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디자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4-28)

시각디자인산업기사
(2018-04-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색채학

1. 다음 중 푸르킨예 현상은?

  1. 어떤 조명 아래에서 물체색을 오랫동안 보면 그 색의 감각이 약해지는 현상
  2. 수면에 뜬 기름이나, 전복껍질에서 나타나는 색의 현상
  3. 어두워질 때 단파장의 색이 잘 보이는 현상
  4. 노랑, 빨강, 초록 등 유채색을 느끼는 세포의 지각 현상
(정답률: 69%)
  • 푸르킨예 현상은 "어두워질 때 단파장의 색이 잘 보이는 현상"입니다. 이는 빛의 파장에 따라 눈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원리에 기반합니다. 어두운 환경에서는 눈이 더 많은 빛을 받기 위해 민감도가 높아지는데, 이 때 단파장의 색(파란색, 보라색 등)이 더욱 뚜렷하게 보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색채를 표시하는 방법 중 인간의 색 지각을 기초로 지각적 등보성에 근거한 것은?

  1. 현색계
  2. 혼색계
  3. 혼합계
  4. 표준계
(정답률: 70%)
  • 현색계는 인간의 색 지각을 기초로 하여 색채를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인간이 빛의 파장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기반으로 하며, 빨강, 초록, 파랑의 3가지 원색을 기본으로 하여 다양한 색을 표현합니다. 따라서 현색계는 인간의 실제 색 지각과 가장 일치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색채 표시 방법 중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현색계(color appearance system)와 관계없는 것은?

  1. 오스트발트 표색계
  2. CIE 표색계
  3. Munsell 표색계
  4. NCS 표색계
(정답률: 70%)
  • 정답은 "CIE 표색계"입니다.

    현색계는 색의 인지적 특성을 기반으로 색을 분류하는 시스템입니다. 오스트발트 표색계, Munsell 표색계, NCS 표색계는 모두 현색계의 일종입니다.

    반면에 CIE 표색계는 색의 물리적 특성을 기반으로 색을 분류하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현색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CIE 표색계는 광원의 스펙트럼과 인간의 시각적 반응을 모델링하여 색을 표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태양빛을 프리즘으로 분광했을 때 스펙트럼 상에 존재하지 않는 색은?

  1. 노랑
  2. 파랑
  3. 초록
  4. 회색
(정답률: 96%)
  • 스펙트럼 상에 존재하는 색은 주로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 등이며 이는 태양빛이 가지는 파장에 따라 나뉘어진 것입니다. 하지만 회색은 어떤 색도 혼합되지 않은 중립적인 색으로, 스펙트럼 상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회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색상, 명도, 채도 순으로 표시하는 색명은?

  1. 오스트발트 색체계
  2. 관용색명
  3. 고유색명
  4. 먼셀색체계
(정답률: 81%)
  • 색상, 명도, 채도 순으로 표시하는 색명은 먼셀색체계이다. 이는 색상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색상 체계로, 색상을 100가지, 명도를 10단계, 채도를 14단계로 구분하여 표현한다. 이에 비해 오스트발트 색체계는 색상을 40가지, 명도를 8단계, 채도를 4단계로 구분하여 표현하며, 관용색명과 고유색명은 개인이나 지역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는 색상명이므로 정확한 색상 표현에는 부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1bit 이미지는 흑, 백으로 이루어진 이미지이다.
  2. 1byte는 8bit이다.
  3. 16bit 이상의 색채 이미지를 Full color 이미지라고 한다.
  4. GIF 이미지 형식은 256단계의 색으로 구성된다.
(정답률: 64%)
  • 정답은 "16bit 이상의 색채 이미지를 Full color 이미지라고 한다." 이다. 이유는 Full color 이미지는 RGB 색상 모델을 사용하여 색상을 표현하는데, 이 모델에서 16bit 이상의 색상 깊이를 가진 이미지는 더욱 정교한 색상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16bit 이상의 색상 깊이를 가진 이미지를 High color 또는 True color 이미지라고 부르며, Full color 이미지와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설명 중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것은?

  1. 등색상 3각형의 등흑, 등백 계열의 색들은 서로 조화된다.
  2. 어떤 순색과 백색 및 흑색은 조화된다.
  3. 무채색은 특정색과 조화되므로 유채색과 함께 하면 조화된다.
  4. 저채도의 약한 색은 면적을 넓게 고채도의 강한 색은 면적을 좁게 하면 조화된다.
(정답률: 51%)
  • "저채도의 약한 색은 면적을 넓게 고채도의 강한 색은 면적을 좁게 하면 조화된다."는 다른 설명과 조화되지 않는다. 다른 설명들은 색상 자체의 조화에 대한 내용이지만 이 설명은 색상의 면적과 강도에 따른 조화에 대한 내용이기 때문이다.

    "무채색은 특정색과 조화되므로 유채색과 함께 하면 조화된다."는 무채색이 유채색과 함께 사용될 때 특정색과 조화되므로 조화된다는 내용이다. 무채색은 색상 자체가 없기 때문에 다른 색상과 함께 사용될 때 그 색상과 어울리기 쉽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색팽이에 2가지 색을 칠하면 빨리 회전시켰을 때 나타나는 현상과 관계없는 것은?

  1. 회전혼합
  2. 감산혼합
  3. 중간혼합
  4. 계시혼합
(정답률: 59%)
  • 정답은 "감산혼합"입니다.

    색팽이에 2가지 색을 칠하면 빨리 회전시켰을 때 나타나는 현상을 "색팽이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 현상은 색의 혼합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보입니다.

    - 회전혼합: 두 색이 섞여서 회전하는 동안 새로운 색이 만들어지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파란색을 칠한 색팽이를 빨리 회전시키면 보라색이 보입니다.
    - 감산혼합: 두 색이 겹쳐져서 회전하는 동안 색이 어두워지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파란색을 칠한 색팽이를 빨리 회전시키면 보라색이 아니라 어두운 회색이 보입니다.
    - 중간혼합: 두 색이 섞여서 회전하는 동안 중간 색이 만들어지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노란색을 칠한 색팽이를 빨리 회전시키면 주황색이 보입니다.
    - 계시혼합: 두 색이 겹쳐져서 회전하는 동안 색이 선명해지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초록색을 칠한 색팽이를 빨리 회전시키면 노란색이 보입니다.

