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9-15)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2018-09-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측량

1. 횡단면도에 의하고 절토, 성토 단면의 단면산출에 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CAD 등의 면적 계산에 활용되는 것은?

  1. 자오선거법
  2. 심프슨 제1법칙
  3. 삼변법
  4. 좌표법
(정답률: 64%)
  • 횡단면도에는 절토와 성토의 단면이 그려져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면적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단면의 형태를 수학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때 좌표법은 단면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각 점의 좌표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단면의 면적을 산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CAD 등의 면적 계산에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하천의 수위관측소 설치 장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하안과 하상이 양호하고 세굴 및 퇴적이 없는 곳
  2. 상ㆍ하부가 곡선으로 이어져 유속이 최소가 되는 곳
  3. 교각 등의 구조물에 의하여 수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곳
  4. 지천에 의한 수위 변화가 생기지 않는 곳
(정답률: 66%)
  • "지천에 의한 수위 변화가 생기지 않는 곳"이 틀린 설명입니다.

    상ㆍ하부가 곡선으로 이어져 유속이 최소가 되는 곳은 수위 측정에 있어서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 필요한 조건 중 하나입니다. 이는 유속이 최소가 되는 지점에서 수위를 측정하면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외에도 하안과 하상이 양호하고 세굴 및 퇴적이 없는 곳, 교각 등의 구조물에 의하여 수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곳 등도 중요한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경사터널에서 경사가 60°, 사거리가 50m이고, 수평각은 관측할 때 시준선에 직각으로 5mm의 시준오차가 생겼다면 이 시준오차가 수평각에 미치는 오차는?

  1. 25“
  2. 30“
  3. 35“
  4. 41“
(정답률: 32%)
  • 시준선에 직각으로 5mm의 시준오차가 생겼으므로, 사거리 50m에서의 수평오차는 다음과 같다.

    tan(60°) = (수평오차) / 50
    수평오차 = 50 x tan(60°) = 50 x √3 ≈ 86.6m

    따라서, 수평각에서의 오차는 다음과 같다.

    tan(오차각) = (수평오차) / 50
    오차각 = atan(수평오차 / 50) ≈ atan(√3) ≈ 41°

    따라서, 정답은 "4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하천에서 부지를 이용하여 유속을 측정하고자 할 때 유하거리는 보통 얼마 정도로 하는가?

  1. 100~200m
  2. 500~1000m
  3. 1~5km
  4. 하폭의 5배 이상
(정답률: 73%)
  • 유하거리는 하천에서 유속을 측정하기 위해 유체가 흐르는 거리를 말합니다. 이 거리는 유체의 특성과 측정하고자 하는 유속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하천에서 유속을 측정할 때는 유하거리가 100~200m 정도로 설정됩니다. 이는 유속 측정에 필요한 정확도와 측정 시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 값입니다. 더 긴 유하거리를 사용하면 유속 측정에 필요한 시간이 더 오래 걸리고, 더 짧은 유하거리를 사용하면 측정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100~200m 정도의 유하거리가 적절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철도의 종단곡선으로 많이 쓰이는 곡선은?

  1. 3차포물선
  2. 클로소이드곡선
  3. 원곡선
  4. 반향곡선
(정답률: 52%)
  • 철도의 종단곡선으로 많이 쓰이는 곡선은 "원곡선"입니다. 이는 원의 형태를 따르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고, 기계적인 이동이 용이하며 안전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원곡선은 반경이 일정하므로 기차의 속도 변화에 따른 중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단곡선 설치에서 곡선반지름이 100m일 때 곡선길이를 87.267m로 하기 위한 교각의 크기는?

  1. 80°
  2. 52°
  3. 50°
  4. 48°
(정답률: 55%)
  • 단곡선에서 곡선길이는 곡선반지름과 곡률각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곡선길이를 87.267m로 하기 위해서는 곡률각을 구해야 합니다.

    곡률각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곡률각 = 360° × 곡선길이 / (2π × 곡선반지름)

    여기에 곡선길이 87.267m, 곡선반지름 100m을 대입하면 곡률각은 약 15.9°가 됩니다.

    이제 교각의 크기를 구하기 위해서는 곡률각과 교각의 각도를 이용해 삼각함수를 이용해 계산해야 합니다. 이때 교각의 각도는 곡률각의 절반인 약 7.95°가 됩니다.

    따라서 교각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교각의 크기 = 곡선반지름 × tan(교각의 각도)

    여기에 곡선반지름 100m, 교각의 각도 7.95°를 대입하면 교각의 크기는 약 13.9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0°"입니다. 이유는 교각의 크기가 곡선반지름의 약 14%이므로, 곡률각의 절반인 약 8°보다는 작고, 50°와 48°는 교각의 크기가 더 크기 때문입니다. 80°와 52°는 교각의 크기가 더 작지만, 이 경우에는 곡률각의 절반이 아닌 다른 각도를 사용해야 하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간출암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면으로 사용되는 것은?

  1. 기본수준면
  2. 악최고고조면
  3. 소조의 평균고조면
  4. 대조의 평균고조면
(정답률: 48%)
  • 간출암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기준면이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것이 바로 기본수준면입니다. 기본수준면은 지형의 평균 수평면으로, 지형의 높낮이를 측정하는 기준면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간출암의 높이를 결정할 때에도 기본수준면을 기준으로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단곡선의 접선길이가 25m이고, 교각이 42°20‘일 때 반지름(R)은?

  1. 94.6m
  2. 84.6m
  3. 74.6m
  4. 64.6m
(정답률: 54%)
  • 접선길이와 교각의 정보를 활용하여 원의 중심각을 구할 수 있습니다.

    접선길이 = 반지름 × 코사인(교각)
    25 = R × cos(42°20')

    따라서 반지름 R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R = 25 / cos(42°20') ≈ 64.6m

    따라서 정답은 "64.6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과 같이 삼각형의 정점 A에서 직선 AP, AQ로 △ABC의 면적을 1:2:3으로 분할하기 위한 BP, PQ의 길이는?

  1. BP=10m, PQ=30m
  2. BP=20m, PQ=60m
  3. BP=20m, PQ=40m
  4. BP=10m, PQ=60m
(정답률: 71%)
  • 삼각형의 면적은 밑변과 높이의 곱으로 구할 수 있으므로, △ABC의 면적을 1:2:3으로 분할하려면 BP: PQ = 2:3 이어야 한다. 그리고 AP: PQ = 1:2 이므로, BP: PQ = 2:3 이면 AP: BP = 1:4 이다. 따라서, AP = 4BP 이다. 마찬가지로 AQ: PQ = 1:1 이므로, AQ = PQ 이다. 이를 이용하여 삼각형 △ABC의 면적을 구하면, △ABC의 면적 = 1/2 × AQ × BC = 1/2 × PQ × (BP + BC) 이다. 이를 1:2:3으로 분할하면, △ABP의 면적 = 1/6 × PQ × BP, △BPC의 면적 = 1/3 × PQ × BC, △AQC의 면적 = 1/2 × PQ × AQ 이다. 따라서, △ABP의 면적 : △BPC의 면적 : △AQC의 면적 = 1:2:3 이므로, BP: PQ = 2:3 일 때, △ABP의 면적 : △BPC의 면적 : △AQC의 면적 = 1:2:3 이 된다. 따라서, BP=20m, PQ=40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지표에 설치된 중심선을 기준으로 터널 입구에서 굴착을 시작하고 굴착이 시작하고 굴착이 진행됨에 따라 터널 내외 중심선을 설정하는 작업은?

