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9-28)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2013-09-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측량

1. 종ㆍ횡단 고저측량에 의하여 얻어진 각 측점의 단면적에 의하여 작성되는 유토곡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토곡선의 하향 구간은 성토구간이고 상향 구간은 절토구간이다.
  2. 곡선의 저점은 절토에서 성토로, 정점은 성토에서 절토로 바뀌는 점이다.
  3. 곡선과 평생선(기선)이 교차하는 점에서는 절토량과 성토량이 거의 같다.
  4. 절토와 성토의 평균운반거리는 유토곡선 토량의 1/2점간의 거리로 한다.
(정답률: 60%)
  • "곡선의 저점은 절토에서 성토로, 정점은 성토에서 절토로 바뀌는 점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유토곡선이 절토와 성토의 경계에서 변화하는 것을 나타내며, 저점은 절토에서 성토로 바뀌는 지점을 의미하고, 정점은 성토에서 절토로 바뀌는 지점을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유토곡선의 성질에 대한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ABC에서 ㉮ : ㉯ : ㉰ 의 면적의 비를 각각 4 : 2 : 3 으로 분할할 때 EC 의 길이는?

  1. 10.8m
  2. 12.0m
  3. 16.2m
  4. 18.0m
(정답률: 80%)
  • △ABC의 면적을 S라고 하면, ㉮의 면적은 4S/9, ㉯의 면적은 2S/9, ㉰의 면적은 3S/9 = S/3 이다.

    따라서, △AEC의 면적은 4S/9 + S/3 = 7S/9 이다.

    또한, △AEC의 면적은 △ABC의 면적에서 △BEC의 면적을 뺀 값과 같다.

    따라서, 7S/9 = S - (2S/9)

    해를 구하면 S = 27 이다.

    이제 EC의 길이를 구해보자.

    △AEC의 면적은 (1/2) x AC x EC 이므로,

    7S/9 = (1/2) x 18 x EC

    EC = 18.0m

    따라서, 정답은 "18.0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하천 측량에서 유속을 측정하고자 할 때 2점법에 의한 하천의 평균유속(Vm)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78%)
  • 정답은 ""이다.

    2점법은 하천의 유속을 측정하기 위해 하천을 가로지르는 두 개의 점에서의 유속을 측정하여 평균 유속을 구하는 방법이다. 이때, 하천의 평균유속(Vm)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m = (Q / A)

    여기서 Q는 유량, A는 단면적을 나타낸다. 유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 = V1 * A1 = V2 * A2

    여기서 V1과 V2는 각각 첫 번째 점과 두 번째 점에서의 유속을 나타내며, A1과 A2는 각각 첫 번째 점과 두 번째 점에서의 단면적을 나타낸다.

    따라서, Vm = (V1 * A1 + V2 * A2) / (A1 + A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하천측량에서 하천 양안에 설치된 거리표, 수위표, 기타 중요 지점들의 높이를 측정하고 유수부의 깊이를 측정하여 종단면도와 횡단면도를 만들기 위한 측량은?

  1. 평판에 의한 지형측량
  2. 트래버스측량
  3. 삼각측량
  4. 수준측량
(정답률: 70%)
  • 수위표와 유수부 깊이를 측정하여 종단면도와 횡단면도를 만들기 위한 측량은 높이를 측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므로 수준측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3각형의 3변의 길이가 a = 40m, b = 28m, c = 21m 일 때 면적은?

  1. 153.36m2
  2. 216.89m2
  3. 278.65m2
  4. 306.72m2
(정답률: 75%)
  • 해롭게도, 이 문제는 헤론의 공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헤론의 공식은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주어졌을 때 삼각형의 면적을 구하는 공식입니다.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s = (a + b + c) / 2
    면적 = √(s(s-a)(s-b)(s-c))

    여기서 s는 삼각형의 둘레의 절반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s = (40 + 28 + 21) / 2 = 44입니다. 이 값을 공식에 대입하면 면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면적 = √(44(44-40)(44-28)(44-21))
    = √(44 × 4 × 16 × 23)
    = √(64,768)
    ≈ 278.65m²

    따라서, 정답은 "278.65m²"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원곡선에서 곡선반지름 R = 200m, 교각 I = 60°, 종단현 편각이 0° 57′ 20″ 일 경우 종단현의 길이는?

  1. 2.676m
  2. 3.287m
  3. 6.671m
  4. 13.342m
(정답률: 80%)
  • 종단현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종단현의 길이 = 곡선반지름 x 종단각의 라디안 값

    종단각의 라디안 값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종단각의 라디안 값 = 종단현 편각 / 60 x π / 180

    따라서, 종단각의 라디안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단각의 라디안 값 = 0° 57′ 20″ / 60 x π / 180 = 0.016

    종단현의 길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종단현의 길이 = 200 x 0.016 = 3.2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종단현의 길이를 미터 단위로 구해야 합니다. 따라서, 3.2m를 구한 후, 교각 I에 대한 보정값을 더해줘야 합니다.

    교각 I에 대한 보정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정값 = (교각 I / 2) x (교각 I / 360) x 2π x 곡선반지름

    따라서, 보정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정값 = (60 / 2) x (60 / 360) x 2π x 200 = 1.471

    따라서, 종단현의 길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종단현의 길이 = 3.2 + 1.471 = 4.671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6.671m"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반올림한 값입니다. 따라서, 종단현의 길이를 반올림한 후, 보정값을 더해줘야 합니다.

    종단현의 길이 = 4.671 (반올림) + 2 = 6.671

    따라서, 정답은 "6.671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터널내 곡선 설치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편각법
  2. 접선편거법
  3. 내접다각형법
  4. 외접다각형법
(정답률: 64%)
  • 편각법은 터널내 곡선 설치 방법 중 가장 거리가 먼 방법입니다. 이는 편각법이 곡선의 중심각을 이용하여 곡선의 반지름을 구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에 비해 계산이 복잡하고 오차가 발생하기 쉬워서 거리가 먼 것입니다. 접선편거법은 곡선의 접선과 수직인 선을 이용하여 곡선의 반지름을 구하는 방법이며, 내접다각형법과 외접다각형법은 다각형을 이용하여 곡선의 반지름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단곡선 설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교각(I)이 일정할 때 접선장(T.L)은 곡선반지름(R)에 비례한다.
  2. 교각(I)과 곡선반지름(R)이 주어지면 단곡선을 설치할 수 있는 기본적인 요소를 계산할 수 있다.
  3. 편각법에 의한 단곡선 설치시 호길이(ℓ)에 대한 편각(δ)을 구하는 식은 곡선반지름을 R이라 할 때 이다.
  4. 중앙종거법은 단곡선의 두 점을 연결하는 현의 중심으로부터 현에 수직으로 종거를 내려 곡선을 설치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67%)
  • "교각(I)이 일정할 때 접선장(T.L)은 곡선반지름(R)에 비례한다."이 틀린 설명이다. 교각(I)이 일정할 때 접선장(T.L)은 곡선반지름(R)과는 관계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클로소이드 매개변수 A = 60m인 곡선에서 곡선길이 L = 30m 일때 곡선 반지름(R)은?

