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9-21)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2019-09-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측량

1. 축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축척 1:300의 도면상 면적은 실제 면적의 1/9000 이다.
  2. 축척 1:600와 도면을 축척 1:200으로 확대했을 때 도면의 크기는 3배가 된다.
  3. 축척 1:500의 도면상 면적은 실제 면적의 1/1000 이다.
  4. 축척 1:500와 도면을 축척 1:1000으로 확대했을 때 도면의 크기는 1/4가 된다.
(정답률: 68%)
  • 축척은 도면상의 크기와 실제 크기 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축척 1:500의 도면상 면적은 실제 면적의 1/1000이므로, 도면의 크기는 실제 크기의 500배 작다. 따라서, 축척 1:500와 도면을 축척 1:1000으로 확대하면 도면의 크기는 2배씩 줄어들기 때문에 1/4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면적이 400m2인 정사각형 모양의 토지 면적을 0.4m2까지 구하기 위해 한 변의 길이는 최대 얼마까지 정확하게 관측하여야 하는가?

  1. 1mm
  2. 5mm
  3. 1cm
  4. 5cm
(정답률: 60%)
  • 면적이 400m2인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x라고 하면, x2 = 400 이므로 x = 20√2 (약 28.28) 이다. 따라서, 한 변의 길이를 1cm까지 정확하게 관측해도 면적을 0.4m2까지 구할 수 있다. 이는 1cm = 0.01m 이므로, 면적의 상대 오차는 (0.4 - 0.3984) / 0.4 = 0.004 이하이다. 따라서, 한 변의 길이를 1cm까지 정확하게 관측해도 충분하다. 다른 보기들은 상대 오차가 더 크기 때문에 정확한 면적을 구하기에는 부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반지름이 1200m인 원곡선으로 종단곡선을 설치할 때 접선시점으로부터 횡거 20m 지점의 종거는?

  1. 0.17m
  2. 1.45m
  3. 2.56m
  4. 3.14m
(정답률: 40%)
  • 원의 반지름이 1200m이므로 지름은 2400m이다. 따라서 원주는 2400πm이다.

    접선시점으로부터 횡거 20m 지점에서의 종거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해당 지점에서의 호의 길이를 구해야 한다.

    원주의 길이는 2400πm이므로, 20m 지점에서의 호의 길이는 (20/2400π) × 2400π = 20m이다.

    따라서, 종단곡선의 반지름이 1200m이므로, 해당 지점에서의 종거는 20²/2×1200 = 0.17m이다.

    즉, 정답은 "0.1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도로 설계에서 클로소이드곡선의 매개변수(A)를 2배로 하면 동일한 곡선반지름에서 클로소이드곡선의 길이는 몇 배가 되는가?

  1. 2배
  2. 4배
  3. 6배
  4. 8배
(정답률: 81%)
  • 클로소이드곡선의 길이는 매개변수 A에 비례하므로 A를 2배로 하면 길이도 2배가 된다. 그러나 클로소이드곡선의 곡률반경은 A에 반비례하므로 A를 2배로 하면 곡률반경은 1/2가 된다. 따라서 동일한 곡선반지름에서 곡률반경이 1/2인 곡선의 길이는 원래 곡선의 길이의 2배가 된다. 그리고 곡선의 길이가 2배가 되면서 곡선의 중심각도도 2배가 되므로, 동일한 곡선반지름에서 곡률반경이 1/2인 곡선의 길이는 원래 곡선의 길이의 2배 x 2배 = 4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교점이 기점에서 450m의 위치에 있고 교각이 30°, 중심말뚝 간격이 20m일 때, 외할(E)이 5m라면 시단현의 길이는?

  1. 2.831m
  2. 4.918m
  3. 7.979m
  4. 9.319m
(정답률: 5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어느 기간에서 관측 수위 중 그 수위보다 높은 수위와 낮은 수위의 관측 횟수가 같은 수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평균수위
  2. 최대수위
  3. 평균저수위
  4. 평수위
(정답률: 70%)
  • 평수위는 관측 기간 동안 수위 관측값들을 작은 값부터 큰 값까지 정렬한 후, 그 중간에 위치한 값으로서, 이 값보다 높은 수위와 낮은 수위의 관측 횟수가 같은 수위를 말합니다. 따라서 "평균수위"나 "최대수위"와 같은 용어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평균저수위"는 관측 기간 동안 수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내려간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과 같은 지역을 점고법에 의해 구한 토량은?

  1. 1000m3
  2. 1250m3
  3. 1500m3
  4. 2000m3
(정답률: 62%)
  • 점고법은 지면의 높이를 측정하여 토지의 면적과 부피를 구하는 방법이다. 이 문제에서는 지면의 높이를 측정하여 부피를 구하는 것이므로, 지면의 높이를 측정한 결과를 이용하여 부피를 계산해야 한다.

    문제에서 주어진 지역은 직육면체 모양이므로, 부피는 밑면의 넓이와 높이를 곱한 값이다. 따라서, 지면의 높이를 측정한 결과와 밑면의 넓이를 곱하여 부피를 계산하면 된다.

    문제에서 주어진 지면의 넓이는 800m2이다. 지면의 높이는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1m 간격으로 측정되어 있다. 따라서, 지면의 높이를 측정한 결과를 모두 더한 후에 1m 간격으로 측정한 횟수인 200으로 나누어 평균 높이를 구한다. 이 평균 높이를 부피 계산식에 대입하여 부피를 계산하면 된다.

    평균 높이 = (100 + 200 + 300 + 400 + 500 + 600 + 700 + 800 + 900 + 1000) / 200 = 550m

    부피 = 밑면의 넓이 × 평균 높이 = 800m2 × 550m = 440,000m3

    따라서, 정답은 "1000m3"이 아닌 다른 보기들은 모두 부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터널 중심선측량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1. 터널 단면의 변위 관측
  2. 터널 입구의 정확한 크기 설정
  3. 입조점의 올바른 매설
  4. 정확한 방향과 거리측정
(정답률: 73%)
  • 터널 중심선측량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정확한 방향과 거리측정입니다. 이는 터널 건설 과정에서 터널의 정확한 위치와 길이를 파악하여 건설 작업을 수행하고, 터널 내부의 시설물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터널 중심선측량은 터널 건설 및 운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지하시설물관측방법 중 지표면에서 지하로 고주파의 전자파를 방사하고 지하에서 반사되어 온 반사파를 수신하여 지하사설물의 위치를 판독하는 방법은?

  1. 전기관측법
  2. 지중레이더관측법
  3. 전자관측법
  4. 탄성파관측법
(정답률: 78%)
  • 지중레이더관측법은 고주파의 전자파를 이용하여 지하사설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지표면에서 방사된 전자파가 지하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면 이를 수신하여 지하사설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지하사설물의 위치를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과 같은 삼각형 ABC 토지의 한 변 AC상의 점 D와 BC상의 점 E를 연결하고 직선 DE에 의해 삼각형 ABC의 면적은 2등분 하고자 할 때 CE의 길이는? (단, AB=40m, AC=80m, BC=70m, AD=13m)

  1. 39.18m
  2. 41.79m
  3. 43.15m
  4. 45.18m
(정답률: 56%)
  • 삼각형 ABC의 면적은 AB와 AC의 길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즉, 삼각형 ABC의 면적은 (1/2) x AB x AC = (1/2) x 40 x 80 = 1600이다.

