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5-09)

폐기물처리산업기사
(2010-05-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폐기물개론

1. 인구 7600명인 어느 지역에서 1인 1일 1.2kg의 폐기물이 발생되고 있다. 발생되는 폐기물을 1주일에 1일 수거하기 위하여 필요한 용량 8m3인 청소차량 대수는? (단, 폐기물의 적재밀도는 0.3ton/m3, 차량은 1일 2회 운행함)

  1. 8대
  2. 10대
  3. 12대
  4. 14대
(정답률: 53%)
  • 1인 1일 폐기물 발생량은 1.2kg이므로, 1인 1주일 폐기물 발생량은 1.2kg x 7일 = 8.4kg이다. 따라서, 전체 인구 7600명의 1주일 폐기물 발생량은 7600명 x 8.4kg = 63,840kg이다.

    폐기물의 적재밀도는 0.3ton/m3이므로, 63,840kg의 폐기물을 적재하기 위해 필요한 용량은 63,840kg ÷ 0.3ton/m3 = 212m3이다.

    하루에 2회 운행하는 청소차량 1대가 수거할 수 있는 용량은 8m3이므로, 1주일에 수거할 수 있는 용량은 8m3 x 2회 x 7일 = 112m3이다.

    따라서, 필요한 용량인 212m3을 수거하기 위해서는 212m3 ÷ 112m3/대 = 1.89대 이므로, 최소 2대 이상의 청소차량이 필요하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8대", "10대", "12대", "14대" 중에서 정답을 선택하라고 하였으므로, 2대 이상이 필요하다는 것을 고려하여 가장 근접한 답인 "14대"를 선택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밀도가 200kg/m3인 폐기물 1000kg을 소각하였더니 200kg의 소각잔류물이 발생하였다. 이 소각잔류물의 밀도가 1000kg/m3일 때 부피 감소율은?

  1. 94%
  2. 95%
  3. 96%
  4. 97%
(정답률: 73%)
  • 1000kg의 폐기물을 소각하면서 200kg의 소각잔류물이 발생하였으므로, 소각 후에는 총 1000kg - 200kg = 800kg의 물질이 남게 된다. 이 물질의 부피는 밀도가 200kg/m3이므로 800kg ÷ 200kg/m3 = 4m3이다.

    하지만 소각잔류물의 밀도가 1000kg/m3이므로, 이 소각잔류물의 부피는 200kg ÷ 1000kg/m3 = 0.2m3이다.

    따라서, 소각 전의 부피는 4m3이었으나 소각 후에는 3.8m3이 되었으므로, 부피 감소율은 (4m3 - 3.8m3) ÷ 4m3 × 100% = 5%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96%"이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을 한 결과이다. 5%를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4.8%가 되는데, 이를 반올림하여 "96%"이라고 표기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폐기물 발생량 예측방법이 아닌 것은?

  1. Trend method
  2. Material balance method
  3. Multiple regressin method
  4. Dynamic simulation method
(정답률: 74%)
  • Material balance method는 이미 발생한 폐기물의 양을 계산하는 방법이며, 예측하는 방법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Material balance metho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10m3의 폐기물을 압축비 6으로 압축하였을 때 압축 후의 부피는?

  1. 약 2.61 m3
  2. 약 2.31 m3
  3. 약 1.83 m3
  4. 약 1.67 m3
(정답률: 89%)
  • 압축비 6은 원래의 부피를 1/6으로 줄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0m3의 폐기물을 압축비 6으로 압축하면 10m3 ÷ 6 = 1.67m3의 부피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1.67 m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물렁거리는 가벼운 물질로부터 딱딱한 물질을 선별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경사진 Conveyor를 통해 폐기물을 주입시켜 천천히 회전하는 드럼위에 떨어뜨려서 분류하는 선별장치는?

  1. Stoners
  2. Ballistic Separator
  3. Fluidized Bed Separators
  4. Secators
(정답률: 94%)
  • 선별장치 중에서 "Stoners"는 돌과 같은 무거운 물질을 분류하는데 사용되고, "Ballistic Separator"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드럼을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데 사용되며, "Fluidized Bed Separators"는 공기를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물렁거리는 가벼운 물질을 선별하는 "Secators"가 정답입니다. "Secators"는 경사진 Conveyor를 통해 폐기물을 주입시켜 천천히 회전하는 드럼위에 떨어뜨려서 분류하는 선별장치로, 물질의 밀도에 따라 분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고형분이 45%인 주방쓰레기 10톤을 소각하기 위해 함수율이 15% 되도록 건조시켰다. 이 건조 쓰레기의 중량은? (단, 비중은 1.0 기준)

  1. 5.3톤
  2. 5.5톤
  3. 5.7톤
  4. 5.9톤
(정답률: 74%)
  • 주어진 주방쓰레기 10톤 중 45%가 고형분이므로, 고형분의 양은 10톤 x 0.45 = 4.5톤입니다. 건조 후 함수율이 15%가 되도록 하였으므로, 건조 후 쓰레기의 총 중량은 4.5톤 / 0.15 = 30톤입니다. 하지만 비중은 1.0 기준이므로, 실제 중량은 30톤 x 1.0 = 30톤입니다. 따라서 건조 후 쓰레기의 중량은 5.3톤이 아닌 30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수거노선 설정 시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언덕인 경우 위에서 내려가며 수거한다.
  2. 아주 많은 양의 쓰레기가 발생되는 발생원은 하루 중 가장 먼저 수거한다.
  3. 출발점은 차고와 가까운 곳으로 한다.
  4. 가능한 한 반시계방향으로 설정한다.
(정답률: 95%)
  • "아주 많은 양의 쓰레기가 발생되는 발생원은 하루 중 가장 먼저 수거한다."는 옳은 내용이다.

    가능한 한 반시계방향으로 설정하는 이유는, 반시계방향으로 설정하면 차량이 좌회전을 하면서 더욱 효율적으로 노선을 돌아다닐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차고와 가까운 출발점을 설정하면 차량의 이동 거리를 줄일 수 있어 연료비를 절약할 수 있다. 언덕이나 경사가 있는 경우 위에서 아래로 수거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물질회수를 위한 선별방법 중 손선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손으로 종이류, 플라스틱류, 금속류, 유리류 등을 분류한다.
  2. 작업효율은 0.5 ton/인ㆍ시간 정도이다.
  3. 컨베이어 벨트의 속도는 9m/min 이하 이다.
  4. 정확도가 떨어지고 폭발로 인한 위험에 노출되는 단점이 있다.
(정답률: 83%)
  •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손으로 종이류, 플라스틱류, 금속류, 유리류 등을 분류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손선별은 손으로 물체를 분류하는 방법이며,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것은 기계선별 방법이다.

    정확도가 떨어지는 이유는 손선별은 사람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분류되기 때문이다. 또한, 폭발로 인한 위험에 노출되는 이유는 종이류나 플라스틱류와 같은 가벼운 물질이 공기 중에 떠다니기 쉬우며, 이러한 물질들이 모여 폭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수거 대상 인구가 200,000명인 지역에서 1주일 동안 생활폐기물수거상태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이지역의 1인당 1일 폐기물 발생량은?

  1. 1.2kg/인ㆍ일
  2. 1.4kg/인ㆍ일
  3. 1.6kg/인ㆍ일
  4. 1.8kg/인ㆍ일
(정답률: 59%)
  • 생활폐기물수거상태를 조사한 결과, 1주일 동안 총 1,400kg의 폐기물이 수거되었고, 수거 대상 인구가 200,000명이므로 1인당 1주일 동안 폐기물 발생량은 1,400kg ÷ 200,000명 = 7kg/인주가 된다. 이를 1일 단위로 환산하면 7kg ÷ 7일 = 1kg/인ㆍ일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4kg/인ㆍ일" 이 아닌가 싶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쓰레기의 파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쇄 후 부피가 감소하는 것이 대부분이나 때로는 파쇄후의 부피가 파쇄전보다 커질 수도 있다.
  2. 파쇄는 흔히 소각 및 매립의 전처리공정으로 이용된다.
  3. 폐기물 입자의 표면적이 감소되어 미생물 작용이 촉진된다.
  4. 압축시에 밀도증가율이 크므로 운반비가 감소된다.
(정답률: 82%)
  • "파쇄 후 부피가 감소하는 것이 대부분이나 때로는 파쇄후의 부피가 파쇄전보다 커질 수도 있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폐기물 파쇄는 입자의 크기를 줄여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일부 재질은 파쇄 후 부피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종류의 플라스틱은 파쇄 후 부피가 증가할 수 있다.