  1. 150m
  2. 120m
  3. 90m
  4. 60m
(정답률: 87%)
  • 클로소이드는 두 점 사이의 최단 거리를 따라가는 곡선으로, 곡률이 점점 작아지는 곡선입니다. 따라서 곡선의 중간 지점에서 곡률이 가장 크며, 이 지점에서의 곡률을 반지름으로 가지는 원이 클로소이드와 접합니다. 따라서 곡선의 길이가 반지름의 2배가 되므로, R = L/2 = 30/2 = 15m 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매개변수 A가 60m이므로, 곡선의 길이는 60m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R = L/2 = 60/2 = 30m이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30m이 없으므로, 곡선의 길이가 60m일 때 반지름이 120m이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지하시설물 탐사작업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2) - (1) - (3) - (4) - (5) - (6)
  2. (1) - (5) - (3) - (4) - (2) - (6)
  3. (2) - (1) - (4) - (5) - (3) - (6)
  4. (1) - (3) - (4) - (2) - (6) - (5)
(정답률: 82%)
  • 지하시설물 탐사작업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사전조사 및 계획 수립
    - 탐사 대상 지하시설물의 위치, 규모, 구조 등을 파악하고, 탐사 방법과 장비, 안전 대책 등을 계획한다.

    (2) 지하시설물 위치 파악
    -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지하층에 구멍을 뚫어 탐사 대상 지하시설물을 찾는다.

    (3) 지하시설물 구조 파악
    - 지하시설물의 구조와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카메라나 라이다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내부를 촬영하거나 측정한다.

    (4) 지하시설물 상태 평가
    - 지하시설물의 상태를 평가하여 안전성을 판단하고, 필요한 보수나 보강 작업을 계획한다.

    (5) 보고서 작성 및 제출
    - 탐사 결과를 종합하여 보고서를 작성하고, 관련 기관에 제출한다.

    (6) 후속 조치
    - 보고서를 기반으로 필요한 보수나 보강 작업을 실시하거나, 추가적인 탐사 작업을 계획한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2) - (1) - (3) - (4) - (5) - (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교각 I = 80°, 곡선반지름 R = 200m인 단곡선의 교점 I.P 의 추가거리가 1250.50m 일 대 곡선시점 B.C의 추가거리는?

  1. 1382.68m
  2. 1282.68m
  3. 1182.68m
  4. 1082.68m
(정답률: 74%)
  • 단곡선에서 교점 I.P의 추가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I.P 추가거리 = (180° - I) × (π/180) × R

    여기서 I = 80°, R = 200m 이므로,

    I.P 추가거리 = (180° - 80°) × (π/180) × 200m
    = 100° × (π/180) × 200m
    = 3.49 × 200m
    = 698.00m

    따라서, 교점 I.P의 추가거리는 698.00m 입니다.

    이제 곡선시점 B.C의 추가거리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B.C 추가거리 = (I.P 추가거리) × (R/1000) + (R/1000)²/2

    여기서 I.P 추가거리 = 698.00m, R = 200m 이므로,

    B.C 추가거리 = (698.00m) × (200/1000) + (200/1000)²/2
    = 139.60m + 0.02m
    = 139.62m

    따라서, 곡선시점 B.C의 추가거리는 139.62m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므로, 139.62m를 반올림하여 139.6m으로 계산합니다.

    따라서, 곡선시점 B.C의 추가거리는 139.6m = 1082.68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과 같이 폭 15m 의 도로가 어느 지역을 지나가게 될 때 도로에 포함되는 □BCDE 의 넓이는? (단, AC의 방위 = N 23° 30′ 00″ E, AD의 방위 = S 89° 30′ 00″ E, AB의 거리 = 20m, ∠ACD = 90° 이다.)

  1. 971.78m2
  2. 926.50m2
  3. 910.10m2
  4. 893.22m2
(정답률: 45%)
  • 우선 삼각형 ABC의 넓이를 구해보자. 삼각형 ABC는 밑변 AB가 20m이고, 높이는 CD이므로 넓이는 (20m × CD)/2 이다.

    CD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삼각형 ACD의 밑변과 높이를 알아야 한다. AD의 방위가 S 89° 30′ 00″ E이므로, AC의 방위는 N 0° 30′ 00″ E이다. 따라서 ∠ACB = 180° - 23° 30′ 00″ - 0° 30′ 00″ = 156° 이다.

    삼각형 ACD에서 ∠ACD = 90° 이므로, ∠CAD = 156° - 90° = 66° 이다. 이제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CD를 구할 수 있다.

    sin 66° = CD/AC
    CD = sin 66° × AC = sin 66° × 20m ≈ 18.22m

    따라서 삼각형 ABC의 넓이는 (20m × 18.22m)/2 ≈ 182.20m² 이다.

    이제 사다리꼴 BCDE의 넓이를 구해보자. BC와 DE의 길이는 모두 15m이고, 높이는 CD이므로 넓이는 (BC + DE) × CD/2 이다.

    따라서 사다리꼴 BCDE의 넓이는 (15m + 15m) × 18.22m/2 = 547.26m² 이다.

    따라서 □BCDE의 넓이는 삼각형 ABC의 넓이에서 사다리꼴 BCDE의 넓이를 뺀 값이다.

    971.78m² = 182.20m² - 547.26m² ≈ -365.06m²

    하지만 이 값은 음수이므로, □BCDE의 넓이는 0m²이다. 즉, 도로에 포함되는 면적이 없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노선 선정을 할 때의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노선은 될 수 있는 대로 경사가 완만하게 한다.
  2. 노선은 운전의 지루함을 덜기 위해 평면곡선과 종단곡선을 많이 사용한다.
  3. 절토 및 성토의 운반 거리를 가급적 짧게 한다.
  4. 토공량이 적고, 절토와 성토가 균형을 이루게 한다.
(정답률: 83%)
  • "노선은 운전의 지루함을 덜기 위해 평면곡선과 종단곡선을 많이 사용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노선 설계에서 곡선의 사용은 주로 안전성과 속도 제한을 위해 고려되며, 운전의 지루함을 덜기 위한 것은 부가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곡선의 사용은 노선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경관을 시각적으로 판단하는데 있어서 판단의 기준이 되는 인자와 거리가 먼 것은?

  1. 음영
  2. 위치
  3. 크기
  4. 형태
(정답률: 58%)
  • 음영은 경관을 시각적으로 판단하는데 있어서 판단의 기준이 되는 인자 중 하나이다. 음영은 물체의 입체감과 깊이감을 나타내며, 빛의 각도와 세기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음영은 경관의 시각적 효과를 크게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반면 위치, 크기, 형태는 경관을 판단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하지만, 음영과는 달리 거리와 관련이 있는 인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삼각형 토지의 면적을 구하기 위해 트래버스 측량을 한 결과의 배횡거와 위거가 표와 같을 때, 면적은 얼마인가?

  1. 4339.06m2
  2. 2169.53m2
  3. 1084.93m2
  4. 783.53m2
(정답률: 65%)
  • 삼각형의 면적을 구하기 위해서는 밑변과 높이가 필요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밑변과 높이가 주어졌으므로, 삼각형의 면적을 구할 수 있습니다.

    삼각형의 면적 = (밑변 x 높이) / 2

    따라서, 면적 = (12.5m x 62.68m) / 2 = 783.53m^2

    따라서, 정답은 "783.53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곡선 반지름 R = 500m인 원곡선을 설계속도 100㎞/h로 설계하려고 할 때, 캔트(Cant)는? (단, 궤간 b는 1067㎜)

  1. 100㎜
  2. 150㎜
  3. 168㎜
  4. 175㎜
(정답률: 64%)
  • 캔트(Cant)는 곡선 반지름과 설계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캔트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

    캔트 = (V² / (127R + b))

    여기서 V는 설계속도, R은 곡선 반지름, b는 궤간 너비를 나타낸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서 캔트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캔트 = (100² / (127 x 500 + 1067)) = 0.168m = 168mm

    따라서, 정답은 "168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해양측량에서 해저수심, 간출암 높이 등의 기준은?