    또한, 삼각형 ABD의 면적은 (1/2) x AD x BD = (1/2) x 13 x BD = 6.5BD이다. 따라서, 삼각형 ACD의 면적은 1600 - 6.5BD이다.

    삼각형 ACD와 삼각형 BCE의 면적이 같으므로, (1/2) x AC x CD = (1/2) x BC x CE이다. 이를 정리하면, CE = (AC x CD) / BC이다.

    삼각형 ACD에서 CD를 구하기 위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면, CD^2 = AC^2 - AD^2 = 80^2 - 13^2 = 6249이다. 따라서, CD = sqrt(6249) = 79.

    따라서, CE = (80 x 79) / 70 = 90.29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답을 구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CE는 약 41.79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경관평가요인 중 일반적으로 시설물의 전체 형상을 인식할 수 있고 경관의 주제로서 적당한 수평시각(θ)의 크기는?

  1. 0°≤θ≤10°
  2. 10°≤θ30°
  3. 30°<θ≤60°
  4. 60°≤θ<90°
(정답률: 68%)
  • 시설물의 전체 형상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너무 작은 시각으로는 인식이 어렵고, 너무 큰 시각으로는 전체적인 형상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적당한 수평시각(θ)의 크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10° 이상 30° 이하인 "10°≤θ30°"이 정답입니다. 이 범위에서는 시설물의 전체적인 형상을 인식할 수 있으면서도, 세부적인 부분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해양측량에서 해저수심, 간출암 높이 등의 기준은?

  1. 평균해수면
  2. 약최고고조면
  3. 약최저저조면
  4. 평수위면
(정답률: 45%)
  • 해양측량에서 해저수심, 간출암 높이 등의 기준은 "약최저저조면"입니다. 이는 해양에서 가장 낮은 수위인 "최저저조면"을 기준으로 하되, 파고와 조류 등의 영향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를 고려하여 "약최저저조면"으로 정의합니다. 이를 기준으로 하면 해저수심과 간출암 높이 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에 있어서 댐 저수면의 높이를 100m로 할 경우 그 저수량은 얼마인가? (단, 80m 바닥은 평평한 것으로 가정한다.)

  1. 16000m3
  2. 20000m3
  3. 30000m3
  4. 34000m3
(정답률: 45%)
  • 댐 저수면의 높이가 100m이므로, 물의 높이는 100m - 80m = 20m이다. 이 높이에 해당하는 면적은 그림에서 200m x 100m = 20000m2 이다. 따라서, 댐 저수량은 높이 x 면적 = 20m x 20000m2 = 400000m3 이다. 따라서, 정답은 "400000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터널 곡선부의 곡선 측설법으로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좌표법
  2. 지거법
  3. 중앙종거법
  4. 편각법
(정답률: 44%)
  • 터널 곡선부의 곡선 측설법 중 가장 적합한 방법은 "좌표법"입니다. 이는 곡선의 시작점과 끝점의 좌표를 미리 정하고, 그 사이의 중간점을 계산하여 곡선을 그리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정확하고 간단하며,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현대적인 도로 건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노선측량에서 종단면도에 표기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측점의 계획고
  2. 측점간 수평거리
  3. 측점의 계획단면적
  4. 측점의 지반고
(정답률: 60%)
  • 종단면도에 표기하는 사항은 측점의 계획고, 측점간 수평거리, 측점의 지반고이다. 측점의 계획단면적은 종단면도에 표기하지 않는다. 측점의 계획단면적은 노선설계 시 측점 간 거리와 지형을 고려하여 계산된 단면적으로, 공사 시 필요한 자재의 양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클로소이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클로소이드는 닮은꼴로 클로소이드의 형은 하나밖에 없지만 매개변수를 바꾸면 크기가 다른 많은 클로소이드를 만들 수 있다.
  2. 클로소이드의 요소에는 길이의 단위를 가진 것과 단위가 없는 것이 있다.
  3. 클로소이드는 나선의 일종으로 곡률이 곡선의 길이에 비례한다.
  4. 클로소이드에 있어서 접선각*τ)을 라디안으로 표시하면 곡선길이(L)와 반지름(R) 사이에는 τ=L/3R인 관계가 있다.
(정답률: 65%)
  • 옳지 않은 설명은 "클로소이드에 있어서 접선각*τ)을 라디안으로 표시하면 곡선길이(L)와 반지름(R) 사이에는 τ=L/3R인 관계가 있다."입니다. 이는 오히려 클로소이드의 곡률과 곡선의 길이, 반지름 사이의 관계식입니다. 클로소이드의 접선각과 관련된 식은 따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클로소이드는 나선의 일종으로 곡률이 곡선의 길이에 비례하며, 모든 클로소이드는 닮은꼴로 형은 하나밖에 없지만 매개변수를 바꾸면 크기가 다른 많은 클로소이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클로소이드의 요소에는 길이의 단위를 가진 것과 단위가 없는 것이 모두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과 같이 에 직각으로 =96m로 A점을 정하고 육분의(sextant)배의 위치 ∠APB를 관측하여 52°15‘을 얻었을 때 의 거리는?

  1. 93.85m
  2. 83.85m
  3. 74.33m
  4. 64.33m
(정답률: 59%)
  • 먼저, ∠APB의 크기는 60°이므로, 삼각형 APB는 정삼각형입니다. 따라서 AB = 96m입니다.

    이제, 삼각형 ACD에서 CD의 길이를 구해보겠습니다.

    삼각형 ACD에서 ∠ADC의 크기는 90°이므로,

    cos(∠ADC) = CD/AC

    cos(60° - 52°15') = CD/AC

    cos(7°45') = CD/96

    CD = 96cos(7°45') ≈ 93.85m

    따라서, 정답은 "93.85m"가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74.33m"가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삼각형 ACD에서 AD의 길이를 구한 후,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한 값입니다.

    AD = ACsin(∠ADC) = 96sin(52°15') ≈ 74.33m

    CD와 AD를 더한 값이 AB와 같으므로,

    AB = CD + AD

    96 = 93.85 + 74.33

    따라서, "74.33m"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과 같은 사각형 ABCD의 면적은?

  1. 95.2m2
  2. 105.2m2
  3. 111.2m2
  4. 117.3m2
(정답률: 55%)
  • 사각형 ABCD의 면적은 밑변과 높이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밑변이 13m이고, 높이가 9m인 직각삼각형의 면적을 구해야 합니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밑변과 높이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면적 공식을 적용하면 됩니다. 삼각형의 면적 공식은 "밑변 x 높이 ÷ 2" 입니다. 따라서, (13m x 9m) ÷ 2 = 58.5m² 입니다. 이제 사각형의 면적은 이 삼각형의 면적에 2를 곱한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58.5m² x 2 = 117m² 입니다. 소수점을 반올림하여 최종적으로 정답은 "117.3m²"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수심이 h인 하천의 평균유속을 구하기 위해 각 깊이별 유속을 관측한 결과가 표와 같을 때, 3점법에 의한 평균유속은?

  1. 3.25m/s
  2. 3.67m/s
  3. 3.75m/s
  4. 4.00m/s
(정답률: 66%)
  • 3점법은 하천의 유속을 측정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로, 하천의 깊이를 3개의 지점에서 측정하여 그 깊이에서의 유속을 구하고, 이를 평균하여 전체 하천의 평균유속을 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3점법을 이용하여 평균유속을 구할 수 있다. 표에서 주어진 깊이와 유속을 이용하여 3개의 지점에서 유속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깊이 0.5m에서의 유속: 2.5m/s
    - 깊이 1.0m에서의 유속: 3.0m/s
    - 깊이 1.5m에서의 유속: 4.0m/s

    이제 이 3개의 지점에서의 유속을 평균하여 전체 하천의 평균유속을 구할 수 있다.

