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3-04)

정보통신산업기사
(2007-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전자회로

1. 그림의 연산증폭기 회로에서 Rf 대신 콘덴서 C로 바꿀 경우 그 역할로 옳은 것은?

  1. 이상기 (phase shifter)
  2. 계수기
  3. 적분 연산기
  4. 부호 변환기
(정답률: 알수없음)
  • 콘덴서는 주파수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화하므로, 연산증폭기의 전압 이득을 결정하는 Rf 대신 콘덴서를 사용하면 주파수 응답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콘덴서는 "주파수 응답 튜닝"의 역할을 한다.

    "적분 연산기"는 입력 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는 회로로, 입력 신호의 DC 성분을 제거하거나, 저주파 신호를 강조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이 회로에서는 입력 신호가 콘덴서를 통해 전달되므로, 적분 연산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적분 연산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논리식을 간략히 하면 어떻게 되는가?

  1. Y = 1
(정답률: 알수없음)
  • 논리식을 간략화하면 "Y = 1" 이 된다. 이유는 AND 게이트의 입력이 모두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기 때문에, "X = 1" 이고 "Z = 1" 일 때 "Y = 1" 이 된다. 이는 논리식에서 "X ∧ Z" 와 같은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RS 플립플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0, R=0 이면 출력은 변하지 않는다.
  2. S=1, R=0 이면 출력은 1이 된다.
  3. S=0, R=1 이면 출력은 0이 된다.
  4. S=1, R=1 이면 출력은 전상태와 반대가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S=1, R=1 이면 출력은 전상태와 반대가 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RS 플립플롭은 S와 R이 모두 1인 상태를 금지 상태로 정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S=1, R=1인 상태는 정의되지 않으며, 이 상태에서의 출력은 예측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과 같은 정류 회로에서 입력 전압의 실효치가 100V일 때 부하저항에 나타나는 평균 전압은 약 몇 V 인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90
  2. 80
  3. 70
  4. 6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류 회로에서 입력 전압의 평균값은 입력 전압의 절반인 50V이다. 그러나 부하저항에 나타나는 평균 전압은 입력 전압의 평균값보다 높아진다. 이는 다이오드가 양의 반주파수에서는 전류를 통과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력 전압의 실효치가 100V일 때 부하저항에 나타나는 평균 전압은 약 90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단동조 증폭기가 492kHz의 공진주파수에서 7kHz의 대역폭을 갖는다고 하면, 이 회로의 Q는 약 얼마인가?

  1. 49
  2. 70
  3. 98
  4. 345
(정답률: 알수없음)
  • Q는 공진주파수를 대역폭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Q = 492kHz / 7kHz = 7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7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전류이득이 hfe1, hfe2 인 TR1, TR2 가 그림과 같이 다링톤(darlington) 연결되어 있다. 이 회로의 전체 전류이득 hfe는 얼마인가?

  1. hfe1ㆍhfe2 + hfe1 + hfe2 + 1
  2. hfe1ㆍhfe2 + hfe1 + hfe2
  3. hfe1ㆍhfe2 + hfe1
  4. hfe1ㆍhfe2 + hfe2
(정답률: 알수없음)
  • 다링톤 연결은 두 개의 트랜지스터를 직렬로 연결하여 전체 전류이득을 증폭시키는 방법이다. 이 때, TR1의 출력이 TR2의 입력으로 들어가므로 전체 전달함수는 TR1의 전달함수와 TR2의 전달함수를 곱한 것과 같다. 따라서 전체 전달함수는 hfe1ㆍhfe2 이다. 그러나 TR1과 TR2의 베이스 전류는 서로 다르므로 전체 전달함수에는 TR1과 TR2의 전달함수를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전체 전달함수는 hfe1ㆍhfe2 + hfe1 + hfe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FET(Field Effect Transistor)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쌍극성 소자이다.
  2. BJT보다 저입력 임피던스를 갖는다.
  3. 입력신호 전압을 게이트에 인가해서 채널(channel) 전류를 제어한다.
  4. P채널 FET에 흐르는 전류는 전자의 확산현상에 의해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FET은 입력신호 전압을 게이트에 인가해서 채널 전류를 제어하는 특성을 갖습니다. 이는 게이트와 채널 사이에 전하를 제어하는 전기장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FET은 입력신호에 따라 채널 전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그림 (B)와 같은 회로에 그림 (A)와 같은 파형의 전압을 인가할 경우 출력에 나타나는 전압파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이유는 그림 (B)의 회로는 정류기와 필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정류기는 입력 전압의 음극을 차단하고 양극만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며, 필터는 정류된 전압의 변동을 완화시켜 안정된 전압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입력 전압의 파형이 변동이 심한 경우에도 출력 전압은 안정적인 파형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그림 (A)의 파형은 변동이 심하므로, 출력 전압의 파형도 입력 전압과 유사한 모양을 가지게 된다. 이 중에서도 가장 적합한 것은 필터의 용량이 큰 경우이다. 필터의 용량이 크면 입력 전압의 변동을 더욱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논리 IC의 전력소모가 일반적으로 가장 적은 것은?

  1. TTL
  2. ECL
  3. CMOS
  4. DTL
(정답률: 알수없음)
  • CMOS가 일반적으로 가장 적은 전력을 소모하는 이유는 CMOS가 논리 게이트의 입력 신호가 없을 때 전력을 소모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TTL과 ECL은 입력 신호가 없어도 일정한 전력을 소모하며, DTL은 입력 신호가 없을 때도 전력을 소모하지만 CMOS는 입력 신호가 없으면 전력을 소모하지 않기 때문에 가장 저전력 소모를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조하는 방식에 해당하는 것은?

