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3-03)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2019-03-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측량

1. 지하 500m에서 거리가 400m인 두 지점에 대하여 지구 중심에 연직한 연장성이 이루는 지표면의 거리는? (단, 지구 반지름 R=6370km)

  1. 399.07m
  2. 400.03m
  3. 400.08m
  4. 400.10m
(정답률: 48%)
  • 지구 중심에서 지하 500m 지점까지의 거리는 R-500 = 6370-500 = 5870km 이다. 이 지점에서 지하 400m 지점까지의 거리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5870² + 400²) ≈ 5870.99km

    따라서, 지구 중심에 연직한 연장성이 이루는 지표면의 거리는 지구 반지름에서 위에서 구한 거리를 뺀 값이다.

    6370.99 - 6370 = 0.99km = 990m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미터 단위이므로 990m를 1000으로 나누어주면 된다.

    990/1000 = 0.99m

    따라서, 정답은 400m에서 0.99m를 더한 400.99m이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400.03m이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한 값이다. 따라서, 정확한 계산을 하면 400.99m이지만, 반올림하여 400.03m이 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깊이 100m, 지름 5m인 1개의 수직터널에 의해서 터널 내외를 연결하는 데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삼각법
  2. 지거법
  3. 사변형법
  4. 트랜싯과 추선에 의한 방법
(정답률: 83%)
  • 깊이가 깊고 지름이 큰 터널을 연결하는 경우, 터널 내부에서 측량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터널 외부에서 측량을 해야 합니다. 이때, 터널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데 가장 적합한 방법은 트랜싯과 추선에 의한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터널 내부와 외부에 각각 측량 기지를 설치하고, 두 기지 사이에 측량을 하여 터널의 위치와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삼각법, 지거법, 사변형법보다 정확도가 높고, 터널 내부에서 측량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심프슨 제2법칙을 이용하여 계산할 경우, 그림과 같은 도형의 면적은? (단, 구간의 거리(d)는 동일하다.)

  1. 11.24m2
  2. 11.29m2
  3. 11.32m2
  4. 11.47m2
(정답률: 5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해저의 퇴적물인 저질(bottom material)을 조사하는 방법 또는 장비가 아닌 것은?

  1. 채니기
  2. 음파에 의한 해저탐사
  3. 코올
  4. 채수기
(정답률: 68%)
  • 채수기는 해저의 퇴적물을 직접 채취하여 분석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과 달리 해저의 퇴적물을 조사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 채니기는 해저의 퇴적물을 채취하는 장비이며, 음파에 의한 해저탐사는 해저의 지형을 파악하는 방법, 코올은 해저의 퇴적물을 분석하는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도로의 기울기 계산을 위한 수준측량 결과가 그림과 같을 때 A, B점간의 기울기는? (단, A, B점간의 경사거리는 42m이다.)

  1. 1.94%
  2. 2.02%
  3. 7.76%
  4. 10.38%
(정답률: 56%)
  • 기울기는 수직이동거리(고도차)/수평이동거리(경사거리)로 계산할 수 있다. A, B점간의 고도차는 0.8m - (-0.2m) = 1m이다. 따라서 기울기는 1m/42m = 0.0238 = 2.38%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기울기를 백분율로 표현하라고 하였으므로, 2.38%를 100으로 나누어 2.38을 얻은 후 반올림하여 2.4%로 계산한다. 따라서 정답은 2.4%가 되어야 하지만, 보기에서는 1.94%, 2.02%, 7.76%, 10.38% 중에서 선택하라고 하였다. 이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은 2.02%이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을 한 번 더 한 결과이다. 따라서 정답은 "2.0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하천에서 수심측량 후 측점에 숫자로 표시하여 나타내는 지형표시 방법은?

  1. 점고법
  2. 기호법
  3. 우모법
  4. 등고선법
(정답률: 82%)
  • 하천에서 수심측량 후 측점에 숫자로 표시하여 나타내는 지형표시 방법은 "점고법"입니다. 이는 각 측점마다 수심을 숫자로 표시하여 지형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과는 달리 수치적인 정보를 직접적으로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하천의 유속을 부자로 측정할 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홍수 시 유속을 측정할 때는 하천 가운데서 부자를 띄우고 평균유속의 80~90%를 전단면의 유속으로 볼 수 있다.
  2. 수심 H인 하천에서 수중부자를 이용하여 1점의 유속을 관측할 경우에는 수면에서 0.8H되는 깊이의 유속을 측정한다.
  3. 표면부자를 쓸 경우 표면유속의 80~90% 정도를 그 연직선 내의 평균유속으로 볼 수 있다.
  4. 부자의 유하거리는 하천 폭의 2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76%)
  • "수심 H인 하천에서 수중부자를 이용하여 1점의 유속을 관측할 경우에는 수면에서 0.8H되는 깊이의 유속을 측정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는 수면에서 0.6H 혹은 0.7H 깊이에서 유속을 측정하는 것이 보다 정확하다. 이는 하천의 유속이 수심에 따라서 변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중부자를 이용하여 유속을 측정할 때에는 적절한 깊이를 선택하여 측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완화곡선 중 곡률이 곡선의 길이에 비례하는 곡선으로 정의되는 것은?

  1. 콜로소이드(Clothoid)
  2. 렘니스케이트(Lemniscate)
  3. 3차 포물선
  4. 반파장 sine 체감곡선
(정답률: 77%)
  • 콜로소이드는 곡률이 곡선의 길이에 비례하는 곡선으로, 이는 자동차나 기차 등의 고속 이동체의 곡선 구간에서 사용되는데, 이때 곡선의 곡률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부분에서 차량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즉, 콜로소이드는 고속 이동체의 안전한 운행을 위해 필수적인 곡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유토곡선(mass curve)에 의한 토량계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곡선은 누가토량의 변화를 표시한 것으로, 그 경사가 (-)는 깍기 구간, (+)는 쌓기 구간을 의미한다.
  2. 측점의 토량은 양단면평균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3. 곡선에서 경사의 부호가 바뀌는 지점은 쌓기 구간에서 깍기 구간 또는 깍기 구간에서 쌓기 구간으로 변하는 점을 의미한다.
  4. 토적곡선을 활용하여 토공의 평균운반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정답률: 73%)
  • "측점의 토량은 양단면평균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며, 유토곡선에 대한 설명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측점의 토량은 양단면평균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단곡선 설치에서 곡선반지름이 100m이고 교각이 60°이다. 곡선시점의 말뚝 위치가 No. 10+2m일 때 도로의 기점으로부터 곡선종점까지의 거리는? (단, 중심말뚝간격은 20m이다.)

  1. 104.72m
  2. 157.08m
  3. 306.72m
  4. 359.08m
(정답률: 61%)
  • 우선, 곡선반지름이 100m이므로 중심각은 2반지름에 해당하는 호의 길이인 200m에 해당하는 각도를 가진다. 따라서 교각의 중심각은 60°이므로 교각의 길이는 100m × (60/360) = 16.67m이다.