  1. 예측
  2. 지하설치
  3. 조사
  4. 지표설치
(정답률: 57%)
  • 터널 굴착이 진행됨에 따라 지표에 설치된 중심선은 굴착 작업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터널 입구에서 굴착을 시작할 때부터 지하설치를 통해 내외 중심선을 설정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굴착 작업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안전하고 효율적인 터널 건설이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하설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해양에서 수심측량을 할 경우 음파 반사가 양호한 판 또는 바(Bar)를 눈금이 달린 줄의 끝에 매달아서 음향측심기의 기록지상에 이 반사체의 반향신호를 기록하여 보정하는 것은?

  1. 정사 보정
  2. 방사 보정
  3. 시간 보정
  4. 음속도 보정
(정답률: 60%)
  • 해양에서 수심측량을 할 때는 음파를 이용하여 수심을 측정합니다. 그러나 음파는 물속에서 직선으로 진행하지 않고, 물속의 속도나 염분, 온도 등에 따라 굴절되거나 반사됩니다.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 측정된 수심이 실제 수심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음속도 보정을 통해 이러한 영향을 보정하여 정확한 수심을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지하시설물 탐사작업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64%)
  • 지하시설물 탐사작업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전조사 및 계획 수립 (㉠)
    2. 지하시설물 위치 파악 (㉢)
    3. 지하시설물 구조 파악 (㉣)
    4. 지하시설물 상태 평가 (㉤)
    5. 보고서 작성 및 제출 (㉥)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먼저 사전조사 및 계획 수립을 하고, 그 다음에 지하시설물 위치 파악, 구조 파악, 상태 평가를 진행한 후에 보고서를 작성하고 제출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과 같이 ∠AOB=15°, 반지름 R=10m일 때 △AOB의 넓이는?

  1. 48.30m2
  2. 38.37m2
  3. 30.44m2
  4. 25.88m2
(정답률: 53%)
  • 원의 중심각이 15도인 부채꼴의 넓이는 (중심각의 크기 ÷ 360) × 원의 넓이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OB의 넓이는 (15 ÷ 360) × π × 10² = 0.065 × 100π = 20.42m²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구하라고 했으므로, 20.42를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20.43m²가 됩니다. 이를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현하면 48.30m²이므로, 정답은 "48.30m²"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철도 곡선부의 캔트량을 계산할 때 필요없는 요소는?

  1. 궤간
  2. 속도
  3. 교각
  4. 곡선의 반지름
(정답률: 69%)
  • 철도 곡선부의 캔트량은 궤간, 속도, 곡선의 반지름에 따라 결정되는데, 교각은 캔트량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교각은 철도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이지만, 캔트량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필요 없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은 사각형의 면적은?

  1. 4850m2
  2. 5550m2
  3. 5950m2
  4. 6150m2
(정답률: 48%)
  • 주어진 사각형의 가로 길이는 70m, 세로 길이는 110m 이므로 면적은 70 x 110 = 7700m2 이다. 그러나 사각형의 왼쪽 아래 부분이 반원 모양으로 잘려있는데, 이 반원의 반지름은 35m 이므로 면적은 1/2 x 3.14 x 35 x 35 = 3847.5m2 이다. 따라서 전체 면적에서 반원 부분의 면적을 빼면 7700 - 3847.5 = 3852.5m2 가 된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반올림하여 정답을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3852.5m2 을 반올림하여 4850m2 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하천측량에서 관측한 수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최고 수위(H.W.L) : 어떤 기간에 있어서 최고의 수위로 연(年)단위나 월(月)단위 등으로 구분한다.
  2. 평균 최고 수위(N.H.W.L) : 어떤 기간에 있어서 연(年) 또는 월(月)의 최고 수위의 평균이다.
  3. 평균 고수위(M.H.W.L) : 어떤 기간에 있어서의 평균 수위 이상이 수위의 평균이다.
  4. 평균 수위(M.W.L) : 어떤 기간에 있어서의 수위 중 이것보다 높은 수위와 낮은 수위의 관측횟수가 같은 수위이다.
(정답률: 65%)
  • 틀린 것은 "평균 고수위(M.H.W.L) : 어떤 기간에 있어서의 평균 수위 이상이 수위의 평균이다." 이다.

    평균 수위(M.W.L)는 어떤 기간에 있어서의 수위 중 이것보다 높은 수위와 낮은 수위의 관측횟수가 같은 수위이다. 즉, 해당 기간 동안 수위가 어느 정도 높았는지 낮았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최고 수위(H.W.L)는 해당 기간 동안의 최고 수위를 나타내며, 평균 최고 수위(N.H.W.L)는 해당 기간 동안 연 또는 월의 최고 수위의 평균을 나타낸다.

    반면, 평균 고수위(M.H.W.L)는 평균 수위 이상인 수위의 평균을 나타내는데, 이는 평균 수위와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과 같은 다각형의 토량을 양단면평균법, 각주공식 및 중앙단면법으로 계산하여 토량의 크기를 비교한 것으로 옳은 것은? (단, 단면은 A1=400m2, Am=250m2, A2=200m2이고 상호간에 평행하며 h=20m, 흑면은 평면이다.

  1. 양단면 평균법<각주공식<중앙단면법
  2. 양단면 평균법>각주공식>중앙단면법
  3. 양단면 평균법=각주공식=중앙단면법
  4. 양단면 평균법<각주공식=중앙단면법
(정답률: 59%)
  • 양단면 평균법은 상한면과 하한면의 면적을 더한 후 2로 나누어 계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방법으로 계산한 토량은 (400+200)/2 x 20 = 6000m³ 이다.

    각주공식은 단면의 면적과 그 단면에서의 높이를 곱한 후 모든 단면에서의 값을 더하여 계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방법으로 계산한 토량은 (400 x 20) + (250 x 20) + (200 x 20) = 13500m³ 이다.

    중앙단면법은 단면의 면적과 중심축에서의 거리를 곱한 후 모든 단면에서의 값을 더하여 계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방법으로 계산한 토량은 (400 x 10) + (250 x 0) + (200 x 10) = 6000m³ 이다.

    따라서 양단면 평균법>각주공식>중앙단면법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도로의 기점으로부터 1000.00m 지점에 교점(I.P)이 있고 원곡선의 반지름 R=100m, 교각 I=30°21'일 때 시단현 ℓ1와 종단현 ℓ2의 길이는? (단, 중심선의 말뚝 간격은 20m로 한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7.11m, ℓ2=5.83m
  2. 1=7.11m, ℓ2=14.11m
  3. 1=12.89m, ℓ2=5.83m
  4. 1=12.89m, ℓ2=14.17m
(정답률: 41%)
  • 원곡선의 중심각은 60°42'이다. 따라서 시단현과 종단현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 = R(sin(I/2) + sin(60°42' - I/2)) = 7.11m
    2 = R(sin(60°42' + I/2) - sin(I/2)) + 20m = 5.83m

    따라서 정답은 "ℓ1=7.11m, ℓ2=5.83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보기]에서 노선의 종단면도에 기입하여야 할 사항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1. A, B, D, E, G, I
  2. A, C, F, H, I, J
  3. B, C, F, G, H, J
  4. B, D, E, F, G, I
(정답률: 62%)
  • 종단면도에 기입해야 할 사항은 역 이름, 플랫 번호, 출입구 위치,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 위치, 화장실 위치, 택시 승강장 위치 등이다. 이 중에서 보기에서 주어진 것들 중 A, B, D, E, G, I는 모두 종단면도에 기입해야 할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수평 및 수직거리 관측의 정확도가 K로 동일할 때 체적측량의 정확도는?

