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5-09)

축산산업기사
(2010-05-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가축번식 육종학

1. 옥시토신(oxytoci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된다.
  2. 신경과 혈관의 평활근을 수축시긴다.
  3. 자궁 근육의 강한 수축을 위해서는 estrogen의 자극이 있어야 한다.
  4. 유선 세포의 발육을 촉진한다.
(정답률: 62%)
  • 자궁 근육의 강한 수축을 위해서는 estrogen이 자극을 주기 때문이다. 옥시토신은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며, 주로 분만과 수유에 관련된 호르몬으로 작용한다. 또한, 유선 세포의 발육을 촉진하고, 신경과 혈관의 평활근을 수축시키는 역할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동물의 질병 및 장해 중 아래 설명에 적합한 것은?

  1. 프리마틴
  2. 이상발정
  3. 비브리오균
  4. 트리코모나스병
(정답률: 66%)
  • 위 그림은 성기 질환 중 하나인 트리코모나스병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트리코모나스병은 성병으로, 성관계를 통해 전파됩니다. 이 질병은 성기 부위의 가려움증, 붉은색 발진, 이상발정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나타나는 증상들은 트리코모나스병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어떤 개체가 지니고 있는 뛰어나게 우수한 형질을 자손에게 확실하게 유전시키는 것은?

  1. 특성유전
  2. 강력유전
  3. 선부유전
  4. 귀선유전
(정답률: 77%)
  • 강력유전은 어떤 개체가 지니고 있는 뛰어난 형질이 자손에게 확실하게 유전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해당 형질이 지배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자손이 그 형질을 지니면 반드시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강력유전은 다른 유전 방식들보다 형질이 확실하게 유전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정소에서 분비되는 androgen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수컷의 제 2차 성징 발현
  2. 세포의 질소 축적에 의한 근골격의 성장
  3. 음낭내의 온도 조절 작용
  4. 암컷에서 LH의 분비 촉진 및 FSH분비 억제
(정답률: 69%)
  • 암컷에서는 androgen이 분비되지 않기 때문에, "암컷에서 LH의 분비 촉진 및 FSH분비 억제"는 androgen의 기능이 아닙니다. Androgen은 수컷의 제 2차 성징 발현, 세포의 질소 축적에 의한 근골격의 성장, 음낭내의 온도 조절 작용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불임과 관계있는 황체는?

  1. 발정황체
  2. 진성황체
  3. 임신황체
  4. 영구황체
(정답률: 72%)
  • 영구황체는 임신이 되지 않은 경우에도 계속해서 분비되는 황체이며, 이로 인해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임신과 관련된 황체들이므로, 불임과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Landrace종의 평균 산자수가 12두, Yorkshire종의 평균 산자수가 10두이고, 이들 교배에 F1 의한 의 평균 산자수가 14두인 경우 대략 잡종강세 강도는?

  1. 약 24.3%
  2. 약 27.3%
  3. 약 29.3%
  4. 약 31.3%
(정답률: 77%)
  • 잡종강세 강도는 F1 세대의 평균 산자수가 두 부모종의 평균 산자수의 평균보다 얼마나 큰지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잡종강세 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평균 산자수의 평균 - F1 세대의 평균 산자수) / 평균 산자수의 평균 x 100

    따라서, Landrace종과 Yorkshire종의 평균 산자수의 평균은 (12 + 10) / 2 = 11이다. 이에 대한 계산을 하면,

    (11 - 14) / 11 x 100 = 약 -27.3

    따라서, 잡종강세 강도는 약 27.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렙토스피라병(Leptospirosis)은 주로 어떤 가축에서 유산을 일으키는가?

  1. 토끼
(정답률: 68%)
  • 렙토스피라균은 주로 소의 소변에서 발견되며, 소가 가장 대표적인 유산원 동물이기 때문에 렙토스피라병은 주로 소에서 유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난소의 기능이상에 의한 번식장해 현상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난포발육과 배란이 비정상적으로 된다.
  2. 무발정이 지속된다.
  3. 이상발정이 유발된다.
  4. 후산정체를 일으키기 쉽다.
(정답률: 76%)
  • 후산정체는 난소의 기능이상으로 인해 생기는 것이 아니라 자궁 혹은 자궁 경부의 이상으로 인해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난소의 기능이상에 의한 번식장해 현상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가축의 임신기간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소의 경우 태아가 암컷일 때는 수컷일 때보다 임신기간이 짧다.
  2. 소의 경우 쌍태는 성(性)에 관계없이 단태일 때보다 임신기간이 5~6일 길다.
  3. 초산우는 경산우보다 임신기간이 짧다.
  4. 임신기간은 태아의 내분비 기능에 의하여서도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53%)
  • 임신기간은 태아의 내분비 기능에 의하여서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잘못된 설명이 아닙니다.

    소의 경우 쌍태는 성(性)에 관계없이 단태일 때보다 임신기간이 5~6일 길다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쌍태에서는 태아들이 서로 경쟁하여 성장하게 되어 임신기간이 더 길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정액의 동결보존과정에서 동해방지제로 이용되는 물질이 아닌 것은?

  1. Glycerin
  2. DMSO
  3. Glucose
  4. Penicillin
(정답률: 64%)
  • 정액의 동결보존과정에서 동해방지제로 이용되는 물질은 세포막을 파괴하는 성질을 가진 물질로, 세포막을 파괴하여 세포내부의 물질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Penicillin은 세포막을 파괴하지 않으므로 동해방지제로 이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품종의 특징을 유지하면서 축군의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이용되는 교배법은?

