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5-10)

축산산업기사
(2009-05-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가축번식 육종학

1. 일반적으로 돼지의 평균임신기간은?

  1. 114 ~ 115일
  2. 154 ~ 155일
  3. 184 ~ 185일
  4. 244 ~ 245일
(정답률: 88%)
  • 일반적으로 돼지의 평균임신기간은 114 ~ 115일이다. 이는 돼지의 배아 발달과 관련된 생리학적인 요인으로 결정되며, 이 기간 동안 배아는 자라고 발달하여 출생 준비를 마친다. 다른 보기들은 돼지와 관련 없는 동물들의 임신기간이거나, 예외적인 경우에 해당하는 것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산란계의 표준난중(標準卵重)은?

  1. 30~40g
  2. 40~50g
  3. 50~60g
  4. 60~70g
(정답률: 66%)
  • 산란계의 표준난중은 산란기간 동안 일정한 무게로 산란하는 평균 무게를 말한다. 대부분의 산란계는 50~60g 정도의 표준난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범위가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동결정액 제조시 동해(凍害)로부터 정자를 보호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첨가하는 동해방지제는?

  1. 구연산(Citric acid)
  2. 글루코오스(Glucose)
  3. 글리세롤(Glycerol)
  4. 젤라틴(Gelatin)
(정답률: 81%)
  • 동결정액 제조시에는 물이 얼어서 동해(凍害)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정자는 동해로부터 보호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첨가하는 동해방지제는 글리세롤입니다. 글리세롤은 물의 얼음점을 낮추어 동결을 방지하고, 또한 세포 내부의 수분을 유지하여 정자의 생존률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후손을 남기기 위한 종축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능력이 우수한 가축을 육종가가 골라내는것은?

  1. 인위선발
  2. 자연선발
  3. 근친교배
  4. 잡종교배
(정답률: 81%)
  • 인위선발은 인간의 개입으로 원하는 특성을 가진 가축을 선택하여 번식시키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원하는 특성을 빠르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효율적인 육종이 가능하다. 자연선발은 자연적인 과정에서 우연히 발생한 특성을 가진 가축을 선택하는 방법이며, 근친교배는 가까운 친척끼리 교배하여 특성을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잡종교배는 서로 다른 종의 가축을 교배하여 새로운 특성을 얻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육우의 경제형질중 유전력이 가장 낮은 항목은?

  1. 수태율
  2. 이유시 체중
  3. 이유 후 일당 증체량
  4. 사료효율
(정답률: 77%)
  • 수태율은 육우의 경제형질 중 유전력이 가장 낮은 항목입니다. 이는 육우의 유전적인 영향보다는 환경적인 영향에 더 큰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수태율은 산란성과와 관련이 있으며, 산란성과는 육우의 유전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 경제형질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수태율은 육우의 유전력보다는 환경적인 요인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경제형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암컷의 생식 질병중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증상은?

  1. 난소질환
  2. 나팔관질환
  3. 자궁질환
  4. 자궁경관 및 질 질환
(정답률: 78%)
  • 암컷의 생식 질병중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증상은 난소질환입니다. 이는 난소에 염증이 생기거나 난소에 낭종이 생기는 등의 문제로 인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난소질환은 생리불순, 복통, 발열, 구토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불임의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소의 분만 과정 중 태아의 위치가 180° 전환하는 시기는?

  1. 자궁경관 확장기
  2. 태아 만출기
  3. 태아 후산기
  4. 산욕기
(정답률: 57%)
  • 정답은 "태아 만출기"입니다.

    태아 만출기는 소의 분만 과정 중 태아의 위치가 180° 전환하여 머리가 자궁 경관에 진입하는 시기를 말합니다. 이때 자궁경관이 축소되어 있어 태아의 머리가 출생 채널을 통과하기 어렵기 때문에 자궁경관을 확장시키는 도구인 자궁경관 확장기를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태아의 머리가 출생 채널을 통과하여 분만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젖소의 선발된 집단의 평균은 7000kg이고, 모집단의 평균은 5500kg 이면 이 선발된 집단의 선발차는 몇 kg 인가?

  1. 1500
  2. 3000
  3. 5500
  4. 7000
(정답률: 84%)
  • 선발된 집단의 평균이 모집단의 평균보다 1500kg 높으므로, 선발된 집단의 선발차는 1500kg이다. 따라서 정답은 "15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바람직한 품종 또는 계통(보통 수컷)을 재래품종 또는 그다지 능력이 우수하지 않은 집단에 수대에 걸쳐서 교배하는 것으로 이미 해당지역에 순화되어 있지만 새삼 그 능력이 열등한 축군(특히 암컷)을 급속하게 개량하여 높은 생산능력을 부여하고 싶은 경우에 유용한 방법은?

  1. 순종교배
  2. 계통교배
  3. 상호역교배
  4. 누진교배
(정답률: 82%)
  • 누진교배는 바람직한 품종 또는 계통(수컷)과 능력이 우수하지 않은 집단(암컷)을 수대에 걸쳐 교배하는 방법으로, 점진적으로 우수한 유전자를 누적시켜 개량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개체간의 유전적 차이를 최대한 줄이고, 우수한 유전자를 누적시키기 때문에 생산능력을 높이는 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암퇘지의 1차 평균 발정주기를 가장 잘 나태낸 것은?

  1. 8 ~ 10시간
  2. 12 ~ 15시간
  3. 18 ~ 23일
  4. 43 ~ 68일
(정답률: 66%)
  • 암퇘지의 평균 발정주기는 일반적으로 18 ~ 23일 정도이기 때문에, 이 보기가 가장 잘 나타내고 있다. 다른 보기들은 시간 단위가 다르거나 너무 긴 기간을 포함하고 있어서 암퇘지의 발정주기를 나타내기에는 부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자궁수축(진통)을 유기하고, 유선에서 유즙을 배출하게 하는 호르몬은?

