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어류양식학
1. 은어나 송어류의 성숙조절에 주로 이용되는 것은?
2. 총중량 100kg의 잉어에게 400kg의 사료를 먹여 500kg으로 성장시켰다고 하면 이 때의 사료계수는?
3. 협염성 어류는?
4. 1m2당 무지개송어의 치어의 적정방양밀도는? (단, 수온 15℃, 개체 당 무게는 4g 내외임)
5. 산소보충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정수식 못양식으로 잉어를 양성하려고 한다. 물을 교환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잉어의 최대 수용량은?
6. 생식세포인 정자와 난자는 일반적으로 몇 배수체인가?
7. 조피볼락 출산 후 자어에게 먹이를 처음 공급하는 시기는?
8. 먹이생물이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9. 산란 유도를 위해 사용하는 호르몬과 관련이 없는 것은?
10. 방양된 잉어 치어의 해적생물이 아닌 것은?
11. 어류 양식용 배합사료 성분 중 고려되어야 할 주요 영양소는?
12. 크럼블(crumble) 사료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3. 틸라피아가 우리나라에 처음 도입된 년도와 수입국은?
14. 식성이 다른 어류는?
15. 부화 후 5 ~ 6일이 지난 참돔 자어의 초기 먹이로 가장 적합한 것은?
16. 은연어의 사육 적정 수온은?
17. 은어의 부화 직후 사육밀도는 수량 1m3당 몇 마리인가?
18. 수온 15 ~ 26℃에서 넙치 성어 양성 시 환수율이 하루에 10 ~ 12회전일 때 m2당 양성밀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9. 넙치양식의 자어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0. 미꾸라지의 성어 양성 시 적당한 방양밀도는?
2과목: 무척추동물양식학
21. 참가리비의 자원보호를 위해 채취금지기간을 설정한다면 가장 알맞은 시기는?
22. 대합류의 종묘생산을 위한 자연채묘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23. 참굴 종패의 단련 목적이 아닌 것은?
24. 기수(沂水)의 염분 범위는?
25. 문어 종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6. 먹이생물인 클로렐라(Chlorella)가 속하는 분류군은?
27. 전복 해상가두리(2.4×2.4×2.5m)의 m2당 종묘(각장 2~3㎝)의 최초 입식 밀도는?
28. 우리나라에서 닭새우의 주산지는?
29. 양식생물의 식성에 따른 주요 먹이의 종류가 틀린 것은?
30. 전복의 인공종묘 생산 시 사용되는 산란자극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1. 조개류의 비만도(condition index)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32. 전복류의 산란생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3. 참가리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4. 생식방법이 다른 굴은?
35. 굴의 고정식 채묘 방법에 속하는 것은?
36. 진주담치의 학명은?
37. 피조개의 D상 유생과 보리새우 조에아 유생의 공통점은?
38. 수심이 20m 되는 곳에서 참가리비를 채묘할 때 가장 알맞은 채묘수층은?
39. 바지락 양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0. 개량조개의 발생에 가장 적당한 수온 범위는?
3과목: 해조류양식학
41. 김이 생육하는데 필요한 원소 중 결핍되기 쉬운 원소가 아닌 것은?
42. 김이 생리적으로 약해지는 요인이 아닌 것은?
43. 김의 실내 채묘 시 조도의 관계가 가장 큰 것은?
44. 카라기난의 원료가 되는 해조가 주는 속하는 식물군은?
45. 참김과 둥근돌김의 분류상 가장 주된 차이점은?
46. 북방형 미역의 특징이 아닌 것은?
47. 몸 가장자리가 톱니 모양으로 된 것은?
48. 김 자연채묘(건홍)의 적기는?
49. 다음 중 절단한 꼬시래기의 모조를 살포하여 부유하면서 성장하기에 가장 적합한 양식적지는?
50. 김 양식 방법 중 2차아(芽)의 부착이 적은 것은?
51. 미역의 종묘생산에 있어 가이식의 필요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52. 미역종묘 배양과정에서 수온상승에 따라 가장 우선적으로 대처해야 하는 것은?
53. 다시마의 엽장별 생육 단계에 있어 나타나는 형질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4. 미역 생활사의 순서로 맞는 것은?
55. 다음 중 미역의 어미줄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56. 다음 중 김의 냉동씨발을 입고할 때의 함수율로 가장 적정한 것은?
