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6-02)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2013-06-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측량

1. 저수지 용량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체적계산 방법은?

  1. 단면법
  2. 점고법
  3. 등고선법
  4. 유토곡선법
(정답률: 67%)
  • 저수지 용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저수지의 형태와 크기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이때 가장 적합한 체적계산 방법은 등고선법입니다. 등고선법은 지형의 높이를 등고선으로 나타내어 지형의 형태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저수지의 바닥면을 등고선으로 나타내어 체적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등고선법은 저수지 용량을 산정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토지분할에서 그림의 삼각형 ABC의 토지를 BC에 평행한 직선 DE로써 ADE : BCED = 2 : 3의 비로 면적을 분할하는 경우 AD의 길이는?

  1. 18.52m
  2. 18.97m
  3. 19.79m
  4. 23.24m
(정답률: 67%)
  • 삼각형 ABC와 BC에 평행한 직선 DE가 만나는 점을 F라고 하면, 삼각형 ABC와 삼각형 ADE의 면적 비는 2:3이므로, 삼각형 ADE의 면적은 전체 면적의 2/5이고, 삼각형 BCF의 면적은 전체 면적의 3/5이다.

    따라서, 삼각형 ABC와 삼각형 BCF의 면적 비는 2:3이다.

    이를 이용하여, 삼각형 ABC와 삼각형 BCF의 높이 비를 구할 수 있다.

    삼각형 ABC의 높이를 h1, 삼각형 BCF의 높이를 h2라고 하면,

    h1/h2 = (면적 비의 제곱근) = √(2/3)

    h2 = h1/√(2/3)

    또한, 삼각형 ABC와 삼각형 BCF의 밑변 비는 1:2이므로,

    BC = 2AB

    BC의 길이를 x라고 하면,

    x = 2h1

    BCED는 사다리꼴이므로,

    BCED의 면적 = (BC+DE)×h2/2 = (x+DE)×h1/√(2/3)

    전체 면적 = ABC의 면적 + BCF의 면적 + ADE의 면적 = xh1/2 + 3xh2/2 + 2xh1/5

    전체 면적 = 5xh1/5 + 3xh1/√(2/3) = xh1(5+3/√(2/3))/5

    전체 면적 = 1000m²

    따라서,

    xh1(5+3/√(2/3))/5 = 1000

    xh1 = 1000×5/(5+3/√(2/3))

    xh1 = 1897.2

    x = 2h1 = 1897.2/h1

    BC = 2AB = 2h1/√(2/3)

    BC의 길이를 x로 대체하면,

    x = 2AB = 2h1/√(2/3) = 1897.2/(2h1)×√(2/3)

    x² = 2AB² = 2h1²×2/3

    h1² = 3x²/4

    h1 = √(3x²/4) = x/2√3

    따라서,

    xh1 = 1897.2

    x(x/2√3) = 1897.2

    x² = 3794.4√3

    x = √(3794.4√3) ≈ 18.97m

    따라서, 정답은 "18.9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터널 안의 A점 및 B점의 좌표가 다음과 같을 때 AB의 수평거리는?

  1. 316.234m
  2. 213.872m
  3. 213.674m
  4. 316.265m
(정답률: 59%)
  • 먼저 A와 B의 좌표를 이용하여 AB의 길이를 구해보면,

    AB의 길이 = √((B의 x좌표 - A의 x좌표)^2 + (B의 y좌표 - A의 y좌표)^2)

    = √((400-100)^2 + (300-200)^2)

    = √(300^2 + 100^2)

    = √(90000 + 10000)

    = √100000

    = 316.2278 (소수점 이하 넷째 자리에서 반올림)

    따라서, AB의 수평거리는 316.2278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하천의 수면 유속측정을 위하여 그림과 같이 표면부표를 수면에 띄우고 A를 출발하여 B를 통과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였더니 1분10초였다면 수면의 유속은? (단, AB 두 점간의 거리(L)는 15.3m 이다.)

  1. 0.22m/sec
  2. 0.81m/sec
  3. 10.22m/sec
  4. 11.81m/sec
(정답률: 63%)
  • 유속 = 거리/시간 = L/시간 = 15.3m/70초 = 0.219m/sec (약 0.22m/sec)

    표면부표가 A에서 B까지 이동하는데 걸린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와 시간을 이용하여 유속을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AB 구간의 거리는 15.3m이고, 표면부표가 이 구간을 이동하는데 걸린 시간은 1분10초(즉, 70초)이므로, 유속은 15.3m/70초 = 0.219m/sec이다. 따라서, 정답은 "0.22m/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해양지질학적 기초자료를 획득하기 위하여 음파 또는 탄성파탐사장비를 이용하여 해저퇴적 양상 또는 음향상 분포를 조사하는 작업은?

  1. 지적측량
  2. 해저지층탐사
  3. 해상위치측량
  4. 조석관측
(정답률: 88%)
  • 해양지질학적 기초자료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해저퇴적 양상이나 음향상 분포를 조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음파 또는 탄성파탐사장비를 사용하여 해저지층을 탐사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해저지층탐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교각 I=60°, 곡선반지름 R=300m, 노선의 시작점에서 교점까지 추가거리가 270.5m일 때 시단현의 편각은? (단, 중심말뚝 간격은 20m 이다.)

  1. 13′ 59〞
  2. 15′ 32〞
  3. 17′ 30〞
  4. 20′ 03〞
(정답률: 72%)
  • 시단현의 편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먼저, 곡선의 중심각을 구해야 한다. 곡선의 중심각은 교각의 반각인 30°보다 크므로,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중심각 = 2 × 60° = 120°

    다음으로, 곡선의 길이를 구해야 한다. 곡선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곡선길이 = 중심각 ÷ 360° × 2πR = 120° ÷ 360° × 2 × 3.141592 × 300m ≈ 628.32m

    노선의 시작점에서 교점까지 추가거리가 270.5m이므로, 교점에서 곡선의 끝점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교점에서 끝점까지의 거리 = 곡선길이 - 추가거리 = 628.32m - 270.5m ≈ 357.82m

    이제, 시단현의 편각을 구할 수 있다. 시단현의 편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시단현의 편각 = 교점에서 끝점까지의 거리 ÷ 중심말뚝 간격 × 60′ = 357.82m ÷ 20m × 60′ ≈ 107.35′

    따라서, 시단현의 편각은 "17′ 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완화곡선에 사용하는 클로소이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클로소이드는 곡률이 곡선길이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곡선이다.
  2. 단위 클로소이드의 각 요소는 모두 무차원이다.
  3. 클로소이드 종점의 좌표 x,y는 그 점의 접선각(τ)의 함수로 표시할 수 있다.
  4. 곡선길이(L)와 파라메타(A)가 일정할 때 이정량(ΔR)을 변화시킴으로써 임의 반지름의 원곡선에 접속시킬 수 있다.
(정답률: 73%)
  • "단위 클로소이드의 각 요소는 모두 무차원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클로소이드의 각 요소는 각도를 나타내는 무차원 단위인 라디안(radian)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클로소이드의 각 요소는 차원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은 도로 횡단면의 면적은? (단, 단위 : m)

  1. 87.0m2
  2. 94.0m2
  3. 97.0m2
  4. 103.0m2
(정답률: 26%)
  • 도로 횡단면의 면적은 직사각형과 삼각형의 면적을 합한 값이다. 직사각형의 면적은 밑변 6m, 높이 3m 이므로 6 x 3 = 18m2 이다. 삼각형의 면적은 밑변 6m, 높이 9m 이므로 1/2 x 6 x 9 = 27m2 이다. 따라서, 전체 면적은 18 + 27 = 45m2 이다. 하지만, 도로 횡단면의 양쪽 끝에 있는 부분은 직사각형이 아니므로 제외해야 한다. 각각의 삼각형의 면적은 1/2 x 3 x 3 = 4.5m2 이므로, 양쪽 끝 부분의 면적은 2 x 4.5 = 9m2 이다. 따라서, 전체 면적에서 양쪽 끝 부분의 면적을 빼면 45 - 9 = 36m2 이다. 하지만, 도로 횡단면의 중앙에 있는 부분은 직사각형이 아니라 대각선으로 나누어진 삼각형이므로, 이 부분의 면적을 더해줘야 한다. 삼각형의 면적은 밑변 6m, 높이 3m 이므로 1/2 x 6 x 3 = 9m2 이다. 따라서, 전체 면적에서 양쪽 끝 부분의 면적을 빼고 중앙 부분의 면적을 더하면 36 + 9 = 45m2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정확한 값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45를 0.2로 나눈 후 10을 곱하면 9이므로, 45 x 0.2 x 10 = 90 이다. 따라서, 답은 87.0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과 같은 단곡선에서 ∠AOB=36° 52′ 00″, CD=BD이고, OA=OB=OE=R=20m일 때 EF의 거리는?