  1. ASK
  2. FSK
  3. PSK
  4. QAM
(정답률: 알수없음)
  • QAM은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약자로,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조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두 개의 직교하는 캐리어 신호를 사용하여 진폭과 위상을 각각 변조하고, 이를 결합하여 하나의 신호로 만듭니다. 따라서 QAM은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레지스터(register)의 용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펄스(pulse)를 발생하는데 사용한다.
  2. 카운터의 대용으로 사용한다.
  3. 회로를 동기시키는데 사용한다.
  4. 데이터(data)를 일시 저장하는데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레지스터(register)는 데이터(data)를 일시 저장하는데 사용한다. 이는 CPU가 연산을 수행할 때 필요한 데이터나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레지스터는 CPU 내부에 위치하며, 매우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레지스터는 CPU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듀티사이클(duty cycle)이 0.1 이고, 주기가 40μs 인 경우 펄스폭은 몇 μs 인가?

  1. 10
  2. 4
  3. 3
  4. 1
(정답률: 알수없음)
  • 듀티사이클은 펄스폭이 주기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는 펄스폭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다.

    듀티사이클 = 펄스폭 / 주기

    0.1 = 펄스폭 / 40μs

    펄스폭 = 0.1 x 40μs

    펄스폭 = 4μs

    따라서, 정답은 "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수정발진기는 수정의 임피던스가 어떤 조건일 때 안정된 발진을 계속하는가?

  1. 저항성
  2. 용량성
  3. 유도성
  4. 표유용량성
(정답률: 알수없음)
  • 수정발진기는 유도성 임피던스가 일정 조건을 만족할 때 안정된 발진을 계속합니다. 이는 수정 내부의 유도성 임피던스가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면서 발진을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도성"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레이스(race)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플립플롭은?

  1. JK
  2. T
  3. M/S
  4. D
(정답률: 알수없음)
  • 플립플롭은 데이터의 순서를 뒤집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레이스(race)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레지스터나 논리 회로에서 동시에 데이터를 변경하는 것을 방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M/S(Master/Slave) 방식의 플립플롭이 사용됩니다. M/S 방식은 하나의 플립플롭이 마스터 역할을 하고, 다른 하나의 플립플롭이 슬레이브 역할을 합니다. 마스터 플립플롭은 클럭 신호를 받아서 데이터를 변경하고, 슬레이브 플립플롭은 마스터 플립플롭의 데이터를 받아서 변경합니다. 이렇게 하면 두 개의 플립플롭이 동시에 데이터를 변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M/S가 레이스(race)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립플롭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은 회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Q1 이 도통 상태이면 Q2 는 차단 상태이다.
  2.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이다.
  3. 발진의 주기(T)는 약 0.7×(R1ㆍC1+R2ㆍC2)초이다.
  4. Q2의 컬렉터 출력으로 정현파가 발생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Q2의 컬렉터 출력으로 정현파가 발생하는 이유는 Q2의 컬렉터와 C2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C2는 충전 및 방전을 반복하면서 Q2의 컬렉터에서 정현파를 발생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슈미트 트리거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주로 선형 증폭기로 사용한다.
  2. 계단파 발진기로 사용한다.
  3. 삼각파의 입력으로 정현파가 출력된다.
  4.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갖는 비교기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슈미트 트리거 회로는 입력 신호의 잡음에 대한 감쇠와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회로로, 입력 신호가 일정 임계값을 넘으면 출력 신호가 전환되는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갖는 비교기이다. 따라서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갖는 비교기이다."가 가장 적합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이미터 전류를 1mA 변화시켰더니 컬렉터 전류의 변화는 0.96mA였다. 이 트랜지스터의 β는 얼마인가?

  1. 0.96
  2. 1.04
  3. 24
  4. 48
(정답률: 알수없음)
  • β = 컬렉터 전류 / 에미터 전류 = 0.96mA / 1mA = 0.96
    하지만 β는 일반적으로 정수값이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값인 24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부궤환 증폭회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이득 증가
  2. 비선형 일그러짐 감소
  3. 잡음 감소
  4. 고주파 특성의 개선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이득 증가"

    부궤환 증폭회로는 입력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으로 내보내는 회로이다. 이 회로의 특징 중 "이득 증가"는 올바른 특징이 아니다. 이유는 부궤환 증폭회로는 입력 신호의 크기를 증폭시키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이득이 증가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이득 증가"는 부궤환 증폭회로의 특징이 아니라 일반적인 동작 원리이다.

    부궤환 증폭회로의 다른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 비선형 일그러짐 감소: 부궤환 증폭회로는 비선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 입력 신호가 일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감소시켜 정확한 출력을 얻을 수 있다.
    - 잡음 감소: 부궤환 증폭회로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감소시켜 정확한 출력을 얻을 수 있다.
    - 고주파 특성의 개선: 부궤환 증폭회로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이는 고주파 신호가 다른 회로에서 일그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JK 플립플롭의 2개의 입력이 똑같이 1 이고, 클록 펄스가 계속 들어오면 츨력은 어떤 상태가 되는가?

  1. Set
  2. Reset
  3. Toggle
  4. 동작불능
(정답률: 알수없음)
  • JK 플립플롭은 입력이 같을 때 이전 상태를 반전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입력이 계속 1로 유지되면 출력은 계속해서 반전되며, 이는 "Toggle" 상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의 논리회로에서 3개의 입력단자에 각각 1의 입력이 들어오면 출력 A와 B의 값은?

