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디자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5-29)

시각디자인산업기사
(2005-05-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색채학

1. 다음 중에서 봄의 색감정과 가장 관계되는 색은?

  1. 떡잎색, 레몬색
  2. 산호색, 주황색
  3. 회색, 은백색
  4. 진한 녹색, 아이스 블루
(정답률: 알수없음)
  • 봄은 새로운 생명과 자연의 활기를 상징하는 계절이므로, 봄의 색감은 주로 밝고 활기찬 색상들이 많이 사용됩니다. "떡잎색"은 신선하고 활기찬 초록색으로, 봄의 신선한 느낌을 나타내며 자연과 생명력을 상징합니다. "레몬색"은 밝고 화사한 노란색으로, 봄의 따뜻한 느낌과 태양의 빛을 상징합니다. 따라서, 봄의 색감정과 가장 관계되는 색은 "떡잎색, 레몬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왼쪽 검은 원반 중심을 40초동안 바라보다 오른쪽 검은 점으로 옮기면 무슨 현상이 일어나는가?

  1. 명도대비
  2. 부의 잔상
  3. 면적대비
  4. 정의 잔상
(정답률: 알수없음)
  • 왼쪽 검은 원반 중심을 40초동안 바라보다 오른쪽 검은 점으로 옮기면 "부의 잔상" 현상이 일어난다. 이는 명도대비와 관련된 현상으로, 검은 원반을 바라보는 동안 눈의 망막에는 검은색과 밝은색의 대비가 생기게 된다. 이 대비는 눈의 감각세포를 자극하고, 뇌에서는 이를 해석하여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하지만 검은 원반을 바라보는 동안 눈의 감각세포가 지속적으로 자극되면서, 뇌에서는 이를 보정하기 위해 검은색 대신 밝은색을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오른쪽 검은 점으로 시선을 옮기면, 뇌에서는 검은색 대신 밝은색을 인식하여 "부의 잔상"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빛을 프리즘에 통과하였을 때 나타난 스펙트럼상의 색 중 가장 긴 파장을 가지고 있는 것은?

  1. 노랑
  2. 빨강
  3. 보라
  4. 녹색
(정답률: 알수없음)
  • 빛은 프리즘을 통과하면서 산란되어 여러 색으로 분해됩니다. 이때 파장이 긴 빨간색은 다른 색보다 더욱 산란되지 않고 직진하여 스펙트럼상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게 됩니다. 따라서 가장 긴 파장을 가지는 색은 "빨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흰 종이를 한동안 보다가 회색 종이를 볼 때, 회색 종이의 느낌은?

  1. 더욱 고명도로 보인다.
  2. 더욱 고채도로 보인다.
  3. 더욱 저명도로 보인다.
  4. 더욱 저채도로 보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회색 종이는 흰 종이보다 어두운 색상이기 때문에 더욱 저명도로 보인다. 저명도란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색의 진한 정도와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가법 혼색에 의해 백색(무색광)자극을 조작할 수 있는 두가지 빛의 색은?

  1. 무채색
  2. 보색
  3. 유채색
  4. 광원색
(정답률: 알수없음)
  • 보색은 가법 혼합에 의해 백색(무색광)을 만들 수 있는 두 가지 색으로, 서로 대조되는 색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청록색은 보색 관계에 있으며, 빨간색과 청록색을 혼합하면 백색(무색광)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색순환도에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한 색상이 보색 관계에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색상환을 만들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1. 색명을 새로 만든다.
  2. 기본색은 감각적으로 등차가 있는 것으로 배치하는 것이 유용하다.
  3. 파장에 따른 색채 식별능력이 다르지 않으므로 기본색을 설정할 필요가 없다.
  4. 색상환상에서 보색관계는 고려할 필요가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색은 감각적으로 등차가 있는 것으로 배치하는 것이 유용하다. 이는 색상환에서 색상 간의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이다. 등차적으로 배치하면 색상 간의 대비가 적절하게 조절되어 시각적으로 조화로운 색상환을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은 무채색(無彩色 achromatic color)을 설명한 것들이다. 옳은 것은?

  1. 채도는 없고 색상, 명도만 있다.
  2. 색상은 없고 명도, 채도만 있다.
  3. 색상, 명도는 없고 채도만 있다.
  4. 색상, 채도는 없고 명도만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색상, 채도는 없고 명도만 있다." 이다.

    무채색은 색상이 없기 때문에 채도도 없다. 따라서 명도만 존재하게 된다. 명도는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는 요소이다. 즉, 무채색은 밝기의 차이만으로 구분되는 색이다. 예를 들어, 흑백 사진은 무채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망막을 이루는 두가지 시세포는?

  1. 간상체와 추상체
  2. 홍채와 수정체
  3. 모양체와 수정체
  4. 색세포와 시세포
(정답률: 알수없음)
  • 망막을 이루는 두 가지 시세포는 간상체와 추상체입니다. 간상체는 빛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고, 추상체는 빛을 처리하여 시각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두 가지 시세포가 함께 작용하여 우리가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은 오스트발트 표색계에 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

  1. 오스트발트 표색계의 명도측에는 0 ~ 10의 번호가 붙여져 있다.
  2. 오스트발트 표색계는 E.Hering(헤링)의 4원색설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3. 오스트발트 표색계에서 무채색 단계(Gray Scale)는 N1, N2, N3…으로 표기한다.
  4. 오스트발트 표색계는 색의 3속성(색상, 명도, 채도)에 의한 방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오스트발트 표색계는 E.Hering(헤링)의 4원색설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이다. 이유는 문장 그대로이다. E.Hering의 4원색설은 색상을 4가지로 분류하는 이론으로, 이를 기반으로 오스트발트 표색계가 만들어졌다. 다른 보기들은 오스트발트 표색계의 특징이지만, 정확하지 않거나 불완전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오스트발트 색표계에서 7ne로 표시된 색은 원색 함유량이 몇 % 인가?

  1. 50.4
  2. 40.6
  3. 29.4
  4. 16.4
(정답률: 알수없음)
  • 오스트발트 색표계에서 7ne는 노란색 계열에 속하며, 이 색은 노란색(Yellow)과 검은색(Black)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 색의 원색 함유량은 노란색의 함유량입니다.

