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9-28)

축산산업기사
(2013-09-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가축번식 육종학

1. 혈연관계가 밀접한 개체끼리의 교배로 생성된 후손은?

  1. 근친교배
  2. 이계교배의 자손
  3. 톱교잡종(topcross)
  4. 누진교배(grading)
(정답률: 83%)
  • 혈연관계가 밀접한 개체끼리의 교배로 생성된 후손은 "근친교배"이다. 이는 유전자가 유사한 개체끼리 교배하면, 유전적 다양성이 감소하고 유전적 결함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친교배는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계교배의 자손, 톱교잡종(topcross), 누진교배(grading) 등과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Prostaglandin F2α의 생리작용이 아닌 것은?

  1. 황체퇴행
  2. 수정란의 착상
  3. Progesterone의 분비감소
  4. LH의 분비조절
(정답률: 62%)
  • Prostaglandin F2α는 황체퇴행, Progesterone의 분비감소, LH의 분비조절 등 여러 생리작용을 가지고 있지만, 수정란의 착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수정란의 착상은 다른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수컷의 부생식기 자극과 정자형성 촉진에 주로 관계하는 호르몬은?

  1. estrogen(에스트로겐)
  2. androgen(안드로겐)
  3. progesterone(프로게스테론)
  4. relaxin(리랙신)
(정답률: 78%)
  • 안드로겐은 남성 호르몬으로, 수컷의 부생식기 자극과 정자형성 촉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호르몬은 남성의 생식기 발달과 유지에도 영향을 미치며, 여성에서도 일부 안드로겐이 분비됩니다. 따라서 안드로겐은 수컷의 생식기 기능과 발달에 필수적인 호르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돼지에서 분만시 가장 많은 태위는?

  1. 두위와 미위
  2. 측두위
  3. 전태위
  4. 흉두위
(정답률: 67%)
  • 돼지에서 분만시 가장 많은 태위는 "두위와 미위"입니다. 이는 돼지의 태아가 자연스럽게 출생할 때 머리와 다리가 함께 나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머리와 다리가 함께 나오는 두위와 미위 태위가 가장 많이 나타나게 됩니다. 측두위는 태아의 머리가 출생시 골반의 한쪽 측면에 위치하는 경우를 말하며, 전태위는 태아의 머리가 출생시 골반 입구에 위치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흉두위는 태아의 머리가 가슴쪽으로 위치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난포낭종이 발생한 소가 성욕이상항진증(nymphomania)이 되는 경우 무슨 호르몬의 분비가 왕성할 때인가?

  1. 에스토로겐(estrogen)
  2. 옥시토신(oxytocin)
  3.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4. 프로락틴(prolactin)
(정답률: 64%)
  • 난포낭종이 발생한 소는 에스트로겐 분비가 증가하게 되어 성욕이상항진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에스트로겐은 여성 호르몬으로서 생식기관의 발달과 기능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에스트로겐 분비가 증가하면 생식기관의 기능이 증가하게 되어 성욕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난소에서 분비되는 호르몬과 거리가 먼 것은?

  1. oxytocin
  2. progesterone
  3. relaxin
  4. estrogen
(정답률: 62%)
  • 난소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중 "oxytocin"은 실제로 난소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 아니라,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입니다. 따라서 "oxytocin"은 난소에서 분비되는 호르몬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동물별 평균 임신기간이 맞는 것은?

  1. 소(jersey) : 305일
  2. 사슴 : 300일
  3. 밍크 : 100일
  4. 돼지 : 114일
(정답률: 79%)
  • 돼지의 임신기간은 평균적으로 114일이며, 이는 다른 동물들의 임신기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편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닭의 성장률과 가장 관계 깊은 형질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므로 닭의 성장률 측정에 이용하는 척도는?

  1. 산란성
  2. 정강이 길이
  3. 우모색
  4. 우모발생속도
(정답률: 77%)
  • 정강이 길이는 닭의 성장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형질 중 하나이다. 정강이는 닭의 다리 중 가장 긴 부분으로, 닭의 성장과 함께 길어지는 부분이다. 따라서 정강이 길이를 측정하면 닭의 성장률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닭의 건강 상태와 생산성을 평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닭의 산란능력을 개량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선발방법은?

  1. 후대검정
  2. 개체선발
  3. 가계선발
  4. 결합선발
(정답률: 61%)
  • 가계선발은 부모닭의 산란능력과 유전적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부모닭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산란능력을 개선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후대검정은 이미 선택된 부모닭의 자손들을 검사하여 적합성을 판단하는 방법이며, 개체선발은 개별 닭의 유전적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방법입니다. 결합선발은 여러 개체의 유전적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부모닭을 선택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고기소 송아지의 이유시 체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어미 소의 비유 능력
  2. 어미 소의 사료 효율
  3. 송아지의 유전적 소질
  4. 송아지의 이유시기
(정답률: 66%)
  • 어미 소의 사료 효율은 고기소 송아지의 체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닙니다. 이는 어미 소가 송아지를 먹이는 양과 관련이 있지만, 송아지의 체중은 어미 소의 사료 효율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어미 소의 사료 효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분만시 태아의 만출과 후산의 배출을 도와주는 호르몬은?

  1. Estrogen(에스트로겐)
  2. Oxytocin(옥시토신)
  3. Prostaglandin(프로스타글란딘)
  4. Progesterone(프로게스테론)
(정답률: 64%)
  • 옥시토신은 자궁수축을 유발하여 태아의 만출과 후산의 배출을 도와주는 호르몬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임신과 관련된 호르몬이지만, 분만시에는 옥시토신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돼지의 근친교배 결과로 생길 수 있는 현상은?

