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7-20)

잠수기능사
(2014-07-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잠수물리

1. 파의 속도가 13.4m/sec, 주기가 10 sec인 파의 파장은?

  1. 9.36 m
  2. 13.4 m
  3. 93.6 m
  4. 134 m
(정답률: 73%)
  • 파의 속도 = 파장 × 주파수 이므로, 파장 = 파의 속도 ÷ 주파수
    여기서 파의 속도는 13.4m/sec이고, 주기는 10 sec이므로 주파수는 1/10 Hz이다.
    따라서 파장 = 13.4m/sec ÷ 1/10 Hz = 134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수중에서 잠수사가 소리의 방향을 대기 중에서보다 판단하기 어려운 이유는?

  1. 수압 때문이다.
  2. 수온 때문이다.
  3. 소리의 전달 속도 때문이다.
  4. 소리의 매질이 같으나 온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정답률: 94%)
  • 수중에서는 소리의 전달 속도가 공기 중보다 빠르기 때문에 소리의 방향을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호흡하는 기체의 밀도가 높아지면 어떤 현상이 생기는가?

  1. 호흡저항의 감소
  2. 호흡저항의 증가
  3. 기체압력의 감소
  4. 기체온도의 증가
(정답률: 87%)
  • 호흡하는 기체의 밀도가 높아지면 호흡기로 기체를 흡입하는데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게 되므로 호흡저항이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일정한 온도하에서 액체에 녹아들어가는 기체의 양은 그 기체의 부분압에 비례한다는 법칙은?

  1. 보일 법칙
  2. 샤를 법칙
  3. 달톤 법칙
  4. 헨리 법칙
(정답률: 61%)
  • 일정한 온도에서 액체에 녹아들어가는 기체의 양은 그 기체의 부분압에 비례하는 법칙을 헨리 법칙이라고 합니다. 이는 액체와 기체 사이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법칙으로, 액체와 기체 사이의 균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즉, 액체와 기체 사이의 부분압이 높을수록 기체는 더 많이 녹아들어가게 됩니다. 이는 액체와 기체 사이의 분자 운동이 부분압에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잠수사에게 체온의 손실을 가져오는 1차적인 열의 이동 요인은?

  1. 전도
  2. 대류
  3. 복사
  4. 열하락층
(정답률: 81%)
  • 잠수사가 물속에서 체온을 잃는 주된 이유는 전도입니다. 전도는 열이 물질 내부에서 분자 간 충돌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물은 열 전도율이 높은 물질 중 하나이므로 물 속에서 잠수사의 체온은 빠르게 물로 전달됩니다. 따라서 잠수사는 물속에서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보온복을 착용하거나 물속에서 활동을 유지함으로써 체온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수심에 따른 공기부피의 변화가 가장 큰 곳은?

  1. 0 ~ 10m
  2. 10 ~ 20 m
  3. 50 ~ 60 m
  4. 100 ~ 120 m
(정답률: 83%)
  • 수심이 깊어질수록 물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어 공기의 부피가 감소합니다. 따라서 수심이 얕은 "0 ~ 10m" 지점에서는 공기부피의 변화가 가장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해수 33 feet(10 m)에서의 절대압력은?

  1. 10.4 PSI
  2. 12.4 PSI
  3. 29.4 PSI
  4. 44.1 PSI
(정답률: 72%)
  • 해수 33 feet(10 m)에서의 압력은 수심에 따라 증가하는 수직 압력과 대기압에 의한 수평 압력으로 구성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절대압력을 구하는 것이므로 대기압을 고려해야 합니다. 대기압은 해수면에서 약 14.7 PSI이며, 수심이 깊어질수록 대기압에 의한 압력이 감소하므로, 33 feet(10 m)에서의 대기압에 의한 압력은 약 4.34 PSI입니다. 따라서, 절대압력은 수직 압력과 대기압에 의한 수평 압력의 합으로 계산하면 29.4 PSI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수중에서 잠수사가 뜨지도 가라앉지도 않는 상태는?

  1. 양성부력(Positive Buoyancy)
  2. 중성부력(Neutral Buoyancy)
  3. 음성부력(Negative Buoyancy)
  4. 보상부력(compensation Buoyancy)
(정답률: 94%)
  • 중성부력은 물체의 밀도가 주변 물의 밀도와 같아져서 물체가 뜨지도 가라앉지도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잠수사가 수중에서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움직이면 물속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이는 잠수사가 수중에서 일정한 깊이를 유지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산소중독과 질소마취를 설명할 수 있는 기체의 법칙은?

