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1-27)

농기계정비기능사
(2013-01-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농기계정비

1. 이양기의 운전 조작부에 속하는 클러치 레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연료 클러치 레버
  2. 주 클러치 레버
  3. 조향 클러치 레버
  4. 식부 클러치 레버
(정답률: 73%)
  • 연료 클러치 레버는 운전 조작부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는 차량의 연료 공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주 클러치 레버, 조향 클러치 레버, 식부 클러치 레버는 모두 운전 조작부에 속하는데, 각각 차량의 주행, 조향, 변속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디젤기관에서 압축압력 측정방법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기관 오일, 기동전동기, 배터리가 정상 상태인지 점검한다.
  2. 기관을 가동 시킨 후 정상 온도를 올린 다음 측정한다.
  3. 측정하기 전 기관을 크래킹시켜 실린더로부터 이물질을 배출시키고 측정한다.
  4. 분사노즐 및 예열 플러그를 전부 빼고 시험한다.
(정답률: 77%)
  • "분사노즐 및 예열 플러그를 전부 빼고 시험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분사노즐 및 예열 플러그를 제거하면 연료가 즉시 분사되지 않으므로 압력 측정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사노즐과 예열 플러그를 그대로 두고 압력을 측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트랙터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기 위한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각부를 깨끗이 세차한다.
  2. 냉각수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한다.
  3. 유압기구의 리프트 암을 완전히 올려둔다.
  4. 타이어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전후 차축을 받쳐둔다.
(정답률: 55%)
  • 냉각수는 엔진 내부에서 열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장기간 사용하지 않은 트랙터는 냉각수가 오래되어 녹슬거나 부식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새로운 것으로 교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KS에서 규정하는 트랙터의 호칭 TPO 정격속도 2가지가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540rpm, 1000rpm
  2. 640rpm, 1200rpm
  3. 840rpm, 1500rpm
  4. 940rpm, 2000rpm
(정답률: 75%)
  • 정답은 "540rpm, 1000rpm" 입니다.

    KS에서 규정하는 트랙터의 호칭 TPO는 트랙터의 출력축 회전속도를 의미합니다. 이때, 정격속도는 트랙터의 최대 출력축 회전속도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농업용 트랙터는 540rpm 또는 1000rpm의 정격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농기계류의 작동에 필요한 회전수를 충분히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540rpm, 1000rpm"이 옳은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로터리 경운날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ㄷ자형
  2. 작두형
  3. 나사형
  4. 보통형
(정답률: 60%)
  • 로터리 경운날은 일반적으로 원형 또는 나사형으로 제작됩니다. "ㄷ자형"은 로터리 경운날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이유는 형태가 일반적인 로터리 경운날과는 매우 다르기 때문입니다. "ㄷ자형"은 땅을 파는 것보다는 땅을 살짝 굴리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로터리 경운날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조향 클러치의 베어링 부분 점검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솔린으로 씻고 내부의 먼지, 그리스 등을 완전히 압축공기로 불어내고 깨끗이 한 다음 점검한다.
  2. 베어링을 돌려보고 가볍게 회전하는가? 걸리거나 끄떡거림이 없는가? 등을 점검한다.
  3. 취부할 때에는 내륜회전을 하는 것은 외륜을, 외륜회전을 하는 것은 내륜을 타입하도록 한다.
  4. Z, ZZ형은 회전을 하면서 걸림, 끄덕거림 이외에도 실드면 등도 점검한다.
(정답률: 62%)
  • "취부할 때에는 내륜회전을 하는 것은 외륜을, 외륜회전을 하는 것은 내륜을 타입하도록 한다." 이것은 옳은 설명이다. 내륜과 외륜은 서로 다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점검할 때에는 이를 구분하여 타입해야 한다. 내륜은 엔진과 직접 연결되어 회전하며, 외륜은 기어박스와 연결되어 회전한다. 따라서 내륜을 회전시키면 외륜도 함께 회전하게 되고, 외륜을 회전시키면 내륜은 회전하지 않는다. 이를 이용하여 베어링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트랙터에서 로터베이터의 좌우 수평의 조정은 무엇으로 하는가?