    따라서, "감산혼합"은 두 색이 겹쳐져서 어두워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색팽이 현상과 관계없이 색의 혼합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백색 광원으로부터 빛 Yellow 필터를 투과한 후 다시 Magenta 필터를 투과했을 때 최종적으로 보여지는 광원의 색은?

  1. White
  2. Yellow
  3. Green
  4. Red
(정답률: 64%)
  • Yellow 필터는 파란색을 흡수하고 빨간색과 초록색을 투과시킵니다. 따라서 백색 광원에서 Yellow 필터를 통과한 빛은 빨간색과 초록색으로 이루어진 빛입니다. Magenta 필터는 파란색과 초록색을 흡수하고 빨간색을 투과시킵니다. Yellow 필터를 통과한 빛에 초록색 성분은 이미 걸러졌기 때문에 Magenta 필터를 통과한 빛은 빨간색 성분만 남게 됩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보여지는 광원의 색은 "Re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분리배색효과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색상과 톤이 유사한 배색일 경우 세퍼레이션 컬러를 선택하여 명쾌한 느낌을 줄 수 있다.
  2. 스테인드글라스는 세퍼레이션 배색으로 무채색을 이용한 금속색을 적용한 대표적인 예이다.
  3. 색상과 톤의 차이가 큰 콘트라스트 배색인 빨강과 청록사이에 검은색을 넣어 온화한 이미지를 연출한다.
  4. 슈브럴(M. E. Chevreul)의 조화이론을 기본으로 한 배색방법이다.
(정답률: 60%)
  • "색상과 톤의 차이가 큰 콘트라스트 배색인 빨강과 청록사이에 검은색을 넣어 온화한 이미지를 연출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분리배색효과는 색상과 톤이 유사한 배색일 경우 세퍼레이션 컬러를 선택하여 명쾌한 느낌을 줄 수 있으며, 슈브럴(M. E. Chevreul)의 조화이론을 기본으로 한 배색방법입니다. 스테인드글라스는 세퍼레이션 배색으로 무채색을 이용한 금속색을 적용한 대표적인 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무채색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채도와 명도만 있는 색이다.
  2. 백색, 회색, 청색을 말한다.
  3. 색상과 명도만 있는 색이다.
  4. 채도가 없다.
(정답률: 77%)
  • 무채색은 채도가 없는 색으로, 색상은 없고 명도만 있는 색입니다. 따라서 "채도가 없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사람이 어두운 색 옷을 입으면 얼굴이 희게 보이고, 밝은 색 옷을 입으면 얼굴이 검게 보이는 현상은?

  1. 명도대비
  2. 채도대비
  3. 색상대비
  4. 계시대비
(정답률: 87%)
  • 이 현상은 "명도대비" 때문입니다. 명도는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요소이며, 어두운 색은 명도가 낮고 밝은 색은 명도가 높습니다. 따라서 어두운 색 옷을 입으면 얼굴과의 명도 대비가 떨어져서 얼굴이 희게 보이고, 밝은 색 옷을 입으면 얼굴과의 명도 대비가 높아져서 얼굴이 검게 보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유채색의 명도 및 채도에 관한 수식어 중 가장 채도가 높은 색은?

  1. vivid
  2. light
  3. deep
  4. pale
(정답률: 80%)
  • "vivid"는 가장 채도가 높은 수식어 중 하나입니다. "vivid"는 색상이 매우 선명하고 생생하며, 명도와 채도가 모두 높은 색상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vivid"는 다른 수식어들보다 채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먼셀(Munsell)의 색체계에서 가장 채도가 높은 색은?

  1. 빨강(5R)
  2. 연두(5GY)
  3. 초록(5G)
  4. 자주(5RP)
(정답률: 84%)
  • 먼셀 색체계에서 채도는 색의 선명도를 나타내며, 채도가 높을수록 색이 더 진하고 선명해집니다. 따라서 가장 채도가 높은 색은 "빨강(5R)"입니다. 다른 색들은 모두 녹색이나 보라색의 성분이 섞여 있어서 채도가 덜한 반면, 빨강은 순수한 색으로 채도가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빛의 특성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른 색감을 만든다.
  2. 파동성이 없다.
  3. 프리즘에 의해 둥근때를 형성한다.
  4. 물체에 닿으면 모두 반사된다.
(정답률: 83%)
  • 빛은 파장이 다르면 서로 다른 색을 나타내며, 이는 빛의 색채 혼합 원리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빨간색 빛은 긴 파장을 가지고 있고, 파란색 빛은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빨간색과 파란색을 혼합하면 보라색이 나타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 )안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1. 화소
  2. 조도
  3. 해상도
  4. 음영도
(정답률: 84%)
  • 이미지의 선명도와 디테일을 나타내는 것이 해상도이기 때문입니다. 해상도가 높을수록 이미지의 선명도와 디테일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여러 대비현상을 기술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

  1. 같은 색이라도 면적이 큰 경우 더욱 밝고 선명하게 보이는 현상을 면적대비라고 한다.
  2. 어떤 두 색이 가까이 있을 때 그 경계 부분에서 나타나는 대비현상이 먼 곳보다 강하게 일어나는 것을 연변대비라고 한다.
  3. 서로 보색관계인 두 색이 있을 때 서로의 영향으로 색상이 다른 색상으로 보이는 현상을 보색대비라고 한다.
  4. 명도가 서로 다른 두 색이 있을 때 밝은 색은 더 밝게, 어두운 색은 더 어둡게 보이는 것을 명도대비라고 한다.
(정답률: 63%)
  • 잘못된 것은 없습니다.

    서로 보색관계인 두 색이 있을 때 서로의 영향으로 색상이 다른 색상으로 보이는 현상을 보색대비라고 하는 이유는, 보색은 서로 상반되는 색상이기 때문에 함께 사용될 때 서로의 영향으로 색상이 변화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빨강과 초록은 보색관계에 있으며, 빨강과 초록을 함께 사용하면 빨강은 더 진하고 초록은 더 연해지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뉴턴의 1660년경 빛의 굴절현상을 이용하여 프리즘으로 백색광을 분해하였는데 이때 파장별 분광되어 나오는 빛의 파장 중 장파장에 속하는 색은?

