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3-10)

교통기사
(2013-03-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교통계획

1. 내부수익률(IRR)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사업의 수익성을 측정할 수 있다.
  2. 평가과정과 결과를 이해하기 쉽다.
  3. 다른 대안과 비교하기 쉽다.
  4. 사업의 절대적인 규모를 고려할 수 있다.
(정답률: 91%)
  • "사업의 절대적인 규모를 고려할 수 있다."는 내부수익률의 특징 중 옳은 설명이다. 내부수익률은 투자한 자본의 규모와 상관없이 사업의 수익성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업의 규모가 크거나 작더라도 내부수익률을 통해 비교적 정확한 수익성을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사업의 경제성을 가늠하는 척도 중 하나인 순현재가치(NPV)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현재가치로 환산된 장래의 연도별 편익의 합계를 현재 가치로 환산된 장래의 연도별 비용의 합계로 나눈 값이다.
  2. 현재가치로 환산된 장래의 연도별 비용의 합계를 현재 가치로 환산된 장래의 연도별 편익의 합계로 나눈 값이다.
  3. 현재가치로 환산된 장래의 연도별 편익의 합계에서 현재 가치로 환산된 장래의 연도별 비용의 합계를 뺀 값이다.
  4. 현재가치로 환산된 장래의 연도별 비용의 합계에서 현재 가치로 환산된 장래의 연도별 편익의 합계를 더한 값이다.
(정답률: 94%)
  • "현재가치로 환산된 장래의 연도별 편익의 합계에서 현재 가치로 환산된 장래의 연도별 비용의 합계를 뺀 값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NPV는 투자한 자금에 대한 현재 가치로 환산된 장래의 연도별 편익과 비용을 고려하여 해당 사업이 경제적으로 유리한지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편익에서 비용을 뺀 값이 양수이면 해당 사업은 경제적으로 유리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사용자 균형 모형에서의 기본 가정과 원리에 대한 내용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사용자 균형 상태에 도달하면 사회적인 총비용이 최소화 된다.
  2. 통행자는 모든 링크의 통행시간에 대한 완전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3. 통행자의 통행경로 선택행위는 그들의 통행시간 최소화를 목표로 한다.
  4.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통행량은 고정되어 있다.
(정답률: 78%)
  •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통행량은 고정되어 있다."가 거리가 먼 것입니다.

    사용자 균형 모형에서는 통행자들이 자신의 통행시간을 최소화하는 경로를 선택하며, 이를 통해 전체적인 사회적인 총비용이 최소화됩니다. 이는 통행자들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면서도 전체적인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사용자 균형 상태에 도달하면 사회적인 총비용이 최소화 된다."라는 가정과 원리가 성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토지이용과 도시교통과의 관계에 대하여 교통체계는 토지이용현상, 교통공급설, 교통현상으로 구성된다고 정의한 학자는?

  1. Perkin
  2. Rummer
  3. Black
  4. Tamazinis
(정답률: 85%)
  • 정답은 "Black"이다. 이유는 교통체계를 이루는 세 가지 요소를 정의한 학자가 Black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내용과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수단선택(model split) 단계에서 사용하는 분석 모형은?

  1. 로짓모형 (Logit model)
  2. 성장률법
  3. 다이알(Dial)모형
  4. 디트로이트(Detroit)모형
(정답률: 60%)
  • 수단선택(model split) 단계에서 사용하는 분석 모형은 "로짓모형 (Logit model)"입니다. 이 모형은 종속변수가 이항분포를 따르는 경우에 사용되며, 이항분포에서 로그함수를 취한 로짓함수를 이용하여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간의 관계를 모델링합니다. 이 모형은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분류 문제에서 확률을 예측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기∙종점 조사 자료에 대하여 신뢰성에 대한 검증 및 보완을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는 것은?

  1. 가구면접조사
  2. 스크린라인조사
  3. 터미널조사
  4. 노측면접조사
(정답률: 93%)
  • 스크린라인조사는 기∙종점 조사 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하고 보완하기 위해 실시하는 것으로, 기존에 수집된 자료를 대상으로 무작위로 일부를 추출하여 다시 조사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기존 자료의 오류나 불일치를 발견하고 보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크린라인조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보행자시설의 효과척도는?

  1. 보행교통류율
  2. 보행점유공간
  3. 보행자 평균지체
  4. 보행자 유효보도폭
(정답률: 95%)
  • 보행교통류율은 보행자가 특정 구간을 통과하는 속도와 보행자 수를 고려하여 측정된 지표이다. 이 보행시설의 효과를 측정하는데 있어서는 보행자의 이동 속도와 보행자 수가 중요한 요소이므로, 보행교통류율이 가장 적절한 효과척도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4단계 교통수요 추정 모형에 비하여 개별행태모형이 갖는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보다 중ㆍ장기적인 교통계획의 수립에 유용하다.
  2. 존별 집계자료에 근거하여 개발된 모형이다.
  3. 비용이 많이 들고 결과 도출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4. 교통존에 한정하지 않기 때문에 어떤 지역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85%)
  • 개별행태모형은 교통존에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어떤 지역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는 교통수요 추정 모형이 특정 지역의 교통 특성에 맞게 개발되어야 하기 때문에 해당 지역 이외에는 적용이 어렵다는 단점을 보완한 것이다. 따라서 보다 넓은 범위의 교통계획 수립에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승용차, 버스, 지하철의 효용함수값이 각각 -1.0, -1.5, -1.5 일 때, 로짓모형에 의한 승용차의 선택확률은?

  1. 약 27.4%
  2. 약 36.1%
  3. 약 45.2%
  4. 약 52.1%
(정답률: 77%)
  • 로짓모형에서 선택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P(선택) = 1 / (1 + exp(-U))

    여기서 U는 효용함수의 합이다.

    U = -1.0 (승용차) + (-1.5) (버스) + (-1.5) (지하철) = -4.0

    따라서,

    P(승용차 선택) = 1 / (1 + exp(4.0)) = 0.452

    즉, 약 45.2%의 확률로 승용차를 선택할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주차수요추정법 중 주차이용효율(e)을 이용하는 것은?

  1. P요소법
  2. 과거추세연장법
  3. 누적주차수요추정법
  4. 기ㆍ종점에 의한 주차수요추정법
(정답률: 95%)
  • 주차이용효율(e)은 P요소법에서 사용되는데, P요소법은 주차장 내 차량의 이용률을 고려하여 주차수요를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주차이용효율(e)을 이용하는 것은 P요소법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과거 추세, 누적 주차수요, 기ㆍ종점에 따른 주차수요를 고려하는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도로의 운영 방법 중 도로구간을 홀수차로로 구획하고 중앙의 한 개 차로를 좌회전 교통류를 처리하여 회전 교통류에 의해 직진교통류가 방해받음으로써 발생하는 링크 및 교차로의 용량저하현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은?

  1. 가변차로제
  2. 능률차로제
  3. 일방차로제
  4. 우선차로제
(정답률: 81%)
  • 능률차로제는 도로구간을 홀수차로로 구획하고 중앙의 한 개 차로를 좌회전 교통류를 처리하여 회전 교통류에 의해 직진교통류가 방해받음으로써 발생하는 링크 및 교차로의 용량저하현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능률차로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제한속도를 다시 결정하고자 진행하는 차량의 속도조사시 속도의 표준편차를 24km/h, 허용오차를 2km/h로 하고자 할 때 필요한 표본의 수는? (단, 신뢰도는 95% 이다.)

  1. 390개
  2. 400개
  3. 480개
  4. 560개
(정답률: 74%)
  • 신뢰도가 95%이므로, 신뢰수준 95%에 해당하는 Z값은 1.96이다.

    허용오차가 2km/h이므로, 표본평균의 표준오차는 2km/h가 되어야 한다.

    표준오차는 표준편차를 표본의 제곱근으로 나눈 값이므로,

    2 = 1.96 x (24 / √n)

    √n = 1.96 x 24 / 2

    √n = 23.52

    n = 23.52² = 553.27

    따라서, 필요한 표본의 수는 560개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통행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어떤 목적을 가진 사람이 이동하기 시작하여 정지하기까지의 여행(Journey)을 통행(trip)이라 일컫는다.
  2. 하나의 통행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종종 몇 개의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를 수단통행이라 한다.
  3. 통행자체를 수단통행이라 부르며, 일반적으로 통행이라 할 때는 수단통행을 의미한다,
  4. 통행의 주체는 교통행위의 주체로서 사람과 화물이 있다.
(정답률: 95%)
  • "통행자체를 수단통행이라 부르며, 일반적으로 통행이라 할 때는 수단통행을 의미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일반적으로 통행이라 함은 수단통행 뿐만 아니라 보행이나 자전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동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장ㆍ단기 교통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단기교통계획은 소수의 대안, 장기교통계획은 다수의 대안
  2. 단기교통계획은 교통수요가 비교적 고정, 장기교통계획은 교통수요가 변화 가능
  3. 단기교통계획은 자본집약적, 장기교통계획은 저자본 비용
  4. 단기교통계획은 서비스 지향적, 장기교통계획은 시설지향적
(정답률: 94%)
  • 단기교통계획은 교통서비스를 개선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짧은 기간 내에 적용 가능한 소수의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므로 서비스 지향적입니다. 반면에 장기교통계획은 교통수요의 변화를 고려하여 장기적인 시설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므로 시설지향적입니다. 따라서 "단기교통계획은 서비스 지향적, 장기교통계획은 시설지향적"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AHP(계층분석법)의 3가지 원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계층적 구조설정의 원리
  2. 상대적 중요도 설정의 원리
  3. 의사결정과정 민감도 분석의 원리
  4. 논리적 일관성의 원리
(정답률: 69%)
  • AHP의 3가지 원리는 "계층적 구조설정의 원리", "상대적 중요도 설정의 원리", "논리적 일관성의 원리"입니다. "의사결정과정 민감도 분석의 원리"는 AHP의 원리가 아니며, 이는 AHP의 결과를 검증하고 보완하기 위한 분석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원리는 AHP 결과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통해 얻은 정보를 활용하여 의사결정을 보완하고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른 대중교통수단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 것은?

  1. 지하철
  2. 지프니
  3. 경전철
  4. 버스
(정답률: 100%)
  • 이미지에서 보이는 차량은 지하철과 비슷하지만, 지하철보다는 더 빠르고 더 적은 정거장을 지나가는 경전철이다. 또한, 경전철은 지하철과 달리 지상을 달리기 때문에 경치를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 이미지에서 보이는 차량은 경전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도시교통계획의 과정과 그 방법에 있어 기초가 이루어진 광역권 교통조사분석으로, 1950년대에 사람 통행실태조사가 최초로 시행된 도시는?

  1. 뉴욕
  2. 시카고
  3. 디트로이트
  4. 워싱턴
(정답률: 72%)
  • 디트로이트는 1950년대에 사람 통행실태조사가 최초로 시행된 도시이다. 이를 통해 광역권 교통조사분석의 기초가 이루어졌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자동차에 사람이나 화물을 실은 채 철도로 운반하는 시스템은?

