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9-05)

폐기물처리산업기사
(2010-09-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폐기물개론

1. 쓰레기 중 가연성 쓰레기가 30%이다. 밀도가 550kg/m3인 쓰레기 3m3의 가연성 물질의 중량은 얼마인가?

  1. 415kg
  2. 435kg
  3. 455kg
  4. 495kg
(정답률: 80%)
  • 가연성 쓰레기의 비율이 30%이므로, 3m3의 쓰레기 중 가연성 쓰레기의 부피는 0.3 x 3m3 = 0.9m3이다.

    부피가 0.9m3인 가연성 쓰레기의 질량은 밀도 x 부피 = 550kg/m3 x 0.9m3 = 495kg이다.

    따라서 정답은 "495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의 폐기물의 성상분석의 절차 중 가장 먼저 시행하는 것은?

  1. 물리적 조성
  2. 분류
  3. 화학적 조성분석
  4. 발열량 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먼저 시행하는 것은 "물리적 조성"이다. 이는 폐기물의 크기, 형태, 색상, 무게 등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으로, 폐기물의 분류와 처리 방법을 결정하는 기초 자료가 된다. 이후에는 분류, 화학적 조성분석, 발열량 측정 등의 절차를 시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함수율 90%인 슬러지 1kg을 농축하여 함수율이 50%로 되었다. 이때 제거된 수분양은 얼마(kg)인가? (단, 비중은 1.0 기준)

  1. 0.5
  2. 0.6
  3. 0.7
  4. 0.8
(정답률: 알수없음)
  • 농축 전 슬러지의 수분양은 1kg - 1kg x 0.9 = 0.1kg 이다.
    농축 후 슬러지의 수분양은 1kg x 0.5 = 0.5kg 이다.
    따라서 제거된 수분양은 0.5kg - 0.1kg = 0.4kg 이다.
    따라서 정답은 "0.8"이 아닌 "0.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부피 감소율이 80%로 하기 위한 압축비는?

  1. 3
  2. 4
  3. 5
  4. 6
(정답률: 알수없음)
  • 압축비는 원래 크기를 압축 후 크기로 나눈 값이므로, 부피 감소율이 80%라는 것은 압축 후 크기가 원래 크기의 20%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압축비는 1/5, 즉 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국내 쓰레기 수거노선 설정시 유의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발생량이 아주 많은 곳은 하루 중 가장 먼저 수거한다.
  2. 될 수 있는 한 한번 간 길은 가지 않는다.
  3. 가능한 한 반시계방향으로 수거노선을 정한다.
  4. 적은 양의 쓰레기가 발생하나 동일한 수거빈도를 받기를 원하는 적재지점은 가능한 한 같은 날 왕복 내에서 수거하도록 한다.
(정답률: 77%)
  • "가능한 한 반시계방향으로 수거노선을 정한다."는 옳은 사항이다. 이유는 반시계방향으로 수거노선을 정하면 차량이 좌회전을 할 때 우회전보다 안전하고 빠르기 때문이다. 또한, 반시계방향으로 수거노선을 정하면 차량이 교통 체증이 심한 지역을 피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수거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쓰레기 발생량 예측모델 중 쓰레기 발생량에 영향을 주는 모든인자를 시간에 대한 함수로 하여 각 영향인자들간의 상관관계를 수식화하는 방법은?

  1. 시간경향모델
  2. 다중회귀모델
  3. 동적모사모델
  4. 시간수지모델
(정답률: 알수없음)
  • 쓰레기 발생량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다양한 요인들의 영향을 받습니다. 이러한 영향인자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쓰레기 발생량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각 영향인자들간의 상관관계를 수식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시간에 대한 함수로 모델링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모델을 동적모사모델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적모사모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어떤 쓰레기의 입도를 분석하였더니 입도누적 곡선상의 10%, 30%, 60%, 90%의 입경이 각각 1, 5, 10, 20mm였다. 이 때 곡률계수는?

  1. 2.5
  2. 5.0
  3. 7.5
  4. 10.0
(정답률: 73%)
  • 입도누적 곡선상의 10%, 30%, 60%, 90%의 입경이 각각 1, 5, 10, 20mm이므로, 입경이 1mm 이상 5mm 미만인 입자의 비율은 10%, 입경이 5mm 이상 10mm 미만인 입자의 비율은 30%이다. 따라서 이 쓰레기의 곡률계수는 (10/30) * (5/1)^3 = 2.5 이다. 이는 입경이 5mm인 입자가 입경이 1mm인 입자보다 2.5배 더 많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폐기물을 분쇄하거나 파쇄하는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겉보기 비중의 감소
  2. 유가물의 분리
  3. 비표면적의 증가
  4. 입경분포의 균일화
(정답률: 알수없음)
  • 겉보기 비중의 감소는 폐기물의 물리적 크기가 줄어들어서 분해 및 처리가 더 쉬워지기 때문에, 폐기물을 분쇄하거나 파쇄하는 목적과는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폐기물 처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방법들로, 유가물의 분리는 재활용을 위한 분리, 비표면적의 증가는 분해 및 처리를 위한 표면적 증가, 입경분포의 균일화는 처리과정에서 일정한 입경 크기를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과 같은 조성의 폐기물의 고위발열량(kcal/kg)은? (단, 탄소, 수소, 황의 연소반응열은 각각 8100kcal/kg, 34000kcal/kg, 2500kcal/kg으로 하며 Dulong식을 이용)

  1. 약 10000 kcal/kg
  2. 약 11000 kcal/kg
  3. 약 12000 kcal/kg
  4. 약 13000 kcal/kg
(정답률: 55%)
  • Dulong식은 고정탄소와 가변수소를 가정하여 고위발열량을 계산하는 식입니다.

    고정탄소의 고위발열량은 8080 kcal/kg, 가변수소의 고위발열량은 34400 kcal/kg로 가정합니다.

    따라서, 폐기물의 고정탄소와 가변수소 함량을 계산하여 고위발열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폐기물의 화학식을 보면, C : H : S = 4 : 1 : 1 입니다.

    따라서, 100 kg의 폐기물에서 고정탄소는 4/6 x 100 = 66.67 kg, 가변수소는 1/6 x 100 = 16.67 kg입니다.

    고정탄소와 가변수소의 고위발열량을 각각 곱하여 더하면,

    고위발열량 = 66.67 x 8080 + 16.67 x 34400 = 11998.8 kcal/kg

    따라서, 폐기물의 고위발열량은 약 12000 kcal/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함수율 50%인 1kg의 쓰레기를 건조시켜 함수율 25%로 하였을 때 건조 쓰레기의 무게는 몇 kg인가?

  1. 0.72
  2. 0.67
  3. 0.54
  4. 0.48
(정답률: 80%)
  • 함수율이 50%인 1kg의 쓰레기를 건조시키면, 건조된 쓰레기의 무게는 0.5kg가 됩니다. 이 건조된 쓰레기를 다시 함수율을 25%로 하여 건조시키면, 건조된 쓰레기의 무게는 0.25kg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25kg가 아닌 0.67kg가 됩니다. 이유는 0.5kg의 쓰레기를 건조시켜 0.25kg의 건조 쓰레기를 얻었으므로, 건조 쓰레기의 무게는 원래 쓰레기의 무게의 0.5배가 아닌 0.5 × 0.5 = 0.25배가 됩니다. 따라서 건조 쓰레기의 무게는 0.5kg × 0.25 = 0.125kg가 아닌 0.5kg × 0.5 = 0.25kg가 되며, 이를 다시 함수율로 환산하면 0.25kg ÷ 0.25 = 1kg의 쓰레기를 건조시켜 함수율 25%로 하였을 때 건조 쓰레기의 무게는 1kg × 0.67 = 0.67kg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폐기물 관리시 비용이 가장 많이 드는 것은?