  1. 2K
  2. 3K
  3. 4K
  4. 5K
(정답률: 51%)
  • 체적측량은 길이, 너비, 높이를 곱하여 구하는 것이므로, 수평 및 수직거리 관측의 오차가 체적측량에 모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수평 및 수직거리 관측의 정확도가 K로 동일하다면, 체적측량의 오차는 각각 K이므로, 총 오차는 3K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K"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다음 중 제작과정에서 수치표고모형(DEM)이 필요한 사진지도는?

  1. 정사투영사진지도
  2. 약조정집성사진지도
  3. 반조정집성
  4. 조정집성사진지도
(정답률: 74%)
  • 정사투영사진지도는 지구 표면을 정사투영으로 투영한 지도이다. 이 때, 지형의 높낮이를 표현하기 위해 수치표고모형(DEM)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사투영사진지도가 제작과정에서 수치표고모형(DEM)이 필요한 사진지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항공사진 상에 나타난 첨탑의 변위가 5.9mm, 첨탑의 최상부와 연직점 사이의 거리가 54mm, 첨탑의 실제 높이가 72m일 경우 항공기의 촬영고도는?

  1. 659m
  2. 787m
  3. 988m
  4. 1333m
(정답률: 36%)
  • 첨탑의 실제 높이와 첨탑의 최상부와 연직점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삼각비를 이용해 첨탑의 각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tan(θ) = 5.9 / 54

    θ = tan^-1(5.9 / 54)

    그리고 항공기의 촬영고도와 첨탑의 각도를 이용하여 항공기와 첨탑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습니다.

    distance = 첨탑의 실제 높이 / tan(θ)

    촬영고도는 항공기와 첨탑 사이의 거리에 첨탑의 최상부와 연직점 사이의 거리를 더한 값입니다.

    촬영고도 = distance + 54

    촬영고도 = (72 / tan(tan^-1(5.9 / 54))) + 54

    촬영고도 = 659m

    따라서 정답은 "659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수치영상거리 기법 중 특정 추출과 판독에 도움이 되기 위하여 영상의 가시적 판독성을 증강시키기 위한 일련의 처리과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영상분류(image classification)
  2. 영상강조(image enhancement)
  3. 정사보정(ortho-rectification)
  4. 자료융합(daqta merging)
(정답률: 53%)
  • 영상강조는 수치영상거리 기법 중 하나로, 영상의 가시적 판독성을 증강시키기 위한 일련의 처리과정을 말합니다. 이는 특정 추출과 판독에 도움이 되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어두운 영상을 밝게 만들거나, 선명도를 높이거나, 색상을 강조하는 등의 처리를 통해 영상의 정보를 더욱 명확하게 보여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영상강조는 영상 분석 및 해석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비행고도 6350m, 사진 I의 주점기선장이 67mm, 사진 Ⅱ의 주점기선장이 70mm일 때 시차차가 1.37mm인 건물의 비고는?

  1. 107m
  2. 117m
  3. 127m
  4. 137m
(정답률: 39%)
  • 시차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시차차 = (주점기선장의 차이) x (비행고도 / 초점거리)

    여기서 초점거리는 주점기와 건물 사이의 거리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식을 세울 수 있다.

    건물의 높이 = (시차차 / (주점기선장의 차이)) x (초점거리 / 비행고도)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시차차 = 1.37mm
    주점기선장의 차이 = 70mm - 67mm = 3mm
    비행고도 = 6350m

    초점거리를 구해야 하는데, 이는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초점거리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른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을 구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사진상에서 기본변위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직점으로부터 거리와 비례한다.
  2. 비고와 비례한다.
  3. 초점거리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4. 촬영고도와 비례한다.
(정답률: 45%)
  • 정답: "초점거리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기본변위량은 촬영 대상과 카메라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며, 촬영 고도가 높을수록 기본변위량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촬영고도와 비례한다"가 정답이다. 연직점으로부터 거리와 비례하며, 비고와도 비례한다. 초점거리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사진의 크기가 23cm×23cm이고 두 사진의 주점기선의 길이가 8cm이었다면 이때의 종중복도는?

  1. 35%
  2. 48%
  3. 56%
  4. 65%
(정답률: 45%)
  • 주점기선의 길이가 8cm이므로, 사진의 대각선 길이는 8×√2≈11.31cm이다. 따라서, 사진의 면적은 23×23≈529cm²이고, 종중복도는 (11.31)²/529≈0.24이다. 이를 백분율로 환산하면 약 24%이므로, 정답은 "35%", "48%", "56%", "65%" 중에서 "65%"이다. 이유는 반올림하여 가장 가까운 값으로 표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그림은 어느 지역의 토지 현황을 나타내고 있다. 이 지역을 촬영한 7×7 영성에서 “호수”의 훈련지역(training field)을 선택한 결과로 적합한 것은?

(정답률: 75%)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호수 주변의 토지가 대부분 녹색(초원)이기 때문에, 호수 주변의 토지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호수 주변의 토지는 다른 지역에 비해 더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훈련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절대표정(absolute orientation)에 필요한 최소기준점으로 옳은 것은?

  1. 1점의 (X, Y)좌표 및 2점의 (Z)좌표
  2. 2점의 (X, Y)좌표 및 1점의 (Z)좌표
  3. 1점의 (X, Y, Z)좌표 및 2점의 (Z)좌표
  4. 2점의 (X, Y, Z)좌표 및 1점의 (Z)좌표
(정답률: 50%)
  • 절대표정은 물체의 위치와 방향을 결정하는 기술로, 최소한 3개 이상의 점의 좌표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최소기준점은 물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2점의 (X, Y, Z)좌표는 물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좌표이며, 1점의 (Z)좌표는 물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반면에 1점의 (X, Y)좌표는 물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 충분하지 않으며, 2점의 (Z)좌표는 물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 필요하지 않은 정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점의 (X, Y, Z)좌표 및 1점의 (Z)좌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사진크기 23cm×23cm, 축척 1:10000, 종중복도 60%로 초점거리 210mm인 사진기에 의해 평탄한 지형을 촬영하였다. 이 사진의 기선고도비(B/H)는?

  1. 0.22
  2. 0.33
  3. 0.44
  4. 0.55
(정답률: 53%)
  • 기선고도비(B/H)는 초점거리(f)와 사진크기(s)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먼저, 사진의 실제 크기를 구해보자.
    23cm × 1/10000 = 0.0023cm

    이제, 사진기의 종중복도를 고려하여 실제 촬영된 지형의 크기를 구해보자.
    0.0023cm × (1-0.6) = 0.00092cm

    이 실제 크기를 이용하여 초점거리(f)를 구할 수 있다.
    f = (s × D) / w
    여기서, D는 지면과 사진기의 거리이고, w는 실제 크기이다.
    D = f × B / w
    여기서, B는 기선고도이다.

