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8-30)

축산산업기사
(2009-08-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가축번식 육종학

1. 닭에서 Goodale 등이 제시한 초년도 산란수를 지배하는 요소인 것은?

  1. 조숙성
  2. 우모 발생속도
  3. 생존률
  4. 사료이용성
(정답률: 78%)
  • 닭의 초년도 산란수를 지배하는 요소는 조숙성입니다. 이는 닭이 출생 후 얼마나 빨리 성장하고 성숙해지느냐에 따라 산란이 시작되는 시기와 산란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우모 발생속도, 생존률, 사료이용성도 중요한 요소이지만, 조숙성은 이들 요소들과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아닌 것은?

  1. 성장호르몬
  2. 웅성호르몬
  3. 발정호르몬
  4. 황체호르몬
(정답률: 65%)
  • 정답: 성장호르몬

    설명: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지질성 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성장호르몬, 웅성호르몬, 발정호르몬, 황체호르몬 모두 스테로이드 호르몬에 속합니다. 따라서 이 중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아닌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일반적으로 유전력을 저도, 중도, 고도로 분류할 때 중도(中度)의 유전력의 범위는 몇 %인가?

  1. 10 ~ 20%
  2. 20 ~ 40%
  3. 40 ~ 50%
  4. 50 ~ 70%
(정답률: 80%)
  • 일반적으로 중도의 유전력 범위는 20 ~ 40%이다. 이는 유전적인 영향이 중요하지만, 환경적인 영향도 중요한 경우를 나타내며, 대부분의 특성이 이 범위 내에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이 범위는 유전적인 영향과 환경적인 영향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1년에 한번씩만 발정을 발현하는 단발정 동물은?

  1. 돼지
  2. 여우
(정답률: 69%)
  • 여우는 1년에 한번씩만 발정을 발현하는 단발정 동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종돈 능력 검정소에서 30kg 도달 일령이 84일인 종돈을 검정한 결과 90kg 도달 일령이 152일며, 검정기간동안 총사료 섭취량은 153kg 이었다면 사료요구율은?

  1. 2.45
  2. 2.55
  3. 2.65
  4. 2.75
(정답률: 62%)
  • 사료요구율은 도달일령당 총사료섭취량을 도달일령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사료요구율은 (153kg / (152일 - 84일)) / 30kg = 2.5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육우 품종 중 브라만, 쇼트혼과 헤어포드의 피가 일정한 비율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1. Galloway
  2. Santa Gertrudis
  3. Beefmaster
  4. Charbray
(정답률: 74%)
  • 브라만, 쇼트혼, 헤어포드 품종을 교배하여 만든 육우 품종이 Beefmaster이다. 따라서 이 품종은 브라만, 쇼트혼, 헤어포드의 피가 일정한 비율로 구성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그림은 어떤 교배인가?

  1. 순종교배
  2. 2품종간 교배
  3. 3품종간 교배
  4. 퇴교배
(정답률: 79%)
  • 이 그림은 3품종간 교배를 나타낸다. 왜냐하면 한 개의 부모식물로부터 유전자가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세 개의 부모식물로부터 유전자가 전달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임신 중 옥시토신(Oxytocin)의 자궁수축 작용이 일어나지 못하게 하는 호르몬(Hormone)은?

  1. 안드로게(Androger)
  2. 프로락틴(Prolactin)
  3. 에스트로겐(Estrogen)
  4.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정답률: 72%)
  • 프로게스테론은 자궁내막을 유지시켜 임신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자궁수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옥시토신의 자궁수축 작용이 일어나지 못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그림은 자궁형태에 대한 모식도이다. 분열자궁 형태로써 소, 산양의 자궁 모식도는?

(정답률: 68%)
  • Ⅲ은 분열자궁 형태로, 소와 산양의 자궁 모양과 일치한다. Ⅰ은 단일자궁, Ⅱ는 이형자궁, Ⅳ는 쌍둥이자궁으로 다른 동물들의 자궁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홀스타인 젖소 암컷의 초종부(初種付) 시기로 알맞은 것은?

  1. 생후 8개월령 이상, 체중 300kg 이상
  2. 생후 10개월령 이상, 체중 300kg 이상
  3. 생후 15개월령 이상, 체중 350kg 이상
  4. 생후 20개월령 이상, 체중 350kg 이상
(정답률: 62%)
  • 홀스타인 젖소 암컷은 출생 후 성장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생후 8개월령 이상, 체중 300kg 이상인 경우도 있지만, 초종부 시기에는 출생 후 약 15개월 이상이 지나고 체중이 350kg 이상인 경우가 가장 적절하다. 이는 이때부터 생식기능이 발달하여 번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번식계절을 가지고 있는 가축은?

  1. 돼지
  2. 산양
  3. 토끼
(정답률: 70%)
  • 산양은 일반적으로 가을에 번식계절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가축들은 계절에 구애받지 않고 연중 내내 번식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생식선을 표적으로 하는 호르몬은?

  1. 성스테로이드 호르몬
  2. 릴랙신(relaxin_
  3.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
  4. 생식선자극 호르몬(GTH)
(정답률: 81%)
  • 생식선자극 호르몬(GTH)은 이름 그대로 생식선을 자극하여 성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호르몬입니다. 이는 남성의 경우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여성의 경우 에스트로겐 분비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생식기능과 관련된 호르몬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유우 종모우의 선발에서 딸들의 능력만을 고려한다고 가정할 때 가장 정확도가 높은 경우는?