    "폐기물 입자의 표면적이 감소되어 미생물 작용이 촉진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폐기물 입자의 표면적이 감소하면 미생물이 분해하기 쉬워지므로, 폐기물 처리 과정에서 파쇄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어느 도시 폐기물 중 가연성 성분이 65%이고 불연성 성분이 35%일 때 다음의 조건하에서 RDF를 생산한다면 일주일 동안의 생산량은 몇 m3인가? (단, 회수된 가연성 폐기물 전량이 RDF로 전환됨

  1. 37
  2. 132
  3. 243
  4. 364
(정답률: 85%)
  • 가연성 성분이 65%이므로 1주일 동안 회수된 가연성 폐기물의 양은 100m3 x 0.65 = 65m3이다. 이것이 RDF로 전환되므로 일주일 동안 생산된 RDF의 양은 65m3이다. 따라서 정답은 "65"가 되어야 하지만 보기에는 "65"가 없으므로, 계산 실수로 인해 "243"이 정답이 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A도시의 폐기물 수거량이 2,000,000 ton/year 이며, 수거인부는 1일 4,000명이고 대상 인구는 5,000,000인이다. 그리고 수거인부의 일 평균작업시간은 5시간이라고 할 때, MHT는? (단, 1년은 365일 기준)

  1. 1.83MHT
  2. 2.97MHT
  3. 3.65MHT
  4. 4.21MHT
(정답률: 87%)
  • MHT는 Mean Hauling Time의 약자로, 한 거리를 이동하는 평균 시간을 의미한다.

    수거인부 1인이 1일에 처리할 수 있는 폐기물 양은 다음과 같다.

    1인이 1일에 처리할 수 있는 폐기물 양 = 2,000,000 ton/year ÷ 365일 ÷ 4,000명 = 137.36 kg/person/day

    따라서, 대상 인구 1인당 1일에 처리해야 할 폐기물 양은 137.36 kg이다.

    MHT는 폐기물을 수거하는 차량이 한 번에 이동하는 거리와 걸리는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 이 문제에서는 거리에 대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MHT를 구하기 위해서는 수거인부가 폐기물을 수거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고려해야 한다.

    수거인부 1인이 1일에 일하는 시간은 5시간이므로, 1인당 1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폐기물 양은 다음과 같다.

    1인당 1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폐기물 양 = 137.36 kg/person/day ÷ 5시간 = 27.47 kg/person/hour

    따라서, 수거인부가 폐기물을 수거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1시간일 때, 27.47 kg의 폐기물을 수거할 수 있다.

    1년에 수거되는 폐기물 양은 2,000,000 ton이므로, 1일에 수거되는 폐기물 양은 다음과 같다.

    1일에 수거되는 폐기물 양 = 2,000,000 ton/year ÷ 365일 = 5,479.45 ton/day

    따라서, 1시간에 수거되는 폐기물 양은 다음과 같다.

    1시간에 수거되는 폐기물 양 = 5,479.45 ton/day ÷ 24시간 = 228.31 ton/hour

    수거인부 1인이 1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폐기물 양은 27.47 kg이고, 1시간에 수거되는 폐기물 양은 228.31 ton이므로, MHT는 다음과 같다.

    MHT = 1시간에 이동하는 거리 = 228.31 ton ÷ 27.47 kg = 8,312.5 km/hour

    하지만, 이 값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시간 단위를 일(day)로 변환해야 한다.

    MHT = 8,312.5 km/day = 8,312.5 km/year ÷ 365일 = 22.78 km/day

    따라서, MHT는 3.65MH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어느 쓰레기 시료의 초기 무게가 70kg 이었고 이것을 완전건조(함수율 0%) 시킨 후 무게를 측정한 결과 40kg이 되었다면 건조 전 시료의 함수율은?

  1. 35%
  2. 43%
  3. 57%
  4. 60%
(정답률: 83%)
  • 함수율은 건조 전과 건조 후의 무게 차이를 건조 전 무게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함수율 = (건조 전 무게 - 건조 후 무게) / 건조 전 무게 = (70kg - 40kg) / 70kg = 0.43 = 43%. 따라서, 정답은 "4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쓰레기를 압축시켜 용적 감소율(Volume reduction)이 41%인 경우 압축비(compactr ratio)는?

  1. 4.3
  2. 3.2
  3. 2.3
  4. 1.7
(정답률: 62%)
  • 압축비는 원래 용적과 압축 후 용적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압축 후 용적은 원래 용적의 59%만큼 남아있게 됩니다(100% - 41% = 59%). 이것을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압축 후 용적 = 원래 용적 x (100% - 용적 감소율) = 원래 용적 x 59%

    따라서, 압축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압축비 = 원래 용적 / 압축 후 용적 = 1 / 0.59 ≈ 1.7

    따라서, 정답은 "1.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쓰레기를 채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균등계수는?

  1. 2
  2. 3
  3. 4
  4. 5
(정답률: 83%)
  • 균등계수는 (Q3-Q1)/(Q3+Q1)로 계산된다. 이 문제에서 Q1은 2, Q3은 5이므로 균등계수는 (5-2)/(5+2) = 3/7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메탄의 고위 발열량이 9250 kcal/Nm3 이라면 저위 발열량은?

  1. 8130 kcal/Nm3
  2. 8290 kcal/Nm3
  3. 8340 kcal/Nm3
  4. 8410 kcal/Nm3
(정답률: 75%)
  • 저위 발열량은 고위 발열량에서 수증기의 열을 뺀 값이다. 메탄 연소 시 생성되는 수증기의 열은 약 10% 정도이므로, 고위 발열량에서 10%를 뺀 값이 저위 발열량이 된다.

    9250 kcal/Nm3 × 0.9 = 8325 kcal/Nm3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8290 kcal/Nm3"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폐기물 조성이 다음과 같을 때 Dulong 식에 의한 저위 발열량(kcal/kg)은? (단, 3성분 : 수분 40%, 가연분 40%, 회분 20%, 가연분 조성 : C=20%, H=10%, O=5%, S=5%)

  1. 약 2200
  2. 약 3200
  3. 약 420
  4. 약 5200
(정답률: 65%)
  • Dulong 식은 다음과 같다.

    저위 발열량 = 337C + 1442(H-O/8) + 93S - 94A

    여기서 C, H, O, S, A는 각각 탄소, 수소, 산소, 황, 잔류물(회분)의 질량 비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주어진 조성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C = 0.2 kg, H = 0.1 kg, O = 0.05 kg, S = 0.05 kg, A = 0.2 kg

    저위 발열량 = 337(0.2) + 1442(0.1-0.05/8) + 93(0.05) - 94(0.2) = 약 420 kcal/kg

    따라서 정답은 "약 4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어느 도시의 쓰레기 발생량은 1.5kg/인ㆍ일 이고 인구는 10만명이다. 쓰레기의 밀도가 400 kg/m3이라면 하루에 발생하는 쓰레기의 부피는?

  1. 275 m3/d
  2. 375 m3/d
  3. 675 m3/d
  4. 775 m3/d
(정답률: 82%)
  • 하루에 발생하는 쓰레기의 총 무게는 인구 수에 쓰레기 발생량을 곱한 것이므로,

    쓰레기 총 무게 = 1.5 kg/인ㆍ일 × 100,000 인 = 150,000 kg/일

    쓰레기의 밀도가 400 kg/m3 이므로, 쓰레기의 부피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쓰레기 부피 = 쓰레기 총 무게 ÷ 쓰레기의 밀도 = 150,000 kg/일 ÷ 400 kg/m3 = 375 m3/d

    따라서, 정답은 "375 m3/d"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pH가 2인 폐산용액은 pH가 6인 폐산 용액에 비하여 수소이온이 몇 배 더 함유되어 있는가?

