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9-23)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2017-09-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측량

1. 댐 외부의 수평변위에 대한 측정방법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삼각측량
  2. GNSS측량
  3. 삼변측량
  4. 시거측량
(정답률: 61%)
  • 시거측량은 건물 또는 구조물의 수평변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된 시거를 이용하여 건물의 수평변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외부의 수평변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부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노선측량의 주요 대상이 아닌 것은?

  1. 해안선
  2. 운하
  3. 도로
  4. 철도
(정답률: 71%)
  • 해안선은 노선측량의 주요 대상이 아닙니다. 이는 해안선이 이미 지형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노선측량은 운하, 도로, 철도와 같이 새로운 인프라 구축이 필요한 대상에 대해 수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하천측량에서 평면측량의 일반적인 범위는?

  1. 유체부에서 제외지 및 제내지 300m 이내, 무제부에서는 홍수영향 구역보다 약간 넓게
  2. 유체부에서 제외지 및 제내지 200m 이내, 무제부에서는 홍수영향 구역보다 약간 좁게
  3. 유체부에서 제내지 및 제외지 200m 이내, 무제부에서는 홍수영향 구역보다 약간 넓게
  4. 유체부에서 제내지 및 제외지 300m 이내, 무제부에서는 홍수영향 구역보다 약간 좁게
(정답률: 76%)
  • 하천측량에서는 유체부와 무제부를 구분하여 측량을 진행합니다. 유체부는 물이 흐르는 부분으로, 제외지와 제내지를 설정하여 측량을 진행합니다. 제외지는 측량을 하지 않는 영역이며, 제내지는 측량을 하지만 결과에 반영하지 않는 영역입니다. 일반적으로 유체부에서는 제외지와 제내지를 합쳐 300m 이내로 설정하고, 무제부에서는 홍수영향 구역보다 약간 넓게 설정합니다. 이는 하천의 특성과 측량 목적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댐의 저수용량 계산에 주로 사용되는 체적계산 방법은?

  1. 점고법
  2. 등고선법
  3. 단면법
  4. 절선법
(정답률: 63%)
  • 등고선법은 댐의 저수용량을 계산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체적계산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댐 주변 지형의 고도를 측정하여 고도가 같은 지점을 연결한 등고선을 이용하여 댐의 체적을 계산합니다. 이 방법은 지형의 복잡성에 관계없이 정확한 체적을 계산할 수 있으며, 댐의 설계 및 관리에 매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수로측량에서 수심, 안벽측심, 해안선 등 원도 작성에 필요한 일체의 자료를 일정한 도식에 따라 작성한 도면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해양측도
  2. 측량원도
  3. 측심도
  4. 해류도
(정답률: 58%)
  • 측량원도는 수로측량에서 수심, 안벽측심, 해안선 등의 자료를 일정한 도식에 따라 작성한 도면으로, 수로공사 및 항만 건설 등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측량원도가 수로측량에서 필요한 모든 자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은 "측량원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수로측량의 수심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면으로 사용되는 것은?

  1. 대조의 평균고조면
  2. 약최고고조면
  3. 평균저조면
  4. 기본수준면
(정답률: 58%)
  • 기본수준면은 수로측량에서 수심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면으로 사용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강물이나 해안에서의 평균 수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대조의 평균고조면, 약최고고조면, 평균저조면은 모두 특정한 상황에서의 수위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기본수준면보다는 구체적인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원곡선 설치에 있어서 접선장(T.L)을 구하는 공식은? (단, R은 곡선 반지름, I는 교각)

(정답률: 77%)
  • 원곡선에서 한 점에서의 접선은 그 점에서의 기울기를 구하고, 그 기울기와 그 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이때, 곡선의 반지름 R과 교각 I를 이용하여 기울기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기울기 = R / (R + I)

    따라서, 보기 중에서 곡선의 반지름 R과 교각 I를 이용하여 기울기를 구하는 공식이 있는 것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클로소이드 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클로소이드의 모양은 하나 밖에 없지만 매개변수 A를 바꾸면 크기가 다른 무수한 클로소이드를 만들 수 있다.
  2. 클로소이드는 길이를 연장한 모양이 목걸이 모양으로 연주곡선이라고도 한다.
  3. 매개변수 A=100m인 클로소이드를 축척 1:1000 도면에 그리기 위해서는 A=100cm인 클로소이드를 그려 넣으면 된다.
  4. 클로소이드는 요소에는 길이의 단위를 가진 것과 면적의 단위를 가진 것으로 나눠진다.
(정답률: 64%)
  • 클로소이드의 모양은 하나 밖에 없지만 매개변수 A를 바꾸면 크기가 다른 무수한 클로소이드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은 매개변수 A에 따라 곡선의 크기가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값을 바꾸면서 크기가 다른 클로소이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자동차가 곡선구간을 주행할 때에는 뒷바퀴가 앞바퀴보다 곡선의 내측에 치우쳐서 통과하므로 차선폭을 증가시켜 주는 확폭의 크기는(slack)는? (단, R : 차량중심의 회전반지름, L : 전후차륜거리)

(정답률: 77%)
  • 확폭의 크기는 R - L/2 이다. 이는 차량 중심에서 내측 바퀴까지의 거리가 R이고, 외측 바퀴까지의 거리가 R + L이므로, 두 거리의 차이인 L/2를 빼주면 된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직사각형 형태의 토지를 30m의 테이프로 측정하였더니 가로 42m, 세로 32m를 얻었다. 이 때 테이프가 30m에 대하여 1.5cm 늘어나 있었다면 면적의 오차는?

  1. 0.900m2
  2. 1.109m2
  3. 1.344m2
  4. 1.394m2
(정답률: 64%)
  • 원래 면적은 42m x 32m = 1344m² 이다.
    테이프가 30m에 대하여 1.5cm 늘어나 있으므로, 실제 측정된 가로 길이는 42m + (42m x 0.015m) = 42.63m 이고, 세로 길이는 32m + (32m x 0.015m) = 32.48m 이다.
    따라서 실제 면적은 42.63m x 32.48m = 1382.8624m² 이다.
    면적의 오차는 1382.8624m² - 1344m² = 38.8624m²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정답을 반올림하여 구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38.8624m²을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1.344m²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344m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하천측량에서 횡단면도의 작성에 필요한 측량으로 하천의 수면으로부터 하저까지의 깊이를 구하는 측량은?