  1. 일반적으로 생산능력을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다.
  2. 잡종강세 현상이 나타난다.
  3. 산자수, 성장률 등이 향상된다.
  4. 번식능력이 향상된다.
(정답률: 71%)
  • 근친교배는 유전적 다양성을 감소시키는데, 이는 유전적 결함이 증가하고 유전적 질병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로 인해 일반적으로 생산능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가축개량에 대한 기술 중 농가에서 활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특히 소와 돼지의 번식에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것은?

  1. 유전자 조작
  2. 형질전환동물생산
  3. 염색체 조작
  4. 인공수정
(정답률: 81%)
  • 인공수정은 소와 돼지의 번식에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이는 인공적으로 수컷의 정자와 암컷의 알을 결합시켜 새끼를 생산하는 기술로, 원하는 특성을 가진 부모 동물을 선택하여 번식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원하는 유전적 특성을 가진 가축을 생산할 수 있으며,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잡종강세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잡종 자손의 능력이 양친 중 우수한 쪽보다 못할 수도 있다.
  2. 유전력이 높은 형질에서 잡종강세가 크게 나타난다.
  3. 주로 닭과 돼지에서 산업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4. 잡종강세는 생존율, 강건성, 번식능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형질에서 크게 나타난다.
(정답률: 49%)
  • "주로 닭과 돼지에서 산업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는 잡종강세 현상에 대한 설명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틀린 것이다.

    유전력이 높은 형질에서 잡종강세가 크게 나타나는 이유는, 양친의 유전자들이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을 때, 자손은 두 형태를 모두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해 다양한 유전자 조합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이는 자손의 생존율, 강건성, 번식능력 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일반적인 돼지의 교배적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퇘지를 허용한 시점으로부터 10~25.5 시간의 범위
  2. 외음부의 점액분비가 시작되는 시기
  3. 돼지의 후부를 눌렀을 때 부동반믕을 나타내는 시기
  4. 외음부의 발적, 종창이 최고조로 지나 약간 감퇴한 시기
(정답률: 48%)
  • 외음부의 점액분비가 시작되는 시기가 틀린 것이다. 돼지의 교배적기는 수퇘지를 허용한 시점으로부터 10~25.5 시간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며, 이 기간 동안 외음부의 발적, 종창이 최고조로 지나 약간 감퇴하는 시기와 동시에 돼지의 후부를 눌렀을 때 부동반믕을 나타내는 시기가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X가계도의 근교계수는 얼마인가?

  1. 12.5%
  2. 25%
  3. 37.5%
  4. 50%
(정답률: 65%)
  • 근교계수는 근처 지역의 소비가 얼마나 해당 지역에서 일어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X가계도에서 근교계수는 (근처 지역의 소비 / 전체 소비) *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X가계도에서 근처 지역의 소비는 A, B, C, D 지역의 소비를 합한 값인 200이다. 전체 소비는 A, B, C, D, E, F 지역의 소비를 합한 값인 1600이다.

    따라서 근교계수는 (200 / 1600) * 100 = 12.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선발(選拔, selection)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우수한 유전형질의 고정
  2. 가축의 능력 퇴화 방지
  3. 유전자 빈도의 변화
  4. 새로운 유전자의 도입
(정답률: 45%)
  • 선발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유전자 빈도의 변화입니다. 이는 우수한 유전형질을 가진 개체들이 번식을 통해 자신의 유전자를 더 많이 전달하고, 그 결과 해당 유전자의 빈도가 증가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우수한 유전형질을 고정시키고, 가축의 능력 퇴화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유전자의 도입도 가능하지만, 이는 유전자 빈도의 변화와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발정주기 중 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가축이 배란(排卵)을 하는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발정휴지기에서 발정기로 이행하는 시기이다.
  2. 난포로부터 에스트로겐(estrogen)의 분비가 왕성해진다.
  3. 황체에서 생성되는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의 영향을 받는 시기이다.
  4. 난소주기(卵巢週期)로 보아서는 황체기(黃體期)에 속하는 시기이다.
(정답률: 42%)
  • 난포로부터 에스트로겐(estrogen)의 분비가 왕성해진다. 이는 발정주기 중 가장 중요한 단계로,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증가함에 따라 자궁내막이 두꺼워지고 난자의 성숙도 증가하여 배란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이 단계에서는 수컷의 발정기와 달리 여성의 경우 다수의 난포가 성장하며, 그 중 하나가 우세해져서 배란을 일으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자돈의 한배새끼 이유시 체중을 측정할 때 생후 몇 일령 기준으로 보정하는가?

  1. 45일령
  2. 31일령
  3. 25일령
  4. 21일령
(정답률: 63%)
  • 자돈의 한배새끼 이유시 체중을 측정할 때 생후 21일령 기준으로 보정하는 이유는 이때부터 젖을 먹이는 양이 점점 증가하고 고체사료를 먹이기 시작하기 때문에 체중이 빠르게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때부터 비만도와 성장속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닭의 산육능력개량에 중요한 형질은?

  1. 취소성
  2. 동기휴산성
  3. 성장율
  4. 산란지속성
(정답률: 66%)
  • 닭의 산육능력은 산란지속성과 함께 성장율이 매우 중요한 형질입니다. 성장율이 높을수록 닭이 빠르게 성장하고 체중이 증가하기 때문에 산란능력도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성장율이 높은 닭은 산란능력이 높아져 생산성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가축사양학

21. 사료의 단백질 가치 표시방법이 아닌 것은?

