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7-11)

압연기능사
(2010-07-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금속재료일반

1. 다음 중 연강의 탄소함량은 약 몇 % 인가?

  1. 0.14
  2. 0.45
  3. 0.55
  4. 0.85
(정답률: 79%)
  • 연강의 탄소함량은 0.14%이다. 이는 연강이 탄소의 상당 부분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연강은 주로 철과 다른 금속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탄소 함량은 매우 적다. 따라서 연강의 탄소함량은 매우 낮은 수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액상(L)의 순철을 응고 냉각시킬 때 변태의 순서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L → γ철 → δ철 → α철
  2. L → δ철 → γ철 → α철
  3. L → δ철 → α철 → γ철
  4. L → γ철 → α철 → δ철
(정답률: 76%)
  • 정답은 "L → δ철 → γ철 → α철" 입니다.

    액상(L)은 철의 가장 높은 온도에서 존재하는 상태이며, 이를 냉각하면서 철은 다양한 상태로 변태합니다.

    먼저, L에서 냉각하면서 철은 우선적으로 δ철 상태로 변태합니다. 이는 액상에서 철의 원자가 서서히 정렬되면서 일어나는 변화로, 철의 결정구조가 바뀌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 다음으로, δ철에서 냉각하면 γ철 상태로 변태합니다. 이는 철의 결정구조가 다시 바뀌는 과정으로, 철의 원자가 더욱 밀집하게 정렬됩니다.

    마지막으로, γ철에서 냉각하면 α철 상태로 변태합니다. 이는 철의 가장 안정적인 상태로, 철의 결정구조가 최종적으로 바뀌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변태의 순서는 "L → δ철 → γ철 → α철"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빛 대신 파장이 짧은 전자선을 이용하며 전자 렌즈로 상을 확대하여 형성시키는 것으로 가속 전자 빔을 광원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배율 조정을 위한 렌즈의 작동을 전기장으로 이용하는 현미경은?

  1. 투과 전자 현미경
  2. 정립형 금속 현미경
  3. 주사 전자 현미경
  4. 도립형 광학 현미경
(정답률: 81%)
  • 투과 전자 현미경은 전자 빔을 이용하여 샘플 내부를 관찰하는 현미경으로, 샘플을 투과하는 전자를 감지하여 이미지를 형성합니다. 따라서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샘플을 투과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다른 보기들과는 구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금속 결정의 종류 중 면심입방격자(FC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배위수가 8개이다.
  2. 8개의 꼭지점에 있는 원자의 합이 2개이다.
  3. 단위격자에 속하는 원자의 합이 4개이다.
  4. 단위격자 중심에 원자 1개가 있다.
(정답률: 74%)
  • 면심입방격자(FCC)는 4개의 원자가 단위격자에 속하는 결정 구조입니다. 이는 각 면의 중심에 원자 1개와 각 모서리에 원자 1개씩, 총 4개의 원자가 위치하게 됩니다. 따라서 "단위격자에 속하는 원자의 합이 4개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Zn을 5~20% 함유한 황동으로, 강도는 낮으나 전연성이 좋고, 색깔이 금색에 가까워 모조금이나 판 및 선 등에 사용되는 황동은?

  1. 톰백
  2. 주석황동
  3. 7-3황동
  4. 6-4황동
(정답률: 87%)
  • 톰백은 Zn 함량이 5~20%인 황동으로, 이는 다른 보기들보다 Zn 함량이 높지 않지만 전연성이 좋고 색깔이 금색에 가까워 모조금이나 판 및 선 등에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우라늄과 토륨의 주 용도로 옳은 것은?

  1. 착색 도금제
  2. 핵연료용
  3. 전기접전용
  4. 화학공어뵹 촉매재
(정답률: 91%)
  • 우라늄과 토륨은 핵연료로 사용됩니다. 이는 핵분열 반응을 일으켜 에너지를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핵발전소에서 전기 생산에 사용되는 주요한 원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재료 중에서 알루미늄이 주성분이 아닌 것은?

