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어류양식학
1. 잉어가 가장 잘 자라는 수온 범위는?
2. 가물치 치어의 수용밀도로 가장 적절한 것은?
3. 방어양식이 성행해지자 여러 가지 질병이 큰 문제로 되고 있는데 다음 중 질병을 일으키는 것과 거리가 먼 것은?
4. 영양소인 단백질에 함유된 질소(N) 성분의 평균값은 어느정도 인가?
5. 미지성장인자(U.G.F)의 효과를 위해서 쓰일 수 있는 사료의 원료는?
6. 무지개 송어 치어 100kg을 방양하여 100일 동안 400kg 성장하였다. 이때 사료량은 600kg 이였다. 사료효율(%)은 얼마인가?
7. 다음 중 담수어의 먹이생물로 가장 오래전부터 사용하여 온 종류는?
8. 다음 중 몸무게 30~50g의 은어를 양성할 때 1일 먹이 공급율이 가장 적당한 것은? (단, %는 어체중 기준)
9. 은어의 양식에서 사료 급이 시의 주의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0. 활어 운반에 쓰이는 냉각 마취는 어느 종류에 이용되어 오고 있는가?
11. 금붕어의 초기 선별은?
12. 잡종(hybrid) 유도시 그 산업성은?
13. 넙치의 자연산란 수온 범위는?
14. 다음 바르게 설명된 것은?
15. 다음 중 수온이 10℃이하나 28℃이상 되면 저면의 모래속에 잠입하는 습성을 가진 어류는?
16. 식물성 먹이생물을 소규모로 순수배양 할 경우 배양액의 부피는 용기 전체 부피의 약 몇 정도 되어야 편리한가?
17. 다음 중 우리나라에서 냉수성 어류의 양식에 가장 적합한 수온 및 수질 조건을 갖춘 곳은?
18. 초어 인공 채란시에 성성숙 촉진호르몬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19. 조피볼락의 친어관리 및 생태에 관한 설명 중 잘못 된 것은?
20. 원심펌프의 취급에서 소요유량예측이 잘못 되었을 경우 다음 중 어떤 대책이 필요한가?
2과목: 무척추동물양식학
21. 진주담치의 학명은?
22. 다음 중 가리비 채묘치패의 관리방법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3. 문어를 남해안에서 양식할 때 춘계양식과 추계 양식으로 구분해서 양식하는 이유는?
24. 단련종굴의 생산과정을 4단계로 나눌 때 3번째에 오는 것은?
25. 수확기의 후반기에 수확한 참굴은 가공용으로만 주로 쓰이는데 그 주된 이유는?
26. 다음 중 보리새우의 생활사 단계와 서식 장소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27. 기수의 염분농도 변화 범위 기준은?
28. 대합(백합)의 비만도가 가장 좋을 때는?
29. 큰우럭의 양식 가치성과 생태이다. 잘못된 것은?
30. 참담치의 산란임계온도는?
31. 다음 고막의 주 서식지에 관한 내용으로 올바른 것은?
32. 다음 중 새우 양식장에서 해적생물이 아닌 것은?
33. 내만에서 주로 일어나는 적조 중 2·k 적조 생물의 주종을 이루는 것은?
34. 전복류의 자연 서식장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35. 바지락의 치패 관리법으로 틀린 것은?
36. 해삼의 종묘생산에 관한 내용으로 바르게 설명된 것은?
37. 다음 중 진주패 주로 이용되는 삽핵 위치가 아닌 것은?
38. 가리비의 채란수온 범위로 가장 알맞은 것은?
39. 성게류(Echinoidea)의 부화유생에 맞지 않는 먹이는?
40. 바지락 성패의 서식적지로서 맞지 않는 것은?
3과목: 해조류양식학
41. 다시마 양성법 중 성숙시기가 가장 빠른 것은?
42. 김양식의 엽면살포식 시비방법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은?
43. 미역양식에서 잎자르기 수확을 할 때의 절단부위는?
44. 김의 생리장애가 천천히 생기게 되는 COD 함유량 기준은?
45. 사상체가 잘자라던 조가비에 녹색의 반점이 생기는 녹반병에 대한 적절한 조치는?
46. 김의 사상체가 어떤 원인으로 죽을 때 제일 먼저 띄는 색은?
47. 미역종묘 배양과정에서 수온이 높아져 감에 따른 가장 우선적으로 대처해야 하는 것은?
48. 냉장발의 설치와 관리에 있어서 적정한 조치라고 할 수 없는 것은?