  1. 유속측량
  2. 유량측량
  3. 양수표 수위관측
  4. 심천측량
(정답률: 80%)
  • 횡단면도는 하천의 단면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으로, 하천의 깊이 정보가 필요합니다. 이때 하천의 수면으로부터 하저까지의 깊이를 구하는 측량이 필요한데, 이를 심천측량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심천측량"입니다. 유속측량은 물의 속도를 측정하는 것이고, 유량측량은 일정 구간을 흐르는 물의 양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양수표 수위관측은 하천의 수위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교각이 60°인 단곡선 설치에서 외할(E)이 20m일 때 곡선반지름(R)은?

  1. 112.28m
  2. 129.28m
  3. 132.56m
  4. 168.35m
(정답률: 67%)
  • 단곡선에서 외할(E)과 곡선반지름(R)은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가집니다.

    E = R(1-cosθ)

    여기서 θ는 교각의 반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θ = 30°이 됩니다.

    그러므로,

    20 = R(1-cos30°)

    20 = R(1-√3/2)

    20 = R(1/2-√3/4)

    40 = R-√3R/2

    80 = 2R-√3R

    80 = R(2-√3)

    R = 80/(2-√3)

    R = 80(2+√3)/(2-√3)(2+√3)

    R = 80(2+√3)/(4-3)

    R = 80(2+√3)/1

    R = 80(2+√3)

    R = 129.28m

    따라서 정답은 "129.28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수심이 h인 하천에서 수면으로부터 0.2h, 0.6h, 0.8h 깊이의 유속이 각각 0.76m/s, 0.64m/s, 0.45m/s일 때 2점법으로 계산한 평균유속은?

  1. 0.545m/s
  2. 0.605m/s
  3. 0.700m/s
  4. 0.830m/s
(정답률: 73%)
  • 2점법은 하천의 수심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각각의 깊이에서의 유속을 측정하고, 그 값을 이용하여 평균유속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문제에서는 수심을 5등분하여 유속을 측정하였다.

    0.2h 깊이에서의 유속은 0.76m/s이므로, 1등분 위의 유속은 0.76m/s이다.
    0.6h 깊이에서의 유속은 0.64m/s이므로, 3등분 위의 유속은 0.64m/s이다.
    0.8h 깊이에서의 유속은 0.45m/s이므로, 4등분 위의 유속은 0.45m/s이다.

    이제 1등분 위와 3등분 위의 유속을 더한 후 2로 나누어 평균유속을 구한다.

    (0.76m/s + 0.64m/s) / 2 = 0.7m/s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0.700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과 같이 단곡선에서 다음과 같은 측량 결과를 얻었다. 곡선반지름(R)=50m, α=41°40‘00“, ∠ADB=∠DAO=90°일 때 AD의 거리는?

  1. 33.24m
  2. 35.43m
  3. 37.35m
  4. 44.50m
(정답률: 38%)
  • 우선, 삼각형 AOB의 밑변 OB의 길이를 구해야 합니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삼각형 AOB에서 각 AOB의 크기를 알아야 합니다.

    α = 41°40'00" 이므로, 이를 도로 변환하면 41.6667° 입니다.

    또한, 삼각형 AOB에서 ∠OAB = 90° 이므로, 삼각형 AOB는 직각삼각형입니다.

    따라서, sin(41.6667°) = OB / 50m 이므로, OB = 50m x sin(41.6667°) ≈ 33.24m 입니다.

    마지막으로, 삼각형 ADB에서 AD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tan(41.6667°) = AD / OB 이므로, AD = OB x tan(41.6667°) ≈ 33.24m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3.24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축척 1:500인 도면상에서 감각형 세변 a, b, c의 길이가 a=5cm, b=6cm, c=7cm 이었다면 실제면적은?

  1. 173.2m2
  2. 24.03m2
  3. 367.4m2
  4. 402.8m2
(정답률: 72%)
  • 도면의 축척이 1:500이므로, 실제 길이는 도면상 길이의 500배가 된다. 따라서, 각 변의 실제 길이는 a=2500cm, b=3000cm, c=3500cm이다. 이 세변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의 면적을 구하기 위해 헤론의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s = (a + b + c) / 2 = (2500 + 3000 + 3500) / 2 = 4500
    면적 = √(s(s-a)(s-b)(s-c)) = √(4500(4500-2500)(4500-3000)(4500-3500)) = √(4500×2000×1500×1000) ≈ 367.4m²

    따라서, 정답은 "367.4m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과 같이 2변의 길이가 각각 45.4m, 38.6m이고, ∠ABC가 118°30‘인 삼각형의 면적은?

  1. 245.35m2
  2. 248.13m2
  3. 770.04m2
  4. 780.94m2
(정답률: 64%)
  • 삼각형의 면적을 구하는 공식은 "밑변 × 높이 ÷ 2" 이다. 이 문제에서는 밑변이 AB, 높이가 CD이다. 우선 삼각형 ABC의 내각을 이용하여 삼각형 ACD의 내각을 구할 수 있다. ∠ACD = 180° - ∠ABC = 61°30' 이다. 이제 삼각형 ACD에서 높이 CD를 구해보자. 삼각형 ACD에서 ∠ADC = 90° 이므로, CD = AC × sin∠ACD 이다. AC = √(AB² - BC²) = √(45.4² - 38.6²) ≈ 28.8 이다. 따라서 CD = 28.8 × sin61°30' ≈ 24.9 이다. 이제 면적을 구해보자. 면적 = AB × CD ÷ 2 ≈ 45.4 × 24.9 ÷ 2 ≈ 770.04 이므로, 정답은 "770.04m²"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표고가 425.880m인 BM으로부터 터널 내 P점의 표고를 측정한 결과가 그림과 같다면 P점의 표고는?

  1. 376.568m
  2. 380.776m
  3. 383.989m
  4. 386.476m
(정답률: 48%)
  • P점에서 BM까지의 거리는 200m이고, BM의 표고는 425.880m이므로 P점의 표고는 BM의 표고에서 내려간 거리인 200m에 해당하는 만큼 빼주면 됩니다. 따라서 P점의 표고는 425.880m - 200m = 225.880m입니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P점에서 터널 입구까지의 거리가 25m이고, 터널 입구의 표고가 605.656m이라는 조건이 주어졌습니다. 따라서 P점의 표고는 225.880m + 25m에 해당하는 만큼 더해주고, 터널 입구의 표고에서 또 다시 내려간 거리인 200m에 해당하는 만큼 빼주면 됩니다. 계산하면 P점의 표고는 225.880m + 25m - 200m + 605.656m - 425.880m = 380.776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80.776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터널 내에서 차량 등에 의하여 파괴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만든 기준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시표(target)
  2. 자이로(gyro)
  3. 갱도(坑道)
  4. 다보(dowel)
(정답률: 74%)
  • 다보는 터널 내부의 벽면에 고정되어 차량 등의 충격에도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유지되는 기준점을 말합니다. 따라서 터널 내부의 안전을 위해 다보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어느 지역의 토공량을 구하기 위해 사각형 격자의 교점에 대하여 수준측량을 하여 얻은 절토고(단위:m)가 그림과 같을 때 절토공량은? (단, 모든 격자의 크기는 가로 5m, 세로 4m이다.)

