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9-21)

온실가스관리기사
(2019-09-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후변화개론

1. 이동 오염원의 탄소배출량 저감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기역학기술 적용차량 보급
  2. 바이오 연료 사용
  3. 에코드라이빙 교육
  4. 단거리 물류운송 차량의 대형화
(정답률: 96%)
  • 단거리 물류운송 차량의 대형화는 이동 거리가 짧은 차량들을 대형화하여 운송량을 늘리는 방법으로, 이동 거리가 멀어질수록 탄소 배출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기후변화협약 중 Post-2020 감축목표 등 각국의 기여방안(INDC) 제출 범위, 제출시기, 협의절차, 제출정보 등을 담은 당사국 총회 결정문을 채택한 당사국 총회가 개최된 국가와 도시는?

  1. 카타르 도하
  2. 캐나다 몬트리올
  3. 페루 리마
  4. 프랑스 파리
(정답률: 61%)
  • 정답은 "페루 리마"입니다. 2014년 12월 1일부터 12일까지 개최된 UN 기후변화협약 총회(COP20)에서 당사국 총회 결정문이 채택되었으며, 이 결정문은 Post-2020 감축목표 등 각국의 기여방안(INDC) 제출 범위, 제출시기, 협의절차, 제출정보 등을 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온실가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H4-천연가스의 주성분으로 쓰레기 매입가스를 포집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2. PFCs-CFC를 대체하여 쓰고 있으며, 반도체의 세척용 등으로 활용된다.
  3. N2O-아디프산 생산이나 질소비료를 통해 발생된다.
  4. HFCs-가연성 독성가스로서, 전기제품, 변압기 등의 절연가스로 활용된다.
(정답률: 100%)
  • HFCs는 가연성 독성가스로서 사용되는 것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HFCs는 온실가스로 분류되며, 냉장고, 에어컨 등의 냉매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가연성이 아니며 독성도 없다. 전기제품, 변압기 등의 절연가스로도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기후변화의 영향과 취약성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후변화의 영향이 높고 적응력이 낮을 경우 사회시스템의 기후변화 취약성은 높다고 볼 수 있다.
  2. 기후변화의 영향이 높고 적응력이 높을 경우 사회시스템은 발전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
  3.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과 적응력이 모두 낮을 경우 사회시스템은 잔여위험을 가질 수 있다.
  4. 기후변화의 영향이 낮고 적응력이 높을 경우 사회시스템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하지 못한다.
(정답률: 93%)
  • "기후변화의 영향이 낮고 적응력이 높을 경우 사회시스템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하지 못한다." 이유는, 기후변화의 영향이 낮다면 사회시스템은 그 영향을 크게 받지 않기 때문에 발전의 기회가 많을 것이고, 적응력이 높다면 기후변화에 대한 대처 능력이 높아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적응력이 높다고 해도 기후변화의 영향이 낮아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오히려 사회시스템은 기후변화에 대한 경각심을 잃고 발전에만 집중하게 되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지 못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교토의성서상 감축대상 가스로 지정한 6대 주요 온실가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소불화탄소
  2. 염화불화탄소
  3. 육불화황
  4. 과불화탄소
(정답률: 84%)
  • 염화불화탄소는 온실가스가 아니라, 오존층 파괴 물질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교토의 성서상 감축대상 가스로 지정된 6대 주요 온실가스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2020년 기준 국가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1. 가정부문
  2. 철도 수송 부문
  3. 산업 부문
  4. 폐기물 처리 부문
(정답률: 94%)
  • 산업 부문은 에너지를 사용하는 산업 활동으로 인해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기 때문입니다. 산업 부문에서는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시스템, 제조 공정, 건물 가열 및 냉각, 운송 등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산업 부문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부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기후변화 당사국총회 회차와 개최국이 일치하지 않는 것은?

  1. 제3차 당사국총회-일본 교토
  2. 제8차 당사국총회-인도 뉴델리
  3. 제13차 당사국총회-인도네시아 발리
  4. 제17차 당사국총회-폴란드 바르샤바
(정답률: 62%)
  • 기후변화 당사국총회는 매년 개최되는 것이 아니라, 불규칙적으로 개최되기 때문에 회차와 개최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17차 당사국총회-폴란드 바르샤바"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다루지 않는 분야는?

  1. 기후변화 과학
  2. 배출량 거래제
  3. 기후변화 영향평가, 적응 및 취약성
  4. 배출량 완화, 사회 경제적 비용-편익 분석 등의 정책 분야
(정답률: 75%)
  • 배출량 거래제는 기후변화 과학이나 기후변화 영향평가, 적응 및 취약성, 배출량 완화, 사회 경제적 비용-편익 분석 등의 정책 분야와는 다르게 기후변화에 대한 대처 방안 중 하나로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규제하고 그 규제에 따른 배출량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거래가 가능한 시장을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는 기후변화 과학이나 기후변화 영향평가, 적응 및 취약성 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은 분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기후변화 대응기술 및 정책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무경농법은 수확한 농토를 갈지 않고 그루터기에 파종하는 방법으로서 농경지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는 방법에 활용할 수 있다.
  2. 보호지역제도 관리대안으로 UNESCO는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3. 산림이 농경지나 산업용지, 도시용지로 바뀌면 자연의 이산화탄소 흡수능력이 약화되므로 토지이용 형태를 고려해야 한다.
  4. 생물 멸종을 막기 위해서는 특히 먹이사슬의 아래쪽에 있는 동물의 멸종을 막도록 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고, 로드킬 예방을 위해 생태이동통로에 충붐한 먹이공급시설을 갖춘다.
(정답률: 92%)
  • "생물 멸종을 막기 위해서는 특히 먹이사슬의 아래쪽에 있는 동물의 멸종을 막도록 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고, 로드킬 예방을 위해 생태이동통로에 충붐한 먹이공급시설을 갖춘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기후변화 대응기술 및 정책과는 관련이 있지만, 직접적인 기후변화 대응과는 거리가 멀다. 이는 생물다양성 보전과 관련된 내용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대기 중 이산화탄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와이 마루나로아에서 처음으로 관측했다.
  2. 농도는 여름에 낮고 겨울에 높은 경향을 나타낸다.
  3. 우리나라 대표농도는 안면도 기후변화 감시센터에서 측정한 자료이다.
  4. 전 세계적으로 매년 10ppm 정도씩 증가한다.
(정답률: 78%)
  • "전 세계적으로 매년 10ppm 정도씩 증가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인간의 산업활동 등으로 인해 이산화탄소가 대기 중에 계속 증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기후변화가 수자원 요소에 미치는 영향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지하수의 염수화
  2. 증발산량의 증가
  3. 담수자원의 증가
  4. 지표 및 지하수의 수질 악화
(정답률: 94%)
  • 기후변화로 인해 강수량이 감소하거나 불규칙해지는 등의 영향으로 지하수와 지표수의 수량이 감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강수량이 증가하거나 더욱 안정적으로 공급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담수자원의 증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후변화가 수자원 요소에 미치는 영향으로 거리가 먼 것은 "담수자원의 증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온실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지구 재복사 과정에서 일부 적외선이 지구 바깥으로 나가지 못하고, 지구 대기권 내에 머물러 대기온도가 점차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2. 온실가스는 대기 중 성분비는 매우 작으나 미세한 농도 증가에도 대기의 온도를 민감하게 상승시킨다.
  3. 지구 표면의 온도는 대기 중 CO2와 H2O의 농도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고 볼 수 있다.
  4. 태양광선 중 파장이 400nm~700nm 정도의 가시광선이 대기권에 도달하면 72%는 먼지나 구름 등에 의해 반사되고, 18% 정도만이 대기에 흡수, 그 중 10% 정도만 지표에 도달한다.
(정답률: 76%)
  • "지구 재복사 과정에서 일부 적외선이 지구 바깥으로 나가지 못하고, 지구 대기권 내에 머물러 대기온도가 점차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 항목은 온실효과에 대한 설명과 관련이 없습니다. 다른 항목들은 모두 온실효과에 대한 설명이지만, "태양광선 중 파장이 400nm~700nm 정도의 가시광선이 대기권에 도달하면 72%는 먼지나 구름 등에 의해 반사되고, 18% 정도만이 대기에 흡수, 그 중 10% 정도만 지표에 도달한다." 이 항목은 온실효과와는 관련이 없는 태양광선의 대기권 통과에 대한 설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구 재복사 과정에서 일부 적외선이 지구 바깥으로 나가지 못하고, 지구 대기권 내에 머물러 대기온도가 점차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은 복사와 관련된 용어설명이다. ()안에 알맞은 것은?