    색상표를 보면 노란색(Yellow)의 함유량이 70%이고, 검은색(Black)의 함유량이 30%입니다. 따라서 노란색의 원색 함유량은 70%입니다.

    이에 따라 정답은 70%를 소수점으로 나타낸 0.7을 1로 두고, 검은색의 함유량인 30%를 0.3으로 두어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노란색의 함유량 = 0.7
    검은색의 함유량 = 0.3

    7ne 색의 원색 함유량 = 노란색의 함유량 = 0.7

    노란색의 함유량이 0.7일 때, 이를 백분율로 나타내면 70%가 됩니다. 따라서 7ne 색의 원색 함유량은 70%이며, 이를 소수점으로 나타내면 0.7이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답을 제시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0.7을 10으로 곱한 후 반올림하여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7ne 색의 원색 함유량 = 70% = 0.7 ≈ 0.3 × 10 = 3.0 ≈ 29.4%

    따라서 정답은 "29.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상영중인 영화관에 들어서서 좀 시간이 지나면 어두운 주위의 물체를 식별할 수 있다. 이는 눈의 어떤 순응상태를 말하는가?

  1. 명순응
  2. 암순응
  3. 색순응
  4. 무채순응
(정답률: 알수없음)
  • 암순응은 어두운 환경에서 눈이 적응하여 빛의 양이 적어도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상영중인 영화관에서 어두운 주위의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은 암순응 상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오스트발트 표색계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색상은 황(yellow), 남(ultramarine blue), 적(red), 청록(sea green)을 기본으로 하였다.
  2. 색상환은 4원색을 각각 5색상으로 세분하여 20 색상으로 하였다.
  3. 무채색은 백색량 + 흑색량 = 100 % 가 되게 하였다.
  4. 색표시는 색상기호, 백색량, 흑색량의 순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설명은 "색상환은 4원색을 각각 5색상으로 세분하여 20 색상으로 하였다." 이다. 실제로는 4원색을 각각 6색상으로 세분하여 24 색상으로 한다. 이는 각 원색마다 밝기와 채도를 다르게 조절하여 더욱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올림픽 마크의 다섯색은 5대양주를 컬러로서 상징한 것이다. 그 중 유럽을 상징하는 색은?

  1. 녹색
  2. 황색
  3. 청색
  4. 적색
(정답률: 알수없음)
  • 올림픽 마크의 다섯색은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아메리카, 오세아니아를 상징한다. 유럽을 상징하는 색은 청색이다. 이는 유럽의 대표적인 국기 중 하나인 유럽 연합 국기의 색상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문(P.Moon)과 스펜서(D.E.Spencer)의 색채 조화론에서 유사조화와 대비조화 사이에 있는 간격 범위는?

  1. 제1부조화
  2. 동등조화
  3. 제2부조화
  4. 눈부심
(정답률: 알수없음)
  • 문과 스펜서의 색채 조화론에서 유사조화와 대비조화 사이에 있는 간격 범위는 "제2부조화"이다. 이는 유사한 색상을 사용하면서도 적절한 대비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색상의 밝기나 채도를 다르게 조절하여 조화를 이룬다. 이는 너무 유사한 색상을 사용하는 유사조화와 너무 대비가 강한 대비조화 사이에서 중간 지점에 위치하며, 눈부심을 최소화하면서도 조화로운 색상 조합을 만들어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져드(D.B. Judd)가 정리한 색채조화의 원리로 옳은 것은?

  1. 질서성 - 다양성 - 균형성 - 친근성
  2. 질서성 - 유사성 - 공통성 - 명료성(비모호성)
  3. 친근성 - 전통성 - 명백성 - 균형성
  4. 조화성 - 친근성 - 개성 - 공통성
(정답률: 알수없음)
  • 색채조화의 원리는 색채를 조화롭게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도 "질서성 - 유사성 - 공통성 - 명료성(비모호성)"은 색채를 조화롭게 사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원리입니다.

    - 질서성: 색채를 일정한 순서나 패턴으로 배열하여 조화를 이룹니다.
    - 유사성: 비슷한 색채를 사용하여 조화를 이룹니다.
    - 공통성: 공통적인 색채를 사용하여 조화를 이룹니다.
    - 명료성(비모호성): 색채를 명확하고 모호하지 않게 사용하여 조화를 이룹니다.

    이러한 원리를 따르면 색채를 조화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 쾌적하고 아름다운 디자인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색채 조화를 유사한 조화와 대비의 조화로 나누고 정량적 색채 조화론을 제시한 사람은?

  1. 마티스(Matisse)
  2. 먼셀(Munsell)
  3. 헤링(Hering)
  4. 쉐브럴(Chevereul. M. E)
(정답률: 알수없음)
  • 쉐브럴은 색채 조화를 유사한 조화와 대비의 조화로 나누어 연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정량적 색채 조화론을 제시하였습니다. 이론적인 연구뿐만 아니라 실제 작품에도 적용하여 색채 조화를 연구하였으며, 이는 후대 예술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감법 혼색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색광 혼합이라고도 한다.
  2. 혼합하면 할수록 채도가 낮아진다.
  3. 혼합하면 할수록 채도가 높아진다.
  4. 혼합해도 채도와 명도가 변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감법 혼색은 두 가지 이상의 색을 섞어서 새로운 색을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색의 채도는 혼합할수록 낮아지는데, 이는 각 색의 파장이 겹쳐서 빛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혼합하면 할수록 채도가 낮아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색채 조절을 실시할 때 나타나는 효과와 비교적 관계가 먼 내용은?

  1. 눈의 긴장과 피로가 감소된다.
  2. 보다 빨리 판단할 수 있다.
  3. 색채에 대한 지식이 높아진다.
  4. 사고나 재해를 감소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른 보기들은 모두 색채 조절이 가져오는 긍정적인 효과들이지만, "색채에 대한 지식이 높아진다."는 조금 더 추상적인 내용이다. 색채 조절을 실시하면서 색채에 대한 지식이 높아지게 되는데, 이는 색채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색채를 보는 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디자인, 미술, 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TV 화면에 파란바다 풍경을 20초 정도 보여주다가 오렌지색 상품을 클로즈업시켜 강렬한 인상을 남기려는 시도는 어떤 대비현상을 이용한 것인가?