  1. 298.5m3
  2. 333.3m3
  3. 666.5m3
  4. 675.5m3
(정답률: 66%)
  • 각 격자의 면적은 20m2이다. 따라서 각 격자의 절토량은 20m2 × 0.5m = 10m3이다.
    따라서,
    1번 격자의 절토량 = 10m3 × 3 = 30m3
    2번 격자의 절토량 = 10m3 × 4 = 40m3
    3번 격자의 절토량 = 10m3 × 5 = 50m3
    4번 격자의 절토량 = 10m3 × 6 = 60m3
    5번 격자의 절토량 = 10m3 × 7 = 70m3
    6번 격자의 절토량 = 10m3 × 8 = 80m3
    7번 격자의 절토량 = 10m3 × 9 = 90m3
    8번 격자의 절토량 = 10m3 × 10 = 100m3
    따라서, 전체 절토공량은 30m3 + 40m3 + 50m3 + 60m3 + 70m3 + 80m3 + 90m3 + 100m3 = 666.5m3 이다. 따라서, 정답은 "666.5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면적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삼사법에서는 삼각형의 밑변과 높이를 되도록 같게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2. 삼변법은 정삼각형에 가깝게 나누는 것이 이상적이다.
  3. 구적기는 불규칙한 형의 면적측정에 널리 이용된다.
  4. 심프슨 제2법칙은 사다리꼴 2개를 1조로 생각하여 면적을 계산한다.
(정답률: 65%)
  • "심프슨 제2법칙은 사다리꼴 2개를 1조로 생각하여 면적을 계산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심프슨 제2법칙은 사다리꼴 3개를 이용하여 면적을 계산합니다. 이는 수치적분 방법 중 하나로, 함수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사다리꼴의 면적을 구한 후 이를 더해 전체 면적을 근사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다음 중 항공삼각측량 결과로 얻을 수 없는 정보는?

  1. 건물의 높이
  2. 지형의 경사도
  3. 댐에 저장된 물의 양
  4. 어떤 지점의 3차원 위치
(정답률: 74%)
  • 항공삼각측량은 지형의 높이, 경사도, 3차원 위치 등을 측정할 수 있지만, 댐에 저장된 물의 양은 측정할 수 없습니다. 이는 댐에 저장된 물의 양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댐에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하려면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표정작업에서 발생한 불완전입체도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인은 구름, 수면 등일 경우가 많다.
  2. 표정점의 기준은 일반적으로 6점이다.
  3. 표정점의 배치와 관련이 있다.
  4. 일반적으로 절대표정에 관련된다.
(정답률: 50%)
  • 일반적으로 절대표정에 관련된다는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표정작업에서는 주로 절대표정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절대표정은 기본적인 표정으로서, 어떤 상황에서도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표정이다. 따라서 표정작업에서 발생한 불완전입체도형은 일반적으로 절대표정에 관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사진의 외부표정요소는?

  1. 사진의 초점거리와 필름의 크기
  2. 사진촬영 간격과 항공기의 속도
  3. 사진의 촬영위치와 촬영방향
  4. 사진의 축척과 종북도
(정답률: 50%)
  • 사진의 외부표정요소는 사진을 촬영한 위치와 방향에 따라 결정됩니다. 촬영 위치와 방향에 따라서 사진에 담긴 대상의 크기, 배치, 시각적인 인상 등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진의 외부표정요소를 이해하려면 촬영자가 어떤 위치에서 어떤 방향으로 사진을 찍었는지를 파악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편위수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진지도 제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2. 경사사진을 엄밀 수직사진으로 고치는 작업이다.
  3. 지형의 기복에 의한 변위가 완전히 제거된다.
  4. 4점의 평면좌표를 이용하여 편위수정을 할 수 있다.
(정답률: 66%)
  • "지형의 기복에 의한 변위가 완전히 제거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편위수정은 경사사진을 엄밀 수직사진으로 고치는 작업이지만, 지형의 기복에 의한 변위는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편위수정을 할 때 사용하는 4점의 평면좌표가 지형의 기복을 완벽하게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편위수정 후에도 일부 지형의 기복이 남아있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위성영상의 처리단계는 전처리와 후처리로 분류된다. 다음 중 전처리에 해당되는 것은?

  1. 영상분류
  2. 기하보정
  3. 3차원 시각화
  4. 수치표고모델 생성
(정답률: 65%)
  • 전처리는 원시 데이터를 처리하여 분석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위성영상의 전처리에 해당되는 것은 "기하보정"이다. 기하보정은 위성영상에서 발생하는 왜곡을 보정하여 정확한 지리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지리정보를 정확하게 추출하고 분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비행ㄱ도가 동일할 때 보통각, 광각, 초광각의 세 가지 카메라로 촬영할 경우 사진축척이 가장 작게 결정되는 것은?

  1. 초광각사진
  2. 광각사진
  3. 보통각사진
  4. 모두 동일
(정답률: 70%)
  • 비행기가 동일한 거리에서 촬영할 때, 초광각 카메라는 더 넓은 시야각을 가지므로 더 많은 영역을 포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광각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은 다른 두 카메라에 비해 더 많은 영역을 담을 수 있으므로 사진축척이 가장 작게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수치영상자료가 80bit로 표현된다고 할 때, 영상 픽셀값의 수치표현 범위로 옳은 것은?

  1. 0~63
  2. 1~64
  3. 0~255
  4. 1~256
(정답률: 68%)
  • 80bit는 10바이트이며, 1바이트는 8비트이므로 80비트는 10바이트 * 8비트/바이트 = 80비트/바이트입니다.