  1. 코리올리
  2. 플랑크
  3. 돕슨
  4. 알베도
(정답률: 94%)
  • 알베도는 물체가 입사한 빛을 얼마나 반사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복사와 관련된 용어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인 코리올리, 플랑크, 돕슨은 모두 복사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용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기후변화 관련 당사국총회의 주요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4차 당사국총회에서는 교토의정서의 세부이행절차 마련을 위한 행동계획을 수립하였다.
  2. 제7차 당사국총회에서는 독일에서 개최되었으며, 독일의 온실가스 감축의 부담방안으로 경제성장에 연동된 온실가스 배출목표를 제시하였다.
  3. 제12차 당사국총회에서는 선진국들의 2차 공약기간 온실가스 감축량 설정을 위한 논의일정에 합의하였다.
  4. 제16차 당사국총회에서는 Post-2012 기후체제 합의를 위한 협상을 지속하기로 하였다.
(정답률: 68%)
  • "제7차 당사국총회에서는 독일에서 개최되었으며, 독일의 온실가스 감축의 부담방안으로 경제성장에 연동된 온실가스 배출목표를 제시하였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 제7차 당사국총회에서는 1997년 교토의정서 이후 처음으로 선진국들이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다시 검토하고 협상하는 Annotated Agenda 프로세스를 시작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기후변화관련 기구 중 "SBSTA"에 관한 가장 적합한 설명은?

  1. CSM관련 활동의 선도적 수행과, CERs 발급을 총괄한다.
  2. 기후변화관련 최고의사결정기구이다.
  3. 협약관련 불발사항 관리 및 행정적 재정적 책임 관리를 수행한다.
  4. 국가보고서 및 배출량 통계 방법론, 기술개발 및 기술이전에 관한 실무를 수행한다.
(정답률: 66%)
  • SBSTA는 기후변화에 관한 과학기술위원회로, 국가보고서 및 배출량 통계 방법론, 기술개발 및 기술이전에 관한 실무를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기후변화와 관련한 가스상 오염물질 중 광산화제로 작용하기 때문에 눈에 통증을 일으키며, 빛을 분산시키므로 가시거리를 감소시키는 PAN의 구조식을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은?

  1. C6H5COOONO2
  2. C6H5OH
  3. CH3OH
  4. CH3COOONO2
(정답률: 74%)
  • PAN은 Peroxyacetyl nitrate의 약자로, CH3COOONO2의 구조식을 가지고 있다. 이는 광산화제로 작용하여 대기 중의 NOx와 유기화합물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CH3COOONO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설명에 알맞은 기후변동에 따른 이상현상으로 옳은 것은?

  1. 라니냐 현상
  2. 엘리뇨 현상
  3. 보레르따 현상
  4. 니루 현상
(정답률: 93%)
  • 위 그림은 해양표면 온도의 변화를 보여주는데, 빨간색으로 표시된 지역은 해수면 온도가 평균보다 높은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해수면 온도의 변화는 엘니뇨와 라니냐 현상과 관련이 있다. 라니냐 현상은 태평양의 열대 해양에서 수온이 평균보다 높아지는 현상으로, 이로 인해 태평양 지역에서는 폭염, 가뭄, 홍수 등의 이상기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보여지는 해수면 온도의 변화는 라니냐 현상과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아래 온실가스의 지구온난화 지수가 높은 순서부터 차례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84%)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온실가스의 지구온난화 효과는 그 가스의 농도와 함께 그 가스의 지구에서의 머무름 기간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인 이산화탄소(CO2)는 대기 중 머무는 기간이 가장 길어서 지구온난화 효과가 가장 큽니다.

    ㉢인 메탄(CH4)은 이산화탄소보다 대기 중 머무는 기간이 짧지만, 분자 당 지구온난화 효과가 더 크기 때문에 농도가 낮아도 영향력이 큽니다.

    ㉡인 일산화질소(N2O)는 이산화탄소보다 대기 중 머무는 기간이 길지만, 농도가 적어서 영향력이 작습니다.

    ㉠인 불화가스(SF6)는 대기 중 머무는 기간이 가장 짧지만, 분자 당 지구온난화 효과가 가장 크기 때문에 농도가 낮아도 영향력이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기후변화로 인한 한반도의 환경적 영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생물다양성 감소
  2.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
  3. 농수산물 생산변화에 따른 식생활 변화
  4. 폐기물 증가
(정답률: 88%)
  • 기후변화로 인해 폐기물 증가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기후변화로 인해 기후가 불안정해지면서 자연재해가 더욱 심해지고, 농수산물 생산변화로 인해 식생활 변화가 일어나면서 폐기물 발생량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폐기물 증가는 기후변화로 인한 다른 환경적 영향들과 연결되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기후변화관련 국제기구 중 UN조직 내 환경활동을 촉진, 조정, 활성화하기 위해 설립된 환경전담 국제정부간 기구로 환경문제에 대한 국제적 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기구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WCRP
  2. UNIDO
  3. UNDP
  4. UNEP
(정답률: 83%)
  • UNEP는 UN조직 내 환경활동을 촉진, 조정, 활성화하기 위해 설립된 환경전담 국제정부간 기구로, 환경문제에 대한 국제적 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기구입니다. 다른 보기인 WCRP는 세계기후연구프로그램, UNIDO는 유엔산업개발기구, UNDP는 유엔개발계획안전국으로, 환경문제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하거나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UNEP가 가장 적합한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온실가스 배출의 이해

21. 다음은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아연생산을 위한 배출공정이다. ()안에 알맞은 것은?

  1. 전해로
  2. 용해로
  3. 용융로
  4. 배소로
(정답률: 71%)
  • 아연생산에서 배출되는 가스는 주로 CO₂와 SO₂이다. 이를 처리하기 위해 배소로가 사용된다. 배소로는 고온의 가스를 물에 적시면서 냉각시켜서 이산화황(SO₂)를 황산으로 변환시키고, 이산화탄소(CO₂)는 흡수시켜서 처리한다. 따라서 배소로가 아연생산에서 가스 배출 처리에 사용되는 공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소다회 생산의 배출활동 개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천연 소다회 생산공정에서는 이 공정 중에 트로나(Trona)(천연 소다회를 만들어 내는 중요한 광석)는 로터리 킬른 속에서 소성되고, 화학적으로 천연 소다회로 변형된다.
  2. 천연 소다회 생상공정에서 이산화탄소와 물이 이 공정의 부산물로 생성된다.
  3. 솔베이법 합성공정에서는 염화나트륨 수용액, 석회석, 야금 코크스, 암모니아는 소다회의 의 생산을 유도하는 일련의 반응에 사용되는 원료이다.
  4. 솔베이법 합성공정에서 암모니아는 급속도로 손실되므로, 일정 반응 후 계속 주입이 필요하다.
(정답률: 54%)
  • "솔베이법 합성공정에서는 염화나트륨 수용액, 석회석, 야금 코크스, 암모니아는 소다회의 생산을 유도하는 일련의 반응에 사용되는 원료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소다회 생산의 배출활동 개요에 관한 설명이 아니라, 소다회 생산 공정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입니다.

    암모니아는 솔베이법 합성공정에서 소다회 생산을 유도하는 일련의 반응에 사용되는 원료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암모니아는 급속도로 손실되므로, 일정 반응 후 계속 주입이 필요합니다. 이는 소다회 생산의 배출활동 개요에 관한 설명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솔베이법 합성공정에서는 염화나트륨 수용액, 석회석, 야금 코크스, 암모니아는 소다회의 생산을 유도하는 일련의 반응에 사용되는 원료이다."입니다.

    암모니아가 손실되는 이유는, 솔베이법 합성공정에서 암모니아는 소다회 생산을 유도하는 반응 중 하나인 아래의 반응식에서 사용됩니다.

    2NaCl + CaCO3 + 2NH3 + H2O → 2NaHCO3 + CaCl2 + (NH4)2CO3

    이 반응에서 암모니아는 (NH4)2CO3으로 전환되어 손실됩니다. 따라서 일정 반응 후 계속 암모니아를 주입하여 반응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다음 고상 소각 폐기물 중 화석탄소질량분율이 다른 하나는?

  1. 음식물류
  2. 나무류
  3. 플라스틱류
  4. 정원 및 공원 폐기물류
(정답률: 67%)
  • 플라스틱류는 화석 연료에서 유래한 원료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화석탄소질량분율이 높습니다. 따라서 다른 폐기물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높아지는 것이 예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은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철강 생상 공정의 보고대상 배출시설 중 어느 시설에 해당하는가?

  1. 전로
  2. 코크스로
  3. 소결로
  4. 용선로
(정답률: 74%)
  • 이미지에서 보이는 시설은 전로이다. 이유는 이미지에 "Blast Furnace"라고 적혀있기 때문이다. Blast Furnace는 한국어로 전로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석유화학제품생산 공정배출시설에서의 보고 대상 배출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메탄올 반응시설
  2. 에틸렌옥사이드 반응시설
  3. 테레프탈산 생산시설
  4. 수소 제조시설
(정답률: 67%)
  • 수소 제조시설은 석유화학제품 생산 공정배출시설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수소 제조시설은 수소 생산을 위한 시설로, 석유화학제품 생산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은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항공기에서의 배출활동 개요이다. ()안에 알맞은 것은?

