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3-10)

축산산업기사
(2013-03-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가축번식 육종학

1. 닭 능력의 개량목적에 따라 채란성과 산육성의 개량 대상형질로 구분할 때 산육능력의 개량에 관계하는 형질인 것은?

  1. 산란강도
  2. 취소성
  3. 체형
  4. 동기휴산성
(정답률: 68%)
  • 닭의 산육능력은 체형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산육능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체형이 적절하고 균형잡힌 상태여야 하며, 이를 위해 체형이 개선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산육능력의 개선에 관계하는 형질은 "체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돼지에 있어서 근친교배를 시킬 경우는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가?

  1. 번식능률이 우수해진다.
  2. 성장률이 좋아진다.
  3. 자손의 능력이 향상된다.
  4. 산자수가 적어진다.
(정답률: 82%)
  • 근친교배를 시키면 유전적 다양성이 감소하게 되어 유전적 질병 발생 확률이 높아지고, 산자수가 감소하게 된다. 이는 유전적 다양성이 적어지면서 생존 가능성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친교배는 돼지의 번식능력이나 성장률, 자손의 능력 향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오히려 유전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성선 호르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된다.
  2. 모두 스테로이드 핵을 가지고 있다.
  3. 종류로는 androgen, estrogen, progesterone이 있다.
  4. 제 2차 성징을 발현시키고 임신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답률: 62%)
  •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인 이유는 성선 호르몬은 뇌하수체 전엽이 아닌 성선에서 분비되기 때문입니다. 뇌하수체 전엽은 다른 여러 가지 호르몬을 분비하지만, 성선 호르몬은 성선에서만 분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수정란의 분화과정에서 신경계가 발생되는 부위는?

  1. 외배엽
  2. 중배엽
  3. 내배엽
  4. 투명대
(정답률: 69%)
  • 외배엽은 수정란의 분화과정에서 신경계가 발생하는 부위입니다. 이는 외배엽이 뇌의 대부분을 형성하고, 뇌의 신경세포들이 이곳에서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외배엽은 중요한 뇌 영역 중 하나이며, 인간의 인지능력과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돼지의 일반적인 번식 적령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5~8개월
  2. 9~12개월
  3. 13~16개월
  4. 17~20개월
(정답률: 66%)
  • 돼지의 생식기능이 발달하는 시기는 9~12개월 정도이기 때문입니다. 이때부터 성적 성숙기에 돌입하며, 번식능력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돼지의 번식 적령기는 9~12개월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젖소의 근친교배 방지방안으로 적합한 것은?

  1. 종부나 인공수정에 이용할 수소는 암소와 혈연관계가 가까운 것으로 선택한다.
  2. 종부에 사용할 종모우는 최소 두수로 유지하여 너무 많지 않게 한다.
  3. 특정지역에서 이용하는 종모우는 상호 혈연관계가 가까운 것을 이용한다.
  4. 특정지역 젖소의 근친교배 방지를 위해 종모우를 교환하여 이용한다.
(정답률: 81%)
  • 특정지역 젖소의 근친교배 방지를 위해 종모우를 교환하여 이용한다. 이 방안이 적합한 이유는 상호 혈연관계가 가까운 종모우를 계속해서 이용하면 근친교배로 인한 유전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지역에서 가져온 종모우를 교환하여 이용함으로써 혈연관계를 낮추고 근친교배를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고기소의 개량대상이 되는 주요 형질이 아닌 것은?

  1. 번식능률
  2. 이유 후 증체율
  3. 도체의 품질
  4. 유지율
(정답률: 74%)
  • 유지율은 개량 대상이 되는 주요 형질이 아닙니다. 유지율은 동물이나 식물의 생존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개량 대상이 되는 형질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유지율은 고기소의 개량 대상이 되는 주요 형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가축의 고환이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음낭 내로 하강하지 못하고 복강 내에 남아 있어서 생기는 번식장애는?

  1. 프리마틴
  2. 잠복정소
  3. 음낭 헤르니아
  4. 백생 처녀우병
(정답률: 73%)
  • 가축의 고환은 복강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정상적으로는 음낭 내로 하강하여 발달하게 됩니다. 하지만 가끔씩 고환이 음낭 내로 하강하지 못하고 복강 내에 남아 있게 되면, 이는 번식장애를 일으키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고환의 발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번식능력이 저하되거나, 불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종종 고환 내에 세포가 쌓여서 생기는 잠복정소가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잠복정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닭의 체중과 가장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형질은?

  1. 정강이 길이
  2. 생존율
  3. 산란율
  4. 사료효율
(정답률: 79%)
  • 정강이 길이는 닭의 성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닭의 체중과도 강한 상관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가장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형질이다. 정강이는 닭의 다리뼈 중 하나로, 닭이 걷거나 뛰는 등의 활동을 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강이 길이가 길수록 닭의 활동성과 성장이 원활해지며, 이는 체중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생존율, 산란율, 사료효율도 중요한 형질이지만, 체중과의 상관관계가 덜 강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근친교배가 유익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경우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유전자를 고정하고자 할 때
  2. 불량한 열성유전자를 제거하고자 할 때
  3. 혈연관계가 높은 자손을 생산하고자 할 때
  4. 이형 접합체를 증가시키고자 할 때
(정답률: 78%)
  • 이형 접합체를 증가시키고자 할 때는 근친교배를 하면 안 되는데, 이는 유전적 다양성을 감소시키고 유전적 결함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형 접합체를 증가시키고자 할 때는 근친교배가 유익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경우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번식장애의 원인이 되는 것은?

  1. 고장증
  2. 간장염
  3. 자궁내막염
  4. 심막염
(정답률: 83%)
  • 자궁내막염은 자궁 내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이로 인해 자궁 내막이 손상되어 번식기관의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자궁내막염은 번식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일반적으로 유전력이 높은 형질에 대해 가장 효과적인 선발방법은?

