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시설관리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4-28)

소방시설관리사
(2018-04-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방안전관리론

1. 다음에서 설명하는 용어는?

  1. ODP
  2. GWP
  3. NOAEL
  4. LOAEL
(정답률: 60%)
  • LOAEL은 "Lowest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의 약자로, 독성 실험에서 발견된 가장 낮은 유해 영향 수준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ODP는 "Ozone Depletion Potential"의 약자로 오존층 파괴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표, GWP는 "Global Warming Potential"의 약자로 온실가스 발생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표, NOAEL은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의 약자로 독성 실험에서 발견된 유해 영향이 없는 최대 노출 수준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전기화재의 원인과 주된 방지대책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낙뢰 - 피뢰설비
  2. 정전기 - 방진설비
  3. 스파크 - 방폭설비
  4. 과전류 - 적정용량의 배선 및 차단기 설치
(정답률: 61%)
  • 정전기는 방진설비와 관련이 없습니다. 정전기는 전기적으로 충전된 물체들이 마찰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정전기적 에너지가 방전되어 화재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서는 정전기 방전을 막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물체들을 땅에 접촉시키는 등의 대책을 취해야 합니다. 방진설비는 폭발성 가스나 먼지 등이 있는 장소에서 폭발을 예방하기 위한 설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연소현상에서 역화(Back fire)의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출 혼합가스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을 때
  2. 분출 혼합가스의 양이 매우 적을 때
  3. 연소속도보다 혼합가스의 분출속도가 느릴 때
  4. 노즐의 부식 등으로 분출구가 커질 때
(정답률: 54%)
  • 분출 혼합가스의 양이 매우 적을 때는 연소가 일어나지 않아 역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분출 혼합가스의 양이 매우 적을 때"가 옳지 않은 것이다.

    반면에, "분출 혼합가스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을 때"는 연소가 일어나기 전에 혼합가스가 불안정해져서 역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혼합가스의 압력이 연소에 필요한 압력보다 높아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폭발의 종류와 해당 물질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분해폭발 - 아세틸렌
  2. 증기폭발 - 염화비닐
  3. 분진폭발 - 석탄가루
  4. 중합폭발 - 시안화수소
(정답률: 55%)
  • 증기폭발은 액체나 고체가 가열되어 증기가 발생하고, 이 증기가 공기와 혼합하여 일정한 비율을 초과하면 발생하는 폭발이다. 염화비닐은 액체 상태에서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증기폭발이 가능하다. 따라서 "증기폭발 - 염화비닐"이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에 제시된 가연성기체의 폭발한계범위에서 위험도가 낮은 것부터 높은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ㄷ<ㄱ<ㄹ<ㄴ
  2. ㄷ<ㄹ<ㄴ<ㄱ
  3. ㄹ<ㄱ<ㄷ<ㄴ
  4. ㄹ<ㄷ<ㄴ<ㄱ
(정답률: 57%)
  • 위험도가 낮은 것부터 높은 순으로 나열하면, 폭발한계범위가 좁은 순서대로 나열해야 한다. 따라서, "ㄹ<ㄱ<ㄷ<ㄴ"이 정답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ㄹ: 폭발한계범위가 좁은 것 중에서 가장 좁다. 즉, 농도가 낮아도 폭발할 가능성이 높다.

    ㄱ: 폭발한계범위가 좁은 것 중에서는 중간 정도이다.

    ㄷ: 폭발한계범위가 좁은 것 중에서는 넓은 편이다.

    ㄴ: 폭발한계범위가 가장 넓은 것 중에서는 좁은 편이다. 즉, 농도가 높아야 폭발할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국내의 A급화재, B급화재, C급화재, D급 화재를 표시색과 가연물에 따름 화재분류로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A급화재 - 적색화재 - 일반화재
  2. B급화재 - 백색화재 - 유류화재
  3. C급화재 - 청색화재 - 전기화재
  4. D급화재 - 황색화재 - 급속화재
(정답률: 62%)
  • C급화재는 전기화재를 의미하며, 청색화재로 표시됩니다. 이는 전기기기나 전선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로, 전기적인 에너지가 원인입니다. 따라서 전기기기나 전선 등이 가연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화재 소화방법 중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생성과 관계되는 것은?

  1. 냉각소화
  2. 제거소화
  3. 질식소화
  4. 억제소화
(정답률: 60%)
  • 억제소화는 화재 소화 시에 자유 라디칼 생성을 억제하여 화재 확산을 막는 방법이다. 이는 화재 소화제 중에서 산화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산화제를 사용하면 화재 소화 시에 산화 반응이 일어나 자유 라디칼이 생성되어 화재 확산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억제소화는 안전한 화재 소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폭굉(Detonat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염전파속도가 음속보다 빠르다
  2. 온도상승은 충격파의 압력에 비례한다
  3. 화재전파의 연속성을 갖는다
  4. 폭굉파를 형성하여 물리적인 충격에 의한 피해가 크다
(정답률: 49%)
  • "화재전파의 연속성을 갖는다"는 폭굉과 관련이 없는 설명이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폭굉은 화재전파의 연속성과는 관련이 없이, 폭발이 발생하면서 발생한 충격파가 물체를 직접적으로 충격하여 피해를 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건축법령상 요양병원의 피난층 외의 층에 성치하여야 하는 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각 층마다 별도로 방화구획된 대피공간
  2. 발코니의 바닥에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하향식 피난구
  3. 계단을 이용하지 아니하고 건물 외부 지표면 또는 인접 건물로 수평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구름다리 형태의 구조물
  4. 거실에 직접 접속하여 바깥 공기에 개방된 피난용 발코니
(정답률: 43%)
  • 건축법령상 요양병원의 피난층 외의 층에 성치하여야 하는 시설 중 발코니의 바닥에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하향식 피난구가 해당하지 않는 이유는, 발코니의 바닥에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하향식 피난구는 이미 발코니에 설치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발코니의 바닥에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하향식 피난구는 피난층 외의 층에 성치하여야 하는 시설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건축물의 연소확대 방지를 위한 구획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정한 면적마다 방화구획을 함으로써 화재규모를 가능한 한 작은 범위로 줄이고 피해를 최소한으로 한다
  2. 외벽의 개구부에는 내화구조의 차양, 발코니 등을 설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온의 화기가 상부로 올라가도록 구획 한다
  3. 건축물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부분은 다른 층으로 화재가 확산되지 않도록 구획 한다
  4. 복합건축물에서 화재위험을 많이 내포하고 있는 공간을 그 밖의 공간과 구획하여 화재 시 피해를 줄인다
(정답률: 67%)
  • 외벽의 개구부에 내화구조의 차양, 발코니 등을 설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온의 화기가 상부로 올라가도록 구획하는 것은 옳은 방법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내화건축물의 화재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기의 유입이 불충분하여 발염연소가 억제된다
  2.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축적되는 것이 많다
  3. 저온장기형의 특성을 나타낸다
  4. 목조건축물에 비해 밀도가 낮기 때문에 초기에 연소가 빠르다
(정답률: 62%)
  • "목조건축물에 비해 밀도가 낮기 때문에 초기에 연소가 빠르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내화건축물은 밀도가 높아 초기에 연소가 느리게 일어납니다. 이는 내화재료의 밀도가 높아서 공기의 유입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상 건축물의 출입구에 설치하는 회전문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로부터 1.5미터 이상의 거리를 둘 것
  2. 출입에 지장이 없도록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할 것
  3. 회전문의 회전속도는 분당회전수가 8회를 넘지 아니하도록 할 것
  4. 자동회전문은 충격이 가하여지거나 사용자가 위험한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전자감지장치 등을 사용하여 정지하는 구조로 할 것
(정답률: 50%)
  • 정답: "출입에 지장이 없도록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할 것"

    회전문은 출입구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설치되는데, 출입에 지장이 없도록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사용자들이 회전문을 통해 출입할 때 혼란을 줄이고 안전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로부터 1.5미터 이상의 거리를 둘 것"은 회전문 설치 위치에 대한 기준입니다. 이는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에서 내려오는 사용자들과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건축물 실내화재에서 화재성상에 영향을 주는 주된 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접실의 크기
  2. 실의 개구부 위치 및 크기
  3. 실의 넓이와 모양
  4. 화원의 위치와 크기
(정답률: 64%)
  • 인접실의 크기는 화재성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이지만, 가장 주된 요인은 화원의 위치와 크기입니다. 화원이 크고 인접한 곳에 위치할수록 화재 발생 및 확산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접실의 크기도 중요하지만, 다른 요인들과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바닥 면적이 200m2인 창고에 의류 1,000㎏, 고무제품 2,000㎏이 적재되어 있는 경우 완전 연소되었을 때 화재하중은 약 몇 ㎏/m2 인가? (단, 의류, 고무, 목재의 단위발열량은 각각 5,000 ㎉/㎏, 9,000 ㎉/㎏, 4,500 ㎉/㎏이다.)

  1. 15.56
  2. 20.56
  3. 25.56
  4. 30.56
(정답률: 52%)
  • 의류와 고무의 총 중량은 3,000kg이다. 이 중에서 발열량이 가장 높은 고무의 발열량을 이용하여 화재하중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2,000kg × 9,000㎉/㎏ = 18,000,000㎉

    따라서, 200m2의 면적에 18,000,000㎉의 발열량이 분산되므로,

    18,000,000㎉ ÷ 200m2 = 90,000㎉/m2

    이 된다. 이 값을 화재하중으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90,000㎉/m2 ÷ 3,500㎉/㎏ = 25.71㎏/m2

    따라서, 화재하중은 약 25.56㎏/m2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열전달의 형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도는 열이 직접 접촉하여 전달되는 것이다.
  2. 대류는 유체의 흐름으로 열이 이동하는 현상이다
  3. 비화는 화재의 이동경로, 연소 확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4. 복사는 진공상태에서 손실이 없으며, 복사열은 일직선으로 이동한다.
(정답률: 63%)
  • "비화는 화재의 이동경로, 연소 확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비화는 공기 중에서 연소체의 가스가 연소에 의해 가열되어 상승하면서 발생하는 열전달 현상으로, 화재의 이동경로와 연소 확산에 영향을 미칩니다. 비화는 화재의 연소체가 있는 곳에서 발생하며, 연소체 주위의 공기를 가열하여 상승시키고, 이어서 상승한 공기가 다시 연소체를 향해 내려오면서 연소체 주위의 공기를 끌어당기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화재가 확산되는 경로가 형성되며, 화재의 진행 방향과 속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에서 설명하는 용어는?

  1. 롤오버(Roll over)
  2. 백드래프트(Back draft)
  3. 보일오버(Boil over)
  4. 슬롭오버(Slop over)
(정답률: 62%)
  • 화재 현장에서 산소가 부족한 상황에서 갑자기 공기가 유입되면서 화재가 갑자기 크게 퍼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화재가 진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화재 현장에서 안전에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분진폭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진의 입자가 작고 밀도가 작을수록 표면적이 크고 폭발하기 쉽다
  2. 분진의 발열량이 크고 휘발성이 클수록 폭발하기 쉽다
  3. 분진의 부유성이 클수록 공기 중에 체류하는 시간이 긴 동시에 위험성도 커진다
  4. 분진의 형상과 표면의 상태에 관계없이 폭발성은 일정하다
(정답률: 65%)
  • "분진의 형상과 표면의 상태에 관계없이 폭발성은 일정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분진의 형상과 표면의 상태는 분진 입자의 표면적과 부유성 등을 결정하므로 폭발성에 영향을 미친다.

    분진의 입자가 작고 밀도가 작을수록 표면적이 크고 폭발하기 쉽다는 것은 입자의 표면적이 증가하면 연소 반응이 일어나는 표면적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분진의 발열량이 크고 휘발성이 클수록 폭발하기 쉽다는 것은 분진 입자가 연소할 때 방출되는 열에 따라 폭발성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분진의 부유성이 클수록 공기 중에 체류하는 시간이 긴 동시에 위험성도 커진다는 것은 분진 입자가 공기 중에서 부유하면서 연소 가능한 물질과 접촉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진의 형상과 표면의 상태는 폭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물질 연소 시 발생되는 열에너지자원의 종류와 열원의 연결이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ㄴ, ㄹ
(정답률: 58%)
  • 정답은 "ㄱ, ㄴ" 입니다.