  1. 10마리 딸소의 기록
  2. 50마리 딸소의 기록
  3. 100마리 딸소의 기록
  4. 1000마리 딸소의 기록
(정답률: 81%)
  • 유우 종모우의 선발에서 딸들의 능력만을 고려한다고 가정할 때, 딸들의 능력은 유전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많은 딸들의 기록을 수집할수록 더욱 정확한 판단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1000마리 딸소의 기록이 가장 정확도가 높은 경우이다. 10마리나 50마리, 100마리의 기록은 적은 양의 데이터이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한 판단은 불확실성이 크다. 하지만 1000마리의 기록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더욱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일반적인 한우의 평균임신기간은?

  1. 333일
  2. 285일
  3. 115일
  4. 270일
(정답률: 84%)
  • 일반적인 한우의 평균임신기간은 285일이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임신기간인 280일과 비슷하지만, 한우는 조금 더 긴 임신기간을 가지기 때문에 285일이라는 값이 나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돼지 도체의 등 지방층 두께를 조사하는데 이용되지 않는 부위는?

  1. 제 11등뼈
  2. 제 7허리뼈
  3. 마지막등뼈
  4. 제 1허리뼈
(정답률: 63%)
  • 돼지 도체의 등 지방층 두께를 조사하는데는 주로 돼지의 등 중앙 부분이 이용되는데, 이 부위는 등뼈가 높이 솟아있어서 지방층이 두껍게 쌓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등뼈가 낮은 부위인 제 7허리뼈는 지방층이 얇아 측정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난소위축성 무발정 치료에 사용하는 호르몬은?

  1. Estrogen(에스트로겐)
  2. Progesterone(프로게스테론)
  3. Oxytocin(옥시토신)
  4. eCG(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
(정답률: 70%)
  • 난소위축성 무발정은 난소에서 호르몬 분비가 감소하여 생기는 증상으로, 이를 치료하기 위해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eCG는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으로, 난소에서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여 난소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난소위축성 무발정 치료에 eCG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돼지에 이용하는 교배법 가운데 윤환교배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자손의 균일도는 세대가 지날수록 높아진다.
  2. 사양관리와 교배의 설정 및 실행이 복잡하다.
  3. 품종 보상성의 이용도가 3품종 종료교배에 비해 떨어진다.
  4. 2품종간 윤환교배인 상호역교배는 개체 접종강세 효과가 더 떨어진다.
(정답률: 52%)
  • 정답: "자손의 균일도는 세대가 지날수록 높아진다."이 아닌 것은 "사양관리와 교배의 설정 및 실행이 복잡하다."

    윤환교배법은 2품종 간 교배를 통해 자손을 얻는 방법으로, 상호역교배와 달리 개체 접종강세 효과가 덜 나타납니다. 또한 품종 보상성의 이용도가 3품종 종료교배에 비해 떨어지지만, 자손의 균일도는 세대가 지날수록 높아집니다. 이는 2품종 간 교배를 반복하면서 유전적 다양성이 줄어들고, 자손들이 서로 비슷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실제로 번식에 이용할 수 있는 한우 암컷의 일반적인 번식적령은?

  1. 5 ~ 8개월령
  2. 10 ~ 12개월령
  3. 16 ~ 18개월령
  4. 24 ~ 36개월령
(정답률: 80%)
  • 한우 암컷은 생식기관이 완전히 성숙해져 번식에 이용할 수 있는 시기는 16 ~ 18개월령입니다. 이전에는 생식기관이 미성숙하여 출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이후에는 생식기능이 저하되어 번식능력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한우 생산자들은 이 시기에 번식을 시도하고, 번식력이 떨어지기 전에 출산을 유도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노력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생후 200일에 이유시 체중이 200kg이고, 생후 350일에 380kg이 되었다. 이때 소의 이유 후 일당 증체량은?

  1. 1.0kg/일
  2. 1.2kg/일
  3. 1.4kg/일
  4. 1.6kg/일
(정답률: 69%)
  • 일당 증체중은 (최종 체중 - 초기 체중) / 일수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소의 일당 증체중은 (380kg - 200kg) / (350일 - 200일) = 180kg / 150일 = 1.2kg/일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일반적으로 젖소의 능력검정에 있어 비유기간은 얼마를 표준으로 하는가?

  1. 185일
  2. 205일
  3. 275일
  4. 305일
(정답률: 75%)
  • 일반적으로 젖소의 능력검정은 출산 후 305일 동안 진행됩니다. 이는 젖소의 생산성을 평가하기에 충분한 시간이며, 이 기간 동안 생산된 우유의 양과 품질 등을 평가하여 유전적으로 우수한 젖소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305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가축사양학

21. 다음 중 태아의 발육에서부터 성장이 될 때까지 가장 먼저 발달하는 것은?

  1. 근육
  2. 지방조직
(정답률: 78%)
  • 태아의 발육에서부터 성장이 될 때 가장 먼저 발달하는 것은 뇌입니다. 태아의 뇌는 태아의 발달과 생존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뇌는 태아의 신경계를 제어하고, 호흡, 심장 박동, 소화 등의 생명 유지 기능을 조절합니다. 또한 태아의 뇌는 태아의 인지 능력과 감정, 행동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태아의 뇌 발달은 매우 중요하며, 태아의 건강과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분만직후 갑자기 다량의 착유로 칼슘이 부족해서 발생되는 병은?

