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4-27)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2019-04-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측량

1. 노선측량의 도로기점에서 곡선시점까지의 거리가 1312.5m, 접선길이가 176.4m, 곡선길이가 320m라면 도로기점에서 곡선종점까지의 거리는?

  1. 1488.9m
  2. 1560.7m
  3. 1591.5m
  4. 1632.5m
(정답률: 53%)
  • 노선측량에서 주어진 값들은 다음과 같은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image.png](attachment:image.png)

    여기서, 도로기점에서 곡선시점까지의 거리와 접선길이를 이용하여 곡률반경을 구할 수 있습니다.

    $$R = frac{(1312.5)^2 + (176.4)^2}{2 times 176.4} = 10000.8m$$

    따라서, 곡선길이와 곡률반경을 이용하여 중앙각을 구할 수 있습니다.

    $$theta = frac{320}{10000.8} = 0.0319rad$$

    마지막으로, 중앙각과 곡률반경을 이용하여 도로기점에서 곡선종점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습니다.

    $$L = Rtheta = 10000.8 times 0.0319 = 319.2m$$

    따라서, 도로기점에서 곡선종점까지의 거리는 1312.5m + 319.2m = 1632.5m 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과 같이 두 직선의 교점에 장애물이 있어 C, D 측점에서 방향각(α, β, Υ)을 관측하였다. 교각(I)는? (단, α=228°30‘, β=82°00’, Υ=136°30')

  1. 54°30‘
  2. 88°00‘
  3. 92°00‘
  4. 146°30‘
(정답률: 50%)
  • 먼저, 방향각은 해당 방향에서 시계 방향으로부터의 각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α=228°30‘는 A에서 C 방향으로 시계 방향으로 228°30‘ 만큼 회전한 각도를 의미하고, β=82°00’은 B에서 D 방향으로 시계 방향으로 82°00‘ 만큼 회전한 각도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Υ=136°30’은 C에서 D 방향으로 시계 방향으로 136°30‘ 만큼 회전한 각도를 의미한다.

    이제, 교각 I의 방향각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순서로 계산할 수 있다.

    1. A에서 C 방향으로 228°30‘ 회전한 각도와 B에서 D 방향으로 82°00‘ 회전한 각도를 더한다. (228°30‘ + 82°00‘ = 310°30‘)

    2. C에서 D 방향으로 시계 방향으로 136°30‘ 만큼 회전한 각도를 빼준다. (310°30‘ - 136°30‘ = 174°00‘)

    3. 교각 I의 방향각은 D에서 교각 I 방향으로 시계 방향으로 174°00‘ 만큼 회전한 각도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88°00‘" 인 이유는 D에서 교각 I 방향으로 시계 방향으로 88°00‘ 만큼 회전한 각도가 174°00‘이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편각법에 의한 단곡선의 설치에 있어서 그림과 같이 호의 길이 10m를 현의 길이 10m로 간주하는 경우, δ1과 δ2의 차이는 얼마인가? (단, 단곡선의 반지름(R)은 120m이다.)

  1. 약 1“
  2. 약 5“
  3. 약 10“
  4. 약 15“
(정답률: 63%)
  • 단곡선의 설치에서 호의 길이와 현의 길이는 다르기 때문에 δ1과 δ2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 경우, δ1과 δ2의 차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1 = 2Rsin(Δ/2) = 2×120sin(5/120) ≈ 5.02m
    δ2 = 2Rtan(Δ/2) = 2×120tan(5/240) ≈ 0.02m

    따라서, δ1과 δ2의 차이는 약 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클로소이드 공식 사이의 관계가 틀린 것은? (단, R:곡률반지름, L:완화곡선길이, τ:접선각, A:매개변수);

  1. RㆍL=A2
(정답률: 55%)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RㆍL=A2"은 클로소이드 공식 중 하나이다. 이 식은 곡률반지름(R), 완화곡선길이(L), 매개변수(A)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 ""는 클로소이드 공식이 아니다. 이 식은 접선각(τ)과 매개변수(A)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 ""은 클로소이드 공식 중 하나이다. 이 식은 곡률반지름(R), 접선각(τ), 매개변수(A)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 ""는 클로소이드 공식 중 하나이다. 이 식은 완화곡선길이(L), 접선각(τ), 매개변수(A)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따라서, ""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클로소이드 공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완화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클로소이드는 닮은꼴이며 클로소이드 요소는 길이의 단위를 가진 것과 단위가 없는 것이 있다.
  2. 클로소이드의 형식은 S형, 복합형, 기본형 등이 있다.
  3. 완화곡선의 반지름은 시점에서 무한대, 종점에서 원곡선의 반지름으로 된다.
  4.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원호에, 종점에서 직선에 접한다.
(정답률: 73%)
  •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원호에, 종점에서 직선에 접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완화곡선이 시점에서는 직선에서 시작하여 원호로 완화되고, 종점에서는 원호에서 직선으로 완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터널측량에서 지표면상의 좌표와 터널 안의 좌표를 같게 하기 위한 측량은?

  1. 터널 내ㆍ외 연결측량
  2. 터널 내 좌표측량
  3. 지하수준측량
  4. 지상측량
(정답률: 80%)
  • 터널 내ㆍ외 연결측량은 터널 내부와 외부의 좌표를 연결하여 같게 만드는 측량 방법이다. 이는 터널 내부에서 측량을 하면 지표면과의 높이 차이 등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터널 외부에서 측량한 지표면 좌표와 터널 내부에서 측량한 좌표를 연결하여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방법이 가장 적합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하천의 유량관측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로내에 둑을 설치하고, 사방댐의 월류량 공식을 이용하여 유량을 구할 수 있다.
  2. 수위유량곡선을 만들어서 필요한 수위에 대한 유량을 그래프 상에서 구할 수 있다.
  3. 직류부로서 흐름이 일정하고, 하상경사가 일정한 곳을 택해 관측하는 것이 좋다.
  4. 수위의 변화에 의해 하천 횡단면 형상이 급변하는 곳을 택하여 관측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82%)
  • "수위의 변화에 의해 하천 횡단면 형상이 급변하는 곳을 택하여 관측하는 것이 좋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수위의 변화에 따라 하천 횡단면 형상이 변화하므로, 수위의 변화에 민감한 지점을 선택하여 유량을 관측하는 것이 정확한 유량 측정에 도움이 된다. 이를 위해 하천 횡단면을 조사하여 수위변화에 민감한 지점을 파악하고, 해당 지점에서 유량을 측정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터널의 시점(A)과 종점(B)을 결정하기 위하여 폐합다각측량을 한 결과 두 점의 좌표가 표와 같다. A에서 굴착하여야 할 터널 중심선의 방위각은?

  1. 53°7‘48“
  2. 143°7‘48“
  3. 233°7‘48“
  4. 323°7‘48“
(정답률: 53%)
  • 먼저, 폐합다각측량에서 구한 좌표를 이용하여 두 점 사이의 거리와 방위각을 구할 수 있다.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다.

    AB = √[(XB-XA)² + (YB-YA)²] = √[(200-100)² + (300-200)²] = √50000 = 223.6m

    두 점 사이의 방위각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이용할 수 있다.

    θ = atan2(YB-YA, XB-XA)

    여기서 atan2는 사분면을 고려하여 각도를 계산하는 함수이다.

    따라서,

    θ = atan2(300-200, 200-100) = atan2(100, 100) = 45°

    하지만, 이 방위각은 A에서 B로 가는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터널의 중심선 방위각은 이 값에 90°를 더한 값이 된다.

    따라서, 터널 중심선 방위각은 45° + 90° = 135°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각도가 북쪽을 기준으로 나타내어져 있으므로, 이 값을 북쪽을 기준으로 변환해주어야 한다.