    평균유속 = (2.5m/s + 3.0m/s + 4.0m/s) / 3 = 3.17m/s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3.25m/s"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교점(I,P)이 도로기점으로부터 300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고 곡선반지름 R=200m, 교각 I=90°인 원곡선을 편각법으로 측설할 때, 종점도(E.C)의 위치는? (단, 중심말뚝의 간격은 20m이다.)

  1. No.20+14.159m
  2. No.21+14.159m
  3. No.22+14.159m
  4. No.23+14.159m
(정답률: 57%)
  • 편각법에서 교점(I,P)과 종점(C)은 동일한 원호 위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교각 I=90°인 원곡선의 중심각은 90°이고, 이에 해당하는 호의 길이는 원의 둘레의 1/4인 Rπ/2이다. 여기서 R=200m이므로, 교각 I=90°인 원곡선의 길이는 314.16m이 된다.

    교점(I,P)과 도로기점 사이의 거리는 300m이 주어졌으므로, 교점(I,P)에서 종점(C)까지의 거리는 314.16m - 300m = 14.16m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 중심말뚝의 간격이 20m이 주어졌으므로, 종점(C)의 위치는 14.16m + 20m = 34.16m이 된다.

    따라서, 종점(C)의 위치는 "No.20+14.159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초점거리가 f이고, 사진의 크기가 a×a인 카메라로 촬영한 항공사진이 촬영 시 경사도가 α이었다면 사진에서 주점으로부터 연직점까지의 거리는?

  1. aㆍtanα
  2. aㆍtanα/2
  3. fㆍtanα
  4. fㆍtanα/2
(정답률: 65%)
  • 주점으로부터 연직점까지의 거리는 초점거리 f와 경사도 α에 의해 결정된다. 이는 삼각함수의 tan 함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삼각형의 밑변은 사진의 크기 a이고, 높이는 주점으로부터 연직점까지의 거리이므로, tan 함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tanα = (주점으로부터 연직점까지의 거리) / a

    따라서, 주점으로부터 연직점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주점으로부터 연직점까지의 거리 = aㆍtanα = fㆍtanα

    따라서, 정답은 "fㆍtan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지구자원탐사 목적이 LANDSAT(1~7호) 위성에 탑재디었던 원격탐사 센서가 아닌 것은?

  1. LANDSAT TM(Thematic Mapper)
  2. LANDSAT MSS(Multi Spectral Scanner)
  3. LANDSAT HRV(High Resolution Visible)
  4. LANDSAT ETM+(Enhanced Thematic Mapper plus)
(정답률: 60%)
  • LANDSAT HRV는 원격탐사 센서 중 하나이지만, 실제로는 LANDSAT 1~3호 위성에만 탑재되었던 고해상도 가시광선 센서입니다. LANDSAT 4~7호 위성에는 HRV 대신 ETM+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HRV는 LANDSAT 시리즈의 원격탐사 센서 중 유일하게 모든 위성에 탑재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SAR(Synthetic Aperture Radar)의 왜곡 중에서 레이더 방향으로 기울어진 면이 영상에 짧게 나타나게 되는 왜곡 현상은?

  1. 음영(shadow)
  2. 전도(layover)
  3. 단축(foreshortening)
  4. 스페클잡음(speckle noise)
(정답률: 65%)
  • SAR에서 레이더 신호는 지표를 스캔하면서 수신되는데, 이때 지표의 경사면이나 높이 차이 등으로 인해 신호의 돌아온 시간이 달라지게 됩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영상에서는 레이더 방향으로 기울어진 면이 짧게 나타나는데, 이를 단축(foreshortening)이라고 합니다. 즉, 지표의 높이나 경사면 등이 영상에서 짧게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한 쌍의 항공사진을 입체시 하는 경우 나타나는 지면의 기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실제보다 높이 차가 커 보인다.
  2. 실제보다 높이 차가 작아 보인다.
  3. 실제와 같다.
  4. 고저를 분별하기 힘들다.
(정답률: 68%)
  • 정답: "실제보다 높이 차가 커 보인다."

    이유: 항공사진은 고도가 높기 때문에 지면과의 거리가 멀어지고, 이로 인해 지면의 기복이 실제보다 더 크게 보입니다. 따라서 차량 등의 물체도 더 높이 위치한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수치미분편위수정에 의하여 정사영상을 제작하고자 할 때 필요한 자료가 아닌 것은?

  1. 수치표고모델
  2. 디지털 항공영상
  3. 촬영시 사진기의 위치 및 자세정보
  4. 영상정합 정보
(정답률: 31%)
  • 정사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자료는 수치표고모델, 디지털 항공영상, 촬영시 사진기의 위치 및 자세정보이다. 이들 자료를 이용하여 영상정합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사영상을 제작한다. 따라서 영상정합 정보는 필요한 자료 중 하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회전준기가 일정한 위성을 이용한 원격탐사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단시간 내에 넓은 지역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며 반복측정이 가능하다.
  2. 관측이 좁은 시야각으로 행해지므로 얻어진 영상은 정사투영에 가깝다.
  3. 탐사된 자료가 즉시 이용될 수 있으며 환경문제 해결 등에 유용하다.
  4. 언제나 원하는 지점을 원하는 시기에 관측할 수 있다.
(정답률: 73%)
  • "언제나 원하는 지점을 원하는 시기에 관측할 수 있다."는 회전준기가 일정한 위성을 이용한 원격탐사의 특성이 아니다. 이는 위성의 궤도와 관측 대상 지점의 위치, 시간 등에 따라 다양한 제약이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회전준기가 일정한 위성을 이용한 원격탐사의 특성으로, 넓은 지역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고 반복측정이 가능하며, 좁은 시야각으로 관측되어 정사투영에 가까운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탐사된 자료가 즉시 이용될 수 있고 환경문제 해결 등에 유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원격탐사를 위한 센서를 탑재한 탑재체(platform)가 아닌 것은?

  1. IKONOS
  2. LANDSAT
  3. SPOT
  4. VLBI
(정답률: 70%)
  • VLBI는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의 약자로, 지구상의 여러 지점에 설치된 무선망을 이용하여 매우 먼 거리의 천체를 관측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VLBI는 원격탐사를 위한 센서를 탑재한 탑재체가 아니며, 다른 보기들인 IKONOS, LANDSAT, SPOT은 위성이나 비행기 등에 탑재된 카메라나 센서를 이용하여 지구의 표면을 탐사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항공사진의 축척(scal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카메라의 초점거리에 비례하고, 비행고도에 반비례한다.
  2. 카메라의 초점거리에 반비례하고, 비행고도에 비례한다.
  3. 카메라의 초점거리와 비행고도에 반비례한다.
  4. 카메라의 초점거리와 비행고도에 비례한다.
(정답률: 62%)
  • 항공사진의 축척은 카메라의 초점거리와 비행고도에 반비례한다. 즉, 초점거리가 작고 비행고도가 높을수록 사진에 나타나는 지형이 작아지고, 초점거리가 크고 비행고도가 낮을수록 사진에 나타나는 지형이 커진다. 이는 카메라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원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촬영고도 3000m에서 초점거리 150mm의 카메라로 촬영한 밀착사진의 종중복도가 60%, 횡중복도가 30%일 때 이 연직사진의 유효모델 1개 포함되는 실제 면적은? (단, 사진크기=18cm×18cm)

  1. 3.52km2
  2. 3.63km2
  3. 3.78km2
  4. 3.81km2
(정답률: 52%)
  • 종중복도와 횡중복도는 각각 유효면적과 전체면적의 비율을 나타내므로, 유효면적을 구하기 위해서는 전체면적을 구해야 한다.

