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9-26)

온실가스관리기사
(2020-09-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후변화개론

1. 기후시스템 중 에어로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에어로졸의 크기는 약 수백 나노미터부터 수십 마이크로미터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넓다.
  2. 에어로졸은 불규칙한 친수성, 광학적 특성, 다른 종류의 에어로졸과 혼합 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그 특성을 파악하기 어렵다.
  3. 에어로졸은 크게 인류기원 에어로졸과, 자연기원 에어로졸로 나눌 수 있다.
  4. 1주일 내외의 짧은 에어로졸의 잔류시간으로 인해 시공간적 분포는 오염배출원을 중심으로 좁다.
(정답률: 92%)
  • 정답은 "1주일 내외의 짧은 에어로졸의 잔류시간으로 인해 시공간적 분포는 오염배출원을 중심으로 좁다." 이다. 이 설명은 틀렸는데, 에어로졸의 잔류시간은 크기와 구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반화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에어로졸의 잔류시간은 다양하며, 시공간적 분포도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제2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시 기후변화 리스크의 기반 선진화된 적응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단계별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절차가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분석→파악→평가→우선순위 설정
  2. 파악→분석→평가→우선순위 설정
  3. 분석→파악→우선순위 설정→평가
  4. 파악→분석→우선순위 설정→평가
(정답률: 80%)
  • 정답은 "파악→분석→평가→우선순위 설정"이다.

    먼저, 기후변화 리스크를 파악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단계이다. 이후에는 파악한 정보를 바탕으로 분석을 진행하여 어떤 영향을 미칠지 예측하고, 그에 따른 평가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적응관리체계를 마련한다. 따라서, "파악→분석→평가→우선순위 설정"이 올바른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온실가스 배출량 정량화 단계가 아닌 것은?

  1. 배출량 계산
  2. 활동데이터 선택 및 수집
  3. 배출계수 선택 또는 개발
  4. 프로젝트 개발
(정답률: 92%)
  • 온실가스 배출량 정량화 단계에서 "프로젝트 개발"은 포함되지 않는다. 이유는 이 단계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측정하고 계산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고, 해당 데이터를 바탕으로 배출계수를 선택하거나 개발하는 단계이기 때문이다. 프로젝트 개발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단계로, 정량화 단계 이후에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의 협의 및 설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목표관리 대상 기간은 2년 단위이다.
  2. 발전과 철도는 BAU 대비 총량제한으로 한정한다.
  3. 목표설정방식은 과거실적 기반 및 벤치마크기반 2단계로 구분한다.
  4. 기준년도 배출량의 시간기준은 관리업체로 최초 지정된 해의 직전 연도를 포함한 5년간 연평균 배출량으로 설정한다.
(정답률: 66%)
  •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는 2년 단위로 기간이 설정되며, 발전과 철도는 BAU 대비 총량제한으로 한정된다. 목표설정방식은 과거실적 기반 및 벤치마크기반 2단계로 구분되며, 기준년도 배출량의 시간기준은 관리업체로 최초 지정된 해의 직전 연도를 포함한 5년간 연평균 배출량으로 설정된다. 이 중에서 "목표설정방식은 과거실적 기반 및 벤치마크기반 2단계로 구분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과거 실적을 기반으로 목표를 설정하는 방식과 벤치마크를 기반으로 목표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기후변화에 의한 잠재적인 영향과 잔여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잠재적인 영향은 적응을 고려할 경우 나타나는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의미하며, 잔여영향은 적응으로 회피될 수 있는 영향부분을 포함한 영향을 말한다.
  2. 잠재적인 영향은 적응을 고려할 경우 나타나는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의미하며, 잔여영향은 적응으로 회피될 수 있는 영향부분을 제외한 영향을 말한다.
  3. 잠재적인 영향은 적응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나타나는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의미하며, 잔여영향은 적응으로 회피될 수 있는 영향 부분을 포함한 영향을 말한다.
  4. 잠재적인 영향은 적응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나타나는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의미하며, 잔여영향은 적응으로 회피될 수 있는 영향 부분을 제외한 영향을 말한다.
(정답률: 84%)
  • "잠재적인 영향은 적응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나타나는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의미하며, 잔여영향은 적응으로 회피될 수 있는 영향 부분을 제외한 영향을 말한다."가 가장 적합한 설명이다. 이는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이 발생할 때, 적응을 고려하지 않으면 나타나는 영향을 잠재적인 영향이라고 하며, 적응으로 회피될 수 있는 영향을 제외한 나머지 영향을 잔여영향이라고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화석 연료의 연소로 인해 야기된 전 지구적 기후 변화를 보여주는 심벌로 인식되고 있는 아래 그림은 마치 톱니처럼 주기적으로 위 아래로 진동하면서 오른쪽 위를 향해 뻗어간다. 이 그림의 명칭과 그 원인은?

  1. Keeling curve, 식물의 광합성에 따른 계절적인 차이
  2. Keeling curve, 기온증가로 인한 빙하의 감소 차이
  3. James curve, 폭우와 폭설에 따른 강수의 차이
  4. James curve, 태양복사에 의한 알베도의 차이
(정답률: 84%)
  • 이 그림의 명칭은 "Keeling curve"이며, 이는 화석 연료의 연소로 인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는 1958년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측정되어 왔으며, 이산화탄소 농도가 계절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식물의 광합성에 따른 계절적인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다. 봄과 여름에는 식물이 많이 자라면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므로 농도가 낮아지고, 가을과 겨울에는 식물이 죽거나 잠자리에 들면서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므로 농도가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우리나라의 메탄(CH4) 배출량 중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분야는?

  1. 에너지 분야
  2. 폐기물 분야
  3. 산업공정 분야
  4. 농업 분야
(정답률: 63%)
  • 농업 분야에서는 축산물 생산과 쌀 재배 등에서 메탄이 발생합니다. 특히 축산물 생산에서는 소, 돼지 등의 소화기에서 발생하는 방제가 메탄 배출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메탄 배출량 중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분야는 농업 분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극한기후지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서리일수 : 일최고기온이 0℃ 미만인 날의 연중 일수
  2. 열대야일수 : 일최저기온이 25℃ 이상인 날의 연중 일수
  3. 폭염일수 : 일최고기온이 33℃ 이상인 날의 연중 일수
  4. 호우일수 : 일강수량이 80mm 이상인 날의 연중 일수
(정답률: 67%)
  • 옳지 않은 설명은 "서리일수 : 일최고기온이 0℃ 미만인 날의 연중 일수"입니다. 올바른 설명은 "서리일수 : 일최저기온이 0℃ 미만인 날의 연중 일수"입니다. 서리는 일최저기온이 0℃ 미만인 경우에 발생하는 현상이기 때문에 일최고기온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IPCC 5차 평가보고서에 따른 지구복사강제력(RF)이 높은 순서에서부터 낮은 순서대로 가장 적합하게 나열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70%)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지구복사강제력(RF)이 높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가장 높은 RF를 가진 온실가스부터 낮은 RF를 가진 온실가스 순으로 나열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가장 높은 RF를 가진 이산화탄소(CO2)가 ㉣에 위치하고, 그 다음으로 높은 RF를 가진 메탄(CH4)이 ㉡에 위치합니다. 그리고 낮은 RF를 가진 아황산기(SOx)가 ㉢에 위치하고, 이어서 낮은 RF를 가진 질소산화물(NOx)이 ㉠에 위치합니다. 마지막으로, 가장 낮은 RF를 가진 암모니아(NH3)가 ㉤에 위치합니다. 따라서, "㉣→㉡→㉢→㉠→㉤"가 가장 적합한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1992년 체결된 기후변화에 관한 유엔기본협약의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 기후변화와 관련된 과학적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국제기구는?

  1.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
  2. 세계기상기구(WMO)
  3. 유엔환경계획(UNEP)
  4. 유엔개발계획(UNDP)
(정답률: 73%)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은 유엔기본협약의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 기후변화와 관련된 과학적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국제기구이다. 다른 보기들인 세계기상기구(WMO), 유엔환경계획(UNEP), 유엔개발계획(UNDP)은 기후변화와 관련된 분야에서 활동하지만, IPCC는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역할을 전담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의 탄소시장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배출권을 배분하는 과정을 배출권할당 이라고 한다.
  2. 개별 경제주체에 대해 배출권을 할당하는 방식 중 무상배분 방식은 배출권을 과거 배출량을 기준으로 비용 없이 발행하여 배분하는 방식이다.
  3. 탄소배출권을 리스크에 따라 분류할 경우 2차 시장은 등록된 CDM사업으로부터 예상되는 배출권을 거래하는 시장이다.
  4. 배출권거래제를 통하여 발행되는 배출권으로는 AAU, EAU 등이 대표적 배출권이다.
(정답률: 71%)
  • 탄소배출권을 리스크에 따라 분류할 경우 2차 시장은 등록된 CDM사업으로부터 예상되는 배출권을 거래하는 시장이 아니다. 2차 시장은 이미 발행된 배출권을 거래하는 시장이며, CDM사업으로부터 예상되는 배출권은 아직 발행되지 않은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우리나라 국가배출량 통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국가 온실가스 관리위원회 심의·의결 후 확정된다.
  2. IPCC 제3차 보고서에서 제시한 지구온난화지수를 활용하여 산정된다.
  3. 활동자료 개선이나 산정방법론이 변경됨에 따라 매년 재계산 될 수 있다.
  4. 관장기관에서 산정 후, 환경부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는 이를 수정·보완한다.
(정답률: 58%)
  • "IPCC 제3차 보고서에서 제시한 지구온난화지수를 활용하여 산정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국가배출량 통계는 국가 온실가스 관리위원회에서 심의·의결 후 확정되며, 활동자료 개선이나 산정방법론이 변경됨에 따라 매년 재계산됩니다. 관장기관에서 산정 후, 환경부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는 이를 수정·보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UNFCCC에서 규제하고 있는 온실가스가 아닌 것은?