  1. 인코넬
  2. Y합금
  3. 두랄루민
  4. 라우탈
(정답률: 70%)
  • 인코넬은 니켈과 크롬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 알루미늄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인코넬이 주성분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구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용융점은 약 1083℃ 이다.
  2. 원자량은 약 63.6 이다.
  3. 상온에서 체심입방격자이다.
  4. 전기 및 열의 양도체이다.
(정답률: 87%)
  • 구리는 상온에서 체심입방격자가 아니라, 양자적으로는 체심입방격자이지만 실제로는 양자적 터널링으로 인해 일정한 확률로 결정체 내부를 이동하는 자유전자로 존재하기 때문에, 전자기기기 등에서는 전자의 이동성을 이용하기 위해 구리를 전기전도체로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휘스커 등의 섬유를 Al, Ti, Mg 등의 연성과 인성이 높은 금소기나 합금 중에 균일하게 배열시켜 복합화한 재료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섬유 강화 금속
  2. 분산 강화 금속
  3. 입자 강화 금속
  4. 클래드 재료
(정답률: 82%)
  • 섬유 강화 금속은 휘스커 등의 섬유를 금속 합금 중에 균일하게 배열시켜 복합화한 재료이다. 이는 섬유의 강도와 금속의 연성, 인성 등의 특성을 결합하여 높은 강도와 인성을 가지는 재료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섬유 강화 금속"이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저 용융점 금속으로 독성이 없어 의약품, 식품 등의 포장용 튜브, 식기 등에 사용되는 금속은?

  1. Zn
  2. Sn
  3. Cu
  4. Ti
(정답률: 70%)
  • 용융점이 낮아서 가공이 용이하고, 독성이 없어서 의약품, 식품 등과 접촉해도 안전한 금속은 주로 주석(S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몰리브덴계 고속도 공구강이 텅스텐계 고속도 공구강 보다 우수한 특성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비중이 높다.
  2. 인성이 높다.
  3. 열처리가 용이하다.
  4. 담금질 온도가 낮다.
(정답률: 60%)
  • 담금질 온도가 낮다는 것이 틀린 것입니다. 모리브덴계 고속도 공구강은 텅스텐계 고속도 공구강에 비해 인성이 높고 열처리가 용이하며 비중이 높아서 강도와 내마모성이 뛰어나지만, 담금질 온도는 높아야 합니다. 이는 모리브덴계 고속도 공구강의 성질로 인해 담금질 시에도 고온에서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일반적으로 금속이 갖는 특성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전성 및 연성이 좋다.
  2. 전기 및 열의 양도체이다.
  3. 금속 고유의 광택을 가진다.
  4. 모든 금속은 액체나 고체에서 결정구조를 가진다.
(정답률: 86%)
  • 정답: "모든 금속은 액체나 고체에서 결정구조를 가진다."

    설명: 금속은 원자들이 금속 결정구조를 형성하여 결합하므로 모든 금속은 액체나 고체에서 결정구조를 가지게 됩니다. 이는 금속의 특성 중 하나로, 전성, 연성, 전기 및 열의 양도체, 광택 등의 특성은 모두 이러한 결정구조에 기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KS D 3503에 의한 SS330으로 표시된 재료기호에서 330 이 의미하는 것은?

  1. 재질 번호
  2. 재질 등급
  3. 탄소 함유량
  4. 최저 인장강도
(정답률: 93%)
  • SS330은 KS D 3503에 의해 정의된 재료기호로, 이 중 330은 해당 재료의 최저 인장강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최저 인장강도"인 이유는, SS330이라는 재료기호에서 330은 해당 재료의 최저 인장강도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재질 번호, 재질 등급, 탄소 함유량과 같은 다른 속성들을 나타내지만, 이 경우에는 최저 인장강도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정답은 "최저 인장강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실제 길이가 50mm인 물체를 척도가 1:2인 도면에서 그리는 선의 길이와 치수선 위에 기입하는 숫자를 옳게 나타낸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25mm, 25
  2. 25mm, 50
  3. 50mm, 50
  4. 50mm, 100
(정답률: 82%)
  • 도면의 척도가 1:2이므로, 실제 길이 50mm를 1/2로 나눈 25mm를 도면에서 그리는 선의 길이로 나타내야 합니다. 따라서 첫 번째 보기인 "25mm, 25"와 네 번째 보기인 "50mm, 100"은 오답입니다. 치수선 위에 기입하는 숫자는 실제 길이와 일치해야 하므로, 정답은 "25mm, 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일점쇄선으로 나타내지 않는 선은?

  1. 파단선
  2. 중심선
  3. 피치선
  4. 기준선
(정답률: 68%)
  • 파단선은 일정한 간격으로 파절된 선으로, 일점쇄선으로 나타낼 수 없습니다. 파단선은 주로 절삭선이나 절단면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파단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금속제도

16. 다음 중 가는 실선으로 사용한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치수선
  2. 특수 지정선
  3. 수준면선
  4. 회전 단면선
(정답률: 77%)
  • 특수 지정선은 일반적인 치수선, 수준면선, 회전 단면선과는 달리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선으로, 가는 실선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부품의 위치를 나타내거나 조립 순서를 표시하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특수 지정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투상도의 종류가 옳은 것은?