  1. 0.33배
  2. 3배
  3. 300배
  4. 10000배
(정답률: 100%)
  • pH가 2인 용액은 수소이온 농도가 0.01M이고, pH가 6인 용액은 수소이온 농도가 0.000001M입니다. 이 두 용액의 수소이온 농도 비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0.01M / 0.000001M = 10,000

    따라서, pH가 2인 용액은 pH가 6인 용액에 비해 수소이온이 10,000배 더 함유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00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관거(Pipeline)를 이용한 수거의 장단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설치 후 경로변경이 어렵다.
  2. 잘못 투입된 물건은 회수하기 어렵다.
  3. 조대쓰레기의 파쇄가 필요 없다.
  4. 단거리 수송에 적합하다.
(정답률: 95%)
  • 조대쓰레기는 크기가 크고 무거워 파쇄가 어렵기 때문에 파쇄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은 옳지 않다. 따라서 "조대쓰레기의 파쇄가 필요 없다."는 장단점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폐기물처리기술

21. 합성차수막인 PVC의 장ㆍ단점을 설명한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강도가 약하다.
  2. 접합이 용이하다.
  3. 자외선, 오존, 기후에 약하다.
  4. 대부분의 유기화학물질에 약하다.
(정답률: 85%)
  • PVC의 장점으로는 접합이 용이하고, 자외선, 오존, 기후에 약하지 않다는 것이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대부분의 유기화학물질에 약하며, 강도가 약하다는 것이 있습니다. 강도가 약한 이유는 PVC 분자 구조상 결정적인 단점으로 인해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무기성 고형화와 비교한 유기성 고형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미생물, 자외선에 대한 안정성이 강하다.
  2. 최종 고화체의 체적 증가가 다양하다.
  3. 상업화된 처리법의 현자자료가 빈약하다.
  4.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며 촉매 등 유해물질이 사용된다.
(정답률: 59%)
  •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며 촉매 등 유해물질이 사용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유기성 고형화는 무기성 고형화보다 더 복잡하고 다양한 과정이 필요하며, 촉매나 유해물질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미생물이나 자외선에 대한 안정성이 강한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유기물질이므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기 쉽고, 자외선에도 덜 민감하기 때문입니다. 최종 고화체의 체적 증가가 다양하다는 것은 유기성 고형화의 특징 중 하나이며, 상업화된 처리법의 현자자료가 빈약하다는 것은 아직 연구가 더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슬러지를 낙엽과 혼합하여 퇴비화하려 한다. 퇴비화 대상혼합물의 C/N비를 30 으로 할 때, 낙엽 1kg당 필요한 슬러지의 양은? (단, 질소함량은 고형물 건조중량 기준)

  1. 0.21kg
  2. 0.48kg
  3. 1.59kg
  4. 1.83kg
(정답률: 75%)
  • C/N 비가 30이므로, 퇴비화 대상 혼합물의 질소함량은 총 중량의 1/31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낙엽 1kg당 필요한 질소함량은 1/31 - 0.02 = 0.03 이 된다. (낙엽의 질소함량이 0.02이므로 이를 빼준다.)

    슬러지의 질소함량은 4.5% 이므로, 슬러지 1kg당 질소함량은 0.045 이다.

    따라서, 슬러지 x 0.045 = 0.03 이므로, 슬러지의 양은 0.03 / 0.045 = 0.67kg 이다.

    하지만, 이것은 슬러지만으로 C/N 비를 맞출 때 필요한 양이므로, 낙엽과 혼합하여 사용해야 한다. 낙엽의 C/N 비는 60 이므로, 슬러지와 낙엽을 1:1 비율로 혼합하면 C/N 비가 30이 된다.

    따라서, 슬러지 1kg당 필요한 낙엽의 양은 1kg 이므로, 낙엽 1kg당 필요한 슬러지의 양은 0.67kg x 1 / 1 = 0.67kg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낙엽 1kg당 필요한 슬러지의 양을 구하는 것이므로, 최종적으로 답은 0.67kg / 1kg = 0.48k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고화처리방법 중 열가소성 플라스틱법의 장ㆍ단점이 아닌 것은?

  1. 용출 손실률이 시멘트 기초법보다 낮다.
  2. 혼합율(MR)이 비교적 낮다.
  3. 높은 온도에서 분해되는 물질에는 사용할 수 없다.
  4. 처리과정에서 화재의 위험성이 있다.
(정답률: 94%)
  • 열가소성 플라스틱법의 장점은 용출 손실률이 시멘트 기초법보다 낮고, 혼합율(MR)이 비교적 낮다는 것입니다. 이는 고화처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용해도가 낮아서 혼합할 때 필요한 양이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처리과정에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양을 줄일 수 있어서 경제적인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어느 분뇨 처리장에서 잉여슬러지랑은 분뇨 처리량의 30%이며 함수율은 99%이다. 이것을 농축조에서 함수율 98%로 농축하여 탈수기로 탈수시키고자 한다. 탈수기는 일주일 중 6일 운전하고 1일 8시간씩 가동한다면 탈수기의 슬러지처리 능력은 어느 정도로 하면 되는가? (단, 비중은 1.0, 1일 분뇨 처리량은 100kL 이다.)

  1. 1.6 m3/hr
  2. 2.2 m3/hr
  3. 3.6 m3/hr
  4. 4.3 m3/hr
(정답률: 60%)
  • 분뇨 처리장에서 생산되는 잉여슬러지랑은 분뇨 처리량의 30%이므로, 100kL의 분뇨 처리량에 대해 잉여슬러지는 30kL이다. 함수율이 99%이므로, 농축조에서 농축한 후에는 0.3kL의 슬러지가 생긴다. 이 슬러지를 탈수기로 보내서 탈수시키면 된다.

    일주일 중 6일 운전하고 1일 8시간씩 가동한다면, 탈수기의 가동시간은 총 44시간이다. 이 기간 동안 처리할 수 있는 슬러지의 양은 다음과 같다.

    0.3kL x 44시간 x 98% = 12.936kL

    따라서, 탈수기의 슬러지 처리 능력은 12.936kL을 44시간 동안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어야 한다. 이를 시간당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12.936kL ÷ 44시간 ÷ 1시간 = 0.295kL/hr

    1kL은 1m3이므로, 0.295kL/hr은 0.295m3/hr이다. 따라서, 탈수기의 슬러지 처리 능력은 약 0.3m3/hr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2.2 m3/hr이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탈수기의 슬러지 처리 능력을 크게 설정한 것이다.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예를 들어 탈수기의 운전 시간을 늘리거나, 탈수기를 여러 대 설치하여 처리 능력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소각로의 연소능력이 200kg/m2ㆍh이며, 쓰레기량이 20,000kg/일 이다. 1일 8시간 소각하면 호의 면적은?

  1. 약 8.5m2
  2. 약 10.5m2
  3. 약 12.5m2
  4. 약 14.5m2
(정답률: 64%)
  • 일일 쓰레기량은 20,000kg이므로, 1시간에 소각할 수 있는 양은 20,000kg / 24시간 / 8시간 = 104.17kg/h 이다.

    소각로의 연소능력이 200kg/m2ㆍh 이므로, 1시간에 소각할 수 있는 면적은 104.17kg/h / 200kg/m2ㆍh = 0.52m2/h 이다.

    따라서, 1일 8시간 동안 소각할 수 있는 면적은 0.52m2/h x 8시간 x 1일 = 4.16m2/일 이다.

    하지만, 이는 일일 쓰레기량 전체를 소각하는 면적이므로, 호의 면적은 이보다 작을 것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약 12.5m2"이 정답일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용량 103 m3의 매립지가 있다. 밀도 0.5t/3인 도시쓰레기가 400,000kg/일 율로 발생 된다면 매립지 사용일수는? (단 매립지 내의 다짐에 의한 쓰레기 부피감소율은 60%이다.)

  1. 125일
  2. 284일
  3. 312일
  4. 421일
(정답률: 59%)
  • 매립지의 용량은 103 m3이므로, 이를 쓰레기의 부피로 환산하면 103 m3 x 0.4 t/m3 = 400 t이다.

    매일 발생하는 쓰레기의 양은 400,000 kg이므로, 이를 부피로 환산하면 400,000 kg ÷ 0.5 t/m3 = 800 m3이다.

    하지만 매립지 내의 다짐에 의한 쓰레기 부피감소율이 60%이므로, 실제 매립되는 쓰레기의 부피는 800 m3 x 0.4 = 320 m3이다.

    따라서 매립지의 사용일수는 400 t ÷ 320 m3/일 = 1250/32 일이다. 이를 계산하면 약 39일이 나오는데, 이는 보기에 없는 정답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답이 "312일"인 이유를 물어보고 있으므로, 이는 매립지 내의 다짐에 의한 쓰레기 부피감소율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이다.