  1. LH
  2. FSH
  3. Oxytocin
  4. TSH
(정답률: 87%)
  • Oxytocin은 자궁수축을 유발하여 분만을 도와주고, 유선에서 유즙을 배출하여 수유를 돕는 호르몬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Oxytocin입니다. LH, FSH, TSH는 각각 생식기능, 생식기 조절, 갑상선 기능을 조절하는 호르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교배조합 중 순종교배에 해당하는 것은?

  1. 제주한우(♀) × 앵거스종(♂)
  2. 캐나다 홀스타인종(♀) × 미국 홀스타인종(♂)
  3. 헤어포드종(♀) × 샤로레종(♂)
  4. 쇼트혼종(♀) × 제주한우(♂)
(정답률: 79%)
  • 순종교배란 같은 품종의 동물끼리 교배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캐나다 홀스타인종(♀) × 미국 홀스타인종(♂)"은 순종교배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우리나라에서 비육돈을 생산하기 위한 F1잡종 암퇘지의 생산에 제일 많이 이용되는 어미되지의 품종은?

  1. Landrace종과 Yorkshire종
  2. Landrace종과 Duroc종
  3. Yorkshire종과 Hampshire종
  4. Yorkshire종과 Duroc종
(정답률: 78%)
  • Landrace종과 Yorkshire종은 비육돈 생산에 있어서 생산성이 높고, 육질이 우수하며, 건강하고 적응력이 강한 품종으로 인기가 많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두 품종을 교배하면 F1잡종 암퇘지의 생산성이 더욱 향상되기 때문에 많이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닭능력의 개량목적에 따라 채란성과 산육성의 개량이상 형질로 구분할 때 산육능력의 개량에 관련하는 형질인 것은?

  1. 산란강도
  2. 취소성
  3. 체형
  4. 동기휴산성
(정답률: 68%)
  • 산육능력은 산란능력과 함께 닭의 생산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 중 산육능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닭의 체형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체형이 개선되면 닭의 건강 상태가 좋아지고, 더 많은 알을 낳을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체형"이 산육능력의 개선과 관련된 형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웅성생식기의 분화와 발달물 자극하며 정자형성을 촉진하는 호르몬은?

  1. 에스트로겐(estrogen)
  2.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3. 릴랙신(relaxin)
  4.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정답률: 86%)
  • 테스토스테론은 남성의 주요 성호르몬으로, 웅성생식기의 분화와 발달물 자극하여 정자형성을 촉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암닭의 취소성(取笑性)은 어느 호르몬이 의존하는가?

  1. 에스트로겐(estrogen)
  2. 옥시토신(oxytocin)
  3. 프로락틴(prolactin)
  4.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정답률: 57%)
  • 암닭의 취소성은 프로락틴 호르몬에 의존합니다. 프로락틴은 유방의 발달과 분비를 촉진시키는 호르몬으로, 암닭의 경우에는 이 호르몬이 증가함에 따라 취소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근친 교배의 유전적 효과를 잘못 설명한 것은?

  1. 이형접합체(異形接合體)의 비율이 증가한다.
  2. 유전자의 호모(homo)성이 증가된다.
  3. 각종 열성무해정자의 출현빈도가 높아진다.
  4. 번식능력, 성장률, 생존율 둥아 악영향을 미친다.
(정답률: 82%)
  • 이형접합체(異形接合體)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은 근친 교배로 인해 유전자의 호모(homo)성이 증가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서로 다른 부모로부터 유전된 유전자가 섞이지 않고 유전자가 중복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는 유전적 다양성이 감소하고 유전적 결함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는 번식능력, 성장률, 생존율 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근친 교배는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지양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검정개시일부터 검정종료일까지 총산란수를 검정개시 수수(首數)로 나눈 달걀수로 표시하는 것은?

  1. 일계산란율
  2. 산란지속성
  3. 조숙성
  4. 산란지수
(정답률: 76%)
  • 정답은 "산란지수"입니다. 검정개시일부터 검정종료일까지 총산란수를 검정개시 수수로 나눈 것이기 때문에, 이는 해당 기간 동안 한 마리의 닭이 평균적으로 하루에 몇 개의 달걀을 낳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산란지수"라는 용어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은 난자의 발달단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A, B, C, D 단계 중 난낭세포 단계는?

  1. A
  2. B
  3. C
  4. D
(정답률: 71%)
  • 정답은 "D"이다. 이유는 난자의 발달단계에서 난낭세포는 세포분열을 거쳐서 만들어지는 세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난자의 발달단계에서 난낭세포는 마지막 단계인 "D" 단계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인공수정을 정액의 희석액 성분 중 정자의 주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것은?

  1. 난황(Egg yolk)
  2. 탈지분유(Skim Milk)
  3. 포도당(Glucose)
  4. 항생물질(Penicillin)
(정답률: 71%)
  • 정자는 에너지원으로 포도당을 사용합니다. 포도당은 당류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당으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것이 적절합니다. 난황과 탈지분유는 단백질과 지방 등의 영양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지만, 정자의 주 에너지원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항생물질인 페니실린은 정자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가축사양학

21. 닭에서 펩신, 염산, 점액 등의 분비액을 분비하는 곳으로 단백질 소화 및 용해와 윤활작용을 하는 기관은?

  1. 소낭
  2. 선위
  3. 근위
  4. 소장
(정답률: 59%)
  • 선위는 위장에서 소화를 위해 분비되는 소화액을 받아들이고, 닭에서는 펩신, 염산, 점액 등의 분비액을 분비하는 곳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선위"입니다. 소낭은 닭의 소화기관 중 하나이며, 닭의 식도와 위를 연결하는 작은 주머니 모양의 기관입니다. 근위는 소장과 연결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영양소가 흡수되는 곳입니다. 소장은 대장과 연결되어 있으며, 대변을 형성하는 곳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성명은 비타민 B군 중 무엇인가?