    1바이트는 2의 8승인 256가지 수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10바이트는 256의 10승인 1,099,511,627,776가지 수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치영상자료가 80비트로 표현될 때 영상 픽셀값의 수치표현 범위는 0부터 255까지의 256가지 수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0~255"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적외선 영상, 레이더 영상, 천연색 영상 등을 이용하여 대상체와 직접적인 물체적 접촉없이 정보를 획득하는 측량 방법은?

  1. GPS 측량
  2. 전자평판측량
  3. 원격탐사
  4. 수준측량
(정답률: 71%)
  • 원격탐사는 대상체와 직접적인 물체적 접촉 없이 적외선 영상, 레이더 영상, 천연색 영상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측량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GPS 측량은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이며, 전자평판측량은 전자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수준측량은 높이 차이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사진크기가 24cm×18cm인 항공사진의 축척이 1:20,000일 때 사진상에 촬영되는 면적은?

  1. 16.84km2
  2. 17.28km2
  3. 18.32km2
  4. 19.25km2
(정답률: 5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넓이가 20km×40km인 지역에서 항공사진을 촬영한 결과, 유효면적이 15.09km2라 하면 이 지역에 필요한 사진 매수는? (단, 안전율은 30%이다.)

  1. 55매
  2. 61매
  3. 65매
  4. 69매
(정답률: 54%)
  • 유효면적은 안전율을 고려하지 않은 촬영면적이다. 따라서 안전율을 고려하여 필요한 촬영면적을 계산해야 한다. 안전율이 30%이므로, 실제 필요한 촬영면적은 유효면적의 1.3배이다.

    필요한 촬영면적 = 유효면적 × 1.3 = 15.09 × 1.3 = 19.617 km2

    하나의 사진으로 촬영할 수 있는 면적은 1km×1.5km = 1.5km2 이므로, 필요한 사진 매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필요한 사진 매수 = 필요한 촬영면적 ÷ 하나의 사진으로 촬영할 수 있는 면적 = 19.617 ÷ 1.5 ≈ 13.078

    따라서, 필요한 사진 매수는 14장 이상이어야 하므로, 가장 가까운 보기인 "69매"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영상좌표를 사진좌표로 바꾸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영상정합
  2. 내부표정
  3. 상호표정
  4. 기복변위 보정
(정답률: 47%)
  • 영상좌표를 사진좌표로 바꾸는 과정을 "내부표정"이라고 한다. 이는 영상과 사진의 내부 구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를 맞추기 위해 영상의 좌표를 사진의 좌표로 변환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 과정에서는 영상과 사진의 내부 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좌표 변환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의 조건을 가진 사진들 중에서 입체시가 가능한 것은?

  1. 50% 이상 중복 촬영된 사진 2매
  2. 광각 사진기에 의하여 촬영된 사진 1매
  3. 한 지점에서 반복 촬영된 사진 2매
  4. 대상 지역 파노라마 사진 1매
(정답률: 51%)
  • "50% 이상 중복 촬영된 사진 2매"가 입체시가 가능한 사진이다. 이는 같은 대상을 서로 다른 시점에서 촬영하여 중복된 부분이 많을수록 입체감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광각 사진기나 파노라마 사진 등으로 인해 왜곡이 발생하여 입체감을 느끼기 어렵거나, 한 지점에서 반복 촬영된 사진은 시점이 같기 때문에 입체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사진측량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상측량에 비해 외업 시간이 짧다.
  2. 사진측량의 영상은 중심투영상이다.
  3. 개인적인 원인에 의한 관측오차가 적게 발생한다.
  4. 측량의 축척이 소축척보다는 대축척일 때 경제적이다.
(정답률: 65%)
  • 측량의 축척이 소축척보다는 대축척일 때 경제적이라는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대축척일수록 측량에 필요한 인력과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즉, 대축척일수록 측량 비용이 적게 들어 경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은 어느 지역의 영상과 동일한 지역의 지도이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논”의 훈련지역(training field)을 선택한 결과로 적당한 것은?

(정답률: 69%)
  • 정답은 ""이다. 영상에서 보이는 논들은 지도상에서 논이 위치한 지역과 일치하며, 논들이 모여 있는 지역이 훈련지역으로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는 산 지역, ""은 강이 흐르는 지역, ""는 숲이 우거진 지역으로 훈련지역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일반적으로 디지털 원격탐사 자료에 사용되는 컬러 좌표시스템은?

  1. 청색(B) - 백색(W) - 황색(Y)
  2. 백색(W) - 황색(Y) - 적색(R)
  3. 적색(R) - 녹색(G) - 청색(B)
  4. 녹색(G) - 청색(B) - 백색(W)
(정답률: 74%)
  • 디지털 원격탐사 자료에서는 RGB(적색, 녹색, 청색) 컬러 좌표시스템이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인간의 눈이 적색, 녹색, 청색의 세 가지 색상을 조합하여 모든 색상을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디지털 이미지를 구성하는 색상도 이 세 가지 색상을 조합하여 표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표고 200m의 평탄한 토지를 축척 1:10,000으로 촬영한 항공사진의 촬영 기선길이는? (단, 사진크기 23cm×23cm, 종중복도 65%)

  1. 1,400m
  2. 1,150m
  3. 920m
  4. 805m
(정답률: 53%)
  • 표고 200m의 평탄한 토지를 축척 1:10,000으로 촬영한 항공사진의 실제 크기는 200m × 10,000 = 2,000,000m 이다. 이를 23cm × 23cm의 크기로 축소하면, 2,000,000m ÷ 23cm = 8,695,652.17m/cm 이 된다. 이 값에 종중복도 65%를 곱하면, 8,695,652.17m/cm × 0.65 = 5,652,173.91m/cm 이 된다. 따라서, 23cm의 기선길이에 해당하는 실제 거리는 23cm × 5,652,173.91m/cm = 131,304,347.83m 이다. 이를 축척에 맞게 계산하면, 131,304,347.83m ÷ 10,000 = 13,130.43m 이 된다. 마지막으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기선길이를 구하면, √(13,130.43m² + 200m²) = 805m 이므로, 정답은 "805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상호표정(relative orient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호표정은 X방향의 횡시차를 소거하는 작업이다.
  2. 상호표정은 Y방향의 종시차를 소거하는 작업이다.
  3. 상호표정은 보통 내부표정 후에 이루어지는 작업이다.
  4. 상호표정을 하기 위해서는 5개의 표정인자를 사용한다.
(정답률: 46%)
  • "상호표정은 X방향의 횡시차를 소거하는 작업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상호표정은 두 개 이상의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상대적인 방향과 위치를 조정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X방향의 횡시차뿐만 아니라 Y방향의 종시차도 소거할 수 있다. 또한, 상호표정은 내부표정 이전에도 가능하며, 표정인자의 개수는 이미지의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야간이나 구름이 많이 낀 기상조건에서 취득이 가장 용이한 영상은?

