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양식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8-14)

수산양식기사
(2021-08-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어류양식학

1. 방어의 최적성장수온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8 ~ 12℃
  2. 13 ~ 18℃
  3. 18 ~ 25℃
  4. 28 ~ 32℃
(정답률: 73%)
  • 방어는 온도가 너무 낮으면 활동이 둔해지고, 너무 높으면 스트레스를 받아 면역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적절한 온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방어의 최적 성장 온도는 18 ~ 25℃입니다. 8 ~ 12℃는 너무 낮아 활동이 둔해지고, 13 ~ 18℃는 적절하지만 성장 속도가 느리고, 28 ~ 32℃는 너무 높아 스트레스를 받아 면역력이 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MP(Mositure Pellet) 사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균일한 품질을 유지하기 어렵다.
  2. 물에 뜨기 때문에 사료의 허실이 적고 관찰이 용이하다.
  3. 일반적으로 EP(Extruded Pellet) 사료에 비해 생산 및 관리 경비가 높다.
  4. 장기 보관이 어려우며 수질 악화 우려가 높다.
(정답률: 83%)
  • "물에 뜨기 때문에 사료의 허실이 적고 관찰이 용이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MP 사료는 물에 뜨는 특성이 있어 수면 위에 떠 있을 수 있지만, 이는 사료의 허실이 적다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사료의 허실은 사료 제조 과정에서 결정되며, MP 사료도 허실이 적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에 뜨기 때문에 사료의 허실이 적고 관찰이 용이하다."라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우리나라의 냉수성 어류의 성장에 가장 적절한 수원(水源)조건은?

  1. 연중 수온 범위가 5 ~ 10℃로 유지되는 호수소를 이용할 수 있는 곳
  2. 연중 수온 범위가 0 ~ 18℃인 계곡수를 이용할 수 있는 곳
  3. 연중 수온 범위가 0 ~ 20℃인 하천수를 이용할 수 있는 곳
  4. 연중 수온 범위가 12 ~ 18℃인 지하수를 이용할 수 있는 곳
(정답률: 82%)
  • 우리나라의 냉수성 어류는 연중 수온이 일정한 환경에서 성장하기 때문에, 연중 수온 범위가 12 ~ 18℃인 지하수를 이용할 수 있는 곳이 가장 적절하다. 이는 냉수성 어류가 최적의 성장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수온 범위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호수소나 계곡수, 하천수는 수온이 계절에 따라 크게 변동하기 때문에 냉수성 어류의 성장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참돔의 일반적인 자연 산란 시기는?

  1. 1 ~ 3월
  2. 4 ~ 6월
  3. 7 ~ 9월
  4. 10 ~ 12월
(정답률: 72%)
  • 참돔은 일반적으로 봄철인 4월부터 여름철인 6월까지 산란을 합니다. 이는 봄철에 수온이 올라가면서 생식기능이 활발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기간에는 참돔의 산란활동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물벼룩 발생을 위한 작업은 잉어의 산란예정 약 며칠 전에 시작하는 것이 적당한가?

  1. 3 ~ 4일
  2. 7 ~ 8일
  3. 10 ~ 14일
  4. 20 ~ 30일
(정답률: 63%)
  • 물벼룩은 잉어의 산란 후 약 10 ~ 14일 후에 발생하기 때문에, 이 기간에 물벼룩 발생을 위한 작업을 시작하는 것이 적당하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기간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방류재포 양식에 해당하는 것은?

  1. 송어를 연안의 가두리에서 양식
  2. 참돔 치어를 연안에 방류
  3. 조피볼락을 축제식 양식장에서 양성
  4. 하천에서 연어성어의 수확
(정답률: 84%)
  • 방류재포 양식은 농장에서 양식한 어종을 자연환경으로 방류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하천에서 연어성어의 수확"은 하천에서 자연적으로 번식한 연어성어를 수확하여 양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못 양식과 비교해서 가두리를 이용한 틸라피아 양식의 단점은?

  1. 토지부족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
  2. 고밀도 사육이 가능하다.
  3. 인공사료를 잘 이용하면 사료효율이 향상된다.
  4. 사료 저장소, 부화장 그리고 가공시설이 별도로 필요하다.
(정답률: 95%)
  • 가두리를 이용한 틸라피아 양식은 물 속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료 저장소, 부화장 그리고 가공시설이 별도로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무지개송어의 수정란이 발안기까지 도달하는 소요일수는? (단, 부화수온은 10℃ 정도이다.)

  1. 12일
  2. 14일
  3. 16일
  4. 18일
(정답률: 67%)
  • 무지개송어의 수정란은 부화 후 10~14일 정도의 시간이 걸려 발아한다. 따라서 부화수온이 10℃ 정도인 경우, 수정란이 발안기까지 도달하는데는 약 16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정답은 "16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어종 중 육상 수조에서 주로 양성이 이루어지는 것은?

  1. 감성돔
  2. 조피볼락
  3. 넙치
  4. 참돔
(정답률: 95%)
  • 넙치는 육상 수조에서 주로 양성이 이루어지는 어종 중 하나입니다. 이는 넙치가 산란 시에 수초나 돌 등에 알을 붙여놓는 습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조 내에 적절한 서식지를 제공하면 넙치의 번식이 가능합니다. 반면 감성돔, 조피볼락, 참돔은 대부분 바다에서 번식하므로 육상 수조에서 번식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조피볼락의 친어 관리 및 생태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친어 대상은 자연에서 포획한 것 또는 종묘 생산하여 양식된 것으로 한다.
  2. 교미 시기의 사육 수온은 10 ~ 13℃ 로 유지한다.
  3. 출산 기이의 사육 수온은 13 ~ 15℃ 로 유지한다.
  4. 친어의 교미 후 즉시 체내에서 미성숙란의 수정이 이루어진다.
(정답률: 87%)
  • "친어의 교미 후 즉시 체내에서 미성숙란의 수정이 이루어진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정확한 내용입니다. 이 부분은 친어의 생식 생리에 관한 내용으로, 교미 후 즉시 체내에서 미성숙란의 수정이 이루어지는 것은 맞습니다. 이는 친어의 산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참돔이나 넙치 등의 자·치어 사육에 필요한 관리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자어 사육수조에 Chlorella 첨가
  2. 조도의 조절
  3. 영양염류의 첨가
  4. 에어레이션 조절
(정답률: 66%)
  • 영양염류의 첨가는 참돔이나 넙치 등의 자·치어 사육에 필요한 관리사항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영양염류가 과다하게 존재할 경우 수조 내 물의 질을 저하시키고, 물고기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양의 영양염류를 첨가하여 물의 질을 유지하고 물고기의 건강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관상어 중 시클리드와 어류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베타, 키싱구라미
  2. 엔젤피쉬, 디스커스
  3. 수마트라, 네온테트라
  4. 네온테트라, 지브라피쉬
(정답률: 78%)
  • 시클리드는 아프리카 호수 지역에 서식하는 어류로, 엔젤피쉬와 디스커스도 모두 아마존 강과 그 지류에서 발견되는 어류입니다. 따라서, 시클리드와 엔젤피쉬, 디스커스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서로 다른 지역에서 발견되는 어류들이므로, 시클리드와는 짝지어질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미꾸리 성숙란의 색깔은?

  1. 회색
  2. 암록색
  3. 황색
  4. 암갈색
(정답률: 77%)
  • 미꾸리 성숙란의 색깔은 황색이다. 이는 미꾸리 성숙란이 카로티노이드라는 황색색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체중 0.2g인 실뱀장어 50kg에 배합사료 50000kg을 공급하여 체중 200g인 뱀장어 50.05톤을 생산하였다면 사료계수는?