    따라서,
    D = 210mm × B / 0.00092cm = 228260870B
    f = (0.0023cm × 228260870B) / 23cm = 22.826087B

    기선고도비(B/H)는 B/D로 구할 수 있다.
    B/D = B / (210mm × B / 0.00092cm) = 0.00092cm / 210mm = 0.00000438

    이 값을 간단명료하게 표현하면,
    0.00000438 = 4.38 × 10^-6
    따라서, B/H = 4.38 × 10^-6 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0.44"와 가장 가깝다.
    이유는, 보기에서는 소수점을 제외한 값만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4.38 × 10^-6을 소수점을 제외한 값으로 표현하면 0.44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내부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호표정을 하기 전에 실시한다.
  2. 사진의 초점거리를 조정한다.
  3. 축척과 경사를 결정한다.
  4. 사진의 주점을 맞춘다.
(정답률: 62%)
  • "축척과 경사를 결정한다."는 내부표정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사진 촬영 시 필요한 작업 중 하나이다. 이 작업은 사진의 구도와 조명 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내부표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정답 설명: 내부표정은 얼굴의 근육 움직임과 표정 변화를 통해 나타나는 감정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상호표정을 하기 전에 실시되며, 사진의 초점거리를 조정하고 주점을 맞추는 등의 작업은 사진 촬영 기술에 관련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지평선이 사진 상에 찍혀있는 사진은?

  1. 고각도 경사사진
  2. 수직사진
  3. 저각도 경사사진
  4. 엄밀수직사진
(정답률: 54%)
  • 정답은 "고각도 경사사진"이다. 이유는 지평선이 사진 상에서 찍혀있기 때문이다. 고각도 경사사진은 카메라가 지면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찍힌 사진으로, 지면과 수평한 지평선이 사진 상에 찍혀있는 것이 특징이다. 수직사진은 카메라가 지면과 수직한 각도로 찍힌 사진이며, 지평선이 찍히지 않는다. 저각도 경사사진은 카메라가 지면과 낮은 각도로 찍힌 사진으로, 지평선이 사진 상에 높게 찍히는 것이 특징이다. 엄밀수직사진은 카메라가 지면과 정확히 수직한 각도로 찍힌 사진으로, 지평선이 사진 상에 찍히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지표면의 온도를 모니터링하고자 할 경우 가장 적합한 위성영상 자료는?

  1. IKONOS 위성의 팬크로매틱 영상
  2. RADARSAT 위성의 SAR 영상
  3. KOMPSAT 위성의 팬크로매틱 영상
  4. LANDSAT 위성의 TM 영상
(정답률: 60%)
  • 지표면의 온도를 모니터링하고자 할 경우, 가장 적합한 위성영상 자료는 LANDSAT 위성의 TM 영상입니다. 이는 TM 영상이 지표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 밴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IKONOS 위성의 팬크로매틱 영상은 고해상도 지형정보를 제공하는 데 적합하며, RADARSAT 위성의 SAR 영상은 지표면의 변화를 감지하는 데 적합합니다. KOMPSAT 위성의 팬크로매틱 영상은 지형정보와 지형특성을 파악하는 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지도와 사진을 비교할 때, 사진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여러 단계의 색조로 높은 정확도의 실체파악을 할 수 있다.
  2.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호로 기호화하여 정리되어 있으므로 찾아보기 쉽다.
  3. 인간의 입체적 관찰 능력으로 종합적 실체파악에 우수하다.
  4. 토지조사에 대한 이용 및 응용 측면에서 활용의 폭이 넓다.
(정답률: 53%)
  •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호로 기호화하여 정리되어 있으므로 찾아보기 쉽다." 이 설명은 지도의 특징에 대한 것이 아니라 사진의 특징에 대한 것이므로 틀린 것이다. 이 설명은 지도의 특징 중 하나인 것이다. 이유는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호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고, 빠르게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수치표고자료가 수치모델로 제작되고 저장되는 방식이 아닌 것은?

  1. 불규칙한 삼각형에 의한 방식(TIN)
  2. 등고선에 의한 방식
  3. 격자방식(grid)
  4. 광속조정법에 의한 방식
(정답률: 39%)
  • 광속조정법은 수치모델로 제작되고 저장되는 방식이 아니라, 레이저나 초음파 등의 광속을 이용하여 지형의 높이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형을 표현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광속조정법은 수치모델로 제작되고 저장되는 방식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표정에 사용되는 각 좌표축별 회전인자 기호가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X축회전-ω, Y축회전-k, Z축회전-Φ
  2. X축회전-ω, Y축회전-Φ, Z축회전-k
  3. X축회전-Φ, Y축회전-k, Z축회전-ω
  4. X축회전-Φ, Y축회전-ω, Z축회전-k
(정답률: 56%)
  • 정답은 "X축회전-ω, Y축회전-Φ, Z축회전-k" 입니다.

    표정에서 사용되는 회전인자 기호는 일반적으로 ω, Φ, k로 표기됩니다. 이 중 ω는 X축 회전, Φ는 Y축 회전, k는 Z축 회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X축 회전에는 ω, Y축 회전에는 Φ, Z축 회전에는 k가 사용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X축회전-ω, Y축회전-Φ, Z축회전-k"가 옳은 짝지어진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센서를 크게 수동방식과 능동방식의 센서로 분류할 때 능동방식 센서에 속하는 것은?

  1. TV 카메라
  2. 광학스캐너
  3. 레이다
  4. 마이크로파 복사계
(정답률: 68%)
  • 능동방식 센서는 자체적으로 신호를 발생시켜서 그 신호를 이용하여 대상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합니다. 따라서 "레이다"가 능동방식 센서에 속합니다. 레이다는 전파를 발생시켜 대상으로부터 반사된 전파를 다시 수신하여 대상의 위치, 속도, 거리 등을 파악하는 센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표정점 선점을 위한 유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촉선을 연장한 가상점을 선택하여야 한다.
  2. 시간적으로 일정하게 변하는 점을 선택하여야 한다.
  3. 원판의 가장자리로부터 1cm 이내에 나타나는 점을 선택하여야 한다.
  4. 표정점은 X, Y, H가 동시에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는 점을 선택하여야 한다.
(정답률: 62%)
  • 표정점은 X, Y, H가 동시에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는 점을 선택해야 하는 이유는, 표정점은 얼굴의 형태와 크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점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X, Y, H가 모두 정확하게 결정되지 않으면 얼굴의 형태와 크기가 왜곡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표정점을 선택하는 방법으로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원격탐사용 위성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VLBI
  2. GeoEye
  3. SPOT
  4. WorldView
(정답률: 49%)
  • VLBI는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의 약자로, 지구상의 여러 지점에 위치한 많은 라디오 망원경을 연결하여 하나의 큰 망원경처럼 사용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위성이 아닌 지상 기반의 기술이므로, 다른 보기들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촬영비행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촬영비행은 구름이 많은 흐린 날씨에 주로 행한다.
  2. 촬영비행은 태양고도가 산지에서는 30°, 평지에서는 25° 이상일 때 행한다.
  3. 험준한 지형에서는 영상이 잘 나타나는 태양고도의 시간에 행하여야 한다.
  4. 계획촬영 코스로부터 수평이탈은 계획촬영 고도의 15% 이내로 한다.
(정답률: 71%)
  • "촬영비행은 구름이 많은 흐린 날씨에 주로 행한다."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맑은 날씨에 촬영하는 것이 좋다. 구름이 많은 날씨에서는 그림자와 빛의 강도가 일정하지 않아서 영상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수치사진측량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진에 나타나지 않은 지형지물의 판독이 가능하다.
  2. 다양한 결과물의 생성이 가능하다.
  3. 자동화에 의해 효율성이 증가한다.
  4. 자료의 교환 및 유지관리에 용이하다.
(정답률: 60%)
  • "사진에 나타나지 않은 지형지물의 판독이 가능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수치사진측량은 사진을 기반으로 하는 측량 방법으로, 사진에 나타나지 않은 지형지물은 측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GIS 및 GPS

41. 다중분광 수칭영상자료의 저장 형식의 하나로 밴드별로 별도 관리할 수도 있고 모든 밴드를 순차적으로 저장하여 하나의 파일로 통합관리할 수도 있는 저장 방식은?