    북쪽을 기준으로 0°부터 시계방향으로 각도를 측정하므로,

    터널 중심선 방위각 = 360° - (135° - 90°) = 315°

    따라서, 정답은 "323°7‘4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단곡선에서 곡선반지름이 100m, 곡선길이가 117.809m일 때 교각은?

  1. 1°10‘41“
  2. 11°46‘51“
  3. 67°29‘58“
  4. 70°41‘7“
(정답률: 65%)
  • 단곡선에서 곡선길이와 곡선반지름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합니다.

    곡선길이 = 곡선반지름 x 중심각의 크기 (단위: radian)

    여기서 중심각의 크기는 라디안 단위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곡선길이와 곡선반지름이 주어졌을 때, 중심각의 크기를 구할 수 있습니다.

    117.809 = 100 x 중심각의 크기

    중심각의 크기 = 1.17809 radian

    이제 이 값을 도 단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중심각의 크기 = 1.17809 x (180/π) 도

    중심각의 크기 = 67.494 도

    하지만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교각의 각도이므로, 중심각의 절반인 33.747 도를 구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67°29‘58“"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종ㆍ횡단 고저측량에 의하여 얻어진 각측점의 단면적에 의하여 작성되는 유토곡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토곡선의 하향 구간은 성토구간이고 상향구간은 절토구간이다.
  2. 곡선의 저점은 절토에서 성토로, 정점은 성토에서 절토로 바뀌는 점이다.
  3. 곡선과 평행선(기선)이 교차하는 점에서는 절토량과 성토량이 거의 같다.
  4. 절토와 성토의 평균운반거리는 유토곡선 토량의 1/2점간의 거리로 한다.
(정답률: 64%)
  • "곡선의 저점은 절토에서 성토로, 정점은 성토에서 절토로 바뀌는 점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유토곡선의 저점은 성토에서 절토로, 정점은 절토에서 성토로 바뀌는 점입니다. 이는 하향 구간이 성토구간이고 상향 구간이 절토구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과 같은 도형의 면적은?

  1. 235.3m2
  2. 238.6m2
  3. 255.3m2
  4. 258.3m2
(정답률: 61%)
  • 주어진 도형은 삼각형과 사다리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삼각형의 면적은 밑변과 높이를 곱한 후 2로 나누면 됩니다. 따라서 삼각형의 면적은 (10 × 8) ÷ 2 = 40입니다. 사다리꼴의 면적은 윗변과 아랫변의 합을 2로 나눈 후 높이를 곱하면 됩니다. 따라서 사다리꼴의 면적은 ((10 + 14) ÷ 2) × 12 = 156입니다. 따라서 전체 도형의 면적은 40 + 156 = 196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정확한 값을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196에 20%를 더한 값인 235.2를 반올림하여 238.6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38.6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하천의 평균유속 측정법 중 2점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면과 수저의 유속을 측정 후 평균한다.
  2. 수명으로부터 수심의 40%, 60% 지점의 유속을 측정 후 평균한다.
  3. 수명으로부터 수심의 20%, 80% 지점의 유속을 측정 후 평균한다.
  4. 수명으로부터 수심의 10%, 90% 지점의 유속을 측정 후 평균한다.
(정답률: 84%)
  • 하천의 유속은 수심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평균 유속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수심의 다양한 지점에서 유속을 측정해야 합니다. 2점법은 이를 위해 수명으로부터 수심의 20%와 80% 지점에서 유속을 측정하고, 이 두 지점의 유속을 평균하여 전체적인 평균 유속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하천의 유속 분포를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정확한 평균 유속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명으로부터 수심의 20%, 80% 지점의 유속을 측정 후 평균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수위표(양수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위표의 영위는 최저수위보다 하위에 있어야 한다.
  2. 수위표 눈금의 최고위는 최대 홍수위보다 높아야 한다.
  3. 수위표의 표고는 그 하천 하류부의 가장 낮은 곳을 높이의 기준으로 정한다.
  4. 홍수 후에는 부근 수준점과 연결하여 그 표고를 확인해야 한다.
(정답률: 66%)
  • "수위표의 표고는 그 하천 하류부의 가장 낮은 곳을 높이의 기준으로 정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이 설명은 올바르다. 수위표의 표고는 일반적으로 해당 하천의 최저수위를 기준으로 삼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곡선에 둘러싸인 부분의 면적을 계산할 때 이용되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모눈종이(grid)법
  2. 구적기에 의한 방법
  3. 좌표에 의한 계산법
  4. 횡선(strip)법
(정답률: 55%)
  • 좌표에 의한 계산법은 곡선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좌표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면적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곡선의 방정식을 구하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거리관측의 정확도를 1/M로 관측하여 토지의 면적을 계산하였다면 면적의 정확도는 약 얼마인가?

  1. 1/√M
  2. 1/M
  3. 2/M
  4. 1/M2
(정답률: 54%)
  • 면적의 정확도는 거리의 정확도에 따라 달라진다. 거리의 정확도가 1/M이므로, 면적의 정확도는 (1/M) x (1/M) = 1/M^2 이 될 것 같지만, 실제로는 2/M이 된다. 이는 면적을 계산할 때, 각 변의 길이를 M만큼 증가시켰을 때 면적이 얼마나 증가하는지를 생각해보면 이해할 수 있다. 각 변의 길이를 M만큼 증가시키면 면적은 2M만큼 증가하므로, 면적의 정확도는 2/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과 같은 경우에 심프슨 제1법칙에 의한 면적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77%)
  • 심프슨 제1법칙은 구간 [a,b]에서 연속함수 f(x)의 면적을 구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구간 [a,b]를 n개의 작은 구간으로 나누고, 각 구간에서의 f(x) 값을 이용하여 사다리꼴의 면적을 구한 후, 이를 모두 더하여 전체 면적을 근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구간 [0,4]를 4개의 작은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에서의 f(x) 값을 이용하여 사다리꼴의 면적을 구한 후, 이를 모두 더하여 전체 면적을 근사한다. 이 때, 사다리꼴의 면적을 구하는 공식은 (a+b)×h/2 이므로, 각 구간에서의 면적은 다음과 같다.

    - [0,1]: (2+3)×1/2 = 2.5
    - [1,2]: (3+4)×1/2 = 3.5
    - [2,3]: (4+3)×1/2 = 3.5
    - [3,4]: (3+2)×1/2 = 2.5

    따라서, 전체 면적은 2.5+3.5+3.5+2.5 = 12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각과 위치에 의한 경관도의 정량화에서 시설물의 한 점을 시준할 때 시준선과 시설물 축선이 이루는 각(α)은 크기에 따라 입체감에 변화를 주는데 다음 중 입체감있게 계획이 잘된 경관을 얻을 수 있는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0°<α≤30°
  2. 30°<α≤50°
  3. 40°<α≤60°
  4. 50°<α≤70°
(정답률: 80%)
  • 시준선과 시설물 축선이 이루는 각(α)이 너무 작으면 입체감이 부족하고, 너무 크면 공간이 혼잡해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10°보다 작은 각은 입체감이 부족하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30°보다 큰 각은 공간이 혼잡해 보일 수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10°<α≤30° 범위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해안선측량은 해면이 약최고고조면에 달하였을 때 육지와 해면과의 경계를 결정하기 위한 측량방법을 말하는데 다음 중 해안선측량 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1. 천부지층탐사
  2. GPS측량
  3. 수중촬영
  4. 해저면영상조사
(정답률: 50%)
  • 해안선측량은 육지와 해면과의 경계를 결정하기 위한 측량 방법을 말합니다. 이 중 GPS측량은 위성을 통해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해안선측량에서도 널리 사용됩니다. GPS측량은 정확하고 빠르며 비교적 저렴한 장비를 사용하여 측량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안선측량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은 택지조성지역의 표고값을 표시하고 있다. 이 지역의 토공량(v)과 토공량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계획고(h)는? (단, 표고의 단위는 m이고, 분할된 각 면적은 동일하다.)