  1. 자신의 능력에 의한 선발
  2. 가계 능력에 의한 선발
  3. 조모의 능력에 의한 선발
  4. 반형매의 능력에 의한 선발
(정답률: 66%)
  • 유전력이 높은 형질은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자신의 능력에 의한 선발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가계, 조모, 반형매 등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선발 방법이므로 유전력이 높은 형질을 선택하는 데에는 제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돼지의 임신진단 방법으로 활용되는 초음파진단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질점막을 시료로 사용한다.
  2. 임신 100일령 이후부터 임진진단이 가능하다.
  3. 혈구응집반응 억제 검사 혹은 PMSG 생물학적 검사를 한다.
  4. 비교적 신속 정확하게 임신을 진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정답률: 80%)
  • 돼지의 초음파진단법은 비교적 신속 정확하게 임신을 진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질점막을 시료로 사용하며, 임신 100일령 이후부터 가능하며, 혈구응집반응 억제 검사 혹은 PMSG 생물학적 검사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선발의 기능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

  1. 유전자 빈도의 변화
  2. 유전자형 빈도의 변화
  3. 새로운 유전자의 창조
  4. 축군의 유전적 조성의 변화
(정답률: 83%)
  • 선발의 기능은 특정한 유전자형이 다음 세대로 전달되는 빈도를 조절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유전적 다양성이 유지되며, 적응력이 향상됩니다. 따라서 "새로운 유전자의 창조"는 선발의 기능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새로운 유전자의 창조는 돌연변이나 유전자 재조합 등의 과정을 통해 발생하며, 이는 선발의 기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가축의 발정전기에 일어나는 증상이 아닌 것은?

  1. 난소의 황체 조직이 퇴화된다.
  2. 난포의 발육과 난포액이 충만 해진다.
  3. 자궁과 난관의 연동 운동이 일어나 난자와 정자의 수송을 돕는다.
  4. 웅축을 허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61%)
  • 정답은 "웅축을 허용하지 않는다."입니다.

    발정전기는 암컷 동물이 발정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입니다. 이 때 발생하는 증상으로는 난포의 발육과 난포액이 충만해지고, 난소의 황체 조직이 형성되며, 자궁과 난관의 연동 운동이 일어나 난자와 정자의 수송을 돕습니다.

    따라서 "자궁과 난관의 연동 운동이 일어나 난자와 정자의 수송을 돕는다."가 가축의 발정전기에 일어나는 증상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배란 후 난자의 수정능력과 보유시간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자성생식기도관 내에서 난자의 수정능력 보유시간은 정자의 수정능력 보유시간보다 길다.
  2. 난자는 대개의 경우 배란 후 12~24시간 정도 수정능력을 유지한다.
  3. 인공수정의 시간이 늦을 경우 난자는 그 수정능력 보유말기에 수정되기 때문에 수정란이 착상되지 못할 수 있다.
  4. 난자가 노화되면 유선, 배아흡수 및 이상발생 등이 일어날 수 있다.
(정답률: 72%)
  • "자성생식기도관 내에서 난자의 수정능력 보유시간은 정자의 수정능력 보유시간보다 길다."가 맞지 않는 것이다. 실제로는 정자의 수정능력 보유시간이 더 길다. 이는 정자가 여러 시간 동안 여러 단계의 수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수정란을 찾아들어가기 때문이다. 반면에 난자는 대개의 경우 배란 후 12~24시간 정도 수정능력을 유지하며, 인공수정의 시간이 늦을 경우 난자는 그 수정능력 보유말기에 수정되기 때문에 수정란이 착상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난자가 노화되면 유선, 배아흡수 및 이상발생 등이 일어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소, 돼지, 면양 등에 있어서 성성숙을 지연시키는 것은?

  1. 누진교배
  2. 근친교배
  3. 잡종교배
  4. 이계교배
(정답률: 83%)
  • 근친교배는 동일한 혈통에서의 교배로 인해 유전적 다양성이 감소하고, 유전적 결함이 증가하여 성성숙을 지연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소, 돼지, 면양 등에서는 근친교배를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누진교배는 다른 종이나 품종 간의 교배, 잡종교배는 서로 다른 종이나 품종 간의 교배, 이계교배는 서로 다른 종이나 품종 간의 교배를 반복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돼지의 교배적기는 수퇘지를 허용하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대략 몇 시간 동안인가?

  1. 1~5시간
  2. 6~9시간
  3. 10~25.5시간
  4. 27~31시간
(정답률: 77%)
  • 돼지의 교배적기는 수퇘지를 허용하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약 10~25.5시간 동안입니다. 이는 수컷 돼지의 정액이 수컷의 생식기에 저장되는 시간과 암컷 돼지의 수컷의 정액을 받아들이는 시간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교배적기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10~25.5시간 정도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산유기록의 통계적 보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암소의 연령에 따라 보정을 실시한다.
  2. 1일 착유횟수에 따라 보정을 실시한다.
  3. 착유일수가 다름에 따라 보정을 실시한다.
  4. 산유기간은 365일 기준으로 하여 보정을 실시한다.
(정답률: 72%)
  • "산유기간은 365일 기준으로 하여 보정을 실시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산유기간이 다른 소들 간의 비교를 위해 일정한 기준을 적용하기 위해 보정을 실시합니다. 이 때, 암소의 연령, 1일 착유횟수, 착유일수 등을 고려하여 보정을 실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후손의 능력에 기준을 두는 선발방법으로 젖소에서 많이 이용하는 방법은?