  1. 사투상도
  2. 부등각 투상도
  3. 등각 투상도
  4. 투시 투상도
(정답률: 91%)
  • 이 투상도는 원뿔의 꼭대기에서 평면에 수직으로 내린 직선과 평면이 이루는 각이 일정한 등각 투상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제작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주문서에 첨부시키는 도면
  2. 견적서에 첨부시키는 도면
  3. 기계 등의 제작에 사용되는 도면
  4. 구조, 기능을 설명한 도면
(정답률: 91%)
  • 기계 등의 제작에 사용되는 도면은 제품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부품들의 크기, 모양, 위치 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으로, 제작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이 도면을 바탕으로 부품을 제작하고 조립하여 최종 제품을 완성합니다. 따라서 제작도는 제품 제작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도면은 철판에 구멍을 가공하기 위하여 작성한 도면이다. 도면에 기입된 치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철판의 두께는 10mm 이다.
  2. 같은 크기의 구멍은 9개이다.
  3. 구멍의 간격은 45mm으로 일정하다.
  4. 구멍의 반지름은 10mm이다.
(정답률: 88%)
  • 도면에는 철판의 두께에 대한 치수가 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철판의 두께는 10mm 이다." 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핸들, 바퀴의 암, 레일의 절단면 등을 그림처럼 90° 회전시켜 나타내는 단면도는?

  1. 전단면도
  2. 한쪽 단면도
  3. 부분 단면도
  4. 회전 도시 단면도
(정답률: 89%)
  • 이 그림은 핸들, 바퀴의 암, 레일 등을 그림처럼 90° 회전시켜 나타낸 것이기 때문에 "회전 도시 단면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제도 용구로 사용되는 연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H 는 연필의 흑색 농도를 의미한다.
  2. B 는 연필의 단단한 정도를 의미한다.
  3. 쐐기형 모양의 연필심은 선긋기용으로 사용된다.
  4. 가는 선과 트레이싱용은 4B~7B가 사용된다.
(정답률: 79%)
  • 쐐기형 모양의 연필심은 선긋기용으로 사용된다는 이유는, 쐐기형 모양의 연필심은 뾰족한 끝으로 선을 더욱 세밀하게 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도면에 으로 표시되었다면 치수 공차는?

  1. 0.002
  2. 0.003
  3. 0.005
  4. 0.008
(정답률: 83%)
  • 이 도면에서는 10.000의 치수를 가지는 선분이 그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이 선분의 양 끝단에는 각각 10.008과 9.992의 치수 공차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는 해당 선분의 길이가 10.000일 때, 실제로는 9.992 ~ 10.008 사이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선분의 치수 공차는 0.008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정투상도법 중 제 3각법에서 좌측면도는 정면도를 기준으로 어느 위치에 그려지는가?

  1. 정면도 좌측
  2. 정면도 우측
  3. 정면도 위
  4. 정면도 아래
(정답률: 88%)
  • 제 3각법에서 좌측면도는 정면도의 좌측에 그려지기 때문에 "정면도 좌측"이 정답입니다. 이는 제 3각법에서는 정면도를 기준으로 좌측면도와 우측면도를 그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좌측면도는 정면도의 좌측에 위치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도형의 일부분을 생략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되는 것은?

  1. 중심선을 중심으로 대칭일 때
  2. 같은 모양이 반복될 때
  3. 물체가 길어서 한 도면에 나타내기 어려울 때
  4. 물체의 내부가 비었을 때
(정답률: 83%)
  • 도형의 일부분을 생략할 수 없는 경우는 물체의 내부가 비었을 때입니다. 이는 물체의 내부가 비어있는 경우, 그 내부의 형태와 구조가 외부와 다르기 때문에 외부만으로는 전체 모양을 정확하게 나타낼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부까지 포함하여 그림을 그려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마찰저항을 작게 하는 작용으로서 윤활의 최대 목적이 되는 작용은?

