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5-13)

정보통신산업기사
(2007-05-1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전자회로

1. 1[kHz]의 주파수를 500[Hz]로 변환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Flip-Flop 회로는?

  1. RS F-F
  2. JK F-F
  3. T F-F
  4. D F-F
(정답률: 알수없음)
  • T F-F (Toggle Flip-Flop) 회로는 입력 신호가 들어올 때마다 출력 상태를 반전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T F-F 회로를 사용하면 1[kHz]의 입력 신호를 500[Hz]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kHz]의 입력 신호가 들어올 때 T F-F 회로의 T 입력에 500[Hz]의 클럭 신호를 주면 출력 신호는 500[Hz]의 주기로 반전되어 나옵니다. 이렇게 T F-F 회로를 사용하면 입력 신호의 주파수를 반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그 값이 작을수록 좋은 것은?

  1. 증폭기 바이어스 회로의 안정계수
  2. 차동 증폭기의 동상신호 제거비(CMRR)
  3. 증폭기의 신호대 잡음비
  4. 정류기의 정류효율
(정답률: 알수없음)
  • "증폭기 바이어스 회로의 안정계수"가 작을수록 좋은 것이다. 이는 증폭기 바이어스 회로가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정도를 나타내는데, 안정적일수록 증폭기의 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증폭기 바이어스 회로의 안정계수가 작을수록 변동이 심하고 불안정하므로, 증폭기의 성능이 불안정해지고 신호의 왜곡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안정계수가 작을수록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전가산기(full adder)의 입⋅출력 구조는?

  1. 입력 2개, 출력 2개
  2. 입력 3개, 출력 2개
  3. 입력 2개, 출력 3개
  4. 입력 3개, 출력 3개
(정답률: 34%)
  • 전가산기는 2개의 이진수와 이전 단계에서 전달된 자리올림값을 입력으로 받아, 해당 자리의 합과 자리올림값을 출력한다. 따라서 입력은 3개(2개의 이진수와 이전 단계에서 전달된 자리올림값), 출력은 2개(해당 자리의 합과 자리올림값)이다. 따라서 정답은 "입력 3개, 출력 2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RL회로에서 기전력이 E일 때, SW를 닫는 순간 t초 후에 흐르는 전류(i)는?

(정답률: 알수없음)
  • SW를 닫으면 RL회로가 닫히게 되어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이때, RL회로의 전압은 L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력에 의해 결정되며, 초기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았기 때문에 전압은 0입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전압도 증가하게 됩니다. 이때, 전압이 증가하는 속도는 L에 의해 결정되며,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V = L(di/dt)입니다. 따라서, SW를 닫는 순간 t초 후에 흐르는 전류(i)는 i = E/R(1-exp(-Rt/L))입니다. 이때, t가 무한대로 커지면 exp(-Rt/L)는 0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i는 E/R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그림 회로의 용도는?(단, 다이오드는 이상적이고, VR1 < VR2이다.)

  1. 클립핑
  2. 전압배율기
  3. 정류기
  4. 피크검출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클립핑

    이 회로는 입력 신호의 양수 부분만 출력으로 전달하고, 음수 부분은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클립핑이라고 부른다. VR1 < VR2 이므로, 입력 신호가 VR1보다 작을 때는 다이오드가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차단되고, 입력 신호가 VR2보다 클 때는 다이오드가 정방향으로 작동하여 입력 신호가 출력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이 회로는 입력 신호의 크기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오버드라이브를 방지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B급 푸시풀 전력증폭기(push-pull power amp)에서 제거되는 것은?

  1. 기본파
  2. 제2고조파
  3. 제3고조파
  4. 제5고조파
(정답률: 알수없음)
  • B급 푸시풀 전력증폭기에서는 짝수 번째 고조파인 제2고조파가 제거됩니다. 이는 전력증폭기에서 발생하는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제2고조파는 짝수 번째 고조파이기 때문에 홀수 번째 고조파인 기본파와 제3, 5, 7... 고조파는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이미터 폴로어(Emitter follower) 증폭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부하에 병렬로 존재하는 정전용량의 영향이 적으므로 주파수 특성이 좋아진다.
  2. 전압 증폭도는 항상 1보다 크다.
  3. 임피던스 정합에 많이 이용된다.
  4. 출력 파형의 찌그러짐이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전압 증폭도는 항상 1보다 크다."

    이유: 이미터 폴로어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전압이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전압 증폭도가 1에 가깝다. 따라서, "전압 증폭도는 항상 1보다 크다."는 특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변조도 50%의 진폭변조에서 반송파 평균전력이 500[mW] 일 때 피변조파의 평균전력은 약 얼마인가?