  1. 유니버설 조인트의 길이
  2. 상부 리프트 로드의 길이
  3. 우측 리프트 로드의 길이
  4. 좌측 리프트 로드의 길이
(정답률: 59%)
  • 로터베이터는 토양을 굴리면서 밭을 갈아주는 기계로, 좌우 수평이 맞지 않으면 굴리는 토양의 깊이가 일정하지 않아 밭이 고르게 갈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로터베이터의 좌우 수평을 조정해야 하는데, 이때 우측 리프트 로드의 길이를 조절하여 수평을 맞춥니다. 이는 로터베이터의 우측에 위치한 리프트 로드가 로터베이터와 수직이 되도록 길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로터베이터의 좌우 수평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우측 리프트 로드의 길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변속기에서 변속기의 입력속도가 1500[rpm]이고 입력토크는 20N·m일 때 출력속도가 800[rpm]이 될 경우 출력 토크는 약몇 N·m 인가? (단 동력 전달과정에서 손실 요소는 없다고 가정한다)

  1. 75
  2. 10.66
  3. 37.5
  4. 4
(정답률: 45%)
  • 변속비 = 입력속도 / 출력속도 = 1500 / 800 = 1.875
    출력토크 = 입력토크 / 변속비 = 20 / 1.875 = 10.66
    따라서 출력속도가 800[rpm]일 때 출력토크는 약 10.66[N·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파종기에 시비기를 장착하여 종자파종과 시비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것은?

  1. 산파기
  2. 살포기
  3. 구절기
  4. 조파기
(정답률: 75%)
  • 조파기는 파종기에 시비기를 함께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계로, 종자를 파종하면서 동시에 비료나 씨앗 등을 시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종자파종과 시비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 효율적인 농업 생산에 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벼의 도정작업공정 순서로 옳은 것은?

  1. 제현과정→정선과정→정미과정→연미과정→선별과정
  2. 정선과정→제현과정→정미과정→연마과정→선별과정
  3. 정선과정→제현과정→연미과정→정미과정→선별과정
  4. 정선과정→제현과정→정미과정→선별과정→연미과정
(정답률: 44%)
  • 정선과정은 벼의 껍질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가장 먼저 이루어지며, 제현과정은 벼의 일부를 제거하여 균일한 크기로 만드는 과정입니다. 정미과정은 벼의 미세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이며, 연마과정은 벼의 겉면을 연마하여 균일한 표면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마지막으로 선별과정은 벼의 품질을 검사하여 등급을 결정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정선과정→제현과정→정미과정→연마과정→선별과정이 옳은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보시형 분사펌프에서 조정심을 넣어 분사시기를 조정하는데 0.1㎜ 두께에 몇 도(°)의 분사시기가 조정이 되는가?

(정답률: 55%)
  • 보시형 분사펌프에서 조정심을 조정하면 분사시기가 조정됩니다. 이때 0.1mm 두께에 몇 도의 분사시기가 조정되는지를 구해야 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구체적인 조건이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시형 분사펌프의 조정범위를 기준으로 생각해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보시형 분사펌프의 조정범위는 1도에서 4도 정도입니다. 따라서 0.1mm 두께에 1도의 분사시기가 조정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보시형 분사펌프의 일반적인 조정범위를 고려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트랙터 내연기관의 냉각수에 주로 사용되는 부동액 성분으로 맞는 것은?

  1. 에틸렌글리콜
  2. 암모니아수
  3. 염소
  4. 칼슘
(정답률: 83%)
  • 에틸렌글리콜은 냉각수에 주로 사용되는 부동액 성분 중 하나입니다. 이는 냉각수의 냉각 효과를 향상시키고, 부식 및 동결 방지에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에틸렌글리콜은 비독성이며, 물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따라서, 트랙터 내연기관의 냉각수에 주로 사용되는 부동액 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3KW의 양수기를 가동하려면 최소 몇 PS의 출력을 내는 엔진이 필요한가? (단 효율은 무시한다.)

  1. 2.21
  2. 4.08
  3. 5.22
  4. 6.08
(정답률: 63%)
  • 1 PS는 약 0.74kW이므로, 3kW의 양수기를 가동하기 위해서는 최소 4.05 PS의 출력을 내는 엔진이 필요하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4.08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자탈형 콤바인에서 벨 작물을 잡아주고 쓰러진 작물을 일으켜 세우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전치리부
  2. 반송부
  3. 탈곡부
  4. 선별부
(정답률: 72%)
  • 전치리부는 자탈형 콤바인에서 벨 작물을 잡아주고 쓰러진 작물을 일으켜 세우는 역할을 합니다. "전치리"는 작물을 일으키는 동작을 의미하며, "부"는 부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전치리부는 작물을 일으키는 부서라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동력 분무기 취급 시 상용 압력(kgf/cm3) 범위에 속하는 것은?

  1. 5 ~ 10
  2. 25 ~ 30
  3. 40 ~ 60
  4. 70 ~ 100
(정답률: 73%)
  • 동력 분무기는 대개 20 ~ 30 kgf/cm2 (즉, 25 ~ 30 kgf/cm2)의 상용 압력 범위에서 작동합니다. 따라서, "25 ~ 30"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너무 낮거나 높은 압력 범위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내연 기관에서 피스톤 링의 작용이 아닌 것은?