  1. 냉각작용
  2. 감마작용
  3. 밀봉작용
  4. 방청작용
(정답률: 76%)
  • 윤활유가 부드러워져서 마찰력이 감소하고, 부드러운 윤활유가 마찰면을 덮어서 마찰을 줄이는 작용이 감마작용입니다. 따라서, 마찰저항을 작게 하는 작용으로서 윤활의 최대 목적이 되는 작용은 감마작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변형저항을 Kw, 변형강도를 Kf, 작용면에서의 외부 마찰손실을 Kr, 내부 마찰손실을 Ki 라 할 때 변형저항을 구하는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1. Kw = Kf + Kr + Ki
  2. Kw = Kf - (Kr × Ki)
  3. Kw = (Kf × Kr) + Ki
  4. Kw = Kf - Kr - Ki
(정답률: 84%)
  • 변형저항은 변형강도, 외부 마찰손실, 내부 마찰손실의 합으로 구성되므로, Kw = Kf + Kr + Ki 이다. 이유는 변형저항은 외부적인 힘에 의해 물체가 변형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변형강도와 외부 마찰손실, 내부 마찰손실의 합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들의 합이 변형저항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열연작업시 나타나는 크라운 결함 중 롤의 평행도 불량, 슬래브의 편열, 통판 중 판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우에 생기는 크라운에 해당되는 것은?

  1. Wedge
  2. Edge drop
  3. High spot
  4. Body crown
(정답률: 67%)
  • Wedge는 판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우에 생기는 크라운 결함으로, 판의 한쪽 끝이 다른 쪽보다 높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롤의 평행도 불량이나 슬래브의 편열과는 다른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며, 판의 두께나 재질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Wedge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압연유 급유방식 중 직접 방식에 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냉각효율이 높으며, 물을 사용할 수 있다.
  2. 적은 용량을 사용하므로 폐유 처리설비가 작다.
  3. 윤활 성능이 좋은 압연유를 사용할 수 있다.
  4. 압연 상태가 좋고 압연유 관리가 쉽다.
(정답률: 80%)
  • 압연유를 적게 사용하기 때문에 폐유 처리설비가 작아도 된다는 것은, 압연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액의 양이 적기 때문입니다. 즉, 압연유를 적게 사용하면 폐액 처리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소성가공을 저해하는 금속재료의 특징은?

  1. 전성
  2. 연성
  3. 인성
  4. 취성
(정답률: 81%)
  • 취성은 금속재료가 공기나 물 등과 반응하여 부식되거나 변색되는 성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취성이 높은 금속재료는 소성가공 시 부식되거나 변색되어 소성가공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냉연 강판의 표면결함 중 템퍼 컬러(temper color)는 어느 공정에서 발생하는가?

  1. 전단공정
  2. 가괴균열공정
  3. 풀림공정
  4. 전착기능공정
(정답률: 77%)
  • 템퍼 컬러는 냉연 강판이 가열되어 풀림공정을 거치면서 발생합니다. 풀림공정은 강판을 가열하여 내부 응력을 제거하고 균일한 두께와 경도를 유지하기 위한 공정입니다. 이 때 강판 표면이 산화되어 템퍼 컬러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압연기술

31. 압연 롤러 통과 전의 소재 두께가 450mm, 통과 후의 소재 두께가 400mm 일 때 압하율은 약 몇 % 인가?

  1. 11.1%
  2. 16.3%
  3. 21.1%
  4. 26.5%
(정답률: 77%)
  • 압하율은 (원래 두께 - 압연 후 두께) / 원래 두께 x 100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450 - 400) / 450 x 100 = 10.1% 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 제시된 답안은 11.1% 이므로 반올림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냉연 강판에 풀림 열처리를 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아닌 것은?

  1. 경화
  2. 재결정
  3. 연질화
  4. 응력제거
(정답률: 53%)
  • 냉연 강판에 풀림 열처리를 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재결정, 연질화, 응력제거이다. 경화는 열처리 과정 중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추가적인 열처리나 화학적 처리를 통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공형설계의 실제에서 롤의 몸체길이가 부족하고, 전동기 능력이 부족할 때, 폭이 좁은 소재 등에 이용되는 공형 방식은?

  1. 플랫방시
  2. 버터플라이방식
  3. 다곡법
  4. 스트레이트방식
(정답률: 79%)
  • 다곡법은 롤의 몸체길이가 부족하고, 전동기 능력이 부족할 때, 폭이 좁은 소재 등에 이용되는 공형 방식입니다. 이는 롤의 몸체를 곡선으로 디자인하여 소재를 곡선으로 밀어내는 방식으로, 폭이 좁은 소재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금속재료가 고온에서 가공성이 좋아지는 것은 어느 성질 때문인가?

