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4-07)

열처리기능사
(2002-04-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재결정온도가 가장 낮은 것은?

  1. Au
  2. Sn
  3. Cu
  4. Ni
(정답률: 63%)
  • 재결정온도란, 금속의 결정 구조가 변화하는 온도를 말합니다. 이는 금속의 결정 구조와 결정 핵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따라 결정됩니다.

    Sn은 다른 보기들보다 재결정온도가 가장 낮습니다. 이는 Sn이 FCC(face-centered cubic)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FCC 구조는 결정 핵 생성이 용이하며, 결정 구조 변화가 쉽기 때문에 재결정온도가 낮습니다.

    반면에 Au는 FCC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결정 핵 생성이 어렵기 때문에 재결정온도가 높습니다. Cu와 Ni는 BCC(body-centered cubic) 구조를 가지고 있어 결정 핵 생성이 어렵고, 결정 구조 변화가 어렵기 때문에 재결정온도가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금속간 화합물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일반적으로 복잡한 결정구조를 갖는다.
  2. 변형하기 쉽고 인성이 크다.
  3. 용해 상태에서 존재하며 전기저항이 작고 비금속 성질이 약하다.
  4. 원자량의 정수비로는 절대 결합되지 않는다.
(정답률: 70%)
  • 금속간 화합물은 다양한 금속 원자들이 결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복잡한 결정구조를 갖습니다. 이는 각 금속 원자들의 크기, 전자 구조, 결합 형태 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금속간 화합물은 다양한 결정구조를 갖게 되며, 이는 그 특성과 성질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가공으로 내부변형을 일으킨 결정립이 그 형태대로 내부 변형을 해방하여 가는 과정은?

  1. 재결정
  2. 회복
  3. 결정핵성장
  4. 시효완료
(정답률: 57%)
  • 가공으로 인해 내부변형을 일으킨 결정립은 원래의 결정 구조를 회복하기 위해 내부적인 에너지 상태를 조절하며 결정핵성장과 시효완료 등의 과정을 거쳐 회복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회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알파(읓)철의 자기변태점은?

  1. A1
  2. A2
  3. A3
  4. A4
(정답률: 79%)
  • 알파(읓)철의 자기변태점은 768℃에서 일어납니다. 이때 알파(읓)철이 베타(팔)철로 변태되며, 이 변태과정에서 A2 점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금속의 결정격자에 속하지 않는 기호는?

  1. FCC
  2. LDN
  3. BCC
  4. CPH
(정답률: 80%)
  • LDN은 금속의 결정격자에 속하지 않는 기호입니다. FCC, BCC, CPH은 모두 금속의 결정격자 형태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하지만 LDN은 "Local Density of States Network"의 약자로, 전자 구조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따라서 LDN은 금속의 결정격자에 속하지 않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18-8 스테인리스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Cr 18%-Ni 8% 이다.
  2. 내식성이 우수하다.
  3. 상자성체이다.
  4. 오스테나이트계이다.
(정답률: 86%)
  • 상자성체는 스테인리스강의 구조 중 하나로, 고온에서 형성되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18-8 스테인리스강은 오스테나이트계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자성체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상자성체이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탄소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조직은?

  1. 페라이트
  2. 펄라이트
  3. 오스테나이트
  4. 시멘타이트
(정답률: 77%)
  • 시멘타이트는 철과 탄소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탄소 함량이 가장 높은 조직입니다. 페라이트와 펄라이트는 철과 탄소로 이루어져 있지만 탄소 함량이 시멘타이트보다 적습니다. 오스테나이트는 철과 탄소로 이루어져 있지만, 탄소 함량이 매우 적어서 탄소 함유량이 가장 적은 조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Fe-C 평형상태도에서 γ고용체가 최대로 함유할 수 있는 탄소의 양은 약 어느정도인가?