  1. 사료요구율
  2. 가소화조단백질
  3. 단백질 효율
  4. 생물가
(정답률: 66%)
  • 사료요구율은 사료 중에서 소화되지 않은 부분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단백질 가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답이 됩니다. 사료요구율은 소화되지 않은 부분이 많을수록 낮아지며, 소화율이 높을수록 높아집니다. 이는 사료의 소화성과 소화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원료사료의 분류 중 성분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1. 단백질 사료
  2. 전분질 사료
  3. 지방질 사료
  4. 농후사료
(정답률: 71%)
  • "농후사료"는 성분에 따른 분류가 아닌, 사료의 원산지나 생산방법에 따라 분류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사료의 성분에 따라 분류되는 것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필수아미노산이 아닌 것은?

  1. 라이신(lysin)
  2. 알리닌(alanine)
  3. 트립토판(tryptophane)
  4. 트레오닌(theronine)
(정답률: 61%)
  • 알리닌은 필수아미노산이 아닙니다. 필수아미노산은 인체에서 스스로 합성하지 못하고 외부에서 섭취해야 하는 아미노산을 말합니다. 하지만 알리닌은 인체에서 직접 합성할 수 있기 때문에 필수아미노산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보기가 설명하는 품종은?

  1. Berkshire
  2. yorkshire
  3. Hampshire
  4. Landrace
(정답률: 64%)
  • 보기에서 나타난 돼지 품종 중 "Landrace"는 흰색의 몸뚱아리와 긴 귀를 가지고 있으며, 육질이 부드럽고 맛이 좋아서 육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품종이다. 다른 보기인 "Berkshire", "Yorkshire", "Hampshire"는 각각 다른 특징을 가진 돼지 품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의 곡류 및 강류사료 중 설사성 사료인 것은?

  1. 옥수수
  2. 보리
  3. 생쌀겨
  4. 수수
(정답률: 67%)
  • 생쌀겨는 섬유질 함량이 높아 소화가 어렵기 때문에 설사성 사료입니다. 반면에 옥수수, 보리, 수수는 소화가 쉬우므로 설사성 사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반추가축에서 조사료보다 농후사료를 더 많이 섭취하면 반추위내에 생성되는 휘발성 지방산 중 생성비율이 가장 많이 증가되는 것은?

  1. 초산
  2. 프로피온산
  3. 낙산
  4. 글루탐산
(정답률: 55%)
  • 반추가축에서 농후사료를 더 많이 섭취하면 반추위내의 미생물이 농후사료를 분해하여 휘발성 지방산을 생성합니다. 이때, 농후사료에는 프로피온산 전구체인 프로피온산이 포함되어 있어, 농후사료를 더 많이 섭취하면 프로피온산의 생성비율이 가장 많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프로피온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단백질의 영양소로서의 중요한 기능은?

  1. 체온유지
  2. 세포의 구성성분
  3. 해독작용
  4. 주된 에너지원
(정답률: 69%)
  • 단백질은 세포의 구성성분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세포막, 세포내 기관, 효소 등의 구성요소로서 필수적이며, 세포의 생존과 기능을 유지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돼지 비육돈에 건물기준으로 배합사료 4kg을 요구한다. 이 때 급여하는 배합사료의 수분함량이 20% 일 경우 실제 급여상태 기준 급여량은?

  1. 4 kg
  2. 5 kg
  3. 6 kg
  4. 7 kg
(정답률: 70%)
  • 배합사료의 수분함량이 20%이므로, 4kg의 배합사료 중 20%인 0.8kg은 수분이다. 따라서 실제 급여하는 사료의 양은 4kg + 0.8kg = 4.8kg이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건물기준으로 배합사료 4kg을 요구하므로, 실제 급여상태 기준 급여량은 5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산란계의 산란상태에 따른 산란기별 산란율 및 난중 등의 변화 표 중 A가 의미하는 것은?

  1. 생존율
  2. 산란율
  3. 체중
  4. 달걀의 크기
(정답률: 61%)
  • A는 산란계의 산란상태를 나타내는데, "1"은 정상적인 산란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산란기별 산란율 및 난중 등의 변화는 정상적인 산란상태에서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

    정답인 "생존율"은 표에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보기에 포함되어 있는 용어 중 하나이다. 이유는 산란율이나 체중, 달걀의 크기 등은 산란계의 생산성과 관련된 지표이지만, 생존율은 산란계의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란율, 체중, 달걀의 크기와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부화율을 높이는데 가장 관계 깊은 비타민은?

  1. 비타민 E
  2. 비타민 B6
  3. 비타민 K
  4. 비타민 C
(정답률: 63%)
  • 비타민 E는 산화방지 작용을 하여 난자의 산화를 방지하고, 난자의 수명을 연장시켜 부화율을 높이는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부화율을 높이는데 가장 관계 깊은 비타민은 비타민 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사료의 생물가를 평가하려면 알아야 할 것은?

  1. 소화 가능한 조단백질량과 에너지 흡수량
  2. 체내 흡수된 질소량과 체네 이용된 질소량
  3. 체내에 이용된 열량과 분으로 손실된 열량
  4. 섭취한 조단백질량과 체내에 이용된 에너지량
(정답률: 63%)
  • 사료의 생물가를 평가하려면 사료가 동물의 체내에서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용되는지 알아야 합니다. 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체내 흡수된 질소량과 체내 이용된 질소량을 알아야 합니다. 이는 사료가 동물의 체내에서 얼마나 효율적으로 단백질로 변환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사료의 생물가를 평가하는 데 필요한 정보이지만, 질소량은 사료의 단백질 함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닭(가금)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에너지 표현방법은?