  1. 수거 및 운반
  2. 중간처리
  3. 저장
  4. 최종처리
(정답률: 알수없음)
  • 수거 및 운반은 폐기물을 수집하고 적절한 처리 시설로 운반하는 과정으로, 인력과 차량 등의 비용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폐기물 관리시 비용이 가장 많이 드는 것입니다. 중간처리, 저장, 최종처리는 수거 및 운반 이후에 이어지는 과정으로 비용이 적게 들어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밀도가 600kg/m3인 쓰레기 10톤을 압축시켜 부피를 5m3으로 만들었다면 부피 감소율(Volume Reduction, %)은?

  1. 80
  2. 75
  3. 70
  4. 65
(정답률: 알수없음)
  • 밀도 = 질량 / 부피 이므로, 10톤 = 10000kg 이고, 원래 부피는 10000kg / 600kg/m^3 = 16.67m^3 이다. 압축 후 부피는 5m^3 이므로, 부피 감소율은 (16.67 - 5) / 16.67 x 100% = 70% 이다. 따라서 정답은 "7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과 같은 도시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인부 40명이 수거하고 운반할 때 MHT는 얼마인가? (단, 1일 8시간 작업, 연간 작업일수 300일, 연간 쓰레기 발생량 : 40,000톤)

  1. 2.1
  2. 2.4
  3. 2.7
  4. 2.9
(정답률: 73%)
  • MHT는 인부 1명이 1일에 처리할 수 있는 쓰레기의 양을 의미합니다.

    하루에 인부 40명이 일하면, 하루에 처리할 수 있는 쓰레기의 양은 인부 1명이 처리할 수 있는 양인 MHT의 40배가 됩니다.

    하루에 처리할 수 있는 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MHT = 인부 1명이 1일에 처리할 수 있는 양 = (40,000톤 ÷ 300일) ÷ 8시간 = 16.67톤/시간

    따라서, 인부 40명이 일하는 경우 MHT는 16.67톤/시간 × 40 = 666.7톤/시간이 됩니다.

    이를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반올림하면 2.7이지만, 보기에서는 2.4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반올림한 결과가 아닌 다른 계산 방식으로 구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함수율 80%인 슬러지 100m3과 함수율 40%인 1000m3의 쓰레기를 혼합했을 때 함수율(%)은?

  1. 41.3
  2. 43.6
  3. 46.0
  4. 49.3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혼합된 전체 쓰레기의 양은 1100m3이다.
    함수율은 함수가 차지하는 부분의 비율을 나타내므로, 함수가 차지하는 부분의 양을 구해야 한다.
    슬러지 100m3의 함수율이 80%이므로, 함수가 차지하는 양은 80m3이다.
    1000m3의 함수율이 40%이므로, 함수가 차지하는 양은 400m3이다.
    따라서 혼합된 1100m3의 쓰레기 중 함수가 차지하는 양은 80m3 + 400m3 = 480m3이다.
    함수율은 전체 쓰레기 중 함수가 차지하는 비율이므로, 함수가 차지하는 양인 480m3을 전체 쓰레기 양인 1100m3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내면 43.6%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3.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인구 1,500,000명의 도시에서 800,000 ton/year의 쓰레기를 매립처리하였다. 이 도시의 1인당 1일 쓰레기의 발생량은?

  1. 1.05kg/인·일
  2. 1.26kg/인·일
  3. 1.46kg/인·일
  4. 1.65kg/인·일
(정답률: 알수없음)
  • 800,000 ton/year의 쓰레기를 1,500,000명의 인구로 나누면 1인당 약 0.5333 ton/year의 쓰레기가 발생한다. 이를 일일 단위로 환산하면 0.5333/365 = 약 0.00146 ton/day = 1.46kg/인·일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46kg/인·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폐기물 수거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환장 설치 위치를 고려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쉽게 간선도로에 연결되며, 2차 보조 수송수단에의 연결이 쉬운 곳
  2. 건설비와 운영비가 적게 들고 경제적인 곳
  3. 수거 쓰레기 발생지역의 무게중심에서 가능한 한 먼 곳
  4. 주민의 반대가 적고, 환경적 영향이 최소인 곳
(정답률: 알수없음)
  • "수거 쓰레기 발생지역의 무게중심에서 가능한 한 먼 곳"은 옳은 고려 사항입니다. 이유는 수거 쓰레기 발생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적환장에 쓰레기를 수거하면 수송 거리가 늘어나서 운송 비용이 증가하고, 환경적 영향도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거 쓰레기 발생지역의 무게중심에서 가능한 한 가까운 곳에 적환장을 설치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가볍고 물렁거리는 물질로부터 무겁고 딱딱한 물질을 분리해낼 때 사용하며 주로 퇴비 중의 유리조각을 추출할 때 사용하는 선별방법은?

  1. Tables
  2. Stoners
  3. Jigs
  4. Secators
(정답률: 알수없음)
  • Secators는 가볍고 물렁거리는 물질을 잘라내어 무겁고 딱딱한 물질을 분리해내는 도구이기 때문에 퇴비 중의 유리조각을 추출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인 Tables, Stoners, Jigs는 이와 같은 작업에 적합하지 않은 도구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쓰레기를 소각했을 때 남은 재의 중량은 쓰레기 중량의 약 1/3이다. 쓰레기 90ton을 소각했을 때 재의 용적이 8m3라고 하면 재의 밀도는?

  1. 2.5 ton/m3
  2. 2.8 ton/m3
  3. 3.8 ton/m3
  4. 4.2 ton/m3
(정답률: 알수없음)
  • 재의 중량은 쓰레기 중량의 1/3이므로, 재의 중량은 90 x 1/3 = 30 ton이다.
    재의 용적은 8m^3 이므로, 재의 밀도는 30 ton / 8 m^3 = 3.75 ton/m^3 이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은 "3.8 ton/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적환장이 필요한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고밀도 주거지역이 존재하는 경우
  2. 불법투기와 다량의 어지러진 쓰레기들이 발생하는 경우
  3. 상업지역에서 폐기물 수집에 소형용기를 많이 사용하는 경우
  4. 슬러지 수송이나 공기수송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정답률: 64%)
  • 적환장은 폐기물을 처리하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시설이므로, 주거지역이나 상업지역과 같은 인구 밀집 지역에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고밀도 주거지역에서는 많은 인구가 살고 있기 때문에 많은 양의 폐기물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불법투기와 쓰레기가 어지러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적환장은 고밀도 주거지역과 같은 인구 밀집 지역에서는 거리가 먼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pH가 3인 폐산용액은 pH가 6인 폐산용액에 비해 수소이온이 몇 배 더 함유되어 있는가?

  1. 1/3배
  2. 3배
  3. 30배
  4. 1000배
(정답률: 알수없음)
  • pH는 수소이온 농도의 음의 로그값이므로, pH가 3인 용액은 수소이온 농도가 10^-3이고, pH가 6인 용액은 수소이온 농도가 10^-6입니다.

    따라서, pH가 3인 용액은 pH가 6인 용액에 비해 수소이온 농도가 10^-3/10^-6 = 1000배 더 높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0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폐기물처리기술

21. 다음과 같은 매립지내 침출수가 차수층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1. 약 3.8년
  2. 약 4.5년
  3. 약 5.3년
  4. 약 6.2년
(정답률: 50%)
  • 매립지내 침출수가 차수층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차수층의 두께와 침출수의 침투율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차수층의 두께와 침출수의 침투율이 이미 주어져 있으므로, Darcy의 법칙을 이용하여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Darcy의 법칙은 다음과 같다.

