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어류양식학
1. 인공수정 된 자주복 알의 대량 부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시험에서는 모두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2. 평균 100g 되는 어류종묘 10000마리에 펠렛사료 6000㎏을 공급하여 100%생존하였으며, 평균 600g의 어류를 수확하였다면 이때의 사료계수는?
3. 방어 양식에서 좋은 종묘를 구하는데 유의할 점이 아닌것은?
4. 은어의 종묘 생산 시 주된 먹이로 이용되는 것은?
5. 넙치를 육상수조에서 양성하려고 할 때 고려해야 할 장소선정에 관한 내용 중 알맞지 못한 것은?
6. 조피볼락에서 먹이를 처음 공급하는 시기는?
7. 다음 괄호 안에 적합한 용어는?
8. 영양 염류가 충분히 있어야 생산이 많아지는 양식법은?
9. 해산어 인공종묘 생산 시 빵효모만으로 배양한 윤충의 경우 영양강화가 필요한 가장 큰 이유는?
10. 뱀장어를 순환여과식 사육과 관련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1. 미꾸리의 초기 종묘 육성에 대한 설명이 가장 적합한 것은?
12. 다음 어종 중 육상수조 양식에 가장 알맞은 것은?
13. 살아있는 수산동물을 적절한 시설안에서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일은?
14. 무지개송어 양식에서 알 10만개를 부화하는데 필요한 주수량은? (단, 주입수의 용존산소량 : 1ℓ 당 8㎖, 배출수의 용존산소량 : 1ℓ 당 5㎖, 10만개가 소비하는 산소량 : 1시간당 0.5ℓ)
15. 무지개송어의 사육 관리가 틀린 것은?
16. 물을 교환하지 않고 산소를 보충하지 않은 상태의 정수식 목에서 잉어의 최대 수용량은?
17. 지용성 비타민이 아닌 것은?
18. 양식종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고려하여야 할 선택 조건 중 그 성격이 다른 것은?
19. 해산어류의 양성과 관련된 일반적 특징으로 틀린 것은?
20. 다음은 사료의 첨가물 중 연어, 송어류의 체색이나 육질의 색을 좋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착색제는?
2과목: 무척추동물양식학
21. 전복류의 성숙에 대한 설명 중 알맞은 것은?
22. 참문어의 부유 유생기 먹이로서 가장 알맞은 것은?
23. 피조개 종묘생산을 위한 유생용 먹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4. 다음 조개류 중 생활사에서 부착생활기를 갖지 않는 종은?
25. 피조개의 양식단계를 4개로 나눌 때 3번째에 오는 것은?
26. 대합(백학)의 이동이 많은 각장의 크기는?
27. 참가리비의 양성관리 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
28. 대하 발생과정 중 부화하여 8번 탈피를 하였을 때의 유생단계는?
29. 큰우럭의 종묘생산과 양성에 관한 내용 중 맞는 것은?
30. 무척추동물 중 돌리올라리아(doliolaria)의 유생기를 가지는 종은?
31. 굴 유생 부착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은?
32. 다음 중 한해성으로 제주도에 서식하는 전복이 아닌것은?
33. 기수(汽水)의 염분농도 변화 범위기준은?
34. 다음 중 종묘 방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5. 담치류의 생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6. 수하식 양식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수심층은?
37. 참굴 암컷의 생식세포 분열증식이 시작되는 수온기준은?
38. 다음 중 새우류의 변태과정이 올바른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39. 참굴의 수하식 양성장의 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40. 참가리비 양성에 대한 설명 중 알맞은 것은?
3과목: 해조류양식학
41. 미역의 채묘를 위한 포자엽의 예비작업에 해당되는 사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42. 다음 중 청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3. 다음 중 세대교번하는 종들로 짝 지워진 것은?
44. 참다시마의 형태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45. 김의 인공배양시 1㎝ 내외의 유엽의 생장적온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46. 미역 가이식시 싹녹음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47. 다음 중 김 조가비사상체의 가장 일반적인 성숙촉진 방법은?
48. 꼬시래기의 포자 방출을 유발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49. 톳 양식에서 친승의 수심 조절에 대한 설명이 틀린것은?
50. 김의 생활사 중 핵상(核相)이 단상(單相)인 것으로만 짝지어져 있는 것은?
51. 다시마 충실기와 관련한 설명이 옳은 것은?
52. 다시마의 유주자가 방출되는 부위는?
53. 카라기난의 원료가 될 수 있는 해조류는?