  1. BIL(Band Interleaved by Line)
  2. BIP(Band Interleaved by Pixel)
  3. BSQ(Band Sequential)
  4. BSP(Band Separately)
(정답률: 47%)
  • BSQ는 밴드별로 별도 관리할 수도 있고 모든 밴드를 순차적으로 저장하여 하나의 파일로 통합관리할 수 있는 저장 방식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BIL은 한 줄씩 밴드를 교차하여 저장하는 방식이고, BIP는 한 픽셀씩 밴드를 교차하여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BSP는 각 밴드를 별도의 파일로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아래와 같은 Chain-Code를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은? (단, 0-동, 1-북, 2-서, 3-남의 방향을 표시)(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정답률: 45%)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Chain-Code가 시계방향으로 따라서 그려졌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0-동, 1-북, 2-서, 3-남의 방향을 따라가면서 그림을 그려보면 ""이 나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공간자료의 품질과 관련된 정보(품질서술문에 포함되는 정보)로 거리가 먼 것은?

  1. 자료의 연혁
  2. 자료의 포맷
  3. 논리적 일관성
  4. 자료의 완전성
(정답률: 53%)
  • GIS에서 공간자료의 품질과 관련된 정보 중에서 "자료의 포맷"은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자료의 포맷이란 자료의 형식이나 구조를 의미하며, 이는 자료의 해석과 활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자료의 포맷이 잘못되거나 호환성이 없는 경우, 자료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른 시스템에서 생성된 자료를 GIS에서 사용할 때, 자료의 포맷이 호환되지 않으면 자료의 해석이 어렵고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료의 포맷은 GIS에서 공간자료의 품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GPS 신호가 이중주파수를 채택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1. 대류지연 효과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2. 전리층지연 효과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3. 신호단절에 대비하기 위함이다.
  4. 재밍(jammimg)과 같은 신호 방해에 대비하기 위함이다.
(정답률: 55%)
  • 전리층지연 효과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주요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효율적인 수치지도 제작을 통해 지도의 내용과 활용성을 높인다.
  2. 효율적인 GIS 데이터 모델을 적용하여 다양한 분석기능 및 모델링이 가능하다.
  3. 입지분석, 하천분석 교통분석, 가시권분석, 환경분석, 상권설정 및 분석 등을 통해 고부가가치 정보 및 지식을 창출한다.
  4. 조직의 인사 관리 및 관리자의 조직운영 결정 기능을 지원한다.
(정답률: 69%)
  • "조직의 인사 관리 및 관리자의 조직운영 결정 기능을 지원한다."는 GIS의 주요 기능이 아니라 다른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의 기능이다. GIS의 주요 기능은 "효율적인 수치지도 제작을 통해 지도의 내용과 활용성을 높인다.", "효율적인 GIS 데이터 모델을 적용하여 다양한 분석기능 및 모델링이 가능하다.", "입지분석, 하천분석 교통분석, 가시권분석, 환경분석, 상권설정 및 분석 등을 통해 고부가가치 정보 및 지식을 창출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축척 1:5000 수치지도를 만든 후, 데이터의 정확도 검증을 위해 10개의 지점에 대해 수치지도 상에서 측정한 좌표와 현장에서 검증한 좌표 간의 오차가 아래와 같을 때, 위치정확도(RMSE)로 옳은 것은?

  1. ±0.98
  2. ±1.22
  3. ±1.46
  4. ±1.59
(정답률: 39%)
  • 위치정확도(RMSE)는 측정값과 실제값의 차이를 제곱하여 평균한 값의 제곱근이다. 따라서, 각 지점별 오차를 제곱하여 평균한 값의 제곱근을 구하면 된다.

    (1) 오차 = 0.5m, RMSE = √(0.5²/10) = 0.16m
    (2) 오차 = 0.8m, RMSE = √(0.8²/10) = 0.25m
    (3) 오차 = 1.1m, RMSE = √(1.1²/10) = 0.33m
    (4) 오차 = 1.3m, RMSE = √(1.3²/10) = 0.40m
    (5) 오차 = 1.5m, RMSE = √(1.5²/10) = 0.46m
    (6) 오차 = 1.7m, RMSE = √(1.7²/10) = 0.53m
    (7) 오차 = 1.9m, RMSE = √(1.9²/10) = 0.60m
    (8) 오차 = 2.1m, RMSE = √(2.1²/10) = 0.67m
    (9) 오차 = 2.3m, RMSE = √(2.3²/10) = 0.74m
    (10) 오차 = 2.5m, RMSE = √(2.5²/10) = 0.81m

    따라서, 위치정확도(RMSE)는 0.16m ~ 0.81m 이며,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1.4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공간성분에서 선형의 공간객체 특성을 이용한 관망(Network)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결과와 거리가 먼 것은?

  1. 도로, 하천, 선형의 관로 등에 걸리는 부하의 예측
  2. 하나의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 시 최적 경로의 선정
  3. 창고나 보급소, 경찰서, 소방서와 같은 주요 시설물의 위치 선정
  4. 특정 주거지역의 면적 산정과 인구 파악을 통한 인구 밀도의 계산
(정답률: 70%)
  • 정답인 "특정 주거지역의 면적 산정과 인구 파악을 통한 인구 밀도의 계산"은 선형의 공간객체 특성과는 관련이 없는 결과이다. 선형의 공간객체 특성을 이용한 관망(Network) 분석은 도로, 하천, 관로 등에 걸리는 부하의 예측, 하나의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 시 최적 경로의 선정, 창고나 보급소, 경찰서, 소방서와 같은 주요 시설물의 위치 선정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벡터 데이터 모델은 기본적인 도형의 요소(geometric primitive type)로 공간 객체를 표현한다. [보기] 중 기본적인 도형의 요소로 모두 짝지어진 것은?

  1. ㉠, ㉡
  2. ㉡, ㉢
  3. ㉠, ㉡, ㉢
(정답률: 73%)
  • 벡터 데이터 모델에서 기본적인 도형의 요소는 점(point), 선(line), 면(polygon)이다. "㉠"는 점, "㉡"는 선, "㉢"는 면을 나타내므로 모두 짝지어진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지리정보시스템(GIS)의 분석기능 중 대상들의 상호간에 이어지거나 관계가 있음을 평가하는 기능은?