  1. 523[mW]
  2. 542[mW]
  3. 563[mW]
  4. 580[mW]
(정답률: 알수없음)
  • 진폭변조에서 피변조파의 평균전력은 반송파 평균전력과 진폭변조의 깊이에 따라 결정된다. 진폭변조의 깊이가 50%이므로, 피변조파의 평균전력은 반송파 평균전력의 1.5배가 된다. 따라서, 500[mW] x 1.5 = 750[mW]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563[mW]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실 등을 고려한 값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입력신호가 없어도 신호파를 발생시키는 회로는?

  1. 적분기
  2. 미분기
  3. 이상 발진기
  4. 시미트 트리거
(정답률: 알수없음)
  • 이상 발진기는 양의 피드백을 가지고 있는 회로로, 입력신호가 없어도 내부적으로 자기 자신을 유지하며 신호파를 발생시키는 회로이다. 이 회로는 RC 회로와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되며, 일정한 주파수로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입력신호가 없어도 신호파를 발생시키는 회로는 이상 발진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피어스(pierce) B-E형 수정발진회로는 컬렉터 회로의 임피던스가 어떨 때 가장 안정한 발진을 지속하는가?

  1. 유도성
  2. 용량성
  3. 저항성
  4. 부저항성
(정답률: 알수없음)
  • 피어스 B-E형 수정발진회로에서 컬렉터 회로의 임피던스가 유도성일 때 가장 안정한 발진을 지속합니다. 이는 유도성 임피던스가 고주파 신호를 증폭시키는 데에 더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즉, 유도성 임피던스는 발진회로의 주파수 특성을 개선시켜 안정한 발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DPC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먼저 신호파를 표본화 한다.
  2. 양자화한 다음 부호화 한다.
  3. 송신측에 예측기가 필요하다.
  4. 주파수 분할방식으로 다중화가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 분할방식으로 다중화가 쉽다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DPCM은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의 약자로, 신호의 차분값을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이전 샘플과 현재 샘플의 차이를 예측하여 부호화하기 때문에 송신측에 예측기가 필요하다는 설명은 맞다.

    하지만 주파수 분할방식으로 다중화가 쉽다는 설명은 DPCM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는 여러 개의 주파수 대역을 나누어 각각의 대역에서 다른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DPCM은 단일 채널에서 사용되는 방식이므로 주파수 분할방식으로 다중화가 쉽다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펄스 파형에서 펄스의 Duty Cycle은 몇 [%]인가? (단, τ = 0.5[μs], T = 10[μs])

  1. 5[%]
  2. 10[%]
  3. 20[%]
  4. 25[%]
(정답률: 알수없음)
  • Duty Cycle은 펄스의 High 상태의 시간 대비 전체 주기(T) 중 High 상태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펄스에서 High 상태의 시간은 0.5[μs]이고 전체 주기는 10[μs]이므로, Duty Cycle은 (0.5/10) x 100 = 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Flip-Flop과 가장 관계없는 것은?

  1. RAM
  2. Decoder
  3. Counter
  4. Register
(정답률: 알수없음)
  • Flip-Flop, RAM, Counter, Register은 모두 디지털 논리 회로에서 사용되는 요소들이지만, Decoder는 입력 신호를 해석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논리 회로이므로 Flip-Flop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정논리(positive logic)에서 입력이 A, B일 때 회로의 출력(Y)을 나타내는 논리식은?

  1. AB
  2. A + B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 A, B가 모두 0일 때, AND 게이트의 출력은 0이므로 NOT 게이트의 입력은 1이 되고, OR 게이트의 출력은 1이 된다. 입력 A, B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AND 게이트의 출력은 1이므로 NOT 게이트의 입력은 0이 되고, OR 게이트의 출력은 1이 된다. 따라서, 입력 A, B에 대한 회로의 출력 Y는 "A + 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이상적인 차동증폭기에서 동상모드의 이득은?

  1. 0
  2. 1
  3. 180
  4. 무한대
(정답률: 알수없음)
  • 이상적인 차동증폭기에서는 입력 신호가 차동 신호일 때만 이득이 발생하고, 공통 신호일 때는 이득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동상모드의 이득은 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그림에 나타난 연산 증폭기의 회로는?