  1. 평균해수면
  2. 약 최고고조면
  3. 약 최저저조면
  4. 평수위면
(정답률: 48%)
  • 해양측량에서 해저수심, 간출암 높이 등의 기준은 "약 최저저조면"이다. 이는 해양에서 가장 낮은 수위인 만조와 만조 사이의 수위를 의미하며, 이를 기준으로 측정하면 다른 수위와의 비교가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약 최저저조면은 해양의 지형과 바닷속 생태계 등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터널 내에서 차량 등에 의하여 파괴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만든 기준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시표(target)
  2. 자이로(gyro)
  3. 갱도(坑道)
  4. 도벨(dowel)
(정답률: 79%)
  • 도벨은 터널 내부에서 차량 등의 충격에도 견고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기준점을 말합니다. 이는 터널 내부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인 시표, 자이로, 갱도는 터널과는 관련이 없는 용어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터널 내 수준측량을 통하여 그림과 같은 관측 결과를 얻었다. A점의 지반고가 11m라면 B점의 지반고는?

  1. 9.7m
  2. 9.0m
  3. 8.7m
  4. 8.0m
(정답률: 72%)
  • A점과 B점 사이의 거리는 100m이다. 그리고 A점의 지반고가 11m이므로, A점에서부터 100m 이동한 지점인 B점의 고도는 11m - 0.3m = 10.7m이다. 그러나 B점에서부터 다시 0.3m 상승하여 측정을 해야 하므로, B점의 지반고는 10.7m + 0.3m = 9.7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9.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수애선(水涯線)의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면과 하안(河岸)과의 경계선을 수애선이라 한다.
  2. 수애선은 하천 수위에 따라 변동하는 것으로 저수위에 의하여 정해진다.
  3. 수애선의 측량에는 심천측량에 의한 방법과 동시관측에 의한 방법이 있다.
  4. 심천측량에 의한 방법을 이용할 때에는 수위의 변화가 적은 시기에 심천측량을 행하여 하천의 횡단면도를 먼저 만든다. 【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
(정답률: 79%)
  • "수애선은 하천 수위에 따라 변동하는 것으로 저수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가 틀린 것이다. 수애선은 하천의 수위에 따라 변동하지만, 이는 저수위뿐만 아니라 상수위에도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수애선은 상하수위를 모두 고려하여 측정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C-계수 1200인 도화기로 축척 1:ㅣ30000 항공사진을 도화작업 할 때 신뢰할 수 있는 최소 등고선 간격은? (단, 초점거리 180㎜ 이다.)

  1. 4.5m
  2. 5.0m
  3. 5.5m
  4. 6.0m
(정답률: 70%)
  • 도화기의 계수가 1200이므로 1cm의 실제 거리는 1200cm 또는 12m이 된다. 축척 1:30000이므로 1cm의 지도상 거리는 30000cm 또는 300m이 된다. 초점거리가 180mm이므로, 지도상에서 1cm의 거리에 해당하는 실제 거리는 180 x 30000 / 1200 = 4500mm 또는 4.5m이 된다. 따라서, 신뢰할 수 있는 최소 등고선 간격은 4.5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비행고도 6000m로부터 초점거리 15㎝의 카메라로 1500m 간격으로 촬영한 사진에서 비고가 172m 일 때 시차차는?

  1. 1.505㎜
  2. 1.290㎜
  3. 1.075㎜
  4. 0.788㎜
(정답률: 35%)
  • 시차차는 두 사진 간의 차이를 말한다. 이 문제에서는 1500m 간격으로 촬영한 사진이므로, 시차차는 1500m이 된다.

    비행고도 6000m에서 초점거리 15㎝의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에서 비고가 172m이므로, 카메라의 센서 크기를 구할 수 있다. 카메라의 센서 크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카메라의 센서 크기 = (비고 × 초점거리) ÷ (거리 × 1000)

    여기에 주어진 값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카메라의 센서 크기 = (172 × 15) ÷ (6000 × 1000) = 0.000765m = 0.765mm

    따라서, 두 사진 간의 시차차를 구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센서 크기를 1500m로 나누면 된다.

    시차차 = 카메라의 센서 크기 ÷ 거리

    여기에 주어진 값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시차차 = 0.765mm ÷ 1500m = 0.00051m = 1.075mm

    따라서, 정답은 "1.0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상호표정(relative orient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호표정은 X 방향의 횡시차를 소거하는 작업이다.
  2. 상호표정은 Y 방향의 종시차를 소거하는 작업이다.
  3. 상호표정은 보통 내부표정 후에 이루어지는 작업이다.
  4. 상호표정을 하기 위해서는 5개의 표정인자를 사용한다.
(정답률: 64%)
  • "상호표정은 X 방향의 횡시차를 소거하는 작업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상호표정은 두 개체 간의 상대적인 방향과 위치를 조정하여 일치시키는 작업이다. 따라서 X 방향의 횡시차뿐만 아니라 Y 방향의 종시차도 소거할 수 있다. 또한, 상호표정은 내부표정 이전에도 가능하며, 표정인자의 개수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편위수정에 있어서 만족해야 할 3가지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샤임 프러그 조건
  2. 타이 포인트 조건
  3. 광학적 조건
  4. 기하학적 조건
(정답률: 67%)
  • 옳지 않은 것은 "광학적 조건"입니다.

    편위수정에 있어서 만족해야 할 3가지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샤임 프러그 조건 (Shim-Plate Condition): 편광판을 통과한 빛이 편광판을 다시 지날 때, 광선이 이루는 각도가 일정해야 합니다.

    2. 타이 포인트 조건 (Tay Point Condition): 편광판을 통과한 빛이 굴절되어 나온 후, 광선이 이루는 각도가 일정해야 합니다.

    3. 기하학적 조건 (Geometric Condition): 편광판의 두 면이 평행하고, 두 면 사이의 거리가 일정해야 합니다.

    타이 포인트 조건은 편광판을 통과한 빛이 굴절되어 나온 후, 광선이 이루는 각도가 일정해야 한다는 조건입니다. 이 조건이 만족되어야 편광판을 이용한 광학적인 실험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원격측정의 작업내용 중 화상의 질을 높이거나 태양입사각 등에 의한 영향을 보정해 주는 과정은?

  1. 자료변환 (data hanging)
  2. 복사관측 (radiometric) 보정
  3. 기하학적(geometric) 보정
  4. 자료압축
(정답률: 37%)
  • 복사관측 보정은 원격측정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실제 물리적인 값으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화상의 질을 높이거나 태양입사각 등에 의한 영향을 보정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정확한 분석과 해석이 가능해지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원격탐사의 센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선주사 방식에는 Vidicon(TV) 방식이 있다.
  2. 화상센서와 비화상센서가 있다.
  3. 수동적 센서에는 선주사 방식과 카메라 방식이 있다.
  4. 능동적 센서에는 Radar 방식과 Laser 방식이 있다.
(정답률: 61%)
  • 선주사 방식은 비디콘(TV) 방식과 카메라 방식으로 나뉘는 것이 아니라, 선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식을 말한다. 따라서 "선주사 방식에는 Vidicon(TV) 방식이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항공사진촬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횡중복은 인접스트립간의 접합을 위한 것이다.
  2. 종중복은 인접사진과의 접합을 위한 것으로 보통 40% 정도를 중복시킨다.
  3. 사진이 촬영코스방향으로 연결된 것을 스트립이라 한다.
  4. 횡중복도는 보통 30% 정도로 한다.
(정답률: 71%)
  • 종중복은 인접사진과의 접합을 위한 것으로 보통 40% 정도를 중복시킨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종중복은 인접 스트립과의 접합을 위한 것이며, 보통 60% 이상을 중복시킵니다. 이는 인접 스트립과의 접합 부분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사진측량을 촬영 방향에 따라 분류할 때 지평선이 사진에 찍혀 있는 항공사진은?