  1. 2.0
  2. 50%
  3. 1.0
  4. 200%
(정답률: 66%)
  • 사료계수는 생산된 뱀장어의 총 무게를 사용된 배합사료의 총 무게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사료계수 = (생산된 뱀장어의 총 무게) / (사용된 배합사료의 총 무게) 이다.

    문제에서 생산된 뱀장어의 총 무게는 50.05톤이고, 사용된 배합사료의 총 무게는 50000kg이다. 따라서, 사료계수 = 50.05톤 / 50000kg = 1.001kg/kg 이다.

    정답이 "1.0" 인 이유는 소수점 이하 자리를 반올림하여 계산한 결과이다. 따라서, 사료계수는 1.0으로 나타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황복의 생태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산란기는 지역에 따라 4월 중수에서 6월 초순이다.
  2. 산린기 적수온은 15~20℃이다.
  3. 바다에서 산란한다.
  4. 간장, 난소, 비장 등에 강한 독성이 있다.
(정답률: 74%)
  • 황복은 바다에서 산란하는 것이 아니라 강, 호수, 연못 등의 물에서 산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뱀장어용 EP 사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부상 사료이다.
  2. 사료 제조과정 중 고온·고압을 가하여 만든다.
  3. 어분의 함량이 반죽사료보다 높다.
  4. 알파(α) 전분을 쓰지 않는다.
(정답률: 66%)
  • "어분의 함량이 반죽사료보다 높다."가 틀린 것이다. 뱀장어용 EP 사료는 어분의 함량이 반죽사료보다 낮다. 이유는 뱀장어는 어분을 소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어분 함량이 높은 사료를 먹으면 소화가 어려워져서 소화기 질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뱀장어용 EP 사료는 어분 함량을 낮추고, 대신 단백질 함량을 높이는 등의 조치를 취하여 뱀장어의 건강을 유지하도록 제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암컷 친어의 산란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미꾸리 체장 10 ~ 14cm, 5000 ~ 8000개
  2. 채널메기 체중 1 kg 당 2000 ~ 3000개
  3. 은어 체중 100 kg 당 50000개
  4. 참돔 체중 1 kg 당 70000개
(정답률: 72%)
  • 채널메기는 작은 크기의 어종이기 때문에 체중 1kg 당 산란수가 2000~3000개로 적은 편이다. 다른 어종들은 크기나 생태적 특성에 따라 산란수가 다르게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양식 어류 사육 중 먹이 공급량을 감소시커야 할 경우가 아닌 것은?

  1. 주수량이 감소했을 때
  2. 사육생물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을 때
  3. 수온의 변화가 심해졌을 때
  4. 약욕 또는 못을 옮겼을 때
(정답률: 83%)
  • 사육생물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을 때는 먹이 공급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는 큰 생물은 더 많은 먹이를 필요로 하고, 작은 생물은 적은 먹이만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육생물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을 때는 개별 생물의 크기와 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한 먹이 공급량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영양소인 단백질에 함유된 질소(N) 성분의 평균 함량은?

  1. 약 11%
  2. 약 16%
  3. 약 21%
  4. 약 26%
(정답률: 74%)
  •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미노산은 질소를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단백질에 함유된 질소의 양은 단백질의 양과 비례한다. 일반적으로 단백질의 질량 중 약 16%가 질소이므로, 이에 따라 단백질에 함유된 질소의 평균 함량도 약 16%로 추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활어 운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안정적인 운반을 위해 성장 적수온을 유지한다.
  2. 겨울철 뱀장어, 가물치 등은 물 없이 운반할 수 있다.
  3. 운송 전 절식이 필요하다.
  4. 대사 노폐물의 관리가 필요하다.
(정답률: 76%)
  • "겨울철 뱀장어, 가물치 등은 물 없이 운반할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뱀장어나 가물치는 물 없이 운반하면 생존율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반드시 물 속에서 운반해야 합니다. "안정적인 운반을 위해 성장 적수온을 유지한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활어는 물 온도에 민감하므로 적정한 온도를 유지해야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합니다. "운송 전 절식이 필요하다."와 "대사 노폐물의 관리가 필요하다."도 올바른 설명입니다. 운송 전에는 절식을 통해 대사 활동을 줄이고 노폐물 관리를 통해 활어의 건강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무척추동물양식학

21. 알테미아의 부화 특징으로 틀린 것은? (단, 부화에 따른 환경조건은 일정하다.)

  1. 수온이 증가할수록 산소소비량이 증가한다.
  2. 부화율에 영향을 가장 크게 미치는 요인은 난질이다.
  3. 염분이 높을수록 내구란의 부화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아진다.
  4.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외각을 제거하여 부화율을 높이기도 한다.
(정답률: 75%)
  • "염분이 높을수록 내구란의 부화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아진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염분이 높을수록 내구란의 부화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오래 걸립니다. 이는 염분이 높아질수록 물의 증발이 증가하고, 내구란의 수분이 빠져나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구란이 건조해져 부화에 필요한 수분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면 부화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피조개의 채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부유유생과 부착치패가 출현하는 시기는 8~9월이다.
  2. 성숙유생은 저층에는 적고 표층으로 가까이 갈수록 급격하게 많아진다.
  3. 채묘장소가 수심이 깊은 경우 밧줄식 채묘시설을 한다.
  4. 채묘기는 그물망 채묘기를 많이 사용한다.
(정답률: 76%)
  • "성숙유생은 저층에는 적고 표층으로 가까이 갈수록 급격하게 많아진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피조개의 성숙유생은 먹이인 미세조류를 먹기 위해 표층으로 올라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표층에서 성숙유생이 많이 발견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채묘 예보 시에 부착치패수를 조사할 수 없는 종류는?

  1. 진주담치
  2. 대합
  3. 피조개
  4. 참굴
(정답률: 74%)
  • 채묘 예보 시에 부착치패수를 조사하는 것은 조개류의 성장과 생태를 파악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러나 대합은 다른 조개류와 달리 부착치패가 없기 때문에 부착치패수를 조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대합은 채묘 예보 시에 부착치패수를 조사할 수 없는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참굴 자연채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부유유생 출현기에 매일 만조 시 유생을 채집하여 유생기 별로 계수한다.
  2. 부착기가 가까워지면 매일 수심별로 부착치패수를 계수한다.
  3. 채묘일은 부착수가 차차 증가하고 있을 때로 한다.
  4. 따개비와 굴의 부착수가 함께 증가하면 채묘기 투입이 가능하다.
(정답률: 77%)
  • "따개비와 굴의 부착수가 함께 증가하면 채묘기 투입이 가능하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따개비와 굴은 서로 다른 부착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함께 증가해도 서로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따개비와 굴의 부착수가 각각 증가하여 채묘기 투입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참문어의 양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저서생활기에는 공식현상이 나타난다.
  2. 세력권을 형성한다.
  3. 수컷의 왼족 세 번째 팔은 생식완이다.
  4. 부유생활기에는 밝은 곳을 좋아한다.
(정답률: 79%)
  • 수컷의 왼족 세 번째 팔은 생식완이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참문어의 생식기는 모두 다리 안쪽에 위치하며, 수컷과 암컷의 생식기 구조가 다릅니다. 따라서 수컷의 팔 중 어느 것도 생식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소라의 종묘 생산에 적합하지 않는 먹이생물은?