  1. 혈통선발
  2. 개체선발
  3. 후대검정
  4. 가계내선발
(정답률: 78%)
  • 후대검정은 후손의 능력을 기준으로 선발하는 방법으로, 이미 존재하는 후손들 중에서 원하는 기준을 충족하는 후손을 선택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혈통선발이나 개체선발과 달리, 이미 존재하는 후손들의 능력을 직접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은 방법입니다. 따라서 젖소에서도 후대검정 방법을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가축사양학

21. 홀스타인 젖소가 일일 우유 30kg을 생산시 필요로 하는 칼슘 요구량은 약 얼마인가?

  1. 35g
  2. 65g
  3. 95g
  4. 120g
(정답률: 48%)
  • 홀스타인 젖소가 생산하는 1kg의 우유에는 약 3g의 칼슘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일일 우유 생산량이 30kg인 경우, 30kg x 3g/kg = 90g의 칼슘이 필요하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답은 "95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메틸(Methyl)기를 제공하는 항 지방간 물질의 비타민은?

  1. 엽산(Folic acid)
  2. 콜린(Choline)
  3. 피리독신(Pyridoxine)
  4.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정답률: 70%)
  • 콜린은 지방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간 기능을 개선시키고 지방간 예방에도 효과적입니다. 또한, 콜린은 메틸기를 제공하여 지방대사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메틸기를 제공하는 항 지방간 물질의 비타민은 콜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유지율 4%의 우유 1kg의 에너지는 750kcal이고, 에너지 이용효율이 69.3%라고 하면 유효에너지(kcal)는?

  1. 982
  2. 1082
  3. 1182
  4. 1283
(정답률: 57%)
  • 우선, 유지율 4%의 우유 1kg의 총 에너지는 750kcal입니다. 그러나, 이용효율이 69.3%이므로, 실제로 이용 가능한 유효에너지는 750kcal x 0.693 = 519.75kcal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519.75kcal을 반올림한 108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은 닭의 기관 중 어떤 기관에 대한 설명인가?

  1. 명관
  2. 기낭
  3. 인두
(정답률: 83%)
  • 이 그림은 닭의 호흡기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위쪽에 위치한 구멍이 기낭입니다. 기낭은 공기를 흡입하여 기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필수아미노산인 트립토판(Tryptophan)으로부터 전환 될수 있는 비타민은?

  1. 나이아신(Niacin)
  2. 티아민(Thiamine)
  3. 리보플라빈(Riboflavin)
  4. 바이오틴(Biotin)
(정답률: 58%)
  • 트립토판은 나이아신으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이는 트립토판이 나이아신의 전구체인 산화적인 경로를 통해 나이아신으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필수아미노산 계수를 산출한 것 중 기준이 되는 계란의 계수는?

  1. 100
  2. 90
  3. 85
  4. 80
(정답률: 62%)
  • 기준이 되는 계란의 계수는 "100"이다. 이는 인간이 필수적으로 섭취해야 하는 아미노산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식품들의 필수아미노산 계수는 이를 기준으로 비교되며, 100보다 높을수록 더욱 영양가가 높은 식품이라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닭의 인공수정 시 정액을 희석해서 주입하는데 원정액과 같은 수준의 수정율을 얻기 위해서는 적어도 주입정자수가 얼마 정도 필요한가?

  1. 0.5~1.0억
  2. 1.5~2.0억
  3. 2.5~3.0억
  4. 3.5억~5.0억
(정답률: 64%)
  • 닭의 정액은 매우 높은 농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인공수정 시에는 희석이 필요하다. 이때 원정액과 같은 수정율을 얻기 위해서는 적어도 일정한 양의 정자가 필요하다. 이 양은 주입정자수로 나타내는데, 보통 1.5~2.0억 정도의 주입정자수가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충분한 양의 정자를 주입하여 수정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따라서 정답은 "1.5~2.0억"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성장중인 반추도물의 단백질 요구량을 결정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분뇨로 없어지는 질소량
  2. 체중별 증체량에 대한 축적
  3. 사료 중에 함유된 질소의 생물가
  4. 아미노산 화학적 등급
(정답률: 75%)
  • 아미노산 화학적 등급은 단백질의 품질을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이지만, 성장중인 반추도물의 단백질 요구량을 결정하는 요인은 아닙니다. 성장중인 반추도물의 단백질 요구량은 분뇨로 없어지는 질소량, 체중별 증체량에 대한 축적, 사료 중에 함유된 질소의 생물가 등의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지방의 불포화도를 판단하는 기준은?

  1. 전분가
  2. 검화가
  3. 요오드가
  4. Reichert – Meissl가
(정답률: 73%)
  • 지방의 불포화도를 판단하는 기준은 요오드가입니다. 이는 지방 내의 불포화 지방산이 요오드와 결합하여 산화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요오드가 얼마나 많이 소비되는지를 측정하여 지방의 불포화도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인 전분가, 검화가, Reichert-Meissl가는 지방의 품질을 판단하는 다른 기준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비욱중인 돼지의 체지방을 적게 하면서 증체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한 알맞은 사양관리 요령은?

  1. 생체중 50kg을 전후로 전기에는 저영양, 중기에는 고영양으로 사양관리 한다.
  2. 생체중 50kg을 전후로 전기에는 고영양, 중기에는 저영양으로 사양관리 한다.
  3. 이유후부터 출하까지 저영양으로 사양관리 한다.
  4. 이유후부터 출하까지 고영양으로 사양관리 한다.
(정답률: 65%)
  • 생체중이 증가하면서 체지방이 증가하는데, 고영양 사료를 주면 체지방이 더욱 빠르게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생체중 50kg을 전후로 중기에는 체중 증가를 유지하면서도 체지방을 적게 유지하기 위해 저영양 사료를 주고, 전기와 후기에는 체중 증가를 더욱 촉진시키기 위해 고영양 사료를 주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가축의 유지사양시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한 요소는?