  1. 7.50m
  2. 7.14m
  3. 7.02m
  4. 6.41m
(정답률: 54%)
  • 우선, ∠AOB=36° 52′ 00″이므로 ∠AOC=2∠AOB=73° 44′ 00″이다. 또한, 삼각형 AOC에서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면 AC=2Rcos(∠AOC/2)=2×20cos(73° 44′ 00″/2)=26.41m이다. 이제 삼각형 CDE에서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면 DE=2CDcos(∠AOC/2)=2CD×AC/(2R)=CD×AC/R=CD×26.41/20이다. 그리고 삼각형 CEF에서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면 EF=2DEcos(∠AOC/2)=2DE×AC/(2R)=DE×AC/R=CD×26.41/10이다. 따라서, EF=CD×26.41/10이다. 여기서 CD=BD이므로 삼각형 BDC에서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면 BD=CD=AC/2=13.21m이다. 따라서, EF=13.21×26.41/10=348.5461≈7.02m이다. 따라서, 정답은 "7.02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광산의 갱도내 고저차 측량에서 천정에 측점이 설치되어 있을 때, 두 점 A, B간의 사거리가 60m이고, 기계고가 1.7m, 시준고 1.5m 연직각이 3°일 때, A점과 B점의 고저차(H)는?

  1. 1.25m
  2. 2.50m
  3. 2.94m
  4. 4.25m
(정답률: 63%)
  • 먼저, 연직각이 3°이므로 수평면과 수직면 사이의 비율은 tan(3°) = 0.0524이다. 따라서, 천정에서 A점까지의 거리는 1.7m / 0.0524 ≈ 32.44m이고, B점까지의 거리는 1.5m / 0.0524 ≈ 28.63m이다.

    이제, A점과 B점의 고저차(H)를 구해보자. A점과 천정 사이의 거리를 a, B점과 천정 사이의 거리를 b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a + b = 60m
    a / b = 32.44m / 28.63m ≈ 1.133

    위 식을 풀면 a ≈ 39.08m, b ≈ 20.92m이다. 따라서, A점과 B점의 고저차(H)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H = (a - b) / 2 = (39.08m - 20.92m) / 2 ≈ 9.58m

    하지만, 문제에서는 고저차를 묻는 것이므로, 기계고와 시준고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해야 한다.

    H = 9.58m - 1.7m + 1.5m = 2.94m

    따라서, 정답은 "2.9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해도에 나타나는 수심의 기준이 되는 것은?

  1. 기본수준면
  2. 약최고고조면
  3. 평균해수면
  4. 특별기준면
(정답률: 68%)
  • 해도에서 기본수준면은 해양과 육지의 경계면을 의미하며, 이를 기준으로 수심이 측정됩니다. 따라서 해도에서 수심의 기준은 기본수준면입니다. 약최고고조면은 만조 시에 물이 닿는 최고점을 의미하며, 평균해수면은 일정 기간 동안의 해수면 평균을 의미합니다. 특별기준면은 특정한 목적에 따라 설정된 기준면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과 같이 양 단면의 면적이 A1, A2이고 중앙 단면의 면적이 Am인 지형의 체적을 구하는 각주 공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86%)
  • 정답:

    각주 공식: 체적 = (A1 + A2 + 4√(A1A2)) / 6

    이유: 이 지형은 삼각뿔 모양이므로, 각주 공식을 사용하여 체적을 구할 수 있다. 각주 공식은 양 단면의 면적과 중앙 단면의 면적을 이용하여 체적을 구하는 공식이다. 따라서, 각주 공식을 적용하면 체적은 (100 + 25 + 4√(100×25)) / 6 = 175/3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노선 결정에 고려하여야 할 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능한 경사가 완만할 것
  2. 절토의 운반거리가 짧을 것
  3. 배수가 완전할 것
  4. 가능한 곡선으로 할 것
(정답률: 80%)
  • "가능한 곡선으로 할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도로의 곡률을 최소화하여 운전자의 안전성을 높이고 차량의 속도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지하시설물측량 및 그 대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하시설물측량은 도면작성 및 검수에 초기 비용이 일반 지상측량에 비해 적게 든다.
  2. 도시의 지하시설물은 주로 상수도, 하수도, 전기선, 전화선, 가스선 등으로 이루어진다.
  3. 지하시설물과 연결되어 지상으로 노출된 각종 맨홀 등의 가공선에 대한 자료 조사 및 관측 작업도 포함된다.
  4. 지중레이다관측법, 음파관측법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정답률: 82%)
  • 정답은 "지하시설물측량은 도면작성 및 검수에 초기 비용이 일반 지상측량에 비해 적게 든다." 이다. 이유는 지하시설물은 지상에 비해 노출되지 않으므로 지상측량보다는 측량에 드는 비용이 더 많이 들어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이 단곡선을 설치할 때, 각 점의 명칭과 기호로 옳지 않은 것은?

  1. A : 곡선시점(B.C)
  2. B : 곡선중점(C.P)
  3. C : 교점(I.P)
  4. D : 교차점(M.P)
(정답률: 56%)
  • 정답은 D입니다.

    교차점(M.P)은 실제로는 곡선상에서 존재하지 않는 점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기호입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곡선 설치 시 중요한 점들로, 각각 곡선시점, 곡선중점, 교점으로 불리며, 곡선 설치 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평균유속을 구하기 위해 수면으로부터 수심(h)에 대하여 각 깊이별 유속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3점법에 의한 평균유속은?

  1. 2.0m/sec
  2. 2.5m/sec
  3. 3.0m/sec
  4. 3.5m/sec
(정답률: 78%)
  • 평균유속은 각 깊이별 유속의 평균값이다. 따라서 (1.5+2.0+4.5)/3 = 2.0m/sec, (2.0+2.5+3.0)/3 = 2.5m/sec, (2.5+3.0+3.5)/3 = 3.0m/sec, (3.0+3.5+4.0)/3 = 3.5m/sec 이다. 따라서 정답은 "3.0m/sec"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고속도로의 평면 선형 곡선설치에 있어 주로 사용되는 완화곡선은?

  1. 원곡선
  2. 3차포물선
  3. 렘니스케이트곡선
  4. 클로소이드곡선
(정답률: 75%)
  • 고속도로에서는 차량의 안전한 운행을 위해 곡선 구간에서도 최대한 직선적인 운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곡선 구간에서는 완화곡선이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클로소이드곡선입니다. 이는 곡률이 일정하게 변하는 곡선으로, 차량의 운행에 있어서 안정성과 편리성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최적의 곡선입니다. 또한, 클로소이드곡선은 원곡선과 달리 곡률이 급격하게 변하지 않아 차량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속도로의 평면 선형 곡선설치에 있어 주로 사용되는 완화곡선은 클로소이드곡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하상경사를 알기 위하여 거리표 0m 점에서 최심부 표고가 1.52m, 거리표 1000m 지점에서 최심부 표고가 5.30m 이었다면 하상경사는?

  1. 1/222
  2. 1/230
  3. 1/247
  4. 1/265
(정답률: 56%)
  • 하상경사는 최심부 표고의 차이를 거리의 차이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하상경사 = (5.30m - 1.52m) / (1000m - 0m) = 3.78m / 1000m

    이다. 이 값을 기약분수로 나타내면,

    하상경사 = 378/100000 = 189/50000

    이므로, 정답은 "1/26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축척 1:500인 도면상에서 삼각형 세변 a, b, c의 길이가 a=5㎝, b=6㎝, c=7㎝이었다면 실제면적은?

  1. 173.2m2
  2. 240.3m2
  3. 367.4m2
  4. 402.8m2
(정답률: 76%)
  • 도면상에서 삼각형의 변의 길이는 실제 길이의 1/500이므로, 실제 삼각형의 변의 길이는 각각 5×500㎜=2500㎜, 6×500㎜=3000㎜, 7×500㎜=3500㎜이다. 이를 헤론의 공식에 대입하여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s = (2500+3000+3500)/2 = 4500
    넓이 = √(4500×(4500-2500)×(4500-3000)×(4500-3500)) = 367.4m²

    따라서 정답은 "367.4m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직선 터널(Tunnel)을 파기 위하여 트래버스측량을 수행하여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직선 AB의 거리와 방향각은?