  1. niacln
  2. pantothenic acid
  3. thiamin
  4. riboflavin
(정답률: 66%)
  • 이 성명은 "riboflavin"을 나타냅니다. 그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는 붉은색과 노란색의 구성 요소가 리보플라빈 분자의 구성 요소인 리보플라빈과 리보플라빈-5'-인산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반추가축의 제 1위내에서 에너지원으로 흡수되는 영양소화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stearic acid
  2. acetic acid
  3. butyric acid
  4. prcpionic acid
(정답률: 67%)
  • 반추가축은 주로 섬유소를 소화하는데, stearic acid는 지방산 중 가장 긴 사슬을 가지고 있어 소화가 어렵기 때문에 에너지원으로 흡수되는데 거리가 가장 멀다. 반면 acetic acid, butyric acid, propionic acid는 짧은 사슬을 가지고 있어 소화가 쉽고 빠르게 에너지원으로 흡수되기 때문에 거리가 짧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닭의 C/P들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닭이 성장함에 따라 C/P율이 커진다.
  2. 산란율이 높을수록 C/P율이 커진다.
  3. 단백질 함량이 낮을수록 C/P율이 커진다.
  4. C/P율은 고정시키고, 칼로리를 높이고자 할 때 단백질 함량도 높여 주어야 한다.
(정답률: 49%)
  • "산란율이 높을수록 C/P율이 커진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실제로는 산란율과 C/P율은 상관관계가 없다.

    C/P율은 단백질과 지방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닭이 성장함에 따라 근육량이 늘어나면서 단백질 함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C/P율이 커진다. 단백질 함량이 낮을수록 C/P율이 높아지는 것도 맞지만, 이는 단백질 함량이 낮아지면서 지방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기 때문이다.

    C/P율을 고정시키고 칼로리를 높이고자 할 때는 지방 함량을 높여 주어야 하며, 단백질 함량을 높이면 오히려 칼로리가 더 높아지기 때문에 단백질 함량을 높이지 않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케톤증(Ketosis)고 과 관련된 설명으로 관련이 없는 것은?

  1. 아세톤혈증(acetonemia)이라고도 한다.
  2. 고능력인 젖소에서 분만 후 수일에서 수주일 안에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3. 왼쪽 허구리에 팽만이 일어나고 복통 증세로 인하여 불안, 걱정, 식요절폐, 다리벌림을 나타낸다.
  4. 대사 장애로 인한 케톤제의 과잉 생산과 저혈당증이 원인이다.
(정답률: 66%)
  • "왼쪽 허구리에 팽만이 일어나고 복통 증세로 인하여 불안, 걱정, 식요절폐, 다리벌림을 나타낸다."는 케톤증과 관련이 없는 설명입니다.

    케톤증은 대사 장애로 인해 케톤제의 과잉 생산과 저혈당증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현상으로, 아세톤혈증이라고도 합니다. 고능력인 젖소에서 분만 후 수일에서 수주일 안에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가축의 영양공급원인 탄수화물의 중요성이 아닌 것은?

  1. 지방, 단백질의 합성원료로도 쓰인다.
  2. 뇌와신경조직의 구성성분이다.
  3. P의 흡수를 돕는다.
  4. 에너지 공급원이다.
(정답률: 59%)
  • 탄수화물은 P의 흡수를 돕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P의 흡수를 돕는 것은 비타민 D와 칼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P의 흡수를 돕는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보통 기상 조건하에서 산란율이 높은 백색 레그혼의 경우 1일 한 마리당 대사에너지의 요구량(Kcal)은? (단, 산란율은 80%, 체중은 1.8kg 이다.)

  1. 300 ~ 320
  2. 400 ~ 450
  3. 600 ~ 620
  4. 1200 ~ 1250
(정답률: 44%)
  • 산란율이 높은 백색 레그혼의 경우 1일에 산란을 하기 위해 필요한 대사에너지의 양이 많기 때문에 대사에너지 요구량이 높습니다. 일반적으로 1kg의 산란용 닭이 100kcal의 대사에너지를 필요로 하므로, 1.8kg의 백색 레그혼은 180kcal의 대사에너지를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80%의 산란율을 고려하여 180kcal을 0.8로 나눈 값인 225kcal을 1일에 필요로 합니다. 그러므로, 대략적으로 300 ~ 320kcal의 대사에너지 요구량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단백질(질소)의 질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생물가(生物價)를 사용하는데 다음 중 성장을 위한 생물가 식으로 맞는 것은?

(정답률: 63%)
  • 정답은 ""입니다.

    생물가란 단백질의 질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서, 아미노산 조성과 소화율 등을 고려하여 단백질의 품질을 평가합니다.

    성장을 위한 생물가 식은 아미노산 조성이 균형적이고 소화율이 높은 단백질을 말합니다. ""은 아미노산 조성이 균형적이고 소화율이 높은 단백질로, 성장을 위한 생물가 식으로 적합합니다.

    반면 "", "", ""은 아미노산 조성이 불균형하거나 소화율이 낮은 단백질로, 성장을 위한 생물가 식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가금류에 많이 사용하는 성장촉진제로 항생물질과 같이 병아리의 성장과 브로일러의 육질개선, 사료효율, 피부의 착색 및 깃털의 발달에 효과가 있으며, 항생제의 병행사용시 상응작용도 일어나는 것은?

  1. 생균제
  2. 효소제
  3. 황산동
  4. 유기비소제
(정답률: 64%)
  • 가금류에 많이 사용하는 항생물질과 함께 유기비소제를 사용하면 상응작용이 일어나서 더욱 효과적인 성장촉진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유기비소제는 가금류의 소화기능을 개선시켜 사료흡수율을 높이고, 미생물의 발생을 억제하여 소화기능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유기비소제는 가금류의 면역력을 강화시켜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주기도 합니다. 따라서, 항생제와 함께 유기비소제를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인 성장촉진이 가능하며, 항생제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닭(브로일러)에서 필수지방산인 리놀산(Iinoleic acid)의 요구량은 얼마인가? (단, 건물90%를 기준으로 한다.)

  1. 배합비 중 0.1%
  2. 배합비 중 0.3%
  3. 배합비 중 0.5%
  4. 배합비 중 1%
(정답률: 50%)
  • 닭(브로일러)에서 필수지방산인 리놀산의 요구량은 1% 이다. 이는 닭의 총 지방 중 90%를 기준으로 계산된 것이다. 따라서, 닭의 총 배합 중 1%의 리놀산을 포함시켜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박류의 일반적 특징이 아닌 것은?