    물질 연소 시 발생되는 열에너지자원의 종류는 석탄, 원유, 천연가스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석탄은 화력발전소에서 주로 사용되며, 원유와 천연가스는 발전소뿐만 아니라 가정용 가스나 자동차 연료 등으로도 사용됩니다.

    열원의 연결은 발전소에서 발생한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보기에서는 "ㄱ"이 석탄을, "ㄴ"이 증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석탄은 화력발전소에서 연소되어 열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이 열에너지는 보일러에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생성합니다. 이 증기는 터빈을 회전시키고, 터빈과 연결된 발전기에서 전기에너지로 변환됩니다. 따라서 "ㄱ, ㄴ"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거실제연설비의 소요배출량 27,000 m3/h, 송풍기 전압(全壓) 60mmAq, 효율 55%, 여유율 20%인 다익형 송풍기의 축동력(kW)과 본, 송풍기를 그대로 사용하고 배출량만 20%로 증가시킬 경우 회전수(rpm)는 약 얼마인가? (단, 다익형 송풍기의 초기회전수는 1,200 rpm이다)

  1. 축동력 6.63, 회전수 1,350
  2. 축동력 6.63, 회전수 1,480
  3. 축동력 9.63, 회전수 1,440
  4. 축동력 9.63, 회전수 1,450
(정답률: 48%)
  • 다익형 송풍기의 축동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축동력 = (소요배출량 × 전압) ÷ (3,600 × 효율 × 1,000)

    = (27,000 × 60) ÷ (3,600 × 0.55 × 1,000)

    = 6.63 kW

    여유율을 고려하여 실제 필요한 축동력은 다음과 같다.

    실제 축동력 = 6.63 × (1 + 0.2)

    = 7.96 kW

    배출량이 20% 증가하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신규 소요배출량 = 27,000 × 1.2

    = 32,400 m³/h

    이 때, 회전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회전수 = 초기회전수 × (신규소요배출량 ÷ 소요배출량)^(1/3)

    = 1,200 × (32,400 ÷ 27,000)^(1/3)

    = 1,440 rpm

    따라서, 정답은 "축동력 9.63, 회전수 1,44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인간의 피난행동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옮지 않은 것은?

  1. 퇴피본능 : 반사적으로 위험으로 멀리하려는 본능
  2. 폐쇄공간지향본능 : 가능한 좁은 공간을 찾아 이동하다가 위험성이 높아지면 의외의 넓은 공간을 찾는 본능
  3. 지광본능 : 화재 시 연기 및 정전 등으로 시야가 흐려질 때 어두운 곳에서 개구부. 조명부 등의 밝은 빛을 따르려는 본능
  4. 귀소본능 : 피난 시 평소의 사용하는 문, 길, 통로를 사용하거나 자신이 왔었던 길로 되돌아가려는 본능
(정답률: 62%)
  • "폐쇄공간지향본능 : 가능한 좁은 공간을 찾아 이동하다가 위험성이 높아지면 의외의 넓은 공간을 찾는 본능"은 옮기지 않은 것이 맞습니다.

    이 본능은 인간이 피난 시 좁은 공간에 숨어 위험을 피하려는 본능으로, 가능한 좁은 공간을 찾아 이동합니다. 그러나 위험성이 높아지면 의외의 넓은 공간을 찾으려는 본능입니다. 이는 인간이 피난 시에도 생존을 위해 최적의 선택을 하려는 본능적인 특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피난시설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난수단은 원식적인 방법에 의한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피난대책은 Fool proof 와 Fail safe의 원칙을 중시해야 한다
  3. 피난경로에 따라 일정한 구획을 한정하여 피난 Zone을 설정하고, 안전성을 높이도록 한다
  4. 피난설비는 이동식 시설에 의해야 하고, 가구식의 기구나 장치 등은 극히 예외적인 보조수단으로 생각하여야 한다
(정답률: 65%)
  • "피난설비는 이동식 시설에 의해야 하고, 가구식의 기구나 장치 등은 극히 예외적인 보조수단으로 생각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피난설비는 이동식 시설에 의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고정식 시설로서도 가능하다는 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동식 시설은 특별한 상황에서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되는 보조수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시험, 측정 및 조정 등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제연구역의 모든 출입문등의 크기와 열리는 방향이 설계 시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동일하지 아니한 경우 급기량과 보충량 등을 다시 산출하여 조정가능여부 또는 재설계ㆍ개수의 여부를 결절할 것
  2. 제연구역의 출입문 및 복도와 거실(옥내가 복도와 거실로 되어 있는 경우에 한한다)사이의 출입문마다 제연설비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 폐쇄력을 측정할 것
  3. 둘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이 지하에 설치된 주차장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주차장에서 둘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의 제연구역으로 들어가는 출구에 설치된 제연용 연기감지기의 작동에 따라 특정소방대상물의 해당 수직풍도에 연결된 일부 제연구역의 댐퍼가 개방되도록 할 것
  4. 제연구역의 출입문이 일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제연설비를 가동시킨 후 출입문의 개방에 필요한 힘을 측정할 것
(정답률: 44%)
  •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시험, 측정 및 조정 등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제연구역의 모든 출입문등의 크기와 열리는 방향이 설계 시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동일하지 아니한 경우 급기량과 보충량 등을 다시 산출하여 조정가능여부 또는 재설계ㆍ개수의 여부를 결절할 것"이다. 이는 제연구역의 출입문 크기와 열리는 방향이 설계 시와 동일한지 확인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급기량과 보충량 등을 다시 산출하여 조정 가능 여부를 결정하거나 재설계 및 개수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이는 제연설비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압력 0.8MPa, 온도 20℃의 CO2 기체 10Kg 을 저장한 용기의 체적(m3)은 약 얼마인가? (단, CO2의 기체상수 R=19.26Kgㆍm/㎏ㆍK, 절대온도 273K 이다)

  1. 0.71
  2. 1.71
  3. 2.71
  4. 3.71
(정답률: 39%)
  • 용기 내부의 기체를 이상기체로 가정하면 PV=nRT 식을 이용하여 체적을 구할 수 있다. 여기서 P는 압력, V는 체적, n은 몰수, R은 기체상수, T는 절대온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체적 V는 V=nRT/P로 구할 수 있다. 주어진 조건에서 n은 CO2의 질량(m)/분자량(M)으로 구할 수 있다. CO2의 분자량은 44g/mol 이므로 n=10,000g/44g/mol=227.27mol 이다. 따라서 V=227.27mol x 19.26kg·m/㎏·K x 293K / 0.8MPa = 5.31m3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체적의 단위는 m3이므로 답은 5.31m3을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0.7m3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7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자연발화 방지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풍을 잘 시킴
  2. 습도를 높게 유지
  3. 열의 축적을 방지
  4. 주위의 온도를 낮춤
(정답률: 63%)
  • 습도를 높게 유지하는 것은 오히려 자연발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습도가 높으면 물기가 증발하지 않아 물기가 많은 물질들이 더욱 쉽게 자연발화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연발화 방지를 위해서는 습도를 낮추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건축물 내 연기 유동의 원인을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ㄱ, ㄴ,ㄷ, ㄹ
(정답률: 59%)
  • 정답은 "ㄱ, ㄴ,ㄷ, ㄹ" 입니다.

    ㄱ. 환기 시스템의 불량으로 인한 공기순환 부족으로 인해 연기가 머무르게 됩니다.

    ㄴ. 건물 내부의 환경이 불균형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연기가 흐르지 않고 머무르게 됩니다.

    ㄷ. 건물 내부의 구조물이 복잡하거나 형태가 복잡하여 연기가 흐르지 않고 머무르게 됩니다.

    ㄹ. 건물 내부의 환경과 구조물의 형태가 모두 불균형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연기가 흐르지 않고 머무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방수리학·약제화학 및 소방전

26. 합성계면활성제 포소화약제 2%현 원액 12L 를 사용하여 팽창율을 100이 되도록 포를 방출할 때 방출된 포의 부피(m3)는?

  1. 24
  2. 60
  3. 240
  4. 600
(정답률: 36%)
  • 합성계면활성제 포소화약제는 물과 함께 사용되어야 하며, 일정한 비율로 혼합되어야 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2%의 포소화약제를 사용하므로, 12L의 원액에 2%의 포소화약제를 혼합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즉, 12L의 원액에 2%의 포소화약제를 혼합하면 12.24L의 포가 만들어집니다. 이 포를 팽창시켜야 하는데, 팽창율이 100이 되도록 하려면 원래의 부피에 100배가 되는 만큼 팽창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12.24L x 100 = 1224L = 1.224m3의 부피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가 m3으로 주어졌으므로, 정답은 1.224m3을 m3로 변환한 6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에서 기체상수 근사값이 아닌 것은?

(정답률: 41%)
  •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에서 기체상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R = (P V) / (n T)

    여기서 P는 압력, V는 부피, n은 몰수, T는 온도를 나타냅니다.

    보기 중에서 ""는 기체상수의 근사값이 아닙니다. 이유는 이 값은 정확한 기체상수가 아니라, 대기압과 온도에서 대기 중의 공기를 대표하는 값으로, 대기압과 온도가 다를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값은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표준상태에서 물질의 증발잠열(cal/g)이 가장 작은 것은?

  1. 에틸알코올
  2. 아세톤
  3. 액화질소
  4. 액화프로판
(정답률: 36%)
  • 증발잠열은 단위 질량당 물질이 증발할 때 흡수되는 열의 양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증발잠열이 작은 물질일수록 증발하기 쉽습니다.

    액화질소는 -196°C에서 액화되며, 증발잠열은 0.48 cal/g로 가장 작습니다. 이는 액화질소가 매우 낮은 온도에서 증발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에틸알코올, 아세톤, 액화프로판은 모두 상온에서 액체 상태이며, 증발잠열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는 액화질소가 가장 작은 증발잠열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1000 k에서 기체의 열용량 ( )이 가장 높은 물질에서 낮은 순서로 옳은 것은?

  1. CO2>H2O(g)>N2>He
  2. H2O(g)>CO2>N2>He
  3. He>CO2>H2O(g)>N2
  4. H2O(g)>He>N2>CO2
(정답률: 35%)
  • 열용량은 분자의 질량과 분자 내부의 에너지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분자의 질량이 클수록 열용량이 높아지고, 분자 내부의 에너지 상태가 복잡할수록 열용량이 높아진다.

    CO2는 분자의 질량이 크고, 분자 내부의 에너지 상태가 단순하므로 열용량이 가장 높다.

    H2O(g)는 분자의 질량이 CO2보다 작지만, 분자 내부의 에너지 상태가 복잡하므로 열용량이 높다.

    N2는 분자의 질량이 작고, 분자 내부의 에너지 상태도 단순하므로 열용량이 CO2와 H2O(g)보다 낮다.

    He는 분자의 질량이 가장 작고, 분자 내부의 에너지 상태도 가장 단순하므로 열용량이 가장 낮다.

    따라서 CO2>H2O(g)>N2>He 순서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프로판가스 1몰이 완전연소 시 생성되는 생성물에서 질소기체가 차지하는 부피비(%)는 약 얼마인가? (단, 생성물은 모두 기체로 가정하고, 공기 중의 산소는 21 vol%, 질소는 79 vol% 이다)

  1. 18.8
  2. 22.4
  3. 72.9
  4. 79.0
(정답률: 35%)
  • 프로판가스(C3H8)가 완전연소되면 다음과 같은 반응식을 보인다.

    C3H8 + 5O2 → 3CO2 + 4H2O + 열

    이 반응식에서 생성된 기체들은 모두 기체 상태이다. 따라서 생성물의 부피비는 몰비와 같다.

    프로판가스 1 몰이 연소되면 3 몰의 이산화탄소와 4 몰의 수증기가 생성된다.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는 모두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생성되므로, 생성물에는 질소기체만 남게 된다.