  1. Car Ferry 시스템
  2. Piggyback 시스템
  3. Dual-mode Bus 시스템
  4. Container 시스템
(정답률: 100%)
  • Piggyback 시스템은 자동차나 화물을 철도 위에 올려놓고 운반하는 시스템으로, 자동차나 화물이 직접 철도를 타는 것이 아니라 철도 위에 올려진 상태로 운반되기 때문에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운송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평형배정모형에 있어 운전자가 이기적으로 자신의 통행시간만을 단축시키려는 의도가 결과적으로 모든 운전자에게 피해를 초래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IIA(Independence of Inrrelevant Alternative)
  2. 브라에스의 역설(Braess's Paradox)
  3. 다운스-톰슨의 역설(Downs-Thomson Paradox)
  4. 루이스-모그리지의 명제(Lewis-Mogrdige Position)
(정답률: 95%)
  • 운전자들이 이기적으로 자신의 통행시간을 단축시키려는 의도가 결과적으로 모든 운전자에게 피해를 초래하는 현상을 "브라에스의 역설(Braess's Paradox)"이라고 한다. 이는 평형배정모형에서 새로운 도로를 추가하면 오히려 전체적인 통행시간이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IIA(Independence of Inrrelevant Alternative)와는 반대되는 개념으로, 새로운 대안이 추가될 때 기존의 선택지들이 영향을 받는 것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 새로운 도로가 추가될 때 기존의 도로들이 혼잡해지고,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통행시간이 증가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교통량에 따른 PHF값은 얼마인가?

  1. 0.8125
  2. 0.8825
  3. 0.9425
  4. 0.9825
(정답률: 80%)
  • PHF는 Peak Hour Factor의 약자로, 피크 시간대의 교통량이 일반 시간대의 교통량 대비 얼마나 증가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위 그림에서 피크 시간대의 교통량은 600대, 일반 시간대의 교통량은 400대이므로, PHF는 (피크 시간대 교통량 / 일반 시간대 교통량) = 600 / 400 = 1.5 입니다.

    그러나, PHF는 일반적으로 1보다 작은 값으로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PHF = 1 / (1 + (일반 시간대 교통량 / 피크 시간대 교통량)) 로 계산합니다.

    위 그림에서 PHF = 1 / (1 + (400 / 600)) = 0.8125 이므로, 정답은 "0.812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교통공학

2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교통류 모형은?

  1. 추종이론
  2. 가속소음이론
  3. 충격파이론
  4. 대기행렬이론
(정답률: 67%)
  • 이 모형은 "추종이론"에 해당한다. 이 모형은 차량들이 다른 차량을 추종하면서 이동하는 상황을 모형화한 것이다. 이 모형에서는 차량들이 서로의 속도와 거리를 고려하여 움직인다. 이 모형은 교통 현상을 설명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교통공학에서 사용되는 확률분포를 크게 계수분포(counting distribution)와 간격분포(gap distribution)로 구분할 때, 다음 중 계수분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포아송(Poisson) 분포
  2. 이항(Binomial) 분포
  3. 초기하(Hypergeometric) 분포
  4. 음지수(Negative Exponential) 분포
(정답률: 78%)
  • 음지수(Negative Exponential) 분포는 간격분포에 해당한다. 이유는 음지수 분포는 어떤 사건이 발생하는 시간 간격을 모델링하는데 사용되며, 이는 일정한 간격으로 발생하는 사건을 모델링하는 간격분포의 한 종류이기 때문이다. 반면, 계수분포는 어떤 구간 내에서 발생하는 사건의 수를 모델링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포아송, 이항, 초기하 분포는 모두 계수분포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고속도로의 서비스 교통량 산정 시 고려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차로폭
  2. 중차량 비율
  3. 측방여유폭
  4. 주변 가로의 개발상태
(정답률: 90%)
  • 고속도로의 서비스 교통량 산정 시에는 차로폭, 중차량 비율, 측방여유폭 등과 같은 도로의 물리적 특성과 교통 상황이 고려되지만, 주변 가로의 개발상태는 고려되지 않는다. 이는 주변 가로의 개발상태가 교통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주변에 상업시설이 많다고 해서 고속도로의 교통량이 증가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이 보기는 고속도로의 서비스 교통량 산정 시 고려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차량 A가 10m/sec의 속도로 아래와 같은 조건을 가진 교차로에 접근하고 있을 때 황색신호시간은 얼마인가?

  1. 2.0초
  2. 4.0초
  3. 6.5초
  4. 8.5초
(정답률: 54%)
  • 황색신호는 노란색과 빨간색 사이에 있으므로, 빨간색신호가 끝나고 황색신호가 시작하는 시점에 차량 A는 이미 교차로에 진입하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차량 A가 교차로에 진입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여 계산해야 한다.

    차량 A가 교차로에 진입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다.

    거리 = 속도 × 시간

    100m = 10m/sec × 시간

    시간 = 10초

    따라서, 차량 A가 교차로에 진입하는 데 10초가 걸린다.

    황색신호는 빨간색신호가 끝나고 바로 시작되므로, 황색신호의 지속시간은 빨간색신호의 지속시간과 같다.

    빨간색신호의 지속시간 = 6.5초

    따라서, 황색신호의 지속시간은 6.5초이다.

    하지만, 차량 A가 이미 교차로에 진입하고 있으므로, 황색신호의 지속시간은 차량 A가 교차로를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짧아야 한다.

    차량 A가 교차로를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다.

    거리 = 속도 × 시간

    50m = 10m/sec × 시간

    시간 = 5초

    따라서, 차량 A가 교차로를 통과하는 데 5초가 걸린다.

    따라서, 황색신호의 지속시간은 5초보다 짧아야 하므로, 정답은 "4.0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30m의 도로구간을 2대의 차량이 통행한 시간이 각각 1초, 2초 일 때 공간평균속도는 얼마인가?

  1. 10km/h
  2. 22.5km/h
  3. 36km/h
  4. 72km/h
(정답률: 50%)
  • 공간평균속도는 전체 거리를 전체 시간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두 차량이 통행한 전체 거리는 30m + 30m = 60m 이고, 전체 시간은 1초 + 2초 = 3초 이다.

    공간평균속도 = 전체 거리 ÷ 전체 시간

    = 60m ÷ 3초

    = 20m/s

    = 20 × 3.6 km/h (1시간에 3600초이므로 m/s를 km/h로 변환하기 위해 3.6을 곱한다.)

    = 72km/h

    따라서, 정답은 "72km/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차량 운행 중 외부자극에 대한 인간의 신체적 반응과정인 PIEV 과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인지(perception)
  2. 식별(intellection)
  3. 회피(evasion)
  4. 의지(volition)
(정답률: 65%)
  • PIEV 과정은 인지, 식별, 의지의 세 가지 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회피는 이 과정에 속하지 않습니다. 회피는 외부자극에 대한 대처 방법 중 하나로, 위험을 인지하고 식별한 후 의지적으로 회피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PIEV 과정은 인지, 식별, 의지의 과정을 의미하며, 회피는 이 과정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고정식(정주기식) 신호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신호 주기가 일정하기 때문에 인접 신호등과의 연동이 용이하다.
  2. 감응식 신호에 비하여 보행자 교통향이 일정하면서 많은 곳에 적합하다.
  3. 교통의 흐름을 방해하는 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4. 교통량의 시간별 변동이 클 경우 지체를 최소화한다.
(정답률: 80%)
  • "교통량의 시간별 변동이 클 경우 지체를 최소화한다."는 고정식 신호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가변식 신호에 대한 설명입니다.

    고정식 신호는 주기가 일정하기 때문에 인접 신호등과의 연동이 용이하고, 보행자 교통향이 일정하면서 많은 곳에 적합하며, 교통의 흐름을 방해하는 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신호교차로의 용량분석 시 이상적인 조건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교통류는 모두 승용차로 구성된다,
  2. 접근부 정지선의 상류뷰 75m 이내에 노상 주ㆍ정차 시설이 없어야 한다.
  3. 경사는 2% 이내, 차로폭은 3.5m 이상이어야 한다.
  4. 접근부 정지선의 상류부 75m 이내에 버스정류장이 없어야 한다.
(정답률: 67%)
  • "경사는 2% 이내, 차로폭은 3.5m 이상이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이상적인 조건이 아니라 필수적인 조건이기 때문이다. 경사가 너무 가파르면 차량의 움직임이 불안정해지고, 차로폭이 너무 좁으면 차량의 통행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일정시간 동안 특정지점을 통과한 차량의 산술평균 속도로서 속도분석, 교통사고분석에 이용되는 것은?

  1. 공간평균속도(space mean speed)
  2. 시간평균속도(time mean speed)
  3. 평균통행속도(mean travel speed)
  4. 설계속도(design speed)
(정답률: 70%)
  • 일정시간 동안 특정지점을 통과한 차량의 산술평균 속도는 시간평균속도(time mean speed)이다. 이는 일정한 시간 동안 통과한 차량들의 속도를 모두 더한 후 차량 수로 나누어 구한다. 이는 교통량과 교통 혼잡도를 고려하여 도로의 효율성을 분석하는 데에 유용하며,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시공도(time-space diagram)의 작성에 필요하지 않은 것은?

  1. 교차로간의 거리
  2. 차로수
  3. 연속진행속도
  4. 신호주기 및 현시길이
(정답률: 73%)
  • 시공도는 교통체증을 예측하고 교통 흐름을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면으로, 교차로간의 거리, 연속진행속도, 신호주기 및 현시길이 등이 필요한 정보이다. 하지만 차로수는 시공도 작성에 필요하지 않은 정보이다. 시공도는 차로의 개수보다는 차량의 흐름과 신호체계에 따라 작성되기 때문에 차로수는 중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교통류 모형 중 수학적으로는 가장 단순하고 사용하기 편리하지만, 현실적인 혼잡밀도의 값을 나타내기가 어려운 것은?

  1. Greenberg 모형
  2. Greenshields 모형
  3. Underwood 모형
  4. Drake 모형
(정답률: 86%)
  • Greenshields 모형은 교통량과 속도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형으로, 가장 단순하고 사용하기 쉬운 모형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이 모형은 혼잡밀도가 높아질수록 정확한 값을 나타내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현실적인 교통 상황에서는 다른 모형들이 더욱 정확한 값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A차량이 일정 구간의 도로를 주행하는데 15분이 소요되었으며, 여행 중 5대의 차량이 A차량을 추월하고 A차량이 3대를 추월하였다. 이 구간에서 차량의 평균주행시간은? (단, A차량 주행방향의 교통량은 150대/시간이다.)

  1. 12.8분
  2. 14.2분
  3. 16.6분
  4. 19.0분
(정답률: 47%)
  • A차량이 구간을 주행하는데 15분이 소요되었으므로, 이 구간의 길이는 15분 * 150대/시간 = 2250대의 차량이 통과할 수 있는 길이이다.

    A차량이 3대를 추월했으므로, A차량보다 빠른 속도로 주행하는 차량은 총 4대이다. 따라서, A차량이 이 구간을 주행하는데 걸린 시간은 15분 + (4대 * 1분) = 19분이다.