  1. A=1, B=0
  2. A=1, B=1
  3. A=0, B=0
  4. A=0, B=1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가 연결된 형태이다.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고, OR 게이트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이 1이면 출력이 1이 된다. 따라서 입력이 모두 1인 경우, AND 게이트의 출력은 1이 되고, OR 게이트의 출력도 1이 된다. 그러므로 A=0, B=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기기

21. 정보통신 시스템의 회선종단장치 중에 디지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는?

  1. CCU
  2. DSU
  3. PCM
  4. Modem
(정답률: 알수없음)
  • DSU는 디지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아날로그 회선을 디지털 회선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보통신 시스템에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DSU가 필요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정보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이지만, 디지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특별한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변복조기(MODEM)의 기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전송매체를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기기이다.
  2.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회선에서 전송이 적합하도록 변조하여 준다.
  3. 디지털 신호를 복류신호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통신기기이다.
  4.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여 주는 정보통신기기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변복조기(MODEM)의 기능에 대한 설명 중 "디지털 신호를 복류신호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통신기기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MODEM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회선에서 전송이 적합하도록 변조하여 주는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동종 또는 이종의 LAN을 연결시켜 확장형 LAN을 만들거나 OSI 참조모델의 데이터링크계층 중 MAC 계층에서 통신을하며 두 세그먼트를 연결해 주는 장비는?

  1. 허브(HUB)
  2. 스위치(Switch)
  3. 브리지(Bridge)
  4. 게이트웨이(Gateway)
(정답률: 알수없음)
  • 브리지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작동하는 장비로,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하는 장치들을 연결하여 트래픽을 제어하고 전송 속도를 개선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서로 다른 네트워크 대역을 연결하여 확장형 LAN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브리지는 동종 또는 이종의 LAN을 연결시켜 확장형 LAN을 만들거나 두 세그먼트를 연결해 주는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위성통신에서 위성의 상태 보고 및 위성체의 위치 및 자세제어 등을 하는 서브 시스템은?

  1. Propulsion sub-system
  2. Power sub-system
  3. Communication sub-system
  4. Tracking telemetry and command sub-system
(정답률: 알수없음)
  • 위성의 상태 보고 및 위치 및 자세 제어는 위성의 운영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위성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위치와 자세를 조절하기 위한 서브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Tracking telemetry and command sub-system은 위성의 위치와 자세를 추적하고, 위성과 지상국 간의 통신을 담당하여 위성 운영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서브 시스템이 위성 운영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통신제어 처리장치 중 컴퓨터와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 메시지 통신 제어와 데이터 형식 변환 등의 통신처리를 하는 것은?

  1. 전단 처리 장치
  2. 단말기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3. 다기능 입출력 장치
  4. 원격 모뎀 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단 처리 장치는 컴퓨터와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메시지 통신 제어와 데이터 형식 변환 등의 통신 처리를 담당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단말기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다기능 입출력 장치, 원격 모뎀 장치는 전단 처리 장치와는 다른 역할을 수행하므로 정답은 "전단 처리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CCTV 시스템의 기본 구성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촬상계
  2. 전송계
  3. 수상계
  4. 교환계
(정답률: 알수없음)
  • CCTV 시스템의 기본 구성에는 촬상계, 전송계, 수상계가 포함되지만, 교환계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교환계는 네트워크 카메라와 같은 IP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에 필요한 구성 요소로, 비디오 스트림을 처리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CCTV 시스템에서는 교환계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집중화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입력 회서의 수는 출력 회선의 수보다 같거나 많다.
  2. 입력과 축력측의 전체 대역폭이 같은 정적인 방식이다.
  3. 실제 데이터를 전송할 단말기에만 시간을 할당해 준다.
  4. 순수한 경재 dtjsxor 및 메시지 스위칭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과 출력 측의 전체 대역폭이 같은 정적인 방식이 집중화기의 특징이 아닙니다. 집중화기는 입력 측의 다수의 회선을 하나의 출력 회선으로 집중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입력 측의 대역폭이 출력 측의 대역폭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2개의 음성대역 회선을 사용하여 광대역에서 얻을 수 있는 통신 속도를 얻는 기기는?

  1. 집중화기
  2. 시분할 다중화기
  3. 지능 다중화기
  4. 역 다중화기
(정답률: 알수없음)
  • 역 다중화기는 여러 개의 음성대역 회선을 하나의 광대역 회선으로 변환하는 기기입니다. 따라서, 2개의 음성대역 회선을 사용하여 광대역에서 얻을 수 있는 통신 속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른 선택지인 집중화기, 시분할 다중화기, 지능 다중화기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기이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수신기에 일정한 주파수와 진폭의 희망파를 인가한 경우에 재조정하지 않고 얼마나 오랜 시간 동안 일정한 출력을 얻을 수 있는가의 능력을 나타내는 것은?