  1. ㉠ 90%, ㉡ 10%
  2. ㉠ 10%, ㉡ 90%
  3. ㉠ 50%, ㉡ 50%
  4. ㉠ 75%, ㉡ 23%
(정답률: 69%)
  • 항공기에서의 배출활동 중 대부분은 이륙 및 착륙 시 발생하는 것으로, 이는 항공기의 무게와 연료 소비량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륙 및 착륙 시 발생하는 배출활동은 항공기의 총 배출량 중 약 10%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항공기가 비행 중에 발생하는 배출활동은 연료 소비량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총 배출량 중 약 90%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정답은 "㉠ 10%, ㉡ 9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이동연소 부문의 철도차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도 부문은 일반적으로 디젤, 전기, 증기 세 가지 중 하나를 사용하여 구동하는 철도기관차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한다.
  2. 철도차량은 고속차량, 전기기관차, 전기동차, 디젤기관차, 디젤동차, 특수차량 등 6종류가 있다.
  3. 디젤기관차와 디젤동차의 주된 차이점은 전기동력의 사용 유무와 관련이 있다.
  4. 증기기관차는 산업용으로만 한정하고 있으며, 발생되는 온실가스는 상대적으로 많다.
(정답률: 66%)
  • "증기기관차는 산업용으로만 한정하고 있으며, 발생되는 온실가스는 상대적으로 많다." 이 설명은 옳지 않다. 증기기관차는 이미 사용되지 않는 기술이며,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것은 디젤기관차와 디젤동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석유정제활동에서의 보고대상 배출시설이 아닌 것은?

  1. 수소제조시설
  2. 촉매재생시설
  3. 코크스 제조시설
  4. 나프타 분해시설
(정답률: 68%)
  • 나프타 분해시설은 석유를 분해하여 나오는 가스를 처리하는 시설이 아니라, 나프타를 분해하여 유용한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시설이기 때문에 보고대상 배출시설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나프타 분해시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석회 생산 시 사용되는 소성로 중 로터리 킬른에서 배출되는 공정배출 온실가스는?

  1. CO2
  2. CH4
  3. N2O
  4. PFCs
(정답률: 55%)
  • 석회 생산 시 사용되는 소성로 중 로터리 킬른에서는 석회석을 분해하여 이산화탄소(CO2)가 배출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CO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유리생산 배출활동의 개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리생산 활동에서의 융해 공정 중 CO2를 배출하는 주요 원료는 MgCO3, H2CO3 및 NaHCO3이다.
  2. 배출원 카테고리에는 유리 생산뿐만 아니라 생산공정이 유사한 글래스올(glass wool) 생산으로 인한 배출도 포함된다.
  3. 유리의 제조에는 유리 원료뿐만 아니라 재활용된 유리 파편인 컬릿(Cullet)을 일정량 사용한다.
  4. 용기 생산에서의 컬릿 비율은 40~60%이지만, 유리 품질관리 차원에서 사용이 제한되기도 하며, 절연 섬유유리는 이보다 적은 컷릿을 사용한다.
(정답률: 49%)
  • "유리생산 활동에서의 융해 공정 중 CO2를 배출하는 주요 원료는 MgCO3, H2CO3 및 NaHCO3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유리 생산에서 융해 공정 중 CO2를 배출하는 주요 원료는 CaCO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석유화학제품 생산공정에 대한 개요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석유화학산업은 화석연료나 나프타 등의 석유정제품을 원료로 한다.
  2. 나프타로부터 에틸린, 프로필렌 등 기초유분을 생산하며 이때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3. NCC는 나프타를 분해하는 설비로서 국내에서 많이 활용된다.
  4. 기초유분 하나를 중합하여 스티렌, AN, PVC 등을 생산한다.
(정답률: 46%)
  • "기초유분 하나를 중합하여 스티렌, AN, PVC 등을 생산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석유화학산업에서 기초유분인 에틸렌, 프로필렌 등을 생산한 후 이를 중합하여 다양한 화학제품을 생산하기 때문이다. 스티렌, AN, PVC 등도 이러한 중합체 중 일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전자산업의 보고대상 배출시설 공정으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산화-식각 공정
  2. 식각-증착 공정
  3. 노광-증착 공정
  4. 노광-산화 공정
(정답률: 76%)
  • 온실가스 및 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서는 전자산업의 보고대상 배출시설 공정으로 "식각-증착 공정"을 선택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이 공정이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가장 많은 온실가스 배출을 유발하는 공정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식각-증착 공정은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필요한 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 때 사용되는 화학물질들이 대량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 공정을 보고대상 배출시설 공정으로 선택하여 관리하고 감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석탄 채굴 및 처리활동에서의 탈루 배출 보고대상 배출 온실가스에 해당하는 것은?

  1. CO2
  2. CH4
  3. C2O
  4. CO
(정답률: 66%)
  • 석탄 채굴 및 처리활동에서 발생하는 탈루(Talu)는 주로 메탄(CH4)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탈루 배출 보고대상 배출 온실가스에 해당하는 것은 CH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온실가스 배출시설에 사용되는 연료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이오가솔린(Biogasoline):해조류와 같은 바이오매스를 사용하여 생산하는 가솔린으로 분자당 6~12의 탄소를 포함한다. 바이오부탄올, 바이오에탄올이 알콜기인 것에 반해 바이오가솔린은 탄화수소로서 화학적으로 차이가 난다.
  2. 목탄(Chaecoal):목재 등 목탄생산을 위한 재료를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고 가열하거나, 또는 공기를 아주 적게 하여 가열하였을 때 생기는 고체 생성물을 말하며, 재료는 보통 단단한 나무가 사용되며, 검탄ㆍ백탄ㆍ성형목탄으로 분류된다.
  3. 바이오디젤(Biodiesel):쌀겨 기름이나 식용유 등의 식물성 기름을 특수 공정으로 가공하여 경유와 섞어서 만든 디젤기관의 연료로 기존의 경유와 특성이 비슷하지만, 연소 시 공해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4. 코크스로 가스(Coke Oven Gas):철강 산업의 용광로에서 코크스의 연소 시 생산되는 부생가스이다.
(정답률: 49%)
  • 바이오가솔린은 분자당 6~12의 탄소를 포함하며, 바이오부탄올, 바이오에탄올과 화학적으로 차이가 있지만, 바이오가솔린은 탄화수소로서 화학적으로 차이가 없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기체, 액체 혹은 고체 상태의 원료 화합물을 반응기 내에 공급하여 기관 표면에서의 화학적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반도체 기판위에 고체 반응 생성물인 박막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전자 산업, 특히 반도체 공정에 주로 이용하는 공정은?

  1. 식각공정
  2. 화학기상 증착공정
  3. 성형공정
  4. 세정공정
(정답률: 63%)
  • 화학기상 증착공정은 기체 상태의 원료 화합물을 반응기 내에 공급하여 기관 표면에서의 화학적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반도체 기판위에 고체 반응 생성물인 박막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따라서 이 공정은 반도체 공정에서 주로 이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폐기물관련 부문 온실가스 배출원과 산정, 보고해야 하는 배출가스로 옳지 않은 것은?

  1. 매립된 폐기물의 분해과정 중 CO2 발생
  2. 비생물계 기원 폐기물의 소각으로 인한 CO2 발생
  3. 하수슬러지의 혐기성 소화에 의한 CH4 발생
  4. 퇴비화로 인한 CH4, N2O 발생
(정답률: 38%)
  • "매립된 폐기물의 분해과정 중 CO2 발생"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매립지에서 폐기물이 분해되면 메탄(CH4)과 이산화탄소(CO2)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매립된 폐기물의 분해과정 중 CH4 발생"이 맞는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촉매를 활용한 수증기 개질방법으로 암모니아를 생산하는데 거치는 공정단계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천연가스 탈황→메탄화→일산화탄소의 전환→수증기 1차 개질→이산화탄소 제거→공기로 2차 개질→암모니아 합성
  2. 천연가스 탈황→일산화탄소의 전환→수증기 1차 개질→메탄화→공기로 2차 개질→이산화탄소 제거→암모니아 합성
  3. 천연가스 탈황→일산화탄소의 전환→수증기 1차 개질→공기로 2차 개질→메탄화→이산화탄소 ㅈ거→암모니아 합성
  4. 천연가스 탈황→수증기 1차 개질→공기로 2차 개질→일산화탄소의 전환→이산화탄소 제거→메탄화→암모니아 합성
(정답률: 76%)
  •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촉매를 활용한 수증기 개질방법으로 암모니아를 생산하는데 거치는 공정단계의 순서는 "천연가스 탈황→수증기 1차 개질→공기로 2차 개질→일산화탄소의 전환→이산화탄소 제거→메탄화→암모니아 합성"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천연가스 탈황: 천연가스는 주로 메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황화수소와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탈황 과정을 거친다.

    2. 수증기 1차 개질: 천연가스와 수증기를 혼합하여 촉매를 이용해 수증기를 개질시켜 수소와 일산화탄소를 생성한다.

    3. 공기로 2차 개질: 생성된 수소와 일산화탄소를 공기와 혼합하여 다시 촉매를 이용해 개질시켜 수소와 이산화탄소를 생성한다.

    4. 일산화탄소의 전환: 생성된 일산화탄소를 촉매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로 전환시킨다.

    5. 이산화탄소 제거: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흡착제를 이용해 제거한다.

    6. 메탄화: 생성된 수소와 메탄을 혼합하여 촉매를 이용해 메탄화시킨다.

