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어류양식학
1. 다음 중 잉어가 사료를 가장 많이 먹는 수온은?
2. 참돔의 양식에 있어서 먹이를 주는 방법으로 가장 좋은 것은?
3. 조피볼락의 교미시기의 적정수온은?
4. 일반적으로 어류 산란기에 나타나는 수컷의 성징이 아닌 것은?
5. 무지개 송어의 친어 성숙조사를 위해서 1주일에 1~2번씩 검사한다. 이때 사용되는 마취제의 적정농도는?
6. 식물성 먹이 생물을 배양하기 위하여 고려되는 3가지 측면 중 기술적 측면에 속하지 않는 것은?
7. 사료의 종류 중 하나인 crumble 사료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8. 넙치의 산란에 대한 다음 내용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9. 넙치 치어 20000마리(마리당 3g)를 구입하여 14개월간 양성하면서 까나리, 양미리 등의 생사료를 80톤 공급하여 성어 20톤을 생산하였을 경우 사료효율은?
10. 조피볼락의 자어 사육시설 관리에 있어 자어의 안정을 유도하기 위한 수조의 표층 조도로 가장 알맞은 것은?
11. 냉수성 어류인 송어의 사육시 체중에 대한 사료의 양이 가장 많이 요구되는 시기는? (단, 계곡수를 이용하는 경우임)
12. 실뱀장어의 취급방법을 설명한 내용 중 옳은 것은?
13. 다음 중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양식되는 어류는 ? (단, 양식 지역을 의미하며, 생산량 기준은 아님)
14. 잉어 치어를 선별하고자 한다. 체장 3cm 이하와 체장 3cm부터 6cm이하 및 체장 6cm 이상의 3종류 크기로 선별하려면 망목 몇 cm의 선별기를 사용하면 되는가?
15. 용기에서 부화시킨 미꾸라지는 부화 며칠 후에 사육지로 옮기는 것이 가장 좋은가?
16. 담수, 기수, 해수 어디서나 성장이 가능한 양식어류는?
17. 은어 양식에서 생식소 억제 방법으로 가장 좋은 것은?
18. 사료에 함유된 산화 불포화 지방산의 해독을 막기 위해 함께 사용하는 비타민은?
19. 다음 중 새끼를 출산하는 어류는?
20. 많은 어종에 있어 장내 미생물에 의하여 합성되는 비타민으로서 결핍증상이 좀처럼 일어나지 않는 비타민류는?
2과목: 무척추동물양식학
21. 참굴 자연종묘생산에서 부유유생에 관한 내용 중 옳은 것은?
22. 참가리비의 산란임계온도는?
23. 진주조개 양성장 중 화장 어장이라고 하는 것은?
24. 참전복 인공종묘생산에서 채란 및 유생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25. 식물플랑크톤 배양에 대한 설명이 가장 적합한 것은?
26. 다음 중 굴 패각을 채묘기로 이용할 때 채묘 후 바로 양성하는 굴종묘의 경우 채묘기 당 가장 적합한 부착유생수는?
27. 보리새우 양식에 있어서 조에아 기에 먹이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28. 대합의 이동이 가장 심한때는?
29. 우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30. 인공종묘생산 시 부유유생 시기에 먹이 생물을 공급하지 않아도 되는 종은?
31. 해삼의 종묘생산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32. 보리새우 양성 시 저질이 환원되는 것을 방지할 수있는 가장 좋은 양성방법은?
33. 단련 종굴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34. 무척추동물 부유 유생 사육 시 먹이생물로 갖추어야 할 일반적인 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5. 피조개 채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36. 다음 중 새우류 유생의 변태과정 순서가 바르게 된 것은?
37. 분홍성게의 산란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38. 다음 중 생식방법이 다른 굴은?
39. 부착성 조개류의 부착과정을 4단계로 나눌 때 세 번째는?
40. 키조개 종묘의 방양에 관한 내용 중 옳은 것은?
3과목: 해조류양식학
41. 해조류의 분포를 조절하는 요인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42. 다시마의 생활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3. 자연상태에서 김 각포자의 방출이 가장 많은 조건은?
44. 매생이가 자연 서식처에서 최대생장을 나타내는 시기는?
45. 긴잎돌김의 특색으로서 틀린것은?
46. 다음 중 김양식장의 환경조건으로서 가장 좋은 조건은?
47. 김의 각포자낭이 만들어지는 최성기는?
48. 천연 미역밭에서 미역과 경합관계에 있지 않은 것은?
49. 다시마의 형태학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0. 조가비 사상체의 배양을 하는데 있어서 물갈이 후에 갑작스럽게 사상체의 색이 변한 일이 생겼다면 통상적으로 어떤 점을 먼저 점검해야 하는가?
51. 김 냉장발(냉동망)을 건조시키는 이유와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52. 미역 종묘배양에 있어서 수온 20℃일 때 아포체 발아에 알맞은 조도는?
53. 다시마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유배양액 속에서 수온과 조도를 조절하면서 배양하고, 바다의 수온이 하강 할 때 이식, 양성하는 방법은?