  1. 보라
  2. 노랑
  3. 빨강
  4. 초록
(정답률: 75%)
  • 빛은 프리즘을 통과할 때, 파장에 따라 굴절되는 정도가 다릅니다. 파장이 긴 빛은 굴절되는 정도가 작아지고, 파장이 짧은 빛은 굴절되는 정도가 커집니다. 백색광은 여러 색의 빛이 섞여 있는데, 이를 프리즘으로 분해하면 파장이 긴 빨강색부터 짧은 보라색까지 순서대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파장이 가장 긴 빨강색이 분광되어 나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저드(Judd)가 주장한 색채조화론의 원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질서의 원리
  2. 친근성의 원리
  3. 유사성의 원리
  4. 모호성의 원리
(정답률: 81%)
  • 저드가 주장한 색채조화론의 원리 중 "모호성의 원리"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색채 조화를 이루는 요소들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지 않고 모호한 경우에는 조화가 떨어지게 된다는 원리이다. 다른 세 가지 원리인 "질서의 원리", "친근성의 원리", "유사성의 원리"는 색채 조화를 이루는 요소들의 질서, 유사성, 친근성 등을 강조하는 원리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문, 스펜서의 색채조화론에서 설명한 부조화 종류가 아닌 것은?

  1. 제1부조화
  2. 제2부조화
  3. 제3부조화
  4. 눈부심
(정답률: 70%)
  • 정답은 "눈부심"입니다. 스펜서의 색채조화론에서는 제1부조화(색조조화), 제2부조화(밝기조화), 제3부조화(채도조화)를 설명합니다. 이 중 눈부심은 색채조화론과는 관련이 없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인쇄 및 사진기법

21. 특정한 파장범위 내에서 각 파장에 대해 거의 같은 정도로 투과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색균형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필터는?

  1. SL 필터
  2. CC 필터
  3. ND 필터
  4. PL 필터
(정답률: 46%)
  • ND 필터는 Neutral Density 필터의 약자로, 중성 밀도 필터라고도 불립니다. 이 필터는 특정한 파장범위 내에서 각 파장에 대해 거의 같은 정도로 투과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색균형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ND 필터는 노출 조절을 위해 사용되며, 특히 밝은 조명 아래에서 촬영할 때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사진이 발명되기 이전부터 많은 화가들이 드로잉에 이용해 온 현대 카메라의 효시는?

  1. 뷰 카메라(View Camera)
  2. 카메라 옵스큐라(Camera Obscura)
  3. 레인지 파인더 카메라(Range finder Camera)
  4. 반사식 카메라 (Reflex Camera)
(정답률: 55%)
  • 카메라 옵스큐라는 빛을 통해 이미지를 만드는 기술로, 어두운 방 안에 작은 구멍을 뚫어 놓고 그 구멍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이용해 실제 세상의 이미지를 투영하는 방식입니다. 이 기술은 사진이 발명되기 이전에도 이미지를 만드는 데에 이용되었으며, 현대 카메라의 원리 중 하나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간접 인쇄 방식으로 잉크 전이량이 적으며 다른 판식에 비하여 내쇄력이 약하지만 부드러운 인쇄물을 제작하기 쉬운 인쇄방식은?

  1. 볼록판 인쇄
  2. 오목판 인쇄
  3. 스크린 인쇄
  4. 평판인쇄
(정답률: 43%)
  • 평판인쇄는 인쇄판의 표면이 평평하여 인쇄물에 부드러운 인쇄결과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간접 인쇄 방식을 사용하여 잉크 전이량이 적어 내쇄력이 약하지만, 이로 인해 인쇄물에 불필요한 인쇄물이 생기지 않아 깔끔한 인쇄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컬러 네거티브 필름에서 블루(B)광선은 어떤 색으로 발색하는가?

  1. 시안(C)
  2. 마젠타(M)
  3. 블랙(Black)
  4. 옐로우(Y)
(정답률: 59%)
  • 컬러 네거티브 필름에서 블루(B) 광선은 시안(C) 색으로 발색됩니다. 따라서 시안(C)이 정답이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제책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양장
  2. 동정
  3. 호부장
  4. 무선철
(정답률: 77%)
  • "동정"은 제책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유는 "동정"은 제본 기술이 아니라, 사진이나 인쇄물을 특수한 접착제로 덮어 보호하는 방법을 말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유기안료는?

  1. 감청
  2. 리솔레드
  3. 티탄화이트
  4. 카본블랙
(정답률: 56%)
  • 리솔레드는 유기적인 화합물인 살충제, 살균제, 비료 등에 사용되는 색소이며, 유기안료에 해당한다. 나머지 보기들은 무기안료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물체를 일정한 방향으로 보았을 때 그 물체의 관측 방향에 수직인 단위면적당 밝기를 지칭하는 말은?

  1. 휘도(luminance)
  2. 광속(luminous flux)
  3. 광도(luminous intensity)
  4. 조도(illumination intensity)
(정답률: 45%)
  • 휘도는 물체의 관측 방향에 수직인 단위면적당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다른 보기들은 광의 양이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이지만, 휘도는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35mm 필름의 화면 크기(size)는?

  1. 24×36mm
  2. 36×48mm
  3. 48×56mm
  4. 56×78mm
(정답률: 57%)
  • 35mm 필름은 24mm × 36mm 크기의 화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35mm 필름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필름 중 하나이며, 이 크기는 35mm 필름의 표준 크기로 인정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35mm 필름의 크기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크기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보통 흑백 필름의 인화용으로 사용되는 가스라이트 인화지의 현상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3~15℃
  2. 18~20℃
  3. 23~25℃
  4. 27~30℃
(정답률: 53%)
  • 가스라이트 인화지는 보통 높은 대조도와 섬세한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현상 온도가 너무 높으면 필름의 입체감과 세부적인 표현력이 상실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현상 온도가 너무 낮으면 필름의 밝기와 대조도가 낮아져서 인화된 이미지가 흐릿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현상 온도는 중간 정도인 18~20℃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감광재료 중 네거티브(negative)형 PS판과 와이프온판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O-나프토퀴논디아지드
  2. 폴리계피산비닐
  3. 디아조 수지
  4. 신나밀 수지
(정답률: 48%)
  • 디아조 수지는 네거티브형 PS판과 와이프온판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감광재료입니다. 이는 디아조 수지가 높은 감도와 빠른 반응속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디아조 수지는 안정성이 높아서 장기간 보관해도 감광성능이 유지됩니다. 따라서, 디아조 수지는 네거티브형 PS판과 와이프온판에 많이 사용되는 감광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인쇄의 5요소에 해당하는 것은?