  1. 이계교배(outbreeding)
  2. 반형매간교배
  3. 전형매간교배
  4. 부모와 자식간 교배
(정답률: 66%)
  • 이계교배는 서로 다른 품종이나 종의 개체들을 교배하여 새로운 유전적 다양성을 만들어내는 교배법이다. 이를 통해 축군의 유전적 다양성을 높이고, 새로운 유전적 특성을 도입하여 축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계교배가 품종의 특징을 유지하면서 축군의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이용되는 교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난관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난관간막에 의하여 유지되고 있는 난소와 자궁각으로 연결된 도관이다.
  2. 난소 근처에 있는 난관채, 난관팽대부, 난관협부와 자궁각과 연결되는 자궁난관 접속부에 의하여 자궁과 연결된다.
  3. 난관채는 아주 두꺼운 막으로 되어 있어 모세관혈관이 불량하다.
  4. 난관벽은 점막, 근층, 장막의 3층으로 되어 있다.
(정답률: 74%)
  • "난관채는 아주 두꺼운 막으로 되어 있어 모세관혈관이 불량하다."는 난관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이다. 난관채는 모세관혈관과 함께 난관벽 내에 위치하며, 난관채 내의 혈액순환을 도와준다. 따라서 모세관혈관이 불량하다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종모돈 선발시 주요 경제형질이 아닌 것은?

  1. 사료요구율
  2. 등지방두께
  3. 비유능력
  4. 일당증체량
(정답률: 59%)
  • 종모돈 선발시 주요 경제형질은 사료요구율, 등지방두께, 일당증체량이다. 이 중 비유능력은 경제적인 가치가 없는 형질로, 종모돈 선발시에는 고려되지 않는다. 비유능력은 돈사육에 있어서는 중요하지 않은 형질이며, 따라서 종모돈 선발시에는 고려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강력 유전과 관련이 있는 교배 방법은?

  1. 계통교배
  2. 근친교배
  3. 누진교배
  4. 순종교배
(정답률: 70%)
  • 근친교배는 가까운 친척 사이에서 교배를 하는 것으로, 같은 유전자를 가진 개체끼리 교배하므로 강력한 유전적 특성을 유전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강력 유전과 관련이 있는 교배 방법은 근친교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잡종강세 현상이 잘 나타난 노새를 만드는 교배법은?

  1. 숫당나귀 × 암말
  2. 숫말 × 암당나귀
  3. 수소 × 암당나귀
  4. 수탕나귀 × 암소
(정답률: 64%)
  • 잡종강세 현상은 서로 다른 두 종의 유전자를 조합하여 새로운 개체를 만들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노새를 만들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두 종의 동물을 교배해야 합니다. 그 중에서도 "숫당나귀 × 암말"은 숫당나귀의 염색체가 63개, 암말의 염색체가 64개로 서로 다른 염색체 수를 가지고 있어서 잡종강세 현상이 잘 나타나는 교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일반적인 돼지의 배란시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발정개시후 약 8 시간 정도
  2. 발정개시후 약 15 시간 정도
  3. 발정개시후 약 36 시간 정도
  4. 발정개시후 약 61 시간 정도
(정답률: 60%)
  • 돼지의 배란시기는 발정 개시 후 약 36시간 정도가 가장 적합하다. 이는 돼지의 발정 주기가 약 21일이며, 발정 개시 후 약 36시간이 지나면 난자가 완전히 성숙하여 배란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시기에 수컷과 교배를 시키면 임신 확률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소에 있어 분만 후 자궁이 회복되는 기간은?

  1. 1주일 이내
  2. 10~20일
  3. 30~45일
  4. 4~5개월
(정답률: 69%)
  • 분만 후 자궁이 회복되는 기간은 출산 후 2~3주 동안 자궁 수축이 이루어지며, 이후 30~45일 정도가 걸려 자궁이 원래 크기로 회복되기 때문입니다. 이 기간 동안 산후 검사를 받아야 하며, 이전에 있었던 자궁 수축이나 출혈 등의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0~45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산란계의 선발요건으로 부적당한 것은?

  1. 다산일 것
  2. 산란기간 내 폐사율이 적을 것
  3. 몸의 크기가 클 것
  4. 사료 이용성이 좋을 것
(정답률: 84%)
  • 몸의 크기가 클수록 산란능력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몸의 크기가 클 것은 적절한 선발요건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재래종( )에 개량종 ( )을 3세대간 누진교배시켰을 때 나타난 자손이 재래종 유전자를 가지는 비율은?

  1. 50%
  2. 30%
  3. 25.5%
  4. 12.5%
(정답률: 69%)
  • 누진교배란 한 종의 개체를 다른 종의 개체와 교배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 문제에서는 재래종과 개량종을 교배시키는 것이다.

    누진교배를 할 때는 두 종의 개체가 가지고 있는 염색체를 세대간에 교차시켜서 자손을 만들어낸다. 이 때, 각 염색체는 무작위로 조합되기 때문에 자손은 부모의 유전자를 랜덤하게 상속받는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재래종과 개량종을 교배시킨 후, 그 자손들이 재래종 유전자를 가지는 비율을 구하는 것이다.

    재래종은 AA 유전자를 가지고 있고, 개량종은 aa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누진교배를 3세대까지 한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은 유전자 조합이 가능하다.

    1세대: Aa (재래종 유전자를 가진다)
    2세대: Aa x Aa → AA, Aa, Aa, aa (재래종 유전자를 가진 자손은 2개)
    3세대: AA x aa → Aa, Aa, Aa, Aa (재래종 유전자를 가진 자손은 4개)

    따라서, 3세대에서 재래종 유전자를 가진 자손의 비율은 4/32 = 1/8 = 12.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뇌하수체 전염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1. 안드로젠(androgen)
  2. 옥시토신(qxytocin)
  3. 멜라닌(melanin)
  4. 난포자극호르몬(FSH)
(정답률: 75%)
  • 뇌하수체는 생식기능을 조절하는 여러 가지 호르몬을 분비합니다. 그 중에서도 난포자극호르몬(FSH)은 여성의 난소에서 난포의 성장과 발달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뇌하수체 전염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중에서는 난포자극호르몬(FSH)이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가축사양학

21. 옥수수의 사료가치를 잘못 설명한 것은?