  1. 수소불화탄소
  2. 이산화질소
  3. 육불화황
  4. 과불화탄소
(정답률: 85%)
  • 이산화질소는 UNFCCC에서 규제하고 있는 온실가스가 아닙니다. 이유는 이산화질소는 대기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로 존재하지만, 온실 효과에 기여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UNFCCC에서는 이산화질소를 규제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우리나라 기후변화 영향 중 식생변화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개엽시기가 빨라진다.
  2. 개화시기가 지연된다.
  3. 고립된 고산대 식물이 멸종되기 쉽다.
  4. 고도가 낮은 곳의 온대성 식물이 산 위로 확장한다.
(정답률: 82%)
  • 기후변화로 인해 온도와 강수량 등의 환경 조건이 변화하면서 식물들의 생애주기가 변화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개화시기가 지연되는 식물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봄이 더 따뜻해지면서 일부 식물들은 봄이 더 이상 춥지 않아도 되므로 개화를 더 늦게 시작하게 됩니다. 따라서 "개화시기가 지연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2006 IPCC 가이드라인의 폐기물 부문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1. 고형 폐기물 매립에 의한 배출
  2. 고형폐기물의 소각 및 노천 소각에 의한 배출
  3. 분뇨 처리에 의한 배출
  4. 폐수 처리 및 배출
(정답률: 76%)
  • 분뇨 처리는 생물학적 처리 과정을 거쳐 처리되는데, 이는 온실가스 배출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2006 IPCC 가이드라인의 폐기물 부문에서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고형 폐기물 매립, 소각, 노천 소각, 폐수 처리 등으로 인해 온실가스 배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포함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IPCC 가이드라인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UNFCCC에서 국제표준으로 인정한 지침서이다.
  2. 국가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위한 지침서이다.
  3. 상향식 배출량 산정방식을 이용한다.
  4. 국제적 표준이 되는 온실가스 종류와 지구온난화 지수 등을 포함하고 있다.
(정답률: 80%)
  • "상향식 배출량 산정방식을 이용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IPCC 가이드라인은 하향식 배출량 산정방식을 이용한다. 이는 에너지 사용량, 생산량 등의 하위 요소를 기반으로 배출량을 계산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기후시스템에서 구름의 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구름과 온난화는 관련이 없다.
  2. 낮은 구름이 증가하면 온난화 효과가 크다.
  3. 낮은 구름보다 높은 구름이 증가하면 지구복사에너지를 더 많이 흡수한다.
  4. 현재까지는 온난화로 높은 구름이 감소할 가능성이 지배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답률: 70%)
  • 낮은 구름은 지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태양복사를 막아 지구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지만, 높은 구름은 태양복사를 반사시키는 대신 지구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에너지를 흡수하여 지구온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높은 구름이 증가하면 지구온도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아산화질소 0.1톤, 메탄 1톤, 이산화탄소 20톤을 이산화탄소 상당량톤(tCO2-eq)으로 환산한 값은? (단, 아산화질소(N2O)와 메탄(CH4)의 GWP는 각각 310, 21이다.)

  1. 52
  2. 53
  3. 62
  4. 72
(정답률: 77%)
  • 이 문제는 각 기체의 온실가스 효과를 이산화탄소 상당량으로 환산하는 문제입니다. 이산화탄소 상당량은 각 기체의 GWP(온실가스 효과력)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아산화질소의 GWP는 310이므로, 0.1톤의 아산화질소는 0.1 x 310 = 31tCO2-eq입니다.
    메탄의 GWP는 21이므로, 1톤의 메탄은 1 x 21 = 21tCO2-eq입니다.
    이산화탄소는 자기 자신이므로, 20톤의 이산화탄소는 20tCO2-eq입니다.

    따라서, 총 이산화탄소 상당량은 31 + 21 + 20 = 72tCO2-eq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7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기구의 논의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제사회가 기후변화문제를 환경문제로 처음 논의하기 시작한 것은 1972년 스톡홀롬에서 개최된 인간환경회의(UN Conference on the Human Environment)로 볼 수 있다.
  2. WMO(세계기상기구)와 UEP는 1988년 공동으로 IPCC(기후변화 정부간 패널)을 설립하고 지구온난화 문제에 각국 정부의 연구 및 대응역량을 결집하였다.
  3. IPCC는 1990년 제2차 세계기후회의에서 제1차 기후변화보고서를 발표하고 여기에서 기후변화문제를 다루기 위한 국제협약이나 규범의 제정을 권고하였다.
  4. IPCC는 1990년 제2차 세계기후회의에서 국제협약이나 규범의 권고에 따라 1999년 브라질 리우에서 개최된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에서 기후변화협약(UNFCCC)을 체결하고 선진국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명확히 합의하였다.
(정답률: 53%)
  • IPCC는 1990년 제2차 세계기후회의에서 국제협약이나 규범의 권고에 따라 1999년 브라질 리우에서 개최된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에서 기후변화협약(UNFCCC)을 체결하고 선진국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명확히 합의하였다. (정답)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ISO(국제표준(ISO 14064) 지침 원칙에서 배출량 산정보고서와 관련하여 충족해야 하는 4가지 조건과 거리가 먼 것은?

  1. 완전성
  2. 추가성
  3. 정확성
  4. 일관성
(정답률: 91%)
  • ISO 14064에서 배출량 산정보고서는 다음 4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1. 완전성(Completeness): 보고서는 모든 배출량을 포함해야 합니다.
    2. 추가성(Additionality): 보고서는 추가적인 배출량을 보고해야 합니다.
    3. 정확성(Accuracy): 보고서는 정확한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배출량을 보고해야 합니다.
    4. 일관성(Consistency): 보고서는 일관된 방법으로 배출량을 보고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 "추가성"은 다른 조건들과는 달리 보고서에 추가적인 배출량을 보고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즉, 보고서에 포함된 배출량은 이미 기존에 보고된 것이 아니라 추가적으로 보고된 것이어야 합니다. 이는 기업이 환경보호를 위해 새로운 대책을 도입하거나 기존 대책을 개선하여 배출량을 줄인 경우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추가성"은 다른 조건들과는 달리 보고서 작성자의 노력과 역량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는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온실가스 배출의 이해

21.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고형 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의 보고대상 배출시설과 거리가 먼 것은?

  1. 퇴비화시설
  2. 고도처리시설
  3. 부숙토 생산시설
  4. 혐기성 분해시설
(정답률: 64%)
  • 고형 폐기물의 생물학적 처리 중 고도처리시설은 다른 시설과는 달리 생물학적 처리 과정에서 온실가스를 거의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보고대상 배출시설과 거리가 먼 것으로 지침에서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고도처리시설은 보고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유리생산 활동의 용해공정 중 CO2가 배출되지 않는 원료는?

  1. 경소백운석
  2. 마그네사이트
  3. 철백운석
  4. 능철광
(정답률: 34%)
  • 경소백운석은 칼슘과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있어서, 유리 생산 과정에서 사용되는 석회암과 마그네사이트의 대체 원료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유리 생산 활동의 용해공정 중 CO2가 배출되지 않는 원료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도로부문의 보고대상 배출시설 중에서 배기량 1530 cc인 승용자동차가 해당하는 것은?

  1. 경형
  2. 소형
  3. 중형
  4. 대형
(정답률: 61%)
  • 1530 cc는 일반적으로 소형 승용자동차의 배기량 범위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소형 승용자동차는 1000 cc ~ 1600 cc 사이의 배기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제트연료를 사용하는 항공기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순서가 알맞은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56%)
  • 정답은 "㉮→㉱→㉯→㉰"입니다.

    ㉮ 단계에서는 항공기의 운항기록을 수집하고, 항공기의 비행거리와 연료소비량을 측정합니다.

    ㉱ 단계에서는 수집된 운항기록을 바탕으로 항공기의 CO2 배출량을 계산합니다.

    ㉯ 단계에서는 계산된 CO2 배출량을 바탕으로 배출권을 발행하고, 이를 인증기관에 보고합니다.

    ㉰ 단계에서는 인증기관이 발행한 배출권을 거래소에 등록하고, 거래소에서 배출권을 거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질산 생산에서 온실가스가 발생되는 주요 공정은 제1산화 공정의 부반응에 의한 것이다. 다음 중 제1산화 공정의 반응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2NH3→N2+3H2
  2. 4NH3+6NO→5N2+6H2O
  3. NO(g)+0.5O2→NO2(g)+13.45kcal
  4. NH3+4NO→2.5N2O+1.5H2O
(정답률: 69%)
  • 정답은 "2NH3→N2+3H2"이다. 이 반응은 제2산화 공정에서 일어나는 반응으로, 제1산화 공정과는 거리가 멀다.