  1. 색상대비
  2. 채도대비
  3. 연변대비
  4. 계시대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계시대비"이다. 계시대비는 서로 다른 두 가지 색상이나 밝기가 대조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이용하여 TV 화면에서 파란바다 풍경과 오렌지색 상품을 대비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상품의 강렬한 인상을 더욱 강조하고자 하는 시도를 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항상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야가 좁거나 관찰시간이 짧으면 항상성이 약하다.
  2. 조명이 단색광이고 가까이 있으면 항상성이 강하다.
  3. 밝기의 항상성은 밝은 물건쪽이 약하고 어두운 물건쪽은 강하게 된다.
  4. 색의 항상성의 방향은 고유색에 멀어진다는 설과 조명색의 보색에 멀어진다는 설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야가 좁거나 관찰시간이 짧으면 항상성이 약하다는 것은, 우리가 물체를 관찰할 때 더 많은 정보를 수집할 수록 물체의 모습이 더 일관성 있게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야가 좁거나 관찰시간이 짧으면 더 적은 정보를 수집하게 되므로 물체의 모습이 불안정해지고 항상성이 약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인쇄 및 사진기법

21. 1831년 은 도금한 동판 위에 요오드 증기를 쬐면 그 때 생성된 옥화은이 좀더 빠른 감광성을 갖게 되는 은판 사진법과 가장 관련있는 사람은?

  1. 탈보트
  2. 니엡스
  3. 다게르
  4. 아처
(정답률: 알수없음)
  • 1831년에 은판 사진법을 개발한 사람은 프랑스의 루이-자크-마댕 다게르(Louis-Jacques-Mandé Daguerre)입니다. 그는 도금한 동판 위에 요오드 증기를 쬐면 생성된 옥화은이 빠른 감광성을 갖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진을 찍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후 그는 이 기술을 개선하여 다게르로토타입(Daguerreotype)이라는 이름의 사진 기술을 만들어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사진을 서로 이어 붙이거나 중복인화, 또는 중복 노출 시킴으로써 새로운 시각 효과를 구성하기 위해 제작된 작품 또는 기법은?

  1. Soft focusing
  2. Photogram
  3. Photo montage
  4. Defomation
(정답률: 70%)
  • "Photo montage"는 사진을 이어 붙이거나 중복인화, 중복 노출 등의 기법을 사용하여 새로운 시각적 효과를 만드는 기법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Soft focusing"은 부드러운 초점을 맞추는 기법, "Photogram"은 사진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물체를 직접 노출시켜 만든 사진, "Deformation"은 왜곡된 형태를 만드는 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컬러 필름의 색온도와 촬영하고자 하는 광원의 색온도가 크게 차이가 날 경우에 색온도 변환필터를 보정하여야 할 경우에 사용하는 것은?

  1. 편광 필터
  2. 색조 조정 필터
  3. 광량 감소 필터
  4. 콘트라스트 필터
(정답률: 알수없음)
  • 색조 조정 필터는 색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색상의 변화를 보정하여 색상을 보다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필터입니다. 따라서 촬영하고자 하는 광원의 색온도와 컬러 필름의 색온도가 크게 차이가 날 경우에 색조 조정 필터를 사용하여 보정할 수 있습니다. 편광 필터는 광원의 반사를 제거하거나 색상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며, 광량 감소 필터는 촬영 환경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콘트라스트 필터는 대비를 강조하여 이미지의 선명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석양을 주광용(daylight type)컬러 필름으로 촬영하였더니 붉은 색조가 많이 나왔다. 가장 큰 이유는?

  1. 석양은 색온도가 낮기 때문이다.
  2. 석양은 색온도가 높기 때문이다.
  3. 사용 년도가 지난 필름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4. 석양은 단파장이기 때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석양은 색온도가 낮기 때문이다. 색온도가 낮은 빛은 붉은 색조가 강조되는데, 석양은 해가 지면서 빛의 색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붉은 색조가 강조되어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에서 가장 정밀하게 인쇄할 수 있는 스크린(screen) 선수는?

  1. 60 ~ 65
  2. 80 ~ 110
  3. 120 ~ 140
  4. 150 ~ 300
(정답률: 알수없음)
  • 150 ~ 300 선수는 다른 선수들보다 더 높은 스크린 카운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인쇄 점을 담을 수 있습니다. 스크린 카운트가 높을수록 인쇄물의 해상도가 높아지므로, 150 ~ 300 선수는 더 정밀하고 선명한 인쇄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인화하는 방법으로 투명체, 반투명체, 불투명체 등의 물체를 인화지 위에 직접 올려놓고 인화하는 기법은?

  1. 포토그램
  2. 디포메이션
  3. 포토 몽타즈
  4. 더블 프린트
(정답률: 알수없음)
  • 포토그램은 필름 대신 물체를 직접 올려놓고 인화하는 기법으로, 물체의 형태와 밀도에 따라 인화지에 남는 이미지가 결정됩니다. 따라서 투명체, 반투명체, 불투명체 등의 물체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디포메이션은 이미지를 왜곡시켜 표현하는 기법, 포토 몽타즈는 여러 장의 사진을 합성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만드는 기법, 더블 프린트는 한 장의 필름에 두 개의 이미지를 인화하는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서피스판(surface plate)이 아닌 것은?

  1. 난백판
  2. PS판
  3. 평오목판
  4. 와이프온판
(정답률: 알수없음)
  • 서피스판은 평면도를 측정하기 위한 정밀도가 높은 판이며, 난백판과 PS판, 와이프온판은 모두 서피스판의 일종입니다. 하지만 평오목판은 평면도를 측정하기 위한 정밀도가 높지 않은 판으로, 서피스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100% 화학 펄프로 되어 있는 것으로, 평판 및 볼록판 인쇄에 주로 사용되는 용지는?