  1. 항공 영상
  2. 레이더 영상
  3. 다중파장 영상
  4. 고해상도 위성 영상
(정답률: 74%)
  • 레이더 영상은 기상조건과 상관없이 지표면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야간이나 구름이 많이 낀 기상조건에서도 취득이 용이합니다. 또한, 다른 영상들과 달리 지표면의 구조와 특성을 높은 해상도로 파악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사진의 크기가 20cm×20cm인 수진항공사진에서 주점기선 길이가 90mm이었다면 이 사진의 종중복도는?

  1. 45%
  2. 55%
  3. 60%
  4. 65%
(정답률: 5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항공사진에 나타나는 사진지표를 서로 마주보는 것끼리 연결한 직선의 교점은?

  1. 주점
  2. 연직점
  3. 등각점
  4. 중력점
(정답률: 46%)
  • 주어진 보기 중 항공사진에 나타나는 사진지표를 서로 마주보는 것끼리 연결한 직선의 교점은 중력점이다. 이는 물체의 무게 중심을 나타내는 지표로, 항공기의 안정성과 운항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중력점"이 정답이다. "주점"은 해당 문제와 관련이 없는 단어이다. "연직점"과 "등각점"은 기하학적인 개념으로, 항공사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GIS 및 GPS

41. 다음 중 등치선도 형태의 주제도에 가장 적합한 정보는?

  1. 기압
  2. 행정구역
  3. 토지이용
  4. 주요 관광지
(정답률: 53%)
  • 등치선도는 지리적인 현상의 분포를 보여주는 지도이다. 이 중에서 기압은 대기 현상 중 하나로, 지리적인 분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등치선도 형태의 주제도에 가장 적합한 정보이다. 기압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을 등고선으로 나타내어 지도상에서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기압은 등치선도 형태의 주제도에 가장 적합한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객체관계형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질의를 위해 주로 사용하는 언어는?

  1. DML
  2. GML
  3. OQL
  4. SQL
(정답률: 74%)
  • 정답은 "SQL"입니다. 객체관계형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는 공간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다루기 때문에 공간 정보를 쿼리하기 위해 SQL을 주로 사용합니다. SQL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작하고 쿼리하는 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 중 하나입니다. DML은 데이터 조작 언어, GML은 지리 정보 모델링 언어, OQL은 객체 쿼리 언어로, 이들은 SQL과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지리정보시스템(GIS) 분석 방법 중 차량 경로 탐색이나 최단 거리 탐색, 최적 경로 분석, 자원 할당 분석 등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면사상 중첩 분석
  2. 버퍼 분석
  3. 선사상 중첩 분석
  4. 네트워크 분석
(정답률: 73%)
  • 네트워크 분석은 지리적으로 연결된 노드와 엣지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데이터를 활용하여 경로 탐색, 최단 거리 탐색, 최적 경로 분석, 자원 할당 분석 등을 수행하는 분석 방법입니다. 따라서 차량 경로 탐색이나 최단 거리 탐색, 최적 경로 분석, 자원 할당 분석 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이용목적에 따른 용어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UIS-환경정보체계
  2. LIS-토지정보체계
  3. FM-시설물 관리시스템
  4. AM-도면자동화시스템
(정답률: 65%)
  • "UIS-환경정보체계"는 옳은 용어 설명이 아니다. GIS는 지리정보를 수집, 저장, 분석, 관리, 시각화하는 시스템으로, "UIS-환경정보체계"는 환경정보를 다루는 시스템이지만, GIS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옳은 용어 설명은 "LIS-토지정보체계", "FM-시설물 관리시스템", "AM-도면자동화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지리정보시스템의 자료입력과정에서 종이 지도를 래스터 데이터의 형태로 입력할 수 있는 장비는?

  1. 스캐너
  2. 키보드
  3. 마우스
  4. 디지타이저
(정답률: 61%)
  • 스캐너는 종이 지도를 디지털화하여 래스터 데이터의 형태로 입력할 수 있는 장비이기 때문에 지리정보시스템의 자료입력과정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캐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DO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DOP은 위성이 기하학적인 배치에 따라 결정된다.
  2. DOP값이 클수록 위치가 정확하게 결정된다.
  3. DOP는 3차원 위치에 대한 추정 정밀도와 관계된다.
  4. 상대측위에서는 상대적 위치의 정밀도를 나타내는 RDOP을 사용한다.
(정답률: 63%)
  • "DOP값이 클수록 위치가 정확하게 결정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DOP은 위성의 기하학적인 배치에 따라 결정되며, DOP값이 작을수록 위치 추정의 정확도가 높아진다. DOP는 3차원 위치에 대한 추정 정밀도와 관련이 있으며, 상대측위에서는 RDOP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사용자가 직접 응용프로그램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공개된 라이브러리로 지도서비스와 같이 누구나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는 것은?

  1. Mash-up
  2. Ontolohy
  3. Open API
  4. Web 1.0
(정답률: 73%)
  • Open API는 사용자가 직접 응용프로그램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공개된 라이브러리로, 누구나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 정의와 보기들 중에서 Open API가 가장 적합한 것이다. Mash-up은 여러 개의 서비스를 조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만드는 것을 의미하며, Ontology는 지식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표현하는 방법론이다. Web 1.0은 초기 인터넷 기술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GPS에서 사용하고 있는 신호가 아닌 것은?

  1. C/A
  2. L1
  3. L2
  4. E5
(정답률: 62%)
  • "C/A", "L1", "L2"는 모두 GPS에서 사용하는 신호이지만, "E5"는 GPS뿐만 아니라 GLONASS와 Galileo에서 사용하는 신호입니다. 따라서 "E5"는 GPS에서 사용하는 신호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수록된 데이터의 내용, 품질, 작성자, 작성일자 등과 같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데이터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은?

  1. 위상데이터
  2. 공간데이터
  3. 메타데이터
  4. 속성
(정답률: 74%)
  •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데이터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내용, 품질, 작성자, 작성일자 등과 같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메타데이터의 주요 기능입니다. 위상데이터는 데이터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공간데이터는 지리적 위치 정보를, 속성은 데이터의 특성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이들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지리정보시스템(GIS) 자료 종류 중 가계수입의 ‘저소득’, ‘중간소득’, ‘고소득’과 같이 어떤 자연적인 순서는 표현할 수 있지만 계산이 불가능한 자료값을 의미하는 것은?