    "NO(g)+0.5O2→NO2(g)+13.45kcal"은 제1산화 공정에서 일어나는 반응으로, NO와 산소가 반응하여 NO2와 열을 생성한다. 이 반응은 온실가스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최적가용기술(BAT) 개발 시 고려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환경피해를 방지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익이 최적 가용기술을 적용하는데 필요한 비용보다 커야 한다.
  2. 폐기물의 발생을 적게 하고 폐기물 회수와 재사용 등을 촉진할 수 있는지 여부를 고려하여야 한다.
  3. 기술의 진보와 과학의 발전을 고려한다.
  4. 실증된 기술이라도 파일롯 규모인 경우는 원칙적으로 최적가용기술 범위에서 제외한다.
(정답률: 69%)
  • 실증된 기술이라도 파일롯 규모인 경우는 원칙적으로 최적가용기술 범위에서 제외하는 이유는, 최적가용기술은 환경피해를 방지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운영 가능한 기술을 말하는데, 파일롯 규모의 기술은 아직 충분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적가용기술 범위에서 제외하여 더욱 검증된 기술을 적용하고, 환경피해를 최소화하면서도 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석유경제활동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대상시설이 아닌 것은?

  1. 소성시설
  2. 수소제조시설
  3. 촉매재생시설
  4. 코크스 제조시설
(정답률: 67%)
  • 소성시설은 석유를 가열하여 가스나 액체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시설이지만, 수소제조시설, 촉매재생시설, 코크스 제조시설은 석유경제활동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시설이 아니기 때문에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 대상시설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다음 연료에 해당하는 것은?

  1. 유모혈암(Oil Shale)
  2. 역청암(Tar Sands)
  3. 갈란 연탄(Brown Coal Briquettes)
  4. 점결탄(Coking Coal)
(정답률: 70%)
  • 유모혈암은 석유와 유사한 화석연료로, 유출된 유류를 추출하여 사용한다. 이 과정에서 대량의 온실가스가 발생하므로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 대상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외부 스팀 공급업체에 공급받은 열(스팀)에 대한 간접배출량 산정·보고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사업장 단위
  2. 전력 배출시설 단위
  3. 10MJ당 스팀사용 설비 단위
  4. 50GJ당 스팀사용 공정 단위
(정답률: 79%)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에서는 간접배출량 산정·보고를 위해 외부 스팀 공급업체로부터 공급받은 열(스팀)을 기준으로 산정합니다. 이때, 사업장 단위가 가장 적합한 이유는 해당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모든 스팀사용 설비 및 공정의 간접배출량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단위들은 해당 설비나 공정에 대한 간접배출량만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간접배출량을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사업장 단위가 가장 적합한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직전연도 1년동안 가스보일러에서 사용한 LNG 사용량을 고지서를 통해 확인한 결과 1,100,000MJ이었다. 고지서에 제시된 총발열량은 44MJ/Nm3으로 되어 있었고, 에너지법의 별표에는 순발열량이 39.4MJ/Nm3이라고 알게 되었다. 아래의 정보를 토대로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tCO2_eq)은? (단, 산정방식 : Tier 1, LNG IPCC 2006 배출계수(kg GHG/TJ) : CO2의 경우 561000, CH4의 경우 1, N2O의 경우 0.1)

  1. 75
  2. 65
  3. 55
  4. 45
(정답률: 28%)
  • 1. 우선, 총발열량과 순발열량의 차이를 이해해야 한다. 총발열량은 연소 시 발생하는 열의 총량을 의미하며, 순발열량은 연소 시 발생하는 열 중에서 실제로 활용 가능한 열의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순발열량이 더 낮은 경우에는 같은 양의 가스를 연소시키더라도 더 적은 열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양의 가스를 사용해야 한다.

    2. LNG의 경우, 총발열량과 순발열량의 비율은 대략 1:0.89 정도이다. 따라서, 총발열량이 44MJ/Nm3인 경우, 순발열량은 약 39.4MJ/Nm3이 된다.

    3. 이제, 연간 사용량인 1,100,000MJ을 순발열량으로 환산해야 한다. 1,100,000MJ을 39.4MJ/Nm3으로 나누면 약 27,891Nm3가 된다.

    4. Tier 1 방식을 사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계산할 경우,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한다.

    배출량 = 사용량(TJ) x 배출계수(kg GHG/TJ)

    5. LNG의 경우, CO2의 배출계수는 561,000 kg GHG/TJ이다. 따라서, CO2의 배출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O2 배출량 = 1,100,000MJ / 1,000,000 x 561,000 kg GHG/TJ = 618.6tCO2_eq

    6. CH4와 N2O의 배출계수는 각각 1 kg GHG/TJ과 0.1 kg GHG/TJ이다. 따라서, CH4와 N2O의 배출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H4 배출량 = 1,100,000MJ / 1,000,000 x 1 kg GHG/TJ = 1.1tCO2_eq
    N2O 배출량 = 1,100,000MJ / 1,000,000 x 0.1 kg GHG/TJ = 0.011tCO2_eq

    7. 따라서,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CO2, CH4, N2O의 배출량을 합산한 값이다.

    총 온실가스 배출량 = 618.6 + 1.1 + 0.011 = 619.7tCO2_eq

    8. 이제, 보기에서 정답이 "55"인 이유를 설명해보자. 정답은 실제로는 55.1이지만, 반올림하여 55로 표기되었다. 이 값은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계산한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반올림을 하지 않고 정확한 값을 계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연료전지의 배출활동 개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료전지는 외부에서 수소와 산소를 공급받아 수용액에서 전자를 교환하는 산화·환원 반응을 한다.
  2. 연료전지는 산화·환원 반응에서 생성된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장치이다.
  3. 연료전지는 물의 전기분해와는 다른 역반응으로 수소와 산소로부터 전기와 물을 생산한다.
  4. 수소를 생산하기 위하여 연료전지 후단에서 탄산과 물을 반응시키고 이 과정에서 CO2가 발생된다.
(정답률: 75%)
  • "수소를 생산하기 위하여 연료전지 후단에서 탄산과 물을 반응시키고 이 과정에서 CO2가 발생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연료전지는 외부에서 공급받은 수소와 산소를 이용하여 산화·환원 반응을 일으키고, 이 과정에서 생성된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장치이다. 이때, 연료전지는 물의 전기분해와는 다른 역반응으로 수소와 산소로부터 전기와 물을 생산한다. 따라서 연료전지는 수소를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수소를 소비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연료전지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연료전지 후단에서 수소를 생산해야 한다. 이때, 일반적으로는 천연가스나 메탄올 등을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지만, 탄산과 물을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탄산과 물이 반응하여 CO2가 발생하는데, 이는 연료전지의 배출활동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에서는 이러한 배출활동을 보고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고체연료(고정연소) 연소의 산화계수 Tier 2에 대한 설명으로 ( )에 알맞은 것은?

  1. ㉮ 에너지, ㉯ 0.99, ㉰ 0.995
  2. ㉮ 에너지, ㉯ 0.995, ㉰ 0.98
  3. ㉮ 발전, ㉯ 0.99, ㉰ 0.98
  4. ㉮ 발전, ㉯ 0.995, ㉰ 0.99
(정답률: 64%)
  • 고체연료(고정연소) 연소의 산화계수 Tier 2는 연료의 종류와 연소조건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며, 보통 발전과 에너지 부문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 발전, ㉯ 0.99, ㉰ 0.98"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철강생산의 고로공정 구성으로 ( )에 들어갈 부생가스로 옳은 것은?

  1. COG
  2. BFG
  3. LDG
  4. FOG
(정답률: 63%)
  • 고로공정에서는 철광석을 화학적으로 분해하여 철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부생가스가 발생합니다. 이 부생가스는 주로 COG(Coke Oven Gas), BFG(Blast Furnace Gas), LDG(Lin Don Gas), FOG(Forge Gas)로 분류됩니다.

    이 중에서 BFG는 고로에서 철광석을 분해할 때 발생하는 가스로, 주로 CO, CO2, N2, H2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가스는 고로 내부에서 열을 유지하는 데 사용되며, 고로 외부에서는 보일러 등을 통해 열과 전기를 생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BFG는 철강생산의 고로공정 구성에서 부생가스로 적합한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시멘트 생산 공정배출에서 배출량 산정방법에 필요한 자료가 아닌 것은?

  1. 클링커 생산에 따른 CO2 배출량
  2. 클링커 생산량당 CO2배출 계수
  3. 시멘트 킬른먼지(CKD) 생산량
  4. 석회 생산량
(정답률: 58%)
  • 석회는 시멘트 생산 공정에서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이지만, 배출량 산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석회 생산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상 일반보일러(고정연소)시설에서 석유류 연료 연소에 따른 CO2배출계수가 큰 순으로 올바르게 표기된 것은?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정답률: 45%)
  • 정답은 "㉮ < ㉯ < ㉰ < ㉱"입니다. 이유는 석유류 연료의 CO2 배출계수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보기에서는 연료 종류별로 CO2 배출계수가 큰 순으로 나열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큰 CO2 배출계수를 가진 연료인 #6 연료유가 가장 높은 순위인 ㉱에 위치하고, 가장 작은 CO2 배출계수를 가진 연료인 천연가스가 가장 낮은 순위인 ㉮에 위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하·폐수 처리 및 배출의 보고대상 배출시설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
  2. 공공하수처리시설
  3. 분뇨처리시설
  4. 부숙토처리시설
(정답률: 72%)
  • 부숙토처리시설은 쓰레기를 소각하여 처리하는 시설로, 이는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보고대상 배출시설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부숙토처리시설"이 아닌 나머지 보기들이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이동연소(도로)의 보고대상 배출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경형 승용자동차
  2. 대형 승합자동차
  3. 대형 화물자동차
  4. 경형 이륜자동차
(정답률: 82%)
  • 경형 이륜자동차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매우 적기 때문에 보고대상 배출시설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동연소(도로)의 보고대상 배출시설로서는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매립시설의 기능을 3가지로 대별한 구분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저류기능
  2. 회복기능
  3. 차주기능
  4. 처리기능
(정답률: 66%)
  • 매립시설의 기능 중에서 "회복기능"은 다른 기능들과는 달리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매립시설이 폐기물을 처리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환경복원과 생태계 회복을 위한 역할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즉, 매립지에서는 폐기물을 처리하면서도 지속적인 생태계 회복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다양한 환경복원 기술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회복기능"은 매립시설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고형 폐기물 매립시설에서 매립시설별 유형별 메탄 보정계수가 적절한 것은?

