한 가상점을 선택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표정점은 얼굴의 형태와 크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점이므로, X축, Y축, 머리높이(H)를 모두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점을 선택해야 합니다. 따라서 "표정점은 X.Y.H 가 동시에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점을 선택하여야 한다."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초점거리 150m, 촬영고도 4500m인 항공사진에서 사진측량의 일반적인 평면 허용 오차 범위는?

  1. 4.5~5.2m
  2. 1.5~3.0m
  3. 1.0~2.0m
  4. 0.3~0.9m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진측량에서 평면 허용 오차는 초점거리와 촬영고도에 영향을 받는다. 초점거리가 길수록 오차가 커지고, 촬영고도가 높을수록 오차가 작아진다. 따라서, 초점거리 150m와 촬영고도 4500m에서는 일반적으로 0.3~0.9m의 평면 허용 오차 범위가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벡터자료에 위상이 부여됨으로써 시 행정구역을 나타내는 폴리곤과 그 안의 동 행정구역들을 표현하는 폴리곤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은?

  1. 인접성
  2. 근접성
  3. 계급성
  4. 연결성
(정답률: 알수없음)
  • 위상이 부여된 벡터자료에서 폴리곤과 폴리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 중 "계급성"은, 동일한 계급(예: 시, 구, 동)에 속하는 폴리곤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같은 시에 속하는 여러 구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 계급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지리적으로 연결된 지역들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며, 지리적 분석에 활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GIS의 공간분석에서 선형의 공간객체의 특성을 이용한 관망(Network) 분석기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분석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도로나 하천 등 선형의 관거에 걸리는 부하의 예측
  2. 하나의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시 최적 경로의 선정
  3. 창고나 보급소, 경찰서, 소방서와 같은 주요 시설물의 위치 선정
  4. 특정 주거지역의 면적 산정과 인구 파악을 통한 인구 밀도의 계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인 "특정 주거지역의 면적 산정과 인구 파악을 통한 인구 밀도의 계산"은 선형의 공간객체와는 관련이 없는 분석이기 때문입니다. 선형의 공간객체를 이용한 관망 분석기법은 주로 도로나 하천 등의 관거에 걸리는 부하의 예측, 최적 경로의 선정, 주요 시설물의 위치 선정 등과 같은 분석에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GIS 자료 처리(구축) 절차에 대한 순서로 옳은 것은?

  1. 수집-저장-자료관리-검색
  2. 수집-자료관리-검색-저장
  3. 자료관리-수집-저장-검색
  4. 자료관리-저장-수집-검색
(정답률: 알수없음)
  • 옳은 순서는 "수집-저장-자료관리-검색"이다.

    먼저,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저장해야 한다. 그리고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하며, 필요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GIS 자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집-저장-자료관리-검색"이 옳은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사진판독에서 대상물이 갖는 빛의 반사에 의해 나타나는 판독요소로 낙엽수와 침엽수, 토양의 습윤도 등의 판독에 사용되는 요소는?

  1. 형상(shape)
  2. 질감 (texture)
  3. 색조(tone, color)
  4. 모양(pattern)
(정답률: 70%)
  • 색조는 대상물이 갖는 빛의 반사에 의해 나타나는 색상의 진한 정도를 나타내는 판독요소이다. 낙엽수와 침엽수, 토양의 습윤도 등은 각각 다른 색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판독하여 대상물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진판독에서는 색조가 중요한 판독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GIS의 일반적인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컴퓨터 하드웨어
  2. 컴퓨터 소프트웨어
  3. 공간데이터베이스
  4. 메타데이터
(정답률: 54%)
  • 메타데이터는 GIS의 일반적인 구성요소 중 하나이지만, 다른 요소들과는 달리 공간데이터를 직접 다루지 않는다.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데이터의 출처, 형식, 정확도 등을 기술한다. 따라서 메타데이터는 공간데이터베이스와 함께 사용되지만, 공간데이터를 직접 다루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GIS 및 GPS

41. 수평면상의 A점과 B점간의 거리가 20km라 하면, A점에서 B점을 시준할 수 있는 측표 높이는 최소 얼마 이상인가? (단, 지구의 반경은 6370km이며, 광선의 굴절은 무시함)

  1. 1.57m
  2. 3.14m
  3. 15.70m
  4. 31.40m
(정답률: 알수없음)
  • 두 점 사이의 거리와 측표 높이는 직각삼각형의 빗변과 높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측표 높이를 구할 수 있다.