  1. 모조지
  2. 중질지, 골판지
  3. 갱지
  4. 상갱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모조지"입니다. 모조지는 100% 화학 펄프로 되어 있어 인쇄시 색감이 선명하고 깨끗하게 나타나며, 인쇄 용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평판 및 볼록판 인쇄에 주로 사용됩니다. 반면에 중질지, 골판지, 갱지, 상갱지는 재생지나 혼합지를 사용하여 제작되어 인쇄 품질이 모조지에 비해 떨어지는 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인쇄의 사형식(四形式)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볼록판인쇄
  2. 평판인쇄
  3. 석판인쇄
  4. 오목판인쇄
(정답률: 알수없음)
  • 인쇄의 사형식 분류는 볼록판인쇄, 평판인쇄, 오목판인쇄로 구분되며, 이들은 인쇄판의 형태에 따라 구분된다. 하지만 석판인쇄는 인쇄판의 형태가 아닌 인쇄 방법 중 하나로, 석판에 필사나 그림을 그려서 인쇄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석판인쇄는 인쇄의 사형식 분류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실내촬영시 빛의 부족으로 촬영이 어려울 때 대처 방안으로 가장 적절치 못한 것은?

  1. 고감도 필름을 선택한다.
  2. 플래시 등 인공광원을 사용한다.
  3. 트라이포드(tripods)를 사용한다.
  4. 조리개를 조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리개를 조이면 빛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촬영이 더욱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가장 적절치 못한 대처 방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실로 맨 속장을 다듬 절단하여 겉장을 싸는 방식으로 표지를 속장보다 조금 크게 만드는 제책 방식은?

  1. 중철
  2. 호부장
  3. 양장
  4. 무선철
(정답률: 알수없음)
  • 양장은 책의 내부에 있는 속장을 다듬어 절단하고, 그 위에 겉장을 싸는 방식으로 제책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겉장이 속장보다 조금 크게 만들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피사계 심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사진의 선명도를 높이려면 피사계 심도(Depth of field)를 깊게 하면 된다.
  2. 피사계 심도가 깊은 사진을 얻으려면 초점거리가 짧은 렌즈를 사용해야 한다.
  3. 가까운 물체를 찍으면 피사계 심도가 얕게 형성된다.
  4. 렌즈의 구경을 많이 열수록 피사계 심도는 깊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렌즈의 구경을 많이 열수록 피사계 심도는 깊어진다."가 틀린 설명이다. 실제로는 렌즈의 구경이 작을수록 피사계 심도가 깊어지고, 렌즈의 구경이 클수록 피사계 심도가 얕아진다. 이는 렌즈의 구경이 작을수록 빛이 더 넓게 들어오기 때문에 초점이 맞는 영역이 넓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필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컬러 사진용의 필름 유제층 중 가운데층은 초록광선에 민감하다.
  2. 백열등을 사용하는 실내에서는 텅스텐(Tungsten)타입의 컬러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일광용 필름은 3200 K의 색온도에 적합하게 만들어져 있다.
  4. 백열등 아래에서 일광용 필름을 사용하여 사진을 찍으면 붉으스레하게 나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일광용 필름은 3200 K의 색온도에 적합하게 만들어져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일광용 필름은 5500 K의 색온도에 적합하게 만들어져 있다. 3200 K의 색온도에 적합한 필름은 텅스텐(Tungsten)타입의 필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잉크에서 비히클(vehicle)의 주된 역할은?

  1. 잉크의 건조를 촉진시킨다.
  2. 안료입자의 비산효과를 증대시킨다.
  3. 색료를 응집시키고 피인쇄체에 전이시 색상을 뚜렷하게 하고 유화제나 분산제로 작용한다.
  4. 색료를 분산시키고 피인쇄체에 전이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잉크에서 비히클(vehicle)의 주된 역할은 "색료를 분산시키고 피인쇄체에 전이시킨다." 이다. 이는 색상을 뚜렷하게 하고 유화제나 분산제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잉크의 건조를 촉진시키거나 안료입자의 비산효과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판면의 화선부가 오목하게 패여 있는 부분에 잉크가 채워져 피인쇄체로 옮겨짐으로써 인쇄물의 색채가 매우 풍부하며 사진 인쇄에 적합한 인쇄 방식은?

  1. 콜로타이프 인쇄
  2. 스크린 인쇄
  3. 그라비어 인쇄
  4. 플렉소 인쇄
(정답률: 알수없음)
  • 그라비어 인쇄는 판면의 화선부가 오목하게 패여 있는 부분에 잉크를 채워 피인쇄체로 옮겨짐으로써 인쇄물의 색채가 매우 풍부하며 사진 인쇄에 적합한 인쇄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 방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셔터 속도 1/125초, 조리개 F/11과 같은 노출을 하려면 1/60초의 F번호는? (단, 다른 조건은 동일)

  1. F/5.6
  2. F/8
  3. F/11
  4. F/16
(정답률: 알수없음)
  • 셔터 속도와 조리개 값이 동일한 상황에서 노출을 유지하려면 조리개 값이 작아지면 셔터 속도를 늘려야 하고, 조리개 값이 커지면 셔터 속도를 줄여야 합니다.

    따라서, F/11에서 1/125초의 노출을 유지하려면 F/16에서 1/60초의 노출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는 F값이 1단계 작아질 때마다 노출 시간이 2배씩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즉, F/11에서 F값을 1단계 작게 하면 F/16이 되고, 이때 노출 시간은 1/125초에서 1/250초로 2배씩 늘어나므로 1/60초에서 1/125초로 2배씩 줄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F/1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윤전인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일반적으로 선 접촉 인쇄를 한다.
  2. 오목판 인쇄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3. 큰 판면에는 부적당한 인쇄이다.
  4. 판 전체에 같은 순간에 인압을 받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일반적으로 선 접촉 인쇄를 한다."

    설명: 윤전인쇄는 인쇄판의 선을 이용하여 인쇄하는 방식으로, 선이 높이가 있어야 인쇄가 가능하다. 따라서 오목판 인쇄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큰 판면에는 부적당한 인쇄이다. 또한, 판 전체에 같은 순간에 인압을 받는 선 접촉 인쇄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선 접촉 인쇄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사진에서 콘트라스트를 조절하는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현상 시간
  2. 인화지 호수
  3. 필름의 감도
  4. 중간 정지액의 종류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진에서 콘트라스트를 조절하는 방법은 주로 조명과 촬영 환경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인화지 호수는 인화지의 종류를 나타내며, 필름의 감도는 필름의 민감도를 나타냅니다. 하지만 중간 정지액의 종류는 촬영 시간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다른 보기들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광화학적인 방법으로 제판하는 방식이 아닌 것은?

