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가축번식 육종학
1. A라는 돼지 품종의 산자수는 7.5두 이고, B라는 돼지품종의 평균 산자수는 8.5두인데 A와 B품종간의 교잡에서 나온 F1의 평균 산자수가 9.0두 라면, 이 산자수 형질에 대한 잡종강세의 강도는?
2. 소에 있어서 발정주기 중 출혈은 언제 나타나는가?
3. 가축 정자의 운동성을 가장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온도는?
4. 소의 경우 태아가 만출된 후 후산이 배출될 때까지의 정상적인 시간은?
5. 분만 과정에서 제1파수(first rupture of bag)가 일어나는 시기는?
6. 성장호르몬(GH), 갑상선자극호르몬(TSH),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 난포자극호르몬(FSH) 등의 호르몬이 분비되는 곳은?
7. 발정주기 기간 중 난소(卵巢)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생리적 변화를 순서대로 가장 잘 설명한 것은
8. 종모돈 선발시 선발 지수(selection index)를 추정하는데 불필요한 것은?
9. 태반의 형태학적 분류와 동물의 예가 잘목 짝지어진 것은?
10. 다음 중 돼지 스트레스 증후군(PSS)양성 출현율이 가장 낮은 품종은?
11. 젖소 목장에서 교배적기를 판정하는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2. 다음 중 젖소의 근치 교배시 흔히 나타나는 증상에 속하지 않는 것은?
13. 종빈돈 선발을 위한 이유자돈의 정상유두(乳頭)는 몇 개 정도가 이상적인?
14. 선발강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5. 다음 세대에 가축을 생산하는데 쓰일 종축(種畜)을 고르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6. 암탉의 조숙성(sex-maturity)을 나타내는 방법은?
17. 한쪽 성에만 발현되는 형질을 개량할 때 또는 개량하고자 하는 형질의 유전력이 낮아 개체선발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없을 때 가장 적합한 방법은?
18. 젖소의 분만시 혈장 내의 칼슘과 무기인의 급속한 감소로 발생하며, 허탈을 초래하는 질병은?
19. 수가축의 정자형성 및 번식장해와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20. 다음 중 유량, 유성분 및 유성분 함량(%)과의 유전상관에 관한 기술 중 옮은 것은?
2과목: 가축사양학
21. 고기 중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많고 linoleic acid 등의 필수지방산이 많이 들어 있는 고기는?
22. 다음 ( )안에 적합한 것은
23. 소의 비육시 각가 영양소 1㎏씩을 공급하였을 때 지방생산능력이 제일 낮은 것은?
24. 다음 중 임신우의 경우 영양소 공급이 제일 많아야 하는 시기는?
25. 다음 가축에서 비타민 D2와 D3를 이용할 때 동등한 효력을 나타내지 않는 것은?
26. 근육 내 즉 근육간에 지방이 축적된 고기는?
27. Ca은 젖소가 부족하게 되면 유열(milk fever)이 일어나고 산란계가 부족하면 난각이 얇아져 파란이 많이 발생하게 하는 광물질로 체내 Ca 대사 작용에 관여하는 비타민과 호르몬은?
28. 가축에 급여할 배합사료나 단미사료의 성분니 다른 사료와 비교할 때는 같은 조건에서 비교하여야 한다. 즉 사료의 성분을 일정한 수분함량으로 환산하거나 또는 건물 중의 수분함량으로 환산하여야 한다. 표와 같은 성분을 가진 생고구마를 풍건율 상태(수분함량 12%)로 조성분을 환산할 때 DCP 및 조지방은 각각 얼마인가?
29. 도체율에 대한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30. 셀레늄(Se)이 부족하게 되면 백근병(white muscle disease)과 후산정체가 발생되는데 다음 사료 중 어떤 비타민의 함량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가?
31. 닭의 소장에서 분비되지 않는 효소는?
32. 황색 옥수수에 함유된 성분으로 난황, 다리, 부리, 피부 등을 황색으로 변하게 하는 물질은?
33. 곡류사료의 영양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4. 성장기 전반에 영양소 급여를 적정수준에서 제한하고, 상장 후기에 집중적으로 영양소를 보충하면 급속하게 성장을 회복하는 효과는 무엇인가?
35. 산란계의 단백질 사료에 있어서 항영양인자의 함유로 사용이 제한되는 것은?
36. 반추가축의 요결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7. 닭에 있어서 필수아미노산으로 분류되는 것은?
38. 사료중의 단백질 함량이 20%, 사료중의 산화크롬 함량이 0.4%, 분중의 단백질함량이 20% 그리고 분중의 산화크롬 함량이 1.6% 일 때 단백질 소화율은?
39. 난각(卵殼)을 구성하는 무기물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40. 섬유소를 가장 잘 이용할 수 있는 가축은?
3과목: 축산경영학
41. 자산평가액을 내용년수의 함계로 나눈 후 그 연수의 역(逆)을 곱하여 각 연도의 상각(償却)액을 계산하는 감가 방법은?
