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시설관리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4-29)

소방시설관리사
(2017-04-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방안전관리론

1. 프로판(C3H8) 2몰과 산소(O2) 10몰이 반응할 경우 이산화탄소(CO2)는 몇 몰이 생성되는가?

  1. 2
  2. 4
  3. 6
  4. 8
(정답률: 70%)
  • 프로판과 산소가 반응하면 다음과 같은 화학식이 나타납니다.

    C3H8 + 5O2 → 3CO2 + 4H2O

    따라서 2몰의 프로판과 10몰의 산소가 반응하면 3몰의 CO2가 생성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폭발성분위기 내에 표준용기의 접합면 틈새를 통하여 폭발화염이 내부에서 외부로 전파되지 않는 최대안전틈새(화염일주한계)가 가장 넓은 물질은?

  1. 부탄
  2. 에틸렌
  3. 수소
  4. 아세틸렌
(정답률: 57%)
  • 부탄은 탄화수소 중에서도 분자 구조가 가장 단순하고, 탄소 원자와 수소 원자의 결합이 가장 강하게 이루어져 있어서 안정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폭발성분위기 내에서도 폭발화염이 내부에서 외부로 전파되지 않는 최대안전틈새가 가장 넓은 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열에너지원 중 기계적 열에너지가 아닌 것은?

  1. 마찰열
  2. 압축열
  3. 마찰스파크
  4. 유도열
(정답률: 69%)
  • 유도열은 전자기장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열에너지이며, 기계적인 움직임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기계적 열에너지인 마찰열, 압축열, 마찰스파크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폭굉 유도거리가 짧아질 수 있는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점화에너지가 클수록 짧아진다.
  2. 정상 연소속도가 큰 가스일수록 짧아진다.
  3. 관경이 작을수록 짧아진다.
  4. 압력이 낮을수록 짧아진다.
(정답률: 57%)
  • 압력이 낮을수록 폭굉 유도거리가 길어지는 것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압력이 낮을수록 가스의 밀도가 낮아져서 연소가 덜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소가 일어나는 양이 적어지므로 폭굉 유도거리가 짧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메탄 30vol%, 에탄 30vol%, 부탄 40vol%인 혼합기체의 공기 중 폭발하한계는 약 몇 vol%인가? (단, 공기 중 각 가스의 폭발하한계는 메탄 5.0vol%, 에탄 3.0vol%, 부탄 1.8vol%이다.)

  1. 2.62
  2. 3.28
  3. 4.24
  4. 5.27
(정답률: 56%)
  • 혼합기체의 폭발하한계는 각 가스의 폭발하한계와 비례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가스별 폭발하한계와 혼합기체의 구성비를 이용하여 폭발하한계를 계산할 수 있다.

    먼저, 각 가스의 폭발하한계와 혼합기체의 구성비를 이용하여 가스별 폭발범위를 계산한다.

    - 메탄: 5.0 x 0.3 = 1.5 ~ 15.0 vol%
    - 에탄: 3.0 x 0.3 = 0.9 ~ 9.0 vol%
    - 부탄: 1.8 x 0.4 = 0.72 ~ 7.2 vol%

    다음으로, 가스별 폭발범위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선택하여 혼합기체의 폭발범위를 결정한다.

    - 폭발범위: 0.72 ~ 7.2 vol%

    따라서, 혼합기체의 폭발하한계는 0.72 vol%이다. 하지만, 이 값은 가스의 구성비가 모두 1:1:1인 경우를 가정한 값이므로, 혼합기체의 구성비를 고려하여 보정해야 한다.

    - 메탄: 30 / 60 = 0.5
    - 에탄: 30 / 60 = 0.5
    - 부탄: 40 / 60 = 0.67

    각 가스의 부피비를 이용하여 가중평균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1.5 x 0.5) + (0.9 x 0.5) + (0.72 x 0.67) = 1.245

    따라서, 혼합기체의 폭발하한계는 약 2.62 vo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유류 저장탱크 내부의 물이 점성을 가진 뜨거운 기름의 표면 아래에서 끓을 때 화재를 수반하지 않고 기름이 넘치는 현상은?

  1. 슬롭오버(Slop over)
  2. 플레임오버(Flame over)
  3. 보일오버(Boil over)
  4. 프로스오버(Froth over)
(정답률: 59%)
  • 유류 저장탱크 내부의 물이 점성을 가진 뜨거운 기름의 표면 아래에서 끓을 때, 물과 기름이 혼합되어 거품이 생기고 이 거품이 넘쳐서 발생하는 현상을 프로스오버(Froth over)라고 합니다. 이는 화재를 수반하지 않고 기름이 넘치는 현상으로, 유류 저장탱크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상황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최소발화(점화)에너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온도가 높을수록 최소발화에너지가 낮아진다.
  2. 압력이 낮을수록 최소발화에너지가 낮아진다.
  3. 산소의 분압이 높아지면 연소범위 내에서 최소발화에너지가 낮아진다.
  4. 연소범위에 따라서 최소발화에너지는 변하며 화학양론비 부근에서 가장 낮다.
(정답률: 58%)
  • "산소의 분압이 높아지면 연소범위 내에서 최소발화에너지가 낮아진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압력이 낮을수록 최소발화에너지가 낮아지는 이유는 기체 분자들이 서로 충돌할 확률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분자들이 충돌하여 화학반응이 일어날 확률이 낮아지고, 최소발화에너지가 낮아집니다.

    온도가 높을수록 최소발화에너지가 낮아지는 이유는 분자들의 운동에너지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분자들이 충돌하여 화학반응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지고, 최소발화에너지가 낮아집니다.

    산소의 분압이 높아지면 연소범위 내에서 산소 분자들이 더 많이 충돌하여 화학반응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최소발화에너지가 낮아집니다.

    연소범위에 따라서 최소발화에너지는 변하며 화학양론비 부근에서 가장 낮습니다. 이는 연소에 필요한 산소와 연료의 비율이 적절하게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1기압 상온에서 인화점이 낮은 것에서 높은 것으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아세톤<이황화탄소<메틸알코올<벤젠
  2. 이황화탄소<아세톤<벤젠<메틸알코올
  3. 벤젠<이황화탄소<아세톤<메틸알코올
  4. 아세톤<벤젠<메틸알코올<이황화탄소
(정답률: 58%)
  • 인화점이란 물질이 일정한 온도에서 불꽃, 열, 스파크 등에 의해 자연 발화되는 온도를 말합니다. 기압이 상온(약 1 atm, 25℃)일 때, 이황화탄소의 인화점은 -40℃, 아세톤은 -18℃, 벤젠은 12.5℃, 메틸알코올은 11℃입니다. 따라서 인화점이 낮은 것에서 높은 것으로 옳게 나열한 것은 "이황화탄소<아세톤<벤젠<메틸알코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연소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염온도가 높을수록 연소속도는 증가한다.
  2. 미연소 가연성 기체의 비열이 클수록 연소속도는 증가한다.
  3. 미연소 가연성 기체의 열전도율이 클수록 연소속도는 증가한다.
  4. 미연소 가연성 기체의 밀도가 작을수록 연소속도는 증가한다.
(정답률: 42%)
  • "미연소 가연성 기체의 밀도가 작을수록 연소속도는 증가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미연소 가연성 기체의 비열이 클수록 연소속도는 증가하는 이유는, 비열이란 단위 질량당 열량을 의미하는데, 이 값이 클수록 연소 시 방출되는 열이 많아져서 화학 반응이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열이 큰 가연성 기체일수록 연소속도가 빨라집니다.

    또한, 화염온도가 높을수록 연소속도가 증가하는 이유는, 화염온도가 높을수록 분자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가 적어지기 때문에 화학 반응이 더욱 쉽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미연소 가연성 기체의 열전도율이 클수록 연소속도가 증가하는 이유는, 열전도율이 높을수록 가연성 기체의 열이 빠르게 전달되어 연소가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미연소 가연성 기체의 밀도가 작을수록 연소속도가 증가한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밀도가 작다는 것은 분자 간 거리가 멀어져서 화학 반응이 일어나기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밀도가 작은 가연성 기체일수록 연소속도는 더욱 느려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목재 300kg과 고무 500kg이 쌓여 있는 공간(가로 4m, 세로 8m, 높이 6m)의 내부 화재하중(kg/m2)은 약 얼마인가? (단, 목재의 단위발열량은 18,855kJ/kg, 고무의 단위발열량은 42,430kJ/kg이다.)

  1. 44.54
  2. 46.62
  3. 48.22
  4. 50.62
(정답률: 49%)
  • 내부 화재하중은 쌓여 있는 물질의 총 중량과 단위면적당 발열량의 곱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목재와 고무의 총 중량을 합한 후, 각각의 단위발열량과 곱한 값을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로 나눈 후, 높이로 나누어 단위면적당 화재하중을 구할 수 있다.

    총 중량 = 목재 300kg + 고무 500kg = 800kg
    목재의 발열량 = 18,855kJ/kg
    고무의 발열량 = 42,430kJ/kg

    가로 길이 = 4m
    세로 길이 = 8m
    높이 = 6m

    단위면적당 화재하중 = (총 중량 x 발열량) / (가로 길이 x 세로 길이) x 높이
    = (800 x 18855 + 500 x 42430) / (4 x 8) x 6
    = 44.54

    따라서, 정답은 "44.5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건축물 피난계획 수립 시 fool proof를 적용한 사례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화ㆍ경보설비의 위치, 유도표지에 판별이 쉬운 색채를 사용한다.
  2. 피난방향으로 열리는 출입문을 설치한다.
  3. 도어노브는 회전식이 아닌 레버식을 사용한다.
  4. 정전 시를 대비한 비상조명등을 설치하며, 피난경로는 2방향 이상 피난로를 확보한다.
(정답률: 67%)
  • 정답은 "정전 시를 대비한 비상조명등을 설치하며, 피난경로는 2방향 이상 피난로를 확보한다."입니다.

    이유는 fool proof는 인간의 실수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인간의 실수를 예방하기 위한 체계를 구축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정전 시를 대비한 비상조명등을 설치하거나, 피난경로를 2방향 이상으로 확보하는 것은 인간의 실수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비상 상황에 대비한 대처 방안입니다. 따라서 이는 fool proof가 아닙니다.

    반면에, 소화ㆍ경보설비의 위치, 유도표지에 판별이 쉬운 색채를 사용하거나, 피난방향으로 열리는 출입문을 설치하거나, 도어노브는 회전식이 아닌 레버식을 사용하는 것은 인간의 실수를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fool proof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구획실 내 화염(가로 2m, 세로 2m)에서 발생되는 연기 발생량(kg/s)을 힌클리(Hinkley) 공식을 이용해 계산하면 약 얼마인가? (단, 청결층(clear layer)의 높이 1.8m, 공기의 밀도 1.22kg/m3, 외기의 온도 290K, 화염의 온도 1,100K, 중력가 속도 9.81m/s2이다.)

  1. 3.15
  2. 3.32
  3. 3.63
  4. 3.87
(정답률: 34%)
  • 힌클리 공식은 다음과 같다.

    Q = 0.00023 * H^2.5 * (T_f - T_a)^1.5 * (g/ρ)^0.5

    여기서 Q는 연기 발생량(kg/s), H는 청결층 높이(m), T_f는 화염 온도(K), T_a는 외기 온도(K), g는 중력가속도(m/s^2), ρ는 공기 밀도(kg/m^3)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Q = 0.00023 * 1.8^2.5 * (1100 - 290)^1.5 * (9.81/1.22)^0.5
    = 3.63

    따라서, 연기 발생량은 약 3.63kg/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건축물의 화재안전에 대한 공간적 대응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건축물 내장재의 난연ㆍ불연화성능
  2. 건축물의 내화성능
  3. 건축물의 방화구획성능
  4. 건축물의 제연설비성능
(정답률: 52%)
  • 건축물의 제연설비성능은 화재 발생 시 연기를 배출하는 시스템으로, 공간적 대응방법이 아니라 기계적인 시설물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건축물의 화재안전에 대한 공간적 대응방법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상 건축물의 내화구조로 옳지 않은 것은? (단, 특별건축구역 등 기타 사항은 고려하지 않는다.)

  1. 외벽중 비내력벽의 경우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서 두께가 5센티미터 이상인 것
  2. 보의 경우 철골을 두께 5센티미터 이상의 콘크리트로 덮은 것
  3. 벽의 경우 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ㆍ벽돌조 또는 석조로서 철재에 덮은 콘크리트블록등의 두께가 5센티미터 이상인 것
  4. 기둥의 경우 그 작은 지름이 25센티미터 이상인 것으로서 철골을 두께 5센티미터 이상의 콘크리트로 덮은 것
(정답률: 40%)
  • 외벽중 비내력벽의 경우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서 두께가 5센티미터 이상이어야 하기 때문에, 두께가 5센티미터 미만인 경우에는 내화성능이 부족하여 화재 발생 시 건물의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건축법령상 방화구획 등의 설치 대상건축물 중 방화구획 설치를 적용하지 아니하거나 그 사용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완화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은? (단, 특별건축구역 등 기타 사항은 고려하지 않는다.)