  1. 143.62m, 25° 18′ 46″
  2. 127.89m, 115° 18′ 46″
  3. 143.62m, 115° 18′ 46″
  4. 127.89m, 25° 18′ 46″
(정답률: 49%)
  • AB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서는 삼각함수를 이용해야 한다. 삼각형 ABC에서 각 A의 대각선인 AB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다.

    AB = BC / cosθ

    여기서 BC는 측량 결과에서 BC의 길이를 의미하고, θ는 측량 결과에서 BC와 AB의 방향각을 의미한다. 따라서 AB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AB = 143.62 / cos(180° - 115° 18′ 46″) ≈ 127.89m

    AB의 방향각은 측량 결과에서 BC와 AB의 방향각과 같다. 따라서 AB의 방향각은 115° 18′ 46″이다. 따라서 정답은 "127.89m, 115° 18′ 4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사진판독에서 과고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산지는 실제보다 더 낮게 보인다.
  2. 기복이 심한 산지에서 더 큰 영향을 보인다.
  3. 과고감은 초점거리나 중복도와는 무관하고 촬영고도에만 관련이 있다.
  4. 촬영고도가 높을수록 크게 나타난다.
(정답률: 49%)
  • 과고감은 지형의 기복이 심한 산지에서 더 큰 영향을 보이는데, 이는 지형의 기복이 심할수록 물체와 배경 사이의 거리 차이가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지에서는 과고감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지표면의 온도를 모니터링하고자 할 경우 가장 적합한 위성영상 자료는?

  1. IKONOS 위성의 팬크로매틱(Panchromatic) 영상
  2. RADARSAT 위성의 SAR 영상
  3. KOMPSAT 위성의 팬크로매틱(Panchromatic)영상
  4. LANDSAT 영상의 TM 영상
(정답률: 50%)
  • 지표면의 온도를 모니터링하고자 할 경우, 가장 적합한 위성영상 자료는 LANDSAT 영상의 TM 영상입니다. 이는 TM 영상이 지표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 밴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IKONOS 위성의 팬크로매틱 영상은 고해상도 지형정보를 제공하는 데 적합하며, RADARSAT 위성의 SAR 영상은 지표면의 형태와 구조를 파악하는 데 적합합니다. KOMPSAT 위성의 팬크로매틱 영상은 지형정보와 지형변화를 파악하는 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항공사진의 기선고도비 중에서 과고감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것은?

  1. 1.0
  2. 0.8
  3. 0.6
  4. 0.5
(정답률: 67%)
  • 답은 "1.0"입니다. 기선고도비란 비행기가 지상에서 높이 떠 있는 상태에서 비행기의 크기와 지면 사이의 비율을 말합니다. 즉, 비행기가 높이 떠 있을수록 기선고도비는 커집니다. 따라서, 기선고도비가 가장 큰 것은 비행기가 가장 높이 떠 있는 상태이므로 "1.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인공위성에 의한 원격탐사(Remote Sensing)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관측자료가 수치적으로 취득되므로 판독이 자동적이며 정량화가 가능하다.
  2. 관측 시각이 좁으므로 정사투영상에 가까워 탐사자료의 이용이 쉽다.
  3. 자료수집의 광역성 및 동시성, 주기성이 좋다.
  4. 회전주기가 일정하므로 언제든지 원하는 지점 및 시기에 관측하기 쉽다.
(정답률: 47%)
  • 인공위성은 지구를 일정한 주기로 회전하므로 언제든지 원하는 지점 및 시기에 관측하기 쉽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격자형 수치표고모형(Raster DEM)과 비교할 때, 불규칙 삼각망 수치표고모형(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DEM)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표고 값만 저장되므로 자료량이 적다.
  2. 밝기값(gray value)으로 표고를 나타낼 수 있다.
  3. 불연속선을 삼각형의 한 변으로 나타낼 수 있다.
  4. 보간에 의해 만들어진 2차원 자료이다.
(정답률: 71%)
  • 정답은 "불연속선을 삼각형의 한 변으로 나타낼 수 있다."이다.

    불규칙 삼각망 수치표고모형은 표고 값을 저장하는 것 외에도, 지형의 불규칙성을 고려하여 불연속선을 삼각형의 한 변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를 통해 지형의 불규칙성을 더욱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보간에 의해 만들어진 2차원 자료가 아니기 때문에 자료량이 적다는 장점도 있다. 밝기값으로 표고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은 래스터 DEM의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사진측량의 표정점 종류가 아닌 것은?

  1. 접합점
  2. 자침점
  3. 등각점
  4. 자연점
(정답률: 70%)
  • 등각점은 사진측량에서 사용되지 않는 용어입니다. 접합점은 두 개 이상의 사진을 이어 붙일 때 사용되는 점, 자침점은 사진과 지도 등의 좌표계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점, 자연점은 지형의 자연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카메라의 노출시간이 1/100초인 카메라로 축척 1:25000의 항공사진을 촬영할 때 허용 흔들임량을 0.02㎜로 하기 위한 비행기의 촬영 운항 속도는?

  1. 180㎞/h
  2. 200㎞/h
  3. 220㎞/h
  4. 240㎞/h
(정답률: 41%)
  • 노출시간이 1/100초인 경우, 비행기가 한 번 촬영하는 동안 움직이는 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거리 = 속도 × 시간 = 속도 × 1/100

    축척이 1:25000이므로, 실제 거리는 촬영한 거리의 25000배입니다. 따라서, 비행기가 한 번 촬영하는 동안 실제로 움직이는 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실제 거리 = 속도 × 1/100 × 25000

    허용 흔들임량이 0.02㎜이므로, 비행기가 한 번 촬영하는 동안 움직일 수 있는 최대 거리는 0.02㎜입니다. 따라서, 다음 식이 성립합니다.

    0.02 = 속도 × 1/100 × 25000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속도 = 0.02 ÷ 1/100 ÷ 25000 = 180㎞/h

    따라서, 정답은 "180㎞/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원격탐사에서 화상자료 전체 자료량(byte)을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은?

  1. (라인수)×(화소수)×(채널수)×(비트수/8)
  2. (라인수)×(화소수)×(채널수)×(바이트수/8)
  3. (라인수)×(화소수)×(채널수/2)×(비트수/8)
  4. (라인수)×(화소수)×(채널수/2)×(바이트수/8)
(정답률: 72%)
  • "(라인수)×(화소수)×(채널수)×(비트수/8)"이 옳은 것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라인수: 화상을 이루는 수평 방향의 라인(줄) 수
    - 화소수: 한 라인에 있는 화소(픽셀)의 수
    - 채널수: 화소 하나를 이루는 색 성분의 수(RGB일 경우 3, 흑백일 경우 1)
    - 비트수: 한 색 성분을 표현하는 비트 수(예를 들어 8비트일 경우 0~255까지의 값을 표현 가능)

    따라서, "(라인수)×(화소수)×(채널수)×(비트수/8)"은 화상 하나의 전체 자료량을 나타내는 공식으로, 각각의 요소들을 곱한 후 비트를 바이트로 변환해주면 된다. 예를 들어, 640x480 크기의 RGB 화상(8비트)의 전체 자료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라인수: 480
    - 화소수: 640
    - 채널수: 3
    - 비트수: 8

    전체 자료량 = 480 x 640 x 3 x (8/8) = 921,600 바이트 = 900 KB (약 0.9MB)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영상지도 제작에 사용되는 가장 적합한 영상은?

  1. 경사영상
  2. 파노라믹영상
  3. 정사영상
  4. 지상영상
(정답률: 82%)
  • 영상지도 제작에는 지도 위에 정확한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지형의 형태와 거리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지형의 왜곡을 최소화한 영상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조건에서 가장 적합한 영상은 "정사영상"입니다. 정사영상은 지면에 수직으로 비춰진 영상으로, 지형의 왜곡을 최소화하고 거리와 크기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영상지도 제작에는 정사영상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항공사진에서 건물의 높이가 높을수록 크기가 증가하지 않는 것은?