42. 가족 노동력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43. 한계비용에 대한 내용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44. 사료효율(飼料效率)을 구하는 방법이 바르게 표시된 것은?
45. 기업적 축산경영의 기본 목표는?
46. 축산경영의 4대 요소로만 구성된 것은?
47. 착유우의 구입가격이 200만원, 착유우의 내용년수가 4년, 착유우의 잔존가가 구입가의 50%일 때 정액법으로 감가상각비를 산출 할 경우에 이 착유우의 매년 상각비는?
48. 축산물의 정전가격(문전가격)이란?
49. 생산함수의 생산영역 설명으로 틀린 것은?
50. 한우경영과 수도작에 의한 복합경영의 장점이 아닌 것은?
51. 다음은 토지의 어떠한 특징에 관한 설명인가?
52. 우리나라 축산업이 국민경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역할이 아닌 것은?
53. 일반적으로 가축 단위의 기준이 되는 것은?
54. 양돈경영에서 농후사료의 투입량을 2단위에서 4단위로 늘렸더니 생체중이 5단위에서 9단위로 증체하였다면, 한계생산량은 얼마인가?
55. 생산요소의 일부를 한 생산물 생산에서 다른 생산물의 생산물을 위해 사용함으로써 두 생산물이 모두 증가하는 생산물 결합 형태는 무엇인가?
56. 축산경영 분석을 위한 대차대조표의 차변(借邊)에 기재되는 항목은?
57. 자본이 적고 노동력이 풍부한 경영체에서 추해야 할 경영 형태로 적합한 것은?
58. 축산경영에서 노동능률의 향상과 기계화를 위하여 필요한 것이 아닌 것은?
59. 농업은 생산의 전 과정을 분업화 할 수 없고, 한 가지 작업의 전문화가 곤란하므로 기능공이 있을 수 없으며, 작업의 적기 수행의 여부가 생산량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 농업 노동력의 어는 특수성을 설명한 것인가?
60. 축사의 위치는 주택으로부터 좀 떨어진 건조하고 약간 높은 곳이 좋으며, 축사의 방향은 어디가 좋을까?
4과목: 사료작물학
61. 가장 좋은 품질 상태의 사일리지(silage) pH 범위는? (단, 사일리지 수분함량이 70% 일때)
62. 우리나라 초지에서 목초에 대한 지상부의 피해 해충 분류로 잘못된 것은?
63. 일반적으로 다음 콩과(두과)목초 중에서 건초용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64. 목초의 식별 능력은 재배관리상 매우 중요하다. 다음 중 화본과(벼과)목초의 식별에 쓰이지 않는 식물 부위는?
65. 건초의 조제 및 이용시 장ㆍ단점을 잘못 설명하고 있는 것은?
66. 콩과(두과)목초의 일반적인 특성과 거리가 먼 것은?
67. 일반적으로 북방형 목초가 가장 잘 자라는 기온은?
68. 원통형 탑형사일로의 직경이 2.0m이고, 높이가 5.0m인 경우 이 사일로의 용적(m3)은 약 얼마인가?
69. 사일리지 조제 시 생성되는 유기산 중 빨리 생성되는 순서로 나열했다. 다음 중 옮은 것은?
70. 목초 파종 후 복토의 깊이로 가장 좋은 것은?
71. 건초 조재시 화본과 목초의 예취 적기는?
72. 다음에서 설명하는 기계는 무엇인가?
73. 보리나 밀과 같이 꽃차예의 기본단위인 소수(spikelets)들이 이삭축 위에 직접 달려 있는 꽃차례(花序)는?
74. 수분함량이 40~60%인 저수분 사일리지의 장점이 아닌 것은?
75. 알팔파의 예취의 적기는?
76. 콩과(두과) 목초의 근류근 접종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77. 다음은 벼과 사료작물의 생육 과정이다. 각가 ( )안에 저합한 것은?
78. 벼과(禾本科)목초는 방석형과 다발형 목초로 나눌 수 있다. 다음 중 지하경이나 포복경이 없어 다발형 목초에 속하는 것은?
79. 옥수수 사일리지(silage)를 제조할 때 쥐기시험(grab test)의 결과 중 세절 재료로 가장 적당한 것은?
80. 꽃이 핀 후 처음애는 암술대와 이를 둘러싸고 있는 꽃실집이 꽃에 의하여 눌려 있다가 곤충이나 고온 또는 건조등의 자극을 받아서 암술대와 꽃실집의 선단부가 기판(旂瓣)을 향하여 솟아오르는 현상은?
잡종강세의 강도는 F1의 평균 산자수와 부모 품종의 평균 산자수의 차이를 부모 품종의 평균 산자수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즉, (9.0 - ((7.5 + 8.5) / 2)) / (8.5 - 7.5) x 100 = 12.5%
따라서 정답은 "12.5%"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