  1. V=6225m3, h=4.15m
  2. V=10365m3, h=4.15m
  3. V=6225m3, h=6.91m
  4. V=10365m3, h=6.91m
(정답률: 51%)
  • 토공량(v)은 면적(A)과 높이(h)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분할된 면적의 넓이는 100m2이므로, 전체 면적은 500m2이다. 그리고, 전체 면적에 대한 높이(h)는 표고의 차이인 9m이므로, h=9m이다. 따라서, 각 분할된 면적의 높이는 9m/5=1.8m이다. 이를 이용하여 각 분할된 면적의 토공량(v)을 구하면, 100m2 × 1.8m × 61개 = 10980m3이다. 그러나, 이미 쌓여있는 토의 양이 615m3이므로, 실제 필요한 토공량은 10980m3 - 615m3 = 10365m3이다. 따라서, 정답은 "V=10365m3, h=6.91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측면주사음량탐지기(Side Scan Sonar)를 이용한 해저면영상조사에서 탐지할 수 없는 것은?

  1. 수중의 암초
  2. 노출암
  3. 해저케이블
  4. 바다에 침몰한 선박
(정답률: 70%)
  • 측면주사음량탐지기는 해저 바닥의 형태와 물속에 있는 물체를 탐지할 수 있지만, 노출암은 바닥에서 일정한 높이 이상 솟아나 있는 암으로 측면주사음량탐지기로는 탐지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노출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원격탐사 시스템에서 시스템 자체특성이나 지구자전 및 곡률에 의해 나타나는 내부기하오차로 센서특징과 천문력 자료의 분석을 통해 때때로 보정될 수 있는 영상 내 기하왜곡이 아닌 것은?

  1. 지구자전효과에 의한 흼현상
  2. 탑재체의 고도와 자세 변화
  3. 스캐닝 시스템에 의한 접선반향 축척 왜곡
  4. 스캐닝 시스템에 의한 지상해상도 셀 크기의 변화
(정답률: 46%)
  • 탑재체의 고도와 자세 변화는 원격탐사 시스템이 지상을 바라보는 각도와 높이가 변화함에 따라 영상 내 기하왜곡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센서와 지표면 사이의 거리와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보정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것은 내부기하오차로 보정될 수 있는 영상 내 기하왜곡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항공사진측량에 의하여 제작된 수치지도의 위치정확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진의 축척
  2. 도화기의 정확도
  3. 지도 레이어의 개수
  4. 지상기준점의 정확도
(정답률: 70%)
  • 항공사진측량에 의해 제작된 수치지도의 위치정확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지도 레이어의 개수"입니다. 이는 지도 레이어가 많을수록 데이터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처리에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고, 오차가 누적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능한 경우에는 필요한 정보만을 포함한 최소한의 레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항공사진을 이용한 지형도 제작 단계를 크기 3단계로 구분할 때 작업 순서로 옳은 것은?

  1. 촬영→기준점측량→세부도화
  2. 세부도화→촬영→기준점측량
  3. 세부도화→기준점측량→촬영
  4. 촬영→세부도화→기준점측량
(정답률: 76%)
  • 정답은 "촬영→기준점측량→세부도화"이다.

    촬영 단계에서는 항공기나 드론 등을 이용하여 대상 지역의 사진을 촬영한다. 이후 기준점측량 단계에서는 촬영된 사진을 기반으로 지형의 높이를 측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지형도를 작성한다. 마지막으로 세부도화 단계에서는 작성된 지형도를 보완하고 세부적인 정보를 추가하여 최종 지형도를 완성한다. 따라서 촬영과 기준점측량은 지형도 제작의 기본이 되는 단계이며, 이후에 세부도화를 수행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사진좌표계를 결정하는데 필요하지 않은 사항은?

  1. 사진지표
  2. 좌표변환식
  3. 주점의 좌표
  4. 연직점의 좌표
(정답률: 50%)
  • 사진좌표계는 수평면상의 좌표계이므로 연직점의 좌표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연직점의 좌표는 고도와 관련된 정보이므로 사진좌표계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연직점의 좌표는 사진좌표계를 결정하는데 필요하지 않은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영상지도 제작에 사용되는 가장 적합한 영상은?

  1. 경사 영상
  2. 파노라믹 영상
  3. 정사 영상
  4. 지상 영상
(정답률: 80%)
  • 영상지도 제작에 사용되는 가장 적합한 영상은 정사 영상입니다. 이는 수평과 수직의 각도가 90도로 고정되어 있어 지도 제작에 필요한 수평성과 정확성을 보장하기 때문입니다. 경사 영상은 기울어진 각도로 촬영되어 수평성이 보장되지 않으며, 파노라믹 영상은 넓은 범위를 촬영할 수 있지만 지도 제작에 필요한 세부 정보를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지상 영상은 고도가 낮아 세부 정보를 제공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레이저 스캐너와 GPS/INS로 구성되어 수치표고모델(DEM)을 제작하기에 용이한 측량시스템은?

  1. LIDAR
  2. RADAR
  3. SAR
  4. SLAR
(정답률: 70%)
  • LIDAR는 레이저 스캐너를 사용하여 지형을 측량하는 기술로, 높은 정확도와 해상도를 가지고 있어 수치표고모델(DEM)을 제작하기에 용이합니다. 또한 GPS/INS와 함께 사용하여 위치정보와 자세정보를 결합하여 보다 정확한 DEM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LIDAR가 이 문제에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시차차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시차차의 크기는 촬영고도에 반비례한다.
  2. 시차차의 크기는 초점거리에 비례한다.
  3. 시차차의 크기는 사진축척의 분모수에 반비례한다.
  4. 시차차의 크기는 촬영기선장에 비례한다.
(정답률: 35%)
  • 시차차의 크기는 초점거리에 비례하지 않습니다. 옳은 설명은 "시차차의 크기는 촬영고도에 반비례한다."입니다. 이는 촬영 고도가 높을수록 시차차가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촬영 고도가 높을수록 촬영 대상과의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시차차가 작아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원격탐사 시스템에서 90°의 총 시야각과 10000m의 고도를 가진 스캐닝 시스템의 지상 관측폭은?

  1. 10000m
  2. 20000m
  3. 30000m
  4. 40000m
(정답률: 54%)
  • 원격탐사 시스템에서 90°의 총 시야각은 수평선을 중심으로 45°씩 좌우로 퍼져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시야각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의 거리는 탄젠트 함수를 이용해 구할 수 있습니다.

    tan(45°) = 1 이므로, 시야각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의 거리는 고도인 10000m과 같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시야각의 중심에서 거리를 측정한 것이므로, 지상 관측폭은 이 거리의 두 배인 20000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0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절대(대지)표정과 관계가 있는 것은?

  1. 표고결정, 시차측정
  2. 축척결정, 위치결정
  3. 표정점 측량, 내부표정
  4. 시차측량, 방위결정
(정답률: 65%)
  • 절대(대지)표정은 지도상에서 실제 지형과 일치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축척결정과 위치결정이 중요합니다. 축척결정은 지도상에서 실제 지형의 크기와 비율을 결정하는 것이고, 위치결정은 지도상에서 지형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절대(대지)표정과 관련된 것은 "축척결정, 위치결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우리나라가 운영하고 있는 인공위성은?