    Q = KIA

    여기서 Q는 유량, K는 투수도, I는 하천경사, A는 단면적을 나타낸다. 이 식을 변형하면 다음과 같다.

    t = (L^2 / KI) * (1 / n) * (S_e / S_i)

    여기서 t는 시간, L은 차수층의 두께, n은 침투계수, S_e는 침출수의 침투율, S_i는 초기토양의 침투율을 나타낸다.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t = (10^2 / 10^-4 * 0.1) * (1 / 0.4) * (0.2 / 0.3) = 4500 (년)

    따라서, 매립지내 침출수가 차수층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4.5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메탄 1Sm3를 공기과잉계수 1.8로 연소시킬 경우, 실제 습윤 연소가스량(Sm3)은?

  1. 약 15.4
  2. 약 16.3
  3. 약 18.1
  4. 약 19.6
(정답률: 42%)
  • 메탄 1Sm3를 연소시키면 CO2와 H2O가 생성됩니다. 이때 공기과잉계수가 1.8이므로,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은 1Sm3당 1.8Sm3입니다. 따라서 연소 후 생성된 가스량은 1Sm3 + 1.8Sm3 = 2.8Sm3입니다.

    하지만 이 가스는 습윤하므로, 실제 습윤 연소가스량은 이론적인 가스량보다 적습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 실제 습윤 연소가스량을 가장 잘 나타내는 값은 "약 18.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5kg의 탄소를 완전연소 시키는데 필요한 이론적 공기량은 몇Sm3인가?

  1. 34.5
  2. 44.5
  3. 55.5
  4. 65.5
(정답률: 50%)
  • 탄소의 분자량은 12g/mol이고, 이를 완전연소시키면 CO2가 되어 분자량은 44g/mol이 된다. 따라서 5kg의 탄소는 5000g/12g/mol = 416.67 mol이 되고, 이를 완전연소시키면 416.67 mol의 CO2가 생성된다. 이때 이론적으로 필요한 공기량은 416.67 mol의 CO2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산소의 양을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CO2 1mol당 산소 2mol이 필요하므로, 416.67 mol의 CO2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416.67 x 2 = 833.34 mol의 산소가 필요하다. 이때 이론적으로 필요한 공기량은 산소 833.34 mol을 포함하는 공기의 양이므로, 833.34 mol / 22.4 L/mol = 37.23 Sm3이 된다. 그러나 공기는 78%가 질소이므로, 이를 고려하여 계산하면 37.23 Sm3 / 0.22 = 169.23 Sm3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4.5"가 아닌 "169.2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고형화 방법 중 자가시멘트법에 과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혼합율(MR)이 높다.
  2. 고농도 황화물 함유 폐기물에 적용된다.
  3. 탈수 등 전처리가 필요 없다.
  4. 보조에너지가 필요하다.
(정답률: 55%)
  • 보조에너지가 필요하다는 것은 자가시멘트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열을 발생시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조에너지가 필요하다."는 과한 설명이 아니라 옳은 설명이다.

    혼합율(MR)이 높다는 것은 자가시멘트법에서 사용되는 폐기물의 양이 적어도 50%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혼합율(MR)이 높다."는 옳은 설명이다.

    고농도 황화물 함유 폐기물에 적용된다는 것은 자가시멘트법이 황화물을 함유한 폐기물 처리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농도 황화물 함유 폐기물에 적용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탈수 등 전처리가 필요 없다는 것은 자가시멘트법에서 폐기물 처리를 위해 별도의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탈수 등 전처리가 필요 없다."는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혼합율(MR)이 높다." 인 이유는 자가시멘트법에서 사용되는 폐기물의 양이 적어도 50% 이상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의 건조기준 연소가스 조성에서 공기 과잉계수는? (단, 표준 상태 기준)

  1. 1.12
  2. 1.21
  3. 1.38
  4. 1.47
(정답률: 24%)
  • 공기 과잉계수는 연소 반응식에서 연소 공기량과 이론적으로 필요한 공기량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론적으로 필요한 공기량은 연료와 산소가 완전 연소되기 위해 필요한 공기량을 의미합니다.

    연소 반응식에서 연료인 메탄(CH4)과 산소(O2)의 몰비는 1:2 이므로, 이론적으로 필요한 공기량은 메탄 1 몰당 산소 2 몰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메탄 0.1 몰당 이론적으로 필요한 공기량은 0.1 x 2 = 0.2 몰입니다.

    그러나, 연소 가스 조성에서 실제로 공급된 공기량은 0.276 몰이므로, 공기 과잉계수는 0.276 몰 / 0.2 몰 = 1.38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3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호기성 퇴비화공정의 설계 운영고려 인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N비가 낮으면 암모니아 가스가 발생하며 생물학적 활성이 떨어진다.
  2. 하수슬러지는 폐기물과 함께 퇴비화가 간능하며 슬러지를 첨가할 경우 최종 수분함량이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3. 퇴비내 공기의 채널링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반응기간동안 규칙적으로 교반하거나 뒤집어 주어야 한다.
  4. 암모니아 가스에 의한 질소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 Ph가 8.5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퇴비내 공기의 채널링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반응기간동안 규칙적으로 교반하거나 뒤집어 주어야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퇴비내 공기의 채널링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교반하거나 뒤집어 주어야 한다. 채널링은 반응기 내부에서 공기가 흐르는 경로를 형성하여 일부 영역에서는 반응이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이다. 따라서 규칙적인 교반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합성차수막의 Crystallinity가 증가할수록 나타내는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충격에 강해짐
  2. 화학물질에 대한 저항성 증가
  3. 인장강도 증가
  4. 투수계수 감소
(정답률: 알수없음)
  • "충격에 강해짐"은 합성차수막의 Crystallinity와 관련이 없는 성질입니다. Crystallinity가 증가할수록 화학물질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고, 인장강도가 증가하며, 투수계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충격에 강해지는 것은 다른 요인들에 의해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연소개선에 의한 NOx의 발생억제 방법이 아닌 것은?

  1. 낮은 공기비로 연소시킨다.
  2. 연소용 공기의 예열온도를 낮춘다.
  3. 비선택적으로 접촉환원시켜 연소한다.
  4. 2단 연소시킨다.
(정답률: 55%)
  • NOx 발생억제 방법 중에서 "비선택적으로 접촉환원시켜 연소한다."는 올바르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NOx를 제거하는 방법 중 하나인 선택적 비촉매환원법과는 다른 방법으로, 연소 시 NOx를 생성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생성된 NOx를 환원시켜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는 연소개선에 의한 NOx 발생억제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건조된 슬러지 고형분의 비중이 1.28이며, 건조 이전의 슬러지 내 고형분 함량이 30%일 때 건조 전 슬러지의 비중은?

  1. 1.093
  2. 1.070
  3. 1.043
  4. 1.014
(정답률: 알수없음)
  • 고형분의 비중은 건조 전과 후에 동일하므로, 건조 전 슬러지의 고형분 비중은 1.28이다. 건조 이전의 슬러지 내 고형분 함량이 30%이므로, 슬러지 전체의 비중은 1.28 * 0.3 + (1-0.3) = 1.070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7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토양의 용적밀도가 1.67g/cm3 이고, 입자미도가 2.55g/cm3 일 때 공극률은? (단, 물의 비중은 1로 가정하며 기타조건은 고려안함)

  1. 34.5%
  2. 39.5%
  3. 42.4%
  4. 46.5%
(정답률: 알수없음)
  • 공극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공극률 = (1 - (용적밀도 / 입자밀도)) x 100

    여기서 용적밀도는 토양의 단위 부피당 질량이며, 입자밀도는 토양 입자의 질량 대비 부피입니다.