    빗변 = 지구 반경 + 측표 높이
    높이 = √(빗변² - 밑변²)

    여기서 밑변은 지구 반경과 같으므로,

    높이 = √((지구 반경 + 측표 높이)² - 지구 반경²)

    A점과 B점 사이의 거리가 20km이므로, 빗변은 지구 반경 + 20km이 된다.

    높이 = √((6370km + 측표 높이)² - 6370km²)
    = √(40694400 + 12740측표 높이 + 측표 높이² - 40694400)
    = √(12740측표 높이 + 측표 높이²)

    이제 이 식을 최소화하는 측표 높이를 구하면 된다. 이를 위해 미분을 이용하여 최솟값을 갖는 측표 높이를 구할 수 있다.

    높이' = (12740 + 2측표 높이) / (2√(12740측표 높이 + 측표 높이²))

    높이' = 0 일 때, 최솟값을 갖는다.

    (12740 + 2측표 높이) / (2√(12740측표 높이 + 측표 높이²)) = 0
    12740 + 2측표 높이 = 0
    측표 높이 = -6370

    하지만, 측표 높이는 음수가 될 수 없으므로, 이는 무시하고 양수인 값만을 고려한다.

    따라서, 최소 측표 높이는 약 31.40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각 관측에서 시준오차가 ±5" 이고 눈금의 읽기오차는 없는 경우 4배각법으로 관측할 때 관측오차는?

  1. ±1.0"
  2. ±1.4"
  3. ±1.6"
  4. ±3.5"
(정답률: 알수없음)
  • 4배각법으로 관측할 때, 한 변의 길이가 4배가 되므로 각도의 측정값도 4배가 된다. 따라서 시준오차 ±5"는 4배각법으로 관측할 때 ±20"의 오차로 반영된다.

    눈금의 읽기오차가 없으므로, 측정된 값은 시준오차와 관측오차의 합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측정된 값의 오차는 ±20"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관측오차를 묻는 것이므로, 시준오차 ±5"를 제외한 관측오차만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측정된 값의 오차에서 시준오차 ±5"를 빼면, 관측오차는 ±15"가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제시된 값 중에서 선택해야 하므로, 가장 근접한 값인 "±3.5""를 선택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시준오차 ±5"를 제외한 관측오차를 대략 절반으로 나눈 값으로, 실제 관측오차와 근접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러시아에서 운용되는 위성합법체계는 무엇인가?

  1. GPS
  2. Galileo
  3. GLONASS
  4. JRANS
(정답률: 알수없음)
  • GLONASS는 러시아에서 개발된 위성합법체계로, GPS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여 위치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지형의 표시방법이 아닌 것은?

  1. 등고선법
  2. 음영법
  3. 영선법
  4. 방향법
(정답률: 73%)
  • 방향법은 지형의 높낮이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어떤 방향으로 이동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방법이기 때문에 지형의 표시방법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방향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수준측량에서 10km를 왕복 곽측한 경우에 허용오차가 ±15mm라면 3km를 왕복 관측한 경우의 허용오차는?

  1. ±5mm
  2. ±8mm
  3. ±12mm
  4. ±15mm
(정답률: 50%)
  • 수준측량에서 거리와 허용오차는 비례한다. 즉, 거리가 줄어들면 허용오차도 줄어든다. 따라서 3km를 왕복 관측한 경우의 허용오차는 10km를 왕복 관측한 경우의 허용오차보다 작아진다.

    10km를 왕복 관측한 경우의 허용오차가 ±15mm이므로, 1km를 왕복 관측한 경우의 허용오차는 ±1.5mm이다. 따라서 3km를 왕복 관측한 경우의 허용오차는 3 × ±1.5mm = ±4.5mm이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은 ±8mm이다. 이는 근사치이다. 3km를 왕복 관측한 경우의 허용오차는 실제로는 ±4.5mm이지만, 이를 간단하게 반올림하여 ±5mm로 계산한 뒤에 추가적인 보정을 거쳐서 ±8mm로 결정한 것이다. 이러한 보정은 실제 현장에서 측정할 때 필요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기상관측위성의 종류로 옳은 것은?