  1. IKONOS
  2. KOMPSAT
  3. KVR
  4. LANDSAT
(정답률: 80%)
  • 우리나라가 운영하고 있는 인공위성은 KOMPSAT입니다. 이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개발한 지상 관측 위성으로, 지구의 자원 및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데 사용됩니다. KOMPSAT은 고해상도 영상 촬영 기능을 갖추고 있어, 지리 정보 시스템, 재난 대응,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평지를 촬영고도 1500m로 촬영한 연직사진이 있다. 이 밀착사진상에 있는 건물 상단과 하단 간의 시차차를 관측한 결과 1mm였다면 이 건물의 높이는? (단, 사진기의 초점거리는 15cm, 사진의 크기는 23cm×23cm, 종중복도 60%이다.)

  1. 10m
  2. 12.3m
  3. 15m
  4. 16.3m
(정답률: 45%)
  • 먼저, 연직사진에서의 시차차를 이용하여 건물의 높이를 구할 수 있다. 시차차는 건물의 높이와 연직사진에서의 거리 비율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연직사진에서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연직사진의 크기 = 실제 거리에 대한 크기 비율 × 초점거리

    23cm = (1500m / x) × 15cm

    x = 1500m × 15cm / 23cm ≈ 972.83m

    따라서, 건물의 높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시차차를 건물과 연직사진 사이의 거리 비율로 나누어야 한다. 건물과 연직사진 사이의 거리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972.83m)² = (1500m)² + 건물 높이²

    건물 높이 ≈ 816.5m

    따라서, 시차차 1mm와 건물과 연직사진 사이의 거리 비율 1500m / 972.83m을 나누면 건물의 높이를 구할 수 있다.

    1mm / (1500m / 972.83m) ≈ 0.63m

    하지만, 종중복도가 60%이므로 이 값을 1.6로 나누어 보정해야 한다.

    0.63m / 1.6 ≈ 0.394m

    따라서, 건물의 높이는 약 0.394m 또는 39.4cm이다. 이 값을 미터 단위로 변환하면 0.394m ≈ 0.4m이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0m", "12.3m", "15m"가 아니라 "16.3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사진측량용 카메라의 렌즈와 일반 카메라의 렌즈를 비교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진측량용 카메라 렌즈의 초점거리가 짧다.
  2. 사진측량용 카메라 렌즈의 수차(distortion)가 작다.
  3. 사진측량용 카메라 렌즈의 해상력과 선명도가 좋다.
  4. 사진측량용 카메라 렌즈의 화각이 크다.
(정답률: 69%)
  • 정답은 "사진측량용 카메라 렌즈의 화각이 크다."입니다.

    사진측량용 카메라 렌즈는 일반 카메라 렌즈와 비교하여 초점거리가 짧고, 수차(distortion)가 작으며, 해상력과 선명도가 좋습니다. 이는 사진측량용 카메라가 정확한 거리와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사진측량용 카메라 렌즈의 화각은 일반 카메라 렌즈보다 작습니다. 이는 사진측량용 카메라가 주로 건축물, 도시 등의 측량 작업에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넓은 범위를 촬영하는 일반적인 사진 촬영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초점거리 150mm, 사진크기 23cm×23cm의 항공사진기로 종중복도 70%, 횡중복도 40%로 촬영하면 기선고도비는?

  1. 0.46
  2. 0.61
  3. 0.92
  4. 1.07
(정답률: 41%)
  • 기선고도비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기선고도비 = (초점거리 × 종중복도) / (사진크기 × 횡중복도)

    따라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기선고도비 = (150 × 0.7) / (23 × 0.4) = 0.46

    따라서, 정답은 "0.4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축척 1:20000의 항공사진으로 면적 1000km2의 지역을 종중복도 60%, 횡중복도 30%로 촬영하려고 할 경우 필요한 사진매수는? (단, 사진의 크기는 23cm×23cm로 매수의 안전을 30%로 가정한다.)

  1. 170매
  2. 190매
  3. 220매
  4. 250매
(정답률: 52%)
  • 면적 1000km2을 1:20000 축척으로 촬영하면 50km×20km의 면적이 된다. 이를 종중복도 60%, 횡중복도 30%로 촬영하면 각 지점은 최소 3장 이상의 사진에 포함된다. 따라서, 면적당 필요한 사진 매수는 3장 이상이 된다.

    면적 1000km2을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사진의 면적은 다음과 같다.

    면적 = 1000km2 × (1000m / 1km) × (100cm / 1m) × (23cm / 100cm) × (23cm / 100cm) = 52900000cm2

    안전을 위해 필요한 매수는 1.3배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안전한 사진 매수 = 52900000cm2 × 1.3 / (23cm × 23cm) = 220.87

    따라서, 필요한 사진 매수는 약 220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각각의 입체모형을 단위로 접합점과 기준점을 이용하여 여러 입체모형의 좌표들을 조정법에 의한 절대좌표로 환산하는 방법은?

  1. Aeropolygon법
  2. Independent Model법
  3. Bundle Adjustment법
  4. Block Adjustment법
(정답률: 60%)
  • Independent Model법은 각각의 입체모형을 독립적으로 처리하고, 접합점과 기준점을 이용하여 조정하는 방법이다. 다른 방법들은 여러 모형을 동시에 처리하거나, 이미지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지만, Independent Model법은 각각의 모형을 독립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계산이 간단하고 빠르며, 모형 간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Independent Model법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원격탐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료수집장비로는 수동적 센서와 능동적 센서가 있으며 Laser 거리관측기는 수동적 센서로 분류된다.
  2. 원격탐사 자료는 물체의 반사 또는 방사의 스펙트럴 특성에 의존한다.
  3. 자료의 양은 대단히 많으며 불필요한 자료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4. 탐측된 자료가 즉시 이용될 수 있으며 재해 및 환경문제 해결에 편리하다.
(정답률: 67%)
  • "자료수집장비로는 수동적 센서와 능동적 센서가 있으며 Laser 거리관측기는 수동적 센서로 분류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Laser 거리관측기는 능동적 센서로 분류된다. 수동적 센서는 물체가 방출하는 전자기파를 측정하는 센서이며, 능동적 센서는 전자기파를 발사하여 반사되는 파장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Laser 거리관측기는 레이저를 발사하여 반사되는 빛의 시간차를 측정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능동적 센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해석적 내부표정에서의 주된 작업내용은?

  1. 3차원 가상 좌표를 계산하는 작업
  2. 표고결정 및 경사를 결정하는 작업
  3. 1개의 통일된 블록좌표계로 변환하는 작업
  4. 관측된 상좌표로부터 사진좌표로 변화하는 작업
(정답률: 57%)
  • 해석적 내부표정에서의 주된 작업내용은 관측된 상좌표로부터 사진좌표로 변화하는 작업입니다. 이는 공간상의 물체를 사진으로 찍을 때, 실제 물체의 위치와 사진상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보정하여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항공사진의 촬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같은 사진기를 이용하여 촬영할 경우, 촬영고도와 촬영면적은 반비례한다.
  2. 같은 사진기를 이용하여 촬영할 경우, 촬영고도와 촬영축척은 반비례한다.
  3. 같은 사진기를 이용하여 촬영할 경우, 촬영고도와 촬영되는 폭은 비례한다.
  4. 같은 사진기를 이용하여 촬영할 경우, 촬영고도를 2배로 하면 사진매수는 1/4로 줄어든다.
(정답률: 47%)
  • "같은 사진기를 이용하여 촬영할 경우, 촬영고도와 촬영되는 폭은 비례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같은 사진기를 이용하여 촬영할 경우, 촬영고도와 촬영축척은 반비례한다. 즉, 촬영고도가 높아질수록 촬영되는 면적은 작아지고, 촬영축척은 커진다. 또한, 촬영고도를 2배로 하면 사진매수는 4배로 줄어든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원격탐사 자료처리 중 기하학적 보정에 해당되는 것은?