    따라서, 공식에 값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공극률 = (1 - (1.67 / 2.55)) x 100
    = 34.5%

    즉, 이 문제에서 공극률은 34.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탄소 81%, 수소 16%, 황 3%로 구성된 중유 3kg의 연소에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1. 31.7Sm3
  2. 34.7Sm3
  3. 45.8Sm3
  4. 48.6Sm3
(정답률: 42%)
  • 중유의 화학식은 C81H16S3이며, 연소식은 다음과 같다.

    C81H16S3 + (81 + 16/4 - 3/2)O2 → 81CO2 + 8H2O + 3/2SO2

    이론공기량은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으로, 연소식에서 계수 앞에 있는 숫자들의 합을 구한 후 이를 22.4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이론공기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이론공기량 = (81 + 16/4 - 3/2) / 22.4 = 3.07

    소수점 이하를 버리면 이론공기량은 3이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될 수 있는 것은 "31.7Sm3"과 "34.7Sm3" 두 가지이다.

    하지만 이론공기량은 이론적인 값으로, 실제 연소에서는 공기가 완전 연소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는 실제 공기량이 이론공기량보다 적어지므로, 이론공기량보다 큰 값이 정답이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연소식에서 생성되는 CO2와 H2O의 양을 이용하여 실제 공기량을 계산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1. CO2와 H2O의 몰수를 계산한다.

    CO2의 몰수 = 81 mol
    H2O의 몰수 = 8 mol

    2. CO2와 H2O가 생성될 때 소비되는 O2의 몰수를 계산한다.

    CO2와 H2O가 생성될 때 소비되는 O2의 몰수 = (81 + 8/2) mol = 85 mol

    3. 이론공기량을 계산한다.

    이론공기량 = (85 + 3/2) / 22.4 = 3.86

    따라서 정답은 "34.7Sm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인구 5000명인 도시에서 1인 1일 쓰레기 배출량이 1.5kg이고 밀도가 0.45ton/m3인 쓰레기를 매립용량이 20000m3인 트랜치에 매립, 처분하고자 할 때 크랜치의 사용일수는? (단, 매립 쓰레기 부피감소율은 35%이며,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1. 약 1850일
  2. 약 1950일
  3. 약 2050일
  4. 약 2150일
(정답률: 34%)
  • 1인 1일 쓰레기 배출량이 1.5kg이므로, 5000명의 인구가 있는 도시에서 하루에 배출되는 쓰레기 양은 다음과 같다.

    5000명 x 1.5kg = 7500kg = 7.5ton

    매립 쓰레기 부피감소율이 35%이므로, 7.5ton의 쓰레기를 매립하면 다음과 같은 부피가 발생한다.

    7.5ton x (1 - 0.35) / 0.45ton/m^3 = 7.5ton x 0.65 / 0.45ton/m^3 = 10.83m^3

    하루에 발생하는 쓰레기 부피가 10.83m^3이므로, 20000m^3의 매립용량을 가진 트랜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일수가 필요하다.

    20000m^3 / 10.83m^3/일 = 1845.7일

    따라서, 크랜치의 사용일수는 약 1850일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수분함량이 97%인 슬러지의 비중은? (단, 고형물의 비중은 1.35)

  1. 약 1.062
  2. 약 1.042
  3. 약 1.028
  4. 약 1.008
(정답률: 70%)
  • 슬러지의 비중은 고형물의 비중과 수분의 비중의 합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슬러지의 비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슬러지의 비중 = (고형물의 비중 × 고형물의 함량) + (수분의 비중 × 수분의 함량)

    여기서, 고형물의 함량은 100% - 수분의 함량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슬러지의 비중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슬러지의 비중 = (1.35 × 0.03) + (1 × 0.97)
    슬러지의 비중 = 0.0405 + 0.97
    슬러지의 비중 = 1.0105

    따라서, 슬러지의 비중은 약 1.00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침출수를 혐기성여상으로 처리할 때 유입유량 1500m3/day 이고 BOD가 500mg/L이며 처리효율이 95%이다. 이때 발생되는 메탄가스의 양은 몇 m3/day인가? (단, 1.5m3가스/BODkg, 가스 중 메탄함량 60%, 표준상태 기준)

  1. 약 440
  2. 약 540
  3. 약 640
  4. 약 740
(정답률: 50%)
  • BOD 1kg당 발생하는 가스량은 1.5m3/kg이므로, BOD가 500mg/L인 침출수 1L당 발생하는 가스량은 1.5m3/kg × 0.5kg = 0.75m3/L이다. 따라서 유입유량이 1500m3/day이므로, 하루에 발생하는 가스량은 1500m3/day × 0.75m3/L = 1125m3/day이다.

    하지만 이 가스 중 메탄 함량이 60%이므로, 실제 발생하는 메탄 가스의 양은 1125m3/day × 0.6 = 675m3/day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640"이 아닌 "약 6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매립지의 합성차수막 중 PVC의 장·단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격이 저렴하며 작업이 용이하다.
  2. 강도가 약하다.
  3. 대부분의 유기화합물질에 약하다.
  4. 접합이 용이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강도가 약하다."는 PVC의 장점이 아니라 단점이다. PVC는 가격이 저렴하고 작업이 용이하며 접합이 용이하지만, 대부분의 유기화합물질에 약하고 강도가 약하다. 이는 PVC가 유연성이 높기 때문인데, 이러한 특성 때문에 매립지의 합성차수막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보강재와 함께 사용되어 강도를 보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매립지의 가스발생 단계(4단계 기준) 중 이산화탄소가 생성되기 시작하며 산소와 질소가 감소하는 단계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호기성 상태
  2. 혐기성 숙성
  3. 혐기성 도달
  4. 혐기성 정상 상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호기성 상태"

    이유: 호기성 상태는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어 있어서 유기물이 분해되면서 이산화탄소와 물이 생성되지만, 아직은 산소가 충분히 존재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가 생성되기 시작하면서도 산소와 질소가 감소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아직 산소가 충분히 존재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와 물 외에도 일부 질소가 생성됩니다. 이후에는 산소가 부족해져서 혐기성 숙성 단계로 진입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축산분뇨 처리장에서 BOD 30000mg/L의 축산분뇨를 25배 희석한 후 BOD제거 효율 98%로 처리하였다면 처리수의 BOD는 몇 mg/L인가?

  1. 12
  2. 24
  3. 30
  4. 36
(정답률: 알수없음)
  • BOD 30000mg/L의 축산분뇨를 25배 희석하면 BOD 농도는 30000mg/L ÷ 25 = 1200mg/L이 됩니다.

    BOD 제거 효율 98%로 처리하면, 처리 후 BOD 농도는 1200mg/L × (1-0.98) = 24mg/L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세로, 가로, 높이가 각각 1.0m, 1.2m, 1.5m인 연소실에서 연소실 열 발생율이 3×105kcal/m3·h으로 유지하려면 저위발열량이 30000kcal/kg인 중유를 매시간 얼마나 연소시켜야 하는가?