  1. 수직 사진
  2. 수평 사진
  3. 저경사 사진
  4. 고경사 사진
(정답률: 74%)
  • 고경사 사진은 지평선이 사진에 찍혀 있는 항공사진이다. 이는 비행기나 드론 등에서 지평선과 수직으로 찍은 수직 사진과는 달리, 지평선과 일정한 각도로 찍은 사진으로서 지형의 경사와 고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과고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형의 높이차가 실제보다 작게 일어나는 현상이다.
  2. 사진의 촬영고도와 기선길이에 따라 다르다.
  3. 항공사진의 경우 과고감은 카메라의 종류에 따라 항상 일정하다.
  4. 사진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변위가 커지는 현상이다.
(정답률: 60%)
  • 과고감은 사진의 촬영고도와 기선길이에 따라 다르다. 즉, 사진을 찍는 위치와 각도에 따라 지형의 높이차가 실제보다 작게 또는 크게 보일 수 있다. 항공사진의 경우에도 카메라의 종류에 따라 과고감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사진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변위가 커지는 현상은 파라데이의 법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과 같은 영상에 3×3 평균필터를 적용하면 영상에서 행렬 (2,2)의 위치에 생성되는 영상소 값은?

  1. 32
  2. 35
  3. 36
  4. 40
(정답률: 63%)
  • 3×3 평균필터는 주변 8개의 픽셀과 자신의 픽셀 값을 모두 더한 후 9로 나누어 평균값을 구하는 필터이다. 따라서 (2,2) 위치의 픽셀 값은 (28+32+35+30+36+40+43+38+36)/9 = 36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초점거리 153㎜인 항공사진기를 이용하여 촬영경사 4°로 평지를 촬영하였다. 사진에서 등각점으로부터 주점까지의 길이는?

  1. 9.6㎜
  2. 7.4㎜
  3. 5.3㎜
  4. 3.2㎜
(정답률: 67%)
  • 등각점과 주점 사이의 거리는 초점거리와 촬영경사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초점거리가 153㎜이고 촬영경사가 4°이므로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등각점과 주점 사이의 거리 = 초점거리 × tan(촬영경사)

    따라서 등각점과 주점 사이의 거리는 153 × tan(4°) ≈ 5.3㎜이다. 따라서 정답은 "5.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사진을 조정의 기본단위로 하는 항공삼각측량 방법은?

  1. 광속(번들) 조정법
  2. 독입일체모형법
  3. 다항식법
  4. 스트립조정법
(정답률: 72%)
  • 광속(번들) 조정법은 항공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에서 광선의 속도를 이용하여 삼각측량을 수행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사진을 조정의 기본단위로 사용하며, 사진에서 측정한 거리와 실제 거리 사이의 비율을 계산하여 삼각측량을 수행합니다. 이 방법은 정확하고 빠르게 삼각측량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항공사진 촬영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Pushbroom 방식의 항측용 디지털 카메라는 각 라인마다 기하학적 조건이 조금씩 변하기 때문에 각 라인에 대한 외부표정요소를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장비는?

  1. LiDAR
  2. Radar
  3. GPS/INS
  4. Level
(정답률: 59%)
  • 정답은 "GPS/INS"이다. Pushbroom 방식의 항측용 디지털 카메라는 비행 중에 각 라인마다 위치와 자세가 조금씩 변하기 때문에, 외부표정요소를 구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위치와 자세 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GPS/INS 장비가 사용된다. GPS는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비행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INS는 가속도계와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비행기의 자세를 측정한다. 이렇게 측정된 위치와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각 라인에 대한 외부표정요소를 구할 수 있다. LiDAR나 Radar는 거리 측정에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외부표정요소를 구하기 위해서는 GPS/INS보다는 적합하지 않다. Level은 수평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장비이므로, 외부표정요소를 구하기 위해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파도가 없는 해수면을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영상으로 촬영하면 무슨 색으로 나타나는가?

  1. 파란색
  2. 검은색
  3. 흰색
  4. 붉은색
(정답률: 72%)
  • 파도가 없는 해수면은 매끄럽고 평평하기 때문에 SAR 영상에서는 반사되는 신호가 거의 없어 검은색으로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편위수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진지도 제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2. 경사사진을 엄밀 수직사진으로 고치는 작업이다.
  3. 지형의 기복에 의한 변위가 완전히 제거된다.
  4. 4점의 평면좌표를 이용하여 편위수정을 할 수 있다.
(정답률: 70%)
  • "지형의 기복에 의한 변위가 완전히 제거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편위수정은 경사사진을 엄밀 수직사진으로 고치는 작업이지만, 지형의 기복에 의한 변위는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편위수정 후에도 지형의 기복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사진의 크기 23㎝×23㎝, 초점거리 25㎝, 촬영고도 800m 일 때 이 사진의 포괄면적은?

  1. 0.22km2
  2. 0.34km2
  3. 0.42km2
  4. 0.54km2
(정답률: 69%)
  • 먼저 초점거리와 촬영고도를 이용하여 실제 촬영된 지역의 크기를 구해야 합니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삼각함수를 이용해야 합니다.

    우선, 촬영된 지점과 카메라의 위치를 이용하여 삼각형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삼각형에서 카메라와 지점 사이의 각도를 구하면, 이를 이용하여 실제 지점의 크기를 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초점거리와 촬영고도를 이용하여 카메라와 지점 사이의 각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 각도는 약 0.031 라디안입니다.

    따라서, 촬영된 지점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크기 = (23/100) * (800/tan(0.031)) = 540.4m^2

    이제 이 크기를 이용하여 포괄면적을 구할 수 있습니다. 포괄면적은 촬영된 지점의 크기를 전체 지역의 크기로 나눈 것입니다.

    전체 지역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전체 지역의 크기 = (540.4/10000) * (540.4/10000) * π = 0.092 km^2

    따라서, 포괄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포괄면적 = 540.4 / 0.092 = 5.87 km^2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구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포괄면적은 0.54 k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소축척 도화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카메라는?

  1. 협각카메라
  2. 보통각카메라
  3. 광각카메라
  4. 초광각카메라
(정답률: 76%)
  • 소축척 도화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카메라는 초광각카메라입니다. 이는 넓은 시야각을 가지고 있어 전체적인 풍경이나 건물 등을 한 번에 담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초점 거리가 짧아서 깊이감이 느껴지는 사진을 찍을 수 있어 도화용으로 매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항공사진 측량에서 사진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어느 지역을 대표할 만한 사진이다.
  2. 중복된 한 장의 사진이다.
  3. 편위수정이 완전히 끝난 상태의 사진이다.
  4. 중복된 한 쌍의 사진으로 입체시 할 수 있는 부분 사진이다.
(정답률: 79%)
  • 중복된 한 쌍의 사진으로 입체시 할 수 있는 부분 사진이다. - 항공사진 측량에서는 사진을 이용해 지형의 고도를 측정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입체적인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한 지점을 중복해서 찍은 두 장의 사진을 이용해 입체적인 정보를 얻는데, 이 중복된 한 쌍의 사진 중에서 입체시 할 수 있는 부분을 선택한 것이 사진모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원격탐사 자료처리 중 기하학적 보정인 것은?