  1. 선화판
  2. 연판
  3. 망점판
  4. 콜로타이프
(정답률: 알수없음)
  • 연판은 광화학적인 방법으로 제판하는 방식이 아니라, 인쇄용 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하여 만든 판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판은 보기 중에서 광화학적인 방법으로 제판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정착액 조성 중 경막효과가 가장 강한 약품은?

  1. 칼륨명반
  2. 수산화칼슘
  3. 수산화나트륨
  4. 탄산나트륨
(정답률: 알수없음)
  • 칼륨명반은 정착액 조성 중 가장 강한 경막효과를 가진 약품입니다. 이는 칼륨이 혈액-뇌장벽을 통과하기 어렵기 때문에 뇌액 내 칼륨 농도가 높아지면 뇌세포가 부어서 경막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칼륨명반은 뇌졸중, 뇌부종 등의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시각디자인론

41.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유한 전통유산과 현대 디자인의 이념이 잘 융합되어 특유의 디자인을 성취하였다.
  2. 기하학적인 바우하우스 기능주의 디자인을 기본 존재가치로 생각하였다.
  3. 역사, 풍토, 종족의 유사성 때문에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결속되어 있어 디자인 또한 하나의 특질로 보여지고있다.
  4. 보다 이름다운 일상생활 제품은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의 기본 철학이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하학적인 바우하우스 기능주의 디자인을 기본 존재가치로 생각하였다."가 틀린 것입니다.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은 기하학적인 바우하우스 기능주의 디자인보다는 실용성과 간결함을 중시하는 디자인으로 유명합니다. 디자인의 기본 존재가치로는 형태보다는 기능성이 우선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1919년에 개교하여 교육운동, 조형운동, 공방운동 등 다양한 면을 보였지만 1933년에 나치에 의해 폐쇄된 디자인 학교는?

  1. 바우하우스
  2. 울름조형대학
  3. 도무스
  4. 아트센터
(정답률: 알수없음)
  • 바우하우스는 1919년에 개교하여 혁신적인 디자인 교육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세계적인 디자인 운동을 이끌어냈습니다. 그러나 나치의 권력에 의해 1933년에 폐쇄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독일공작연맹(DWB)의 올바른 설명은?

  1. 빅토르 오르타 (BaronVictor Hortar)가 중심 인물이다.
  2. 나치정권에 대항하는 예술가들의 단체이다.
  3. 존 러스킨 (John Ruskin)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친 단체이다.
  4. 헤르만 무테지우스 (Hermann Muthesius)를 중심으로 한 디자인 진흥단체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독일공작연맹(DWB)은 헤르만 무테지우스(Hermann Muthesius)를 중심으로 한 디자인 진흥단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기업이 소비자와 사회에 대해 일관된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종합적 표현 정책은?

  1. Symbol Mark
  2. Charactor
  3. Publicity
  4. Design Policy
(정답률: 알수없음)
  • 기업의 디자인 정책은 기업의 모든 시각적인 표현을 일관되게 유지하고, 소비자와 사회에 대한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종합적인 방안을 제시합니다. 따라서 "Design Policy"가 정답입니다. "Symbol Mark"는 로고나 상징적인 마크를 의미하며, "Charactor"는 캐릭터를 의미합니다. "Publicity"는 홍보나 광고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대상을 지각할 때 일정불변하게 지각되지 않고 심리상태, 과거의 기억, 관심, 주의, 흥미 등이 복합된 활동에 좌우된다는 형태 지각의 심리 이론은?

  1. 워트 하이머의 그루핑
  2. 게슈탈트 이론
  3. 루빈의 이론
  4. 뮬러.라이어 이론
(정답률: 알수없음)
  • 게슈탈트 이론은 대상을 지각할 때 일정불변하게 지각되지 않고, 심리상태, 과거의 기억, 관심, 주의, 흥미 등이 복합된 활동에 좌우된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은 대상을 전체적으로 보는 것이 중요하며, 그룹핑, 유사성, 연속성 등의 원리를 통해 대상을 인식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따라서, "게슈탈트 이론"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형태에 대한 분류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순수형태
  2. 자연형태
  3. 인위형태
  4. 모방형태
(정답률: 알수없음)
  • "모방형태"는 형태에 대한 분류로 적합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모방형태는 원래 존재하는 형태를 모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순수형태, 자연형태, 인위형태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따라서, "모방형태"는 형태에 대한 분류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미국의 대학 중 New Bauhaus라고 할 정도로 Bauhaus의 이념을 실천하여 교육시켰던 대학은?

  1. Chicago Institute of Design
  2. Yale 대학
  3. Harvard 대학
  4. Black Mountain College
(정답률: 알수없음)
  • "New Bauhaus"는 Bauhaus의 이념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며 교육하는 대학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이에 따라 Chicago Institute of Design는 Bauhaus의 이념을 실천하며 교육을 시켰기 때문에 정답이다. Yale 대학, Harvard 대학, Black Mountain College는 모두 예술 교육을 제공하는 대학이지만, 특히 Bauhaus의 이념을 따르는 대학으로는 알려져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판화 인쇄에서 기계인쇄로 전환되는 시기는?

  1. 아르누보
  2. 미술공예운동
  3. 바우하우스
  4. 산업혁명
(정답률: 알수없음)
  • 기계인쇄로 전환되는 시기는 산업혁명 시기였습니다. 그 중에서도 바우하우스는 기계인쇄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예술과 디자인 분야에서 혁신적인 작품을 만들어내면서, 기계인쇄의 발전과 함께 미술과 디자인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어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컴퍼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가장 용이하게 그릴 수 있는 것은?