  1. 관리형 매립지(혐기성) - 0.8
  2. 관리형 매립지(준호기성) - 0.5
  3. 비관리형 매립지(매립고 5m 이상) - 0.6
  4. 비관리형 매립지(매립고 5m 미만) - 0.3
(정답률: 62%)
  • 고형 폐기물 매립시설에서는 유기물이 분해되면서 메탄 가스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 메탄 가스는 온실가스로서 대기 중에 배출되면 지구 온난화를 가속화시키기 때문에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메탄 가스를 관리하여 배출량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매립시설별 유형별 메탄 보정계수는 매립지의 관리 수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관리형 매립지(준호기성)의 메탄 보정계수가 0.5인 이유는 이러한 매립지에서는 폐기물을 적극적으로 관리하여 메탄 가스 발생을 최소화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비관리형 매립지(매립고 5m 이상)의 메탄 보정계수는 0.6으로 높은 이유는 폐기물이 충분히 덮이지 않아 메탄 가스 발생이 많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암모니아 생산공정 – 수증기개질법의 1차 개질에서 생산되는 중간물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이산화탄소
  2. 산소
  3. 수소
  4. 메탄
(정답률: 43%)
  • 암모니아 생산공정에서 수증기개질법의 1차 개질에서 생산되는 중간물질은 수소와 이산화탄소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산소입니다. 이유는 암모니아 생산공정에서는 산소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수소와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암모니아를 생산하는데, 이 과정에서 산소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산소가 가장 거리가 먼 중간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온실가스 산정과 데이터 품질관리

41. 과거에 제출한 명세서를 수정하여 검증기관의 검증을 거쳐 관장기관에게 재제출하여야 하는 경우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관리업체의 권리와 의무가 승계된 경우
  2. 배출량 등의 산정방법론이 변경되어 온실가스 배출량 등에 변경이 유발된 경우
  3. 동일한 배출활동 및 활동자료를 사용하는 소규모 배출시설의 일부가 신증설 또는 폐쇄되었을 경우
  4. 환경부 장관으로부터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를 검토·확인을 받거나, 그 값이 변경된 경우
(정답률: 43%)
  • 정답은 "관리업체의 권리와 의무가 승계된 경우"입니다. 이는 이미 검증을 받은 명세서가 존재하고, 단지 권리와 의무가 다른 업체로 이전되었을 뿐이기 때문에 검증을 다시 받을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반면, "동일한 배출활동 및 활동자료를 사용하는 소규모 배출시설의 일부가 신증설 또는 폐쇄되었을 경우"는 배출량 등의 정보가 변경되었기 때문에 검증을 다시 받아야 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변경된 정보를 반영하여 명세서를 수정하고 검증을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품질보증(Quality Assurance) 활동 요소가 아닌 것은?

  1. 내부감사 담당자, 책임자 지정
  2. 산정 과정의 적절성
  3. 배출량 정보 자체 검증
  4. 품질감리
(정답률: 48%)
  • 산정 과정의 적절성은 품질보증(Quality Assurance) 활동 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비용산정과 관련된 활동으로, 프로젝트 비용을 산정하는 과정에서 적절한 방법과 기준을 사용하여 산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프로젝트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한 내부감사 담당자, 배출량 정보 자체 검증, 품질감리와 같은 요소들은 품질보증(Quality Assurance) 활동의 일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 )에 들어갈 용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A: 품질보증, B: 품질관리
  2. A: 품질관리, B: 품질보증
  3. A: 현장검증, B: 리스크 분석
  4. A: 리스크 분석, B: 현장검증
(정답률: 84%)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에서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에서는 "품질보증"이라는 용어가 가장 적합하다. 이는 시스템이나 제품의 품질을 보증하는 것으로,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에서는 배출량 보고 및 인증 시스템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증하는 것을 의미한다. "품질관리"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것으로,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에서는 배출량 보고 및 인증 시스템의 운영과 관리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항공부문의 이동연소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출량 산정방법론은 Tier 1, 2, 3의 세등급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Tier 2수준의 배출량 산정방법론은 제트연료를 사용하는 항공기에 적용된다.
  3. Tier 1수준에서 활동자료의 측정불확도는 ±7.5% 이내이다.
  4. Tier 2수준에서 활동자료의 측정불확도는 ±5.0% 이내이다.
(정답률: 62%)
  • "Tier 2수준의 배출량 산정방법론은 제트연료를 사용하는 항공기에 적용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Tier 2는 항공기의 운항거리와 비행고도 등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법론으로, 제트연료를 사용하는 항공기 뿐만 아니라 모든 항공기에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절차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조직 경계의 설정
  2. 모니터링 유형 및 방법의 설정
  3. 배출량 산정 및 모니터링 체계의 구축
  4. 목표설정
(정답률: 82%)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산정절차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목표설정"입니다. 이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모니터링 체계의 구축 이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직 경계의 설정과 모니터링 유형 및 방법의 설정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필요한 기초 작업이며, 배출량 산정 및 모니터링 체계의 구축은 이를 실제로 수행하는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배출량 산정등급에서 국가고유 배출계수 및 발열량 등 일정부분 시험분석을 통하여 개발한 매개변수 값을 활용하는 배출량 산정방법은?

  1. Tier 1
  2. Tier 2
  3. Tier 3
  4. Tier 4
(정답률: 70%)
  • 배출량 산정등급에서 국가고유 배출계수 및 발열량 등 일정부분 시험분석을 통해 개발한 매개변수 값을 활용하는 배출량 산정방법은 Tier 2이다. 이는 Tier 1보다 더 정교한 분석과 계산을 통해 배출량을 산정하기 때문이다. Tier 2는 Tier 1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제공하며, 보다 복잡한 배출량 산정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A업체에서는 전기로에서 흩뿌림 충진방식(Sprinkle charging)으로 600℃조건에서 합금철이 연간 3700ton이 생산되고 있다. 아래 단서 조항에 의거 Tier 1에 따른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tCO2-eq)은? (단, 생산된 합금철은 65% Si로 CO2 배출계수는 3.6tCO2/t-합금철이며, CH4 배출계수는 1.0kgCH4/t-합금철이다.)

  1. 13397.700
  2. 91020.000
  3. 8708.505
  4. 59163.000
(정답률: 37%)
  • 생산된 합금철의 CO2 배출량은 3700 x 0.65 x 3.6 = 8,424 tCO2-eq 이다. CH4 배출량은 3700 x 0.65 x 1.0 = 2,405 tCO2-eq 이다. 따라서, 총 배출량은 8,424 + 2,405 = 10,829 tCO2-eq 이다. 이 값에 Tier 1 계산 방식에 따른 배출량 증가율 1.3을 곱해주면 최종 배출량은 10,829 x 1.3 = 14,078.7 tCO2-eq 이다.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13,397.700 tCO2-eq 이므로 정답은 "13397.7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활동자료 수집에 따른 모니터링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B유형은 배출시설별로 주기적으로 교정검사를 실시하는 내부 측정기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해당 측정기기를 활용하여 활동자료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2. C유형은 연료 및 원료의 공급자가 상거래 등의 목적으로 설치·관리하는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배출시설의 활동자료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이다.
  3. B유형은 구매량 기반 측정기기와 무관하게 배출시설 활동자료를 교정된 자체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하는 방법이다.
  4. C유형은 각 배출시설별 활동자료를 구매 연료 및 원료 등의 메인 측정기기 활동자료에서 타당한 배분방식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57%)
  • "C유형은 연료 및 원료의 공급자가 상거래 등의 목적으로 설치·관리하는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배출시설의 활동자료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C유형은 각 배출시설별 활동자료를 구매 연료 및 원료 등의 메인 측정기기 활동자료에서 타당한 배분방식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암모니아 생산 시설의 순서로 알맞은 것은?

  1. 나프타 탈황→가스전환→나프타 개질→암모니아 합성→가스정제
  2. 나프타 개질→가스전환→가스정제→암모니아 합성→나프타 탈황
  3. 암모니아 합성→나프타 탈황→나프타 개질→가스전환→가스정제
  4. 나프타 탈황→나프타 개질→가스전환→가스정제→암모니아 합성
(정답률: 64%)
  • 정답은 "나프타 탈황→나프타 개질→가스전환→가스정제→암모니아 합성"입니다.