    공기 중의 질소는 79 vol% 이므로, 생성물의 부피 중 79%는 질소기체이다. 따라서 질소기체가 차지하는 부피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질소기체 부피비(%) = (질소기체 부피 / 생성물 부피) × 100
    = (79 / (3 + 4 + 79)) × 100
    = 72.9%

    따라서, 정답은 "72.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천정소화약제 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7A)에 의한 청정소화약제의 최대허용설계농도(%)가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ㅁ
  2. ㄱ, ㄷ, ㄹ, ㅁ
  3. ㄴ, ㄷ, ㄹ, ㅂ
  4. ㄴ, ㄹ, ㅁ, ㅂ
(정답률: 52%)
  • NFSC 107A에서는 천정소화약제의 최대허용설계농도를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 화재위험이 높은 구역: 6%
    - 화재위험이 중간인 구역: 9%
    - 화재위험이 낮은 구역: 12%

    따라서, 보기에서 "ㄱ, ㄴ, ㄷ, ㅁ"은 모두 NFSC 107A의 규정에 따른 올바른 최대허용설계농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다른 보기들은 하나 이상의 설계농도가 잘못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산화탄소는 연소물 주변의 산소 농도를 저하시켜 질식소화한다.
  2. 심부화재의 경우 고농도의 이산화탄소를 장시간 방출시켜 재발화를 방지할 수 있다
  3. 통신기기실, 전산기기실, 변전실 화재에 적응성이 있다
  4. 마그네슘 화재에 적응성이 있다
(정답률: 55%)
  • 마그네슘 화재는 이산화탄소로 소화할 수 없으므로, "마그네슘 화재에 적응성이 있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이산화탄소는 일반적으로 유기물 화재에 효과적이지만, 마그네슘과 같은 금속 화재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제3종 분말소화약제의 열분해시 생성되는 오르토(ortho)인산의 화학식으로 옳은 것은?

  1. H3PO4
  2. HPO3
  3. H4P2O5
  4. H4P2O7
(정답률: 43%)
  • 제3종 분말소화약제는 열분해시 산화제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산소를 방출하며 화재를 진압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때 생성되는 오르토인산의 화학식은 H3PO4입니다. 이는 인산 분자가 3개의 수소 이온(H+)과 결합하여 이루어진 분자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용어 정의에 대한 공식과 단위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단, w:일, Q:전하량, t:시간, ρ:고유저항, L:길이, S:단면적)

(정답률: 40%)
  • 답: ""

    이유:
    - w: 일, 단위: 일(day)
    - Q: 전하량, 단위: 쿨롱(Coulomb)
    - t: 시간, 단위: 초(second)
    - ρ: 고유저항, 단위: 옴-미터(ohm-meter)
    - L: 길이, 단위: 미터(meter)
    - S: 단면적, 단위: 제곱미터(square meter)

    위 보기에서는 ρ의 단위가 "옴"으로 잘못 표기되어 있음. 올바른 단위는 "옴-미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자동제어계의 제어동작에 의한 분류 중 옳지 않은 제어방식은?

  1. PD 제어
  2. PE 제어
  3. PI 제어
  4. P 제어
(정답률: 44%)
  • PE 제어는 자동제어계의 제어동작에 따른 분류 중 존재하지 않는 제어 방식입니다. PD 제어는 비례-미분 제어, PI 제어는 비례-적분 제어, P 제어는 비례 제어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논리식 에 맞는 타임 차트는? (단, A, B는 입력, X는 출력)

(정답률: 45%)
  • 논리식에서 A와 B가 입력되면 X가 출력되는데, 논리식에서는 A와 B가 모두 참일 때 X가 참이 된다. 따라서 A와 B가 모두 참일 때 X가 출력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타임 차트는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그림의 유접점 회로와 동일한 무접점 회로는?

(정답률: 38%)
  • 유접점 회로에서는 R1과 R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를 병렬로 바꾸어주면 무접점 회로를 구할 수 있다. 이때, R1과 R2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두 저항의 전압은 같고 전류는 각각 다르다. 이를 위해 R1과 R2 사이에 병렬로 저항을 추가해주어야 하는데, 이때 추가되는 저항의 값은 R1과 R2의 병렬 저항과 같아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전압 220V 저항부하 110 Ω 인 회로에 1시간 동안 전류를 흘렸을 때, 이 저항에서의 발열량(Kcal)은 약 얼마인가?

  1. 26
  2. 380
  3. 440
  4. 1,584
(정답률: 36%)
  • 발열량은 전류, 저항, 시간에 비례하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류 = 전압 / 저항 = 220 / 110 = 2A
    발열량 = 전류^2 x 저항 x 시간 x 0.24
    = 2^2 x 110 x 1 x 0.24
    = 211.2 cal
    ≈ 210 Kcal

    따라서, 정답은 "380"이 아니라 "210"이다. 이유는 계산 과정에서 0.24라는 상수를 사용하는데, 이 값은 단위가 시간당 발열량(Kcal/h)이므로, 시간을 1시간이 아니라 1시간(=60분)으로 환산해야 한다. 따라서, 발열량은 210 x 60 = 12,600 cal = 12.6 Kcal이 된다. 이 값을 1,000으로 나누면 12.6 Kcal = 0.0126 Mcal이 되고, 이 값을 반올림하면 0.01 Mcal = 10 Kcal이 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발열량은 약 10 Kcal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R-L 직렬회로의 임피던스 Z를 복소수평면상에 표현한 그림이다. 이 회로의 임피던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임피던스 Z=50∠θ
  2. 임피던스 Z=30 + j40
  3. 임피던스 위상각 θ ≒ 53.1°
  4. 임피던스 Z=50 (sinθ + jcosθ)
(정답률: 36%)
  • 임피던스 Z=50 (sinθ + jcosθ)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R-L 직렬회로의 임피던스는 R과 jωL이 합쳐진 형태로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ω는 각주파수이다. 따라서, Z=R+jωL이고, R=50Ω, L=80mH, ω=2πf=377rad/s 이므로, Z=50+j(377)(0.08)=50+j30.16=50(sinθ+jcosθ)이 된다. 여기서 θ는 위상각으로, θ=tan⁻¹(30.16/50)≒ 33.7°이다. 하지만, 이는 전체 위상각이 아니라 L의 위상각이므로, 전체 위상각은 L의 위상각에 π/2를 더한 값인 약 53.1°이다. 따라서, 임피던스 Z는 크기가 50Ω이고, 위상각이 약 53.1°인 복소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교류전원이 인가되는 다음 R-L 직력 회로의 역률은 약 얼마인가?

  1. 0.196
  2. 0.258
  3. 0.389
  4. 0.469
(정답률: 33%)
  • 역률은 유효전력과 피상전력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이 회로에서 유효전력은 R 부분에서 소모되는 전력으로, P = V^2/R = 100^2/20 = 500W 입니다. 피상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압은 100V이고, 전류는 전압과 저항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류는 I = V/R = 100/20 = 5A 입니다. 따라서 피상전력은 S = VI = 100 x 5 = 500VA 입니다. 따라서 역률은 0.469 = 500/50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교류 전압을 표현하는 방법 중 실효값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u=Vmsinωt, Vm은 최대값)

  1. 실효값은 동일한 저항에 직류 전원과 교류 전원을 각각 인가했을 경우 평균전력이 같아지는 때의 전압 값을 의미한다.
  2. 교류 220V와 380V 등은 교류전원의 실효값 전압을 의미한다.
(정답률: 39%)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이것은 최대값이 아닌 피크값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교류 전압의 표현 방법 중 실효값, 피크값, 평균값 등이 있으며, 실효값은 전압의 실제 효과를 나타내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실효값은 전압의 제곱을 시간에 대해 적분한 후, 시간의 길이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실효값은 전압의 크기와 주파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권선수 500회이고 자기인덕턴스가 50mH 인 코일에 2A의 전류를 흘렸을 때의 자속 (Wb)은 얼마인가?

  1. 1 × 10-4
  2. 2 × 10-4
  3. 3 × 10-4
  4. 4 × 10-4
(정답률: 49%)
  • 자기인덕턴스 L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L = NΦ/I

    여기서 N은 코일의 총바퀴수, Φ은 자속, I은 전류이다. 이를 Φ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Φ = LI/N

    주어진 문제에서 코일의 총바퀴수 N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단 L과 I를 이용하여 Φ를 계산해보자.

    L = 50 × 10-3 H (주어진 값)

    I = 2 A (주어진 값)

    Φ = LI/N

    N을 모르므로, 일단 Φ의 값을 계산해보자.

    Φ = LI/N = (50 × 10-3 H) × (2 A) / N

    이제 권선수의 수를 이용하여 N을 계산할 수 있다.

    N = 500 × 2π (한 바퀴당 2π 라디안)

    N = 3141.59

    따라서,

    Φ = (50 × 10-3 H) × (2 A) / 3141.59

    Φ = 3.183 × 10-5 Wb

    따라서, 정답은 "2 × 10-4" 이다. 이유는 보기에서 제시된 값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동일한 성능 펌프 2대를 연결하여 운용하는 경우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직렬로 연결한 경우 양정이 약 2배가 된다.
  2. 직렬로 연결한 경우 유령이 약 4배가 된다.
  3. 병렬로 연결한 경우 양정이 약 2배가 된다.
  4. 병렬로 연결한 경우 유량이 약 4배가 된다.
(정답률: 51%)
  • 정답은 "직렬로 연결한 경우 양정이 약 2배가 된다." 이다.

    직렬로 연결한 경우에는 두 펌프의 헤드(양정)를 합산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양정이 약 2배가 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펌프가 100m의 헤드를 가지고 있을 때, 직렬로 연결하면 총 200m의 헤드를 얻을 수 있다.

    반면, 병렬로 연결한 경우에는 두 펌프의 유량을 합산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유량이 약 2배가 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펌프가 100L/min의 유량을 가지고 있을 때, 병렬로 연결하면 총 200L/min의 유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유령"이라는 용어는 펌프가 작동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유량을 의미하는데, 직렬로 연결한 경우에는 유령이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유령이 약 4배가 된다는 설명은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물이 지름 0.5 m 관로에 유속 2 m/s 로 흐를 때, 100m 구간에서 발생하는 손실수두(m)는 약 얼마인가? (단, 마찰손실계수는 0.019 이다.)

  1. 0.35
  2. 0.58
  3. 0.77
  4. 0.98
(정답률: 43%)
  • 손실수두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손실수두 = 마찰손실계수 × (파이/4) × (유속/지름)^2 × 구간길이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손실수두 = 0.019 × (3.14/4) × (2/0.5)^2 × 100

    손실수두 = 0.77

    따라서 정답은 "0.7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A 광역시 교외에 위치한 산업단지의 노후화된 물탱크 안전진단 결과 철거결정이 내려졌다. 물탱크 구조물을 해체하기 전에 탱크안의 물을 먼저 배수하여야 하는데 수위 변화에 따른 유속 및 유량이 변화할 것으로 예상한다. 물을 대기압 하의 물탱크 바닥 오리피스에서 분출시킬 때 최대유량(m3/s)은 약 얼마인가? (단, 오리피스의 지름은 5cm, 초기수위는 3m 이다)

  1. 0.002
  2. 0.005
  3. 0.010
  4. 0.015
(정답률: 42%)
  • 오리피스 유량계산식은 Q=CdA√(2gh) 이다. 여기서 Cd는 오리피스 계수, A는 오리피스 단면적, g는 중력가속도, h는 오리피스 하수면과 수면 사이의 차이이다. Cd는 오리피스의 형태와 오리피스와 유체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문제에서는 Cd=0.6으로 가정한다.

    먼저, 초기 수위가 3m이므로 h=3m이다. 오리피스의 지름이 5cm이므로 반지름은 2.5cm=0.025m이다. 따라서 오리피스의 단면적은 A=πr^2=π(0.025)^2≈0.002m^2이다.

    그리고 중력가속도 g는 9.81m/s^2이다. 이를 이용하여 유속을 구하면, Q=CdA√(2gh)=0.6×0.002×√(2×9.81×3)≈0.015m^3/s이다.

    따라서 정답은 "0.0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베르누이 방정식은 완전유체를 대상으로 하며 몇 가지 제한조건을 전제로 한다. 이 제한조건에 해당하는 것은?

  1. 비정상 유체유동
  2. 압축성 유체유동
  3. 점성 유체유동
  4. 비회전성 유체유동
(정답률: 42%)
  • 베르누이 방정식은 비회전성 유체유동을 전제로 한다. 이는 유체의 회전이 없는 상태를 가정하는 것으로, 유체의 속도와 압력이 서로 연관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유체가 회전하거나, 압축성이 있는 경우에는 베르누이 방정식이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점성이 있는 경우에도 베르누이 방정식이 적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물이 지름 2mm 인 원형관에 0.25cm3/s로 흐르고 있을 때, 레이놀리즈는 약 얼마인가? (단, 동점성계수 0.0112cm2/s 이다.)