  1. Navicula sp.
  2. Cocconeis sp.
  3. Amphora sp.
  4. Skeletonema sp.
(정답률: 60%)
  • 소라는 종묘 생산에 있어서 미세조류를 중요한 먹이로 이용합니다. 그러나 "Skeletonema sp."은 미세조류 중에서도 대량발생 시 독성물질을 생성할 수 있는 종류이기 때문에 소라의 종묘 생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피조개의 산란임계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6℃
  2. 20℃
  3. 23℃
  4. 26℃
(정답률: 67%)
  • 피조개의 산란임계온도는 23℃이다. 이는 피조개가 가장 적극적으로 산란하는 온도로, 이 온도 이상에서는 산란율이 높아지지 않는다. 따라서 23℃가 가장 적합한 온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전복 인공 종묘생산과 관련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품종은 까막전복이나 참전복이 유리하다.
  2. 참전복은 가온해수사육으로 5~6월에 조기 산란시킨다.
  3. 참전복의 채란에 적합한 적산수온은 3500℃ 이상이다.
  4. 산란유발은 간출과 자외선조사해수 자극을 병행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86%)
  • 정답은 "참전복의 채란에 적합한 적산수온은 3500℃ 이상이다." 이다. 이유는 적산수온이 3500℃ 이상이라면 전복의 산란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적산수온이 높을수록 생산성이 높아진다. 하지만 3500℃ 이상은 너무 높은 온도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20~25℃ 정도가 적합한 적산수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전복류 중 한류계에 속하는 전복은?

  1. 말전복
  2. 참전복
  3. 까막전복
  4. 시볼트전복
(정답률: 84%)
  • 한류계에 속하는 전복은 참전복입니다. 이는 우리나라 해역에서 가장 많이 서식하며, 맛과 품질이 우수하기 때문입니다. 말전복은 일본에서 주로 먹는 종류이고, 까막전복과 시볼트전복은 우리나라 해역에서는 별로 발견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양식생물의 유생 발달과정이 잘못된 것은?

  1. 진주조개 : 알 → 담륜자 → D상 유생 → 성숙 부유자패
  2. 대하 : 알 → 노우플리우스 → 미시스 → 조에어 → 포스트 라바
  3. 전복 : 알 → 담륜자 → 피면자 → 포복기 유생
  4. 해삼 : 알 → 오우리쿨라리아 → 돌리올라리아 → 저서유생
(정답률: 83%)
  • 대하의 발달 과정에서 미시스와 조에어의 순서가 바뀌었기 때문에 잘못된 것입니다. 정상적인 발달 과정은 알 → 노우플리우스 → 조에어 → 미시스 → 포스트 라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우리나라 서해안에 있어 대하 월동장의 남쪽 한계는 북위 몇 도(°) 인가?

  1. 30°
  2. 34°
  3. 38°
  4. 40°
(정답률: 66%)
  • 대하 월동장의 남쪽 한계는 34도 북위이다. 이는 대략적으로 한반도 중부 지역인 충청남도 서부 지역과 일대에 해당한다. 이는 대하 월동장이 발생하는 북극에서부터 따뜻한 남쪽으로 이동하는 대류의 영향으로 인해 결정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수하식 굴 양식장(수하연 길이 9m)에 있어서 안정성 있는 보상심도(compensation depth)는 수면으로부터 몇 m 이상이면 좋은가?

  1. 4
  2. 6
  3. 8
  4. 10
(정답률: 65%)
  • 안정성 있는 보상심도는 수면으로부터 10m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굴이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광합성 산물의 양과 굴 내부의 산소 농도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10m 이상의 보상심도는 굴 양식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과 오염물질이 바다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생태적으로 일시 부착성 동물에 속하는 것은?

  1. 참굴
  2. 피조개
  3. 진주담치
  4. 대합
(정답률: 76%)
  • 생태적으로 일시 부착성 동물은 바닷속 바닥에 일시적으로 부착하여 생활하는 동물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피조개는 바닷속 바닥에 일시적으로 부착하여 생활하는 동물로, 다른 보기인 참굴, 진주담치, 대합도 바닷속 바닥에 서식하지만, 피조개처럼 일시 부착성이 아닌 영구 부착성 동물에 속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피조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진조조개에 핵과 세포의 수술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생식세포가 충만한 모패를 선별하여 수술한다.
  2. 세포는 외투막 절편을 말하며 여기에 사용하는 모패를 세포패라고 한다.
  3. 삽핵 위치는 생식소와 장관, 소화맹낭 부근을 택한다.
  4. 핵은 세리핵, 이핵, 소핵, 중핵, 대핵 등으로 나눈다.
(정답률: 72%)
  • 정답은 "생식세포가 충만한 모패를 선별하여 수술한다." 이다. 이유는 진조조개의 성숙한 생식세포는 이미 모패에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수술 시 생식세포를 선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올바른 내용은 "생식세포가 이미 모패에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수술 시 세포패를 선별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큰우럭의 종묘생산과 양성에 관한 내용 중 맞는 것은?

  1. 부착력이 강하기 때문에 부착기로 채묘한다.
  2. 각장 5mm 이상이 되면 방류용 종묘로 쓸 수 있다.
  3. 저질은 연안 개흙질인 곳이 좋으며, 개흙질의 비율은 약 7% 이하인 곳이 알맞다.
  4. 방양 시 종묘의 방양밀도는 1m2 당 50~100개체가 가장 알맞다.
(정답률: 70%)
  • 큰우럭의 종묘생산과 양성에 관한 내용 중 맞는 것은 "저질은 연안 개흙질인 곳이 좋으며, 개흙질의 비율은 약 7% 이하인 곳이 알맞다." 이다. 이유는 큰우럭은 부착력이 강하기 때문에 부착기로 채묘하며, 각장 5mm 이상이 되면 방류용 종묘로 쓸 수 있다는 것과 방양 시 종묘의 방양밀도는 1m2 당 50~100개체가 가장 알맞다는 내용은 큰우럭의 종묘생산과 양성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자연채묘 시 수온 23~25℃ 범위에서 산란 후 부착 시까지 약 2주일이 소요되는 종은?

  1. 참가리비
  2. 전복
  3. 피조개
  4. 참굴
(정답률: 38%)
  • 참굴은 수온 23~25℃ 범위에서 산란 후 부착까지 약 2주일이 소요되는 종입니다. 다른 보기인 참가리비, 전복, 피조개는 이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문어 수확 시 밀도가 1m3당 50kg이었고, 60일간 양성하는 사이의 생존율은 70%, 일간 성장률은 0.04 이었다. 이 경우 가장 적절한 방양밀도(kg/m3)는?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69%)
  • 일단 60일 동안 생존율이 70%이므로, 생존한 문어의 수는 초기 문어 수의 0.7배가 된다. 일간 성장률이 0.04이므로, 하루가 지날 때마다 문어의 무게는 1.04배가 된다. 따라서 60일 후에는 초기 문어 수의 0.7배에 해당하는 문어들이 각각 1.04의 60승 배의 무게를 가지게 된다.

    문어의 밀도가 1m3당 50kg이므로, 초기 문어 수는 1m3당 50마리가 된다. 따라서 60일 후에는 1m3당 0.7×50×1.04의 60승 마리의 문어가 살아남아 있고, 각각의 문어는 50kg×1.04의 60승 배의 무게를 가지게 된다.