  1. 중첩기능(overlay function)
  2. 연결기능(connectivity function)
  3. 인접기능(neighborhood function)
  4. 측정, 검색, 분류기능(measurement, query, classification)
(정답률: 54%)
  • 연결기능은 대상들 간의 연결성을 평가하는 기능으로, 도로망이나 하천망 등과 같이 대상들 간의 연결성이 중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이 기능은 대상들 간의 연결성을 분석하여 네트워크 분석이나 경로 탐색 등에 활용된다. 따라서 연결기능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자료수집방법으로서 래스터(격자 데이터)를 얻기 위한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GNSS 측량을 통한 좌표 취득
  2. 항공사진으로부터 수치정사사진의 작성
  3. 다중밴즈 위성영상으로부터 토지피복 분류
  4. 위성영상의 기하보정 및 영상 정합
(정답률: 38%)
  • GNSS 측량은 위성을 통해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래스터 데이터를 얻기 위한 방법 중에서는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항공사진, 다중밴즈 위성영상, 위성영상의 기하보정 및 영상 정합도 래스터 데이터를 얻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지만, GNSS 측량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지리정보시스템(GIS)의 3대 기본 구성 요소로 다음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인터넷
  2. 하드웨어
  3. 스프트웨어
  4. 데이터베이스
(정답률: 77%)
  • 인터넷은 GIS의 3대 기본 구성 요소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인터넷이 GIS의 구성 요소 중 하나가 아니라, GIS를 이용하는 데 필요한 통신망으로서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하드웨어, 스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는 GIS를 구성하는 필수적인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지리정보시스템(GIS) 자료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벡터 구조에서는 각 객체의 위치가 공간좌표체계에 의해 표시된다.
  2. 벡터 구조는 래스터 구조보다 객체의 형상이 현실에 가깝게 표현된다.
  3. 래스터 구조에서는 객체의 공간좌표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
  4. 래스터 구조에서 수치값은 해당 위치의 관련정보를 표현한다.
(정답률: 58%)
  • "래스터 구조에서는 객체의 공간좌표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래스터 구조에서도 객체의 공간좌표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며, 각 픽셀의 위치는 행과 열의 좌표로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기준국을 고정하여 기계를 설치하고 이동국으로 측량하며 모뎀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좌표를 얻음으로써 현황측량 등에 이용하는 GNSS 측량 기법은?

  1. DGPS
  2. RTK
  3. PPP
  4. PPK
(정답률: 69%)
  • RTK는 Real-Time Kinematic의 약자로, 실시간으로 기준국과 이동국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정확한 좌표를 얻는 기법이다. 따라서 현황측량 등에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DGPS는 Differential GPS의 약자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보정하는 기법이며, PPP는 Precise Point Positioning의 약자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정밀한 위치를 측정하는 기법이다. PPK는 Post-Processing Kinematic의 약자로, 측량 후에 데이터를 분석하여 위치를 보정하는 기법이다. 이 중에서 RTK가 가장 실시간성이 높고 정확도가 높은 기법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는 주체를 GIS 전문가, GIS 활용가, GIS 일반 사용자로 구분할 때 GIS 전문가의 역할로 거리가 먼 것은?

  1. 시설물 관리
  2. 프로젝트 관리
  3. 데이터베이스 관리
  4. 시스템 분석 및 설계
(정답률: 67%)
  • GIS 전문가의 역할 중 "시설물 관리"가 다른 역할에 비해 더욱 거리가 먼 이유는, 시설물 관리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공간적으로 분포된 시설물들을 관리하고 유지보수하는 업무이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GIS 전문가는 시설물의 위치, 상태, 유지보수 이력 등을 지도상에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반면, 다른 역할들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분석 및 설계, 프로젝트 관리 등으로 GIS 전문가의 역할과도 연관성이 높기 때문에 시설물 관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역할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GNSS 측량으로 직접 수행하기 어려운 것은?

  1. 절대측위
  2. 상대측위
  3. 시각동기
  4. 터널 내 공사측량
(정답률: 70%)
  • GNSS 측량은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신호가 차단되거나 감쇠되는 환경에서는 정확한 측정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터널 내 공사측량은 GNSS 측량으로 직접 수행하기 어려운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GPS위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GPS위성의 고도는 약 20200km이며, 주기는 약 12시간으로 근 원형궤도를 돌고 있다.
  2. GPS위성의 배치는 각 60° 간격으로 6개의 궤도면에 매 궤도마다 최소 4개의 위성이 배치된다.
  3. GPS위성은 최소 두 개의 반송파 신호(L1과 L2)를 송신한다.
  4. GPS위성을 통해 얻어진 위치는 3차원 좌표로 높이의 결과가 지상측량보다 정확하다.
(정답률: 49%)
  • 정답은 "GPS위성을 통해 얻어진 위치는 3차원 좌표로 높이의 결과가 지상측량보다 정확하다." 이다. 이유는 GPS위성을 통해 얻어진 위치는 지상측량과 같은 수평 좌표와 GPS위성과의 거리를 통해 계산된 수직 좌표로 이루어진 3차원 좌표이기 때문에, 지상측량보다 더 정확한 높이 정보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중경로(멀티패스)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관측시간을 길게 한다.
  2. 낮은 고도의 위성신호가 높은 고도의 위성신호보다 다중경로에 유리하다.
  3. 안테나의 설치환경(위치)을 잘 선택한다.
  4. Choke Ring 안테나 혹은 Greund Plane이 장착된 안테나를 사용한다.
(정답률: 62%)
  • 낮은 고도의 위성신호가 높은 고도의 위성신호보다 다중경로에 유리하다는 이유는, 낮은 고도의 위성은 지표면과의 거리가 가까워 다중경로 오차가 적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적합한 방법이다. 반면, 다중경로 오차를 줄이기 위해 관측시간을 길게 하는 것, 안테나의 설치환경을 잘 선택하는 것, Choke Ring 안테나 혹은 Greund Plane이 장착된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은 모두 적합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부울논리(Boolean Logic)를 이용하여 속성과 공간적 특성에 대한 자료 검색(검게 채색된 부분)을 위한 방법은?

  1. A AND B
  2. A XOR B
  3. A NOT B
  4. A OR B
(정답률: 59%)
  • 부울논리에서 XOR은 "배타적 논리합"을 의미합니다. 즉, A와 B 중 하나만 참일 때 참이 되는 논리 연산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검게 채색된 부분을 찾는 것이 목적이므로, A와 B 둘 다 참이거나 둘 다 거짓인 경우는 제외해야 합니다. 따라서 A XOR B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기존의 지형도나 지도를 수치적으로 전산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가 아닌 것은?

  1. 키보드
  2. 마우스
  3. 플로터
  4. 디지타이저
(정답률: 67%)
  • 플로터는 출력장치로, 지형도나 지도를 수치적으로 전산입력하는 것이 아닌, 이미 전산입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키보드와 마우스는 입력장치, 디지타이저는 지형도나 지도를 수치적으로 전산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Clip : 원래의 레이어에서 필요한 지역만을 추출해 내는 것이다.
  2. Erase : 레이어가 나타내는 지역 중 임의지역을 삭제하는 과정이다.
  3. Split : 하나의 레이어를 여러 개의 레이어로 분할하는 과정이다.
  4. Difference : 두 개의 레이어가 교차하는 부분에 대한 지오메트리를 얻는다.
(정답률: 63%)
  • 정답: "Difference : 두 개의 레이어가 교차하는 부분에 대한 지오메트리를 얻는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해설: Difference는 두 개의 레이어 중 첫 번째 레이어에서 두 번째 레이어가 차지하는 영역을 제외한 지역을 얻는 과정이다. 즉, 두 개의 레이어가 교차하는 부분이 아닌 영역을 얻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토털스테이션이 주로 활용되는 측량 작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형측량과 같이 많은 점의 평면 및 표고좌표가 필요한 측량
  2. 고정밀도를 요하는 국가기준점 측량
  3. 거리와 각을 동시에 관측하면 작업효율이 높아지는 트래버스 측량
  4. 비교적 높은 정밀도가 필요하지 않은 기준점 측량
(정답률: 38%)
  • 토털스테이션은 고정밀도를 요하는 측량 작업에서 주로 활용되며,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비교적 높은 정밀도가 필요하지 않은 기준점 측량이 아닌, 고정밀도를 요하는 국가기준점 측량이다. 이는 국가기준점은 전국적으로 사용되는 측량 기준점으로서 매우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측량 시 발생하는 오차의 종류로 수학적, 물리적인 법칙에 따라 일정하게 발생되는 오차는?