  1. 총에너지(GE)
  2. 가소화에너지(DE)
  3. 대사에너지(ME)
  4. 정미에너지(NE)
(정답률: 64%)
  • 닭은 에너지를 소화하고 대사하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사용하므로, 대사에너지(ME)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표현 방법이다. 총에너지(GE)는 닭의 소화가 불완전하거나 소화가 되지 않은 먹이까지 모두 포함하는 값이므로 정확하지 않다. 가소화에너지(DE)는 소화가 완전하게 이루어졌을 때의 에너지를 나타내지만, 닭의 소화능력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정미에너지(NE)는 닭의 영양소 섭취량과 관련된 값으로, 에너지 표현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비육돈의 사료배합과 급여수준 결정에 기준이 되는 것은?

  1. 체중
  2. 연령
  3. 도체의 품질
  4. 등지방의 두께
(정답률: 55%)
  • 비육돈의 사료배합과 급여수준 결정에 기준이 되는 것은 체중입니다. 이는 비육돈의 성장과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체중이 적절하게 유지되면 비육돈은 건강하게 성장하며, 사료배합과 급여수준도 이에 맞게 조절됩니다. 따라서 비육돈의 체중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곡물 생육시 또는 수확 후 저장시 곰팡이 발생에 의하여 생성되는 유해물질은?

  1. 유기산
  2. 유리지방산
  3. 아플라톡신
  4. 유리아미노산
(정답률: 73%)
  • 곡물 생육시 또는 수확 후 저장시 곰팡이가 발생하면, 곰팡이가 생성하는 독성물질인 아플라톡신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플라톡신"입니다. 유기산, 유리지방산, 유리아미노산은 곡물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이 아니며, 아플라톡신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체내 모든 세포에서 발견되는 아미노산으로 시스틴, 시스테인 및 메치오닌의 공통된 구성성분의 속하는 광물질은?

  1. 황(S)
  2. 아연(Zn)
  3. 셀레늄(Se)
  4. 마그네슘(Mg)
(정답률: 52%)
  • 시스틴, 시스테인 및 메치오닌은 모두 황을 포함하는 아미노산이기 때문에, 이 광물질은 황(S)입니다. 다른 보기인 아연(Zn), 셀레늄(Se), 마그네슘(Mg)은 시스테인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체중이 325kg인 종형종의 숫소가 1일 증체량이 1kg인 경우 하루 단백질의 요구량은 몇 g인가?

  1. 748
  2. 777
  3. 795
  4. 813
(정답률: 66%)
  • 종형종의 숫소가 1일에 1kg 증가하면, 하루에 섭취한 에너지는 1kg x 7,700kcal/kg = 7,700kcal이 됩니다. 이때, 단백질의 비율은 약 16%이므로, 하루에 섭취해야 할 단백질의 양은 7,700kcal x 0.16 = 1,232g입니다. 하지만, 이 숫소가 이미 소화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체중을 늘인 것이므로, 이를 고려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따라서, 하루에 섭취해야 할 단백질의 양은 1,232g - (325kg x 50g/kg) = 1,232g - 16,250g = -15,018g입니다. 이는 음수이므로, 숫소는 하루에 단백질을 섭취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79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가축의 기초대사 측정시 요구되는 적합한 조건이 아닌 것은? (문제 오류로 보기 내용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내용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 부탁드립니다. 정답은 4번입니다.)

  1. 동물의 영양상태가 양호할 것
  2. 동물의 소화가 완전히 끝난 상태일 것
  3. 근육이 완전히 휴식상태일 것
  4. 복원중
(정답률: 71%)
  • "복원중"은 적합한 조건이 아닙니다. 이유는 복원 중인 동물은 기초대사가 일시적으로 높아지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정 시에는 동물의 영양상태가 양호하고, 소화가 완전히 끝난 상태이며, 근육이 완전히 휴식상태일 때 측정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젖소가 분만 직후 혈액내 칼슘이 부족하여 순환장해, 전신마비, 의식불명, 심하면 ㅎ노수상태에서 사망케하는 질병은?

  1. 케토시스
  2. 유열
  3. 산독증
  4. 그라스 테타니
(정답률: 66%)
  • 젖소가 분만 직후에는 칼슘이 많이 소모되기 때문에 혈액 내 칼슘이 부족해지는데, 이때 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열은 칼슘이 부족하여 근육이 올바르게 수축하지 못하고, 순환장애, 전신마비, 의식불명, 심하면 호흡수상태에서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질병입니다. 따라서 분만 직후에는 충분한 칼슘 공급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사료의 영양적 가치 평가 중 단백질이 가축 체내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영양율(nutritive ratio, NR)을 조사하는데 급여하는 사료 중 가소화단백질 8%, 가소화에너지 총량(TDN) 72% 일 때 영양율은?

  1. 8
  2. 9
  3. 10
  4. 11
(정답률: 52%)
  • 영양율(NR) = (가소화단백질 × 6.25 ÷ TDN) × 100
    = (8 × 6.25 ÷ 72) × 100
    = 0.694 × 100
    = 69.4

    따라서 영양율은 69.4이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인 8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육성기에 높은 영양으로 사육을 한 젖소는 초산시 산유량이 떨어졌다. 이유는 무엇인가?

  1. 성성숙이 빠르기 때문이다.
  2. 임신기간이 짧아지기 때문이다.
  3. 유선조직에 비하여 지방조직이 더 발달했기 때문이다.
  4. 생식기관의 발달이 부진해지기 때문이다.
(정답률: 70%)
  • 젖소가 육성기에 높은 영양으로 사육되면 지방조직이 더 발달하게 되어 유선조직에 비해 공간이 부족해져서 초산시 산유량이 떨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축산경영학

41. 한계비용에 대한 내용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일정량의 생산에 소요된 총비용을 생산량으로 나눈 것
  2. 생산량 1단위 증가분을 평균비용의 증가분으로 나눈 것
  3. 일정량의 생산에 소요된 평균비용을 생산량으로 나눈 것
  4. 생산량을 1단위 더 생산할 때 추가적으로 들어가는 총비용의 추가분
(정답률: 65%)
  • "생산량을 1단위 더 생산할 때 추가적으로 들어가는 총비용의 추가분"이 정답입니다. 이는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추가로 투입되는 비용을 의미하며, 한계비용은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축산 경영의 4대 요소로만 구성된 것은?