  1. 세 변의 길이가 주어진 삼각형
  2. 각의 2등분
  3. 각의 이동
  4. 해칭선
(정답률: 알수없음)
  • 해칭선은 컴퍼스 없이도 가장 쉽게 그릴 수 있는 것입니다. 이유는 해칭선은 주어진 선분의 한쪽 끝점에서 시작하여 다른 쪽 끝점까지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한 후에 그 위치에서 다시 시작점으로 돌아와서 선분을 가로지르는 선을 그리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에서 컴퍼스 없이도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쉽게 그릴 수 있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제품의 분류 중 소비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편의품
  2. 선매품
  3. 설비품
  4. 전문품
(정답률: 알수없음)
  • 소비재는 소비자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며 소모되는 제품을 말하는데, "편의품", "선매품", "전문품"은 모두 소비재에 해당된다. 하지만 "설비품"은 생산설비나 건물 등과 같이 장기간 사용되는 비소모성 제품으로, 소비재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공업화에 의한 조잡한 물건과 그 디자인에 대한 반발로 '아트 앤드 크라프트 운동' 을 주도하였던 사람은?

  1. 존 러스킨
  2. 윌리엄 모리스
  3. 바실리 칸딘스키
  4. 월터 그로피우스
(정답률: 알수없음)
  • 윌리엄 모리스는 공업화에 의한 조잡한 물건과 그 디자인에 반발하여 아트 앤드 크라프트 운동을 주도한 인물로, 수공예와 예술적 디자인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공업화 시대의 문제점을 지적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인간이 발견한 가장 아름다운 분할이라는 황금분할(La Section d'Or)을 바르게 제시한 것은?

  1. 1 : 1.618
  2. 1 : 1
  3. 1 : 1.414
  4. 1 : 1.5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 : 1.618"입니다. 이유는 황금비율이란 것이 자연에서 발견되는 비율로, 가장 아름다운 비율이라고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이 비율은 전체와 부분의 비율이 같은 것으로, 전체를 A, 부분을 B라고 할 때 A:B = (A+B):A 입니다. 이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A:B = B:(A-B)가 되는데, 이 식을 이용하여 계속해서 나누어 가면 1 : 1.618의 비율이 나오게 됩니다. 이러한 황금비율은 예술, 건축, 디자인 등에서 자주 사용되며, 인간이 발견한 가장 아름다운 분할이라고 여겨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물체의 형태, 위치, 크기 등을 표현하기 위해 일정한 법칙에 따라 평면상에 정확히 입체감 및 공간감있게 그려내기 위한 방법은?

  1. 평면도법
  2. 입체도법
  3. 포물선도법
  4. 투상도법
(정답률: 알수없음)
  • 투상도법은 물체를 평면에 투영하여 입체감과 공간감을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물체의 실제 크기와 거리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어 공학, 건축, 미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축측투상도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물체가 3차원 공간에서 회전하거나 기울어지면, 물체의 한 면 또는 더 많은 면이 나타나며 실제보다 크게 보이는 원근감이 나타난다.
  2. 축측투상도는 대체적으로 다중 시점이라고 불린다.
  3. 축측투상도는 한 물체에 세 개의 정투상도(깊이, 높이, 폭)를 단일시점에서 나타내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4. 축측투상도의 각 시점은 2차원적 평면만을 보여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축측투상도는 한 물체에 세 개의 정투상도(깊이, 높이, 폭)를 단일시점에서 나타내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는 물체가 3차원 공간에서 회전하거나 기울어질 때, 물체의 한 면 또는 더 많은 면이 나타나며 실제보다 크게 보이는 원근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축측투상도는 대체적으로 다중 시점이라고 불리지만, 각 시점은 2차원적 평면만을 보여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그림은 시지각 원리 중 어디에 속하는가?

  1. 착시성
  2. 대비성
  3. 폐쇄성
  4. 접근성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폐쇄성 시지각 원리에 속합니다. 폐쇄성 시지각 원리는 불완전한 도형이나 패턴을 완성된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말합니다. 이 그림에서는 불완전한 원이 완전한 원으로 인식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투상도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각 투사선이 한 점으로 발산하는 것은 투시투상이다.
  2. 각 투사선이 서로 평행하고 또 평면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것은 정투상이다.
  3. 사투상의 경사각은 일반적으로 20도 , 50도 , 70도를 사용한다.
  4. 화면에 대하여 경사된 평행광선으로 그리는 것은 사투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투상의 경사각은 일반적으로 20도 , 50도 , 70도를 사용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디자인의 사회적 기능에 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인간이 생활하는 목적에 따라 실용적이고 아름다운 조형을 계획한다.
  2. 인간이 사용하는 도구를 변화시키고 삶의 방법을 향상시킨다.
  3. 인간의 필요에 맞는 사물과 환경을 만들고 행복을 증진시킨다.
  4. 인간의 부를 증진시키고 경제적 활동을 돕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간의 부를 증진시키고 경제적 활동을 돕는다."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이유는 디자인의 사회적 기능 중에서 경제적인 측면은 중요하지만, 디자인의 주요 목적은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디자인은 인간의 필요에 맞는 사물과 환경을 만들고, 행복을 증진시키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아르누보(Art Nouveau)의 양식적 특징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1. 유동적
  2. 기하학적
  3. 남성적
  4. 대칭적
(정답률: 알수없음)
  • 아르누보 양식은 대칭적인 형태와 패턴을 중요하게 다루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고전적인 양식과 달리 자연의 유기적인 형태를 따르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대칭성이 강조되었습니다. 따라서 "대칭적"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디자인이라 할 수 있는 것은?

  1. 눈의 결정
  2. 나뭇잎의 구조
  3. 조개류의 와선형태
  4. 비행기의 유선형
(정답률: 알수없음)
  • 디자인은 인간이 의도적으로 만든 형태이며, 비행기의 유선형은 인간이 의도적으로 디자인한 것입니다. 비행기의 유선형은 공기저항을 최소화하고 비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디자인된 것으로, 디자인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일반적으로 지도의 산이나 계곡의 표현에 많이 사용되는 투상은?

  1. 직사투상
  2. 정투상
  3. 등각투상
  4. 표고투상
(정답률: 알수없음)
  • 표고투상은 지형의 높낮이를 등고선으로 나타내는 데에 많이 사용되는 투상으로, 지형의 높이를 수직 방향으로 표현하여 높이 차이를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따라서 산이나 계곡 등의 지형을 표현하는 데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시각디자인실무 이론

61. 독자들의 편리를 위하여 고려해야 할 편집 디자인의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1. 글자를 읽기 쉽도록 가독성 배려
  2. 내용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는 레이아웃
  3. 개성있고 다양한 서체의 폭넓은 사용
  4. 내용의 이해를 돕는 그림과 사진의 표현
(정답률: 알수없음)
  • "개성있고 다양한 서체의 폭넓은 사용"은 독자들의 편리를 고려하는 편집 디자인의 내용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독자들이 익숙한 서체가 아닌 다양한 서체를 사용하면서 읽기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편집 디자인에서는 가독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서체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광고에 있어서 레이아웃의 조건이 아닌 것은?