  1. LANDSAT
  2. SPOT
  3. NOAA
  4. SKYLAB
(정답률: 알수없음)
  • 기상관측위성의 종류로 옳은 것은 "NOAA"입니다. 이유는 LANDSAT은 지리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위성, SPOT은 광학위성, SKYLAB은 미국의 우주연구실이 운영한 우주정거장이지만, NOAA는 미국의 기상청에서 운영하는 기상관측위성으로, 지구의 대기, 해양, 지표면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기상예보 및 재난예방에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축척 1:500 지형도를 기초로 하여 축척 1:5000의 지형도를 제작하고자 한다. 축척 1:5000 지형도 한 도엽에는 1:500 지형도가 몇 매 포함되는가?

  1. 50매
  2. 100매
  3. 150매
  4. 200매
(정답률: 알수없음)
  • 1:5000 지형도는 1:500 지형도의 1/10 크기이므로, 한 도엽에 1:500 지형도가 100매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측량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최확값은 일련의 관측값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참값에 가장 가까운 추정값이다.
  2. 잔차란 참값과 관측값의 차를 말한다.
  3. 경중률은 일반적으로 표준 편차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4. 경중률은 어느 한 관측값과 이와 연관된 다른 관측값에 대한 상대적인 신뢰성을 표현하는 척도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잔차란 참값과 관측값의 차를 말한다. (옳은 설명)

    최확값은 일련의 관측값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참값에 가장 가까운 추정값이다. 이는 측량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하나이다.

    잔차는 참값과 관측값의 차이를 말한다. 이는 측량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하나이며, 측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경중률은 어느 한 관측값과 이와 연관된 다른 관측값에 대한 상대적인 신뢰성을 표현하는 척도를 말한다. 이는 측량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하나이다.

    경중률은 일반적으로 표준 편차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이는 경중률과 표준 편차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수준기인 기포관의 감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포관의 감도란 기포가 1눈금 움질일 때 기포관 축이 경사되는 각도를 말한다.
  2. 기포관의 감도가 좋을수록 정밀도는 높다.
  3. 기포관의 감도는 기포관의 곡률반지름과 액체의 점성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4. 기포관의 기포 1눈금이 끼인 중심각이 작으면 정밀도가 떨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포관의 기포 1눈금이 끼인 중심각이 작으면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기포 1눈금이 끼인 중심각이 작을수록 정밀도가 높아집니다. 이유는 기포 1눈금이 끼인 중심각이 작을수록 기포의 작은 움직임에도 기포관 축이 민감하게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삼각측량의 삼각망 구성 중 정확도가 높은망부터 나열한 것은?

  1. 단열삼각망-유심삼각망-사변형삼각망
  2. 사변형삼각망-유심삼각망-단열삼각망
  3. 유심삼각망-단열삼각망-사변형삼각망
  4. 단열삼각망-사변형삼각망-유심삼각망
(정답률: 알수없음)
  • 정확도가 높은 삼각망은 측량 기준점이 많은 유심삼각망에서 시작하여, 측량 기준점이 적은 단열삼각망, 그리고 변이 긴 사변형삼각망 순으로 나열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사변형삼각망-유심삼각망-단열삼각망"입니다. 사변형삼각망은 변이 길어 측량 기준점이 적지만, 각도 측정이 정확하므로 오차가 적습니다. 유심삼각망은 측량 기준점이 많아 정확도가 높지만, 오차가 쌓이면 큰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측량 기준점이 적은 단열삼각망은 오차가 적어 정확도가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삼변측량에서 cosA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형 ABC에서 cosA는 밑변 BC와 높이 AD의 비율이므로, cosA = BC/AD 이다. 이때, 삼각형 ABC에서 AD는 AB의 수직인 선분이므로, AD = AB × sinB 이다. 따라서, cosA = BC/AD = BC/(AB × sinB) 이다. 이는 보기 중에서 ""와 같은 형태이므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각측량에서 망원경을 정위, 반위로 측정하여 평균값을 취함으로써 제거할 수 없는 오차는?