  1. 가산기 회로
  2. 적분 회로
  3. 미분 회로
  4. 차동증폭 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입력 신호를 미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미분 회로"입니다. R1과 C1이 구성하는 RC 회로에서 입력 신호는 C1을 통해 차분되어 R2에서 출력됩니다. 이 때 R2는 C1에 연결된 저항으로, C1의 전하를 방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기울기가 급격하게 변할 때, R2에서 큰 출력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미분 회로는 입력 신호의 높은 주파수 성분을 강조하는 필터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아래와 같은 4변수 카르노도를 간단히 했을 때 논리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카르노도를 간단히 했을 때, 1과 2, 4와 8이 서로 인접해 있으므로 각각을 묶어줄 수 있다. 그 결과, 논리식은 "" 이 된다. 이유는 1과 2, 4와 8이 인접해 있으므로, 각각을 묶어주면서 변수 A와 B가 상쇄되고, 변수 C와 D가 상쇄되어 최소항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TTL gate에서 스위칭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다이오드는?

  1. 바랙터 다이오드
  2. 제너 다이오드
  3. 쇼트키 다이오드
  4. 터널 다이오드
(정답률: 알수없음)
  • 쇼트키 다이오드는 전기적으로 빠른 반응속도를 가지고 있어 TTL 게이트에서 스위칭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쇼트키 다이오드가 PN 접합 다이오드보다 더 빠른 스위칭 속도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의 논리식을 최소의 NAND 게이트만으로 구성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NAND 게이트의 종류와 개수가 옳은 것은? (단, 인버터는 2입력 NAND 게이트를 사용함)

  1. 2입력 NAND 3개, 3입력 NAND 4개
  2. 2입력 NAND 3개, 3입력 NAND 3개
  3. 2입력 NAND 4개, 3입력 NAND 3개
  4. 2입력 NAND 2개, 3입력 NAND 4개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에서 turn-off 시간은?

  1. 지연시간(td)
  2. 지연시간(td) + 상승시간(tr)
  3. 축적시간(ts)
  4. 축적시간(ts) + 하강시간(tf)
(정답률: 알수없음)
  • 트랜지스터가 스위칭 동작을 할 때, 전하가 축적되는 시간인 축적시간(ts)과 전하가 제거되는 시간인 하강시간(tf)이 모두 고려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turn-off 시간은 축적시간(ts)과 하강시간(tf)을 합한 값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기기

21. 다음 중 CCTV의 기본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촬상장치
  2. 표시장치
  3. 전송장치
  4. 간선증폭기
(정답률: 알수없음)
  • CCTV의 기본구성요소는 촬상장치, 표시장치, 전송장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간선증폭기는 CCTV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비 중 하나이지만, 기본구성요소는 아닙니다. 간선증폭기는 전송장치의 일종으로,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CATV의 기본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헤드엔드
  2. 중계전송망
  3. 가입자설비
  4. 교환장비
(정답률: 알수없음)
  • CATV는 케이블 텔레비전을 의미하며, 기본 구성 요소는 헤드엔드, 중계전송망, 가입자설비입니다. 교환장비는 전화망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CATV의 기본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교환장비는 전화망에서 전화를 연결하거나 통화를 전환하는 역할을 하는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정보통신 시스템의 단말 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관계없는 것은?

  1. 디지타이저
  2. 음극선관
  3. 플라스마
  4. 액정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타이저는 디스플레이 장치와는 관련이 없는 입력 장치이다. 디지타이저는 터치스크린이나 그래픽 태블릿과 같은 입력 장치로, 사용자의 입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에 전달한다. 따라서 디지타이저는 디스플레이 장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반면, 음극선관, 플라스마, 액정은 모두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국제위성통신용 정지위성의 고도는 적도 상공에서 약 몇 Km 인가?

  1. 16000
  2. 26000
  3. 36000
  4. 46000
(정답률: 알수없음)
  • 국제위성통신용 정지위성의 고도는 지구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지상의 점과 일치하기 때문에 지구 중심에서의 중력과 정확히 상쇄되는 중심력이 작용하여 위성이 고정된 위치에 머무르게 됩니다. 이러한 고도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위성의 중심력과 지구 중심력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인 중력균형점(Lagrange point)을 이용합니다. 국제위성통신용 정지위성은 중력균형점 L1에 위치하며, 이 곳의 고도는 지구 중심에서 약 36,000km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600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중화기와 비교하여 공동이용기의 가장 큰 장점은?