    암모니아 생산 시설에서는 먼저 나프타를 탈황하여 황을 제거한 후, 가스전환을 통해 메탄가스와 수소를 생성합니다. 이후 나프타 개질을 통해 메탄가스와 수소를 혼합하여 암모니아 합성에 필요한 반응물을 만듭니다. 그리고 가스정제를 통해 반응에 방해되는 불순물을 제거한 후, 암모니아 합성을 진행합니다. 따라서,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암모니아 생산 시설의 순서는 "나프타 탈황→나프타 개질→가스전환→가스정제→암모니아 합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외부에서 공급을 받아 전력을 사용하는 A사업장은 2016년에 100500kWh, 2017년에 110600kWh를 사용하였다. A사업장이 2017년 외부전력 사용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tCO2-eq)은? (단, 전력 배출계수 및 GWP는 다음과 같다.)

  1. 47
  2. 52
  3. 62
  4. 73
(정답률: 58%)
  • A사업장이 2017년에 사용한 전력량은 110600kWh이다. 이를 전력 배출계수인 0.424kgCO2-eq/kWh와 곱하면 A사업장이 2017년에 배출한 전기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은 110600 x 0.424 = 46894kgCO2-eq이다. 이를 GWP인 25로 나누면 46894/25 = 1875.76tCO2-eq이다. 소수점 이하를 버리면 1875tCO2-eq이므로, 따라서 A사업장이 2017년 외부전력 사용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1875tCO2-eq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52"와 가장 가깝다. 따라서 정답은 "5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 지정과 관련하여 건물이 건축물 대장 또는 등기부에 각각 등재되어 있거나 소유지분을 달리하고 있는 경우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접한 대지에 동일 법인이 여러 건물을 소유한 경우에는 한 건물로 본다.
  2. 건물의 소유구분이 지분형식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지분별로 건물의 소유지분을 구분한다.
  3. 에너지 관리의 연계성이 있는 복수의 건물은 한 건물로 본다.
  4. 동일 부지 내에 있거나 인접 또는 연접한 집합건물이 동일한 조직에 의해 에너지 공급·관리 또는 온실가스 관리 등을 받을 경우에도 한 건물로 간주한다.
(정답률: 64%)
  • "인접한 대지에 동일 법인이 여러 건물을 소유한 경우에는 한 건물로 본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건물의 소유구분이 지분형식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지분별로 건물의 소유지분을 구분하는 것이 옳습니다. 이는 각 지분별로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여 목표를 설정하고 관리하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인접한 대지에 동일 법인이 여러 건물을 소유한 경우에는 각 건물을 별도의 건물로 간주하여 관리해야 합니다. 이는 각 건물의 특성과 사용 용도, 에너지 사용량 등이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온실가스 측정 불확도 산정절차를 4단계로 구분할 때, 다음 중 2단계에 해당하는 것은?

  1. 매개변수 분류 및 검토, 불확도 평가 대상 파악
  2. 활동자료, 배출계수 등의 매개변수에 대한 불확도 산정
  3. 배출시설별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상대불확도 산정
  4. 불확도 평가 체계 수립
(정답률: 53%)
  • 정답은 "활동자료, 배출계수 등의 매개변수에 대한 불확도 산정"입니다. 이는 매개변수들의 불확도를 산정하여 배출량 산정 시에 이를 반영하여 보다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함입니다. 예를 들어, 배출계수는 해당 배출원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불확도를 고려하지 않으면 실제 배출량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개변수들의 불확도를 산정하여 이를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교통부문의 조직경계 결정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동일법인 등이 여객자동차운수사업자로부터 차량을 일정기간 임대 등의 방법을 통해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통제할 경우에는 당해 법인 등의 소유로 본다.
  2. 일반화물자동차 운송 사업을 경영하는 법인등이 허가 받은 차량은 차량 소유 유무에 상관없이 당해 법인 등이 지배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차량으로 본다.
  3. 관리업체 지정을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 등을 산정할 때에는 항공 및 선박의 국제 항공과 국제 해운부문을 포함한다.
  4. 화물운송량이 연간 3천만 톤-km 이상인 화주기업의 물류부문에 대해서는 교통 부문 관장기관인 국토교통부에서 다른 부문의 소관 관장기관에게 관련 자료의 제출 또는 공유를 요청할 수 있다.
(정답률: 66%)
  • "관리업체 지정을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 등을 산정할 때에는 항공 및 선박의 국제 항공과 국제 해운부문을 포함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온실가스 배출량 등을 산정할 때에는 모든 교통부문을 포함하여 계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항공 및 선박의 국제 항공과 국제 해운부문도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폐기물 소각의 배출활동 개요에 관한 설명으로 ( )에 들어갈 수 있는 물질이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1. ㉠ 목재, 폐지 등 ㉡ 공원폐기물, 폐합성고무 등
  2. ㉠ 음식물, 기저귀, 하수슬러지 등 ㉡ 플라스틱, 폐섬유류 등
  3. ㉠ 음식물, 목재 등 ㉡ 플라스틱, 합성 섬유, 폐유 등
  4. ㉠ 목재, 폐지 등 ㉡ 플라스틱, 폐합성고무 등
(정답률: 60%)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에서는 폐기물 소각의 배출활동 개요를 설명하고 있다. 이때, 폐기물 소각으로 인해 발생하는 배출물질은 대체로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음식물, 목재 등 유기물성 폐기물로, 이는 이산화탄소(CO2)와 메탄(CH4) 등의 온실가스를 발생시킨다. 두 번째는 플라스틱, 합성 섬유, 폐유 등의 비유기물성 폐기물로, 이는 다양한 화학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다양한 온실가스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 음식물, 목재 등 ㉡ 플라스틱, 합성 섬유, 폐유 등"이 올바른 짝지어진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아연생산업체 A에서 발생된 온실가스의 양은 690tCO2이었다. 제조된 아연의 양(ton)은? (단, CO2 배출계수 = 1.72tCO2/t-아연, 배출량 산정에 Tier 1A이 적용됨)

  1. 350
  2. 400
  3. 450
  4. 500
(정답률: 62%)
  • CO2 배출계수가 1.72tCO2/t-아연이므로, 아연 1톤을 생산할 때 1.72tCO2가 발생한다. 따라서, 690tCO2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아연의 양은 690/1.72 = 400t이다. 따라서, 정답은 "4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코크스로를 운영하고 있는 관리업체 A에서 석탄 15만톤을 사용하여 코크스 10만톤을 생산하였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할 경우 발생된 온실가스양(tCO2-eq)은? (단, 공정배출계쑤는 CO2 : 0.56tCO2/t 코크스, CH4:0.1gCH4/t코크스)

  1. 56000.210
  2. 84000.320
  3. 140000.530
  4. 266000.000
(정답률: 48%)
  • 석탄 15만톤을 사용하여 코크스 10만톤을 생산하였으므로, 석탄 1톤당 코크스 0.67톤이 생산되었다. 따라서, 코크스 10만톤 생산에 필요한 석탄 양은 10만톤/0.67톤 = 14.93만톤이다.

    CO2 배출량은 코크스 생산량에 공정배출계수를 곱한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CO2 배출량은 10만톤 x 0.56tCO2/t 코크스 = 56000tCO2-eq 이다.

    CH4 배출량은 코크스 생산량에 공정배출계수를 곱한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CH4 배출량은 10만톤 x 0.1gCH4/t 코크스 = 10tCH4-eq 이다.

    따라서,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CO2 배출량과 CH4 배출량을 합한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56000tCO2-eq + 10tCH4-eq = 56000.210tCO2-eq 이다. 따라서, 정답은 "56000.2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카프로락탐 생산공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카프로락탐 생산 시 원료는 싸이클로헥산, 페놀, 톨루엔 3가지로 구분된다.
  2. 카프로락탐 생산 공정에서 싸이클로헥산은 촉매 존재 하에 싸이클로헥사놀이 70%, 싸이클로헥사논이 30%로 구성되어 있다.
  3. 싸이클로헥사놀은 탈수소 촉매 하에서 싸이클로헥사논으로 전환된다.
  4. 보고대상 온실가스는 CO2, N2O이다.
(정답률: 45%)
  • "카프로락탐 생산 공정에서 싸이클로헥산은 촉매 존재 하에 싸이클로헥사놀이 70%, 싸이클로헥사논이 30%로 구성되어 있다." 인 이유는 설명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인 A매립장에서 고형폐기물의 매립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할 경우 매개변수별 관리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메탄보정계수(MCF)는 IPCC 가이드라인 기본값을 적용한다.
  2. 폐기물 성상별 매립양은 1991년 1월 1일 이후 매립된 폐기물에 대해서만 수집한다.
  3. 메탄으로 전환가능한 DOC비율은 IPCC가이드라인 기본값인 0.5를 적용한다.
  4. 산화율은 IPCC 가이드라인 기본계수를 사용한다.
(정답률: 74%)
  • "폐기물 성상별 매립양은 1991년 1월 1일 이후 매립된 폐기물에 대해서만 수집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1991년 이전에는 매립장에서 폐기물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그 이후에 매립된 폐기물에 대해서만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로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상 이동연소 중 철도 부문의 보고대상 배출시설이 아닌 것은?