  1. 목초지, 고용력, 자본재, 기술
  2. 목초지, 자가노동, 자본재, 기술
  3. 토지, 노동력, 자본재, 경영기술
  4. 토지, 고용력, 자본재, 경영기술
(정답률: 76%)
  • 축산 경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축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축사나 목초지인 토지, 축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노동력, 생산에 필요한 자본재, 그리고 효율적인 경영을 위한 경영기술입니다. 따라서 "토지, 노동력, 자본재, 경영기술"이 4대 요소로 구성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어떤 육계경영농가에서 평균고정비용 100,000원, 평균유동비용 200,000원, 총고정비용 2,000,000원, 총유동비용 4,000,000원이 투입되었다면 평균총비용은 얼마인가?

  1. 300,000원
  2. 2,300,000원
  3. 6,200,000원
  4. 6,300,000원
(정답률: 59%)
  • 평균총비용은 평균고정비용과 평균유동비용의 합이므로 100,000원 + 200,000원 = 300,000원이다. 총고정비용과 총유동비용은 평균비용을 구하기 위한 보조적인 정보일 뿐, 평균총비용을 구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축산순수익을 표현한 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축산조수익 - 축산소득
  2. 축산조수익 - 자본이자
  3. 축산조수익 - 축산경영비
  4. 축산조수익 – 축산물생산비
(정답률: 43%)
  • 가장 적절한 것은 "축산조수익 – 축산물생산비"이다. 이는 축산물을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을 제외한 순수익을 나타내는 식이다. 축산조수익은 축산물 판매로 얻는 수익을 의미하며, 축산물생산비는 축산물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둘을 빼면 순수익이 나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보완관계(補完關係)를 이루고 있는 것은?

  1. 양계경영과 부업경영
  2. 양돈경영과 낙농경영
  3. 양계경영과 채소경영
  4. 양돈경영과 양계경영
(정답률: 69%)
  • 양계경영과 채소경영은 보완관계를 이루고 있다. 양계농가는 폐기물을 채소재배에 이용할 수 있고, 채소농가는 양계농가에서 발생하는 비료와 축사분뇨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 따라서 양계경영과 채소경영은 서로 보완하여 상호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유사비(milk-feed ratio)를 표현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유량 / 사료비
  2. 구입 사료비 / 유대
  3. 조사료비 / 유대
  4. 농후 사료비 / 유량
(정답률: 61%)
  • 유사비는 유제품 생산에 사용된 우유의 양과 그 우유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된 사료의 양을 비교한 것입니다. 따라서 구입 사료비(사료 구매 비용)를 유대(생산된 우유의 양)로 나눈 "구입 사료비 / 유대"가 유사비를 가장 적절하게 표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축산경영에서 가족노동력의 특징으로 보기에 옳지 않은 것은?

  1. 작업감독의 불필요
  2. 물품이나 가축의 애용
  3. 소득증대를 위해 최대 노력
  4. 작업시간의 무제한으로 비능률
(정답률: 69%)
  • 작업시간의 무제한으로 비능률은 옳지 않은 특징이다. 이는 가족노동력이 일정한 근무시간을 가지지 않고 작업을 계속해서 진행하면서 효율적인 생산활동을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이는 작업감독의 불필요와 물품이나 가축의 애용, 소득증대를 위해 최대 노력과는 상반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족노동력은 일정한 근무시간을 가지고 효율적인 생산활동을 할 수 있도록 조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축산경영 분석을 위한 수익성 지표에 해당되는 것은?

  1. 당좌비율
  2. 부채자본비율
  3. 유동부채비율
  4. 경영자본회전율
(정답률: 68%)
  • 정답: "경영자본회전율"

    경영자본회전율은 축산농가의 자본을 이용하여 얼마나 많은 수익을 창출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축산농가의 경영능력과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경영자본회전율이 높을수록 축산농가는 자본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있으며, 수익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토지의 경제적 성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부적재성(不積載性)
  2. 불소모성(不消耗性)
  3. 불가증성(不可增性)
  4. 불가동성(不可動性)
(정답률: 64%)
  • 정답은 "불가증성(不可增性)"입니다.

    토지의 경제적 성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부적재성(不積載性): 토지는 물질적으로 이동이 불가능하며, 적재할 수 없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2. 불소모성(不消耗性): 토지는 사용되어도 소모되지 않고, 계속해서 사용 가능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3. 불가증성(不可增性): 토지는 증가할 수 없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4. 불가동성(不可動性): 토지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이동이 불가능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부적재성(不積載性)"은 토지의 경제적 성질 중 하나이며, 토지는 적재할 수 없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축산경영 조직의 성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시장의 입지와 경제적 거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생산자재의 가격은 시장에서 떨어져 있을수록 비싸다.
  2. 농장에서 시장까지의 경제적 거리가 멀수록 생산자의 수취가격은 낮다.
  3. 시장의 근접지역에서는 우유·야채 등과 같이 부패하기 쉬운 작목들의 생산이 유리하다.
  4. 시장에서 멀어질수록 단위가격당 수송비가 높고 수송하기 쉬운 생산물이 조방적으로 생산된다.
(정답률: 51%)
  • "생산자재의 가격은 시장에서 떨어져 있을수록 비싸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시장에서 멀어질수록 단위가격당 수송비가 높아지기 때문에 수송하기 쉬운 생산물이 조방적으로 생산되는 것이 유리합니다. 이는 농산물 등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시장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생산자의 수취가격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시장의 근접지역에서는 부패하기 쉬운 작목들의 생산이 유리하다는 것도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경종농업에서 생산된 사료를 가축에 급여함으로써 축산물이 생산된다는 것은 축산경영의 어떤 특징을 설명하는 것인가?