  1. 황색 옥수수는 카로틴을 함유하고 있어 비타민 A의 효과가 높다.
  2. 옥수수는 niacin이 보리, 밀 등에 비하여 적다.
  3. 옥수수는 곡류 중에서 조단백질 함량이 비교적 낮은 편이고 질도 좋지 않다.
  4. 옥수수는 열량이 높고 경성지방 사료이므로 비육용 사료로 좋다.
(정답률: 54%)
  • 옥수수는 열량이 높고 경성지방 사료이므로 비육용 사료로 좋다는 것이 잘못 설명된 것은 아니지만, 다른 보기들은 옥수수의 사료가치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옥수수가 가지고 있는 영양소나 성분들을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옥수수는 niacin이 보리, 밀 등에 비하여 적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가축이 영양소를 섭취하여 체내에서 영양소를 활용하는 순서 중 제일 늦은 것은?

  1. 지방조직
  2. 골격
  3. 신경조직
(정답률: 70%)
  • 가축이 영양소를 섭취하면 먼저 소화기관에서 소화되어 흡수되고, 혈액을 통해 각 조직으로 운반됩니다. 이후에는 영양소가 필요한 조직에서 활용되어 에너지나 구조물 등으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지방조직은 에너지 저장소로서, 다른 조직에서 필요한 에너지가 부족할 때에만 사용됩니다. 따라서 가축이 영양소를 섭취하여 체내에서 영양소를 활용하는 순서 중 제일 늦은 것은 "지방조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펠렛(pellet)형태 사료를 급여할 때의 효과 중 부적당한 것은?

  1. 소화율이 개선된다.
  2. 유지율이 크게 증가된다.
  3. 가축의 선택적 채식이 방지된다.
  4. 짧은 시간이 많은 사료를 먹일 수 있다.
(정답률: 69%)
  • 정답: 유지율이 크게 증가된다.

    설명: 펠렛 사료는 소화율이 개선되어 소화기능이 약한 가축에게 좋은 영양소 공급원이 됩니다. 또한 펠렛 사료는 일정한 크기와 모양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가축이 선택적 채식을 하지 않고 균형잡힌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습니다. 또한 펠렛 사료는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을 먹일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비타민 D3의 영향력이 가장 큰 가축은?

  1. 토끼
  2. 돼지
(정답률: 68%)
  • 닭은 비타민 D3을 자연스럽게 합성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서, 비타민 D3의 영향력이 가장 큰 가축 중 하나입니다. 다른 가축들은 비타민 D3을 합성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충분한 양의 자외선을 받거나, 비타민 D3이 첨가된 사료를 섭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가소화영양소 총량(TDN: Total digestive nutrient)을 구하는 식으로 ( )속에 들어갈 숫자는?

  1. 1.25
  2. 2.25
  3. 3.25
  4. 4.25
(정답률: 79%)
  • 가소화영양소 총량(TDN)은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

    TDN = 소화율(DDM) + 소화율이 낮은 섬유성분(ADF) × 0.8

    따라서, TDN = 60 + 15 × 0.8 = 72

    즉, 정답은 2.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으로 표현되는 단백질 평가법은 무엇인가?

  1. 가소화단백질
  2. 단백질 효율
  3. 단백질 생물가
  4. 정미단백질 이용률
(정답률: 56%)
  • 이 그림은 "단백질 생물가"를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인 "가소화단백질"을 이용한 것입니다. 가소화단백질은 소화기에서 소화되어 흡수되는 단백질의 양을 의미하며, 이는 단백질의 효율과 생물가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단백질 생물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영양결핍 또는 독성물질은 산란율과 부화율 모두에 악영향을 미친다. 다음 중 영양결핍에 따른 배자의 상태로 틀린 것은?

  1. 비타민 A : 부화 2~3일째 사망, 정상적인 혈액의 발육 실패
  2. 리보플라빈 : 부화 9~14일째 사망, 수종, 기형의 발, 발가락 위축, 왜소증
  3. 판오텐산 : 비정상적인 깃털, 발생되지 못한 배자의 피하출혈
  4. 칼슘 : 부화 14~18일째 사망, 연약한 부리와 다리, 부화율 감소
(정답률: 50%)
  • 칼슘 결핍은 부화 14~18일째에 발생하며, 이로 인해 배아의 부리와 다리가 연약해지고 부화율이 감소한다. 이는 칼슘이 뼈와 근육 등의 발육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반추동물의 소화기관 중 섭취한 영양소를 가장 왕성하게 흡수하는 곳은?

  1. 소장
  2. 반추위
  3. 대장
  4. 식도
(정답률: 76%)
  • 소장은 소화과정에서 섭취한 영양소를 가장 왕성하게 흡수하는 장기이다. 소장은 장벽이 매우 많아져 흡수면적이 크게 늘어나고, 미세조직 구조도 복잡하여 영양소가 흡수되는 표면적이 더욱 늘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소장 내부에는 유익한 세균이 많아져 영양소 흡수를 돕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반추동물의 소화기관 중 섭취한 영양소를 가장 왕성하게 흡수하는 곳은 소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동물이 섭취한 영양소들을 소화기관 내에서 작용하는 소화 효소에 의해 분해 흡수되는데 다음 중 영양소와 이들의 분해 소화효소를 잘못 연결한 것은?

  1. 전분 – 리파아제
  2. 단백질 - 펩신
  3. 단백질 – 트립신
  4. 지방 - 담즙산
(정답률: 62%)
  • 전분은 탄수화물의 일종으로, 소화 효소로는 아미라제가 분해합니다. 따라서 "전분 - 리파아제"는 올바르지 않은 연결입니다. 리파아제는 지방을 분해하는 소화 효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가축에 옥수수-대두박 위주 사료 급여시 부족하기 쉬운 제 1, 2 필수 아미노산은?