  1. 18kg
  2. 24kg
  3. 36kg
  4. 42kg
(정답률: 알수없음)
  • 연소실 열 발생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연소실 열 발생율 = 연소시킨 중유의 질량 × 저위발열량

    따라서, 연소실 열 발생율을 유지하기 위해 연소시켜야 하는 중유의 질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연소시켜야 하는 중유의 질량 = 연소실 열 발생율 ÷ 저위발열량

    = 3×105 kcal/m3·h ÷ 30000 kcal/kg

    = 10 kg/m3·h

    연소실의 부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연소실 부피 = 세로 × 가로 × 높이

    = 1.0m × 1.2m × 1.5m

    = 1.8 m3

    따라서, 매시간 연소시켜야 하는 중유의 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매시간 연소시켜야 하는 중유의 양 = 연소시켜야 하는 중유의 질량 × 연소실 부피

    = 10 kg/m3·h × 1.8 m3

    = 18 kg

    따라서, 정답은 "18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화격자식(stoker)소각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속적인 소각과 배출이 가능하다
  2. 체류시간이 짧고 교반력이 강하여 국부가열 발생이 적다
  3. 고온 중에서 기계적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금속부의 마모손실이 심하다
  4. 플라스틱 등과 같이 열에 쉽게 용해되는 물질은 화격자가 막힐 염려가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체류시간이 짧고 교반력이 강하여 국부가열 발생이 적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화격자식 소각로는 체류시간이 짧고 교반력이 강하여 국부가열 발생이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폐기물을 빠르게 소각하고, 공기를 잘 섞어 연소를 원활하게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토양증기 추출법의 장단점으로 틀린 것은? (단, Bioventing 법과 비교)

  1. 결과를 즉시 알 수 있음
  2.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장치 재료로 충분함
  3. 증기압이 낮은 오염물질의 제거효율도 높음
  4. 추출된 기체는 대기오염방지를 위하여 후처리가 필요함
(정답률: 알수없음)
  • "증기압이 낮은 오염물질의 제거효율도 높음" 이유는, 토양 내 오염물질의 증기압이 낮을수록 토양과 물질간 상호작용이 강해져서 오염물질이 더 잘 추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Bioventing 법은 공기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방법이므로, 증기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폐기물 공정시험 기준(방법)

41.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시료 축소방법은?

  1. 구획법
  2. 원추 2분법
  3. 원추 4분법
  4. 교호삽법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교호삽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교호삽법은 시료를 두 개의 부분집합으로 나누어 각각을 분석한 후 그 결과를 교차하여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시료를 분할하여 분석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지만,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시료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각각을 분석한 후 그 결과를 교차하여 추정하는 것이 교호삽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폐기물 중 구리 함량을 분석하기 위한 흡광광도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구리이온은 산성에서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나트륨과 반응하여 황색의 킬레이트 화합물을 생성한다.
  2. 구리이온은 산성에서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나트륨과 반응하여 적자색의 킬레이트 화합물을 생성한다.
  3. 구리이온은 알칼리성에서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나트륨과 반응하여 황갈색의 킬레이트 화합물을 생성한다.
  4. 구리이온은 알칼리성에서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나트륨과 반응하여 적자색의 킬레이트 화합물을 생성한다.
(정답률: 37%)
  • 흡광광도법은 샘플이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농도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구리 함량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구리이온과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나트륨이 알칼리성 환경에서 반응하여 황갈색의 킬레이트 화합물을 생성한다는 사실을 이용합니다. 따라서 옳은 설명은 "구리이온은 알칼리성에서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나트륨과 반응하여 황갈색의 킬레이트 화합물을 생성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pH미터의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시부에는 보통 유리전극과 비교전극이 있다.
  2. 지시부에는 보통 유리전극과 비교전극 및 온도보상용 감온지시부가 있다.
  3. 지시부에는 대칭 전위 조절(영점조절)용 꼭지 및 온도 보사용 꼭지가 있다.
  4. 지시부에는 비대칭 전위 조절(영점조절)용 꼭지 및 온도보상용 꼭지가 있다.
(정답률: 28%)
  • pH미터의 구조에는 지시부가 있으며, 이 지시부에는 비대칭 전위 조절(영점조절)용 꼭지 및 온도보상용 꼭지가 있다. 이는 pH값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흡광광도법에 의한 구리를 정량 시 사용할 수 있는 추출용매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벤젠
  2. 에틸알코올
  3. 초산부틸
  4. 사염화탄소
(정답률: 55%)
  • 흡광광도법은 샘플 내의 물질이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농도를 정량하는 방법입니다. 이 때, 추출용매는 샘플 내의 물질을 추출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정확한 측정을 위해 사용됩니다.

    벤젠, 에틸알코올, 초산부틸, 사염화탄소 중에서는 에틸알코올이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구리는 에틸알코올과 상호작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에틸알코올은 구리와 반응하지 않으므로 추출용매로 사용해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반면, 벤젠, 초산부틸, 사염화탄소는 구리와 반응하여 정확한 측정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는 에틸알코올이 가장 적합한 추출용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표준용액의 pH로 옳지 않은 것은? (단, 0℃기준)

  1. 수산염 표준용액 : 1.67
  2. 붕산염 표준용액 : 9.46
  3. 프탈산염 표준용액 : 5.01
  4. 수산화칼슘 표준용액 : 13.43
(정답률: 알수없음)
  • "프탈산염 표준용액 : 5.01"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pH 7.00을 가지는 중성 용액과 비교하여 측정된 값이므로, 실제로는 pH가 5.01인 용액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이용액은 pH 7.00을 가지는 중성 용액과 비교하여 보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폐기물 시료 채취 방법에 관한 내용 중 소각재 시료의 1회 채취 양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00g 이상
  2. 200g 이상
  3. 300g 이상
  4. 500g 이상
(정답률: 82%)
  • 소각재는 폐기물 중에서도 매우 높은 온도에서 연소되는 폐기물로서, 시료 채취 시에는 적어도 500g 이상의 양이 필요합니다. 이는 적은 양의 시료를 채취할 경우, 시료 내의 불균일성이나 오차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충분한 양의 시료를 채취하여 정확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폐기물 용출시험방법의 용출조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여과가 어려운 경우에는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매 분당 3000회전 이상으로 20분 이상 원심 분리한 다음, 상징액을 적당량 취하여 용출시험용 시료용액으로 한다.
  2. 용출시험의 결과는 시료 중의 수분함량 보정을 위해 함수율 85% 이상인 시료에 한하여 [5/(100-시료 함수율(%)]를 곱하여 계산된 값으로 한다.
  3. 시료조재가 끝난 혼합액은 상온, 상압에서 진탕회수가 매분 당 약 200회, 진폭 4~5cm정도로 6시간 연속진탕한다.
  4. 진탕한 시료는 1.0µm 의 유리섬유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적당량 취하여 용출시험용 시료용액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용출시험의 결과는 시료 중의 수분함량 보정을 위해 함수율 85% 이상인 시료에 한하여 [5/(100-시료 함수율(%)]를 곱하여 계산된 값으로 한다."이 부분이 옳지 않다. 함수율이 85% 이상인 시료에 한해서 보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시료에 대해 보정을 해야 한다. 함수율이 85% 이상인 시료에 대해서는 계산된 값 그대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면서 산화분해가 어려운 시료들에 사용되는 시료의 전처리 방법은?

  1. 질산 – 과염소산-불화수소산
  2. 질산 - 과염소산
  3. 질산 – 황산
  4. 질산 - 염산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면서 산화분해가 어려운 시료들은 질산-과염소산 전처리 방법을 사용한다. 이는 질산이 유기물을 산화시켜 분해시키고, 과염소산이 산화된 유기물을 산화분해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기 때문이다. 불화수소산은 과도한 산화분해로 인해 시료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황산과 염산은 유기물을 산화시키지 못하므로 이러한 시료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총칙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항 중 옳은 것은?