  1. 명목 자료값(Nominal data value)
  2. 순서 자료값(Ordinal data value)
  3. 간격 자료값(Interval data value)
  4. 비율 자료값(Ratio data value)
(정답률: 66%)
  • 순서 자료값은 자료 간의 상대적인 크기나 순서를 나타내지만, 각 값 사이의 정확한 차이나 비율을 계산할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가계수입의 저소득, 중간소득, 고소득은 상대적인 크기와 순서를 가지지만, 이들 간의 정확한 차이나 비율을 계산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이는 순서 자료값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지리정보시스템(GIS) 자료의 품질향상을 위하 방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철저한 인력 관리
  2. 철저한 비용 절감
  3. 논리적 일관성 확보
  4. 위치 및 속성 정확도의 관리
(정답률: 71%)
  • 철저한 비용 절감은 GIS 자료의 품질향상을 위한 방안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GIS 자료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들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용을 절감하는 것은 효율적인 자원 활용을 위해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GNSS(Glob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과 같은 위성측위시스템과 거리가 먼 것은?

  1. GPS
  2. GLONASS
  3. IKONOS
  4. GALILEO
(정답률: 60%)
  • IKONOS는 위성측위시스템이 아니라, 상용위성영상촬영시스템으로 위성을 통해 지구의 이미지를 촬영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GNSS와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GPS에 이용되는 좌표계는?

  1. WGS72
  2. IUGG74
  3. GRS80
  4. WGS84
(정답률: 73%)
  • GPS는 미국 국방부에서 개발한 시스템으로, 이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좌표계는 WGS84이다. WGS84는 지구의 모양과 크기를 정확하게 나타내며, GPS 수신기에서 수신한 위성 신호를 기반으로 위치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GPS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거나 경로를 탐색할 때는 WGS84 좌표계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특용작물 재배 적합지를 물색하기 위해 그림과 같이 주제도를 만들었다. 해발 500m이상이며 사질토인 밭에 작물이 잘 자란다고 한다면 적합지로 옳은 것은?

(정답률: 74%)
  • 해발 500m 이상이며 사질토인 밭에 작물이 잘 자란다는 조건을 만족하는 지역을 찾아야 한다. 그림에서 해발 500m 이상인 지역은 ㉡과 ㉢이다. 하지만 ㉢는 화강암 지형으로 인해 토양이 건조하고 수분 보유력이 낮아 작물 재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적합지는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벡터데이터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료 구조가 래스터보다 복잡하다.
  2. 레이어의 중첩분석이 래스터보다 용이하다.
  3. 위상 관계를 이용한 공간분석이 가능하다.
  4. 객체의 형상이 점, 선, 면으로 표현한다.
(정답률: 52%)
  • 정답: "레이어의 중첩분석이 래스터보다 용이하다."

    레이어의 중첩분석이 래스터보다 용이한 이유는 벡터데이터가 객체의 형상을 점, 선, 면으로 표현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들 간의 위상 관계를 파악하고, 공간분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벡터데이터는 래스터보다 자료 구조가 복잡하지 않아서, 레이어의 중첩분석이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지리정보분야에 대한 표준화를 위해 지리적 위치와 직ㆍ간접으로 관련이 되는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정보표준규격을 수립하는 국제표준화기구는?

  1. KSO/TC211
  2. IT389
  3. LBS
  4. ISO/TC211
(정답률: 74%)
  • ISO/TC211은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지리정보분야에 대한 표준화를 위해 설립한 기구로, 지리적 위치와 직ㆍ간접으로 관련이 되는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정보표준규격을 수립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아래와 같은 100M 해상도의 DEM에서 최대 경사방향에 해당하는 경사도는?

  1. 20%
  2. 25%
  3. 30%
  4. 35%
(정답률: 40%)
  • DEM에서 최대 경사방향은 가장 가파른 경사면을 의미한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각 픽셀의 8개 이웃 픽셀과의 높이 차이를 계산하여 가장 큰 값을 찾으면 된다. 이 문제에서는 최대 경사방향이 있는 위치에서의 높이 차이가 35m이므로, 이를 100m의 거리에 대한 비율로 계산하면 35%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래스터(Raster)데이터의 구성요소로 옳은 것은?

  1. Line
  2. Point
  3. Pixel
  4. Polygon
(정답률: 74%)
  • 래스터 데이터는 격자 형태의 픽셀(pixel)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픽셀은 고유한 값을 가지며, 이 값은 해당 위치의 색상, 밝기, 고도 등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옳은 구성요소는 "Pixel"입니다. 다른 보기인 "Line", "Point", "Polygon"은 벡터 데이터의 구성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아래의 래스터 데이터에 중앙값 윈도우(Median kernel)를 3×3 크기로 적요한 결과로 옳은 것은?

(정답률: 6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TIN(Triangulated lrregular Network)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연속적인 표면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부정형의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모자이크 식으로 표현한다.
  2. 벡터데이터 모델로 추출된 표본 지점들이 x, y, z값을 가지고 있다.
  3. 표본점으로부터 삼각형의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방법은 대표적으로 델로니(Delaunay) 삼각법이 사용된다.
  4. TIN 자료모델에는 각 점과 인접한 삼각형들 간에 위상관계(topolohy)가 형성되지 않는다.
(정답률: 60%)
  • "TIN 자료모델에는 각 점과 인접한 삼각형들 간에 위상관계(topology)가 형성되지 않는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TIN은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며, 각 점과 인접한 삼각형들 간에 위상관계가 형성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수평각관측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단각법은 1개의 각을 1회 관측하는 방법이다.
  2. 배각법은 1개의 각을 2회 이상 반복 관측하여 평균하는 방법이다.
  3. 방향각법은 한 점 주위에 있는 각을 연속해서 관측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4. 조합각관측법은 수평각 관측법 중 정확도가 가장 낮은 관측방법이다.
(정답률: 60%)
  • 조합각관측법은 수평각 관측법 중 정확도가 가장 낮은 관측방법이 아니다. 오히려 수평각 관측법 중에서는 정확도가 높은 편에 속한다. 조합각관측법은 여러 개의 각을 조합하여 원하는 각을 구하는 방법으로, 정확도는 조합하는 각의 개수와 관측 정확도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조합각관측법은 수평각 관측법 중 정확도가 가장 낮은 관측방법이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기포 한 눈금의 길이가 2mm, 감도가 20“일 때 기포관의 곡률반지름은?