  1. 기술자, 잉크, 종이, 인쇄기계, 피인쇄체
  2. 기술자, 종이, 잉크, 원고 인쇄기계
  3. 인쇄판, 종이, 잉크, 인쇄기계, 피인쇄체
  4. 인쇄판, 잉크, 피인쇄체, 인쇄기계, 원고
(정답률: 60%)
  • 인쇄의 5요소는 인쇄판, 잉크, 피인쇄체, 인쇄기계, 원고입니다. 이는 각각 인쇄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요소들이며, 인쇄판은 인쇄할 내용을 새기는데 사용되고, 잉크는 새겨진 내용을 색상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피인쇄체는 인쇄할 대상물이며, 인쇄기계는 인쇄과정을 수행하는데 사용되고, 원고는 인쇄할 내용을 담은 문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컬러필름 현상 시 미노출된 할로겐하은염(AgX)의 제거와 동시에 탈은(desilverizing)을 하는 과정은?

  1. 현상, 발색
  2. 표백, 정착
  3. 수세, 건조
  4. 발색, 수세
(정답률: 53%)
  • 컬러필름 현상 시 미노출된 할로겐화은염(AgX)은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거되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동시에 탈은(desilverizing)이 이루어집니다. 이는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은을 제거하여 이미지의 밝기와 색상을 조절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이 과정은 "표백, 정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판면의 화선부가 오목하게 패여 있는 부분에 잉크가 채워져 피인쇄체로 옮겨짐으로써 인쇄가 되는 방식으로 인쇄물의 색채가 매우 풍부하며 사진 인쇄에 적합한 인쇄 방식은?

  1. 콜로타이프 인쇄
  2. 스크린 인쇄
  3. 그라비어 인쇄
  4. 플렉소 인쇄
(정답률: 75%)
  • 그라비어 인쇄는 판면의 화선부가 오목하게 패여 있는 부분에 잉크를 채워 인쇄하는 방식으로, 이로 인해 인쇄물의 색채가 매우 풍부하며 사진 인쇄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그라비어 인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MQ현상액의 주약은?

  1. 메톨 + 티오황산나트륨
  2. 메톨 + 하이드로퀴논
  3. 메톨 + 페니돈
  4. 페니돈 + 하이드로퀴논
(정답률: 79%)
  • MQ현상액은 메톨과 하이드로퀴논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MQ현상액이 메톨과 하이드로퀴논의 혼합물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MQ현상액을 이루는 물질들 중 하나만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그라비어 잉크의 일반적인 건조 형식은?

  1. 증발 건조형
  2. 냉각 건조형
  3. 산화중합 건조형
  4. 침투 건조형
(정답률: 44%)
  • 그라비어 잉크는 증발 건조형이다. 이는 그라비어 잉크가 인쇄된 표면에서 빠르게 증발하여 건조되기 때문이다. 증발 건조형은 건조 시간이 빠르고 인쇄물 표면에 높은 해상도와 선명도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피사체를 촬영할 때 감도 100, 조리개 값 5.6, 셔터스피트 1/60초가 적정노출이었다면 감도를 그대로 유지한 채 조리개 값을 2.8로 변경하였을 때 적정노출을 위한 셔터 스피드(초)는? (단, 피사체에 대한 촬영거리는 동일하다.)

  1. 1/250
  2. 1/500
  3. 1/125
  4. 1/30
(정답률: 41%)
  • 조리개 값을 2배로 크게 하면 빛이 2배로 적게 들어오므로 셔터 스피드를 2배 더 늘려야 한다. 따라서 1/60 x 2 = 1/125초가 된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적정 노출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도 고려해야 한다.

    - 1/250초: 셔터 스피드를 더 빠르게 하면 더 적은 빛이 들어오므로 과노출될 가능성이 낮아진다. 따라서 적정 노출을 유지할 수 있다.
    - 1/500초: 셔터 스피드를 더 빠르게 하면 더 적은 빛이 들어오므로 과노출될 가능성이 더 낮아진다. 따라서 적정 노출을 더 잘 유지할 수 있다.
    - 1/125초: 이미 적정 노출을 위해 사용한 값이므로 더 느리거나 빠르게 하면 과노출 또는 저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 1/30초: 셔터 스피드를 더 느리게 하면 더 많은 빛이 들어오므로 과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적정 노출을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정답은 "1/2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낮은 콘트라스트 사진을 얻는데 적합한 흑백 현상액은?

  1. 조립자 현상액
  2. 경조 현상액
  3. 증감 현상액
  4. 연조 현상액
(정답률: 36%)
  • 연조 현상액은 낮은 콘트라스트 사진을 얻는데 적합한 흑백 현상액입니다. 이는 연한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콘트라스트를 줄여주어 사진의 톤을 부드럽게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조 현상액은 적은 콘트라스트를 가진 사진을 개선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사진을 서로 이어 붙이거나 다중 인화 또는 다중 노출시켜 새로운 시각 효과를 구성하기 위해 제작된 작품 또는 기법은?

  1. 소프트 포커싱(soft focusing)
  2. 릴리프 포토(relief photo)
  3. 포토 몽타주(photo montage)
  4. 디포메이션(deformation)
(정답률: 69%)
  • 포토 몽타주는 사진을 이어 붙이거나 다중 인화 또는 다중 노출시켜 새로운 시각 효과를 구성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포토 몽타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가시광선 전 영역에 감광 파장역을 갖는 리스필름의 감색성은?

  1. 레귤러(regular)형
  2. 오르토크로매틱(orthochromatic)형
  3. 팬크로매틱(panchromatic)형
  4. UV(Ultra Violet)형
(정답률: 40%)
  • 가시광선 전 영역에 감광 파장역을 갖는 리스필름은 모든 파장역에서 빛을 동일하게 감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 모든 파장역에서 민감한 팬크로매틱(panchromatic)형이 적합하다. 따라서 정답은 "팬크로매틱(panchromatic)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신문, 잡지, 교과서 등의 본문용 서체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명조체
  2. 청조체
  3. 송조체
  4. 그래픽체
(정답률: 95%)
  • "명조체"는 가독성이 높고 균형감이 있어서 긴 글을 읽기에 적합하며, 한글의 기본 서체로 많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시각디자인론

41. 대상물의 보이지 않는 부분의 모양을 표시하는데 쓰이는 선은?