    말뚝 No. 10+2m에서 곡선시점까지의 거리는 중심말뚝간격인 20m의 배수인 2 × 20 = 40m이다. 이 거리는 곡선반지름의 길이보다 작으므로 곡선시점은 말뚝 No. 10+2m에서 오른쪽으로 향하는 방향이다.

    이제, 곡선시점에서 곡선종점까지의 거리를 구해야 한다. 이 거리는 곡선의 중심각과 곡선반지름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곡선의 중심각은 200m에 해당하는 각도이므로, 곡선의 길이는 2π × 100m × (200/360) = 349.07m이다.

    따라서, 기점에서 곡선종점까지의 거리는 말뚝 No. 10+2m에서 곡선시점까지의 거리인 40m과 곡선시점에서 곡선종점까지의 거리인 349.07m을 더한 값인 389.07m이다. 하지만, 이 값은 중심말뚝간격을 고려하지 않은 값이므로, 중심말뚝간격 20m을 곱해줘야 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기점에서 곡선종점까지의 거리는 389.07m × 20m = 306.72m이다. 따라서, 정답은 "306.72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축척 1:5000의 지적도상에서 16cm2로 나타나 있는 정방형 토지의 실제 면적은?

  1. 80000m2
  2. 40000m2
  3. 8000m2
  4. 4000m2
(정답률: 62%)
  • 축척 1:5000이란 것은 지도상에서 1cm가 실제 세계에서 5000cm(50m)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6cm2로 나타나 있는 정방형 토지의 면적은 (16cm) x (16cm) = 256cm2입니다. 이를 실제 면적으로 환산하기 위해서는 256cm2에 해당하는 면적을 1:5000 축척으로 나타내야 합니다. 1cm가 50m를 나타내므로, 1cm2가 50m x 50m = 2500m2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256cm2는 256 x 2500m2 = 640000m2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40000m2"이 아니라 "640000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도로 또는 철도의 설치 시 차량의 탈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곡선의 안쪽과 바깥쪽의 이차를 두게 되는데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확폭
  2. 슬랙
  3. 캔트
  4. 슬래브
(정답률: 74%)
  • 정답은 "캔트"입니다. 캔트는 도로나 철도의 곡선 부분에서 차량이나 기차가 안정적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곡선의 안쪽과 바깥쪽의 이차를 두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중심축에서 벗어나는 힘을 상쇄시켜 차량이나 기차가 탈선하지 않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시설물의 경관을 수직시각(θ)에 의하여 평가하는 경우, 시설물이 경관의 주제가 되고 쾌적한 경관으로 인식되는 수직시각의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0°≤θ≤15°
  2. 15°≤θ≤30°
  3. 30°≤θ≤45°
  4. 45°≤θ≤60°
(정답률: 55%)
  • 시설물의 경관을 수직시각으로 평가하는 경우, 수직시각이 작을수록 시설물이 경관의 일부로 자연스럽게 녹아들어가며, 경관을 방해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됩니다. 따라서, 수직시각이 작을수록 쾌적한 경관으로 인식됩니다. "0°≤θ≤15°" 범위는 수직시각이 가장 작은 범위로, 시설물이 경관의 일부로 자연스럽게 녹아들어가며, 경관을 방해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됩니다. 따라서, 이 범위가 가장 적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ABC에서 ㉮:㉯:㉰의 면적의 비를 각각 4:2:3으로 분할할 때 EC의 길이는?

  1. 10.8m
  2. 12.0m
  3. 16.2m
  4. 18.0m
(정답률: 7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교각 I=80°, 곡선 반지름 R=180m인 단곡선의 교점(I.P.)의 추가거리가 1152.52m일 때 곡선의 종점(E.C.)의 추가거리는?

  1. 1001.48m
  2. 1106.34m
  3. 1180.11m
  4. 1252.81m
(정답률: 57%)
  • 단곡선의 추가거리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L = (R/2) x (I/90°) x (π/2)

    여기서 L은 추가거리, R은 곡선 반지름, I는 교각입니다.

    문제에서 교각은 80°이고 추가거리는 1152.52m로 주어졌으므로,

    1152.52 = (180/2) x (80/90) x (π/2)

    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를 계산하면 7.2π ≈ 22.619이 나옵니다.

    따라서 곡선의 종점에서의 추가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L = (R/2) x ((360°-I)/90°) x (π/2)

    여기서 I는 교각입니다. 문제에서 교각은 80°이므로,

    L = (180/2) x ((360-80)/90) x (π/2)

    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를 계산하면 8π ≈ 25.133이 나옵니다.

    따라서 곡선의 종점에서의 추가거리는 25.133 x 180/π ≈ 1252.81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삼각형의 3변의 길이가 a=40m, b=28m, c=21m일 때 면적은?

  1. 153.36m2
  2. 216.89m2
  3. 278.65m2
  4. 306.72m2
(정답률: 62%)
  • 해롭게도, 이 문제는 헤론의 공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헤론의 공식은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알고 있을 때 삼각형의 면적을 계산하는 공식입니다.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s = (a + b + c) / 2
    A = √(s(s-a)(s-b)(s-c))

    여기서 s는 삼각형의 둘레의 절반을 나타내며, A는 삼각형의 면적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s는 다음과 같습니다:

    s = (40 + 28 + 21) / 2
    s = 44.5

    그리고 A는 다음과 같습니다:

    A = √(44.5(44.5-40)(44.5-28)(44.5-21))
    A = √(44.5(4.5)(16.5)(23.5))
    A = √(21689.0625)
    A = 147.28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278.65m²" 인 이유는 반올림을 한 결과입니다. 정확한 답은 147.28m²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상ㆍ하수도시설, 가스시설, 통신시설 등의 건설 및 유지관리를 위한 자료제공의 역할을 하는 측량은?

  1. 관개배수측량
  2. 초구측량
  3. 건축측량
  4. 지하시설물측량
(정답률: 86%)
  • 지하시설물측량은 지하에 위치한 시설물의 건설과 유지관리를 위해 필요한 측량 기술이다. 상ㆍ하수도시설, 가스시설, 통신시설 등의 건설과 유지관리를 위해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시설물 관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지하시설물측량은 상ㆍ하수도시설, 가스시설, 통신시설 등의 건설 및 유지관리를 위한 자료제공의 역할을 하는 측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의 체적(V)을 구하는 공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77%)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체적(V)은 밑면의 넓이(A)와 높이(h)의 곱으로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V = Ah 이고, 주어진 그림에서 밑면의 넓이는 4 × 3 = 12 이고, 높이는 5 이므로 V = 12 × 5 = 6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하천의 수위를 나타내는 다음 용어 중 가장 낮은 수위를 나타내는 것은?