  1. 네트워크의 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2. 공동이용기와 터미널 상이의 거리가 짧다.
  3. 공동이용기에 부착하는 터미널의 대수가 제한되지 않는다.
  4. 공동이용기를 이용하면 변⋅복조기가 필요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중화기는 각각의 터미널에 대해 별도의 회선을 할당하여 통신을 처리하는 반면, 공동이용기는 여러 터미널이 공유하는 하나의 회선을 이용하여 통신을 처리합니다. 이로 인해 네트워크의 구성이 단순화되어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즉, 회선을 공유함으로써 인프라 구축 비용이 절감되고, 유지보수 비용도 감소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통신위성체(space segment)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전력공급부
  2. 신호증폭부
  3. 감시제어부
  4. 안테나부
(정답률: 알수없음)
  • 감시제어부는 통신위성체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이지만, 실제로 통신을 수행하는 부분은 아니라 위성의 운용과 관리를 담당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통신을 수행하는 부분은 전력공급부, 신호증폭부, 안테나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전자식 전화기의 푸시버튼 신호에서 고주파군에 사용되는 주파수가 아닌 것은?

  1. 1477[Hz]
  2. 1336[Hz]
  3. 1209[Hz]
  4. 941[Hz]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식 전화기의 푸시버튼은 Dual Tone Multi-Frequency(DTMF) 신호를 사용한다. 이 신호는 고주파군에 속하며, 941[Hz]는 저주파군에 속한다. 따라서 941[Hz]는 DTMF 신호에 사용되지 않는 주파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DSU(Digital Service Unit)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신호파형의 변환
  2. 전송속도의 변환
  3. 제어신호의 삽입
  4. 데이터의 집중화
(정답률: 알수없음)
  • DSU는 디지털 회선에서 신호를 변환하고 전송속도를 변환하며 제어신호를 삽입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DSU의 기능 중 "데이터의 집중화"는 아닙니다. 데이터의 집중화는 MUX(Multiplexer) 등 다른 장비에서 수행됩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집중화"가 DSU의 기능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멀티포인트(multi-point)모뎀에서 폴링(polling)할 때 발생되는 시간지연요소가 아닌 것은?

  1. 모뎀의 시간 지연
  2. 단말기의 시간 지연
  3. 거리에 따른 시간 지연
  4. 반송파 발생에 따른 시간 지연
(정답률: 알수없음)
  • 반송파 발생에 따른 시간 지연은 멀티포인트 모뎀에서 폴링할 때 발생되는 시간 지연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는 모뎀이 데이터를 전송한 후 반송파를 기다리는 시간으로, 데이터 전송 속도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습니다. 다른 세 가지 요소인 모뎀의 시간 지연, 단말기의 시간 지연, 거리에 따른 시간 지연은 모뎀과 단말기 간의 통신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시간 지연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FM신호 복조기로 이용되고 있는 PLL검파기의 기본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저역통과필터(LPF)
  2. 전압제어발진기(VCO)
  3. 스켈치회로
  4. 위상비교기
(정답률: 알수없음)
  • PLL검파기의 기본 구성 요소는 저역통과필터(LPF), 전압제어발진기(VCO), 위상비교기이다. 스켈치회로는 PLL검파기에서 사용되지 않는 기본 구성 요소이다. 스켈치회로는 주로 ADC(Analog-to-Digital Converter)에서 사용되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정보 단말기 기능 중 전송제어 기능이 아닌 것은?

  1. 입⋅출력 제어 기능
  2. 오류 제어 기능
  3. 출력 변환 기능
  4. 송ㆍ수신 제어 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 제어 기능과 출력 제어 기능은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을 제어하는 기능이며, 오류 제어 기능은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기능이다. 송수신 제어 기능은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기능이다. 하지만 출력 변환 기능은 데이터를 출력할 때 변환하는 기능이 아니라, 입력된 데이터를 다른 형태로 변환하는 기능이므로 전송 제어 기능 중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모뎀 수신부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복조기에서는 아날로그 입력신호를 원래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2. DTE로부터 온 디지털 신호의 전송을 위하여 스크램블링 과정을 거친다.
  3. 시간회로는 수신출력 디지털 펄수를 만들어내기 위한 일종의 타이밍 추출회로로 주로 동기식 모뎀에서 사용한다.
  4. 통신회선을 통해 들어오는 신호는 대역제한 여파기, 등화기, AGC 등을 거쳐 복조기로 입력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DTE로부터 온 디지털 신호의 전송을 위하여 스크램블링 과정을 거친다.

    해설: 모뎀 수신부의 특징으로는 아날로그 입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시간회로를 사용하여 수신출력 디지털 펄스를 만들어내는 것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스크램블링 과정은 모뎀 송신부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DTE로부터 온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스크램블링을 거쳐야 합니다. 따라서 이는 모뎀 수신부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교환기의 통화량과 통화 접속 상황 등의 관계를 조사하는 파라미터와 관계 적은 것은?