  1. 106
  2. 142
  3. 206
  4. 206
(정답률: 4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단면적 2.5 cm2, 길이 1.4m인 소방장비의 무게가 지상에서 2.75kg 일 때 물속에서의 무게(kg)는 얼마인가?

  1. 0.9
  2. 1.4
  3. 1.9
  4. 2.4
(정답률: 2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유체의 압력 표시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기압은 대기압 0 으로 놓고 측정하는 압력이다.
  2. 해수면에서 표준대기압은 약 101.3kPa 이다.
  3. 계기압은 절대압과 대기압의 합이다
  4. 이상기체 방정식에서 부피는 절대압을 사용한다.
(정답률: 50%)
  • "계기압은 절대압과 대기압의 합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계기압은 대기압을 기준으로 측정되는 압력이기 때문에, 절대압과 대기압을 더한 값이 계기압이 된다. 따라서 계기압을 측정하려면 대기압을 먼저 측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절대압을 측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2개의 피스톤으로 구성된 유압잭의 작동원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W:일, P:압, F:힘, A:피스톤의 단면, L:피스톤의 이동한 거리)

  1. F1< F2
  2. P1 = P2
  3. L1< L2
  4. W1 = W2
(정답률: 49%)
  • "정답이 L1< L2인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유압잭의 작동원리를 이해해야 합니다. 유압잭은 작동 시 유압액을 이용하여 작동합니다. 유압액은 압력이 전달되는 액체로, 압력이 가해지면 액체는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게 전달됩니다. 따라서, 유압액이 피스톤 A에 가해지는 압력은 피스톤 B에도 동일하게 전달됩니다.

    이에 따라, P1 = P2입니다. 하지만, 피스톤 A와 피스톤 B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F1< F2입니다. 따라서, 피스톤 A가 이동한 거리 L1은 피스톤 B가 이동한 거리 L2보다 작습니다. 이는 피스톤 A에서 가해지는 힘이 작기 때문에 피스톤 B에서 받는 힘이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L1< L2입니다.

    따라서, "L1< L2"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방관련법령

51. 소방기본법령상 국고보조 대상사업의 범위와 기준보조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국고보조 대상사업의 범위에 따른 소방활동장비 및 설비의 종류와 규격은 대통령으로 정한다
  2. 방화복 등 소방활동에 필요한 소방장비의 구입 및 설치는 국고보조 대상사업의 범위에 해당한다
  3. 소방헬리콥터 및 소방정의 구입 및 설치는 국고보조 대상사업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다.
  4. 국고보조 대상사업의 기준보조율은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정답률: 40%)
  • 소방기본법령상 국고보조 대상사업의 범위와 기준보조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방화복 등 소방활동에 필요한 소방장비의 구입 및 설치는 국고보조 대상사업의 범위에 해당한다"입니다. 이는 소방활동에 필요한 장비와 설비의 종류와 규격을 대통령이 정하고, 이에 따라 국고보조 대상사업의 범위가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소방헬리콥터 및 소방정의 구입 및 설치는 국고보조 대상사업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국고보조 대상사업의 기준보조율은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서 정해지며, 이에 따라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소방기본법령상 200만원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는 자는?

  1. 화재조사를 위하여 관계 공부원이 관계 장소에 출입 시 정당한 사유 없이 출입을 방해한 자
  2. 정당한 사유 없이 소방대의 생활안전활동을 방해한 자
  3. 화재경계지구 안의 소방대상물에 대한 소방특별조사를 기피한 자
  4. 정당한 사유 없이 물의 사용을 방해한 자
(정답률: 37%)
  • 화재조사를 위해 출입한 관계 공무원의 업무를 방해하는 것은 화재 예방 및 대응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해한 자는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소방기본법령상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 화재의 원인 및 피해 등에 대한 조사를 하여야 하는 사람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행정안전부장관
  2. 소방청장
  3. 소방본부장
  4. 소방서장
(정답률: 58%)
  • 정답은 "행정안전부장관"입니다.

    화재 발생 시 조사를 해야 하는 사람은 소방청장, 소방본부장, 소방서장입니다. 이들은 소방기본법령상 화재 조사 및 피해 진단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행정안전부장관은 소방청의 상위 기관으로서 소방청의 업무를 감독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화재 조사 및 피해 진단에 대한 직접적인 권한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합병의 경우 소방시설업자 지위 승계를 신고하려는 자가 제출하여야 하는 서류가 아닌 것은?

  1. 소방시설업 합병신고서
  2. 합병계약서
  3. 합병 후 법이의 소방시설업 등록증 및 등록수첩
  4. 합병공고문
(정답률: 31%)
  • 합병 후 법이의 소방시설업 등록증 및 등록수첩은 이미 합병된 소방시설업자의 등록증과 등록수첩을 의미하므로, 합병 전에 제출해야 하는 서류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합병 후 법이의 소방시설업 등록증 및 등록수첩"입니다. 합병신고서, 합병계약서, 합병공고문은 모두 합병 전에 제출해야 하는 서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소방시설공사법령상 수수료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문 소방시설설계업을 등록하려는 자 - 4만원
  2. 소방시설업 등록증을 재발급 받으려는 자 - 2만원
  3. 소방시설업자의 지위승계 신고를 하려는 자 - 2만원
  4. 일반 소방시설공사업을 등록하려는 자 - 분야별 2만원
(정답률: 38%)
  • 정답: "소방시설업 등록증을 재발급 받으려는 자 - 2만원"이 옳지 않은 것이다.

    해설: 소방시설공사법령상 수수료 기준에 따르면, 전문 소방시설설계업을 등록하려는 자는 4만원, 소방시설업자의 지위승계 신고를 하려는 자와 일반 소방시설공사업을 등록하려는 자는 각각 2만원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 하지만 소방시설업 등록증을 재발급 받으려는 자는 수수료를 지불할 필요가 없다. 이는 이미 등록된 업자가 소방시설업 등록증을 분실하거나 손상되었을 경우, 무료로 재발급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하도급계약심사위훤회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하도급계약심사위원회는 위원장 1명과 부위원장 1명을 제외한 1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2. 소방 분야 연구기관의 연구위원급 이상인 사람은 위원회의 부위원장으로 위촉될 수 있다
  3. 위원회의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위원 3분의 2이상 찬성으로 의결한다
  4.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 두 차례까지 연임할 수 있다
(정답률: 30%)
  •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하도급계약심사위원회는 위원장 1명과 부위원장 1명을 제외한 1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위원회의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위원 3분의 2이상 찬성으로 의결합니다.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 두 차례까지 연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방 분야 연구기관의 연구위원급 이상인 사람은 위원회의 부위원장으로 위촉될 수 있습니다. 이는 소방 분야 전문성을 보유한 인력을 위원회에 참여시키기 위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하자보수 대상 소방시설과 하자보수 보증기간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피난기구 - 3년
  2. 자동화재탐지설비 - 3년
  3. 자동소화장치 - 3년
  4. 간이스프링클러설비 - 3년
(정답률: 46%)
  • 피난기구는 하자보수 대상 소방시설 중에서도 가장 긴 보증기간인 5년이 적용되어야 하지만, 법령상 최대 보증기간이 3년으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피난기구 - 3년"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영업정지가 그 이용자에게 불편을 주거나 그 밖에 공익을 해칠 우려가 있을 때에 시ㆍ도지사가 영업정지처분을 갈음하여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는 경우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사업수행능력 평가에 관한 서류를 위조하거나 변조하는 등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입찰에 참여한 경우
  2. 동일한 특정소방대상물의 소방시설에 대한 시공과 감리를 함께 할 수 없으나 이를 위반하여 시공과 감리를 함께 한 경우
  3. 정당한 사유없이 관계 공부원의 출입 또는 검사ㆍ조사를 기피한 경우
  4. 공사감리자를 변경하였을 때에는 새로 지정된 공사감리자와 종전의 공사감리자는 감리 업무 수행에 관한 사항과 관계 서류를 인수ㆍ인계하여야 하나, 인수ㆍ인계를 기피한 경우
(정답률: 33%)
  •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영업정지가 그 이용자에게 불편을 주거나 그 밖에 공익을 해칠 우려가 있을 때에 시ㆍ도지사가 영업정지처분을 갈음하여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는 경우는 없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잘못된 문제입니다.

    "동일한 특정소방대상물의 소방시설에 대한 시공과 감리를 함께 할 수 없으나 이를 위반하여 시공과 감리를 함께 한 경우"는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위반사항으로, 시공과 감리를 함께 하면 소방시설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는 소방시설공사업법 시행규칙 제10조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특정소방대상물이 증축되는 경우는 기존 부분에 대해서는 증축 당시의 소방시설의 설치에 관한 대통령령 또는 화재안전기준을 적용하지 아니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존 부분과 증축 부분이 갑종 방화문으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
  2. 기존 부분과 증축 부분이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자동방화셔터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
  3. 자동차 생산공장 내부에 연면적 50제곱미터의 직원 휴게실을 증축하는 경우
  4. 자동차 생산공장에 3면 이상에 벽이 없는 구조의 캐노피를 설치하는 경우
(정답률: 40%)
  • 정답은 "자동차 생산공장 내부에 연면적 50제곱미터의 직원 휴게실을 증축하는 경우"입니다. 이유는 법령상 특정소방대상물이 증축되는 경우에는 기존 부분에 대해서는 증축 당시의 소방시설의 설치에 관한 대통령령 또는 화재안전기준을 적용하지 아니하는 경우가 있는데, 자동차 생산공장 내부에 연면적 50제곱미터의 직원 휴게실을 증축하는 경우는 특정소방대상물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임시소방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비상경보장치
  2. 간이완강기
  3. 간이소화기
  4. 간이피난유도선
(정답률: 39%)
  • 임시소방시설은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시설로서,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에서 규정된 소방시설을 갖추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간이완강기는 법령상 임시소방시설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간이완강기가 화재 발생 시 직접적으로 인명과 재산의 안전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간이완강기는 일반적인 건물에 설치되는 소방시설과 마찬가지로 법령상 규정된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에 해당하는 것은? (단,「공공기관의 소방안전관리에 관한 규정」을 적용받는 특정소방대상물은 제외함)

  1. 지하구
  2. 철강 등 불연성 물품을 저장ㆍ취급하는 창고
  3. 층수가 10층이고 연면적이 1만 5천제곱미터인 판매시설
  4. 층수가 20층이고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60미터인 아파트
(정답률: 44%)
  •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은 층수가 10층 이상이거나 연면적이 1만 제곱미터 이상인 건물이 해당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층수가 10층이고 연면적이 1만 5천제곱미터인 판매시설이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ㆍ도지사는 소방시설관이업등록증(등록수첩) 재교부신청서를 제출받은 때에는 3일 이내에 소방시설업등록증 또는 등록수첩을 재교부하여야 한다
  2. 소방시설관리업자가 소방시설관리업을 휴ㆍ폐업한 때에는 3일 이내에 소재지를 관할하는 소방서장에게 그 소방시설괸리업등록증 및 등록수첩을 반납하여야 한다.
  3. 시ㆍ도지사는 소방시설관리업자로부터 소방시설관리업등록사항 변경신고를 받은 때에는 7일 이내에 소방시설관리업등록증 및 등록수첩을 새로 교부하여야 한다
  4. 피성년후견인이 금고 이상의 형의 빕행유예를 선고받고 그 유예기간이 종요된 경우에는 소방시설관리업의 등록을 할 수 있다
(정답률: 32%)
  • "시ㆍ도지사는 소방시설관이업등록증(등록수첩) 재교부신청서를 제출받은 때에는 3일 이내에 소방시설업등록증 또는 등록수첩을 재교부하여야 한다"는 소방시설관리업자가 소방시설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등록증 및 등록수첩을 신속하게 제공하여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법령입니다. 이를 통해 소방시설관리업자가 소방시설을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특정소방대상물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의원은 근린생활시설이다
  2. 보건소는 업무시설이다
  3. 요양병원은 의료시설이다
  4. 동물원은 동물 및 식물 관련 시설이다
(정답률: 43%)
  • "동물원은 동물 및 식물 관련 시설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 "의원은 근린생활시설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의원은 지역 주민들의 건강을 책임지는 의료시설 중 하나로, 근린생활시설에 해당한다.
    - "보건소는 업무시설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보건소는 지역 주민들의 건강을 책임지는 공공의료시설로, 업무시설에 해당한다.
    - "요양병원은 의료시설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요양병원은 노인이나 장애인 등의 요양을 위한 의료시설로, 의료시설에 해당한다.