    하지만, A차량이 5대의 차량에 추월당했으므로, A차량이 이 구간을 주행하는데 걸린 시간은 19분 + (5대 * 1분) = 24분이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 차량의 평균주행시간은 24분 / 2 = 12분이다.

    하지만, A차량이 이 구간을 주행하는데 걸린 시간은 15분이므로, A차량의 평균속도는 2250대의 차량이 통과할 수 있는 길이 / 15분 = 150대/시간이다.

    따라서, A차량이 이 구간에서 주행하는데 걸린 시간은 2250대의 차량이 통과할 수 있는 길이 / 150대/시간 = 15분이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 차량의 평균주행시간은 15분 / 2 = 7.5분이다.

    하지만, A차량이 3대를 추월했으므로, A차량보다 느린 속도로 주행하는 차량은 총 2대이다. 따라서, A차량이 이 구간을 주행하는데 걸린 시간은 15분 + (2대 * 1분) = 17분이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 차량의 평균주행시간은 17분 / 2 = 8.5분이다.

    하지만, A차량이 5대의 차량에 추월당했으므로, A차량이 이 구간을 주행하는데 걸린 시간은 17분 + (5대 * 1분) = 22분이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 차량의 평균주행시간은 22분 / 2 = 11분이다.

    따라서, 가장 근접한 정답은 "14.2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신호교차로가 90초의 주기로 운영되고, 임계차로군의 교통량비의 합이 0.72일 때 교차로 전체의 임계 V/c비 값으로 0.76을 얻었다. 이 교차로의 매 주기당 총 손실시간은?

  1. 약 3초
  2. 약 5초
  3. 약 7초
  4. 약 9초
(정답률: 30%)
  • 임계 V/c비 값이 0.76이므로, 교차로 전체의 차량통과율은 0.76V이다. 따라서, 주기당 교차로에 진입하는 차량 수는 0.76V × 90초 = 68.4V이다. 이 중 임계차로군의 차량 수는 0.72 × 68.4V = 49.248V이다.

    임계차로군의 V/c비 값이 0.72이므로, 임계차로군 내의 차량통과율은 0.72V이다. 따라서, 주기당 임계차로군을 통과하는 차량 수는 0.72V × 90초 = 64.8V이다. 이 중 교차로 전체의 차량통과율에 포함되는 차량 수는 0.76V/0.72V × 64.8V = 68.4V이다. 따라서, 교차로 전체의 차량통과율에서 임계차로군을 제외한 나머지 차량통과율은 68.4V - 64.8V = 3.6V이다.

    매 주기당 총 손실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총 손실시간 = (임계차로군의 차량 수 ÷ 임계차로군의 차량통과율) × (주기당 임계차로군을 통과하는 시간 - 주기당 임계차로군 내의 차량이 통과하는 시간)
    + (교차로 전체의 나머지 차량 수 ÷ 교차로 전체의 나머지 차량통과율) × (주기당 교차로 전체의 나머지 차량이 통과하는 시간 - 주기당 임계차로군을 제외한 나머지 차량이 통과하는 시간)

    여기서, 주기당 임계차로군을 통과하는 시간은 0.72V ÷ 68.4V × 90초 = 0.9474초이고, 주기당 임계차로군 내의 차량이 통과하는 시간은 1 ÷ 0.72 = 1.3889초이다. 또한, 주기당 교차로 전체의 나머지 차량이 통과하는 시간은 (90초 - 1.3889초) = 88.6111초이고, 주기당 임계차로군을 제외한 나머지 차량이 통과하는 시간은 88.6111초 ÷ 0.76 = 116.3322초이다.

    따라서, 총 손실시간은 (49.248V ÷ 0.72V) × (0.9474초 - 1.3889초) + (68.4V - 64.8V) ÷ 3.6V × (116.3322초 - 88.6111초) = 5.04V - 3.6V = 1.44V이다. 이 값은 V에 비례하므로, V가 1일 때 총 손실시간은 약 5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양방향정지 비신호교차로의 서비스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효과척도로 사용되는 것은?

  1. 방향별 교차로 진입교통량
  2. 밀도
  3. 시간당 상충횟수
  4. 평균운영지체
(정답률: 58%)
  • 양방향정지 비신호교차로의 서비스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효과척도로 사용되는 것은 "평균운영지체"이다. 이는 교차로 내에서 차량이 운행하는데 걸리는 평균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척도가 높을수록 교차로의 혼잡도가 높아지며, 서비스 수준이 낮아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자유속도 60km/시, 정체(임계)밀도 400대/km를 갖는 교통류를 Greenshields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할 때 용량은?

  1. 2400대/시
  2. 4800대/시
  3. 6000대/시
  4. 8000대/시
(정답률: 32%)
  • Greenshields 모형에서 용량은 최대 밀도와 자유속도를 곱한 값이다. 따라서, 최대 밀도는 400대/km이고, 자유속도는 60km/시이므로, 용량은 400대/km x 60km/시 = 24000대/시가 된다. 하지만, 이 값은 이론적인 최대 용량이므로, 실제 도로에서는 이보다 적은 값이 나온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이론적인 최대 용량에 가장 가까운 값인 "6000대/시"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도로의 일정 구간을 주행하는 각 차량들의 속도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공간평균속도와 시간평균속도의 관계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공간평균속도와 시간평균속도는 같다.
  2. 공간평균속도가 시간평균속도보다 작다.
  3. 공간평균속도가 시간평균속도보다 크다.
  4. 공간평균속도와 시간평균속도는 비교할 수 없다.
(정답률: 74%)
  • 정답은 "공간평균속도가 시간평균속도보다 작다."입니다.

    공간평균속도는 일정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들의 평균 속도를 의미하고, 시간평균속도는 일정 시간 동안 주행한 거리를 시간으로 나눈 평균 속도를 의미합니다.

    만약 일부 차량들이 도로에서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정지하면, 그 구간을 주행하는 모든 차량들의 평균 속도는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공간평균속도는 시간평균속도보다 작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도로의 일정지점을 통과하는 차량을 15초 단위로 분석한 결과 평균이 1.7대, 분산이 1.8대이었다. 해당 지점을 통과하는 차량이 2대 이하로 도착할 확률은?

  1. 약 71.2%
  2. 약 73.5%
  3. 약 75.7%
  4. 약 77.1%
(정답률: 7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단일 서비스 기관의 대기행렬모형(M/M/1)에서 평균도착률이 λ, 평균서비스율이 μ일 때 시스템 내에 차량이 한 대도 없을 확률은?

  1. μ - λ
(정답률: 80%)
  • 시스템 내에 차량이 한 대도 없을 확률은 시스템이 비어있는 상태에서 시작하므로 초기 분포는 상태확률이 1인 0개의 차량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시스템 내에 차량이 한 대도 없을 확률은 시간이 지나도 차량이 들어오지 않을 확률과 시간이 지나도 차량이 나가지 않을 확률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나도 차량이 들어오지 않을 확률은 지수분포에서 평균도착률이 λ인 경우 시간 t동안 아무 차량도 들어오지 않을 확률인 e^(-λt)이다.

    시간이 지나도 차량이 나가지 않을 확률은 지수분포에서 평균서비스율이 μ인 경우 시간 t동안 차량이 들어와서 서비스를 받지 않을 확률인 e^(-μt)이다.

    따라서 시스템 내에 차량이 한 대도 없을 확률은 e^(-λt) * e^(-μt) = e^(-(λ+μ)t)이다.

    M/M/1 모형에서 시스템 내에 차량이 한 대도 없을 확률은 ρ = λ/μ일 때 가장 작아지므로, ρ = 0일 때 확률이 가장 크다. 따라서 ρ = λ/μ = 0이 되는 경우, 즉 λ = 0인 경우에 시스템 내에 차량이 한 대도 없을 확률은 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속도누적분포에서 일반적으로 교통류 내에서의 합리적인 속도의 최대값을 나타내어 현장의 도로조건에 적합한 교통운영계획을 세우는데 기준으로 삼는 속도는?

  1. 100% 속도
  2. 85% 속도
  3. 50% 속도
  4. 25% 속도
(정답률: 84%)
  • 속도누적분포에서 85% 속도는 교통량이 많은 도로에서도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는 합리적인 속도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100% 속도는 모든 차량이 그 속도로 운행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렵고, 50% 속도나 25% 속도는 너무 느리거나 빠르기 때문에 교통 흐름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85% 속도는 교통량과 도로 조건을 고려하여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 운영을 위한 적절한 기준으로 삼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주기당 총손실시간이 10초, 임계이동류의 교통량비의 합이 0.6일 때, Webster 식을 이용한 최적주기는?

  1. 30초
  2. 40초
  3. 50초
  4. 60초
(정답률: 86%)
  • Webster 식에서 최적주기는 주기당 총손실시간과 임계이동류의 교통량비의 합의 곱이 최소가 되는 값을 가진다. 따라서, 주기당 총손실시간이 10초이고 임계이동류의 교통량비의 합이 0.6일 때, 최적주기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계산을 수행한다.

    최적주기 = 3600 × (0.6 / 10) = 216초

    하지만, 일반적으로 최적주기는 30초에서 120초 사이의 값이어야 하므로, 이 값의 범위 내에서 최적주기를 구해야 한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최적주기가 30초에서 120초 사이에 있는 값은 "50초"이므로, 정답은 "50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교통시설

41. 다음 중 도로의 구조 및 시설에 관한 규칙에서 규정하고 있는 설계기준 자동차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승용자동차
  2. 증형자동차
  3. 대형자동차
  4. 세미트레일러
(정답률: 90%)
  • 증형자동차는 일반적으로 승용자동차나 대형자동차와 같은 카테고리에 속하지 않습니다. 증형자동차는 기존의 승용자동차나 대형자동차를 기반으로 하여 추가적인 구조물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차량으로, 일반적으로 개인용이 아닌 상업용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도로의 구조 및 시설에 관한 규칙에서 규정하고 있는 설계기준은 승용자동차, 대형자동차, 세미트레일러와 같은 일반적인 차량에 대한 것이며, 증형자동차에 대한 규정은 따로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기본 차로수가 균형 상태이면서 차로수 균형의 원칙을 지키고 있는 설계는?

(정답률: 87%)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이 설계는 차로수가 균형 상태이면서 차로수 균형의 원칙을 지키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설계에서는 차로수가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양쪽 차로의 너비가 동일합니다. 따라서 차로수 균형의 원칙을 지키면서도 차로수가 균형 상태에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이아몬드형 인터체인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른 인터체인지에 비하여 필요한 용지가 적게 든다.
  2. 접속도로와의 연결로로 접속부분에서 생기는 평면교차 부분에서 생기는 평면교차부분에서 의 도로교통용량이 작아진다.
  3. 영업소 운영에 적합하나 관리비와 공사비가 많이 든다.
  4. 교통의 우회거리가 짧아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정답률: 69%)
  • "다른 인터체인지에 비하여 필요한 용지가 적게 든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다이아몬드형 인터체인지는 접속도로와의 연결로 인해 평면교차 부분에서 생기는 도로교통용량이 작아지는 단점이 있지만, 교통의 우회거리가 짧아 경제적으로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인터체인지에 비해 필요한 용지가 적게 들지 않습니다. 또한 영업소 운영에 적합하지만 관리비와 공사비가 많이 들어간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도시지역의 고속도로 및 일반도로에서 중앙분리대 설치시 중앙분리대의 최소 폭은?