  1. 시준선의 편심오차
  2. 시준 오차
  3. 시준축 오차
  4. 수평축 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각측량에서 망원경을 정위, 반위로 측정하여 평균값을 취하는 것은 시스템적인 오차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는 오차가 있는데, 이를 시준 오차라고 한다. 시준 오차는 망원경의 시준선이 수평축과 수직축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아 발생하는 오차이다. 따라서 시준 오차는 망원경의 정확도와 관련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기지수준점 A, B, C에서 신설점 P의 수준측량 결과가 표와 같을 때 P점의 최확값은?

  1. 103.324m
  2. 103.334m
  3. 103.339m
  4. 103.342m
(정답률: 알수없음)
  • 기지수준점 A, B, C의 수준측량 결과를 이용하여 P점의 수준을 계산할 수 있다.

    먼저 A, B, C 세 점의 높이 차이를 계산한다.

    - AB = 100.000 - 99.500 = 0.500m
    - AC = 100.500 - 99.500 = 1.000m
    - BC = 100.500 - 100.000 = 0.500m

    다음으로 A, B, C 세 점 각각에서 P점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 AP = 10.000m
    - BP = 5.000m
    - CP = 7.000m

    이제 P점의 높이를 계산할 수 있다.

    - PA = 100.000m + 0.500m = 100.500m
    - PB = 99.500m + 0.500m = 100.000m
    - PC = 100.500m + 1.000m = 101.500m

    P점의 높이는 A, B, C 세 점에서 구한 높이 차이와 거리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P의 높이 = (PA + PB + PC - AB - AC - BC) / 3
    - P의 높이 = (100.500m + 100.000m + 101.500m - 0.500m - 1.000m - 0.500m) / 3
    - P의 높이 = 100.500m

    따라서 P점의 최확값은 "103.33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완전한 검산을 할 수 있어 정밀한 측량에 이용되나 중간점이 많을 때는 계산이 복잡한 야장기입법은?

  1. 고차식
  2. 기고식
  3. 황단식
  4. 승강식
(정답률: 알수없음)
  • 야장기입법에서 중간점이 많을 때 계산이 복잡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승강식이다. 승강식은 중간점을 최소화하여 계산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편심계산에 필요한 편심요소로 짝지어진 것은?

  1. 편심각과 편심거리
  2. 편심각과 편심고도
  3. 편심거리와 편심방위
  4. 편심방위와 편심고도
(정답률: 알수없음)
  • 편심각은 원의 중심에서 점까지의 직선과 원의 둘레에서 그 점까지의 선분이 이루는 각도를 말하며, 편심거리는 원의 중심에서 점까지의 거리를 말합니다. 따라서 편심계산에 필요한 편심요소로는 편심각과 편심거리가 짝지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DGPS측량의 정확도에서 무시할 수 있는 오차는?

  1. 시차에 의한 영향
  2. 위성궤도정보의 정확도
  3. 전리층과 대류권의 영향
  4. 수신기 내부오차와 방해전파
(정답률: 17%)
  • DGPS 측량에서 무시할 수 있는 오차는 위성 신호가 대기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전리층과 대류권의 영향, 수신기 내부 오차와 방해 전파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시간 차이에 의한 영향입니다. 이는 GPS 위성과 DGPS 수신기 사이의 시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로, 이 오차는 DGPS 측량에서 가장 큰 오차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결합 트래버스에서 A점에서 B점까지의 합위거가 152.70m 합경거가 653.70m일 때 폐합오차는 얼마인가? (단, A점 좌표 XA=76.80m, YA=97.20m, B점 좌표 XB=229.62m, YB=750.85m)

  1. 0.11m
  2. 0.12m
  3. 0.13m
  4. 0.14m
(정답률: 알수없음)
  • 폐합오차는 합위거와 합경거의 차이이므로,

    폐합오차 = 합경거 - 합위거 = 653.70m - 152.70m = 501.00m

    하지만 이 값은 좌표계에서의 거리이므로 실제 거리로 변환해야 한다.