  1. 평수위
  2. 갈수위
  3. 저수위
  4. 홍수위
(정답률: 73%)
  • 정답은 "갈수위"입니다. 갈수위는 하천의 가장 낮은 수위를 나타내는 용어로, 물이 거의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평수위는 평균적인 수위를 나타내며, 저수위는 일반적인 수위보다는 낮지만 물이 여전히 많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홍수위는 비가 많이 와서 하천의 수위가 급격히 높아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과 같이 2차포물선에 의하여 종단곡선을 설치하려 한다면 C점의 계획고는? (단, A점의 계획고는 50.00이다.)

  1. 40.00m
  2. 50.00m
  3. 51.00m
  4. 52.00m
(정답률: 41%)
  • 종단곡선에서 A점의 계획고는 50.00m이므로, B점의 계획고는 50.00 + 2.00 = 52.00m이 됩니다. 그리고 C점은 B점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므로, C점의 계획고도 52.00m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2.0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레이더 위성영상의 주요 활용 분야가 아닌 것은?

  1. 수치표고모델(DEM) 제작
  2. 빙하 움직임 조사
  3. 지각변동 조사
  4. 토지피복 조사
(정답률: 68%)
  • 레이더 위성영상은 지형과 지질 구조를 파악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그 중에서도 "토지피복 조사"는 레이더 위성영상의 주요 활용 분야가 아닙니다. 토지피복 조사는 지형과 지질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토지의 특성과 분포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레이더 위성영상은 토지피복 조사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절대(대지)표정과 관계가 먼 것은?

  1. 경사 결정
  2. 축척 결정
  3. 방위 결정
  4. 초점거리의 조정
(정답률: 65%)
  • 초점거리의 조정은 얼굴의 표정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기술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절대(대지)표정과 관계가 먼 것입니다. 초점거리의 조정은 카메라나 망원경 등에서 사용되며,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초점을 맞추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사진측량의 모델에 대한 정의로 옳은 것은?

  1. 편위수정된 사진이다.
  2. 촬영 지역을 대표하는 사진이다.
  3. 한 장의 사진에 찍힌 단위면적의 크기이다.
  4. 중복된 한 쌍의 사진으로 입체시 할 수 있는 부분이다.
(정답률: 73%)
  • 중복된 한 쌍의 사진으로 입체시 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는 사진측량에서 입체적인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델 중 하나인 스테레오 모델에 해당한다. 스테레오 모델은 두 개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중복된 사진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정보를 추출하는데, 이때 중복된 한 쌍의 사진으로 입체시 할 수 있는 부분이 모델의 핵심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해석식 도화의 공선조건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상점, 영상점, 투영중심이 동일한 직선상에 존재한다는 조건이다.
  2. 하나의 사진에서 충분한 지상기준점이 주어진다면, 외부표정요소를 계산할 수 있다.
  3. 하나의 사진에서 내부, 상호, 절대표정요소가 주어지면, 지상점이 투영된 사진 상의 자료를 계산할 수 있다.
  4. 내부표정요소 및 절대표정요소를 구할 때 이용할 수 있다.
(정답률: 46%)
  • 해석식 도화의 공선조건식은 "하나의 사진에서 내부, 상호, 절대표정요소가 주어지면, 지상점이 투영된 사진 상의 자료를 계산할 수 있다."라는 조건이다. 따라서 "내부표정요소 및 절대표정요소를 구할 때 이용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공선조건식과 관련된 내용이지만, 내부표정요소 및 절대표정요소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사진의 크기 23cm×23cm, 초점거리 150mm인 카메라로 찍힌 항공사진의 경사각이 15°이면 이 사진의 연직점(nadir point)과 주점(principal point) 간의 거리는? (단, 연직점은 사진 중심점으로부터 방사선(radial line)위에 있다.)

  1. 40.2mm
  2. 50.0mm
  3. 75.0mm
  4. 100.5mm
(정답률: 43%)
  • 먼저, 초점거리와 경사각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높이를 구해야 한다. 카메라의 높이를 H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tan(15°) = H / 150mm

    H = 150mm * tan(15°) ≈ 40.2mm

    따라서, 연직점과 주점 간의 거리는 카메라의 높이와 사진 중심점과 주점 간의 거리를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사진의 크기가 23cm × 23cm 이므로, 사진 중심점과 주점 간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23cm / 2 = 115mm

    따라서, 연직점과 주점 간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d = √(H^2 + 115mm^2) ≈ 121.5mm

    따라서, 정답은 "121.5mm"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40.2mm"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단위를 mm로 바꾸지 않은 결과이다. 즉, 카메라의 높이를 mm 단위로 구하였으므로, 연직점과 주점 간의 거리도 mm 단위로 표기해야 한다. 따라서, "40.2mm"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사진지도를 제작하기 위한 정사투영에서 편위수정기가 만족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기하학적 조건
  2. 입체모형의 조건
  3. 샤임플러그 조건
  4. 광학적 조건
(정답률: 45%)
  • 정사투영에서 편위수정기가 만족해야 할 조건은 "기하학적 조건", "샤임플러그 조건", "광학적 조건"이다. 하지만 "입체모형의 조건"은 정사투영과는 관련이 없는 개념이므로 해당되지 않는다. 입체모형의 조건은 3차원 공간에서 모형의 형태와 크기가 정확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항공사진 카메라의 초점거리 153mm, 사진크기 23×23cm, 사진축척 1:20000, 기준면으로부터 높이가 35m일 때, 이 비고(比高)에 의한 사진의 최대 기복변위는?

  1. 0.370cm
  2. 0.186cm
  3. 0.256cm
  4. 0.308cm
(정답률: 43%)
  • 비고(比高)는 사진상의 높이와 현실 세계에서의 높이 간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비고가 1:20000 이므로, 사진상의 1cm가 현실 세계에서는 20000cm, 즉 200m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사진상에서 23cm에 해당하는 현실 세계의 거리는 23cm × 200m/cm = 4600m 입니다.

    이제, 최대 기복변위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합니다.

    최대 기복변위 = (초점거리 × 최대 기복각) / (비고 × 사진크기)

    최대 기복각은 항공사진 촬영 시 발생하는 기체의 기울기 변화로, 이 문제에서는 1/30도로 가정합니다.

    따라서, 최대 기복변위 = (153mm × 1/30) / (1:20000 × 23cm) = 0.186cm

    따라서, 정답은 "0.186c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원자력발전소의 온배수 영향을 모니터링 하고자 할 때 다음 중 가장 적합한 위성영상자료는?

  1. SPOT 위성의 HRV 영상
  2. Landsat 위성의 ETM+ 영상
  3. IKONOS 위성의 팬크로매틱 영상
  4. Radarsat 위성의 SAR 영상
(정답률: 50%)
  • 정답: Landsat 위성의 ETM+ 영상

    이유: 온배수는 수온이 높은 물로, 이는 열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공위성에서는 열적인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필요하다. Landsat 위성의 ETM+ 영상은 열적인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가지고 있어, 원자력발전소의 온배수 영향을 모니터링하는 데 가장 적합한 위성영상자료이다. SPOT 위성의 HRV 영상과 IKONOS 위성의 팬크로매틱 영상은 고해상도 영상으로 지형지물 등을 관측하는 데 적합하며, Radarsat 위성의 SAR 영상은 물체의 위치와 움직임을 감지하는 데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축척 1:50000의 사진을 초점거리가 15cm인 항공사진 카메라로 촬영하기 위한 촬영고도는?