  1. 게이루삭 법칙
  2. 보일 법칙
  3. 헨리 법칙
  4. 돌턴 법칙
(정답률: 49%)
  • 산소중독과 질소마취는 기체의 법칙 중에서도 "돌턴 법칙"에 의해 발생합니다. 돌턴 법칙은 같은 온도와 압력에서 서로 다른 기체의 분자량은 비례한다는 법칙입니다. 이 법칙에 따라 산소(O2)와 질소(N2)는 같은 온도와 압력에서 분자량이 다르기 때문에, 일정한 부피 안에 들어있는 산소와 질소의 양이 다르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산소를 많이 들이켜 산소중독이 발생하거나, 질소를 많이 들이켜 질소마취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해수면에서 60분간 호흡할 수 있는 양의 공기를 가지고 수심 20m의 바다 속에서 호흡한다면 몇 분간 호흡할 수 있는가? (단, 20m의 수온은 수면 수온과 같고 해류의 움직임도 거의 없으며 잠수사는 수면에서와 마찬가지로 심리적인 안정상태가 유지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1. 50 분
  2. 30 분
  3. 25 분
  4. 20 분
(정답률: 66%)
  • 수심이 깊어질수록 압력이 증가하므로 호흡할 수 있는 공기의 양이 줄어든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다이빙에서는 호흡가스의 소비량을 나타내는 RMV (Respiratory Minute Volume)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RMV는 20~25L/min 정도이다. 따라서 60분간 호흡할 수 있는 공기의 양은 20~25L/min x 60min = 1200~1500L 정도이다.

    하지만 수심 20m에서는 압력이 3배 가까이 증가하므로 호흡할 수 있는 공기의 양도 3배 가까이 줄어든다. 따라서 60분간 호흡할 수 있는 공기의 양은 400~500L 정도이다. 이를 다시 RMV로 환산하면 400~500L / 20~25L/min = 16~20분 정도이다. 따라서 정답은 "20 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대부분의 압착증은 잠수과정 중 언제 발생하는가?

  1. 하잠 중
  2. 해저체류 중
  3. 상승 중
  4. 수면도착 30분 이내
(정답률: 87%)
  • 압착증은 수중에서 깊이를 내려갈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하잠 중에 발생합니다. 이는 수심이 깊어질수록 물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인체 내부의 공기와 혈액이 압력에 의해 압축되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하잠 중에는 압력이 가장 크기 때문에 압착증이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비감압 한계(No Decompression Limits)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한계를 초과할 경우를 고려하여 10%의 여유를 두어 설정되었다.
  2. 수치가 매우 유동적이어서 허용치의 7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매우 정확한 것으로서 한계 시간에는 곧바로 상승해야 한다.
  4. 수치가 근사치이므로 그 한계 내에서만 잠수를 하고 절대 허용치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76%)
  • 비감압 한계는 잠수 중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설정된 시간과 깊이의 제한입니다. 이 한계를 초과하면 질병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수치가 근사치이므로 그 한계 내에서만 잠수를 하고 절대 허용치를 초과하지 않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산소 치료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표 2A
  2. 표 5
  3. 표 6A
  4. 표 6
(정답률: 66%)
  • 정답은 "표 5"입니다.

    산소 치료표는 산소 치료를 받는 환자의 산소 공급량과 치료 방법을 기록하는 표입니다.

    - 표 2A: 산소 치료를 받는 환자의 산소 공급량과 치료 방법을 기록하는 표입니다.
    - 표 5: 산소 치료와는 관련이 없는 표입니다.
    - 표 6A: 산소 치료를 받는 환자의 혈압과 맥박을 기록하는 표입니다.
    - 표 6: 산소 치료를 받는 환자의 호흡기 상태와 산소 포화도를 기록하는 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잠수 중에 파열된 고막을 통하여 찬물이 갑자기 중이속으로 들어 왔을 때 가장 심하게 발생되는 증상은?

  1. 통증
  2. 두통
  3. 현기증
  4. 귓속에 이물감
(정답률: 76%)
  • 고막 파열로 인해 찬물이 갑자기 중이속으로 들어오면, 내부 압력이 갑자기 변화하여 현기증이 발생합니다. 이는 이성적으로 설명하면 이성체와 액체 사이의 압력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또한, 이물감이나 통증은 고막 파열로 인한 직접적인 손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호흡기체 오염으로 인한 일산화탄소 중독증은 잠수 과정 중 주로 언제 발생하는가?