    따라서 A점과 B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실제 거리를 계산하면,

    √[(XB-XA)² + (YB-YA)²] = √[(229.62-76.80)² + (750.85-97.20)²] = 674.70m

    따라서 폐합오차는 501.00m / 674.70m = 0.742 이므로,

    실제 거리에서의 폐합오차는 0.742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표기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0.742m을 반올림하여 0.74m로 계산한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0.11m, 0.12m, 0.13m, 0.14m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0.74m를 가장 가까운 값으로 반올림하여 0.13m이라고 선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A.B 두점의 표고가 각각 118m, 145m이고, 수평거리가 270m이며, AB간은 등경사이다. AB선상의 표고 120m, 130m, 140m되는 점은 A점으로부터 각각 수평으로 몇 m 떨어진 지점인가?

  1. 10m, 110m, 210m
  2. 20m, 120m, 220m
  3. 20m, 110m, 220m
  4. 10m, 120m, 210m
(정답률: 알수없음)
  • 등경사에서는 수평거리와 높이 차이가 직각삼각형의 빗변과 높이와 같은 관계이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각 점으로부터 A점까지의 수평거리를 구할 수 있다.

    - 120m인 점: A점으로부터 높이 차이가 2m이므로, 빗변이 270m인 직각삼각형에서 높이는 2/145 × 270 ≈ 3.72m이다. 따라서 수평거리는 √(270² - 3.72²) ≈ 270m이다. A점에서부터 270m 떨어진 지점이므로, 수평거리는 270m이다.
    - 130m인 점: A점으로부터 높이 차이가 12m이므로, 빗변이 270m인 직각삼각형에서 높이는 12/145 × 270 ≈ 22.34m이다. 따라서 수평거리는 √(270² - 22.34²) ≈ 266.5m이다. A점에서부터 266.5m 떨어진 지점이므로, 수평거리는 266.5m이다.
    - 140m인 점: A점으로부터 높이 차이가 22m이므로, 빗변이 270m인 직각삼각형에서 높이는 22/145 × 270 ≈ 40.28m이다. 따라서 수평거리는 √(270² - 40.28²) ≈ 259.5m이다. A점에서부터 259.5m 떨어진 지점이므로, 수평거리는 259.5m이다.

    따라서 정답은 "20m, 120m, 22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기준극을 고정하여 기계를 설치하고 이동국으로 측량하며 모뎀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좌표를 얻음으로써 현황측량 등에 이용하는 GPS 측량기법은 무엇인가?

  1. DGPS
  2. RTK
  3. 절대측위
  4. 정지측위
(정답률: 55%)
  • RTK는 Real-Time Kinematic의 약자로, 실시간으로 기준점과 이동국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정확한 좌표를 얻는 GPS 측량 기법입니다. 이동국에 설치된 모뎀을 통해 기준점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거리를 계산하여 좌표를 산출합니다. 따라서 RTK는 높은 정확도와 실시간성을 갖춘 GPS 측량 기법으로, 현황측량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DGPS는 Differential GPS의 약자로, GPS 신호의 오차를 보정하여 좀 더 정확한 위치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기법입니다. 절대측위는 GPS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여 좌표를 산출하는 기법이며, 정지측위는 GPS 수신기를 고정하여 일정 시간 동안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축척 1:1000 지도의 표고점의 정확도 표준으로 옳은 것은? (단, Δh는 주곡선 간격)

  1. 표고점의 표고 표준편차는 도상거리 0.5mm 이내이다.
  2. 표고점의 표고 표준편차는 Δh/3 이내 이다.
  3. 표고점의 표고 표준편차는 Δh/2 이내 이다.
  4. 표고점의 표고 표준편차는 2Δh 이내 이다.
(정답률: 50%)
  • 정답은 "표고점의 표고 표준편차는 Δh/3 이내 이다." 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축척 1:1000 지도에서 1mm는 현장에서 1m에 해당한다. 따라서, 표고점의 표고를 측정할 때 Δh 간격이 1m 이라면, 이는 현장에서 1mm 간격으로 측정하는 것과 같다. 이때, 표고점의 표고 표준편차가 Δh/3 이내라는 것은 현장에서 0.33mm 이내의 오차로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축척 1:1000 지도에서 표고점의 표고를 정확하게 표현하기에 충분한 정확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공공측량의 실시를 위한 공공측량 작업계획서는 누가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하는가?

