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어류양식학
1. 습(식)사료의 제조 및 공급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 은어의 종묘생산시 주된 먹이로 이용되는 것은?
3. 넙치 치어의 공식현상이 가장 심해지는 크기는?
4. 넙치의 산란, 부화, 발생 등에 대한 특성을 열거 한 것중 틀린 것은?
5. 해산어 축양에 있어서 환수율을 기준으로 가두리내의 수용밀도를 정할 때 기준으로 삼는 시기는?
6. 어류양식 과정 중 일반적으로 단백질이 가장 많이 요구되는 시기는?
7. 금붕어 운반에서 가장 옳다고 생각되는 운반법은?
8. 다음 뱀장어 중 우리나라에서 현재 주로 양식하고 있는 뱀장어는?
9. 종묘 생산시 어미의 계통에 따라 100% 수컷이 생산될 수 있는 종은?
10. 방어의 종묘를 구할 때 유의하여야 할 점이 아닌 것은?
11. 생물학적 여과조에서 암모니아를 산화시키는 세균은?
12. 잉어를 유수식으로 상육한 경우 단위 용적당 생산량은 수량에 따라 다르나 보통은 1m2 당 몇 kg 정도인가?
13. 해산어류의 수정난 수송시 필요한 사항들을 열거한 것중 잘못된 것은?
14. 다음 중 붕어의 형태, 습성에 관한 것으로 틀린 것은?
15. 클로렐라 배양량은 배양하고자 하는 로티퍼의 양에 비례해서 준비해야 한다. 1㎖에 100개체인 로티퍼 1톤이 필요한 경우 하루에 필요한 적정 한 클로렐라 양은 얼마인가?
16. 자주복의 종묘생산시 특징 중 맞는 것은?
17. 다음 사항 중 어류의 성숙촉진 또는 산란유발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8. 로티퍼의 최적 배양 조건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9.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류의 3배체 생산은 어떤 방법을 통해 만들어지고 있는가?
20. 다음 중 염분의 변화에 가장 잘 견디는 어류는?
2과목: 무척추동물양식학
21. 새우류의 종묘생산에 관한 것이다. 맞는 것은?
22. 조용한 내만에 수하식으로 가리비 양식을 할 경우 성장이 가장 빠른 방식은?
23. 굴의 이상폐사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때는?
24. 굴 단련종패의 장점이 아닌 것은?
25. 키조개의 자원보호를 위해 금어기를 설정한다면 어느때가 가장 알맞겠는가?
26. 다음 중 한류성 조개는 어느 것인가?
27. 다음 중 조개류 발생에서 제일 먼저 나타나는 유생은?
28. 참가리비의 아가미 섬모운동이 지속될 수 있는 수온 범위로 가장 알맞은 것은?
29. 내만성 해삼의 특성으로서 맞는 것은?
30. 그물 가두리식이나 채롱식 양성장으로 주로 활용하고 있는 곳은?
31. 종묘를 생산할 때 부유 유생기에는 먹이를 주지 않아도 되는 종묘는?
32. 다음 중 성체의 잠입 수심이 가장 깊은 종은?
33. 다음 중 난생형 굴이 아닌 것은?
34. 대합 채묘시에 주로 이용하는 채묘 시설은?
35. 꽃게의 서식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6. 소라 생태의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37.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전복류는 몇 종인가?
38. 다음 중 오징어류의 서식 적온은?
39. 양식진주를 염색하고자 한다. 이때 염료로서 적당하지 않는 종류는?
40. 대합의 이동에 관한 아래 내용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과목: 해조류양식학
41. 다음중 김의 생리적 장해로 생기는 것은?
42. 다음 중 김의 냉장에 알맞은 온도는?
43. 김의 조가비 사상체에 각포자낭의 형성이 가장 왕성한 시기는?
44. 무성하게 자란 김사상체가 고수온기에 큰 피해를 가장 입기 쉬운 병해는?
45. 김 사상체의 포자낭 형성을 촉진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처리 방법은?
46. 다음 표는 김의 채묘일자와 수온이 13℃로 된 날을 기록한 것이다. 가장 흉작이 예상되는 것은?
47. 미역 종묘 배양시 초기 관리사항 중 가장 옳은 것은?
48. 다시마 양식방법 중 우리나라에 적합하지 않는 것은?
49. 다음 중 감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0. 김의 호흡량 실험과정 중 나타난 현상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51. 미약의 종묘배양 기간 중 식해를 일으키는 종류는?
52. 다시마 종묘의 억제방법에서 채묘 후의 배양수온은?
53. 돌김 증식을 위한 콘크리트면 조성을 다음과 같이 하였을 경우 성적이 가장 좋은 것은?
54. 다음 중 과포자의 잠입효과가 가장 좋은 것은?