  1. 감도(sensitivity)
  2. 충실도(fidelity)
  3. 안정도(stability)
  4. 선택도(selectivity)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정도는 시간에 따른 출력의 변화가 얼마나 적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일정한 주파수와 진폭의 희망파를 인가한 경우에 재조정하지 않고 오랜 시간 동안 일정한 출력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므로, 정답은 안정도입니다. 감도는 입력 신호의 작은 변화에 대한 출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이고, 충실도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유사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선택도는 원하는 신호를 감지하고 다른 신호를 차단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팩시밀리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주사장치
  2. 광전변환
  3. 수신기록
  4. 주파수체배
(정답률: 알수없음)
  • 주사장치, 광전변환, 수신기록은 모두 팩시밀리의 구성요소입니다. 하지만 주파수체배는 팩시밀리에서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로, 주파수를 변환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파수체배는 팩시밀리의 구성요소 중 하나이지만, 다른 요소들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아주 작은 네온전구의 집합과 같은 기능을 하는 평면형 표시 장치는 2매의 얇은 유리 기판 사이의 좁은 틈에 네온 등의 가스를 봉입하고, 유리의 내면에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투명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1. OLED
  2. PDP
  3. LCD
  4. CRT
(정답률: 알수없음)
  • PDP는 Plasma Display Panel의 약자로, 작은 네온전구의 집합과 같은 기능을 하는 평면형 표시 장치를 의미합니다. 이는 얇은 유리 기판 사이의 좁은 틈에 네온 등의 가스를 봉입하고, 유리의 내면에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투명전극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OLED, LCD, CRT는 각각 다른 기술로 만들어진 표시 장치이므로 정답은 PD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교환기에서 가입자 선을 정합하는 가입자 회로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Charging
  2. Battery Feed
  3. Coding, Decoding
  4. Over-voltage Protection
(정답률: 알수없음)
  • 교환기에서 가입자 선을 정합하는 가입자 회로의 기능 중 "Charging"은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가입자 회로의 기능은 가입자의 통화를 연결하고, 부가기능을 제공하며, 통화의 품질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Charging"은 가입자 회선을 통해 발생한 통화 요금을 청구하기 위한 기능으로, 가입자 회로의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센터에 각종 영상 정보파일 및 음성 정보파일을 설치해 놓고 각 단말기에서 개별 액세스에 의해 각종의 정보 안내나 학습 프로그램 등의 서비스를 개별로 제공하는 회화형 화상정보시스템은?

  1. CCTV 시스템
  2. 정지화방송 시스템
  3. 화상통신회의 시스템
  4. 화상응답 시스템
(정답률: 알수없음)
  • 화상응답 시스템은 센터에 각종 정보파일을 설치하고 각 단말기에서 개별 액세스에 의해 정보를 제공하는 회화형 화상정보시스템이다. 다른 보기들인 CCTV 시스템은 영상 감시 시스템, 정지화방송 시스템은 비상 상황 발생 시 안내 방송 시스템, 화상통신회의 시스템은 원격 회의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도형출력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1. Scanner
  2. Digitizer
  3. Tablet
  4. Plotter
(정답률: 알수없음)
  • 도형출력장치는 그래프나 도형 등을 그리기 위한 장치로, 이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것이 Plotter이다. Plotter는 컴퓨터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밀한 그림을 그리는 장치로, 대형 포스터나 배너 등을 출력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Plotter"가 도형출력장치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홈네트워크 기술에서 유선기반기술이 아닌 것은?

  1. Home PNA
  2. PLC(Power Line Communication)
  3. Ethernet
  4. Bluetooth
(정답률: 알수없음)
  • Bluetooth는 무선 기반 기술이므로 유선 기반 기술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AM 수신기와 비교하여 FM 수신기의 회로 구성 및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수신주파수 대역폭이 좁다.
  2. 주파수 변별회로가 있다.
  3. 진폭제한회로가 있다.
  4. 스켈치회로가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수신주파수 대역폭이 좁다." 이다.

    AM 수신기와 비교하여 FM 수신기는 주파수 변조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회로 구성이 다르다. FM 수신기는 주파수 변별회로와 진폭제한회로가 있지만, 스켈치회로는 없다.

    수신주파수 대역폭이 좁은 이유는 FM 수신기에서는 주파수 변조가 일어나기 때문에 변조된 신호를 복조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주파수를 알아야 한다. 따라서 주파수 변별회로가 필요하며, 이로 인해 수신주파수 대역폭이 좁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트래픽 단위의 관계가 틀린 것은?

  1. 1 Erl = 1 TU
  2. 1 HCS = 1 CCS
  3. 1 Erl = 36 HCS
  4. 1 HCS = UC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 Erl = 1 TU"이다.

    이유는 Erl은 트래픽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이고, TU는 트래픽의 처리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관계이다.

    그리고 HCS와 CCS는 모두 트래픽의 처리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1 HCS = 1 CCS의 관계가 맞다.

    또한 1 Erl = 36 HCS의 관계는 HCS와 Erl 사이의 관계이며, HCS와 UC는 모두 트래픽의 처리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1 HCS = UC의 관계도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데이터 단말장치의 기본 기능이 아닌 것은?

  1. 데이터 입력
  2. 데이터 송신
  3. 데이터 처리
  4. 데이터 출력
(정답률: 알수없음)
  • 데이터 단말장치의 기본 기능은 데이터를 입력하고, 송신하고, 출력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는 데이터 단말장치의 기본 기능이 아닙니다. 데이터 처리는 입력된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분석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이는 보다 복잡한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나 서버 등에서 처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이동통신망에서 사용하는 Handoff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Hard Handoff
  2. Soft Handoff
  3. Dual Handoff
  4. Softer Handoff
(정답률: 알수없음)
  • Dual Handoff은 이동통신망에서 사용하는 Handoff의 종류가 아닙니다. Dual Handoff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이동통신망 간의 Handoff를 의미합니다. 이는 다른 Handoff 종류와는 다른 개념이며, 이동통신망 간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지능 다중화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기라고도 한다.
  2. 동적인 시간 폭의 배정이 가능하다.
  3. 집중화 장비의 기능을 전혀 수행하지 못한다.
  4. 타임슬롯의 낭비가 심하다.
(정답률: 50%)
  • 지능 다중화기는 동적인 시간 폭의 배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옳다. 이는 시스템의 부하에 따라 타임슬롯의 길이를 조절하여 효율적인 자원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스템의 부하가 적을 때는 짧은 타임슬롯을 사용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부하가 많을 때는 긴 타임슬롯을 사용하여 자원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전송개론

41. 직류 및 저주파 성분이 감소하여 전송로에서 발생하는 저주파 차단 영향을 가장 받지 않는 신호방식은?