  1. 단백질함량이 30~50%로 높다.
  2. Methionine과 Iysine이 부족하다.
  3. Ca과 P의 함량이 낮은 편이다.
  4. 비타민A, D의 함량이 높다.
(정답률: 47%)
  • 박류는 비타민A, D의 함량이 높은 것이 아니라, 비타민B12의 함량이 높은 것이 일반적인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소장에서 칼슘, 인의 운반을 촉진하고 골격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타민은 무엇인가?

  1. 비타민 E
  2. 비타민 C
  3. 비타민 A
  4. 비타민 D
(정답률: 77%)
  • 비타민 D는 소장에서 칼슘과 인의 흡수를 촉진하여 골격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NFC사양표준(1994) 백색계통 산란계 사료의 대사에너지는 사료 kg 당 몇 Kcal인가?

  1. 2400
  2. 2550
  3. 2700
  4. 2900
(정답률: 47%)
  • NFC는 "직접 대사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NDF(중성 섬유)와 ADF(산성 섬유)를 제외한 질소프리 사료 성분 중에서의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의 합입니다. NFC의 대사에너지는 약 4.2 Kcal/g입니다. 따라서, 사료 kg 당 NFC 대사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NFC 대사에너지 = NFC (g/kg) x 4.2 (Kcal/g)

    NFC 대사에너지 = (1000 - NDF - ADF - 회분 - 무기물) x 4.2 (Kcal/g)

    NFC 대사에너지 = (1000 - 350 - 150 - 100 - 50) x 4.2 (Kcal/g)

    NFC 대사에너지 = 2900 (Kcal/kg)

    따라서, 정답은 "29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사료내 결핍시 육성계에서 뇌연화증(encephalomalacia)이라는 특징적인 결핍증을 일으키는 비타민은?

  1. Vitamin A
  2. Vitamin E
  3. Riboflavin
  4. Choline
(정답률: 61%)
  • 뇌연화증은 비타민 E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경계 질환으로, 사료내 비타민 E 결핍시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무기물의 일반적 기능이 아닌 것은?

  1. 뼈, 치아 및 알껍질 등의 주요구성 성분이며, 특히 골격의 강도를 지배한다.
  2. 에너지 공급제의 역할을 한다.
  3. 산, 염기의 평형이 필요하다.
  4. 신경 및 근육의 기능을 조절한다.
(정답률: 77%)
  • 무기물은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에너지 공급제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에너지 공급제의 역할을 한다."는 일반적인 무기물의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백색 레그혼 신란계의 적정 산란율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일 수당 최대 약 몇 g의 단백질이 필요한가? (단, 체중은 2.0kg, 산란율은 70~80% 이다.)

  1. 18g
  2. 26g
  3. 54g
  4. 72g
(정답률: 50%)
  • 백색 레그혼 신란계의 적정 산란율은 70~80%이므로, 2.0kg의 새가 하루에 약 1.4kg ~ 1.6kg의 알을 낳아야 한다.

    알 하나의 평균 중량은 약 60g이므로, 하루에 약 23~27개의 알을 낳아야 한다.

    따라서, 하루에 필요한 단백질 양은 23~27개의 알에 들어있는 단백질 양과 같다.

    백색 레그혼 신란계의 알 하나에는 약 0.7g의 단백질이 들어있으므로, 하루에 필요한 단백질 양은 약 16.1g ~ 18.9g이다.

    이 중에서 최대 약 몇 g의 단백질이 필요한가 묻는 문제이므로, 답은 18g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유지(維持)에필요한 에너지는 다음 중 어느 것에 비례하는가?

  1. 활동대사에너지
  2. 가소화에너지
  3. 체형
  4. 대사체중
(정답률: 61%)
  • 유지에 필요한 에너지는 대사체중에 비례한다. 이는 대사체중이 적을수록 필요한 에너지가 적어지기 때문이다. 대사체중은 신체 내부에서 에너지를 소비하는 조직인 근육, 간, 심장 등의 무게를 의미한다. 따라서 대사체중이 적을수록 에너지 소비량이 적어져 유지에 필요한 에너지도 적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결핍될 때에 영양실조와 자궁상피세포를 각질화 시킴으로써 불규칙한 성주기와 발정의 중지 등을 야기하는 비타민은?

  1. 비타민 A
  2. 비타민 B6
  3. 비타민 D
  4. 비타민 K
(정답률: 57%)
  • 비타민 A는 자궁상피세포를 각질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결핍될 경우 자궁상피세포가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하고 불규칙한 성주기와 발정의 중지 등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분만 직후 갑자기 다량의 착유로 인해 칼슘이 부족하여 발생되는 것은?

  1. 유두염
  2. 유두증
  3. 유방암
  4. 유열
(정답률: 86%)
  • 분만 직후에는 다량의 착유로 인해 유출되는 분비물에 의해 칼슘이 부족해지는데, 이를 유열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열"입니다. 유두염, 유두증, 유방암은 분만 직후에 발생하는 것이 아니므로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Gossypol 이라는 유독물질을 함유한 것은?

  1. 채종박
  2. 야자박
  3. 면실박
  4. 아마인박
(정답률: 75%)
  • Gossypol은 면실의 씨앗에 함유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면실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축산경영학

41. 한계생산력이 평균생산력 보다 클때의 상태는?

  1. 평균생산력은 증가한다.
  2. 평균생산력은 불변이다.
  3. 평균생산력은 감소한다.
  4. 평균생산력은 최대가 된다.
(정답률: 72%)
  • 한계생산력이 평균생산력 보다 클 때는 아직 추가적인 생산이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높은 인력이나 기술 등을 도입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평균생산력이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축산경영에서의 공동조직화의 원칙이 아닌 것은?