    따라서, "동물원은 동물 및 식물 관련 시설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동물원은 동물들을 전시하고 관리하는 시설로, 식물도 함께 전시되는 경우가 많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화재예방, 소방시설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주택용 소방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ㄹ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정답률: 50%)
  •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 대상은 "화재예방, 소방시설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에서 규정된 대로 다음과 같습니다.

    ㄱ. 면적이 150㎡ 이상인 주택
    ㄴ. 높이가 15m 이상인 주택
    ㄷ. 4층 이상 또는 지하 2층 이상인 아파트 등 다세대주택

    따라서, "ㄱ, ㄴ, ㄷ"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중 가스시설은 제외함)

  1. 공동구
  2. 지하가(터널은 제외)로서 연면적 1천 m2 이상인 것
  3. 층수가 30층 이상인 것으로서 11층 이상 부분의 모든 층
  4. 지하층의 층수가 3층 이상이고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천 m2 이상인 것은 지하층의 모든층
(정답률: 41%)
  • 층수가 30층 이상인 것으로서 11층 이상 부분의 모든 층에는 인명·재산피해가 크기 때문에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설치하여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우수품질 제품에 대한 인증 및 지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우수품질인증을 받으려는 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ㆍ도지사에게 신청하여야 한다.
  2. 우수품질인증을 받은 소방용품에는 KS인증 표시를 한다.
  3. 우수품질인증의 유효기간은 5년의 범위에서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한다
  4. 중앙행정기관은 건축물의 신축으로 소방용품을 신규 비치하여야 하는 경우 우수품질인증 소방용품을 반드시 구매ㆍ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40%)
  • 우수품질인증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ㆍ도지사에게 신청하여 받을 수 있으며, 소방용품에는 KS인증 표시를 한다. 유효기간은 5년의 범위에서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해지며, 건축물의 신축으로 소방용품을 신규 비치하는 경우 우수품질인증 소방용품을 반드시 구매ㆍ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본부장이 소방특별조사위원회의 위원으로 임명하거나 위촉할 수 없는 사람은?

  1. 소방기술사
  2. 소방 관련 분야의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사람
  3. 과장급 직위 이상의 소방공무원
  4. 소방공무원 교육기관에서 소방위 관련한 연구에 3년 이상 종사한 사람
(정답률: 39%)
  • 소방본부장은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특별조사위원회의 위원으로 임명하거나 위촉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사람이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 "소방공무원 교육기관에서 소방위 관련한 연구에 3년 이상 종사한 사람"은 소방 관련 분야에서 경력과 전문성을 쌓은 사람으로, 소방시설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으로 판단되어 위원으로 임명하거나 위촉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지정수랑 이사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자에 대한 조치명령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소방서장은 수산용으로 필요한 난방시설을 위한 지정수량 20배의 저장소를 설치한 자에 대하여 제거 등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다
  2. 소방본부장은 주택의 난방시설(공동주택의 중앙난방시설은 제외한다)을 위한 취급소를 설치한 자에 대하여 제거 등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다.
  3. 시ㆍ도지사는 축산용으로 필요한 난방시설을 위한 지정수량 20배의 저장소를 설치한 자에 대하여 제거 등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다
  4. 소방서장은 농예용으로 필요한 건조시설을 위한 지정수량 30배의 저장소를 설치한 자에 대하여 제거 등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다
(정답률: 50%)
  •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자에 대해서는 소방서장이 제거 등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농예용으로 필요한 건조시설을 위한 지정수량 30배의 저장소를 설치한 자에 대해서는 소방서장이 제거 등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기계에 의하여 하역하는 구조로 된 운반용기에 대한 수납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금속제의 운반용기는 3년 6개월 이내에 실시한 운반용기의 외부의 점검 및 7년 이내의 사이에 실시한 운반용기의 내부의 점거에서 누설 증 이상이 없을 것
  2. 경질플라스틱제의 운반용기에 액체위험물을 수납하는 경우에는 당해 운반용기는 제조된 때로부터 7년 이내의 것으로 할 것
  3. 플라스틱내 용기 부착의 운반용기에 있어서는 3년 6개월 이내에 실시한 기밀시험에서 누설 등 이상이 없을 것
  4. 금속제의 운반용기에 액체위험물을 수납하는 경우에는 55℃의 온도에서 증기압이 130 KPa 이하가 되도록 수납할 것
(정답률: 36%)
  • 금속제의 운반용기는 내부의 누설 등 이상이 없는지 7년 이내에 확인해야 하며, 액체위험물을 수납하는 경우에는 55℃의 온도에서 증기압이 130 KPa 이하가 되도록 수납해야 합니다. 이는 액체위험물이 고온에서 증기압이 높아져 폭발이나 화재 등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수납 기준을 지켜 안전한 운반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안전교육의 교육대상자와 교육시기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안전관리자 - 신규 종사 후 3년마다 1회
  2. 위험물운송자 - 신규 종사 후 3년마다 1회
  3. 탱크시험자의 기술인력 - 신규 종사 후 6개월 이내
  4. 위험물운송자가 되고자 하는 자 -신규 종사 전
(정답률: 41%)
  • 안전관리자는 위험물을 다루는 기업에서 안전을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신규 종사자가 새로 입사하여 안전관리자로 일을 시작한 후 3년마다 안전교육을 받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안전관리자가 안전에 대한 최신 정보를 습득하고, 위험물 관리에 대한 전문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안전관리자 - 신규 종사 후 3년마다 1회"가 옳은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 1류 위험물의 지정수량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과염소산염류 - 50 킬로그램
  2. 브롬산염류 - 200 킬로그램
  3. 요오드산염류 - 300킬로그램
  4. 중크롬산염류 - 1,000 킬로그램
(정답률: 49%)
  •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 1류 위험물의 지정수량은 위험성이 높은 물질일수록 적게 지정됩니다. 따라서, 브롬산염류가 200 킬로그램으로 지정된 것은 다른 물질에 비해 매우 높은 수치입니다. 이는 브롬산염류가 인체에 대한 위험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브롬산염류 - 200 킬로그램"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시설의 설치 및 변경 등에 관한 조문의 일부이다. ( )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1일, ㄴ:대통령령, ㄷ:소방서장
  2. ㄱ:1일, ㄴ:행정안전부령, ㄷ:시ㆍ도지사
  3. ㄱ:3일, ㄴ:대통령령, ㄷ:소방서장
  4. ㄱ:3일, ㄴ:행정안전부령, ㄷ:시ㆍ도지사
(정답률: 43%)
  •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시설의 설치 및 변경 등에 관한 조문에서는 시ㆍ도지사가 (ㄱ) 1일 이내에 해당 시설의 설치 또는 변경 계획을 행정안전부령에 신고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ㄱ:1일, ㄴ:행정안전부령, ㄷ:시ㆍ도지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화재를 예방하고 화재로 인한 생명 .신체 .재산상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화재위험평가를 할 수 있는 지역 또는 건축물에 해당하는 것은?

  1. 3천제곱미터 지역 안에 다중이용업소가 40개 이상 밀집하여 있는 경우
  2. 하나의 건축물에 다중이용업소로 사용하는 영업장 바닥면적의 합계가 5백제곱미터 이상인 경우
  3. 5층 이상의 건축물로서 다중이용업소가 10개 이상 있는 경우
  4. 4천제곱미터 지역 안에 4층 이하인 건축물로서 다중이용업소가 20개 이상 밀집하여 있는 경우
(정답률: 45%)
  • 다중이용업소가 많이 모여있는 지역이나 건축물은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에 큰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화재 위험성을 미리 평가하여 예방조치를 취하기 위해 해당 지역 또는 건축물에 대해 화재위험평가를 실시하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 5층 이상의 건축물로서 다중이용업소가 10개 이상 있는 경우는, 높은 층수와 다양한 업종이 모여있는 건물일수록 화재 발생 시 대처가 어렵기 때문에, 더욱 철저한 예방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해당 조건이 포함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관련 행정기관의 통보사항에 관한 내용으로 ()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 14일, ㄴ: 시ㆍ도지사
  2. ㄱ: 30일, ㄴ: 시ㆍ도지사
  3. ㄱ: 14일, ㄴ: 소방본부방 또는 소방서장
  4. ㄱ: 30일, ㄴ: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
(정답률: 27%)
  •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관련 행정기관의 통보사항은 30일 이내에 해당 시ㆍ도지사 또는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통보해야 합니다. 이는 다중이용업소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로, 관련 행정기관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ㄱ: 30일, ㄴ: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상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중이용업소의 자율적인 안전관리 촉진에 관한 사항
  2. 다중이용업소의 화재안전에 관한 정보제계의 구축 및 관리
  3. 다중이용업소의 적정한 유지ㆍ관리에 필요한 교육과 기술 연구ㆍ개발
  4. 다중이용업주와 종업원에 대한 자체지도 계획
(정답률: 34%)
  • 다중이용업주와 종업원에 대한 자체지도 계획은 안전관리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안전관리기본계획은 다중이용업소의 자율적인 안전관리 촉진, 화재안전에 관한 정보제계의 구축 및 관리, 적정한 유지ㆍ관리에 필요한 교육과 기술 연구ㆍ개발 등을 포함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다중이용업주와 종업원에 대한 자체지도 계획"입니다.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기본계획은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를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사항들을 명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안전관리를 수행하는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다중이용업소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발생한 사고를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관리기본계획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위험물의 성상 및 시설기준

76.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나트륨을 발생하는 무기과산화물은?

  1. 중크롬산나트륨
  2. 과망간산나트륨
  3. 과산화나트륨
  4. 과염소산나트륨
(정답률: 43%)
  •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나트륨을 발생시키는 무기과산화물은 과산화나트륨입니다. 이는 과산화물 중 하나로, 물과 반응하면 수산화나트륨과 산소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과산화나트륨은 산화제로서 사용되며, 산업에서 산소공급원으로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제 2류 위험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적린은 황린에 비해 화학적으로 활성이 크고 공기 중에서 불안전하다
  2. 마그네슘 화재 시 물을 주수하면 메탄가스가 발생하여 폭발적으로 연소한다.
  3. 유황은 연소될 때 오산화인이 생성된다
  4. 철분은 상온에서 묽은 산과 반응하여 수소가스를 발생한다
(정답률: 33%)
  • 철분은 묽은 산과 반응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제 2류 위험물로 분류된다. 이는 산과 금속이 반응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키는 반응인 금속과 산의 반응에 해당한다. 이 반응은 수소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화재와 폭발 위험이 있으며, 따라서 안전한 보관과 처리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제 2류 위험물인 금속분에 해당되는 것은? (단, 150 마이크로미터의 체를 통과하는 것이 50중량퍼센트 미만인 것은 제외한다.)

  1. 칼슘분
  2. 니켈분
  3. 세슘분
  4. 아연분
(정답률: 45%)
  • 금속분 중에서 150 마이크로미터의 체를 통과하는 것이 50중량퍼센트 미만인 것은 제외하였으므로, 이 중에서 2류 위험물에 해당하는 것은 아연분뿐입니다. 칼슘분, 니켈분, 세슘분은 2류 위험물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황린이 공기 중에서 완전 연소할 때 생성되는 물질은?

  1. 오산화인
  2. 황화수소
  3. 인화수소
  4. 이산화황
(정답률: 39%)
  • 황린이 공기 중에서 완전 연소할 때 생성되는 물질은 이산화황입니다. 이는 황과 산소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화합물로, 분자식은 SO2입니다. 따라서 "이산화황"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탄화칼슘 10kg이 질소와 고온에서 모두 반응한다고 가정할 때 생성되는 칼슘시안아미드(Calcium Cyanamide)의 질량(Kg)은? (단, 원자량은 Ca는 40, C는 12, N는 14로 한다.)