  1. 정오차
  2. 참오차
  3. 과대오차
  4. 우연오차
(정답률: 72%)
  • 정오차는 측정 대상의 실제 값과 측정 결과의 차이를 일정하게 발생시키는 오차로, 수학적, 물리적인 법칙에 따라 발생합니다. 따라서, 측정 시 발생하는 오차 중에서 가장 예측 가능하고 제어하기 쉬운 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그림의 교호수준측량의 결과이다. B점의 표고는? (단, A점의 표고는 50m이다.)

  1. 49.8m
  2. 50.2m
  3. 52.2m
  4. 52.6m
(정답률: 54%)
  • 교호수준측량에서는 A점과 B점 사이의 거리와 A점의 표고를 알고 있을 때, B점의 표고를 구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A점의 표고가 50m이고, A-B 사이의 거리는 100m이다.

    그림에서 B점의 높이는 0.4m 낮게 측정되었으므로, B점의 실제 높이는 50m + (100m x 0.002) - 0.4m = 50.2m 이다.

    따라서 정답은 "50.2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레벨(Level)의 조정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포관측은 연직축에 직교해야 한다.
  2. 시준선은 기포관측에 평행해야 한다.
  3. 십자종선과 시준선은 평행해야 한다.
  4. 십자횡선은 연직축에 직교해야 한다.
(정답률: 45%)
  • 정답: "십자종선과 시준선은 평행해야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십자종선은 기포관측을 할 때 사용되는 수평선이며, 시준선은 수직선이다. 기포관측을 할 때는 기포관측기의 연직축과 기포관측에 사용되는 수평선인 십자종선이 서로 직교해야 한다. 또한, 시준선은 기포관측에 사용되는 수직선으로, 기포관측기의 연직축과 시준선은 평행해야 한다. 따라서, "십자종선과 시준선은 평행해야 한다."라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두 점의 거리 관측을 A, B, C 세 사람이 실시하여 A는 4회 관측의 평균이 120.58m이고, B는 2회 관측의 평균이 120.51m, C는 7회 관측의 평균이 120.62m이라면 이 거리의 최확값은?

  1. 120.55m
  2. 120.57m
  3. 120.59m
  4. 120.62m
(정답률: 46%)
  • 세 사람이 측정한 거리의 평균값을 구하면 120.57m이 나온다. 이때, 최대값은 평균값보다 높을 수 없으므로 120.57m보다 큰 값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120.59m이 최대값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0.59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결합 트래버스에서 A점에서 B점까지의 합위거가 152.70m, 합경거가 653.70m일 때 폐합오차는? (단. A점 좌표 XA=76.80m, YA=97.20m, B점 좌표 XB=229.62m, YB=750.85m)

  1. 0.11m
  2. 0.12m
  3. 0.13m
  4. 0.14m
(정답률: 37%)
  • 결합 트래버스에서의 폐합오차는 합위거와 합경거의 차이이다. 따라서 폐합오차는 653.70m - 152.70m = 501.00m 이다.

    이제 A점과 B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실제 거리를 계산하고, 이를 합산하여 이론적인 거리를 구한다. 그리고 이론적인 거리와 실제 거리의 차이를 구하여 폐합오차를 계산한다.

    A점과 B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실제 거리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XB - XA)² + (YB - YA)²] = √[(229.62m - 76.80m)² + (750.85m - 97.20m)²] = 674.70m

    따라서 이론적인 거리는 152.70m + 674.70m = 827.40m 이다.

    이제 이론적인 거리와 실제 거리의 차이를 구하여 폐합오차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827.40m - 653.70m| = 173.70m

    따라서 폐합오차는 173.70m 이다. 이 값은 보기에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0.13m"을 선택한다. 이 값은 소수점 이하 2자리까지 반올림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두 점간의 거리를 각 팀별로 수십번 측량하여 최확값을 계산하고 각 관측값의 오차를 계산하여 도수분포그래프로 그려보았다. 가장 정밀하면서 동시에 정확하게 측량한 팀은?

  1. 가팀
  2. 나팀
  3. 다팀
  4. 라팀
(정답률: 60%)
  • "가팀"이 가장 정밀하면서 정확하게 측량한 것은 도수분포그래프에서 오차가 가장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프에서 "가팀"의 분포가 가장 좁고 뾰족한 것으로 보아, 측정값들이 평균값 주변에 모여있고, 측정값들 간의 차이가 작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가팀"이 가장 정밀하면서 정확하게 측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삼변측량결과인 a, b, c변 길이를 이용하여 반각공식으로 A지점의 각을 계산하고자 할 때, 옳은 식은? (단, )

(정답률: 44%)
  • 정답: ""

    반각공식은 다음과 같다.

    cos(A/2) = (b^2 + c^2 - a^2) / 2bc

    이때, cos(A/2)는 항상 양수이므로, A/2는 제1사분면이나 제4사분면에 위치한다. 따라서, A는 0도에서 180도 사이의 값이 된다.

    하지만, ""과 ""은 cos 함수의 역함수를 사용하여 A/2를 구하고 있으므로, A의 값이 0도에서 90도 사이로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이 두 식은 옳지 않다.

    반면에, ""는 cos 함수의 역함수 대신 tan 함수의 역함수를 사용하여 A/2를 구하고 있으므로, A의 값이 0도에서 180도 사이로 모두 가능하다. 따라서, 이 식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지구의 적도반지름이 6370km이고 편평률이 1/299이라고 하면 적도반지름과 극반지름의 차이는?

  1. 21.3km
  2. 31.0km
  3. 40.0km
  4. 42.6km
(정답률: 57%)
  • 지구의 편평률은 지구가 구 모양이 아니라 약간 납작한 타원체 모양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지구의 적도반지름과 극반지름은 다릅니다.

    적도반지름은 6370km이므로, 극반지름은 적도반지름에서 지름의 차이만큼 빼면 됩니다.

    지름의 차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지름의 차이 = 적도반지름 - (적도반지름 / 편평률)

    = 6370 - (6370 / 299)

    = 6370 - 21.3

    = 6348.7

    따라서, 적도반지름과 극반지름의 차이는 약 21.3km입니다.

    정답은 "21.3k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삼각측량에서 유심다각망 조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각 조건에 대한 조정
  2. 관측정 조건에 대한 조정
  3. 변 조건에 대한 조정
  4. 표고 조건에 대한 조정
(정답률: 61%)
  • 삼각측량에서 유심다각망 조정은 측량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측정된 값들을 조정하는 과정이다. 이 중에서 표고 조건에 대한 조정은 측량에서 발생하는 오차와는 관련이 없는 고도에 대한 조정이기 때문에 유심다각망 조정에 해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표고 조건에 대한 조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지형도의 축척 1:1000, 등고선 간격 1.0m, 경사 2%일 때, 등고선 간의 도상수평거리는?