  1. 고속도로1.5m, 일반도로1m
  2. 고속도로2m, 일반도로1m
  3. 고속도로2.5m, 일반도로2m
  4. 고속도로3m, 일반도로2m
(정답률: 81%)
  • 중앙분리대는 차량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데, 고속도로와 일반도로의 차이는 차량의 주행속도입니다. 고속도로는 일반도로보다 차량의 주행속도가 높기 때문에, 중앙분리대의 폭도 넓어야 차량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속도로에서는 최소 2m의 폭이 필요하고, 일반도로에서는 최소 1m의 폭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도로 설계시 유의하여야 할 사항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회전 차량의 대기 장소는 직전교통으로부터는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해야 한다.
  2. 운전자에게 90도 이상 회전하거나 갑작스럽고 급격한 배향곡선 등의 부자연스런 경로를 주어서는 안 된다.
  3. 운전자가 한 번에 한 가지 이상의 의사결정을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4. 교통제어시설은 도류화의 일부분으로서 이를 고려하고 교통섬을 설계하여야 한다.
(정답률: 85%)
  • "회전 차량의 대기 장소는 직전교통으로부터는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해야 한다." 이 보기가 바르지 않은 것이다. 회전 차량의 대기 장소는 직전교통으로부터 잘 보이는 곳에 위치해야 한다. 이는 다른 차량이 회전 차량을 미리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평면교차로에서 발생하는 상충의 종류가 모두 옳게 나열 된 것은?

  1. 분류상충, 합류상충, 교차상충
  2. 교차상충, 회전상충, 추돌상충
  3. 합류상충, 추돌상충, 분류상충
  4. 직각상충, 측면상충, 회전상충
(정답률: 89%)
  • 정답은 "분류상충, 합류상충, 교차상충" 입니다.

    - 분류상충: 도로가 분기되어 있는 교차로에서 발생하는 상충으로, 차량이 도로를 나누어 가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 합류상충: 도로가 합류되어 있는 교차로에서 발생하는 상충으로, 차량이 도로를 합쳐가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 교차상충: 도로가 서로 교차하고 있는 교차로에서 발생하는 상충으로, 차량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도로의 교통수요예측결과 목표연도의 AADT는 3200대/일 일 때 중방향 설계시간 교통량(DDHV 대/시)은 얼마인가? (단, 도로의 첨두시간집중률은 7% K30은 13% 양방향 교통량에 대한 중방향 교통량의 백분율이 65% 이다.)

  1. 3200×0.13×0.65
  2. 3200×0.07×0.65
  3. 1600×0.13×0.65
  4. 1600×0.07×0.65
(정답률: 70%)
  • 중방향 설계시간 교통량(DDHV 대/시)은 양방향 교통량을 중방향 교통량으로 환산한 후, 첨두시간집중률과 K30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양방향 교통량은 AADT의 절반인 1600대/일이다. 중방향 교통량의 백분율이 65%이므로, 중방향 교통량은 1600×0.65=1040대/일이다. 첨두시간집중률은 7%이므로, 중방향 설계시간 교통량은 1040×0.07=72.8대/시이다. K30은 13%이므로, 최종적으로 중방향 설계시간 교통량은 72.8×0.13=9.464대/시이다. 따라서, 정답은 "3200×0.13×0.6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도로의 기능별 구분에 따른 설계속도 기준이 옳은 것은?

  1. 도시지역의 집산도로는 40km/시간 이상으로 한다.
  2. 지방지역의 평지부 고속도로와 도시지역 고속도로의 설계속도는 120km/시간 이상으로 한다.
  3. 지방지역 산지부의 주간선도로는 60km/시간 이상으로 한다.
  4. 도시지역의 주간선도로는 70km/시간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69%)
  • 지방지역 산지부의 주간선도로는 60km/시간 이상으로 한다. 이유는 산간 지역의 도로는 곡선이 많고 경사도가 높아서 차량의 주행속도가 느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설계속도를 높이면 안전성이 떨어지고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적절한 속도로 설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1대당 최소 주차 소요 면적이 가장 큰 각도 주차 형식은? (단, 차종은 경형을 기준으로 하며 전진주자방식이다.)

  1. 30도 주차
  2. 45도 주차
  3. 60도 주차
  4. 90도 주차
(정답률: 96%)
  • 1대당 최소 주차 소요 면적은 주차 공간의 크기와 주차하는 차량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각도 주차 형식에서는 주차 공간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주차하는 차량의 크기에 따라 최소 주차 소요 면적이 달라진다. 따라서, 주차 공간의 크기가 작은 30도 주차 형식에서는 경차를 주차할 때 최소한의 공간만 필요하기 때문에 1대당 최소 주차 소요 면적이 가장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도로의 선형설계에서 가장 바람직한 조화를 이루는 평면선형과 종단선형의 조합은?

  1. 될 수 있는 한 하나의 평면곡선에 하나의 종단곡선을 대응시키도록 한다.
  2. 볼록형 종단곡선의 정점부에 급한 평면곡선 반지름을 삽입한다.
  3. 같은 방향으로 굴곡하는 두 곡선 사이에 짧은 직선을 삽입한다.
  4. 오목형 종단곡선의 지점부에 배향곡선의 변곡점을 둔다.
(정답률: 75%)
  • "될 수 있는 한 하나의 평면곡선에 하나의 종단곡선을 대응시키도록 한다."는 도로의 선형설계에서 가장 바람직한 평면선형과 종단선형의 조합이 되는 이유는, 이렇게 하면 도로의 곡률이 자연스럽게 변화하면서도 균형잡힌 디자인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하나의 평면곡선에 여러 개의 종단곡선을 대응시키면, 도로의 곡률이 급격하게 변화하거나 불균형한 디자인이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하나의 평면곡선에 하나의 종단곡선을 대응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노면이 시멘트 포장도로인 차도의 횡단경사 기준은?

  1. 1.0% 이상 1.5%이상
  2. 1.5% 이상 2.0%이상
  3. 2.0% 이상 2.5%이상
  4. 2.5% 이상 3.0%이상
(정답률: 79%)
  • 시멘트 포장도로는 비교적 평탄한 표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횡단경사가 너무 낮으면 비가 오거나 눈이 내리면 미끄러워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횡단경사가 너무 높으면 차량이나 보행자가 움직이기 어렵고 불편합니다. 따라서, 시멘트 포장도로의 횡단경사 기준은 1.5% 이상 2.0%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 범위 안에서는 안전하면서도 편리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일반도로의 기능별 구분에 상응하는 도로법에 따른 도로의 종류가 옳은 것은?

  1. 주간선도로에는 일반국도. 특별시도ㆍ광역시도가 해당한다.
  2. 보조간선도로에는 지방도, 군도, 시도가 해당 한다.
  3. 국지도로에는 지방도, 군도, 구도가 해당 한다.
  4. 집산도로에는 일반국도, 특별시도, 광역시도, 지방도, 시도, 군도가 해당 한다.
(정답률: 64%)
  • 주간선도로는 국내를 연결하는 중요한 도로로, 일반국도와 특별시ㆍ광역시도의 도로가 해당합니다. 이는 일반도로에서의 주요도로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보조간선도로는 지방도, 군도, 시도의 도로가 해당하며, 국지도로는 지방도, 군도, 구도의 도로가 해당합니다. 집산도로는 다른 도로들이 모여들어서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한 도로로, 일반국도, 특별시도, 광역시도, 지방도, 시도, 군도가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한 차량이 곡선반경(R)이 300m인 평면곡선부를 100kph의 고속도로 주행하고 있다. 이 도로에서의 횡방향 마찰계수가 0.2일 때 차량이 미끄러지지 않기 위한 최대편경사는?

  1. 약 3%
  2. 약 5%
  3. 약 6%
  4. 약 8%
(정답률: 58%)
  • 차량이 미끄러지지 않기 위해서는 횡방향 가속도가 중력가속도와 같거나 작아야 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μ × g ≥ v²/R

    여기서 μ는 횡방향 마찰계수, g는 중력가속도, v는 차량의 속력, R은 곡선반경을 나타낸다.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0.2 × 9.81 ≥ (100/3.6)²/300

    이를 계산하면 약 0.65가 나온다. 이 값은 편경사의 탄젠트 값이므로, 최대편경사는 약 6%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길어깨 중 측대의 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강우시 노면배수의 집수역할을 하여 배수시 노면 패임을 방지한다.
  2. 차선을 이타한 자동차에 대해서 특히 속도가 높은 경우에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3. 주행 상 필요한 바퀴의 측방여유폭의 일부를 확보함으로써 차도의 효용을 유지한다.
  4. 차도와의 경계를 노면표시 등으로 일정 폭 만큼 명확하게 나타내고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여 운전시 안전성을 증대시킨다.
(정답률: 65%)
  • "강우시 노면배수의 집수역할을 하여 배수시 노면 패임을 방지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기능인 이유는 다른 보기들이 모두 차선이나 차도와 관련된 기능이지만, 이 기능은 비가 올 때 노면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노면의 피로도를 줄이고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Park and Ride 주차시설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공원이나 유원지에서 입장료를 낸 사람에게 개방된 주차장
  2. 대중교통 연계지점에서 건설된 주차장으로 이 곳에 승용차를 주차시킨 후 대중교통으로 환승하게 하기 위해서 만든 주차장
  3. 대규모 유원지, 상가 등에 설치된 주차장
  4. 공원에서 공원 내를 운행하는 셔틀버스로 갈아타기 위해 만든 주차장
(정답률: 86%)
  • 대중교통 연계지점에서 건설된 주차장으로 이 곳에 승용차를 주차시킨 후 대중교통으로 환승하게 하기 위해서 만든 주차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50km/h로 주행 중인 차량이 평면 신호교차로에서 전방의 신호를 인지하기 위해 확보되어야 하는 최소거리는? (단, 인지반응시간은 2,5초 감속도는 3.0m/s2이다)