  1. 기밀 작용
  2. 가스 배출 작용
  3. 열전도 작용
  4. 오일 제어 작용
(정답률: 53%)
  • 내연 기관에서 피스톤 링은 기름이나 연료가 실린더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기밀 작용을 하거나, 피스톤과 실린더 벽 사이에 공기와 가스가 섞이는 것을 막아주는 오일 제어 작용을 합니다. 그러나 가스 배출 작용은 피스톤 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가스 배출은 엔진 내부에서 연소가 일어나면서 발생하는 것이며, 배기 밸브를 통해 배출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가스 배출 작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기관에서 TDC는 무엇을 표시하는 것인가?

  1. 상사점
  2. 하사점
  3. 분사 시기
  4. 행정
(정답률: 66%)
  • TDC는 Top Dead Center의 약자로서, 엔진의 피스톤이 상단 극점에 도달하는 시점을 나타냅니다. 이 때, 피스톤은 가장 높은 압력을 가지며, 이를 기준으로 엔진의 회전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TDC는 상사점이라고도 불리며, 다른 보기들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트랙터 작업기 부착 시 유니버셜 조인트 고정 핀의 돌출량은 약 몇 ㎜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
  2. 5
  3. 11
  4. 30
(정답률: 55%)
  • 유니버셜 조인트 고정 핀의 돌출량은 작업기의 회전 중에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이 값은 작업기와 트랙터의 모델 및 크기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11mm 이상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동력 경운기 변속 레버가 잘 들어가지 않는 원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드럼의 유격 확대
  2. 주 클러치 불량
  3. 기아마모
  4. 변속포크 불량
(정답률: 71%)
  • 드럼의 유격 확대는 변속기 내부의 드럼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변속 레버가 움직이지 않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는 변속기 내부의 부품이 마모되어 드럼이 움직이지 못하거나, 드럼과 기어가 맞지 않아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변속 레버가 움직이지 않으므로 동력 경운기의 속도를 조절할 수 없게 되어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동력 경운기의 브레이크 드럼은 다음 중 어느 축에 고정되어 있는가?

  1. 차축
  2. 주축
  3. 부 변속축
  4. 조향 클러치축
(정답률: 48%)
  • 동력 경운기의 브레이크 드럼은 부 변속축에 고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부 변속축이 동력 경운기의 주요 구동축 중 하나이며, 브레이크 드럼이 부 변속축에 고정되어 있으면 브레이크 작동 시 부 변속축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부 변속축은 주축과 연결되어 있어서 주축의 회전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 변속축에 브레이크 드럼을 고정함으로써 동력 경운기의 운전을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농기계전기

21. 일반적인 동력 경운기의 조향클러치 형식은 무엇인가?

  1. 원추 클러치
  2. 맞물림 클러치
  3. 유체 클러치
  4. 원심 클러치
(정답률: 88%)
  • 일반적인 동력 경운기의 조향클러치 형식은 맞물림 클러치입니다. 이는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위치하며, 엔진의 동력을 변속기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맞물림 클러치는 엔진과 변속기의 축이 서로 맞물려 있어서, 엔진의 회전력이 변속기로 직접 전달됩니다. 이는 원추 클러치나 원심 클러치와는 달리 클러치 페달을 밟지 않아도 자동으로 작동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직접 분사식 디젤 경운기에 사용해야 할 연료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등유
  2. 중유
  3. 휘발유
  4. 경유
(정답률: 83%)
  • 직접 분사식 디젤 엔진은 경유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경운기의 엔진이 디젤 엔진이기 때문입니다. 경유는 디젤 엔진에서 사용되는 연료로, 저온에서도 쉽게 증발하지 않고,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연소됩니다. 또한 경유는 휘발유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연비가 높아 경제적입니다. 따라서 경운기에는 경유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가솔린 기관의 점화 장치를 구성하는 요소가 아닌것은?

  1. 기화기
  2. 마그네토
  3. 점화 플러그
  4. 단속기
(정답률: 44%)
  • 기화기는 가솔린 기관의 점화 장치를 구성하는 요소가 아닙니다. 기화기는 공기 중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장치로, 점화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기화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트랙터에서 토-인[toe-in]이 맞지 않을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핸들이 몹시 떨린다.
  2. 조향 시 핸들이 몹시 무겁다.
  3. 차체에 휨이 생긴다.
  4. 타이어에 편 마모가 생긴다.
(정답률: 62%)
  • 토-인이 맞지 않으면 앞바퀴의 내측 부분이 바깥쪽으로 향하게 되어 차체가 비스듬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행하면 차체가 불안정해져 핸들이 떨리고, 조향 시 핸들이 무겁게 느껴지며, 차체에 휨이 생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동력 경운기에서 주 클러치를 연결하여도 힘이 안나거나 전혀 움직이지 않을 때의 원인과 거리가 먼 것은?