    이제 문제는 이들을 어떻게 공간에 담을 것인가이다. 가장 적절한 방양밀도를 찾기 위해서는, 문어의 무게와 공간의 부피를 고려해야 한다. 문어의 무게는 50kg×1.04의 60승 배로 계산되었으므로, 1마리당 약 1.04의 60승 kg의 무게를 가진다. 따라서 1m3의 공간에는 약 50마리×1.04의 60승 kg의 무게를 담을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가장 적절한 방양밀도를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 10kg/m3: 1m3의 공간에 약 0.52의 60승 kg의 무게를 담을 수 있다.
    - 20kg/m3: 1m3의 공간에 약 1.04의 60승 kg의 무게를 담을 수 있다.
    - 30kg/m3: 1m3의 공간에 약 1.56의 60승 kg의 무게를 담을 수 있다.
    - 40kg/m3: 1m3의 공간에 약 2.08의 60승 kg의 무게를 담을 수 있다.

    따라서, 문어를 가장 적절하게 담을 수 있는 방양밀도는 30kg/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저서성 해적생물의 피해를 가장 적게 받는 양식법은?

  1. 수하식
  2. 나뭇가지식
  3. 투석식
  4. 우산형식
(정답률: 84%)
  • 저서성 해적생물은 바닷속 바닥에 서식하는 생물로, 수하식은 바닷속 바닥에 직접 물고기 사료를 뿌려주는 방식으로, 다른 양식법들과 달리 물고기 사료가 바닷속 바닥에 쌓이지 않아 해적생물의 먹이가 되지 않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하식이 저서성 해적생물의 피해를 가장 적게 받는 양식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대합류의 수확시기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관련성이 가장 적은 것은?

  1. 계절
  2. 육질의 비만
  3. 각장과 각고의 비
  4. 크기
(정답률: 73%)
  • 각장과 각고의 비는 대합류의 수확시기를 결정하는 기준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대합류의 수확시기는 계절, 육질의 비만, 크기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각장과 각고의 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새우 축제식 양식장의 수질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파래와 같은 녹조류가 번식하는 것을 막는다.
  2. 양성지의 양성기간이 길어지면 저질이 산화상태가 되므로 저질의 산화방지가 중요하다.
  3. 황화수소 발생을 막기 위해 산화철제를 투입한다.
  4. 용존산소를 높이기 위해 수차나 스크루 등을 설치한다.
(정답률: 55%)
  • "파래와 같은 녹조류가 번식하는 것을 막는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양성지의 양성기간이 길어지면 저질이 산화상태가 되므로 저질의 산화방지가 중요합니다. 이는 새우 축제식 양식장에서 수질을 관리할 때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파래와 같은 녹조류는 수질 오염을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이므로, 이를 막기 위해 녹조류의 번식을 제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것이 유일한 수질관리 방법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해조류양식학

41. 미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우리나라의 전 연안에 분포한다.
  2. 이형 세대 교번을 한다.
  3. 생장점이 몸 끝부분에 있다.
  4. 저수온기에 잘 자란다.
(정답률: 69%)
  • 생장점이 몸 끝부분에 있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미역은 생장점이 몸 중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역이 성장하면서 새로운 가지가 붙어나는 방식으로 성장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참김의 성숙초기에 엽체의 가장자리가 황백색으로 되는 이유는?

  1. 웅성부가 먼저 성숙했기 때문
  2. 자성부가 먼저 성숙했기 때문
  3. 낭과 부분이 형성되었기 때문
  4. 중성포자가 방출되었기 때문
(정답률: 58%)
  • 참김의 웅성부가 먼저 성숙했기 때문에 엽체의 가장자리가 황백색으로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시마의 생장형식은?

  1. 확산생장
  2. 개재생장
  3. 정단생장
  4. 정모생장
(정답률: 57%)
  • 다시마는 개재생장 형식으로 생장합니다. 이는 다시마의 몸체가 일정한 간격으로 나뉘어져 각각이 독립적으로 성장하는 형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개재생장 형식은 다시마가 바위나 돌 등에 부착하여 성장하는 데 유리하며, 바위나 돌의 표면에 밀착하여 성장함으로써 파도나 바람 등의 자연적인 영향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무기질 사상체로써 봉투식 채묘를 할 때에는 며칠 전에 저온 처리를 시작하는가?

  1. 채묘 예정일 1주일 전
  2. 채묘 예정일 2주일 전
  3. 채묘 예정일 3주일 전
  4. 채묘 예정일 4주일 전
(정답률: 47%)
  • 봉투식 채묘를 할 때에는 뿌리가 잘 발달하도록 미리 저온 처리를 해주어야 합니다. 이는 뿌리가 물을 흡수하고 영양분을 흡수하기 쉽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채묘 예정일 1주일 전에 저온 처리를 시작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채묘 예정일이 더 이른 경우에는 뿌리가 충분히 발달하지 않아 채묘 후 생육이 불량해질 수 있고, 채묘 예정일이 더 늦은 경우에는 뿌리가 과도하게 발달하여 채묘 후 이식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김 양식장에서 소비가 가장 많은 비료분은?

  1. 규산염
  2. 질산염
  3. 인산염
  4. 칼슘염
(정답률: 69%)
  • 질산염은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질소를 공급해주는 비료이며, 김 양식장에서는 김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소비가 가장 많은 비료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시마 양식방법 중 경제성 및 기술상 무제로 우리나라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촉성종묘배양에 의한 1년 양식
  2. 억제종묘배양에 의한 1년 양식
  3. 고온 적응 품종에 의한 양식
  4. 2년 양식
(정답률: 77%)
  • 2년 양식은 경제성이 떨어지고 기술적으로도 어려워 우리나라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2년 동안 양식을 하기 때문에 생산량이 적고, 비용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술적으로도 어렵기 때문에 전문 기술자가 필요하고, 장비와 시설 등 많은 투자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경제성과 기술적 측면에서 우리나라에는 부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엽면 살포법으로 김양식장에 시비를 할 때 가장 효과적인 시기는?

  1. 발이 노출된 직후
  2. 노출 후 업체가 건조됐을 때
  3. 발이 물에 잠기기 직전
  4. 발이 수면에 부동할 때
(정답률: 68%)
  • 엽면 살포법은 김양식장에 있는 김을 죽이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김이 노출된 상태에서 살포제를 뿌려주는 것으로, 발이 노출된 직후에 살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는 김이 아직 건조되지 않아 살포제가 깊게 스며들기 쉽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발이 노출된 직후에 살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톳과 혼성군락을 형성하여 잡해조로 여겨지는 해조류는?

  1. 지충이
  2. 감태
  3. 다시마
  4. 미역
(정답률: 82%)
  • 지충이는 톳과 혼성군락을 형성하여 잡해조로 여겨지는 해조류이다. 다른 보기들은 톳이나 혼성군락을 형성하지 않거나, 잡해조로 여겨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미역 양식에 있어 씨줄붙이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씨줄은 어미줄에 감아서 붙이면 어미줄에 밀착되기 때문에 아포체의 성장에 도움이 된다.
  2. 씨줄을 어미줄에 감는 방법은 씨줄끼우기 방법보다 씨줄이 적게 소요된다.
  3. 씨줄감기 방법은 감기 작업 중에 아포체나 유엽의 손실이 많다.
  4. 씨줄을 잘라서 끼울 때에는 어미줄의 지름보다 2~3cm 길게 끊어서 끼운다.
(정답률: 66%)
  • 씨줄은 어미줄에 감아서 붙이면 어미줄에 밀착되어 아포체의 성장에 도움이 된다. 따라서 씨줄을 잘라서 끼울 때에는 어미줄의 지름보다 2~3cm 길게 끊어서 끼우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미역 종묘 가이식 시기를 결정하는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만의 경우 22~23℃ 이하, 외해의 경우 20℃ 이하에서 가이식을 시작한다.
  2. 생장은 가이식이 빠를수록, 또 그 때의 아포체가 클수록 빠르다.
  3. 싹녹음을 피하기 위하여 9월 하순까지는 가이식을 끝낸다.
  4. 조석상으로는 소조 직후가 가이식의 적기이다.
(정답률: 63%)
  • 싹녹음을 피하기 위하여 9월 하순까지는 가이식을 끝낸다는 것은 옳은 요소이므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냉장씨발의 입고 시 수온상으로 본 적절한 시기는?