  1. 히스티딘(histidine) - 라이신(lysine)
  2. 메치오닌(methionine) - 발린(valine)
  3. 메치오닌(methionine) - 라이신(lysine)
  4. 라이신(lysine) - 발린(valine)
(정답률: 70%)
  • 옥수수와 대두박은 메치오닌과 라이신의 함량이 낮기 때문에, 이 두 아미노산이 부족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이 두 아미노산을 보충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젖소의 산유량 증진, 피부병 및 젖소의 발굽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비타민은 어느 것인가?

  1. 비타민 K
  2. 비타민 D
  3. 바이오틴(Biotin)
  4. 콜린(Choline)
(정답률: 42%)
  • 바이오틴은 젖소의 산유량을 증진시키고, 피부병 및 발굽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비타민입니다. 이는 바이오틴이 단백질 합성과 지방산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바이오틴은 소화기관에서 유익한 세균의 성장을 촉진시켜 소화기능을 개선시키는 효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바이오틴은 젖소의 건강과 생산성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설명 중 ( )안에 적합한 용어는?

  1. 시스틴
  2. 발린
  3. 트레오닌
  4. 라이신
(정답률: 82%)
  • 이 그림은 아미노산 구조를 보여주는데, 라이신은 알파-아미노기와 측쇄기 모두를 가지고 있으며, 그림에서 보면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라이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강피류 사료의 영양적 특성을 기술한 것 중 틀린 것은?

  1. 조단백질 및 인의 함량은 곡류보다 높다.
  2. 곡류에 비하여 부피가 크고 전분은 적다.
  3. 조섬유 함량은 높고 에너지는 곡류보다 낮다.
  4. 영양소가 풍부하여 제한아미노산이 없다.
(정답률: 70%)
  • "영양소가 풍부하여 제한아미노산이 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강피류 사료는 조단백질과 인의 함량이 높고, 조섬유 함량이 높으며 에너지는 곡류보다 낮습니다. 그러나 강피류 사료에는 메티오닌과 시스테인 등의 제한아미노산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대란 한 개에 축적되는 에너지는 대략 얼마인가?

  1. 110kcal
  2. 50kcal
  3. 70kcal
  4. 90kcal
(정답률: 49%)
  • 한 개의 대란에는 약 90kcal의 에너지가 축적되어 있습니다. 이는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등의 영양소가 적절하게 혼합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동물체 간과 근육에 있는 탄수화물은?

  1. dextrin
  2. glycogen
  3. inulin
  4. starch
(정답률: 80%)
  • 동물체 간과 근육은 에너지 저장을 위해 탄수화물을 저장합니다. 이때 저장되는 탄수화물은 긴 분자 구조를 가진 다당체인 glycogen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glycoge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브로일러 초생추의 NRC 단백질 요구량은 얼마인가?

  1. 8%
  2. 12%
  3. 18%
  4. 23%
(정답률: 66%)
  • 브로일러 초생추의 NRC 단백질 요구량은 23%이다. 이는 브로일러 초생추가 성장하고 근육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단백질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다른 보기들보다 높은 이유는 브로일러 초생추가 빠른 성장과 근육 형성을 위해 많은 양의 단백질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젖소의 관리에 있어서 분만예정 3주전 쯤부터 곡류사료를 서서히 증가시켜 체중의 1.0~1.5% 증량 급여하는 사육 방법은?

  1. 보상사육
  2. 유도사육
  3. 제한사육
  4. 계단식사육
(정답률: 59%)
  • 유도사육은 분만예정 3주전 쯤부터 젖소의 체중을 서서히 증가시켜 체중의 1.0~1.5% 증량 급여하는 사육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젖소의 체중을 서서히 증가시켜 체내 에너지 저장량을 높이고, 분만 후에도 충분한 에너지를 공급하여 분만 후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다. 따라서 유도사육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의 불포화지방산 중에서 필수지방산이 아닌 것은?

  1. arachidonic acid
  2. oleic acid
  3. linoleic acid
  4. linolenic acid
(정답률: 69%)
  • 정답은 "oleic acid"입니다. 이는 필수지방산이 아닌 단일 불포화지방산으로, 우리 몸에서 합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arachidon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는 우리 몸에서 합성할 수 없는 필수지방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비육 중 육지방(肉脂防)을 단단한 지방(硬脂肪)으로 만드는 사료는?

  1. 쌀겨
  2. 보리
  3. 옥수수
  4. 대두박
(정답률: 68%)
  • 보리는 비육 중 육지방을 단단한 지방으로 만드는 사료로 사용됩니다. 이는 보리가 고전적인 사료 중 하나로, 단백질 함량이 낮고 지방 함량이 높아 비육 중 육지방을 단단한 지방으로 만들기에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보리는 소화가 잘 되어 소화기능을 향상시키고, 비육 중에도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지방보정유로 환산하는 공식에서 F.C.M(Fat Correct Milk) = 0.4M + 15F인데 여기서 F가 나타내는 것은?

  1. 체세포수
  2. 유지방량
  3. 유량
  4. 유단백질량
(정답률: 74%)
  • F는 우유 중의 지방량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F.C.M = 0.4M + 15F에서 F.C.M은 지방보정유, M은 우유 중의 유단백질량을 나타내며, F는 우유 중의 지방량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지방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축산경영학

41. 축산경영의 4대 요소로만 구성된 것은?

  1. 토지, 농기구, 노동, 경영기술
  2. 토지, 자본, 노동, 경영기술
  3. 자연, 가축, 자본, 경영기술
  4. 자연, 노동, 가축, 경영기살
(정답률: 78%)
  • 축산경영에서 가장 중요한 자원은 땅이며, 이를 이용하여 가축을 기르기 위해서는 농기구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이를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노동력과 경영기술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축산경영의 4대 요소는 토지, 자본, 노동, 경영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사육목적에 따른 분류에 있어 모돈을 사육하여 자돈을 생산하고, 생산된 자돈을 비육하여 판매하는 경영형태를 나타내는 것은?