  1. 하잠 중
  2. 해저 체류 중
  3. 상승 중
  4. 하잠 및 상승 중
(정답률: 58%)
  • 일산화탄소는 수면 중에는 호흡기로 배출되지만, 잠수 과정에서는 수면 위로 올라오는 일산화탄소가 호흡기로 다시 들어가면서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상승 중에 일산화탄소 중독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잠수위생

16. 다음 중 잠수 일반 안전수칙에 맞는 것은?

  1. EAN 36으로 수심 40 m 까지 잠수해본다.
  2. 충분한 계획과 기체 준비 없이 감압이 필요한 잠수를 한다.
  3. 공기통 잔압이 50 bar 이하로 떨어지기 전에 상승한다.
  4. 공기통은 매년 수압검사를 한다.
(정답률: 82%)
  • 공기통 잔압이 50 bar 이하로 떨어지기 전에 상승하는 것은, 공기통 내부의 압력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호흡이 어려워지고, 심한 경우 의식을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상승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인간의 심해 잠수능력을 제한하는 가장 큰 원인을 깊어질수록 증가하는 수압이라고 볼 때 두 번째로 큰 원인이 되는 것은?

  1. 광선의 부족
  2. 음파의 빠른 전달특성
  3. 수온
  4. 부력
(정답률: 84%)
  • 수온이 낮을수록 인체의 심장 박동수와 호흡수가 감소하며, 근육의 수축성이 떨어져 움직임이 둔해지기 때문에 인간의 심해 잠수능력을 제한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잠수를 마치고 난 후 조직 내에 생긴 질소 기포로 감압병 증상을 유발하지 않는 기포를 무엇이라고 부르나?

  1. 과질소 기포
  2. 공기 기포
  3. 싸일런트 버블(Silent bubble)
  4. 혈전
(정답률: 76%)
  • 잠수를 마치고 조직 내의 질소 기포가 혈액으로 이동하면서 감압이 일어나면서 감압병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잠수인들은 감압병 증상이 발생하지 않는데, 이는 조직 내의 기포가 크기가 작아서 혈액 속에서 빠르게 운반되어 폐로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작은 기포를 "싸일런트 버블(Silent bubble)"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감압병의 예방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잠수를 마친 후 가능한 빨리 올라온다.
  2. 잠수표에 따라 잠수한다.
  3. 되도록 천천히 올라온다.
  4. 감기가 걸렸을 때는 잠수하지 않는다.
(정답률: 74%)
  • 감압병은 잠수 중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잠수 중에 발생하는 기압 변화로 인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가장 적절한 예방 방법은 잠수표에 따라 잠수하는 것입니다. 잠수표에 따라 정해진 속도와 시간에 맞춰 천천히 올라오면서 기압 변화에 적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잠수를 마친 후 가능한 빨리 올라오는 것은 오히려 감압병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챔버 내부에 사용되는 장비 중 설치할 수 없는 것은?

  1. 통신장비
  2. 수은식 온도계
  3. 산소 호흡기
  4. 압력계
(정답률: 84%)
  • 수은식 온도계는 수은이라는 유해물질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챔버 내부에 설치할 경우 인체에 해로울 수 있으며, 또한 수은이 증발하여 공기 중에 노출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설치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감압병 예방 절차로 바르지 못한 것은?

  1. 잠수 전날 음주를 삼간다.
  2. 무감압잠수를 계획한다.
  3. 잠수 후 24시간 내에 비행기를 탑승한다.
  4. 감압병 촉진요소를 피한다.
(정답률: 84%)
  • 잠수 후 24시간 내에 비행기를 탑승하는 것은 감압병 발생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비행기 안에서의 기압 변화로 인해 감압병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감압병 예방을 위해서는 잠수 후 최소 24시간 이상은 비행기를 탑승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잠수사의 전부 혹은 일부의 감압을 수중에서보다 재압챔버(chaber)에서 편안히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일반감압
  2. 표면감압
  3. 수중감압
  4. 최상 노출감압
(정답률: 83%)
  • 잠수사가 수중에서 일정 깊이 이상으로 내려갈 경우, 수압이 증가하여 몸에 부담이 가게 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재압챔버에서 감압을 조절하여 몸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는데, 이때 전체적으로 감압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몸의 일부분만 감압을 줄여주는 방법을 표면감압이라고 합니다. 이 방법은 잠수사가 더욱 편안하게 재압챔버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잠수사들에게 발생하는 뼈가 썩는 질환은 어느 뼈에 가장 많이 생기는가?