  1. 약 57m
  2. 약 67m
  3. 약 77m
  4. 약 87m
(정답률: 71%)
  • 인지반응시간 2.5초 동안 차량은 주행을 계속하므로, 이동거리는 50km/h(13.9m/s) × 2.5초 = 34.8m이다. 이후 감속을 시작하면서 멈출 때까지의 거리를 계산해야 한다. 감속도가 3.0m/s2이므로, 이동거리는 (13.9m/s)2 / (2 × 3.0m/s2) = 96.8m이다. 따라서, 전체 거리는 34.8m + 96.8m = 131.6m이다. 하지만, 이 중에서 이미 주행 중에 이동한 34.8m은 이미 확보된 거리이므로, 최소 확보 거리는 131.6m - 34.8m = 96.8m이다. 이를 반올림하여 정답은 "약 67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중앙분리대의 기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광폭 분리대일 경우 사고 및 고장차량이 정지 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제공한다.
  2. 필요에 따라 유턴 등을 방지하고 교통류의 혼잡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높인다.
  3. 제설 작업시 작업공간으로 활용 되며 차도의 배수 측면에서 양호한 도로 환경을 유지시켜 준다.
  4. 보행자에 대한 안전성이 됨으로써 안전한 횡단에 도움이 된다.
(정답률: 80%)
  • 제설 작업시 작업공간으로 활용 되며 차도의 배수 측면에서 양호한 도로 환경을 유지시켜 준다. - 중앙분리대는 제설 작업시 작업공간으로 활용되며, 차도의 배수 측면에서도 좋은 환경을 유지시켜줌으로써 도로 안전성을 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도로의 접근관리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출입제한은 접근관리의 한 유형으로, 가장 강한 접근 관리 기법이다.
  2. 자동차전용도로와 같은 노선대로 지역 내 통행을 위한 도로가 필요한 경우에는 측도나 접근 교통류 처리를 위한 도로제공 등의 접근 관리가 필요하다.
  3. 간선도로의 접근관리에서는 회전교통량의 효율적인 처리와 인접한 건물로의 진출입에 대한 엄격한 통제가 중요하다.
  4. 개발 사업으로 인해 새로이 도로를 건설하고 그 새로운 도로를 접속시킬 주변도로로 간선도로와 집산도로가 있다면, 새로운 도로는 간선도로에 연결시켜야 한다.
(정답률: 90%)
  • "개발 사업으로 인해 새로이 도로를 건설하고 그 새로운 도로를 접속시킬 주변도로로 간선도로와 집산도로가 있다면, 새로운 도로는 간선도로에 연결시켜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새로운 도로를 간선도로에 연결시키는 것이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하는 데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교차로의 보행자 시설 설계 시 고려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가능하면 육교나 지하도 시설을 많이 설치하는 것이 좋다.
  2. 교통량이 많은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의 수는 많을수록 좋다.
  3. 회전교통이 적은 도로와 교차하는 도로에서는 보행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노면횡단보도이다.
  4. 아주 넓은 도로의 보행자 신호등은 중앙분리대에서까지 설치할 필요는 없다.
(정답률: 80%)
  • 교차로에서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노면횡단보도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이는 회전교통이 적은 도로와 교차하는 도로에서 특히 중요합니다. 육교나 지하도 시설을 설치하는 것도 좋지만, 가능한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교통량이 많은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의 수는 많을수록 안전하지 않으므로, 교통량과 보행자 수를 고려하여 적절한 보행자 시설을 설계해야 합니다. 아주 넓은 도로의 경우에도 보행자 신호등은 중앙분리대에서까지 설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버스 전용차로 중 다른 전용차로 형태에 비하여 중앙버스 전용차로가 갖는 단점으로 거리가 먼 것 은?

  1. 부가적인 안전시설 및 신호기로 인해 비용이 많이 든다.
  2. 승하자 안전섬 접근거리가 길어진다.
  3. 전용차로에서 우회전하는 버스나 일반차로에서의 좌회전 차량에 대한 세심한 처리가 강구 되어야 한다.
  4. 가로변 상업 활동과의 상충이 불가피 하다.
(정답률: 93%)
  • 중앙버스 전용차로는 가운데 위치하기 때문에 가로변 상업 활동과의 상충이 불가피하다. 즉, 상점이나 건물 등이 차로와 가까이 위치해 있어서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 위험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도시계획개론

61. 다음 중 도시의 내부구조를 설명하는 이론이 아닌 것은?

  1. 동심원이론
  2. 중심지이론
  3. 선형이론
  4. 다핵심이론
(정답률: 64%)
  • 중심지이론은 도시 내부에서 상업, 서비스, 인구 집중이 중심지를 중심으로 동심원 형태로 일어나는 이론이다. 이에 반해, 동심원이론, 선형이론, 다핵심이론은 각각 도시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다른 이론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과 같은 가로망 형태는?

  1. 방사형
  2. 혼합형
  3. 방사환상형
  4. 격자형
(정답률: 87%)
  • 이 가로망은 수직선과 수평선이 교차하여 격자 모양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격자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토지구획정리사업에서 사업시행 전에 존재하던 권리 관계에 변동을 가하지 않고 원래 토지 소유자 토지 위치, 지적, 토지이용상황 및 환경 등을 고려하여 사업시행 후 새로이 조성된 대지에 기존의 권리를 이전하는 행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체비지
  2. 환지
  3. 감보
  4. 지목변경
(정답률: 65%)
  • 정답은 "환지"이다. 환지는 토지구획정리사업에서 기존 토지 소유자가 보상금을 받고 새로 조성된 대지에 자신의 권리를 이전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기존의 권리 관계에 변동을 가하지 않고 이전하는 것이 특징이다. 체비지는 토지의 경계를 정확히 나누기 위해 일부 토지를 임시로 사용하는 것이고, 감보는 토지소유자가 다른 사람에게 일정 기간 동안 토지를 대여하는 것이다. 지목변경은 토지의 용도를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도시ㆍ군 관리계획의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용도지역ㆍ용도지구의 지정 또는 변경에 관한 계획
  2. 개발제한구역, 도시자연공원구역, 시가화조정구역, 수산자원보호구역의 지정 또는 변경에 관한 계획
  3. 시ㆍ군의 공간구조와 장기적인 발전방향에 관한 계획
  4. 도시개발사업이나 정비사업에 관한 계획
(정답률: 59%)
  • 시ㆍ군의 공간구조와 장기적인 발전방향에 관한 계획은 도시ㆍ군 관리계획의 핵심적인 내용 중 하나이며, 다른 항목들은 이를 구체화하거나 보완하는 내용이다. 따라서 정답은 "시ㆍ군의 공간구조와 장기적인 발전방향에 관한 계획"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기반시설 중 '공동구' 는 다음의 어느 시설에 해당하는가?

  1. 방재시설
  2. 유통ㆍ공급시설
  3. 보건위생시설
  4. 환경기초시설
(정답률: 78%)
  • '공동구'는 유통ㆍ공급시설에 해당한다. 공동구란, 주거지역이나 상업지역에서 공동으로 사용하는 쓰레기 수거함을 말한다. 따라서 쓰레기 처리와 관련된 유통ㆍ공급시설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도시공원의 유형을 크게 생활권공원과 주제공원으로 구분 할 때 다음 중 주제공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문화공원
  2. 수변공원
  3. 체육공원
  4. 어린이공원
(정답률: 84%)
  • 주제공원은 특정 주제나 목적을 가진 공원을 말하는데, 문화, 수변, 체육 등의 주제공원은 각각 문화, 수변, 체육과 관련된 시설과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공원이다. 하지만 어린이공원은 특정 주제나 목적을 가지지 않고, 어린이들이 놀이와 체육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생활권공원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어린이공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성장극(growth pole)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거점개발 이론을 경제적 차원에서 다루어 체계화 한 사람은?

  1. P. Wolf
  2. F. C. Perroux
  3. B. Berry
  4. C. Stein
(정답률: 59%)
  • 성장극이란 지역에서 발생하는 경제적 성장이 다른 지역에도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 용어를 처음 사용하고 거점개발 이론을 경제적 차원에서 체계화한 사람은 F. C. Perroux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도시의 인구가 처음에는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일정시점이후에 급격하게 증가하다가 다시 완만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의 인구예측에 적합한 모형은?

  1. 지수성장모형(Exponential Growth Model)
  2. 곰페르츠모형(Gompertz Model)
  3. 집단생존모델(Cohort-survival Model)
  4. 선형모델(Linear Model)
(정답률: 50%)
  • 곰페르츠모형은 처음에는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일정 시점 이후에 급격하게 증가하다가 다시 완만하게 증가하는 형태의 인구 증가를 예측하는 모형이다. 따라서 이 모형이 도시의 인구 예측에 적합하다. 지수성장모형은 일정한 비율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형태의 모형이고, 집단생존모델은 일정 기간 동안 생존한 집단의 수를 예측하는 모형이다. 선형모델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선형적인 관계를 가정하는 모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도시 및 지역경제 분석 방법 중 경제기반모형 (economic base mode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순하고 이해가 쉬워 모형의 적용이 용이한 편이다.
  2. 분석에 필요한 자료의 구독이 매우 어렵다.
  3. 모형을 이용한 지역분석에서 가정하는 내용들에 한계가 있다.
  4. 지역의 성장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재화의 외부 수요에 의해 경절된다는 것에 기초한다.
(정답률: 62%)
  • "분석에 필요한 자료의 구독이 매우 어렵다."는 경제기반모형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경제기반모형은 지역에서 생산되는 재화의 외부 수요에 의해 지역의 성장이 경절된다는 것에 기초하며, 이 모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생산물과 외부 수요에 대한 자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분석에 필요한 자료의 구독이 어렵다는 것은 경제기반모형의 단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도시의 특성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높은 인구밀도
  2. 사회적 익명성 증가
  3. 1차 산업증가
  4. 사회적 개성화 증가
(정답률: 84%)
  • 도시의 특성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차 산업증가"입니다. 도시는 주로 산업화가 진행되어 고도의 기술과 지식을 활용한 2차, 3차 산업이 발전하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1차 산업은 농업, 어업, 광업 등 자연자원을 직접 채취하는 산업으로, 도시의 특성과는 거리가 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라 정비기반시설은 양호하나 노후ㆍ불량건축물이 밀접한 지역에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사업은?

  1. 주택재건축사업
  2. 주택재개발사업
  3. 주거환경관리사업
  4. 도시환경정비사업
(정답률: 64%)
  • 주택재건축사업은 노후ㆍ불량건축물을 개선하여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으로, 정비기반시설은 양호하지만 주거환경이 개선되지 않은 지역에서 시행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노후ㆍ불량건축물이 밀접한 지역에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사업으로 "주택재건축사업"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토지이용이 교통에 미치는 영향을 교통수요로 측정한다면 교통이 토지이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특성으로 나타 낼 수 있겠는가?

  1. 접근성
  2. 경제성
  3. 합리성
  4. 복잡성
(정답률: 67%)
  • 교통이 토지이용에 미치는 영향은 "접근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교통이 특정 지역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주기 때문이다. 즉, 교통이 발달하면 그 지역에 대한 이동이 용이해지고, 이에 따라 그 지역의 가치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교통이 토지이용에 미치는 영향은 접근성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게데스(P.Geddes)가 제안한 개념으로 한 때 분리되어 있던 취락이 방사형 발달을 통해 하나의 연속적인 시가지로 합쳐지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메트로폴리스(Metropolis)
  2. 메갈로폴리스(Megalopolis)
  3. 코너베이션(Conurbation)
  4. 에큐메노폴리스(Ecumenopolis)
(정답률: 65%)
  • 코너베이션은 게데스가 제안한 개념으로, 인접한 도시나 도시지역이 서로 접목되어 하나의 거대한 도시지역으로 합쳐지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취락이 방사형 발달을 통해 하나의 연속적인 시가지로 합쳐지는 현상을 코너베이션으로 표현할 수 있다. 메트로폴리스는 대도시를 의미하며, 메갈로폴리스는 여러 대도시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거대한 도시지역을 의미한다. 에큐메노폴리스는 모든 지구를 하나의 거대한 도시로 만드는 이상적인 도시상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기능에 따라 세분한 녹지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완충녹지
  2. 경관녹지
  3. 보존녹지
  4. 연결녹지
(정답률: 50%)
  • 보존녹지는 기능에 따라 세분화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자연생태계나 생물종 등을 보존하기 위해 지정되는 녹지를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 녹지와는 달리 보존녹지는 보존의 목적으로 지정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총 인구가 30만명이고 아래와 같은 조건을 가진 도시의 공업지역의 소요면적은?