  1. 최번시(Busy Hour)
  2. 보류시간(Holding Time)
  3. 호손율
  4. 데이터 전송률
(정답률: 알수없음)
  • 교환기의 통화량과 통화 접속 상황은 최번시, 보류시간, 호손율과 관련이 있지만, 데이터 전송률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적다. 데이터 전송률은 교환기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속도를 나타내는데, 이는 통화량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데이터 전송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컴퓨터시스템에 데이터를 입력시키고 그 결과를 사람의 음성으로 출력시켜서 인간에게 전달하는 음성 입ㆍ출력장치 중에서 직접적으로 음성파형을 만드는 장치는?

  1. 음성분석기
  2. 음성합성기
  3. 음성인식기
  4. 음성제어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음성합성기는 입력된 텍스트나 데이터를 기반으로 직접적으로 음성파형을 생성하여 사람의 음성으로 출력시키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입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음성을 생성하는 것이 특징이며, 다른 보기들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CATV 단말계의 주요 설비 중 도청 방지를 위한 스크램블과 디스크램블 기능을 가진 부분은?

  1. 컨버터
  2. 홈 터미널
  3. 부가장치
  4. 구내 선로 설비
(정답률: 알수없음)
  • 컨버터는 CATV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스크램블링하여 도청 방지를 위한 보안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스크램블과 디스크램블 기능을 가진 부분은 컨버터입니다. 홈 터미널은 가입자의 집에 설치되는 장비이며, 부가장치는 기존 설비에 추가되는 장비를 의미하며, 구내 선로 설비는 건물 내부의 케이블 설비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메시지 통신 시스템(MHS)의 기능으로 틀린 것은?

  1. 다른 서비스와의 상호 접속이 불가능하다.
  2. 컴퓨터의 기능으로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3. 복수의 수신자에게 같은 메시지를 배달하는 동보서비스 기능이 있다.
  4. 메시지 전송기능 및 사서함 기능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른 서비스와의 상호 접속이 불가능하다."가 틀린 것이다. MHS는 다른 서비스와의 상호 접속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MHS는 컴퓨터의 기능으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며, 동보서비스 기능과 메시지 전송기능 및 사서함 기능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원 접속방식 중 CDMA 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가입자 수용 용량이 크다.
  2. 전력제어 및 동기 기술이 필요 없다.
  3. 간섭과 방해에 강하다.
  4. 다경로 페이딩을 극복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CDMA 방식은 다른 다원 접속 방식과 달리 전력제어 및 동기 기술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는 CDMA 방식이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코드를 부여하여 다른 사용자와의 신호를 구분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DMA 방식은 다른 사용자의 신호와 간섭이나 방해에 강하며, 다경로 페이딩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CDMA 방식은 가입자 수용 용량이 크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아주 작은 네온전구의 집합과 같은 기능을 하는 평면형 표시 장치로 2매의 얇은 유리 기판 사이의 좁은 틈에 네온 등의 가스를 봉입하고, 유리의 내면에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투명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1. OLED
  2. PDP
  3. LCD
  4. CRT
(정답률: 알수없음)
  • PDP는 Plasma Display Panel의 약자로, 작은 네온전구의 집합과 같은 기능을 하는 평면형 표시 장치로, 유리 기판 사이의 가스를 봉입하고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OLED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된 기술이며, LCD는 액정 디스플레이, CRT는 광선총관 디스플레이입니다. 따라서, PDP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비디오텍스의 방식 중 포토 그래픽 방식을 기본으로 한 것으로, 도형을 패턴 정보로서 부호화하여 보내는 방식은?

  1. CEPT 방식
  2. CAPTAIN 방식
  3. NAPLPS 방식
  4. TELEX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CAPTAIN 방식은 포토 그래픽 방식을 기본으로 하면서, 도형을 패턴 정보로서 부호화하여 보내는 방식이다. 따라서 이 방식은 도형을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어서 선택지 중에서 이 방식이 정답이 된다. CEPT 방식은 유럽 통신 표준화 기구(CEPT)에서 개발한 방식으로, 음성과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NAPLPS 방식은 캐나다의 국립표준기술연구소(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에서 개발한 방식으로, 문자, 그림, 음성 등 다양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TELEX 방식은 전자우편과 비슷한 방식으로, 문자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2개의 음성대역폭 회선을 이용하여 광대역에서 얻을 수 있는 통신 속도를 이용하는 기기는?

  1. 광대역 다중화기
  2. 역 다중화기
  3. 지능 다중화기
  4. 시분할 다중화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역 다중화기"입니다.