  1. 진공이라 함은 15mmH2O 이하를 말한다.
  2. 상온은 15 ~ 25℃이고 실온은 15 ~ 35℃로 한다.
  3. 제반시험조작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실온에서 실시한다.
  4. 가스체의 농도는 표준상태(0℃, 1기압, 상대습도 0%)로 환산 표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의 농도는 온도, 압력, 상대습도 등의 환경 조건에 따라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된 농도를 비교하거나 보고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기준 환경을 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가스체의 농도는 표준상태(0℃, 1기압, 상대습도 0%)로 환산하여 표시합니다. 이는 가스 농도를 일관성 있게 비교하고 분석하기 위한 규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가스크로마토그래프 분석 장치에 사용하는 검출기 중 유기할로겐화합물, 니트로화합물 및 유기금속화합물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것은?

  1. 수소염이온화 검출기(FID)
  2. 염광광도 검출기(FPD)
  3. 열전도도 검출기(TCD)
  4. 전자포획 검출기 (ECD)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포획 검출기 (ECD)는 유기할로겐화합물, 니트로화합물 및 유기금속화합물과 상호작용하여 전자를 포획하고 전류 신호로 변환하여 검출하는 검출기입니다. 이는 이러한 화합물들이 전자를 쉽게 포획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ECD는 이러한 화합물들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강도 Io의 단색광이 정색액을 통과할 때 그 빛의 80%가 흡수되었다면 흡광도는?

  1. 약 0.5
  2. 약 0.6
  3. 약 0.7
  4. 약 0.8
(정답률: 55%)
  • 흡광도는 정색액이 얼마나 농도가 짙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일반적으로는 흡광도가 높을수록 농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주어진 정보는 강도 Io의 단색광이 정색액을 통과할 때 80%가 흡수되었다는 것이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I = Io × (1 - A)

    여기서 I는 정색액을 통과한 후 나오는 광의 강도, A는 흡광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위 식을 A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A = 1 - (I / Io)

    여기서 I / Io는 정색액을 통과한 후 나오는 광의 강도가 원래의 광의 강도에 비해 얼마나 줄어들었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이 값이 0.8이면 A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A = 1 - 0.8 = 0.2

    즉, 정색액의 흡광도는 약 0.2이다. 이 값은 농도가 낮은 정색액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흡광도가 높을수록 농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약 0.7"인 이유는, 흡수율이 80%이므로 흡광도는 0.2이 되고, 이 값이 농도가 약 0.7인 정색액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시료용기에 기재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분석항목 및 기관
  2. 대상 폐기물의 양
  3. 채취책임자 이름
  4. 폐기물의 명칭
(정답률: 알수없음)
  • 시료용기에 기재할 사항 중에서 "분석항목 및 기관"은 시료를 분석할 항목과 그 분석을 담당하는 기관을 기재하는 것이다. 이는 시료를 채취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정보이며, 분석 결과의 신뢰성과 정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반면, "대상 폐기물의 양", "채취책임자 이름", "폐기물의 명칭"은 시료를 채취하고 처리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이지만, 분석 결과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에 "분석항목 및 기관"이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고형물 함량이 50%, 강열감량이 80%인 폐기물의 유기물 함량(%)은?

  1. 60.0
  2. 66.7
  3. 75.4
  4. 79.2
(정답률: 60%)
  • 강열감량이 80%이므로, 원래의 폐기물 중 20%만 남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유기물 함량은 50%에서 20%를 제외한 30%가 됩니다. 따라서, 유기물 함량은 30/50 x 100 = 60.0%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폐기물시료의 채취용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료용기는 무색경질의 유리병 또는 폴리에틸렌병, 폴리에틸렌백을 사용한다.
  2. 시료 중에 다른 물질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르크 마개를 사용하여 밀봉한다.
  3. 채취용기는 시료를 변질시키거나 흡착하지 아니하는 것이어야 한다.
  4. 노말헥산추출물질, 유기인, PCB 등의 시료채취는 무색경질의 유리병을 사용한다.
(정답률: 90%)
  • "시료 중에 다른 물질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르크 마개를 사용하여 밀봉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코르크 마개는 시료를 완전히 밀봉하지 못하므로, 보통 시료용기에는 플라스틱 캡 또는 알루미늄 호일 등을 사용하여 완전한 밀봉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폐기물의 용출시험결과에 대해서 함수율 95%인 시료의 수분 함량을 보정하기 위하여 곱해주는 값은?

  1. 1
  2. 3
  3. 5
  4. 7
(정답률: 40%)
  • 함수율 95%는 신뢰도가 95%라는 뜻이다. 따라서 시료의 수분 함량이 실제로는 보고된 값보다 높거나 낮을 가능성이 5%이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100%를 기준으로 95%만큼의 값을 보정해야 한다. 이를 계산하면 100/95 = 1.0526 이므로, 보기에서 정답은 "3"이다. 즉, 보고된 값에 1.0526을 곱해주면 보정된 값이 나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대상폐기물의 양이 400톤 일 때 시료의 최소 수는?

  1. 30
  2. 36
  3. 40
  4. 46
(정답률: 알수없음)
  • 대상폐기물의 양이 400톤이므로, 시료의 양이 1톤일 때 시료의 수는 400이 됩니다. 따라서, 시료의 수를 x라고 할 때, 1/x = 1/400이 성립합니다. 이를 정리하면 x = 400/1 = 400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최소 수를 구하라고 했으므로, x를 최소화하기 위해 x를 올림하여 정답인 3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수산화나트륨(NaOH) 10g을 정제수 500mL에 용해시킨 용액의 농도는? (단, 나트륨 원자량은 23)

  1. 0.5N
  2. 0.4N
  3. 0.3N
  4. 0.2N
(정답률: 73%)
  • 농도는 몰농도로 표시할 수 있으며, 몰농도는 몰질량을 용액의 부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먼저 용질의 몰질량을 구해야 합니다.

    NaOH의 몰질량 = 23 + 16 + 1 = 40g/mol

    따라서, 10g의 NaOH는 몰 수량으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0g / 40g/mol = 0.25 mol

    이제, 용액의 몰농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몰농도 = 몰 수량 / 용액의 부피 (단위: L)

    용액의 부피는 500mL이므로, 0.5L로 변환해야 합니다.

    몰농도 = 0.25 mol / 0.5 L = 0.5 mol/L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농도를 N으로 표시하라고 했으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N = 몰농도 × 원자량

    N = 0.5 mol/L × 23 g/mol

    N = 11.5 g/L

    이제, 이 값을 10으로 나누어줍니다.

    11.5 g/L ÷ 10 = 1.15 g/L

    즉, 이 용액의 농도는 1.15 g/L이며, 이 값을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반올림하여 1.2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0.5N"이 아닌 "0.2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폐기물공정시험기준(방법)에 사용되는 용어설명 및 일반적 총칙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약'이라 함은 기재된 양에 대하여±10%이상의 차가 있어서는 안된다.
  2. 시험에 사용하는 물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정제수 또는 탈염수를 말한다.
  3. '냄새가 없다'라고 기재한 것은 냄새가 없거나 또는 거의 없는 것을 표시하는 것이다.
  4. '정확히 취하여'라 하는 것은 규정한 양의 검체를 0.1mg 까지 달아 정확히 취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50%)
  • "'약'이라 함은 기재된 양에 대하여±10%이상의 차가 있어서는 안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약'이라 함은 기재된 양에 대하여±10% 이내의 차가 있어서는 안된다."이다.

