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어류양식학
1. 어류 양식 시 사료 섭취량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2. 식물성 먹이 생물을 배양하기 위하여 고려되는 3가지 측면 중 기술적 측면에 속하지 않는 것은?
3. 잉어 치어를 물벼룩이 발생된 못에 옮겨서 본격적인 성장을 시키고 싶다. 1m2당 몇 마리를 방양하면 치어 성장이나 경제적인 면에서 타당성이 있는가?
4. 넙치 수정란 채란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5. 해상가두리에서 4 ~5cm 크기의 조피볼락 종묘의 사육시 가두리 표면적당 일반적인 적정 사육밀도는?
6. 어류 먹이 생물의 조건으로 틀린 것은?
7. 양식 어류 사료 내 탄수화물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8. 다음 중 위가 없는 어류는?
9. 다음 ( ) 안에 적합한 용어는?
10. 식물성 plankton이 많이 발생하는 못에 양식하기 적합하지 않은 어종은?
11. 넙치 치어 20000마리 (마리당 3g)를 구입하여 14개월간 양성하면서 까나리 등의 생사료를 80톤 공급하여 성어 20톤을 생산하였을 경우 사료효율은?
12. 뱀장어 양식 시 실지렁이를 먹이로 공급하는 시기는?
13. 숭어의 생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4. 참돔 종묘생산 시 치어의 먹이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5. 은어를 사육하기 위해 사각형 못을 만들려고 할 때 유의할 점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6. 무지개송어 친어 사육 시 먹이의 양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단, 일반적으로 큰 식용어의 섭취량 기준임)
17. 해수양식을 위해 체중 100g 정도 되는 은연어를 해수에 순치시킨다면 가장 적당한 순치기간은?
18. 숙성이가 생기는 원인이 아닌 것은?
19. 조피볼락의 자어에서 추광성을 나타내기 시작하는 시기는?
20. 잉어의 대형 종묘생산은 3~4cm 정도 되는 소형 종묘를 어느 정도의 크기로 키우는 과정인가?
2과목: 무척추동물양식학
21. 멍게(우렁쉥이)의 산란과 발생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2. 십완류에 속하는 종은?
23. 양식생물과 유생기의 이름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24. 피조개의 실내채묘를 위한 산란유발 자극으로 거리가 먼 것은?
25. 단련종굴의 장점이 아닌 것은?
26. 생물의 식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7. 가리비 양성장 선정에 있어서 지표종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28. 우럭(패류) 종묘의 방양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9. 굴 양식장 노화현상으로 인해 저질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유독물질은?
30. 피조개 양성장으로 적합하지 않는 곳은?
31. 이동이 심한 조개류의 양성시설로 적합한 방식근?
32. 종묘 방양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3. 닭새우 phyllosoma기의 적당한 먹이가 아닌 것은?
34. 해삼의 하면기 소화관 발달 상태를 가장 옳게 나타낸 것은?
35. 진주조개의 패각청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6. 우럭(패류)의 종묘생산에서 양성까지의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7. 전복의 해적생물이 아닌 것은?
38. 방양 시 종묘를 한 개체씩 바닥의 저질에 모심기 하듯이 심어야 하는 조개는?
39. 대하 종묘 생산 시 먹이를 처음으로 먹기 시작하는 유생시기는?
40. 최적 수온 하에서 해삼유생의 부유유영 기간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3과목: 해조류양식학
41. 다음 홍조류 중 염분농도가 다소 낮은 곳에서도 생육하는 종류는?
42. 감태의 생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3. 우뭇가사리와 관련이 없는 것은?
44. 양식법이 주로 영양번식에 의존하는 종류는?
45. 모자반의 암, 수 배우자가 형성되는 기관은?
46. 김양성 시 김발의 관리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47. 다음 중 김양식장의 환경조건으로 가장 좋은 조건은?
48. 덮발에 의한 씨발의 관리 과정에서 김싹이 1mm 정도 자랐을 때 갑자기 투명도가 높고 해파리가 많이 나타났다면, 이때의 가장 효과적인 대책은?
49. 김발 관리가 바르게 된 것은?
50. 다음 중 김발 냉장 시 최상의 씨발을 얻을 수 있는 조건은?
51. 미역종묘의 월하 배양 관리 시 적정 조도는? (단, 수온 25℃ 정도를 기준으로 한다.)
52. 다시마를 저수온기에 최대한 활용하여 단기간에 생장시키는 양식방법은?
53. 방사무늬김의 세대 교번에 있어서 감수분열이 일어나는 시기는?