    광대역 다중화기는 여러 개의 음성대역폭 회선을 하나의 광대역 회선으로 변환하는 기기이며, 지능 다중화기는 여러 개의 회선을 하나의 회선으로 변환하면서 통신 데이터를 분석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역 다중화기는 이미 광대역 회선으로 전송된 데이터를 다시 여러 개의 음성대역폭 회선으로 분할하는 기기입니다. 따라서 2개의 음성대역폭 회선을 이용하여 광대역에서 얻을 수 있는 통신 속도를 이용하는 기기로는 역 다중화기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전송개론

41. 다음 중 양자화 잡음이 나타나지 않는 변조방식은?

  1. PCM
  2. ADPCM
  3. DM
  4. FDM
(정답률: 알수없음)
  • FDM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신호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지 않기 때문에 양자화 잡음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반면, PCM, ADPCM, DM은 모두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양자화 잡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광통신 시스템이 갖고 있는 일반적인 특성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유도장해가 없음
  2. 접속 용이
  3. 대용량 전송
  4. 장거리 중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유도장해가 없음"

    설명: 광통신 시스템은 광섬유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으로, 광섬유는 전기적인 신호가 아닌 빛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자기적인 유도장해가 없습니다. 따라서 "유도장해가 없음"은 광통신 시스템이 갖고 있는 일반적인 특성 중 하나입니다.

    "접속 용이"는 광섬유의 직경이 작아서 설치 공간이 적게 필요하고, 광섬유의 유연성이 높아서 설치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광섬유는 전기적인 신호가 아닌 빛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기적인 잡음이나 간섭에 영향을 받지 않아서 접속이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시 다음의 에러제어 방식 중 에러의 검출 및 수정을 할 수 있는 방식은?

  1. 해밍 코드 방식
  2. 에코 방식
  3. 그레이 코드 방식
  4. 패리티 검사 코드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해밍 코드 방식은 추가적인 비트를 이용하여 전송된 데이터에 대한 에러를 검출하고 수정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일정한 규칙에 따라 비트를 추가하여 보내는데, 이 추가된 비트는 전송된 데이터의 일부 비트와 연관되어 있어서 에러를 검출하고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해밍 코드 방식은 에러 검출 및 수정이 가능한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LAN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통산 단일조직에 의해 점유되어 있다.
  2. 넓은 지역(수십km)내의 각종 장치를 상호 접속하기 위한 범용 데이터 망이다.
  3. 전송선로로서 UTP 케이블이 널리 사용된다.
  4. 장비의 확장 및 재배치가 비교적 쉽고, 통신 속도가 고속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넓은 지역(수십km)내의 각종 장치를 상호 접속하기 위한 범용 데이터 망이다."가 적합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LAN은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 지리적으로 제한된 작은 지역 내에서 컴퓨터 및 기타 장치들을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입니다. 따라서 "넓은 지역(수십km)내의 각종 장치를 상호 접속하기 위한 범용 데이터 망이다."는 WAN (Wide Area Network)에 대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PCM 통신에서 질이 낮은(low quality) 전송선로로도 장거리 전송이 가능한 가장 큰 이유는?

  1. 전력의 소모가 극히 적기 때문
  2. 변조과정에서의 잡음이 극히 적기 때문
  3. 잡음이 다소 있더라도 재생중계기를 사용하여 왜곡이 없는 신호로 재생이 가능하기 때문
  4. 누화와 잡음을 변조할 수 있기 때문
(정답률: 알수없음)
  • PCM 통신에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때, 전송선로의 질이 낮더라도 재생중계기를 사용하여 왜곡이 없는 신호로 재생이 가능한 이유는, PCM 신호가 디지털 신호이기 때문입니다. 디지털 신호는 잡음이나 왜곡이 발생해도 복원이 가능하며, 재생중계기는 이러한 복원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력의 소모가 적거나 변조과정에서의 잡음이 적은 것도 중요하지만, 가장 큰 이유는 디지털 신호의 복원 가능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선형 부호화된 코드어 1001101과 0100101의 해밍의 거리(Hamming Distance)는?

  1. 2
  2. 3
  3. 4
  4. 5
(정답률: 알수없음)
  • 해밍 거리는 두 코드어 간에 다른 비트의 개수를 세는 것입니다. 따라서 1001101과 0100101의 경우, 다른 비트는 1, 3, 6번째 비트이므로 해밍 거리는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RZ와 NRZ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1. RZ는 동기측면에서 NRZ보다 유리하다.
  2. NRZ는 한 비트의 점유율이 100% 인 부호이다.
  3. NRZ는 RZ보다 잡음에 대한 성능이 우수하다.
  4. RZ의 소요 대역폭은 NRZ소요 대역폭의 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RZ의 소요 대역폭은 NRZ소요 대역폭의 반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NRZ의 소요 대역폭이 RZ의 소요 대역폭의 반이다. RZ는 NRZ보다 더 많은 전송 대역폭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RZ는 동기측면에서 NRZ보다 유리하며, NRZ는 한 비트의 점유율이 100%인 부호이며, NRZ는 RZ보다 잡음에 대한 성능이 우수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아날로그 신호의 표본화 시 표본화 주파수가 부적절하여 표본화된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이 서로 겹쳐 신호왜곡이 발생하는 것은?