  1. 두개골
  2. 대퇴골
  3. 경골
  4. 척추
(정답률: 68%)
  • 잠수사들은 수심에서 일정 시간 동안 체류하면서 높은 압력과 산소 부족 상태에 노출됩니다. 이로 인해 혈액 내 질소가 과다하게 용해되고, 급격한 수심 변화로 인한 기압 변화로 인해 이 질소가 혈액에서 방출되지 못하고 조직 내에 쌓이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이 대퇴골에 가장 많이 발생하게 되어 대퇴골이 썩어서 발생하는 질환인 "잠수병"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대퇴골이 뼈가 썩는 질환의 주요 원인 부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기체 색전증의 주된 원인은?

  1. 너무 오래 잠수한 후 감압을 안할 때
  2. 숨을 참고 위로 올라갈 때
  3. 너무 빨리 잠수해 내려갈 때
  4. 공기에서 냄새가 날 때
(정답률: 73%)
  • 기체 색전증은 숨을 참고 위로 올라갈 때 발생합니다. 이는 기압이 낮아지면서 기체 내부의 질소가 혈액 속에서 용해되어 혈액 내부에서 기포를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기포가 혈관에서 막히면 혈액의 순환에 문제가 생겨 색전증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숨을 참고 위로 올라갈 때는 기압이 낮아지므로 이러한 증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일반적으로 질소마취 현상은 어느 정도의 수심에서부터 발생하는가?

  1. 30 m
  2. 60 m
  3. 90 m
  4. 120 m
(정답률: 91%)
  • 일반적으로 질소마취 현상은 수심이 깊어질수록 발생 확률이 높아지며, 특히 수심 30m 이상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집니다. 이는 수심이 깊어질수록 물압이 증가하면서 호흡기로 들어오는 공기의 압력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혈액 속의 질소가 용액 상태로 변화하여 뇌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중에서 활동하는 다이버들은 안전을 위해 수심 30m 이상에서는 질소마취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대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스쿠버 잠수 시 가장 중요한 것은?

  1. 줄의 연결
  2. 약간의 음성부력 유지
  3. 감압표 선택
  4. 상승속도준수(분 당 9m)
(정답률: 74%)
  • 스쿠버 잠수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입니다. 상승속도를 준수하는 것은 안전한 상승을 보장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합니다. 너무 빠른 상승은 감압병과 같은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 너무 느린 상승은 산소중독과 같은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 당 9m의 상승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법령에서 정하는 잠수작업자의 휴대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수중칼
  2. 수중시계
  3. 부력조절기
  4. 수중랜턴
(정답률: 70%)
  • 잠수작업자의 휴대물에는 수중칼, 수중시계, 부력조절기가 포함되지만, 수중랜턴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수중랜턴이 잠수작업자의 안전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수중랜턴은 주로 수중 탐사나 수중 사진 촬영 등을 위해 사용되며, 잠수작업자의 안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수퍼라이트 헬멧으로 수중작업 도중 육상과 통신이 두절되었다면 최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1. 즉시 잠수감독관에게 보고한다.
  2. 상승준비를 한다.
  3. 아무런 응답이 없으면 바로 상승한다.
  4. 줄신호로 전환한다.
(정답률: 75%)
  • 수퍼라이트 헬멧은 육상과의 통신이 두절되었을 때를 대비하여 줄신호로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따라서 육상과의 통신이 두절되었다면 즉시 줄신호로 전환하여 팀원들과의 통신을 유지하고 작업을 계속 진행해야 합니다. 이는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에 대비하여 필수적인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스쿠버 호흡조절기 1단계의 기능 및 구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피스톤식은 주위의 물이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불순물이 침전되기 쉽다.
  2. 피스톤식은 1단계 주변에 뚫린 구멍으로 물이 들어가서 피스톤에 변화된 수압을 직접 전달하여 압력균형을 유지시킨다.
  3. 다이아프램 방식은 피스톤 방식과는 달리 내부로 물이 들어갈 수 없도록 설계되어 있다.
  4. 균형식 방식은 공기통의 압력이 점차 낮아지면 호흡저항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정답률: 5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표면공급식 잠수의 공기호스를 구입했을 때 5년에 지난 후 4년까지 매년 압력시험을 해야 하는데 최초 기준이 되는 것은?