  1. 일관경영
  2. 번식전문경영
  3. 비육전문경영
  4. 비육복합경영
(정답률: 73%)
  • 일관경영은 모돈을 사육하여 자돈을 생산하고, 생산된 자돈을 비육하여 판매하는 경영형태를 말합니다. 즉, 사육과 비육을 모두 수행하는 종합적인 경영 방식입니다. 이에 비해 번식전문경영은 번식에만 집중하고, 비육전문경영은 비육에만 집중하는 경영 방식이며, 비육복합경영은 비육과 다른 동물들을 함께 사육하는 종합적인 경영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1일 유대가 6000원, 1일 급여 농후 사료대가 1800원이었다. 유사비(乳飼費)는 얼마인가?

  1. 25%
  2. 30%
  3. 35%
  4. 40%
(정답률: 68%)
  • 유대가와 급여 농후 사료대의 비율을 구해보자.

    유대가 : 급여 농후 사료대 = 6000 : 1800 = 3 : 1

    즉, 유사비는 3 : 1이다.

    유사비가 3 : 1일 때, 유사비는 전체의 75%이고, 급여 농후 사료대는 전체의 25%이다.

    따라서, 유사비는 75% - 25% = 50%이고, 이를 3으로 나누면 16.67%가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유사비가 아니라 유대가를 구하는 것이므로, 유사비인 16.67%를 3으로 곱해주면 된다.

    16.67% × 3 = 50%

    즉, 유사비는 전체의 50%이고, 유대가는 전체의 30%이다.

    따라서, 정답은 "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축산경영의 조직 결정시 고려햐여야 할 경제적 조건이 아닌 것은?

  1. 축산물의 가격정책
  2. 축산물이나 물자의 문전가격
  3. 시장의 대소와 그 질
  4. 목장과 시장과의 경제적 거리
(정답률: 46%)
  • 축산물의 가격정책은 경제적인 조건 중 하나이지만, 조직 결정시 고려해야 할 경제적 조건이 아닙니다. 이유는 축산물의 가격정책은 외부적인 요인으로서 조직 내부에서 직접적으로 조절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직 내부에서 고려해야 할 경제적 조건은 축산물이나 물자의 문전가격, 시장의 대소와 그 질, 목장과 시장과의 경제적 거리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비육돈경영에서 노동생산성(Y/L)을 요인별로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거리가 먼 것은? (단, Y : 순생산액, L : 투하노동량, N : 사양규모, P : 판매비육돈두수)

(정답률: 65%)
  • 노동생산성(Y/L)을 요인별로 분해한 식에서 거리가 먼 것은 ""이다. 이는 판매비육돈두수(P)와 사양규모(N)의 곱으로 이루어진 항으로, 다른 항들은 모두 Y/L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면 이 항은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항은 다른 항들과는 달리 경영상의 전략적인 선택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요인이 많아 예측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농업노동력의 특수성에 대한 내용 중 맞지 않는 것은?

  1. 노동의 이동성
  2. 노동감독의 편리성
  3. 노동의 계절성
  4. 노동과정의 불연속성
(정답률: 68%)
  • 농업노동력은 노동의 이동성이 낮고, 노동의 계절성이 높으며, 노동과정의 불연속성이 크다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노동감독의 편리성은 농업노동력의 특수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노동감독의 편리성"이 맞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축산경영의 일반적 특징에 해당되는 것은?

  1. 농업의 안전화
  2. 생산물의 저장증진
  3. 자금회전의 원활화
  4. 생활수단의 자급화
(정답률: 47%)
  • 축산경영의 일반적 특징은 "생산물의 저장증진"입니다. 이는 축산물의 생산이 계절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산량이 많은 시기에는 저장하여 수급 부족 시에도 안정적인 공급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축산물의 가격 변동이 크기 때문에 저장을 통해 가격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생산비계산의 대상조건이 아닌 것은?

  1. 경제가치의 개념으로서 화폐가액으로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
  2. 경제가치가 목적하는 축산물의 생산에 소비된 사실이 명확히 나타나야 한다.
  3. 정상적인 생산활동에 소비된 것이어야 한다.
  4. 양축가에서 자급되는 재화는 생산비계산에서 제외된다.
(정답률: 70%)
  • 양축가에서 자급되는 재화는 생산비계산에서 제외된다. 이유는 이러한 재화는 시장에서 구매되지 않기 때문에 경제가치를 화폐가액으로 표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생산비계산에서는 시장에서 구매되는 재화와 서비스에 소비된 비용만을 고려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축산경영의 총투입자본 1000만원 중 300만원을 외부에서 빌렸을 때 자기자본은?

  1. 700만원
  2. 1000만원
  3. 300만원
  4. 1300만원
(정답률: 69%)
  • 자기자본 = 총투입자본 - 외부차입금
    따라서, 자기자본 = 1000만원 - 300만원 = 700만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축산기술의 진보는 축산농가의 생산함수를 변화시킨다. 옳지 않은 것은?

  1. 생산함수를 위로 이동시킨다.
  2. 같은 노동력으로 더 많은 생산물을 얻을 수 있다.
  3. 새롭게 개발된 사료를 소에게 같은 양 급여해도 이전보다 체중이 더 늘어난다.
  4. 기술개발에 따른 비용의 부담으로 축산물가격이 상승된다.
(정답률: 63%)
  • "기술개발에 따른 비용의 부담으로 축산물가격이 상승된다."는 옳지 않은 것이다. 기술개발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되어 더 많은 생산물을 생산할 수 있게 되면, 축산물의 공급량이 증가하게 되어 시장에서는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기술개발은 축산농가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비용을 절감하고, 축산물의 생산량을 늘려 시장에서 가격을 낮추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비육우를 사육하는 어느 농민이 여기에 투입된 가족노동력에 대한 비용을 산출하고자 한다. 가족노동력을 비육우 사업이 아닌 최선의 다른 곳에서 자기가 가진 기술로 월 3백만원의 소득을 올릴 수 있다고 하면 비육우 사육에 투입된 가족노동력은 월 3백만원으로 계산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제용어는?