  1. 인화의 원칙
  2. 이윤극대화의 원칙
  3. 공평의 원칙
  4. 민주화의 원칙
(정답률: 52%)
  • 이윤극대화의 원칙은 축산경영에서의 공동조직화의 원칙이 아닙니다. 이윤극대화의 원칙은 기업이 이윤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경영 원칙입니다. 축산경영에서의 공동조직화의 원칙은 인화의 원칙, 공평의 원칙, 민주화의 원칙과 함께 경영자와 근로자, 소비자, 지역사회 등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협력하여 공동으로 이루어지는 조직화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축산경영에서 상품생산화가 진행됨에 따라 경영의 전문화와 기업화도 진행된다. 공업부문과 비교할 때 옳지 않은 것은?

  1. 전문화와 기업화 과정은 공업부문과 동일하다.
  2. 축산업에서는 하나의 품목을 생산할 때 각 부문이 분리되어 있지 않다.
  3. 상업적 축산업의 형태는 다양하다.
  4. 축산업의 전문화 수준은 상품생산부문이 경영 내에서 100% 또는 그에 가까운 수준까지 운영된다고 단정할 수 없다.
(정답률: 51%)
  • 정답은 "전문화와 기업화 과정은 공업부문과 동일하다." 이다.

    축산업에서도 공업부문과 마찬가지로 상품생산화가 진행되면서 경영의 전문화와 기업화가 진행된다. 따라서 전문화와 기업화 과정은 공업부문과 동일하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옳은 내용이다. 축산업에서는 하나의 품목을 생산할 때 각 부문이 분리되어 있지 않고, 상업적 축산업의 형태는 다양하며, 전문화 수준은 상품생산부문이 경영 내에서 100% 또는 그에 가까운 수준까지 운영된다고 단정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Corn-hog cycle" 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곡물가격이 상승하면 가축가격은 상승하고, 곡물가격이 하락시는 가축가격도 하락한다.
  2. 곡물가격이 상승하면 가축가격은 하락하고, 곡물가격이 하락시는 가축가격은 상승한다.
  3. 공산물 가격이 상승하면 농산물가격도 상승하고, 공산물 가격이 하락하면 농산물 가격도 하락한다.
  4. 공산물 가격이 상승하면 농산물가격은 하락하고, 공산물 가격이 하락하면 농산물가격도 상승한다.
(정답률: 71%)
  • "곡물가격이 상승하면 가축가격은 하락하고, 곡물가격이 하락시는 가축가격은 상승한다."가 가장 잘 설명한 것이다. 이는 곡물 가격이 상승하면 가축 사육 비용이 증가하게 되어 가축 생산량이 감소하고, 따라서 가축 가격이 하락하는 것이다. 반대로, 곡물 가격이 하락하면 가축 사육 비용이 감소하게 되어 가축 생산량이 증가하고, 따라서 가축 가격이 상승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Corn-hog cycle"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유지율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유지방량 / 총유량
  2. 구입사료비 / 우유판매액
  3. 경산우1두당 1일산유량 / 300일
  4. 연간 우유생산량 / 경산우 연평균두수
(정답률: 68%)
  • "유지방량 / 총유량"이 올바른 유지율을 나타내는 이유는, 유지방량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양이며, 총유량은 전체 양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지방량을 총유량으로 나누면 보유한 양 대비 전체 양의 비율을 구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유지율을 나타내는 공식이 아니기 때문에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축산경영관리의 문제점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노동절약적 시설·기계에대한 투자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2. 축산물 가격변동이 심하지 않으므로 판매가격은 경영계획시의 가격에 기준 한다.
  3. 자기자본이 충실하지 못한 채 코드를 확장하는 경향이 있다.
  4. 사료비의 비중이 높고 생산성이 생산비를 크게 좌우한다.
(정답률: 74%)
  • "축산물 가격변동이 심하지 않으므로 판매가격은 경영계획시의 가격에 기준 한다."는 적절하지 못한 문제점입니다. 이유는 축산물 가격은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하기 때문에 경영계획시의 가격에 기준을 두면 예상 수익과 실제 수익이 차이가 나게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축산물 가격 변동을 고려하여 유동적인 가격 책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토지의 매매가격에 의한 평가액을 바르게 표시한 것은?

  1. 매개 등기부상의 가격을 말한다.
  2. 실제 매매가격을 말한다.
  3. 소유권등기 이전까지의 매매가격과 비용의 합계를 말한다.
  4. 소유권등기를 마칠 때까지의 매매가격과 비용의 합계를 말한다.
(정답률: 67%)
  • 소유권등기를 마칠 때까지의 매매가격과 비용의 합계를 말하는 이유는 소유권등기가 완료되기 전까지는 매매가격과 함께 등기 비용 등 여러 가지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를 모두 합산한 가격이 바르게 토지의 평가액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축산경영에서는 토지면적보다는 가축수에 따라서 그 규모가 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축산경영의 어떠한 특징을 설명한 것인가?

  1. 2차 생산의 성격
  2. 간접적 토지관계
  3. 물량감소와 가치증대의 성격
  4. 생산물의 저장 증진
(정답률: 82%)
  • 축산경영에서는 가축수에 따라 규모가 결정되는데, 이는 축산생산물이 직접적으로 토지와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간접적 토지관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축산 소득율을 바르게 표현한 것은?

  1. (축산경영비/축산소득)×100
  2. (축산소득/축산조수입)×100
  3. (축산소득/자기자본액)×100
  4. (자기자본액/축산소득)×100
(정답률: 73%)
  • 축산 소득율은 축산 조수입 대비 축산 소득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축산소득/축산조수입)×100"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축산경영비나 자기자본액은 축산 소득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올바른 표현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축산경영규모와 관련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축산도 토지이용을 바탕으로 성립되는 산업이므로 축산경영규모도 반드시 토지면적의 크기로 파악되어야 한다.
  2. 축산의 경영규모는 축산경영 조직체의 크기로 정의할 수 있다.
  3. 경영의 적정규모는 기본적으로 적정자본을 투입하여 단위당 최소비용으로 최대의 이익을 획득할 수 있는 경영 조건에 있는 규모이다.
  4. 가축사육규모의 증대는 경영의 전문화를 제고시켜 분업이나 협업이 이루어지기 쉽게 한다.
(정답률: 76%)
  • "축산의 경영규모는 축산경영 조직체의 크기로 정의할 수 있다."는 부적합한 설명입니다. 축산경영규모는 토지면적, 가축사육규모, 종사자 수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정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비용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고정비는 단기적으로 볼때 생산량이 변화하면 변하는 비용이다.
  2. 유동비는 생산물 산출량과 직접 관계되는 비용이다.
  3. 단기분석에 있어서 총비용은 총고정비와 총유동비의 합계이다.
  4. 평균비용은 총고정비용을 산출량으로 나눈 비용이다.
(정답률: 73%)
  • "고정비는 단기적으로 볼때 생산량이 변화하면 변하는 비용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고정비는 생산량의 변화와는 무관하게 일정한 비용입니다. 예를 들어, 공장 건물의 임대료나 관리비는 생산량이 적더라도 일정한 비용으로 지출되는 것이고, 생산량이 증가하더라도 이 비용은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고정비는 생산량과는 무관한 비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낙농경영의 진단지표가 아닌 것은?