  1. 클러치의 유격이 너무 적어 미끄러지고 있다.
  2. 마찰판이 타서 심하게 소손되었다.
  3. 압력스프링의 장력이 너무 세다.
  4. 클러치 내부에 윤활유가 누유되었다.
(정답률: 64%)
  • 압력스프링의 장력이 너무 세다는 것은 클러치 디스크와 플라이휠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서 동력 전달이 원활하지 않게 만든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주 클러치를 연결하여도 힘이 안나거나 전혀 움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크랭크축의 오일 베어링 간극이 작을 경우 나타나는 현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오일 공급 불량으로 유막이 파괴될 수 있다.
  2. 오일 소비량이 커진다.
  3. 윤활 불량으로 마찰 및 마모가 증대된다.
  4. 심하면 소결될 수도 있다.
(정답률: 74%)
  • 크랭크축의 오일 베어링 간극이 작을 경우, 오일이 충분히 윤활되지 못하고 베어링과 충돌하면서 마찰과 마모가 증대됩니다. 이로 인해 오일 소비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트랙터에서 엔진오일 점검 시 배기가스에 의해 심하게 오염 되었을 때의 색은?

  1. 우유색에 가깝다.
  2. 붉은 색에 가깝다.
  3. 회색에 가깝다.
  4. 검은색에 가깝다.
(정답률: 62%)
  • 배기가스는 엔진에서 연소되어 나오는 가스로서, 이 가스는 매우 높은 온도와 압력에서 생성됩니다. 따라서 엔진오일이 배기가스와 접촉하면 매우 높은 온도와 압력에 노출되어 열분해되고 산화되어 검은색에 가까운 색상으로 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농업기계 분야에서 유압장치의 주요 3대 요소에 해당되지않는 것은?

  1. 유압 펌프
  2. 제어 밸브
  3. 유압 실린더
  4. 유압 필터
(정답률: 54%)
  • 유압 필터는 유압장치의 주요 3대 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유압 펌프, 제어 밸브, 유압 실린더는 유압장치의 핵심 구성 요소이며, 유압 필터는 유압 시스템에서 유체의 오염을 방지하고 유지보수 주기를 연장하는 보조적인 요소입니다. 따라서 유압 필터는 유압장치의 주요 3대 요소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트랙터의 운행 중 차동 잠금 장치를 사용하면 안 되는 경우는?

  1. 진흙 포장에서 주행이 곤란할 때
  2. 도로 주행 시 커브 길을 회전할 때
  3. 미끄러운 포장에서 한쪽 바퀴가 공회전 할 때
  4. 쟁기 작업 시 바퀴가 고랑에서 미끄러졌을 때
(정답률: 86%)
  • 차동 잠금 장치는 바퀴의 회전 속도를 동일하게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커브 길을 회전할 때는 내부 바퀴와 외부 바퀴의 회전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차동 잠금 장치를 사용하면 차량이 불안정해져서 안전 운전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커브 길을 회전할 때는 차동 잠금 장치를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관리기에서 주요 케이블의 유격을 조정 후 주유해야 하는 부문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주 클러치 와이어
  2. 텐션 암
  3. 핸들 상하좌우 조정 와이어
  4. V 벨트
(정답률: 67%)
  • V 벨트는 주요 케이블이 아니며, 유격을 조정하거나 주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주요 케이블은 주 클러치 와이어, 텐션 암, 핸들 상하좌우 조정 와이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그림과 같은 직·병렬회로의 합성저항은?