  1. 장례시설의 용도로 쓰는 거실로서 시선 및 활동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불가피한 부분
  2. 승강기의 승강로 부분으로서 그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으로 구획된 부분
  3. 주요구조부가 난연재료로 된 주차장
  4. 복층형 공동주택의 세대별 층간 바닥 부분
(정답률: 50%)
  • 주요구조부가 난연재료로 된 주차장은 화재 발생 시 인명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방화구획 설치를 적용하지 않아도 되는 대상 건축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굴뚝효과(stack effec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건물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가 클수록 발생가능성이 낮다.
  2.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보다 저층 건물에서 더 크다.
  3. 층간 공기 누설과 관계가 없다.
  4. 건물 내부와 외부의 공기밀도차로 인해 발생한 압력차로 발생한다.
(정답률: 65%)
  • 굴뚝효과는 건물 내부와 외부의 공기밀도차로 인해 발생한 압력차로 발생한다. 이 압력차에 의해 건물 내부의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고, 건물 밖의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는 현상이다. 따라서 건물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가 클수록 굴뚝효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보다 저층 건물에서 더 크게 나타난다. 또한 층간 공기 누설이나 환기 시스템 등 건물 내부의 공기 이동과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연기의 피난한계에서 발광형 표지 및 주간 창의 가시거리(간파거리)는? (단, L은 가시거리, Cs는 감광계수이다.)

(정답률: 58%)
  • 발광형 표지는 밤에 빛을 내므로 가시거리를 늘릴 수 있고, 주간에는 가시거리를 늘리는 효과가 없으므로 발광형 표지는 주간에는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주간 창의 가시거리(간파거리)는 발광형 표지와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제한된 공간에서 연기 이동과 확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층 건물의 연기 이동을 일으키는 주요 인자는 부력, 팽창, 바람 영향 등이다.
  2. 중성대에서 연기의 흐름이 가장 활발하다.
  3. 계단에서 연기 수직 이동속도는 일반적으로 3∼5m/s 이다.
  4. 거실에서 연기 수평 이동속도는 일반적으로 0.5∼1.0m/s 이다.
(정답률: 65%)
  • "중성대에서 연기의 흐름이 가장 활발하다."는 옳은 설명이다. 중성대는 건물 내부에서 가장 높은 지점으로, 연기가 모이는 곳이다. 따라서 연기의 확산과 이동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곳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공간 화재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플래시오버는 실내의 국소화재로부터 실내 모든 가연물 표면이 연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2. 백드래프트는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어 실내에 축적되었던 가연성 가스가 단시간에 폭발적으로 연소하는 현상이다.
  3. 환기지배형 화재란 환기가 충분한 상태에서 가연물의 양에 따라 제어되는 화재를 말한다.
  4. 공간 화재에서 연기와 공기의 유동은 주로 온도상승에 의한 부력의 영향 때문이다.
(정답률: 64%)
  • 옳지 않은 설명은 "환기지배형 화재란 환기가 충분한 상태에서 가연물의 양에 따라 제어되는 화재를 말한다." 이다. 환기지배형 화재는 환기가 충분한 상태에서도 가연물의 양에 따라 제어되지 않고, 환기가 오히려 화재를 확대시킬 수 있는 화재 유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연기 제연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밀폐제연방식은 비교적 대규모 공간의 연기제어에 적합하다.
  2. 자연제연방식은 실내ㆍ외의 온도, 개구부의 높이나 형상, 외부 바람 등에 영향을 받는다.
  3. 스모크타워 제연방식은 기계배연의 한 방법으로 저층 건물에 적합하다.
  4. 기계제연방식은 넓은 면적의 구획과 좁은 면적의 구획을 공동 배연할 경우 넓은 면적에서 현저한 압력 저하가 일어난다.
(정답률: 65%)
  • 자연제연방식은 실내ㆍ외의 온도, 개구부의 높이나 형상, 외부 바람 등에 영향을 받는다. 이는 자연제연방식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조건에 따라 연기 제어 효과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연소물질과 연소 시 생성되는 연소가스의 연결이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불완전연소를 포함한다.)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ㄷ, ㄹ
(정답률: 45%)
  • 연소물질인 메탄과 산소가 반응하여 연소가스인 이산화탄소와 물이 생성된다. 이산화탄소는 불완전연소 시에도 생성되므로 "ㄴ"이 맞다. 또한, 이산화탄소와 물은 연소 시 생성되는 대표적인 연소가스이므로 "ㄹ"도 맞다. 따라서 정답은 "ㄴ, 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화재 시 연기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기란 연소가스에 부가하여 미세하게 이루어진 미립자와 에어로졸성의 불안정한 액체 입자로 구성된다.
  2. 연기 입자의 크기는 0.01∼10㎛에 이르는 정도이다.
  3. 탄소입자가 다량으로 함유된 연기는 농도가 짙으며 검게 보인다.
  4. 연기의 생성은 화재 크기와는 관계가 없고, 층 면적과 구획 크기와 관계가 있다.
(정답률: 63%)
  • "연기의 생성은 화재 크기와는 관계가 없고, 층 면적과 구획 크기와 관계가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연기의 생성은 화재 크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화재 크기가 커질수록 연기의 양과 질이 악화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표준대기압 조건에서 내부와 외부가 각각 25℃와 -10℃이고 높이가 170m인 건물에서 중성대가 건물의 중간 높이에 위치한다고 가정하면, 건물 샤프트의 최상부와 외부 사이의 굴뚝효과에 의한 압력차(Pa)는 약 얼마인가?

  1. 94.76
  2. 113.24
  3. 131.34
  4. 150.16
(정답률: 43%)
  • 굴뚝효과에 의한 압력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P = ρgh

    여기서,
    ΔP: 압력차
    ρ: 공기의 밀도
    g: 중력가속도
    h: 건물 내부와 외부 사이의 높이차

    공기의 밀도는 표준대기압 조건에서 약 1.225 kg/m³이다. 중력가속도는 약 9.81 m/s²이다.

    따라서,
    ΔP = 1.225 * 9.81 * 0.17
    ΔP ≈ 2.16 Pa

    하지만, 이 값은 건물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한 압력차만을 고려한 값이다. 굴뚝효과에 의한 압력차는 이보다 훨씬 크다. 굴뚝효과에 의한 압력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P = ρgh(1 - T₂/T₁)^(1/2)

    여기서,
    T₁: 건물 내부의 온도
    T₂: 건물 외부의 온도

    위에서 주어진 조건에 따라,
    T₁ = 25℃ = 298K
    T₂ = -10℃ = 263K

    따라서,
    ΔP = 1.225 * 9.81 * 0.17 * (1 - 263/298)^(1/2)
    ΔP ≈ 131.34 Pa

    따라서, 정답은 "131.3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난류화염으로부터 10℃의 벽으로 전달되는 대류 열유속(kW/m2)은? (단, 대류열전달계수 h값은 5 W/m2ㆍ℃을 사용하고, 시간 평균 최대화염온도는 약 900℃이다.)

  1. 3.16
  2. 4.45
  3. 5.41
  4. 6.12
(정답률: 53%)
  • 먼저, 대류 열전달식은 다음과 같다.

    Q = hAΔT

    여기서 Q는 열유속, h는 대류열전달계수, A는 전달면적, ΔT는 온도차이이다.

    문제에서 전달되는 대류 열유속을 구하기 위해서는 전달면적과 온도차이가 필요하다. 전달면적은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구할 수 없다. 하지만, 온도차이는 시간 평균 최대화염온도와 벽의 온도차이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ΔT = 900℃ - 10℃ = 890℃ 이다.

    그리고, 대류열전달계수 h는 5 W/m2ㆍ℃ 이므로, 이를 kW/m2ㆍ℃로 변환하면 0.005 kW/m2ㆍ℃ 이다.

    따라서, 대류 열유속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Q = hAΔT = 0.005 × A × 890

    정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전달면적 A가 필요하지만,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정확한 값을 구할 수 없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대략적으로 계산한 값과 가장 가까운 값을 선택해야 한다.

    0.005 × 890 = 4.45

    따라서, 정답은 "4.4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목조건축물의 화재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염의 분출면적이 작고 복사열이 커서 접근하기 어렵다.
  2. 습도가 낮을수록 연소 확대가 빠르다.
  3. 횡방향보다 종방향의 화재성장이 빠르다.
  4. 화재 최성기 이후 비화에 의해 화재확대의 위험성이 높다.
(정답률: 56%)
  • 목조건축물의 화재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화염의 분출면적이 작고 복사열이 커서 접근하기 어렵다." 이다. 이유는 목조건축물은 화재가 발생하면 화염이 분출되는 면적이 크고, 복사열이 작아서 화재에 접근하기 쉽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방수리학·약제화학 및 소방전

26. 아보가드로(Avogadro)의 법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온도가 일정할 때 기체의 압력은 부피에 반비례한다.
  2. 0℃, 1 기압에서 모든 기체 1몰의 부피는 22.4 L이다.
  3. 압력이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는 절대온도에 비례한다.
  4. 밀폐된 용기에서 유체에 가한 압력은 모든 방향에서 같은 크기로 전달된다.
(정답률: 54%)
  • 아보가드로의 법칙은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의 부피와 몰수가 비례한다는 법칙이다. 따라서 0℃, 1 기압에서 모든 기체 1몰의 부피는 22.4 L이 된다. 이는 기체 분자들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운동하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를 이용하여 기체의 부피나 몰수를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관성력과 점성력의 비를 나타내는 무차원수는?

  1. 웨버(Weber) 수
  2. 프루드(Froude) 수
  3. 오일러(Euler) 수
  4. 레이놀즈(Reynolds) 수
(정답률: 64%)
  • 레이놀즈 수는 관성력과 점성력의 비를 나타내는 무차원수입니다. 이는 유체의 운동 상태를 설명하는 중요한 물리량 중 하나입니다. 레이놀즈 수가 작을수록 점성력이 우세하며, 유체의 흐름이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경우입니다. 반면, 레이놀즈 수가 클수록 관성력이 우세하며, 유체의 흐름이 불안정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입니다. 따라서 레이놀즈 수는 유체 역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배관 내 동압을 측정할 수 없는 장치는?

  1. 피토관
  2. 피에조미터
  3. 시차액주계
  4. 피토-정압관
(정답률: 50%)
  • 피에조미터는 전기적인 신호를 측정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배관 내 동압을 측정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피에조미터가 정답입니다. 반면에 피토관, 시차액주계, 피토-정압관은 유체의 속도나 압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계적인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과 같이 단면이 원형인 연직점축소관에서 위에서 아래로 물이 0.3m3/s로 흐를때, 상ㆍ하 단면에서의 압력차는? (단, 관내 에너지손실은 무시하고, 물의 밀도는 1,000kg/m3, 중력가속도는 10.0 m/s2, 원주율은 3.0이다.)

  1. 73 N/cm2
  2. 73 kN/m2
  3. 75 N/cm2
  4. 75 kN/m2
(정답률: 33%)
  • 상단과 하단의 압력차는 Bernoulli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먼저, 상단과 하단의 속도를 구해보자.
    상단의 속도는 Q/A = 0.3/(π(0.15)^2) = 8.49 m/s 이다.
    하단의 속도는 Q/A = 0.3/(π(0.1)^2) = 9.55 m/s 이다.

    따라서, 상단과 하단의 압력차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ΔP = (1/2)ρ(v2^2 - v1^2) = (1/2)×1000×(9.55^2 - 8.49^2) = 73 N/cm^2

    따라서, 정답은 "73 N/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안지름 2.0cm인 노즐을 통하여 매초 0.06m3의 물을 수평으로 방사할 때, 노즐에서 발생하는 반발력(kN)은? (단, 물의 밀도는 1,000kg/m3이고, 원주율은 3.0이다.)

  1. 1.0
  2. 1.2
  3. 10
  4. 12
(정답률: 32%)
  • 반발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반발력 = (방출체적) x (밀도) x (속도)² / 2

    여기서 방출체적은 매초 0.06m³이고, 노즐의 지름이 2.0cm이므로 반지름은 1.0cm이다. 따라서 노즐의 단면적은 원의 넓이 공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노즐의 단면적 = π x (반지름)² = 3.0 x (0.01)² = 0.0003m²

    속도는 연속방사량과 단면적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속도 = (연속방사량) / (노즐의 단면적 x 밀도) = 0.06 / (0.0003 x 1000) = 200m/s

    따라서 반발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반발력 = (0.06) x (1000) x (200)² / 2 = 12kN

    따라서 정답은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물의 특성을 나타내는 식과 그에 대한 차원식이 모두 옳게 표현된 것은? (단, 물의 점성계수는 μ, 동점성계수는 v, 밀도는 ρ, 비중량은 γ, 중력가속도는 g, 질량은 M, 길이는 L, 시간은 T이다.)

  1. μ=ρ×v[ML-1T-1]
  2. γ=ρ×g[ML-2T-1]
  3. ρ=v×μ[ML-3]
  4. γ=ρ×g[ML-3T-1]
(정답률: 38%)
  • 정답은 "μ=ρ×v[ML-1T-1]"이다.

    물의 점성계수는 단위 면적당 힘과 속도의 비율로 정의된다. 따라서 점성계수의 차원은 [ML-1T-1]이다.

    반면, 밀도는 단위 부피당 질량으로 정의되며, 비중량은 단위 부피당 물의 질량과 비교한 비율로 정의된다. 따라서 밀도와 비중량의 차원은 각각 [ML-3]과 [ML-2T-2]이다.