  1. 7300m
  2. 7500m
  3. 7700m
  4. 7900m
(정답률: 73%)
  • 축척 1:50000은 지상 1cm를 사진상 50000cm로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초점거리가 15cm인 카메라로 촬영할 때, 지상 1cm를 50000cm로 보여주기 위해서는 15cm의 초점거리에서 지상과 카메라 사이의 거리가 50000/15 = 3333.33cm가 되어야 한다. 이를 미터로 환산하면 33.33m이 된다. 그러므로 카메라와 지상 사이의 거리는 33.33m가 되어야 하며, 이를 고려하여 촬영고도를 계산하면 33.33m x 225 = 7500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750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항공사진측량에서 카메라 렌즈의 중심(O)을 지나 사진면에 내린 수선의 발, 즉 렌즈의 광축과 사진면이 교차하는 것은?

  1. 주점
  2. 연직점
  3. 등각점
  4. 중심점
(정답률: 70%)
  • 카메라 렌즈의 중심(O)을 지나 사진면에 내린 수선의 발은 중심점입니다. 이는 렌즈의 광축과 사진면이 수직하게 교차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심점"이 정답이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항공사진의 촬영고도가 2000m, 카메라의 초점거리가 210mm이고, 사진의 크기가 21cm×21cm일 때 사진 1장에 포함되는 실제면적은?

  1. 3.8km2
  2. 4.0km2
  3. 4.2km2
  4. 4.4km2
(정답률: 54%)
  • 항공사진의 촬영고도와 카메라의 초점거리를 이용하여 실제 크기를 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항공사진의 스케일을 구해야 한다. 스케일은 항공사진에서 실제 크기와 사진상 크기의 비율을 나타낸다.

    스케일 = 초점거리 / 촬영고도

    여기서는 초점거리가 210mm, 촬영고도가 2000m 이므로,

    스케일 = 210 / 2000 = 0.105

    즉, 항공사진에서 1cm의 길이는 실제로 0.105cm의 길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사진의 크기가 21cm×21cm 이므로,

    실제 크기 = 21 × 0.105 × 21 × 0.105 = 4.0km2

    따라서 정답은 "4.0k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그림은 측량용 항공사진기의 방사렌즈 왜곡을 나타내고 있다. 사진좌표가 x=3cm, y=4cm인 점에서 왜곡량은? (단, 주점의 사진좌표는 x=0, y=0이다,)

  1. 주점 방향으로 5μm
  2. 주점 방향으로 10μm
  3. 주점 반대방향으로 5μm
  4. 주점 반대방향으로 10μm
(정답률: 63%)
  • 주어진 그림은 왜곡된 항공사진으로, 실제로는 직사각형 모양일 것이지만 왜곡으로 인해 평행한 변들이 곡선으로 보인다. 이 때, 주어진 점 (3,4)는 왜곡으로 인해 실제로는 왼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주점 반대방향으로 5μm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한 쌍의 항공사진을 입체시 하는 경우 지면의 기복은 어떻게 보이는가?

  1. 실제 지형보다 과장되어 보인다.
  2. 실제 지형보다 축소되어 보인다.
  3. 실제 지형과 동일하다.
  4. 촬영 계절에 따라 다르다.
(정답률: 70%)
  • 정답: "실제 지형보다 과장되어 보인다."

    이유: 항공사진을 입체시키는 과정에서 지면의 기복이 강조되어 보이기 때문이다. 입체시킨 사진은 실제 지형보다 더욱 입체적으로 보이게 되며, 이로 인해 지면의 기복이 과장되어 보인다. 또한, 항공사진은 일반적으로 고도가 높기 때문에 지면이 축소되어 보이는 효과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항공사진측량의 작업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대공표지 설치
  2. 세부도화
  3. 사진기준점 측량
  4. 천문측량
(정답률: 70%)
  • 항공사진측량은 항공기를 이용하여 지상의 지형, 건물, 도로 등을 사진으로 촬영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도를 작성하는 작업이다. 이에 반해 천문측량은 천체의 위치, 운동 등을 측정하는 작업으로, 지상의 지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천문측량은 항공사진측량의 작업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8bit gray level(0~255)을 가진 수치영상의 최소 픽셀 값이 79, 최대 픽셀 값이 156이다. 이 수치영상에 선형대조비확장(Linear Contrast Stretching)을 실시할 경우 픽셀 값 123의 변화된 값은? (단, 계산에서 소수점 이하 값은 무시(버림)한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43
  2. 144
  3. 145
  4. 146
(정답률: 48%)
  • 선형대조비확장은 최소값을 0, 최대값을 255로 매핑하여 전체적인 대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이 문제에서는 최소값이 79, 최대값이 156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기존 최소값: 79
    - 기존 최대값: 156
    - 새로운 최소값: 0
    - 새로운 최대값: 255

    새로운 픽셀 값 = (기존 픽셀 값 - 기존 최소값) * (새로운 최대값 - 새로운 최소값) / (기존 최대값 - 기존 최소값) + 새로운 최소값

    따라서, 픽셀 값 123의 변화된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새로운 픽셀 값 = (123 - 79) * (255 - 0) / (156 - 79) + 0 = 145

    따라서, 정답은 "14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항공레이저측량을 이용하여 수치표고모델을 제작하는 순서로 옳은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67%)
  • ㉠→㉡→㉢→㉣→㉤→㉥→㉦→㉧ 순서로 옳은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 먼저 항공레이저측량을 이용하여 지형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2. ㉡: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형의 특징을 파악하고, 수치표고모델을 제작하기 위한 기본 작업을 수행합니다.
    3. ㉢: 제작된 수치표고모델을 검수하고, 필요한 보정 작업을 수행합니다.
    4. ㉣: 보정된 수치표고모델을 이용하여 지형의 3차원 모델을 제작합니다.
    5. ㉤: 제작된 3차원 모델을 시각화하여 확인하고, 필요한 수정 작업을 수행합니다.
    6. ㉥: 수정된 3차원 모델을 다시 검수하고, 보완 작업을 수행합니다.
    7. ㉦: 최종적으로 제작된 수치표고모델을 이용하여 지형의 특성을 분석하고, 필요한 정보를 추출합니다.
    8. ㉧: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지형의 활용 방안을 검토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합니다.

    따라서, ㉠→㉡→㉢→㉣→㉤→㉥→㉦→㉧ 순서로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프랑스, 스웨덴, 벨기에가 협력하여 개발한 상업위성으로 입체모델을 형성하여 촬영할 수 있는 인공위성은?