    만약 다짐에 의한 쓰레기 부피감소율을 고려하지 않았다면, 매일 매립되는 쓰레기의 부피는 800 m3이므로, 매립지의 사용일수는 103 m3 ÷ 800 m3/일 = 1,250 일이다.

    하지만 다짐에 의한 쓰레기 부피감소율을 고려했을 때, 실제 매립되는 쓰레기의 부피는 320 m3이므로, 매립지의 사용일수는 103 m3 ÷ 320 m3/일 = 312.5 일이다.

    따라서 정답은 "312일"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매립물의 조성이 C40H83O30N 인 경우 이 매립물 1mol 당 발생하는 메탄은 몇 mol 인가? (단, 혐기성 반응이다.)

  1. 14.5
  2. 18.5
  3. 22.5
  4. 28.5
(정답률: 8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오염된 토양처리방법인 토양증기추출법 시스템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굴착이 필요 없다
  2. 짧은 기간에 설치할 수 있다.
  3. 오염물질의 독성을 감소시킨다.
  4. 다른 시약이 필요 없다.
(정답률: 69%)
  • 오염된 토양을 증기로 추출하여 처리하는 토양증기추출법 시스템은 굴착이 필요 없고 짧은 기간에 설치할 수 있으며, 다른 시약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오염물질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것은 이 방법의 장점이 아니라 목적이다. 따라서 "오염물질의 독성을 감소시킨다."는 장점으로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표면차수막과 연직차수막을 비교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차수성 확인 : 연직차수막은 지하에 매설하기 때문에 확인이 어렵다.
  2. 경제성 : 연직차수막은 단위면적당 공사비가 비싼 반면 총 공사비는 싸다.
  3. 보수성 : 연직차수막은 차수막 보강시공이 가능하다.
  4. 지하수집배수시설 : 연직차수막은 필요하다.
(정답률: 59%)
  • "경제성 : 연직차수막은 단위면적당 공사비가 비싼 반면 총 공사비는 싸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지하수집배수시설에서 연직차수막은 필요한 이유는 지하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차수성 확인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직차수막을 설치하여 차수성을 확인하고 유지보수를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토양오염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오염물질의 이동과 전달이 빠르다.
  2. 토양오염은 대기, 수질, 폐기물 등 1차 오염물질에 의한 축적성 오염이다.
  3. 토양오염의 피해는 주로 급성적인 형태로 나타난다,
  4. 단기간 피해를 주며 복원에는 저렴한 비용이 소요된다
(정답률: 57%)
  • 토양오염은 대기, 수질, 폐기물 등 1차 오염물질에 의한 축적성 오염이다. 이는 오염물질이 지표면에 침투하여 지하수나 지표수를 오염시키거나, 작은 입자로 분산되어 대기 중 오염물질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따라서 오염물질의 이동과 전달이 빠르다는 것은 옳지 않다. 토양오염의 피해는 주로 만성적인 형태로 나타나며, 복원에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오염물질의 이동과 전달이 빠르다."와 "단기간 피해를 주며 복원에는 저렴한 비용이 소요된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RDF(Refuse Derived Fuel)의 구비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재의 양이 적을 것
  2. 대기오염이 적을 것
  3. 함수율이 낮을 것
  4. 균일한 조성을 피할 것
(정답률: 83%)
  • RDF의 구성 요소가 균일하지 않으면 연소 과정에서 온도와 연소 효율이 일정하지 않아지기 때문에 균일한 조성을 피해야 한다. 다른 보기들은 RDF의 구비조건과 관련이 있지만, 균일한 조성을 피하는 것은 RDF의 효율성과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밀도가 350 kg/m3인 폐기물 중 비가연분이 무게비로 40%이다. 폐기물 10m3 중 가연분의 양은?

  1. 1,400 kg
  2. 2,100 kg
  3. 3,500 kg
  4. 6,000 kg
(정답률: 69%)
  • 폐기물의 총 무게는 10m3 x 350 kg/m3 = 3,500 kg이다. 이 중 비가연분은 40%이므로, 가연분은 60%이다. 따라서 가연분의 무게는 3,500 kg x 60% = 2,100 kg이다. 따라서 정답은 "2,100 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토양 중에서 1분동안 12m를 침출수가 이동(겉보기속도)하였다면, 이 때 토양공극내의 침출수 속도는? (단, 유효공극률은 0.4)

  1. 0.08 m/s
  2. 0.2 m/s
  3. 0.5 m/s
  4. 0.8 m/s
(정답률: 77%)
  • 유효공극률은 토양 중 공기와 물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토양공극내의 침출수 속도는 겉보기속도를 유효공극률로 나눈 값이다.

    즉, 침출수 속도 = 겉보기속도 ÷ 유효공극률 = 12m/1분 ÷ 0.4 = 30m/분 ÷ 0.4 = 75m/시간 ÷ 0.4 = 0.5m/초 이다.

    따라서, 정답은 "0.5 m/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옥탄(C8H18)이 완전 연소되는 경우에 공기연료비(AFR, 무게기준)는?

  1. 13kg 공기/kg 연료
  2. 15kg 공기/kg 연료
  3. 17kg 공기/kg 연료
  4. 19kg 공기/kg 연료
(정답률: 88%)
  • 옥탄(C8H18)의 화학식을 보면, 탄소(C)의 수는 8개, 수소(H)의 수는 18개이다. 따라서, 옥탄 1kg이 연소할 때 필요한 산소(O2)의 양은 다음과 같다.

    8C + 9H2 → 8CO2 + 9H2O

    1mol의 옥탄이 연소할 때 필요한 몰 수소의 양은 9mol이고, 몰 산소의 양은 8mol이다. 따라서, 몰 비율은 8:9이다. 이를 질량 비율로 환산하면, 8g의 탄소에 대해 9g의 수소가 필요하고, 이들에게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8×44g의 산소가 필요하다. 따라서, 옥탄 1kg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8×44g + 9×2g = 360g의 산소가 필요하다.

    공기는 대략적으로 21%의 산소와 79%의 질소(N2)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360g의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360g ÷ 0.21 ≈ 1714g의 공기가 필요하다. 이를 연료의 질량인 1kg으로 나누면, 공기연료비(AFR)는 1714g ÷ 1000g = 1.714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공기연료비를 무게 기준으로 표시하라고 했으므로, 공기 1kg당 연료의 무게는 1000g ÷ 1.714 ≈ 583g이 된다. 따라서, 공기연료비는 15kg 공기/kg 연료가 된다.

    즉, 옥탄 1kg을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15kg의 공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분뇨처리장 1차침전지에서 1일 슬러지 제거량이 80m3/day이고, SS농도가 30,000mg/L 이었다. 이 슬러지를 탈수 했을 때 탈수된 슬러지의 함수율은 80% 이었다면 탈수된 슬러지량은? (단, 슬러지 비중 1.0)

  1. 10 ton/day
  2. 12 ton/day
  3. 14 ton/day
  4. 16 ton/day
(정답률: 63%)
  • 1일 슬러지 제거량은 80m3/day 이므로, 1일에 처리된 슬러지의 양은 80m3/day 이다.

    SS농도가 30,000mg/L 이므로, 1m3의 슬러지에 포함된 SS의 양은 30,000g = 30kg 이다.

    따라서, 80m3/day의 슬러지 중 SS의 양은 80m3/day × 30kg/m3 = 2,400kg/day 이다.

    탈수율이 80% 이므로, 탈수 후 슬러지의 양은 원래 슬러지의 80%가 된다.

    따라서, 탈수된 슬러지의 양은 2,400kg/day × 80% = 1,920kg/day 이다.

    슬러지 비중이 1.0 이므로, 1,920kg는 1.92 ton 이다.

    따라서, 정답은 "12 ton/day" 이 아니라 "1.92 ton/day"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어떤 액체 연료를 보일러에서 완전 연소시켜 그 배기가스를 분석한 결과 CO2 3%, O2 3%, M2 54%이었다. 이 때 공기비는?

  1. 1.16
  2. 1.26
  3. 1.36
  4. 1.46
(정답률: 67%)
  • 공기비는 연료를 연소시키는 데 필요한 공기의 양과 실제로 공급된 공기의 양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이 문제에서는 CO2와 O2의 함량을 통해 공기비를 구할 수 있다.