54. 김 각포자 방출 촉진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5. 중성포자 방출기간은 비교적 길면서도 과포자 방출시기가 가장 늦은 것은?
56. 미역의 가이식 기간에 싹녹음이 잘 발생하는 조건이 아닌 것은?
57. 미역 종묘 배양 시 작업상 가장 유의해야할 것은?
58. 홑파래 양식에서 발에 채묘하는 종묘의 단계로 가장 적합한 것은?
59. 풀가사리의 포자가 발아되는 상태는?
60. 곰피의 종묘생산에서 채묘하기 위하여 성숙된 모조를 준비하기에 적당한 시기는?
4과목: 양식장환경
61. pH 8 부근의 해수에서 탄소이온의 형태로 가장 적합한 것은?
62. 원형수조에서 오물제거에 가장 효과적 역할을 하는 배수장치는?
63. 흙으로 못 둑을 만들 때, 못의 내부 수면이 닿는 쪽경사는 둑의 높이 1에 대하여 저변을 어느 정도로 하는 것이 좋은가?
64. 생물학적 여과조에서 암모니아를 산화시키는 세균은?
65. 윙클러 아지드화나트륨 변법에서 NaN3가 제거하는 물질은?
66. 양어용수로 이용할 지하수에 함유되어 있는 탄산가스. 질소, 철 성분 등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방법은?
67. 어류 양식장에 사료를 과도하게 공급했을 때 나타나는 양어장의 수질 변동에 대한 설명 중 틀린것은?
68. 어류에 유독한 이온의 수중함량 비율이 가장 높아지는 경우는?
69. 여과조가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조건은?
70. 은어 사육을 위해 콘크리트 사각형 사육지를 만들려고 할 때의 주의사항 중 적합하지 않은것은?
71. 양식장 바닥갈이로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2. 수색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73. 생물학적 여과에서 무기물화 과정에 해당하는 것은?
74. 다음 환경요인 중 1차 생산자에 영향을 가장 적게 미치는 요인은?
75. 다음 유해물질 중 가장 낮은 농도로도 양식어류에 유독한 것은?
76. 정수식 양어지에 인위적으로 산소공급을 해야할 때 하루 중 산소 공급이 가장 필요한 시간은?
77. 일반적인 물속에서의 동물의 산소소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78. 다음 중 관계가 가장 밀접한 것으로 짝지어진 것은?
79. 에어레이션 장치 중 순환여과식 양어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80. 자연 간석지나 모래터를 개량하여 저서 생물의 초기 발생이 잘되게 조성하는 저질개선 방법은?
5과목: 수산질병학
81. Aeromonas 균에 의하여 뱀장어에 나타나는 질병은?
82. 다음 중 방어, 전갱이 등 해산어류에 있어 여름에서 초가을에 가장 많이 발병하는 질병은?
83. 질병발생 현장에서 우선적으로 확인해야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84. 다음 중 비바기나충이 주로 기생하는 어류는?
85. 연어류 IHN 바이러스병의 증상이 아닌 것은?
86. 양어용 초기사료에 필수지방산인 EPA가 부족할 때, 등뼈가 휘어지는 증상을 나타내는 어류는?
87. 틸라피아가 항문에 길게 배설물을 달고 다닌다면 그 원인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88. 연어과 어류에서 발병되고 있는 Renibacterium salmoninarum 에 의한 세균성 신장병에서 균의 성상과 관련이 없는 것은?
89. 다음 중 담수어의 세균성 부식병에 관한 설명은?
90. 갯병이 든 부분을 검경하면 김의 세포를 관통한 균사가 종횡으로 뻗고 있으며 김세포는 죽어서 수축해지는 김의 갯병은?
91. 외부로는 체색흑화 또는 퇴색, 체표나 지느러미 출혈, 안구의 경미한 돌출과 출혈, 아가미의 퇴색을 관찰할 수 있고, 내부적으로는 점상출혈과 비장의 비대가 관찰되며, 비장의 스탬프 표본을 만들어 김자 염색을 하면 이형비대 세포가 관찰되어 간편하게 진단을 할 수 있는 질병은?
92. 백점병에 대한 설명 중 적합하지 못한 것은?
93. 뱀장어 에드워드병의 발병과 가장 관련이 적은것은?
94. 감염성 질병이 의심되는 넙치에서 원인 병원균 혹은 바이러스를 순수하게 분리하기 위해 먼저 사용해야 할 부위는?
95. 어류의 곰팡이성 질병과 원인체가 맞게 짝지어지지 않은 것은?
96. Genome이 RNA가 아닌 바이러스성 질병은?
97. 넙치의 세균성 장관백탁증 증상이 아닌것은?
98. 다음 중 재래식 김발을 사용한 양성에서 많이 발생한 병으로 김발의 아래쪽에 길게 잘 자란 김의 엽체에 심하게 발병되며, 병변부의 김 세포 내에 기생충이 관찰되지 않고 죽은 세포로 된 반점이 만들어지고 노출부족, 광선부족 등에 의한 생리적 장애로 생기는 질병은?
99. 다시마 양식의 해적생물로 가장 큰 피해를 주는 것은?
100. 백점병의 원인이 되는 섬모충의 생활사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