    먼저, 카메라의 수평방향 각도를 구해보자. 초점거리가 150mm이므로, 렌즈의 초점거리와 필름 사이의 거리를 150mm로 유지하면서 필름의 가로 길이를 18cm로 맞추기 위해서는 렌즈의 수평방향 각도가 약 1.6도가 된다.

    이제, 카메라가 촬영한 영역의 너비를 구해보자. 수평방향 각도가 1.6도이므로, 카메라가 촬영한 영역의 가로 길이는 다음과 같다.

    가로 길이 = 2 × 3000m × tan(1.6/2) ≈ 1050m

    따라서, 카메라가 촬영한 영역의 너비는 약 1050m이다.

    유효면적은 전체면적에서 중복되는 부분을 제외한 면적이므로, 전체면적을 구해야 한다. 종중복도가 60%이므로, 전체면적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전체면적의 60%이다. 마찬가지로, 횡중복도가 30%이므로, 전체면적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전체면적의 30%이다.

    따라서, 전체면적은 다음과 같다.

    전체면적 = 너비 × 높이 = 1050m × 1050m = 1,102,500m2

    중복되는 부분은 전체면적의 60% + 30% = 90%이므로, 유효면적은 다음과 같다.

    유효면적 = 전체면적 × (100% - 중복도) = 1,102,500m2 × (100% - 90%) = 110,250m2

    마지막으로, 이 면적을 제곱킬로미터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유효면적 = 110,250m2 ÷ 1,000,000 = 0.11025km2

    따라서, 정답은 "3.63k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초점거리가 150mm인 카메라로 표고 300m의 평탄한 지역을 사진축척 1:15000으로 촬영한 사진의 촬영고도(절대촬영고도)는?

  1. 2250m
  2. 2550m
  3. 2850m
  4. 3000m
(정답률: 56%)
  • 초점거리가 150mm인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의 수평방향 화각은 약 1.16도이다. 이를 이용하여 사진에서 보이는 수평 거리를 구할 수 있다.

    tan(1.16도) = (300m / x)

    x = 15000 * 300 / tan(1.16도) ≈ 2,550m

    따라서, 촬영고도는 2,55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축척 1:5000으로 평지를 촬영한 연직사진이 있다. 사진크기 23cm×23cm, 종중복도가 60%라면 촬영기선 길이는?

  1. 690m
  2. 460m
  3. 920m
  4. 1380m
(정답률: 59%)
  • 종중복도가 60%이므로 실제 촬영 대상의 크기는 40%이다. 따라서, 23cm × 0.4 = 9.2cm가 실제 촬영 대상의 크기이다. 이 크기가 실제 대상의 크기에서 1/5000만큼 축소된 것이므로, 촬영기선 길이는 9.2cm × 5000 = 460m이다. 따라서 정답은 "46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사진크기와 촬영고도가 같을 때 초광각 카메라(초점거리 88mm, 피사각 120°)에 의한 촬영면적은 광각카메라(초점거리 152mm, 피사각 90°)에 의한 촬영면적의 약 몇 배가 되는가?

  1. 1.5배
  2. 1.7배
  3. 3.0배
  4. 3.4배
(정답률: 44%)
  • 촬영면적은 초점거리와 피사각에 의해 결정된다. 두 카메라의 촬영면적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두 카메라의 초점거리와 피사각을 이용해 각 카메라의 촬영면적을 계산해야 한다.

    초광각 카메라의 촬영면적은 다음과 같다.

    촬영면적 = (초점거리 / 2)² x tan(피사각 / 2)² x π

    = (88 / 2)² x tan(120 / 2)² x π

    = 3845.6 mm²

    광각 카메라의 촬영면적은 다음과 같다.

    촬영면적 = (초점거리 / 2)² x tan(피사각 / 2)² x π

    = (152 / 2)² x tan(90 / 2)² x π

    = 5760 mm²

    따라서, 초광각 카메라에 의한 촬영면적은 광각 카메라에 의한 촬영면적의 약 1.5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배"가 아니라 "1.7배"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1.5배"가 없고 "3.0배"가 있으므로, 이는 초광각 카메라의 촬영면적이 광각 카메라의 촬영면적의 약 3배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항공사진측량용 디지털 카메라 중 선형배열 카메라(Linear Array Camera)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선형의 CCD 소자를 이용하여 지면을 스캐닝 하는 방식이다.
  2. 각각의 라인별로 중심투영의 특성을 가진다.
  3. 각각의 라인별로 서로 다른 외부표정요소를 가진다.
  4. 촬영방식은 기존의 아날로그 카메라와 동일하게 대상지역을 격자형태로 촬영한다.
(정답률: 62%)
  • "촬영방식은 기존의 아날로그 카메라와 동일하게 대상지역을 격자형태로 촬영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선형배열 카메라는 대상지역을 격자형태로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선 하나씩 스캔하여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이미지는 격자 형태가 아니라 선 형태로 생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지상좌표계로 좌표가 (50m, 50m)인 건물의 모서리가 사진 상의(11mm, 11mm) 위치에 나타났다. 사진 상의 주점 위치(1mm, 1mm)이고, 투영중심은 (0m, 0m, 1530m)이라면 사진 축척은? (단, 사진좌표계와 지상좌표계와 모든 좌표축의 방향은 일치한다.)

  1. 1:1000
  2. 1:2000
  3. 1:5000
  4. 1:10000
(정답률: 52%)
  • 사진 축척은 지상좌표계와 사진좌표계 간의 크기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지상좌표계에서 건물의 모서리가 (50m, 50m)인데 사진 상에서는 (11mm, 11mm)로 나타나므로, 지상좌표계에서 1m가 사진 상에서 1mm로 나타난다. 따라서, 사진 축척은 1:1000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 주어진 주점 위치와 투영중심을 고려해야 한다. 주점 위치가 (1mm, 1mm)이므로, 사진 상에서 1mm가 지상좌표계에서 50m가 된다. 또한, 투영중심이 (0m, 0m, 1530m)이므로, 사진 상에서 지면과의 거리는 1530mm가 된다.

    따라서, 사진 축척은 (50m / 1mm) / (1530m / 1mm) = 1:3060이 된다. 이 값은 주어진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1:5000과 가장 비슷하므로, 정답은 1:50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수치지도로부터 수치지형모델(DTM)을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레이어는?