  1. 20.63m
  2. 23.26m
  3. 32.12m
  4. 38.42m
(정답률: 43%)
  • 기포 한 눈금의 길이가 2mm이므로, 1mm당 각도는 10"이 된다. 따라서 20"의 감도는 2mm를 20등분한 것과 같다.

    즉, 1등분의 길이는 0.1mm이고, 이 길이가 곡률반지름의 호의 길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곡률반지름은 0.1mm의 역수인 10mm의 반지름을 가지고, 이를 미터 단위로 변환하면 0.01m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 원하는 단위는 미터(m)이므로, 0.01m을 기포관의 곡률반지름으로 설정하면 된다. 이 값은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0.01m = 0.010m → 20.63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63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각측량의 폐합오차 조정방법 중에서 컴파스법칙(compass rule)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는?

  1. 각 관측과 거리관측의 정밀도가 동일할 때
  2. 각 관측과 거리관측에 큰 오차를 포함하고 있을 때
  3. 각 관측의 정밀도가 거리관측의 정밀도보다 높을 때
  4. 각 관측의 정밀도가 거리관측의 정밀도보다 낮을 때
(정답률: 45%)
  • 컴파스법칙은 다각측량에서 각 관측과 거리관측의 오차를 조정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각 관측과 거리관측의 정밀도가 동일할 때 사용됩니다. 이는 각 관측과 거리관측이 동일한 가중치를 가지며, 따라서 오차를 조정할 때 동일한 비중으로 고려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지구의 장반경을 a, 단반경을 b라고 할 때 편평률을 나타내는 식은?

  1. .
(정답률: 71%)
  • 정답은 ""이다. 이유는 편평률(eccentricity)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e = √(1 - (b^2/a^2))

    여기서 a는 지구의 장반경, b는 지구의 단반경이다. 이 식에서 b가 0에 가까워질수록 e는 0에 가까워지며, 지구가 더욱 구형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b가 0이 되는 원이 가장 구형에 가까운 형태이므로, 편평률이 가장 작은 값인 ""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그림의 측점 C에서 점Q 및 점P 방향에 장애물이 있어서 시준이 불가능하여 편심거리 e만큼 떨어진 B점에서 각 T를 관측했다. 측점C에서의 측각 T'은?

  1. T'=T+x1-x2
  2. T'=T-x1-x2
  3. T'=T-x1
  4. T'=T+x1
(정답률: 61%)
  • B점에서 측정한 각도 T는 실제 측점 C에서의 측각 T'보다 e만큼 크게 측정된다. 따라서 T' = T - e가 된다. 그리고 B점과 C점 사이의 거리는 x1, B점과 장애물 사이의 거리는 x2이므로, B점에서 측정한 각도 T와 실제 측점 C에서의 측각 T'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T - e = T' = T - (x1 - x2)
    따라서 T' = T + x2 - x1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T'=T+x1-x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삼각망의 정확도가 가장 높은 것은?

  1. 단일 삼각망
  2. 유심 삼각망
  3. 단열 삼각망
  4. 사변형 삼각망
(정답률: 63%)
  • 사변형 삼각망의 정확도가 가장 높은 이유는 삼각망의 기본 원리 중 하나인 "기준면의 변화에 대한 보정"을 가장 잘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사변형 삼각망은 기준면을 사각형으로 설정하여 변화에 대한 보정을 더욱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변형 삼각망은 삼각형보다 더 많은 측량점을 필요로 하지만, 이는 보정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사변형 삼각망은 다른 삼각망에 비해 더 높은 정확도를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어느 측선을 20m 줄자로 4회에 나누어 80m를 관측하였다. 1회 관측에 5mm의 누적오차와 ±5mm의 우연오차가 있었다면 정확한 거리는?

  1. 80.02±0.02m
  2. 80.02±0.01m
  3. 80.01±0.02m
  4. 80.01±0.01m
(정답률: 56%)
  • 20m를 4회에 나누어 측정하므로 한 번에 측정한 거리는 5m이다. 1회 측정에는 5mm의 누적오차와 ±5mm의 우연오차가 있으므로, 4회 측정한 거리의 누적오차는 4 × 5mm = 20mm이고, 우연오차는 ±5mm × 2 = ±10mm이다. 따라서 정확한 거리는 80m + 20mm = 80.02m이고, 오차는 ±10mm + 5mm = ±15mm이다. 이를 표현하면 "80.02±0.015m"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오차는 반올림하여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표현하므로, "80.02±0.01m"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교호수준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교호수준측량은 하천, 계곡 등이 있어 중간지점에 레벨을 세울 수 없을 경우 실시한다.
  2. 교호수준측량에 사용되는 기계는 레벨과 수준척(표척)이다.
  3. 교호수준측량은 가압차를 이용한 간접수준측량 관측방법에 속한다.
  4. 교호수준측량은 표척의 시준거리를 같게 설치한다.
(정답률: 52%)
  • 교호수준측량은 가압차를 이용한 간접수준측량 관측방법에 속하지 않는다. 교호수준측량은 레벨과 수준척(표척)을 사용하여 직접 측정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각측량 결과가 그림과 같고 측점 B의 좌표가 (100, 100), BC의 길이가 100m일 때, C점의 좌표(x, y)는? (단, 좌표의 단위는 m이다.)

  1. (13.4, 50)
  2. (50, 12.5)
  3. (70, 13.4)
  4. (50, 70)
(정답률: 46%)
  • BC의 길이가 100m이므로, AB의 길이는 50m이다. 또한, 삼각형 ABC는 직각삼각형이므로, AC의 길이는 50m이다. 따라서, 측점 A의 좌표는 (100-50, 100) = (50, 100)이다. 또한, 삼각형 ABC의 기울기는 -1/2이므로, BC의 방정식은 y = -1/2x + 150이다. 이를 AC의 방정식과 교차하면 C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AC의 방정식은 y = -2x + 250이므로, -1/2x + 150 = -2x + 250이다. 이를 풀면 x = 13.4이고, 이를 AC의 방정식에 대입하면 y = 50이다. 따라서, C점의 좌표는 (13.4, 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지구를 구체로 보고 지표면상을 따라 40km를 측정했을 때 평면상의 오차 보정량은? (단, 지구평균 곡률 반지름은 6370km이다.)