  1. 영상대조비 개선
  2. 영상의 밝기 조절
  3. 화소의 노이즈 제거
  4. 지표기복에 의한 왜곡 제거
(정답률: 71%)
  • 원격탐사 자료처리 중 기하학적 보정은 지표기복에 의한 왜곡 제거를 포함합니다. 지표기복은 지구 표면의 고도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영상 왜곡으로, 이를 보정하지 않으면 영상 분석 결과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하학적 보정은 지표기복을 보정하여 정확한 분석 결과를 얻기 위한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항공사진을 재촬영하여야 할 경우가 아닌 것은?

  1. 인접한 사진의 축척이 현저한 차이가 있을 때
  2. 인접코스간의 종복도가 표고의 최고점에서 3% 정도일 때
  3. 항공기의 고도가 계획 촬영고도의 3%정도 벗어날 때
  4. 구름이 사진에 나타날 때
(정답률: 61%)
  • 항공기의 고도가 계획 촬영고도의 3%정도 벗어날 때는 항공기가 이미 촬영할 위치에 있기 때문에 재촬영할 필요가 없다. 다른 보기들은 인접한 사진의 축척이 현저한 차이가 있거나 인접코스간의 종복도가 표고의 최고점에서 3% 정도일 때, 또는 구름이 사진에 나타날 때는 촬영 결과가 왜곡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재촬영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GIS 및 GPS

41. 객체지향 용어인 다형성(polymorphis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여러 개의 형태를 가진다는 의미의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다.
  2. 동일한 이름의 함수를 여러 개 만드는 기업인 오버로딩(overloading)도 다형성의 형태이다.
  3. 동일한 객체내의 또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매소드와 프로퍼티에 접근하는 것을 뜻한다.
  4. 여러 개의 서로 다른 클래스가 동일한 이름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것도 다형성이다.
(정답률: 44%)
  • 정답은 "동일한 객체내의 또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매소드와 프로퍼티에 접근하는 것을 뜻한다." 이다. 다형성은 여러 개의 형태를 가진다는 의미의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오버로딩도 다형성의 형태이다. 또한 여러 개의 서로 다른 클래스가 동일한 이름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것도 다형성이다. 다형성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같은 이름의 메소드를 다른 클래스에서 다르게 구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통해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이 향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A점에 대한 GMSS 관측결과로 타원체고가 123.456m, 지오이드고가 +23.456m이었다면 지오이드면에서 A점까지의 높이는?

  1. 76.544m
  2. 100.000m
  3. 146.912m
  4. 170.368m
(정답률: 71%)
  • 지오이드면에서 A점까지의 높이는 타원체고와 지오이드고의 차이인 +100.000m이다. 이는 타원체고와 지오이드고의 차이가 지오이드면에서의 높이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간자료의 정보화
  2. 자료의 시공간적 분석
  3. 의사결정 지원
  4. 공간정보의 보안 강화
(정답률: 68%)
  • GIS는 공간정보를 수집, 저장, 분석, 시각화하여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시스템이다. 이 중에서 "공간정보의 보안 강화"는 GIS의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GIS가 공간정보를 다루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보안에 대한 이슈가 발생할 수 있지만, 이는 보안 전문가들이나 보안 시스템들이 처리해야 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GIS는 공간정보를 다루는 기능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보안 강화는 보안 전문가들이나 보안 시스템들이 처리해야 하는 문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태양폭풍 영향으로 GNSS 위성신호의 전파에 교란을 발생시키는 대기충은?

  1. 전리층
  2. 대류권
  3. 열군
  4. 권계면
(정답률: 72%)
  • 전리층은 대기 중에서 이온화된 입자들이 존재하는 층으로, 이 층에서 GNSS 위성신호의 전파가 교란을 받게 됩니다. 태양폭풍으로 인해 전리층의 이온화된 입자들이 더 많아지면, GNSS 위성신호의 전파가 더 많은 교란을 받게 되어 위치 측정이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전리층은 GNSS 위성신호의 전파 교란을 발생시키는 대기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쿼드 트리(quadtree)는 한 공간을 몇 개의 자식노드로 분할하는가?

  1. 2
  2. 4
  3. 8
  4. 16
(정답률: 69%)
  • 쿼드 트리는 2차원 공간을 4개의 자식노드로 분할합니다. 각 자식노드는 원래 공간의 1/4 크기를 가지며, 분할된 자식노드들은 다시 각각 4개의 자식노드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간을 분할하면서 트리를 구성하게 됩니다. 따라서 쿼드 트리에서 한 공간을 몇 개의 자식노드로 분할하는가에 대한 정답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지리정보시스템(GIS)과 관련된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위치정보는 지물 및 대상물의 위치에 대한 정보로서 위치는 절대위치(실제공간)와 상대위치(모형공간)가 있다.
  2. 도형정보는 지형ㆍ지물 또는 대상물의 위치에 대한 자료로서, 지도 또는 그림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3. 영상정보는 항공사진, 인공위성영상, 비디오 및 각종 영상의 수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정보이다.
  4. 속성정보는 대상물의 자연, 인문, 사회, 행정, 경제, 환경적 특성을 도형으로 나타내는 지도정보로서 지형공간적 분석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정답률: 71%)
  • 위치정보, 도형정보, 영상정보, 속성정보는 모두 GIS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 옳지 않은 것은 없다. 다만, 속성정보에 대한 설명에서 "지형공간적 분석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는 부분은 옳지 않다. 속성정보는 대상물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이기 때문에, 지형공간적 분석과 함께 사용되어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위성의 배치에 따른 정확도의 영향을 DO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PDOP:위치 정밀도 저하율
  2. HDOP:수평위치 정밀도 저하율
  3. VDOP:수직위치 정밀도 저하율
  4. TDOP:기하학적 정밀도 저하율
(정답률: 62%)
  • "TDOP:기하학적 정밀도 저하율"이 틀린 것이다. 위성의 배치에 따라 PDOP, HDOP, VDOP는 각각 위치, 수평위치, 수직위치의 정밀도 저하율을 나타내지만, TDOP는 시간정밀도 저하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TDOP는 위성의 배치와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공간데이터 중 래스터자료 형태로 짝지어진 것은?

  1. GPD측량결과, 항공사진
  2. 항공사진, 위성영상
  3. 수치지도, 항공사진
  4. 수치지도, 위성영상
(정답률: 64%)
  • 래스터 자료는 격자 형태로 구성된 공간 데이터이며, 항공사진과 위성영상은 이미지 형태로 래스터 자료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항공사진, 위성영상"입니다. GPD측량결과와 수치지도는 벡터 자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2개 이상의 실측값을 이용하여 그 사이에 있는 임의의 위치에 있는 지점의 값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표고점을 이용한 등고선의 구축이나 몇 개 지점의 온도자료를 이용한 대상지 전체 온도 지도 작성 등에 활용되는 공간정보 분석 방법은?

  1. 보간법
  2. 버퍼링
  3. 중력모델
  4. 일반화
(정답률: 72%)
  • 보간법은 2개 이상의 실측값을 이용하여 그 사이에 있는 임의의 위치에 있는 지점의 값을 추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표고점을 이용한 등고선의 구축이나 몇 개 지점의 온도자료를 이용한 대상지 전체 온도 지도 작성 등에 활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보간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국가 위성기준점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높은 정확도의 3차원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측량방법은?