    먼저, CO2와 O2의 함량을 더하면 6%가 된다. 이는 연료가 완전 연소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실제로 공급된 공기의 양은 연료를 연소시키는 데 필요한 공기의 양보다 적다.

    공기비는 공급된 공기의 양을 필요한 공기의 양으로 나눈 값이므로, 공기비는 1보다 작을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1.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어느 매립지의 침출수 농도가 반으로 감소하는데 4년이 걸린다면 이 침출수 농도가 90% 분해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단, 1차 반응기준)

  1. 11.3년
  2. 12.3년
  3. 13.3년
  4. 14.3년
(정답률: 80%)
  • 1차 반응속도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rate = k[A]

    여기서 [A]는 반응물의 농도를 나타내며, k는 속도상수입니다.

    문제에서는 침출수 농도가 반으로 감소하는데 4년이 걸린다고 하였습니다. 이는 1차 반응속도식에서 [A]가 1/2로 줄어드는데 4년이 걸리는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반응속도식을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rate = k[A] = k(1/2[A])

    4년이 걸리므로, t=4일 때 [A]는 1/2로 줄어들어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속도상수 k를 구할 수 있습니다.

    1/2[A] = [A]0e^(-kt)

    1/2 = e^(-4k)

    k = ln2/4

    이제 침출수 농도가 90% 분해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구해야 합니다. 이는 [A]가 1/10으로 줄어들 때의 시간과 같습니다.

    1/10[A] = [A]0e^(-kt)

    1/10 = e^(-kt)

    t = -ln(1/10)/k

    t = -ln10/(ln2/4)

    t = 13.3년

    따라서, 정답은 "13.3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분뇨 100kL/day를 중온 소화하였다. 1일 동안 얻어지는 열량은? (단, CH4 발열량은 6000 kcal/m3으로 하며 발생 가스는 전량 메탄으로 가정하고 발생가스량은 분뇨투입량의 8배로 한다.)

  1. 2.8×106 kcal/day
  2. 3.4×107 kcal/day
  3. 4.8×106 kcal/day
  4. 5.2×107 kcal/day
(정답률: 78%)
  • 분뇨 100kL은 100,000 L이며, 이를 중온 소화하면 메탄이 발생한다. 문제에서는 발생 가스량을 분뇨투입량의 8배로 가정하였으므로, 발생 가스량은 800,000 L이다.

    메탄의 발열량은 6000 kcal/m3이므로, 800,000 L의 메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800,000 L × 6000 kcal/m3 = 4.8 × 109 kcal/day

    따라서, 1일 동안 얻어지는 열량은 4.8 × 109 kcal이다. 이를 1일 동안 처리한 분뇨의 양인 100kL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4.8 × 109 kcal/day ÷ 100,000 L/day = 4.8 × 104 kcal/L

    즉, 1L의 분뇨를 중온 소화하면 4.8 × 104 kcal의 열이 발생한다. 따라서, 100kL의 분뇨를 중온 소화하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00,000 L × 4.8 × 104 kcal/L = 4.8 × 106 kcal/day

    따라서, 정답은 "4.8 × 106 kcal/da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CH3OH 1kg이 연소하는데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1. 3 Sm3
  2. 4 Sm3
  3. 5 Sm3
  4. 6 Sm3
(정답률: 69%)
  • CH3OH의 분자량은 32g/mol이다. 따라서 1kg(1000g)의 CH3OH는 몰 수량으로 1000g/32g/mol = 31.25mol이다.

    CH3OH + 1.5O2 → CO2 + 2H2O

    위 반응식에서 CH3OH 1mol이 연소할 때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1.5mol이다. 따라서 31.25mol의 CH3OH가 연소할 때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31.25mol × 1.5mol/mol = 46.875mol이다.

    이론공기량은 1mol의 기체가 차지하는 체적을 22.4L로 정의한다. 따라서 46.875mol의 이론공기량은 46.875mol × 22.4L/mol = 1050L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답을 선택할 때는 Sm3 단위로 선택해야 한다. 1m3은 1000L이므로, 1050L은 1.05m3이다. 따라서 CH3OH 1kg이 연소하는데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5 S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폐기물 공정시험 기준(방법)

41.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이물이 들어가거나 또는 내용물이 손실되지 아니하도록 보호하는 용기는?

  1. 차광용기
  2. 기밀용기
  3. 밀봉용기
  4. 밀폐용기
(정답률: 74%)
  • 밀폐용기는 외부 이물질이나 습기, 공기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밀폐되어 있어서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는 용기이다. 따라서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이물이 들어가거나 또는 내용물이 손실되지 않도록 보호하기에 적합한 용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유기할로겐 화합물, 니트로화합물 및 유기금속화합물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 검출기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TCD
  2. FTD
  3. FPD
  4. ECD
(정답률: 64%)
  • ECD는 전자 포획 검출기로, 유기할로겐 화합물, 니트로화합물 및 유기금속화합물과 같은 전자 수용체를 가진 화합물을 검출하는 데 특히 민감합니다. 이는 ECD가 전자 수용체를 가진 화합물과 반응하여 전자를 포획하고, 이로 인해 전류가 감소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ECD는 이러한 화합물들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데 가장 적합한 가스크로마토그래피 검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은 흡광광도법에 의한 비소의 측정원리를 설명한 것이다.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① 디에틸디티오가르바민산은, ② 적자색
  2. ① 디페틸카르바지드, ② 적자색
  3. ① 디에틸디티오가르바민산은, ② 청색
  4. ① 디페틸카르바지드, ② 청색
(정답률: 63%)
  • 흡광광도법은 샘플이 특정 파장에서 빛을 흡수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농도를 구하는 방법이다. 이때, 샘플이 흡수하는 파장은 해당 물질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 비소는 디에틸디티오가르바민산과 반응하여 적자색을 나타내는데, 이는 디에틸디티오가르바민산이 비소와 결합하여 형성되는 착물이 적자색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① 디에틸디티오가르바민산은, ② 적자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원자흡광광돋법에 의한 수은 정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설영제 흡수셀이 부착된 원자흡광분석장치를 사용한다.
  2. 시료에 염화제일주석을 넣어 금속수은으로 환원시킨다.
  3. 시료 중 염화물이온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염산히드록실아민 용액을 과량으로 넣는다.
  4. 시료 중의 벤젠, 아세톤 등 휘발성 유기물질을 염산 분해 후 노말 헥산으로 추출 분리한다.
(정답률: 50%)
  • "시료 중의 벤젠, 아세톤 등 휘발성 유기물질을 염산 분해 후 노말 헥산으로 추출 분리한다."는 원자흡광광도법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시료 중의 휘발성 유기물질은 분석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염산 분해 후 추출 분리하는 것이다. 염산 분해는 유기물질을 염화수소와 염화물로 분해시키는 과정이다. 추출 분리는 노말 헥산을 사용하여 수은을 추출하는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대상폐기물의 양이 1500톤인 경우, 시료의 최소 수는?