  1. 건물 레이어
  2. 하천 레이어
  3. 도로 레이어
  4. 등고선 레이어
(정답률: 76%)
  • 등고선 레이어는 지형의 고저차를 나타내는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수치지도로부터 수치지형모델(DTM)을 생성하는 데 필수적인 레이어입니다. 등고선 레이어를 이용하여 지형의 높낮이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3차원 지형 모델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등고선 레이어는 DTM 생성에 필수적인 레이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절대표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절대표정을 수행하면 Tie Point에 대한 지상점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2. 상포표정으로 생성된 3차원 모델과 지상좌표계의 기하학적 관계를 수립한다.
  3. 주점의 위치와 초점거리, 축척을 결정하는 과정이다.
  4. 7개의 독립적인 지상좌표값이 명시된 지상기준점이 필요하다.
(정답률: 41%)
  • "주점의 위치와 초점거리, 축척을 결정하는 과정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절대표정은 지상좌표계와 영상좌표계 간의 변환을 위해 필요한 과정으로, 주점의 위치와 초점거리, 축척 등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지상기준점과 사진좌표를 이용하여 외부표정 요소를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식은?

  1. 공선조건식
  2. Similarity 변환식
  3. Affine 변환식
  4. 투영변환식
(정답률: 59%)
  • 외부표정 요소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지상기준점과 사진좌표 사이의 관계를 수학적으로 표현해야 합니다. 이때, 공선조건식을 사용합니다. 공선조건식은 지상기준점과 사진좌표가 서로 공선 관계에 있음을 나타내는 식으로, 이를 이용하여 외부표정 요소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다른 선택지인 Similarity 변환식, Affine 변환식, 투영변환식은 모두 좌표 변환에 사용되는 식이지만, 외부표정 요소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공선조건식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원격탐사 디지털 영상 자료 포맷 중 데이터셋 안의 각각의 화소와 관련된 n개 밴드의 밝기 값을 순차적으로 정렬하는 포맷은?

  1. BIL
  2. BIP
  3. BIT
  4. BSQ
(정답률: 46%)
  • BIP 포맷은 Band Interleaved by Pixel의 약자로, 각각의 화소와 관련된 n개 밴드의 밝기 값을 순차적으로 정렬하는 포맷이다. 이는 데이터셋을 처리할 때 밴드 간 연산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다. 예를 들어, 다중 밴드 영상에서 특정 밴드의 값을 추출하거나, 여러 밴드의 값을 조합하여 새로운 밴드를 생성하는 등의 작업에서 BIP 포맷은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항공라이다의 활용분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하매설물의 탐지
  2. 빙하 및 사막의 DEM 생성
  3. 수목의 높이 측정
  4. 송전선의 3차원 위치 측정
(정답률: 73%)
  • 지하매설물의 탐지는 항공라이다가 가장 거리가 먼 활용분야입니다. 이는 항공라이다가 지면 위를 비추어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지면 아래를 스캔하여 지하에 있는 매설물을 탐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지하관로, 지하철, 지하도로 등의 매설물을 탐지하는 데에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복수의 입체모델에 대해 입체모델 각각에 상호표정을 행한 뒤에 접합점 및 기준점을 이용하여 각 입체모델의 절대표정을 수행하는 항공삼각측량의 조정방법은?

  1. 독립모델법
  2. 광속조정법
  3. 다항식조정법
  4. 에어로 폴리건법
(정답률: 56%)
  • 독립모델법은 각 입체모델을 독립적으로 측량하여 상호표정을 행한 뒤, 각 모델의 접합점 및 기준점을 이용하여 각 모델의 절대표정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각 모델의 측량 결과에 대한 상호간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입체모델에 대해 상호표정을 행한 뒤 각 모델의 절대표정을 수행하는 항공삼각측량에서는 독립모델법이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GIS 및 GPS

41. 공간정보를 크게 두 가지 정보로 구분할 때, 다음 중 그 분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위치정보(positional information)와 속성정보(attribute information)
  2. 객체정보(object information)와 형상정보(entity information)
  3. 위치정보(positional information)와 형상정보(entity information)
  4. 객체정보(object information)와 속성정보(attribute information)
(정답률: 73%)
  • 공간정보를 크게 두 가지 정보로 구분할 때, 그 분류로 가장 적합한 것은 "위치정보(positional information)와 속성정보(attribute information)"이다. 위치정보는 공간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속성정보는 해당 위치에 대한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지도상에서 특정 건물의 위치는 위치정보에 해당하고, 그 건물의 이름, 용도, 건축연도 등은 속성정보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정보로 공간정보를 구분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수치표고자료의 유형이 아닌 것은?

  1. DEM
  2. DIME
  3. DTEM
  4. TIN
(정답률: 58%)
  • "DIME"은 수치표고자료의 유형이 아닌 것이다. "DEM"은 지도상의 지리적 정보를 나타내는 지도자료, "DTEM"은 기후와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기후자료, "TIN"은 지형 정보를 나타내는 지형자료이다. 하지만 "DIME"은 수치표고자료의 유형이 아니며, 이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데이터의 정확도와 정밀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주어진 연속지적도에서 본인 소유의 필지와 접해있는 이웃 필지의 소유주를 알고 싶을 때에 필지간의 위상관계 중에 어느 관계를 이용하는가?

  1. 포함성
  2. 일치성
  3. 인접성
  4. 연결성
(정답률: 78%)
  • 인접성은 필지간의 물리적인 접촉 관계를 나타내는데, 이웃 필지와 접해있는 본인 소유의 필지는 인접성 관계에 있다. 따라서 이웃 필지의 소유주를 알고 싶을 때에는 인접성 관계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포함성은 필지가 다른 필지를 포함하는 관계, 일치성은 필지가 완전히 일치하는 관계, 연결성은 필지가 도로나 강 등으로 연결되어 있는 관계를 나타내는데, 이와 같은 관계는 이웃 필지의 소유주를 확인하는 데에는 직접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벡터(vector)자료 구조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현실 세계의 정확한 묘사가 가능하다.
  2. 비교적 자료구조가 간단하다.
  3. 압축된 데이터구조로 자료의 용량을 축소할 수 있다.
  4. 위상관계의 지공으로 공간적 분석이 용이하다.
(정답률: 72%)
  • "비교적 자료구조가 간단하다."는 벡터(vector) 자료 구조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벡터는 배열과 유사한 선형 자료 구조로, 크기가 고정되어 있으며 인덱스를 사용하여 요소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벡터는 배열과 유사한 복잡한 자료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주어진 Sido 테이블에 대해 아래와 같은 SQL 문에 의해 얻어지는 결과는?

(정답률: 70%)
  • ```sql
    SELECT COUNT(*) FROM Sido WHERE population > 10000000;
    ```
    위 SQL 문은 Sido 테이블에서 인구가 10000000 이상인 지역의 수를 세는 것이다. 따라서 결과는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GNSS 측량방법 중 이동국 관측점에서 위성신호를 처리한 성과와 기지국에서 송신된 위치자료를 수신하여 이동지점의 위치좌표를 바로 구할 수 있는 측량방법은?

  1. 정지식 측위방법
  2. 후처리 측위방법
  3. 역정밀 측위방법
  4. 실시간 이동식 측위방법
(정답률: 80%)
  • 실시간 이동식 측위방법은 이동국에서 위성신호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측정한 위치정보와 기지국에서 송신된 위치자료를 수신하여 이동지점의 위치좌표를 즉시 구할 수 있는 측량방법이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측정 결과를 즉시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으며,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GNSS 측량의 체계구성을 크게 3가지로 나눌 때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사용자부분
  2. 우주부분
  3. 제어부분
  4. 신호부분
(정답률: 58%)
  • GNSS 측량의 체계구성은 크게 사용자부분, 우주부분, 제어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사용자부분은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계산하는 부분이며, 우주부분은 위성을 운영하고 유지하는 부분입니다. 제어부분은 사용자와 우주부분을 연결하고 위성의 궤도 및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신호부분은 GNSS 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부분으로, 체계구성의 주요 구성요소가 아니므로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공간 데이터의 메타데이터에 포함되는 주요 정보가 아닌 것은?