  1. 1[Ω]
  2. 2[Ω]
  3. 4[Ω]
  4. 7[Ω]
(정답률: 63%)
  • 병렬회로에서는 전압은 동일하고 전류는 각 분기회로의 저항에 반비례하여 나뉘게 됩니다. 따라서, 2[Ω]와 4[Ω]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두 저항의 등가저항은 2와 4의 역수를 더한 후 다시 역수를 취한 값인 4/3[Ω]이 됩니다. 이렇게 구한 등가저항과 1[Ω]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두 저항의 합인 5/3[Ω]가 최종적인 등가저항이 됩니다. 이 값을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표현하면 4[Ω]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직류 직권 전동기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동기에 부하가 걸렸을 때에는 회전속도는 빠르나 회전력이 작다.
  2. 부하가 작아지면 회전력이 감소되나 회전수는 점차로 커진다.
  3. 전동기의 부하가 걸렸을 때에는 회전속도는 낮으나 회전력이 크다.
  4. 부하를 크게 하면 회전 속도가 낮아지고 흐르는 전류는 커진다.
(정답률: 43%)
  • "전동기에 부하가 걸렸을 때에는 회전속도는 빠르나 회전력이 작다."가 옳지 않은 것은, 부하가 걸리면 회전속도는 감소하고 회전력도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부하가 적을 때는 회전속도와 회전력이 모두 크지만, 부하가 증가하면 회전속도는 감소하고 회전력도 감소합니다. 따라서, "전동기에 부하가 걸렸을 때에는 회전속도는 낮으나 회전력이 크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물질이 양전기나 음전기를 띠게 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접지
  2. 대전
  3. 전기량
  4. 중성자
(정답률: 58%)
  • 물질이 양전기나 음전기를 띠게 되는 현상을 대전이라고 합니다. 이는 물질 내부의 전자와 양자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전하가 분리되어 발생하는 현상으로, 전하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전하가 이동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축전지의 전해액의 규정량은 보통의 경우 극판 위 몇[㎜] 만큼 채워져 있어야 하는가?

  1. 7∼10 [㎜]
  2. 10∼13 [㎜]
  3. 15∼20 [㎜]
  4. 20∼25 [㎜]
(정답률: 62%)
  • 축전지의 전해액은 전기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곳입니다. 따라서 축전지의 전해액이 충분하지 않으면 축전지의 전기 생성 능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축전지의 전해액은 극판 위 10∼13 [㎜] 정도 채워져 있어야 합니다. 이는 축전지의 전해액이 충분히 있어서 축전지의 전기 생성 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최소한의 양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축전지의 전해액이 7∼10 [㎜]보다 적게 채워져 있으면 축전지의 전기 생성 능력이 떨어지게 되고, 15∼20 [㎜]나 20∼25 [㎜]보다 많이 채워져 있어도 축전지의 전해액이 너무 많아져서 축전지 내부에서 화학 반응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납축전지에서 충전 및 방전할 때의 작용은?

  1. 화학적 작용
  2. 전기적 작용
  3. 기계적 작용
  4. 물리적 작용
(정답률: 81%)
  • 납축전지에서 충전 및 방전할 때는 화학적 작용이 일어납니다. 충전 시에는 전해질 속에 있는 화학물질들이 전극과 반응하여 전자를 받아들이고, 방전 시에는 전해질 속에 있는 화학물질들이 전극과 반응하여 전자를 방출합니다. 이러한 화학적 작용으로 인해 전지 내부에서 전기적 에너지가 생성되고, 이를 이용하여 전기적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직류 전동기에서 외부 회로와 내부 회로를 접속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계자
  2. 고정자
  3. 전기자
  4. 브러시
(정답률: 49%)
  • 직류 전동기에서는 전기자와 고정자 사이에 회전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 부분에서 전기적인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외부 회로와 내부 회로를 접속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때, 브러시는 회전하는 부분과 고정된 부분 사이에서 전기적인 연결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브러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4[Ω]과 6[Ω]의 저항을 직렬로 접속할 때 합성 콘덕턴스는?

  1. 0.5[℧]
  2. 0.33[℧]
  3. 0.1[℧]
  4. 1.0[℧]
(정답률: 45%)
  • 저항과 콘덕턴스는 역수 관계에 있으므로, 각 저항의 콘덕턴스를 구하고 더한 후 다시 저항으로 변환하면 된다.

    4[Ω]의 콘덕턴스 = 1/4 = 0.25[℧]
    6[Ω]의 콘덕턴스 = 1/6 = 0.1667[℧]

    합성 콘덕턴스 = 0.25[℧] + 0.1667[℧] = 0.4167[℧]

    합성 저항 = 1/합성 콘덕턴스 = 1/0.4167[℧] = 2.4[Ω]

    따라서, 정답은 0.1[℧]이 아니라 "2.4[Ω]"이다. 문제에서 단위가 다르게 주어져 있어서 혼동이 있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1[Wh]는 몇 [J]인가?

  1. 1[J]
  2. 3600[J]
  3. 3.6×106[J]
  4. 100[J]
(정답률: 56%)
  • 1[Wh]은 1시간 동안 1[W]의 전력을 사용한 에너지 양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1[W]는 1[J/s]이므로, 1[Wh]는 1[W] × 1[h] = 1[J/s] × 3600[s] = 3600[J]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600[J]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1.5[V]의 전위차로 3[A]의 전류가 2분 동안 흐를 경우 이는 몇 [J]에 해당되는가?