  1. 출고일자
  2. 제작일자
  3. 구입일자
  4. 검사일자
(정답률: 86%)
  • 표면공급식 잠수의 공기호스는 제작일자를 기준으로 5년간 사용이 가능하며, 이후 4년간 매년 압력시험을 해야 합니다. 따라서 최초 기준이 되는 것은 제작일자입니다. 출고일자나 구입일자는 제작일자와 다를 수 있으며, 검사일자는 이미 사용 중인 상태에서의 검사일 뿐이므로 최초 기준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잠수장비

31. 다음 여름철에 사용할 공기 압축기의 오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SAE 10
  2. SAE 30
  3. SAE 10W
  4. SAE 20W
(정답률: 63%)
  • 가장 적합한 오일은 SAE 30입니다. 이유는 공기 압축기는 높은 온도와 압력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높은 점도의 오일이 필요합니다. SAE 30은 높은 온도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며, 고온에서도 오일이 분해되지 않아 압축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SAE 30은 점도가 높아서 오일이 빠르게 증발하지 않아 윤활성이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가솔린 기관에서 공기와 연료의 혼합비율로 가장 효율적인 것은?

  1. 10 : 1
  2. 15 : 1
  3. 20 : 1
  4. 25 : 1
(정답률: 55%)
  • 가솔린 기관에서 가장 효율적인 공기와 연료의 혼합비율은 15 : 1입니다. 이는 공기와 연료의 적절한 비율로, 공기가 연료를 완전히 연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을 공급하면서도 너무 많은 연료가 남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10 : 1은 연료가 너무 많아서 낭비가 심하고, 20 : 1과 25 : 1은 공기가 연료를 완전히 연소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아 성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줄신호 중 “통화신호 또는 줄신호에 응답하라”는 줄신호는?

  1. 2-1
  2. 1-2
  3. 1-2-3
  4. 2-1-3
(정답률: 43%)
  • 정답은 "2-1"입니다. 이는 통화신호와 함께 전달되는 줄신호 중 하나로, 상대방이 통화를 원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입니다. "2-1"이 정답인 이유는, "2"가 통화신호를 의미하고, "1"이 줄신호에 응답하라는 명령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3"이 포함되어 있거나, "1"과 "2"의 순서가 바뀌어 있어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스쿠버 잠수 중 긴급 사태 발생 시 제일 먼저 버려야 할 장비는?

  1. 공기통
  2. 부력조절기
  3. 중량벨트(Weight Belt)
(정답률: 92%)
  • 중량벨트는 잠수 중에 체중을 느끼지 못하게 해주는 장비로, 긴급 상황에서는 빠르게 수면으로 올라오기 위해 버려야 합니다. 다른 장비들은 생존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버리면 생존 가능성이 크게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나침반(compass)의 사용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자침이 움직일 수 있도록 수평으로 유지한다.
  2. 공기통에 가깝게 붙여 사용한다.
  3. 알콜계 윤활유를 내부에 채워 사용한다.
  4. 회전 숫자판을 제거한 후 사용한다.
(정답률: 79%)
  • 나침반은 지구의 자기장을 이용하여 방향을 알려주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자침이 지구의 자기장과 평행하게 유지되어야 정확한 방향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침이 움직일 수 있도록 수평으로 유지한다."가 옳은 사용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KMB 밴드 마스크 장비의 단점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수평 이동이 용이하다.
  2. 공기 공급이 용이하다.
  3. 수중 통화가 용이하다.
  4. 수중 원형탐색에 용이하다.
(정답률: 54%)
  • KMB 밴드 마스크 장비는 수중 원형탐색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마스크의 디자인이 수평 이동이나 공기 공급에는 용이하지만, 원형탐색에는 불편함을 초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중 원형탐색에 용이하다."가 아닌 보기가 단점으로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스쿠버 탱크에 공기를 주입하는 이동용 기체압축기의 흡입구 설치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2 m 이하로 낮게 설치
  2.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2 m 이상으로 높게 설치
  3. 바람이 불어오는 반대방향으로 2 m 이하로 낮게 설치
  4. 바람이 불어오는 반대방향으로 2 m 이상으로 높게 설치
(정답률: 81%)
  •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2 m 이상으로 높게 설치해야 하는 이유는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기체압축기를 설치하면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공기가 흐르기 때문에 더 많은 공기를 흡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2 m 이상으로 높게 설치하면 지면에서 일어나는 먼지나 오염물질 등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KMB 밴드 마스크의 기체 요구량은?

  1. 6 acfm
  2. 4.8 acfm
  3. 3.2 acfm
  4. 1.0 acfm
(정답률: 48%)
  • KMB 밴드 마스크는 3.2 acfm의 기체 요구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제조사에서 정확하게 측정하여 제품 스펙에 명시한 값으로,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가 안전하게 호흡할 수 있는 기체의 양을 나타냅니다. 다른 선택지인 6 acfm, 4.8 acfm, 1.0 acfm은 KMB 밴드 마스크의 기체 요구량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제품들의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KMB 밴드 마스크에 물이 침수되었을 때 물을 제거하는 방법을 2가지로 볼 때 요구형 호흡조절기의 퍼지버튼을 누르는 방법 외에 또 다른 방법은?