55. 미역의 어미줄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56. 뜬 흘림발 양식에 관한 아래 기술 중 틀린 것은?
57. 참다시마의 양식관리에서 쏙음의 요령에 합당한 설명은?
58. 다시마의 억제 배양을 할 수 있는 여름철의 수조온도는?
59. 홑파래의 배우자액을 받은 다음 위쪽에서 광선을 비추면 접합자가 모이는 곳은?
60. 다음 중 미역 인공 채묘의 최적온도는?
4과목: 양식장환경
61. 다음 중 김 과포자에 해당하는 것은?
62. 어류의 발광에 관한 사항 중 옳은 것은?
63. 눈에 기름 눈꺼풀을 가지고 있는 종류는?
64. 다음 중 뱀장어과에 속하는 것은?
65. 군형성본능이 가장 발달된 종류는?
66. 성장 도중에 후발성 변태과정을 거치는 종류는?
67. 다음 중 절지동물 중 갑각류의 특징이 아닌 것은?
68. 다음 동물들 중 교접편을 가진 것은?
69. 다음 중 갑각류의 단미류에 속하는 종류는?
70. 다음 어류의 삼투조절회유를 설명한 것 중 가장 옳은 것은?
71. 다음 중 주로 한천의 원료로 이용되는 해조류는?
72. 다음 어류의 호흡기관에 관한 설명 중에서 틀린 것은?
73. 대구와 명태의 설명 중 틀린 것은?
74. 다음 중 극피동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75. 붕어의 등지느러미에서 가시(spinous ray)가 6개, 여린줄기(soft ray)가 8개라 할 때 나타내는 지느러미식(finformula)으로 올바른 것은?
76. 어류에서 생식선 자극 호르몬이 분비되는 곳은?
77. 다음 생물 중 발생 단계 중 조에아(Zoea)의 시기를 거치는 것은?
78. 다음 어류의 유생기에서 몸 표면의 반문과 색깔 등을 제외하면 급속히 성어의 형태적 특징을 닮아가는 단계이나 아직도 친어와는 차이가 많은 것은?
79. 다음 중 군락 형성에 서로 경쟁적인 관계에 있는 해조끼리 연결된 것은?
80. 다음 중 무척추동물에서 척추동물로 진화하는 중간단계의 동물이라고 생각되는 것은?
5과목: 수산질병학
81. 수로형 수조에서 물의 흐름을 고르게 하기 위하여 시설하는 것은?
82. 양식장 어류가 환경요인의 변화에 의하여 성장이 저해되면 발병 등으로 폐사하게 된다. 그 환경요인으로 가장 치명적인 것은?
83. 양식장의 자가오염 증상을 가장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화학적 방법은?
84. 연안양식장의 수질변동 범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가장 적합한 채수시기는?
85. pH 7~8의 수계에서 존재하는 CO2의 주된 형태는?
86. 1 기압 아래에서 용존산소의 포화도가 가장 큰 물은?
87. 다음 수질 환경요인 중 굴양식장의 적지로 선정 될수 없는 요인은?
88. 다음 중 역여과 침수식 여과조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89. 양어장의 용존물질 중 암모니아의 독성은 생산량을 좌우 할 정도로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암모니아의 성질이나 독성에 관한 설명이 바르게 된 것은?
90. 다음 중 수역의 자정작용이 아닌 것은?
91. 가두리 양식장의 노화방지책으로 가장 우선적인 것은?
92. 양식장의 황화수소에 대한 설명이 바르게 된 것은?
93. 다음 중 넙치의 육상수조식 양어장의 적지가 아닌 곳은?
94. 사육수의 pH 변동에 대한 어체의 영향 중 알칼리성 물에 의해서 일으키는 주된 증상은?
95. 해수어의 육상 수조식 양식장에서 사육수를 살균하는데 사용하는 오존은 사용 조건에 따라 어류에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있다고 한다. 어떤 물질이 관련된 문제인가?
96. 사육수조 내에서 발생하는 고형 오물을 수조 밖으로 자연스럽게 제거하는 장치로서 가장 알맞은 방법은?
97. 원형지를 이용한 은어양식에서 못 중앙을 향한 바닥의 경사는 다음 중 어느 것이 가장 적당한가?
98. 양식장에 석회를 살포하면 유해 생물을 구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석회의 이러한 주 역할에 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
99. 순환여과 시스템에서 활성탄의 주 기능은?
100. 어류는 낮은 농도의 폐수일 때는 그 속에서 살수 있다. 그러나 그 농도 범위내에서도 정상적인 수역에 비하면 어류의 수가 줄어드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이 군집밀도에 차이가 나타나는 한계농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이유: 생사료는 생산 후 바로 사용할 수 없으며, 냉동 보관 후 해동하여 사용해야 한다. 이는 생사료의 성형과 보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배합사료는 이미 성형된 상태이므로 해동이 필요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