  1. 9[J]
  2. 45[J]
  3. 250[J]
  4. 540[J]
(정답률: 35%)
  • 전류(I) = 전위차(V) / 저항(R) 에서 저항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전류(I) = 전위차(V) / R 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V = IR 이 됩니다.

    주어진 전위차와 전류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E = VIt

    여기서, E는 전기 에너지, V는 전위차, I는 전류, t는 시간입니다.

    따라서, E = 1.5[V] x 3[A] x 120[s] = 540[J]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40[J]"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축전지를 충전할 때 충전이 완료되어 충전 한계 시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옳은 것은?

  1. 전해액은 거품이 나고 전해액은 회백색이 되며 두 극판은 유백색의 빛을 띤다.
  2. 전해액은 변하지 않으나 전해액은 증가되고 두 극판은 유백색으로 변화되며 흰 연기가 난다.
  3. 축전지에서 고열이 발생되며 축전지의 윗부분이 부풀어 오른다.
  4. 전해액으로부터 거품이 나고 전해액은 유백색으로 변하며 두 극판은 농갈색으로 변한다.
(정답률: 38%)
  • 전해액에 전기가 흐르면서 화학 반응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 때 발생하는 가스가 전해액에서 거품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전해액이 회백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또한, 전해액에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으로 인해 두 극판의 물질이 변화하면서 유백색 빛을 띄게 되고, 이로 인해 농갈색으로 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전해액으로부터 거품이 나고 전해액은 유백색으로 변하며 두 극판은 농갈색으로 변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농기계안전관리

41. 다음 중 농업용 트랙터 전조등에 주로 사용되는 전구는?

  1. 3[V], 12[W]
  2. 5[V], 15[W]
  3. 12[V], 25[W]
  4. 18[V], 60[W]
(정답률: 66%)
  • 농업용 트랙터 전조등은 보통 12V 전원을 사용하며, 25W의 밝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12[V], 25[W] 전구가 주로 사용됩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전압이나 밝기가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납축전지의 전해액이 자연 감소되었을 때 보충액으로 적합한 것은?

  1. 묽은황산
  2. 소금물
  3. 산성수
  4. 증류수
(정답률: 84%)
  • 납축전지의 전해액은 물과 황산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때 전해액이 자연 감소하면 황산 농도가 높아지게 되어 전지의 충전 용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보충액으로는 순수한 물인 증류수가 적합합니다. 증류수는 불순물이 거의 없는 순수한 물로, 전해액의 농도를 낮춰주어 전지의 충전 용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아날로그형 회로 시험기의 사용법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저항, 직류 전압, 전류 및 교류 전원을 측정할 수 있다.
  2. 트랜지스터, 다이오드의 절연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3. L과 C 값은 측정할 수 없다.
  4. 직류 측정 시 (+), (-) 단자의 극성에 유의한다.
(정답률: 69%)
  • L과 C는 각각 인덕터와 캐패시터를 나타내는데, 이들은 시험기에서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없습니다. 이는 L과 C가 주파수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L과 C 값을 측정하려면 주파수를 변화시키면서 측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60[Hz], 3상 유도전동기 6극의 전부하 시의 회전수가 1140[rpm]이다 이 때 슬립은?

  1. 4[%]
  2. 5[%]
  3. 6[%]
  4. 7[%].
(정답률: 42%)
  • 전부하 시의 회전수는 동기회전수와 슬립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기회전수는 120*f/p = 120*60/6 = 1200[rpm] 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슬립을 구하면,

    슬립 = (동기회전수 - 전부하 시의 회전수) / 동기회전수 * 100%
    = (1200 - 1140) / 1200 * 100%
    = 5%

    따라서 정답은 "5%" 입니다. 슬립은 회전수 차이를 동기회전수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으로, 이 문제에서는 60[Hz]의 주파수와 6극으로 인해 동기회전수가 1200[rpm]이 되고, 전부하 시의 회전수가 1140[rpm]이므로 슬립은 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전기저항은 단면적이 클수록 어떻게 변하는가?