54. 냉장발의 씨발에 이용되는 김 엽체의 가장 적당한 크기는?
55. 다음 중 북방형 미역의 특징이 아닌 것은?
56. 냉동김발 제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57. 김의 사상체 배양시 각포자 방출의 촉진에 해당되는 것은?
58. 미역양식에서 잎자르기 수확을 할 때의 절단부위는?
59. 홑파래에 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60. 다음 중 대표적인 해조류 양식법이 아닌 것은?
4과목: 양식장환경
61. 다음 중 양식장 수질 오염 시 직접적인 조사 대상 항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2. 무지개송어 양식에서 수로형 사육지의 구조 설명으로 옳은 것은?
63. 강벽(cor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64. 다음 중 수온 조절이 비교적 용이하여 다양한 어종에 적용이 가능한 양식 방법은?
65. 넙치 양식장 인근 굴 가공공장의 폐수가 유입되었을 때 넙치에 미치는 영향 중 옳은 것은?
66. 양식생물에 영향을 미치는 수온에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67. 질화과정에서 1분자의 암모니아가 산화되어 질산으로 바뀌는데 몇 분자의 산소가 필요한가?
68. 질산염의 이화작용(dissimilation)을 촉진시키는 가장 좋은 조건은?
69. 양어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흡인식 펌프의 설치에 대한 설명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70. 다음의 양어장 수처리 기술 중 입자상 물질이나 용존 물질을 기포에 부착시켜 분리하는 방법은?
71. 천해 양식장의 자가오염(自家汚染) 방지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2. 다음 중 독성 물질에 의한 생물의 이동 및 도피를 유발케 하는 농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73. SS 측정을 위해 시료를 채취하였을 때 다음 중 측정 대상이 되는 것은?
74. 다음 중에 양식장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75. 순환여과식 양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76. 경운(바닥갈이)의 목적이 될 수 없는 것은?
77. 정수식 못 양식에서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향상시키려 할 때 가장 우선되어야 할 조건은?
78. 적조가 일어나는 여러 원인 중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79. 여름철 식물플랑크톤이 많이 발생한 못 속의 용존산소는 언제 가장 낮아지는가?
80. 다음 중 해수 중의 염분 함량을 나타내는 단위는?
5과목: 수산질병학
81. 방어에 감염된 연쇄구균증이 쉽게 치료되지 않는 원인은?
82. 김에 암종병이 발생할 때 양식장의 COD는 어느 수준인가?
83. 해산어에서 발생되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일종으로 병원체는 헤르페스바이러스이고 감염어는 지느러미 및 체표에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나며 이상이 생긴 환부를 관찰하면 수많은 공모양의 세포가 관찰된다. 표피 세포의 이상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이 병은?
84. 세균의 그람 염색성이 양성과 음성으로 나누어지는 원인은 세균의 어느 부분의 차이에서 기인하는가?
85. 다음 중 폐사율은 낮으나 감염어의 상품가치를 떨어뜨려 경제적인 손실을 주는 질병은?
86. 어류가 가지고 있는 티아미나아제는 어떤 비타민 부족현상을 야기시키는가?
87. 어류의 혈액기생충으로 짝지어진 것은?
88. 연어과 어류의 살민콜라병의 가장 뚜렷한 증상을 나타내는 기관은?
89. 굴의 퍼킨서스(perkinsus)병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90. 해삼의 종묘생산기에 일어나는 질병이 아닌 것은?
91. 절창병의 증상 중에서 경새감염 증상이 아닌 것은?
92. 진균류에 속하는 곰팡이로 물고기에 기생하여 균사체를 이루는 것은?
93. 전염성 조혈기 괴사증(IHN)의 증상으로 특징지을 수 없는 것은?
94. 신장과 간, 비장에 백점 및 백색 결절의 병소를 형성하는 질병이 아닌 것은?
95. 바이러스의 감염 여부를 알 수 없는 무지개송어의 종묘를 도입하여 양어지에 넣으려고 한다. 어느 곳에 넣는 것이 어병 예방의 관점에서 가장 합리적인가?
96. 아가미 부식병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97. 넙치의 에드와드병이 잘 유행하는 이유로 틀린 것은?
98. 김의 호상균병이 잘 발생하는 수온은?
99. 수중 내 질소가스가 약 몇 % 이상이 될 때 가스병에 걸릴 위험이 높은가?
100. 여름철 수온이 20~25℃일 때 강우량이 많아서 염분 농도가 낮아질 때 방어에 주로 유행하는 질병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