  1. 파선
  2. 실선
  3. 2점 쇄선
  4. 1점 쇄선
(정답률: 50%)
  • 파선은 대상물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내는 선으로, 일종의 가상의 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파선은 대개 점선으로 표시되며, 대상물의 구조나 형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파선은 건축, 기계, 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대상물의 설계나 제작 과정에서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타이포그래피의 선구적인 주자와 활자의 다이나믹한 시각효과를 창출해낸 유럽의 디자이너는?

  1. 얀 치홀트(Jan Tschichold)
  2. 르 꼬르뷔제(Le Corbusier)
  3. 막스 빌(Max Bill)
  4. 미스 반 델 로에(Mies van der Rohe)
(정답률: 31%)
  • 얀 치홀트는 타이포그래피 분야에서 혁신적인 디자인을 선보이며, 활자의 다이나믹한 시각효과를 창출해냈다. 그는 "새로운 타이포그래피"라는 책을 통해 혁신적인 디자인 원칙을 제시하며, 이는 후대 디자이너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얀 치홀트가 타이포그래피의 선구적인 주자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각국에서 일어난 디자인 운동과 나라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Art Nouveau - 미국
  2. Jugendstil - 오스트리아
  3. Sezession - 독일
  4. De Stijl - 네덜란드
(정답률: 47%)
  • De Stijl은 네덜란드에서 일어난 디자인 운동으로, 이 운동은 형태와 색상을 단순화하고 기하학적인 요소를 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에 반해, Art Nouveau는 프랑스와 벨기에에서, Jugendstil은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Sezession은 오스트리아에서 일어난 디자인 운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헝가리 출신의 바우하우스 교수였으며 회화, 사진, 영화에 깊은 관심을 갖았던 인물은?

  1. 모홀리나기(Moholy Nagy)
  2. 칸딘스키(Kandinsky)
  3. 그로피우스(Gropius)
  4. 파울 클레(Paul Klee)
(정답률: 49%)
  • 모홀리나기는 바우하우스 교수로서 회화, 사진, 영화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 관심을 가졌으며, 이를 통해 혁신적인 작품과 이론을 제시하였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칸딘스키, 그로피우스, 파울 클레와는 달리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활동하였고, 바우하우스의 대표적인 인물 중 한 명으로 꼽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물체의 아래쪽에서 바라본 모양을 무슨 도면이라 하는가?

  1. 배면도
  2. 저면도
  3. 후면도
  4. 평면도
(정답률: 45%)
  • 정답은 "저면도"입니다. 저면도는 물체의 아래쪽에서 바라본 모양을 그린 도면으로, 물체의 아래쪽 형태와 구조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에 반해, 배면도는 물체의 뒷면을, 후면도는 물체의 뒤쪽을, 평면도는 물체를 특정 평면으로 잘랐을 때의 모양을 그린 도면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해칭선의 용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기술, 기호 등을 표시하기 위하여 끌어내는 데 쓰인다.
  2. 대상물의 보이지 않는 부분의 모양을 표시하는 데 쓰인다.
  3. 도형의 한정된 특정 부분을 다른 부분과 구별하는 데 쓰인다.
  4. 대상물이 보이는 부분의 겉모양을 표시하는데 쓰인다.
(정답률: 48%)
  • 해칭선은 도형의 한정된 특정 부분을 다른 부분과 구별하는 데 쓰입니다. 이는 도면에서 특정 부분을 강조하거나, 구분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건축도면에서 문이나 창문의 위치를 나타내거나, 기계도면에서 특정 부품의 위치를 나타내는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기업의 CI도입 효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대중에게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약화시킨다.
  2. 기업의 마케팅 전략을 유리하게 이끌 수 있다.
  3. 경쟁 업체와의 식별을 명확하게 해 준다.
  4. 효율적인 조직 강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정답률: 87%)
  • CI는 기업의 이미지와 브랜드를 대중에게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이지만, CI 도입이 적절하지 않게 이루어지면 오히려 대중과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CI가 대중에게 혼란스러운 이미지를 전달하거나, 기업의 실제 모습과 차이가 있을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I 도입은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대중과의 커뮤니케이션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기업이 소비자와 사회에 대해 일관된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종합적 표현 정책은?

  1. Symbol Mark
  2. Character
  3. Publicity
  4. Design Policy
(정답률: 44%)
  • "Design Policy"는 기업의 로고, 제품 디자인, 패키지 디자인 등을 일관된 스타일로 유지하고 관리하여 소비자와 사회에 대해 일관된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종합적인 정책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로고, 캐릭터, 홍보와 관련된 정책이지만, "Design Policy"는 이러한 모든 요소들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정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대상을 지각할 때 일정불변하게 지각되지 않고 심리상태, 과거의 기억, 관심, 주의, 흥미 등이 복합된 활동에 좌우된다는 형태 지각의 심리 이론은?

  1. 막스 빌의 조형 이론
  2. 게슈탈트 이론
  3. 루빈의 이론
  4. 뮬러, 라이어 이론
(정답률: 81%)
  • 게슈탈트 이론은 대상을 지각할 때 일정불변하게 지각되지 않고, 심리상태, 과거의 기억, 관심, 주의, 흥미 등이 복합된 활동에 좌우된다는 형태 지각의 심리 이론이다. 이론은 대상을 전체적으로 인식하고, 부분적인 세부사항보다는 전체적인 구성요소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게슈탈트 이론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미국의 기호학자 퍼스(Peirce)가 제시한 3가지 유형의 일반적 기호가 아닌 것은?

  1. 도상(Icon)
  2. 지표(Index)
  3. 로고(Logo)
  4. 상징(Symbol)
(정답률: 39%)
  • 로고는 퍼스가 제시한 일반적 기호 유형 중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로고는 일반적으로 회사나 브랜드를 대표하는 그래픽 디자인으로, 퍼스의 기호학에서는 상징(Symbol)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독일공작연맹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예술과 공업을 구분하여 철저한 장인교육을 실시하였다.
  2. 헤르만 무테지우스(H. Muthesius)는 영국의 기계화 가능성과 기능적 우수성을 도입하여 근대화에 주력하였다.
  3. 표준형의 설정인식이 높아지고, 기계화로 예술, 공예품 생산에 정확성을 높였다.
  4. 건축, 산업 제품에서부터 하이패션에 이르기까지 디자인의 전 분야에 영향을 주었고 기능주의적 디자인의 개념으로 널리 퍼져 나갔다.
(정답률: 42%)
  • 독일공작연맹은 예술과 공업을 융합하여 혁신적인 디자인을 추구하는 단체였다. 이 중에서도 헤르만 무테지우스는 영국의 기계화 가능성과 기능적 우수성을 도입하여 근대화에 주력하였다. 따라서 "헤르만 무테지우스(H. Muthesius)는 영국의 기계화 가능성과 기능적 우수성을 도입하여 근대화에 주력하였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루빈(Rubin)의 항아리와 가장 관계있는 것은?