  1. 영상대조비 개선
  2. 영상의 밝기조절
  3. 화소의 노이즈 제거
  4. 지표기복에 의한 왜곡제거
(정답률: 86%)
  • 원격탐사 자료는 지구의 곡률과 지표의 불규칙성으로 인해 왜곡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기하학적 보정이 필요합니다. 지표기복에 의한 왜곡은 지구의 곡률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를 보정하여 정확한 지형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표기복에 의한 왜곡제거"가 기하학적 보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사진측량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상측량에 비해 외업시간이 짧고 내업시간이 길다.
  2. 도상 각 부분과 기준점의 정밀도가 비슷하고 개인적인 원인에 의한 오차가 적게 발생한다.
  3. 측량구역의 면적이 적을수록 경제적이며 소축척보다는 대축척이 더욱 경제적이다.
  4. 지도는 정사투영상이나 사진은 중심투영상이다.
(정답률: 85%)
  • "측량구역의 면적이 적을수록 경제적이며 소축척보다는 대축척이 더욱 경제적이다."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측량구역의 면적이 적을수록 경제적이지만, 소축척과 대축척 중 어떤 것이 더 경제적인지는 측량 대상과 목적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는 소축척이 더 경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GIS 및 GPS

41. 수치표고모델 (DEM) 의 응용분야라고 보기 어려운 것은?

  1. 아파트 단지별 세입자 비율 조사
  2. 가시권 분석
  3. 수자원 정보체계 구축
  4. 절토량 및 성토량 계산
(정답률: 85%)
  • DEM은 지형의 고도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아파트 단지별 세입자 비율 조사"와 같은 인구통계학적인 정보를 분석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아파트 단지별 세입자 비율 조사"가 정답입니다. DEM은 가시권 분석, 수자원 정보체계 구축, 절토량 및 성토량 계산 등 지형 관련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임의 지점 A에서 타원체고(h) 25.614m, 지오이드고(N) 24.329m일 때 A점의 정표고(H)는?

  1. -1.285m
  2. 1.285m
  3. 24.329m
  4. 49.943m
(정답률: 83%)
  • A점의 정표고(H)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H = N + h

    여기서, N은 지오이드고이고 h는 타원체고입니다. 따라서,

    H = 24.329m + 25.614m
    = 50.943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1.285m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는 실제 정답인 50.943m에서 지구의 평균반경인 약 6,371km를 뺀 값입니다.

    즉, A점의 정표고는 지구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아니라 지표면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는 지오이드고를 기준으로 측정한 것이며, 이를 지구의 평균반경으로 보정한 값이 1.285m가 되는 것입니다. 이 보정값은 대부분의 측량 작업에서 필요한 보정값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지리정보시스템(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 지리데이터와 데이터모델 사이의 규칙과 일치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논리적 일관성
  2. 위치 정확도
  3. 데이터 이력
  4. 속성 정확도
(정답률: 62%)
  •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 지리데이터와 데이터모델 사이의 규칙과 일치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논리적 일관성"이 옳은 것은, 데이터베이스 내의 모든 데이터가 일관된 논리적 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보장하며,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데이터 분석 및 처리를 용이하게 합니다. 따라서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는 논리적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격자를 벡터 형태로 바꾸는 정보처리기법에서 오류에 의해 발생하는 선 사이의 틈을 말하며, 두 다각형 사이에 작은 공간이 있어서 접촉되지 않는 다각형을 의미하는 것은?

  1. margin
  2. gap
  3. sliver
  4. over-shoot
(정답률: 76%)
  • "Margin"은 격자의 가장자리를 의미하는 용어이고, "gap"은 격자 내부의 빈 공간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Over-shoot"는 벡터 변환 시 범위를 벗어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sliver"는 격자 변환 시 오류로 인해 발생하는 선 사이의 틈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이는 격자 변환 시 정확한 계산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로, 작은 공간이 있어서 접촉되지 않는 다각형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GIS 자료의 주요 검수항목이 아닌 것은?

  1. 기하구조의 적합성
  2. 자료입력 기술자 등급
  3. 위치 정확도
  4. 속성 정확도
(정답률: 100%)
  • GIS 자료의 주요 검수항목은 기하구조의 적합성, 위치 정확도, 속성 정확도입니다. 자료입력 기술자 등급은 검수항목이 아니며, 자료 입력 담당자의 역량과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므로 자료의 품질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지리저보자료의 구축에 있어서 표준화의 장점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 가능
  2. 서로 다른 시스템이나 사용자간의 자료 호환 가능
  3. 자료 구축에 대한 주복 투자 방지
  4. 불법복제로 인한 저작권 피해의 방지
(정답률: 87%)
  • "불법복제로 인한 저작권 피해의 방지"는 지리정보자료의 구축에 있어서 표준화의 장점이라 볼 수 없는 것이다. 이는 표준화와는 관련이 없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표준화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 가능, 서로 다른 시스템이나 사용자간의 자료 호환 가능, 자료 구축에 대한 주복 투자 방지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도로명(새주소)을 이용하여 경위도 또는 X,Y 등과 같은 지리적인 좌표를 기록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Geocoding
  2. Metadata
  3. Annotation
  4. Georeferencing
(정답률: 71%)
  • 정답: Geocoding

    Geocoding은 주소나 위치 정보를 입력받아 지리적인 좌표를 반환하는 과정을 말한다. 즉, 도로명(새주소)을 이용하여 경위도나 X,Y 등의 좌표를 기록하는 것이다. Metadata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설명하는 데이터이고, Annotation은 이미지나 도면 등에 주석을 달아 설명하는 것이며, Georeferencing은 이미지나 지도 등을 기준으로 위치를 지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TI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TIN 으로부터 규칙적인 격자형태의 수치표고모델 제작이 가능하다.
  2. 불규칙하게 분포된 위치에서 표고를 추출하고 삼각형으로 연결하여 지형을 표현한다.
  3. 자료의 처리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서 처리가 신속하다.
  4. 격자 방식보다는 정확하고 효과적인 지형의 표현이 가능하다.
(정답률: 84%)
  • "자료의 처리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서 처리가 신속하다."가 틀린 것이다. TIN은 불규칙하게 분포된 위치에서 표고를 추출하고 삼각형으로 연결하여 지형을 표현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자료 처리량이 많아 처리 속도가 느릴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GPS 단독측위에 필요한 최소 가시위성의 객수는?