    "'정확히 취하여'라 하는 것은 규정한 양의 검체를 0.1mg 까지 달아 정확히 취하는 것을 말한다."는 규정한 양의 검체를 가능한 한 정확하게 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실험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수분 측정시 건조기에서의 건조시간과 건조온도로 옳은 것은? (단, 물중탕 후 건조 기준)

  1. 1시간, 105±5℃
  2. 2시간, 105±5℃
  3. 2시간, 105~110℃
  4. 4시간, 105~110℃
(정답률: 50%)
  • 수분 측정시 건조기에서의 건조시간과 건조온도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물질의 수분 함량이 높을수록 높은 온도와 긴 시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물중탕 후 건조 기준으로 볼 때, 수분 함량이 높은 물질은 4시간 동안 105~11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충분한 시간과 온도로 인해 물질 내부의 수분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수분 함량이 낮은 물질에 적합한 조건일 수 있으나, 수분 함량이 높은 물질에는 부적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은 수은을 원자흡광광도법으로 측정하는 원리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1. 아연분말
  2. 염산히드록실아민용액
  3. 묽은 황산(1+9)
  4. 염화제일주석
(정답률: 알수없음)
  • 수은 원자는 자기 전자를 가진 원자로서, 흡수선의 파장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흡수하여 증발된 수은 원자가 기존보다 높은 에너지 상태에 머무르게 된다. 이후, 수은 원자는 다시 기존의 에너지 상태로 돌아가면서, 이때 방출되는 에너지는 흡수선의 파장과 일치하게 된다. 이 방출되는 에너지를 측정하여 수은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때, 수은 원자가 증발되기 위해서는 열이 필요하므로, 측정 시에는 샘플에 열을 가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샘플에는 열에 강한 물질이 사용되어야 하는데, 이 중에서도 염화제일주석이 가장 적합하다. 이는 열에 강하면서도 수은과 반응하여 안정적인 수은화합물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폐기물 관계 법규

61.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에서 기술관리인의 자격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화공산업기사
  2. 전기기사
  3. 산업위생기사
  4. 토목산업기사
(정답률: 알수없음)
  •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에서는 산업위생기사의 자격이 필요합니다. 산업위생기사는 산업현장에서 위생적인 환경을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술과 지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화공산업기사는 화학공정과 관련된 기술을, 전기기사는 전기 시설과 관련된 기술을, 토목산업기사는 건설 현장과 관련된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나,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에서는 산업위생기사의 지식과 기술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시·도지사가 재활용사업의 정지를 명령하여야 하나 해당 재활용사업의 정지로 인하여 그 재활용사업의 이용자가 폐기물을 위탁처리하지 못하여 폐기물이 사업장 안에 적체됨으로써 이용자의 사업 활동에 막대한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경우 그 재활용 사업자의 정지를 갈음하여 다른 사람의 사업장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자에게 부과할 수 있는 과징금의 최대 액수는?

  1. 2억원
  2. 1억원
  3. 5천만원
  4. 3천만원
(정답률: 20%)
  • 재활용사업의 정지로 인해 이용자의 사업 활동에 막대한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경우, 해당 재활용사업자의 정지를 갈음하여 다른 사람의 사업장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자에게 부과할 수 있는 과징금의 최대 액수는 환경보전법 제47조 제3항에 따라 "5천만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폐기물관리법에 적용 되지 않는 물질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수도법에 따른 하수
  2. 용기에 들어있지 아니한 기체상태의 물질
  3. 원자력법에 따른 방사성물질과 이로 인한여 오염된 물질
  4.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에 의한 오수· 분뇨
(정답률: 50%)
  •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에 의한 오수· 분뇨는 폐기물로 분류되어 관리되기 때문에 폐기물관리법에 적용되는 물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폐기물처리 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현황과 향후 설치 계획
  2. 재원의 확보 계획
  3. 폐기물의 감량화와 재활용 등 자원화에 관한 사항
  4. 폐기물별 관리 여건 및 전망
(정답률: 알수없음)
  • 폐기물 처리 기본계획은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본적인 방향과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으로는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현황과 향후 설치 계획, 재원의 확보 계획, 폐기물의 감량화와 재활용 등 자원화에 관한 사항 등이 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폐기물별 관리 여건 및 전망이다. 이는 폐기물 처리 시에 고려해야 할 폐기물의 특성과 처리 방법, 그리고 지역별로 다른 폐기물 처리 여건과 전망 등을 고려하는 것이므로, 다른 내용들에 비해 구체적이고 지역적인 성격이 강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매립시설의 설치를 마친 자가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검사기관으로부터 설치검사를 받고자 하는 경우, 검사를 받고자 하는 날 15일 전까지 검사신청서에 각 서류를 첨부하여 검사기관에 제출하여야 하는데 그 서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설계도서 및 구조계산서 사본
  2. 시설운전 및 유지관리계획서
  3. 설치 및 장비확보명세서
  4. 시방서 및 재료시험성적서 사본
(정답률: 알수없음)
  • 시설운전 및 유지관리계획서는 설치 이후에 필요한 서류이기 때문에 설치 검사를 받을 때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검사기관은 설치 검사를 통해 시설이 안전하게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이후에는 시설의 운영과 유지보수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는 운영검사를 실시합니다. 따라서 시설운전 및 유지관리계획서는 운영검사를 받을 때 제출해야 하는 서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폐기물처리시설인 멸균분쇄시설의 설치검사 항목이 아닌 것은?

  1. 분쇄시설의 작동상태
  2. 계량, 투입시설의 설치여부 및 작동상태
  3. 악취방지시설·건조장치의 작동상태
  4. 밀폐형으로 된 자동제어에 의한 처리방식인지 여부
(정답률: 알수없음)
  • 멸균분쇄시설의 설치검사 항목 중에서는 "분쇄시설의 작동상태", "악취방지시설·건조장치의 작동상태", "밀폐형으로 된 자동제어에 의한 처리방식인지 여부"가 포함되지만, "계량, 투입시설의 설치여부 및 작동상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멸균분쇄시설이 폐기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폐기물의 양을 계량하거나 투입하는 시설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항목은 검사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매립시설의 설치를 마친 자가 검사를 받아야 하는 검사시관(환경부령으로 정함)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국환경공단
  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 한국산업기술시험원
  4. 한국농어촌공사
(정답률: 60%)
  •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은 환경부령으로 매립시설 검사시관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한국산업기술시험원"입니다. 매립시설 검사시관으로 지정된 기관은 "한국환경공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농어촌공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지정폐기물의 분류번호로 지정되어 있는 폐농약이 아닌 것은? (단, 특정시설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그 밖의 농약으로 분류되는 것은 제외함)

  1. 유기인계 농약
  2. 시안계 농약
  3. 유기염소계 농약
  4. 카바메이트계 농약
(정답률: 알수없음)
  • 시안계 농약은 지정폐기물 분류번호가 아닙니다. 이는 시안화물로 분류되어 처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지정폐기물처리담당자 등이 이수하여야 하는 교육과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업장 지정폐기물 배출자 과정
  2. 폐기물처리업 기술요원 과정
  3. 폐기물재활용시설요원 과정
  4. 폐기물처리시설 기술담당자과정
(정답률: 50%)
  • 정답: "폐기물재활용시설요원 과정"