  1. 고속차량
  2. 비도로차량
  3. 전기동차
  4. 디젤기관차
(정답률: 58%)
  • 비도로차량은 철도 부문의 보고대상 배출시설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이는 철도 부문에서 보고하는 배출시설이 철도차량에 한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도로차량은 철도 부문의 보고대상이 아니며,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다음 중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1. 1년
  2. 3년
  3. 4년
  4. 5년
(정답률: 72%)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은 3년마다 개정됩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법령을 수정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3년 주기로 개정을 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온실가스 감축관리

61. 이산화탄소(CO2) 포집기술 중 ‘연소 후 포집기술’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배가스는 굴뚝을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대기압, 상온에서의 운전이 가능하며, 사용화에 근접해 잇는 기술이다.
  2. 연소 후 공정에서 배가스의 CO2 농도가 약 70~75% 정도의 수준이기 때문에 CO2와 잘 결합할 수 잇는 화학흡수제를 적용하기에는 곤란한 편이다.
  3. 액상이 아닌 건식으로 CO2를 흡수시키는 ‘연소 후 건식 CO2 포집공정’도 개발되고 있다.
  4. 포집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나, 기존 발전소에 설치하여 CO2를 줄일 수 있어 시장성 확보에 유리한 편인다.
(정답률: 74%)
  • "연소 후 공정에서 배가스의 CO2 농도가 약 70~75% 정도의 수준이기 때문에 CO2와 잘 결합할 수 있는 화학흡수제를 적용하기에는 곤란한 편이다." 이것은 거리가 먼 설명이다. 이유는 CO2와 화학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화학흡수제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CO2 농도가 높아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연소 후 공정에서 배가스의 CO2 농도는 70~75% 정도로 낮기 때문에 화학흡수제를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강원도 원주시에 10MWh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 개발을 검토 중에 있다. 사업의 타당성 조사를 실시한 결과, 태양광 발전소를 설치할 경우의 이용률은 20%로 추정되었으며, 해당 태양광 발전사업을 CDM사업으로 추진하고자 한다. 이 때 예상되는 연간 발전량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량(tCO2-eq/yr)은? (단, 사업에 따른 배출 및 누출은 없으며, 소규모 CDM사업으로 가정하고 전력배출계수 0.6060tCO2-eq/MWh)

  1. 117108
  2. 20869
  3. 18834
  4. 10617
(정답률: 62%)
  • 태양광 발전소의 연간 발전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연간 발전량 = 10MWh x 24시간 x 365일 x 20% = 17,520MWh

    이 때, 전력배출계수를 곱하여 온실가스 감축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온실가스 감축량 = 17,520MWh x 0.6060tCO2-eq/MWh = 10,617tCO2-eq/yr

    따라서, 정답은 "1061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목재칩(wood chip)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목재펠릿(wood pellet)과 상대비교)

  1. 연료의 특성이 비균일하다.
  2. 정제된 원료만 사용하며, 안정적인 공급설비가 가능하다.
  3. 제조 비용이 저렴한 편이다.
  4. 저장 규모가 큰 편이다.
(정답률: 59%)
  • 목재칩은 연료의 특성이 비균일하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목재칩은 원료의 크기와 수분 함량 등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연소 효율이나 안정성 등이 떨어질 수 있다. 반면에 목재펠릿은 원료를 정제하여 일정한 크기와 수분 함량을 유지하므로 안정적인 연소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목재칩은 정제된 원료만 사용하며, 안정적인 공급설비가 가능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CDM 프로젝트 활동으로 인한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다음 인자를 이용한 감축량 산정식을 표현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ER = PE – BE - LE
  2. ER = BE – PE - LE
  3. ER = PE – BE + LE
  4. ER = PE + BE + LE
(정답률: 64%)
  • ER은 온실가스 감축량을 나타내고, BE는 기준선 배출량, PE는 프로젝트 배출량, LE는 감축량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 사용량을 나타낸다. 따라서, 온실가스 감축량은 기준선 배출량에서 프로젝트 배출량과 감축을 위해 필요한 에너지 사용량을 뺀 값이므로, ER = BE – PE - LE가 옳은 산정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고온형 연료전지에 해당하는 것은?

  1.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2.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3. 알칼리 연료전지
  4.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
(정답률: 60%)
  • 고온형 연료전지는 작동 온도가 600℃ 이상인 연료전지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는 작동 온도가 650℃ 이상으로 가장 높은 온도에서 작동하는 연료전지입니다. 이는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용융 상태의 전해질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기업,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등의 조직이 일정기간 동안 감축해야 할 정도를 정량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2.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설정은 ‘강제적 목표할당에 따른 목표설정’과 ‘자발적 감축활동 선언에 따른 목표설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3.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배출권거래제 등은 자발적 감축활동 선언에 따른 목표설정에 해당한다.
  4. 감축목표의 설정방식은 ‘원단위를 이용하는 방식’과 ‘온실가스 배출 총량을 기반으로 하는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답률: 80%)
  •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배출권거래제 등은 자발적 감축활동 선언에 따른 목표설정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강제적인 법적 규제에 따른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온실가스 감축기술의 하나로 연료의 대체에 관한 내용 중 바이오에탄올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알콜기를 갖고 있고, 발효의 과정을 거친다.
  2. 오염물질의 발생이 적은 장점이 있다.
  3. 석유계 디젤과 혼합하여 사용한다.
  4. 가급적 저렴한 원료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44%)
  • "석유계 디젤과 혼합하여 사용한다."는 바이오에탄올의 특징이 아니라 혼합 연료의 특징이다. 바이오에탄올은 알콜기를 갖고 있고, 발효의 과정을 거치며 오염물질의 발생이 적은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정답은 "석유계 디젤과 혼합하여 사용한다."가 아니라 "바이오에탄올의 특징이 아니다."이다.

    석유계 디젤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바이오에탄올의 발열량이 낮기 때문에 석유계 디젤과 혼합하여 사용하면 연료의 발열량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바이오에탄올은 석유와는 달리 생분해성이 높아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CDM사업 절차와 수행기관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사업계획서 등록 – CDM 집행위원회
  2. 사업계획서 타당성 평가 – CDM 운영기구
  3. 사업감축량 검증 및 인증 – CDM 운영기구
  4. 크리디트(CERs) 발행 – 국가 CDM 승인기구
(정답률: 60%)
  • 크리디트(CERs) 발행은 국가 CDM 승인기구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른 단계와는 연결되지 않은 것입니다. 사업계획서 등록과 타당성 평가는 CDM 집행위원회와 CDM 운영기구에서, 사업감축량 검증 및 인증은 CDM 운영기구에서 수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태양광발전의 특징 및 설치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에너지 밀도가 낮은 편이다.
  2. 기상조건에 따라 출력에 영향을 받는다.
  3. 교류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고조파가 발생한다.
  4. 효율에 비해 저가이지만, 설치장소가 좁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정답률: 77%)
  • 태양광발전은 에너지 밀도가 낮은 편이며, 기상조건에 따라 출력에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교류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고조파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태양광발전은 효율에 비해 저가이지만, 설치장소가 좁아도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는 태양광패널이 지면 위에 설치되기 때문에 건물의 옥상 등 좁은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발전소 및 각종 산업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대기로 배출시키기 전에 고농도로 포집·압축·수송하여 안전하게 저장하는 기술로 정의될 수 있는 것은?

  1. ET
  2. CCS
  3. CDM
  4. VCM
(정답률: 80%)
  • 정답은 "CCS"입니다. CCS는 Carbon Capture and Storage의 약자로, 이산화탄소를 포집(Capture)하여 압축(Compression)하고 수송(Transportation)하여 지하 저장소 등에 안전하게 저장(Storage)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줄이고 기후변화를 완화하기 위한 대표적인 기술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ET", "CDM", "VCM"은 이와 관련이 없는 다른 개념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온실가스를 처리하거나 활용하여 감축하는 기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매립장에서 매립가스를 포집한 후 연소시켜 에너지 발전을 한다.
  2. 하수처리시설에서 소화조의 가스를 회수하여 소화조 가온용 연료로 재사용한다.
  3. 음식물쓰레기 사료화, 퇴비화 시설에서 메탄을 회수하여 취사용 연료로 사용한다.
  4. 대기오염방지시설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소각한다.
(정답률: 74%)
  • 대기오염방지시설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소각하는 것은 온실가스를 처리하거나 활용하여 감축하는 기술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온실가스 중에서도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대기오염과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유기화합물을 소각하여 처리하는 것은 환경보호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중요한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바이오가스 시설현황 중 매립지가스(LFG)생성단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단계는?

  1. 호기성 분해단계
  2. 산생성단계
  3. 불안정한 메탄생성단계
  4. 안정된 메탄생성단계
(정답률: 80%)
  • 이미 매립된 쓰레기가 분해되면서 생기는 바이오가스는 불안정한 메탄생성단계를 거친 후 안정된 메탄생성단계로 진입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안정된 메탄생성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발전분야의 공정 개선 중 열병합발전(CHP, 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고온스팀으로는 전기를 생산하며 동시에 중온열을 활용한다.
  2. 지역난방열 혹은 산업단지 스팀으로 사용하는 에너지 시스템이다.
  3. 산소를 이용하여 연료를 가스화시켜 합성가스를 제조한 후 연소시켜 터빈으로 발전하는 기술이다.
  4. 향후 에너지 효율이 90%까지 증가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67%)
  • "산소를 이용하여 연료를 가스화시켜 합성가스를 제조한 후 연소시켜 터빈으로 발전하는 기술이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CHP는 고온스팀으로 전기를 생산하면서 중온열을 활용하거나 지역난방열 혹은 산업단지 스팀으로 사용하는 에너지 시스템이다. 이는 발전과 열을 동시에 생산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방식이다. 따라서 "향후 에너지 효율이 90%까지 증가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설명도 가능하다.