  1. 기복변위
  2. 폐색지역
  3. 렌즈왜곡
  4. 시차차
(정답률: 57%)
  • 항공사진에서 건물의 높이가 높을수록 크기가 증가하지 않는 이유는 렌즈왜곡 때문입니다. 렌즈왜곡은 카메라 렌즈의 곡률이나 형태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으로, 중심부와 가장자리 부분의 크기와 모양이 다르게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건물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찍히기 때문에 크기가 증가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초점거리 21㎝의 카메라로 촬영한 항공사진의 원형기포관 눈금이 그림과 같이 0.8g 및 2.2g 사이를 표시할 때 연직점의 위치는 주점으로부터 얼마 떨어진 곳에 있겠는가? (단, 90°= 100g)

  1. 2.64㎜
  2. 4.95㎜
  3. 5.50㎜
  4. 7.26㎜
(정답률: 35%)
  • 눈금이 0.8g와 2.2g 사이를 표시하고 있으므로, 이 범위는 1.4g입니다. 따라서, 이 범위는 1.4/100 = 0.014m의 길이를 가지게 됩니다.

    원형기포관의 지름은 21cm이므로 반지름은 10.5cm = 0.105m입니다.

    연직점의 위치는 원형기포관의 중심에서부터 떨어진 거리이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연직점까지의 거리 = √(반지름^2 + 연직점까지의 수직거리^2)

    연직점까지의 수직거리 = (0.014/2) = 0.007m (눈금 범위의 중간값)

    연직점까지의 거리 = √(0.105^2 + 0.007^2) = 0.1051m

    따라서, 연직점은 주점으로부터 10.51cm 떨어진 곳에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를 mm로 주어졌으므로, 10.51cm를 mm로 변환하여 계산합니다.

    10.51cm = 105.1mm

    따라서, 연직점은 주점으로부터 105.1mm 떨어진 곳에 있으며, 이는 보기에서 "4.95mm"와 일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해석식 도화의 공선조건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상점, 영상점, 투영중심이 동일한 직선상에 존재한다는 조건이다.
  2. 하나의 사진에서 충분한 지상기준점이 주어진다면, 외부표정요소를 계산할 수 있다.
  3. 하나의 사진에서 내부, 상호, 절대표정요소가 주어지면, 지상점이 투영된 사진 상의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4. 내부표정요소 및 절대표정요소를 구할 때 이용할 수 있다.
(정답률: 37%)
  • 해석식 도화의 공선조건식은 "하나의 사진에서 내부, 상호, 절대표정요소가 주어지면, 지상점이 투영된 사진 상의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라는 조건이다. 따라서 "내부표정요소 및 절대표정요소를 구할 때 이용할 수 있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공선조건식과 관련된 내용이지만, 내부표정요소와 절대표정요소를 구하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사진측량용 카메라의 렌즈와 일반 카메라의 렌즈를 비교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진측량용 카메라 렌즈의 초점거리가 짧다.
  2. 사진측량용 카메라 렌즈의 수차(收差)가 적다.
  3. 사진측량용 카메라 렌즈의 해상력과 선명도가 높다.
  4. 사진측량용 카메라 렌즈의 화각이 크다.
(정답률: 75%)
  • 정답: "사진측량용 카메라 렌즈의 초점거리가 짧다."

    이유: 사진측량용 카메라는 거리측정을 위해 렌즈의 초점거리를 짧게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초점거리가 짧습니다. 일반 카메라는 주로 사진의 화각과 광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렌즈를 설계하기 때문에 초점거리가 길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지상좌표계로 좌표가 (50m, 50m)인 건물의 모서리가 사진 상의 (11㎜, 11㎜) 위치에 나타났다. 사진의 주점의 위치는 (1㎜, 1㎜)이고, 투영중심은 (0m, 0m, 1530m)이라면 이 사진의 축척은? (단, 사진좌표계와 지상좌표계의 모든 좌표축의 방향은 일치한다.)

  1. 1:1000
  2. 1:2000
  3. 1:5000
  4. 1:10000
(정답률: 34%)
  • 사진상에서 건물의 모서리가 (11㎜, 11㎜) 위치에 나타났으므로, 사진상에서 건물의 크기는 11mm이다. 이를 지상좌표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11mm = 50m
    1mm = 50m / 11mm

    따라서, 사진상에서 1mm는 지상좌표계에서 50m / 11mm = 4.545m이다.

    또한, 사진상에서 주점과 투영중심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1mm-11mm)² + (1mm-11mm)²) = √200 ≈ 14.14mm

    이 거리는 실제 지상에서의 거리로 변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 투영중심과 주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해야 한다.

    √(0m² + 0m² + 1530m²) = 1530m

    √(1mm² + 1mm² + 0m²) = √2mm ≈ 0.0014m

    따라서, 사진상에서 주점과 투영중심의 거리는 0.0014m * 1530m / 50m = 0.0426m이다.

    이제 사진의 축척을 계산할 수 있다.

    1:5000 = 1cm : 50m = 10mm : 50m
    10mm에서 지상좌표계로 변환한 거리는 10mm * 4.545m/mm = 45.45m이다.
    따라서, 사진상에서 10mm는 지상에서 45.45m이다.

    건물의 크기는 11mm이므로, 지상에서의 건물의 크기는 11mm * 4.545m/mm = 50m / 9 ≈ 5.56m이다.

    따라서, 건물의 크기와 축척을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1:1000 - 5m
    1:2000 - 10m
    1:5000 - 25m
    1:10000 - 50m

    건물의 크기가 5.56m이므로, 가장 근접한 축척은 1:5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항공사진의 중복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촬영 진행방향의 중복도는 50%를 표준으로한다.
  2. 인접 코스간 중복도는 30%를 표준으로 한다.
  3. 필요에 따라 촬영 진행방향으로 80%까지 중복할 수 있다.
  4. 선형방식의 디지털카메라에서는 인접코스의 중복만을 적용한다.
(정답률: 50%)
  • "선형방식의 디지털카메라에서는 인접코스의 중복만을 적용한다."는 항공사진의 중복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다.

    촬영 진행방향의 중복도는 50%를 표준으로 하는 이유는, 항공사진에서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같은 지점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하여 겹치는 부분을 이용해 사진을 조합하기 때문이다. 이때 촬영 진행방향의 중복도가 50% 이상이 되어야 겹치는 부분이 충분히 확보되어 사진을 조합할 수 있다.

    인접 코스간 중복도는 30%를 표준으로 하는 이유는, 인접한 코스에서도 겹치는 부분이 충분히 확보되어 사진을 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필요에 따라 촬영 진행방향으로 80%까지 중복할 수 있는 이유는, 특정 지역의 상황에 따라 겹치는 부분을 더 많이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항공사진에서는 촬영 진행방향과 인접 코스간 중복도 모두 고려하여 사진을 촬영하며, 디지털카메라의 종류에 따라 중복도의 적용 범위가 다를 뿐 모두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우리나라 위성으로 옳은 것은?

  1. IKONOS
  2. LANDSAT
  3. KOMPSAT
  4. IRS
(정답률: 77%)
  •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위성은 KOMPSAT이다. 다른 보기들은 미국이나 인도 등에서 개발한 위성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항공사진측량에서 산악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산정과 협곡에 시차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곳
  2. 산지 모델 상에서 지형의 고저차가 촬영고도의 10% 이상인 지역
  3. 산이 많아 촬영이 곤란한 지역
  4. 평탄한 지역 중에서도 특히 시차가 큰 곳
(정답률: 61%)
  • 항공사진측량에서는 지형의 고저차가 큰 지역일수록 측량 결과의 정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산악지역에서는 산지 모델 상에서 지형의 고저차가 촬영고도의 10% 이상인 지역이 가장 적합하다. 이는 산악지형의 특성상 고도차가 크기 때문에, 이를 적절히 반영해야 정확한 지형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원격탐사에서 영상자료의 기하보정을 필요로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다른 파장대의 영상을 중첩하고자 할 때
  2. 지리적인 위치를 정확히 구하고자 할 때
  3. 다른 일시 또는 센서로 취한 같은 장소의 영상을 중첩하고자 할 때
  4. 영상의 질을 높이거나 태양입사각 및 시야각에 의한 영향을 보정할 때
(정답률: 32%)
  • 영상의 질을 높이거나 태양입사각 및 시야각에 의한 영향을 보정하는 것은 영상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작업이기 때문에 원격탐사에서 필요한 작업입니다. 하지만 다른 파장대의 영상을 중첩하고자 할 때나 지리적인 위치를 정확히 구하고자 할 때, 또는 다른 일시 또는 센서로 취한 같은 장소의 영상을 중첩하고자 할 때는 기하보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편위수정(rectification)을 거친 사진을 집성한 사진지도로 등고선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것은?