  1. 단백질
  2. 무기질
  3. 비타민
  4. 에너지
(정답률: 64%)
  • 에너지는 가축이 생존하고 활동하기 위해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요소입니다.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등은 모두 중요하지만, 이들은 에너지가 충분하지 않으면 제대로 작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가축의 유지사항을 위해서는 먼저 충분한 양의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의 화본과 건초 중 추위에 견디는 힘이 강하고 품질이 우수한 건초는?

  1. 오차드그라스(Orchardgrass)
  2. 티머시(Timothy)
  3. 톨페스큐(Tall fascue)
  4. 리드카나리그라스(Reed canarygrass)
(정답률: 60%)
  • 티머시(Timothy)는 추위에 견디는 힘이 강하고, 품질이 우수한 건초로서, 다른 보기인 오차드그라스(Orchardgrass), 톨페스큐(Tall fascue), 리드카나리그라스(Reed canarygrass)보다 추위에 더 잘 견디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사료의 분류법으로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영양가에 의한 분류
  2. 유통여부에 의한 분류
  3. 화학적 구조에 의한 분류
  4. 배합상태에 의한 분류
(정답률: 59%)
  • 화학적 구조에 의한 분류는 사료의 구성 성분에 따라 분류하는 것으로, 사료의 영양가나 유통여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적당하지 않은 분류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영양소 중 단위당 열량가가 가장 높은 영양소는?

  1. 탄수화물
  2. 단백질
  3. 지방
  4. 전분
(정답률: 70%)
  • 지방은 단위당 열량가가 가장 높은 영양소입니다. 이는 지방이 1그램 당 9kcal의 열량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반면 탄수화물과 단백질은 각각 1그램 당 4kcal의 열량을 가지며, 전분은 탄수화물의 일종으로 1그램 당 4kcal의 열량을 가집니다. 따라서 지방은 같은 양의 다른 영양소보다 더 많은 열량을 제공하므로, 과도한 섭취는 비만 등의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백색 경지방을 생산하는 사료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옥수수겨
  2. 쌀겨
  3. 밀기울
  4. 보릿겨
(정답률: 50%)
  • 보릿겨는 지방 함량이 높아 백색 경지방을 생산하기에 적합한 사료이다. 반면, 옥수수겨, 쌀겨, 밀기울은 보릿겨에 비해 지방 함량이 낮아 백색 경지방 생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돼지의 위에서 분비되는 소화액에 함유되어 있지 않는 물질은?

  1. 탄산수소나트륨(NaHCO3)
  2. 염산(HCl)
  3. 펩신(Pepsin)
  4. 레닌(Rennin)
(정답률: 67%)
  • 돼지의 위에서 분비되는 소화액은 주로 염산과 펩신, 레닌 등의 소화효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은 소화액에 함유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탄산수소나트륨이 소화를 돕는 역할보다는 위산을 중화시켜 위의 pH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단위(單胃)가축에서 분비되지 않는 탄수화물 소화효소는?

  1. 아밀라아제(amylase)
  2. 말타아제(maltase)
  3. 수크라아제(sucrase)
  4. 셀룰라아제(cellulase)
(정답률: 73%)
  • 셀룰로오스는 단위가축의 소화효소로는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셀룰라아제는 분비되지 않는다. 셀룰로오스는 주로 섬유소로서, 소화되지 않고 대장에서 섬유균에 의해 발효되어 에너지원으로 이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보조영양소의 효과는 가축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작용형식이나 효과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이 설명하는 것은?

  1. 향균제
  2. 항미생물제
  3. 생산증진제
  4. 항생제
(정답률: 64%)
  • 보조영양소의 효과는 가축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작용형식이나 효과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정답인 "항생제"는 가축의 질병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며, 항생제는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죽이는 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임신한 가축의 태아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임신 전체 기간 동안 비슷한 발육 양태를 유지한다.
  2. 임신초기에 빠르게 발달하고 중기 이후에는 둔화된다.
  3. 임신중반기까지 완만하며 임신말기에 빠르게 진행된다.
  4. 임신초기에 느리게 발달하고 중기 이후에는 빠르게 된다.
(정답률: 71%)
  • 임신 중반기까지는 태아 발달이 완만하게 진행되다가, 임신 말기에는 빠르게 진행된다. 이는 태아가 출생 전에 충분한 크기와 기능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병아리 사료로서 가장 중요한 영양소는?

  1. 탄수화물
  2. 지방
  3. 무기물
  4. 단백질
(정답률: 71%)
  • 병아리는 성장과 발달을 위해 단백질이 매우 중요합니다. 단백질은 근육, 조직, 피부 등을 구성하는 주요 영양소이며, 병아리의 성장과 건강한 발달을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단백질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병아리 사료에서 가장 중요한 영양소는 단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축산경영학

41. 축산경영에서는 토지면적보다는 가축수에 따라서 그 규모가 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축산경영의 어떠한 특징을 설명한 것인가?

  1. 2차 생산의 성격
  2. 간접적 토지관계
  3. 생산물의 저장 증진
  4. 물량감소와 가치증대의 성격
(정답률: 71%)
  • 축산경영에서는 가축수에 따라 규모가 결정되는데, 이는 축산생산물이 직접적으로 토지와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축산경영은 간접적인 토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축산생산물의 생산과정에서 토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Corn – hog cycle”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곡물가격이 상승하면 가축가격은 상승하고, 곡물가격이 하락시는 가축가격도 하락한다.
  2. 곡물가격이 상승하면 가축가격은 하락하고, 곡물가격이 하락시는 가축가격은 상승한다.
  3. 공산물 가격이 상승하면 농산물가격도 상승하고, 공산물 가격이 하락하면 농산물 가격도 하락한다.
  4. 공산물 가격이 상승하면 농산물가격은 하락하고, 공산물 가격이 하락하면 농산물 가격도 상승한다.
(정답률: 62%)
  • "곡물가격이 상승하면 가축가격은 하락하고, 곡물가격이 하락시는 가축가격은 상승한다."가 가장 잘 설명한 것이다. 이는 곡물가격이 상승하면 가축사육이 비용이 더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가축 생산량이 감소하고, 따라서 가축가격이 상승하는 것이다. 반대로, 곡물가격이 하락하면 가축사육이 더 저렴해지기 때문에 가축 생산량이 증가하고, 따라서 가축가격이 하락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Corn-hog cycle이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복합경영의 가장 큰 장점으로 볼 수 있는 것은?