  1. 0.02%
  2. 0.86%
  3. 2.0%
  4. 4.3%
(정답률: 50%)
  • Fe-C 평형상태도에서 γ고용체는 FCC 구조를 가지며, 탄소 원자는 주변에 8개의 철 원자와 균일하게 분포하게 된다. 이때, 탄소 원자가 고체 용체 상태에서 용해되어 최대로 함유할 수 있는 양은 FCC 구조에서 탄소 원자가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FCC 구조에서 탄소 원자가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는 약 2.0% 정도이므로, γ고용체가 최대로 함유할 수 있는 탄소의 양은 약 2.0%이다. 따라서, 정답은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함석판은 얇은 강판에 무엇을 도금한 것인가?

  1. 니켈
  2. 크롬
  3. 아연
  4. 주석
(정답률: 56%)
  • 함석판은 부식에 강한 아연 도금을 하여 내식성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탄소강에서 나타나는 상온메짐의 원인이 되는 주 원소는?

  1. 망간
  2. 규소
(정답률: 49%)
  • 탄소강에서 나타나는 상온메짐의 원인이 되는 주 원소는 "인"입니다. 이는 인이 탄소와 결합하여 탄화물을 형성하면서, 탄소의 용해도를 낮추고, 결정구조를 안정화시키기 때문입니다. 또한, 인은 불순물을 제거하고 강도를 높이는 효과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청동합금에서 탄성, 내마모성,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유동성을 좋게하는 원소는?

  1. P
  2. Ni
  3. Zn
  4. Mn
(정답률: 42%)
  • 정답은 "P"입니다.

    청동합금에서 탄성, 내마모성,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유동성을 좋게하는 원소는 인과 함량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인(P)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인은 청동합금의 구조를 강화하고, 결정의 크기를 줄여서 탄성을 향상시킵니다. 또한, 인은 청동합금의 내마모성과 내식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합니다. 유동성을 좋게하는 것은 주로 낮은 녹는점을 가진 주성분인 구리(Cu)가 담당하며, 인은 이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P"가 청동합금에서 탄성, 내마모성,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유동성을 좋게하는 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네이벌(Naval Brass)황동이란?

  1. 6 : 4 황동에 주석을 약 0.75% 정도 넣은 것
  2. 7 : 3 황동에 망간을 약 2.85% 정도 넣은 것
  3. 7 : 3 황동에 납을 약 3.55% 정도 넣은 것
  4. 6 : 4 황동에 철을 약 4.95% 정도 넣은 것
(정답률: 76%)
  • 네이벌(Naval Brass) 황동은 구리와 아연으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6:4 황동은 구리와 아연의 비율이 각각 6:4인 합금입니다. 이 합금에 주석을 약 0.75% 정도 첨가하여 강도와 내식성을 향상시킨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양은(양백)의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Cu-Zn-Ni 계의 황동이다.
  2. 탄성재료에 사용된다.
  3. 내식성이 불량하다.
  4. 일반전기저항체로 이용된다.
(정답률: 73%)
  • 양은은 내식성이 불량하다는 설명이 맞지 않습니다. 양은은 내식성이 우수한 편이며, 식기류나 의료기기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공작기계용 절삭공구재료로써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연강
  2. 회주철
  3. 저탄소강
  4. 고속도강
(정답률: 71%)
  • 고속도강은 탄소 함량이 낮고, 크롬, 밀도브덴, 바나듐 등의 합금 원소를 첨가하여 경도와 내마모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공작기계용 절삭공구재료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고속도강은 열처리에 의해 더욱 강도와 경도를 높일 수 있어서 가공성이 우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스프링강(spring steel)의 기호는?

  1. STS
  2. SPS
  3. SKH
  4. STD
(정답률: 79%)
  • 스프링강은 탄소강 중에서도 탄소 함량이 높아 탄성이 우수한 강재입니다. 이러한 스프링강의 기호는 "SPS"입니다. "SP"는 스프링(Spring)의 약자이며, "S"는 탄소(Carbon)의 약자입니다. 따라서 "SPS"는 스프링강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도면에서 단위 기호를 생략하고 치수 숫자만 기입할 수 있는 단위는?