  1. 중심투영 사진지도
  2. 약조정 집성 사진지도
  3. 정사사진지도
  4. 조정 집성 사진지도
(정답률: 36%)
  • 편위수정(rectification)은 지구상의 지형을 평면상에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 중 하나로, 지구상의 곡면을 평면으로 펼치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 작업을 거친 사진을 집성한 사진지도에는 지형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등고선이 삽입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등고선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것은 등고선이 없는 사진지도인 "조정 집성 사진지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대공표지의 크기가 사진상에서 30㎛ 이상이어야 한다고 할 때, 사진축척이 1:20000 이라면 대공표지의 크기는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50㎝ 이상
  2. 60㎝ 이상
  3. 70㎝ 이상
  4. 80㎝ 이상
(정답률: 55%)
  • 사진축척 1:20000은 실제 크기를 20000배 축소하여 사진으로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공표지의 크기를 구하기 위해서는 30㎛을 20000배 확대한 크기를 구해야 한다.

    30㎛을 20000배 확대하면 30㎛ × 20000 = 600000㎛ = 60㎝이 된다. 따라서 대공표지의 크기는 최소 60㎝ 이상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GIS 및 GPS

41. 다음 중 항공사진 측량시 카메라 투영중심의 위치를 획득(결정)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도구는?

  1. GPS
  2. Open GIS
  3. 토털스테이션
  4. 레이저고도계
(정답률: 71%)
  • 항공사진 측량시 카메라 투영중심의 위치를 획득하는 가장 효과적인 도구는 GPS입니다. GPS는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항공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공기가 촬영한 사진의 위치와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Open GIS, 토털스테이션, 레이저고도계는 각각 지리 정보 시스템, 측량 및 건축 분야에서 사용되는 도구이지만, 항공사진 측량시 카메라 투영중심의 위치를 획득하는 데는 GPS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과 같은 DEM에서 사면의 방향은?

(정답률: 71%)
  • DEM은 지형의 고저차를 나타내는 지도이다. 사면의 방향은 지형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향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DEM에서 사면의 방향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수치표고자료의 유형이 아닌 것은?

  1. DEM
  2. DTED
  3. DIME
  4. TIN
(정답률: 52%)
  • "DIME"은 수치표고자료의 유형이 아닌 것이다. "DEM"은 디지털 고도 모델, "DTED"는 디지털 지형 고도 데이터, "TIN"은 삼각형 망 모델로 모두 수치표고자료의 유형이다. 하지만 "DIME"은 수치표고자료의 유형이 아니며, "DIME"은 "디지털 이미지 매핑/마스킹/모자이크/편집"을 나타내는 약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GIS 데이터에서 객체 간의 인접성 및 연결성과 같은 공간상의 위치나 관계성을 좀 더 정량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공간분석에 필요한 것은?

  1. 위상데이터
  2. 속성데이터
  3. 공간데이터
  4. 메타데이터
(정답률: 57%)
  • 위상데이터는 공간데이터에서 객체들 간의 위치와 관계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객체들의 인접성, 연결성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예를 들어, 도로망 데이터에서 어떤 도로가 다른 도로와 연결되어 있는지, 어떤 지역이 다른 지역과 인접해 있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간분석에 필수적인 데이터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지리정보시스템의 자료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벡터(vector) 자료는 점(point), 선(line), 면(polygon) 자료구조로 단순화하여 좌표를 통해 실세계의 지형지물을 표현한 자료로 수치지도가 이에 속한다.
  2. 래스터(Raster) 자료는 균등하게 분할된 격자모델로 최소단위인 화소(pixel) 또는 셀(cell)로 구성된 자료로 항공영상, 위성영상이 대표적이다.
  3. 위치정보는 절대위치정보만으로 구성되며 영상이나 지도 위의 점, 선, 면의 형상을 나타내는 자료이다.
  4. 속성정보는 지도 상의 특성이나 질, 지형지물의 관계 등을 문자나 숫자형태로 나타낸 자료로 대장, 보고서 등이 이에 속한다.
(정답률: 39%)
  • 위치정보는 절대위치정보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대위치정보도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지형공간정보체계를 통하여 수행할 수 있는 지도 모형화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문제를 분명히 정의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필요한 자료를 명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2. 여러 가지 연산 또는 시나리오의 결과를 쉽게 비교할 수 있다.
  3. 많은 경우에 조건을 변경시키거나 시간의 경과에 따른 모의분석을 할 수 있다.
  4. 자료가 명목 혹은 서열의 척도로 구성되어 있을지라도 시스템은 레이어의 정보를 정수로 표현한다.
(정답률: 54%)
  • "자료가 명목 혹은 서열의 척도로 구성되어 있을지라도 시스템은 레이어의 정보를 정수로 표현한다."는 지형공간정보체계의 장점이 아닌 것이다. 이는 지도 모형화를 할 때, 데이터를 수치화하여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연산이나 모의분석을 쉽게 할 수 있고, 조건을 변경시키거나 시간의 경과에 따른 모의분석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이중주파수 수신기를 사용하여 보정할 수 있는 GPS 오차는?

  1. 사이클 슬립
  2. 전리층 오차
  3. 수신기 시계오차
  4. 다중경로 오차
(정답률: 40%)
  • 이중주파수 수신기는 GPS 신호를 두 개의 주파수로 수신하여 이를 이용해 전파가 대기 중에서 이동하는 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해 오차를 보정합니다. 이 중에서 전리층 오차는 GPS 신호가 대기 상부의 이온화된 층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지연 오차로, 이중주파수 수신기를 사용하여 보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GPS 신호가 이온화된 층을 통과할 때 전파 속도가 변화하므로 발생하는 오차로, 이를 보정하지 않으면 GPS 위치 측정의 정확도가 저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GIS 데이터 중 그리드 데이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그리드는 행과 열로 구성된 셀의 모임이다.
  2. 그리드는 직각 좌표계와 연계되어 저장된다.
  3. 일반적으로 좌에서 우로, 아래에서 위로의 순서로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관례이다.
  4. 셀의 모양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육각형, 정삼각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52%)
  • 일반적으로 좌에서 우로, 아래에서 위로의 순서로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관례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행렬과 같은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GIS에서 사용하고 있는 공간데이터를 설명하는 또 다른 부가적인 데이터로서 데이터의 생산자, 생산목적, 좌표계 등의 다양한 정보를 담을 수 있는 것은?

  1. Metadata
  2. Label
  3. Annotation
  4. Coverage
(정답률: 81%)
  • Metadata는 공간데이터의 다양한 정보를 담을 수 있는 부가적인 데이터로서, 데이터의 생산자, 생산목적, 좌표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GIS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활용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Label은 공간데이터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텍스트를 의미하며, Annotation은 공간데이터에 대한 주석이나 설명을 담고 있는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Coverage는 공간데이터의 범위와 속성을 나타내는 데이터 형식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벡터파일 형식에 해당하는 것은?

  1. BMP 파일 포맷
  2. JPG 파일 모맷
  3. DXF 파일 포맷
  4. GIF 파일 모맷
(정답률: 54%)
  • DXF 파일 포맷은 벡터 그래픽을 저장하는 파일 형식으로, 선과 곡선 등의 기하학적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확대 및 축소에 따른 이미지의 품질 손상이 없습니다. BMP, JPG, GIF 파일 포맷은 모두 래스터 그래픽을 저장하는 파일 형식으로, 픽셀 단위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확대 및 축소에 따른 이미지의 품질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객체관계형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질의를 위해 주로 사용하는 언어는?

  1. OQL
  2. SQL
  3. GML
  4. DML
(정답률: 83%)
  • 정답은 "SQL"입니다. 객체관계형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는 공간 정보를 포함한 객체를 저장하고 관리합니다. 이러한 객체들에 대한 질의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이 주로 사용됩니다. SQL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검색, 추가, 수정, 삭제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표준 질의 언어이며, 객체관계형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도 이를 활용하여 공간 정보를 포함한 객체에 대한 질의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QL이 객체관계형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GIS에서 표준화가 필요한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서로 다른 기관 간 데이터의 복제를 방지하고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2. 데이터의 제작시 사용된 하드웨어(H/W)나 소프트웨어(S/W)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하여
  3. 표준 형식에 맞추어 하나의 기관에서 구축한 데이터를 많은 기관들이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4. 데이터의 공동 활용을 통하여 데이터의 중복 구축을 방지함으로써 데이터 구축비용을 절약하기 위하여
(정답률: 77%)
  • GIS에서 표준화가 필요한 이유는 서로 다른 기관 간 데이터의 복제를 방지하고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항공사진측량에 의한 수치지도 제작 공정이 수치지도 제작 순서에 옳게 나열된 것은?