  1. 생산물의 저장
  2. 2차 생산의 성격
  3. 물량감소의 성격
  4. 간접적 토지관계
(정답률: 68%)
  • 경종농업에서 생산된 사료를 가축에 급여함으로써 축산물이 생산된다는 것은 축산경영이 2차 생산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즉, 축산물 생산은 농작물 등의 1차 생산물을 가공하여 2차 생산물을 만들어 내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2차 생산의 성격은 축산물 생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축산물 생산량을 높이는 데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낙농경영에서 조수입이 1,000만원, 고정비가 500만원, 변동비가 200만원일 때 손익분기조수입은 얼마인가?

  1. 310만원
  2. 420만원
  3. 530만원
  4. 625만원
(정답률: 58%)
  • 손익분기점이란 총 수입과 총 비용이 같아지는 지점을 말합니다. 따라서, 손익분기조수입은 고정비와 변동비의 합인 700만원에 조수입 1,000만원을 빼면 300만원이 됩니다. 이때, 1원이라도 벌면 이익이 생기므로, 300만원을 변동비의 비율로 나누어줍니다. 변동비 비율은 200만원 / 1,000만원 = 0.2 이므로, 300만원 / 0.2 = 1,500만원이 됩니다. 따라서, 손익분기조수입은 1,500만원에서 고정비 500만원을 빼면 1,000만원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25만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축산경영의 분석 중 재무구조 및 경영의 지불능력 등을 측정하는 분석방법은?

  1. 수익성 분석
  2. 안정성 분석
  3. 효율성 분석
  4. 생산성 분석
(정답률: 71%)
  • 안정성 분석은 축산경영의 재무구조와 경영의 지불능력을 측정하는 분석 방법입니다. 이는 기업의 재무상태를 파악하고, 재무위험을 예측하여 경영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안정성 분석은 축산경영에서 매우 중요한 분석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채란계 경영에서 사료 1kg 당 가격이 200원, 계란 1개의 가격이 90원인 경우, 난사비(egg feed ratio)는 얼마인가?

  1. 0.22
  2. 2.2
  3. 4.5
  4. 45
(정답률: 47%)
  • 난사비는 계란 1개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사료의 양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난사비 = (사료 소비량 / 계란 생산량)

    사료 1kg 당 가격이 200원이므로, 1개의 계란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사료의 양은 200원 / 1kg = 0.2kg 입니다. 따라서, 계란 1개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사료의 양은 0.2kg 이고, 계란 1개의 가격이 90원이므로, 난사비는 다음과 같습니다.

    난사비 = (0.2kg / 90원) = 4.5

    따라서, 정답은 "4.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2013년 현재 우리나라와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가 아닌 것은?

  1. 칠레
  2. 뉴질랜드
  3. 페루
  4. 싱가포르
(정답률: 47%)
  • 2013년 현재 우리나라와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는 "칠레", "페루", "싱가포르"이지만, "뉴질랜드"는 이미 2015년에 우리나라와 FTA를 체결하여 현재는 FTA를 체결한 국가 중 하나이다. 따라서 "뉴질랜드"는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우리나라 축산경영의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축산경영의 규모화가 진전되면서 축산분뇨의 문제가 중요한 과제로 대도되고 있다.
  2. 농업의 상대적 사양화와 더불어 농업 내 축산업의 비중도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3. 한우경영의 경우에도 조사료 생산기반이 취약하여 사육규모 확대가 어렵고 배합사료 의존도가 높다.
  4. 축종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소규모의 부업적 축산경영에서 점차 전업적 축산경영으로 전환되고 있다.
(정답률: 76%)
  • "농업의 상대적 사양화와 더불어 농업 내 축산업의 비중도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최근 몇년간 축산업의 비중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으며, 축산업이 농업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른 생산여건이 일정할 경우, 축산물 가격은 올라가고 사료가격은 내려간 경우, 조수익과 경영비의 변화에 관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조수익과 경영비가 모두 늘어난다.
  2. 조수익과 경영비가 모두 줄어든다.
  3. 조수익은 늘어나고 경영비는 줄어든다.
  4. 조수익은 줄어들고 경영비는 늘어난다.
(정답률: 72%)
  • 축산물 가격이 올라가면 조수익이 늘어나게 되고, 사료가격이 내려가면 경영비가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조수익은 늘어나고 경영비는 줄어들게 되므로, 정답은 "조수익은 늘어나고 경영비는 줄어든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축산경영에 있어 고정자본재를 무생고정자본재와 유생고정자본재로 분류할 때, 다음 중 유생고정자본재에 해당되는 것은?

  1. 동물자본재
  2. 건물자본재
  3. 축산기구자본재
  4. 토지개량자본재
(정답률: 74%)
  • 유생고정자본재는 경영주의 노력에 의해 생산성이 유지되거나 증가하는 자본재를 말합니다. 이에 따라 동물자본재는 축산경영에서 유생고정자본재에 해당됩니다. 축산물 생산에 필요한 동물들은 경영주의 관리와 노력에 따라 생산성이 유지되거나 증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동물자본재는 유생고정자본재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름 중 브로일러 양계경영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2. 출하조정이 곤란하다.
  3. 자본회전율이 빠르다.
  4. 수송 및 보관이 용이하다.
(정답률: 53%)
  • 정답: "출하조정이 곤란하다."