    7. 암모니아 합성: 생성된 메탄과 질소를 혼합하여 촉매를 이용해 암모니아를 합성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은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탄광시설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 배출량 산정방식(Tier 3)이다. 각 인지별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Vi:탄광의 시설 ⅰ로부터 누출되는 가스 유량(m3/min)
  2. Ci:누출시설 ⅰ의 배출가스 중 CH4의 부피분율
  3. DCH4의 밀도 (20℃, 1기압에서 0.6669×10-3ton/m3)
  4. Timei:탄광의 시설로부터 CH4 반응시설 ⅰ로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hr)
(정답률: 43%)
  • "Timei:탄광의 시설로부터 CH4 반응시설 ⅰ로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hr)"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이 값은 산정 방식(Tier 3)에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추가적인 정보로써 제공되는 값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값은 산정 방식과는 별개로, 해당 탄광에서의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는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하ㆍ폐수 처리 및 배출의 보고대상 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축분뇨공공처리시설
  2. 공공하수처리시설
  3. 분뇨처리시설
  4. 퇴비화 시설
(정답률: 66%)
  • 퇴비화 시설은 하ㆍ폐수 처리 및 배출과는 관련이 없는 시설이기 때문에 보고대상 시설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퇴비화 시설은 동물 분뇨 등을 처리하여 퇴비로 만드는 시설로,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보고대상 시설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이동연소 배출시설 중 도로 차량의 배출시설을 구분하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전기자동차
  2. 승용자동차
  3. 승합자동차
  4. 화물자동차
(정답률: 75%)
  • 전기자동차는 연료로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동연소 배출시설이 아닙니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전기자동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온실가스 산정과 데이터 품질관리

41.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서 배출량에 따른 시설규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B그룹은 연간 5만 톤 이상, 연간 50만 톤 미만의 배출시설이다.
  2. 연간 100만 톤 이상의 배출시설은 D 그룹에 해당한다.
  3. 관리업체는 신설되는 배출시설규모 결정 시 신설되는 배출시설의 예상 온실가스 배출량을 계산하여 그 값에 따라 시설규모를 결정한다.
  4. 배출시설규모 최종 결정 이후, 최근에 제출된 명세서의 온실가스 배출량보다 최근에 제출된 3개년도 명세서의 평균배출량이 큰 경우, 최근에 제출된 3개년도 명세서의 평균배출량에 따라 시설규모를 결정한다.
(정답률: 75%)
  • "연간 100만 톤 이상의 배출시설은 D 그룹에 해당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지침에서 B 그룹은 연간 5만 톤 이상, 연간 50만 톤 미만의 배출시설이라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100만 톤 이상의 배출시설은 B 그룹에 해당하지 않고, D 그룹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측정기기 설치 및 운영관리를 위한 “상대정확도 시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관리업체의 측정기기 또는 데이터 수집기간의 통신상태 및 대기분야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
  2. 측정 자료 간의 오차율을 비교하여 정확성을 확인하는 시험으로 대기분야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
  3. 측정기기의 설치위치, 환경조건, 기능, 성능 등이 대기분야 환경오염 공정시험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
  4. 상대정확도 시험은 확인검사와 통합시험으로 구분할 수 있음
(정답률: 52%)
  • "상대정확도 시험"은 측정 자료 간의 오차율을 비교하여 정확성을 확인하는 시험으로 대기분야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입니다. 이 시험을 통해 관리업체의 측정기기 또는 데이터 수집기간의 통신상태 및 대기분야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상대정확도 시험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A하수처리장은 메탄올 450톤 회수하여 연료로 사용하였으며(메탄 회수율은 80%), 아래와 같은 조건으로 처리장은 운영한다. 이 때 온실가스 배출량(tCO2-eq)으로 가장 가까운 값은? (단,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기준, 회수한 메탄의 고정연소황동 배출량은 제외, CH4 배출계수 0.48 kgCH4/kgBOD, N2O 배출계수 0.005kgN2O-Nkg-T-N, N2O의 분자량 44.013, N2의 분자량 28.013, 슬러지 반출은 없음)

  1. 3150
  2. 8629
  3. 11787
  4. 18087
(정답률: 61%)
  • 처리장에서는 메탄올을 연료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이를 연소시켜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계산해야 한다. 메탄 회수율이 80%이므로, 450톤 중 360톤이 회수되었다. 이를 BOD 단위로 환산하면 360,000 kgBOD이다. CH4 배출계수가 0.48 kgCH4/kgBOD이므로, 메탄 회수로 인해 방출되는 CH4 양은 172,800 kgCH4이다. 이를 tCO2-eq로 환산하면 172,800 x 25 = 4,320 tCO2-eq이다.

    또한, 메탄 연소로 인해 발생하는 N2O 배출량도 계산해야 한다. N2O 배출계수는 0.005 kgN2O-N/kg-T-N이다. 이를 tCO2-eq로 환산하기 위해서는 N2O의 분자량과 N2의 분자량을 고려해야 한다. N2O의 분자량은 44.013이고, N2의 분자량은 28.013이다. 따라서, N2O 배출량은 360,000 x 0.005 x (44.013/28.013) = 317.6 kg이다. 이를 tCO2-eq로 환산하면 317.6 x 298 = 94,604.8 tCO2-eq이다.

    따라서,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4,320 + 94,604.8 = 98,924.8 tCO2-eq이다. 이 중에서 메탄 회수로 인해 방출되는 CH4 양은 4,320 tCO2-eq이므로, 이를 제외한 값이 정답인데, 이는 98,924.8 - 4,320 = 94,604.8 tCO2-eq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8629"에 가장 가깝다. 따라서 정답은 "862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생산물“의 원소함량 등을 분석하고자 하는 경우 최소 분석 주기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주 1회
  2. 월 1회
  3. 분기 1회
  4. 반기 1회
(정답률: 71%)
  • 생산물의 원소함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일정한 간격으로 분석을 해야 합니다. 그러나 분석 주기가 너무 짧으면 비용이 증가하고, 너무 길면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생산물의 원소함량을 분석하는 최소 주기는 월 1회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비용과 효율성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교통분야 특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일 법인 등이 여객자동차 운수사업자로부터 차량을 일정 기간 임대 등의 방법을 통해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통제할 경우 당해 법인 등의 소유로 본다.
  2. 일반화물자동차 운송 사업을 경영하는 법인 등이 허가받은 차량은 차량소유 유무에 상관없이 당해 법인 등이 지배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차량으로 본다.
  3. 관리업체 지정을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할 때에는 국제항공과 국제해운 부문도 포함한다.
  4. 화물운송량이 연간 3천만 톤-km 이상인 화주기업의 물류부문에 대해서는 국토교통부에서 다른 부문의 소관 관장기관에게 관련 자료의 제출을 요청할 수 있다.
(정답률: 77%)
  • "일반화물자동차 운송 사업을 경영하는 법인 등이 허가받은 차량은 차량소유 유무에 상관없이 당해 법인 등이 지배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차량으로 본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관리업체 지정을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할 때에는 국제항공과 국제해운 부문도 포함하는 이유는 국제항공과 국제해운 부문도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국제항공과 국제해운 부문도 목표를 설정하고, 감축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차량소유 유무와 상관없이 법인 등이 지배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차량으로 본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법인 등이 차량을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통제할 수 있는 경우 해당 차량을 법인 등의 소유로 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화물운송량이 연간 3천만 톤-km 이상인 화주기업의 물류부문에 대해서는 국토교통부에서 다른 부문의 소관 관장기관에게 관련 자료의 제출을 요청할 수 있다는 것도 옳은 설명이다. 이는 대규모 물류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품질보증(QA) 활동에 해당하는 사항은? (단, 품질관리(QC)활동과 비교)

  1. 측정가능한 목적이 만족되었는지 검증하고 주어진 과학적 지식 및 가용성이 현재 상태에서 가장 좋은 배출량 산정결과를 나타내는지 검토ㆍ확인
  2. 자료의 무결성, 정확성 및 완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일상적이고 일관적인 검사의 제공
  3. 배출량 산정자료의 문서화 및 보관, 모든 품질관리 활동의 기록
  4. 자료 수집 및 계산에 대한 정확성 검사와 배출량 감축량의 계산ㆍ측정, 불확도 산정, 정보의 보관 및 보고활동
(정답률: 60%)
  • 정답은 "자료 수집 및 계산에 대한 정확성 검사와 배출량 감축량의 계산ㆍ측정, 불확도 산정, 정보의 보관 및 보고활동"입니다. 이는 품질보증(QA) 활동에 해당하는 사항으로, 측정가능한 목적을 검증하고 과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최적의 결과를 도출하는 것은 품질관리(QC) 활동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활동자료의 수집방법론에서 아래 측정기기의 기호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1. 상거래 또는 증명에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측정량을 결정하는 법정계량에 사용하는 측정기기
  2. 관리업체가 자체적으로 설치한 계량기로서, 국가표준기본법에 따른 시험기관, 교정기관, 검사기관에 의하여 주기적인 정도검사를 받는 측정기기
  3. 관리업체가 자체적으로 설치한 계량기이나, 주기적인 정도검사를 실시하지 않는 측정기기로서 가스미터, 오일미터 등이 있음
  4. 가스미터, 오일미터, 주유기, LPG 미터, 눈새김탱크, 눈새김탱크로리, 적산열량계, 전력열량계 등 법정계량기 및 그 외 계량기를 모두 포함
(정답률: 72%)
  • 측정기기의 기호는 "법정계량기"를 나타낸다. 이는 상거래나 증명에 사용하기 위해 정해진 기준에 따라 측정량을 결정하는 공식적인 측정기기를 의미한다. 이에 대비하여, 관리업체가 자체적으로 설치한 계량기 중 국가표준기본법에 따른 시험기관, 교정기관, 검사기관에 의해 주기적인 정도검사를 받는 측정기기는 "교정계량기"라고 부르며, 주기적인 정도검사를 실시하지 않는 측정기기는 "비교정계량기"라고 부른다. 이러한 모든 계량기를 포함하여 "법정계량기"라고 부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게 A에서 납 생산공정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시 Tier 1을 적용할 때, 활동자료 측정불확도 기준으로 적합한 것은?