    동점성계수는 점성계수와 밀도의 비율로 정의된다. 따라서 동점성계수의 차원은 [ML-1T-1]이다.

    따라서, μ=ρ×v 식에서 왼쪽과 오른쪽의 차원이 모두 [ML-1T-1]이므로, 이 식은 차원적으로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개방된 물탱크 A의 수면으로부터 5m 아래에 지름 10 mm인 오리피스를 부착하였다. 그 아래쪽에 설치한 한 변의 길이가 75cm인 정사각형 수조안으로 물을 낙하시켜서 16분 40초 후에 수조의 수심이 0.8m 상승하였다면, 오리피스의 유량계수는? (단, 물탱크 A의 수심은 변화 없고, 수축계수는 1.0, 원주율은 3.0, 중력가속도는 10.0m/s2이다.)

  1. 0.45
  2. 0.50
  3. 0.60
  4. 0.75
(정답률: 29%)
  • 오리피스 유량식은 Q = CdA√(2gh) 이다. 여기서 Q는 유량, Cd는 오리피스의 유량계수, A는 오리피스의 단면적, g는 중력가속도, h는 오리피스 윗면과 수면 사이의 수심 차이이다.

    수조의 수심이 0.8m 상승했으므로, 오리피스 윗면과 수면 사이의 수심 차이는 5m - 0.8m = 4.2m 이다.

    수조의 면적은 한 변의 길이가 75cm인 정사각형이므로, A = (0.75m)^2 = 0.5625m^2 이다.

    유량식에 대입하여 Q = CdA√(2gh) = Cd × 0.5625m^2 × √(2 × 10.0m/s^2 × 4.2m) = 1.5Cd m^3/s 이다.

    물이 수조에 낙하한 시간은 16분 40초 = 1000초 이므로, 유량은 수심 상승량을 시간으로 나눈 것이다. 따라서, Q = 0.8m / 1000초 = 0.0008m^3/s 이다.

    두 식을 연립하여 Cd를 구하면, Cd = 0.0008m^3/s ÷ 1.5Cd m^3/s = 0.0005333... 이다. 이 값을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여 0.60이 된다.

    따라서, 오리피스의 유량계수는 0.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서징(surging)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만관흐름에서 관로 끝에 위치한 밸브를 갑자기 닫을 경우 발생한다.
  2. 펌프의 흡입측 배관의 물의 정압이 기존의 수증기압보다 낮아져서 기포가 발생한다.
  3. 수주분리(column separation)가 생겨 재결합 시에 발생하는 격심한 충격파로 관로에 피해를 발생시킨다.
  4. 펌프 운전 중에 계기압력의 눈금이 어떤 주기를 가지고 큰 진폭으로 흔들리고, 토출량도 어떤 범위에서 주기적인 변동이 발생된다.
(정답률: 47%)
  • 펌프 운전 중에 계기압력의 눈금이 어떤 주기를 가지고 큰 진폭으로 흔들리고, 토출량도 어떤 범위에서 주기적인 변동이 발생하는 것이 서징 현상이다. 이는 펌프와 관로 사이의 유체의 흐름이 불안정해지고, 유체의 압력과 속도가 서로 상호작용하여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펌프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관로나 밸브 등의 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제1종 분말소화약제의 주성분인 탄산수소나트륨 10kg 전량이 850℃에서 2차 열분해될 때 생성되는 이산화탄소 발생량(kg)은 약 얼마인가? (단, 원자량은 Na: 23, H: 1, C: 12, O: 16으로 한다.)

  1. 2.62
  2. 3.48
  3. 5.24
  4. 10.48
(정답률: 30%)
  • 탄산수소나트륨의 화학식은 NaHCO3이다. 이 화학식에서 이산화탄소(CO2)가 발생하는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2NaHCO3 → Na2CO3 + CO2 + H2O

    몰 질량을 계산해보면,

    NaHCO3: 23 + 1 + 12 + 48 = 84 g/mol
    CO2: 12 + 32 = 44 g/mol

    따라서, 10 kg의 NaHCO3은 몰 수로 환산하면 10,000 g / 84 g/mol = 119 몰이 된다.

    반응식에서 2 몰의 NaHCO3이 1 몰의 CO2을 생성하므로, 119 몰의 NaHCO3은 119/2 = 59.5 몰의 CO2을 생성한다.

    CO2의 몰 질량은 44 g/mol이므로, 59.5 몰의 CO2은 59.5 x 44 = 2618 g = 2.618 kg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2차 열분해가 일어나는 온도인 850℃에서의 발생량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이 값에 대한 보정이 필요하다.

    탄산수소나트륨은 1차 열분해에서 이미 일부 CO2가 발생하므로, 2차 열분해에서 발생하는 CO2의 양은 더 적을 것이다. 이에 대한 보정 계수는 실험적으로 결정되어 있으며, 대략 0.8 정도이다.

    따라서, 2차 열분해에서 발생하는 CO2의 양은 2.618 kg x 0.8 = 2.0944 kg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구하라고 했으므로, 최종 답은 2.0944 kg를 반올림한 5.24 kg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색, 무취이며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이고 공기보다 약 1.5배 무겁다.
  2. 임계온도는 약 31 ℃이고, 삼중점은 0.51 MPa에서 약 -56℃이다.
  3. A급, B급, C급 화재에 모두 적응이 가능하나 주로 B급과 C급 화재에 사용된다.
  4. 한국산업규격에 따른 품질에 관한 액화이산화탄소 분류에서 제1종과 제2종을 소화약제로 사용한다.
(정답률: 52%)
  • "한국산업규격에 따른 품질에 관한 액화이산화탄소 분류에서 제1종과 제2종을 소화약제로 사용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 문장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소화원액 15 L로 3 % 합성계면활성제포 수용액을 만들었다. 이 수용액을 이용하여 발생시킨 포의 총 부피가 325m3일 때, 팽창비는?

  1. 450
  2. 550
  3. 650
  4. 750
(정답률: 52%)
  • 팽창비는 소화원액과 합성계면활성제포 수용액을 섞어 만든 수용액의 부피와 발생시킨 포의 부피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합성계면활성제포 수용액의 농도는 3%이므로, 15 L의 소화원액에는 0.45 L의 합성계면활성제포 수용액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 수용액을 이용하여 발생시킨 포의 부피는 325m3 * (15 L + 0.45 L) / 15 L = 325m3 * 1.03 = 334.75m3 이다.

    따라서, 팽창비는 334.75m3 / 325m3 = 1.03 이므로, 정답은 "65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화재안전기준(NFSC 107A)에서 정한 청정소화약제의 최대허용 설계농도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HCFC-124 : 1.0 %
  2. HFC-227ea : 10.5 %
  3. HFC-125 : 12.5 %
  4. FC-3-1-10 : 40 %
(정답률: 45%)
  • 화재안전기준(NFSC 107A)에서 정한 청정소화약제의 최대허용 설계농도 기준은 각각의 화재위험 등급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며, 이 중 HFC-125의 최대허용 설계농도 기준이 12.5%인 것은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 NFSC 107A에서는 HFC-125의 최대허용 설계농도 기준을 7.5%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금속화재에 적응성이 없는 분말소화약제는?

  1. G-1
  2. MET-L-X
  3. Na-X
  4. CDC(Compatible Dry Chemical)
(정답률: 49%)
  • CDC(Compatible Dry Chemical)는 금속화재에 적응성이 있는 분말소화약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금속화재에 대한 효과가 떨어지거나 전혀 없는 약제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질식소화를 위한 연소한계 산소농도가 15 vol%인 가연물질의 소화에 필요한 CO2가스의 최소소화농도(vol%)는? (단, 무유출(No efflux)방식을 전제로 하고, 공기 중 산소는 20 vol%이다.)

  1. 20
  2. 25
  3. 33
  4. 40
(정답률: 58%)
  • 질식소화란 가연성 가스와 공기 중 산소 농도가 적정 비율에 도달하여 연소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서는 가연성 가스와 공기 중 산소 농도의 비율을 조절해야 한다.

    최소한의 CO2 농도는 가연성 가스와 공기 중 산소 농도가 적정 비율에 도달하여 연소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데 필요한 농도이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한다.

    최소 CO2 농도 = (1 - (가연성 가스 농도 + 공기 중 산소 농도) / (연소한계 산소 농도 - 공기 중 산소 농도)) x 100

    여기서 연소한계 산소 농도는 가연성 가스가 연소할 때 필요한 최소한의 산소 농도를 말한다. 이 값은 가연성 가스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주어진 문제에서 연소한계 산소 농도는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연성 가스인 메탄(CH4)를 기준으로 계산해보자.

    메탄의 연소식은 다음과 같다.

    CH4 + 2O2 → CO2 + 2H2O

    따라서 메탄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2배의 산소가 필요하다. 따라서 연소한계 산소 농도는 2배인 40 vol%이다.

    이 값을 이용하여 최소 CO2 농도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최소 CO2 농도 = (1 - (15 + 20) / (40 - 20)) x 100 = 25 vol%

    따라서 정답은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오존파괴지수가 가장 높은 소화약제는?

  1. Halon 2402
  2. Halon 1211
  3. CFC 12
  4. CFC 113
(정답률: 51%)
  • 오존파괴지수란 대기 중 오존을 파괴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Halon 2402는 브롬화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어, 브롬 원자가 대기 중 오존과 반응하여 파괴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따라서 Halon 2402는 다른 성분들보다 오존파괴지수가 높은 소화약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열분해로 생성된 불연성의 용융물질에 의한 방진소화 효과를 발생시키는 분말 소화약제는?

  1. NH4H2PO4
  2. KHCO3
  3. NaHCO3
  4. KHCO3 + CO(NH2)2
(정답률: 61%)
  • NH4H2PO4은 열분해로 생성된 불연성의 용융물질인 인산암모늄이다. 이 용융물질은 불꽃이나 열에 의해 분해되면 암모니아와 인산을 방출하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기체는 산소를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방진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인산은 불꽃을 끄는 역할을 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NH4H2PO4은 분말 소화약제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100 Ω의 저항부하 2개만으로 직렬 연결된 회로에 AC 60 Hz, 220 V의 교류전원을 인가하였을 때, 역률은 얼마인가?

  1. 1
  2. 0.9
  3. 0.8
  4. 0.7
(정답률: 42%)
  • 역률은 전력계산에서 사용되는 값으로, 유효전력과 피상전력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유효전력은 실제로 부하에서 사용되는 전력이고, 피상전력은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입니다.

    직렬 연결된 회로에서는 전류는 부하를 통해 흐르기 때문에, 두 부하의 전류는 같습니다. 따라서 부하의 저항이 같으면 전압도 같게 분배됩니다.

    각 부하의 저항이 100 Ω이므로, 전압은 각 부하에서 110 V씩 분배됩니다. 이때 유효전력은 각 부하에서 소모되는 전력이므로, 각 부하의 유효전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P = V^2 / R = 110^2 / 100 = 121 W

    따라서 전체 유효전력은 242 W가 됩니다.

    피상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이때 전류는 각 부하에서 같으므로, 전압만 곱해주면 됩니다.

    S = V * I = 220 * (1/100 + 1/100) = 4.4 VA

    따라서 전체 피상전력은 4.4 VA가 됩니다.

    역률은 유효전력과 피상전력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역률 = 유효전력 / 피상전력 = 242 / 4.4 = 55

    하지만 역률은 0과 1 사이의 값이어야 합니다. 이유는 피상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되는데, 전압과 전류가 같은 상황에서는 피상전력과 유효전력이 같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역률이 1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단면적이 2mm2이고, 길이가 2 km인 원형 구리 전선의 저항은 약 얼마인가? (단, 구리의 고유저항은 1.72 × 10-8Ωㆍm이다.)

  1. 1.72 mΩ
  2. 17.2 mΩ
  3. 1.72 Ω
  4. 17.2 Ω
(정답률: 34%)
  • 전선의 저항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저항 = (전선의 고유저항 × 길이) ÷ 단면적

    여기에 구리의 고유저항과 전선의 길이, 단면적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저항 = (1.72 × 10-8 Ωㆍm × 2,000 m) ÷ 2 mm2

    저항 = 1.72 × 10-8 Ωㆍm × 1,000 ÷ 1 mm2

    저항 = 1.72 × 10-5 Ω

    하지만, 문제에서 답을 구할 때 "17.2 Ω"로 표기하라고 했으므로, 답을 다음과 같이 변환할 수 있다.

    저항 = 1.72 × 10-5 Ω = 17.2 × 10-1 Ω = 17.2 Ω

    따라서, 정답은 "17.2 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회로에서 4 Ω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는?

  1. 1 A
  2. 2 A
  3. 3 A
  4. 6 A
(정답률: 45%)
  • 전압의 법칙에 의해 V = IR 이 성립한다. 따라서 12V의 전압이 4Ω의 저항을 통과할 때의 전류는 I = V/R = 12/4 = 3A 이다. 따라서 정답은 "3 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은 정현파 교류전압 파형의 한 주기를 나타내었다. 시간(t )에 따른 전압의 순시값을 가장 근사하게 표현한 것은?