  1. 환기밸브를 연다.
  2. 호흡을 세차게 내쉰다.
  3. 비상기체공급 밸브를 연다.
  4. 주 배출밸브를 1/2 회전 연다.
(정답률: 61%)
  • KMB 밴드 마스크에 물이 침수되었을 때 물을 제거하는 방법 중 하나는 환기밸브를 연다는 것입니다. 이는 마스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물이 침수되었을 때 마스크 내부에 공기가 남아있는 경우, 환기밸브를 열어 공기를 배출시키면 물이 제거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수퍼라이트-17 헬멧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호흡 마스크(Oral-Nasal Mask)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잠수사의 호흡량을 보정시켜 준다.
  2. 호흡조절기가 고장날 경우 환기 밸브로부터 비상기체를 공급받을 수 없다.
  3. 작업 중 헬멧내 과도한 이산화탄소의 확산을 막는다.
  4. 헬멧이 침수되었을 때 호흡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정답률: 63%)
  • 작업 중 헬멧내 과도한 이산화탄소의 확산을 막는다. - 호흡 마스크는 호흡 공간을 분리하여 외부 공기와 내부 공기를 분리시키고, 호흡 공간 내부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환기 밸브를 갖추고 있어서, 작업 중에 발생하는 과도한 이산화탄소가 헬멧 내부에 머무르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해난구조작업에 사용되는 와이어로프는 꺾임, 굴곡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와이어로프가 꺾이게 되면 파단력이 몇 %가 감소되나?

  1. 약 40%
  2. 약 50%
  3. 약 60%
  4. 약 70%
(정답률: 69%)
  • 와이어로프가 꺾이게 되면 그 부분에서의 단면적이 감소하게 되어 파단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 때, 와이어로프의 파단력은 단면적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단면적이 절반으로 감소하면 파단력은 약 1/4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로프가 꺾이게 되면 파단력이 약 60%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수중에서 수평 필렛 용접시 용접봉의 각도는 몇 도를 유지하여야 가장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가?

  1. 진행방향 5° ~ 20°
  2. 진행방향 15° ~ 45°
  3. 진행방향 40° ~ 55°
  4. 진행방향 55° ~ 75°
(정답률: 75%)
  • 수평 필렛 용접시 용접봉의 각도는 진행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용접봉이 녹아 합쳐지기 때문에, 용접봉의 각도가 너무 작으면 용접봉이 녹아내려가지 않고 미끄러져서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너무 크면 용접봉이 녹아내려가지 않고 녹이가 떨어져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봉의 각도는 진행방향 15° ~ 45° 사이가 가장 적절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범위에서는 용접봉이 녹아내려가면서도 미끄러지지 않고, 녹이 떨어지지 않으면서도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자체무게가 20톤인 살베지 폰툰의 인양력은? (단, v = 1600FT3)

  1. 약 46톤
  2. 약 32톤
  3. 약 26톤
  4. 약 12톤
(정답률: 48%)
  • 인양력은 부력과 무게의 차이로 결정됩니다. 살베지 폰툰의 부피는 주어졌지만, 밀도는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계산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살베지 폰툰의 무게가 주어졌으므로, 인양력은 그 무게와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살베지 폰툰의 인양력은 약 20톤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약 26톤"이 아니라, "약 20톤"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풀링(Pulling) 또는 레잉(Laying) 방식의 파이프라인 공사 시 가장 적합한 접합 방법은?

  1. 균일 접합
  2. 용접 접합
  3. 슬레이브 접합
  4. 플렌지 접합
(정답률: 67%)
  • 풀링(Pulling) 또는 레잉(Laying) 방식의 파이프라인 공사 시에는 파이프의 연결 부위에서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접합 방법이 중요합니다. 이 중에서 가장 적합한 접합 방법은 플렌지 접합입니다.

    플렌지 접합은 파이프의 끝 부분에 플렌지(평판)를 부착하고, 볼트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접합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파이프의 연결 부위에서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누출을 방지할 수 있어 풀링 또는 레잉 방식의 파이프라인 공사 시에 가장 적합한 접합 방법입니다. 또한, 파이프의 교체나 유지보수 시에도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잠수사의 1일 근로시간이 규정되어 있는 법령은?