  1. 형태 지각의 그루핑
  2. 명도 대비에 의한 진퇴원리
  3. 바탕과 도형의 형태 지각
  4. 부분과 모서리의 관계
(정답률: 55%)
  • 루빈의 항아리는 바탕과 도형의 형태 지각에 관련된 문제 중 하나이다. 이 문제는 바탕과 도형의 색상이나 명도가 유사하여 도형의 형태를 구분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발생한다. 이는 형태 지각의 그루핑과 명도 대비에 의한 진퇴원리와도 관련이 있지만, 항아리 문제에서는 바탕과 도형의 형태 지각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디자인 관리 측면의 프로세스로 가장 바람직한 것은?

  1. 계획 → 시장조사 → 아이디어 수집 → 아이디어 확정 → 시안제작 → 프레젠테이션 → 생산/품질관리 → 종합평가
  2. 시장조사 → 아이디어 수집 → 계획 → 아이디어 확정 → 시안제작 → 프레젠테이션 → 생산/품질관리 → 종합평가
  3. 계획 → 시장조사 → 아이디어 수집 → 아이디어 확정 → 시안제작 → 생산/품질관리 → 종합평가 → 프레젠테이션
  4. 계획 → 아이디어 확정 → 아이디어 수집 → 시장조사 → 시안제작 → 프레젠테이션 → 생산/품질관리 → 종합평가
(정답률: 68%)
  • "계획 → 시장조사 → 아이디어 수집 → 아이디어 확정 → 시안제작 → 프레젠테이션 → 생산/품질관리 → 종합평가"가 가장 바람직한 디자인 관리 프로세스이다. 이는 계획을 먼저 수립하고 시장조사를 통해 소비자의 니즈와 트렌드를 파악한 후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확정하여 시안을 제작하고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검증하며 생산과 품질관리를 거쳐 최종적으로 종합평가를 하는 것으로, 디자인 프로젝트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황금분할(Golden Section)에 의한 비례는?

  1. 1 : 0.618
  2. 1 : 1.618
  3. 1 : 2.618
  4. 1 : 3.618
(정답률: 88%)
  • 황금분할은 하나의 선분을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눌 때, 전체와 큰 부분의 비율이 큰 부분과 작은 부분의 비율과 같은 비례 관계를 말합니다. 이 비례 관계는 약 1 : 1.618 로 나타납니다. 이 비례는 자연계에서 많이 나타나며, 인간의 미적 감각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예술, 디자인, 건축 등에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시각디자인 분야에 속하는 것은?

  1. 자동차와 가전제품의 기능이해와 모델링
  2. 주택의 인테리어 설계 및 가구의 구성과 배치
  3. 전시장의 작품 디스플레이와 조명연출
  4. 책과 잡지의 출판을 위한 편집과 인쇄제작
(정답률: 79%)
  • 책과 잡지의 출판을 위한 편집과 인쇄제작은 시각디자인 분야에 속합니다. 이는 출판물의 디자인과 레이아웃, 그래픽 디자인, 타이포그래피 등을 다루며, 인쇄제작 과정에서도 디자인적인 요소를 고려합니다. 따라서 시각디자인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게슈탈트 형태변화에 대한 연구법칙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절대성의 요인
  2. 유사성의 요인
  3. 근접성의 요인
  4. 폐쇄성의 요인
(정답률: 62%)
  • 정답은 "절대성의 요인"입니다.

    게슈탈트 이론에서 "절대성의 요인"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게슈탈트 이론에서는 인지적인 요소들이 상호작용하여 전체적인 인식을 형성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를 위해 "유사성의 요인", "근접성의 요인", "폐쇄성의 요인" 등의 연구법칙을 제시하였습니다.

    따라서, "절대성의 요인"은 게슈탈트 이론과 관련이 없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국가 중 현대 디자인의 방향이 성능을 강조하는 과학적 방향보다 인간의 감각과의 관계를 더 중요시하는 예술적 방향으로 흐른 곳은?

  1. 미국
  2. 일본
  3. 스칸디나비아
  4. 이태리
(정답률: 44%)
  • 스칸디나비아는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중요시하는 분위기에서 현대 디자인이 발전해왔습니다. 따라서 성능보다는 디자인의 감각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예술적 방향으로 흐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경영이념, 경영상의 방침, 계획, 사회적 책임감이나 사명 등을 주체로 하는 광고는?

  1. PR (Public Relation)
  2. PROPAGANDA
  3. PUBLICITY
  4. DM(Direct Mail)
(정답률: 67%)
  • PR (Public Relation)은 기업이나 단체의 경영이념, 경영상의 방침, 계획, 사회적 책임감이나 사명 등을 주체로 하는 광고입니다. 이는 기업이나 단체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대중과의 소통과 상호작용을 강조합니다. PROPAGANDA는 편향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며, PUBLICITY는 언론매체를 통해 홍보하는 것입니다. DM(Direct Mail)은 개인에게 직접적으로 광고를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19세기 중반에 면직물 산업의 대외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최초로 디자인 개념을 도입한 나라는?

  1. 영국
  2. 미국
  3. 독일
  4. 일본
(정답률: 54%)
  • 19세기 중반에 영국은 산업혁명으로 인해 면직물 산업에서 선두에 서 있었지만, 경쟁 업체들의 출현으로 대외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디자인 개념을 도입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고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극도의 미학적 축소를 지향하고 최소한의 장식과 미학으로 처리했던 사조는?