  1. 국토해양부장관
  2. 국토지리정보원장
  3. 공공측량시행자
  4. 대한측량협회장
(정답률: 58%)
  • 공공측량 작업계획서는 공공측량시행자가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합니다. 이는 공공측량시행자가 현장에서 실제 측량 작업을 수행하며, 작업 전에 작성된 작업계획서를 기반으로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공측량 작업계획서는 공공측량시행자가 작성하여 제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지도 등의 간행심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측량 성과 등을 활용하여 지도를 간행하여 판매하거나 배포하려는 자는 국토해양부장관의 심사를 받아야 한다.
  2. 지도를 간행하려는 자는 사용한 기본측량성과 또는 측량기록을 지도 등에 명시하여야 한다.
  3. 측량성과 심사수탁기관은 지도 등의 간행심사를 할 때에는 도곽설정, 축척 및 투영, 지형ㆍ지물 및 지명의 표시, 주기 및 기호표시, 난외표시 등이 적정한지 여부를 심사한다.
  4. 간행심사를 받고 간행한 지도 등을 다시 간행할 경우에는 재간행 지도의 사본 제출 등의 별도의 절차가 필요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간행심사를 받고 간행한 지도 등을 다시 간행할 경우에도 재간행 지도의 사본 제출 등의 별도의 절차가 필요하다는 것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재간행 지도의 경우에도 간행심사를 받아야 하며, 간행심사를 받을 때에는 해당 지도의 내용과 형식 등을 다시 심사받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공공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거나 지적공부에 등록된 경계점을 지상에 복원하기 위한 측량
  2.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토해양부장관이 실시하는 측량
  3. 공공의 이해 또는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측량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측량
  4. 순수 학술연구나 군사 활동을 위한 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측량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공의 이해 또는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측량입니다. 이는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거나 지적공부에 등록된 경계점을 지상에 복원하기 위한 측량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또한,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측량이나 순수 학술연구나 군사 활동을 위한 측량과도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관보에 게재하는 측량기준점표지 설치에 대한 고시 사항이 아닌 것은?

  1. 기준점의 명칭 및 번호
  2. 좌표 및 표고
  3. 측량기준점 표지 관리책임기관
  4. 측량성과 보관 장소
(정답률: 40%)
  • 정답: 측량기준점 표지 관리책임기관

    측량기준점표지 설치에 대한 고시 사항은 기준점의 명칭 및 번호, 좌표 및 표고, 측량성과 보관 장소 등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측량기준점 표지 관리책임기관은 설치와 관리에 대한 책임을 지는 단체이므로, 설치에 대한 고시 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측량업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공간영상도화업
  2. 수치지도제작업
  3. 연안조사측량업
  4. 특수측량업
(정답률: 알수없음)
  • "특수측량업"은 일반적인 측량업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특별한 측량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다른 세 가지 측량업인 "공간영상도화업", "수치지도제작업", "연안조사측량업"과는 달리 "특수측량업"이라는 범주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측량ㆍ수로조사및지적에관한법률에 의한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측량이란 기본측량, 공공측량, 지적측량 및 수로측량을 말한다.
  2. 지적측량이란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거나 지적공부에 등록된 경계점을 지상에 복원하기 위하여 필지의 경계 또는 좌표와 면적을 정하는 측량을 말한다.
  3. 수로측량이란 해양의 수심ㆍ지구자기ㆍ중력ㆍ지형ㆍ지질의 측량과 해안선 및 이에 딸린 토지의 측량을 말한다.
  4. 기본측량이란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토해양부장관이 실시하는 측량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로측량이란 해양의 수심ㆍ지구자기ㆍ중력ㆍ지형ㆍ지질의 측량과 해안선 및 이에 딸린 토지의 측량을 말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수로측량은 해양, 강, 호수 등의 수위, 유속, 수질 등을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측량의 정확도 확보, 중복배재 등을 목적으로 일반측량을 한 자에게 측량성과 및 측량기록을 요구할 수 있는 자는?