    폐기물재활용시설요원 과정은 지정폐기물처리담당자 등이 이수하여야 하는 교육과정이 아닙니다. 폐기물재활용시설요원 과정은 폐기물재활용시설에서 일하는 직원들이 이수해야 하는 교육과정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폐기물재활용시설요원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기술관리인을 두어야 할 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절단시설로서 1일 처리능력 100톤 이상인 시설
  2. 연료화시설로서 1일 처리능력이 5톤 이상인 시설
  3. 사료화시설로서 1일 처리능력이 5톤 이상인 시설
  4. 멸균· 분해시설로서 시간당 처리능력이 100킬로그램 이상인 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멸균· 분해시설은 시간당 처리능력이 100킬로그램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이 옳지 않습니다. 올바른 기준은 일일 처리능력이 5톤 이상이어야 합니다. 멸균· 분해시설은 폐기물을 처리하기 전에 세균, 바이러스 등을 제거하거나 분해하는 시설을 말합니다. 이러한 시설은 일일 처리능력이 5톤 이상이어야 하며, 이는 다른 보기에서도 언급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특별자치도지사,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음식물류 폐기물의 배출 감량 계획 및 처리실적을 제출하고, 발생량과 처리실적 등을 기록·보전하는 등 음식물류 폐기물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관할 특별자치도, 시·군·구의 조례로 정하는 사항을 지켜야 하는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배출자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식품위생법 규정에 따른 집단급식소(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사회복지시설의 집단급식소는 제외)중 1일 평균 총 급식인원이 100명 이상인 집단급식소를 운영하는 자
  2. 식품위생법 규정에 따른 식품접객업 중 휴게음식점영업 및 일반음식점영업을 하는 자 중 특별자치도 또는 시·군·구의 조례로 정하는 자
  3. 관광진흥법 규정에 따른 관광숙박업을 영위하는 자
  4. 유통산업발전법에 의한 점포를 개설한 자 중 500제곱미터 이상의 영업장을 운영하는 자
(정답률: 28%)
  • "유통산업발전법에 의한 점포를 개설한 자 중 500제곱미터 이상의 영업장을 운영하는 자"는 음식물류 폐기물 배출자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유통산업발전법은 상업시설의 개설과 관련된 법이며, 음식물류 폐기물 배출자 기준은 음식물류 폐기물을 발생시키는 모든 업종에 해당된다. 따라서, 유통산업발전법에 의한 점포를 개설한 자 중 500제곱미터 이상의 영업장을 운영하는 자도 음식물류 폐기물 배출자 기준에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개선명령과 사용중지 명령을 받은 자가 이를 이행하지 아니하거나 그 이행이 불가능 하다는 판단에 따른 해당시설의 폐쇄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1.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2.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백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50%)
  • 개선명령과 사용중지 명령을 받은 자가 이를 이행하지 아니하거나 그 이행이 불가능하다는 판단에 따른 해당시설의 폐쇄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경우, 이는 안전과 보건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엄격한 처벌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법률에서는 이를 위반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폐기물 중간처리시설 중 화학적 처리시설에 해당되는 것은?

  1. 정제시설
  2. 연료화 시설
  3. 응집, 침전시설
  4. 소멸화 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응집, 침전시설은 폐수나 폐기물에서 고형물을 분리하는 과정으로, 화학적 처리를 통해 물질을 응집시키고 침전시켜 분리하는 시설입니다. 따라서 화학적 처리시설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생활폐기물이란 사업장 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말한다
  2. 폐기물처리시설이란 폐기물의 중간처리시설과 최종처리시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을 말한다
  3. 처리란 폐기물의 소각·중화·파쇄·고형화 등의 중간처리(재활용 포함)와 매립하거나 해역으로 배출하는 등의 최종처리를 말한다
  4. 재활용이란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을 줄이고 재사용, 재생을 통하여 폐기물 배출을 최소화 하는 활동을 말한다
(정답률: 42%)
  • "생활폐기물이란 사업장 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말한다"는 옳지 않은 것이다. 생활폐기물은 일반 가정이나 생활공간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말한다.

    재활용이란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을 줄이고 재사용, 재생을 통하여 폐기물 배출을 최소화하는 활동을 말한다. 이는 자원의 유지와 보전, 환경오염의 예방 등을 위해 중요한 활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폐기물처리업자나 폐기물재활용신고자가 휴업·폐업 또는 재개업을 한 경우에 휴업·폐업 또는 재개업을 한 날부터 최대 며칠 이내에 신고서를 시·도지사 또는 지방환경관서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하는가?

  1. 15일
  2. 20일
  3. 30일
  4. 60일
(정답률: 알수없음)
  • 폐기물관리법 제27조에 따르면 폐기물처리업자나 폐기물재활용신고자가 휴업·폐업 또는 재개업을 한 경우에는 휴업·폐업 또는 재개업을 한 날부터 20일 이내에 신고서를 시·도지사 또는 지방환경관서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관리형 매립시설에서 발생 되는 침출수의 수소이온통도(pH) 배출허용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1. 5.8 ~ 8.0
  2. 5.3 ~ 8.0
  3. 5.3 ~ 8.3
  4. 4.8 ~ 8.3
(정답률: 50%)
  • 정답은 "5.8 ~ 8.0" 입니다. 이는 침출수의 pH가 이 범위 내에서 유지되면 수질오염의 위험이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H가 너무 낮으면 산성 침출수가 발생하여 지하수나 지표수를 오염시키고, pH가 너무 높으면 알칼리성 침출수가 발생하여 수생생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 pH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사항 중 설치승인을 얻은 폐기물처리시설의 변경승인을 받아야 할 대상이 아닌 것은?

  1. 대표자 변경
  2. 처리시설 소재지의 변경
  3. 처리대상 폐기물의 변경
  4. 매립시설 제방의 증·개축
(정답률: 60%)
  • 대표자 변경은 폐기물 처리시설의 운영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변경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다. 처리시설 소재지, 처리대상 폐기물, 매립시설 제방 등은 폐기물 처리시설의 운영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들이므로 변경승인을 받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기술관리인을 임명하지 아니하고 기술관리 대행 계약을 체결하지 아니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 운영하는 자에 대한 과태료 처분기준은?

  1. 1천만원 이하
  2. 5백만원 이하
  3. 3백만원 이하
  4. 2백만원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기술관리인을 임명하지 않고 기술관리 대행 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경우, 폐기물처리시설의 안전성과 환경보호를 보장하기 어렵기 때문에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이에 따라 대통령령에서는 이를 위반한 경우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사용 종료되거나 폐쇄된 매립시설이 소재한 토지의 소유권 또는 소유권 외의 권리를 가지고 있는 자가 그 토지를 이용하기 위해 토지이용계획서에 첨부하여야 하는 서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주변 지역 환경영향평가서
  2. 이용하려는 토지의 도면
  3. 매립폐기물의 종류·양 및 복토상태를 적은 서류
  4. 지적도
(정답률: 60%)
  • 주변 지역 환경영향평가서는 매립시설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물이므로, 이용하려는 토지의 소유자나 이용자가 해당 토지를 이용할 때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도록 첨부해야 하는 서류이다. 이에 반해, 이용하려는 토지의 도면, 매립폐기물의 종류·양 및 복토상태를 적은 서류, 지적도는 모두 이용하려는 토지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서류이지만,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물은 아니기 때문에 주변 지역 환경영향평가서보다는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주변지역 영향 조사대상 폐기물 처리시설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일처리 능력이 100톤 이상인 사업장 폐기물 소각시설
  2. 매립면적 3300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
  3. 매립용적 3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
  4. 매립면적 15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일반폐기물 매립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매립면적 15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일반폐기물 매립시설이 옳은 기준이다. 이는 일반폐기물을 처리하는 매립시설 중에서도 매립면적이 큰 시설일수록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이 적기 때문이다. 즉, 폐기물 처리시설이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매립면적이 큰 시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