  1. inch
  2. m
  3. cm
  4. mm
(정답률: 85%)
  • 단위 기호를 생략하고 치수 숫자만 기입할 수 있는 단위는 mm입니다. 이는 도면에서 가장 작은 단위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단위들은 더 큰 단위이므로, 도면에서는 보통 더 작은 단위인 mm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물체의 일부 생략 또는 파단면의 경계를 나타내는 선으로 자를 쓰지 않고 손으로 자유로이 긋는 선은?

  1. 가상선
  2. 지시선
  3. 절단선
  4. 파단선
(정답률: 60%)
  • 물체의 일부를 생략하거나 파단면의 경계를 나타내는 선은 파단선이라고 합니다. 이는 물체를 자르거나 분해하지 않고도 물체의 내부 구조를 이해하고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선입니다. 따라서, "파단선"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가는 실선을 사용하는 선이 아닌 것은?

  1. 지시선
  2. 치수선
  3. 치수보조선
  4. 외형선
(정답률: 80%)
  • 외형선은 제품의 외형을 나타내는 선으로, 제품의 형태와 외관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가는 실선을 사용하는 선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물체의 보이지 않는 곳의 형상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선은?

  1. 실선
  2. 파선
  3. 일점 쇄선
  4. 이점 쇄선
(정답률: 59%)
  • 파선은 물체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내는 선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끊어진 선으로 표현됩니다. 이는 물체의 내부나 뒷면 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실선과 구분하여 사용됩니다. 일점 쇄선과 이점 쇄선은 점으로 표현되는데, 일점 쇄선은 물체가 접하는 지점을, 이점 쇄선은 물체가 교차하는 지점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정투상법에서 물체의 모양과 기능을 가장 뚜렷하게 나타내는 면을 어떤 투상도로 선택하는가?

  1. 평면도
  2. 정면도
  3. 측면도
  4. 배면도
(정답률: 82%)
  • 정투상법에서는 물체의 모양과 기능을 가장 뚜렷하게 나타내는 면을 선택하여 그 면을 정면으로 하여 투상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물체의 전면을 보여주기 때문에 물체의 형태와 기능을 가장 잘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정면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물체의 여러면을 동시에 투상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하는 투상법이 아닌 것은?

  1. 등각투상도법
  2. 사투상도법
  3. 정투상도법
  4. 투시도법
(정답률: 44%)
  • 정투상도법은 물체의 한 면만을 선택하여 그것을 직각으로 투사하는 방법으로, 입체적인 시각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여러 면을 동시에 투상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하는 투상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치수 숫자와 같이 사용된 기호 t 가 뜻하는 것은?

  1. 두께
  2. 반지름
  3. 지름
  4. 모떼기
(정답률: 87%)
  • 기호 t는 두께(thickness)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일반적으로 길이나 크기를 나타내는 기호로 사용되며, 두께는 길이나 크기 중 하나이기 때문에 t가 두께를 나타내는 기호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도면의 표면거칠기 표시에서 6.3 S 가 뜻하는 것은?

  1. 최대높이거칠기 6.3μm
  2. 중심선평균거칠기 6.3μm
  3. 10점평균거칠기 6.3μm
  4. 최소높이거칠기 6.3μm
(정답률: 37%)
  • 6.3 S는 최대높이거칠기 6.3μm을 뜻합니다. 이는 표면의 가장 높은 지점과 가장 낮은 지점 사이의 거리가 6.3μm 이하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표면의 거칠기가 6.3μm 이하라는 것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재료기호 "SS400"(구기호:SS41)의 400 이 뜻하는 것은?