  1. ±7.5% 이내의 납 생산량 자료를 사용한다.
  2. ±5.0% 이내의 납 생산량 자료를 사용한다.
  3. ±2.5% 이내의 납 생산량 자료를 사용한다.
  4. ±2.0% 이내의 납 생산량 자료를 사용한다.
(정답률: 69%)
  • 정답은 "±7.5% 이내의 납 생산량 자료를 사용한다." 입니다.

    Tier 1은 간단한 계산 방법을 사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에서는 활동자료의 측정불확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자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납 생산량 자료의 측정불확도는 일반적으로 ±5% 이내입니다. 따라서, Tier 1에서는 이보다 더 큰 측정불확도를 고려하여 ±7.5% 이내의 납 생산량 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만약, 더 정확한 측정불확도를 가진 자료가 있다면, 더 낮은 측정불확도를 고려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Tier 2나 Tier 3와 같이 더 복잡한 계산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배출량 산정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배출계수의 고도화가 필요하다. 다음 중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 신회도가 가장 낮은 것은?

  1.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
  2. 국가 고유 배출계수
  3. IPCC 기본 배출계수
  4. 사업장 내 연속측정 방법에 따른 배출량 산정
(정답률: 71%)
  • 정답은 "사업장 내 연속측정 방법에 따른 배출량 산정"입니다. 이유는 사업장 내 연속측정 방법에 따른 배출량 산정은 해당 사업장에서 직접 측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신회도가 가장 높습니다. 반면, "IPCC 기본 배출계수"는 국제적으로 공인된 기준으로, 국가나 사업장의 특성에 따라 적용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배출량 산정을 위해서는 해당 사업장에서 직접 측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사업장 내 연속측정 방법에 따른 배출량 산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석회공정에서는 고온에서 석회석을 가열하여 석회를 생산하는 과정 중 이산화탄소가 발생된다. 생산된 석회가 100톤이라고 할 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단, 석회생산량 당 CO2 배출계수는 0.75(tCO2/t-석회생산량)이다.)

  1. 0.75톤
  2. 7.5톤
  3. 75톤
  4. 750톤
(정답률: 76%)
  • 석회생산량 1톤당 CO2 배출량이 0.75톤이므로, 100톤의 석회를 생산하면 CO2가 100 x 0.75 = 75톤 발생한다. 따라서 정답은 "75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운영을 위한 검증지침상 검증기관의 지정, 관리, 준수사항과 관련된 사항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검증기관 지정의 유효기간은 지정일로부터 3년이다.
  2. 검증기관은 지정 유효기간 이후에 재지정을 받고자 할 경우 지정기간 만료일 이전 3개월 전까지 검증기관 재지정 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3. 검증기관은 검증업무 수행내역 등 자료를 5년 이상 보관하여야 한다.
  4. 검증기관은 반기별 검증업무 수행내역을 작성하여 매 반기 종료일로부터 10일 이내에 국립환경과학원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정답률: 48%)
  • 검증기관은 반기별 검증업무 수행내역을 작성하여 매 반기 종료일로부터 10일 이내에 국립환경과학원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 옳은 설명입니다.

    검증기관 지정의 유효기간은 지정일로부터 3년이다. - 옳은 설명입니다.

    검증기관은 지정 유효기간 이후에 재지정을 받고자 할 경우 지정기간 만료일 이전 3개월 전까지 검증기관 재지정 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 옳은 설명입니다.

    검증기관은 검증업무 수행내역 등 자료를 5년 이상 보관하여야 한다. - 옳은 설명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온실가스 배출활동을 직접 배출과 간접배출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직접배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공정배출
  2. 탈루배출
  3. 외부로부터 구입되어 조직 내에서 사용되는 전기 생산과정에서 배출
  4. 이동연소 배출
(정답률: 75%)
  • "외부로부터 구입되어 조직 내에서 사용되는 전기 생산과정에서 배출"은 간접배출에 해당된다. 이는 조직이 외부에서 구입한 전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로, 직접적으로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의 온실가스배출량 산정보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관리업체는 보고대상 배출시설 중 연간 배출량이 200tCO2-eq 미만인 소규모 배출시설은 배출시설단위로 보고하지 않고 사업장단위 총 배출량에 포함하여 보고할 수 있다.
  2. 관리업체는 명세서를 작성한 후 검증기관의 검증을 거쳐 매년 3월 31일까지 부문별 관장기관에 제출해야 한다.
  3. 세부적인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방법이 제시되지 않은 온실가스 배출활동은 관리업체가 자체적으로 산정방법을 개발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여야 한다.
  4. 관리업체는 연간 모니터링 계획 등을 포함한 온실가스 배출량의 산정ㆍ보고와 관련한 자료를 문서화하여 최소 5년 이상 보관하여야 한다.
(정답률: 66%)
  • "세부적인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방법이 제시되지 않은 온실가스 배출활동은 관리업체가 자체적으로 산정방법을 개발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여야 한다."이 부분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관리업체는 온실가스 배출활동에 대한 산정방법이 제시되지 않은 경우, 해당 배출활동에 대한 산정방법을 개발하여 관장기관에 제출하고, 관장기관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이후에 해당 산정방법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관리업체인 H사는 판유리 생산을 위해 사용하는 유리 용해량이 50000톤이며, 컬릿 비율은 0.2이다. 판유리 생산과정에서 CO2 배출량(tCO2)은? (단, CO2 배출계수는 0.21tCO2/t-용해된 유리량이고,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을 기준으로 함)

  1. 8400000
  2. 2100000
  3. 8400
  4. 2100
(정답률: 58%)
  • 유리 용해량이 50000톤이고, 컬릿 비율이 0.2이므로 실제로 사용되는 유리량은 50000 x 0.2 = 10000톤이다. 이에 따라 CO2 배출량은 10000 x 0.21 = 2100tCO2이다. 따라서 정답은 "2100"이 아니라 "84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모니터링 유형은?

  1. A 유형
  2. B유형
  3. C유형
  4. D유형
(정답률: 45%)
  • C 유형은 시간에 따른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그래프에서 x축이 시간이고 y축이 측정값인 것으로 보아 C 유형에 해당한다. A 유형은 특정 지점에서 측정하는 것, B 유형은 특정 구간에서 측정하는 것, D 유형은 특정 대상의 속성을 측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은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운영을 위한 검증지침상 검증기관의 변경신고에 관한 사항이다 ()안에 알맞은 것은?

  1. ㉠ 7일, ㉡ 15일
  2. ㉠ 15일, ㉡ 7일
  3. ㉠ 7일, ㉡ 30일
  4. ㉠ 30일, ㉡ 7일
(정답률: 52%)
  • 검증기관 변경신고는 이전 검증기관과 새로운 검증기관 모두가 검증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변경신고일로부터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새로운 검증기관이 검증활동을 시작할 수 있다. 이 기간은 검증지침에서 "이전 검증기관과 새로운 검증기관 모두가 검증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기간"으로 명시되어 있으며, 이 기간은 "㉠ 7일, ㉡ 30일"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정답은 "㉠ 7일, ㉡ 30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온실가스 소량배출사업장 기준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온실가스 배출량 기준 3 Kilotonnes CO2-eq 미만이다.
  2. 에너지소비량 기준 50 terajoules 미만이다.
  3. 해당 연도 1월 1일을 기준으로 최근 3년간 사업장에서 배출한 온실가스와 소비한 에너지의 연평균 총량을 기준으로 한다.
  4. 신설 등으로 인해 최근 3년간 자료가 없을 경우에는 보유(최초 가동연도를 포함한다.)하고 있는 자료를 기준으로 한다.
(정답률: 38%)
  • 에너지소비량 기준 50 terajoules 미만이 아닌 이유는,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너지소비량은 서로 다른 기준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온실가스 배출량 기준과 에너지소비량 기준은 별도로 판단되며, 온실가스 소량배출사업장 기준에서는 온실가스 배출량 기준이 3 Kilotonnes CO2-eq 미만이고, 에너지소비량 기준이 50 terajoules 미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운영을 위한 검증지침에 의거 중요성의 양적 기준치는 할당대상업체의 배출량 수준에 따라 차등화한다. 검증 시 중요성 평가의 양적 기준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총 배출량이 500만 tCO2-eq 이상인 할당대상 업체는 총 배출량의 2.0%
  2. 총 배출량이 50만 tCO2-eq 이상 500만 tCO2-eq 미만인 할당대상 업체는 총 배출량의 2.5%
  3. 총 배출량이 50만 tCO2-eq 미만인 할당대상 업체는 총 배출량의 5.0%
  4. 총 배출량이 25만 tCO2-eq 미만인 할당대상 업체는 총 배출량의 7.50%
(정답률: 58%)
  • "총 배출량이 25만 tCO2-eq 미만인 할당대상 업체는 총 배출량의 7.50%" 이유는, 총 배출량이 적은 업체일수록 배출량의 일부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총 배출량이 적은 업체일수록 중요성 평가의 양적 기준치가 높아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온실가스 소량배출사업장 기준이다. ()안에 가장 적합한 수치는?