  1. 가독성
  2. 심화성
  3. 주목성
  4. 통일성
(정답률: 알수없음)
  • 심화성은 광고의 레이아웃 조건이 아닌 것입니다. 심화성은 광고의 내용이나 메시지에 대한 깊이나 복잡도를 나타내는 요소이며, 광고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레이아웃 조건은 광고의 디자인과 구성에 관한 것으로, 가독성, 주목성, 통일성과 같은 요소들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편집 디자인의 요소 중 효과적인 레이아웃이나 가독성에 크게 관계가 있는 것은?

  1. 타이포그래피
  2. 포토그래피
  3. 인쇄 및 레이아웃
  4. 일러스트레이션
(정답률: 알수없음)
  • 타이포그래피는 글자의 크기, 색상, 폰트, 간격 등을 조절하여 텍스트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 요소입니다. 따라서 효과적인 레이아웃과 가독성을 위해서는 적절한 타이포그래피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산(酸)을 이용하여 부식시켜 금속에 질감을 만들어 내는 과정을 가리키는 말로서 매우 단순하면서 응용의 폭이 넓은 일러스트레이션 기법은?

  1. 에칭(Etching)
  2. 메조틴트(Mezzotint)
  3. 드라이포인트(Drypoint)
  4. 아쿠아틴트(Aquatint)
(정답률: 알수없음)
  • 에칭은 산을 이용하여 금속을 부식시켜 질감을 만들어내는 기법으로, 매우 단순하면서도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산에 의해 부식된 부분은 인쇄 시 잉크가 잘 머무르게 되어 그림자와 광택을 표현할 수 있으며, 부식되지 않은 부분은 잉크가 묻지 않아 밝은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에칭은 인쇄물 제작에 매우 유용한 기법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커뮤니케이션의 기호에는 언어적 심볼과 비언어적 심볼이 있다. 언어적 심볼인 것은?

  1. 사진
  2. 마크
  3. 도표
  4. 문자
(정답률: 알수없음)
  • 언어적 심볼은 언어를 통해 의사소통을 하는 데 사용되는 심볼로, 문자는 언어적 심볼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문자는 알파벳, 한글 등의 글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언어를 표현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요소입니다. 따라서, "문자"가 언어적 심볼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소비자 유형 중 신소비자 집단의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특정 상품에 대한 브랜드 기호도가 매우 강하여 반복적으로 구매한다.
  2. 합리적인 구매동기나 소구에 민감하다.
  3. 상품의 경제적인 가격을 비교, 판단하여 구매한다.
  4. 심리적으로 아직 안정되지 못한 젊은 층으로, 뚜렷한 구매패턴을 형성하지 못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심리적으로 아직 안정되지 못한 젊은 층으로, 뚜렷한 구매패턴을 형성하지 못한다."입니다. 이유는 신소비자 집단은 경험이 부족하고 소비에 대한 경험이 적어서 구매 패턴이 뚜렷하지 않으며, 브랜드 기호도에 강하게 영향을 받아 반복적으로 구매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합리적인 구매동기나 소구에 민감하며, 상품의 경제적인 가격을 비교하여 판단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소비자 운동"을 나타낸 말은?

  1. Futurism
  2. Expressionism
  3. Consumerism
  4. Environmentalism
(정답률: 알수없음)
  • "Consumerism"은 소비자들이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권리와 이해를 강조하며, 소비자들이 소비하는 것이 시장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하는 운동입니다. 따라서 "Consumerism"은 소비자들이 자신들의 권리와 영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운동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모든 독자, 고객,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는 광고 조사에서 비용과 시간을 줄이기 위해 행하는 대부분의 광고 조사는 어떤 대상에 의존하는가?

  1. 추정치
  2. 표본
  3. 모집단
  4. 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광고 조사에서는 모든 대상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것이 비용과 시간적으로 효율적이지 않기 때문에 일부 대상을 대표하는 작은 집단인 표본을 선택하여 조사합니다. 이를 통해 전체 대상인 모집단에 대한 추정치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광고 조사에서는 표본에 의존하여 조사를 진행하며, 이를 통해 오차를 최소화하고 정확한 추정치를 얻으려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C.I(Corporate Identity)에서 기본요소(Basic system)로만 구성된 것은?

  1. 마크 - 로고 - 싸인 - 광고
  2. 전용색 - 캐릭터 - 타잎훼이스 - 마크
  3. 유니폼 - 차량 - 디스플레이 - 서식
  4. 포장 - 건물 - 로고 - 광고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요소(Basic system)는 기업의 식별성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들로, 전용색, 캐릭터, 타잎훼이스, 마크로 구성됩니다. 이 중에서 마크는 로고, 싸인, 광고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메이커 POP, 대량 판매점 POP, 소매점 POP 등은 어느 분류에 속하는가?

  1. 설치 장소별 분류
  2. 목적 기능별 분류
  3. 메이커별 분류
  4. 제작자별 분류
(정답률: 알수없음)
  • 메이커 POP, 대량 판매점 POP, 소매점 POP 등은 모두 제작자가 다른 POP이므로 "제작자별 분류"에 속합니다. 이 분류는 POP의 제작자나 브랜드에 따라 구분하는 방식으로, 제작자나 브랜드의 이미지를 강화하거나 제품의 특징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소비자를 집단별로 구분하는 시장 세분화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 중 인구학적 특성별 세분화는 어떤 집단별을 말하는가?

  1. 지역, 도시크기, 인구밀도, 기후별
  2. 개성, 라이프 스타일, 가치관
  3. 문화, 종교, 종속, 사회계층, 가족생활
  4. 연령, 성별, 수입별, 직업별, 교육수준별
(정답률: 알수없음)
  • 인구학적 특성별 세분화는 연령, 성별, 수입별, 직업별, 교육수준별을 말한다. 이는 개인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소비 패턴이나 구매력 등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시장을 세분화하여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지역, 도시크기, 인구밀도, 기후별은 지리적 특성, 개성, 라이프 스타일, 가치관은 심리적 특성, 문화, 종교, 종속, 사회계층, 가족생활은 사회적 특성에 따른 세분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광고비와는 상관없이 잡지광고의 열독률을 높이려면 다음 중 어느 면에 게재하면 그 효과가 가장 좋은가?