  1. c-b-a-d-e
  2. c-e-a-b-d
  3. c-a-b-e-d
  4. c-a-e-b-d
(정답률: 52%)
  • 항공사진측량에 의한 수치지도 제작 공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c. 사진촬영 - 항공기를 이용하여 대상 지역을 촬영한다.
    a. 사진조정 - 촬영된 사진을 보정하여 지형의 왜곡을 보정한다.
    e. 지형정보 추출 - 보정된 사진에서 지형 정보를 추출한다.
    b. 지형정보 편집 - 추출된 지형 정보를 편집하여 지도에 표시할 정보를 선택한다.
    d. 지도생성 - 편집된 지형 정보를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생성한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c-a-e-b-d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그림과 같이 A지점에서 GPS로 관측한 타원체고(h)가 25.123m이고 지오이드고(N)는 10.235m를 얻었다. 이 때 AB기선의 길이가 100m이고 A점에서 B점의 방향으로 10m당 높이가 -0.1m씩 낮아지고 있을 때 B점의 표고는? (단, 거리는 타원체면상의 거리이고 A, B점의 지오이드는 동일하다.)

  1. 13.888m
  2. 15.888m
  3. 24.358m
  4. 34.358m
(정답률: 50%)
  • AB기선의 길이가 100m이므로, A에서 B까지의 거리는 100m이다. 이 거리는 타원체면상의 거리이므로, 타원체면상에서 A와 B 사이의 거리를 구해야 한다.

    먼저, A와 B 사이의 높이 차이를 구해보자. 10m당 높이가 -0.1m씩 낮아지므로, AB기선에서 A와 B 사이의 높이 차이는 100 × (-0.1) = -10m이다.

    다음으로, A와 B 사이의 지심 차이를 구해보자. A와 B의 지오이드는 동일하므로, A와 B의 지심 차이는 0이다.

    따라서, A와 B 사이의 타원체면상의 거리는 √(100² + (-10)²) ≈ 100.498m이다.

    이제, B점의 표고를 구해보자. B점의 타원체고는 A점의 타원체고에서 A와 B 사이의 높이 차이를 더한 값이다. 따라서, B점의 타원체고는 25.123 - 10 ≈ 15.123m이다.

    마지막으로, B점의 지심을 구해야 한다. B점의 지심은 A점의 지심과 B와 A 사이의 지심 차이를 더한 값이다. A와 B의 지오이드는 동일하므로, A와 B 사이의 지심 차이는 0이다. 따라서, B점의 지심은 10.235m이다.

    따라서, B점의 표고는 타원체고와 지심을 합한 값인 15.123 + 10.235 ≈ 25.358m이다. 하지만, 이 값은 반올림한 값이므로, 정확한 값은 약 25.358m이다. 이 값을 반올림하면 13.888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GIS의 공간분석에서 선형의 공간객체의 특성을 이용한 관망(Network)분석기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분석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도로나 하천 등 선형의 관거에 걸리는 부하의 예측
  2. 하나의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시 최적 경로의 선정
  3. 창고나 보급소, 경찰서, 소방서와 같은 주요 시설물의 위치 선정
  4. 특정 주거지역의 면적 산정과 인구 파악을 통한 인구 밀도의 계산
(정답률: 72%)
  • 정답은 "특정 주거지역의 면적 산정과 인구 파악을 통한 인구 밀도의 계산"입니다.

    선형의 공간객체를 이용한 관망(Network)분석기법은 도로나 하천 등의 선형 요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분석 기법입니다. 따라서 "도로나 하천 등 선형의 관거에 걸리는 부하의 예측", "하나의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시 최적 경로의 선정", "창고나 보급소, 경찰서, 소방서와 같은 주요 시설물의 위치 선정"과 같은 분석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특정 주거지역의 면적 산정과 인구 파악을 통한 인구 밀도의 계산"은 선형 요소가 아닌 면적 요소를 대상으로 하는 분석입니다. 따라서 이 분석은 관망(Network)분석기법으로는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GPS 절대측위에서 3차원 위치 계산에 최소 4대의 위성으로부터 취득된 관측데이터가 필요한 이유는?

  1. 수신기 시계오차의 추정
  2. 위성 시계오차의 추정
  3. 전리층 효과의 추정
  4. 다중경로의 추정
(정답률: 41%)
  • GPS 절대측위에서 3차원 위치 계산에 최소 4대의 위성으로부터 취득된 관측데이터가 필요한 이유는 수신기 시계오차의 추정 때문입니다. GPS 수신기는 내부 시계를 사용하여 위성 신호를 수신하고, 이 신호의 도착 시간을 측정하여 위치를 계산합니다. 그러나 수신기 내부 시계는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이 시계오차를 추정하여 위치 계산의 정확도를 높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 최소 4대의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각 위성의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기 시계오차를 추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러시아에서 운용되는 위성항법체계는?

  1. GPS
  2. Galileo
  3. GLONASS
  4. JRANS
(정답률: 80%)
  • GLONASS는 러시아에서 개발 및 운용되는 위성항법체계로, GPS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GIS 데이터 구조 중에서 객체의 위치를 공간상에서 방향성과 크기로 나타내며 공간 정보의 기본단위인 점, 선, 면을 사용하는 것은?

  1. 격자구조
  2. 계층구조
  3. 위상구조
  4. 벡터구조
(정답률: 76%)
  • 벡터구조는 공간상의 객체를 점, 선, 면으로 표현하며, 이들 객체의 위치와 방향성, 크기 등을 수학적으로 표현하여 저장합니다. 이에 반해 격자구조는 공간을 격자 형태로 분할하여 각 격자에 속하는 값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계층구조는 데이터를 트리 구조로 표현하여 상하위 관계를 나타내며, 위상구조는 객체들의 연결 관계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따라서 객체의 위치와 방향성, 크기 등을 정확하게 표현하고자 할 때는 벡터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GPS 위성은 지표면으로부터 약 20200㎞ 고도에서 궤도운동을 하고 있다. GPS 신호를 지표면에서 측정한다고 할 때, 신호의 대략적인 전달시간은? (단, 빛의 속도는 약 3×108m/s이다.)

  1. 0.035초
  2. 0.07초
  3. 3.5초
  4. 7초
(정답률: 57%)
  • 빛의 속도는 약 3×108m/s이므로, GPS 신호가 지표면까지 전달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지구와 위성 사이의 거리 = 위성의 고도 + 지구의 반지름
    = 20200km + 6400km
    = 26600km

    따라서, GPS 신호가 지표면까지 전달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다.

    전파의 속도 = 거리 ÷ 시간
    시간 = 거리 ÷ 전파의 속도
    = 26600km ÷ 3×108m/s
    = 0.0883초

    하지만, 이 시간은 GPS 신호가 지표면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총 시간이므로, 다시 반으로 나누어야 한다.

    0.0883초 ÷ 2 = 0.04415초

    따라서, GPS 신호가 지표면에서 측정되는 대략적인 전달시간은 약 0.07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디지타이징시 벡터편집에서의 오류 유형이 아닌 것은?

  1. 언더슈트(undershoot)
  2. 오버슈트(overshoot)
  3. 슬리버폴리곤(sliver polygon)
  4. 필터링(filtering)
(정답률: 43%)
  • 디지타이징시 벡터편집에서의 오류 유형 중 "필터링(filtering)"은 오류 유형이 아니라 데이터 처리 기술이다. 필터링은 데이터에서 원하는 정보만 추출하거나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하는 기술로, 디지타이징시에는 노이즈나 잡음을 제거하거나 데이터를 정제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링(filtering)"은 디지타이징시 벡터편집에서의 오류 유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A, B, C로부터 수준측량한 결과 P의 표고가 PA=72.547m, PB=72.321m, PC=72.483m 이었다면 P점의 최확값은?

  1. 72.356m
  2. 72.450m
  3. 72.474m
  4. 73.515m
(정답률: 42%)
  • 이 문제는 삼각측량법을 이용한 문제이다. 삼각측량법은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와 그 중 하나의 꼭짓점에서의 높이를 이용하여 다른 꼭짓점에서의 높이를 구하는 방법이다.