  1. 최고인장강도
  2. 최저인장강도
  3. 탄소함유량
  4. 두께치수
(정답률: 82%)
  • 재료기호 "SS400"의 400은 최저인장강도를 나타냅니다. 이는 이 재료의 인장강도가 400 MPa 이하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재료는 인장하면 상대적으로 쉽게 변형되는 소프트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유니파이 가는나사의 호칭 기호는?

  1. M
  2. PT
  3. UNF
  4. PF
(정답률: 83%)
  • 유니파이 가는나사의 호칭 기호는 "UNF"입니다. 이는 Unified National Fine Thread의 약자로, 미국에서 개발된 표준 나사 규격 중 하나입니다. UNF는 나사의 간격이 더 작고 밀착되어 있어서 고정력이 강하며, 고정력이 중요한 곳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최대허용치수와 최소허용치수의 차는?

  1. 위치수허용차
  2. 아래치수허용차
  3. 치수공차
  4. 기준치수
(정답률: 86%)
  • 최대허용치수와 최소허용치수의 차이는 제품의 허용치수 범위를 나타내는데, 이 범위 내에서 제품이 생산되어야 합니다. 이때, 최대허용치수와 최소허용치수 사이의 차이를 치수공차라고 합니다. 즉, 치수공차는 제품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고려하여 최대허용치수와 최소허용치수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치수공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아래 오른쪽 그림과 같은 물체의 온단면도는?

(정답률: 49%)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물체의 온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증가하고,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장 높은 온도인 빨간색 부분이 오른쪽 아래에 위치하고, 가장 낮은 온도인 파란색 부분이 왼쪽 위에 위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강(steel)의 풀림(annealing)의 주 목적은?

  1. 연화 및 조직의 균일화
  2. 내마모성과 내부응력의 증가
  3. 경도와 강도의 향상
  4. 조직의 조대화 및 취성 증가
(정답률: 61%)
  • 강의 풀림(annealing)은 강의 내부 응력을 제거하고 조직을 균일하게 만들기 위한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강의 연화 및 조직의 균일화가 이루어지며, 이는 강의 내마모성과 내부응력의 감소, 경도와 강도의 감소, 조직의 조대화 및 취성 감소 등의 효과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주 목적은 "연화 및 조직의 균일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0.58% C의 탄소강을 담금질 했을 때 나타나는 조직은?

  1. 페라이트
  2. 오스테나이트
  3. 시멘타이트
  4. 마텐자이트
(정답률: 27%)
  • 0.58% C의 탄소강은 담금질을 통해 경도를 높일 수 있는 강종입니다. 담금질 후에는 주로 마텐자이트 조직이 형성됩니다. 이는 탄소의 높은 동체화 경향으로 인해 강도와 경도가 높아지는 조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마텐자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가늘고 긴 제품의 가열은 어떤 방법이 좋겠는가?

  1. 수평으로 가열한다.
  2. 노의 한쪽 모퉁이에 밀착시켜 가열한다.
  3. 수직으로 세워 가열한다.
  4. 중앙부를 매달아 가열한다.
(정답률: 70%)
  • 가늘고 긴 제품을 수직으로 세워 가열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이유는 열이 고르게 분포되기 때문입니다. 수평으로 가열하면 중앙부분이 더 빨리 가열되고, 노의 한쪽 모퉁이에 밀착시켜 가열하면 그 부분만 더 빨리 가열되어 균일한 가열이 어렵습니다. 중앙부를 매달아 가열하는 것도 열이 고르게 분포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수직으로 세워 가열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구상화 풀림의 일반적인 목적이 아닌 것은?

  1. 기계적인 가공성 증가
  2. 강인성 증가
  3. 취성 증가
  4. 담금질 균열의 방지
(정답률: 83%)
  • 구상화 풀림의 일반적인 목적은 재료의 강인성과 기계적인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그러나 취성은 구상화 풀림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성질이므로, 취성 증가는 일반적인 목적이 아닙니다. 취성은 재료가 내부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에 따라 변화하는 성질로, 구상화 풀림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취성 증가는 이 보기에서 일반적인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염욕로에 의한 열처리의 특징이 틀린 것은?