  1. 유방염
  2. 유두종
  3. 유두루
  4. 유열
(정답률: 81%)
  • 분만 후에는 다량의 분비물로 인해 칼슘이 부족해지는데, 이로 인해 유방염, 유두종, 유두루 등의 질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유열은 분만 후에 발생하는 칼슘 부족으로 인한 질병으로, 유방의 분비물이 갑자기 많아져서 유방 내부에 칼슘이 축적되지 못하고 배출되어 칼슘 부족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급여하는 사료의 단백질 품질을 평가함에 있어 정미단백질가(net protein value, NPV)를 사용할 수 있다. 가축이 섭취한 총 질소(N) 섭취량이 20g, 분(糞) 중 N의 함량이 10g, 뇨(尿)중 질소(N) 함량이 5g 그리고 소화계수가 60%일 때 각각 생물가(biological value, BV) 및 정미단백질가는?

  1. 생물가 50, 정미단백질가 30
  2. 생물가 30, 정미단백질가 40
  3. 생물가 50, 정미단백질가 50
  4. 생물가 50, 정미단백질가 60
(정답률: 61%)
  • 생물가는 섭취한 단백질 중에서 실제로 체내에서 이용 가능한 양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분과 뇨에서 나온 질소는 대부분 체내에서 이용되지 못하므로, 이들을 제외한 체내에서 이용 가능한 질소의 양은 20g x 60% - 10g - 5g = 1g이다. 따라서 생물가는 (1g / 20g) x 100% = 5%이다.

    정미단백질가는 생물가와 달리, 사료에서 제공되는 단백질 중에서 체내에서 이용 가능한 양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정미단백질가는 (1g / 20g) x 100% = 5%가 아니라, (1g / 15g) x 100% = 6.7%이다. 이는 생물가보다 높은 이유는, 정미단백질가는 분과 뇨에서 나온 질소를 제외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생물가 50, 정미단백질가 30"이다. 생물가는 체내에서 이용 가능한 질소의 비율이 매우 낮기 때문에, 생물가가 높은 경우는 정미단백질가가 낮은 경향이 있다. 반면에, 정미단백질가는 분과 뇨에서 나온 질소를 제외하지 않기 때문에, 정미단백질가가 높은 경우는 생물가가 낮은 경향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위액(胃液)의 주된 작용은?

  1. 녹말을 분해한다.
  2. 지방을 분해한다.
  3. 미생물의 생성과 녹말의 분해작용을 한다.
  4. 살균과 단백질의 분해작용을 한다.
(정답률: 61%)
  • 위액은 주로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를 포함하고 있어서, 단백질을 소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위액은 살균작용을 하여 위에서 섭취한 음식에 포함된 미생물을 제거하는 역할도 합니다. 따라서 "살균과 단백질의 분해작용을 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유지율 3.0%의 우유 100kg 지방률정정유(F.C.M)로 환산하면 몇 kg가 되는가?

  1. 75kg
  2. 85kg
  3. 95kg
  4. 105kg
(정답률: 67%)
  • 유지율 3.0%는 지방률 97.0%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100kg의 우유 중에는 97kg가 지방이고, 나머지 3kg는 단백질, 락토스 등의 성분입니다.

    지방률정정유(F.C.M)는 지방이 아닌 성분들을 제외한 우유 중에서 지방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100kg의 우유 중에서 97kg가 지방이므로, 지방률정정유(F.C.M)로 환산하면 97kg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5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반추위내 미생물에 의하여 생성되는 휘발성 지방산이 아닌 것은?

  1. 리놀산(linoleic acid)
  2. 초산(acetic acid)
  3. 뷰틸산(butyric acid)
  4.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정답률: 61%)
  • 리놀산은 반추위내 미생물에 의해 생성되는 휘발성 지방산 중 하나가 아닙니다. 리놀산은 식물성 지방산으로, 주로 식물 기름에서 발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Van soest법에 의한 조사료의 탄수화물 분류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NDS
  2. NDF
  3. ADF
  4. NFE
(정답률: 67%)
  • Van soest법은 조사료의 섬유성분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NDS, NDF, ADF은 모두 이에 속하는 분류방법이다. 반면에 NFE는 조사료의 탄수화물 분류방법으로, Van soest법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NF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콜라겐(collagen)태 단백질로 구성된 사료는?

  1. 우모분
  2. 모발분
  3. 제각분
  4. 피혁분
(정답률: 73%)
  • 콜라겐은 주로 피부와 연골 등의 조직에서 발견되는 단백질이며, 피혁분은 피부와 관련된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콜라겐을 포함한 사료에는 피혁분이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피혁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동물체의 간과 근육에 주로 저장디어 있는 탄수화물은 어떤 것인가?

  1. 조섬유
  2. 콜레스테롤
  3. 글리코겐
  4. 유당
(정답률: 76%)
  • 글리코겐은 동물체의 간과 근육에 저장되어 있는 탄수화물입니다. 이는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조섬유는 식물의 섬유질이며, 콜레스테롤은 지방질의 일종이며, 유당은 우유에 들어있는 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반추동물의 4개의 위중에서 단위동물의 위와 같이 소화액에 의한 화학적인 소화작용이 일어나는 곳이며, 담즙이 위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곳은?

  1. 1위
  2. 2위
  3. 3위
  4. 4위
(정답률: 81%)
  • 4위는 소장으로, 소화액에 의한 화학적인 소화작용이 일어나는 곳이며, 담즙이 위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위들은 각각 식도, 위, 십이지장으로, 소화작용이 일어나는 곳은 위와 십이지장이며, 담즙이 위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은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한우고기의 품질 향상을 위해 비육기간을 연장하여 사육할 대 수반되는 단점은?