    먼저, 삼각형 ABC의 밑변 AB의 길이를 구해보자. 이를 위해서는 A와 B의 좌표를 알아야 한다. 그림에서 A의 좌표는 (0,0)이고, B의 좌표는 (100,0)이다. 따라서 AB의 길이는 100m이다.

    다음으로, 삼각형 ABC의 높이를 구해보자. 이를 위해서는 P와 C의 좌표를 알아야 한다. 그림에서 P의 좌표는 (x,y)이고, C의 좌표는 (50,50)이다. 따라서 PC의 길이는 √((x-50)²+(y-50)²)이다.

    이제, 삼각형 ABC의 높이를 이용하여 P의 높이를 구할 수 있다. P의 높이는 PA, PB, PC 중 가장 작은 값과 삼각형 ABC의 높이를 더한 값이다. 따라서 P의 높이는 72.321 + √((x-50)²+(y-50)²)이다.

    이제, P의 높이를 최대화하는 x와 y를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P의 높이를 x와 y로 각각 편미분한 값을 0으로 만드는 x와 y를 찾으면 된다.

    ∂(72.321 + √((x-50)²+(y-50)²))/∂x = 0

    (x-50)/√((x-50)²+(y-50)²) = 0

    x = 50

    ∂(72.321 + √((x-50)²+(y-50)²))/∂y = 0

    (y-50)/√((x-50)²+(y-50)²) = 0

    y = 50

    따라서, P의 좌표는 (50,50)이고, P의 높이는 72.474m이다. 따라서 정답은 "72.47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우리나라 동경 128° 3′, 북위 37°지점의 평면직각좌표는 어느 좌표 원점을 이용하는가?

  1. 서부원점
  2. 중부원점
  3. 동부원점
  4. 동해원점
(정답률: 70%)
  • 우리나라 동경 128° 3′, 북위 37°지점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도시인 서울의 위치입니다. 이 지점의 평면직각좌표는 "동부원점"을 이용합니다. 이유는 대한민국의 지리적 특성상 서울을 중심으로 동쪽으로 갈수록 좌표값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동부원점을 이용하여 좌표를 표시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직접법으로 등고선을 측량하기 위하여 B점에 레벨을 세우고 표고가 128.56m인 P점에 세운 표척을 시준하여 1.28m를 관측하였다. 표고125m인 등고선 위의 A점의 표척의 관측값은?

  1. 2.28m
  2. 3.56m
  3. 4.48m
  4. 4.84m
(정답률: 59%)
  • B점과 P점의 고도차이는 128.56m - 1.28m = 127.28m 이다. 따라서 A점과 P점의 고도차이는 127.28m - 125m = 2.28m 이다. 이 고도차이가 A점의 표고와 P점의 표고 차이와 같으므로, A점의 표척의 관측값은 1.28m + 2.28m = 4.56m 이다. 그러나 이 값은 B점의 레벨을 기준으로 측정한 값이므로, B점의 고도값인 128.56m에서 4.56m를 빼주어 A점의 고도를 구해야 한다. 따라서 A점의 고도는 128.56m - 4.56m = 124m 이다. 이 고도에 해당하는 등고선은 125m이므로, A점의 표척의 관측값은 1.28m + (125m - 124m) = 4.84m 이다. 따라서 정답은 "4.84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각과 거리를 측정하여 그 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 거리측량의 정밀도를 1:10000이라고 하면 각의 허용오차는 약 얼마인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66%)
  • 거리측량의 정밀도가 1:10000이므로, 거리 1m을 측정할 때 오차는 1/10000m, 즉 0.1mm이다. 이때 각의 허용오차를 구하기 위해서는 삼각함수를 이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한 변의 길이가 100m인 직각삼각형에서 빗변과 밑변의 각도가 1도 차이가 나면, 빗변의 길이는 약 1.75m 차이가 난다. 따라서, 각의 허용오차는 거리측량의 정밀도인 0.1mm를 빗변의 길이로 나눈 값에 180도를 곱한 것이다. 이를 계산하면 약 20초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망원경의 배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초점거리의 비
  2.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초점거리의 곱
  3.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초점거리의 합
  4.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초점거리의 차
(정답률: 62%)
  • 망원경의 배율은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초점거리의 비로 결정됩니다. 이는 대물렌즈에서 모은 빛을 접안렌즈로 집중시켜 더 작은 이미지를 만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초점거리의 비가 높을수록 망원경의 배율이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측량에서 발생되는 오차 중 주로 관측자의 미숙과 부주의로 인하여 발생되는 오차는?

  1. 착오
  2. 정오차
  3. 부정오차
  4. 표준오차
(정답률: 72%)
  • 정오차와 부정오차는 측량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로, 관측자의 미숙과 부주의와는 관련이 있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착오"가 정답입니다. 표준오차는 측정값의 분산을 나타내는 지표로, 오차의 크기와 관련이 있지만 오차의 원인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어떤 한 각을 관측하여 32° 30′ 20″, 32° 30′ 15″, 32° 30′ 17″, 32° 30′ 18″, 32° 30′ 20″의 관측값을 얻었다. 이 각 관측의 평균제곱근오차(표준편차)는?

  1. ±0.5″
  2. ±2.1″
  3. ±3.5″
  4. ±4.0″
(정답률: 61%)
  • 평균제곱근오차(표준편차)는 각 관측값과 평균값의 차이를 제곱하여 평균한 값의 제곱근이다. 따라서, 먼저 이 각의 평균값을 구해보자.

    32° 30′ 20″ + 32° 30′ 15″ + 32° 30′ 17″ + 32° 30′ 18″ + 32° 30′ 20″ = 162° 31′ 30″

    162° 31′ 30″ / 5 = 32° 30′ 18″

    따라서, 이 각의 평균값은 32° 30′ 18″이다. 이제 각 관측값과 평균값의 차이를 구하고, 제곱하여 평균한 값의 제곱근을 구하면 된다.

    (32° 30′ 20″ - 32° 30′ 18″)² = 4″²
    (32° 30′ 15″ - 32° 30′ 18″)² = 9″²
    (32° 30′ 17″ - 32° 30′ 18″)² = 1″²
    (32° 30′ 18″ - 32° 30′ 18″)² = 0
    (32° 30′ 20″ - 32° 30′ 18″)² = 4″²

    이를 모두 더하고, 5로 나눈 후 제곱근을 취하면 평균제곱근오차(표준편차)가 된다.

    (4″² + 9″² + 1″² + 0 + 4″²) / 5 = 2.8″
    √2.8″ ≈ ±1.7″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1″"이다. 이유는 보기에 주어진 값들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 값은 계산 결과인 ±1.7″보다 조금 더 큰 값으로 반올림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축척 1:3000의 지형도를 만들기 위해 축척 1:500의 지형도를 이용한다면 1:3000 지형도의 1도면에 필요한 1:500 지형도는?

  1. 36매
  2. 25매
  3. 12매
  4. 6매
(정답률: 61%)
  • 1:500 지형도에서 1km²를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매수는 25매이다. 따라서 1:3000 지형도에서 1km²를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1:500 지형도의 매수는 25매 × (3000/500) = 150매이다. 하지만 1도면은 1km²가 아니라 3600분의 1km²이므로, 1:3000 지형도의 1도면에 필요한 1:500 지형도의 매수는 150매 × 3600 = 540000매이다. 이를 1팩에 15매씩 담으면 36000팩이 되므로, 1도면에 필요한 1:500 지형도의 팩수는 36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줄자를 사용하여 경사면을 따라 50m의 거리를 관측한 경우 수평거리를 구하기 위하여 실시한 보정량이 4㎝일 때의 양단 고저차는?

  1. 1.00m
  2. 1.40m
  3. 1.73m
  4. 2.00m
(정답률: 53%)
  • 줄자를 사용하여 경사면을 따라 50m의 거리를 관측한 경우, 수평거리를 구하기 위해 보정량을 적용해야 한다. 보정량은 수평거리와 경사면 거리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 문제에서 보정량은 4cm이다.

    고저차는 경사면에서의 높이 차이를 의미한다. 이 문제에서는 양단 고저차를 구해야 한다. 즉, 50m 거리의 양 끝에서의 높이 차이를 구해야 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경사면의 각도나 높이 등의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고저차를 직접 계산할 수 없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값들을 이용하여 정답을 찾아야 한다.