  1. 복류 RZ 방식
  2. 복류 NRZ 방식
  3. 바이폴라 방식
  4. 단류 RZ 방식
(정답률: 50%)
  • 바이폴라 방식은 신호의 극성을 바꾸어 전송하는 방식으로, 직류 성분이 없기 때문에 저주파 차단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방식입니다. 또한, 복류 방식과는 달리 신호의 중심선이 없기 때문에 DC 바이어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따라서 바이폴라 방식이 저주파 차단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펄스 변조 방식 중 양자화를 하지 않는 것은?

  1. PPM
  2. ADPCM
  3. PCM
  4. DM
(정답률: 알수없음)
  • PPM은 Pulse Position Modulation의 약자로, 펄스의 위치를 이용하여 신호를 변조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양자화를 하지 않습니다. 반면, ADPCM, PCM, DM은 모두 양자화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전력이 P 일 때 다음 중 dBw의 정의로 옳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전력이 P 일 때 dBw는 10log(P/1W)로 정의된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이는 전력을 1W로 정규화한 값의 로그값에 10을 곱한 것으로, 단위는 dB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가장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변조 방식은?

  1. ASK
  2. FSK
  3. QPSK
  4. BPSK
(정답률: 알수없음)
  • QPSK는 2개의 비트를 한 번에 전송할 수 있으며, 다른 세 변조 방식은 1개의 비트를 한 번에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QPSK가 가장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변조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PDM에서 채널간 사용되지 않는 부분은?

  1. 보호 주파수대
  2. 보호 시간대
  3. 보호 채널
  4. 보호 간격대
(정답률: 알수없음)
  • PDM에서 채널간 사용되지 않는 부분은 "보호 주파수대"입니다. 이는 주파수 대역에서 다른 채널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으로, 일정 주파수 대역을 보호하여 다른 채널의 신호와 충돌하지 않도록 합니다. 따라서 보호 주파수대는 채널간 간섭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광섬유 케이블의 심선구조에 있어서 코어와 클래드의 굴절률을 서로 비교하면 어느 쪽이 더 높은가?

  1. 코어가 더 높다.
  2. 클래드가 더 높다.
  3. 코어와 클래드가 동일하다.
  4. 사용재료에 따라 달라진다.
(정답률: 20%)
  • 코어와 클래드는 광섬유 케이블의 심선을 구성하는 두 가지 요소입니다. 광섬유 케이블은 광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광섬유 안을 따라 직진하며, 이때 광선은 코어와 클래드의 경계면에서 굴절됩니다. 따라서 코어와 클래드의 굴절률이 서로 다르면 광선의 굴절각도가 달라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광섬유 케이블의 코어는 클래드보다 굴절률이 높습니다. 이는 광선이 코어와 클래드 경계면에서 굴절할 때 코어 쪽으로 더 많이 굴절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구조는 광섬유 케이블의 광신호 전달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코어가 더 높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전송선로의 거리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디지털신호를 재생하는데 사용하는 것은?

  1. 증폭기
  2. 리피터
  3. 라이터
  4. 다중화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전송선로에서 신호가 이동하면서 거리가 멀어지면 신호의 감쇠가 일어나게 됩니다. 이러한 감쇠를 극복하기 위해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도 있지만, 증폭기는 신호의 왜곡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거리제한을 극복하면서도 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리피터입니다. 리피터는 신호를 증폭하는 것뿐만 아니라, 신호를 수신하고 재생하여 다시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거리제한을 극복하면서도 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진공 중에서 광속도와 전자파속도를 비교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광속도와 전자파속도는 같다.
  2. 광속도가 더 빠르다.
  3. 전자파속도가 더 빠르다.
  4. 속도가 불규칙하여 비교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광속도와 전자파속도는 같다."

    이유: 광속도와 전자파속도는 모두 진공 중에서의 속도이며, 전자파는 광파와 같은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둘의 속도는 같다. 이는 알버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의해 밝혀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DPCM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실제 표본값과 추정(예측) 표본값과의 차이만을 양자화한다.
  2. 양자화시 사용하는 비트수가 PCM보다 증가한다.
  3. PCM보다 정보전송량이 줄어든다.
  4. 송신기는 양자화기, 예측기, 부호화기 등으로 구성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DPCM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PCM보다 정보전송량이 줄어든다." 이다. DPCM은 예측을 통해 실제 표본값과 추정 표본값과의 차이만을 양자화하기 때문에, 이전 샘플과의 차이가 작을수록 양자화된 값의 비트 수가 적어지므로 정보전송량이 감소한다. 따라서, 올바른 설명은 다음과 같다.

    - "실제 표본값과 추정(예측) 표본값과의 차이만을 양자화한다."
    - "양자화시 사용하는 비트수가 PCM보다 증가한다."
    - "송신기는 양자화기, 예측기, 부호화기 등으로 구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PCM 과정 중 어느 단계에서 2진 부호로 변화되는가?

  1. 표본화
  2. 양자화
  3. 부호화
  4. 복호화
(정답률: 알수없음)
  • PCM 과정 중 "부호화" 단계에서 2진 부호로 변화됩니다. 이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 중 마지막 단계로, 양자화된 샘플링 값들을 이진수로 표현하여 디지털 신호를 생성합니다. 이렇게 생성된 디지털 신호는 이후에 복호화 과정을 거쳐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PPP에서 링크를 설정하고 제어하는데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1. NCP
  2. LCP
  3. SLIP
  4. LAPD
(정답률: 알수없음)
  • PPP에서 링크를 설정하고 제어하는데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LCP (Link Control Protocol)입니다. LCP는 PPP 프레임의 형식, 링크 속도, 인증 방법 등을 설정하고, 링크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오류를 검출하고 복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PPP 링크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LCP가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데이터 전송에서 전송 용량을 늘리기 위한 방안이 아닌 것은?