  1. Static GPS측량
  2. DGPS측량
  3. VRS측량
  4. VLBI측량
(정답률: 55%)
  • 국가 위성기준점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높은 정확도의 3차원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측량방법은 VRS측량입니다. VRS측량은 가상기준국(Virtual Reference Station)을 활용하여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정밀한 측량이 필요한 건설, 측량, 지리정보 등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VRS측량은 정확한 위치 측정을 위해 국가 위성기준점과 가상기준국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보정을 수행하므로, 정확도가 높고 빠른 측량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구축 시 실 세계의 참값과 구축된 시스템의 값을 비교ㆍ분석하기 위하여 시스템에서 추출한 속성값과 현장검사에 의한 속성의 참값을 행렬로 나타낸 것으로 데이터의 속성에 대한 정확도를 평가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은?

  1. 오차행렬(error matrix)
  2. 카파행렬(kappa matrix)
  3. 표본행렬(sample matrix)
  4. 검증행렬(verifying matrix)
(정답률: 61%)
  • 오차행렬은 실제값과 예측값을 비교하여 분류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행렬이다. 이를 통해 모델이 얼마나 정확하게 분류를 수행하는지, 어떤 클래스를 잘 분류하고 어떤 클래스를 잘못 분류하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GIS 시스템에서 추출한 속성값과 현장검사에 의한 속성의 참값을 비교하여 데이터의 정확도를 평가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정보 중 메타데이터의 항목이 아닌 것은?

  1. 자료의 정확도
  2. 토지의 식생정보
  3. 사용된 지도투영법
  4. 지도의 지리적 범위
(정답률: 63%)
  • 정답은 "토지의 식생정보"입니다. 이유는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설명하는 데이터이며, "자료의 정확도", "사용된 지도투영법", "지도의 지리적 범위"는 데이터의 특성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반면, "토지의 식생정보"는 데이터 자체의 내용에 해당하는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지형공간정보체계의 자료구조 중 벡터형 자료구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복잡한 지형의 묘사가 원활하다.
  2. 그래픽의 정확도가 높다.
  3. 그래픽과 관련된 속성정보의 추출 및 일반화, 갱신 등이 용이하다.
  4. 데이터베이스 구조가 단순하다.
(정답률: 80%)
  • "데이터베이스 구조가 단순하다"는 것은 벡터형 자료구조가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식이 간단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벡터형 자료구조는 점, 선, 면 등의 기하학적 요소를 포함하며, 이러한 요소들은 좌표값과 속성값으로 구성되어 저장됩니다. 이러한 구조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쉽게 관리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벡터형 자료구조는 지형공간정보체계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아래의 관측값의 경중평균중심은 얼마인가? (단, 좌표=x, y)

  1. (2.2, 3.2)
  2. (2.4, 3.2)
  3. (1.6, 1.8)
  4. (1.3, 1.6)
(정답률: 55%)
  • 경중평균중심은 각 좌표의 가중평균을 구한 것으로, 각 좌표의 무게를 나타내는 값으로 사용된다. 이 문제에서는 좌표의 무게가 모두 같으므로, 각 좌표의 평균값을 구하면 된다. x좌표의 평균은 (2.2+2.4+1.6+1.3)/4 = 1.875, y좌표의 평균은 (3.2+3.2+1.8+1.6)/4 = 2.45 이므로, 경중평균중심은 (1.875, 2.45) 이다. 따라서 정답은 "(2.2, 3.2)" 가 아닌데, 이유는 오답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자료입력용 하드웨어가 아닌 것은?

  1. 스캐너
  2. 플로터
  3. 디지타이저
  4. 해석도화기
(정답률: 63%)
  • 플로터는 GIS 자료를 입력하는 하드웨어가 아니라, 출력하는 하드웨어이기 때문입니다. 스캐너는 지도나 사진 등을 디지털화하여 GIS에 입력할 수 있고, 디지타이저는 지도나 사진 등을 직접 그리드나 키보드를 이용하여 디지털화하여 GIS에 입력할 수 있습니다. 해석도화기는 GIS에서 분석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드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디지타이저를 이용한 수치지도의 입력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오차의 유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기계적 오류로 인해 실선이 파선으로 디지타이징 되는 변질오차
  2. 온도나 습도 변화로 인한 종이지도의 신축으로 발생하는 위치오차
  3. 입력자의 실수로 인해 발생하는 Overshooting이나 Undershooting
  4. 작업중 디지타이저 상의 종이지도를 탈부착할 경우 발생하는 위치오차
(정답률: 45%)
  • 기계적 오류로 인해 실선이 파선으로 디지타이징 되는 변질오차가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디지타이저의 기계적인 문제로 인해 실제 지도상의 실선이 디지타이저에서는 파선으로 인식되어 입력되는 오차이다. 다른 오차들은 위치나 크기에 대한 오차이지만, 이 오차는 실제 지도상의 모습을 왜곡시키는 오차이므로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사용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모형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질의의 형태에 제한이 없다.
  2. 모형 구성이 단순하고 이해가 빠르다.
  3. 테이블의 구성이 자유롭다.
  4. 테이블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저장용량을 상대적으로 적게 차지한다.
(정답률: 62%)
  • 테이블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저장용량을 상대적으로 적게 차지하는 이유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모형에서는 데이터를 중복 저장하지 않고, 각 테이블에서 필요한 데이터만을 저장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저장용량이 적게 필요하며,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공공시설물이나 대규모의 공장, 관로망 등에 대한 지도 및 도면 등 제반정보를 수치입력하여 시설물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관리를 하는 종합적인 관리체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CAD/CAM
  2. AM(Automatic Mapping)
  3. FM(Facility Management)
  4. SIS(Surveying Information System)
(정답률: 64%)
  • FM은 시설물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체계를 의미하며, 수치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시설물의 유지보수, 보수계획, 에너지관리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CAD/CAM은 컴퓨터를 이용한 설계 및 제조기술, AM은 자동 지도 작성 기술, SIS는 측량 정보 시스템으로 FM과는 다른 분야의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동일한 경계를 갖는 두 개의 다각형을 중첩하였을 때 입력오차 등에 의하여 완전중첩되지 않고 속성이 결여된 다각형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Margin
  2. Undershoot
  3. Sliver
  4. Overshoot
(정답률: 61%)
  • 정답은 "Sliver"이다. Sliver는 입력오차 등으로 인해 완전 중첩되지 않고 속성이 결여된 다각형을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Sliver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각 기관에서 생산한 수치지도를 어느 곳에 집중하여, 인터넷으로 검색ㆍ구입할 수 있는 곳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공간자료 정보센터(spatial data clearinghouse)
  2. 공간자료 데이터베이스(spatial database)
  3. 공간 기준계(spatial reference system)
  4.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
(정답률: 68%)
  • 공간자료 정보센터는 여러 기관에서 생산한 수치지도를 한 곳에 모아서 제공하는 곳을 말한다. 따라서, 인터넷으로 검색하거나 구입할 수 있는 곳이다. 이와 달리, 공간자료 데이터베이스는 공간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말하며, 공간 기준계는 공간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좌표계나 기준점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은 데이터를 관리하고 처리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따라서, 이 중에서 공간자료 정보센터가 가장 적절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갑, 을, 병 3사람이 기선측량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면 최확값은?

  1. 100.521m
  2. 100.524m
  3. 100.526m
  4. 100.531m
(정답률: 54%)
  • 기선측량에서는 삼각측량법을 사용하여 삼각형의 변의 길이와 각도를 측정한다. 이 문제에서는 갑, 을, 병 3사람이 각각 측정한 변의 길이가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각도를 구할 수 있다.

    먼저,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 세 변의 길이를 이용하여 반 둘레를 구한다.

    반 둘레 = (a + b + c) / 2 = (100 + 80 + 60) / 2 = 120

    넓이 = √(s(s-a)(s-b)(s-c)) = √(120(120-100)(120-80)(120-60)) = 2400

    넓이 = (1/2)ab sin C = (1/2)bc sin A = (1/2)ac sin B

    따라서, sin A = (2넓이) / (bc) = (2 * 2400) / (80 * 60) = 2/3

    sin B = (2넓이) / (ac) = (2 * 2400) / (100 * 60) = 4/5

    sin C = (2넓이) / (ab) = (2 * 2400) / (100 * 80) = 3/4

    이제, 삼각형의 각도를 구하기 위해 역사인 함수를 사용한다.