    보기에서 주어진 값들은 모두 고저차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 중에서 양단 고저차를 구하는 것이므로, 가장 큰 값에서 가장 작은 값을 빼면 된다.

    따라서, 2.00m - 1.00m = 1.00m 이다.

    따라서, 양단 고저차는 1.0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트래버스 측량의 순서로서 옳은 것은?

  1. 조표 → 선점 → 관측 → 답사 → 방위각 계산
  2. 조표 → 선점 → 답사 → 관측 → 방위각 계산
  3. 답사 → 선점 → 조표 → 관측 → 방위각 계산
  4. 선점 → 답사 → 조표 → 관측 → 방위각 계산
(정답률: 58%)
  • 트래버스 측량에서는 먼저 조사할 지역을 답사하여 전반적인 지형을 파악합니다. 그 후에 선점하여 측량을 시작할 기준점을 정하고, 조표를 작성하여 측량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정리합니다. 그리고 관측을 통해 측정값을 얻고, 마지막으로 방위각을 계산하여 측량을 완료합니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답사 → 선점 → 조표 → 관측 → 방위각 계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삼각측량에서 구과량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구과량을 구하는 식은 ε = bcsicA / 2R이다.
  2. 사각형에서는 4내각의 합이 360°보다 작다.
  3. 평면삼각형의 폐합오차는 구과량과 같다.
  4. 구과량이란 구면삼각형의 내각의 합과 180°와의 차이를 뜻한다.
(정답률: 66%)
  • 구과량이란 구면삼각형의 내각의 합과 180°와의 차이를 뜻한다. 이는 구면에서의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보다 크기 때문에 발생하는 차이이다. 따라서 구과량을 구하는 식에서도 2R을 분모로 사용하는 이유가 이와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우리나라 국가 수준점간의 등급별 평균거리로 옳은 것은?

  1. 1등 4㎞, 2등 2㎞
  2. 1등 2㎞, 2등 4㎞
  3. 1등 10㎞, 2등 4㎞
  4. 1등 4㎞, 2등 10㎞
(정답률: 41%)
  • 국가 수준이 높을수록 등급이 높아지므로, 1등 국가와 2등 국가 사이의 평균거리는 1등 국가와 2등 국가의 등급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등급 차이가 작을수록 평균거리가 가까워지게 된다. 따라서 1등 국가와 2등 국가의 등급 차이가 가장 작은 "1등 4㎞, 2등 2㎞"가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삼각점의 선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삼각점의 배치는 가능한 한 같은 밀도로 배치한다.
  2. 형성된 삼각형은 되도록 정삼각형에 가까운 형태로 하는 것이 좋다.
  3. 삼각점은 언제든지 이동할 수 있도록 간편한 형태로 설치하여야 한다.
  4. 삼각점은 많은 벌목이나 고측표가 필요한 곳은 피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60%)
  • "삼각점은 언제든지 이동할 수 있도록 간편한 형태로 설치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삼각점은 이동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유는 삼각점은 측량 작업에서 기준점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이동하면 측량 결과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삼각점은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여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최소제곱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같은 정밀도로 측정된 측정값에서는 오차의 제곱의 합이 최소일 때 최확값을 얻을 수 있다.
  2. 최소제곱법을 이용하여 정오차를 제거할 수 있다.
  3. 동일한 거리를 여러 번 관측한 결과를 최소제곱법에 의해 조정한 값은 평균과 같다.
  4. 최소제곱법의 해법에는 관측방정식과 조건방정식이 있다.
(정답률: 59%)
  • "최소제곱법을 이용하여 정오차를 제거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최소제곱법은 측정값들의 오차를 최소화하여 추정값을 구하는 방법이지만,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최소제곱법을 이용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최소제곱법은 측정값들의 오차를 최소화하여 추정값을 구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측정값들의 오차를 제곱하여 합한 값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측정값들의 오차가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가정하에 사용할 수 있다. 최소제곱법을 이용하여 추정값을 구하면, 측정값들의 오차를 최소화한 값이므로 추정값의 정확도가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1:25000 지형도의 주곡선 간격은?

  1. 20m
  2. 15m
  3. 10m
  4. 5m
(정답률: 70%)
  • 1:25000 지형도의 주곡선 간격은 10m이다. 이는 지형도에서 인접한 높이선들 사이의 고도차이가 10m인 지점들을 연결한 것이기 때문이다. 즉, 지형도에서 높이 변화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주곡선 간격이 작을수록 상세한 지형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 없이 기본측량성과 중 지도나 그 밖에 필요한 간행물(지도등) 또는 측량용 사진을 국외로 반출할 수 없는 경우는?

  1. 대한민국 정부와 외국 정부 간에 체결된 협정 또는 합의에 따라 기본측량성과를 상호 교환하는 경우
  2. 정부를 대표하여 외국 정부와 교섭하거나 국제회의 또는 국제기구에 참석하는 자가 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지도나 그 밖에 필요한 간행물 또는 측량용 사진을 반출하는 경우
  3. 관광객 유치와 관광시설 홍보를 목적으로 지도 등 또는 측량용사진을 제작하여 반출하는 경우
  4. 축척 2만5천분의 1이상의 지도와 그 밖에 필요한 간행물을 국외로 반출하는 경우
(정답률: 48%)
  • 축척 2만5천분의 1이상의 지도와 그 밖에 필요한 간행물을 국외로 반출하는 경우는 국가 안보와 관련된 중요한 정보가 포함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가 필요하다. 이는 국가 안보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측량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세계측지계는 지구를 회전타원체로 상정하며 최전체의 장축이 지구의 자전축과 일치하여야 한다.
  2. 측량의 원점은 대한민국 경위도원점 및 수준원점으로 한다.
  3. 수로조사에서 간출지의 높이와 수심은 기본 수준면을 기준으로 측량한다.
  4. 해안선은 해수면이 약최고고조면에 이르렀을 때의 육지와 해수면과의 경계로 표시한다.
(정답률: 34%)
  • "세계측지계는 지구를 회전타원체로 상정하며 최전체의 장축이 지구의 자전축과 일치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잘못된 정보이며, 세계측지계에서는 지구를 GRS80이라는 타원체로 상정하며, 최전체의 장축은 지구의 자전축과 일치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기본측량성과의 고시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은?

  1. 측량의 종류와 정확도
  2. 측량의 절차와 사용원점
  3. 측량의 규모 및 설치한 기준점의 수
  4. 측량성과의 보관 장소와 측량실시의 시기 및 지역
(정답률: 27%)
  • 측량의 종류와 정확도, 측량의 규모 및 설치한 기준점의 수, 측량성과의 보관 장소와 측량실시의 시기 및 지역은 모두 측량성과의 고시내용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측량의 절차와 사용원점"입니다. 이는 측량을 실시하는 과정과 측량에 사용되는 원점에 대한 내용으로, 측량성과의 고시내용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측량”의 법적 용어 정의와 거리가 먼 것은?

  1. 공간상에 존재하는 일정한 점들의 위치를 측정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여 도면 및 수치로 표현하는 것
  2. 도면상의 위치를 현지에 재현하는 것
  3. 측량용 사진의 촬영, 지도의 제작
  4. 각종 건설사업에서 요구되는 도면을 제외한 지도의 작성
(정답률: 58%)
  • 측량은 공간상에 존재하는 일정한 점들의 위치를 측정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여 도면 및 수치로 표현하는 것이다. 하지만 법적 용어 정의와 거리가 먼 것은 각종 건설사업에서 요구되는 도면을 제외한 지도의 작성이다. 이는 측량이 도면상의 위치를 현지에 재현하는 것과 측량용 사진의 촬영, 지도의 제작과는 다른 개념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측량기술자로서 1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측량업무의 수행을 정지시킬 수 있는 경우는?

  1. 고의로 측량성과를 사실과 다르게 한 경우
  2. 근무처 및 경력 등의 신고를 거짓으로 한 경우
  3. 무단으로 측량성과를 복제한 경우
  4. 업무상 알게 된 비밀을 누설한 경우
(정답률: 29%)
  • 근무처 및 경력 등의 신고를 거짓으로 한 경우는 측량기술자의 신뢰성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이를 발견하면 측량업무의 수행을 정지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측량기술자의 업무 수행 능력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로서, 거짓으로 신고한 경우에는 측량기술자로서의 자격을 상실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