  1. 경영의 위험을 분산시킬 수 있다.
  2. 노동의 숙력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3. 대량 판매의 유리성을 기대할 수 있다.
  4. 생산비의 저하로 시장경쟁력이 증대 된다.
(정답률: 69%)
  • 복합경영의 가장 큰 장점은 "경영의 위험을 분산시킬 수 있다."입니다. 이는 다양한 사업 분야에 걸쳐 사업을 진행함으로써, 어느 한 분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해 다른 분야에서의 수익으로 상쇄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안정적인 경영을 유지할 수 있으며, 위험을 최소화하고 성장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결합생산물(結合生産物)이 아닌 것은?

  1. 산란계와 달걀
  2. 쇠고기와 소가죽
  3. 양고기와 양모
  4. 쇠고기와 돼지고기
(정답률: 77%)
  • 쇠고기와 돼지고기는 서로 다른 동물의 고기이기 때문에 결합생산물이 아닙니다. 결합생산물은 하나의 동물에서 나오는 여러 가지 생산물들이 서로 연관되어 생산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쇠에서 나오는 고기와 가죽은 결합생산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투자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회수기간이 짧은 투자일수록 투자의 가치가 있다.
  2. 잔존가치는 투자의 내용연수가 끝나고 남는 투자자산의 가치로서 0일수도 있다.
  3. 비용편익비율(B/C Ratio)이 0보다 크면 투자에 따른 손익의 순현재가치(NPV)가 반드시 1보다 크다.
  4. 자금의 조달금리가 연리 10%인 자금을 투자하여 예상되는 수익의 내부수익률(IRR)이 0.07이라면 투자해서는 안 된다.
(정답률: 59%)
  • "비용편익비율(B/C Ratio)이 0보다 크면 투자에 따른 손익의 순현재가치(NPV)가 반드시 1보다 크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비용편익비율이 0보다 크다는 것은 투자비용보다 예상 수익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는 투자의 시간 가치나 위험 등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므로, 반드시 NPV가 1보다 크다고 단정짓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부분적으로 옳지만 완전히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경영비에 속하는 항목은?

  1. 가족노동비
  2. 자기자본이자
  3. 자기토지지대
  4. 물재비
(정답률: 70%)
  • 경영비는 생산에 필요한 비용으로, 생산에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비용을 말합니다. 따라서 물재비는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나 부재료 등을 구매하는 비용으로, 경영비에 속합니다. 가족노동비는 가족 구성원이 생산에 참여하여 받는 보상, 자기자본이자는 자기 자본에 대한 이자, 자기토지지대는 자기 소유의 토지에 대한 지대비용으로, 모두 경영비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손익계산서 등식으로 옳은 것은?

  1. 총비용 – 총수익 = 순손실
  2. 매출총이익 + 일반관리비 = 영업이익
  3. 총이익 – 사업외비용 = 순이익
  4. 매출액 + 매출원가 = 매출총이익
(정답률: 50%)
  • 총이익은 매출총이익에서 일반관리비를 뺀 값이므로, 총이익에서 사업외비용을 빼면 순이익이 됩니다. 따라서 "총이익 – 사업외비용 = 순이익"이 옳은 등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취득원가 1.000.000원, 잔존율 10%, 내용년수 5년인 기계에 제 1차년도 감가상각액(정액법)은 얼마인가?

  1. 15만원
  2. 16만원
  3. 17만원
  4. 18만원
(정답률: 7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축산경영 규모의 척도로 볼 수 없는 것은?

  1. 경영자 연령
  2. 가축사육 두수
  3. 사료작물 재배면적
  4. 고정자본 투자액
(정답률: 79%)
  • 경영자 연령은 축산경영 규모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경영자 개인의 선호나 경험 등에 따라 다양한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축산경영 규모의 척도로 볼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경영자 연령"이다. 반면, 가축사육 두수, 사료작물 재배면적, 고정자본 투자액은 축산경영 규모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축산경영 규모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축산의 경영진단시 비교분석 기준이 아닌 것은?

  1. 표준적인 진단기준과의 비교
  2. 자기경영성과의 년차간 비교
  3. 서로 다른 경영유형간의 성과 비교
  4. 해당 지역의 유사한 경영체와의 성과 비교
(정답률: 71%)
  • "서로 다른 경영유형간의 성과 비교"는 비교 대상이 서로 다른 경영유형간에 있기 때문에 비교분석 기준이 아닙니다. 다른 경영유형간에는 경영목표, 경영전략, 경영환경 등이 다르기 때문에 성과 비교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교분석 기준으로는 표준적인 진단기준과의 비교, 자기경영성과의 년차간 비교, 해당 지역의 유사한 경영체와의 성과 비교 등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축산농가의 경영목적이 순이익(이윤)을 극대화하는데 있다면 생산 수준의 결정은?