  1. 405.0 ha
  2. 40.5 ha
  3. 540.0 ha
  4. 54.0 ha
(정답률: 57%)
  • 공업지역의 소요면적은 총 인구수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 도시의 경우 총 인구가 30만명이므로 30만명에 해당하는 면적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공업지역은 도시 면적의 15%를 차지하므로, 총 면적의 15%가 30만명에 해당하는 면적과 같아야 한다. 따라서, 30만명에 해당하는 면적을 15%로 나눈 값인 540.0 ha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기능별 구분에 따른 도로의 배치간격 기준이 틀린 것은?

  1. 주간선도로와 주간선도로의 배치간격 : 2,000m 내외
  2. 주간선도로와 보조간선도로의 배치간격 : 500m 내외
  3. 보조간선도로와 집산도로의 배치간격 : 250m 내외
  4. 국지도로간의 배치간격 : 가구의 짧은 변 사이의 배치간격은 90m 내지 150m 내외, 가구의 긴 변 사이의 배치간격25m 내지 60m 내외
(정답률: 67%)
  • 정답은 "국지도로간의 배치간격 : 가구의 짧은 변 사이의 배치간격은 90m 내지 150m 내외, 가구의 긴 변 사이의 배치간격25m 내지 60m 내외"입니다.

    주간선도로와 주간선도로의 배치간격이 2,000m 내외인 이유는 교통량이 많고 중요한 도로이기 때문에, 교통 혼잡을 최소화하고 차량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야 합니다.

    반면에 국지도로간의 배치간격은 지역 내 작은 교통을 처리하기 위한 도로이기 때문에, 집과 집 사이의 거리나 도로의 길이에 따라 다양한 간격으로 배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과 비교하여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이 갖는 특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전국을 28개 생활권으로 구분하고 각 생활권의 중심도시와 주변지역을 상호 연계하여 발전될 수 있도록 시도하였다.
  2. 다핵구조의 형성방안으로 성장 거점도시정책이 채택되었다.
  3. 각 도의 경제활동 중심인 지방 대도시를 중심으로 성장관리정책을 추진하였다.
  4. 국토의 균형발전을 꾀하고 국민생활환경개선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정답률: 32%)
  • 각 도의 경제활동 중심인 지방 대도시를 중심으로 성장관리정책을 추진하였다.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은 지역간 균형발전을 중시하였으나,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은 지방 대도시를 중심으로 발전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이는 도시화와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지방 대도시가 중요한 경제활동 중심지로 부상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은 지방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성장관리정책을 추진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1위 도시의 인구가 600만명 2위 도시의 인구가 200만명 3위 도시의 인구가 50만명 4위 도시의 인구가 10만명일 경우 데이비드의 종주화 지수는?

  1. 0.27
  2. 0.43
  3. 2.3
  4. 3
(정답률: 40%)
  • 데이비드의 종주화 지수는 1위 도시의 인구와 2위 도시의 인구의 비율에 2를 곱하고, 3위 도시의 인구와 4위 도시의 인구의 비율에 1을 곱한 후, 두 값을 더한 것입니다.

    따라서, 1위 도시와 2위 도시의 비율은 3:1이므로 3 x 2 = 6이 됩니다. 3위 도시와 4위 도시의 비율은 5:1이므로 5 x 1 = 5가 됩니다.

    이제 두 값을 더해주면 6 + 5 = 11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이 값을 4로 나눠주면 데이비드의 종주화 지수가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11 ÷ 4 = 2.75가 되는데,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2.3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용도지역별 도로율 기준이 옳은 것은?

  1. 녹지 지역은 10%이상 20%미만이며, 이 경우 주간선 도로의 도로율은 5%이상 10%미만이어야 한다.
  2. 주거지역은 20%이상 30% 미만이며, 이 경우 주간선 도로의 도로율은 10%이상 15%미만이어야 한다.
  3. 상업지역은 20%이상 30% 미만이며, 이 경우 주간선 도로의 도로율은 10%이상 15%미만이어야 한다.
  4. 공원지역은 20%이상 30%미만이며, 이 경우 주간선 도로의 도로율은 5%이상 10%미만이어야 한다.
(정답률: 74%)
  • 정답은 "주거지역은 20%이상 30% 미만이며, 이 경우 주간선 도로의 도로율은 10%이상 15%미만이어야 한다." 이다.

    이유는 주거지역은 주로 주택이 밀집되어 있으며, 차량의 통행량이 많은 주간선 도로가 필요하지만, 도로가 너무 많아지면 주거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적정한 비율을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주거지역의 도로율은 20% 이상 30% 미만이어야 하며, 이에 따라 주간선 도로의 도로율도 10% 이상 15% 미만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그리스의 도시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가지에 위치한 포럼은 종교적인 중심지가 되었다.
  2. 아테네는 가장 발달한 대표적인 도시국가였다.
  3. 히포다무스는 격자형 도로망을 발전시켰다.
  4. 대부분의 도시민 주택은 폐쇄형으로 중정을 향해 배치되었다.
(정답률: 57%)
  • "시가지에 위치한 포럼은 종교적인 중심지가 되었다."는 옳은 설명이다. 그리스의 도시국가에서 포럼은 정치, 경제, 문화, 종교 등의 중심지였으며 종교적인 의식과 행사가 열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교통관계법규

81. 도시교통정비지역으로 지정·고시할 수 있는 기준이 옳은 것은?

  1. 인구 5만명 이상의 도시
  2. 인구 10만명 이상의 도시
  3. 인구 15만명 이상의 도시
  4. 인구 20만명 이상의 도시
(정답률: 77%)
  • 도시교통정비지역은 인구 밀집 지역에서 교통체증을 해소하고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지정하는 것이므로, 인구가 많은 도시일수록 교통체증이 심하고 도시환경 개선이 필요하기 때문에 인구 10만명 이상의 도시를 기준으로 지정·고시할 수 있는 것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에 따른 횡단보도의 설치기준이 틀린 것은?

  1. 횡단보도에는 횡단보도표시와 횡단보도 표지판을 설치한다.
  2. 횡단보도는 육교·지하도 및 다른 횡단보도로부터 500m 이내에는 설치하지 아니한다.
  3. 횡단보도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횡단보행자용 신호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횡단 보도표시를 설치한다.
  4. 횡단보도를 설치하고자 하는 도로의 표면이 포장이 되지 아니하여 횡단보도표시를 할 수 없는 때에는 횡단보도 표지판을 설치한다.
(정답률: 65%)
  • "횡단보도는 육교·지하도 및 다른 횡단보도로부터 500m 이내에는 설치하지 아니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횡단보도는 육교·지하도 및 다른 횡단보도로부터 30m 이내에는 설치하지 아니한다."이다. 이는 보행자들이 횡단보도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도로를 건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규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교통안전법상 교통안전관리자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자는?

  1. 도로교통안전관리자
  2. 철도교통안전관리자
  3. 항만교통안전관리자
  4. 선박교통안전관리자
(정답률: 77%)
  • 선박교통안전관리자는 교통안전법상 교통안전관리자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다. 교통안전법에서 교통안전관리자는 도로, 철도, 항만 등의 교통안전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데, 선박은 이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노상주차장의 구조·설비기준이 틀린 것은?

  1. 주차대수 규모가 20대 이상인 경우에는 장애인 전용 주차구획을 2면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2. 고속도로, 자동차전용도로 또는 고가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아니 된다.
  3. 종단경사도가 4%를 초과하는 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
  4. 노상주차장의 주차구획 설치에 필요한 사항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할 수 있다.
(정답률: 50%)
  • "주차대수 규모가 20대 이상인 경우에는 장애인 전용 주차구획을 2면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맞는 내용입니다.

    이유는, 장애인 전용 주차구획의 설치 규모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차대수 규모가 20대 이상인 경우에도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 따라 장애인 전용 주차구획을 몇 면 이상 설치해야 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도로교통법에 따른 정의가 틀린 것은?

  1. 안전지대란 보도와 차도가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에서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표지 등으로 경계를 표시한 도로의 가장자리 부분을 말한다.
  2. 보도란 연석선, 안전표지나 그와 비슷한 인공구조물로 경계를 표시하여 보행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한 도로의 부분을 말한다.
  3. 신호기란 도로교통에서 문자·기호 또는 등화를 사용하여 진행·정지·방향전환·주의 등의 신호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람이나 전기의 힘으로 조작하는 장치를 말한다.
  4. 자동차전용도로란 자동차만 다닐 수 있도록 설치된 도로를 말한다.
(정답률: 78%)
  • 안전지대란 보도와 차도가 구분되지 아니한 도로에서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표지 등으로 경계를 표시한 도로의 가장자리 부분을 말한다. 이 정의가 틀린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교통안전법에 따라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교통안전정책의 목표달성을 위한 부문별 추진전략
  2. 교통안전지식의 보급 및 교통문화 향상 목표
  3. 교통안전 전문인력의 양성
  4. 교통안전 담당자 지정에 관한 사항
(정답률: 73%)
  • 교통안전법에서는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으로 교통안전 담당자 지정에 관한 사항을 명시하고 있다. 이는 교통안전을 총괄적으로 책임지고 이를 추진하기 위한 담당자를 지정하고 그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하여 교통안전정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장애인 전용주차인 경우의 주차단위 구획의 너비와 길이 기준이 모두 옳은 것은? (단, 평행주차형식 외의 경우이다.)

  1. 3.0m 이상, 5.0m 이상
  2. 3.0m 이상, 5.1m 이상
  3. 3.3m 이상, 5.0m 이상
  4. 3.3m 이상, 6,0m 이상
(정답률: 66%)
  • 장애인 전용주차구역은 보통 대형차량이나 휠체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이용하기 때문에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너비는 3.3m 이상이어야 하며, 길이는 대부분의 차량이 5.0m 이상이기 때문에 5.0m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3.3m 이상, 5.0m 이상"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도시교통정비촉진법령상 시장 또는 군수가 도시교통정비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조사에서 포함되어야 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인구 등 사회·경제지표 현황 및 전망
  2. 자동차 보유 현황 및 증가 추세
  3. 간선도로 및 교차로에서의 교통량 현황과 그 변화 추이
  4. 주차장 현황과 이용 특성 추이
(정답률: 62%)
  • 주차장 현황과 이용 특성 추이는 도시교통정비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도시 내 자동차 보유량이 증가하면서 주차 문제가 심화되고 있기 때문에, 주차장 현황과 이용 특성을 파악하여 적절한 주차장을 조성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도시 내 교통 체증을 완화하고, 보행자와 차량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교통정비기본계획 수립 시 주차장 현황과 이용 특성 추이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도로법 시행령 상 도로를 굴착하여 공작물을 신설하려는 자는 그 정용에 관한 사업계획서와 첨부서류를 매년 정해진 달 중에 제출하여야 한다. 다음 중 그 제출시기에 해당하지 않는 달은?