  1. 1000분의 50 미만
  2. 1000분의 100 미만
  3. 1000분의 150 미만
  4. 1000분의 300 미만
(정답률: 67%)
  • 온실가스 소량배출사업장 기준은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이 1,000톤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이 중에서도 미세먼지 등 다른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적은 기업을 대상으로 하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1,000분의 50 미만인 경우에는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서 제출이 면제된다. 따라서, "1000분의 50 미만"이 가장 적합한 수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용어의 정의 중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절약과 관련하여 경제적ㆍ기술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면서 가장 최신이고 효율적인 기술, 활동 및 운전방법”을 말하는 것은?

  1. 최적가용기술
  2. 실용신안기술
  3. 벤치마크기술
  4. 적정운영기술
(정답률: 73%)
  • "최적가용기술"은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절약과 관련하여 경제적ㆍ기술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면서 가장 최신이고 효율적인 기술, 활동 및 운전방법을 말합니다. 다른 보기들인 "실용신안기술", "벤치마크기술", "적정운영기술"은 모두 기술과 관련된 용어이지만, "최적가용기술"과 같이 최신이면서 가장 효율적인 기술을 의미하는 용어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온실가스 감축관리

61. 교토의정서에서 CDM사업은 해당사업을 수행하지 않았을 경우에도 발생했을 감축에 추가적이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는데, 다음 중 여기서 언급하는 추가성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경제적 추가성
  2. 논리적 추가성
  3. 기술적 추가성
  4. 환경적 추가성
(정답률: 66%)
  • 정답: "경제적 추가성"

    해설: 교토의정서에서 언급하는 추가성은 CDM사업을 수행하지 않았을 경우에도 발생하는 감축에 대한 추가적인 감축을 의미합니다. 이는 "논리적 추가성"으로 분류됩니다. 경제적 추가성은 CDM사업을 수행함으로써 발생하는 경제적 이익을 의미하며, 교토의정서에서는 이를 강조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경제적 추가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은 고형 연료와 기술 중 바이오메스에 관한 설명이다. ()안에 알맞은 것은?

  1. Resistance(저항성)
  2. 3T(Temperature, Time Turbulence)
  3. Conversion Rate(전환율)
  4. Hazzrd Risk(위험도)
(정답률: 74%)
  • 바이오메스는 생물성 원료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연료로, 고형 연료 중 하나이다. 이 연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생물성 원료를 열분해하여 액체 상태로 만들어야 한다. 이때, 올바른 온도, 시간, 교반 등의 조건이 필요하다. 이를 3T(Temperature, Time Turbulence)라고 부르며, 이 조건이 적절하지 않으면 전환율이 낮아지고 위험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바이오메스 생산에 있어서 3T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이산화탄소 연소 전 포집 기술 중 화학적 흡수법에 주로 사용되는 흡수제로 틀린 것은?

  1. 메탄올(Methanol)
  2. 탄산칼륨(Potassium Carbonate)
  3. 모노에탄올아민(MEA)
  4. 메틸다이에틸아민(MDEA)
(정답률: 68%)
  • 메탄올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흡수제가 아닙니다. 메탄올은 대신에 메탄올을 이용한 탈수제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메탄올(Methano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자료의 불확실성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여 규명하는 시스템적인 절차인 불확도 분석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량적인 분석 결과를 제공하므로 결과의 신뢰성이 높다.
  2. 모든 입력 자료를 확률분포로 나타내는데 한계가 있다.
  3. 수행과정이 간단하고, 전문지식이 필요 없다.
  4. 분석 결과에 대하여 의사 결정이 용이하다.
(정답률: 71%)
  • "수행과정이 간단하고, 전문지식이 필요 없다."는 옳지 않은 것이다. 불확도 분석은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필요한 분야이며, 수행과정도 복잡하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우리나라에서 분류하고 있는 신ㆍ재생에너지 중 “신에너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연료전지
  2. 해양에너지
  3. 석탄을 액화ㆍ가스화한 에너지
  4. 수소에너지
(정답률: 63%)
  • 해양에너지는 신에너지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신에너지는 지속가능하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에너지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해양에너지는 파도, 해류, 조류 등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자연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신에너지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매립가스 반전 적용방법 중 증기터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규모 시설일수록 경제적 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가스엔진과 가스터빈에 비해 운영보수비가 저렴한 편이다.
  3. 발전시설과 분리되어 있어서 매립가스 내 불순물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4. 초기 시설비는 저렴하나, 가스엔진과 가스터빈에 비해 NOx와 CO의 배출량이 많다.
(정답률: 74%)
  • 매립가스 반전 적용방법 중 증기터빈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초기 시설비는 저렴하나, 가스엔진과 가스터빈에 비해 NOx와 CO의 배출량이 많다."입니다. 이유는 증기터빈은 연소 과정이 없기 때문에 NOx와 CO를 배출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가장 큰 것은?

  1. 이산화탄소 1000톤 감축
  2. 메탄 150톤 감축
  3. 아산화질소 25톤 감축
  4. 육불화황 1톤 감축
(정답률: 73%)
  • 육불화황은 대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먼지와 황산화물 등을 제거하여 대기오염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입니다. 이에 따라 육불화황 1톤 감축은 대기오염 개선에 큰 기여를 하며, 이는 온실가스 감축에도 큰 효과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육불화황 1톤 감축이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가장 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외부사업 추가성 평가 절차 및 방법 중 만족되어야 하는 추가성 기준내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외부사업 타당성 평가 및 감축량 인증에 관한 지침기준)

  1. 경제적 추가성 분석은 일반감축사업 대상 중, 연간 60,000 tCO2-eq 초과의 예상 온실가스 감축량 혹은 흡수량을 갖는 사업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분석하도록 한다.
  2. 추진하고자 하는 외부사업이 현행 법ㆍ제도에 의해 제한을 받아야 하며, 외부사업의 내용이 현행 법ㆍ제도에 의하사항으로 규정되어 있어야 한다.
  3. 경제성이 부족하여 외부사업으루 추진하기 어려우나, 외부사업 인증실적 활용을 통하여 경제성 확보가 가능한 사업이어야 한다.
  4. 지방자치단체 등의 기관에서 온실가스 감축에 필요하여 정책적으로 권장하는 사업은 자발적 참여에 의한 활동으로 간주할 수 있다.
(정답률: 25%)
  • "추진하고자 하는 외부사업이 현행 법ㆍ제도에 의해 제한을 받아야 하며, 외부사업의 내용이 현행 법ㆍ제도에 의하사항으로 규정되어 있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외부사업이 현행 법ㆍ제도에 의해 제한을 받아야 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 기준은 모든 경우에 적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수소에너지의 특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풍부한 자원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청정2차 에너지이다.
  2. 안전성이 매우 높고, 대량으로 값싸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기술의 효율성이 99%이상으로 높다.
  3. 에너지의 저장 및 수송이 가능한 화학적 매체이다.
  4. 연료전지 시스템을 사용하여 직접 발전이 가능하다.
(정답률: 78%)
  • 안전성이 매우 높고, 대량으로 값싸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기술의 효율성이 99%이상으로 높기 때문에 수소에너지는 거리가 먼 풍부한 자원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청정 2차 에너지로서 매우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연료전지(Fuel Cell)의 형태에 따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산형(PAFC) 연료전지는 백금을 주촉매로 사용하고, 150~250℃ 정도에서 운전한다.
  2. 알칼리형(AFC) 연료전지는 외부 연료개질기가 필요하며, 50~120℃ 정도에서 운전한다.
  3. 용융탄산염형(MCFC) 연료전지는 550~700℃ 정도에서 운전하며, 대규모 발전에 사용한다.
  4. 고체산화물형(SOFC) 연료전지는 백금을 주 촉매로 사용하고, 100~150℃ 정도에서 운전한다.
(정답률: 64%)
  • "고체산화물형(SOFC) 연료전지는 백금을 주 촉매로 사용하고, 100~150℃ 정도에서 운전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이다.