  1. 미니멀리즘
  2. 팝아트
  3. 포스트모더니즘
  4. 유토피아
(정답률: 80%)
  • 미니멀리즘은 극도의 미학적 축소를 지향하고 최소한의 장식과 미학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적 운동이다. 따라서 사조가 미학적 축소를 지향하고 최소한의 장식과 미학으로 처리했기 때문에 정답은 "미니멀리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시각디자인실무 이론

61. 다음 중 마케팅(marketing)의 정의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개인이나 조직의 이익을 위하여 제품, 서비스를 개발 하여 이를 촉진 및 유통시키는 활동을 계획하고 실천하는 과정
  2. 단체를 조직하고 통제하여 경쟁전략을 추구하고 유사한 특징을 갖는 단체의 우위를 서기 위한 과정
  3. 표본조사를 통해 동기와 행동의 결론을 연구하여 도출하는 과정
  4. 조직의 팀 구성원을 통일된 목적에 따라 활동영역을 명확히 하는 과정
(정답률: 88%)
  • "개인이나 조직의 이익을 위하여 제품, 서비스를 개발 하여 이를 촉진 및 유통시키는 활동을 계획하고 실천하는 과정"이 가장 알맞은 정의이다. 이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고 이를 소비자에게 홍보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마케팅은 소비자의 니즈와 원하는 것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익을 창출하는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그래픽 파일 포맷의 하나인 PSD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레이어, 패스, 채널 등의 정보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2. 16비트 컬러를 사용한다.
  3. 압축을 하여도 이미지에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4. 압축률을 변화시켜 파일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정답률: 85%)
  • PSD 파일은 포토샵에서 사용되는 파일 형식으로, 이미지뿐만 아니라 레이어, 패스, 채널 등의 정보도 함께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는 포토샵에서 작업을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또한, PSD 파일은 16비트 컬러를 사용하며, 압축을 하여도 이미지에 손실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압축률을 변화시켜 파일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기업 상품광고를 잡지광고로 하고자 할 때 다음 중 일반적으로 가장 효과가 큰 지면은?

  1. 내지면
  2. 표지2면
  3. 표지3면
  4. 표지4면
(정답률: 51%)
  • 일반적으로 잡지의 표지4면은 가장 눈에 띄고 중요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기업 상품광고를 하기에 가장 효과적입니다. 특히, 잡지의 표지4면은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으며, 잡지를 펼쳤을 때 가장 먼저 보이는 위치에 있어서 광고의 인식률과 기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표지4면은 다른 광고와 경쟁할 필요가 없이 전면에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어서 더욱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POP(Point of Purchase)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구매시점 광고라고 하며 구매자가 TV, 잡지, 옥외광고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광고이다.
  2. 구매시점 광고로 소매점의 점두 또는 점내에서 하는 소매점 광고이다.
  3. POP광고라는 개념이 성립된 것은 1970년대 후반 미국에서이다.
  4. POP광고 전략에서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대상은 판매의 편의성이다.
(정답률: 52%)
  • 정답은 "구매시점 광고로 소매점의 점두 또는 점내에서 하는 소매점 광고이다." 이유는 POP(Point of Purchase)은 소매점 내에서 제품을 구매하는 시점에서 소비자에게 제품을 홍보하고 마케팅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매점의 점두나 점내에서 이루어지는 광고가 POP 광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신제품 개발의 중요성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기업체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
  2. 자사의 기존제품과 경쟁
  3. 시장구조 변화에 대한 빠른 대응
  4. 제품의 수명주기 및 이익주기에 대한 대응
(정답률: 78%)
  • "자사의 기존제품과 경쟁"은 신제품 개발의 중요성과는 거리가 먼 설명입니다. 이유는 신제품 개발은 기존 제품과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 구조 변화에 대한 대응과 제품의 수명주기 및 이익주기에 대한 대응을 위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컴퓨터 모니터가 재현하는 색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모니터의 색은 빨강, 녹색, 파란색의 혼합으로 만들어 진다.
  2. 컴퓨터 비트심도가 높아질수록 모니터가 재현할 수 있는 색도 증가한다.
  3. 모니터의 색들은 빛의 조합으로 감법혼합에 해당된다.
  4. 모니터의 모든 색이 혼합되면 흰색이 된다.
(정답률: 78%)
  • "모니터의 모든 색이 혼합되면 흰색이 된다."가 틀린 것입니다.

    모니터의 색은 빨강, 녹색, 파란색의 혼합으로 만들어지며, 이를 RGB 색 모델이라고 합니다. 컴퓨터 비트심도가 높아질수록 모니터가 재현할 수 있는 색도 증가합니다. 모니터의 색들은 빛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며, 이를 가산혼합이라고 합니다. 감법혼합은 인쇄물 등에서 사용되는데, 이는 색을 빼어나가는 방식으로 색을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신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한 쌍의 반대 형용사를 양극에 놓고 두 대상의 위치를 동일한 의미 공간 내에서 두 형용사의 편중 정도를 알아보고 다차원의 공간으로 평가하는 조사 방법은?

  1. 평가 스케일(evaluation scale)
  2. 의미분별 척도법(semantic differential scale)
  3. 순위 차트(ranking chart)
  4. 평가 매트릭스(evaluation matrix)
(정답률: 58%)
  • 의미분별 척도법은 한 쌍의 반대 형용사를 양극에 놓고 제품이나 서비스 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각 양극에 해당하는 단어들을 척도로 사용하여 다차원의 공간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다양한 측면을 평가할 수 있으며,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의미분별 척도법(semantic differential scale)"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평가 방법 중 다른 종류의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초대형으로 확대된 투명컬러 필름의 디스플레이를 말하는 것으로 공항이나 지하도 등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옥외광고는?

  1. 와이드 컬러
  2. 파라온
  3. 네온사인
  4. 맥스비전
(정답률: 62%)
  • 와이드 컬러는 초대형으로 확대된 투명컬러 필름의 디스플레이를 말하며, 옥외광고로 많이 사용됩니다. 디스플레이가 넓고 컬러가 선명하여 멀리서도 잘 보이기 때문에 "와이드"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아이덴티티 디자인(Identity Design)에 있어서 심벌, 로고 등을 상호 유기적인 응용형태로 조합하여 활용규정으로 만들어 놓은 것을 일컫는 말은?

  1. 패턴(Pattern)
  2. 엠블렘(Emblem)
  3. 스테이셔너리(Stationery)
  4. 시그니처(Signature)
(정답률: 70%)
  • 시그니처는 심벌, 로고 등을 조합하여 만든 활용규정으로, 회사나 브랜드의 고유한 이미지를 대표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그니처와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교통표지판처럼 어떤 행위를 지시하거나 금지할 때의 표시 방법은?