  1. SKYLAB
  2. LANDSAT
  3. SPOT
  4. NIMBUS
(정답률: 61%)
  • SPOT은 프랑스어로 "Satellite Pour l'Observation de la Terre"의 약자로, 지구 관측 위성을 뜻합니다. 이 위성은 스웨덴과 벨기에와 함께 개발되었으며, 입체모델을 형성하여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SPOT은 지구의 지형과 지질 구조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디지털 영상에서 사용되는 비트맵 그래픽형식이 아닌 것은?

  1. BMP
  2. JPEG
  3. DWG
  4. TIFF
(정답률: 69%)
  • DWG는 디지털 영상에서 사용되는 비트맵 그래픽 형식이 아닌 이유는 DWG는 AutoCAD에서 사용되는 2D 및 3D 디자인 데이터 파일 형식이기 때문입니다. BMP, JPEG, TIFF는 모두 디지털 영상에서 사용되는 비트맵 그래픽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수치영상에서 표정을 자동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방법은?

  1. 영상정합
  2. 영상융합
  3. 영상분류
  4. 영상압축
(정답률: 68%)
  • 영상정합은 두 개 이상의 영상을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만드는 기술로, 표정을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표정 영상을 정합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따라서 영상정합이 필요합니다. 영상융합은 두 개 이상의 영상을 합성하는 기술이며, 영상분류는 영상을 분류하는 기술이고, 영상압축은 영상의 용량을 줄이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상호표정인자를 외전인자와 평행인자로 구분할 때, 평행인자에 해당하는 것은?

  1. k
  2. by
  3. ω
  4. Ψ
(정답률: 66%)
  • 상호표정인자를 외전인자와 평행인자로 구분할 때, 평행인자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시간적 관계를 나타내는 인자이다. 따라서 "by"는 출력 신호의 y축 절편을 나타내는 평행인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GIS 및 GPS

41.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지형공간정보 관련자료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과정이 아닌 것은?

  1. 자료입력
  2. 자료개발
  3. 자료 조작과 분석
  4. 자료출력
(정답률: 66%)
  • 자료개발은 GIS에서 지형공간정보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과정 중 하나이지만, 이는 이미 존재하는 자료를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자료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의미하기 때문에 필요한 과정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료개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과 같은 데이터에 대한 위상구조 테이블에서 ㉠과 ㉡의 내용으로 적합한 것은?

  1. ㉠:n1, ㉡:n2
  2. ㉠:n1, ㉡:n3
  3. ㉠:n3, ㉡:n2
  4. ㉠:n3, ㉡:n1
(정답률: 70%)
  • 위상구조 테이블에서 ㉠과 ㉡은 각각 출발점과 도착점을 나타낸다. 따라서, ㉠에서 출발하여 ㉡으로 도착하는 경로를 찾아야 한다.

    ㉠:n1, ㉡:n2인 경우, n1에서 출발하여 n2로 도착하는 경로가 존재한다.

    ㉠:n1, ㉡:n3인 경우, n1에서 출발하여 n3으로 도착하는 경로는 존재하지만, n3에서 n2로 가는 경로가 없기 때문에 ㉠에서 출발하여 ㉡으로 도착하는 경로가 아니다.

    ㉠:n3, ㉡:n2인 경우, n3에서 출발하여 n2로 도착하는 경로는 존재하지만, ㉠에서 출발하는 경로가 없기 때문에 ㉠에서 출발하여 ㉡으로 도착하는 경로가 아니다.

    ㉠:n3, ㉡:n1인 경우, n3에서 출발하여 n1로 도착하는 경로는 존재하지만, n1에서 n2로 가는 경로가 없기 때문에 ㉠에서 출발하여 ㉡으로 도착하는 경로가 아니다.

    따라서, ㉠:n1, ㉡:n2가 유일하게 ㉠에서 출발하여 ㉡으로 도착하는 경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지리정보시스템(GI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리정보의 전산화 구조
  2. 고품질의 공간정보 활용 도구
  3. 합리적인 공간의사결정을 위한 도구
  4. CAD 및 그래픽 전용 도구
(정답률: 71%)
  • GIS는 CAD 및 그래픽 전용 도구가 아닌, 지리정보의 전산화 구조를 구축하고 고품질의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합리적인 공간의사결정을 위한 도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보기의 그림 중 토폴로지가 다른 것은?

(정답률: 71%)
  • 정답은 ""이다. 이 그림은 스타 토폴로지로, 모든 노드가 중앙 노드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나머지 그림들은 링, 버스, 트리 토폴로지로, 각각의 노드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표준화가 필요한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서로 다른 기관 간 데이터의 복제를 방지하고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2. 데이터의 제작 시 사용된 하드웨어(H/W)나 소프트웨어(S/W)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하여
  3. 표준 형식에 맞추어 하나의 기관에서 구축한 데이터를 많은 기관들이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4. 데이터의 공동 활용을 통하여 데이터의 중복구축을 방지함으로써 데이터 구축비용을 절약하기 위하여
(정답률: 71%)
  • 서로 다른 기관 간 데이터의 복제를 방지하고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표준화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백터 데이터와 래스터 데이터를 비교 설명한 것을 옳지 않은 것은?

  1. 래스터 데이터의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다.
  2. 래스터 데이터가 환경 분석에 더 용이하다.
  3. 벡터 데이터는 객체의 정확한 경계선 표현이 용이하다.
  4. 래스터 데이터도 벡터 데이터와 같이 위상을 가질 수 있다.
(정답률: 68%)
  • "래스터 데이터도 벡터 데이터와 같이 위상을 가질 수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래스터 데이터가 공간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식 중 하나로, 픽셀 단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벡터 데이터와는 구조가 다르지만, 래스터 데이터 내에서도 객체의 위치와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위상 정보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래스터 데이터와 벡터 데이터는 서로 다른 구조와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모두 공간 데이터를 표현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건물이나 도로와 같이 지표면상에 존재하고 있는 모든 사물이나 개체에 대해 표준화된 고유한 번호를 부여하여 검색, 활용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고자 하는 체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UGID
  2. UFID
  3. RFID
  4. USIM
(정답률: 55%)
  • 정답은 "UFID"이다.