  1. 연신이 증가하기 때문에
  2. 취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3. 경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4. 항복 응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정답률: 69%)
  • 금속재료가 고온에서 가공성이 좋아지는 이유는 연신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고온에서 금속의 결정구조가 변화하면서 결정간 거리가 늘어나고, 이에 따라 금속의 연신이 증가합니다. 이는 금속재료가 더욱 끌어당기기 쉬워져 가공성이 좋아지는 원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압연작용의 전제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증폭량은 무시한다.
  2. 접촉부 내에서 재료의 가속을 고려해야 한다.
  3. 접촉부 외에 외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4. 압연 전·후의 재료의 속도는 같다.
(정답률: 49%)
  • 압연작용에서는 접촉부 내에서 재료의 가속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는 압연 작용이 접촉부에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접촉부 내에서 재료의 가속을 고려하지 않으면 압연 작용을 정확하게 모델링할 수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압연작용의 전제조건에 해당되지만, 이 보기만이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갖애의 가열시 스케일(scale) 발생을 최소로 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1. 재로시간(在爐時間)을 길게 한다.
  2. 발열량이 높은 연료로 대체한다.
  3. 과잉산소량을 최소로 한다.
  4. 가열로의 내화물 벽 두께를 두껍게 한다.
(정답률: 71%)
  • 갖애의 가열시 스케일(scale) 발생을 최소로 하기 위해서는 과잉산소량을 최소로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이는 과잉산소량이 스케일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과잉산소량이 존재하면 연소 과정에서 산화작용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스케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과잉산소량을 최소화하여 스케일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화학반응이나 상변화 없이 물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열은?

  1. 잠열
  2. 융해열
  3. 현열
  4. 반응열
(정답률: 68%)
  • 물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열은 화학반응이나 상변화 없이 물체 내부의 분자나 원자들의 운동 에너지를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이러한 열을 현열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현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선재 압연의 일반적인 공정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가열로→콜드시어→정정→중간조압연→조압엽→권취기
  2. 핫쇼→완성압연→중간조압연→권취기→냉각→가열로
  3. 가열로→조압연→중간조압연→사상압연→냉각→정정
  4. 핫쇼→가열로→중간조압연→콜드시어→완성압연→냉각
(정답률: 75%)
  • 선재 압연의 일반적인 공정 순서는 "가열로→조압연→중간조압연→사상압연→냉각→정정"입니다. 이는 먼저 가열로에서 선재를 가열한 후, 조압연기로 선재를 통과시켜 압연하고, 중간조압연기에서 다시 한번 압연한 후, 사상압연기에서 최종적으로 압연합니다. 그리고 냉각기로 선재를 통과시켜 냉각한 후, 정정기에서 최종적으로 정정합니다. 이렇게 공정을 거치면 선재의 두께와 너비 등이 정확하게 조절되어 최종적으로 원하는 제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산세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판 표면의 스케일층을 제거하기 위하여
  2. 코일간 용접함으로서 연속적인 작업을 실시하기 위하여
  3. 스트립 측면 불량부의 트리밍을 실시하기 위하여
  4. 산세를 마친 코일에 도장을 실시하기 위하여
(정답률: 64%)
  • 산세를 마친 코일에 도장을 실시하는 것은 코일의 외관을 보호하고, 제품의 식별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며, 산세를 마친 후에 실시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산세의 목적이 아닌 것은 "산세를 마친 코일에 도장을 실시하기 위하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Block mill 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구동부의 일체화로서 고속회전이 가능하다.
  2. 소재의 비틀림이 없으므로 표면흠이 작다.
  3. 스탠드 간 간격이 좁기 때문에 선후단의 불량부분이 짧아져 실수율이 좋다.
  4. 부하용량이 작은 유막베어링을 채용함으로서 치수 정도가 높은 압연이 가능하다.
(정답률: 49%)
  • "부하용량이 작은 유막베어링을 채용함으로서 치수 정도가 높은 압연이 가능하다." 이 항목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유막베어링은 부하용량이 작은 베어링으로, 높은 압연치수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항목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섭씨 20℃는 화씨 몇 °F 인가?

  1. 32
  2. 43.1
  3. 68
  4. 75
(정답률: 82%)
  • 섭씨 20℃를 화씨로 변환하는 공식은 F = (C x 1.8) + 32 이다. 따라서, F = (20 x 1.8) + 32 = 68 이므로 정답은 6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압연유 선정시 요구되는 성질이 아닌 것은?