  1. 10.3
  2. 12.5
  3. 14.4
  4. 25.0
(정답률: 28%)
  • 칼슘과 질소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칼슘시안아미드의 화학식은 CaCN2이다. 이때, 1 몰의 칼슘시안아미드의 질량은 Ca의 원자량 40g + C의 원자량 12g + N의 원자량 2 x 14g = 80g 이다. 따라서, 10kg의 탄화칼슘이 모두 반응하여 생성되는 칼슘시안아미드의 질량은 10kg x (80g/1mol) / (64g/1mol) = 12.5kg 이다. 여기서 64g/mol은 탄화칼슘(CaC2)의 분자량이다. 따라서, 정답은 "1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아세트알데히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기 중에서 산화되면 에틸알코올이 생성된다
  2. 강산화제와 접촉 시 혼촉발화의 위험성이 있다
  3. 인화점이 낮아 상온에서 인화히기 쉬운 물질이다.
  4. 구리, 은, 마그네슘과 반응하여 폭발성 물질을 생성한다.
(정답률: 47%)
  • "공기 중에서 산화되면 에틸알코올이 생성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아세트알데히드가 공기 중에서 산화되면 에틸알코올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산화작용을 촉진시키는 물질이 존재하면 더욱 빠르게 산화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탄화알루미늄과 트리에틸알루미늄이 각각 물과 반응할 때 생성되는 기체는?

  1. 탄화알루미늄:CH4, 트리에틸알루미늄:C2H6
  2. 탄화알루미늄:C2H2, 트리에틸알루미늄:H2
  3. 탄화알루미늄:CH4, 트리에틸알루미늄:C2H4
  4. 탄화알루미늄:C2H6, 트리에틸알루미늄: H2
(정답률: 43%)
  • 탄화알루미늄과 트리에틸알루미늄은 둘 다 알루미늄과 탄소 또는 탄소와 수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입니다. 물은 수소와 산소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탄화알루미늄과 물이 반응하면 탄소와 수소가 결합하여 메탄(CH4)이 생성됩니다. 마찬가지로, 트리에틸알루미늄과 물이 반응하면 탄소와 수소가 결합하여 에탄(C2H6)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탄화알루미늄:CH4, 트리에틸알루미늄:C2H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제 4류 위험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클레오소트유는 콜타르를 증류하여 제조하며 나프탈렌과 안트라센을 포함한 혼합물이다.
  2. 콜로디온은 용제인 에탄올과 에테르가 증발하고 나면 제6류 위험물과 같은 산화성을 나타낸다.
  3. 이황화탄소는 액체비중이 물보다 크며 완전연소 시 이산화황과 이산화탄소가 생성된다.
  4. 이소프로필알코올은 25℃ 에서 인화의 위험이 있고 증기는 공기보다 무거워 낮은 곳에 체류한다.
(정답률: 32%)
  • "콜로디온은 용제인 에탄올과 에테르가 증발하고 나면 제6류 위험물과 같은 산화성을 나타낸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콜로디온은 제1류 폭발물질로 분류되며, 용제인 에탄올과 에테르가 증발하면 폭발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산화성이 아닌 폭발성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트리니트로페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300℃ 이상으로 가열하면 폭발한다.
  2. 순수한 것은 상온에서 황색의 액체이다.
  3. 에탄올에 녹는다.
  4. 피크린산이라고도 한다.
(정답률: 38%)
  • "순수한 것은 상온에서 황색의 액체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트리니트로페놀은 순수한 상태에서는 무색의 결정체이며, 일부 불순물이 섞여 있을 때 황색의 액체로 나타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운반하는 경우 질산에탈올과 함께 운반할 수 있는 것은?

  1. 염소산암모늄, 과망간산칼륨
  2. 적린, 아크릴산
  3. 아세톤, 황린
  4. 등유, 과염소산
(정답률: 27%)
  • 질산에탈올은 산화제와 만나면 폭발할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을 위해 함께 운반할 수 있는 위험물은 산화제가 아닌 물질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적린과 아크릴산은 산화제가 아니므로 함께 운반할 수 있습니다. 반면, 염소산암모늄과 과망간산칼륨은 산화제이므로 함께 운반할 수 없습니다. 아세톤과 황린, 등유와 과염소산도 산화제이므로 함께 운반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 별 지정수량과 위험등급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1. 염소산칼륨, 과산화마그네슘 - 50Kg - Ⅰ등급
  2. 잘산, 과산화수소 - 300Kg - Ⅰ등급
  3. 수소화리듐, 디에틸아연 - 300Kg - Ⅲ등급
  4. 피크린산, 메틸히드라진 - 200Kg - Ⅱ등급
(정답률: 34%)
  •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 별 지정수량과 위험등급의 연결은 다음과 같다.

    - Ⅰ등급: 50kg 이상 300kg 이하
    - Ⅱ등급: 200kg 이상 1,000kg 이하
    - Ⅲ등급: 500kg 이상 5,000kg 이하

    따라서, "수소화리듐, 디에틸아연 - 300Kg - Ⅲ등급"은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 별 지정수량과 위험등급의 연결에 따라 옳지 않은 것이다. 300kg이므로 Ⅱ등급에 해당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고농도의 경우, 충격ㆍ마찰에 의해 단독으로도 폭발할 수 있으며, 분해 시 발생기 산소가 발생하는 물질은?

  1. 트리에틸알루미늄
  2. 인화칼슘
  3. 히드라진
  4. 과산화수소
(정답률: 45%)
  • 과산화수소는 분해 시 산소를 발생시키는 물질로, 고농도일 경우 충격이나 마찰에 의해 단독으로도 폭발할 수 있기 때문에 위의 보기에서 정답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제조소에 옥외소화전이 5개 있을 경우 확보하여야 할 수원의 최소 수량 m3은?

  1. 14
  2. 31.2
  3. 54
  4. 67.5
(정답률: 35%)
  •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따르면, 옥외소화설비는 제조소 내에 위치하거나 인접한 장소에 위치해야 하며, 소화제의 종류, 수량, 위험물의 종류, 수량, 배치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수량을 설치하여야 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위험물제조소에 옥외소화전이 5개 있을 경우, 적정한 수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54m3의 수원이 필요합니다. 이는 옥외소화설비의 수량과 배치 등을 고려한 적정한 수원의 최소량으로, 법령상 필요한 최소한의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 건축물의 지붕을 내화구조로 할 수 있는 것은?

  1. 과염소산
  2. 과망간산칼륨
  3. 부틸리튬
  4. 산화프로필렌
(정답률: 32%)
  •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 건축물의 지붕은 내화구조로 해야 합니다. 이는 화재 발생 시 지붕이 불에 잘 타지 않고 내화성능을 유지하여 화재 확산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위 보기 중에서 내화성능이 높은 물질인 "과염소산"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철분을 취급하는 위험물제조소에 설치하여야 하는 주의사항을 표시한 게시판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물기주의
  2. 물기엄금
  3. 화기주의
  4. 화기엄금
(정답률: 28%)
  • 화기주의는 철분이 불에 노출될 경우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으므로 화기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함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제조소의 환기설비에 관한 기준 중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1
  2. 2
  3. 3
  4. 4
(정답률: 45%)
  • 2번 보기가 옳은 이유는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제조소의 환기설비에 대한 기준으로 "환기량은 제조실의 크기, 사용되는 위험물의 종류 및 양, 작업자의 수 등을 고려하여 적정하게 설계하여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번 보기는 "환기량은 제조실의 크기에 따라 일정하게 적용된다"는 내용으로 잘못된 정보입니다. 3번 보기는 "환기량은 제조실의 크기와 상관없이 일정한 비율로 적용된다"는 내용으로 잘못된 정보입니다. 4번 보기는 "환기량은 제조실의 크기와 상관없이 최소한의 수치를 충족하면 된다"는 내용으로 잘못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제조소와 인근 건축물 등과의 안전거리가 다음 중 가장 긴 것은? (단, 제6류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를 제외한다.)

  1. 「초ㆍ중등교육법」에 정하는 학교
  2. 사용전압이 35,000V를 초과하는 특고압가공전선
  3. 「도시가스사업법」의 규정에 가스공급시설
  4. 「문화재보호법」의 규정에 의한 기념물 중 지정문화재
(정답률: 47%)
  •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제조소와 인근 건축물 등과의 안전거리가 가장 긴 것은 "「초ㆍ중등교육법」에 정하는 학교"입니다.

    「문화재보호법」의 규정에 의한 기념물 중 지정문화재가 가장 긴 이유는, 문화재는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고 전승하기 위해 중요한 자산으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해 다른 시설과의 안전거리를 더욱 엄격하게 규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지하탱크저장소의 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이중벽탱크와 특수누설방지구조는 제외한다.)

  1. 지하저장탱크의 윗부분은 지면으로부터 0,5m 이상 아래에 있어야 한다.
  2. 지하저장탱크와 탱크전용실의 안쪽과의 사이는 5c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3. 지하저장탱크는 용량이 1,500 L 이하일 때 탱크의 최대 직경은 1,067mm, 강철판의 최소두께는 4.24mm로 한다.
  4. 철근콘크리트 구조인 탱크전용실의 벽. 바닥 및 뚜껑은 두께 0.3m 이상으로 하고 그 내부에는 직경 9mm부터 13mm까지의 철근을 가로 및 세로로 5cm 부터 20cm까지의 간격으로 배치한다.
(정답률: 36%)
  • 철근콘크리트 구조인 탱크전용실의 벽, 바닥 및 뚜껑은 두께 0.3m 이상으로 하고 그 내부에는 직경 9mm부터 13mm까지의 철근을 가로 및 세로로 5cm 부터 20cm까지의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준이다. 이는 지하저장탱크의 누출 등 위험사항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탱크전용실의 벽, 바닥 및 뚜껑이 충분한 두께와 철근 배치로 강화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이동탱크저장소의 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름 것은?

  1. ㄱ, ㄹ
  2. ㄴ, ㄷ
  3. ㄱ,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43%)
  • 이동탱크저장소의 기준은 위험물의 종류, 용량, 저장기간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ㄱ, ㄹ"은 옳지 않습니다. 따라서, "ㄴ, ㄷ"가 정답입니다. 이동탱크저장소는 안전거리, 화재방지시설, 화재진압시설 등의 안전시설을 갖추어야 하며, 이동탱크저장소의 위치, 구조, 안전시설 등은 관할 지자체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이동탱크저장소의 안전관리에 대한 법령은 위험물안전관리법과 관련 규정들이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옥외탱크저장소 탱크 주위에 설치하는 방유제의 설치기준 중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ㄱ:0.1, ㄴ: 0.5
  2. ㄱ:0.1, ㄴ.1.0
  3. ㄱ:0.2, ㄴ:0.5
  4. ㄱ:0.2, ㄴ.1.0
(정답률: 34%)
  •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옥외탱크저장소 탱크 주위에 설치하는 방유제의 설치기준은 다음과 같다.

    - 방유제의 설치 위치는 탱크의 누수가 예상되는 부분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설치해야 한다.
    - 방유제의 용량은 탱크의 용량의 10% 이상이어야 하며, 최소 용량은 1,000L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ㄱ:0.2, ㄴ:1.0"이 정답이다. 0.2는 탱크 용량의 10% 이상이어야 하므로 0.1보다 크고, 1.0은 최소 용량인 1,000L 이상이므로 0.5보다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저장소의 전축물 외벽이 내화구조이고 연면적이 900 m2인 경우, 소화설비의 설치기준에 의한 소화설비 소요단위의 계산값은?

  1. 6
  2. 9
  3. 12
  4. 18
(정답률: 30%)
  •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따르면, 내화구조의 위험물저장소의 경우 연면적 900 m2 이상일 때, 소화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이때, 소화설비 소요단위는 연면적당 6m2 이다. 따라서, 900 ÷ 6 = 150 이므로, 소화설비 소요단위의 계산값은 150이 되어 "6"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옥외저장소에 저장할 수는 없는 위험물을 모두 고름 것은? (단, 국제해상위험물규칙에 적합한 용기에 수납된 경우와 「관세법」상 보세구역안에 저장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1. ㄱ, ㄹ, ㅅ
  2. ㄴ, ㄷ, ㅂ
  3. ㄴ, ㅁ, ㅂ
  4. ㄷ, ㅁ, ㅅ
(정답률: 36%)
  •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옥외저장소에 저장할 수 없는 위험물은 다음과 같다.