    고체산화물형(SOFC) 연료전지는 백금을 촉매로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다양한 산화물을 촉매로 사용한다. 또한, 고체산화물형 연료전지는 높은 온도에서 운전한다. 일반적으로 800~1000℃ 정도에서 운전한다. 따라서, "고체산화물형(SOFC) 연료전지는 백금을 주 촉매로 사용하고, 100~150℃ 정도에서 운전한다." 이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가 제출한 이행실적 중 부문별 관장기관이 확인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이행계획과의 연계성 및 정확성 여부
  2. 목표에 대한 이행여부
  3. 검증결과의 파급효과
  4. 개선명령의 이행여부
(정답률: 61%)
  • 다른 항목들은 이행실적을 확인하고 평가하는 것에 초점을 둔 반면, "검증결과의 파급효과"는 검증 결과가 기업이나 조직의 다른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검증 결과를 통해 개선할 부분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조직 전반의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이행실적 평가 외에도 조직의 장기적인 발전을 고려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온실가스 감축 이행계획서 작성절차 중 QC 수립에 관한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1. 산정 과정의 적절성
  2. 자체 검증 과정의 적절성
  3. 산정 결과의 적절성
  4. 보고의 적절성
(정답률: 53%)
  •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온실가스 감축 이행계획서 작성절차 중 QC 수립에 관한 내용으로, 자체 검증 과정의 적절성은 QC 수립 이후에 이루어지는 내용으로 거리가 먼 것이다. QC 수립은 산정 과정, 산정 결과, 보고의 적절성 등을 검증하고 보완하기 위한 내용으로, 자체 검증 과정의 적절성은 QC 수립 이후에 이루어지는 내용으로, QC 수립 이전에는 고려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풍력발전의 특징 및 입지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생가능한 무공해 에너지원이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편이다.
  2. 오랜 기술축적으로 인한 기술성숙도와 가격경쟁령을 가지고 있다.
  3. 설치비용은 저렴하나, 건설 및 성치기간이 상대적으로 길다.
  4. 발전량은 풍속과 풍차의 크기에 좌우되며, 풍력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평균 4m/s 이상의 풍속이 되어야 한다.
(정답률: 61%)
  • 설치비용은 저렴하나, 건설 및 설치기간이 상대적으로 길다는 것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오히려 풍력발전의 특징 중 하나로, 설치 및 건설 기간은 상대적으로 짧고, 대부분의 구성 요소가 공장에서 제조되어 현장에서 조립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에 따라 분문별 관장기관이 조기감축실적을 평가할 때 교려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조기행동의 추가성
  2. 초기행동의 실제성
  3. 초기행동에 따른 감축효과의 지속성
  4. 초기행동의 자율성
(정답률: 57%)
  • 초기행동의 자율성은 교려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초기행동이 국가나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며, 강제적인 규제나 법적 제한이 없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초기행동의 자율성은 국가나 기업의 의지와 노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를 평가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온실가스 감축사업에서 베이스라인 방법론의 구성요소로 거리가 먼 것은?

  1. 감축사업에 따른 환경영향과 전망(Environmental Effect & Prospect)
  2. 감축사업의 경계(Project Boundary)
  3. 온실가스의 누출(Leakage)
  4.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Emission Reduction)
(정답률: 45%)
  • 베이스라인 방법론의 구성요소 중에서 "감축사업에 따른 환경영향과 전망(Environmental Effect & Prospect)"은 다른 요소들과 달리 베이스라인의 설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다. 이 요소는 온실가스 감축사업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전망을 평가하는 것으로, 베이스라인 방법론의 구성요소 중에서는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정하는 것과는 별개의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온실가스 직접 감축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대체물질 개발
  2. 온실가스 활용
  3. 온실가스 전환
  4. 온실가스 은폐
(정답률: 75%)
  • 온실가스 은폐는 온실가스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온실가스가 발생하는 곳에서 발생량을 줄이지 않고, 발생한 온실가스를 숨기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는 온실가스 직접 감축방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CDM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베이스라인 방법론(Baseline methodology)‘의 원칙 2가지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윤리성, 정확성
  2. 총괄성, 보수성
  3. 투명성, 추가성
  4. 투명성, 보수성
(정답률: 48%)
  • 정답: "투명성, 보수성"

    - 투명성: 베이스라인 방법론에서는 CDM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베이스라인(기준선)을 설정하는데, 이때 베이스라인 설정 과정에서는 투명성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즉, 베이스라인 설정에 사용된 데이터와 방법 등이 명확하게 공개되어야 합니다.
    - 보수성: 베이스라인 방법론에서는 베이스라인 설정 시 불확실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베이스라인 설정 시 보수성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이는 베이스라인 설정 시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CDM사업의 타당성을 더욱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가 조기감축실적을 분할하여 이행실적에 반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최초로 이행실적을 보고하는 연도를 포함하여 연속으로 최대 몇 회까지 반영할 수 있는가?

  1. 3회
  2. 5회
  3. 10회
  4. 12회
(정답률: 60%)
  • 지침상 관리업체가 조기감축실적을 분할하여 이행실적에 반영하고자 하는 경우, 연속으로 최대 3회까지 반영할 수 있습니다. 이는 지속적인 노력과 조치를 촉진하고, 지속적인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3회 이상 반영하게 되면 이행실적의 신뢰성과 투명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음식물처리시설에서 온실가스를 저감할 수 있는 기술과 거리가 먼 것은?

  1. 혐기성 소화방식을 호기성 소화방식으로 전환시키는 대체 공정 적용
  2. 공정개선을 통한 메탄 포집 회수 이용의 극대화
  3. 혐기성 소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올 포집 회수 이용하는 활용공정 적용
  4. 음식물 건조 및 분쇄 후 미세하게 파쇄
(정답률: 75%)
  • 음식물 건조 및 분쇄 후 미세하게 파쇄는 온실가스 저감 기술 중에서 거리가 먼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가까운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음식물 처리시설에서 처리된 음식물을 건조하고 분쇄한 후 미세하게 파쇄하여 퇴비나 축산물 사료 등으로 재활용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처리된 음식물이 자연 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 가스를 줄일 수 있어 온실가스 저감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지열 냉난방 열교환 시스템을 설치할 경우의 특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연중 원하는 온도를 조절해 냉난방과 온수를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2. 수동작동 위주여서 관리인이 상주해야 하고, CO2의 배출이 많아 환경오염의 발생 우려가 큰 편이다.,
  3. 보일러 등의 설치공간을 기존에 비해 줄일 수 있어 부가가치가 높은 편이다.
  4. 경유, 석유, 가스 등 연료 없이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어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은 없는 편이다.
(정답률: 70%)
  • 수동작동 위주여서 관리인이 상주해야 하고, CO2의 배출이 많아 환경오염의 발생 우려가 큰 편이다. - 이는 시스템의 운영과 관리에 대한 문제와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문제로, 시스템을 운영하려면 상주하는 관리인이 필요하며, 시스템이 가동됨에 따라 CO2가 배출되어 환경오염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온실가스관련 법규

81. 외부사업 타당성 평가 및 감축량 인증에 관한 지침에서 외부사업 시작일에 해당될 수 없는 것은?

  1. 외부사업의 시행과 관련된 계약일
  2. 사업의 타당성 연구, 사전조사를 위한 계약일
  3. 외부사업의 시행과 관련된 최초 지출일
  4. 외부사업의 작업 실행 또는 장치의 설치 시작일
(정답률: 50%)
  • 외부사업의 시작일은 사업의 타당성 연구, 사전조사를 위한 계약일이 아니라, 외부사업의 작업 실행 또는 장치의 설치 시작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따라서 "사업의 타당성 연구, 사전조사를 위한 계약일"은 외부사업 시작일에 해당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상 온실가스 감축 국가목표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총 배출량을 2030년의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 대비 얼마까지 감축하는 것으로 하는가?(2021년 11월 변경된 목표치 반영)

  1. 100분의 20
  2. 100분의 27
  3. 100분의 30
  4. 100분의 40
(정답률: 61%)
  • 정답은 "100분의 40"이다. 이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총 배출량을 2017년의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40%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이전 목표치인 "100분의 30"보다 더욱 강력한 감축 목표를 설정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정부는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을 몇 년마다 수립ㆍ시행하여야 하는가?

  1. 3년
  2. 5년
  3. 10년
  4. 15년
(정답률: 67%)
  • 정부는 5년마다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합니다. 이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정책 및 대응책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개선하기 위함입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기후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평가와 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은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상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 수립에 관한 사랑이다.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1개월 전
  2. 3개월 전
  3. 6개월 전
  4. 12개월 전
(정답률: 64%)
  • 이유는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에서는 매년 6월 30일까지 다음 해의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을 수립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현재 시점에서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6개월 전인 12월 이전에 수립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가 전자적 방식으로 작성한 이행실적 보고서를 부문별 관장기관에 제출해야 하는 시기로 옳은 것은?

  1. 매년 3월 31일 까지
  2. 매년 6월 30일 까지
  3. 매년 9월 30일 까지
  4. 매년 12월 31일 까지
(정답률: 34%)
  • 이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절약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보고서 제출 기한이기 때문입니다. 이 법률에 따라 관리업체는 매년 3월 31일까지 전년도 이행실적 보고서를 작성하여 부문별 관장기관에 제출해야 합니다. 이 보고서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 절감 등의 목표 달성 상황을 평가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데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배출량 등의 산정범위에 관한 사항이다.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200tCO2-eq 미만
  2. 150tCO2-eq 미만
  3. 120tCO2-eq 미만
  4. 100tCO2-eq 미만
(정답률: 49%)
  • 이미지는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산정범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산정범위는 100tCO2-eq 미만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기업이나 조직이 온실가스 배출량을 100tCO2-eq 이하로 유지하도록 노력하도록 권고하는 것이다. 이는 기업이나 조직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노력을 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은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상 과징금 부과에 관한 사항이다.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 10만원, ㉡ 3배 이하
  2. ㉠ 10만원, ㉡ 5배 이하
  3. ㉠ 5만원, ㉡ 3배 이하
  4. ㉠ 5만원, ㉡ 5배 이하
(정답률: 66%)
  •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에서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할당량을 초과하는 경우 과징금을 부과하고 있다. 이 때, 과징금의 금액은 10만원으로 정해져 있으며, 초과 배출량이 할당량의 3배 이하인 경우에는 과징금을 3배까지 부과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 10만원, ㉡ 3배 이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상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정부는 계획기간별로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을 수립한다. 다음 중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를 고려하여 설정한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2. 배출허용총량에 따른 해당 계획기간 및 이행연도별 배출권의 총수량에 관한 사항
  3. 배출사업장별 배출권의 변동과 할당거래를 위해 환경부장관이 지시하는 사항
  4. 이행연도별 배출권의 할당기준 및 할당향에 관한 사항
(정답률: 63%)
  •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를 고려하여 설정한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과 "이행연도별 배출권의 할당기준 및 할당향에 관한 사항"은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이며, 이미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를 고려하여 배출허용총량을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이행연도별 배출권의 할당기준과 할당향을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출사업장별 배출권의 변동과 할당거래를 위해 환경부장관이 지시하는 사항"이 가장 거리가 먼 내용입니다. 이는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이 아니라, 배출사업장별로 실제로 배출권을 거래하고 관리하기 위한 세부적인 지침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녹생성장 추진의 지방자치단체의 책무로 거리가 먼 것은?