  1. 고온, 고압하에서 윤활 효과가 클 것
  2. 스트립 면의 사상이 미려할 것
  3. 기름 유화성이 좋을 것
  4. 산가가 높을 것
(정답률: 83%)
  • 압연유는 고온, 고압하에서 윤활 효과가 높아야 하며, 스트립 면의 사상이 미려하고 기름 유화성이 좋아야 합니다. 하지만 압연유의 성질 중에서 산가가 높을 것은 요구되는 성질이 아닙니다. 산가가 높다는 것은 pH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압연유는 일반적으로 중성 또는 약산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산가가 높을 것은 압연유로 선택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분위기 가스 중 성분이 H2가 75%, N2가 25% 조성을 갖는 가스는?

  1. AX 가스
  2. DX 가스
  3. HNX 가스
  4. NX 가스
(정답률: 66%)
  • AX 가스는 수소와 질소의 혼합물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용어이며, 이 가스의 조성이 H2가 75%, N2가 25%이므로 AX 가스라고 부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가스의 조성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사상압연 설비가 아닌 것은?

  1. Mandrel
  2. Scale Breaker
  3. Crop Shear
  4. Side Guie 및 Looper
(정답률: 67%)
  • Mandrel은 사상압연 설비가 아닙니다. Mandrel은 파이프나 튜브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도구로, 내부에 삽입하여 파이프나 튜브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 Scale Breaker, Crop Shear, Side Guide, Looper는 모두 사상압연 설비의 일부분으로, 각각 녹처리, 절단, 안내, 및 루프 제어 등의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림과 같이 압연에 의해 폭이 늘어날 때 상하의 외층부만 늘어나는 경우는?

  1. 냉간압연 할때는 언제나 발생한다.
  2. 재료가 얇고 압하력이 너무 클 때 발생한다.
  3. 재료가 두껍고 압하력이 중심까지 못 미칠 때 발생한다.
  4. 열간 압연할 때 재료의 내부에만 변형이 일어날 때 발생한다.
(정답률: 76%)
  • 압연 시 상하의 외층부만 늘어나는 경우는 재료가 두껍고 압하력이 중심까지 못 미칠 때 발생합니다. 이는 압연 시 중심부는 압력이 부족하여 늘어나지 않고, 외층부는 압력이 크기 때문에 늘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재료가 얇거나 압하력이 너무 클 경우에는 중심부까지 변형이 일어나므로 상하의 외층부만 늘어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또한, 열간 압연 시에는 재료가 가열되어 내부에도 변형이 일어나므로 상하의 외층부만 늘어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압연설비

46. 다음 중 조질압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스트립의 형상을 교정하여 평활하게 한다.
  2. 보통의 조질 압연율은 20~30%의 높은 압하율로 작업된다.
  3. 스트레쳐 스트레인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4. 표면을 깨끗하게 하기 위하여 Dull 이나 Bright 사상을 실시한다.
(정답률: 72%)
  • "스트립의 형상을 교정하여 평활하게 한다."는 조직 압연의 목적 중 하나이지만, 틀린 설명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보통의 조질 압연율은 20~30%의 높은 압하율로 작업된다."입니다. 이유는 조직 압연 시에는 높은 압하율로 작업해야 스트립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물성을 개선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스트립의 길이와 너비를 조절하고, 균일한 두께와 표면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압연기에서 롤 속도와 마찰계수와의 관계로 옳은 것은?

  1. 항상 일정하다.
  2. 속도가 크면 마찰계수가 감소한다.
  3. 속도가 크면 마찰계수가 증가한다.
  4. 속도가 크면 마찰계수가 감소하다 증가한다.
(정답률: 69%)
  • 정답: 속도가 크면 마찰계수가 감소한다.

    설명: 롤 속도가 증가하면 롤과 금속판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하게 되어 롤이 미끄러지는 속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 때 롤과 금속판 사이의 마찰계수는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속도가 크면 마찰계수가 감소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Stretcher strain의 일종으로 coil 폭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발생하는 꺾임 현상으로 저탄소강에서 많이 발생하는 결함은?

  1. Dent
  2. Scratch
  3. Reel Mark
  4. Coil Break
(정답률: 70%)
  • Coil break는 coil 폭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발생하는 꺾임 현상으로, 저탄소강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Coil break이 stretcher strain의 일종으로 발생하는 결함임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압연판(Strip)을 권취하는 설비 중 스트립 선단을 아래로 구부려 잘 감기도록 안내하며 일정 장력을 유지시켜 주는 것은?