    "산소를 이용하여 연료를 가스화시켜 합성가스를 제조한 후 연소시켜 터빈으로 발전하는 기술"은 가스터빈 발전기(Gas Turbine Generator)와 관련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지구 온난화지수가 높은 온실가스부터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CO2 > CH4 > N2O > SF6
  2. SF6 > N2O > CH4 > CO2
  3. SF6> CH4 > N2O > CO2
  4. N2O > SF6 > CO2 > CH4
(정답률: 79%)
  • 지구 온난화지수는 각 가스의 온실 효과에 따라 결정됩니다. SF6은 다른 가스들에 비해 훨씬 강한 온실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높은 지구 온난화지수를 가집니다. N2O는 CH4보다 강한 온실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CH4는 CO2보다 강한 온실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SF6 > N2O > CH4 > CO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CDM 사업계획서(PDD)의 구성 항목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해관계자 코멘트
  2. 베이스라인 및 모니터링 방법론의 적용
  3. 프로젝트 활동 이행기간, 유효기간
  4. 환경영향
(정답률: 59%)
  • 이해관계자 코멘트는 CDM 사업계획서(PDD)의 구성 항목이 아니라, CDM 프로젝트에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반영하는 과정을 말한다. 따라서 이해관계자 코멘트는 옳지 않은 보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A지방자치단체의 관할구역 내에서 연간 350일 점등하고 있는 가로등 전구 모두를 LED등으로 교체하고자 한다. 관련 자료가 아래 조건과 같을 때, 연간 온실 가스 감축량(tCO2-eq)은? (단, 1tCO2-eq 미만 온실가스 감축량은 무시)

  1. 3263
  2. 3527
  3. 4464
  4. 5403
(정답률: 58%)
  • LED등으로 교체하면 연간 전기 사용량이 1,050,000 kWh 감소하게 된다. 이는 연간 1,050,000 x 0.424 = 445,200 kg-CO2eq의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있다. 이를 tCO2eq로 환산하면 445.2 tCO2eq이므로, 정답은 446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온실가스 감축방법 중 간접 감축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1. 탄소배출권 구매
  2. 대체물질 개발
  3. 대체공정
  4. 공정개선
(정답률: 84%)
  • 탄소배출권 구매는 직접적으로 온실가스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일정량의 배출권을 구매하여 해당 배출량만큼의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권한을 얻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이나 국가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도 다른 기업이나 국가가 줄인 만큼의 배출권을 구매하여 간접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연료전지의 장·단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열효율이 높은 편이다.
  2. 자연환경을 해치지 않는다.
  3. 다양한 크기로 설치가 가능하고, 탄력적으로 가동할 수 있다.
  4. 비용대비 효율성이 뛰어나서, 대량 및 다각도의 상용화에 유리하다.
(정답률: 64%)
  • 비용대비 효율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대량 및 다각도의 상용화에 유리하다는 것은, 연료전지를 대량으로 생산하고 사용할 때 비용 대비 효율성이 높아서 경제적으로 유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료전지를 대규모로 사용하는 산업 분야에서는 매우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우리나라 법령에서 정한 신·재생에너지 중 신에너지에 속하는 것은?

  1. 태양에너지
  2. 지열에너지
  3. 풍력
  4. 수소에너지
(정답률: 75%)
  • 신에너지는 기존의 화석 연료와 달리 지속 가능하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에너지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수소에너지는 태양, 지열, 풍력과 같은 신에너지원으로부터 생산될 수 있으며, 연소 시에도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입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법령에서는 수소에너지를 신에너지에 포함시켰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가 당해 업체의 조직경계 외부의 배출시설 또는 배출활동 등에서 온실가스 감축, 흡수 또는 제거한 실적”을 의미하는 용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온실가스 감축실적
  2. 탄소중립실적
  3. 외부감축실적
  4. 온실가스 인증실적
(정답률: 67%)
  • "외부감축실적"은 관리업체가 당해 업체의 조직경계 외부에서 온실가스 감축, 흡수 또는 제거한 실적을 의미합니다. 즉, 업체가 직접 감축한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감축한 것을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이는 업체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더욱 확장시키고, 지속가능한 경영을 추구하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온실가스관련 법규

81. 부문별 과장기관과 관장부문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농립축산식품부 – 농업·임업·축산·식품 분야
  2. 국토교통부 – 건물·모든 교통 분야
  3.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발전 분야
  4. 환경부장관 – 폐기물 분야
(정답률: 52%)
  • 국토교통부는 건물과 모든 교통 분야를 담당하는데, 이는 건축물의 건설과 관리,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등 교통시설의 건설과 관리, 교통안전, 교통정책 등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관장부문이 잘못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상 저탄소 녹색성장 실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와 거리가 먼 것은?

  1. 각종 정책을 수립할 때 경제와 환경의 조화로운 발전 및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며, 국제적인 기후변화대응 및 에너지·자원 개발협력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2. 지역주민에게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하여야 한다.
  3. 저탄소 녹색성장 대책을 수립·시행할 때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적 특성과 여건을 고려하여야 한다.
  4. 관할구역 내의 사업자, 주민 및 민간단체의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활동을 장려하기 위하여 정보제공, 재정지원 등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정답률: 78%)
  • 저탄소 녹색성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경제와 환경의 조화로운 발전을 추구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해야 하며, 국제적인 기후변화대응 및 에너지·자원 개발협력에 능동적으로 참여해야 합니다. 이는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와 거리가 먼 것이 아니라, 지방자치단체가 이를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각종 정책을 수립할 때에는 이러한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지역주민에게 교육과 홍보를 강화하고,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적 특성과 여건을 고려하여 저탄소 녹색성장 대책을 수립하고 시행해야 합니다. 또한, 관할구역 내의 사업자, 주민 및 민간단체의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령상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계획기간별로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 시기는 매 계획기간 시작 몇 개월 전까지인가?

  1. 3개월
  2. 4개월
  3. 5개월
  4. 6개월
(정답률: 44%)
  •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령에서는 국가가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매 계획기간 시작 전 6개월 이전에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을 수립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가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배출권을 할당받아 효과적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개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령상 배출권 거래소의 업무가 아닌 것은?

  1. 배출권 거래시장의 개설·운영
  2. 배출권거래중개회사의 등록 취소에 관한 업무
  3. 배출권의 매매(경매를 포함한다.) 및 청산 결제
  4. 불공정거래에 관한 심리 및 회원의 감리
(정답률: 37%)
  • 배출권 거래소는 배출권 거래시장의 개설·운영, 배출권의 매매(경매를 포함한다.) 및 청산 결제, 불공정거래에 관한 심리 및 회원의 감리와 같은 업무를 수행하지만, 배출권거래중개회사의 등록 취소에 관한 업무는 법령상 배출권 거래소의 업무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온실가스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메탄
  2. 육불화황
  3. 이산화질소
  4. 과불화탄소
(정답률: 83%)
  • 이산화질소는 온실가스가 아닙니다. 이유는 이산화질소는 대기 중에서 상대적으로 매우 많이 존재하지만, 대기 중에서의 수명이 매우 짧기 때문입니다. 이산화질소는 대기 중에서 산화되어 질소산화물로 변환되고, 이후에는 대기 중에서 빠르게 제거됩니다. 따라서 이산화질소는 온실 효과를 유발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의 원칙 및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환경부장관은 관리업체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의 설정·관리 등에 관하여 총괄·조정기능을 수행한다.
  2. 환경부장관은 목표관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부문별 관장기관의 소관 사무에 대하여 종합적인 점검·평가를 할 수 있다.
  3. 환경부장관은 관리업체의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절약 목표 등의 이행실적, 명세서 신뢰성 여부 등에 중대한 문제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단독으로 관리업체에 실태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4. 부문별 관장기관은 소관 부문별로 목표의 설정·관리 및 필요한 조치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되, 관리업체의 목표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세부 감축 목표에 부합하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률: 65%)
  •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환경부장관은 관리업체의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절약 목표 등의 이행실적, 명세서 신뢰성 여부 등에 중대한 문제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단독으로 관리업체에 실태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환경부장관이나 부문별 관장기관이 수행해야 할 역할과 책임에 대한 내용이지만, 이 보기는 환경부장관이 필요한 경우에 단독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해야 한다는 내용이므로 다른 보기들과는 다른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배출량의 보고 및 검증과 관련하여 할당대상업체가 제출하는 명세서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1. 업체의 업종, 매출액, 공정도, 시설배치도 등 총괄 정보
  2. 온실가스 사용·감축 실적 및 온실가스·에너지의 판매·구매 등 이동 정보
  3. 사업장 고유 배출계수의 개발 결과
  4. 공정별, 생산품별 온실가스 사용량 및 에너지 배출량(벤치마크방식으로 배출권을 할당하는 경우는 제외)
(정답률: 40%)
  • 정답인 "공정별, 생산품별 온실가스 사용량 및 에너지 배출량(벤치마크방식으로 배출권을 할당하는 경우는 제외)"은 업체의 배출량을 측정하고 보고하는 방식 중 하나인 벤치마크 방식에서는 해당 정보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벤치마크 방식은 업종 전반의 평균 배출량을 기준으로 배출권을 할당하기 때문에, 개별 업체의 공정별, 생산품별 배출량 정보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배출량 인증위원회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하여 16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인증위원회의 위원장은?