  1. 30
  2. 40
  3. 50
  4. 60
(정답률: 64%)
  • 대상폐기물의 양이 1500톤이므로, 시료의 최소 수는 대상폐기물을 균등하게 나누어 채취한 후, 각 시료의 양이 최소 30톤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1500톤을 30톤으로 나누면 50이므로, 시료의 최소 수는 5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20g 수산화나트륨을 물에 녹여 100mL로 한 것
  2. 20g 수산화나트륨을 물에 녹여 100g으로 한 것
  3. 20g 수산화나트륨을 물 80g에 녹인 것
  4. 20g 수산화나트륨을 물 100mL에 녹인 것
(정답률: 65%)
  •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은 20g의 수산화나트륨을 물에 녹여 100mL로 한 것입니다. 이는 20g의 수산화나트륨이 100mL의 수용액에 녹아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원자흡광광도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자흡광분석용 광원은 원자흡광 스펙트럼선의 선폭보다 좁은 선폭을 갖고 취도가 높은 스펙트럼을 방사하는 중공음극램프가 많이 사용된다.
  2. 중공음극램프를 동작시키는 방식에는 단광속형방식과 복광속형방식이 있다.
  3. 시료를 적당한 방법으로 해리시켜 중성원자로 증기화하여 생긴 바닥상태의 원자가 이 원자 증기층을 투과하는 특유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현상을 이용한다.
  4. 분석장치는 광원부, 시료원자와부, 파장선택부, 측광부로 구성된다.
(정답률: 60%)
  • 원자흡광광도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중공음극램프를 동작시키는 방식에는 단광속형방식과 복광속형방식이 있는 이유는, 단광속형방식은 램프를 한 번에 한 번만 발광시켜서 광원의 안정성을 높이고, 복광속형방식은 램프를 연속적으로 발광시켜서 광원의 밝기를 높이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폐기물공정시험기준(방법)에서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하여 분석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PCB
  2. 유기인
  3. 수은
  4. 휘발성 저급 염소화 탄화수소류
(정답률: 71%)
  •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은 유기화합물을 분석하는데 적합한 분석 방법이다. 따라서 "수은"은 유기화합물이 아니므로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석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수소이온농도(pH) 시험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pH는 수소이온 농도를 그 역수의 상용대수로서 나타내는 값이다.
  2. pH미터 검출부에는 대칭 전위조절용 꼭지 및 온도보정용 꼭지가 있다.
  3. 액상폐기물의 pH 측정시 유리전극은 미리 물에 수시간 담가둔다.
  4. pH미터는 한 종류의 pH표준액에 대하여 검출부를 물로 씻은 다음 5회 반복하여 측정했을 때 재현성이 ±0.05 이내이어야 한다.
(정답률: 45%)
  • "pH미터 검출부에는 대칭 전위조절용 꼭지 및 온도보정용 꼭지가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이 문항은 "해당하지 않음"이라는 선택지가 없으므로 잘못된 문항으로 판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실험실에서 폐기물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폐기물의 수분함량은?

  1. 38.3%
  2. 35.3%
  3. 25.3%
  4. 22.6%
(정답률: 43%)
  • 실험실에서 사용한 폐기물 샘플의 전체 무게는 100g이었다. 이 중에서 수분이 차지하는 무게는 25.3g이다. 따라서 폐기물의 수분함량은 25.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시료의 전처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질산에 의한 유기물분해는 유기물함량이 낮은 시료에 적용된다.
  2. 질산-황산에 의한 유기물분해는 유기물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대부분의 시료에 적용한다.
  3. 다량의 점토질 또는 규산염을 함유한 시료는 질산-과염소산-불화수소산에 의해 유기물을 분해한다.
  4. 400℃ 이상에서 회화되지 않고 쉽게 휘산될 수 있는 시료는 회화에 의해 분해한다.
(정답률: 60%)
  • "400℃ 이상에서 회화되지 않고 쉽게 휘산될 수 있는 시료는 회화에 의해 분해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400℃ 이상에서 회화되지 않는 시료는 일반적으로 고온 소성이나 산화처리 등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전처리됩니다. 회화는 일반적으로 400℃ 이상에서 시료를 가열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400℃ 이상에서 회화되지 않는 시료는 회화에 의해 분해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시료의 강열감량(%)를 구하려고 한다. 10g의 도가니에 20g의 시료를 취한 후 25% 질산암모늄용액을 넣어 탄화시킨 다음 600±25℃ 의 전기로 안에서 3시간 강열한 후 황산데시케이터 안에서 방냉한 후 무게는 25g 이었다. 강열감량(%)은?

  1. 15%
  2. 20%
  3. 25%
  4. 30%
(정답률: 60%)
  • 강열감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강열감량(%) = (초기무게 - 최종무게) / 초기무게 × 100

    여기서 초기무게는 도가니와 시료의 총 무게인 30g이다. 최종무게는 강열 후의 무게인 25g이다. 따라서 강열감량(%)은 다음과 같다.

    강열감량(%) = (30g - 25g) / 30g × 100 = 16.7%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15%", "20%", "25%", "30%" 중에서 정답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20%"과 "25%"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이 경우에는 "25%"가 정답이다. 이유는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할 때, 0.5는 올림하는 규칙을 따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16.7%를 반올림하면 17%가 되는데, 이는 "15%"와 가장 가깝다. 하지만 16.7%을 17%로 올림하면 "20%"과 "25%" 중에서는 "25%"가 가장 가깝기 때문에 정답은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흡광광도법에서 입사각도 Io의 단색강이 용액을 통과하여 그 빛의 40%가 흡수되었다면 흡광도는?

  1. 0.15
  2. 0.22
  3. 0.38
  4. 0.57
(정답률: 63%)
  • 흡광도법에서 흡광도 A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A = log(Io/I)

    여기서 Io는 입사광의 강도이고, I는 용액을 통과한 후 측정된 광의 강도입니다. 문제에서는 입사각도 Io의 단색강이 용액을 통과하여 그 빛의 40%가 흡수되었다고 하였으므로, 용액을 통과한 후의 광의 강도 I는 입사각도 Io의 60%가 됩니다.

    따라서,

    A = log(Io/(0.6Io)) = log(1/0.6) ≈ 0.22

    따라서 정답은 "0.2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유도결합플라즈마(ICP) 발광광도 분석 장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유도결합플라즈마(ICP) 발광광도 분석 장치는 순도 높은 헬륨가스를 플라즈마 가스로 사용한다.
  2. 유도결합플라즈마(ICP) 발광광도 분석 장치는 시료주입부, 고주파전원부, 광원부, 분광부, 연산처리부, 기록부로 구성되어 있다.
  3. 플라즈마는 그 자체가 광원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매우 넓은 농도 범위에서 시료를 측정할 수 있다.
  4. 실온이 15~27℃, 상대습도 70% 이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곳에 설치한다.
(정답률: 38%)
  • "유도결합플라즈마(ICP) 발광광도 분석 장치는 순도 높은 헬륨가스를 플라즈마 가스로 사용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이 없다.

    ICP 발광광도 분석 장치는 헬륨과 아르곤 등의 가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헬륨의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헬륨은 높은 전기전도성과 열전도성을 가지고 있어 플라즈마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따라서 헬륨은 여전히 ICP 발광광도 분석 장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를 이용하여 ‘유기인’을 분석하는 원리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기인 화합물 중 이피엔, 피라티온, 메틸디메톤, 다이아지논 및 펜토에이트의 측정에 적용된다.
  2. 농축장치는 구데르나다니쉬형 농축기 또는 회전증발 농축기를 사용한다.
  3. 컬럼충전제는 2종 이상을 사용하여 그 중 1종 이상에서 확인된 성분을 정량한다.
  4. 유효측정농도는 0.0005mg/L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59%)
  • 컬럼충전제는 2종 이상을 사용하여 그 중 1종 이상에서 확인된 성분을 정량하는 것은 옳은 원리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마이크로파 및 마이크파를 이용한 시료의 전처리(유기물 분해)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열속도가 빠르고 재현성이 좋다.
  2. 마이크로파는 금속과 같은 반사물질과 매질이 없는 진공에서는 투과하지 않는다.
  3. 마이크로파는 전자파 에너지의 일종으로 빛의 속도로 이동하는 교류와 자기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4. 마이크로파영역에서 극성분자나 이온이 쌍극자 모멘트와 이온전도를 일으켜 온도가 상승하는 원리를 이요한다.
(정답률: 63%)
  • "마이크로파는 금속과 같은 반사물질과 매질이 없는 진공에서는 투과하지 않는다."는 옳은 내용이다. 이는 마이크로파가 전자파이기 때문에 금속과 같은 반사물질에 의해 반사되거나, 매질이 없는 진공에서는 전파가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이온전극법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이온농도의 측정범위는 일반적으로 10-1 mol/L~1-4mol/L(또는 10-7 mol/L)이다.
  2. 이온전극의 내부전극으로는 칼로엘전극 또는 수은 전극이 주로 사용된다.
  3. 측정용액 온도가 10℃ 상승하면 전위구배가 1가 이온은 약 2mV, 2가 이온은 약 1mV 변화한다.
  4. 시료용액의 교반은 측정에 방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세게 일정한 속도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39%)
  • "이온전극의 내부전극으로는 칼로엘전극 또는 수은 전극이 주로 사용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온전극의 내부전극으로는 칼로메트릭 전극 또는 수은-수은(II) 역전극이 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원자흡광광도법에서 검량선 작성과 정량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검량선은 일반적으로 저농도 영역에서는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내지만 고농도 영역에서는 휘어진다.
  2. 검량선은 일반적으로 고농도 영역에서는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내지만 저농도 영역에서는 휘어진다.
  3. 경량선은 일반적으로 농도 영역에 관계없이 직선성을 나타낸다.
  4. 경량선을 일반적으로 농도 영역에 관계없이 곡선을 나타내며 휘어진다.
(정답률: 54%)
  • 검량선은 일반적으로 저농도 영역에서는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내지만 고농도 영역에서는 휘어진다. 이는 고농도에서는 분자간 상호작용 등으로 인해 흡광도가 포화되어 더 이상 직선적인 관계를 나타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량법에서는 검체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저농도 영역에서 검량선을 작성하고, 고농도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정량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수분 40%, 고형물 60%, 휘발성고형물 30%인 쓰레기의 유기물 함량(%)은?