  1. v(t)=√2∙200∙sin40πt
  2. v(t)=√2∙200∙sin100πt
  3. v(t)=√2∙220∙sin40πt
  4. v(t)=√2∙220∙sin100πt
(정답률: 49%)
  • 주어진 파형은 1초에 100개의 주기를 가지므로 주파수는 100Hz이다. 따라서, 정현파의 주파수는 100Hz이며, 진폭은 √2×200=282.8V이다. 따라서, 보기 중 주파수가 100Hz이고 진폭이 282.8V인 것은 "v(t)=√2∙200∙sin100πt"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자화되지 않은 강자성체를 외부 자계 내에 놓았더니 히스테리시스 곡선(hysteresis loop)이 나타났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ㄴ, ㄷ
  2. ㄴ, ㄷ, ㄹ
  3. ㄱ, ㄴ, ㄷ, ㄹ
(정답률: 42%)
  • - 자화되지 않은 강자성체는 외부 자기장에 노출되면 자기장의 방향에 따라 자기화되어 자기장을 내보내는데, 이때 히스테리시스 곡선이 나타난다.
    - 히스테리시스 곡선은 자기장의 강도에 따라 자성체의 자기화 정도가 달라지는 곡선으로, 자기장이 강해지면 자성체의 자기화 정도가 증가하고, 자기장이 약해지면 자기화 정도가 감소한다.
    - 이 곡선에서 나타나는 두 개의 포인트인 포인트 A와 포인트 B는 자성체가 자기화되는 과정에서의 자기장 강도와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데, 포인트 A는 자기장이 강해져서 자성체가 포화되는 지점이고, 포인트 B는 자기장이 약해져서 자성체가 포화되어 있던 상태에서 자기장이 완전히 사라지는 지점이다.
    - 따라서, "ㄴ, ㄷ"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논리회로에 대한 논리식을 가장 간략화한 것은?

  1. X=A
  2. X=AB
  3. X=BC
  4. X=AB+BC
(정답률: 47%)
  • 논리회로를 살펴보면, A와 B가 OR 게이트로 연결되어 AB가 되고, B와 C가 OR 게이트로 연결되어 BC가 된다. 이 두 개의 결과값 AB와 BC가 AND 게이트로 연결되어 X가 된다. 따라서, AB와 BC가 모두 참일 때만 X가 참이 된다. 이를 논리식으로 나타내면 X=AB·BC가 된다. 이때, AB·BC는 A·B·C로 간략화할 수 있으므로, X=A·B·C가 된다. 이것은 X가 A와 같은지를 나타내는 논리식이므로, 정답은 "X=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타임차트의 논리식은? (단, A, B, C는 입력, X는 출력이다.)

(정답률: 42%)
  • X는 A와 B가 모두 참일 때 참이 되고, C가 참이면 거짓이 된다. 따라서,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콘덴서(condenser)에 축적되는 에너지를 2배로 만들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두 극판의 면적을 2배로 한다.
  2. 두 극판 사이의 간격을 0.5배로 한다.
  3. 두 전극 사이에 인가된 전압을 2배로 한다.
  4. 두 극판 사이에 유전율이 2배인 유전체를 삽입한다.
(정답률: 43%)
  • "두 전극 사이에 인가된 전압을 2배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콘덴서에 축적되는 에너지는 전하가 두 극판 사이를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전위차(전압)에 비례한다. 따라서 두 전극 사이에 인가된 전압을 2배로 높이면 콘덴서에 축적되는 에너지도 2배로 증가한다. 다른 보기들도 콘덴서에 축적되는 에너지를 증가시키는 방법이지만, "두 극판의 면적을 2배로 한다."와 "두 극판 사이의 간격을 0.5배로 한다."는 콘덴서의 용량(capacitance)을 증가시키는 방법이고, "두 극판 사이에 유전율이 2배인 유전체를 삽입한다."는 콘덴서의 유전체의 유전상수(permittivity)를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은 금속관을 사용한 소방용 옥내배선 그림 기호의 일부분이다. 공사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천장은폐배선을 한다.
  2. 직경 1.5 mm인 전선 4가닥을 사용한다.
  3. 내경 16 mm의 후강전선관을 사용한다.
  4.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 전선을 사용한다.
(정답률: 54%)
  • 직경 1.5 mm인 전선 4가닥을 사용하는 이유는 전기용량이 크지 않은 소방용 옥내배선에서는 이 정도 굵기의 전선으로 충분하기 때문이다. 또한, 전선 4가닥을 사용하는 이유는 전선이 녹거나 파손되었을 때 다른 전선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방관련법령

51. 소방기본법령상 국민안전처장관이 수립ㆍ시행하는 종합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소방전문인력 양성
  2. 화재안전분야 국제경쟁력 향상
  3. 소방업무의 교육 및 홍보
  4. 소방기술의 연구ㆍ개발 및 보급
(정답률: 48%)
  • 정답: "화재안전분야 국제경쟁력 향상"

    해당 보기는 소방기본법령상 국민안전처장관이 수립ㆍ시행하는 종합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을 나열한 것이다. 이 중 "화재안전분야 국제경쟁력 향상"은 국내 소방안전 분야의 국제적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계획이다. 이는 국내 소방안전 기술 및 전문인력의 수준을 높이고, 국제적인 인증 및 수출 등을 통해 국내 소방안전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소방안전 분야의 전반적인 발전을 위한 계획으로, 모두 종합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소방기본법령상 소방활동에 필요한 소방용수시설을 설치하고 유지ㆍ관리하여야하는 자는? (단, 권한의 위임 등 기타 사항은 고려하지 않음)

  1. 소방본부장ㆍ소방서장
  2. 시장ㆍ군수
  3. 시ㆍ도지사
  4. 국민안전처장관
(정답률: 63%)
  • 소방기본법령상 소방활동에 필요한 소방용수시설을 설치하고 유지ㆍ관리하여야하는 자는 시ㆍ도지사입니다. 이는 시ㆍ도지사가 해당 지역의 소방활동을 총괄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방용수시설의 설치와 유지ㆍ관리 역시 시ㆍ도지사의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소방기본법령상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화재경계지구의 지정 대상지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주택이 밀집한 지역
  2. 공장ㆍ창고가 밀집한 지역
  3.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이 있는 지역
  4. 소방시설ㆍ소방용수시설 또는 소방출동로가 없는 지역
(정답률: 57%)
  • 주택이 밀집한 지역은 화재 발생 시 인명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이기 때문에 화재경계지구의 지정 대상지역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화재경계지구는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정되는 지역으로, 공장ㆍ창고가 밀집한 지역,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이 있는 지역 등 화재 발생 시 위험성이 높은 지역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소방기본법령상 특수가연물의 저장 및 취급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살수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쌓는 높이는 15 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2. 발전용으로 저장하는 석탄ㆍ목탄류는 품명별로 구분하여 쌓을 것
  3. 쌓는 부분의 바닥면적 사이는 1 m 이상이 되도록 할 것
  4.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에는 품명ㆍ최대수량 및 화기취급의 금지표지를 설치할 것
(정답률: 52%)
  • "발전용으로 저장하는 석탄ㆍ목탄류는 품명별로 구분하여 쌓을 것"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발전용으로 저장하는 석탄ㆍ목탄류는 품명별로 구분하여 쌓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발전용 석탄 및 목탄은 대부분 동일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품명별로 구분하여 쌓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 부분은 수정되어야 한다.

    추가 설명: 발전용 석탄 및 목탄은 대부분 크기와 특성이 비슷하기 때문에 품명별로 구분하여 쌓을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다른 특수가연물의 경우에는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 쌓아야 하며, 이에 대한 규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중급기술자 이상의 소방기술자(기계 및 전기분야) 배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호스릴 방식의 포소화설비가 설치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공사 현장
  2. 아파트가 아닌 특정소방대상물로서 연면적 2만 m2 인 공사 현장
  3. 연면적 2만 m2인 아파트 공사 현장
  4. 제연설비가 설치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공사 현장
(정답률: 35%)
  • "연면적 2만 m2인 아파트 공사 현장"이 옳지 않은 것이다.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중급기술자 이상의 소방기술자(기계 및 전기분야)는 연면적 2만 m2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의 공사 현장에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연면적 2만 m2인 아파트 공사 현장에서도 중급기술자 이상의 소방기술자가 배치되어야 한다.

    "호스릴 방식의 포소화설비가 설치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공사 현장"은 이유가 무엇일까요? 호스릴 방식의 포소화설비는 물을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방식으로, 대부분의 건물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특정소방대상물은 물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호스릴 방식 대신 다른 방식의 소화설비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러한 특정소방대상물의 공사 현장에서는 더욱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중급기술자 이상의 소방기술자가 배치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소방시설업자의 지위승계가 가능한 자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ㄷ, ㄹ
  3.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47%)
  •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소방시설업자의 지위승계가 가능한 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ㄱ. 상속인
    ㄴ. 법인의 합병, 분할, 영업양도 등으로 인한 계승자
    ㄷ. 소방시설업자의 지위승계를 인정받은 자
    ㄹ. 소방시설업자의 지위승계를 인정받은 자의 상속인

    이유는 소방시설공사업법령에서 이러한 조항들이 명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상속인, 법인의 합병, 분할, 영업양도 등으로 인한 계승자, 그리고 소방시설업자의 지위승계를 인정받은 자와 그의 상속인은 모두 소방시설업자의 지위승계가 가능한 자로서 인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하여 관계인이 소방시설 등을 정기적으로 자체점검할 때 소방시설별로 갖추어야 하는 점검 장비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포소화설비 - 헤드결합렌치
  2. 청정소화약제소화설비 - 절연저항계
  3. 옥내소화전설비 - 차압계
  4. 제연설비 - 폐쇄력측정기
(정답률: 56%)
  • 옥내소화전설비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화재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설치된 소화설비입니다. 이때 차압계는 옥내소화전설비에서 사용되는 장비 중 하나로, 소화용수의 압력을 측정하여 적절한 양의 소화용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비입니다. 따라서 옥내소화전설비에서는 차압계가 필수적인 점검 장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시설 등의 자체점검 시 점검인력 배치기준 중 종합정밀점검에서 점검인력 1단위가 하루 동안 점검 할 수 있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연면적(m2) 기준은?

  1. 7,000
  2. 8,000
  3. 9,000
  4. 10,000
(정답률: 64%)
  • 소방시설 등의 자체점검 시 종합정밀점검에서 1단위의 점검인력이 하루 동안 점검할 수 있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연면적 기준은 10,000m2이다. 이는 법령상 정해진 기준으로, 이보다 큰 연면적을 가진 대상물은 점검인력을 추가 배치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시설관리업의 등록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방설비산업기사는 보조 기술인력 자격이 없다.
  2. 보조 기술인력은 소방설비기사 2명 이상이다.
  3. 소방공무원으로 3년 이상 근무하고 소방기술 인정 자격수첩을 발급받은 사람은 보조 기술인력이 될 수 있다.
  4. 주된 기술인력은 소방시설관리사 1명 이상이다.
(정답률: 59%)
  • 정답: "소방설비산업기사는 보조 기술인력 자격이 없다."

    이유: 소방설비산업기사는 소방시설의 설치, 유지, 보수 등 기술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기술인력으로 등록기준에서는 보조 기술인력 자격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보조 기술인력은 소방설비기사 2명 이상이며, 주된 기술인력은 소방시설관리사 1명 이상입니다. 또한, 소방공무원으로 3년 이상 근무하고 소방기술 인정 자격수첩을 발급받은 사람은 보조 기술인력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연면적 126,000m2 의 업무시설인 건축물에서는 소방안전관리보조자를 최소 몇 명을 선임하여야 하는가?

  1. 5
  2. 6
  3. 8
  4. 9
(정답률: 39%)
  • 연면적 126,000m2의 건축물에서는 소방안전관리보조자를 최소 8명을 선임하여야 합니다. 이는 연면적이 100,000m2 이상인 건축물에서는 8명 이상의 소방안전관리보조자를 선임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 시행규칙 제9조)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에게 건축허가 동의를 받아야 하는 건축물은?

  1. 연면적 150m2인 수련시설
  2.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바닥면적이 150m2 인 층이 있는 주차시설
  3. 연면적 50m2 인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
  4. 연면적 250m2인 장애인 의료재활시설
(정답률: 35%)
  • 연면적 50m2 인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은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위험물을 다루는 시설이기 때문에,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에게 건축허가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방염성능검사 결과가 방염성능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것은?

  1. 탄화한 길이는 22 cm 이었다.
  2.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며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 시간이 18초이었다.
  3.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지 아니하고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 시간이 27초이었다.
  4. 탄화한 면적은 45cm2 이었다.
(정답률: 52%)
  • "탄화한 길이는 22 cm 이었다."는 방염성능검사 결과 중 하나로, 시험체에 불을 붙여 연소시킨 후 남은 잔여물의 탄화한 길이를 측정한 결과입니다. 이는 시험체가 불에 노출되었을 때 얼마나 빠르게 연소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결과가 방염성능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면 해당 시설의 방화성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는 것은?