  1. 실제적 표시
  2. 설명적 표시
  3. 통념적 표시
  4. 규약적 표시
(정답률: 71%)
  • 교통표지판은 일관된 규약적 표시 방법을 사용하여 어떤 행위를 지시하거나 금지합니다. 이는 모든 운전자들이 이해하기 쉽고 일관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교통 안전에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규약적 표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기업 아이덴티티(CI)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I는 기업 자체와 존재의 본질 간의 동질화와 함께 비교 대상과의 차별화라는 의미를 동시에 내포한다.
  2. CI는 마케팅 증진만을 위한 상품의 얼굴이자 말없는 세일즈맨의 역할을 한다.
  3. CI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일관성과 지속성이라는 두 가지 요소가 전제되어야 한다.
  4. 구내에서 최초로 CI가 도입된 사례로는 1936년 버드나무를 형상화하여 심벌마크로 제정하고 녹색을 기업의 색상으로 사용한 '유한양행'을 들 수 있다.
(정답률: 77%)
  • "CI는 마케팅 증진만을 위한 상품의 얼굴이자 말없는 세일즈맨의 역할을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CI는 기업의 정체성과 가치를 대중에게 전달하고, 기업과 대중 간의 상호작용을 돕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CI는 단순한 마케팅 도구가 아니라, 기업의 전략적인 자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신문광고에서 내용적 요소에 속하는 것은?

  1. 캡션
  2. 로고타입
  3. 보더라인
  4. 일러스트레이션
(정답률: 58%)
  • 캡션은 신문광고에서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명이나 메시지를 전달하는 텍스트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로고타입은 브랜드 식별을 위한 로고, 보더라인은 광고의 경계를 나타내는 선, 일러스트레이션은 그림이나 이미지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국제교류에 있어 언어의 장벽을 극복하기 위해 픽토그램(Pictogram)이 처음으로 유효하게 사용된 국제행사는?

  1. 1948년 런던올림픽
  2. 1967년 몬트리올 박람회
  3. 1969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4. 1970년 오사카 EXPO
(정답률: 67%)
  • 1948년 런던올림픽에서는 참가국들의 언어 장벽을 극복하기 위해 픽토그램이 처음으로 유효하게 사용되었다. 이를 통해 참가국들은 언어의 장벽 없이 원활한 소통과 정보교류를 할 수 있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제품의 인지도를 확대시켜 디자인의 구별성, 차별성 및 특이성으로 판매의 성공을 기하도록 하는 전략은?

  1. 광고(Advertising)
  2. 네이밍(Naming)
  3. 프로모션(Promotion)
  4. B.I(Brand Identity)
(정답률: 35%)
  • B.I(Brand Identity)는 제품이나 브랜드의 독특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 이를 시각적, 청각적, 감각적으로 전달하여 소비자들이 제품을 쉽게 인지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돕는 전략입니다. 따라서 제품의 인지도를 확대시키고 디자인의 구별성, 차별성 및 특이성을 강화하여 판매의 성공을 이루는 데에 큰 역할을 합니다. 광고, 네이밍, 프로모션은 모두 제품의 홍보와 마케팅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B.I는 브랜드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강한 유대감을 형성하는 데에 초점을 둔 전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그래픽 심벌(graphic symbol)에 대한 개념이 틀린 것은?

  1. 비주얼 심벌(visual symbol)이라고도 부른다.
  2. 인간이 서로의 의사 전달을 가장 정확하고 빠르게 할 수 있는 수단이다.
  3. 시각전달의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4. 기능적, 물리적으로 반드시 단순해야 한다.
(정답률: 63%)
  • 그래픽 심벌은 기능적, 물리적으로 단순해야 하는 이유는 인간이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능력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복잡한 그래픽 심벌은 인식하기 어렵고 혼란스러울 수 있으므로, 목적에 맞게 간단하고 명확한 디자인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두 개 이상의 개체가 기호를 매개로 하여 정보, 감정, 지식, 등을 공유하는 과정은?

  1. Marketing
  2. Communication
  3. Design
  4. Advertising
(정답률: 89%)
  • "Marketing", "Design", "Advertising"은 모두 정보나 제품을 홍보하거나 디자인하는 것에 초점을 둔 활동이지만, "Communication"은 두 개 이상의 개체가 서로 정보, 감정, 지식 등을 공유하는 과정 자체를 의미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컴퓨터 사용자가 그림이 들어가는 문서를 제작할 때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미리 만들어진 그림들을 지칭하는 용어는?

  1. 인터디자인
  2. 그래픽아트
  3. 아트보드
  4. 클립아트
(정답률: 75%)
  • 클립아트는 컴퓨터 사용자가 문서나 프레젠테이션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나 그림들을 미리 만들어 놓은 것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이는 사용자가 직접 그림을 그리거나 이미지를 찾아서 넣는 것보다 더욱 편리하고 빠르게 문서를 제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광고의 유형 중 예상 구매자 개인 또는 집단 앞으로 메일과 우편을 이용해서 광고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광고비의 최소화시키고 집약적인 광고효과를 거둘 수 있는 광고는?

  1. DM 광고
  2. 신문광고
  3. 라디오광고
  4. 잡지광고
(정답률: 92%)
  • DM 광고는 예상 구매자 개인 또는 집단에게 메일이나 우편을 이용하여 광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광고이기 때문에, 광고비를 최소화하면서도 집약적인 광고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따라서, "DM 광고"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현대 매스 커뮤니케이션 이론은 다음 중 어느 나라를 중심으로 발전하였는가?

  1. 미국
  2. 독일
  3. 영국
  4. 프랑스
(정답률: 69%)
  • 현대 매스 커뮤니케이션 이론은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이는 미국이 대중문화 산업의 중심지이며, 대중매체의 발전과 함께 매스 커뮤니케이션 이론도 발전해왔기 때문입니다. 또한, 미국에서는 다양한 매체와 기술이 개발되어 매스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발전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교통광고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소구 대상을 지역에 따라 세분화할 수 있어 상권에 알맞은 광고를 할 수 있다.
  2. 주로 대도시에서 집중적으로 광고한다.
  3. 반복 노출로 주목률이 매우 높다.
  4. 광고의 소구 효과가 집단적으로 이루어지며 중요 시간대에 따라서 광고를 조절할 수 있다.
(정답률: 63%)
  • "소구 대상을 지역에 따라 세분화할 수 있어 상권에 알맞은 광고를 할 수 있다."가 교통광고의 특징이 아니다.

    이유: 교통광고는 대중교통 수단이나 도로 등 교통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광고를 전달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광고의 소구 대상은 교통 이용자들 전체로 일반화되어 있다. 따라서 광고의 소구 대상을 지역에 따라 세분화하는 것은 교통광고의 특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