  1. 한계수익과 한계비용이 같을 때
  2. 평균수익과 평균비용이 같을 때
  3. 한계수익이 한계비용보다 많을 때
  4. 한계수익이 한계비용보다 적을 때
(정답률: 70%)
  • 정답: "한계수익과 한계비용이 같을 때"

    설명: 한계수익이란 생산량을 한 단위 늘렸을 때 증가하는 수익을 말하고, 한계비용이란 생산량을 한 단위 늘렸을 때 증가하는 비용을 말한다. 따라서 한계수익과 한계비용이 같을 때는 추가 생산량으로 인한 수익 증가와 비용 증가가 같아지므로 순이익이 증가하지 않는 상황이다. 따라서 경영목적이 순이익 극대화인 축산농가는 이러한 상황에서 생산 수준을 결정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축산경영자로서 경영체를 운영하는데 중요시 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확고한 경영조직체이어야 한다.
  2. 경영에 대한 일정한 목표를 가져야 한다.
  3. 상황에 적절한 임기응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4. 가축사육에 대한 기술적인 면만을 필요로 한다.
(정답률: 78%)
  • 가축사육에 대한 기술적인 면만을 필요로 한다는 것은 축산경영자가 가축의 건강관리, 사육환경 조성, 사료 및 영양 관리 등 가축사육에 필요한 전문적인 기술과 지식을 보유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경영체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일반적인 경영 원칙들을 나타내지만, 가축사육에 대한 기술적인 면은 축산경영자에게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가족노동 중심의 소규모 축산경영의 목푝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자가노동보수의 최대화
  2. 자기자본에 대한 이자의 최대화
  3. 자기소유의 토지에 대한 지대의 최대화
  4. 차입한 토지에 대한 지대수익의 최대화
(정답률: 67%)
  • "자가노동보수의 최대화", "자기자본에 대한 이자의 최대화", "자기소유의 토지에 대한 지대의 최대화"는 모두 소규모 축산경영에서 중요하지만, "차입한 토지에 대한 지대수익의 최대화"는 가족노동 중심의 소규모 축산경영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이다. 이는 소규모 축산경영에서는 자기소유의 토지보다는 차입한 토지를 이용해 생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차입한 토지에 대한 지대수익을 최대화하여 경영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축산경영의 공동조직(共同組織)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번식∙육성센터의 운영은 공독조직화의 좋은 사례이다.
  2. 경영의 공동조직화는 농가의 주체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3. 목초지나 방목장 등의 토지를 공용이용하는 조직은 축산경영의 공동조직이라 할 수 없다.
  4. 규모의 영세성으로 인한 다양한 제약 요인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경영 공동조직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
(정답률: 78%)
  • "목초지나 방목장 등의 토지를 공용이용하는 조직은 축산경영의 공동조직이라 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축산경영의 공동조직은 목초지나 방목장 등의 토지를 공용이용하는 조직도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난사비가 6이고, 사료 1kg당의 가격이 250원일 때 계란 1kg의 가격은 얼마인가?

  1. 1000원
  2. 1250월
  3. 1500원
  4. 1750원
(정답률: 73%)
  • 난사비가 6이므로 1kg의 계란은 6개가 들어갑니다. 따라서 1개의 계란은 1/6kg이 됩니다. 사료 1kg당의 가격이 250원이므로, 1/6kg의 사료 가격은 250/6원이 됩니다. 이를 계산하면 약 41.67원이 나옵니다. 따라서 1kg의 계란 가격은 6개의 사료 가격인 41.67원 x 6 = 250원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00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축산물 유통마진의 항목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가축비
  2. 수송비
  3. 저장비
  4. 수수료
(정답률: 69%)
  • 가축비는 축산물 생산에 필요한 비용으로, 유통마진의 항목이 아닙니다. 유통마진은 제품이 생산되어 출하될 때부터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할 때까지의 비용과 이익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유통마진의 항목으로는 수송비, 저장비, 수수료 등이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대차대조표의 구성 요소로만 나열된 것은?

  1. 자산∙부채∙자본
  2. 자본∙토지∙손익
  3. 자산∙수익∙자본
  4. 자산∙부채∙가축
(정답률: 72%)
  • 대차대조표는 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을 나타내는 재무제표이다. 따라서 "자산∙부채∙자본"이 대차대조표의 구성 요소로만 나열된 것이다. 자산은 기업이 보유한 자원이나 권리를 의미하고, 부채는 기업이 갚아야 할 채무를 의미하며, 자본은 기업의 자산에서 부채를 뺀 나머지이다. 이 세 가지 요소는 대차대조표에서 항상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생산함수의 생산영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최적생산 구역은 제3영역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2. 생산함수의 제2영역에서는 생산 투입을 중단한다.
  3. 생산함수의 제1영역에서는 무조건 생산투입을 증가시킨다.
  4. 점2영역은 평균생산이 최고인 점에서 총생산이 최고인점 사이이다.
(정답률: 55%)
  • 생산함수의 제2영역에서는 생산 투입을 중단하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제2영역은 한계생산력이 감소하는 지점으로, 생산투입을 늘리면 총생산은 증가하지만, 한 단위의 생산투입으로 얻는 추가생산량은 감소합니다. 따라서 제2영역에서는 생산투입을 늘리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 있지만, 생산을 중단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양계의 수익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생산능력의 향상
  2. 사료의 요구율을 높임
  3. 적정밀도의 사육과 회전수
  4. 육성율과 품질 및 상품가치의 균일성
(정답률: 74%)
  • "사료의 요구율을 높임"은 양계의 수익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이는 사료를 더 많이 주어서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비효율적인 사료 사용으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고 양계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료의 효율적인 사용과 생산능력의 향상, 적정밀도의 사육과 회전수, 육성율과 품질 및 상품가치의 균일성 등을 고려하여 양계의 수익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A양돈비육농가가 자돈을 30kg에 구입하여 106일동안 사육한 후 체중이 110kg일 때 출하하였다. 이 기간 동안 비육돈 두당 사료섭취량은 228kg이었다. 이 농가의 사료요구율은 얼마인가?