  1. 탈탄을 방지할 수 있다.
  2. 고온 급속 가열에 적합하다.
  3. 구조가 복잡하고 산화성 염욕이 사용된다.
  4. 처리품이 대기와는 접촉되지 않는다.
(정답률: 45%)
  • 구조가 복잡하고 산화성 염욕이 사용된다는 것은 염욕로 열처리가 대형, 복잡한 형상의 부품에 적용되며, 이를 위해 산화성 염질을 사용하여 부품 표면에 적층된 산화물을 제거하고 부품 내부까지 열을 전달하는 방식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는 열처리 방법 중에서 비교적 복잡하고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열처리용 광휘 열처리로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강재의 표면을 산화 또는 탈탄시키지 않는다.
  2. 환원성가스는 효과적이나 불활성가스 사용이 곤란하다.
  3. 표면상태 그대로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4. 표면광택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답률: 55%)
  • 환원성가스는 열처리 과정에서 산화된 표면을 환원시켜 광택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가스는 불활성가스에 비해 사용이 어렵고 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열처리 공정에서는 효과적인 광휘를 위해 불활성가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담금질용 냉각제로 기름(oil)을 사용할 때 냉각능이 가장클 때의 온도는?

  1. 5∼10℃
  2. 20∼30℃
  3. 50∼60℃
  4. 90∼100℃
(정답률: 68%)
  • 기름은 물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기 때문에 냉각능이 떨어집니다. 그러나 기름은 물에 비해 끓는점이 높기 때문에 높은 온도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담금질용 냉각제로 기름을 사용할 때 냉각능이 가장 큰 온도는 50∼60℃입니다. 이는 기름의 열전도율과 끓는점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열처리 작업 중 가장 고온 열처리로의 용도로 적합한 열전대 기호는?

  1. PR
  2. CA
  3. IC
  4. CC
(정답률: 42%)
  • PR은 Platinum-Rhodium의 약자로,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보이는 열전대입니다. 따라서 가장 고온 열처리에 적합한 열전대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동일한 조건에서 강재를 담금질할 때 냉각효과가 가장 큰 물질은?

  1. 기름
  2. 비눗물
  3. 소금물
(정답률: 73%)
  • 냉각효과는 물질의 열전도율과 비례합니다. 소금물은 물보다 열전도율이 높기 때문에 냉각효과가 가장 큽니다. 또한, 소금물은 얼음점 이하에서도 유동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냉각효과가 더욱 강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침탄강으로 가공된 부품을 침탄해서 경화시키는 과정이 옳은 것은?

  1. 저온풀림→ 침탄처리→ 1차 담금질→ 2차 담금질 → 뜨임처리
  2. 1차 담금질→ 저온풀림→ 2차 담금질→ 침탄처리 → 뜨임처리
  3. 1차 담금질→ 침탄처리→ 2차 담금질→ 저온풀림 → 뜨임처리
  4. 침탄처리→ 저온풀림→ 1차 담금질→ 2차 담금질 → 뜨임처리
(정답률: 55%)
  • 침탄강은 고온에서 침탄처리를 통해 탄소를 표면에 침투시켜 경화시키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침탄처리가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리고 부품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1차 담금질과 2차 담금질이 이루어집니다. 이후 저온풀림을 통해 내부 응력을 제거하고, 마지막으로 뜨임처리를 통해 부품의 강도를 높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침탄처리→ 저온풀림→ 1차 담금질→ 2차 담금질 → 뜨임처리"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염욕제가 구비해야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불순물이 적어야 한다.
  2. 용해가 용이하여야 한다.
  3. 유해가스 발생이 없어야 한다.
  4. 흡수성이 커야한다.
(정답률: 79%)
  • 염욕제는 피부에 흡수되어 작용하기 때문에 흡수성이 커야합니다. 다른 조건들도 중요하지만, 흡수성이 없다면 효과를 발휘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평면의 냉각속도를 1 이라 할 때 (x)의 냉각속도는? (냉각비)

  1. 3
  2. 1/3
  3. 7
  4. 1
(정답률: 71%)
  • 냉각속도는 면적에 비례하므로, (x)의 냉각속도는 (x)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과 같습니다.