  1. 4℃ 이하
  2. 18 ~ 13℃
  3. 22 ~ 15℃
  4. 8 ~ 5℃
(정답률: 50%)
  • 냉장씨발은 냉수어이며, 냉수어는 냉수에서 살아남기 때문에 냉수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너무 낮은 수온에서는 활동이 어렵기 때문에 4℃ 이하의 수온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또한 너무 높은 수온에서는 생존이 어렵기 때문에 22 ~ 15℃, 8 ~ 5℃의 수온도 적절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냉장씨발의 적절한 입고 시기는 18 ~ 13℃의 수온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냉동발을 입고 전에 건조시키는 주 목적은?

  1. 발아 억제
  2. 삼투압 증진
  3. 병원균 번식억제
  4. 세포의 결빙 방지
(정답률: 78%)
  • 냉동보존 시 세포 내부의 물이 결빙되어 세포막이 파괴될 수 있기 때문에, 냉동발을 입기 전에 건조시켜 세포의 결빙을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청각 종의 분류기준이 되기도 하며, 암배우자낭 또는 숫배우자낭을 형성하는 부분의 명칭은?

  1. 생식기낭
  2. 포낭
  3. 배우체
  4. 자낭반
(정답률: 48%)
  • 포낭은 청각 종의 분류기준 중 하나이며, 암배우자낭 또는 숫배우자낭을 형성하는 부분의 명칭이다. 이는 청각 종의 성별을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 중 하나이다. 따라서 포낭은 청각 종의 생식기낭이 아니라, 성별 구분을 위한 부분의 명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시마의 양식 시 어미줄 설치 장소로 적합하지 않은 곳은?

  1. 수심 6~10m 정도인 곳
  2. 저질이 사니질로 닻의 고정력이 충분한 곳
  3. 영양염류가 풍부한 곳
  4. 시설 장소는 조류가 다소 느린 곳
(정답률: 72%)
  • 다시마는 조류에 의해 흔들리면서 자라기 때문에, 어미줄이 설치되는 시설 장소는 조류가 다소 느린 곳이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시마가 자라기에 적합한 조건들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양식에 적합한 장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미역 가이식 시 싹녹음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적조 발생
  2. 큰 조석차(소조 기준)
  3. 외양수의 침입
  4. 식해동물 발생
(정답률: 69%)
  • 미역 가이식 시 싹녹음은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일어나는데, 이때 미생물이 미역의 성분을 분해하여 싹이 녹게 만듭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식해동물 발생"입니다. 식해동물은 미생물과는 달리 동물성 생물로서 미역을 먹고 살아가는데, 이들이 미역에 침입하여 미역을 먹어치우면서 싹이 녹아버리는 것입니다. 따라서 미역 가이식 시에는 식해동물의 발생을 막기 위해 적극적인 방역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조가비 사상체의 평면식 배양의 장점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대량배양이 가능하다.
  2. 과포자의 잠입이 균일하다.
  3. 병해관리가 쉽다.
  4. 수온변화가 적다.
(정답률: 46%)
  • 조가비 사상체의 평면식 배양은 물이 일정한 속도로 흐르면서 배양액이 균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병해충이 생기더라도 전체적으로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병해관리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해조류의 문별 주요 광합성색소와 주요 저장 탄수화물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남조식물문 – Chlorophyll a, 피코시아닌 = 크리소라미나린
  2. 녹조식물문 - Chlorophyll a와 b - 녹말
  3. 갈조식물문 - Chlorophyll a와 c - 파라밀른
  4. 홍조식물문 - Chlorophyll b와 c – 라미나린
(정답률: 89%)
  • 해조류는 녹조식물문에 속하며, 이들은 광합성에 필요한 엽록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녹조식물문의 주요 광합성색소는 Chlorophyll a와 b이며, 이들은 광합성에 필요한 빛을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녹조식물문은 주요 저장 탄수화물로 녹말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녹조식물문의 주요 광합성색소와 주요 저장 탄수화물은 Chlorophyll a와 b와 녹말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의 그림에 나타난 우뭇가사리의 가지 이름은?

  1. A : 낭과가지, B : 포복지
  2. A : 낭과가지, B : 사분포자가지
  3. A : 사분포자가지, B : 포복지
  4. A : 사분포자가지, B : 낭과가지
(정답률: 71%)
  • 우뭇가사리의 가지는 사분포자가지와 낭과가지로 나뉩니다. 그림에서 보면 A 가지는 사분포자가지의 특징인 가지가 끝까지 뻗어나가는 모습을 보이고, B 가지는 낭과가지의 특징인 가지가 끝에서 분기되어 나뉘는 모습을 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A : 사분포자가지, B : 낭과가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김 생엽체의 흡광곡선에서 파장 500~600nm에 피크를 보이는 주 색소는?

  1. 클로로필 a
  2. 피코시아닌
  3. 피코에리드린
  4. β-카로틴
(정답률: 44%)
  • 주어진 정보에 따르면, 김 생엽체의 흡광곡선에서 파장 500~600nm에 피크를 보이는 주 색소는 "피코에리드린"입니다. 이유는 피코에리드린이 파란색과 초록색 빛을 흡수하는 파장대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색소는 김 생엽체의 녹색 색상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김 각포자 방출 촉진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배양수의 비중을 1.040 ~ 1.050으로 조절한다.
  2. 배양수의 수온을 10 ~ 20℃로 저온 처리 한다.
  3. 채묘 1주일 전부터 광선을 받는 시간을 늘려 준다.
  4. 조가비를 해수에서 들어내어 100% 습도처리 한다.
(정답률: 61%)
  • 김 각포자는 저온 처리에 민감하므로, 배양수의 수온을 10 ~ 20℃로 저온 처리하여 방출을 촉진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양식장환경

61. 정수식 못양식에서 어류의 수용밀도를 정하는 주 기준은?