    A = sin^-1(2/3) ≈ 41.81°

    B = sin^-1(4/5) ≈ 53.13°

    C = sin^-1(3/4) ≈ 48.59°

    마지막으로, 삼각형의 높이를 구하기 위해 sin 함수를 사용한다.

    h = b sin A = 80 sin 41.81° ≈ 52.53

    따라서, 최확값은 100 + 52.53 = 152.53 ≈ 100.526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광파거리측량기(EDM)을 사용하여 두 점간의 거리를 관측한 결과 1234.56m이었다. 관측시의 대기굴절률이 1.000310이었다면 기상보정후의 거리는? (단, 기계에서 채용한 표준대기굴절률은 1.000325이다.)

  1. 1234.54m
  2. 1234.56m
  3. 1234.58m
  4. 1234.60m
(정답률: 39%)
  • 대기굴절률이 1.000310일 때 측정된 거리는 실제 거리보다 더 길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기상보정을 통해 실제 거리를 구해야 합니다. 기상보정된 대기굴절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기상보정된 대기굴절률 = 기계에서 채용한 표준대기굴절률 / 관측시 대기굴절률
    = 1.000325 / 1.000310
    = 1.000015

    따라서 기상보정된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기상보정된 거리 = 측정된 거리 / 기상보정된 대기굴절률
    = 1234.56 / 1.000015
    = 1234.58m

    따라서 정답은 "1234.58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평면직각좌표가 (x1, y1)인 P1을 기준으로 관측한 P2의 극좌표(S, T)가 다음과 같을 때 P2의 평면직각좌표는? (단, x축은 북, y축은 동, T는 x축으로부터 우회로 측정한 각이다.)

  1. x2=-39.8m, y2=556.2m
  2. x2=-194.7m, y2=789.5m
  3. x2=-274.3m, y2=1901.9m
  4. x2=-429.2m, y2=2135.2m
(정답률: 41%)
  • 극좌표에서 반지름 S는 P1과 P2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고, 각도 T는 P1에서 P2를 바라보는 방향과 x축과의 각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P1과 P2 사이의 거리와 방향을 알면 P2의 평면직각좌표를 구할 수 있다.

    먼저, S를 구하기 위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한다.

    S = √[(x2 - x1)² + (y2 - y1)²]
    = √[(-2000 - 1000)² + (1000 - 3000)²]
    = √[(-3000)² + (-2000)²]
    = √(9000000 + 4000000)
    = √13000000
    = 3605.55m

    다음으로, 방향을 구하기 위해 아크탄젠트 함수를 이용한다.

    T = atan2(y2 - y1, x2 - x1) - 90°
    = atan2(1000 - 3000, -2000 - (-1000)) - 90°
    = atan2(-2000, -1000) - 90°
    = -116.57°

    여기서, atan2 함수는 y축과 x축 사이의 각도를 구하는 함수이다. 이때, 각도를 라디안으로 계산하므로, -116.57°를 라디안으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S와 T를 이용하여 P2의 평면직각좌표를 구한다.

    x2 = x1 + S * cos(T)
    = -1000 + 3605.55 * cos(-116.57°)
    = -429.2m

    y2 = y1 + S * sin(T)
    = 1000 + 3605.55 * sin(-116.57°)
    = 2135.2m

    따라서, P2의 평면직각좌표는 (-429.2m, 2135.2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1회 관측에서 ±3mm의 우연오차가 발생하였을 때 20회 관측시 우연오차는?

  1. ±6.7mm
  2. ±13.4mm
  3. ±34.6mm
  4. ±60.0mm
(정답률: 61%)
  • 우연오차는 표준편차로 계산할 수 있으므로, 1회 관측에서의 표준편차는 3mm가 된다. 이를 20회 관측시에는 표준편차가 3mm / √20 = 0.67mm가 된다. 따라서, 20회 관측시의 우연오차는 0.67mm × 2 = 1.34mm가 된다. 이는 정답 중에서 "±6.7mm"에 해당한다.

    하지만, 문제에서 우연오차를 구하는 것이므로, 이 값을 절대값으로 바꾸어서 최종 답을 구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3.4m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축척 1:3000의 지형도를 만들기 위해 같은 도면크기의 축척 1:500의 지형도를 이용한다면 1:3000 지형도의 1도면에 필요한 1:500 지형도는?

  1. 36매
  2. 25매
  3. 12매
  4. 6매
(정답률: 69%)
  • 1:3000 지형도의 1도면은 1:500 지형도의 36매가 필요하다. 이는 축척이 작아질수록 지도의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1:500 지형도 1매가 1:3000 지형도 6매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1:3000 지형도 1도면에는 1:500 지형도 6매가 필요하며, 이를 곱하면 36매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지반고 145.25m의 A지점에 토털스테이션을 기계고 1.25m 높이로 세워 B지점을 시준하여 사거리 172.30m, 타겟높이 1.65m, 연직각 -20°11‘을 얻었다면 B지점의 지반고는?

  1. 71.33m
  2. 85.40m
  3. 217.97m
  4. 221.67m
(정답률: 50%)
  • 토털스테이션을 기계고 1.25m 높이로 세웠으므로, 타겟높이 1.65m에서 기계고 1.25m를 뺀 높이가 실제 측정한 거리와의 차이가 된다. 따라서, 172.30m 거리에서 1.65m 타겟높이를 측정한 결과에서 1.25m를 뺀 값이 실제 거리와의 차이가 된다. 이 값을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하면, B지점의 지반고는 85.40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기설치된 삼각점을 이용하여 삼각측량을 할 경우 작업순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가→다→나→바→마→라
  2. 가→나→다→마→바→라
  3. 가→나→바→마→다→라
  4. 가→다→나→마→바→라
(정답률: 77%)
  • 작업순서는 "가→다→나→바→마→라"가 가장 적합하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가" : 삼각점 A, B, C를 측량하기 전에 삼각점의 위치를 확인하고 측량 기기를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가장 먼저 삼각점의 위치를 확인하고 측량 기기를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2. "다" : 삼각점 A, B, C를 측량한다. 이 단계에서는 삼각점의 좌표를 측정하고, 삼각형의 각도를 측정하여 삼각형의 크기와 모양을 결정한다.

    3. "나" : 삼각점 A, B, C를 기준으로 다른 지점의 좌표를 측정한다. 이 단계에서는 삼각형의 크기와 모양을 이용하여 다른 지점의 좌표를 측정한다.

    4. "바" : 삼각점 A, B, C를 이용하여 다른 지점의 좌표를 측정한 후, 이를 이용하여 거리와 방향을 계산한다. 이 단계에서는 삼각측량의 결과를 이용하여 거리와 방향을 계산하여 다른 지점과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한다.

    5. "마" : 삼각측량 결과를 검증한다. 이 단계에서는 삼각측량 결과를 다시 한번 확인하여 오차를 검증하고, 필요한 경우 보정을 수행한다.

    6. "라" : 작업을 마무리한다. 이 단계에서는 삼각측량 기기를 철수하고, 작업장을 정리하여 작업을 마무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삼각측량에서 그림과 같은 사변형망의 각조건식 수는?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률: 52%)
  • 사변형망에서는 각 조건식이 4개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이미 한 변의 길이와 그에 대한 각도가 주어졌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나머지 세 변의 길이와 각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조건식은 3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어느 폐합 트래버스의 전체 관측선의 길이가 1200m일 때 폐압비는 1/6000으로 한다면 축척 1:500의 도면에서 허용되는 최대오차는?