49. 김 어장에 질소를 시비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은?
50. 청각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51. 미역의 해황변동과 풍흉관계 설명 중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52. 다시마 포자의 부유밀도와 배우체의 부착밀도가 미역과 비교할 때 어떤 관계가 있는가?
53. 우리나라 해역에서 다시마 양식을 할 때 솎아주기 기준으로 가장 적절한 착생밀도는?
54. 청각의 생활사의 순서이다. 맞은 것은?
55. 영양분이 부족에 의하여 발생하는 김 사상체의 질병은?
56. 미역 종묘 가이식의 필요성에서 볼 때 그 비중이 가장 낮은 것은?
57. 김 양식장에서 수온과 김 성엽의 성장관계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58. 조가비사상체의 과포자 잠입량은 얼마나 적당한가?
59. 뜬흘림발 중 연구조식의 장점은?
60. 다시마 양식의 해적생물로 가장 피해를 주는 것은?
4과목: 양식장환경
61. 다음 해조류중 배우체는 없고 포자체만 존재하는 것은?
62. 파래속(Enteromorpha)의 생활사 중 감수분열이 일어나는 때는?
63. 다음 중 분류가 잘못된 것은?
64. 다음 어류 중 턱이 없는 종은?
65. 발전어류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66. 다음 중 산란수가 가장 적은 어류는?
67. 갑각류의 몸의 특징 중 맞는 것은?
68. 대규모의 색이회유를 하는 대양성 어류는?
69. 어류의 창자에서 분비되는 소화효소는?
70. 갈조류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71. 다음 중 고막류(고막, 새고막, 피조개 등) 양성시 피해를 줄 수 있는 해적생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2. 가슴지느러미에 뾰쪽한 침을 가지고 있고 또 이곳에 독선이 있어서 찔리면 매우 아픈 통증을 느끼게 하는 우리나라 특산종 어류는 어느 것인가?
73. 다음 중 치설이 없는 종류는?
74. 어류의 혈액내 헤모글로빈은 산소와 결합속도에서 환경수의 pH와 어떤 관계를 보이는가?
75. 수온보다 일조시간을 조절하여 산란기를 조절할 수 있는 어류는?
76. 다음 동물 중 담륜자 유생기를 거쳐서 변태하는 것은 어느 종류인가?
77. 새파의 모양과 어류가 짝지어져 있는 것 중 틀린 것은?
78. 순수한 재연성 변태만을 하는 어류는?
79. 체내에 요소를 가짐으로서 환경수에 대한 삼투압 조절을 하고 있는 종류는?
80. 새우류의 체절구성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5과목: 수산질병학
81. 천해 양식장에서 저질이 검은 색을 띄는 주 이유는?
82. 외부로부터 새로운 물을 공급할 때 여러 가지 잡물을 걸러 내기 위한 물리적인 여과의 목적으로 모래, 자갈 여과조가 유효하게 쓰이는데, 여과조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음 중 어떤 것을 사용해야 되나?
83. 다음의 수질 조사법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84. 물을 많이 사용하는 대규모 배양장의 물 여과방식으로서 적당한 것은?
85. Free-Ammonia(NH3)에 대하여 다음 중 틀린 것은?
86. 다음 그림과 같은 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87. 다음 중 하천류에서만 볼 수 있는 생물은?
88. 오존 발생기를 이용한 오존 소독에 관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89. 다음 중 뱀장어 양식장의 물 변화에 관한 설명이 맞는 것은?
90. 양어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또 산업폐수 처리장에서 흔히 사용되는 여과조는?
91. 순환여과식 양어장에서 용수처리에 기여도가 가장 큰 생물은?
92. 다음 중에 양식장에서 발생하는 질산성 질소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93. 가두리 양식장에서 어장 노화방지 대책에 대한 적극적 방법이 아닌 것은?
94. 다음 중 천해 양식장에서 적조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식물 플랑크톤을 선택하시오
95. 노지 양어지에서 pH 측정은 하루 중 어느 때가 가장 좋은가?
96. 사육수조에서 고형 오물을 제거하는데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97. 어류가 배설하는 암모니아는 주로 어떻게 변하여 어류에게 거의 무해하게 되는가?
98. 양어지 내에 산소가 물에 녹아 들어가는 속도와 양에 비례적인 요소가 아닌것은?
99. 보상깊이는 보통 투명도의 몇 배 정도인가?
100. 순환여과 시스템에서 생물여과조 기능의 최종 목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