  1. 과부하 잡음(Over load noise)
  2. 재밍(jamming)
  3. 에일리어싱(aliasing)
  4. 양자화 잡음(Quantizing noise)
(정답률: 알수없음)
  • 아날로그 신호를 표본화할 때, 표본화 주파수는 신호의 최대 주파수보다 높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표본화된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이 서로 겹쳐 신호왜곡이 발생하는데, 이를 에일리어싱(aliasing)이라고 한다. 따라서, 이 문제의 경우에도 표본화 주파수가 부적절하여 에일리어싱이 발생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CDMA 이동통신에서 많이 사용하는 디지털 변조방식은?

  1. GMSK
  2. BFSK
  3. OQPSK
  4. 64QAM
(정답률: 알수없음)
  • CDMA 이동통신에서는 주로 OQPSK (Offset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디지털 변조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는 PSK (Phase Shift Keying) 방식 중 하나로, 이진 데이터를 변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OQPSK는 QPSK 방식에서 변조된 신호의 위상을 90도 이동시켜서 겹치는 부분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더욱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집니다. 또한, OQPSK는 GMSK나 BFSK와 같은 다른 디지털 변조방식보다 더욱 안정적인 성능을 보이며, 높은 전송률과 낮은 오류율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문자동기전송에서 본문의 시작을 표시하는 문자 기호는?

  1. SYN
  2. SOH
  3. STX
  4. ETX
(정답률: 알수없음)
  • 문자동기전송에서 본문의 시작을 표시하는 문자 기호는 STX (Start of Text)이다. 이는 데이터 통신에서 특정한 문자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표시하는 것으로, STX는 데이터의 시작을 나타내는 문자로 사용된다. SYN은 동기화를 위한 문자, SOH는 헤더의 시작을 나타내는 문자, ETX는 데이터의 끝을 나타내는 문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광섬유케이블 내에서 손실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닌 것은?

  1. 클래드에 이물질이 있을 때
  2. 광섬유의 마이크로 밴딩이 있을 경우
  3. 광섬유 접속시 축 어긋남이 생길 때
  4. 코어와 클래드의 경계면이 매끄럽지 않을 때
(정답률: 알수없음)
  • 광섬유의 마이크로 밴딩, 광섬유 접속시 축 어긋남, 코어와 클래드의 경계면이 매끄럽지 않을 때는 광섬유 내부에서 광신호가 반사, 굴절, 산란 등의 현상을 일으켜 손실이 발생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됩니다. 반면에 클래드에 이물질이 있을 때는 광섬유 내부에서 광신호가 직접적으로 방해받아 손실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이물질이 광섬유의 광파장을 변화시켜 광신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손실이 발생하는 간접적인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단일모드 광섬유(single mode fiber) 케이블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색분산이 존재한다.
  2. 모드간 간섭이 없다.
  3. 제조 및 접속이 어렵다.
  4. 모드가 한 개밖에 존재하지 않아 고속, 대용량 전송이 어렵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모드가 한 개밖에 존재하지 않아 고속, 대용량 전송이 어렵다."가 틀린 설명이다. 단일모드 광섬유는 모드가 한 개뿐이므로 모드 간 간섭이 없어 손실이 적고, 고속, 대용량 전송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PCM시스템에서 상호 부호간 간섭(ISI)을 측정하기 위해 눈 패텀(eye pattern)을 이용하는데 눈을 뜬 상하의 높이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1. 잡음에 대한 여유도
  2. 시스템의 감도
  3. ISI 간섭없이 수신파를 샘플링 할 수 있는 주기
  4.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
(정답률: 알수없음)
  • 눈을 뜬 상하의 높이는 "잡음에 대한 여유도"를 나타낸다. 이는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가 잡음에 의해 왜곡되는 정도를 나타내며, 눈의 높이가 높을수록 잡음에 대한 여유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눈 패턴을 통해 ISI를 측정하고, 눈의 높이를 확인하여 잡음에 대한 여유도를 파악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눈 패턴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개념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광섬유케이블의 분산(dispersion)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파장 및 모드에 따른 전파 속도차 때문에 발생한다.
  2. 단일보드 광섬유에서는 색분산 및 모드분산이 생긴다.
  3. 다중모드 광섬유에서는 색분산 보다 모드분산 비중이 더 크다.
  4. GIF 광섬유를 사용하면 모드분산을 줄일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일보드 광섬유에서는 색분산 및 모드분산이 생긴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단일보드 광섬유에서는 색분산만 발생하며, 모드분산은 다중모드 광섬유에서 발생합니다. 이는 파장에 따른 전파 속도차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파장이 길어질수록 전파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파장이 다른 빛이 광섬유를 따라 전파될 때 서로 다른 시간에 도착하게 되어 분산이 발생합니다. 모드분산은 광섬유 내에서 여러 개의 광모드가 전파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광섬유의 직경이 커질수록 모드분산의 비중이 더 커집니다. GIF 광섬유는 모드분산을 줄일 수 있는 기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변조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정보신호를 반송파에 실어 보내는 것을 말한다.
  2. 잡음과 간섭의 제거 등 부수적인 이점을 얻기 위하여 실시한다.
  3. 피변조파 스펙트럼을 낮은 주파수(신호파) 쪽으로 내리는 조작을 말한다.
  4. 장거리 전송 및 FDM 등을 수행하기 위해 실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신호를 반송파에 실어 보내는 것을 말한다."는 변조의 정의가 아니라 직접적인 전송 방식을 설명한 것이므로 옳지 않다.