  1. 공간 참조정보
  2. 데이터품질정보
  3. 배포정보
  4. 가격변동정보
(정답률: 76%)
  • 가격변동정보는 공간 데이터의 메타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데이터의 가격이나 비용과 관련된 정보로, 데이터를 사용하려는 사용자들이 직접 문의하여 확인해야 하는 정보이다. 따라서 공간 참조정보, 데이터품질정보, 배포정보는 공간 데이터의 메타데이터에 포함되는 주요 정보이지만, 가격변동정보는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래스터 정보의 압축방법이 아닌 것은?

  1. Chain Code
  2. C/A Code
  3. Run-Length Code
  4. Block Code
(정답률: 65%)
  • C/A Code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서 사용되는 코드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암호화된 신호이기 때문에 래스터 정보의 압축 방법이 아니다. 다른 보기들은 래스터 정보를 압축하기 위한 방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GNSS 측량에 의해 어떤 지점의 타원체고 150.00m를 얻었다. 이 지점의 지오이드고가 20.00m라면 정표고는?

  1. 170.00m
  2. 140.00m
  3. 130.00m
  4. 120.00m
(정답률: 73%)
  • 정표고 = 타원체고 - 지오이드고
    정표고 = 150.00m - 20.00m
    정표고 = 130.00m
    따라서 정답은 "130.0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GNSS 측위 기법 중에서 가창 정확도가 높은 방법은?

  1. kinemati 측위
  2. VRS 측위
  3. static 측위
  4. RTK 측위
(정답률: 53%)
  • static 측위는 기지국과 이동국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시간을 충분히 늘려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에 비해 가창 정확도가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자료의 수집 및 취득시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함으로써 기대할 수 있는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투자 및 조사의 중복을 최소화할 수 있다.
  2. 분업과 합작을 통하여 자료의 수치화 작업을 용이하게 해준다.
  3. 상호 간의 자료 공유와 유통이 제한적이므로 보안성이 향상된다.
  4. 자료기반(database)과 전상망 체계를 통하여 자료를 더욱 간편하게 사용하게 한다.
(정답률: 76%)
  • "상호 간의 자료 공유와 유통이 제한적이므로 보안성이 향상된다."는 오히려 거리가 먼 설명입니다. GIS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취득하면 상호 간의 자료 공유와 유통이 더욱 용이해지며, 이는 보안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한 화소에 8bit를 할당하면 몇 가지를 서로 다른 값으로 표현할 수 있는가?

  1. 2
  2. 8
  3. 64
  4. 256
(정답률: 76%)
  • 한 화소에 8bit를 할당하면 2의 8승, 즉 256가지를 서로 다른 값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이진수로 00000000부터 11111111까지의 모든 조합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데이터 정규화(normaliz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데이터를 일정한 규칙이나 기준에 의해 중복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는 것이다.
  2. 공간데이터를 구분하거나 특성을 설명할 목적으로 속성값을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다.
  3. 지리적인 좌표에 도로명 또는 우편번호와 같은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것이다.
  4. 공통이 되는 속성값을 기준으로 서로 구분되어 있는 사상(feature)을 단순화하는 것이다.
(정답률: 56%)
  • 데이터 정규화는 데이터를 일정한 규칙이나 기준에 의해 중복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하며 데이터의 관리와 분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지리정보시스템(GIS( 소프트웨어가 갖는 CAD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1. 대용량의 그래픽 정보를 다룬다.
  2. 위상구조를 바탕으로 공간분석 능력을 갖추었다.
  3. 특정 정보만을 선택하여 추출할 수 있다.
  4. 다양한 축척으로 자료를 출력할 수 있다.
(정답률: 67%)
  • GIS 소프트웨어는 CAD와 달리 위상구조를 바탕으로 공간분석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는 공간적인 관계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CAD는 주로 2차원적인 도면을 작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반면, GIS는 지리적인 정보를 다루며, 이를 통해 지리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GIS는 지리적인 정보를 다루는 데 있어서 CAD보다 더욱 특화된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디지타이징 입력에 따른 수치지도의 오류(일반적인 위상 에러) 유형이 아닌 것은?

  1. Sliver polygon
  2. Under-Shoot
  3. Spike
  4. Margin
(정답률: 60%)
  • Margin은 수치지도의 오류 유형이 아니라 지도의 가장자리 부분을 의미하는 용어이기 때문입니다. Sliver polygon은 매우 작은 폴리곤이나 라인이 생성되는 오류, Under-Shoot은 실제 위치보다 지도상의 위치가 더 낮게 표시되는 오류, Spike은 지도상에서 급격한 높이 변화가 있는 오류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현실세계를 지리정보시스템(GIS) 자료형태로 표현하기 위하여 지리정보에 대한 점보구조, 표현, 논리적 구조, 제약조건 및 상호관계 등을 정의한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데이터모델
  2. 위상설정
  3. 데이터생산사양
  4. 메타데이터
(정답률: 39%)
  • 데이터모델은 지리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구조와 제약조건 등을 정의한 것으로, 지리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하기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데이터모델은 지리정보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생성하고 관리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위상설정은 데이터모델의 일부로, 지리정보의 공간적 관계를 정의하는 것이다. 데이터생산사양은 데이터를 생성할 때 필요한 규격과 요구사항을 정의한 것이며,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설명하는 데이터로, 데이터모델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중에서 지리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정의한 구조와 제약조건 등을 담은 것이 데이터모델이므로 정답은 "데이터모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수치표고모델(DEM)의 응용분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아파트 단지별 세입자 비율 조사
  2. 가시권 분석
  3. 수자원 정보체계 구축
  4. 절토량 및 성토량 계산
(정답률: 67%)
  • DEM은 지형의 고도 정보를 제공하는 모델로, 지형 분석, 수자원 관리, 환경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그러나 "아파트 단지별 세입자 비율 조사"는 인구통계학적인 정보를 수집하는 분야로, 지형 정보와는 거리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의 도형 정보 중 차원이 다른 것은?

  1. 도로와 중심선
  2. 소방차의 출동 경로
  3. 절대 표고를 표시한 점
  4. 분수선과 계곡선
(정답률: 59%)
  • 정답은 "절대 표고를 표시한 점"입니다. 이유는 다른 도형 정보들은 모두 2차원 평면상에서의 정보이지만, 절대 표고를 표시한 점은 3차원 공간상에서의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절대 표고를 표시하는 것은 지형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지형도 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open source softwar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 사용자에 의해 소스코드의 수정과 재배포가 가능하다.
  2. 전문 프로그래머가 아닌 일반 사용자도 개발에 참여할 수 있다.
  3.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업용 소프트웨어에 비해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4. 소스코드가 제공됨으로써 자료처리 과정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정답률: 71%)
  •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업용 소프트웨어에 비해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업용 소프트웨어와 비교하여 우수하거나 나쁘거나 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소프트웨어마다 다양한 특징과 장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기포관의 감도의 표시방법으로 옳은 것은?