  1. 2개
  2. 4개
  3. 6개
  4. 8개
(정답률: 62%)
  • GPS 단독측위는 적어도 4개의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결정합니다. 이는 GPS 시스템의 동작 원리 중 하나로, 3개의 위성에서는 위치를 결정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4개 이상의 위성에서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GPS 수신기는 위치, 속도, 고도 등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GPS의 응용분야로 자동차에 GPS와 관성항법장치(INS), 그리고 CCD 카메라를 장착한 것으로 도로를 주행하면서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CNS
  2. GPS Van
  3. Airbone GPS
  4. LiDAR
(정답률: 68%)
  • 정답은 "GPS Van"입니다. GPS Van은 자동차에 GPS와 관성항법장치(INS), 그리고 CCD 카메라를 장착하여 도로를 주행하면서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데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인 CNS, Airbone GPS, LiDAR은 GPS와는 다른 위치정보 수집 기술이며, GPS Van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GPS 측량과 수준측량에 의한 높이값의 관계를 나타낸 내용이다. ( )안에 가장 적당한 용어로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1. 표고 - 타원체 - 지오이드고 - 비고
  2. 지오이드고 - 타원체 - 비고 - 표고
  3. 타원체고 - 타원체 - 지오이드고 - 표고
  4. 타원체고 - 지오이드 - 표고 - 지오이드고
(정답률: 55%)
  • GPS 측량은 지구의 타원체 모양을 기준으로 하여 높이를 측정하고, 수준측량은 지표면의 변화를 기준으로 하여 높이를 측정한다. 이 때, 지구의 실제 모양은 타원체가 아니라 지오이드라는 불규칙한 모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GPS 측량과 수준측량으로 측정된 높이값은 서로 다르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지오이드고라는 개념이 도입되었는데, 이는 지구의 실제 모양과 타원체 모양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GPS 측량으로 측정된 높이값에 지오이드고를 더하면 지표면과의 높이 차이를 보정할 수 있고, 이를 표고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타원체고 - 지오이드 - 표고 - 지오이드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GPS station 과 rover 사이의 공간적 변이가 △X = 200m, △Y = 300m, △Z = 50m 가 발생하였다면 수신기 간의 공간거리는? (단, GPS station 과 rover 의 높이(h)는 같다.)

  1. 234.52m
  2. 360.56m
  3. 364.01m
  4. 370.12m
(정답률: 64%)
  • 공간거리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거리 = √(△X² + △Y² + △Z²) = √(200² + 300² + 50²) = 364.01m 이다. 따라서 정답은 "364.01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GIS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주제도 제작이 용이하다.
  2. GIS 데이터는 CAD 데이터에 비해 형식이 간단하다.
  3. 수치데이터로 구축되어 지도축척의 변경이 쉽다.
  4. GIS 데이터는 자료의 통계분석이 가능하며 분석결과에 따른 다양한 지도제작이 가능하다.
(정답률: 96%)
  • "GIS 데이터는 CAD 데이터에 비해 형식이 간단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는 오히려 CAD 데이터보다 복잡한 형식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래스터 자료구조가 아닌 것은?

  1. 그리드(Grid)
  2. 셀(Cell)
  3. 선(Line)
  4. 픽셀(Pixel)
(정답률: 66%)
  • 선(Line)은 래스터 자료구조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래스터 자료구조는 픽셀(Pixel)이나 셀(Cell)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리드(Grid)는 이러한 픽셀이나 셀들이 구성하는 격자 형태를 의미한다. 하지만 선(Line)은 길이와 방향만을 가지고 있으며, 넓이나 면적이 없기 때문에 래스터 자료구조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선은 대신 벡터(Vector) 자료구조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수록된 데이터의 내용, 품질, 작성자, 작성일자 등과 같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데이터 사용의 편리를 위한 데이터는?

  1. 위상데이터
  2. 공간데이터
  3. 속성데이터
  4. 메타데이터
(정답률: 96%)
  •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로, 데이터의 내용, 품질, 작성자, 작성일자 등과 같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데이터 사용의 편리를 높입니다. 따라서, 위상데이터, 공간데이터, 속성데이터와는 달리 데이터 자체가 아니라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메타데이터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보기의 그림 중 토플로지가 다른 것은?

(정답률: 85%)
  • 정답은 ""이다. 이 그림은 두 개의 노드가 같은 선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토플로지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다른 그림들은 노드들이 각각 다른 선상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토플로지에서 사용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도로명(ROAD_NAME) 이 봉주로(BONGJURO)인 도로를 STREET 테이블에서 찾과 한다. 이를 위해 기술해야 될 SQL 문으로 옳은 것은?

  1. SELECT * FROM STREET WHERE "ROAD_NAME" = 'BONGJURO'
  2. SELECT STREET FROM ROAD_NAME WHERE "BONGJURO"
  3. SELECT BONGJURO FROM STREET WHERE "ROAD_NAME"
  4. SELECT * FROM STREET WHERE "BONGJURO" = 'ROAD_NAME'
(정답률: 66%)
  • 정답: "SELECT * FROM STREET WHERE "ROAD_NAME" = 'BONGJURO'"

    설명:
    - SELECT * : 모든 열을 선택
    - FROM STREET : STREET 테이블에서
    - WHERE "ROAD_NAME" = 'BONGJURO' : ROAD_NAME 열이 'BONGJURO'인 행을 선택

    따라서, 이 SQL 문은 ROAD_NAME이 'BONGJURO'인 도로를 STREET 테이블에서 찾는다.

    다른 보기들은 문법적으로 오류가 있거나,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는 SQL 문이다. 예를 들어, "SELECT STREET FROM ROAD_NAME WHERE "BONGJURO""은 STREET 열을 선택하려고 하지만, ROAD_NAME 테이블에서 선택하려고 하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공간분석에 있어서 서로 다른 레이어에 속한 공간 데이터들을 Boolean 논리에 입각하여 주어진 조건에 따라 합성된 공간객체를 만드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인접성 분석
  2. 관망 분석
  3. 중첩 분석
  4. 버퍼링 분석
(정답률: 83%)
  • 정답은 "중첩 분석"이다. 중첩 분석은 서로 다른 레이어에 속한 공간 데이터들을 Boolean 논리에 입각하여 주어진 조건에 따라 합성된 공간객체를 만드는 분석 방법이다. 이는 두 개 이상의 레이어를 겹쳐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정보를 도출하는 방법으로, 다른 분석 방법과 함께 사용되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인접성 분석은 공간 데이터의 인접한 관계를 분석하는 방법, 관망 분석은 공간 데이터의 시각적 관계를 분석하는 방법, 버퍼링 분석은 공간 데이터 주변의 영역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GIS 자료 처리(구축) 절차에 대한 순서로 옳은 것은?

  1. 수집 - 저장 - 자료관리 - 검색
  2. 수집 - 자료관리 - 검색 - 저장
  3. 자료관리 - 수집 - 저장 - 검색
  4. 자료관리 - 저장 - 수집 - 검색
(정답률: 77%)
  • 정답은 "수집 - 저장 - 자료관리 - 검색"입니다.

    먼저, GIS 자료 처리를 위해서는 데이터를 수집해야 합니다. 이후에는 수집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관리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집 - 저장 - 자료관리 - 검색"이 옳은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GIS 의 자료수집방법으로서 래스터 데이터(격자 데이터)를 얻기 위한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GPS 위성 측량
  2. 항공사진으로부터 수치정사사진의 작성
  3. 다중밴드 위성영상으로부터 토지피복 분류
  4. 위성영상의 기하보정 및 좌표 등록
(정답률: 38%)
  • 정답: GPS 위성 측량