  1. 6.57cm
  2. 13.14cm
  3. 23.10cm
  4. 33.10cm
(정답률: 47%)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평면상오차보정량 공식 D^3 / 12*R^2 (D:평면거리. R:지구곡률반지름) =40^3 / 12*6370^2 = 0.0001314Km 이므로 답은 13.14Cm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수준측량의 오차 중에서 성질이 다른 오차는?

  1. 표척의 0점 오차
  2. 시차에 의한 오차
  3. 표척눈금이 표준길이와 달라 생기는 오차
  4. 시준선과 기포관축이 평행하지 않아 생기는 오차
(정답률: 59%)
  • 시차에 의한 오차는 측정하려는 대상과 측정기의 시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로, 다른 오차들은 측정기 자체의 오차나 측정 환경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오차이다. 따라서 시차에 의한 오차는 다른 오차들과 성질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등고선은 분수선(능선)과 직각으로 만났다.
  2. 높이가 다른 등고선은 절벽이나 동굴의 지형을 제외하고는 교차하거나 만나지 않는다.
  3. 등고선은 지표의 최대경사선의 방향과 직교한다.
  4. 급경사는 완경사에 비해 등고선 간격이 넓다.
(정답률: 71%)
  • "급경사는 완경사에 비해 등고선 간격이 넓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경사가 급한 지형에서는 높이 차이가 적어도 등고선 간격이 좁아지고, 경사가 완만한 지형에서는 높이 차이가 커져 등고선 간격이 넓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옳지 않은 설명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축척 1:10000 지형도에서 경사가 5%인 등경사선의 인접 주곡선 간 수평거리는?

  1. 40m
  2. 50m
  3. 100m
  4. 200m
(정답률: 48%)
  • 축척 1:10000 지형도에서 1cm는 실제 세계에서 10000cm, 즉 100m를 나타낸다. 따라서 등경사선의 인접 주곡선 간 수평거리가 5cm이면, 이는 실제 세계에서 500m를 나타낸다. 따라서 1cm당 100m이므로, 5cm당 500m이 되어, 인접 주곡선 간 수평거리는 100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그림과 같이 a1, a2, a3를 같은 경중률로 관측한 결과 a1-a2-a3=24"일 때 조정량으로 옳은 것은?

  1. a1=+8", a2=+8", a3=+8"
  2. a1=-8", a2=+8", a3=+8"
  3. a1=-8", a2=-8", a3=-8"
  4. a1=+8", a2=-8", a3=-8"
(정답률: 61%)
  • a1-a2-a3=24에서 a1, a2, a3의 평균은 0이다. 따라서 a1+a2+a3=0이다. 이를 이용하여 보기를 계산해보면, "a1=-8", "a2=+8", "a3=+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측량기준점의 구분에 있어서 국가기준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위성기준점
  2. 수준점
  3. 중력점
  4. 지적도근점
(정답률: 74%)
  • 지적도근점은 측량기준점으로서 국가기준점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지적도근점이 지적도 제작을 위한 지형 및 건물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국가적인 측량 기준으로 사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위성기준점은 위성을 이용한 측량에 사용되는 기준점, 수준점은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점, 중력점은 지구의 중력 중심을 나타내는 기준점으로 국가적인 측량 기준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하는 경우는?

  1. 성능검사를 부정하게 한 성능검사대행자
  2. 무단으로 측량성과 또는 측량기록을 복제한 자
  3. 심사를 받지 아니하고 지도 등을 간행하여 판매하거나 배포한 자
  4. 측량기술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측량을 한자
(정답률: 58%)
  • "성능검사를 부정하게 한 성능검사대행자"는 성능검사를 실제로 수행하는 전문가인데, 이 사람이 부정행위를 하여 검사 결과를 조작하거나 변조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해치고, 안전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보장하는데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처벌 대상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기본측량의 실시공고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측량의 종류
  2. 측량의 목적
  3. 측량의 실시지역
  4. 측량의 성과 보관 장소
(정답률: 73%)
  • 측량의 성과 보관 장소는 기본측량의 실시공고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측량이 완료된 후에 처리되는 사항으로, 측량의 결과물을 보관할 장소를 결정하고 관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기본측량의 실시공고에는 측량의 종류, 목적, 실시지역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공공측량성과 심사시 측량성과 심사수탁기관이 심사결과의 통지기간을 10일의 범위에서 연장할 수 있는 경우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상현환측량, 수치지도 및 수치표고자료 등의 성과심사량이 면적 10제곱킬로미터 이상일 때
  2. 성과심사 대상지역의 기상악화 및 천재지변 등으로 심사가 곤란할 때
  3. 성과심사 대상지역의 측량성과가 오차가 많을 때
  4. 지하시설물도 및 수심측량의 심사량이 200킬로미터 이상일 때
(정답률: 57%)
  • "성과심사 대상지역의 측량성과가 오차가 많을 때"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측량성과가 오차가 많을 때, 오히려 더 빠른 조치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심사결과의 통지기간을 연장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상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적측량이란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거나 지적공부에 등록된 경계점을 지상에 복원하기 위하여 필지의 경계 또는 좌표와 면적을 정하는 측량을 말한다.
  2. 지번이란 작성된 지적도의 등록번호를 말한다.
  3. 일반측량이란 기본측량, 공공측량, 지적측량 및 수로측량 외의 측량을 말한다.
  4. 수로측량이란 해양의 수심ㆍ지구자기ㆍ중력ㆍ지형ㆍ지질의 측량과 해안선 및 이에 딸린 토지의 측량을 말한다.
(정답률: 58%)
  • "지번이란 작성된 지적도의 등록번호를 말한다."는 옳은 정의이다. 지번은 토지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로, 지적도상에서 각 토지마다 고유한 번호가 부여된다. 이 번호는 부동산 거래 등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지적도 등록번호와 함께 토지의 위치와 면적 등을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측량기술자의 의무 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측량기술자는 신의와 성실로써 공정하게 측량을 하여야 하며, 정당한 사유 없이 측량을 거부하여서는 아니 된다.
  2. 측량에 관한 자료의 수집 및 분석을 하여야 한다.
  3. 측량기술자는 둘 이상의 측량업자에게 소속될 수 없다.
  4. 측량기술자는 다른 사람에게 측량기술경력증을 빌려 주거나 자기의 성명을 사용하여 측량업무를 수행하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률: 60%)
  • 측량에 관한 자료의 수집 및 분석은 측량기술자의 의무 사항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