  1. 물의 교환율
  2. 수심
  3. 표면적
  4. 주수구의 크기
(정답률: 64%)
  • 정수식 못양식에서 어류의 수용밀도를 정하는 주 기준은 "표면적"이다. 이는 어류가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산소 공급과 먹이 공급 등이 이루어지는 물의 교환율과 관련이 있다. 더 넓은 표면적을 가진 양식장은 더 많은 물의 교환율을 가지므로 어류가 더욱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다. 따라서 어류의 수용농도를 결정하는 주요 기준 중 하나가 표면적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순환여과식 양식에서 3차 여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찌꺼기를 분리시키는 과정
  2. 무해한 질산염 등을 만드는 생물학적 여과
  3. 축적된 질산염 등을 다시 분해하는 생물학적 여과
  4. 유해 병원성 세균을 줄이는 과정
(정답률: 66%)
  • 순환여과식 양식에서 3차 여과는 "축적된 질산염 등을 다시 분해하는 생물학적 여과"입니다. 이는 양식에서 발생하는 질산염 등의 노효물질을 분해하여 무해한 질산염으로 만들어주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양식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양식환경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수로형 수조에서 물의 흐름을 고르게 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

  1. 소류판
  2. 정류판
  3. 배수판
  4. 분리판
(정답률: 82%)
  • 정류판은 수조 내 물의 흐름을 고르게 하기 위해 설치하는 장치로, 물의 흐름을 조절하여 물이 일정하게 흐르도록 합니다. 이에 반해 소류판은 물을 흡입하여 수조 내부를 청소하거나 필터링하는 역할을 하며, 배수판은 수조 내 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분리판은 수조 내부를 구분하여 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용액 1L에 AgNO3 18.0g이 녹아 있을 경우 이 용액의 N 농도는? (단, AgNO3의 분자량= 170)

  1. 0.212N
  2. 0.106N
  3. 0.056N
  4. 0.162N
(정답률: 71%)
  • N 농도는 몰농도와 동일하다. 따라서, 먼저 AgNO3의 몰을 구해야 한다.

    AgNO3의 몰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몰 = 질량 ÷ 분자량
    = 18.0g ÷ 170g/mol
    = 0.106mol

    따라서, 1L 용액에 0.106mol의 AgNO3이 녹아 있다. 이를 N 농도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N = 몰 ÷ 부피 (L)
    = 0.106mol ÷ 1L
    = 0.106N

    따라서, 정답은 "0.106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공기 양수기(air lift)의 능률에 관여하는 가장 주된 요인은?

  1. 침수율
  2. 기포주입구경
  3. 기포세기
  4. 토출구경
(정답률: 60%)
  • 공기 양수기의 능률은 침수율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침수율이란 공기 양수기에서 펌핑되는 공기와 함께 물이 얼마나 함께 흡입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침수율이 높을수록 물이 많이 흡입되어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공기 양수기의 능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침수율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른 요인들인 기포주입구경, 기포세기, 토출구경도 능률에 영향을 미치지만, 침수율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적조발생의 기초요인(직접적인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영양염
  2. 일조량
  3. 수온
  4. 용존산소
(정답률: 68%)
  • 용존산소는 적조발생의 직접적인 요인이 아니라 간접적인 요인입니다. 적조는 물 속에서 조류가 과도하게 번식하여 발생하는데, 이때 조류가 증가하면서 산소를 소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물 속의 산소 농도가 감소합니다. 따라서 적조 발생의 직접적인 요인은 영양염, 일조량, 수온이며, 이들 요인이 적조 발생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독소를 가지고 어패류에 해를 주는 적조생물은?

  1. Chattonella
  2. Skeletonema
  3. Navicula
  4. Chaetoceros
(정답률: 65%)
  • Chattonella는 독소를 생성하는 적조생물로, 어패류에 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Skeletonema, Navicula, Chaetoceros는 모두 독소를 생성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Chattonella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자외선 살균소독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은?

  1. 종묘생산 시설의 용수
  2. 잉어 양성장
  3. 폐수처리를 위한 전처리
  4. 뜬발 양식장
(정답률: 58%)
  • 종묘생산 시설의 용수는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물이기 때문에 깨끗하고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자외선 살균소독은 물 속에 있는 세균, 바이러스 등의 유해 물질을 제거하여 용수를 깨끗하게 만들어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종묘생산 시설의 용수에서 가장 많이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여과 과정 중 암모니아를 아질산염으로 바꾸는 주 역할을 하는 세균은?

  1. Aeromonas
  2. Pseudomonas
  3. Nitrobacter
  4. Nitrosomonas
(정답률: 73%)
  • 암모니아를 아질산염으로 바꾸는 과정은 질소 순환 과정 중 하나인데, 이 과정에서 암모니아를 아질산염으로 바꾸는 주 역할을 하는 세균은 Nitrosomonas 균입니다. 이 균은 질소순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암모니아를 아질산염으로 바꾸는 과정을 촉진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어류의 암모니아 독성이 가장 강해지는 조건은?

  1. 높은 용존산소
  2. 높은 pH
  3. 낮은 염분
  4. 경도가 높은 물
(정답률: 74%)
  • 어류의 암모니아 독성은 높은 pH 조건에서 가장 강해집니다. 이는 높은 pH 조건에서 암모니아 분자가 암모늄 이온으로 이온화되기 때문입니다. 암모늄 이온은 물에 더 잘 녹아들어가고, 독성이 낮기 때문에 암모니아 분자보다는 덜 위험합니다. 따라서, 높은 pH 조건에서는 암모니아 분자가 암모늄 이온으로 이온화되어 독성이 낮아지지 않으므로, 어류에게 더욱 위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순환여과 시스템에서 활성탄의 주 기능은?

  1. 용존유기물의 흡착
  2. 박테리아의 멸균
  3. pH 조절
  4. 암모니아의 산화
(정답률: 83%)
  • 순환여과 시스템에서 활성탄은 용존유기물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물의 투명도를 개선하고 냄새와 맛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용존유기물의 흡착"이 활성탄의 주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일반적인 고밀도 뱀장어 사육의 수질관리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매일 못물의 10~30%를 갈아주고 수차를 이용하여 산소를 보충한다.
  2. 수차를 이용하여 산소만 보충한다.
  3. 매일 2시간마다 약 50%의 물을 갈아준다.
  4. 매일 2번에 걸쳐 100%의 물을 갈아준다.
(정답률: 75%)
  • 고밀도 뱀장어 사육에서는 물의 오염이 매우 빠르게 일어나므로 매일 일정량의 물을 갈아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뱀장어는 산소를 많이 필요로 하므로 수차를 이용하여 산소를 보충해주는 것이 적합하다. 따라서 "매일 못물의 10~30%를 갈아주고 수차를 이용하여 산소를 보충한다."가 가장 적합한 수질관리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적조생물로서 보편적이기는 하나 그로 인한 피해가 가장 적은 것은?

  1. 규조류
  2. 녹색편모조류
  3. 황색편모조류
  4. 와편모조류
(정답률: 68%)
  • 규조류는 적조생물로서 보편적이지만, 그로 인한 피해가 가장 적은 이유는 규조류가 대부분 해양에서 발견되기 때문입니다. 해양에서는 규조류가 다른 식물들과 경쟁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인간이 직접적으로 이용하지 않는 한 규조류가 인간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는 드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수질 분석을 위한 시료 채취 시 옳지 않은 것은?

  1. 시료 채취 용기는 시료를 채우기 전 시료로 3회 이상 세척 후 사용한다.
  2. 시료 채취 용기에 시료를 채울 때 시료의 교란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
  3. 가능한 한 공기와 접촉시간을 길게 한다.
  4. 부유물질 함유 시료는 균일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채취해야 한다.
(정답률: 86%)
  • "가능한 한 공기와 접촉시간을 길게 한다."는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시료 내의 산소와의 반응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시료 채취 시 가능한 한 공기와 접촉시간을 최소화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BOD는 1, 2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1단계는 주로 어떤 화합물의 산화가 완료될 때까지의 산소량인가?

  1. 인화합물
  2. 탄소화합물
  3. 질소화합물
  4. 염소화합물
(정답률: 47%)
  • BOD 1단계는 주로 유기물 중에서 산화가 가능한 물질인데, 이때 산화되는 주요 화합물은 탄소화합물이기 때문에 정답은 "탄소화합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양식장 저질을 채취하는데 사용되는 채니방법이 아닌 것은?