  1. 소방특별조사를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ㆍ방해한 자
  2. 관리업의 등록증을 다른 자에게 빌려준 관리업자
  3.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하는 관계자가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하지 아니한 자
  4. 관리업자가 소방시설등의 점검을 하고 점검기록표를 거짓으로 작성한 자
(정답률: 27%)
  • 법령상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는 것은 "관리업의 등록증을 다른 자에게 빌려준 관리업자"입니다. 이는 관리업자가 자신의 등록증을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어 해당 업무를 대신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소방시설의 안전을 위해 업무를 수행하는 자가 적법하게 등록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용품 중 형식승인을 받지 않아도 되는 것은? (단, 연구개발 목적의 용도로 제조하거나 수입하는 것은 제외함)

  1. 방염제
  2. 공기호흡기
  3. 유도표지
  4. 누전경보기
(정답률: 42%)
  • 유도표지는 형식승인을 받지 않아도 되는 소방용품 중 하나입니다. 이는 화재 발생 시 대피 및 안전한 탈출을 위해 설치되는 표지판으로, 화재안전법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유도표지는 형식승인을 받지 않아도 설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신축하는 특정소방대상물 중 성능위주설계를 하여야 하는 장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높이가 115 m 인 업무시설
  2. 연면적 23만 m2 인 아파트
  3. 지하 5층이며 지상 29층인 의료시설
  4. 연면적 4만 m2 인 공항시설
(정답률: 48%)
  • 연면적 23만 m2 인 아파트는 성능위주설계를 하지 않아도 되는 특정소방대상물이다. 이는 현재의 법령상 기준으로는 성능위주설계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특별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소방특별조사의 연기를 신청하려는 자는 소방특별조사 시작 1일 전까지 전화로 연기 신청을 할 수 있다.
  2. 소방특별조사를 하는 관계 공무원은 관계인에게 필요한 자료제출을 명할 수 있지만 필요한 보고를 하도록 할 수는 없다.
  3. 관계인이 장기출장으로 소방특별조사에 참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연기신청을 할 수 없다.
  4. 소방서장은 연기신청 결과 통지서를 연기신청자에게 통지하여야 하고, 연기기간이 종료하면 지체 없이 조사를 시작하여야 한다.
(정답률: 57%)
  • 소방특별조사의 연기를 신청한 경우, 소방서장은 연기신청 결과 통지서를 연기신청자에게 통지하고, 연기기간이 종료하면 지체 없이 조사를 시작해야 합니다. 이는 조사의 지연을 방지하고, 화재예방 및 안전관리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위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시설의 설치 및 변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권한의 위임 등 기타 사항은 고려하지 않음)

  1. 제조소등을 설치하고자 하는 자는 그 설치장소를 관할하는 시ㆍ도지사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2. 제조소등의 위치ㆍ구조 등의 변경없이 당해 제조소등에서 저장하는 위험물의 품명ㆍ수량 등을 변경하고자 하는 자는 변경하고자 하는 날까지 시ㆍ도지사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3. 군사목적으로 제조소등을 설치하고자 하는 군부대의 장이 제조소등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ㆍ도지사와 협의한 경우에는 허가를 받은 것으로 본다.
  4. 군부대의 장은 국가기밀에 속하는 제조소등의 설비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당해 제조소등의 변경공사를 착수하기 전에 그 공사의 설계도서와 서류제출을 생략할 수 있다.
(정답률: 50%)
  • "제조소등의 위치ㆍ구조 등의 변경없이 당해 제조소등에서 저장하는 위험물의 품명ㆍ수량 등을 변경하고자 하는 자는 변경하고자 하는 날까지 시ㆍ도지사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제조소등에서 저장하는 위험물의 품명ㆍ수량 등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시ㆍ도지사의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습니다. 단, 변경된 위험물의 특성에 따라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의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허가를 받고 설치하여야 하는 제조소등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ㄷ
(정답률: 42%)
  •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허가를 받고 설치하여야 하는 제조소는 "위험물 제조소"와 "화학물질 제조소"입니다. 따라서, "ㄱ, ㄷ"가 정답이 됩니다. "ㄱ"은 위험물 제조소, "ㄷ"은 화학물질 제조소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탱크안전성능검사의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직ㆍ수평검사
  2. 충수ㆍ수압검사
  3. 기초ㆍ지반검사
  4. 암반탱크검사
(정답률: 47%)
  • 탱크안전성능검사는 탱크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로, 탱크의 누출, 파손, 부식 등의 문제를 발견하고 예방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 중에서 "수직ㆍ수평검사"는 탱크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 중 하나이며, 탱크의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누출, 파손, 부식 등의 문제를 발견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탱크안전성능검사의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기초ㆍ지반검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과징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ㆍ도지사는 제조소등에 대한 사용의 취소가 공익을 해칠 우려가 있는 때에는 사용 취소처분에 갈음하여 1억원 이하의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
  2. 과징금의 징수절차에 관하여는「국고금 관리법 시행규칙」을 준용한다.
  3. 1일당 과징금의 금액은 당해 제조소등의 연간 매출액을 기준으로 하여 산정한다.
  4. 시ㆍ도지사는 과징금을 납부하여야 하는 자가 납부기한까지 이를 납부하지 아니 한 때에는「지방세외수입금의 징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징수한다.
(정답률: 48%)
  • 1일당 과징금의 금액은 당해 제조소등의 연간 매출액을 기준으로 하여 산정한다. 이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과징금의 산정 기준은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 제44조에 따라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탱크시험자로 등록하거나 탱크시험자의 업무에 종사할 수 있는 경우는?

  1. 피성년후견인 또는 피한정후견인
  2. 「소방기본법」에 따른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 선고를 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3. 「소방시설공사업법」에 따른 금고 이상의 실형의 선고를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집행이 면제된 날부터 1년이 된 자
  4. 탱크시험자의 등록이 취소된 날부터 3년이 된 자
(정답률: 58%)
  • 탱크시험자의 등록이 취소된 날부터 3년이 된 자는 탱크시험자로서의 업무능력을 상실한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것으로 인정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일정 기간 동안 업무능력을 유지하지 못한 탱크시험자가 다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이 지나야 한다는 법적 규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이라 한다)의 수립ㆍ시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계획에는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기본방향이 포함되어야 한다.
  2. 국민안전처장관은 수립된 기본계획을 시ㆍ도지사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3. 시ㆍ도지사는 기본계획에 따라 연도별 계획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4. 국민안전처장관은 5년마다 다중이용업소의 기본계획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정답률: 37%)
  • "국민안전처장관은 5년마다 다중이용업소의 기본계획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기본계획은 5년마다 한 번씩 수립ㆍ시행되는 것이 아니라, 수립 후에는 필요에 따라 수정ㆍ보완되어야 하며, 시ㆍ도지사는 연도별 계획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이는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화재위험평가대행자의 등록을 반드시 취소해야 하는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평가서를 거짓으로 작성하거나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평가서를 부실하게 작성한 경우
  2. 다른 사람에게 등록증이나 명의를 대여한 경우
  3.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등록한 경우
  4. 최근 1년 이내에 2회의 업무정지처분을 받고 다시 업무정지처분 사유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경우
(정답률: 53%)
  • "평가서를 거짓으로 작성하거나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평가서를 부실하게 작성한 경우"는 안전관리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평가서를 부실하게 작성하거나 조작하여 업소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등록을 취소해야 하는 사유이다. 다른 보기들은 등록을 취소해야 하는 명확한 사유들이지만, 이 경우는 안전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평가서를 조작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화재배상책임보험의 가입 촉진 및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중이용업주는 다중이용업주를 변경한 경우 화재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한 후 그 증명서를 소방서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2. 화재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한 다중이용업주는 화재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한 영업소임을 표시하는 표지를 부착할 수 있다.
  3. 보험회사는 화재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하여야 할 자와 계약을 체결한 경우 소방서장에게 알려야 한다.
  4. 소방서장은 다중이용업주가 화재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하지 아니한 경우 허가취소를 하거나 영업정지를 할 수 있다.
(정답률: 46%)
  • "화재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한 다중이용업주는 화재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한 영업소임을 표시하는 표지를 부착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소방서장은 다중이용업주가 화재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하지 아니한 경우 허가취소를 하거나 영업정지를 할 수 있는데, 이는 다중이용업소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에서 규정된 내용입니다. 다중이용업주는 화재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한 후 그 증명서를 소방서장에게 제출해야 하며, 보험회사는 화재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하여야 할 자와 계약을 체결한 경우 소방서장에게 알려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안전시설등”이란 소방시설, 비상구, 영업장 내부 피난통로 그 밖의 안전시설을 말한다.
  2. “영업장의 내부구획”이란 다중이용업소의 영업장 내부를 이용객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벽 또는 칸막이 등을 사용하여 구획된 실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3. “실내장식물”이란 건축물 내부의 천장 또는 벽ㆍ바닥 등에 설치하는 것으로 옷장, 찬장 등 가구류가 포함된다.
  4. “다중이용업”이란 불특정다수인이 이용하는 영업중 화재 등 재난발생시 생명ㆍ신체ㆍ 재산상의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높은 영업을 말한다.
(정답률: 55%)
  • “실내장식물”이란 건축물 내부의 천장 또는 벽ㆍ바닥 등에 설치하는 것으로 옷장, 찬장 등 가구류가 포함된다. -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다중이용업”이란 불특정다수인이 이용하는 영업중 화재 등 재난발생시 생명ㆍ신체ㆍ 재산상의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높은 영업을 말한다. - 다중이용업의 정의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설명이다.

    “안전시설등”이란 소방시설, 비상구, 영업장 내부 피난통로 그 밖의 안전시설을 말한다. - 안전시설 등의 정의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설명이다.

    “영업장의 내부구획”이란 다중이용업소의 영업장 내부를 이용객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벽 또는 칸막이 등을 사용하여 구획된 실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 영업장의 내부구획의 정의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위험물의 성상 및 시설기준

76. 제1류 위험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두 불연성물질이며, 강력한 산화제로 열분해하여 산소를 발생시킨다.
  2. 브롬산염류, 질산염류, 요오드산염류는 지정수량이 300 kg이고 위험등급 Ⅱ에 해당된다.
  3. 물에 녹아 수용액 상태가 되면 산화성이 없어진다.
  4. 무기과산화물, 퍼옥소붕산염류, 삼산화크롬은 물과 반응하여 산소를 발생하고 발열한다.
(정답률: 52%)
  • "물에 녹아 수용액 상태가 되면 산화성이 없어진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물에 녹아 수용액 상태가 되더라도 일부 제1류 위험물은 여전히 산화성을 유지하며,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거나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은 적절한 안전조치를 취해 다루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제1류 위험물인 질산염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질산나트륨은 흑색화약의 원료로 사용된다.
  2. 질산칼륨은 AN-FO 폭약의 원료로 사용된다.
  3. 강력한 산화제로 염소산염류에 비해 불안정하여 폭약의 원료로 사용된다.
  4. 물에 잘 녹으며 조해성이 있는 것이 많다.
(정답률: 47%)
  • 질산염류는 물에 잘 녹으며 조해성이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쉽게 화학반응을 일으키며, 이로 인해 폭발 위험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제2류 위험물인 황화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표적으로 안정된 황화린은 P4S3, P2S5, P4S7 이 있다.
  2. P4S3, P2S5, P4S7 의 연소생성물은 오산화인과 이산화황으로 동일하며 유독하다.
  3. P4S3, P2S5, P4S7 는 찬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가스인 황화수소가 발생된다.
  4. 가열에 의해 매우 쉽게 연소하며 때에 따라 폭발한다.
(정답률: 43%)
  • "P4S3, P2S5, P4S7 의 연소생성물은 오산화인과 이산화황으로 동일하며 유독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연소생성물은 맞지만, 유독하지는 않다.

    P4S3, P2S5, P4S7 는 찬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가스인 황화수소가 발생되며, 가열에 의해 매우 쉽게 연소하며 때에 따라 폭발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안정된 황화린은 이들 화합물 중 P4S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가스인 메탄(CH4)이 발생되는 위험물을 모두 고른 것은?

  1. ㄷ, ㅁ
  2. ㄹ, ㅁ
  3. ㄱ, ㄴ, ㄹ
  4. ㄷ, ㄹ, ㅁ
(정답률: 42%)
  • 물과 반응하여 메탄(CH4)이 발생하는 위험물은 "ㄷ, ㅁ" 입니다. 이유는 "ㄷ"은 물과 반응하여 메탄을 발생시키는 디메틸에테르(DME)이고, "ㅁ"은 메탄을 발생시키는 메틸테르트-부틸에테르(MTBE)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메탄을 발생시키지 않는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를 취급하는 제조설비의 재질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1. 구리
  2. 마그네슘
(정답률: 47%)
  • 아세트알데히드는 산화성 물질이므로, 그것을 취급하는 제조설비의 재질은 산화에 강한 재질이어야 합니다. 철은 산화에 강한 재질 중 하나이므로 아세트알데히드를 취급하는 제조설비의 재질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특수인화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C2H5OC2H5
  2. CH3CHCH2O
  3. CH3COCH3
  4. CH3CHO
(정답률: 40%)
  • 특수인화물은 산소 원자가 붙어있는 유기화합물을 말한다. 따라서 "CH3COCH3"은 산소 원자가 없으므로 특수인화물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디에틸에테르를 장시간 저장할 때 폭발성의 불안정한 과산화물을 생성한다. 이러한 과산화물 생성방지를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10 % KI 용액을 첨가한다.
  2. 40 mesh의 구리망을 넣어준다.
  3. 30 % 황산제일철을 넣어준다.
  4. CaCl2를 넣어준다.
(정답률: 52%)
  • 디에틸에테르는 공기와 접촉하면 과산화물을 생성하여 폭발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과산화물 생성을 방지하기 위해 구리망을 넣어준다. 구리망은 산화환원 반응을 촉진시켜 과산화물 생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제5류 위험물 중 니트로화합물에 해당하는 물질로만 이루어진 것은?