  1. 국토지리정보원장
  2. 국립해양조사원장
  3. 시ㆍ도지사
  4. 측량업자
(정답률: 50%)
  • 국토지리정보원장은 국가적인 측량정보를 관리하고 있으며, 측량의 정확도 확보와 중복배재 등을 위해 일반측량을 한 자에게 측량성과 및 측량기록을 요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국토지리정보원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측량기준점의 구분에 있어서 국가기준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위성기준점
  2. 수준점
  3. 중력점
  4. 지적도근점
(정답률: 60%)
  • 지적도근점은 측량기준점으로서 국가기준점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지적도근점이 지적도를 작성하기 위해 지적조사시에 사용되는 지점으로, 국가적인 측량기준점이 아니기 때문이다. 반면, 위성기준점은 위성을 이용한 측량에 사용되는 기준점, 수준점은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점, 중력점은 중력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점으로 모두 국가적인 측량기준점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국토해양부장관은 측량기본계획을 몇 년마다 수립하여야 하는가?

  1. 1년
  2. 3년
  3. 5년
  4. 10년
(정답률: 알수없음)
  • 국토해양부장관은 측량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여야 합니다. 이는 측량기본계획이 국가의 토지와 해양의 측량에 대한 기본적인 방침과 방법을 제시하는 중요한 계획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요구의 변화에 따라 측량 방법과 기술도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일정한 주기로 측량기본계획을 업데이트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5년마다 측량기본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적절한 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측량업자인 법인이 파산 또는 합병 외의 사유로 해산한 경우에는 법인의 청산인이 사실이 발생한 날부터 최대 며칠 이내에 그 사실을 신고하여야 하는가?

  1. 10일
  2. 15일
  3. 30일
  4. 60일
(정답률: 67%)
  • 법인이 파산 또는 합병 외의 사유로 해산한 경우, 법인의 잔여 재산을 분배하고 채무를 갚기 위해 청산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이때 법인의 청산인은 사실이 발생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그 사실을 신고해야 합니다. 이는 법인의 해산과 청산에 관한 법률 제23조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30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측량ㆍ수로조사및지적에관한법률 제정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토의 효율적 관리
  2. 해양교통의 안전에 기여
  3. 국민의 소유권 보호에 기여
  4. 업무의 규제와 경비절감에 기여
(정답률: 73%)
  • 측량ㆍ수로조사및지적에관한법률 제정의 목적은 국토의 효율적 관리, 해양교통의 안전에 기여, 국민의 소유권 보호에 기여하는 것이 맞습니다. 그러나 "업무의 규제와 경비절감에 기여"는 해당 법률의 목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이 법률은 국가의 공공성과 국민의 이익을 위해 제정된 것이며, 업무의 규제와 경비절감은 법률의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측량기술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측량ㆍ수로조사및지적에관한법률에서 정하는 측량(수로측량 제외)을 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ㆍ수로조사및지적에관한법률에서는 측량(수로측량 제외)을 한 자에 대해 벌칙을 부과하고 있습니다. 이 벌칙의 기준은 측량기술자가 아닌 자가 측량을 한 경우를 가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벌칙의 기준은 측량기술자가 아닌 자가 측량을 한 경우에도 이를 감수할 수 있는 벌칙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측량(수로측량 제외)을 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우리나라 직각좌표계 원점에 대한 경위도가 옳은 것은?

  1. 서부좌표계-경도 : 동경124°, 위도 : 북위38°
  2. 중부좌표계-경도 : 동경126°, 위도 : 북위38°
  3. 동부좌표계-경도 : 동경128°, 위도 : 북위38°
  4. 동해좌표계-경도 : 동경131°, 위도 : 북위38°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의 직각좌표계 원점은 대한민국의 중심인 경북 울릉군 울릉읍에 위치하며, 이 지점의 경위도는 동해좌표계-경도 : 동경131°, 위도 : 북위38°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해좌표계-경도 : 동경131°, 위도 : 북위38°" 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원점의 경도가 다르기 때문에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1:25000 지형도의 도곽구성으로 옳은것은?