    브로일러 양계경영은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자본회전율이 빠르며, 양계장 내에서 생산과 출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송 및 보관이 용이하다. 그러나 출하조정이 곤란한 것은 아니며, 출하일정을 미리 계획하여 출하할 양계를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비육우경영의 조수입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송아지 판매두수를 늘린다.
  2. 송아지 사료비를 절감한다.
  3. 송아지 판매단가를 높인다.
  4. 기간내 송아지 생산효율을 높인다.
(정답률: 53%)
  • 송아지 사료비를 절감하는 것은 비육우경영의 조수입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지 수입을 증대시키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송아지 사료비를 절감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사료작물학

61. 공간 이용성과 토양 양분의 이용성을 제고하고 가축에게는 영양균형과 기호성을 높이는 장점을 가진 작부방식은?

  1. 단작
  2. 간작
  3. 혼작
  4. 윤작
(정답률: 65%)
  • 작부방식 중 혼작은 작물을 섞어서 작물간 경쟁을 줄이고 토양의 양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서 공간 이용성과 토양 양분의 이용성을 제고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작물을 섞어서 영양균형을 맞출 수 있어 가축에게는 기호성과 영양균형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혼작이 작부방식 중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우리나라에서 알팔파 재배시 일반적인 제한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신규조성시 근류균의 접종이 필요하다.
  2. 수확기계 및 장비가 추가로 필요하다.
  3. 배수가 잘 되도록 하며 산성토양의 교정이 필수적이다.
  4. 미량원소 특시 붕소(B)의 사용이 효과적이다.
(정답률: 62%)
  • 알팔파는 수확 시에 높은 고도에서 수확해야 하기 때문에 수확기계 및 장비가 추가로 필요하다는 것이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수단그라스(Sudangrass)계 잡종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생육이 빠르며 토양이 척박한 곳에서도 잘 자란다.
  2. 품종은 윈톡(wintok), 카유스(cayuse), 아켈라(akela) 등이 있다.
  3. 초장이 낮은 어린시기의 것을 청예로 이용할 경우 청산 중독의 위험이 있다.
  4. 파종량은 조파의 경우 ha 당 80~120kg 정도이다.
(정답률: 63%)
  • 수단그라스는 생육이 빠르며 토양이 척박한 곳에서도 잘 자란다. 윈톡, 카유스, 아켈라 등의 품종이 있다. 그러나 초장이 낮은 어린시기의 것을 청예로 이용할 경우 청산 중독의 위험이 있다. 파종량은 조파의 경우 ha 당 80~120kg 정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설명에 적합한 초종은?

  1. 레드 클로버
  2. 켄터키 블루그라스
  3.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4. 리드커네리그라스
(정답률: 54%)
  • 이 초종은 "레드 클로버"입니다. 그 이유는 이미지에서 보이는 잎이 세잎으로 구성되어 있고, 빨간 꽃이 특징인데 이는 레드 클로버의 특징이기 때문입니다. "켄터키 블루그라스"는 잎이 평평하고 파란색이며, "페레니얼 라이그라스"는 잎이 끝이 뾰족하고 녹색이며, "리드커네리그라스"는 잎이 끝이 뾰족하고 녹색이지만, 레드 클로버와는 꽃 모양과 색상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사일리지 제조시 발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재료의 수분함량
  2. 재료의 길이(크기)
  3. 재료의 비타민 함량
  4. 진압의 정도
(정답률: 59%)
  • 재료의 비타민 함량은 사일리지 제조시 발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사일리지 제조시 발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대부분 미생물의 활동과 관련된 것들이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비타민은 미생물의 활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사일리지 제조시 발효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과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일반적으로 옥수수 silage의 1m3당 무게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350 kg
  2. 450 kg
  3. 650 kg
  4. 850 kg
(정답률: 48%)
  • 일반적으로 옥수수 silage의 밀도는 650 kg/m3이다. 이는 옥수수 식물의 특성과 저장 방법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대체로 600-700 kg/m3 범위 내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650 kg이 가장 적합한 무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복원중(문제 오류로 문제 및 보기 내용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내용을 아시는 분께서는오류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 부탁드립니다. 정답은 4번입니다.)

  1. 복원중
  2. 복원중
  3. 복원중
  4. 복원중
(정답률: 65%)
  • 문제 내용이 정확하지 않아서 정확한 이유를 설명할 수 없습니다. 오류신고를 통해 내용을 보완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건초용으로 재배되는 사료작물들은 수량이 많고 기호성이 좋은 상번초(上繁草)들이 주가 된다. 다음 중 상번초에 속하지 않는 초종은?

  1. 오차드그라스
  2. 티머시
  3. 톨 페스큐
  4. 켄터키블루그라스
(정답률: 51%)
  • 켄터키블루그라스는 상번초류가 아니라 벼류에 속하는 초종이기 때문에 상번초에 속하지 않는 초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우리나라 혼파초시 조성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화본과의 주 초종은?

  1. 티머시
  2. 레드톱
  3. 톨 페스큐
  4. 오차드그라스
(정답률: 64%)
  • 우리나라 혼파초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화본과의 주 초종은 "오차드그라스"입니다. 이는 다른 보기들과 비교하여 더욱 빠른 생장과 번식, 그리고 다른 식물들과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 등의 이유로 인해 혼파초 조성시 가장 많이 선택되는 초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신규 초지 조성시 석회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다음 중 석회의 이용과 관련이 먼 것은?

  1. 근류균의 생존 향상
  2. 토양의 산성 및 활성알미늄 중화
  3. 칼슘과 마그네슘 공급
  4. 무기 질소의 공급
(정답률: 54%)
  • 석회는 토양의 산성을 중화시키고 활성알루미늄을 제거하여 근류균의 생존을 향상시키며, 칼슘과 마그네슘을 공급하여 식물의 성장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석회는 무기 질소의 공급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무기 질소의 공급"이 석회의 이용과 관련이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사일리지 제조시 첨가물과 그 작용을 연결시키는 것 중 잘못된 것은?