  1. 드레지(dredge)식
  2. 뮬러(muller)식
  3. 그랩(grab)식
  4. 코어(core)식
(정답률: 85%)
  • 뮬러(muller)식은 양식장 저질을 채취하는 방법이 아니라, 저질을 섞어서 토양을 만드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뮬러(muller)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흐리고 바람이 불지 않은 고요한 날이 계속되면 양어지 속의 용존 산소가 부족해져서 어류가 폐사하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그 원인이 아닌 것은?

  1. 식물의 호흡작용 때문
  2. 공기 접촉 표면에 산소 농도가 높은 얇은 표층이 생성되기 때문
  3. 상하의 물이 잘 섞이지 않기 때문
  4. 수온이 내려가기 때문
(정답률: 69%)
  • 수온이 내려가면 물의 밀도가 증가하여 상하의 물이 잘 섞이게 되고, 이로 인해 공기 접촉 표면에 산소 농도가 높은 얇은 표층이 생성되어 어류가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얻을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수온이 내려가는 것은 어류가 폐사하는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환경여건으로 보아 황화수소가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적은 곳은?

  1. 저수지
  2. 정수식양어지
  3. 해안의 기수호
  4. 해조류 양식장
(정답률: 65%)
  • 해조류 양식장은 물 속에서 해조류를 양식하는 곳으로, 황화수소가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적은 곳이다. 이는 해조류가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방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조류 양식장은 산소가 충분하여 황화수소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사육조 내 용존 유기물을 제거하는 방법은?

  1. 침전분리방식
  2. 기계적 필터분리방식
  3. 거품분리방식
  4. 생물여과처리방식
(정답률: 65%)
  • 거품분리방식은 공기를 주입하여 물 속에 있는 유기물을 거품으로 만들어 분리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침전분리방식이나 기계적 필터분리방식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생물여과처리방식과 달리 화학적 처리가 필요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수중 염소(Cl)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은 적정법
  2. 전기 전도도법
  3. 비중 측정법
  4. 알칼리법
(정답률: 54%)
  • 알칼리법은 수중 염소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수질의 pH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알칼리법은 수중 염소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수산질병학

81. 잉어 POX병은 상피종으로서 겨울철에 유행되는데 그 병원체는 어떤 바이러스인가?

  1. Parvovirus
  2. adenovirus
  3. herpesvirus
  4. poxvirus
(정답률: 65%)
  • 잉어 POX병의 병원체는 herpesvirus이다. 이는 POX병의 증상과 병원체의 특징이 herpesvirus와 유사하기 때문이다. 또한, POX병은 잉어뿐만 아니라 다른 물고기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herpesvirus가 다양한 물고기 종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도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김갯병 대책으로 냉동망(냉장발)양식 과정 중 사세포율을 조사하는데 쓰이는 시약명은?

  1. 메틸렌블루
  2. 에오진
  3. 엘리스로신 B
  4. 페레니액
(정답률: 52%)
  • 엘리스로신 B는 세포의 생존율을 조사하는데 사용되는 시약 중 하나입니다. 이 시약은 세포막의 불완전성을 이용하여 세포 내부의 단백질을 염색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냉동망(냉장발)양식 과정 중 세포의 생존율을 조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새우류의 바이러스질병 중 원인바이러스가 RNA virus에 속하는 것은?

  1. 전염성피하조혈기괴사증바이러스(IHHNV)
  2. 흰반점바이러스(WSSV)
  3. 간췌장파보바이러스(HPV)
  4. 노랑머리바이러스(YHV)
(정답률: 37%)
  • RNA virus는 RNA를 유전물질로 가지는 바이러스를 말합니다. 따라서, 원인바이러스가 RNA virus에 속하는 바이러스질병은 "노랑머리바이러스(YHV)"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잉어의 아르굴루스(Argulus) 속에 속하는 기생성 갑각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rgulus sp.가 어체에 기생하는 시기는 Copepodid 제2기 때부터이다.
  2. Argulus의 자침에 찔린 작은 어류는 독성이 강하여 죽는다.
  3. Argulus의 활동기는 저수온이며 12~4월에 활발히 부화한다.
  4. Argulus의 기생은 어체에 심한 Stress를 주며, 어체를 벽에 문지르는 증세를 보인다.
(정답률: 60%)
  • "Argulus의 활동기는 저수온이며 12~4월에 활발히 부화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는 올바른 설명이다.

    "Argulus sp.가 어체에 기생하는 시기는 Copepodid 제2기 때부터이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Argulus의 자침에 찔린 작은 어류는 독성이 강하여 죽는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Argulus의 기생은 어체에 심한 Stress를 주며, 어체를 벽에 문지르는 증세를 보인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따라서, 틀린 것은 없다.

    Argulus의 활동기가 저수온인 이유는 이 기생성 갑각류가 물 온도가 낮은 계절에 더 잘 적응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기생성 갑각류의 부화는 봄철에 활발하게 일어나는데, 이는 적어도 일부 어류의 번식이 봄철에 집중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방어, 전갱이 등 해산어류의 아가미 및 표피에 결절을 형성하는 질병의 원인 병원체는?

  1. Flexibactor병
  2. 궤양병
  3. 노카르디아병
  4. 슈도모나스병
(정답률: 72%)
  • 노카르디아병은 해산어류의 아가미 및 표피에 결절을 형성하는 질병의 원인 병원체입니다. 이 병원체는 노카르디아(Nocardia)라는 세균 속에 속하며, 해양 환경에서 자연적으로 존재합니다. 이 병원체가 해산어류의 아가미 및 표피에 침입하면서 결절을 형성하게 되어, 호흡기 기능 저하나 식욕 감퇴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잉어봄바이러스병(SVC)의 증상은?

  1. 피부의 점상출혈
  2. 발광, 선회
  3. 아가미 부식
  4. 카타르성 위장염
(정답률: 59%)
  • 잉어봄바이러스병(SVC)은 피부에 점상출혈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적인 증상 중 하나입니다. 이는 바이러스가 혈관 내피세포를 파괴하여 혈액이 누출되어 생기는 것으로, 피부가 빨갛게 변하고 작은 점 모양의 출혈이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연쇄구균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병원균이 주로 피부를 통하여 감염된다.
  2. 병원균은 그람양성의 연쇄구균이다.
  3. 담수어류 및 해산어류에 발병된다.
  4. 병어는 체색이 검어지고 지느러미 기부에 농창이 형성된다.
(정답률: 54%)
  • "병원균이 주로 피부를 통하여 감염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연쇄구균증은 주로 호흡기나 인후 등의 상부 호흡기 감염으로 전파되며, 피부 감염도 가능하지만 주요 전파 경로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뱀장어의 적점병의 증세와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지느러미 출혈
  2. 장관의 뚜렷한 카타르성염
  3. 복막에 점상출혈
  4. 내장의 모세혈관 확장
(정답률: 62%)
  • 뱀장어의 적점병은 주로 지느러미 출혈, 복막에 점상출혈, 내장의 모세혈관 확장 등의 증세를 보이지만, 장관의 뚜렷한 카타르성염과는 관계가 먼 것입니다. 적점병은 대부분 내장기관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지만, 장관의 염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송어의 체색이 검어지고 물고기가 힘없이 배수구에 모여 있으며, 아가미는 빈혈증을 나타내는 경우, 그 원인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은?