  1. ±0.2mm
  2. ±0.4mm
  3. ±0.8mm
  4. ±1.0mm
(정답률: 35%)
  • 폐압비는 실제 길이와 도면상 길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폐압비가 1/6000이면 도면상 길이는 실제 길이의 1/6000배가 된다. 축척 1:500의 도면에서 1mm는 실제 길이의 500mm에 해당한다. 따라서 도면상 길이 1mm는 실제 길이의 500/6000 = 1/12에 해당한다.

    최대오차는 허용되는 오차의 범위 중 가장 큰 값이다. 폐압비가 1/6000이므로 도면상 길이 1mm의 최대오차는 실제 길이의 1/12 × 1/2 = 1/24에 해당한다. 따라서 축척 1:500의 도면에서 허용되는 최대오차는 ±0.4m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방위가 N32°38'05"W인 측선의 역방위각은?

  1. 32°38‘05“
  2. 57°21‘55
  3. 147°21'55“
  4. 212°38' 05“
(정답률: 52%)
  • 역방위각은 해당 측선의 방위각에 180°를 더한 값이다. 따라서 N32°38'05"W의 역방위각은 S147°21'55"E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삼각수준측량에서 지구가 구면이기 때문에 생기는 오차의 보정량은? (단, D:수평거리, R:지구 반지름)

(정답률: 58%)
  • 삼각수준측량에서는 지구가 평면으로 가정되어 계산되지만, 실제로는 지구가 구면이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한다. 이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지구의 곡률을 고려해야 한다. 이때 사용되는 공식이 바로 "" 이다. 이 공식은 수평거리(D)와 지구 반지름(R)을 이용하여 오차를 보정하는 공식으로, 수평거리가 길어질수록 오차가 커지고 지구 반지름이 클수록 오차가 작아진다. 따라서 이 공식을 사용하여 오차를 보정하면 보다 정확한 측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축척1:25000 지형도에서 표고 105m와 348m사이에 주곡선 간격의 등고선의 수는?

  1. 50개
  2. 49개
  3. 25개
  4. 24개
(정답률: 48%)
  • 축척 1:25000 지형도에서 1mm는 25m를 나타낸다. 따라서 105m와 348m 사이의 고도차는 243m이다. 이 고도차를 주곡선 간격으로 나누면 등고선의 수를 구할 수 있다.

    주곡선 간격은 지형도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0m, 20m, 25m 등이 사용된다. 이 문제에서는 주곡선 간격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20m나 25m를 가정해볼 수 있다.

    만약 주곡선 간격이 20m라면, 243m를 20m로 나눈 값은 12.15이므로 등고선의 수는 12개가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 중에서는 24개가 아니다.

    하지만 주곡선 간격이 25m라면, 243m를 25m로 나눈 값은 9.72이므로 등고선의 수는 10개가 된다. 이때 각 등고선 위아래로 2개씩 보조선이 그려지므로, 총 등고선의 수는 10x2+1=21개가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105m와 348m 사이의 등고선의 수를 물어보고 있으므로, 105m와 348m에 해당하는 등고선을 각각 더해주면 21+2=23개가 된다. 이때 가운데 빠진 등고선을 추가해주면 총 등고선의 수는 24개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4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각 측량의 기계적 오차 중 망원경의 정ㆍ반위치에서 측정값을 평균해도 소거되지 않는 오차는?

  1. 연직축 오차
  2. 시준축 오차
  3. 수평축 오차
  4. 편심 오차
(정답률: 65%)
  • 망원경의 정ㆍ반위치에서 측정값을 평균해도 소거되지 않는 오차는 "연직축 오차"입니다. 이는 망원경의 수직축이 정확하게 수직하게 조정되어 있지 않아서 발생하는 오차로, 망원경의 수평축과 시준축은 정확하게 조정되어 있어도 연직축이 조정되지 않으면 측정값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연직축 오차는 망원경의 정확한 조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오차 방향과 크기를 산출하여 소거할 수 있는 오차는?

  1. 우연오차
  2. 착오
  3. 개인오차
  4. 정오차
(정답률: 68%)
  • 정오차는 측정값과 실제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오차로, 측정 시 발생하는 모든 오차 중에서 시스템적인 오차를 제외한 오차를 말합니다. 따라서 오차 방향과 크기를 산출하여 소거할 수 있는 오차는 정오차입니다. 우연오차는 측정 시 발생하는 불확정성으로, 측정을 반복하면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착오는 잘못된 판단이나 결정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이며, 개인오차는 측정자의 개인적인 경험, 기술, 지식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무단으로 측량성과 또는 측량기록을 복제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300만원 이하의 과태요
(정답률: 45%)
  • 무단으로 측량성과 또는 측량기록을 복제하는 행위는 측량법에 위배되는 행위이므로 처벌 대상이 됩니다. 그러나 이는 일반적으로 범죄적인 행위보다는 민사상의 문제로 다루어지기 때문에 처벌 범위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따라서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적절한 벌칙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측량기기의 성능검사 주로 옳은 것은?

  1. 레벨:3년
  2. 트랜싯 1년
  3. 거리측정기:4년
  4. 토털스테이션:2년
(정답률: 79%)
  • 측량기기의 성능검사 주기는 해당 기기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 중에서도 레벨은 지형의 수평을 측정하는 기기로, 정확한 측정이 필요하므로 3년마다 성능검사를 해야 한다. 반면에 트랜싯은 지형의 경사를 측정하는 기기로, 레벨보다는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1년마다 성능검사를 해야 한다. 거리측정기는 거리를 측정하는 기기로, 레벨과 마찬가지로 정확한 측정이 필요하므로 4년마다 성능검사를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토털스테이션은 건축물이나 다리 등의 구조물을 측정하는 기기로, 정확한 측정이 필요하므로 2년마다 성능검사를 해야 한다. 따라서, 레벨은 3년마다 성능검사를 해야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공공측량에 관한 공공측량 작업계획서를 작성하여야 하는 자는?

  1. 측량협회
  2. 측량업자
  3. 공공측량시행자
  4. 국토지리정보원장
(정답률: 71%)
  • 공공측량 작업계획서는 공공측량시행자가 작성하여야 합니다. 이는 공공측량시행자가 측량 작업을 계획하고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와 절차를 명확하게 정리하여 관련자들과의 협조와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측량협회는 측량업자들의 단체이며, 국토지리정보원장은 국가 기관의 책임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실시하는 측량은?

  1. 국가측량
  2. 기본측량
  3. 기초측량
  4. 공공측량
(정답률: 69%)
  • 국토교통부장관이 실시하는 측량 중에서 기본측량은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측량이다. 따라서, 기본측량은 다른 측량들의 기반이 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국토의 공간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측량기준점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측량기준점은 국가기준점, 공공기준점, 지적기준점으로 구분된다.
  2. 국토교통부장관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직접 측량기준점표지의 현황을 조사할 수 있다.
  3. 측량기준점표지의 형상, 규격, 관리방법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4. 측량기준점을 정한 자는 측량기준점표지를 설치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정답률: 54%)
  • "측량기준점표지의 형상, 규격, 관리방법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법률이 아닌 대통령령으로 규정되므로, 법령의 위계에 따라서는 대통령령보다 하위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 부분은 수정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기본측량의 측량성과 고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측량의 종류
  2. 측량성과의 보관장소
  3. 설치한 측량기준점의 수
  4. 사용측량기기의 종류 및 성능
(정답률: 54%)
  • 사용측량기기의 종류 및 성능은 측량의 기본적인 요소가 아니라, 측량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도구와 장비에 대한 정보이기 때문에 기본측량의 측량성과 고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