    (x)가 차지하는 면적은 전체 면적의 1/3 이므로, (x)의 냉각속도는 전체 냉각속도인 1의 1/3 즉, 1/3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담금질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은?

  1. 담금질 후 곧 뜨임한다.
  2. 풀림하지 않고 담금질을 되풀이 한다.
  3. 차디 찰 때까지 냉각한다.
  4. 담금질 온도를 아주 높게 한다.
(정답률: 71%)
  • 담금질 균열은 금속이 냉각되면서 발생하는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담금질 후 곧 뜨임으로써 금속 내부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균열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풀림하지 않고 담금질을 되풀이하면 오히려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균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차디 찰 때까지 냉각하면 금속 내부의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균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담금질 온도를 아주 높게 하면 금속 내부의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균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액체 침탄법에서 경화층을 얇게 하기위한 조건은?

  1. 고농도의 NaCN에 비교적 저온으로
  2. 저농도의 NaCN에 비교적 저온으로
  3. 저농도의 NaCN에 비교적 고온으로
  4. 고농도의 NaCN에 비교적 고온으로
(정답률: 52%)
  • 고농도의 NaCN은 물과 반응하여 높은 열을 방출하므로, 비교적 저온에서 사용하는 것이 경화층을 얇게 만드는 데에 적합합니다. 또한, 저농도의 NaCN은 반응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경화층을 얇게 만드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고농도의 NaCN에 비교적 저온으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가열로에 사용되는 온도계로 정밀도가 좋고 가격이 저렴하며 전위차계에 의해서 -200∼1500℃까지 측정이 가능한 것은?

  1. 열전쌍식 온도계
  2. 저항식 온도계
  3. 압력식 온도계
  4. 광 온도계
(정답률: 65%)
  • 열전쌍식 온도계는 두 개의 금속선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데, 이 때 두 금속선 사이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합니다. 이 방식은 정밀도가 높고 가격이 저렴하여 가열로와 같은 고온 환경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200℃부터 1500℃까지 측정이 가능하여 다양한 온도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열전쌍식 온도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경도가 큰 가공재료에 인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A1변태점 이하에서 가열하는 것은?

  1. 노말라이징(normalizing)
  2. 담금질(quenching)
  3. 풀림(annealing)
  4. 뜨임(tempering)
(정답률: 63%)
  • A1변태점 이하에서 가열하는 것은 "뜨임(tempering)" 입니다. 이는 경도가 큰 가공재료를 단단하게 만들기 위해 경도를 낮추는 과정으로, 담금질(quenching) 과정 이후에 경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뜨임 과정에서는 재료를 다시 가열하여 내부 응력을 완화시키고, 경도를 조절하여 재료의 인성을 향상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질화에 의한 표면경화시 사용되는 것은?

  1. 구리
  2. 산소
  3. 질소
(정답률: 64%)
  • 질화는 질소와 반응하여 형성되는 화합물입니다. 따라서 질화에 의한 표면경화시에는 질소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열전대의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보호관이 아닌 것은?

  1. 산화림드강
  2. 알루미나관
  3. 석영관
  4. 스테인리스관
(정답률: 47%)
  • 산화림드강은 열전대의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보호관이 아닙니다. 이는 주로 고온 및 고압 환경에서 사용되는 내식성이 뛰어난 강철 합금으로, 내식성이 필요하지 않은 열전대 보호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합금강의 열처리시 풀림온도가 너무 낮을 때의 현상은?