  1. 2.07
  2. 2.85
  3. 3.67
  4. 7.60
(정답률: 70%)
  • 사료요구율은 돈의 증량에 대한 사료소비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사료요구율은 (총 사료섭취량 ÷ 돈의 증량)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자돈 1마리를 106일 동안 30kg에서 110kg로 기르면서 228kg의 사료를 소비했다고 하였다. 따라서 돈의 증량은 110kg - 30kg = 80kg이다. 따라서 사료요구율은 228kg ÷ 80kg = 2.85이다. 따라서 정답은 "2.8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사료작물학

61. 산성토양의 중화에 사용되는 것은?

  1. 질소
  2. 인산
  3. 칼륨
  4. 석회
(정답률: 75%)
  • 산성토양은 pH 값이 낮아 작물의 성장에 부적합한 환경입니다. 이를 중화하기 위해서는 염기성 물질이 필요한데, 이 중에서도 가장 효과적인 것이 석회입니다. 석회는 중화 작용을 하면서도 칼슘,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을 공급하여 작물의 성장을 돕습니다. 따라서 석회는 산성토양의 중화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물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답리작으로 수확량이 가장 높은 사료작물은?

  1.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2. 오차드그라스
  3. 청예호밀
  4. 청예연맥(귀리)
(정답률: 60%)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다른 작물에 비해 생육속도가 빠르고, 수확량이 많아서 사료작물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영양가가 높아서 축사에서 사료로 사용하면 가축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수확량이 가장 높은 사료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보통 사일리지 재료의 가장 적당한 수분 함량은?

  1. 20 ~ 28%
  2. 40 ~ 45%
  3. 68 ~ 72%
  4. 80 ~ 85%
(정답률: 75%)
  • 사일리지 재료의 가장 적당한 수분 함량은 68 ~ 72%이다. 이는 사일리지 제작 시 발효 과정에서 적절한 미생물 활동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수분 함량 범위이다. 너무 낮은 수분 함량은 발효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너무 높은 수분 함량은 부패와 곰팡이 등의 유해 미생물 발생을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일리지 제작 시 적절한 수분 함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경운초지 조성시의 작업순서가 바르게 된 것은?

  1. 장해물제거 → 시비 → 경운 → 진압 → 파종 → 정지 → 복토
  2. 장해물제거 → 경운 → 정지 → 시비 → 파종 → 복토 → 진압
  3. 경운 → 정기 → 시비 → 장해물제거 → 파종 → 복토 → 진압
  4. 정지 → 장해물제거 → 시비 → 경운 → 파종 → 진압 → 복토
(정답률: 69%)
  • 정답은 "장해물제거 → 경운 → 정지 → 시비 → 파종 → 복토 → 진압" 입니다.

    먼저, 장해물제거를 먼저 해야 경운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경운을 하여 토양을 완만하게 만들어줍니다. 그리고 정지를 하여 토양이 충분히 안정화되도록 합니다. 그 다음으로 시비를 하여 식물이 성장하기에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합니다. 그리고 파종을 하여 식물을 심어줍니다. 그리고 복토를 하여 토양의 구조를 개선하고 영양분을 골고루 공급합니다. 마지막으로 진압을 하여 식물이 안정적으로 자라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헤일리지(haylage)의 수분 함유량은?

  1. 30 ~ 40%
  2. 40 ~ 60%
  3. 60 ~ 70%
  4. 70 ~ 80%
(정답률: 62%)
  • 헤일리지는 건초를 수분 함유량이 높은 상태에서 발효시켜 만든 사료입니다. 이 과정에서 건초의 수분 함유량이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되어야 발효가 원활하게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헤일리지의 수분 함유량은 40 ~ 60% 정도로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콩과목초 중 기호성이 높고, 질이 좋은 것은?

  1. 알팔파
  2. 스위트 클로버
  3. 크림슨 클로버
  4. 레드 클로버
(정답률: 82%)
  • 알팔파는 꿀벌이 선호하는 꽃으로, 꿀의 양과 질이 뛰어나기 때문에 기호성과 질이 높다고 평가됩니다. 스위트 클로버와 크림슨 클로버도 꿀벌이 선호하는 꽃이지만, 알팔파에 비해 꿀의 양과 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선택되지 않았습니다. 레드 클로버는 꿀벌이 선호하지 않는 꽃으로, 기호성과 질이 낮다고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산성 토양지에 가장 강한 사료작물은?

  1. 수단그라스
  2. 화이트 클로버
  3. 알팔파
  4. 스위트 클로버
(정답률: 56%)
  • 수단그라스는 산성 토양에 적응력이 뛰어나며, 높은 생육력과 영양가를 가지고 있어서 산성 토양에서 가장 강한 사료작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중부 평야지대에서 사일리지(silage)용 옥수수의 파종적기는?

  1. 4월 10일 ~ 5월 10일
  2. 5월 20일 ~ 6월 10일
  3. 6월 20일 ~ 7월 10일
  4. 7월 20일 ~ 8월 10일
(정답률: 64%)
  • 중부 평야지대에서는 봄철에 온도와 습도가 적절하며, 충분한 강수량이 예상되는 4월 10일부터 5월 10일 사이가 적합한 시기이다. 이 기간에 파종하면 적정한 생육환경에서 자라서 수확량과 품질이 좋아진다. 다른 보기들은 기온과 습도 등이 부적절하거나 강수량이 부족한 시기이므로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건초의 품질은 재료의 종류, 목초의 성숙도, 조제방법 등에 따라 달라지며, 가축생산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다음 중 건초의 평가기준과 거리가 먼 것은?