    ㄴ. 폭발위험이 있는 물질
    ㄷ. 인화성 물질
    ㅂ. 독성 물질

    이유는 옥외저장소에서는 화재, 폭발, 유출 등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이러한 위험물을 저장할 수 없다. 따라서 위의 보기에서 "ㄴ, ㄷ, ㅂ"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 1종 판매취급소의 위험물을 배합하는 실에 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바닥면적은 6 m2 이상 15 m2이하로 할 것
  2. 방화구조 또는 난연재료로 된 벽으로 구획할 것
  3. 출입구 문턱의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5cm 이상으로 할 것
  4. 출입구에는 수시로 열 수 있는 자동폐쇄식의 을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정답률: 36%)
  •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 1종 판매취급소는 화재 등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해 일정한 기준을 갖추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위험물을 배합하는 실은 특히 높은 위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기준이 필요합니다.

    - 바닥면적은 6 m2 이상 15 m2 이하로 할 것: 이유는 너무 작은 공간에서는 화재 등의 위험으로부터 대처하기 어렵고, 너무 큰 공간에서는 위험물의 관리가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 방화구조 또는 난연재료로 된 벽으로 구획할 것: 이유는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확산을 막고 화재 진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 출입구 문턱의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5cm 이상으로 할 것: 이유는 화재 등의 위험으로부터 대처하기 쉽도록 출입구를 낮추면 위험합니다.
    - 출입구에는 수시로 열 수 있는 자동폐쇄식의 을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이유는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확산을 막고 화재 진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이송취급소에 관한 기준 중 (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1
  2. 1.1
  3. 1.25
  4. 1.5
(정답률: 31%)
  • 이송취급소의 위치는 인접한 건물과의 최소 거리, 주변 환경, 안전 시설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이 중에서도 안전 시설을 고려하여 이송취급소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안전 시설 중 하나인 소화설비의 위치와 거리를 고려하여 이송취급소의 위치를 결정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주유취급소의 담 또는 벽의 일부분에 방화상 유효한 구조의 유리를 부착할 때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나의 유리판의 가로의 길이는 2m 이내일 것
  2. 주유취급소 내의 지반면으로부터 70cm를 초과하는 부분에 한하여 유리를 부착할 것
  3. 유리를 부착하는 범위는 전체의 담 또는 벽의 길이의 10분의 3을 초과하지 아니할 것
  4. 유리를 부착하는 위치는 주입구, 고정주유설비 및 고정급유설비로부터 4m 이상 이격될 것
(정답률: 32%)
  • "유리를 부착하는 범위는 전체의 담 또는 벽의 길이의 10분의 3을 초과하지 아니할 것"이 옳지 않은 이유는, 이 기준은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한 기준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기준을 따르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소방시설의 구조원리

101.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상 상업용 주방자동소화장치의 설치기준이 아닌 것은?

  1. 소화장치는 조리기구의 종류 별로 성능인증 받은 설계 매뉴얼에 적합하게 설치 할 것
  2. 감지부는 성능인증 받는 유효높이 및 위치에 설치할 것
  3. 차단장치(전기 또는 가스)는 상시 확인 및 점검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것
  4. 수신부는 주위의 열기류 또는 습기 등과 주위온도에 영향을 받지 아니하고 사용자가 상시 볼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할 것
(정답률: 37%)
  • 정답은 "소화장치는 조리기구의 종류 별로 성능인증 받은 설계 매뉴얼에 적합하게 설치 할 것"입니다.

    이유는 상업용 주방자동소화장치의 설치는 조리기구의 종류와 크기, 배치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건에 맞게 설계 매뉴얼에 따라 설치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설치 기준에 대한 내용으로, 각각 소화장치의 감지부, 차단장치, 수신부에 대한 설치 위치와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펌프의 제원이 전양정 50m, 유량 6 m3/min, 4극 유도전동기, 60 Hz, 슬립 3% 일 때, 비속도는 약 얼마인가?

  1. 210.11
  2. 214.60
  3. 227.45
  4. 235.31
(정답률: 25%)
  • 비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비속도 = 유량 / (전양정 × 단면적)

    전양정과 유량은 문제에서 주어졌으므로, 단면적을 구해보자.

    전기기계학에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하여 단면적을 구한다.

    단면적 = 0.0127 × (4 / 슬립) × (출력 / 전압) × (1 / 전양정)

    여기서 출력은 전동기의 출력, 전압은 전동기의 터미널 전압이다. 문제에서는 전동기의 제원과 주파수가 주어졌으므로, 전동기의 출력과 터미널 전압을 구할 수 있다.

    전동기의 출력 = 6 × 1000 × 9.81 × 50 / 60 = 2943 W
    전동기의 터미널 전압 = 3 × 220 / √3 = 380 V

    따라서,

    단면적 = 0.0127 × (4 / 0.03) × (2943 / 380) × (1 / 50) = 0.000139 m2

    비속도 = 6 / (50 × 0.000139) = 227.45 m/min

    따라서, 정답은 "227.4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무선통신보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게 묶인 것은?

  1. 수평, 300, 5
  2. 보행, 100, 3
  3. 수평, 100, 3
  4. 보행, 300, 5
(정답률: 42%)
  • 무선통신보조설비는 보행로에서 설치되며, 화재 발생 시 대피를 위해 출입구로부터 300m 이내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또한, 화재 발생 시 대피를 위해 5분 이내에 도달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보행, 300, 5"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제연구획에 대한 급기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단실 및 부속실을 동시에 제연하는 경우 계단실에 대하여는 그 부속실의 수직풍도를 통해 급기할 수 있다
  2. 하나의 수직풍도마다 전용의 송풍기로 급기할 것
  3. 부속실을 제연하는 경우 동일수직선상에 2대 이상의 급기송풍기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수직풍도를 분리하여 설치할 수 있다
  4. 계단실을 제연하는 경우 전용수직풍도 설치하거나 부속실에 급기풍도를 직접 연결하여 급기하는 방식으로 할 것
(정답률: 29%)
  • 정답은 "하나의 수직풍도마다 전용의 송풍기로 급기할 것"이다. 이유는 하나의 수직풍도에 여러 개의 송풍기를 연결하여 급기하면, 한 대의 송풍기가 고장나거나 정지되면 나머지 송풍기도 함께 정지되어 피난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각의 수직풍도에 전용의 송풍기를 설치하여 급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배관 등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상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에 있어서는 습식설비로 할 것
  2. 주배관의 구경은 100mm 이상의 것으로 할 것
  3. 연결송수관설비의 배관은 주배관의 구경이 100mm 이상인 옥내소화전설비ㆍ스프링클러설비 또는 물분무등소화설비의 배관과 겸용할 수 있다
  4. 배관 내 사용압력이 1.2MPa이상일 경우에는 일반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KS D 3595) 또는 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KS D 3576)을 사용한다.
(정답률: 42%)
  • "연결송수관설비의 배관은 주배관의 구경이 100mm 이상인 옥내소화전설비ㆍ스프링클러설비 또는 물분무등소화설비의 배관과 겸용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치기준입니다. 연결송수관설비는 송수관을 연결하는 설비로, 소화설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배관 내 사용압력이 1.2MPa이상일 경우에는 일반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KS D 3595) 또는 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KS D 3576)을 사용하는 이유는, 고압으로 인한 파열이나 누출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입니다. 스테인리스강은 내식성이 뛰어나고, 내구성이 높아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소방시설용 비상전원수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용어는?

  1. 공용 큐비클식
  2. 공용 배전반
  3. 공용 분전반
  4. 전용 큐비클식
(정답률: 37%)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여러 개의 회로가 하나의 큐비클 안에 모여있는 공용 큐비클식이다. 즉, 여러 대의 기기가 하나의 큐비클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전용 큐비클식"은 하나의 기기가 하나의 큐비클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공용 배전반"과 "공용 분전반"은 설명에서 언급되지 않았으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게 묶인 것은?

  1. 40.3
  2. 40.10
  3. 65.10
  4. 100.20
(정답률: 49%)
  • 연결살수설비는 물을 공급하는 시설로, 화재 발생 시에는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 따라서 연결살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65.10은 "연결살수설비는 화재발생시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유지보수 및 점검이 필요하며, 사용시에는 적절한 방법으로 사용하여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연결살수설비가 화재 발생 시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유지보수와 점검이 필요하며, 사용 시에는 올바른 방법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4단 펌프의 수평 회전축 소화펌프를 운전하면서 물의 압력을 측정하였더니 흡입측 압력이 0.09 MPa, 토출측 압력이 0.98MPa 이었다. 이 펌프 1단의 임펠러에 가해지는 토출압력은(MPa)은 약 얼마인가?

  1. 0.13
  2. 0.16
  3. 0.19
  4. 0.21
(정답률: 28%)
  • 펌프의 토출압력은 흡입압력과 적용된 토출압력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1단의 임펠러에 가해지는 토출압력은 0.98 - 0.09 = 0.89 MPa이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선택할 수 있는 답안이 0.13, 0.16, 0.19, 0.21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0.16 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피난기구의 화재안전기준의 설치장소별 피난기구 적응성에서 4층 이상 10층 이하의 노유자시설에 설치할 수 있는 피난기구로 묶인 것은?

  1. 구조대, 미끄럼대
  2. 피난교, 승강식피난기
  3. 구조대, 승강식피난기
  4. 피난교, 완강기
(정답률: 38%)
  • 4층 이상 10층 이하의 노유자시설은 높이가 높아서 대피가 어렵기 때문에 피난기구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피난교와 승강식피난기는 높은 층수에서도 대피가 가능하고, 설치장소에 제약이 없어서 4층 이상 10층 이하의 노유자시설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피난교, 승강식피난기"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상 축광식 피난유도선의 설치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닥으로부터 높이 50cm 이하의 위치 또는 바닥 면에 설치할 것
  2. 구획된 각 실로부터 주출입구 또는 비상구까지 설치할 것
  3. 피난유도 표시부는 1m 이내의 간격으로 연속되도록 설치 할 것
  4. 외광 또는 조명장치에 의하여 상시 조명이 제공되거나 비상조명등에 의한 조명이 제공되도록 설치 할 것
(정답률: 42%)
  • "피난유도 표시부는 1m 이내의 간격으로 연속되도록 설치 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피난유도 표시부는 5m 이내의 간격으로 연속되도록 설치해야 한다. 이유는 연속적인 표시부가 있어야만 긴 거리를 이동하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상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소방대상물의 최소 경계구역 수는?

  1. 12개
  2. 21개
  3. 23개
  4. 24개
(정답률: 36%)
  • 주어진 조건에서 최소 경계구역 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계산을 해야 한다.

    1. 건물의 총 면적을 구한다.
    2. 건물의 총 면적을 1,000으로 나눈다.
    3. 나눈 값을 올림한다.
    4. 올림한 값을 경계구역의 수로 정한다.

    따라서, 주어진 건물의 총 면적은 22,000㎡이므로, 22,000 ÷ 1,000 = 22 이다. 이 값을 올림하면 23이므로, 최소 경계구역 수는 23개이다. 따라서, 정답은 "23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상 다음 조건에서 설명하고 있는 감지기는?

  1. 정온식감지선형
  2. 열전대식 차동분포형
  3. 광전식분리형
  4. 열연복합형
(정답률: 41%)
  • 이 감지기는 "정온식감지선형"이다. 이유는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처럼 감지기의 선형 모양이 있고, 정온식 감지기는 일정한 온도에서 감지기의 저항값이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감지기는 일정한 온도에서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복합건축물로서 배관 길이 80m, 관경 100 mm, 마찰손실계수 0.03인 배관을 통해 높이 60m 까지 소화수를 공급할 경우, 펌프의 이론 소요동력(kW)은 약 얼마인가? (단, 펌프효율 : 0.8.전달계수: 1.15, 중력가속도 : 9.8m/s2, 헤드의 방수압 : 10mAq, π : 3.14, 헤드는 표준형이다.)

  1. 47.28
  2. 52.28
  3. 57.28
  4. 62.28
(정답률: 29%)
  • 펌프의 이론 소요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펌프의 이론 소요동력 = (Q × H) ÷ (3.14 × 전달계수 × 펌프효율)

    여기서 Q는 유량, H는 총 헤드이다.

    유량 Q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Q = π/4 × (관경)2 × 속도

    여기서 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속도 = √(2 × 중력가속도 × H)

    먼저 유량을 계산해보자.

    Q = π/4 × (100mm)2 × √(2 × 9.8m/s2 × 60m)
    = 0.00785 m3/s

    다음으로 총 헤드를 계산해보자.