  1. 한계수익
  2. 한계비용
  3. 가변비용
  4. 기회비용
(정답률: 58%)
  • 정답은 "기회비용"입니다. 기회비용은 어떤 선택을 하면서 포기한 대안의 비용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비육우 사육에 투입된 가족노동력이 최선의 다른 곳에서 월 3백만원의 소득을 올릴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비육우 사육에 투입된 가족노동력의 기회비용은 월 3백만원이 됩니다. 다시 말해, 비육우 사육으로 인해 포기한 다른 소득을 기회비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고정자본재의 감가상각비 계산을 위하여 필요한 항목으로만 옳게 표시된 것은?

  1. 유동자본재 초기 평가액, 시장가격, 내용년수
  2. 고정자본재 초기 평가액, 잔존가격, 내용년수
  3. 고정자본재 초기 평가액, 시장가격, 사용년수
  4. 유동자본재 초기 평가액, 잔존가격, 사용년수
(정답률: 80%)
  • 고정자본재의 감가상각비는 해당 자산의 초기 평가액과 잔존가격, 그리고 내용년수에 따라 계산됩니다. 초기 평가액은 자산을 처음 구입할 때의 가격을 의미하며, 잔존가격은 자산을 폐기할 때의 가격을 의미합니다. 내용년수는 해당 자산이 사용 가능한 기간을 의미하며, 이를 기반으로 감가상각비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고정자본재 초기 평가액, 잔존가격, 내용년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부채비율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은?

  1. 부채 / 자기자본
  2. 자기자본 / 부채
  3. 타인자본 / 부채
  4. 자기자본 / 단기부채
(정답률: 70%)
  • 부채비율은 기업의 부채와 자기자본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부채 / 자기자본"이 가장 잘 나타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부채가 많아져 재무적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채비율이 낮을수록 기업의 재무 건전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육계(브로일러) 경영에서 평사식 사육방법이 입체식 사육방법보다 불리한 것은?

  1. 사료 이용율이 높다.
  2. 발육성적이 양호하다.
  3. 토지와 건물비가 높다
  4. 노동생산성이 높다.
(정답률: 75%)
  • 평사식 사육방법은 입체식 사육방법보다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토지와 건물비가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육계(브로일러) 경영에서는 평사식 사육방법보다 입체식 사육방법이 더 경제적인 선택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산란계 경영에서 유동비용에 속하는 것은?

  1. 산란계상각비
  2. 계사
  3. 자동급이기
  4. 사료비
(정답률: 68%)
  • 유동비용은 회사의 일시적인 운영 비용으로, 일반적으로 매달 발생하는 비용을 말합니다. 산란계 경영에서 유동비용에 속하는 것은 사료비입니다. 이는 닭들이 생산하는 알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사료를 구매하는 비용으로, 매달 발생하는 비용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산란계 경영에서 필요한 장비나 시설 등의 비용으로, 일시적인 비용이 아닌 장기적인 비용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1일 유대가 50,000원이었다. 1일 허용사료비는 약 얼마인가?

  1. 20,000원
  2. 30,000원
  3. 40,000원
  4. 50,000원
(정답률: 56%)
  • 허용사료비는 유대의 60%로 정해져 있으므로, 50,000원의 60%를 계산하면 30,000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자금회전이 가장 빠른 축종은?

  1. 육계
  2. 비육돈
  3. 육우
  4. 번식돈
(정답률: 73%)
  • 육계는 성장속도가 빠르고 출하기간이 짧아 자금회전이 빠른 축종입니다. 또한 사육비용이 상대적으로 적고 수확량이 많아 경제적인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생산조직에 따른 경영형태에 속하는 것은?

  1. 공동경영
  2. 복합경영
  3. 양돈경영
  4. 전업경영
(정답률: 42%)
  • 복합경영은 여러 종류의 작물 또는 가축을 함께 생산하는 경영형태로, 다양한 생산조직을 융합하여 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복합경영은 생산조직에 따른 경영형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어떤 육계경영농가에서 평균고정비용 100,000원, 평균유동비용 200,000원, 총고정비용 2,000,000원, 총 유동비용 4,000,000원이 투입되었다면 평균총비용은 얼마인가?

  1. 300,000원
  2. 2,300,000원
  3. 6,200,000원
  4. 6,300,000원
(정답률: 56%)
  • 평균총비용은 평균고정비용과 평균유동비용의 합이므로 100,000원 + 200,000원 = 300,000원이다. 총비용은 고정비용과 유동비용의 합이므로 2,000,000원 + 4,000,000원 = 6,000,000원이다. 하지만 평균총비용은 총비용을 생산량으로 나눈 값이 아니므로, 생산량이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총비용과는 무관하다. 따라서 정답은 "30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주어진 생산자원으로 동일한 생산과정에서 두 생산물(Y1, Y2)이 경합될 때, 이들 생산물은 어떤 관계인가?

  1. 보완관계
  2. 보합관계
  3. 결합관계
  4. 경합관계
(정답률: 71%)
  • 경합관계는 주어진 생산자원으로 두 생산물이 경쟁하여 생산되는 관계를 의미합니다. 즉, 생산자원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Y1 생산량이 증가하면 Y2 생산량은 감소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Y1과 Y2는 경합관계에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사료작물학

61. 다음 연맥의 특성을 설명한 것 중 부적합한 것은?

  1. 맥류 중에서 가장 목초에 가깝다.
  2. 이삭이 나와도 다른 맥류보다 줄기가 굳어지는 것이 느리다.
  3. 다른 맥류보다 추위에 강하다.
  4. 단경기 재배에 알맞다.
(정답률: 56%)
  • "이삭이 나와도 다른 맥류보다 줄기가 굳어지는 것이 느리다."는 연맥의 특성 중 부적합한 것입니다. 이유는 이삭이 나와도 줄기가 굳어지는 속도는 다른 맥류와 큰 차이가 없기 때문입니다.