  1. 근로기준법령
  2. 직업안전법령
  3. 고용보험법령
  4. 산업안전보건법령
(정답률: 79%)
  • 잠수사는 위험한 작업을 수행하는 직종으로, 안전을 위해 근로시간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잠수사의 1일 근로시간이 규정되어 있는 법령은 산업안전보건법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잠수작업

46. 줄 당김 신호 중 잠수사가 보조사에게 4회 당김의 의미는?

  1. 끌어 올려라
  2. 줄을 늦추어 달라
  3. 늦춘 줄을 당겨라
  4. 밑바닥에 닿았다
(정답률: 83%)
  • 잠수사가 보조사에게 4회 당김의 의미는 "끌어 올려라"입니다. 이는 잠수사가 수중에서 물건이나 인원을 끌어올리기 위해 보조사에게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보조사는 이에 따라 줄을 끌어 올리게 됩니다. 따라서 "끌어 올려라"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수중용접 시 주로 사용하는 전압은?

  1. 40 V
  2. 100 V
  3. 300 V
  4. 400 V
(정답률: 43%)
  • 정답은 "40 V"입니다. 수중용접 시에는 전기적 위험이 크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전압을 낮추어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수중용접 시에는 40V 이하의 저전압을 사용하며, 이는 인체에 미치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수중에서 전기를 사용할 때는 물의 전기적 저항이 크기 때문에 높은 전압을 사용하면 전류가 흐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중용접 시에는 안전과 전류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40V 이하의 저전압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수중폭파 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폭약은?

  1. 트리니트로톨루엔(TRINITROTOLUENE)
  2. 헥소겐(RDX, HEXOGEN)
  3. C-4(COMPOSITION 4)
  4. 암모늄 나이트래이트(AMMONIUM NITRATE)
(정답률: 54%)
  • 암모늄 나이트래이트는 수분에 노출되면 물과 반응하여 폭발할 수 있는 높은 민감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중폭파 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직류 아크 발전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전동발전식
  2. 엔진구동식
  3. 정류식
  4. 탭전환식
(정답률: 67%)
  • 직류 아크 발전기의 종류 중 "탭전환식"은 아크 발생기의 출력 전압을 변화시키기 위해 탭을 전환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따라서 직류 아크 발전기의 종류 중에서는 아니며, 나머지 세 가지 종류는 각각 전동기를 이용한 발전기, 엔진을 이용한 발전기, 정류기를 이용한 발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수중용접 시 피복제(Flux)에 의해 가장 많이 생성되는 기체는?

  1. 산소
  2. 질소
  3. 수소
  4. 헬륨
(정답률: 67%)
  • 수중용접 시 피복제(Flux)는 금속 용융 과정에서 산화를 방지하고 금속 용융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때, 피복제에 포함된 화학물질이 가열되면서 기체를 발생시키는데,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생성되는 기체는 수소입니다. 이는 피복제에 포함된 화학물질 중에서 수소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수중 촬영 시 피사체가 빠른 속도로 움직인다면 카메라의 조리개와 셔터를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가?

  1. 조리개는 닫아 주고 셔터 속도는 느리게 해준다.
  2. 조리개는 닫아 주고 스트로브의 광량을 낮게 한다.
  3. 조리개는 열어 주고 셔터 속도는 느리게 해준다.
  4. 조리개는 열어 주고 셔텨 속도는 빠르게 해준다.
(정답률: 67%)
  • 수중에서 피사체가 빠른 속도로 움직인다면, 빠른 셔터 속도를 사용하여 움직임을 얼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셔터 속도를 빠르게 하면 빛의 양이 적어져서 사진이 어두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리개를 열어서 더 많은 빛을 받도록 해야합니다. 이렇게 하면 빠른 셔터 속도와 충분한 빛을 얻어 피사체의 움직임을 얼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수중 용접 절단 시 정극성일 경우 음(-)극의 연결은 어디에 하는가?

  1. 작업물
  2. 특별한 구분이 없다.
  3. 홀더나 토치
  4. 접지 클램프
(정답률: 65%)
  • 수중 용접 절단 시 정극성일 경우 음(-)극의 연결은 홀더나 토치에 연결합니다. 이는 홀더나 토치가 양(+)극의 전극으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음(-)극의 전극은 홀더나 토치에 연결하여 작업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잠수작업에 필요한 자격·면허·경험 또는 기능을 가진 근로자외의 자를 잠수작업에 고용할 수 없도록 규정한 법률은?