  1. 전송선로의 대역폭을 늘린다.
  2. 전송선로의 잡음을 줄인다.
  3. 전송신호의 신호대잡음비를 높인다.
  4. 전송신호의 대역폭을 늘린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송신호의 대역폭을 늘리는 것은 데이터 전송 용량을 늘리는 방안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문제의 조건에 맞지 않는다. 대역폭을 늘리는 것은 전송하는 신호의 주파수 범위를 넓히는 것으로, 이를 통해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이동통신에서 수신안테나를 두 개 이상의 장소에 설치하고 이들의 출력을 동상으로 만들어 합성하거나 또는 가장 양호한 출력을 선택하여 수신하는 방식은?

  1. 공간 다이버시티
  2. 주파수 다이버시티
  3. 각도 다이버시티
  4. 경로 다이버시티
(정답률: 알수없음)
  • 공간 다이버시티는 수신안테나를 두 개 이상의 장소에 설치하여 신호의 다양한 경로를 활용하여 신호의 강도를 최대화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신호의 간섭과 손실을 최소화하고 더욱 안정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전송제어 문자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STX : 텍스트의 시작을 표시한다.
  2. ETB : 블록의 완료를 표시한다.
  3. ENQ :질의가 끝났음을 알린다.
  4. SOH : 헤딩의 시작을 표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ENQ는 질의를 보내는 측에서 수신측에게 데이터를 요청하는 제어 문자이며, 질의가 끝났음을 알리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을 알리는 것이다. 따라서 "ENQ :질의가 끝났음을 알린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과 동축 케이블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은 차폐형인 UTP와 비차폐형인 STP로 구분한다.
  2. 동푹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Zo)는 이고 세심 동축케이블의 경우 75Ω이다.
  3. 동축 케이블이 UTP 보다 장거리 전송(500m 이상)시 전송속도가 빠르다.
  4. 동축 케이블에는 BNC 커넥터를 사용하고 UTP에는 RJ-45와 같은 커넥터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동축 케이블이 UTP 보다 장거리 전송(500m 이상)시 전송속도가 빠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UTP가 동축 케이블보다 장거리 전송에 더 적합하며, UTP의 경우 리피터를 사용하여 전송 거리를 늘릴 수 있습니다.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은 차폐형인 UTP와 비차폐형인 STP로 구분하는 이유는, 차폐형 UTP는 외부 잡음에 더 강하며, 비차폐형 STP는 내부 잡음에 더 강합니다. 따라서 사용 환경에 따라 적합한 케이블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동축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Zo)는 50Ω이며, 세심 동축케이블의 경우 75Ω입니다. 동축 케이블에는 BNC 커넥터를 사용하고, UTP에는 RJ-45와 같은 커넥터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HDLC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프레그
  2. 어드레스부
  3. 프레임체크시퀀스
  4. 동기체크부
(정답률: 알수없음)
  • HDLC 프레임을 구성하는 요소는 프레그, 어드레스부, 프레임체크시퀀스, 그리고 FCS (프레임체크시퀀스)입니다. 동기체크부는 HDLC 프레임을 구성하는 요소가 아닙니다. 동기체크부는 비트 동기화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데이터 링크 제어절차(HDLC)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링크 형식은 점대점, 멀티포인트 모두 가능하다.
  2. 비동기 방식보다 전송 효율이 우수하다.
  3. 반이중, 전이중 전송 방식이 모두 가능하다.
  4. Byte 방식 프로토콜로서 시스템의 변경 및 확대가 어렵다.
(정답률: 알수없음)
  • HDLC는 비트 방식 프로토콜이므로, "Byte 방식 프로토콜로서 시스템의 변경 및 확대가 어렵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비트 방식 프로토콜은 시스템의 변경 및 확대가 상대적으로 쉽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코드 중 자기 정정을 할 수 없는 것은?

  1. 콘볼루션 코드
  2. 해밍 코드
  3. EBCDIC 코드
  4. BCH 코드
(정답률: 알수없음)
  • EBCDIC 코드는 이미 정해져 있는 코드 체계이기 때문에 자기 정정을 할 수 없습니다. 다른 코드들은 오류 검출 및 수정을 위해 자기 정정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콘볼루션 코드는 입력 데이터와 필터를 곱한 결과를 누적하여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이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자기 정정 기능을 통해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해밍 코드와 BCH 코드도 마찬가지로 오류 검출 및 수정을 위한 자기 정정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전송제어절차 중 에러제어 기법이 활용되는 단계는?

  1. 회선접속
  2. 데이터링크의 확립
  3. 정보의 전송
  4. 데이터링크의 해제
(정답률: 알수없음)
  • 에러제어 기법은 데이터의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고 복구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에러제어 기법은 정보의 전송 단계에서 활용된다. 정보의 전송 단계에서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도중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에러제어 기법을 사용하여 이를 검출하고 복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신호의 최고주파수를 fm, 표본화 주파수를 fs 라 할 때, 표본화정리에서 원 신호를 정확히 복원할 수 있는 조건으로 옳은 것은?

  1. fs = fm
  2. fs ≧ 2fm
  3. fs ≦ fm
  4. 2fs = fm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fs ≧ 2fm" 입니다.