    연맥이 다른 맥류보다 추위에 강한 이유는, 겨울철에도 생존력이 강하고, 봄에는 빠른 생장력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연맥은 높은 단백질 함량과 영양분이 풍부하며, 단경기 재배에도 알맞습니다. 또한, 맥류 중에서 가장 목초에 가깝다는 특성은 연맥이 높은 생육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건초용 화본과 목초의 예취적기는?

  1. 출수전
  2. 수잉기~출수초
  3. 개화초~만화기
  4. 개화이후
(정답률: 73%)
  • 건초용 화본과 목초의 예취적기는 "수잉기~출수초"이다. 이는 건초를 만들기에 가장 적합한 시기로, 이 기간에는 식물의 영양분이 가장 풍부하고 수분도 적당하며, 햇빛도 충분하다. 따라서 건초를 만들기에 가장 적합한 시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두과식물 중 영년생(다년생)인 것은?

  1. 알팔파
  2. 레드클로버
  3. 크림손클로버
  4. 알사이크클로버
(정답률: 70%)
  • 알팔파는 다년생 식물이다. 이는 식물의 이름에서 알 수 있다. "알"은 "다"를 의미하고, "팔파"는 "년생"을 의미한다. 따라서 알팔파는 영년생(다년생) 식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해충의 종류를 근계 및 지하경을 가해하는 해충과 지상부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구분할 때 목초의 지상부에 해를 주지 않는 해충은?

  1. 애멸구
  2. 멸강나방류
  3. 조명나방
  4. 방아벌레류
(정답률: 57%)
  • 해충의 종류를 근계 및 지하경을 가해하는 해충과 지상부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구분할 때, 목초의 지상부에 해를 주지 않는 해충은 방아벌레류입니다. 이는 방아벌레류가 주로 나무, 나뭇잎, 꽃 등의 식물의 껍질, 줄기, 뿌리 등을 먹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아벌레류는 목초의 지상부에 직접적인 해를 주지 않으며, 오히려 식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옥수수의 수확적기는 출사 후 언제가 적기인가?

  1. 5~10일
  2. 20~25일
  3. 40~45일
  4. 60~65일
(정답률: 52%)
  • 옥수수는 일반적으로 출사 후 40~45일이 지난 후에 수확이 적기 때문입니다. 이는 옥수수가 성장하는 기간과 수확 가능한 시기를 고려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이 기간 이전이나 이후에 수확을 하면 옥수수의 품질이 떨어지거나 수확량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가축이 사료작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는 주요 영양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광물질과 비타민
  2. 섬유소
  3. 가소화단백질
  4. 리그닌
(정답률: 59%)
  • 리그닌은 식물의 성장과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가축이 소화하거나 이용하기 어려운 성분입니다. 따라서 가축이 사료작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는 주요 영양소는 광물질과 비타민, 섬유소, 가소화단백질이지만, 리그닌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사일리지의 발효품질에는 밀봉상태, 수분함량, 당 및 온도 등이 관여한다. 다음의 (a)와 (b)의 조건에서 나타나는 발효품질이 바르게 연결되어 있는 것은?

  1. (a) 불량, (b) 불량
  2. (a) 양호, (b) 불량
  3. (a) 불량, (b) 양호
  4. (a) 양호, (b) 양호
(정답률: 66%)
  • (a) 양호, (b) 불량.

    밀봉상태가 양호하면 공기가 들어오지 않아서 발효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되고, 수분함량이 적당하면 발효균이 적절한 환경에서 활동할 수 있어서 발효품질이 좋아진다. 하지만 당이 많이 생성되면 과발효가 일어나서 발효품질이 떨어지고, 온도가 높으면 발효균이 죽어서 발효품질이 나빠진다. 따라서 (a) 양호, (b) 불량이 올바른 연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화본과 목초의 성장에 최적인 토양산도는?

  1. 3.0~4.0
  2. 4.0~5.0
  3. 5.5~6.8
  4. 7.0~8.5
(정답률: 64%)
  • 화본과 목초는 pH가 적절한 범위에서 가장 잘 성장하기 때문에, 토양산도는 화본과 목초의 성장에 최적인 pH 범위인 5.5~6.8이다. pH가 너무 낮으면 산성 토양으로 인해 화학적 요소가 부족해지고, pH가 너무 높으면 염기성 토양으로 인해 화학적 요소가 흡수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5.5~6.8의 pH 범위는 화본과 목초의 성장을 최적화하는데 가장 적합한 토양산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정착 초기 붕소(B)의 사용이 필요한 작물은?

  1. 오처드 그라스
  2. 수단그라스
  3. 레스페데자
  4. 알팔파
(정답률: 59%)
  • 알팔파는 다른 작물과 달리 뿌리가 깊게 자라는 특징이 있어서, 초기 생육 단계에서는 충분한 붕소 공급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착 초기 붕소(B)의 사용이 필요한 작물은 알팔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발형 상번초이면서 기호성이 좋고 유식물 활력과 초기 생육이 좋아 파종이 쉬우며 단기간의 수량도 높으나 월동율이 다소 떨어지는 사료작물은?

  1. 이탈리안라이그라스
  2. 페레니얼라이그라스
  3. 오처드그라스
  4. 톨페스큐
(정답률: 63%)
  • 이탈리안라이그라스는 다발형 상번초이면서 기호성이 좋고 유식물 활력과 초기 생육이 좋아 파종이 쉬우며 단기간의 수량도 높지만, 월동율이 다소 떨어지는 사료작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품종의 균일성이나 유전적인 순도면에서 가장 떨어지는 종자는?