  1. 두당 생산량
  2. 농후사료와 조사료의 비율
  3. 관리원인
  4. 질병발생률
(정답률: 68%)
  • "관리원인"은 낙농경영의 진단지표가 아닙니다. 이는 낙농경영의 성공을 측정하는 지표가 아니며, 오히려 낙농경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두당 생산량", "농후사료와 조사료의 비율", "질병발생률"은 낙농경영의 진단지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축산경영 요소의 하나인 토지의 경제력 성질은 그 성질상 다른 자본재와는 몇 가지의 특이한 성질이 있는데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불가증성
  2. 불가동성
  3. 불소모성
  4. 불항구성
(정답률: 75%)
  • 토지는 불가증성, 불가동성, 불소모성의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불항구성의 성질은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불가증성은 토지의 양이 한정되어 있어 증가시키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며, 불가동성은 토지의 위치나 형태를 쉽게 변경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불소모성은 토지가 사용되어도 소모되지 않고 계속해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불항구성은 토지의 소유자가 변경되어도 토지 자체의 가치나 특성이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토지는 소유자가 바뀌어도 그 자체의 가치나 특성은 변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어느 비육우사육농가의 두달 조수입이 2,000,000원, 경영비가 1,000,000원, 감가상각비가 300,000원, 자기노력비가 500,000원일 때, 두당 소득은 얼마인가?

  1. 1,000,000원
  2. 700,000원
  3. 500,000원
  4. 200,000원
(정답률: 53%)
  • 두달 조수입에서 경영비, 감가상각비, 자기노력비를 모두 빼면 순이익이 나온다.

    2,000,000원 - 1,000,000원 - 300,000원 - 500,000원 = 200,000원

    따라서 두당 소득은 200,000원이다.

    정답은 "200,000원"이 아니라 "1,000,000원"인 이유는 문제에서 "두당" 소득을 물었기 때문이다.

    두당 소득은 두 마리의 소가 생산한 순이익을 의미하므로, 200,000원 x 2 = 400,000원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두달" 조수입을 기준으로 계산하였기 때문에, 400,000원 x 2 = 800,000원이 된다.

    하지만 이것도 정답이 아니라, 경영비, 감가상각비, 자기노력비를 모두 빼야 하므로,

    800,000원 - 1,000,000원 - 300,000원 - 500,000원 = 1,000,000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0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생산비 중에서 변동비인 것은?

  1. 지대
  2. 조세공과
  3. 생산사료비
  4. 감가상각비
(정답률: 77%)
  • 생산사료비는 생산량에 따라 변동하는 비용으로, 생산하는 동물의 수나 사료 가격 등에 따라 변동됩니다. 따라서 생산사료비는 변동비입니다. 지대는 고정비, 조세공과는 간접비, 감가상각비는 고정비 또는 간접비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의 경우 정액법에 의한 감가상각비는 얼마인가?

  1. 10만원
  2. 15만원
  3. 20만원
  4. 30만원
(정답률: 80%)
  • 정액법에 의한 감가상각비는 고정된 금액을 일정 기간 동안 분할 상각하는 방법으로 계산됩니다. 이 경우, 자산의 원가는 100만원이고, 사용 기간은 10년이므로, 연간 감가상각비는 100만원 / 10년 = 10만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만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어느 낙농경영농가에서 농후사료 급여량이 100단위일 때, 총 우유 생산량이 400단위라면 평균생산은 얼마인가?

  1. 2
  2. 3
  3. 4
  4. 5
(정답률: 79%)
  • 농후사료 급여량이 100단위일 때, 총 우유 생산량이 400단위이므로, 농후사료를 1단위 증가시키면 우유 생산량은 4단위 증가한다. 따라서, 평균 생산량은 400단위를 100단위로 나눈 4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우유생산물 목적으로 하는 낙농가에서 송아지를 생산한 경우 송아지에 대한 적합한 자본재 평가방법은?

  1. 시가평가법
  2. 수익가평가법
  3. 기회비용평가법
  4. 취득원가평가법
(정답률: 63%)
  • 송아지는 생산 후 판매되는 자산이므로 시가평가법이 적합합니다. 시가평가법은 시장에서 유사한 자산의 거래가격을 참고하여 자산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송아지의 시장가격을 조사하여 그에 따라 자산가치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다른 평가방법들은 송아지의 생산성, 수익성, 기회비용, 취득원가 등을 고려하는 방법이지만, 이는 송아지가 아직 생산되지 않았거나 판매되지 않은 경우에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낙농경영의 조수익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1. 우유판매액
  2. 송아지판매액
  3. 육성우사료비
  4. 육성우판매수익
(정답률: 58%)
  • 육성우사료비는 낙농경영에서 육성우를 키우는 데 필요한 비용으로, 육성우의 건강과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조수익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고정자본재 중 감가상각비를 계산하지 않은 항목은?

  1. 축사
  2. 착유기
  3. 경운기
  4. 토지
(정답률: 80%)
  • 토지는 감가상각비를 계산하지 않는다. 이는 토지가 노후화되거나 사용 기간이 지나면 가치가 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토지는 고정자본재 중에서 감가상각비를 계산하지 않는 예외적인 항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사료작물학

61. 건초보다 사빌리지에 함량이 낮은 비타민은?