  1. 등지방두께 증가
  2. 배최장근단면적 증가
  3. 근내지방도 증가
  4. 관능특성(연도, 다즙성, 풍미) 개선
(정답률: 70%)
  • 한우의 비육기간을 연장하면서 사육할 경우, 등지방두께가 증가하는 이유는 지방이 쌓이는 시간이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즉, 한우가 더 오래 사육되면서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하게 되므로 지방이 더 많이 쌓이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사료중 tallow을 사용할 경우 이점이 아닌 것은?

  1. Boller의 착색을 좋게 한다.
  2. 고단백 사료를 만들 수 있다.
  3. 사료의 맛을 개선한다.
  4. 사료공장에 먼지가 나지 않게 하여 작업자 건강에 좋다.
(정답률: 50%)
  • Tallow은 동물 지방으로, 단백질이 아닌 지방성 성분이기 때문에 고단백 사료를 만들 수 없다. 따라서 "고단백 사료를 만들 수 있다."가 아닌 것이 이점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반추가축에서 농후사료를 많이 급여하였을 때 생성비율이 가장 많은 휘발성 지방산은?

  1. 아세트산
  2. 프로피온산
  3. 젖산
  4. 개미산
(정답률: 70%)
  • 반추가축에서 농후사료를 많이 급여하면 반추의 소화기능이 약해져서 발생하는 메탄가스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 메탄가스는 반추의 소화관에서 휘발성 지방산으로 분해되는데, 이때 생성비율이 가장 많은 것이 프로피온산입니다. 따라서 농후사료를 많이 급여하면 프로피온산이 증가하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가축의 체중(연령) 증가에 따른 체조성의 변화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된 것은?

  1. 수분함량이 감소되고 지방함량이 증가된다.
  2. 수분함량은 증가되고 지방함량이 감소된다.
  3. 수분함량과 지방함량 모두 증가된다.
  4. 수분함량과 지방함량 모두 감소된다.
(정답률: 74%)
  • 정답은 "수분함량이 감소되고 지방함량이 증가된다."입니다.

    가축이 체중(연령)이 증가하면서 에너지 섭취량이 증가하게 되면,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 지방이 증가하게 됩니다. 또한, 체중이 증가하면서 체내 수분량 대비 체조성이 감소하게 되므로 수분함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가축의 체중(연령) 증가에 따른 체조성의 변화는 수분함량이 감소되고 지방함량이 증가된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사료영양가의 일반적인 표시방법으로 각 영양소의 소화율에 기초를 두고 가소화영양소총량(TDN)을 계산할 수 있는데 다음 중 TDN 계산 방법이 맞는 것은?

  1. 가소화탄수화물 + 가소화단백질 + 가소화지방 × 2.25 + 가소화회분
  2. 가소화탄수화물 + 가소화단백질 × 2.25 + 가소화지방
  3. 가소화탄수화물 × 2.25 + 가소화단백질 + 가소화지방
  4. 가소화탄수화물 + 가소화단백질 + 가소화지방 × 2.25
(정답률: 57%)
  • 정답은 "가소화탄수화물 + 가소화단백질 + 가소화지방 × 2.25"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가소화탄수화물: 소화되어 흡수되는 탄수화물의 양을 나타냅니다.
    - 가소화단백질: 소화되어 흡수되는 단백질의 양을 나타냅니다.
    - 가소화지방: 소화되어 흡수되는 지방의 양을 나타냅니다.

    이 세 가지 영양소는 소화되어 흡수되는 양이 중요하므로, 이들의 양을 합산하여 TDN을 계산합니다.

    또한, 가소화지방에 2.25를 곱하는 이유는 지방이 탄수화물과 단백질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방의 TDN 기여도를 높이기 위해 2.25를 곱합니다.

    가소화회분은 소화되지 않는 영양소를 나타내는데, TDN 계산에서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단백질의 영양소로서의 중요성과 기능 중 부적합한 것은?

  1. 세포막의 구성성분으로서 성장 및 발육에 필요한 영양소이다.
  2. 체온을 보호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조직을 보호한다.
  3. 효소와 호르몬의 주성분으로서 영양소의 대사와 소화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동물의 피부, 털, 발굽 및 뿔 등의 구성성분이다.
(정답률: 74%)
  • 단백질은 세포막의 구성성분으로서 성장 및 발육에 필요한 영양소이며, 효소와 호르몬의 주성분으로서 영양소의 대사와 소화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동물의 피부, 털, 발굽 및 뿔 등의 구성성분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체온을 보호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조직을 보호하는 기능은 부적합한 것입니다. 이는 단백질의 기능이 아니라 다른 영양소나 체의 다른 기능이 담당하는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Vitamin D 의 국제단위는?

  1. USP
  2. mg
  3. IU
  4. %
(정답률: 71%)
  • Vitamin D의 국제단위는 IU (International Units)이다. 이는 다양한 형태의 비타민 D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 단위이며, 다른 단위인 mg나 %로 표시할 경우 비타민 D의 형태에 따라서 변환 계수가 필요하다. 따라서 IU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채종박(유채박)의 조단백질 함량은?

  1. 약 0.5% 정도
  2. 약 5% 정도
  3. 약 15% 정도
  4. 약 35% 정도
(정답률: 48%)
  • 채종박(유채박)은 콩과 같은 채소성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는 채식주의자이기 때문에, 조단백질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채식주의자들은 동물성 단백질을 섭취하지 않기 때문에, 조단백질이 전체 단백질 중 차지하는 비율이 더 높을 것입니다. 따라서, 약 35% 정도가 채종박(유채박)의 조단백질 함량으로 예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장 점막중에서 지방이 흡수되는 형태 중 다른 것은?