  1. 기본종자
  2. 원종자
  3. 등록종자
  4. 보증종자
(정답률: 55%)
  • 보증종자가 품종의 균일성과 유전적인 순도면에서 가장 높은 이유는, 보증종자는 품종개량과정에서 엄격한 검사와 선발과정을 거쳐 생산된 종자로, 품종의 특성을 가장 잘 유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기본종자, 원종자, 등록종자는 보증종자보다는 검사와 선발과정이 덜 엄격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품종의 균일성과 유전적인 순도면에서는 보증종자보다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수분함량이 80%의 풀을 저장이 가능한 수분함량을 15%까지 건조한다면 재료 100kg에 대하여 몇 kg의 수분을 증발시켜야 하는가?

  1. 23.5kg
  2. 56.5kg
  3. 76.5kg
  4. 80.5kg
(정답률: 44%)
  • 원래 수분함량이 80%이므로, 100kg의 재료 중에 80kg는 수분이다. 이를 15%까지 건조한다는 것은 수분함량을 80%에서 15%만큼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따라서, 수분함량이 65%가 되어야 한다.

    즉, 100kg의 재료 중에 65kg는 수분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증발시켜야 하는 수분의 양은 80kg에서 65kg로 감소한 15kg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76.5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목초의 최종예취기는 일평균기온이 5℃ 되는 날로부터 며칠 전의 시기가 가장 좋은가?

  1. 10일
  2. 20일
  3. 30일
  4. 40일
(정답률: 49%)
  • 목초의 최종예취기는 일평균기온이 5℃ 이상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일교차가 크지 않은 봄철에 예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일평균기온이 5℃ 되는 날로부터 며칠 전의 시기가 가장 좋습니다. 이 시기는 대체로 40일 전쯤이며, 이때는 기온이 안정되어 있고, 습도도 적당하여 목초가 잘 마르고 보존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몇 개의 목구(牧區)로 분할하고 각 목구에 순차적으로 방목하는 집약적인 방목법이며 다년생 목초나 1년생 사료작물을 방목으로 이용할 경우 가장 알맞은 방목방법은?

  1. 윤환방목
  2. 계속방목
  3. 계목
  4. 고정방목
(정답률: 73%)
  • 윤환방목은 목구를 몇 개로 분할하고 각 목구에 순차적으로 방목하는 집약적인 방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다년생 목초나 1년생 사료작물을 방목으로 이용할 경우 가장 알맞은 방법이다. 이유는 윤환방목은 목초나 작물이 자라는 기간에 따라 목구를 순차적으로 방목하므로, 작물이 자라는 기간에 맞춰서 방목할 수 있어서 작물의 생육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윤환방목이 가장 적합한 방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호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호밀 속의 월연생 작물이다.
  2. 줄기 표면이 납(蠟, wax)으로 덮여 있다.
  3. 염색체는 2n = 14이다.
  4. 내한성은 강하나 토양 적응성이 낮다.
(정답률: 63%)
  • "내한성은 강하나 토양 적응성이 낮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호밀은 내한성이 강하고 광범위한 온도와 습도 조건에서 잘 자라지만, 토양 적응성이 낮아서 토양의 영양분과 수분을 잘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사일리지의 재료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수분이 많으면 양질의 발효를 기대하기 어렵다.
  2. 수분에 관계없이 산도(pH)가 4.5이하면 우수한 사일리지라고 할 수 있다.
  3. 수분이 많으면 누즙(삼출액)에 의한 손실은 적어진다.
  4. 수분이 적을수록 표면부패에 의한 손실은 적어진다.
(정답률: 51%)
  • "수분이 많으면 양질의 발효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유는 사일리지의 발효과정에서 산화적인 미생물이 증식하는데, 이들은 산소가 필요하다. 따라서 수분이 많으면 산소공급이 어려워져 발효가 원활하지 않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진압을 목적으로 파상롤러를 부착한 파종기를 사용할 때 가장 부적합한 토양은?

  1. 사양토
  2. 양토
  3. 흙덩이가 많은 토양
  4. 점토
(정답률: 60%)
  • 파상롤러를 부착한 파종기는 토양을 압축시켜야 하기 때문에 흙덩이가 많은 토양이나 사양토, 양토는 파종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지만, 점토는 고질적으로 압축성이 높아 파종기가 토양을 충분히 압축시키기 어려워 가장 부적합한 토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주요 목초 및 일반 사료작물의 생육 최저산도가 가장 낮은 것은?

  1. 레드톱
  2. 알팔파
  3. 보리
  4. 티머시
(정답률: 49%)
  • 레드톱은 겨울철에도 생육이 가능한 겨울작물로, 다른 작물들보다 생육 최저 온도가 낮기 때문에 가장 낮은 생육 최저 온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주요 목초 및 일반 사료작물 중에서 생육 최저 온도가 가장 낮은 것은 레드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청예수수를 조파할 때의 10a당 파종량은?

  1. 3~5kg
  2. 6~8kg
  3. 9~11kg
  4. 12~14kg
(정답률: 34%)
  • 청예수수는 대부분 씨앗을 직접 파종하여 재배하기 때문에 파종량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청예수수는 씨앗 하나당 크기가 크기 때문에 10a당 파종량이 많지 않습니다. 또한 청예수수는 생육기간이 길어 수확량이 많기 때문에 파종량이 너무 많으면 생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통 10a당 파종량은 3~5kg 정도로 설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방목강도는 방목시 생산된 풀을 어느 정도 섭취시킬 것인가 또는 몇 두의 가축을 방목시킬 것인가의 중요한 지표가 된다. 초지면적 30000m2에 체중 500kg의 젖소 18두를 방목 하려 할 경우, 이때 ha당 방목강도는 얼마인가?

  1. 4두
  2. 6두
  3. 8두
  4. 10두
(정답률: 65%)
  • 1ha는 10,000m2이므로, 30000m2는 3ha에 해당한다. 따라서, 1ha당 방목할 수 있는 젖소의 수는 18두 ÷ 3ha = 6두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