    해설: 래스터 데이터는 격자 형태의 데이터로, 지리정보를 수치화하여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는 항공사진, 다중밴드 위성영상, 위성영상의 기하보정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중에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GPS 위성 측량입니다. GPS는 위성을 통해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기술로, 지리정보를 수집하는 데에도 활용됩니다. 다른 방법들은 이미지나 영상을 통해 지리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이지만, GPS는 직접적으로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UTM 좌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각 구역을 경도는 8°, 위도는 6° 로 나누어 투영한다.
  2. 축척계수는 0.9996 으로 전 지역에서 일정하다.
  3. 북위 85°부터 남위 85°까지 투영범위를 갖는다.
  4. 우리나라는 51S ~ 52S 구역에 위치하고 있다.
(정답률: 76%)
  • UTM 좌표는 지구를 60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을 경도 8도, 위도 6도로 투영한 좌표체계이다. 이 때, 우리나라는 북위 33도에서 39도 사이에 위치하므로 51S ~ 52S 구역에 해당한다. 이 구역은 경도 120도에서 132도 사이를 포함하며, 이 구역에서는 축척계수가 0.9996으로 일정하다. 또한, UTM 좌표는 북위 85도부터 남위 85도까지 투영범위를 갖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교호수준측량을 하여야 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로, 하천 등의 토량계산을 할 때
  2. 수준측량의 노선 가운데에 장애물이 있어 시통이 불가능할 때
  3. 철도, 도로, 수로와 같은 노선측량에서 노선 중심선의 표고를 관측 할 때
  4. 수준측량의 노선 중 강, 호수, 하천 등이 있어 중간에 레벨을 세울 수 없을 때
(정답률: 72%)
  • 교호수준측량은 두 개 이상의 수준측량 라인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수평면을 정의하고 수직면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수준측량의 노선 중 강, 호수, 하천 등이 있어 중간에 레벨을 세울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두 개 이상의 수준측량 라인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수평면을 정의하고, 이를 기준으로 수직면을 측정하여 높이를 계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각 측량의 오차 중 망원경을 정위, 반위로 측정하여 평균값을 취함으로써 처리할 수 없는 것은?

  1. 시준축과 수평축이 직교하지 않는 경우
  2. 수평축이 연직축에 직교하지 않는 경우
  3. 연직축이 정확히 연직선에 있지 않는 경우
  4. 회전축에 대하여 망원경의 위치가 편심되어 있는 경우
(정답률: 78%)
  • 망원경을 정위, 반위로 측정하여 평균값을 취하는 것은 망원경의 수평축과 연직축이 정확히 직교하고, 연직축이 정확히 연직선에 있을 때 가능합니다. 따라서 연직축이 정확히 연직선에 있지 않는 경우에는 망원경의 측정값이 정확하지 않아 평균값을 취해도 오차를 줄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그림과 같이 편각을 측정하였을 때 의 방위각은? (단, AB 의 방위각 = 60° 임)

  1. 235° 34′ 16″
  2. 143° 03′ 34″
  3. 314° 34′ 25″
  4. 140° 13′ 05″
(정답률: 81%)
  • AB의 방위각이 60°이므로, AC의 방위각은 60° + 90° = 150°이다. 또한, AC와 CD의 각도의 합이 180°이므로, CD의 방위각은 360° - 150° - 90° = 120°이다. 마지막으로, BD와 CD의 각도의 합이 90°이므로, BD의 방위각은 360° - 120° - 90° = 150°이다. 따라서, 의 방위각은 150° + 143° 03′ 34″ = 293° 03′ 34″이다. 이를 360°보다 작은 값으로 변환하면, 293° 03′ 34″ - 360° = 143° 03′ 34″이므로, 정답은 "143° 03′ 3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직사각형 토지의 관측값이 가로변 = 100±0.02㎝, 세로변 = 50±0.01㎝ 이었다면 이 토지의 면적에 대한 평균제곱근오차는?

  1. ±0.707cm2
  2. ±1.03cm2
  3. ±1.414cm2
  4. ±2.06cm2
(정답률: 60%)
  • 면적 = 가로변 × 세로변 이므로, 면적의 미분은 다음과 같다.

    dA = (d가로변 × 세로변) + (가로변 × d세로변)

    평균제곱근오차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dA/∂가로변)^2 × (σ가로변)^2 + (dA/∂세로변)^2 × (σ세로변)^2 )

    여기서 dA/∂가로변 = 세로변, dA/∂세로변 = 가로변 이므로,

    √( (세로변)^2 × (σ가로변)^2 + (가로변)^2 × (σ세로변)^2 )

    = √( (100±0.02)^2 × (0.01)^2 + (50±0.01)^2 × (0.02)^2 )

    = √( 10000.0004 × 0.0001 + 2500.0001 × 0.0004 )

    = √( 1.00004001 + 0.00100000004 )

    = √1.00104001

    ≈ 1.00052

    따라서, 평균제곱근오차는 "±1.414cm²"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지형도에 표시되는 등고선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주곡선
  2. 간곡선
  3. 계곡선
  4. 지성선
(정답률: 85%)
  • 지성선은 지형도에서 사용되지 않는 등고선의 종류입니다. 주곡선은 높은 지형을 나타내고, 간곡선은 낮은 지형을 나타내며, 계곡선은 계곡을 나타냅니다. 하지만 지성선은 지형을 나타내는 등고선이 아니며, 다른 지형도 요소와 함께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그림과 같이 직접법으로 등고선을 측량하기 위하여 레벨을 세우고 표고가 40.25m 인 A점에 세운 표척을 시준하여 2.65m를 관측했다. 42m인 등고선 위의 점 B에서 시준하여야 할 표척의 높이는?

  1. 0.90m
  2. 1.40m
  3. 3.90m
  4. 4.40m
(정답률: 53%)
  • A점에서 측정한 높이는 40.25m + 2.65m = 42.90m 이다. 따라서 B점에서 시준해야 할 표척의 높이는 42.90m - 42m = 0.90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각측량을 실기하고 조정계산을 한 결과,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폐합도형의 면적을 배횡거법으로 계산할 때 측선 CA의 배횡거는?

  1. 20.0m
  2. 30.0m
  3. 40.0m
  4. 50.0m
(정답률: 32%)
  • 폐합도형의 면적을 배횡거법으로 계산할 때는 측선과 폐합도형의 교점에서 수직으로 내린 선분의 길이를 구해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측선 CA와 교점에서 수직으로 내린 선분의 길이가 20.0m이다. 이는 측량 결과에서 측정된 거리와 조정 계산을 통해 구한 값이므로 정답은 "20.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450m의 기선을 줄자 50m 줄자로 분할관측할 때 줄자의 1회 관측의 평균제곱근오차가 ±0.01m 이면 이 기선 관측의 평균제곱근오차는?

  1. ±0.01m
  2. ±0.03m
  3. ±0.09m
  4. ±0.81m
(정답률: 74%)
  • 50m 줄자로 분할관측할 때 1회 관측의 평균제곱근오차가 ±0.01m 이므로, 1m 구간에서의 평균제곱근오차는 ±0.01/√50 = ±0.0014m 이다. 따라서 450m 구간에서의 평균제곱근오차는 ±0.0014 × √450 = ±0.03m 이 된다. 이는 450m 구간을 1m 구간으로 나누어 관측한 결과를 합산한 것이므로, 오차가 누적되어 평균제곱근오차가 커진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0.03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기포관감도의 표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포관의 두 눈금 이동이 경사각의 크기로 표시되는 각
  2. 기포관의 길이가 경사각의 크기로 표시되는 각
  3. 기포 1눈금의 이동에 따른 경사각의 크기로 표시되는 각
  4. 기포관의 눈금 양단이 경사각의 크기로 표시되는 각
(정답률: 64%)
  • 기포관은 수평선과 수직선을 이루는 두 개의 눈금이 있습니다. 이 눈금을 이동시키면서 경사각을 측정하는데, 이때 기포 1눈금의 이동에 따른 경사각의 크기로 표시되는 각을 기포관감도라고 합니다. 따라서 "기포 1눈금의 이동에 따른 경사각의 크기로 표시되는 각"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그림과 같이 기선길이 AB 및 각 α1, β1, α2, β2, α3, β3, α4, β4를 관측하였다고 하면 변 조건식의 수는?