  1. 비타민 A
  2. 비타민 B
  3. 비타민 C
  4. 비타민 D
(정답률: 84%)
  • 건초와 사빌리지는 모두 비타민 D 함량이 낮은 식물입니다. 비타민 D는 태양광에 의해 인체 내에서 합성되기 때문에, 태양광에 노출되지 않는 식물들은 비타민 D 함량이 낮습니다. 따라서 건초와 사빌리지 모두 태양광에 노출되지 않는 환경에서 자라기 때문에 비타민 D 함량이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목방형 목초(오차드그리스, 페레니얼라이그리스)의 생육적온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5 ~ 10℃
  2. 10 ~ 15℃
  3. 15 ~ 21℃
  4. 25 ~ 30℃
(정답률: 77%)
  • 목방형 목초(오차드그리스, 페레니얼라이그리스)는 온도가 너무 낮거나 높으면 생육이 어렵기 때문에 적정한 온도 범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생육적으로 가장 적합한 온도 범위는 15 ~ 21℃입니다. "5 ~ 10℃"는 너무 낮아서 생육이 어렵고, "10 ~ 15℃"는 적정한 범위이지만 조금 낮은 편입니다. "25 ~ 30℃"는 너무 높아서 생육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화본과 목초에 해당하는 것은?

  1. 레드클로버
  2. 레드톱
  3. 알팔파
  4. 버즈 풋 트레포일
(정답률: 50%)
  • 화본은 "레드톱"이고, 목초는 "알팔파"입니다. 이유는 레드톱은 화분으로서 재배되며, 알팔파는 목초로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답리작 사료작물이 구비해야 할 재배조건이 아닌 것은?

  1. 생육기간이 짧은 것
  2. 벼의 생상력을 감퇴시키지 않을 것
  3. 내한성이 강한 것
  4. 난지형으로 내습성이 강한 것
(정답률: 45%)
  • 답: "난지형으로 내습성이 강한 것"

    이유: 사료작물은 대부분 건조한 환경에서 재배되기 때문에, 난지형으로 내습성이 강한 작물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건조한 환경에서 재배하기 적합한 작물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난지형으로 내습성이 강한 것"은 답리작 사료작물이 구비해야 할 재배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건초의 품질을 평가하는데 있어 중요도가 가장 낮은 것은?

  1. 잎 비율
  2. 녹색율
  3. 잡초의 혼합율
  4. 발효 비율
(정답률: 68%)
  • 발효 비율은 건초의 품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지만, 다른 요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습니다. 이는 발효 비율은 건초를 저장하고 유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발효 비율은 건초의 원래 품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요소입니다. 반면에 잎 비율, 녹색율, 잡초의 혼합율은 건초의 원래 품질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경질 전분함량이 낮고 과피가 두꺼워 식용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수량성이 가장 높아 사일리지용으로 재배되는 옥수수 종류는?

  1. 폭립종
  2. 마치종
  3. 강립종
  4. 나종
(정답률: 78%)
  • 옥수수는 사일리지용으로 재배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수량성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이 중에서도 경질 전분함량이 낮고 과피가 두꺼워 식용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수량성이 가장 높은 종류는 마치종입니다. 따라서 마치종이 사일리지용으로 재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알팔파의 사료가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백질함량이 많다.
  2. 지방함량이 많다.
  3. 가축의 기호성이 높다.
  4. 무기물의 함량이 많다.
(정답률: 78%)
  • 알팔파의 사료가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지방함량이 많다."입니다. 이유는 알팔파는 단백질 함량이 높고, 가축의 기호성이 높으며, 무기물 함량이 많지만, 지방 함량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입니다. 알팔파는 대부분의 가축에게 좋은 사료로 알려져 있으며, 단백질과 무기물 함량이 높아 건강한 성장과 생산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방목방법 중 초지이용률을 가장 향상시키고, 주로 집약적인 젖소방목이 많이 쓰이는 것은?

  1. 대상방목법
  2. 계목법
  3. 윤환방목법
  4. 연속방목법
(정답률: 69%)
  • 대상방목법은 특정 지역에서 가장 적합한 초지를 선정하여 그 지역에서만 젖소를 방목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초지의 이용률을 최대화할 수 있어 초지이용률을 가장 향상시키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또한, 집약적인 젖소방목이 많이 쓰이는 이유는 대상방목법이 특정 지역에서만 젖소를 방목하기 때문에 해당 지역에서는 젖소의 밀도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목초 중 하번초에 해당하는 것은?

  1. 오차드그라스
  2. 켄터기블루그라스
  3. 이탈리안라이그리스
  4. 톨페스큐
(정답률: 60%)
  • 켄터기블루그라스는 미국 중서부 지역에서 많이 자라는 초본데, 잔디밭에 많이 심어져 있습니다. 다른 목초들과 비교하여 더욱 강한 생장력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인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콩과목초에 있어서 1번초로 건초를 만들 때 가장 적절한 예취 시기는?

  1. 영양생장기
  2. 결실기
  3. 개화초기
  4. 꽃봉오리 출현기
(정답률: 87%)
  • 콩과목초는 개화 초기에 가장 많은 영양분을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이 시기에 예취를 하면 가장 많은 영양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번초로 건초를 만들 때 가장 적절한 예취 시기는 개화 초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사초는 생존연한에 따라 다년성, 2년생, 월년생, 1년생으로 구분된다. 다음 중 1년생 사료작물에 해당하는 것은?

  1. 페레니얼라이그라스
  2. 리드카나리그라스
  3. 수단그리스
  4. 티모시
(정답률: 76%)
  • 1년생 사초는 한 해 동안 생장하고 씨앗을 맺은 후 죽는 사초를 말한다. 따라서 보기 중 1년생 사료작물은 "수단그리스"이다. 다른 보기들은 다년성 사초나 2년생 사초이기 때문에 1년생 사료작물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옥수수 수확 후작으로 적합한 유채의 파종 적기는?