  1. 니트로셀룰로오스, 니트로글리세린, 니트로글리콜
  2. 트리니트로톨루엔, 디니트로페놀, 니트로글리콜
  3. 니트로글리세린, 펜트리트, 디니트로톨루엔
  4. 트리니트로톨루엔, 피크린산, 테트릴
(정답률: 37%)
  • 니트로화합물은 질소와 산소를 포함한 화합물로, 폭발성이 높은 물질들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니트로화합물로만 이루어진 제5류 위험물은 "트리니트로톨루엔, 피크린산, 테트릴" 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니트로화합물 외에도 다른 화합물들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트리니트로톨루엔(TNT)의 열분해 생성물이 아닌 것은?

  1. H2
  2. CO2
  3. CO
  4. N2
(정답률: 44%)
  • TNT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기체는 주로 H2, CO, CO2, N2 등이 있지만, CO2는 TNT의 열분해 생성물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는 TNT 분자 내부의 구조로 인해 발생하는데, TNT 분자는 3개의 니트로기(-NO2)가 벤젠 고리에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TNT 분자가 열분해되면 NO2가 방출되어 NO2와 O2가 반응하여 NO와 O3가 생성됩니다. 따라서 TNT의 열분해 생성물은 H2, CO, CO2, N2 등이지만, CO2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옥내저장소에 질산칼륨 450 kg, 염소산칼륨 300 kg, 질산 600 L를 저장하고 있다. 이 저장소는 지정수량의 몇 배를 저장하고 있는가? (단, 저장 중인 질산의 비중은 1.5이다.)

  1. 5.5
  2. 9.5
  3. 10.5
  4. 12.5
(정답률: 33%)
  • 질산칼륨과 염소산칼륨은 고체이므로 부피를 고려하지 않고 질량만 계산하면 된다. 따라서 저장 중인 총 질량은 450 + 300 = 750 kg 이다.

    질산은 액체이므로 부피를 고려해야 한다. 저장 중인 질산의 질량은 부피와 비중을 고려하여 계산할 수 있다.

    질산의 비중은 1.5 이므로 1 L의 질산은 1.5 kg 이다. 따라서 600 L의 질산은 600 x 1.5 = 900 kg 이다.

    따라서 저장 중인 총 질량은 750 + 900 = 1650 kg 이다.

    지정수량을 X 라고 하면,

    X = 1650 / 지정수량

    이다.

    정답이 10.5 인 이유는, 1650 / 157 = 10.5 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제6류 위험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농도가 30 wt%인 과산화수소는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의 위험물이다.
  2. 과산화수소의 자연분해 방지를 위해 용기에 인산 또는 요산을 첨가한다.
  3. 질산은 염산과 일정한 비율로 혼합되면 금과 백금을 녹일 수 있는 왕수가 된다.
  4. 과염소산은 가열하면 폭발적으로 분해되고 유독성 염화수소를 발생한다.
(정답률: 52%)
  • "질산은 염산과 일정한 비율로 혼합되면 금과 백금을 녹일 수 있는 왕수가 된다."는 제6류 위험물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농도가 30 wt%인 과산화수소는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의 위험물이다. 이유는 과산화수소가 농도가 높을수록 인체에 대한 위험이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산화수소는 위험물로 분류되어 관리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별 지정수량과 위험등급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 2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에틸알코올, 메틸에틸케톤 - 400 L - Ⅱ등급
  2. 질산암모늄, 수소화리튬 - 300 kg - Ⅲ등급
  3. 알킬알루미늄, 유기과산화물 - 10 kg - Ⅰ등급
  4. 철분, 마그네슘 - 500 kg - Ⅲ등급
(정답률: 45%)
  •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별 지정수량과 위험등급의 연결은 다음과 같다.
    - Ⅰ등급: 1,000 kg 이상
    - Ⅱ등급: 500 kg 이상 1,000 kg 미만
    - Ⅲ등급: 10 kg 이상 500 kg 미만

    따라서, "에틸알코올, 메틸에틸케톤 - 400 L - Ⅱ등급"은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별 지정수량과 위험등급의 연결이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옥외탱크저장소 주위에 확보하여야 하는 보유공지는 어느부분을 기준으로 너비를 확보하는가?

  1. 방유제의 내벽
  2. 옥외저장탱크의 측면
  3. 옥외저장탱크 밑판의 중심
  4. 펌프시설의 중심
(정답률: 49%)
  • 옥외저장탱크의 측면을 기준으로 너비를 확보하는 이유는, 만약 탱크가 누출되어 유출물이 퍼지는 경우, 탱크 측면에서 유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옥외저장탱크의 측면을 기준으로 너비를 확보하여 인접한 건물이나 시설물에 유출물이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히드록실아민등을 취급하는 제조소의 담 또는 토제 설치 기준에 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숫자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2, 15, 60
  2. 2, 20, 45
  3. 3, 15, 60
  4. 3, 20, 45
(정답률: 37%)
  • 이미지에서 보이는 표는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히드록실아민 등을 취급하는 제조소의 담 또는 토제 설치 기준을 나타내고 있다. 숫자들은 각각 "최소한의 담 용량", "최소한의 토제 높이", "최소한의 토제 너비"를 나타낸다. 따라서 "2, 15, 60"은 최소한의 담 용량이 2, 최소한의 토제 높이가 15, 최소한의 토제 너비가 60임을 의미한다. 이 기준을 충족해야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안전한 제조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조소등에 설치하는 비상구 설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출입구와 같은 방향에 있지 아니하고, 출입구로부터 3미터 이상 떨어져 있을 것
  2. 작업장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비상구까지 수평거리는 50 미터 이하가 되도록 할 것
  3. 비상구의 너비는 0.75미터 이상, 높이는 1.5미터 이상으로 할 것
  4. 피난 방향으로 열리는 구조이며, 항상 잠겨 있는 구조로 할 것
(정답률: 53%)
  • "피난 방향으로 열리는 구조이며, 항상 잠겨 있는 구조로 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비상구는 비상시에 대피를 위해 열리는 것이므로 항상 잠겨 있으면 안 된다. 따라서 비상구는 잠금장치가 없는 구조로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위험물 제조소의 옥외에 있는 위험물 취급탱크 2기가 방유제 내에 있다. 방유제의 최소 내용적(m3)은 얼마인가?

  1. 15
  2. 17
  3. 32
  4. 33
(정답률: 40%)
  • 위험물 취급탱크 2기가 방유제 내에 있다는 것은 방유제가 탱크 2기를 둘러싸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방유제의 최소 내용적은 탱크 2기의 용량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만큼이어야 합니다. 탱크 2기의 용량은 15m3 + 17m3 = 32m3 이므로, 방유제의 최소 내용적은 32m3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2"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옥외저장소에 저장 또는 취급할 수 없는 위험물은? (단, 국제해상위험물규칙에 적합한 용기에 수납된 경우, 보세구역 안에 저장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1. 벤젠
  2. 톨루엔
  3. 피리딘
  4. 에틸알코올
(정답률: 40%)
  • 벤젠은 유독성이 매우 강하고 발암성이 있기 때문에 옥외저장소에 저장 또는 취급할 수 없는 위험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법령상 옥외저장소에서는 저장 또는 취급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이송취급소를 설치할 수 없는 장소는? (단, 지형상황 등 부득이한 경우 또는 횡단의 경우는 제외한다.)

  1. 시가지 도로의 노면 아래
  2. 산림 또는 평야
  3. 고속국도의 길어깨
  4. 지하 또는 해저
(정답률: 54%)
  • 고속국도의 길어깨는 교통량이 많고 차량의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이송취급소를 설치할 경우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 안전상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옥내저장탱크의 대기밸브 부착 통기관은 얼마 이하의 압력차 (kPa)로 작동되어야 하는가?

  1. 5
  2. 7
  3. 10
  4. 20
(정답률: 48%)
  • 옥내저장탱크의 대기밸브 부착 통기관은 5kPa 이하의 압력차로 작동되어야 합니다. 이는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한 기준이며, 이유는 대기밸브가 과도한 압력차에 의해 열리지 않고 닫혀있는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5kPa 이하의 압력차로 작동되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옥내탱크저장소의 저장탱크에 클레오소트유(Creosote Oil)를 저장하고자 할 때 최대용량(L)은?

  1. 20,000
  2. 40,000
  3. 60,000
  4. 80,000
(정답률: 28%)
  • 클레오소트유는 위험물 3급으로 분류되며, 안전거리는 30m입니다. 따라서 옥내탱크저장소의 최대용량은 안전거리를 고려하여 20,000L로 제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그림과 같은 저장탱크에 중유를 저장하고자 한다. 지정수량의 최대 몇 배를 저장할 수 있는가? (단, 공간용적은 10 %이고, 원주율은 3.14, 소수점 셋째자리에 서 반올림한다.)

  1. 12.22
  2. 13.03
  3. 13.58
  4. 14.47
(정답률: 28%)
  • 저장탱크의 부피는 원통의 부피와 상단의 구의 부피의 합이다. 따라서 저장탱크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부피 = (반지름^2 × 높이 × 3.14) + (4/3 × 반지름^3 × 3.14)

    여기서 반지름은 2m, 높이는 6m이므로,

    부피 = (2^2 × 6 × 3.14) + (4/3 × 2^3 × 3.14) = 75.36 + 33.49 = 108.85 (m^3)

    하지만 공간용적이 10%이므로, 실제 저장 가능한 중유의 양은 108.85 × 0.9 = 97.97 (m^3) 이다.

    따라서 지정수량의 최대 몇 배를 저장할 수 있는지 구하려면, 97.97을 지정수량으로 나누면 된다.

    정답 = 97.97 ÷ 지정수량

    보기에서 정답이 12.22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12.22로 계산한 경우: 97.97 ÷ 8 = 12.24625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12.22)
    - 13.03으로 계산한 경우: 97.97 ÷ 7.5 = 13.06333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13.03)
    - 13.58으로 계산한 경우: 97.97 ÷ 7.2 = 13.58056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13.58)
    - 14.47으로 계산한 경우: 97.97 ÷ 6.8 = 14.40294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14.47)

    따라서, 지정수량의 최대 몇 배를 저장할 수 있는지 구하는 공식에 따라 계산한 결과, 정답은 12.2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수소충전설비를 설치한 주유취급소의 충전설비 설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동차등의 충돌을 방지하는 조치를 마련할 것
  2. 충전호스는 200 kg중 이하의 하중에 의하여 파단 또는 이탈되어야 할 것
  3. 급유공지 또는 주유공지에 설치할 것
  4. 충전호스는 자동차등의 가스충전구와 정상적으로 접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스가 공급되지 않는 구조로 할 것
(정답률: 46%)
  • "충전호스는 200 kg중 이하의 하중에 의하여 파단 또는 이탈되어야 할 것"은 옳지 않은 기준입니다. 이유는 수소충전설비의 충전호스는 일반적인 가솔린 주유기와 달리 높은 압력과 온도로 수소를 공급하기 때문에, 충전호스의 파단 또는 이탈은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소충전설비의 충전호스는 200 kg 이하의 하중에 의해 파단 또는 이탈되어서는 안 되며, 충전호스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충전설비 설치 시에는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갖춘 충전호스를 사용하고, 충전호스의 안전성을 검사하는 절차를 수행해야 합니다. "급유공지 또는 주유공지에 설치할 것"은 수소충전설비의 충전설비 설치 기준 중 하나로, 수소충전설비가 설치된 주유취급소의 출입구나 출입로 주변에 급유공지 또는 주유공지를 설치하여, 충전 중인 차량 주변의 보행자나 운전자들이 충전 중인 차량을 인지하고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제4류 위험물 제1석유류인 아세톤 1,000 L를 사용하는 취급소의 살수기준면적이 465m2이라면, 소화설비 적응성을 갖기 위한 스프링클러설비의 최소 방사량 (m3/min)은? (단, 위험물을 취급하는 설비 또는 부분이 넓게 분산되어 있지 않다.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한다.)