57. 다음 표는 김의 채묘 일자와 수온이 13℃로 된 날을 기록한 것이다. 가장 흉작이 예상되는 것은?
58. 톳의 생식세포 방출과 수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9. 모자반 양식시 가이식의 조건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60. 다시마의 종묘 배양과정에서 배우체의 수정률이 가장 좋은 조도는? (단, 수온은 13℃ 전후일 경우)
4과목: 양식장환경
61. 다음 중 수질을 가장 많이 오염시키는 경우는?
62. 양어지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경운(바닥갈이)을 할 경우 기대되는 효과는?
63. 양식 시설 재료 중 성질이 다른 것은?
64. 고속모래여과(Rapid Sand Filter)의 설명 중 옳은 것은?
65. 탈질과정(denitrificatio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6. 일반적으로 담수순환여과시스템에서 새로 설치한 여과조의 질산화세균이 번식하여 여과기능을 나타내기 시작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단, 수온은 15℃ 이상임)
67. 질산화과정에 관여하는 질산화세균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68. 양식장 내 양수고가 3.5m 이하이고 배관 지름 300mm 이상의 경우 가장 적합한 펌프 형식은?
69. 수중 이산화탄소와 용존산소 농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0. 다음 중 과망간산 칼륨법과 중크롬산칼륨법으로 측정하는 것은?
71. 일반적으로 물 속에 녹아 있는 산소의 양은 공기 중의 산소량에 비해 얼마 정도인가?
72. 옆 물길이 필요한 양어장은?
73. 굴양식장의 수질 환경요인 중 부적합한 조건은?
74. 양식장의 입지 조건에 대한 분류상 지형적 입지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75. 오존 발생기를 이용한 오존 소독에 관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76. 다음 중 pH를 측정하는 가장 실용적이고 정확한 방법은?
77. 양어장의 수질 문제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암모니아는 다음 어느 것에서 유래하는가?
78. 순환여과식 양식장의 고형 오물제거 시설로 침전조를 이용한 방법을 택했을 때,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79. 해수 유동이 김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아닌 것은?
80. 정수식 못 양식장 등의 저질환경을 확인하기 위한 퇴적물 입도분석 시 사용할 수 있는 저질 채취기가 아닌 것은?
5과목: 수산질병학
81. 뱀장어 적점병은 수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세균성 질병이다. 이병의 주 유행 수온은?
82. Vibrio anguillarum 균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83. 헤테로스포리스 앙귈라륨(Heterosporis anguillarum)은 어떤 어류에 기생하는가?
84. 바이러스의 감염 여부를 알 수 없는 무지개송어의 종묘를 도입하여 양어지에 넣으려고 한다. 어느 곳에 넣는 것이 어병예방의 관점에서 가장 합리적인가?
85. 해어 종묘생산 시 육상사육시설에서 문제가 되는 Oodinium류의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86. 수서동물의 질병발생 유발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87. 어류의 기생성의 편모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88. 굴의 면반바이러스병과 관련없는 것은?
89. 감염성 질병이 의심되는 넙치에서 원인 병원균 혹은 바이러스를 순수하게 분리하기 위해 먼저 사용하여야 할 조직 부위는?
90. 겨울철 유수식 잉어지에서 잉어의 체표, 지느러미 등에 회백색의 점액물질이 덮여있는 것이 관찰되었다면, 이 병과 발생과 관련이 가장 깊은 균은?
91. 에드워드병의 증상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92. 김 사상체 병해인 녹변병과 황반병의 가장 큰 차이는?
93. 노출이 불충분하고 광선이 부족할 때 생기는 갯병은?
94. OMVD의 외부 증상으로 맞지 않는 것은?
95. 넙치에 노카르디아병이 유행되면 어떤 증상을 보이는가?
96. 은어 치어의 부레 내에 먼저 침입하여 번식하고, 차츰 전신에 감염되어 생명을 잃게 하는 병은?
97. 방어에 감염된 연쇄구균증이 쉽게 치료되지 않는 원인은?
98. 어류가 가지고 있는 티아미나아제는 어떤 비타민 부족 현상을 야기시키는가?
99. 연쇄구균 감염에 의한 대표적 증상이 아닌 것은?
100. 냉수성 어류에 유행되는 virus성 질병은 많은 어류를 폐사시키는데, 이러한 폐사를 최소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