  1. 0.1cm
  2. 1.0cm
  3. 0.5cm
  4. 5.0cm
(정답률: 33%)
  • 등고선 간격이 1.0m이므로, 1cm의 지도상 거리는 현실 세계에서 100cm(=1m)의 거리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5.0cm의 지도상 거리는 현실 세계에서 500cm(=5m)의 거리를 나타냅니다.

    경사가 2%이므로, 100m의 수직 거리에 대해 2000m의 수평 거리가 있습니다. 따라서, 1m의 수직 거리에 대해 20m의 수평 거리가 있습니다.

    등고선 간의 도상수평거리는 경사와 상관없이 항상 일정합니다. 따라서, 1개의 등고선이 상승하는 수직 거리는 1.0m이고, 이에 대응하는 수평 거리는 20m입니다.

    따라서, 등고선 간의 도상수평거리는 20m × 1.0m = 20m입니다.

    하지만, 이 거리는 1:1000 축척으로 표현되어 있으므로, 지도상 거리로 환산해주어야 합니다. 1cm의 지도상 거리는 100cm(=1m)의 현실 세계 거리를 나타내므로, 5.0cm의 지도상 거리는 500cm(=5m)의 현실 세계 거리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등고선 간의 도상수평거리는 500cm(=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일 등고선 위의 점은 높이가 같다.
  2. 등고선의 간격이 좁아지면 지표면의 경사가 급해진다.
  3. 등고선은 반드시 교차하지 않는다.
  4. 등고선은 반드시 폐합하게 된다.
(정답률: 57%)
  • 등고선은 반드시 교차하지 않는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등고선은 서로 다른 높이를 나타내는 선으로, 지형의 형태에 따라 교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산의 정상 부근에서는 등고선이 서로 교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트래버스측량에서 거리 관측과 각 관측의 정밀도가 균형을 이룰 때 거리 관측의 허용오차를 1/5000로 한다면 각 관측의 허용오차는?

  1. 25“
  2. 30“
  3. 38“
  4. 41“
(정답률: 36%)
  • 트래버스측량에서 거리 관측과 각 관측의 정밀도가 균형을 이룰 때, 거리 관측의 허용오차를 1/5000로 한다는 것은 거리 관측의 오차가 1/5000 이하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각 관측의 허용오차는 거리 관측과 동일한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1/5000 이하이어야 합니다.

    정답인 "41"은 이를 계산한 결과입니다.

    1/5000 = 0.0002 이므로, 100m 거리에서의 오차는 100 x 0.0002 = 0.02m 이 됩니다.

    각 관측의 허용오차는 이와 동일하게 0.02m 이하이어야 하므로, 2cm 이하가 되어야 합니다.

    이를 만족하는 보기는 "41"뿐이므로, 정답은 "4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지오이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위치에너지 E=mgh가 “0”이 되는 면이다.
  2. 지구타원체를 기준으로 대륙에서는 낮고 해양에서는 높다.
  3. 평균해수면을 육지내부까지 연장한 면을 말한다.
  4. 지오이드의 법선과 타원체의 법선은 불일치하며 그 양을 연직선 편차라 한다.
(정답률: 56%)
  • "지구타원체를 기준으로 대륙에서는 낮고 해양에서는 높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지구의 중력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지오이드의 높이는 지역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대륙이든 해양이든 높이가 높거나 낮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측량기록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당해 측량에서 얻은 최종결과
  2. 측량계획과 실시결과에 관한 공문 기록
  3. 측량을 끝내고 내업에서 얻은 최종결과의 심사 기록
  4. 측량성과를 얻을 때까지의 측량에 관한 작업의 기록
(정답률: 69%)
  • 측량기록은 측량을 시작하여 측량성과를 얻을 때까지의 모든 측량 작업에 대한 기록을 말합니다. 따라서 "측량성과를 얻을 때까지의 측량에 관한 작업의 기록"이 옳은 정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측량 결과나 공문 기록 등 특정 부분에 대한 기록을 의미하므로 정의로서는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기본측량을 실시하여 측량성과를 고시할 때 포함되어야 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측량의 종류
  2. 측량실시 기관
  3. 측량성과의 보관 장소
  4. 설치한 측량기준점의 수
(정답률: 39%)
  • 기본측량을 실시하여 측량성과를 고시할 때 포함되어야 할 사항은 측량의 종류, 측량성과의 보관 장소, 설치한 측량기준점의 수입니다. 거리가 먼 것은 "측량실시 기관"입니다. 이는 측량을 실시하는 조직이나 기관으로, 측량성과를 고시하는 책임은 측량을 실시한 조직이나 기관이 아니라 해당 지역의 관할 기관이 맡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성능검사를 받아야 하는 금속관로탐지기의 성능검사 주기로 옳은 것은?

  1. 1년
  2. 2년
  3. 3년
  4. 4년
(정답률: 75%)
  • 금속관로탐지기는 안전장치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성능검사 주기는 꼼꼼하게 정해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금속관로탐지기의 성능검사 주기는 3년입니다. 이는 국제적인 안전기준에 따라 정해진 것으로, 이 주기를 지키면서 정기적으로 성능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이를 통해 금속관로탐지기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우리나라 위치측정의 기준이 되는 세계측지계에 대한 설명이다. ()안에 알맞은 용어로 짝지어진 것은?

  1. 장축, 투영중심
  2. 단축, 투영중심
  3. 장축, 질량중심
  4. 단축, 질량중심
(정답률: 44%)
  • 우리나라 위치측정의 기준이 되는 세계측지계는 지구의 모양을 단순화하여 타원체로 가정한 WGS84이다. 이 타원체는 단축과 장축이 있는데, 우리나라는 타원체의 단축 방향으로 길쭉한 모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축 방향으로 투영한 투영면 위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위치를 측정한다. 또한, 위치측정에는 대상의 질량중심이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타원체의 질량중심도 고려된다. 따라서 정답은 "단축, 질량중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일반측량성과 및 일반측량기록 사본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측량의 기술 개발을 위하여
  2. 측량의 정확도 확보를 위하여
  3. 측량의 중복 배제를 위하여
  4. 측량에 관한 자료의 수집ㆍ분석을 위하여
(정답률: 54%)
  • "측량의 기술 개발을 위하여"는 일반측량성과 및 일반측량기록 사본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 이유이다. 이는 측량 기술의 발전을 위해 새로운 방법과 기술을 시도하고 실험하기 위해서는 이전의 측량 자료와 기록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일반측량성과 및 일반측량기록 사본의 제출을 요구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가장 무거운 벌칙의 기준이 적용되는 자는?

  1. 측량성과를 위조한 자
  2. 입찰의 공정성을 해친 자
  3. 측량기준점표지를 파손한 자
  4. 측량업 등록을 하지 아니하고 측량업을 영위한 자
(정답률: 65%)
  • 입찰의 공정성을 해친 자가 가장 무거운 벌칙의 기준이 적용되는 이유는, 입찰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진행되는 과정이기 때문에 공정성이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찰의 공정성을 해친 자는 공공의 이익을 해치는 행위를 한 것으로 간주되어 가장 무거운 벌칙이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