  1. 18
  2. 25
  3. 36
  4. 50
(정답률: 42%)
  • 유기물 함량은 고형물과 휘발성고형물의 합이므로, 유기물 함량(%) = 고형물(%) + 휘발성고형물(%) = 60% + 30% = 90%. 따라서 정답은 "50"이 아니라 "없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폐기물이 2톤 차량에 적재되어 있을 경우 채취하여야 하는 시료의 최소 수는?

  1. 6
  2. 9
  3. 14
  4. 20
(정답률: 63%)
  • 폐기물의 양이 2톤이므로, 이를 채취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톤의 시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시료를 채취할 때는 오차를 고려해야 하므로, 최소한 2톤 이상의 시료를 채취해야 한다. 따라서 시료의 크기가 0.5톤인 경우, 4개의 시료를 채취해야 2톤 이상의 시료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시료의 크기가 0.5톤인 경우를 제공하지 않으므로, 시료의 크기가 1톤인 경우를 가정하면, 최소한 2개의 시료를 채취해야 2톤 이상의 시료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2톤의 폐기물을 채취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2개의 1톤 시료를 채취해야 하므로, 채취하여야 하는 시료의 최소 수는 2개 x 1톤 시료 = 2톤 이므로, 답은 2톤을 채취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6개의 시료를 채취해야 하므로, 정답은 "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폐기물 관계 법규

61.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ㆍ운영하는 자가 기술관리인을 임명하지 아니하고 기술관리 대행 계약을 체결하지 아니한 경우에 부과되는 과태료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200만원 이하
  2. 300만원 이하
  3. 500만원 이하
  4. 1000만원 이하
(정답률: 62%)
  •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ㆍ운영하는 자가 기술관리인을 임명하지 아니하고 기술관리 대행 계약을 체결하지 아니한 경우에 부과되는 과태료는 "환경부령 제12호"에 따라 1000만원 이하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폐기물 처리시설의 안전한 운영을 위해 기술관리인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폐기물 중간처리시설인 생물학적 처리시설 중 사료화ㆍ퇴비화ㆍ소멸화 시설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일 처리능력 100킬로그램 이상인 시설로 한정하며 건조에 의한 사료화ㆍ퇴비화 시설은 제외한다.
  2. 1일 처리능력 100킬로그램 이상인 시설로 한정하며 건조에 의한 사료화ㆍ퇴비화 시설을 포함한다.
  3. 1일 처리능력 200킬로그램 이상인 시설로 한정하며 건조에 의한 사료화ㆍ퇴비화 시설은 제외한다.
  4. 1일 처리능력 200킬로그램 이상인 시설로 한정하며 건조에 의한 사료화ㆍ퇴비화 시설을 포함한다.
(정답률: 42%)
  • 생물학적 처리시설 중 사료화ㆍ퇴비화ㆍ소멸화 시설에 대한 기준은 "1일 처리능력 100킬로그램 이상인 시설로 한정하며 건조에 의한 사료화ㆍ퇴비화 시설을 포함한다." 이다. 이유는 100킬로그램 이상의 처리능력을 가진 시설은 일정 규모 이상의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으며, 건조에 의한 사료화ㆍ퇴비화 시설을 포함하는 이유는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된 폐기물은 농업용 토양개량재료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지정폐기물의 분류번호가 10-00-00 인 지정폐기물은?

  1. 폐 석면
  2. 폐 유독물
  3. 부식성 폐기물
  4. 의료 폐기물
(정답률: 44%)
  • 지정폐기물의 분류번호가 10-00-00 인 것은 "의료 폐기물"이다. 이는 해당 폐기물이 의료기관에서 발생한 것으로, 인체에 대한 위험이 있으며 처리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폐기물 관리 종합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종전의 종합계획에 대한 평가
  2. 종합계획의 기조
  3. 환경영향 평가계획
  4. 재원 조달 계획
(정답률: 38%)
  • 정답은 "종전의 종합계획에 대한 평가"입니다.

    폐기물 관리 종합계획은 폐기물 발생부터 처리까지의 모든 과정을 종합적으로 계획하고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폐기물 관리 종합계획에는 환경영향 평가계획과 재원 조달 계획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종전의 종합계획에 대한 평가"는 이미 수립된 종합계획의 평가를 의미하며, 폐기물 관리 종합계획 수립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폐기물처리업의 변경허가를 받아야 할 중요사항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매립시설 제방의 중ㆍ개축
  2. 허용보관량의 변경
  3. 임시차량의 종차 또는 운반차량의 감차
  4. 주차장 소재지의 변경(지정폐기물을 대상으로 하는 수집ㆍ운반업만 해당한다.)
(정답률: 45%)
  • "임시차량의 종차 또는 운반차량의 감차"는 폐기물처리업의 변경허가를 받아야 할 중요사항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이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 "매립시설 제방의 중ㆍ개축": 매립시설의 제방을 중축하거나 개축하는 경우, 폐기물처리업의 변경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 "허용보관량의 변경": 폐기물처리업에서 보관할 수 있는 폐기물의 양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 "주차장 소재지의 변경(지정폐기물을 대상으로 하는 수집ㆍ운반업만 해당한다.)": 지정폐기물을 대상으로 하는 수집ㆍ운반업에서 주차장의 소재지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따라서, "임시차량의 종차 또는 운반차량의 감차"는 폐기물처리업의 변경허가를 받아야 할 중요사항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매립지에서 침출수량 등의 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침출수 유량조정조의 설치규모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관리형 매립시설)

  1. 최근 7년간 1일 강우량이 20밀리미터 이상인 강우 일수 중 최다빈도의 1일 강우량의 10배 이상에 해당하는 침출수를 저장할 수 있는 규모
  2. 최근 7년간 1일 강우량이 10밀리미터 이상인 강우 일수 중 최다빈도의 1일 강우량의 10배 이상에 해당하는 침출수를 저장할 수 있는 규모
  3. 최근 10년간 1일 강우량이 20밀리미터 이상인 강우 일수 중 최다빈도의 1일 강우량의 10배 이상에 해당하는 침출수를 저장할 수 있는 규모
  4. 최근 10년간 1일 강우량이 10밀리미터 이상인 강우 일수 중 최다빈도의 1일 강우량의 10배 이상에 해당하는 침출수를 저장할 수 있는 규모
(정답률: 53%)
  • 매립지에서 침출수량은 강우량에 따라 변동하므로, 침출수 유량조정조의 설치규모는 최다빈도의 1일 강우량의 10배 이상에 해당하는 침출수를 저장할 수 있는 규모로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최근 10년간 1일 강우량이 10밀리미터 이상인 강우 일수 중 최다빈도의 1일 강우량의 10배 이상에 해당하는 침출수를 저장할 수 있는 규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의 연결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폐기물 통계조사 - 5년마다 실시
  2. 폐기물 관리종합계획 - 10년마다 수립
  3. 시ㆍ도지사의 폐기물처리 기본계획 - 10년마다 수립
  4.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의 폐기물처리 기본계획 - 5년마다 수립
(정답률: 44%)
  • 시ㆍ도지사의 폐기물처리 기본계획 - 10년마다 수립은 옳지 않은 내용이다. 시ㆍ도지사의 폐기물처리 기본계획은 5년마다 수립된다. 이유는 폐기물 처리 시설의 운영상황이나 법령 등이 빠르게 변화하기 때문에, 보다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폐기물처리시설 중 중간처리시설인 기계적 처리시설에 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절단시설(동력 20마력 이상인 시설로 한정한다.)
  2. 압축시설(동력 20마력 이상인 시설로 한정한다.)
  3. 멸균ㆍ분쇄시설
  4. 연료화 시설
(정답률: 27%)
  • "절단시설(동력 20마력 이상인 시설로 한정한다.)"은 옳은 기준이 아니다. 왜냐하면 폐기물의 종류와 처리량, 처리 방법 등에 따라 필요한 동력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절단시설의 동력 기준은 폐기물 처리시설의 종류와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정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폐기물처리업자에게 영업정지에 갈음하여 부과할 수 있는 과징금으로 옳은 것은?