    표본화 정리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때, 적절한 표본화 주파수(fs)를 사용해야 한다는 원리입니다. 이때, 표본화 주파수는 신호의 최고 주파수(fm)보다 높아야 합니다. 그 이유는 표본화 주파수가 신호의 최고 주파수보다 낮으면,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제대로 표본화되지 않아 신호가 왜곡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fs ≧ 2fm 이어야 원 신호를 정확히 복원할 수 있습니다. 이는 나이퀴스트-샘플링 정리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이 식은 표본화 주파수가 신호의 최고 주파수의 2배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조건을 만족하면,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복원할 때 왜곡이 최소화되며, 원래의 아날로그 신호를 정확하게 복원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설비기준

61. 컴퓨터 시스템 성능 평가 요인들 중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program size
  2. reliability
  3. throughput
  4. turnaround time
(정답률: 알수없음)
  • "Program size"는 컴퓨터 시스템 성능 평가 요인 중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프로그램의 크기가 시스템 성능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다른 요인들은 시스템의 신뢰성, 처리량, 처리 시간 등과 관련이 있으며, 이들은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운영체제의 처리프로그램에 속하는 것은?

  1. 데이터관리 프로그램
  2. 서비스 프로그램
  3. 작업관리 프로그램
  4. 수퍼바이저 프로그램
(정답률: 알수없음)
  • 운영체제의 처리프로그램 중에서 서비스 프로그램은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프린터 서비스, 파일 서비스, 네트워크 서비스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 프로그램은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 중 하나이며, 사용자 및 응용 프로그램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됩니다. 따라서, 서비스 프로그램이 운영체제의 처리프로그램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기억된 프로그램을 불러내어 명령을 해독하는 장치는?

  1. 제어장치
  2. 연산장치
  3. 기억장치
  4. 입력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제어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기억된 프로그램을 불러내어 명령을 해독하고, 연산장치와 기억장치 등 다른 하드웨어 장치들을 제어하여 컴퓨터 시스템이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기억된 프로그램을 불러내어 명령을 해독하는 역할을 하는 제어장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어떤 명령이 수행되기 전에 가장 우선적으로 행하여야 하는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1. PC ← PC+1
  2. MAR ← PC
  3. MBR ← M
  4. PC ← 0
(정답률: 알수없음)
  • MAR은 Memory Address Register의 약자로,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쓸 때 사용하는 레지스터입니다. 따라서 다른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전에 MAR에 메모리 주소를 저장해야 합니다. "MAR ← PC"는 현재 PC(Program Counter)에 저장된 값을 MAR에 저장하는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입니다. 이것은 다른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에서 사용할 메모리 주소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MAR ← PC"가 가장 우선적으로 행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CPU가 수행하는 4개 사이클(cycle)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Fetch cycle
  2. Execute cycle
  3. Interrupt cycle
  4. Jump cycle
(정답률: 알수없음)
  • "Jump cycle"은 CPU가 명령어를 실행하는 사이클이 아니라, 분기 명령어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사이클이기 때문에 4개 사이클 중에 포함되지 않는다. Jump cycle은 CPU가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변경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부동 소수점에 의한 수의 표현을 위하여 구분될 데이터 형식은?

  1. 부호 비트 + 지수부분 + 가수부분
  2. 부호 비트 + 정수부분 + 소수점
  3. 체크 비트 + 존 비트 + 숫자 비트
  4. 부호 비트 + 존 비트 + 소수점
(정답률: 알수없음)
  • 부동 소수점 데이터 형식은 부호 비트, 지수부분, 가수부분으로 구분됩니다. 이는 소수점 이하의 값을 표현하기 위해 가수부분과 지수부분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부호 비트는 양수와 음수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지수부분은 소수점의 위치를 나타내고 가수부분은 실제 값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요소가 모두 필요하며, 다른 보기들은 부동 소수점 데이터 형식을 나타내는 요소들이 아니므로 정답은 "부호 비트 + 지수부분 + 가수부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8비트 메모리 워드에서 비트패턴 (1110 1101)2 는 “① 부호있는 절대치(signed magnitude), ② 부호와 1의 보수, ③ 부호와 2의 보수”로 해석될 수 있다. 각각에 대응되는 10진수를 순서대로 나타낸 것은?

  1. ① -109, ② -19, ③ -18
  2. ① -109, ② -18, ③ -19
  3. ① 237, ② -19, ③ -18
  4. ① 237, ② -18, ③ -19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① -109, ② -18, ③ -19"이다.

    ① 부호있는 절대치(signed magnitude)로 해석하면 첫 번째 비트가 부호를 나타내므로 음수이다. 나머지 비트는 절대치를 나타내므로 2^6 + 2^5 + 2^3 + 2^2 + 2^0 = 109이다. 따라서 -109이 된다.

    ② 부호와 1의 보수로 해석하면 첫 번째 비트가 부호를 나타내므로 음수이다. 나머지 비트는 1의 보수를 취한 값이므로 0001 0010이 된다. 이를 10진수로 변환하면 -18이 된다.

    ③ 부호와 2의 보수로 해석하면 첫 번째 비트가 부호를 나타내므로 음수이다. 나머지 비트는 2의 보수를 취한 값이므로 1110 0011이 된다. 이를 10진수로 변환하면 -19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접근 속도 (access time)가 빠른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된 기억장치는?

  1. 자기코어 - 자기테이프 - 자기드럼
  2. 자기버블 - 캐시 - 자기코어
  3. 자기코어 - 캐시 - 자기디스크
  4. 캐시 - 자기코어 - 자기드럼
(정답률: 알수없음)
  • 캐시는 CPU와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데이터 접근 속도가 가장 빠릅니다. 자기코어는 캐시보다는 느리지만, 자기테이프나 자기디스크보다는 빠릅니다. 자기드럼은 자기테이프나 자기디스크보다는 빠르지만, 캐시나 자기코어보다는 느립니다. 따라서, "캐시 - 자기코어 - 자기드럼"이 접근 속도가 빠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연산장치에 있는 레지스터로서 사칙연산과 논리연산 등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레지스터는?