  1. 맨드럴(Mandrel)
  2. 핀치 롤(Pinch Roll)
  3. 유니트 롤(Unit Roll)
  4. 사이드 가이드 롤(Side Guide Roll)
(정답률: 62%)
  • 핀치 롤은 압연판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며 일정한 장력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스트립 선단을 아래로 구부려 잘 감기도록 안내하는 것도 핀치 롤이 담당합니다. 따라서 핀치 롤이 압연 공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냉연 박판을 폭이 좁은 여러 대상(帶狀)의 세로로 분할하는 설비는?

  1. 쏘우(Saw)
  2. 슬리터(Slitter)
  3. 플라잉 시어(Flying Shear)
  4. 트리밍 시어(Trimming Shear)
(정답률: 72%)
  • 냉연 박판을 폭이 좁은 여러 대상으로 분할하는 공정에서는 슬리터(Slitter)가 사용됩니다. 슬리터는 회전하는 원판 모양의 날로 박판을 자르는 장비로, 박판을 세로로 분할할 때 사용됩니다. 쏘우(Saw)는 회전하는 날이 아닌 고정된 날로 자르는 장비이며, 플라잉 시어(Flying Shear)와 트리밍 시어(Trimming Shear)는 박판을 가로로 자르는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일반적으로 압연기의 동력 전달 순서로 옳은 것은?

  1. 전동기→커플링→스핀들→커플링→이음부→스탠드의 롤
  2. 전동기→커플링→이음부→커플링→스탠드의 롤→스핀들
  3. 스핀들→커플링→전동기→커플링→이음부→스탠드의 롤
  4. 스핀들→전동기→커플링→스탠드의 롤→커플링→이음부
(정답률: 70%)
  • 압연기의 동력 전달 순서는 전동기에서 시작하여 커플링을 통해 스핀들로 전달되고, 다시 커플링을 통해 이음부로 전달되며, 이음부에서 스탠드의 롤로 전달됩니다. 따라서 "전동기→커플링→스핀들→커플링→이음부→스탠드의 롤"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4단 가역식 압연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압연은?

  1. 분괴 압연
  2. 후판 압연
  3. 형강 압연
  4. 크라운교정 압연
(정답률: 65%)
  • 후판 압연은 주로 자동차, 비행기, 선박 등의 대형 운송수단의 후판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후판은 크기가 크고 두께가 두꺼워서 다른 압연 방식으로는 생산하기 어렵기 때문에 4단 가역식 압연기를 사용하여 생산합니다. 따라서 후판 압연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압연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선재 압연에서 공형 형상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고려해야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최대의 폭퍼짐으로 연신시킬 것
  2. 압연 소요 동력을 최소로 할 것
  3. 롤에 국부마모를 유발시키지 않을 것
  4. 압연재를 정확한 치수, 형상으로 하되 표면흠을 발생시키지 않을 것
(정답률: 55%)
  • 선재 압연에서 공형 형상을 결정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은 압연 소요 동력을 최소화하고 롤에 국부마모를 유발시키지 않는 것, 그리고 압연재를 정확한 치수와 형상으로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최대의 폭퍼짐으로 연신시킬 것"은 고려해야할 사항이 아니다. 이유는 폭퍼짐이란 압연 중에 발생하는 임시적인 변형으로, 이는 압연재의 표면에 흠을 발생시키고 압연 소요 동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대한 폭퍼짐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무재해 운동의 3원칙 중 모든 잠재위험요인을 사전에 발견·해결·파악함으로서 근원적으로 산업재해를 없애는 원칙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대책선정의 원칙
  2. 무의 원칙
  3. 참가의 원칙
  4. 선취 해결의 원칙
(정답률: 76%)
  • "무의 원칙"은 모든 잠재위험요인을 사전에 발견·해결·파악함으로서 근원적으로 산업재해를 없애는 원칙을 말합니다. 이는 예방적인 접근 방식으로, 사전에 위험을 예측하고 예방조치를 취함으로써 사고나 재해를 미리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무재해 운동에서는 무의 원칙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디스케일링(descaling)의 주역할은?