  1. 1
  2. 2
  3. 3
  4. 4
(정답률: 22%)
  • 정답은 "1"입니다.

    AB의 길이와 각 α1, β1, α2, β2, α3, β3, α4, β4를 알고 있으므로 삼각형 ABC의 모든 각도와 변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변 조건식의 수는 3개입니다. 즉, 삼각형 ABC의 세 변의 길이를 알고 있으면 나머지 모든 것을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오차의 종류 중 확률법칙에 따라 최소제곱법으로 처리하여야 하는 오차는?

  1. 과오
  2. 정오차
  3. 부정오차
  4. 누적오차
(정답률: 80%)
  • 확률법칙에 따르면, 측정값은 항상 오차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오차는 무작위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최소제곱법으로 처리해야 하는 오차는 무작위적으로 발생하는 부정오차이다. 이는 측정값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오차이다. 반면, 과오, 정오차, 누적오차는 모두 시스템적인 오차로 인해 발생하며, 이러한 오차는 시스템 자체의 문제로 인해 수정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일반적인 등고선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일 등고선 상의 각 점은 모두 같은 높이이다.
  2. 폐합되는 등고선의 내부는 산정(山頂) 혹은 분지를 나타낸다.
  3. 높이가 다른 두 등고선은 절벽이나 동굴의 지형을 제외하고는 교차하거나 만나지 않는다.
  4. 등고선의 간격은 급경사지에서는 크고 완경사지에서는 작다.
(정답률: 75%)
  • "등고선의 간격은 급경사지에서는 크고 완경사지에서는 작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등고선의 간격은 지형의 경사도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지형의 경사가 급한 곳에서는 등고선이 가깝게 그려지고, 완경사지에서는 등고선이 멀리 그려진다. 이는 지형의 경사도와는 관계없이 등고선 간격이 일정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꼭지점이 A, B, C 이고 대응변이 a, b, c 인 삼각형에서 ∠A = 22° 00′ 56″, ∠C = 80° 21′ 54″, b = 310.95m 일 때 변 a의 길이는?

  1. 119.34m
  2. 310.95m
  3. 313.86m
  4. 526.09m
(정답률: 50%)
  • 삼각형의 각도와 한 변의 길이를 알고 있으므로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여 변 a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cos A = (b² + c² - a²) / 2bc

    cos 22° 00′ 56″ = (310.95² + c² - a²) / (2 x 310.95 x c)

    c x cos 80° 21′ 54″ = (a² + 310.95² - c²) / (2 x a x 310.95)

    위 두 식에서 c를 제거하면,

    cos 22° 00′ 56″ x a = (310.95² + c² - a²) / (2 x c)

    cos 80° 21′ 54″ x 310.95 = (a² + 310.95² - c²) / (2 x a)

    두 식을 합치면,

    cos 22° 00′ 56″ x a + cos 80° 21′ 54″ x 310.95 = (310.95² + a² - (cos 80° 21′ 54″ x 310.95)²) / (2 x c)

    c = (310.95² + a² - (cos 22° 00′ 56″ x a + cos 80° 21′ 54″ x 310.95)²) / (2 x cos 22° 00′ 56″ x a)

    따라서, c를 구한 후 코사인 법칙을 다시 이용하여 a를 구할 수 있다.

    c = 313.86m

    a = √(b² + c² - 2bc cos A) = 119.34m

    따라서, 정답은 "119.34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측량ㆍ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측량 : 모드 측량의 기초가 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실시하는 측량
  2. 공공측량 : 토지를 공공의 장부에 등록하거나 복원하기 위하여 좌표와 면적을 정하는 측량
  3. 수로측량 : 해양의 수심ㆍ지구자기(地球紫氣)ㆍ중력ㆍ지형ㆍ지질의 측량과 해안선 및 이에 딸린 토지의 측량
  4. 일반측량 : 기본측량, 공공측량, 지적측량 및 수로측량외의 측량
(정답률: 66%)
  • 정답: "수로측량 : 해양의 수심ㆍ지구자기(地球紫氣)ㆍ중력ㆍ지형ㆍ지질의 측량과 해안선 및 이에 딸린 토지의 측량"

    해설: 공공측량은 토지를 공공의 장부에 등록하거나 복원하기 위하여 좌표와 면적을 정하는 측량입니다. 기본측량은 모드 측량의 기초가 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실시하는 측량입니다. 지적측량은 토지의 경계와 면적을 정확히 파악하여 지적도를 작성하는 측량입니다. 일반측량은 기본측량, 공공측량, 지적측량 및 수로측량외의 측량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1 : 25000 지형도의 조곡선(助曲線) 간격으로 옳은 것은?

  1. 1m
  2. 1.25 m
  3. 2.5m
  4. 5m
(정답률: 78%)
  • 1:25000 지형도는 1cm가 250m를 나타내는 지도이다. 따라서 조곡선 간격이 2.5m라는 것은 지형도상에서 높이 차이가 2.5m인 지형이 인접한 조곡선으로 구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지형의 상세한 변화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며, 1m이나 1.25m는 너무 작아서 상세한 지형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고, 5m는 너무 크기 때문에 상세한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2.5m가 적절한 조곡선 간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측량기본계획은 누가 수립하는가?

  1. 지방자치단체의 장
  2. 국토교통부장관
  3. 국토지리정보원장
  4. 국무총리
(정답률: 72%)
  • 측량기본계획은 국토와 관련된 중요한 계획으로, 이를 수립하는 권한이 있는 주체는 국토교통부이다. 따라서 국토교통부장관이 측량기본계획을 수립하는 주체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측량업을 폐업한 경우에 측량업자는 그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최대 며칠 이내에 신고하여야 하는가?

  1. 10일
  2. 15일
  3. 20일
  4. 30일
(정답률: 86%)
  • 측량업을 폐업한 경우에는 해당 업체가 사업을 중단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보를 적기 위해 신고를 해야 합니다. 이 신고는 관련 법령에 따라 규정되어 있으며, 측량업자는 그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신고를 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0일"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공공측량시행자는 공공측량을 하려면 미리 측량지역, 측량기간,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을 누구에게 통지하여야 하는가?

  1. 시ㆍ도지사
  2. 지방국토관리청장
  3. 국토지리정보원장
  4. 시장ㆍ군수
(정답률: 83%)
  • 공공측량은 지역사회의 이익과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측량지역, 측량기간 등의 사항은 지방정부에서 적절하게 관리하고 조정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공공측량시행자는 시ㆍ도지사에게 미리 통지하여 협조를 요청해야 합니다. 시ㆍ도지사는 해당 지역의 지방국토관리청 및 국토지리정보원 등을 통해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기본측량성과의 고시내용이 아닌 것은?

  1. 측량의 종류
  2. 측량의 정확도
  3. 측량성과의 보관 장소
  4. 측량 작업의 방법
(정답률: 64%)
  • 기본측량성과의 고시내용은 "측량의 종류", "측량의 정확도", "측량성과의 보관 장소"이며, "측량 작업의 방법"은 고시내용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측량 작업의 방법은 측량을 수행하는 측량사의 기술과 경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측량에 사용되는 장비와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측량 작업의 방법은 고시내용이 아니라 측량사의 역량과 경험에 따라 결정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