  1. 개미산 – pH를 저하
  2. 초상아황산소다 – 유해발효를 억제
  3. 요소 – 재료의 양분을 보강
  4. 당밀 – 젖산생성을 억제
(정답률: 63%)
  • 당밀은 사일리지 제조시 발생하는 미생물의 젖산생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사일리지 제조시 pH를 안정화시켜서 더 오랜 기간 동안 보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당밀 – 젖산생성을 억제"가 잘못된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중북부지방에서 작부체계 조합시 주작물(하계작물)로 주로 이용되는 작물은?

  1. 호밀
  2. 보리
  3. 옥수수
  4.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정답률: 51%)
  • 옥수수는 중북부지방에서 하계작물로 재배하기에 적합한 작물이며, 호밀과 보리는 주로 겨울작물로 사용되고,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사료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일정한 재배지역에서 적합한 사료작물을 선별하기 위한 3대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환경
  2. 작물
  3. 농업기계
  4. 가축
(정답률: 69%)
  • 농업기계는 재배지역에서 적합한 사료작물을 선별하는데 필요한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환경은 재배지역의 기후, 토양 등을 포함하며, 작물은 재배 가능한 작물의 종류와 특성을 의미합니다. 가축은 사료작물을 소비하는 동물들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농업기계는 사료작물을 재배하고 수확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요소이지만, 사료작물을 선별하는데 직접적으로 관련된 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중북부지방의 답리작 사료작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연맥
  2. 호밀
  3. 수단그라스
  4.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정답률: 59%)
  • 중북부지방은 겨울철 기온이 매우 낮아서 겨울에도 잘 자라는 사료작물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호밀은 겨울에도 잘 자라는 겨울작물로서, 중북부지방에서 많이 재배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호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1ha에 질소 90kg을 주어야 할 때 5000m2에는 요소를 얼마나 사용해야 하는가? (단, 요소의 질소성분을 50%로 계산한다.)

  1. 50 kg
  2. 70 kg
  3. 90 kg
  4. 120 kg
(정답률: 62%)
  • 1ha에 90kg의 질소를 주어야 한다는 것은 1ha에 180kg의 요소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질소성분이 50%인 요소의 총 무게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5000m2에는 36kg의 질소를 사용해야 합니다.

    정답은 "90 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사일로(silo) 설치시 비용이 가장 적게 드는 것은?

  1. 탑형사일로
  2. 기밀사일로
  3. 벙커사일로
  4. 트렌치사일로
(정답률: 54%)
  • 트렌치사일로는 지면에 구덩이를 파고 그 안에 저장공간을 만드는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다른 사일로들과 비교하여 건설 비용이 가장 적게 듭니다. 또한 지하에 설치되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고, 안정성도 높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중부지방에 있어서의 개량목초의 추파 적기는?

  1. 11월 중순 ~ 11월 하순
  2. 10월 중순 ~ 11월 초순
  3. 7월 중순 ~ 8월 초순
  4. 8월 하순 ~ 9월 중순
(정답률: 56%)
  • 중부지방은 일반적으로 여름철에 비가 많이 오고, 추위가 깊지 않은 기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개량목초는 비가 많이 오는 여름철에 잘 자라며, 추위가 깊어지기 전인 8월 하순부터 9월 중순까지 추파 적기가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8월 하순 ~ 9월 중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건초를 장기간 보관하기 위해서는 재료의 수분함량이 중요하다. 다음 중 건초를 6개월 이상 장기간 저장하고자 할 때 알맞은 수분 함량은?

  1. 12 ~ 15%
  2. 15 ~ 20%
  3. 20 ~ 25%
  4. 25 ~ 30%
(정답률: 59%)
  • 정답은 "12 ~ 15%" 입니다.

    건초를 오랫동안 보관하기 위해서는 건조한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수분 함량이 높으면 곰팡이나 균이 번식하기 쉬워져서 건초가 상하기 쉽습니다. 반면에 수분 함량이 너무 낮으면 건초가 부서지기 쉬워져서 보관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건초를 6개월 이상 보관하고자 할 때는 수분 함량이 12 ~ 15%가 적당합니다. 이 수분 함량은 건초가 충분히 건조하면서도 부서지지 않는 적절한 수준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콩과(두목)목초의 일반적인 특성과 거리가 먼 것은?

  1. 뿌리는 곧은 뿌리로 되어 있다.
  2. 종자는 등과 배 쪽에 봉합선을 따라서 벌어지는 꼬투리 안에 있다.
  3. 줄기는 대체로 속이 비어 있고, 둥글며 뚜렷한 마디가 있다.
  4. 목초의 뿌리에는 질소고정을 할 수 있는 뿌리혹박테리아를 갖는다.
(정답률: 65%)
  • 콩과(두목)와 목초의 일반적인 특성은 뿌리가 곧고, 종자가 등과 배 쪽에 봉합선을 따라서 벌어지는 꼬투리 안에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콩과(두목)의 경우에는 줄기가 대체로 속이 비어 있고, 둥글며 뚜렷한 마디가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콩과(두목)의 줄기가 더 튼튼하고 더 많은 영양분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적응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건초 조제시 태양으로 건조할 때 함량이 높아지는 비타민은?

  1. 비타민 A
  2. 비타민 B
  3. 비타민 C
  4. 비타민 D
(정답률: 74%)
  • 태양으로 건조할 때 비타민 D가 함량이 높아지는 이유는 태양에서 발생하는 자외선이 피부에 흡수되면서 비타민 D가 생산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