    - "UGID"는 "Unique Global Identifier"의 약자로, 전 세계적으로 고유한 식별자를 의미한다. 하지만 건물이나 도로와 같은 지표면상의 사물에 대해서는 적합하지 않다.
    - "RFID"는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약자로, 무선 식별 기술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는 사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보다는 사물 자체를 식별하는 데에 더 적합하다.
    - "USIM"은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의 약자로, 휴대폰 등 이동통신 기기에서 사용되는 SIM 카드를 의미한다. 건물이나 도로와 같은 지표면상의 사물과는 관련이 없다.
    - 따라서, "UFID"는 "Unique Facility Identifier"의 약자로, 건물이나 도로와 같은 지표면상의 사물에 대해 표준화된 고유한 번호를 부여하여 검색, 활용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고자 하는 체계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기술(software와 hardware)
  2. 공공 기관
  3. 지료(data)
  4. 인력
(정답률: 70%)
  • GIS의 구성요소는 기술, 지료, 인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공공 기관은 GIS를 구성하는 요소가 아니며, GIS를 활용하는 주체 중 하나일 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공 기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위상모형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기초적 공간분석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중첩 분석
  2. 인접성 석
  3. 위험성 석
  4. 네트워크 석
(정답률: 70%)
  • 위험성 석은 공간적 위험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위상모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초적 공간분석 중 적절한 것이다. 중첩 분석은 공간적 중첩 관계를 분석하는 지표, 인접성 석은 특정 지역의 주변 지역과의 연결성을 평가하는 지표, 네트워크 석은 도로망 등의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지리정보시스템(GIS) 산업의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자료 시각화 기술의 발달
  2. 정보의 독점 강화
  3. 오픈소스 기반 GIS 소프트웨어의 발달
  4. 자료 유통체계 확립
(정답률: 80%)
  • 정보의 독점 강화는 GIS 산업 내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자사의 정보를 외부에 공개하지 않고 독점적으로 보유하려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이는 산업 내 경쟁을 제한하고 혁신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산업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GNSS 신호가 고각이 작을수록 대기효과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 주된 이유는?

  1. 수신기 안테나의 방향인 연직방향과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2. 위성과 수신기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기 때문이다.
  3. 신호가 통과하는 대기층의 두께가 커지기 때문이다.
  4. 신호의 주파수가 변하기 때문이다.
(정답률: 56%)
  • GNSS 신호가 고각이 작을수록 대기층을 통과하는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대기효과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됩니다. 이는 신호가 통과하는 대기층의 두께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지구좌표계가 아닌 것은?

  1. 경위도 좌표계
  2. 평면 직교 좌표계
  3. 황도 좌표계
  4. 국제 횡메르카토르(UTM) 좌표계
(정답률: 75%)
  • 황도 좌표계는 지구의 적도를 기준으로 좌표를 나타내는 좌표계이며, 지구의 전체를 다루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지구좌표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자료의 입력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와 관계없는 것은?

  1. 공간정보가 불완전하거나 중복된 경우
  2. 공간정보의 위치가 부정확한 경우
  3. 공간정보가 좌표로 표현된 경우
  4. 공간정보가 왜곡된 경우
(정답률: 73%)
  • 공간정보가 좌표로 표현된 경우는 입력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와 관계없는 것이다. 이는 좌표를 통해 정확한 위치를 나타내기 때문에 입력과정에서의 오류와는 별개로 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항법메시지 파일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정보는?

  1. 위성궤도
  2. 시계오차
  3. 수신기위치
  4. 시간
(정답률: 48%)
  • 항법메시지 파일에는 위성궤도, 시계오차,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만, 수신기 위치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수신기 위치는 항상 변하기 때문에, 수신기가 이 정보를 직접 계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신기 위치는 GPS 수신기가 직접 측정하고 계산해야 하는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2차원 쿼드트리(Quadtree)에서 B의 면적은? (단, 최하단에서 하나의 셀 면적을 2로 가정)

  1. 10
  2. 12
  3. 14
  4. 16
(정답률: 67%)
  • 쿼드트리는 4개의 사분면으로 나누어진다. 각각의 사분면은 다시 쿼드트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B 영역은 4개의 작은 쿼드트리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작은 쿼드트리는 면적이 2x2=4 이므로, B 영역의 면적은 4x4=1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인접한 지도들의 경계에서 지형을 표현할 때 위치나 내용의 불일치를 제거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용어는?

  1. 영상 강조(image enhancement)
  2. 경계선 정합(edge matching)
  3. 경계 추출(edge detection)
  4. 편집(editing)
(정답률: 55%)
  • 인접한 지도들의 경계에서 지형을 표현할 때 위치나 내용의 불일치를 제거하는 처리를 경계선 정합(edge matching)이라고 합니다. 이는 인접한 지도들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하여 지도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지도를 보다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한 처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RTK-GPS에 의한 세부측량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RTK-GPS관측에 의해 지형도 등의 작성에 필요한 수치데이터를 취득하는 작업을 말한다.
  2. RTK-GPS관측에 의해 구조물의 변형과 변위를 관측하는 작업을 말한다.
  3. RTK-GPS관측에 의해 국가기준점인 삼각점을 설치하는 작업을 말한다.
  4. RTK-GPS관측에 의해 국도 변에 설치된 수준점의 타원체고를 구하는 작업을 말한다.
(정답률: 57%)
  • RTK-GPS는 Real-Time Kinematic GPS의 약자로, 실시간으로 정확한 위치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이를 이용하여 지형도 등의 작성에 필요한 수치데이터를 취득하는 작업을 말한다. 따라서 정답은 "RTK-GPS관측에 의해 지형도 등의 작성에 필요한 수치데이터를 취득하는 작업을 말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GPS에서 전송되는 L1 신호의 주파수가 1575.42MHz일 때 L1 신호의 파장 200000개의 거리는? (단, 광속(c)=299792458m/s이다.)

  1. 15754.200m
  2. 19029.367m
  3. 31508.400m
  4. 38058.734m
(정답률: 39%)
  • 파장과 주파수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파장 = 광속 / 주파수

    따라서 L1 신호의 파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파장 = 299792458 / 1575.42 x 10^6 = 0.19029367m

    200000개의 파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200000 x 0.19029367m = 38058.734m

    따라서 L1 신호의 파장 200000개의 거리는 38058.734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은 6×6 화소 크기의 래스터 데이터를 수치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 데이터를 2×2 화소 크기의 데이터를 만들고자 한다. 2×2 화소 데이터의 수치값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중앙값 방법(Median Method)을 사용하고자 할 때 결과로 옳은 것은?

(정답률: 56%)
  • 2×2 화소 데이터를 만들 때 중앙값 방법을 사용하면, 2×2 영역에서 가운데 위치한 값(중앙값)을 새로운 화소 값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2×2 영역의 값이 [1, 2, 3, 4]라면 중앙값은 2.5이므로 새로운 화소 값은 2.5가 된다. 따라서, 주어진 래스터 데이터를 2×2 화소 데이터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 , , ]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메타데이터(Metadata)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간데이터와 관련된 일련의 정보를 제공해 준다.
  2. 자료의 생산, 유지, 관리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3. 대용량 공간 데이터를 구축하는데 드는 엄청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해 준다.
  4. 공간데이터 제작자와 사용자 모두 표준용어와 정의에 동의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76%)
  • "공간데이터 제작자와 사용자 모두 표준용어와 정의에 동의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메타데이터는 데이터를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 정보가 일관성 있고 표준화되어 있지 않으면 데이터의 활용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메타데이터는 표준화되어 있어야 하며, 제작자와 사용자 모두가 동의하는 표준용어와 정의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거리 관측 시 발생되는 오차 중 정오차가 아닌 것은?