54. 배양장에서 김 사상체의 각포자는 하루 중 언제 가장 많이 방출되는가
55. 참김, 큰참김, 방사무늬김, 모무늬돌김, 긴잎돌김을 같은 어장에서 양식할 때 자리바꿈으로 가장 많이 혼입하는 종은?
56. 미역 유주자의 착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7. 해조류의 생장방식과 종들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58. 다시마 종묘를 촉성배양법으로 배양하면 유주자 착생 후 어느 정도에 아포체가 나타나는가?
59. 미역 유주자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60. 무기질(Free-living)김 사상체 배양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4과목: 양식장환경
61. 환경조건이 동일한 상태에서 양식장을 같은 규모로 신설한 경우 어장노화를 가장 빨리 초래할 서으로 생각되는 양식방법은?
62. 개방적 양식장에 속하지 않는 것은?
63. 기기 자체의 무게에 의해서 해저면을 일정한 거리로 끌어서 시료를 채취하는 채니 방법은?
64. 수질 측정방법의 연결이 틀린 것은?
65. 적조가 일어나는 여러 원인 중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66. 오존을 이용한 해산어 양식장 사육수 살균 시 독성을 나타낼 수 있는 용존 물질은?
67. 어류의 암모니아 독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8. 생물학적 여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9. 공기 양수기의 양수능력이 가장 좋을 때는 언제인가?
70. 다음 중 양식장 수질 오염 시 직접적인 조사 대상 항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1. 수중의 용존산소량에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는 요인은?
72. 양식장에 석회를 살포하면 유해 생물을 구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석회의 이러한 주 역하레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73. 양식장에서 볼 수 있는 황화수소의 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74. 순환여과양식장 사육내 용존유기물(DOM, dissolved organic matter)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75. 순환여과식 사육지에서 사육수의 정화처리 순서로 가장 좋은 것은?
76. 수중의 이산화탄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7. 은어 사육을 위하여 콘크리트 사각형 사육지를 만들려고 할 때의 주의사항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78. 다음중 어류 부화장이나 배양장에서 많은 용량의 유입수를 처리하는 데 이용되는 물리적 여과장치로 가장 적합한 것은?
79. 침투수를 집수하는 경우 집수관 내부의 평균유속은 초당 어느 정도를 유지하는가?
80. 담수에서 중요시 되지 않는 영양염류는?
5과목: 수산질병학
81. 잉어의 봄 Virus(SVC)병이 발생하는 수온은?
82. 뱀장어 에드워드병의 주 증상은?
83. 금붕어에 궤양병을 일으키는 원인 세균이 아닌 것은?
84. 원충류의 내외부 구조를 관찰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 아닌 것은?
85. Nocardia 증의 주 증상은?
86. 채란용 어미고기를 죽이지 않고 체내 병원 미생물의 감염 유무를 확인하려고 할 때 적용할 수 없는 방법은?
87. 틸라피아의 항문이 붉게 돌출되었다. 어떤 병인가?
88. 방어를 양식 시 장기간 냉동된 까나리를 투여했는데 안구돌출, 혈구파괴, 울혈 등의 증상이 나타났다. 그 주된 이유로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은?
89. Pseudomonas anguilliseptica가 주원인인 뱀장어의 질병은?
90. 폐사어를 부검하였을 때 용존산소 결핍증으로 볼 수 없는 증상은?
91. 넙치, 참돔, 방어, 조피볼락, 농어 등 해산어류의 두부, 지느러미, 꼬리, 몸 표면에 작은 물집 모양의 환부가 형성되고, 병어는 잘 죽지 않으나 상품가치를 잃게 하는 이리도바이러스에 속하는 병명은?
92. 일반적인 세균염색법으로 염색을 하였을 때 그램 음성균은 어떤 색으로 염색되는가?
93. 뱀장어에 곰팡이성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은?
94. 뱀장어의 어체 근육에 기생하였을 때 근육이 융해되고 체표면에 요철이 생기는 질병은?
95. 연어과 어류의 세균성 신장병(BKD)의 주요 증상은?
96. Virus성 질병의 종류와 감염대상 어류와의 관계가 잘못된 것은?
97. 참돔의 눈 가장자리가 붉어졌다면 어떤 원인에 의한 병으로 판단되는가?
98. 김의 갯병 중 병원체에 의한 감염성 질병과 관련이 없는 것은?
99. 싹갯병의 발병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00. 닺벌레의 유충이 성체형으로 되면서 어류에 기생하기 시작하는 수온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