  1. 스트립의 온도 조정을 해준다.
  2. 압연온도 및 권취온도 제어를 원활하게 한다.
  3. 스케일 발새을 억제하고 통판성을 좋게 한다.
  4. 스케일을 제거해 스트립(strip)의 표면을 깨끗하게 한다.
(정답률: 84%)
  • 디스케일링은 스트립의 표면에 형성된 스케일(산화물 등)을 제거하여 깨끗한 표면을 만들어주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케일을 제거해 스트립(strip)의 표면을 깨끗하게 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공형압연에 이용하는 유니버설(만능) 압연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자동화가 쉽다.
  2. 롤의 마멸로 인한 손실이 적다.
  3. H형강, I형강, 레일 등을 제외한 압연에서 우수하게 압연 할 수 있다.
  4. 롤 간격의 조정만으로 다양한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정답률: 70%)
  • 유니버설(만능) 압연기는 다양한 형상의 금속재료를 압연할 수 있는 장비로, 롤 간격의 조정만으로 다양한 제품을 만들 수 있고 자동화가 쉽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롤의 마멸로 인한 손실이 적어 경제적입니다. 하지만 H형강, I형강, 레일 등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압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H형강, I형강, 레일 등을 제외한 압연에서 우수하게 압연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주괴를 주조한 후 압연하기 위해 재가열하는 낭비를 줄이기 위한 연속 주조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괴가 작을수록 물리적 성질이 나빠지며, 연속 주조된 주괴는 대개 단면의 크기가 크다.
  2. 빠르게 냉각시킴으로서 균일한 결정 조직을 얻을 수 있다.
  3. 연속으로 용탕이 공급되어 파이프 결함을 막을 수 있다.
  4. 단면의 중심부가 액상일 동안 주형 아래에서 냉각을 조절함으로서 열전달이 이상적으로 이루어진다.
(정답률: 52%)
  • "주괴가 작을수록 물리적 성질이 나빠지며, 연속 주조된 주괴는 대개 단면의 크기가 크다." 이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작은 주괴는 결정 조직이 불균일하고 강도가 낮기 때문에 큰 주괴를 만들기 위해 연속 주조법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매분 50회전 하는 롤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모멘트가 20kg·m, 압연효율이 30%일 때 압연기의 필요한 마력(HP)은 약 얼마인가?

  1. 0.47
  2. 4.7
  3. 0.94
  4. 9.4
(정답률: 57%)
  • 압연기의 필요한 마력(HP)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압연효율 = (압연으로 전달되는 모멘트) / (압연기에 인가된 모멘트) * 100%

    압연으로 전달되는 모멘트 = 매분 50회전 * 20kg·m = 1000kg·m/min
    압연기에 인가된 모멘트 = 압연으로 전달되는 모멘트 / 압연효율 = 1000kg·m/min / 30% = 3333.33kg·m/min

    압연기의 필요한 마력(HP)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마력(HP) = (인가된 모멘트 * 회전수) / (5252 * 효율)

    회전수는 매분 50회전이므로 50/60으로 계산합니다.
    효율은 1로 가정합니다.

    마력(HP) = (3333.33kg·m/min * 50/60) / (5252 * 1) = 4.7HP

    따라서, 압연기의 필요한 마력(HP)은 약 4.7H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프레스 및 전단기기 작업시 안전대책으로 틀린 것은?

  1. 정지시나 정전시에는 스위치를 반드시 off 시킨다.
  2.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항상 장갑을 사용한다.
  3. 2인 이상이 작업할 때에는 신호를 정확히 하도록 한다.
  4. 기계의 사용법을 익힐 때까지는 함부로 기계에 손대지 않는다.
(정답률: 89%)
  •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항상 장갑을 사용한다."는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장갑을 사용하면 기계의 작동 부분에 손이 끼일 가능성이 높아져서 오히려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신에 손가락이 끼이지 않도록 손을 잘 보호할 수 있는 다른 안전장비를 착용하거나, 기계 작동 시 손을 떼어놓을 수 있는 안전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압연기(Mill) 구동장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상하 롤을 동일 모터로 구동하는 Twin Drive 방식과 각각 구동하는 Single Drive 방시기 있다.
  2. Twin Drive 방식은 허용 롤경 차이가 Single Drive 방식보다 작다.
  3. Spindle은 진동이 적은 Gear Type 이나 Flexible Type 으로 바뀌로 있다.
  4. Spindle의 경사각은 롤경에 따라 변화해야 한다.
(정답률: 70%)
  • "Twin Drive 방식은 허용 롤경 차이가 Single Drive 방식보다 작다." 이 설명이 틀린 이유는, Twin Drive 방식은 상하 롤을 동일 모터로 구동하기 때문에, 롤간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에는 두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여 차이를 보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Twin Drive 방식은 Single Drive 방식보다 허용 롤경 차이가 더 크게 설정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