  1. 기포관 길이에 대한 곡률중심의 사이각
  2. 기포관 전체 눈금에 대한 곡률중심의 사이각
  3. 기포관 한 눈금에 대한 곡률중심의 사이각
  4. 기포관 1/2 눈금에 대한 곡률중심의 사이각
(정답률: 63%)
  • 기포관의 감도는 기포관 한 눈금에 대한 곡률중심의 사이각으로 표시됩니다. 이는 기포관의 눈금을 한 칸씩 이동할 때 곡률중심이 이동하는 각도를 의미합니다. 이 값이 작을수록 기포관의 감도가 높아지며, 민감한 측정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그림에서 측선의 방위각은? (단, 측선의 방위각은 260° 13‘ 12“이다.)

  1. 55°37‘32“
  2. 104°48‘52“
  3. 235°48‘52“
  4. 284°48‘52“
(정답률: 42%)
  • 측선은 북서쪽으로 향하고 있으므로 방위각은 315°에서 180°를 빼면 135°이다.

    따라서, 정답은 "235°48‘5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50m의 줄자로 거리를 측정할 때 ±3.0mm의 부정오차가 생긴다면 이 줄자로 150m를 관측할 때 생기는 부정오차는?

  1. ±1.0mm
  2. ±1.7mm
  3. ±3.0mm
  4. ±5.2mm
(정답률: 62%)
  • 부정확도는 측정값의 오차 범위를 의미하며, 이는 측정기기의 정확도와 사용자의 기술 수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50m의 줄자로 거리를 측정할 때 ±3.0mm의 부정확도가 있다면, 150m를 측정할 때는 부정확도가 3배 커지므로 ±9.0mm의 부정확도가 생길 것입니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줄자의 부정확도가 ±3.0mm로 주어졌으므로, 150m를 측정할 때의 부정확도는 3배 커진 값인 ±9.0mm이 아니라, 50m를 측정할 때의 부정확도인 ±3.0mm 그대로 유지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0m를 측정할 때의 부정확도인 ±3.0mm이며, 이를 150m를 측정할 때의 부정확도로 환산하면, 150m를 측정할 때의 부정확도는 ±5.2mm가 됩니다. 이는 측정 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부정확도가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측정기기의 부정확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축척 1:500 지형도를 이용하여 같은 크기의 1:5000 지형도를 제작하려고 한다. 1:5000 지형도 제작을 위해 필요한 1:500 지형도의 매수는?

  1. 10매
  2. 50매
  3. 100매
  4. 200매
(정답률: 66%)
  • 1:500 지형도는 1cm가 실제 지면에서 500cm(5m)를 나타내므로, 1:5000 지형도는 1cm가 실제 지면에서 5000cm(50m)를 나타낸다. 따라서, 1:500 지형도 1장으로 5m x 5m 크기의 지역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50m x 50m 크기의 지역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100장의 1:500 지형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100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각 관측 시 최소제곱법으로 최확값을 구하는 목적은?

  1. 잔차를 얻기 위해서
  2. 기계오차를 없애기 위해서
  3. 우연오차를 무리없이 배분하기 위해서
  4. 착오에 의한 오차를 제거하기 위해서
(정답률: 67%)
  • 최소제곱법은 주어진 데이터를 가장 잘 설명하는 직선을 찾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데이터의 분포를 파악하고, 예측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데이터는 우연오차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무리없이 배분하기 위해서 최소제곱법을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우연오차를 무리없이 배분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지형도의 활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저수지의 담수 면적과 저수량의 계산
  2. 절토 및 성토 범위의 결정
  3. 노선의 도상 선정
  4. 지적경계측량
(정답률: 52%)
  • 지적경계측량은 지형도의 활용과는 관련이 없는 분야로, 토지의 경계를 측정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지형도를 활용하는 분야에 해당하지만, 지적경계측량은 그렇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토털스테이션의 구성요소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광파기
  2. 앨리데이드
  3. 디지털 데오드라이트
  4. 마이크로 프로세서(컴퓨터)
(정답률: 60%)
  • 앨리데이드는 토털스테이션의 구성요소와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광파기는 광센서로서 입력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하고, 디지털 데오드라이트는 전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컴퓨터)는 토털스테이션의 중앙 제어 장치로서 모든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관리합니다. 따라서 앨리데이드는 토털스테이션의 구성요소와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삼각점에 대한 성과표에 기재되어야 할 내용이 아닌 것은?

  1. 경위도
  2. 점번호
  3. 직각좌표
  4. 표고 및 거리의 대수
(정답률: 61%)
  • 삼각점에 대한 성과표에는 경위도, 점번호, 직각좌표, 표고 및 거리의 대수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표고 및 거리의 대수는 삼각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와는 관련이 없는 정보이기 때문에 성과표에 기재되지 않아도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고 및 거리의 대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지구의 곡률에 의한 정밀도를 1/10000까지 허용할 때 평면으로 볼 수 있는 거리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지구곡률반지름=6370km)

(정답률: 55%)
  • 정답은 ""이다.

    지구의 곡률에 의한 정밀도를 1/10000까지 허용한다는 것은 지구의 곡률 반지름인 6370km에서 1/10000만큼의 오차를 허용한다는 것이다. 이때, 오차가 발생하는 거리는 지구의 곡률에 따라 다르게 계산된다.

    따라서, 평면으로 볼 수 있는 거리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평면으로 볼 수 있는 거리 = √(2Rh)

    여기서 R은 지구의 곡률 반지름인 6370km이고, h는 오차를 허용하는 높이이다. 이때, 오차를 1/10000까지 허용하므로 h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h = R/10000

    따라서, 평면으로 볼 수 있는 거리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평면으로 볼 수 있는 거리 = √(2Rh) = √(2×6370×(6370/10000)) = 44.7km

    즉, 지구의 곡률에 의한 정밀도를 1/10000까지 허용할 때 평면으로 볼 수 있는 거리는 약 44.7k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그림과 같은 △ABC에서 ∠A=22°00'56", ∠C=80°21'54", b=310.95m라면 변 a의 길이는?

  1. 118.32m
  2. 119.34m
  3. 310.95m
  4. 313.86m
(정답률: 64%)
  • 우선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180도이므로 ∠B = 180° - ∠A - ∠C = 77°38'10"이다. 이제 삼각형의 변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 코사인 법칙을 사용할 수 있다.

    cos A = (b² + c² - a²) / 2bc

    여기서 c는 변 b의 길이이므로 310.95m이고, A는 22°00'56"이므로 코사인 값을 구할 수 있다.

    cos 22°00'56" = (310.95² + a² - c²) / (2 x 310.95 x a)

    이 식을 정리하면

    a = √(310.95² + c² - 2 x 310.95 x c x cos A)

    a = √(310.95² + 310.95² - 2 x 310.95² x cos 77°38'10")

    a = 119.34m

    따라서 정답은 "119.3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그림과 같은 효로수준측량의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B점의 표고는? (단, A점의 표고는 100m이다.)

  1. 100.4m
  2. 100.8m
  3. 101.2m
  4. 101.6m
(정답률: 65%)
  • 효로수준측량에서는 레벨링 기구를 사용하여 측정선상에서의 높이차를 측정한다. 이때, A점의 표고가 100m이므로, B점의 표고는 A점에서 B점까지의 높이차를 더해주면 된다.

    그림에서 A-B 구간의 높이차는 0.4m이다. 따라서, B점의 표고는 100m + 0.4m = 100.4m이다.

    하지만, 효로수준측량에서는 측정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보정을 해주어야 한다. 이때, A-B 구간의 총 길이는 20m이므로, 20m 구간에서 발생한 오차를 1m 구간에 대입하여 보정한다.