  1. 연화가 잘 된다.
  2. 경화가 잘 된다.
  3. 취성이 촉진된다.
  4. 연화 불충분이 된다.
(정답률: 63%)
  • 합금강의 열처리시 풀림온도가 너무 낮을 때는 연화 불충분이 된다. 이는 합금강의 구조가 완전히 변화하지 않고 일부만 변화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강도나 경도가 충분히 향상되지 않고, 물성이 예상치 못하게 변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가스로에 활용되는 로(爐)의 종류 중 열의 전달방식에 따른 분류에 해당되는 것은?

  1. 반간접식 가열로
  2. 하부 연소식 가열로
  3. 대차식 가열로
  4. 측부 연소식 가열로
(정답률: 42%)
  • 반간접식 가열로는 연소가 발생하는 곳과 가열되는 물질이 분리되어 있어 연소 가스가 직접 물질에 접촉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강의 구상화 풀림은 무슨 조직을 구상화 시키는가?

  1. 오스테나이트
  2. 마텐자이트
  3. 시멘타이트
  4. 펄라이트
(정답률: 32%)
  • 강의 구상화는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주요 성분 중 하나인 시멘트를 구상화 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멘타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강재의 오스템퍼링(Austempering)시 얻어지는 조직은?

  1. Martensite
  2. Pearlite
  3. Sorbite
  4. Bainite
(정답률: 60%)
  • 강재의 오스템퍼링(Austempering)시 얻어지는 조직은 Bainite입니다. 이는 오스템퍼링 과정에서 강재가 빠르게 냉각되어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지 않고,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보온되어 형성되는 조직입니다. Bainite는 마르텐사이트보다 더 부드럽고 인성이 높은 조직으로, 강도와 인성이 균형잡힌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강의 경화능 측정 시험에 적합한 방법은?

  1. 조미니시험법
  2. 현미경조직시험법
  3. 자분탐상법
  4. 초음파시험법
(정답률: 67%)
  • 강의 경화능은 강재 내부의 결함, 구조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비파괴 검사 방법이 적합합니다. 이 중에서도 조미니시험법은 강재의 경화능을 측정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강재의 표면에 작은 충격을 가해 파동을 발생시키고, 이 파동이 강재 내부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반사파를 측정하여 강재 내부의 결함, 구조 등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강의 경화능 측정 시험에 적합한 방법은 "조미니시험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규폐병의 원인이 되는 모래먼지를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특별히 작업환경에 주의를 요하는 작업은?

  1. 카브라이징
  2. 아연용융법
  3. 샌드블라스트
  4. 염욕법
(정답률: 79%)
  • 샌드블라스트 작업은 모래를 이용하여 표면을 광택나게 만드는 작업으로, 이 과정에서 모래먼지가 많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규폐병의 원인이 되는 모래먼지를 많이 발생시키기 때문에 작업환경에 주의를 요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주로 질산염을 사용하여 염욕에 탄소가루나 유기물 등이 혼입되면 폭발의 위험성이 있는 것은?

  1. 유동상로
  2. 저온용염욕로
  3. 중온용염욕로
  4. 고온용염욕로
(정답률: 36%)
  • 질산염은 산화제이기 때문에 탄소가루나 유기물 등과 혼합되면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이에 비해 저온용염욕로는 열처리 온도가 낮아서 탄소가루나 유기물 등이 혼합되어도 폭발의 위험이 적습니다. 따라서 저온용염욕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열처리 경화층 단면을 측정할 수 있는 경도계는?

  1. 쇼어 경도계
  2. 비커스 경도계
  3. 브리넬 경도계
  4. 아이죠드 경도계
(정답률: 42%)
  • 열처리 경화층은 비교적 얇은 층으로, 쇼어 경도계나 브리넬 경도계는 측정 범위가 넓어서 정확한 측정이 어렵습니다. 반면, 비커스 경도계는 작은 범위에서 높은 정확도로 경도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열처리 경화층 단면을 측정하는 데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비커스 경도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직경 1mm정도의 작은 강구를 열처리품에 투사하여 표면의 오물을 없애는 장치는?