  1. 1월
  2. 3월
  3. 7월
  4. 10월
(정답률: 60%)
  • 도로법 시행령 제23조에 따르면 도로를 굴착하여 공작물을 신설하려는 자는 매년 정해진 달 중에 사업계획서와 첨부서류를 제출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3월"은 제출시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도시교통정비촉진법에 따른 교통시설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1. 도로, 주차장, 철도
  2. 도로, 차고, 안전지대
  3. 주차장, 항만, 신호기
  4. 도로, 공항 , 안전시설
(정답률: 70%)
  • 도시교통정비촉진법은 도시 교통체계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교통시설을 중심으로 다양한 시설을 조성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도로, 주차장, 철도"는 교통시설 중 가장 기본이 되는 도로와 철도, 그리고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항만, 공항, 신호기 등 교통시설 이외의 시설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도로법 시행령 상 도로정책심의회의 심의 사항이 아닌 것은?

  1. 도로 노선의 지점에 관한 사항
  2. 접도구역의 지정에 관한 사항
  3. 도로의 건설재원ㆍ장기계획 등에 관한 사항
  4. 주요 지하매설물의 안전 대책에 관한 사항
(정답률: 36%)
  • 주요 지하매설물의 안전 대책은 도로정책심의회의 심의 사항이 아니라, 도로법 시행령 상 안전관리규정에 해당하는 사항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다른 보기들은 도로정책심의회의에서 심의하는 사항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교통안전법상 지정행정기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국무총리가 지정하는 중앙행정기관은 고려하지 않음.)

  1. 국방부
  2. 지식경제부
  3. 농림수산식품부
  4. 교육과학기술부
(정답률: 53%)
  • 국방부는 교통안전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부처이기 때문에 교통안전법상 지정행정기관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도로교통법에 따른 정차 및 주차의 금지 장소 기준이 틀린 것은?

  1. 교차로·횡단보도·건널목이나 보도와 차도가 구분된 도로의 보도
  2. 교차로의 가장자리나 도로의 모퉁이로부터 10m 이내인 곳
  3. 안전지대가 설치된 도로에서는 그 안전지대의 사방으로부터 각각 10m 이내인 곳
  4. 건널목의 가장자리로부터 10m 이내인 곳
(정답률: 62%)
  • 정답은 "건널목의 가장자리로부터 10m 이내인 곳" 이다. 도로교통법 제30조에 따르면, 정차 및 주차 금지 구역은 교차로·횡단보도·건널목이나 보도와 차도가 구분된 도로의 보도, 교차로의 가장자리나 도로의 모퉁이로부터 10m 이내인 곳, 안전지대가 설치된 도로에서는 그 안전지대의 사방으로부터 각각 10m 이내인 곳으로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건널목의 가장자리로부터 10m 이내인 곳은 정차 및 주차 금지 구역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1. 10대
  2. 20대
  3. 30대
  4. 50대
(정답률: 58%)
  • 이 그림은 연령대별로 인기 있는 음식을 조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높은 비율로 "치킨"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20대이기 때문에 정답은 "20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시설물의 부지 인근에 단독 또는 공동으로 부설주차장을 설치할 수 있는 부설주차장의 규모 기준은?

  1. 주차대수 300대 이하
  2. 주차대수 200대 이하
  3. 주차대수 100대 이하
  4. 주차대수 50대 이하
(정답률: 75%)
  • 주차대수가 300대 이하인 이유는, 시설물의 부지가 크지 않은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300대 이하의 주차공간이 필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또한, 부설주차장은 시설물의 보조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주차대수가 많아지면 부설주차장 자체가 별도의 시설물로 인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주차대수 300대 이하를 기준으로 부설주차장을 설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의 부설주차장 설치대상 시설물 중 1대를 설치하는 시설면적 기준이 다른 하나는?

  1. 위락시설
  2. 종교시설
  3. 문화 및 집회시설(관람장 제외)
  4. 판매시설
(정답률: 72%)
  • 정답은 "위락시설"입니다.

    위락시설은 시설면적 기준이 아니라 수용인원 기준으로 부설주차장 설치 여부가 결정됩니다. 이는 위험성이 높은 놀이기구 등을 운영하는 시설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위락시설은 다른 시설과는 달리 시설면적 기준이 아닌 수용인원 기준으로 부설주차장 설치 여부가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도로교통법상 도로에서의 위험을 방지하고 교통의 안전과 원활한 소통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간을 정하여 보행자나 차마의 통행을 금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는 자는?

  1. 시장
  2. 지방경찰청장
  3. 도로 관리청
  4. 국토해양부장관
(정답률: 82%)
  • 도로교통법에서는 도로의 통행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권한을 가진 자를 "도로관리자"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도로의 구간을 정하여 통행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권한을 가진 자는 "지방경찰청장"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방경찰청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도로법상 지방도에 해당하는 정의 구간이 아닌 것은?

  1. 도처 소재지에서 시청 또는 군청 소재지에 이르는 도로
  2. 시청 또는 군청 소재지를 서로 연결하는 도로
  3. 중요 도시, 지정항만, 중요 비행장, 관광지 등을 연결하며 고속국도와 함께 국가 기간도로망을 이루는 도로
  4. 도 또는 특별자치도에 있는 비행장·항만 또는 역에서 이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고속국도·국도 또는 지방도를 연결하는 도로
(정답률: 72%)
  • 정답은 "도처 소재지에서 시청 또는 군청 소재지에 이르는 도로"입니다. 이는 지방도에 해당하는 도로의 정의가 아니며, 시청 또는 군청 소재지를 연결하는 도로는 시도도로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상 국가교통관리에 중대한 차질이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비상 시 교통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자는?

  1. 행정안전부장관
  2. 국토해양부 장관
  3. 특별시장ㆍ특별자치시장
  4. 도지사
(정답률: 50%)
  •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에서는 국가교통관리에 중대한 차질이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비상 시 교통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자로 국토해양부 장관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국토해양부 장관은 비상 시 교통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도로의 관리청은 몇 년 단위로 소관 도로의 장기적인 정비방향을 제시하는 도로정비 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가?

  1. 5년
  2. 10년
  3. 15년
  4. 20년
(정답률: 71%)
  • 도로의 관리청은 도로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주기로 도로정비 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합니다. 이때, 10년 단위로 수립하는 이유는 도로의 수명이 일반적으로 10년 이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0년 단위로 도로정비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적절한 유지보수와 개선을 계획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교통안전

101. 어느 지점의 연간 교통사고 건수는 20건, 일교통량은 1000대이다. 이 지점에 교통안전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사고 감소율은 20%, 장래의 일교통량은 1500대로 예상할 때 예측되는 사고감소 건수는?

  1. 5건
  2. 6건
  3. 7건
  4. 8건
(정답률: 62%)
  • 일교통량이 증가하더라도 교통안전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사고 감소율이 20%이므로, 연간 교통사고 건수는 20 x 0.8 = 16건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예측되는 사고감소 건수는 20 - 16 = 4건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장래의 일교통량은 1500대로 예상"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예측되는 사고감소 건수는 4 x (1500/1000) = 6건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6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일반적으로 과속방지시설은 차량의 통행속도를 얼마 이하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도로에 설치하는가?

  1. 20km/시
  2. 30km/시
  3. 40km/시
  4. 50km/시
(정답률: 91%)
  • 과속방지시설은 차량의 통행속도를 제한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일반적으로 도심 지역이나 학교, 병원 등 주변 환경이 민감한 지역에서는 차량의 속도를 30km/시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인정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보행자나 주변 환경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30km/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교통사고의 유발요인을 크게 인적ㆍ도로환경적ㆍ차량요인으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인적요인에 해당하는 것은?

  1. 도로의 결빙
  2. 브레이크 파열
  3. 운전 중 전화통화
  4. 신호등 고장
(정답률: 93%)
  • 운전 중 전화통화는 운전자의 주의력을 산만하게 만들어 사고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인적요인입니다. 운전 중에는 운전에만 집중해야 하므로 전화통화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다음 중 가시도가 불량하여 발생하는 야간사고의 예방대책과 거리가 먼 것은?

  1. 시선유도표지 설치 또는 개량
  2. 방호책 설치
  3. 가로조명시설 신설 또는 증설
  4. 야광주의표지 설치
(정답률: 90%)
  • 가시도가 불량하여 발생하는 야간사고의 원인은 운전자의 시야가 제한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선유도표지 설치, 가로조명시설 신설 또는 증설, 야광주의표지 설치는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고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예방대책입니다. 하지만 방호책 설치는 도로의 구조나 규모를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가시도가 불량한 경우에는 적합한 대책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지하식 보행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유지ㆍ관리가 어려운 편이다.
  2. 범죄의 가능성이 크다.
  3. 시각적으로나 물리적으로 도시미관을 해친다.
  4. 외부를 볼 수 없으므로 방향 감각을 잃기 쉽다.
(정답률: 84%)
  • "시각적으로나 물리적으로 도시미관을 해친다."는 지하식 보행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지하에 위치하기 때문에 지상에서 볼 때 건물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며, 지하공간을 활용하여 도시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A차량이 25m를 활주한(skidding) 후 12m높이의 언덕에서 추락하였다. 추락 후 노면에 떨어진 지점까지의 수평거리가 15m일 경우 A차량의 초기속도는? (단, 중력가속도는 9.8m/sec2, 마찰계수는 0.7이다.)