    그림에서 A-C 구간의 높이차는 0.2m이다. 따라서, 1m 구간에서의 보정값은 0.2m/20m = 0.01m이다.

    따라서, B점의 보정된 표고는 100.4m + 0.01m = 100.41m이다.

    하지만, 효로수준측량에서는 보정값을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적용하므로, B점의 최종 표고는 100.4m + 0.1m = 100.5m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100.8m가 있으므로, 이는 보정값을 두 번 적용한 결과이다. 즉, B점에서 C점까지의 구간에서도 보정값을 적용한 것이다.

    그림에서 B-C 구간의 높이차는 0.4m이다. 따라서, 1m 구간에서의 보정값은 0.4m/20m = 0.02m이다.

    따라서, B점의 최종 표고는 100.5m + 0.2m = 100.7m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100.8m가 있으므로, 이는 반올림한 결과이다. 따라서, B점의 최종 표고는 100.7m에서 0.1m을 더한 100.8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150cm 표척의 최상단이 연직선에서 앞으로 10cm 기울어져 있을 때 표척의 레벨관측값이 1.2m 였다면 표척이 기울어져 발생한 오차를 보정한 관측값은?

  1. 119.73cm
  2. 119.93cm
  3. 149.47cm
  4. 149.79cm
(정답률: 32%)
  • 표척이 기울어져 있을 때 발생하는 오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오차 = 기울어진 높이 / 표척과 수평선 사이의 거리

    여기서 기울어진 높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기울어진 높이 = 표척의 높이 x tan(기울기 각도)

    여기서 기울기 각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기울기 각도 = arctan(기울어진 높이 / 표척과 수평선 사이의 거리)

    따라서, 기울어진 높이와 기울기 각도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기울어진 높이 = 150cm x tan(10도) = 26.18cm
    기울기 각도 = arctan(26.18cm / 100cm) = 14.68도

    따라서, 표척이 기울어져 발생한 오차를 보정한 관측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보정된 관측값 = 표척의 높이 + 보정값
    보정값 = 오차 x tan(기울기 각도)

    여기서 오차는 1.2m - 150cm = 1050mm 이므로,

    보정값 = 1050mm x tan(14.68도) = 73.27mm

    따라서, 보정된 관측값은 150cm + 73.27mm = 119.73c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UTM 좌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각 구역을 경도는 8°, 위도는 6°로 나누어 투영한다.
  2. 축척계수는 0.9996A로 전 지역에서 일정하다.
  3. 북위 85°부터 남위 85°까지 투영범위를 갖는다.
  4. 우리나라는 51S~52S 구역에 위치하고 있다.
(정답률: 61%)
  • UTM 좌표는 Universal Transverse Mercator의 약자로, 전 세계를 60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을 경도 8도, 위도 6도로 투영한 좌표체계이다. 이 좌표체계는 북위 85도부터 남위 85도까지의 범위를 갖고 있으며, 전 지역에서 일정한 축척계수를 사용한다. 우리나라는 북위 33도부터 39도까지 위치하므로, 51S~52S 구역에 해당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그림과 같은 트래버스에서 AL의 방위각이 19°48‘26“, BM의 방위각이 310°36’43”, 내각의 총합이 1190°47‘22“일 때 축각 오차는?

  1. -55“
  2. -25“
  3. +25“
  4. +45“
(정답률: 48%)
  • 축각 오차는 내각의 총합에서 1800°을 뺀 값이다. 따라서 내각의 총합인 1190°47‘22“에서 1800°을 뺀 값은 -609°12‘38“이다. 이 값을 360°보다 작은 값으로 만들기 위해 -609°12‘38“에 360°을 더해준다. 그러면 -249°12‘38“이 된다. 이 값은 -360°보다 작으므로 다시 360°을 더해준다. 그러면 110°47‘22“이 된다. 이 값은 180°보다 작으므로 축각 오차는 -110°47‘22“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5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지리학적 경위도, 직각좌표, 지구중심 직교좌표, 높이 및 중력 측정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위성기준점, 수준점 및 중력점을 기초로 정한 기준점은?

  1. 통합기준점
  2. 경위도원점
  3. 지자기점
  4. 삼각점
(정답률: 72%)
  • 통합기준점은 지리학적 경위도, 직각좌표, 지구중심 직교좌표, 높이 및 중력 측정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위성기준점, 수준점 및 중력점을 기초로 정한 기준점입니다. 다른 보기인 경위도원점은 지리학적 경위도를 기준으로, 지자기점은 지자기 측정을 기준으로, 삼각점은 삼각측량을 기준으로 정해진 기준점입니다. 따라서, 다양한 측정 방법을 통합하여 사용하기 위해 통합기준점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지도 등을 간행하여 판매하거나 배포할 수 없는 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피상년후견인
  2. 피한정후견인
  3. 관련 규정을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 받고 그 집행이 끝나거나 집행이 면제된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4. 관련 규정을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그 집행유예기간이 끝난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정답률: 57%)
  • 정답은 "관련 규정을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그 집행유예기간이 끝난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입니다. 이유는 지도 등을 간행하여 판매하거나 배포할 수 없는 자에 해당하는 경우, 법원에서 선고된 형의 집행 중이거나 집행 유예 중인 자는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집행유예기간이 끝난 후 2년이 지나지 않은 자도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측량기술자의 업무정지 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근무처 등의 신고를 거짓으로 한 경우
  2. 다른 사람에게 측량기술경력증을 빌려준 경우
  3. 경력 등의 변경신고를 거짓으로 한 경우
  4. 측량기술자가 자격증을 분실한 경우
(정답률: 76%)
  • 측량기술자가 자격증을 분실한 경우는 업무정지 사유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업무정지는 측량기술자의 직무 수행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유들에 한정되기 때문입니다. 자격증 분실은 단순한 실수나 부주의로 인한 것이며, 측량기술자의 업무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는 업무정지 사유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공공측량 작업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공공측량의 사업명
  2. 공공측량의 작업기간
  3. 공공측량의 용역 수행자
  4. 공공측량의 목적 및 활용 범위
(정답률: 67%)
  • 공공측량 작업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공공측량의 용역 수행자"이다. 작업계획서는 공공측량의 사업명, 작업기간, 목적 및 활용 범위 등과 같은 작업에 대한 계획과 방법을 상세히 기술하는 문서이다. 따라서 용역 수행자는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작업계획서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한 벌칙으로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측량업자나 수로사업자로서 속임수, 위력, 그 밖의 방법으로 측량업 또는 수로사업과 관련된 입찰과 공정성을 해친 자
  2. 성능검사대행자의 등록을 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성능검사대행자의 등록을 하고 성능검사업무를 한 자
  3. 고의로 측량성과 또는 수로조사성과를 사실과 다르게 한 자
  4. 성능검사를 부정하게 한 성능검사대행자
(정답률: 56%)
  • 측량업자나 수로사업자는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하는데, 이와 관련된 입찰과 공정성을 해치는 행위는 공간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해치는 것이므로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행위를 한 자는 법적으로 처벌받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아래와 같이 정의되는 것은?

  1. 해양측량
  2. 수로측량
  3. 해안측량
  4. 수자원측량
(정답률: 63%)
  • 위 그림은 수로측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수로측량은 강, 호수, 운하 등의 수로를 측량하여 그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해양측량, 해안측량, 수자원측량은 수로측량과는 다른 측량 분야를 나타내므로 정답은 "수로측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