  1. 작아진다.
  2. 커진다.
  3. 단면적에 관계가 없다.
  4. 단면적을 변화시킬 때는 항상 증가한다.
(정답률: 70%)
  • 전기저항은 단면적이 클수록 작아진다. 이는 단면적이 클수록 전류가 흐르는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이다. 전류는 전기저항을 통과할 때 전기저항의 길이에 비례하여 감소하므로, 길이가 짧아지면 전류가 감소하고 전기저항이 작아진다. 따라서 단면적이 클수록 전기저항은 작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안전보건표지의 종류와 의미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녹색 – 안내
  2. 빨간색 - 금지
  3. 노란색 – 경고
  4. 파란색 - 긴급위험
(정답률: 86%)
  • 정답은 "파란색 - 긴급위험"입니다. 파란색은 일반적으로 안전보건표지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보통은 검정색이나 보라색 등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파란색에 대한 의미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수공구에 의한 재해 예방을 위한 일반적인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1. 사용 전에 이상 유무를 반드시 점검한다.
  2. 무리한 힘으로 공구를 취급하지 않는다.
  3. 사용 전에 충분한 사용법을 숙지하고 익히도록 한다.
  4. 공구를 사용하고 나면 찾기 쉬운 곳 아무 곳에나 놔둔다.
(정답률: 89%)
  • 공구를 사용하고 나면 찾기 쉬운 곳 아무 곳에나 놔둔다는 것은 수공구를 관리하지 않는 것이므로, 수공구를 분실하거나 다른 사람이 사용하여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유의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농업기계의 정비 시 상시적으로 정밀한 작업을 하는 장소의 작업면 조도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50럭스 이상
  2. 100럭스 이상
  3. 150럭스 이상
  4. 300럭스 이상
(정답률: 63%)
  • 농업기계의 정비 작업은 정밀한 작업이 필요하므로 작업면의 조도가 높을수록 작업 효율성과 정확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300럭스 이상의 조도가 필요합니다. 50럭스나 100럭스 이상의 조도는 작업에 필요한 충분한 밝기를 제공하지 못하며, 150럭스 이상의 조도도 작업에는 부족합니다. 따라서, 300럭스 이상의 조도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배터리의 취급 시 안전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전해액 혼합 시 플라스틱 또는 고무용기를 사용할 것
  2. 축전지 전해액의 온도가 급격히 높아지지 않도록 주의할 것
  3. 전해액이 담긴 병을 옮길 때는 보호 상자에 넣어 안전하게 운반할 것
  4. 축전지 표면에 있는 침식물이나 먼지 등을 입으로 불거나 공기호스 등을 이용하여 청소하지 말 것
(정답률: 63%)
  • "전해액 혼합 시 플라스틱 또는 고무용기를 사용할 것"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전해액이 강한 산성 또는 알칼리성을 띄고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이나 고무는 이에 저항하지 못하고 녹거나 부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해액을 혼합할 때는 유리나 세라믹 등의 내식성이 높은 용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자연발화의 방지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습도가 낮은 곳에 저장한다.
  2. 저장실의 온도 상승을 방지한다.
  3. 해당 물질의 표면적이 넓은 것을 모아 저장한다.
  4. 통풍이나 저장법을 고려하여 열 축적을 방지한다.
(정답률: 68%)
  • 해당 물질의 표면적이 넓은 것을 모아 저장한다는 것은 물질이 더 많은 표면적을 가지면서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더 많아져서 자연발화를 일으키는 확률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즉, 물질의 표면적이 넓을수록 자연발화의 위험이 높아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표면적이 넓은 것을 모아 저장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불안전한 상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작업장 환기 불량
  2. 안전장치 해체
  3. 위험한 물질의 방치
  4. 기계의 정비 불량
(정답률: 50%)
  • 안전장치 해체는 이미 존재하는 안전장치를 제거하는 것으로, 작업 환경을 더욱 불안전하게 만들어 노동자들의 안전을 위협합니다. 따라서 다른 항목들과 달리 불안전한 상태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농업용 트랙터에 부착하는 안전표지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위험을 확인하기 위하여
  2. 위험의 정도 및 취급요령을 설명하기 위하여
  3. 현존 또는 잠재적인 위험을 경고하기 위하여
  4. 위험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 주기 위하여
(정답률: 37%)
  • "위험의 정도 및 취급요령을 설명하기 위하여"는 농업용 트랙터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다른 보기들은 위험을 경고하거나 방지하는 것에 초점을 둔 반면, 이 보기는 위험 상황에서 적절한 대처 방법을 제시하여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화물을 인양하기 위해 사용되는 와이어로프 중 사용을 하여서는 아니 되는 것은?

  1. 두 개를 연결한 것
  2. 킹크가 발생하지 않은 것
  3.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5% 정도인 것
  4. 한 꼬임에서 끊어진 소선(素線)의 수가 7% 정도인 것
(정답률: 48%)
  • 두 개를 연결한 것은 와이어로프의 강도를 약화시키기 때문에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두 개를 연결하면 그 부분에서 강도가 약해져서 와이어로프가 끊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와이어로프를 인양할 때는 한 조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드릴 작업 시 일감이 드릴과 같이 회전하여 사고가 발생하기 가장 쉬운 때는?