  1. 표지 4면 광고
  2. 표지 3면 광고
  3. 표지 2면 광고
  4. 내지 1페이지 광고
(정답률: 알수없음)
  • 잡지의 표지는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곳이며, 표지 4면 광고는 잡지를 펼쳤을 때 가장 먼저 보이는 광고이기 때문에 열독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표지 4면 광고는 다른 광고와 구분되기 쉽고, 눈에 띄기 때문에 기억에 남을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숨은 그림 찾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는 시각 커뮤니케이션물을 제작하였다면, 이는 게스탈트의 요인 중 어떤 것에 해당되는가?

  1. 연속의 요인
  2. 유사성의 요인
  3. 공동운명의 요인
  4. 근접성의 요인
(정답률: 알수없음)
  • 이는 "연속의 요인"에 해당한다. 이유는 숨은 그림 찾기와 같은 구조는 여러 개의 요소가 연속적으로 나열되어 있어서, 이를 하나의 완전한 그림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이들 요소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시각 커뮤니케이션물은 연속성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신제품 개발의 중요성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제품의 차별화 전략
  2. 제품의 실질적 개선
  3. 제품의 수명주기 및 이익주기에 대한 대응
  4. 경쟁제품에 대한 모방
(정답률: 알수없음)
  • 경쟁제품에 대한 모방은 신제품 개발의 중요성과 맞지 않는다. 왜냐하면 경쟁제품을 모방하면 차별화된 제품을 출시하지 못하고, 시장에서 경쟁력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제품 개발은 경쟁제품과 차별화된 제품을 출시하여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성장할 수 있는 중요한 전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교통 광고를 분류하는 기준이 아닌 것은?

  1. 크기나 모양 등의 형태별 분류
  2. 차내, 차외 등의 위치별 분류
  3. 교통수단의 움직임별 분류
  4. 광고 노출시간에 따라 시간별 분류
(정답률: 알수없음)
  • "광고 노출시간에 따라 시간별 분류"는 광고의 특성과 관련이 있으며, 광고가 언제 노출되는지에 따라서 분류하는 것이다. 반면에 "크기나 모양 등의 형태별 분류", "차내, 차외 등의 위치별 분류", "교통수단의 움직임별 분류"는 광고의 특성과는 무관하게 광고가 노출되는 위치나 형태, 교통수단의 특성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어느 제약회사에서 감기가 유행하고 있는 시점에서 신제품인 감기약을 출시하기 위해 광고를 하려고 한다. 신제품이므로 다소의 구체적인 설명도 필요하다면 다음 중 어떤 광고매체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까?

  1. TV 광고
  2. Radio 광고
  3. 신문광고
  4. 잡지광고
(정답률: 알수없음)
  • 신문광고가 가장 효과적일 것이다. 감기가 유행하고 있는 시점에서 사람들은 뉴스나 신문 등에서 감기 관련 정보를 많이 찾게 되기 때문에, 신문 광고를 통해 새로운 감기약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신문은 일회성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보관되기 때문에, 광고 효과가 더 오래 지속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도로 위의 각종 표지들을 운전자의 시각에서 바르게 보이도록 실제 도로면 위에서는 왜곡된 상으로 표현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아나모르포시스 (anamorphosis)
  2. 시뮬레이션 (simulation)
  3. 모듈 (module)
  4. 프로포션 (proportion)
(정답률: 50%)
  • 아나모르포시스는 실제 도로면에서는 왜곡된 상으로 표현되는 도로 위의 각종 표지들을 운전자의 시각에서 바르게 보이도록 만드는 기술이다. 이는 특정한 기하학적 형태를 가진 도형을 일정한 비율로 왜곡하여 그림자나 거울 등을 이용해 원래의 형태를 복원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따라서 "아나모르포시스"가 정답이다. 시뮬레이션은 모의실험을 통해 현상을 재현하는 것을 의미하며, 모듈은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부품을 의미한다. 프로포션은 크기나 비율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신제품 아이디어 창출 기법 중, '서로 다르고 관련이 없어 보이는 요소를 결합시킨다'는 의미로서 구체적인 문제로 유도하여 관련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기법은?

  1. 시네틱스법
  2. 브레인스토밍법
  3. 결점 열거법
  4. 희구점 열거법
(정답률: 알수없음)
  • 시네틱스법은 서로 다른 분야나 개념을 결합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기법이다. 이는 다양한 시각과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관점에서 해결책을 찾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서로 다르고 관련이 없어 보이는 요소를 결합시킨다"는 의미로서 구체적인 문제로 유도하여 관련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기법으로서 시네틱스법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일러스트레이션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넓은 의미로는 회화, 사진을 비롯 도형, 도표 이외의 시각화된 것을 가리킨다.
  2. 좁은 의미로는 핸드 드로잉에 의한 그림만을 뜻한다.
  3. 오늘날에는 순수회화에 가까운 그래픽 디자인의 요소로서 장르를 형성해 가고 있다.
  4. 오늘날에는 분명한 컨셉을 가진 커뮤니케이션 아트로서 장르를 형성해 가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오늘날에는 순수회화에 가까운 그래픽 디자인의 요소로서 장르를 형성해 가고 있다. - 잘못된 설명입니다. 일러스트레이션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그 자체로 독립적인 예술 장르로서 존재하며, 그래픽 디자인에서도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우리나라의 경우, 오전 8시 15분에 방영된 TV 광고가 있었다면 이는 TV 광고 시급 구분상 어디에 해당하는가?

  1. SA Time
  2. A Time
  3. B Time
  4. C Time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의 TV 광고 시간 구분은 "SA Time" (17:00-19:00), "A Time" (19:00-22:00), "B Time" (22:00-24:00), "C Time" (24:00-01:00)으로 나뉩니다. 따라서, 오전 8시 15분에 방영된 TV 광고는 "B Time"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