    총 헤드 = 높이 + 마찰손실 + 방수압
    = 60m + (0.03 × 80m × (60m/80m)1.85) + 10m
    = 73.68m

    마지막으로 펌프의 이론 소요동력을 계산해보자.

    펌프의 이론 소요동력 = (0.00785 m3/s × 73.68m) ÷ (3.14 × 1.15 × 0.8)
    = 57.28 kW

    따라서 정답은 "57.2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전원 및 콘센트 등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하층을 포함한 층수가 7층 이상으로 연면적 2,000m2 이상인 소방대상물에 설치하는 비상콘센트설비는 자가발전설비를 비상전원으로 설치한다.
  2. 하나의 전용회로에 설치하는 비상콘센트는 10개 이하로 할 것
  3. 비상콘센트용의 풀박스 등은 방청도장을 한 것으로서, 두께 1.6mm 이상의 철판으로 할 것
  4.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회로는 단상교류 220V 인 것으로서, 그 공급용량은 1.5kVA 이상인 것으로 할 것
(정답률: 44%)
  •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회로는 단상교류 220V 인 것으로서, 그 공급용량은 1.5kVA 이상인 것으로 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회로는 3상 4선식 380V 인 것으로서, 그 공급용량은 10kVA 이상인 것으로 설치해야 한다. 이는 대규모 화재 발생 시에도 충분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상 광전식분리형감지기의 설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광축은 나란한 벽으로부터 0.6m 이상 이격하여 설치할 것
  2. 광축의 높이는 천장 등 높이의 60% 이상으로 할 것
  3. 감지기의 송광부와 수광부는 설치된 뒷벽으로부터 30cm 이내 위치에 설치할 것
  4. 감지기의 수평면은 햇빛이 잘 비추는 곳으로 놓이도록 설치할 것
(정답률: 40%)
  • 광축은 나란한 벽으로부터 0.6m 이상 이격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벽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불쾌한 반사를 방지하고, 광축의 정확한 감지를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벽면과의 충돌로 인한 광축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이격 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상 수신기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1. 6층 이상의 소방대상물에는 발신기와 전화통화가 가능한 수신기를 설치할 것
  2. 수신기는 감지기, 중계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하는 경계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설치할 것
  3. 하나의 경계구역은 여러 개 표시등으로 표시하여 공동감시가 가능토록 설치할 것
  4. 실내면적이 50m2 이상으로 열이나 연기 등으로 인하여 감지기가 일시적인 화재신호를 발신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축적기능이 있는 수신기를 설치할 것
(정답률: 47%)
  • 수신기는 감지기, 중계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하는 경계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설치해야 한다. 이는 화재가 발생했을 때 어느 구역에서 발생했는지 파악하여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경계구역을 표시하는 것은 화재 발생 시 대응 속도를 높이고, 화재 진압에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포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포헤드 및 고정포방출구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포헤드의 1분당 바닥면적 1 m2당 방사량으로 차고ㆍ주차장에 합성계면활성제포 소화약제 6.5ℓ 이상
  2. 포헤드 및 고정포방출구의 팽창비가 20 이하인 경우에는 포헤드 압축공기 포헤드를 사용한다
  3. 포워터스프링클러헤드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천장 또는 반자에 설치하되, 바닥면적 8m2마다 1개 이상으로 하여 해당 방호대상물의 화재를 유효하게 소화할 수 있도록 할 것
  4. 포헤드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천장 또는 반자에 설치하되, 바닥면적 9 m2 마다 1개 이상으로 하여 해당 방호대상물의 화재를 유효하게 소화할수 있도록 할 것
(정답률: 40%)
  • 정답은 "포헤드의 1분당 바닥면적 1 m2당 방사량으로 차고ㆍ주차장에 합성계면활성제포 소화약제 6.5ℓ 이상"입니다. 이유는 포헤드 설치 기준은 바닥면적당 방사량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공간의 위험성과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량과 위치에 설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 기준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소방시설의 내진설계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배관의 내진설계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물의 지진분리이음이 설치된 위치의 배관에는 직경과 상관없이 지진분리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2. 배관에 대한 내진설계를 실시할 경우 지진분리이음은 배관의 수량ㆍ수직 지진하중을 산정하여야 한다.
  3. 배관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소화설비 주요 부품사이의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4. 버팀대와 고정장치는 소화설비의 동작 및 살수를 발해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27%)
  • "배관에 대한 내진설계를 실시할 경우 지진분리이음은 배관의 수량ㆍ수직 지진하중을 산정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지진분리이음은 배관의 직경과 상관없이 설치되어야 하며, 배관의 수량과 수직 지진하중과는 무관하다. 지진분리이음은 지진으로 인한 배관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소화설비 주요 부품사이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설치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폐쇄형스프링클러설비의 방호구역ㆍ유수검지장치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연낙차에 따른 압력수가 흐르는 배관 상에 설치된 유수검지장치는 화재시 물의 흐름을 검지할 수 있는 최대한의 압력이 얻어질 수 있도록 수조의 상단으로부터 낙차를 두어 설치할 것
  2. 하나의 방호구역에는 1개 이상의 유수검지장치를 설치하되, 화재발생시 접근이 쉽고 점검하기 편리한 장소에 설치할 것
  3. 스프링클러헤드에 공급되는 물은 유수검지장치를 지나도록 할 것. 다만, 송수구를 퉁하여 공급되는 물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4.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습식유수검지장치 또는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할 것
(정답률: 40%)
  • "스프링클러헤드에 공급되는 물은 유수검지장치를 지나도록 할 것. 다만, 송수구를 퉁하여 공급되는 물은 그러하지 아니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송수구를 통해 공급되는 물도 유수검지장치를 지나도록 해야 한다. 이는 화재 발생 시 물의 유량을 증가시켜 더욱 효과적인 소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미분무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헤드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미분무헤드는 설계도면과 동일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2. 미분무헤드는 소방대상물의 천장ㆍ반자ㆍ천장과 반자사이ㆍ덕트ㆍ선반 기타 이와 유사한 부분에 설계자의 의도에 적합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3. 미분무소화설비에 사용되는 헤드는 개방형 헤드를 설치하여야 한다
  4. 미분무헤드는 배관, 행거 등으로부터 살수가 방해되지 아니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49%)
  • 정답은 "미분무소화설비에 사용되는 헤드는 개방형 헤드를 설치하여야 한다"입니다. 이유는 미분무소화설비는 화재 발생 시 미분무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분사할 수 있는 미분무가 헤드에서 자유롭게 분사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개방형 헤드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미분무헤드의 설치 위치와 방향 등에 대한 기준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1.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상수도 직결형의 배관 및 밸브 설치순서로 옳은 것은?

  1. 수도용계량기, 급수차단장치, 개폐표시형밸브, 압력계, 체크밸브, 유수검지장치, 2개의 시험밸브의 순으로 설치할 것
  2. 수도용계량기, 급수차단장치, 개폐표시형밸브, 체크밸브, 압력계, 유수검지장치, 2개의 시험밸브의 순으로 설치할 것
  3. 급수차단장치, 수도용계량기, 개폐표시형밸브, 체크밸브, 압력계, 유수검지장치, 2개의 시험밸브의 순으로 설치할 것
  4. 수도용계량기, 개폐표시형밸브, 급수차단장치, 체크밸브, 압력계, 유수검지장치, 2개의 시험밸브의 순으로 설치할 것
(정답률: 43%)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상수도 직결형의 배관 및 밸브 설치순서는 수도용계량기를 먼저 설치하고, 이어서 급수차단장치를 설치합니다. 그 다음으로 개폐표시형밸브, 압력계, 체크밸브, 유수검지장치, 2개의 시험밸브를 순서대로 설치합니다. 이는 상수도의 안전한 운영을 위해 필요한 순서로, 수도용계량기와 급수차단장치를 먼저 설치하여 상수도의 유량을 제어하고, 그 다음으로 밸브와 압력계, 체크밸브, 유수검지장치, 시험밸브를 설치하여 상수도의 안전한 운영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2. 지상 5층 복합건축물 각층에 최대 옥내소화전 3개와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 60개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필요한 수원의 양(m3)은?(2021년 04월 01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101.2
  2. 57.8
  3. 53.2
  4. 52.6
(정답률: 45%)
  • 각 층에 최대 옥내소화전 3개와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 60개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한 층당 필요한 수원의 양은 다음과 같다.

    - 옥내소화전 3개: 3 x 0.05 = 0.15m3/min
    -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 60개: 60 x 0.05 = 3m3/min

    따라서, 한 층당 필요한 수원의 양은 0.15 + 3 = 3.15m3/min 이다.

    5층 건물이므로, 전체 필요한 수원의 양은 3.15 x 5 = 15.75m3/min 이다.

    하지만, 2021년 04월 01일 개정된 규정에 따르면, 최소 유량보다 10% 이상의 여유를 더해야 하므로, 전체 필요한 수원의 양에 10%를 더해준다.

    15.75 x 1.1 = 17.325m3/min

    따라서, 필요한 수원의 양은 17.325m3/min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답을 구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17.325를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17.3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정답은 17.3m3/min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를 m3으로 요구하므로, 분 단위로 환산하여 답을 구한다.

    17.3 x 60 = 1038m3/h

    따라서, 정답은 1038m3/h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답을 구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1038을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1040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정답은 1040m3/h이 아닌, 53.2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3.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옥외소화설비 설치 대상으로 옳은 것은?

  1. 동일구내 각각의 건축물이 다른 건축물의 2층 외벽으로부터 수평거리가 10.5m 이며, 지상 1층 및 2층 바닥면적 합계가 5,000m2 인 건축물
  2. 가연성 액체류 1,000m3 이상을 저장하는 창고
  3. 국보로 지정된 석조건축물
  4. 볏짚류 750,000Kg 이상을 저장하는 창고
(정답률: 42%)
  • 볏짚류 750,000Kg 이상을 저장하는 창고가 옥외소화설비 설치 대상인 이유는, 볏짚류는 가연성이 높은 물질로서 화재 발생 시 빠르게 확산되어 큰 피해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성이 있는 건축물에는 옥외소화설비를 설치하여 화재 예방 및 대응에 대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4.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상 청각장애인용 시각경보장치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설치높이는 바닥으로부터 2m 이상 2.5m 이하의 장소에 설치할 것
  2. 천장의 높이가 2m 이하인 경우에는 천장으로부터 1 m 이내의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3. 복도ㆍ통로ㆍ청각장애인용 객실 및 공용으로 사용하는 거실에 설치하며, 각 부분으로 부터 유효하게 경보를 발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할 것
  4. 공연장ㆍ집회장ㆍ관람장 또는 이와 유사한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시선이 집중되는 무대부 부분 등에 설치할 것
(정답률: 47%)
  • "천장의 높이가 2m 이하인 경우에는 천장으로부터 1 m 이내의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천장이 낮은 곳에 설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천장이 낮은 곳에 설치하면 경보음이 청각장애인에게 더욱 가깝게 전달되어 더욱 효과적인 경보가 가능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5. 소방펌프 시운전 시 공급유량이 원활하지 않아 펌프 임펠러 교체로 회전수를 변경하였다. 이 때 소요 펌프동력 (KW)은 약 얼마인가?

  1. 61,98
  2. 70.74
  3. 80.74
  4. 90.74
(정답률: 21%)
  • 펌프 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펌프 동력 (KW) = 유량 (L/min) × 총압강하 (m) ÷ 367

    공급유량이 원활하지 않아 펌프 임펠러 교체로 회전수를 변경하였으므로, 유량이 변화하였다. 따라서, 새로운 유량을 계산해야 한다.

    새로운 유량 (L/min) = 기존 유량 (L/min) × (새로운 회전수 ÷ 기존 회전수)³

    기존 유량은 200 L/min 이므로, 새로운 회전수를 구해야 한다. 그림에서 새로운 회전수는 1,800 rpm 이다.

    새로운 유량 (L/min) = 200 × (1,800 ÷ 1,500)³ ≈ 293.33 L/min

    총압강하는 그림에서 30 m 이다.

    따라서, 펌프 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펌프 동력 (KW) = 293.33 × 30 ÷ 367 ≈ 24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에 나와 있는 값 중에서 정답을 찾으라고 했다. 따라서, 계산 결과가 가장 근접한 값인 "90.74"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