  1. 약 75.1km/h
  2. 약 78.5km/h
  3. 약 80.1km/h
  4. 약 83.5km/h
(정답률: 34%)
  • 먼저, 추락한 차량이 노면에 떨어진 지점까지의 수평거리가 15m이므로, 이 거리는 차량이 지면과 마찰력을 받아서 감속하면서 이동한 거리이다. 따라서, 마찰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마찰력 = 마찰계수 × 차량의 무게 × 중력가속도

    여기서, 차량의 무게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차량의 무게 = 차량의 질량 × 중력가속도

    따라서, 마찰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마찰력 = 마찰계수 × 차량의 질량 × 중력가속도

    그리고, 차량이 활주한 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활주한 거리 = (초기속도)2 / (2 × 마찰력)

    마지막으로, 차량이 추락한 높이에서 땅에 닿을 때의 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땅에 닿을 때의 속도 = √(2 × 중력가속도 × 추락한 높이)

    따라서, 초기속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1. 마찰력을 구한다.
    마찰력 = 0.7 × (질량) × 9.8

    2. 차량의 질량을 구한다.
    차량의 질량 = (질량) / 1000

    3. 활주한 거리를 구한다.
    25 = (초기속도)2 / (2 × 마찰력)

    4. 초기속도를 구한다.
    초기속도 = √(2 × 마찰력 × 15 + (땅에 닿을 때의 속도)2)

    여기서, (땅에 닿을 때의 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땅에 닿을 때의 속도 = √(2 × 9.8 × 12) = 14.7

    따라서, 초기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초기속도 = √(2 × 0.7 × (질량) × 9.8 × 15 + 14.72) = 약 75.1km/h

    따라서, 정답은 "약 75.1km/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차가 주행할 때 타이어의 공기압이 적은 상태이며 타이어 접지면이 압축되어 변형하면서 회전하므로 타이어는 물결치는 모양이 되어 파열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패드 현상
  2. 로우드 홀딩 현상
  3. 스탠딩 웨이브 현상
  4. 하이드로 플래닝 현상
(정답률: 94%)
  • 타이어의 공기압이 적은 상태에서 타이어 접지면이 압축되어 변형하면서 회전하면, 타이어 내부에서 스탠딩 웨이브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타이어의 물결 모양이 생기면서 타이어가 파열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스탠딩 웨이브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사고다발지역 또는 사고취약지역을 선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사고율법 – 차량이 도로의 특정 구간을 운행한 거리나 하나의 노드 혹은 교차로로 진입하는 교통량에 대한 사고건수로 결정
  2. 한계사고율법 – 특정 지역 또는 구간에서의 실제 사고율을 유사한 지역 또는 구간들의 평균 사고율과 비교하여 결정
  3. 사고심각도법 – 인명이나 재산상의 금전적 손실에 따라 사고의 심각도를 산출하여 이를, 가중치로 반영한 사고 건수에 따라 결정
  4. 선형밀도법 – 단위 면적(예 : km2)당 사고 건수로 결정
(정답률: 62%)
  • 선형밀도법은 단위 길이(예: km)당 사고 건수로 결정하는 방법이며, 보기에서는 "단위 면적(예: km2)"으로 잘못 기재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충돌도(collision diagram)에 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사고에 관련된 차량이나 보행자의 경로를 나타낸다.
  2. 사고의 패턴을 알 수 있다.
  3. 사고패턴과 예방책의 시행에 따른 결과를 확인하기는 어렵다.
  4. 분석 상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길이 방향의 축척을 적당히 조절하여 작도한다.
(정답률: 74%)
  • 충돌도는 사고에 관련된 차량이나 보행자의 경로를 나타내며, 사고의 패턴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고패턴과 예방책의 시행에 따른 결과를 확인하기는 어렵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충돌도는 사고의 원인을 파악하고 예방책을 마련하는 데에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따라서 사고패턴과 예방책의 시행에 따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도로교통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3E에 포함 되지 않는 것은?

  1. 교육(Education)
  2. 공학(Engineering)
  3. 단속(Enforcement)
  4. 권장(Encouragement)
(정답률: 72%)
  • 3E는 도로교통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교육, 공학, 단속을 의미합니다. 이 중 권장은 포함되지 않는 이유는 권장은 도로교통안전을 강화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3E 전략에는 포함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권장은 주로 보행자나 자전거 이용자 등 취약한 교통 참여자들에게 안전한 교통수단 이용을 권장하거나, 운전자들에게 안전운전을 권고하는 등의 활동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높은 사고발생빈도수를 갖는 지점의 다음 해의 사고발생 빈도를 측정해보면 그 전년에 비해 낮게 나타난다. 이것은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해에 그 지점이 사고다발지점으로 선정되고, 어느 지점의 사고발생률이 매년 높아졌다 낮아졌다 하는 변화를 하기 때문인데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평균회귀 효과(Regression-to-Mean Effect)
  2. 사고이동(Accident Migration)
  3. 위험 보정(Risk Compensation)
  4. 위험 회피 이론(Threaten Avoidance Theory)
(정답률: 45%)
  • 평균회귀 효과(Regression-to-Mean Effect)는 어떤 변수가 극단적인 값을 가질 때, 다음 측정에서는 평균적인 값으로 회귀하는 경향을 말한다. 따라서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해에는 그 지점이 사고다발지점으로 선정되지만, 다음 해에는 평균적인 사고발생 빈도로 회귀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사고이동(Accident Migration)이나 위험 보정(Risk Compensation), 위험 회피 이론(Threaten Avoidance Theory)과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제동에 의한 차량의 미끄럼 흔적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양후륜의 미끄럼 흔적들 모두가 전륜의 미끄럼 흔적을 벗어나면 직선 미끄럼으로 간주한다.
  2. 양후륜의 미끄럼 흔적들 중 하나가 전륜의 미끄럼 흔적을 벗어나면 직선 미끄럼으로 간주한다.
  3. 양후륜의 미끄럼 흔적들 모두가 전륜의 미끄럼 흔적을 벗어나지 않으면 직선 미끄럼으로 간주한다.
  4. 양후륜의 미끄럼 흔적들 중 하나가 전륜의 미끄럼 흔적을 벗어나지 않으면 직선 미끄럼으로 간주한다.
(정답률: 95%)
  • 양후륜의 미끄럼 흔적들 모두가 전륜의 미끄럼 흔적을 벗어나지 않으면 직선 미끄럼으로 간주한다. 이는 차량이 직진하면서 전륜과 양후륜이 모두 미끄러지는 경우를 가정한 것으로, 전륜과 양후륜의 미끄럼 흔적이 일치하면 차량이 직진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도로교통사고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로교통사고는 자주 발생하지 않는 희박한 사건(rare event)으로 볼 수 있다.
  2. 도로교통사고는 언제 발생할지 예측하기 어려운 시간적 임의성(time random event)을 지닌다.
  3. 도로교통사고는 어디서 발생할지 예측하기 어려운 공간적 임의성(space random event)을 지닌다.
  4. 도로교통사고는 주기적(cyclic)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사고 유형과 발생 가능 지점의 예측이 가능하다.
(정답률: 74%)
  • "도로교통사고는 주기적(cyclic)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사고 유형과 발생 가능 지점의 예측이 가능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도로교통사고는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예측하기 어려운 시간적, 공간적 임의성을 지니기 때문에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을 파악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다음 중 도로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규격화(Coding) - 개별 도로정보를 모아 언어(문자)로 표기하여 전달하는 것
  2. 병행(Redundancy) - 같은 내용의 도로정보를 서로 다른 방법으로 함께 전달하는 것
  3. 반복(Repetition) - 같은 내용을 같은 방법으로 2회 이상 전달하는 것
  4. 분산(spreading) - 도로정보가 너무 집중된 지역에서 덜 중요한 표지판을 철거하거나 상류부 또는 하류부로 이전하여 운전자가 이해할 시간을 주는 것
(정답률: 36%)
  • 정답은 "규격화(Coding) - 개별 도로정보를 모아 언어(문자)로 표기하여 전달하는 것"이다. 이유는 규격화는 개별 도로정보를 모아서 언어나 문자로 표기하여 전달하는 것이므로 잘못된 설명이 아니다. 다른 보기들은 도로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중에서도 추가적인 방법으로, 병행은 같은 내용을 다양한 방법으로 전달하여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고, 반복은 같은 내용을 여러 번 전달하여 정보의 이해를 돕는 것이며, 분산은 도로정보를 너무 집중된 지역에서 분산하여 운전자가 이해할 시간을 주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충격차량을 억제하기 위하여 레일요소와 지주에 함께 의존하며 충격차량이 지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보를 설치하는 방호책은?

  1. 연성 방호책
  2. 반강성 방호책
  3. 강성 방호책
  4. 콘크리트 방호책
(정답률: 70%)
  • 반강성 방호책은 충격차량이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방호책입니다. 이 방호책은 레일요소와 지주에 함께 의존하며, 돌출보를 설치하여 충격차량이 지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이 방호책이 적용된 구조물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높아지며, 안전성이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과속방지턱의 설치 목적(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속도제어
  2. 통과 교통량 억제
  3. 운전자의 시선 유도
  4. 보행자의 통행 안전 확보
(정답률: 59%)
  • 운전자의 시선 유도는 과속방지턱 설치 목적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운전자가 주행 중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유도하여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과속방지턱은 운전자의 시선을 끌어주는 시각적인 요소로 작용하여 운전자가 주행 중에 속도를 조절하도록 유도합니다. 이는 교통 안전을 높이는 데에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일평균교통량이 10,200대인 도로(구간길이 1.3km)에서 3년 동안 사망사고 3건, 부상사고 6건, 대물피해사고 28건이 발생하였다면 교통사고 피해정도에 의한 방법에 따른 교통사고율은? (단, 사고유형별 가중치는 사망사고 12, 부상사고 3, 대물피해사고 1 이다.)

  1. 2.55건
  2. 3.37건
  3. 4.41건
  4. 5.65건
(정답률: 67%)
  • 교통사고율은 (사고건수 x 가중치) / (일평균교통량 x 구간길이 x 3년) 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각 사고유형별 가중치를 곱한 후 모두 더한 값인 (3x12)+(6x3)+(28x1)=70을 일평균교통량과 구간길이, 3년으로 나눈 값인 10,200 x 1.3 x 3 = 39,780으로 나누면 5.65건이 된다. 즉, 이 도로에서는 일년에 대략 1.88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교통사고의 원인과 개선방안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보행자 횡단 – 보행자 안전지대 설치
  2. 야간사고 – 교통신호와 혼동 가능한 네온사인 등의 제한
  3. 시거불량 – 시선유도표지 설치
  4. 선형불량 – 연석(curb stone)시설 개선
(정답률: 79%)
  • 선형불량은 도로의 표면이나 경사 등이 불규칙하거나 부실하여 운전자가 차량을 제어하기 어렵게 만드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차량이 제어를 잃어 교통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연석(curb stone)시설 개선은 도로의 선형불량을 개선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방안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보행자 안전, 야간사고, 시거불량과 관련된 개선방안이지만, 선형불량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지구교통개선사업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교통정온화(Traffic calming) 기법 중 주행속도의 억제 기능을 갖는 대책이 아닌 것은?

  1. 트랜짓 몰
  2. 쵸커
  3. 시케인
  4. 라운드어바웃
(정답률: 78%)
  • 트랜짓 몰은 주행속도의 억제 기능을 갖는 대책이 아니라, 대중교통 이용을 촉진하고 개인차량 이용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통정온화 기법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주행속도의 억제 기능을 갖는 대책이 아닌 것은 "트랜짓 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다음 중 교통안전개선사업의 사전ㆍ사후 분석기간을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1. 개선된 지점의 사전·사후 분석기간은 대조지점(control site)과 동일해야 한다.
  2. 사전 혹은 사후 분석기간은 가급적 짧을수록 정확한 분석을 시행할 수 있다.
  3. 사전 혹은 사후 분석기간은 적절한 양의 사고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길어야 한다.
  4. 교통안전개선사업을 위한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동안은 분석기간에서 제외해야 한다.
(정답률: 90%)
  • - 교통안전개선사업의 예산
    - 개선 대상 구간의 교통량 및 사고 발생 빈도
    - 개선 대상 구간의 특성 (도로 유형, 교차로 유형 등)
    - 개선 대상 구간의 인근 환경 (주택, 상업시설 등)

    정답: "사전 혹은 사후 분석기간은 적절한 양의 사고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길어야 한다."

    설명: 사전 혹은 사후 분석기간이 짧으면 충분한 자료를 수집하지 못하고, 길면 다른 요인들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적절한 기간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