  1. β모노글리세리드
  2. α모노글리세리드
  3. 지방산
  4. 트리그리세라이드
(정답률: 47%)
  • 트리그리세라이드는 세 개의 지방산이 긴 사슬로 결합된 형태로, 다른 세 가지 보기는 모노글리세라이드나 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트리그리세라이드는 다른 것과 구성이 다르며, 이 형태로 지방이 흡수되어 저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일정기간 영양소가 부족한 저영양사료를 급여하여 성장을 지연시킨 후 고영양 사료를 급여하여 일시적으로 성장을 원래의 상태로 회복시켜 주는 사육방법은?

  1. 제한성장
  2. 보상성장
  3. 유도성장
  4. 과잉성장
(정답률: 74%)
  • 보상성장은 일정기간 영양소가 부족한 저영양사료를 급여하여 성장을 지연시킨 후 고영양 사료를 급여하여 일시적으로 성장을 원래의 상태로 회복시켜 주는 사육방법이다. 이 방법은 성장속도를 일시적으로 높이는 것이 아니라, 성장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인해 생기는 손실을 보상하는 방식으로 성장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보상성장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축산경영학

41. 비육돈 생산비 중 비용이 큰 비육은?

  1. 노동비
  2. 사료비
  3. 자돈비
  4. 건물비
(정답률: 79%)
  • 비육은 돼지를 빠르게 성장시키기 위해 사료를 많이 먹이는데, 이에 따라 사료비가 생산비 중에서 가장 큰 비용을 차지합니다. 따라서 비육 생산비를 줄이기 위해서는 사료비를 절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축산경영의 3대 요소가 아닌 것은?

  1. 토지
  2. 경영기술
  3. 자본재
  4. 노동력
(정답률: 73%)
  • 축산경영의 3대 요소는 토지, 자본재, 노동력입니다. 경영기술은 단순히 경영을 위한 기술적인 지식과 노하우를 의미하는 것이지, 축산경영의 필수적인 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한우경영에서 사료 요구율이란?

  1. 총사료 급여량 / 총 증체량
  2. 총 증체량 / 총 사료급여량
  3. 총 증체량 / 농후사료 급여량
  4. 사료 급여량 / 총사료 급여량
(정답률: 68%)
  • 사료 요구율은 한우가 성장하는 데 필요한 총 사료 급여량을 한우가 증가한 총 체중으로 나눈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총사료 급여량 / 총 증체량"이 정답입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한우가 더 많은 사료를 필요로 하며, 사료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료 요구율을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기업적 축산경영의 최대 목표는?

  1. 소득의 극대화
  2. 가족노동보수의 증대
  3. 이윤의 극대화
  4. 조수입의 극대화
(정답률: 83%)
  • 기업적 축산경영의 최대 목표는 이윤의 극대화이다. 이는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최대한 많은 소비자에게 판매하여 수익을 극대화하고, 비용을 최소화하여 이익을 최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기업은 경쟁력을 유지하고 성장할 수 있으며, 이는 가족노동보수나 조수입의 증대와 같은 부가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한계생산이 0보다 클 때 총생산은?

  1. 변함이 없다.
  2. 감소한다.
  3. 증가한다.
  4. 한계생산과 총생산은 관계가 없다.
(정답률: 76%)
  • 한계생산이 0보다 클 때는 추가 생산량이 존재하므로 총생산이 증가한다. 한계생산이란 추가 생산량을 만들기 위해 추가적으로 투입되어야 하는 비용이나 노력을 의미하는데, 이 값이 0보다 크다는 것은 추가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추가 생산이 가능하므로 총생산이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축산경영의 성과분석지수가 아닌 것은?

  1. 축산소득
  2. 축산순수익
  3. 자가노동보수
  4. 생산비율
(정답률: 53%)
  • 생산비율은 축산물 생산량과 투입한 자원(예: 사료, 노동력 등)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축산경영의 성과분석지수는 주로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성과를 나타내는 지표들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생산비율은 축산경영의 성과분석지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공식 중 자본계수를 나타내는 공식은?

  1. 축산소득 / 영농시간
  2. 투입자본액 / 축산 순 생산액
  3. 투입 자본액 / 영농소득
  4. 추간 소득 / 투입 자본액
(정답률: 59%)
  • 정답은 "투입자본액 / 축산 순 생산액" 입니다.

    자본계수는 투입된 자본이 생산에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자본계수가 높을수록 투입된 자본이 생산에 더 효율적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투입자본액 / 축산 순 생산액" 공식은 투입된 자본액을 축산 순 생산액으로 나눈 것으로, 이는 축산업에서 투입된 자본이 생산에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자본계수를 계산하는 공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양돈비육경영의 수익성 향상 방안에 해당 되는 것은?

  1. 산자수를 많게 할 것
  2. 연간 비육회전율을 높일 것
  3. 자돈 가격을 높일 것
  4. 연간 분만회수를 증가시킬 것
(정답률: 70%)
  • 연간 비육회전율을 높이면 양돈 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비육회전율이 높다는 것은 동일한 기간 동안 더 많은 돼지를 양돈하여 판매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생산성이 향상되고 비용이 감소하므로 수익성이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노동능률의 향상 방안이 아닌 것은?