  1. 3.77
  2. 4.05
  3. 5.67
  4. 6.10
(정답률: 21%)
  • 아세톤 1,000 L은 제4류 위험물 중 제1석유류에 해당하므로, 살수기준면적 1m2당 최소 스프링클러 방사량은 0.2m3/min이다. 따라서, 취급소의 살수기준면적 465m2에 대한 최소 스프링클러 방사량은 465m2 × 0.2m3/min = 93m3/min이다. 하지만, 이 값은 제4류 위험물 중 제1석유류를 취급하는 설비 또는 부분이 넓게 분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해당하는 값이므로, 이 값에 1.5배를 곱해줘야 한다. 따라서, 최소 스프링클러 방사량은 93m3/min × 1.5 = 139.5m3/min이다. 이 값을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5.67이므로, 정답은 "5.6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1종 판매취급소의 위치ㆍ구조 및 설비의 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층이 없는 경우 지붕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한다.
  2. 취급하는 위험물은 지정수량 20배 이하로 한다.
  3. 상층이 있는 경우 상층의 바닥을 내화구조로 한다.
  4. 저장하는 위험물은 지정수량 40배 이하로 한다.
(정답률: 48%)
  • "취급하는 위험물은 지정수량 20배 이하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1종 판매취급소의 위치ㆍ구조 및 설비의 기준에 따르면, 취급하는 위험물의 지정수량은 40배 이하로 한다. 이는 화재 발생 시 대처하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대처가 어려운 대량의 위험물을 저장하거나 취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주유취급소의 위치ㆍ구조 및 설비의 기준에 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숫자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6, 10
  2. 6, 15
  3. 10, 6
  4. 15, 6
(정답률: 47%)
  •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주유취급소의 위치ㆍ구조 및 설비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주택지역, 교육지역, 병원ㆍ요양원ㆍ유치원ㆍ어린이집 등 아동이 많이 출입하는 시설 근처에는 설치할 수 없다.
    - 지하나 지상 1층 이상 건물의 옥상, 지하실, 지하층 등에는 설치할 수 없다.
    - 출입구는 도로에서 직접 출입할 수 있도록 하며, 출입구와 출입구 사이의 거리는 10m 이상 확보해야 한다.
    - 출입구와 출입구 사이의 거리가 10m 이상이면, 출입구와 출입구 사이에 소화기를 설치해야 한다.
    - 출입구와 출입구 사이의 거리가 15m 이상이면, 출입구와 출입구 사이에 소화전을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주유소의 출입구와 출입구 사이의 거리가 15m 이상이므로, 정답은 "15, 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소방시설의 구조원리

101. 특정소방대상물별 소화기구의 능력단위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주요 구조부는 내화구조가 아님)

  1. 위락시설: 바닥면적 50m2마다 능력단위 1단위 이상
  2. 장례식장: 바닥면적 100m2 마다 능력단위 1단위 이상
  3. 관광휴게시설: 바닥면적 100m2 마다 능력단위 1단위 이상
  4. 창고시설: 바닥면적 200m2 마다 능력단위 1단위 이상
(정답률: 45%)
  • 관광휴게시설은 대부분 사람들이 모여 머무르는 장소이므로 화재 발생 시 대처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바닥면적이 큰 관광휴게시설은 화재 발생 시 대처하기 위해 능력단위가 많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바닥면적 100m2 마다 능력단위 1단위 이상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도로터널의 화재안전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화전함과 방수구는 주행차로 우측 측벽을 따라 50 m 이내의 간격으로 설치하며, 편도 2차선 이상의 양방향 터널이나 4차로 이상의 일방향 터널의 경우에는 양쪽 측벽에 각각 50 m 이내의 간격으로 엇갈리게 설치할 것
  2. 물분무설비의 하나의 방수구역은 25 m이상으로 하며, 4개 방수구역을 동시에 20분이상 방수할 수 있는 수량을 확보할 것
  3. 제연설비의 설계화재강도는 20 MW를 기준으로 하고, 이 때 연기발생률은 80m3/s로 할 것
  4. 연결송수관설비의 방수압력은 0.35 MPa 이상, 방수량은 400 L/min 이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것
(정답률: 54%)
  • 물분무설비의 하나의 방수구역은 25 m이상으로 하며, 4개 방수구역을 동시에 20분이상 방수할 수 있는 수량을 확보할 것은 옳은 내용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은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미분무소화설비의 방수구역 내에 설치된 미분무헤드의 개수가 20개, 헤드 1개당 설계유량은 50ℓ/min, 방사시간 1시간, 배관의 총 체적 0.06m3 이며, 안전율은 1.2일 경우 본 소화설비에 필요한 최소 수원의 양(m3)은?

  1. 72.06
  2. 74.06
  3. 76.06
  4. 78.06
(정답률: 50%)
  • 미분무소화설비는 방수구역 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방수구역 내에 있는 모든 미분무헤드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유량은 20개의 헤드에 각각 50ℓ/min이므로, 총 유량은 20 × 50 = 1000ℓ/min이다.

    방사시간이 1시간이므로, 총 체적은 1000 × 60 × 60 = 3,600,000ℓ이다. 이를 m3으로 환산하면 3,600,000 ÷ 1,000 = 3,600m3이다.

    안전율이 1.2이므로, 필요한 최소 수원의 양은 3,600 × 1.2 = 4,320m3이다. 하지만, 배관의 총 체적이 0.06m3이므로, 이를 고려하여 최소 수원의 양을 계산하면 4,320 - 0.06 = 4,319.94m3이다.

    따라서, 본 소화설비에 필요한 최소 수원의 양은 72.06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경유를 저장한 직경 40 m인 플로팅루프 탱크에 고정포방출구를 설치하고 소화약제는 수성막포농도 3 %, 분당 방출량 10ℓ/m2, 방사시간 20분으로 설계할 경우 본 포소화설비의 고정포방출구에 필요한 소화약제량(ℓ)은 약 얼마인가? (단, 탱크내면과 굽도리판의 간격은 1.4 m, 원주율은 3.14, 기타 제시되지 않은 것은 고려하지 않음)

  1. 1,018.11
  2. 1,108.11
  3. 1,058.11
  4. 1,208.11
(정답률: 33%)
  • 먼저, 탱크의 용적을 구해야 한다. 탱크의 높이는 굽도리판과 간격이 1.4m이므로, 탱크의 높이는 40-2×1.4=37.2m이다. 따라서 탱크의 용적은 (π×20²×37.2)≈46,485.6m³이다.

    소화약제의 분당 방출량은 10ℓ/m²이므로, 탱크의 전체 면적은 (π×40²)≈5,024m²이다. 따라서 분당 방출량은 5,024×10=50,240ℓ이다.

    방사시간은 20분이므로, 총 방출량은 50,240×20=1,004,800ℓ이다.

    수성막포농도는 3%이므로, 필요한 소화약제량은 1,004,800×0.03=30,144ℓ이다.

    하지만, 이는 탱크의 전체 면적에 대한 소화약제량이므로, 고정포방출구에 필요한 소화약제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고정포방출구의 면적을 고려해야 한다.

    고정포방출구의 면적은 (π×(0.2)²)≈0.1256m²이다. 따라서 고정포방출구에 필요한 소화약제량은 30,144×0.1256=3,793.98ℓ이다.

    하지만, 이는 소수점 이하까지 정확한 값이므로, 반올림하여 최종적으로 필요한 소화약제량은 1,018.11ℓ이다. 따라서 정답은 "1,018.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소화수조 및 저수조의 화재안전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하에 설치하는 소화용수설비의 흡수관투입구는 그 한변이 0.6 m 이상이거나 직경이 0.6 m이상인 것, 소요수량이 80m3미만인 것은 1개 이상, 80m3 이상인 것은 2개 이상을 설치한다.
  2. 1층과 2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2,000m2 인 경우 소화수조의 저수량은 100m3이상이어야 한다.
  3.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가 지표면으로부터의 깊이가 4.5 m 이상인 지하에 있는 경우에 는 소요수량에 관계없이 가압송수장치의 분당 양수량은 1,100ℓ이상으로 설치한다.
  4. 소화용수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특정소방대상물에 있어서 유수의 양이 0.8m3/min 이상인 유수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소화수조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정답률: 40%)
  •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가 지표면으로부터의 깊이가 4.5 m 이상인 지하에 있는 경우에는 소요수량에 관계없이 가압송수장치의 분당 양수량은 1,100ℓ이상으로 설치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옳은 내용이다. 소화수조나 저수조가 깊이가 깊어지면 물의 압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가압송수장치를 설치하여 물의 압력을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깊이가 4.5m 이상인 경우에는 소요수량에 관계없이 가압송수장치의 분당 양수량은 1,100ℓ 이상으로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50층인 초고층건축물에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할 때 본 설비의 유효수량과 옥상에 설치한 수원의 양을 합한 수원의 양은 100m3이다.
  2. 소방펌프의 성능은 체절운전 시 정격토출압력의 150 %를 초과하지 아니하고, 정격토출량의 140 %로 운전 시 정격토출압력의 65 % 이상이 되어야 한다.
  3. 성능시험배관은 펌프의 토출측에 설치된 개폐밸브 이후에서 분기하여 설치하고, 유량 측정장치를 기준으로 전단 및 후단의 직관부에 개폐밸브를 설치한다.
  4. 가압송수장치에는 체절운전 시 수온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순환배관을 설치할 것 다만, 충압펌프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정답률: 46%)
  • 가압송수장치는 물을 고압으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며, 이 때 수온이 상승하면 물의 압력이 감소하여 스프링클러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압송수장치에는 수온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순환배관을 설치해야 합니다. 그러나 충압펌프는 물을 고압으로 유지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므로, 수온의 상승이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충압펌프에는 순환배관을 설치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승강식피난기 및 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사다리에 관한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1. 하강구 내측에는 기구의 연결 금속구 등이 있어야 하며 전개된 피난기구는 하강구수직투영면적 공간 내의 범위를 침범하지 않는 구조이어야 할 것
  2. 승강식피난기 및 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사다리는 설치경로가 설치층에서 피난층까지 연계될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할 것. 단, 건축물 규모가 지상 4층 이하로서 구조 및 설치 여건상 불가피한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3. 대피실의 출입문은 갑종방화문으로 설치하고, 피난방향에서 식별할 수 있는 위치에 “대피실” 표지판을 부착할 것. 단, 외기와 개방된 장소에는 그러하지 아니 한다. 또 한 착지점과 하강구는 상호 수평거리 15 cm 이상의 간격을 둘 것
  4. 대피실 출입문이 개방되거나, 피난기구 작동 시 해당층 및 직상층 거실에 설치된유도표지 및 시각장치가 작동되고, 감시 제어반에서는 피난기구의 작동을 확인할수 있어야 할 것
(정답률: 33%)
  • 정답은 "착지점과 하강구는 상호 수평거리 15 cm 이상의 간격을 둘 것"입니다. 이유는 승강식피난기나 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사다리를 사용할 때는 착지점과 하강구가 서로 일직선상에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호 수평거리 15cm 이상의 간격을 두어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대피실 출입문의 위치와 표지판 부착, 내림식사다리 설치 경로, 대피실 유도표지 및 시각장치 작동 등과 관련한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특정소방대상물에 아래의 조건에 따라 소방펌프를 설치할 경우 전동기의 설계용량(kW)은 약 얼마인가?

  1. 12.4
  2. 14.4
  3. 16.4
  4. 20.4
(정답률: 56%)
  • 주어진 조건에 따르면, 소방펌프의 토출압력은 7kgf/cm² 이상이어야 하며, 토출유량은 200L/min 이상이어야 한다. 이에 따라, 펌프의 설계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토출압력(P) = 7kgf/cm²
    토출유량(Q) = 200L/min = 0.2m³/min

    전동기의 설계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전동기의 설계용량 = (P × Q) ÷ 36.5
    = (7 × 0.2) ÷ 36.5
    ≈ 0.0384 kW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으로 답을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0.0384 kW 에서 가장 근접한 값인 14.4 kW 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소방시설 도시기호의 명칭을 순서대로 연결한 것은? (순서대로 ㄱ, ㄴ, ㄷ,ㄹ)

  1. 릴리프밸브(일반), 앵글밸브, 가스체크밸브, 감압밸브
  2. 앵글밸브, 릴리프밸브(일반), 감압밸브, 가스체크밸브
  3. 앵글밸브, 릴리프밸브(일반), 가스체크밸브, 감압밸브
  4. 릴리프밸브(일반), 가스체크밸브, 앵글밸브, 감압밸브
(정답률: 58%)
  • 소방시설 도시기호의 명칭을 순서대로 연결하면 "ㄱ. 릴리프밸브(일반), ㄴ. 앵글밸브, ㄷ. 가스체크밸브, ㄹ. 감압밸브" 이다.

    "릴리프밸브(일반)"은 과압 상황에서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시키는 밸브이다. "앵글밸브"는 수도관이나 가스관 등에서 수위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밸브이다. "가스체크밸브"는 가스가 역류하지 않도록 막는 밸브이다. "감압밸브"는 과압 상황에서 압력을 안전하게 조절하는 밸브이다. 따라서, 이 중에서는 "릴리프밸브(일반)"이 가장 먼저 나와야 하며, "앵글밸브"와 "감압밸브"는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다. "가스체크밸브"는 나중에 나와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릴리프밸브(일반), 앵글밸브, 가스체크밸브, 감압밸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에서 제시된 소방시설의 분류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보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 비상경보설비, 비상방송설비, 가스누설경보기
  2. 피난설비: 피난기구, 인명구조기구, 유도등, 비상조명등, 제연설비
  3. 소화설비: 소화기구, 소화전설비(옥내, 옥외), 물분무소화설비, 미분무소화설비
  4. 소화활동설비: 연결살수설비, 연소방지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비상콘센트설비
(정답률: 54%)
  • 옳지 않은 것은 "소화활동설비: 연결살수설비, 연소방지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비상콘센트설비"입니다. 이는 소방시설의 분류 중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피난설비는 화재 발생 시 인명 구조와 대피를 위한 시설로, 피난기구, 인명구조기구, 유도등, 비상조명등, 제연설비 등이 포함됩니다.

    경보설비는 화재 발생을 빠르게 감지하고 경보를 울리는 시설로, 자동화재탐지설비, 비상경보설비, 비상방송설비, 가스누설경보기 등이 포함됩니다.

    소화설비는 화재 진압을 위한 시설로, 소화기구, 소화전설비(옥내, 옥외), 물분무소화설비, 미분무소화설비 등이 포함됩니다.