  1. 녹색도와 곰팡이 발생여부
  2. 잎의 비율과 순도
  3. 건초의 제조방법
  4. 향기와 촉감
(정답률: 69%)
  • 건초의 제조방법은 건초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다른 보기들은 건초의 품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건초의 장기저장을 위해 저장성과 현실성(경제성)을 고려할 때 가장 적당한 수분 함량은?

  1. 1 ~ 5%
  2. 10 ~ 18%
  3. 20 ~ 25%
  4. 28 ~ 35%
(정답률: 69%)
  • 건초의 수분 함량이 너무 낮으면 저장성이 높아지지만, 건조하고 부서지기 쉬운 건초가 되어 경제성이 떨어집니다. 반대로 수분 함량이 너무 높으면 부패와 곰팡이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저장성과 경제성이 모두 떨어집니다. 따라서 건초의 장기저장을 위해서는 저장성과 경제성을 모두 고려하여 적당한 수분 함량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건초의 적정 수분 함량은 10 ~ 18%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식물체 내에서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축적에 필요하며, 목초의 월동전 추비로서 필요한 2가지 비료는?

  1. 질소와 칼리
  2. 질소와 인산
  3. 질소와 붕산
  4. 질소와 마그네슘
(정답률: 57%)
  • 질소는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원소이며, 칼리는 탄수화물 합성과 수분 균형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원소입니다. 따라서 식물체 내에서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축적에 필요하며, 목초의 월동전 추비로서 필요한 2가지 비료는 질소와 칼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수수 × 수단그라스의 건물수량이 2700kg이고, 청초의 수분함량이 85%일 때 청초수량은?

  1. 15000kg
  2. 16000kg
  3. 18000kg
  4. 20000kg
(정답률: 6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파종 후에 초기생육이 가장 빠른 목초는?

  1. 레드톱
  2. 오차드 그라스
  3. 켄터키 블루그라스
  4.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정답률: 64%)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빠른 초기생육력과 높은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파종 후에 빠르게 자라서 빈틈없이 잔디를 덮어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이 있어서 유지보수가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사일리지용 옥수수 재배에서 작업효율을 고려할 때 가장 적합한 추비의 사용 시기는?

  1. 3 ~ 4엽
  2. 5 ~ 6엽
  3. 7 ~ 8엽
  4. 10 ~ 12엽
(정답률: 61%)
  • 사일리지용 옥수수는 7~8엽 때 생육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이 시기에 추비를 사용하면 작업효율이 가장 높아집니다. 3~4엽이나 5~6엽 때는 아직 생육이 충분하지 않아 효과가 미미하며, 10~12엽 때는 이미 성장이 거의 완료되어 더 이상 추비를 사용해도 효과가 떨어집니다. 따라서 7~8엽 때가 가장 적합한 추비 사용 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답리작으로 풋베기(청예) 호밀을 재배할 때의 ha당 파종적량은?

  1. 60 ~ 100kg
  2. 130 ~ 180kg
  3. 260 ~ 300kg
  4. 360 ~ 400kg
(정답률: 62%)
  • 풋베기(청예) 호밀은 일찍 파종하면 생육기간이 길어져서 추위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늦게 파종하면 수확기가 늦어져서 고온다습한 기후에서 병해충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적정 파종량은 130 ~ 180kg 정도로 추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초지토양의 선정기준 중 경운초지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경사는 30% 이하이다.
  2. 유효토심은 20cm 정도이다.
  3. 토성은 사양질, 식양질이다.
  4. 지형은 평탄, 구름, 단구, 대지이다.
(정답률: 46%)
  • "유효토심은 20cm 정도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경운초지의 경우 유효토심이 30cm 이상이어야 합니다. 유효토심은 식물이 뿌리를 펼칠 수 있는 토양의 깊이를 의미하며, 식물의 성장과 생산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경운초지를 선정할 때는 유효토심이 충분한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목초의 채초이용 적기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화본과 목초는 출수전기이다.
  2. 두고 목초는 개화초기이다.
  3. 혼파 초지는 두과에 준한다.
  4. 수량, 품질과 재생을 고려한 다음 예취한다.
(정답률: 66%)
  • "혼파 초지는 두과에 준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혼파 초지는 일반적으로 두과보다는 화본과에 더 가깝다. 이유는 혼파 초지는 높은 영양가를 가지고 있어서 축사에서 축사비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두과는 일반적으로 축사비료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두과 목초류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종자는 일반적으로 배젖이 없고 종자의 저장 영양분은 2개의 떡잎에 들어있다.
  2. 잎은 2 ~ 3개의 작은 잎을 가진 복합엽으로 되어 있다.
  3. 접종된 목초의 뿌리에는 질소고정을 할 수 있는 근류균을 갖는다.
  4. 꽃은 1 ~ 3개의 수술, 2개의 인피 및 암술로 되어 있다.
(정답률: 58%)
  • "꽃은 1 ~ 3개의 수술, 2개의 인피 및 암술로 되어 있다."가 잘못된 설명인 이유는, 목초류의 꽃은 일반적으로 수술, 인피, 암술이 모두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고, 수술이나 인피, 암술의 개수가 다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일반화된 오류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요수량이 제일 많은 사료작물인 것은?

  1. 수단그라스
  2. 귀리
  3. 브롬그라스
  4. 옥수수
(정답률: 47%)
  • 브롬그라스는 다른 사료작물에 비해 요수량이 많아서, 소, 말, 양 등의 가축에게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요수량이 제일 많은 사료작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목초 중 추위에 가장 강한 초종은?

  1. 크림슨 클로버
  2. 티모시
  3. 오차드그라스
  4. 스위트클로버
(정답률: 72%)
  • 티모시는 추위에 강한 초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티모시가 겨울철에도 녹색으로 남아있을 수 있고, 추위에도 잘 견딜 수 있는 강한 생존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티모시는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며, 토양의 영양분을 잘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티모시는 많은 농가에서 인기 있는 초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