  1. 고용보험법
  2. 직업안정법
  3. 산업안전보건법
  4. 근로기준법
(정답률: 78%)
  • 잠수작업은 위험한 작업으로서, 안전한 작업을 위해 자격·면허·경험 또는 기능을 가진 근로자만이 수행할 수 있도록 규정한 것이 산업안전보건법입니다. 다른 법률들은 이와 관련된 규정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선박의 침수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지주용 방수재로 적합하지 못한 나무는?

  1. 전나무로 만든 것
  2. 매듭이 없는 곧은 것
  3. 페인트칠을 한 것
  4. 황송으로 만든 것
(정답률: 65%)
  • 페인트칠을 한 나무는 침수 방지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페인트가 수분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지만, 나무가 노후되거나 페인트가 벗겨질 경우 수분이 침투하여 나무가 부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선박의 침수 방지를 위해서는 페인트칠보다는 전나무나 황송 등의 방수재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침수중인 선박에서 먼저 제거해야 할 적화물은?

  1. 유류
  2. 목재
  3. 철강재
  4. 곡물
(정답률: 74%)
  • 침수한 선박에서 먼저 제거해야 할 적화물은 곡물입니다. 이는 곡물이 물에 젖으면 빠르게 부패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곡물이 물에 노출되면 물이 흡수되어 무게가 더 무거워져 선박의 안정성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침수한 선박에서는 먼저 곡물을 제거하여 안전을 확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수중절단시 사용되는 산소의 설명 중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순도는 99.5% 이상이어야 한다.
  2. 순도는 1% 떨어지면 절단 능력은 25% 감소된다.
  3. 산소통은 녹색이며, 좌선나사이다.
  4. 산소 자체는 연소하는 성질이 없고 다른 물질의 연소를 돕는 조연제의 기체이다.
(정답률: 54%)
  • 산소통의 색상과 나사 방향은 산소의 특성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폭발물의 반응을 나타내는 “m/s”는 무엇을 말하는가?

  1. 폭파 속도
  2. 예민도
  3. 화약계수
  4. 도화선의 연소시간
(정답률: 78%)
  • "m/s"는 폭발물의 폭파 속도를 나타냅니다. 폭파 속도는 폭발물이 폭발할 때 발생하는 충격파가 전파되는 속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폭발물의 성질과 구성에 따라 다르며, 폭발물의 폭발력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폭파 속도는 폭발물의 특성을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잠수사가 작업 중 일 때 보조사에게 “1-2-3” 줄 당김의 신호를 보냈다면 어떤 의미인가?

  1. 짧은 줄을 보내라
  2. 긴 줄을 보내라
  3. 수중 기록판을 보내라
  4. 나를 상승시켜라
(정답률: 52%)
  • 잠수사가 보조사에게 "1-2-3" 줄 당김의 신호를 보내면 "짧은 줄을 보내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잠수사가 작업 중에 어떤 문제가 발생했을 때 보조사가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짧은 줄을 보내면 잠수사가 위로 상승하게 되므로, 위험 상황에서는 빠른 대응이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1-2-3" 신호는 보조사에게 즉각적인 대응을 요청하는 신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폭발에 대해 잘못 기술한 것은?

  1. 폭발시 화학반응으로 압력과 열의 상승이 동반된다.
  2. 폭발은 폭약이 고체에서 순간적으로 기체 상태로 변하는 것이다.
  3. 폭파속도가 느릴수록 파괴력이 강하다.
  4. 폭발물이 폭파되었을 때는 유독한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정답률: 82%)
  • "폭파속도가 느릴수록 파괴력이 강하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폭파속도가 빠를수록 파괴력이 강합니다. 이는 폭발물이 빠르게 기체 상태로 변하면서 압력과 열이 급격하게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폭파속도가 느릴수록 파괴력이 약해지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수중폭파 안전수칙으로 옳지 못한 것은?

  1. 폭약과 뇌관은 같은 상자에 보관한다.
  2. 폭약 상자를 개방할 때 철재공구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3. 뇌관을 보관용기 또는 폭약으로부터 꺼낼시 당기거나 장력을 주지 않아야 한다.
  4. 뇌관을 폭파 회로에 연결할 때까지 뇌관 도선의 분로장치를 제거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92%)
  • "폭약과 뇌관은 같은 상자에 보관한다."가 옳지 못한 것입니다. 폭약과 뇌관은 서로 다른 물질이기 때문에 같은 상자에 보관하면 안전하지 않습니다. 폭약과 뇌관은 따로 보관하고, 보관 장소도 분리하여 관리해야 합니다.

    "폭약과 뇌관은 같은 상자에 보관한다."라는 안전수칙은 잘못된 정보이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수칙은 반드시 수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