  1. 6월 상순
  2. 8월 상순
  3. 9월 상순
  4. 11월 상순
(정답률: 72%)
  • 옥수수는 일반적으로 100일 정도의 생육기간을 가지며, 수확 후작으로는 유채가 적합합니다. 유채는 온도가 낮아지면서 생장이 둔화되는 가을에 적기 때문에 "9월 상순"이 적합합니다. "6월 상순"은 옥수수가 아직 수확되지 않은 시기이며, "8월 상순"은 유채가 심더라도 생장이 빠르게 이루어져 수확 전에 성장이 멈출 가능성이 있습니다. "11월 상순"은 이미 추운 계절이기 때문에 유채의 생장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른 작물의 파종 시기와 겹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청산의 배당체를 함유하여 중독을 일으키는 사료작물은?

  1. 오차드그라스
  2. 수단그라스계 잡종
  3. 톨페스큐
  4. 페레니얼라이그라스
(정답률: 82%)
  • 수단그라스계 잡종은 청산의 배당체를 함유하고 있어 중독을 일으키는 사료작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우리나라 대부분의 개량된 벼과(화본과) 목초에 적합한 토앙산도 범위는?

  1. pH 8.0 ~ 9.0
  2. pH 7.5 ~ 8.0
  3. pH 5.5 ~ 6.5
  4. pH 4.5 ~ 5.5
(정답률: 57%)
  • 토양의 pH는 작물의 생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대부분의 개량된 벼과와 목초는 pH 5.5 ~ 6.5 범위에서 가장 적합한 환경을 제공받기 때문에 이 범위가 적합합니다. pH 8.0 ~ 9.0은 너무 높은 알칼리성을 가지고 있어서 작물의 생장에 부적합하며, pH 7.5 ~ 8.0은 약간 높은 알칼리성을 가지고 있어서 적합하지 않습니다. pH 4.5 ~ 5.5는 너무 낮은 산성도를 가지고 있어서 작물의 생장에도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화본과 사료작물 보다 두과사료 작물에 더 많이 함유되어 있는 조성분은?

  1. 조단백질
  2. 조지방
  3. 조섬유
  4. 조회분
(정답률: 77%)
  • 두과사료와 사료작물은 대부분 탄수화물이 많고, 화본은 지방이 많은 반면, 두과사료보다는 덜 함유하고 있습니다. 반면, 두과사료보다는 두발효가 잘 되어 단백질 함량이 높은 두과사료보다는 더 많은 양의 조단백질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두과사료보다는 두발효가 잘 되어 있는 두과사료가 사료로 사용될 때 더 많은 양의 조단백질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북방형 목초의 채초 이용시 초지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화본과 독초의 예취 높이는 대략 5cm 정도이다.
  2. 하고기(夏枯期)에 목초의 2차 예취는 장마가 지난 후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3. 최종 예취 적기는 일평균기온이 섭씨10℃ 되는 날로부터 40일전 정도가 된다.
  4. 연간 적정 예취회수는 2회일 때 생산량이 가장 높다.
(정답률: 40%)
  • 정답은 "화본과 독초의 예취 높이는 대략 5cm 정도이다." 이유는, 이러한 목초들은 예취를 하면서도 뿌리를 보호하기 위해 일정한 높이 이하로는 예취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목초의 생육을 유지하면서도 초지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중부지방에서의 수단그라스의 파종 적기는?

  1. 3월중순 - 3월하순
  2. 4월상순 - 4월중순
  3. 4월하순 - 5월상순
  4. 5월하순 - 6월상순
(정답률: 63%)
  • 중부지방에서의 봄철 기온과 습도는 4월하순부터 5월상순까지 적절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수단그라스의 파종에 적합한 환경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3월중순 - 3월하순은 아직 기온이 낮고 습도가 낮아 파종에 적합하지 않으며, 4월상순 - 4월중순은 기온과 습도가 적절하지만 봄철 대표적인 바람인 건조한 북서풍이 불어 파종에 불리한 환경이기 때문입니다. 5월하순 - 6월상순은 기온과 습도는 적절하지만 봄철의 강한 비가 내리는 시기이기 때문에 파종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옥수수를 유선 1/2 ~ 2/3시기에 수확하여 벙커 사일로에서 시일리지를 제조하고자 할 때 가장 적당한 수분함량은? (단, 세절 길이는 3/8 ~ 1/2cm로 한다.)

  1. 40 ~ 50%
  2. 55 ~ 60%
  3. 67 ~ 72%
  4. 75% 이상
(정답률: 78%)
  • 옥수수를 시일리지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수분함량이 필요하다. 수분함량이 너무 높으면 발효과정에서 과발효가 일어나고, 너무 낮으면 발효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옥수수의 수확 시기에 따라 수분함량이 다르기 때문에 적정한 수분함량을 찾기 위해서는 수확 시기를 고려해야 한다. 유선 1/2 ~ 2/3시기에 수확한 옥수수는 세절 길이가 3/8 ~ 1/2cm로 가장 적절한 시기이다.

    이때의 적정 수분함량은 67 ~ 72%이다. 이 범위는 발효과정에서 적절한 발효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시일리지의 품질을 유지하는 데에도 중요하다.

    따라서, 옥수수를 유선 1/2 ~ 2/3시기에 수확하여 벙커 사일로에서 시일리지를 제조하고자 할 때 가장 적당한 수분함량은 67 ~ 7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설명하고 있는 식물은?

  1. 알사이크클로버
  2. 레드클로버
  3. 라디노클로버
  4. 스무드브롬그라스
(정답률: 52%)
  • 해당 식물은 "라디노클로버"이다. 그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는 잎이 세 잎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라디노클로버는 세 잎 클로버라고도 불리며, 아일랜드의 상징적인 식물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건초제조 중의 양분손실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잎의 탈락에 의한 손실
  2. 강우에 의한 용탈 손실
  3. 식물의 호흡에 의한 손실
  4. 예취시기에 의한 손실
(정답률: 57%)
  • 예취시기에 의한 손실은 건초를 수확하기 전에 식물이 노화되어 양분이 감소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건초 제조 중의 양분손실 조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건초 제조 중에 발생하는 양분 손실 조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