  1. 노동수단의 고도화
  2. 작업방법의 다양화
  3. 작업방법의 표준화
  4. 작업의 분업화
(정답률: 74%)
  • 작업방법의 다양화는 노동자들이 서로 다른 방법으로 작업을 수행하게 되어 일관성이 없어지고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노동능률의 향상 방안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작업방법의 다양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고용노동에 비교한 가족노동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정신노동과 육체노동의 병행
  2. 자율적 노동
  3. 가족구성원에 의해 지배 ㆍ 결정됨
  4. 노동성과에 대한 책임부담이 없음
(정답률: 70%)
  • 가족노동은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 협력하여 집안일을 처리하는 것으로, 노동성과에 대한 책임부담이 없습니다. 이는 고용노동과는 다르게 보상이나 성과에 대한 책임이 개인적이지 않고 가족 구성원들끼리 분담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취득원가 1,000,000, 잔존율 10%, 내용년수 5년인 기계에 제 1차년도 감가상각액(정액법)은 얼마인가?

  1. 15만원
  2. 16만원
  3. 17만원
  4. 18만원
(정답률: 76%)
  • 감가상각액(정액법) = 취득원가 x 잔존율 ÷ 내용년수
    = 1,000,000 x 0.1 ÷ 5
    = 20만원

    하지만, 감가상각액은 일반적으로 정수로 반올림하여 계산한다. 따라서, 20만원을 반올림하면 18만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8만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결합생산물(結合生産物)이 아닌 것은?

  1. 쇠고기와 돼지고기
  2. 쇠고기와 소가죽
  3. 양고기와 양모
  4. 산란계와 달걀
(정답률: 82%)
  • 쇠고기와 돼지고기는 동물의 부위에서 나오는 것으로, 서로 다른 동물의 결합생산물이 아니기 때문에 결합생산물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양돈농가가 1년동안 돼지를 팔아 50,000,000원의 소득과 부산물인 분뇨를 비료로 팔아 10,000,000원의 소득을 얻었다. 돼지를 사육하는데 투입된 총비용은 35,000,000만원이다. 이 양돈농가의 조수입은 얼마인가?

  1. 5천만원
  2. 2천 5백만원
  3. 6천만원
  4. 1천 5백만원
(정답률: 5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자본재(capital goods)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원료
  2. 재료
  3. 현물
  4. 토지
(정답률: 67%)
  • 토지는 생산과정에서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자본재로 간주되지 않기 때문에 자본재(capital goods)라고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축산경영의 경제적 특징이 아닌 것은?

  1. 축산경영으로 인해 토지 이용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2. 연중 균일한 노동력이 투입된다.
  3. 축산 역시 일반 농업과 같이 위험부담이 크고 불안정 하므로 농업의 안정화에 기여하지 못한다.
  4. 농산물의 이용을 증진시킨다.
(정답률: 77%)
  • 정답은 "축산 역시 일반 농업과 같이 위험부담이 크고 불안정 하므로 농업의 안정화에 기여하지 못한다." 이다. 이유는 축산업도 자연재해, 질병 등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가격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불안정한 경제적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축산업이 농업의 안정화에 기여하지 못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축산경영에서의 안전성 지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소득율
  2. 부채비율
  3. 유동비율
  4. 고정비율
(정답률: 57%)
  • 소득율은 축산경영에서 안전성을 나타내는 지표가 아닙니다. 소득율은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축산경영에서는 수익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반면에 부채비율, 유동비율, 고정비율은 모두 축산경영에서 안전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부채비율은 부채와 자본의 비율을 나타내며, 유동비율은 유동자산과 유동부채의 비율을 나타내며, 고정비율은 고정자산과 자본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육계경영에 있어서 대규모경영의 우리성이 아닌 것은?

  1. 노동 생산성의 향상
  2. 단위당 고정자산의 향상
  3. 자본 생산성의 항상
  4. 대외 신용력의 저하
(정답률: 87%)
  • 대규모 경영은 노동 생산성, 단위당 고정자산, 자본 생산성 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지만, 대외 신용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대규모 경영에서는 대출 등의 외부 자금을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대출금리가 높아지거나 대출 한도가 줄어들면 대외 신용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악화시키고, 투자자들의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대차대조표의 등식을 가장 바르게 표시한 것은?

  1. 자산 = 부채 + 자본
  2. 자산 = 자본 - 부채
  3. 자본 + 자산 = 부채
  4. 자산 + 부채 = 자본
(정답률: 75%)
  • 정답: "자산 = 부채 + 자본"

    이유: 대차대조표는 회사의 자산, 부채, 자본을 나타내는 재무제표이다. 자산은 회사가 보유한 모든 것을 의미하며, 부채는 회사가 갚아야 할 채무를 의미하고, 자본은 회사의 자산에서 부채를 뺀 나머지를 의미한다. 따라서 자산은 부채와 자본의 합으로 표시되어야 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자산 = 부채 + 자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축산경영 계획방법 중 직접비교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표준모델 목장을 설정하고 모델목장의 경영성과에 기초하여 자가 경영여건에 적합하도록 경영계획을 수립하는 방법
  2. 경영합리화의 척도가 되는 적정목표이익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할 수 있는 경영계획을 수립하는 방법
  3. 경영부문을 종합적 또는 부분적으로 다른 부문과 대체할 경우의 여러 대안들 중에 효율적인 방법을 선택하여 경영계획을 수립하는 방법
  4. 경영형태가 동일한 목장 중에서 모범적인 목장을 설정하고 경영성과를 비교하여 경영계획을 수립하는 방법
(정답률: 73%)
  • 경영형태가 동일한 목장 중에서 모범적인 목장을 설정하고 경영성과를 비교하여 경영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은, 같은 업종에서 경쟁사 중에서 가장 우수한 경영성과를 보이는 목장을 모범으로 삼아 자사의 경영성과와 비교하여 개선점을 도출하고 경영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경영성과를 비교하여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축산경영에서 규모의 경제성이 발생되는 요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경기변동에 대한 신축적 대응
  2. 분업의 이익
  3. 생산요소의 불가분할성(不可分割性)
  4. 개별경영의 자원제한성(資源制限性)
(정답률: 47%)
  • "경기변동에 대한 신축적 대응"은 축산경영에서 규모의 경제성이 발생되는 요인이 아닙니다. 이는 경기변동에 대한 대응책으로, 경제적인 이점을 가져다주지는 않습니다. 축산경영에서 규모의 경제성이 발생되는 요인은 "분업의 이익", "생산요소의 불가분할성", "개별경영의 자원제한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사료작물학