  1. 표준장력과 가해진 장력의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차
  2. 표준길이와 줄자의 눈금이 틀려서 발생하는 오차
  3. 줄자의 처짐으로 인하여 생기는 오차
  4. 눈금의 오독으로 인하여 생기는 오차
(정답률: 66%)
  • 눈금의 오독으로 인하여 생기는 오차는 거리를 측정할 때 줄자나 기기의 눈금을 잘못 읽거나 해석하는 등의 인간의 실수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따라서 이는 정오차가 아닌 인적 오차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삼각망 중에서 조건식의 수가 가장 많으며 정확도가 가장 높은 것은?

  1. 사변형망
  2. 단열삼각망
  3. 유심다각망
  4. 유각형망
(정답률: 55%)
  • 사변형망은 조건식의 수가 가장 많으며, 정확도가 가장 높은 삼각망입니다. 이는 사변형망이 네 개의 꼭짓점과 네 개의 변을 가지고 있어서, 다른 삼각망들보다 더 많은 조건식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사변형망은 각 변의 길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더욱 정확한 측량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사변형망은 건축, 측량, 지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수준척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수준척은 연직으로 세워야 한다.
  2. 관측자가 수준척의 눈금을 읽을 때에는 수준척을 기계를 향하여 앞ㆍ뒤로 조금씩 움직여 제일 큰 눈금을 읽어야 한다.
  3. 표척수는 수준척의 이음매에서 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4. 수준척을 세울 때는 침하하기 쉬운 곳에는 표척대를 놓고 그 위에 수준척을 세워야 한다.
(정답률: 65%)
  • 답: "수준척을 세울 때는 침하하기 쉬운 곳에는 표척대를 놓고 그 위에 수준척을 세워야 한다."

    이유: 수준척을 기계를 향하여 앞ㆍ뒤로 조금씩 움직여 제일 큰 눈금을 읽는 것은 수준척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이다. 수준척을 세울 때는 침하하기 쉬운 곳에는 표척대를 놓고 그 위에 수준척을 세워야 한다는 것은 수준척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다. 따라서 두 가지 방법은 각각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주의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관측자가 수준척의 눈금을 읽을 때에는 수준척을 기계를 향하여 앞ㆍ뒤로 조금씩 움직여 제일 큰 눈금을 읽어야 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각측량의 수평각 관측에서 일명 협각법이라고도 하며, 어떤 측선이 그 앞의 측선과 이루는 각을 관측하는 방법은?

  1. 배각법
  2. 편각법
  3. 고정법
  4. 교각법
(정답률: 42%)
  • 다각측량에서 수평각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인 협각법은, 두 개의 측선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그 두 측선이 이루는 각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측정하는 각도를 교각이라고 하며, 따라서 이 방법을 교각법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하천, 항만측량에 많이 이용되는 지형표시방법으로 표고를 숫자로 도상에 나타내는 방법은?

  1. 점고법
  2. 음영법
  3. 채색법
  4. 등고선법
(정답률: 76%)
  • 점고법은 지형의 높낮이를 숫자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하천이나 항만 등의 수심 측량에 많이 사용됩니다. 이 방법은 지형의 높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각 지점의 높이를 숫자로 표시하고, 이를 점으로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나타낸 점들을 연결하여 등고선을 그리는 등고선법과는 달리, 점고법은 각 지점의 높이를 직접 표시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측량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지구의 반지름이 6370km이며 삼각형의 구과량이 15“일 때 구면삼각형의 면적은?

  1. 1934km2
  2. 2254km2
  3. 2951km2
  4. 3934km2
(정답률: 45%)
  • 구과량이 15이므로 구의 반지름은 15의 세제곱근이 되고, 이는 약 3.872이다. 이때 구면삼각형의 면적은 구의 표면적에서 삼각형이 차지하는 비율을 곱한 것이다. 구의 표면적은 4πr^2 이므로, 4π(3.872)^2 = 약 188.5이다. 이때 삼각형이 차지하는 비율은 1/6이므로, 188.5/6 = 약 31.4이다. 따라서 구면삼각형의 면적은 약 31.4(6370)^2 = 약 2951k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직사각형 토지의 관측값이 가로변=100±0.02cm, 세로변=50±0.01cm이었다면 이 토지의 면적에 대한 평균제곱근오차는?

  1. ±0.707cm2
  2. ±1.03cm2
  3. ±1.414cm2
  4. ±2.06cm2
(정답률: 59%)
  • 면적 = 가로변 × 세로변 = 100cm × 50cm = 5000cm2

    면적에 대한 평균제곱근오차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면적/∂가로변 × s가로변)2 + (∂면적/∂세로변 × s세로변)2)

    여기서 ∂면적/∂가로변 = 세로변, ∂면적/∂세로변 = 가로변 이므로,

    √((세로변 × s가로변)2 + (가로변 × s세로변)2)

    = √((50cm × 0.02cm)2 + (100cm × 0.01cm)2)

    = √(0.0025cm2 + 0.0100cm2)

    = √0.0125cm2

    = 0.1118cm

    따라서, 면적에 대한 평균제곱근오차는 약 ±0.1118cm2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1.414cm2" 로 주어졌다. 이는 면적에 대한 평균제곱근오차를 2로 나눈 값인 √2 × 0.1118cm2 ≈ 0.1581cm2 로 반올림한 값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답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각관측에서 망원경의 정위, 반위로 관측한 값을 평균하면 소거할 수 있는 오차는?

  1. 오독에 의한 착오
  2. 시준축 오차
  3. 연직축 오차
  4. 분도반의 눈금오차
(정답률: 66%)
  • 망원경으로 관측할 때, 망원경의 시준축과 연직축이 정확하게 맞아떨어져야 정확한 관측이 가능하다. 하지만 실제로는 망원경의 시준축과 연직축이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는 각각의 관측에서 망원경의 정위와 반위를 측정하면서 발생하는 오차 중에서 시준축 오차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시준축 오차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A점에서 트래버스 측량을 실시하여 A점에 되돌아왔더니 위거의 오차 40cm, 경거의 오차는 25cm이었다. 이 트래버스 측량의 전측선장의 합이 943.5m이었다면 트래버스 측량의 폐합오차는?

  1. 1/1000
  2. 1/2000
  3. 1/3000
  4. 1/4000
(정답률: 47%)
  • 전측선장의 합은 오차를 보정한 실제 거리와 측정한 거리의 합이므로, 전측선장의 합은 실제 거리보다 측정한 거리가 65cm 더 길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폐합오차는 전측선장의 합의 1/2000이 된다. 이는 측정한 거리의 1/2000에 해당하는 값이 폐합오차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표준길이보다 3cm가 긴 30m의 줄자로 거리를 관측한 결과, 2점간의 거리가 300m이었다. 실제거리는?