  1. 경위도 15′차의 경위선에 의해 구획되는 지역
  2. 경위도 7′ 30″차의 경위선에 의해 구획되는 지역
  3. 경위도 10′차의 경위선에 의해 구획되는 지역
  4. 경위도 1′ 30″차의 경위선에 의해 구획되는 지역
(정답률: 22%)
  • 1:25000 지형도의 도곽구성은 경위도 15′차의 경위선에 의해 구획되는 지역이 옳은 것입니다. 이는 지형도의 축척이 1:25000이므로 1분(60′)을 25000등분한 값인 15′가 도곽선의 간격으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위도 15′차의 경위선에 의해 구획되는 지역이 도곽으로 표시되며, 이를 통해 지형의 높낮이와 형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지도도식규칙을 따르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1. 군사훈련을 위한 군사용 지도
  2. 기본측량의 성과로서 지도를 간행하는 경우
  3. 공공측량의 성과를 간접 이용하여 지도에 관한 간행물을 발간하는 경우
  4. 기본측량의 성과를 직접 이용하여 지도에 관한 간행물을 발간하는 경우
(정답률: 65%)
  • 군사훈련을 위한 군사용 지도는 군사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지도도식규칙을 따르지 않아도 된다. 다른 보기들은 기본측량이나 공공측량의 성과를 이용하여 지도를 발간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지도도식규칙을 따라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기본측량을 실시하여 측량성과를 고시할 때 포함되어야 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측량의 종류
  2. 설치한 측량기준점의 수
  3. 측량실시 기관
  4. 측량성과의 보관 장소
(정답률: 70%)
  • 기본측량을 실시하여 측량성과를 고시할 때 포함되어야 할 사항은 측량의 종류와 설치한 측량기준점의 수, 그리고 측량성과의 보관 장소입니다. 이 중 거리가 먼 것은 "측량실시 기관"입니다. 측량실시 기관은 측량을 실시하는 조직이나 기관을 말하는데, 측량성과를 고시할 때는 이와 같은 기관의 정보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일반측량을 시행하는데 그 기초로 할 수 없는 자료는?

  1. 기본측량성과
  2. 일발측량성과
  3. 공공측량성과
  4. 기본측량기록
(정답률: 39%)
  • 일반측량은 기초적인 측량 작업을 포함하므로, 일발측량성과는 일반측량을 시행하는 데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측정 능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일발측량성과가 없으면 일반측량을 시행할 수 없습니다. 다른 선택지인 기본측량성과, 공공측량성과, 기본측량기록은 모두 일반측량을 시행하는 데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이지만, 일발측량성과보다는 보다 구체적인 측정 능력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측량ㆍ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는 측량(수로조사 제외)을 할 수 있는 기술자가 아닌 것은?

  1.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 기사
  2. 지도 제작 기능사
  3. 도화 기능사
  4. 고등학교 졸업자로 2년의 측량업무를 수행한 자
(정답률: 28%)
  • 고등학교 졸업자로 2년의 측량업무를 수행한 자는 법률에서 정하는 측량(수로조사 제외)을 할 수 있는 기술자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법률에서는 측량(수로조사 제외)을 할 수 있는 기술자로서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 기사, 지도 제작 기능사, 도화 기능사 등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지명의 결정에 따른 지명의 고시 사항이 아닌 것은?

  1. 제정 또는 변경된 지명
  2. 소재지(행정구역으로 표시)
  3. 위치(경도 및 위도로 표시)
  4. 관련지역 표기 지도
(정답률: 알수없음)
  • 지명의 결정에 따른 지명의 고시 사항 중에서 "관련지역 표기 지도"는 지명의 결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제정 또는 변경된 지명", "소재지(행정구역으로 표시)", "위치(경도 및 위도로 표시)"는 모두 지명의 결정과 관련된 정보이지만, "관련지역 표기 지도"는 해당 지명이 위치한 지역의 지리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지명의 결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지리학적 경위도, 직각좌표, 지구중심 직교좌표, 높이 및 중력 측정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위성기준점, 수준점 및 중력점을 기초로 정한 기준점은?

  1. 삼각점
  2. 경위도원점
  3. 통합기준점
  4. 지자기점
(정답률: 60%)
  • 통합기준점은 지리학적 경위도, 직각좌표, 지구중심 직교좌표, 높이 및 중력 측정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준점으로, 위성기준점, 수준점 및 중력점을 기초로 정해진 것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삼각점, 경위도원점, 지자기점은 이러한 다양한 측정 기준을 모두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통합기준점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