61. 수수, 수단그라스류의 사료작물을 방목으로 이용할 때 청산중독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초장은?

  1. 15cm 이상
  2. 30cm 이상
  3. 40cm 이상
  4. 60cm 이상
(정답률: 65%)
  • 수수와 수단그라스류는 청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방목 시 청산중독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초장의 높이를 높여서 청산 함량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60cm 이상의 초장을 이용하면 청산 함량이 적어져 청산중독 위험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건초이 품질판정시 가장 좋은 녹색도는?

  1. 담록색인 것
  2. 녹색이 짙고 자연색에 가까운 것
  3. 녹색이 거의 남아있지 않은 것
  4. 흑갈색을 띠고 있는 것
(정답률: 73%)
  • 건초의 품질은 녹색의 짙음으로 판단됩니다. 녹색이 짙을수록 건강하고 신선한 건초이며, 자연색에 가까울수록 인공적인 색소가 사용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녹색이 짙고 자연색에 가까운 것"이 가장 좋은 녹색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우리나라에서는 월년생이고 답리작용으로 좋으며, 당분함량이 높아 사일리지용으로 좋은 초종은?

  1. 오차드그래스
  2. 톨페스큐
  3. 이탈리안라이그래스
  4. 레드톱
(정답률: 79%)
  • 이탈리안라이그래스는 월년생이며, 답리작용으로 좋고 당분함량이 높아 사일리지용으로 좋은 초종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러한 특징을 모두 갖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일반적으로 옥수수 silage 1m3 당 무게는?

  1. 350kg
  2. 450kg
  3. 650kg
  4. 850kg
(정답률: 67%)
  • 일반적으로 옥수수 silage의 밀도는 650kg/m3이다. 따라서 1m3의 옥수수 silage는 650kg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바람직한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건물수량 구성 중 암이삭이 차지하는 비율은?

  1. 50%
  2. 30%
  3. 20%
  4. 10%
(정답률: 63%)
  • 바람직한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건물수량 구성에서 암이삭은 영양가가 높은 부분이므로 사일리지의 품질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암이삭이 차지하는 비율은 50%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사료작물의 정의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반추가축에게 다량급여시 질병의 발생이 높아진다.
  2. 사료작물에는 볏집과 같은 짚류도 포함된다.
  3. 반추가축이 반추위 발달에 영향을 준다.
  4. 옥수수와 같은 사료작물은 질소를 고정한다.
(정답률: 61%)
  • 정답: "사료작물에는 볏집과 같은 짚류도 포함된다."

    반추가축이 반추위 발달에 영향을 주는 이유는, 반추위는 반추에서 발생하는 세균이 원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추가축이 반추를 먹는 양에 따라 세균이 번식할 환경이 조성되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가을철의 목초파종적기는 최소한 일평균 5℃되는 날부터 며칠 전이 좋은가?

  1. 20 ~ 40일
  2. 40 ~ 60일
  3. 60 ~ 80일
  4. 80 ~ 100일
(정답률: 43%)
  • 목초파종적기는 일평균 5℃가 되는 날부터 60 ~ 80일 전이 좋습니다. 이는 목초가 발아하고 자라는데 필요한 최적의 온도와 시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기간에 파종을 하면 목초가 잘 자라서 효과적인 농작물 생산이 가능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기간보다 너무 이른 시기나 늦은 시기이기 때문에 목초 생육에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1년생 난지형(남방과) 화본과 사료작물은?

  1. 버뮤다그래스
  2. 존슨그래스
  3. 수단그래스
  4. 오처드그래스
(정답률: 61%)
  • 1년생 난지형 화본과는 대부분 여름에 자라는 초록색 사료작물입니다. 이 중에서 수단그래스는 높은 영양가와 생육력, 그리고 건조에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많은 농가에서 선호하는 사료작물입니다. 따라서, 1년생 난지형 화본과 중에서 수단그래스가 가장 적합한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서늘하고 습한 환경에서 가장 잘 자라는 사료작물은?

  1. 이탈리안 라이그래스
  2. 수단그래스
  3. 알팔파
  4. 레드 톱
(정답률: 59%)
  • 이탈리안 라이그래스는 습한 환경에서 잘 자라는 작물로, 높은 수분 섭취 능력과 빠른 성장 속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수단그래스와 알팔파는 건조한 환경에서 잘 자라는 작물이며, 레드 톱은 중간 정도의 습한 환경에서 잘 자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식물체 내에서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축적에 필요하며 목초의 월동 전 추비로서 필요한 2가지 비료는?