  1. 변질된 사료를 장기간 투여하였을 때
  2. 배합사료와 생사료를 혼합하여 투여하였을 때
  3. 생사료만 투여하였을 때
  4. 배합사료만 투여하였을 때
(정답률: 90%)
  • 변질된 사료를 장기간 투여하면, 사료 내의 영양소가 파괴되어 송어가 영양분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게 되어 체색이 검어지고 물고기가 힘없이 배수구에 모이며, 아가미는 빈혈증을 나타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굴의 부세팔루스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굴 생식소에 기생하여 생식소를 압박한다.
  2. 원인은 연충류에 속하는 부세팔루스속 기생충이다.
  3. 기생충의 기생률은 새로운 굴 양식장일수록 높다.
  4. 감염된 굴은 황색을 띤 굴이 많이 발견된다.
(정답률: 78%)
  • "기생충의 기생률은 새로운 굴 양식장일수록 높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기생충은 새로운 굴 양식장에서 더 높은 기생률을 보이는 이유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새로운 굴에서는 기생충이 적응하지 못하고 더 빠르게 번식하며, 이로 인해 감염된 굴의 수도 더욱 빠르게 증가한다. 따라서 새로운 굴 양식장에서는 기생충 예방 및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Flavobacterium psychrophilum 균은 주로 어류의 치어기에 감염하여 많은 피해를 낸다. 다음 중 주요 감염대상 어종은?

  1. 넙치
  2. 잉어
  3. 방어
  4. 연어
(정답률: 42%)
  • Flavobacterium psychrophilum 균은 연어의 치어기에 가장 많이 감염되어 있기 때문에, 연어가 주요 감염대상 어종으로 선택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암모니아 중독증
  2. 아질산 중독증
  3. 가스병
  4. 산소 결핍증
(정답률: 88%)
  • 이미지에서 보이는 사람이 가스병에 걸린 것으로 보이는데, 가스병은 고산소 환경에서 일어나는 질환으로서, 고도가 높은 산악지대나 장시간의 비행 등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고도가 높아질수록 발생 확률이 높아지며, 산소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으로는 두통, 어지러움, 구토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미지에서 보이는 사람이 가스병에 걸린 것으로 추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어류에 기생하는 섬모충이 아닌 것은?

  1. Cryptocaryon irritans
  2. Ichthyophthirius multifiliis
  3. Ichthyobodo necator
  4. Chilodonella piscicola
(정답률: 48%)
  • "Ichthyobodo necator"는 어류의 표면에 기생하는 섬모충 중 하나이지만, 다른 보기들은 모두 어류에 기생하는 섬모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양식 뱀장어에서 피하에 적점 모양의 출혈이 생기고 손으로 만져 보니 피가 묻어 나왔다. 어떤 균에 감염되었는가?

  1. Edwardsiella tarda
  2. Aeromons hydrophila
  3. Pseudomonas anguilliseptica
  4. Vibrio anguillarum
(정답률: 58%)
  • 양식 뱀장어에서 발생한 출혈은 뱀장어 병증으로 알려진 질병의 증상 중 하나이다. 이 질병은 주로 Pseudomonas anguilliseptica 균에 의해 유발된다. 따라서 이 경우 출혈은 Pseudomonas anguilliseptica 감염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솔방울병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담수 및 해수어류에 발병되는 병이다.
  2. 그램 양성구균이 병원균이다.
  3. 수온이(5~18℃) 낮은 시기에 많이 유행된다.
  4. 양식장의 수질과는 관계없이 발병한다.
(정답률: 50%)
  • 솔방울병은 담수 및 해수어류에 발병되는 병으로, 그램 양성구균이 병원균입니다. 수온이 낮은 시기에 많이 유행되는 이유는 이 병원균이 저온에서 더 잘 번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온이 낮은 계절에는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양식장의 수질과는 관계없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어류의 심장, 비장 및 아가미 등에서 다수의 세균지랍으로 이루어진 작은 백색점이 관찰되고, 수온 20~25℃인 여름철 강우량이 많아서 염분농도가 낮을 때 주로 유행되는 질병은?

  1. 돔류의 콜럼나리스병
  2. 방어의 연쇄구균증
  3. 방어의 슈도모나스병
  4. 방어의 유결절증
(정답률: 53%)
  • 어류의 심장, 비장 및 아가미 등에서 다수의 세균지랍으로 이루어진 작은 백색점이 관찰되고, 수온 20~25℃인 여름철 강우량이 많아서 염분농도가 낮을 때 주로 유행되는 질병은 "방어의 유결절증"이다. 이 질병은 주로 방어에서 발생하며, 세균이 유결절에 침입하여 염증을 일으키고, 결절이 형성되는 질병이다. 이로 인해 호흡기 기능이 저하되고, 식욕부진, 체중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재래식 김발을 사용한 양성방법에서 많이 발생하는 병으로 김발의 아래쪽에 길게 잘 자란 김의 엽체에 심하게 발병되며, 병변부의 김 세포내에 기생충이 관찰되지 않고 죽은 세로포 된 반점이 만들어지고, 노출부족, 광선부족 등에 의한 생리적 장애로 생기는 질병은?

  1. 흰갯병
  2. 싹갯병
  3. 붉은갯병
  4. 동상
(정답률: 70%)
  • 재래식 김발을 사용한 양성방법에서 생기는 질병 중에서 김발의 아래쪽에 길게 잘 자란 김의 엽체에 심하게 발병되며, 병변부의 김 세포내에 기생충이 관찰되지 않고 죽은 세로포 된 반점이 만들어지고, 노출부족, 광선부족 등에 의한 생리적 장애로 생기는 질병은 "흰갯병"입니다. 이는 김발의 아래쪽에 생기는 흰색의 갯바위 모양의 병변으로 인해 붙여진 이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병이 진행되면 환부는 약해져서 병원균, 혈액, 조직 붕괴물 등이 혼합된 암적색의 농즙이 고이고, 주변부의 표피로 진행되어 파괴된 후 피고름이 나온다. 무슨 병의 증상인가?

  1. 솔방울병
  2. 부식병
  3. 부스럼병
  4. 궤양병
(정답률: 35%)
  • 정답은 "부스럼병"입니다. 부스럼병은 박테리아에 의해 일어나는 피부감염병으로, 병이 진행되면 환부가 약해져서 농즙이 고이고, 주변부의 표피로 진행되어 파괴된 후 피고름이 나오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어류의 주요 바이러스병 중 원인 바이러스가 DNA 바이러스에 해당하는 것은?

  1. 바이러스출혈성패혈증바이러스(VHSV)
  2. 전염성췌장괴사증바이러스(IPNV)
  3. 바이러스성신경괴사증바이러스(VNNV)
  4. 채널메기바이러스병바이러스(CCVDV)
(정답률: 68%)
  • 채널메기바이러스병바이러스(CCVDV)는 DNA 바이러스로, 어류의 주요 바이러스병 중에서는 유일하게 DNA 바이러스에 해당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RNA 바이러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어류에 물곰팡이가 기생하여 발병하는 조건은?

  1. 수온 변화가 있으면 연중 계속해서 발병한다.
  2. 상피세포에 상처가 생긴 부위에만 발병한다.
  3. 위장 장애가 있어서 염증이 생길 때 발병한다.
  4. 수온이 높아지면 언제나 발병할 수 있다.
(정답률: 68%)
  • 어류에 물곰팡이가 기생하여 발병하는 조건은 상피세포에 상처가 생긴 부위에만 발병한다. 이는 물곰팡이가 상처를 통해 어류의 몸속으로 침입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처가 없는 부위에는 발병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