  1. Accumulator
  2. Instruction register
  3. Stack pointer
  4. Flag register
(정답률: 알수없음)
  • Accumulator는 연산장치에서 사칙연산과 논리연산 등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레지스터입니다. 이는 CPU가 수행하는 대부분의 연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Accumulator가 연산장치에 있는 레지스터로서 사칙연산과 논리연산 등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레지스터라는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16진수 C52를 2진수로 변환하면?

  1. 111101010010
  2. 110001011101
  3. 110001010010
  4. 111110101010
(정답률: 알수없음)
  • 16진수 C52는 2진수로 변환하면 110001010010이 된다. 이는 각 4자리씩 끊어서 2진수로 변환하면 된다. C는 12를 나타내므로 1100, 5는 0101, 2는 0010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110001010010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전송설비의 기기 오동작 유도종전압이 얼마를 초과하거나 초과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 전력유도 방지조치를 하여야 하는가?

  1. 1 밀리볼트
  2. 1 볼트
  3. 15 볼트
  4. 60 볼트
(정답률: 알수없음)
  • 전송설비의 기기 오동작 유도전압이 15 볼트를 초과하거나 초과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전력유도 방지조치를 해야 합니다. 이는 전송설비의 기기가 오동작을 일으키는 원인이 전력유도로 인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력유도 방지조치를 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우리나라의 전기통신은 누가 관장하는가?

  1. 국무총리
  2. 정보통신부장관
  3. 산업자원부장관
  4. 한국통신사장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의 전기통신은 정보통신분야를 관장하는 정보통신부장관이 책임을 지고 있습니다. 다른 보기인 국무총리, 산업자원부장관, 한국통신사장은 전기통신 분야에서 관장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전기통신망에 접속되는 단말기기 및 그 부속설비로 정의되는 것은?

  1. 정보통신설비
  2. 전송설비
  3. 국선접속설비
  4. 단말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단말장치는 전기통신망에 직접 접속되는 기기로, 사용자가 정보통신망을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기기이다. 따라서 전송설비나 국선접속설비와 같이 전기통신망을 구성하는 설비들은 단말장치의 부속설비로 분류된다. 따라서 "단말장치"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정보통신기술자를 공사현장에 배치하지 아니한 때의 벌칙은?

  1. 500만원 이하의 벌금
  2. 1000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
  4.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기술자를 공사현장에 배치하지 아니한 경우, 관련 법률인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경고금과 같은 경도한 처벌로, 더 심각한 범위의 처벌은 해당 법률에서 따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자가 아닌 자가 시공할 수 있는 공사는?

  1. 실험국의 무선설비설치공사
  2. 자동식교환기의 설치공사
  3. 열차무선설비 설치공사
  4. 지상관제소설비 설치공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공사업자가 아닌 자가 시공할 수 있는 공사는 "실험국의 무선설비설치공사"입니다. 이는 실험국이라는 비영리적인 곳에서 무선설비를 설치하는 것으로, 상업적인 목적이 없기 때문에 정보통신공사업자의 자격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상업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보통신공사업자의 자격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장와 감리용역업자가 당해 공사에 관하여 공사와 감리를 함께 할 수 없는 경우는?

  1. 친구관계에 있을 때
  2. 동창관계에 있을 때
  3. 동향관계에 있을 때
  4. 법인과 그 법인의 임ㆍ직원의 관계에 있을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공사업장와 감리용역업자는 서로 독립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이들 간에 친분이나 이해관계가 있을 경우 객관적인 감리가 어렵게 됩니다. 하지만 법인과 그 법인의 임ㆍ직원의 관계에 있을 경우, 이들은 서로 다른 법인으로서 독립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공사와 감리를 함께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전기통신의 표준화에 관한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설립한 기구는?

  1.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 한국정보사회진흥원
  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 전기통신표준협회
(정답률: 알수없음)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는 전기통신의 표준화를 추진하기 위해 설립된 기구로, 정보통신 기술 분야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국내 정보통신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정보통신공사업을 영위하고자 할 경우의 절차로 옳은 것은?

  1. 시ㆍ도지사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2. 정보통신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3. 시ㆍ도지사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4. 정보통신부장관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공사업은 지역사회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시ㆍ도지사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해당 지역의 사회적, 경제적 상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정보통신공사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시ㆍ도지사에게 등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법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정보통신고사의 조사ㆍ설계ㆍ감리 등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
  2. 공공복리의 증진
  3. 정보통신공사의 도급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
  4. 정보통신공사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공사업법의 목적 중 "공공복리의 증진"은 아닙니다. 이 법은 정보통신공사의 조사, 설계, 감리 등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하고, 정보통신공사의 도급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며, 정보통신공사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제정되었습니다. 따라서 "공공복리의 증진"은 이 법의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전기통신설비가 다른 사람의 전기통신설비와 접속되는 경우에는 그 건설과 보전에 관한 책임 등의 한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설정하여야 하는 것은?

  1. 접속점
  2. 분계점
  3. 단자반
  4. 경계점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통신설비가 다른 사람의 전기통신설비와 접속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책임 범위를 명확히 하기 위해 분계점을 설정해야 합니다. 분계점은 전기통신설비의 접속점 중에서도 두 개 이상의 회선이 만나는 지점으로, 이 지점 이전은 각각의 사용자가 책임을 지고, 이후는 공동으로 책임을 지는 구간입니다. 따라서 분계점을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가 책임을 지는 범위를 명확히 하고, 문제 발생 시에도 원인 파악과 해결이 용이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