  1. 질소와 칼리
  2. 질소와 인산
  3. 질소와 붕소
  4. 질소와 마그네슘
(정답률: 61%)
  • 질소는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원소이며, 칼리는 탄수화물 합성과 수분 균형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원소입니다. 따라서 식물체 내에서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축적에 필요하며 목초의 월동 전 추비로서 필요한 2가지 비료는 질소와 칼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화본과 목초의 경우 양질의 건초를 제조하기 위한 수확적기는?

  1. 개화기
  2. 만화기
  3. 출수기
  4. 결실기
(정답률: 70%)
  • 화본과 목초는 수분 함량이 높아서 수확 후 빨리 건조시켜야 합니다. 출수기는 수확한 작물을 빠르게 건조시키는 기계로, 건조 시간을 단축시켜 양질의 건초를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본과 목초의 경우 출수기가 양질의 건초를 제조하기 위한 수확적기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콩과 목초의 생육초기에 요구도가 높은 비료는?

  1. 질소
  2. 칼리
  3. 인산
  4. 석회
(정답률: 56%)
  • 콩과 목초는 생장 초기에 뿌리와 줄기를 빠르게 성장시켜야 하므로 인산이 필요합니다. 인산은 뿌리의 발달과 교환이 빠르게 일어나는데, 이는 콩과 목초가 생장 초기에 뿌리를 빠르게 성장시켜야 하는 이유와 일치합니다. 따라서 콩과 목초의 생육초기에는 인산이 요구도가 높은 비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초지의 이용과 관리에 대한 특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연간 4 ~ 6회 이상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2. 기계수확 또는 가축에 의해 직접 채식되기도 한다.
  3. 한번 조성되면 수년간 이용되는 특징이 있다.
  4. 주로 단파되기 때문에 시비와 관리가 단순하다.
(정답률: 75%)
  • "연간 4 ~ 6회 이상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는 초지의 이용 빈도가 높은 특징을 나타내지만, 초지의 관리와 관련된 특징은 아니다. 초지의 이용과 관리에 대한 특징 중 거리가 먼 것은 "기계수확 또는 가축에 의해 직접 채식되기도 한다."이다. 이는 초지의 이용과 관련된 내용이지만, 초지의 관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한번 조성되면 수년간 이용되는 특징이 있다."와 "주로 단파되기 때문에 시비와 관리가 단순하다."는 초지의 관리와 관련된 특징으로, 초지를 조성하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시비와 관리가 간단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양질이 사일리지 조제를 위한 탄수화물 첨가물이 아닌 것은?

  1. 옥수수 분말
  2. 볏짚
  3. 보리 분말
  4. 감자 분말
(정답률: 72%)
  • 볏짚은 사일리지 제조에 사용되지 않는다. 사일리지는 축산농가에서 축사에서 생산되는 식물성 폐기물을 저장하고 보존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때 사용되는 첨가물은 식물성 원료인 옥수수 분말, 보리 분말, 감자 분말 등이 사용된다. 하지만 볏짚은 사일리지 제조에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두과목초는?

  1. 화이트 클로버
  2. 라디노 클로버
  3. 레드 클로버
  4. 알팔파
(정답률: 63%)
  • 해당 그림은 알팔파와 라디노 클로버의 잎 모양을 비교한 것이다. 알팔파는 세 잎으로 이루어져 있고, 라디노 클로버는 하트 모양의 잎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알팔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불경운 초지조성의 장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목초의 정착율이 좋다.
  2. 토양 침식의 위험이 적다.
  3. 파종 비용이 적게 든다.
  4. 지형에 영향을 적게 받는다.
(정답률: 72%)
  • 불경운 초지조성은 풀종자를 뿌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파종 비용이 적게 들고, 토양 침식의 위험이 적습니다. 또한 지형에 영향을 적게 받아서 거리가 먼 곳에서도 쉽게 실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목초의 정착율이 좋아지게 되어 농작물 생산에 유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사료작물의 병충해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방법으로 부적당한 것은?

  1. 사료작물을 윤작 재배한다.
  2. 병의 중간숙주식물이 월동할 수 있는 장소를 제거한다.
  3. 가축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기간에 약제를 살포한다.
  4. 단일품종을 단파한다.
(정답률: 79%)
  • 단일품종을 단파하면 한 종류의 작물만을 재배하므로, 해당 작물에 대한 병충해가 발생하면 전체 수확량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여 병충해의 전파를 방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는 병해는?

  1. 탄저병
  2. 점무늬병
  3. 맥각병
  4. 줄무늬마름병
(정답률: 64%)
  • 이 병해의 특징은 잎이 노랗게 변하고, 검은색 점무늬가 생기며, 잎이 말라서 굽어지는 것입니다. 이러한 증상은 탄저병에 특히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탄저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설명하고 있는 사료작물은?

  1. 호밀
  2. 유채
  3. 순무
(정답률: 82%)
  • 이 사료작물은 이미지에서 보이는 황색의 작물로, 유채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사료용 유채의 이용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방목과 풋베기(청예)
  2. 풋베기(청예)와 건초
  3. 건초와 사일리지
  4. 사일리지와 방목
(정답률: 60%)
  • 사료용 유채는 방목과 풋베기(청예)에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유채가 빠르게 자라기 때문에, 풋베기(청예) 시기에 잘라서 먹이면 영양가가 높고 맛이 좋기 때문입니다. 또한 방목 시에도 유채는 잘 자라기 때문에, 축사 내에서 방목용 사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건초나 사일리지와 같은 보존사료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