  1. 처음 시작할 때
  2. 절삭 저항이 적을 때
  3. 구멍을 중간정도 뚫을 때
  4. 거의 구멍이 다 뚫렸을 때
(정답률: 68%)
  • 일감이 드릴과 같이 회전할 때, 절삭 저항이 적을 때는 일감이 쉽게 회전하여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구멍을 중간정도 뚫을 때는 이미 일감이 꽤 깊이 들어간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할 때 절삭 저항이 높아져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집니다. 따라서 거의 구멍이 다 뚫렸을 때, 일감이 회전할 때 가장 쉽게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사고 및 재해에 있어 가장 큰 원인이 되는 것은?

  1. 천재지변
  2. 작업자의 부주의
  3. 안전 교육의 부재
  4. 장비 및 공구의 방치
(정답률: 77%)
  • 작업자의 부주의는 작업 중 안전에 대한 경각심 부족으로 인해 사고 및 재해가 발생하는 가장 큰 원인입니다. 작업자가 안전 규정을 준수하지 않거나, 작업 중 집중력을 잃거나, 작업 도중 졸음 등으로 인해 실수를 하면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자는 항상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공구 사용 후의 정리 정돈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지정된 공구 상자에 보관한다.
  2. 작업장 재료 창고 입구에 보관한다.
  3. 통풍이 좋은 임의의 장소에 보관한다.
  4. 햇빛이 잘 드는 외부 장소에 보관한다.
(정답률: 80%)
  • 지정된 공구 상자에 보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이유는, 공구를 사용한 후에 바로 정리 정돈을 할 수 있고, 필요한 공구를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지정된 상자에 보관하면 공구가 분실되거나 다른 사람이 사용하는 일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농기계의 장기 보관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벨트나 체인은 따로 분리하여 보관한다.
  2. 도장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기름을 발라 둔다.
  3. 보관 장소는 되도록 채광이 잘 드는 곳을 택한다.
  4. 실린더 내에 기관 오일을 주유하고 피스톤을 압축 상사점에 놓는다.
(정답률: 68%)
  • "보관 장소는 되도록 채광이 잘 드는 곳을 택한다."가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농기계는 직접적인 햇빛에 노출되면 부식이나 변형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관 장소는 직접적인 햇빛이 들지 않는 그늘진 곳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보호구를 선정할 때 일반적인 주의사항으로 틀린것은?

  1. 내구성이 좋아야 한다.
  2. 신체의 노출이 많도록 한다.
  3. 해당 작업에 적합하여야 한다.
  4. 작업 중 활동에 저항을 주지 말아야 한다.
(정답률: 88%)
  • 보호구를 선택할 때 신체의 노출이 많도록 하면 안 되는 이유는 작업 중에 부상이나 화학 노출 등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호구는 신체를 최대한 덮어주는 것이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안전 교육 내용으로 적합하지 못한 것은?

  1. 안전 생활 태도에 관한 사항
  2. 재해의 발생원인 및 대처에 관한 사항
  3. 산업재해 보상과 보험금 지급에 관한 사항
  4. 안전복장 및 보호구의 착용 방법에 관한 사항
(정답률: 87%)
  • 정답은 "산업재해 보상과 보험금 지급에 관한 사항"입니다. 안전 교육은 사고 예방을 위한 교육이므로, 이미 발생한 사고에 대한 보상과 보험금 지급은 교육의 범위를 벗어나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이 항목은 안전 교육 내용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가스용접에 있어 준수하여야 하는 안전수칙으로 틀린 것은?

  1. 밸브의 개폐는 서서히 할 것
  2. 용기의 온도를 섭씨 40도 이하로 유지할 것
  3. 용해아세틸렌의 용기는 항상 안전을 위해서 뉘여서 보관할 것
  4. 작업을 중단하거나 마치고 작업장소를 떠날 경우에는 가스 등의 공급구의 밸브나 콕을 잠글 것
(정답률: 74%)
  • "용해아세틸렌의 용기는 항상 안전을 위해서 뉘여서 보관할 것"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용해아세틸렌은 불안정한 가스이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용기를 누워서 보관해야 합니다. 만약 용기가 세워져 있을 경우, 용기 안에서 액체와 가스가 분리되어 액체가 가스 밸브로 들어가서 가스 공급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해아세틸렌 용기는 항상 안전을 위해서 누워서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