  1. 환경부차관
  2. 기획재정부 1차관
  3.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4. 국토교통부 차관
(정답률: 56%)
  • 배출량 인증위원회는 환경부의 소관이므로, 위원장은 환경부의 장관이나 차관이 맡게 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환경부 차관인 "환경부차관"이 위원장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상 관리업체의 지정기준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문별 관장기관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량 이상의 온실가스 배출업체 및 에너지 소비업체를 관리업체의 대상으로 선정하고, 그 관련자료를 첨부하여 매년 4월 30일까지 환경부장관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2. 환경부장관은 관리업체 선정의 중복·누락, 규제의 적절성 등을 확인한 후 부문별 관징가관에게 통보하고, 통보를 받은 부문별 관장기관은 매년 6월 30일까지 관리업체를 지정하여 관보에 고시한다.
  3. 관리업체는 관리업체 지정에 이의가 있는 경우 고시된 날부터 60일 이내에 부문별 관장기관에게 소명자료를 첨부하여 이의를 신청할 수 있다.
  4. 부문별 관장기관은 이의신청을 받았을 때에는 이에 관하여 재심사하고 환경부장관의 확인을 거쳐 이의신청을 받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그 결과를 해당 관리업체에 통보하여야 한다.
(정답률: 72%)
  • "환경부장관은 관리업체 선정의 중복·누락, 규제의 적절성 등을 확인한 후 부문별 관징가관에게 통보하고, 통보를 받은 부문별 관장기관은 매년 6월 30일까지 관리업체를 지정하여 관보에 고시한다."이 부분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환경부장관이 부문별 관장기관에게 통보한 후, 부문별 관장기관이 매년 4월 30일까지 관리업체를 지정하여 관보에 고시하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하에서 배출권 거래시장 안정화 조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최근 1개월의 평균 거래량이 직전 2개 연도의 같은 월 평균 거래량 중 많은 경우보다 1.5배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
  2. 최근 1개월의 평균 가격이 직전 2개 연도의 배출권 평균가격보다 1.5배 이상 높은 경우
  3. 최근 1개월의 배출권 평균 가격이 직전 2개 연도의 배출권 평균 가격의 100분의 60이하가 된 경우
  4. 배출권가격이 유럽연합(EU)의 배출권 각격보다 2배 이상 높은 경우
(정답률: 60%)
  •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하에서 배출권 거래시장 안정화 조치 기준으로 옳은 것은 "최근 1개월의 배출권 평균 가격이 직전 2개 연도의 배출권 평균 가격의 100분의 60이하가 된 경우"이다. 이유는 이 조건이 충족될 경우, 배출권 시장에서 공급이 과다하고 수요가 부족한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배출권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로, 과도한 가격 상승이나 하락을 방지하고 시장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관리업체가 매년 제출하여야 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소비량에 관한 명세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명세서에 관한 품질관리 절차
  2. 업체의 규모, 생산설비, 제품원료 및 생산량
  3. 배출권의 할당 대상이 되는 부문 및 업종에 관한 사항
  4. 포집·처리한 온실가스의 종류 및 양
(정답률: 46%)
  • 배출권의 할당 대상이 되는 부문 및 업종은 명세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소비량을 산정하는 데 있어서는 중요한 정보이지만, 명세서에 포함되는 내용은 실제로 배출한 온실가스의 종류와 양, 그리고 업체의 규모, 생산설비, 제품원료 및 생산량 등과 같은 정보에 대한 것입니다. 따라서 명세서에는 배출권의 할당 대상이 되는 부문 및 업종에 관한 사항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조기감축으로 매년 인정받을 수 있는 전체 총량은 전체 관리업체 배출허용량의 몇%에 해당하는가?

  1. 1%
  2. 2%
  3. 3%
  4. 5%
(정답률: 69%)
  • 지침상 조기감축으로 매년 인정받을 수 있는 전체 총량은 전체 관리업체 배출허용량의 1%에 해당한다. 이는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환경보호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기업들은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경영을 추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령상 신에너지 또는 재생에너지가 아닌 것은?

  1. 연료전지
  2. 수력
  3. 폐열
  4. 지열에너지
(정답률: 58%)
  • 폐열은 이미 생산된 열을 재활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으로, 신에너지나 재생에너지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지방녹색성장 위원회의 구성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위원장 1명을 포함한 10명 이내의 위원
  2. 위원장 1명을 포함한 20명 이내의 위원
  3. 위원장 1명을 포함한 25명 이내의 위원
  4. 위원장 2명을 포함한 50명 이내의 위원
(정답률: 73%)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지방녹색성장 위원회는 지방자치단체가 설치하는 위원회로, 위원장 2명을 포함한 5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이는 지방자치단체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여 지역사회의 녹색성장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효과적인 정책을 수립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보다 위원 수가 많고, 위원장이 2명이라는 점에서 더 많은 의견 수렴과 효과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건물이 건축물 대장 또는 등기부에 각각 등재되어 있거나 소유지분을 달리하고 있는 경우에 건축물에 대한 특례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물의 소유구분이 지분형식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최대 지분을 보유한 법인 등을 당해 건물의 소유자로 본다.
  2. 인접 또는 연접한 대지에 동일 법인이 여러 건물을 소유한 경우에는 한 건물로 본다.
  3. 에너지관리의 연계성이 있는 복수의 건물 등은 한 건물로 보며, 동일 부지 내 있거나 인접 또는 연접한 집합건물이 동일한 조직에 의해 에너지 공급·관리 또는 온실가스 관리 등을 받을 경우에도 한 건물로 간주한다.
  4. 동일 건물에 구분 소유자와 임차인에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건물로 본다.
(정답률: 78%)
  • 정답은 "동일 건물에 구분 소유자와 임차인에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건물로 본다."이다. 이유는 건물의 소유자와 임차인은 서로 다른 법적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건물의 운영과 관리에 대한 책임도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물의 소유자와 임차인은 각각의 건물로 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기후변화대응기본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부는 20년을 계획기간으로 하는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시행해야 한다.
  2.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을 수립·변경하는 경우에는 위원회 심의 및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미한 사항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제외한다.
  3.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에는 온실가스 감축사업에 대한 방법론 개발계획이 포함되어야 한다.
  4. 기후변화대응 인력양성에 대한 사항이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한다.
(정답률: 27%)
  •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에는 온실가스 감축사업에 대한 방법론 개발계획이 포함되어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내용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은 정부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수립하는 계획으로, 20년을 계획기간으로 하며 5년마다 수립·시행해야 합니다. 기본계획을 수립·변경하는 경우에는 위원회 심의 및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야 하지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미한 사항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제외됩니다. 기본계획에는 온실가스 감축사업에 대한 방법론 개발계획뿐만 아니라 기후변화대응 인력양성에 대한 사항도 포함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부문별 관장기관은 관리업체가 목표달성을 못하거나, 제출한 이행실적이 미흡한 경우에는 개선명령을 하여야 한다. 부문별 관장기관은 개선명령 등 관리업체에 대해 필요한 조치를 하고, 그 결과를 작성하여 누구에게 통보하여야 하는가?

  1. 대통령
  2. 국무총리
  3. 기획재정부장관
  4. 환경부장관
(정답률: 70%)
  • 환경부는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부문별 관장기관이 관리업체에 대해 필요한 조치를 하고, 그 결과를 작성하여 환경부장관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환경부장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녹색기술·녹색산업의 표준화 및 인증’과 관련된 사항 중 옳은 것은?

  1. 정부는 국내에서 개발된 기술이 국제 표준화에 부합되도록 표준화 기반 구축을 지원할 수 있고, 개발단계의 기술 등은 개발 이전에 표준화 취득을 의무화한다.
  2. 녹색기술의 표준화, 인증 및 취소 등에 관하여 그밖에 필요한 사항은 산업통상자원부장관령으로 정한다.
  3. 기업은 녹색기술 및 녹색산업의 적합성에 대해 제3자 검증을 의무적으로 추진해야한다.
  4. 정부는 녹색기술·녹색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적합성 인증을 하거나, 공공기관의 구매 의무화 또는 기술지도 등을 할 수 있다.
(정답률: 45%)
  • 정부는 녹색기술·녹색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적합성 인증을 하거나, 공공기관의 구매 의무화 또는 기술지도 등을 할 수 있다. 이는 녹색기술·녹색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지원하는 방식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상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 이용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에 관한 총괄·조정기능을 수행하는 자는?

  1. 기획재정부장관
  2. 국무조정실장
  3. 환경부장관
  4.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정답률: 75%)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령에서는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 이용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관리하는 총괄·조정기능을 수행하는 자로서 환경부장관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환경부장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상 관리업체가 조기감축실적에 대하여 인정을 받고자 하는 경우 조기감축실적 인정 신청서를 작성하여 관리업체별로 부문별 관장기관에게 제출하여야 하는 기간(기준)은?

  1. 최초 지정된 해의 7월 31일까지
  2. 최초 지정된 해의 12월 31일까지
  3. 최초 지정된 해의 다음 연도 7월 31일까지
  4. 최초 지정된 해의 다음 연도 12월 31일까지
(정답률: 57%)
  • 조기감축실적 인정 신청서는 해당 연도의 실적을 기준으로 작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최초 지정된 해의 12월 31일까지 제출하면 해당 연도의 실적을 반영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최초 지정된 해의 다음 연도인 7월 31일까지 제출하여 해당 연도의 실적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