  1. 지방자치단체는 저탄소 녹색성장 실현을 위한 국가시책에 적극 협력하여야 한다.
  2. 지방자치단체는 저탄소 녹색성장대책을 수립ㆍ시행할 때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적 특성과 여건을 고려하여야 한다.
  3. 지방자치단체는 에너지와 자원의 위치 및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대응책을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성과를 평가하고 국제협상의 동향 및 주요 국가의 정책을 분석하여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4. 지방자치단체는 관할구역 내에서의 각종 계획 수립과 사업의 저탄소 녹색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지역주민에게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하여야 한다.
(정답률: 70%)
  • 지방자치단체가 에너지와 자원의 위치 및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대응책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국제협상의 동향 및 주요 국가의 정책을 분석하여 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지방자치단체가 녹색성장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적 특성과 여건을 고려한 저탄소 녹색성장대책을 수립하고, 관할구역 내에서의 각종 계획 수립과 사업의 저탄소 녹색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으며, 지역주민에게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부문별 관장기관은 외부사업 온실가스 감축량의 인증에 관한 업무를 부문별 관장기관이 공동으로 정하여 관보에 고시하는 바에 따라 위탁할 수 있는데, 다음 중 위탁할 수 있는 기관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농촌진흥법에 따른 농업기술실용화재단
  2. 한국환경공단법에 따른 환국환경공단
  3. 한국교통안전공단법에 따른 한국교통안전공단
  4. 임업선진화법에 따른 한국임업진흥연구원
(정답률: 48%)
  • 임업선진화법에 따른 한국임업진흥연구원은 온실가스 감축량의 인증과는 관련이 없는 기관이기 때문에 위탁할 수 없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농업기술실용화재단, 환국환경공단, 한국교통안전공단으로써 각각 농업, 환경, 교통 분야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으로 온실가스 감축량의 인증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은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조정 및 취소에 관한 지침상 할당신청의 중복, 누락, 오류 등 적절성 검토에 관한 사항이다.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2020년 12월 24일 개정된 기준 적용됨)

  1. 5일
  2. 15일
  3. 1개월
  4. 2개월
(정답률: 39%)
  •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신청서 제출 마감일은 3월 31일이다. 따라서, 2개월 이내에 적절성 검토 결과를 통보받을 수 있는 기한은 5일이다. 15일과 1개월은 마감일 이후이므로 해당하지 않고, 2개월 이상은 지침상 정해져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서 정의하는 무상할당 업종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역집약도가 100분의 30 이상인 업종
  2. 생산비용발생도가 100의 30 이상인 업종
  3. 생산비용 발생도가 100분의 5이상이고 무역집약도가 100분의 10 이상인 업종
  4. 수출집약도 또는 수출다양도가 100분의 30 이상인 업종
(정답률: 56%)
  • 정답: "생산비용발생도가 100의 30 이상인 업종"

    생산비용발생도는 해당 업종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과 생산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생산비용발생도가 높을수록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업종으로 분류된다.

    수출집약도 또는 수출다양도가 100분의 30 이상인 업종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제품이 해외 시장에서 수요가 높은 업종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업종은 국내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무상할당 대상이 된다.

    따라서, "수출집약도 또는 수출다양도가 100분의 30 이상인 업종"이 옳지 않은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부문별 관장기관의 소관업무 분야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농립축산식품부:농업ㆍ임업ㆍ축산ㆍ식품 분야
  2. 산업통상자원부:유통ㆍ해운 분야
  3. 환경부:폐기물 분야
  4. 국토교통부:건물ㆍ교통 분야(해운ㆍ항만 분야는 제외한다.)
(정답률: 63%)
  • 정답인 "산업통상자원부:유통ㆍ해운 분야"는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부문별 관장기관의 소관업무 분야가 잘못 연결된 것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에너지 분야를 담당하고 있으며, 유통ㆍ해운 분야는 국토교통부가 담당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산업통상자원부:에너지 분야"가 올바른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운영을 위한 검증지침상 “외부사업 사업자가 감축사업을 하지 않았을 경우 사업경계 내에서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은 조건을 고려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의미하는 용어는?

  1. 추가 배출량
  2. 부족 배출량
  3. 베이스라인 배출량
  4. 감축 배출량
(정답률: 69%)
  • "베이스라인 배출량"은 외부사업 사업자가 감축사업을 하지 않았을 경우, 해당 사업경계 내에서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은 조건을 고려하여 산출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의미합니다. 이는 해당 사업의 기존 배출량을 기준으로 하여 감축량을 산정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베이스라인 배출량"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은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이의신청서 작성과 관련된 사랑이다.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5일
  2. 10일
  3. 15일
  4. 30일
(정답률: 52%)
  • 이의신청서를 제출할 수 있는 기간이 30일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의신청서 제출 기간과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목표설정협의체 구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위원은 당연직 위원과 위촉위원으로 구성한다.
  2. 위원장은 부문별 관장기관의 장이 지명하는 공무원이 된다.
  3. 위촉위원의 임기는 1년으로 하고 연임할 수 없다.
  4. 위원장 1명을 포함한 25ㅁ병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정답률: 58%)
  • 위촉위원의 임기는 1년으로 하고 연임할 수 없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위촉위원이 일시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며, 지속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재선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다음 연도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 이용효율목표를 통보받은 관리업체가 부문별 관장기관에게 제출해야 하는 이행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항목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3년 단위의 연차별 목표와 이행계획
  2. 사업장별 배출 온실가스의 종류ㆍ배출량 및 사용 에너지의 종류ㆍ사용량 현황
  3. 주요 생산 공정별 온실가스 배출 현황 및 에너지 소비량
  4. 사업장별 일별 온실가스 배출시설 운휴시간 기록부 및 배출시설 담당자
(정답률: 56%)
  • 정답은 "사업장별 일별 온실가스 배출시설 운휴시간 기록부 및 배출시설 담당자"입니다. 이유는 이 내용은 이행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행계획은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 이용효율, 온실가스 감축 등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와 그에 따른 계획을 포함해야 합니다. 따라서 일별 운휴시간 기록부나 담당자 정보는 이행계획에 필요한 정보가 아니며, 다른 문서나 기록을 통해 관리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상 배출권 할당위원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출권 할당위원회에 위촉된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한 차례만 연임할 수 있다.
  2. 할당위원회에는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간사위원 2명을 둔다.
  3. 배출권 할당위원회의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4. 배출권 할당위원회의 회의는 할당위원회의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거나 재적위원의 3분의 1 이상이 요구할 때에 개최한다.
(정답률: 53%)
  • "할당위원회에는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간사위원 2명을 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배출권 할당위원회에는 간사위원이 아닌, 위원장과 위원으로 구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공공부문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환경부장관은 행정안전부장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및 국토교통부장관 등의 검토결과를 반영하여 공공부문의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이행결과 종합보고서를 작성하고, 언제까지 국무총리에게 보고하여야 하는가?

  1. 매년 1월 31일까지
  2. 매년 3월 31일까지
  3. 매년 6월 30일까지
  4. 매년 12월 31일까지
(정답률: 55%)
  • 환경부는 매년 6월 30일까지 공공부문의 온실가스 및 에너지 목표 이행 결과를 종합보고서로 작성하여 국무총리에게 보고해야 합니다. 이는 전년도의 이행 결과를 종합하여 보고하기 때문에 1월이나 3월과 같이 이행 기간이 끝나자마자 보고하기에는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12월 31일까지 보고하면 다음해의 이행 계획 수립에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지 않기 때문에 6월 30일까지 보고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정부가 범지구적인 온실가수 감축에 적극 대응하고 저탄소 녹색성장을 효율적ㆍ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중장기 및 단계별 목표를 설정해야 하는 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도서지역 에너지 보급률 목표
  2. 에너지 절약 목표 및 에너지 이용효율 목표
  3. 신ㆍ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4. 온실가스 감축 목표
(정답률: 67%)
  • "도서지역 에너지 보급률 목표"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추진하기 위한 중요한 항목 중 하나입니다. 도서지역은 전력 및 에너지 공급이 어렵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도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보장하고 에너지 절약을 촉진하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전국적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