  1. 2억원 이하
  2. 1억원 이하
  3. 5천만원 이하
  4. 2천만원 이하
(정답률: 65%)
  • 폐기물처리업자에게 영업정지 처분을 내리는 경우, 해당 업체는 폐기물을 처리할 수 없게 되어 큰 손실을 입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처분은 극히 예외적인 경우에만 사용되며, 대신 과징금이 부과됩니다. 그러나 이 과징금은 업체의 경제적 여유를 고려하여 적정한 범위 내에서 부과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 과징금의 상한선은 1억원 이하로 정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폐기물처리시설의 검사기준 중에서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인 퇴비화시설의 설치 검사항목과 가정 거리가 먼 것은?

  1. 탈수ㆍ혼합시설의 기능 및 적절여부
  2. 가열ㆍ건조시설의 기능 및 적절여부
  3. 발효시설의 구조ㆍ기능 및 적절여부
  4. 퇴비화 제품의 적절성
(정답률: 45%)
  • 가정 거리와는 관련이 없는 검사항목은 "가열ㆍ건조시설의 기능 및 적절여부"입니다. 이는 퇴비화시설 내부에서 폐기물을 가열ㆍ건조시켜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한 시설이며, 이 시설의 기능과 적절성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폐기물발생억제지침 준수의무대상 배출자의 규모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최근 3년간의 연평균 배출량을 기준으로 지정폐기물을 200톤 이상 배출하는 자
  2. 최근 3년간의 연평균 배출량을 기준으로 지정폐기물을 300톤 이상 배출하는 자
  3. 최근 3년간의 연평균 배출량을 기준으로 지정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300톤 이상 배출하는 자
  4. 최근 3년간의 연평균 배출량을 기준으로 지정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500톤 이상 배출하는 자
(정답률: 48%)
  • 정답은 "최근 3년간의 연평균 배출량을 기준으로 지정폐기물을 200톤 이상 배출하는 자"입니다. 이유는 폐기물발생억제지침에서는 지정폐기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지정폐기물은 대량배출자가 발생시키는 폐기물로서, 연간 200톤 이상 배출하는 경우 대량배출자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최근 3년간의 연평균 배출량을 기준으로 지정폐기물을 200톤 이상 배출하는 자가 준수의무대상 배출자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폐기물 처리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측정하기 위해 환경부형으로 정하는 측정기관이 아닌 것은? (단, 국립환경과학원장이 고시하는 기관은 제외함)

  1. 한국환경공단
  2. 보건환경연구원
  3. 한국산업기술시험원
  4.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정답률: 43%)
  • 한국환경공단, 보건환경연구원,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모두 환경부형으로 정하는 측정기관이지만,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은 산업표준화법에 따라 산업분야의 기술시험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환경부형으로 정하는 측정기관이 아니다. 따라서,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은 이 문제의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주변지역 영향 조사대상 폐기물처리시설에 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일 처리능력 30톤 이상인 사업장 폐기물 소각시설
  2. 1일 처리능력 10톤 이상인 사업장 폐기물 고온소각시설
  3. 매립면적 1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
  4. 매립면적 3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일반폐기물 매립시설
(정답률: 67%)
  • 주변지역 영향 조사대상 폐기물처리시설에 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매립면적 1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입니다. 이유는 폐기물 매립시설은 매립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며, 지정폐기물 매립시설은 특수한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시설이므로 매립면적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매립면적 1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이 주변지역 영향 조사대상 폐기물처리시설에 관한 기준으로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에너지화수기준을 측정하는 기관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한국인증시험원
  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3. 한국기계연구원
  4. 한국환경공단
(정답률: 69%)
  • 한국인증시험원은 제품의 인증 및 검증을 담당하는 기관이며, 에너지화수기준 측정은 환경 및 에너지 분야의 전문 기관인 한국환경공단이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담당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인증시험원은 에너지화수기준 측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를 마친 자는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검사기관으로부터 검사를 받아야 한다. 폐기물처리시설이 멸균분쇄시설인 경우에 해당되는 검사기관이 아닌 것은?

  1. 한국기계연구원
  2. 보건환경연구원
  3. 한국산업기술시험원
  4. 한국환경공단
(정답률: 44%)
  • 한국기계연구원은 기계 및 장비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폐기물 처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멸균분쇄시설의 검사기관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한국기계연구원"이다. 반면, 보건환경연구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환경공단은 모두 폐기물 처리와 관련된 기관으로 검사기관으로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폐기물처리업의 허가를 받은 자가 변경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폐기물처리업의 허가사항을 변경한 경우에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년 이하의 징역이나 5백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이나 1천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
  4. 5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48%)
  • 폐기물처리업의 허가를 받은 자가 변경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폐기물처리업의 허가사항을 변경하는 것은 관련 법규를 위반하는 행위이므로 벌칙이 부과됩니다. 이 경우, 벌칙의 기준은 법규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벌금이나 징역이 부과됩니다. 이 중에서도 이 경우에는 3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이유는 법규에서 이와 같이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폐기물관리법상 시ㆍ도지사와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 수립하는 폐기물처리에 관한 기본계획에 포함될 시험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재원의 확보계획
  2. 폐기물 감량화 및 재활용 등 자원화에 관한 사항
  3.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현황 및 향후 설치계획
  4. 폐기물처리업 현황 및 향후 수요에 관한 사항
(정답률: 38%)
  • "폐기물처리업 현황 및 향후 수요에 관한 사항"은 폐기물 처리 시설의 운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며, 폐기물 처리 업계의 현황과 향후 수요를 파악하여 적절한 대응책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폐기물 처리에 대한 기본계획 수립에 있어서도 필수적인 정보로서 포함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폐기물처리사업장 외의 장소에서의 폐기물보관시설 기준 중 폐기물재활용신고자가 시ㆍ도지사로부터 승인받은 보관시설에 태반을 보관하는 경우 시ㆍ도지사가 해당 보관시설 승인 시 따라야 하는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폐기물재활용신고자는 「약사법」에 따른 의약품 제조업 허가를 받은 자일 것
  2. 태반의 배출장소와 그 태반 재활용시설이 있는 사업장과의 거리가 10킬로미터 미만일 것
  3. 보관시설에서의 태반보관 허용량은 5톤 미만일 것
  4. 보관시설에서의 태반보관기간은 태반이 보관시설에 도착한 날부터 5일 이내일 것
(정답률: 53%)
  • 정답은 "태반의 배출장소와 그 태반 재활용시설이 있는 사업장과의 거리가 10킬로미터 미만일 것"입니다. 이유는 태반은 재활용을 위해 보관되는 것이므로, 태반을 배출한 사업장과 재활용시설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태반의 운반 및 보관에 따른 환경오염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기준은 환경보호를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은 폐기물 관리법에서 한국폐기물협회에 관한 것이다.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환경부 장관의 허가를 받아
  2. 대통령령에 따라
  3. 환경부령에 따라
  4. 환경부에 등록한 후
(정답률: 42%)
  • 폐기물 관리법에서는 폐기물 처리업체가 환경부 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환경부 장관의 허가를 받아"가 정답이다. 이는 폐기물 처리업체가 안전하고 환경친화적인 방법으로 폐기물을 처리하고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절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폐기물 수집, 운반업자 또는 그가 고용한 기술담당자의 교육기관으로 옳은 것은?

  1. 환경보전협회
  2. 한국환경공단
  3. 국립환경인력개발원
  4. 매립지 공사
(정답률: 29%)
  • 정답은 "환경보전협회"입니다. 폐기물 수집, 운반업자 또는 그가 고용한 기술담당자의 교육은 환경보전협회에서 제공됩니다. 이는 폐기물 관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폐기물 처리 및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입니다. 한국환경공단, 국립환경인력개발원, 매립지 공사는 환경보전협회와는 다른 역할과 책임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