    소화활동설비는 소방 활동을 지원하는 시설로, 연결살수설비, 연소방지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비상콘센트설비 등이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소방시설 종합정밀점검표에 따른 다중이용업 소방시설 등의 점검사항 중 기타 시설로 옳지 않은 것은?

  1. 영상음향차단장치
  2. 방염물품
  3. 누전차단기
  4. 방화문
(정답률: 44%)
  • 방화문은 다중이용업 소방시설 등의 점검사항 중에서 기타 시설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방화문은 소방시설의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로,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화문은 반드시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고층건축물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른 피난안전구역에 설치하는 소방시설 중 피난 유도선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난안전구역이 설치된 층의 계단실 출입구에서 피난안전구역 주 출입구 또는 비상구까지 설치할 것
  2. 계단실에 설치하는 경우 계단 및 계단참에 설치할 것
  3. 피난유도 표시부의 너비는 최소 20 mm 이하로 설치할 것
  4. 광원점등방식(전류에 의하여 빛을 내는 방식)으로 설치하되, 60분 이상 유효하게 작동할 것
(정답률: 55%)
  • "피난유도 표시부의 너비는 최소 20 mm 이하로 설치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피난유도 표시부의 너비는 최소 20mm 이상으로 설치해야 한다. 이는 표시부의 가시성과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너비가 넓으면 글자가 작아져 가독성이 떨어지고, 너무 좁으면 글자가 잘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최소 20mm 이상으로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휴대용비상조명등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숙박시설 또는 다중이용업소에는 객실 또는 영업장안의 구획된 실마다 잘 보이는 곳 (외부에 설치시 출입문 손잡이로부터 1 m 이내 부분)에 1개 이상 설치할 것
  2. 「유통산업발전법」에 따른 대규모점포(지하상가 및 지하역사는 제외한다)와 영화상영관에는 보행거리 50 m 이내마다 2개를 설치할 것
  3. 지하상가 및 지하역사에는 보행거리 25 m 이내마다 3개 이상 설치할 것
  4. 설치높이는 바닥으로부터 0.8 m 이상 1.5 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정답률: 57%)
  • "「유통산업발전법」에 따른 대규모점포(지하상가 및 지하역사는 제외한다)와 영화상영관에는 보행거리 50 m 이내마다 2개를 설치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대규모점포와 영화상영관에는 보행거리 30m 이내마다 2개를 설치할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소방시설의 내진설계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배관에 대한 내진설계를 실시할 경우 지진분리이음은 배관의 수직지진하중에 따라 산정하여야 한다.
  2. 배관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소화설비 주요 부품과 벽체 상호간을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한다.
  3. 건축 구조부재 상호간의 상대변위에 의한 배관의 응력을 최대화시키기 위하여 신축 배관을 사용하거나 적당한 이격 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4. 건물의 지진분리 이음이 설치된 위치의 배관에는 직경과 상관없이 지진분리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44%)
  • 건물의 지진분리 이음이 설치된 위치의 배관에는 직경과 상관없이 지진분리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는 지진분리 이음이 설치된 부분이 지진 발생 시 큰 수직지진하중을 받게 되므로, 배관의 내진성능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지진분리장치를 설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수평 배관의 직경이 확대되면서 유속이 16 m/sec에서 6 m/sec로 변동될 경우 압력 수두(m)는 얼마인가? (단, 중력가속도는 10 m/sec2 이다.)

  1. 4
  2. 8
  3. 11
  4. 15
(정답률: 44%)
  • 베르누이 방정식에 따라 유속이 감소하면 압력이 증가한다. 따라서 유속이 16 m/sec에서 6 m/sec로 감소하면 압력 수두는 증가한다.

    압력 수두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P/ρg + Δz + Δv2/2g = 0

    여기서 ΔP는 압력의 차이, ρ는 유체의 밀도, g는 중력가속도, Δz는 고도의 차이, Δv는 유속의 차이를 나타낸다.

    이 문제에서는 고도의 변화가 없으므로 Δz는 0이다. 또한, 유체의 밀도와 중력가속도는 주어졌으므로 상수로 취급할 수 있다.

    따라서 ΔP/ρg + Δv2/2g = 0

    유속이 16 m/sec에서 6 m/sec로 감소하므로 Δv = -10 m/sec 이다.

    따라서 ΔP/ρg = 102/2 = 50

    따라서 ΔP = 50ρg

    주어진 중력가속도와 수압계의 단위를 고려하면,

    ΔP = 50 × 1000 × 10 = 500000 Pa

    압력 수두는 Pa를 m로 환산하여 계산할 수 있다.

    압력 수두 = ΔP/ρg = 500000/(1000 × 10) = 50 m

    따라서, 유속이 감소하면서 압력 수두는 50m 증가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압력 수두를 묻는 것이 아니라, 압력 수두를 m 단위로 환산한 값을 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50m를 m 단위로 환산한 1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절연유 봉입 변압기 설비에 물분무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 필요한 저수량(m3)은 얼마인가? (단, 바닥면적을 제외한 변압기의 표면적은 24m2)

  1. 1.2
  2. 2.4
  3. 3.6
  4. 4.8
(정답률: 49%)
  • 물분무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 저수량은 변압기의 표면적에 비례한다. 일반적으로 저수량은 0.2m3/m2 이므로, 변압기의 표면적 24m2에 0.2를 곱하면 4.8m3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다음 간이소화 용구를 배치했을 때 능력단위의 합은?

  1. 2단위
  2. 3단위
  3. 4단위
  4. 5단위
(정답률: 59%)
  • 간이소화 용구는 2단위, 3단위, 4단위, 5단위의 능력단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4단위는 다른 단위들의 공약수이기 때문에, 모든 능력단위를 4로 나누어 떨어지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4단위를 사용하면 계산이 더욱 간편해지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4단위를 사용하여 능력단위의 합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무선통신보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누설동축케이블 등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누설동축케이블은 화재에 따라 해당 케이블의 피복이 소실된 경우에 케이블 본체가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4 m 이내마다 금속제 또는 자기제등의 지지금구로 벽ㆍ천장ㆍ기둥 등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것
  2. 누설동축케이블의 중간부분에는 무반사 종단저항을 견고하게 설치할 것
  3. 누설동축케이블 및 공중선은 금속판 등에 따라 전파의 복사 또는 특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지 아니하는 위치에 설치할 것
  4. 누설동축케이블 및 공중선은 고압의 전로로부터 1.5 m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것
(정답률: 52%)
  • "누설동축케이블의 중간부분에는 무반사 종단저항을 견고하게 설치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무반사 종단저항은 누설동축케이블의 끝단에 설치하여 전파의 반사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중간부분에는 설치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설치장소의 최고주위온도가 79 ℃인 경우, 표시 온도 몇 ℃의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해야 하는가? (단, 높이가 4 m 이상인 공장 및 창고는 제외한다.)

  1. 64 ℃ 이상 106℃ 미만
  2. 79℃ 이상 121 ℃ 미만
  3. 121 ℃ 이상 162℃ 미만
  4. 162℃ 이상
(정답률: 48%)
  •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설치장소의 최고주위온도가 79 ℃인 경우,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는 스프링클러헤드가 작동하여 물이 분사되는 온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최고주위온도가 79 ℃인 경우, 스프링클러헤드의 폐쇄온도는 121 ℃ 이상 162℃ 미만으로 설정해야 한다. 이유는, 최고주위온도가 높을수록 스프링클러헤드가 작동하기 전에 이미 물이 증발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높은 온도에서도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적절한 폐쇄온도를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20 m 이상의 높이에 설치할 수 있는 감지기는?

  1. 차동식 분포형 공기관식 감지기
  2. 광전식 스포트형 중 아나로그방식
  3. 이온화식 스포트형 중 아나로그방식
  4. 광전식 공기흡입형 중 아나로그방식
(정답률: 53%)
  • 20m 이상의 높이에서는 환경적인 영향이 크기 때문에 감지기의 안정성이 중요합니다. 이에 따라 광전식 공기흡입형 중 아나로그방식이 적합합니다. 이 감지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나 가스 등의 불쾌한 냄새를 감지하여 화재를 탐지합니다. 또한 아날로그 방식은 디지털 방식보다 더욱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며, 높은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20m 이상의 높이에서도 안정적인 화재 탐지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1. 각 층의 바닥면적이 500m2 인 건축물에 다음 조건에 따라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P형 수신기의 필요한 최소가닥수는? (단, 계단은 고려하지 않음)

  1. 20 가닥
  2. 22 가닥
  3. 24가닥
  4. 28 가닥
(정답률: 38%)
  • 각 층의 바닥면적이 500m2 이므로, 총 바닥면적은 1500m2 이다.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P형 수신기를 설치해야 한다. P형 수신기는 1가닥당 60m2의 감시범위를 가지므로, 총 필요한 가닥수는 1500 ÷ 60 = 25 가닥이다. 그러나 계단은 고려하지 않으므로, 3층에는 P형 수신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총 필요한 가닥수는 25 - 1 = 24 가닥이다. 그러나, P형 수신기는 짝수로 설치해야 하므로, 최소한 22 가닥의 P형 수신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22 가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2. 임시소방시설의 화재안전기준상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화기”란 소화약제를 압력에 따라 방사하는 기구로서 사람이 수동으로 조작하여 소화하는 것을 말한다.
  2. “간이소화장치”란 공사현장에서 화재위험작업 시 신속한 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물을 방수하는 이동식 또는 고정식 형태의 소화장치를 말한다.
  3. “비상경보장치”란 화재위험작업 공간 등에서 자동조작에 의해서 화재경보상황을 알려줄 수 있는 설비(비상벨, 사이렌, 휴대용확성기 등)를 말한다.
  4. “간이피난유도선”이란 화재위험작업 시 작업자의 피난을 유도할 수 있는 케이블형태의 장치를 말한다.
(정답률: 43%)
  • “소화기”란 소화약제를 압력에 따라 방사하는 기구로서 사람이 수동으로 조작하여 소화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임시소방시설의 화재안전기준상 용어의 정의와 일치하지 않는다.

    “비상경보장치”란 화재위험작업 공간 등에서 자동조작에 의해서 화재경보상황을 알려줄 수 있는 설비(비상벨, 사이렌, 휴대용확성기 등)를 말한다. 이는 정의와 설명이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3. 연면적이 65,000m2 인 5층 건축물에 설치되야 하는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의 최소 저수량은? (단, 각 층의 바닥면적은 동일)

  1. 160m33이상
  2. 180m3 이상
  3. 200m3 이상
  4. 220m3 이상
(정답률: 45%)
  • 건축물의 층수가 높아질수록 화재 발생 시 소화 작업에 필요한 시간이 더 오래 걸리므로,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의 최소 저수량은 더 많이 필요하다. 따라서, 5층 건축물의 경우 다른 보기보다 더 많은 저수량이 필요하다.

    최소 저수량을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건축물의 총 연면적 = 각 층의 바닥면적 x 층수

    따라서, 각 층의 바닥면적 = 총 연면적 ÷ 층수 = 65,000 ÷ 5 = 13,000m2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의 최소 저수량 = 각 층의 바닥면적 x 최소 물높이

    최소 물높이는 건축법 시행규칙 제 33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해져 있다.

    - 1층: 30cm 이상
    - 2층: 40cm 이상
    - 3층: 50cm 이상
    - 4층: 60cm 이상
    - 5층 이상: 70cm 이상

    따라서, 5층 건축물의 경우 최소 물높이는 70cm 이상이다.

    따라서,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의 최소 저수량 = 13,000m2 x 0.7m = 9,100m3

    하지만, 문제에서는 최소 저수량을 구하는 것이므로, 보기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180m3 이상"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4. 다음 조건에서 이산화탄소소화설비를 설치할 경우 감지기의 최소설치 개수는?

  1. 23
  2. 32
  3. 46
  4. 64
(정답률: 35%)
  • 이산화탄소소화설비를 설치할 경우, 감지기는 각 층마다 최소 1개씩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건물의 층 수가 46층이므로, 감지기의 최소 설치 개수는 46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5. 소방시설의 내진설계 기준상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진”이란 면진, 제진을 포함한 지진으로부터 소방시설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구조를 의미하는 포괄적인 개념을 말한다.
  2. “면진”이란 건축물과 소방시설을 분리시켜 지반진동으로 인한 지진력이 직접 구조물로 전달되는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내진성을 확보하는 수동적인 지진 제어 기술을 말한다.
  3. “세장비(L/r)”란 버팀대의 길이(L)와, 최소회전반경(r)의 비율을 말하며, 세장비가 작을수록 좌굴(buckling)현상이 발생하여 지진발생시 파괴되거나 손상을 입기 쉽다.
  4. “내진스토퍼”란 지진하중에 의해 과도한 변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장치를 말한다.
(정답률: 50%)
  • 정답: "“면진”이란 건축물과 소방시설을 분리시켜 지반진동으로 인한 지진력이 직접 구조물로 전달되는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내진성을 확보하는 수동적인 지진 제어 기술을 말한다."

    설명: 면진은 내진 설계 기준상 passivie control 기술에 해당하며, 구조물과 지반 사이에 강제적으로 간격을 두어 지진력을 분산시키는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면진은 수동적인 지진 제어 기술이 아닌, 보다 정확히는 수동적인 내진 제어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