  1. 쇼트블라스트
  2. 그라인더
  3. 용사
  4. 호모 처리
(정답률: 78%)
  • 쇼트블라스트는 작은 강구를 이용하여 고압 공기나 물을 표면에 투사하여 오물을 제거하는 방식의 청소 장치입니다. 따라서 직경 1mm정도의 작은 강구를 이용하여 열처리품의 표면 오물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라인더나 용사, 호모 처리는 쇼트블라스트와는 다른 청소 방식을 사용하는 장치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근로자가 안전 보호구를 선택 하고자 할 때 유의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목적에 적합할 것
  2. 완성제품의 가격에 따라 선택할 것
  3. 사용법과 손질하기가 쉬울 것
  4. 크기가 근로자에게 알맞을 것
(정답률: 88%)
  • 완성제품의 가격에 따라 선택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안전 보호구는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장비이므로, 가격보다는 사용목적에 적합하고 안전성이 검증된 제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사용법과 손질이 쉽고 크기가 근로자에게 알맞은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노내의 어떤 가스를 주입하면 환원성 분위기 열처리를 할 수 있는가?

  1. 산소
  2. 질소
  3. 수증기
  4. 수소
(정답률: 43%)
  • 수소는 가장 강한 환원제 중 하나이며, 높은 열처리 온도에서도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환원성 분위기 열처리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노내의 가스 중에서 수소가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탈탄부의 현미경조직에서 흰색부분의 조직은?

  1. 펄라이트
  2. 페라이트
  3. 마텐자이트
  4. 비트만슈테텐
(정답률: 48%)
  • 탈탄부의 현미경조직에서 흰색부분은 페라이트입니다. 이는 탄소가 철과 고체 용해되어 있는 상태로, 강도와 경도가 낮은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탈탄부에서는 페라이트 부분이 더 빠르게 부식되어 검은색 부분이 형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냉각능시험 방법이 아닌 것은?

  1. 냉각곡선 시험
  2. 자성 시험
  3. 열선 시험
  4. 누설 시험
(정답률: 42%)
  • 냉각능시험, 자성 시험, 열선 시험은 모두 제품의 물성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 방법이지만, 누설 시험은 제품의 누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방법입니다. 따라서, 누설 시험은 냉각능시험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강재의 표면을 강력한 가열력을 가진 산소-아세틸렌 불꽃을 사용하여 급속하게 가열시킴으로써 오스테나이트 상태로 만든 후 냉각수로 급랭시켜 표면만을 경화시키는 방법은?

  1. 가스 침탄법
  2. 가스 질화법
  3. 화염 경화법
  4. 셰라 다이징
(정답률: 78%)
  • 화염 경화법은 강재의 표면을 산소-아세틸렌 불꽃으로 가열하여 오스테나이트 상태로 만든 후 냉각수로 급랭시켜 표면만을 경화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들며, 경화된 표면은 내마모성과 내부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고객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화염 경화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표점 거리가 50mm인 봉상 시험편(4호)을 인장시험한 결과 표점 거리가 55mm가 되었다. 이 시험편의 공칭 연신율은?

  1. 15%
  2. 10%
  3. 5%
  4. 0.1%
(정답률: 71%)
  • 공식: 공칭 연신율 = (표점 거리 변화량 ÷ 원래 표점 거리) × 100

    변화량 = 55mm - 50mm = 5mm

    공칭 연신율 = (5mm ÷ 50mm) × 100 = 10%

    표점 거리가 50mm에서 55mm로 증가한 것은 50mm 중 10%에 해당하는 5mm 증가한 것이므로, 공칭 연신율은 1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