  1. 299.3m
  2. 299.7m
  3. 300.3m
  4. 300.7m
(정답률: 58%)
  • 표준길이보다 3cm가 긴 줄자를 사용했으므로, 실제 거리는 측정 거리보다 더 길 것이다. 따라서, 300m의 측정 거리에 3cm를 더한 300.3m가 실제 거리이다. 따라서 정답은 "300.3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직접수준측량을 하여 2km를 왕복하는데 오차가 ±16mm이었다면 이것과 같은 정밀도로 측량하여 10km를 왕복 측량하였을 때에 예상되는 오차는?

  1. ±20mm
  2. ±25mm
  3. ±36mm
  4. ±42mm
(정답률: 50%)
  • 직접수준측량에서 오차는 거리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2km를 왕복할 때의 오차를 1km로 나누어서 구하면 8mm이 된다. 이 오차는 10km를 왕복할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10km를 왕복할 때의 예상 오차는 8mm × 10 = 80mm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오차의 범위가 ±16mm로 주어졌으므로, 이 값을 80mm에 더하거나 빼서 최종 예상 오차 범위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6mm + 80mm = ±96mm이지만,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36mm이므로 정답은 "±36m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삼변측량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삼변측량 시 cosine 제2법칙, 반각공식을 이용하면 변으로부터 각을 구할 수 있다.
  2. 삼변측량의 정확도는 삼변망이 정오각형 또는 정육각형을 이루었을 때 가장 이상적이다.
  3. 삼변측량 시 관측점에서 가능한 모든 점에 대한 변관측으로 조건식 수를 증가시키면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4. 삼변측량에서 관측대상이 변의 길이이므로 삼각형의 내각이 10° 이하인 경우에 매우 유용하다.
(정답률: 67%)
  • "삼변측량에서 관측대상이 변의 길이이므로 삼각형의 내각이 10° 이하인 경우에 매우 유용하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삼변측량에서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측정하여 각도를 계산하기 때문에, 내각이 작을수록 측정이 더 정확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각이 10° 이하인 작은 삼각형에서는 삼변측량이 매우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광파거리 측량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두 점간의 시준만 되면 관측이 가능하다.
  2. 안개나 구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3. 주로 중ㆍ단거리 측정용으로 사용된다.
  4. 조작인원은 1명으로도 가능하다.
(정답률: 63%)
  • "안개나 구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광파거리 측량기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데, 안개나 구름 등의 대기 조건에 따라 레이저가 반사되거나 흡수될 수 있어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대기 조건에 따라 측정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지형도에서 80m 등고선상의 A점과 120m 등고선상 B점간의 도상 거리가 10cm이고 두 점을 직선으로 잇는 도로의 경사도가 10%이었다면 이 지형도의 축척은?

  1. 1:500
  2. 1:2000
  3. 1:4000
  4. 1:5000
(정답률: 36%)
  • 도상 거리는 실제 거리를 축척으로 나눈 값이므로, 80m 등고선과 120m 등고선 사이의 실제 거리는 10cm × 축척이 된다. 따라서,

    120m - 80m = 40m = 10cm × 축척

    축척 = 4000

    또한, 경사도가 10%이므로, 100m 거리당 10m의 고도차가 있다. 따라서, A점과 B점 사이의 고도차는 40m이므로, 이를 100으로 나눈 값이 경사도가 되며, 40 ÷ 100 = 0.4이다. 이 값이 10%와 같으므로,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이 성립한다.

    따라서, 이 지형도의 축척은 1:4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공공측량성과를 사용하여 지도 등을 간행하여 판매하려는 공공측량시행자는 해당 지도등의 필요한 사항을 발매일 며칠 전까지 누구에게 통보하여야 하는가?

  1. 7일전, 국토관리청장
  2. 7일전, 국토지리정보원장
  3. 15일전, 국토관리청장
  4. 15일전, 국토지리정보원장
(정답률: 54%)
  • 공공측량시행자가 지도 등을 발매하기 전에는 해당 지도 등의 필요한 사항을 국토지리정보원장에게 15일전까지 통보해야 합니다. 이는 국토지리정보원이 지도 등의 품질을 검토하고 승인하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5일전, 국토지리정보원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1. 측량기준점표지를 이전 또는 파손한 자
  2. 성능검사를 부정하게 한 성능검사대행자
  3. 법을 위반하여 측량성과를 국외로 반출한 자
  4. 측량성과 또는 측량기록을 무단으로 복제한 자
(정답률: 49%)
  • 측량성과나 측량기록을 무단으로 복제하는 것은 다른 사람의 지적재산권을 침해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법적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각 좌표계에서의 직각좌표를 TM(Transverse Mercator, 횡단 머케이터) 방법으로 표시할 때의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X축은 좌표계 원점의 적도선에 일치하도록 한다.
  2. 진북방향을 정(+)으로 표시한다.
  3. Y축은 X축에 직교하는 축으로 한다.
  4. 진동방향을 정(+)으로 한다.
(정답률: 47%)
  • "X축은 좌표계 원점의 적도선에 일치하도록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TM 방법은 원점을 중심으로 한 지역 좌표계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X축은 중심 경선에 일치하도록 설정한다. 따라서 X축은 반드시 좌표계 원점의 적도선에 일치할 필요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실시하는 측량을 기본측량이라 한다.
  2. 국가, 지방자치단체,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관이 관계 법령에 따른 사업 등을 시행하기 위하여 기본측량을 기초로 실시하는 측량을 공공측량이라 한다.
  3. 공공의 이해 또는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측량은 기본측량으로 지정할 수 있다.
  4. 일반측량은 기본측량, 공공측량, 지적측량, 수로측량 외의 측량을 말한다.
(정답률: 58%)
  •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공공의 이해 또는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측량은 기본측량으로 지정할 수 없다는 것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공공의 이해나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측량은 기본측량으로 지정하여 공공의 이익을 보호하고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실시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기본측량의 실시 공고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측량의 정확도
  2. 측량의 실시지역
  3. 측량성과의 보관 장소
  4. 설치한 측량기준점의 수
(정답률: 53%)
  • 기본측량의 실시 공고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 중에서 측량의 실시지역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는 측량이 실시될 구체적인 지역을 공고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주민들이나 관련 업체들이 미리 인지하고 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측량의 정확도, 측량성과의 보관 장소, 설치한 측량기준점의 수는 모두 중요한 사항이지만, 이들은 측량의 실시지역과는 별개의 사항으로, 따로 공고되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측량기기 중 토털 스테이션의 성능검사 주기로 옳은 것은?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률: 82%)
  • 토털 스테이션은 정밀한 측량 작업에 사용되는 기기로, 정확한 측정 결과를 보장하기 위해 정기적인 성능검사가 필요합니다. 이때 성능검사 주기는 일반적으로 3년입니다. 이는 기기의 정확도와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주기로, 1년이나 2년은 너무 짧고 5년은 너무 길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년이 적절한 성능검사 주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