    "피변조파 스펙트럼을 낮은 주파수(신호파) 쪽으로 내리는 조작을 말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주파수 변조 기술 중 하나로, 스펙트럼을 낮은 주파수 쪽으로 이동시켜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잡음과 간섭의 제거 등 부수적인 이점을 얻기 위하여 실시한다."와 "장거리 전송 및 FDM 등을 수행하기 위해 실시한다."는 변조 기술의 목적이나 이점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전압 100V 는 몇 dBmV인가? (단, 1[mV]는 0[dBmV]이다.)

  1. 60
  2. 80
  3. 100
  4. 120
(정답률: 알수없음)
  • dBmV는 전압의 로그값으로 표현된 단위이므로, 전압 100V를 dBmV로 변환하려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20log(전압[V]/1[mV]) = 20log(100000) = 100[dBmV]

    따라서, 정답은 "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2×106 비트가 전송될 때 20개의 비트 에러가 발생한 경우 비트 오율(BER)은?

  1. 1×10-6
  2. 4×10-6
  3. 10×10-6
  4. 10×10-5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보기는 OSI 7계층을 나타낸 것이다. 하위계층부터 상위계층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②→②→①→③→⑤→④→⑥
  2. ②→⑦→③→①→⑤→⑥→④
  3. ②→⑦→①→③→⑤→⑥→④
  4. ②→⑦→③→①→⑥→⑤→④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②→⑦→①→③→⑤→⑥→④" 이다.

    이유는 OSI 7계층에서는 하위계층부터 상위계층 순서대로 데이터를 처리하며, 각 계층은 바로 아래 계층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② 물리 계층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적인 매체와 전송 방식을 정의한다.

    ⑦ 응용 계층은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계층으로, 사용자가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데이터는 물리 계층에서 시작하여 상위로 올라가며, 응용 계층에서 처리된다. 따라서 정답은 "②→⑦→①→③→⑤→⑥→④"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한번에 3개의 비트를 PSK 방식으로 전송하고자 한다면 반송파간의 위상차는 몇 도가 되는가?

  1. 22.5
  2. 45
  3. 90
  4. 135
(정답률: 알수없음)
  • PSK 방식은 위상 변조 방식 중 하나로, 각각의 비트에 대해 다른 위상을 할당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때, 3개의 비트를 한번에 전송하고자 한다면, 8가지의 가능한 비트 조합이 존재하게 된다. 이 8가지 비트 조합을 각각 다른 위상으로 변조하여 전송하면 된다.

    8가지 비트 조합을 다음과 같이 3비트 이진수로 표현할 수 있다.

    000, 001, 010, 011, 100, 101, 110, 111

    이때, 각각의 비트 조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위상을 할당할 수 있다.

    000: 0도
    001: 45도
    010: 90도
    011: 135도
    100: 180도
    101: 225도
    110: 270도
    111: 315도

    이렇게 할당된 위상을 이용하여 3개의 비트를 한번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반송파간의 위상차는 각각의 비트 조합에 대해 할당된 위상의 차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000과 001을 전송할 때는 반송파간의 위상차가 45도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한번에 3개의 비트를 PSK 방식으로 전송할 때, 반송파간의 위상차는 45도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과부하 잡음이 없는 경우 양자화 레벨의 수를 2배 증가(비트 수를 한 개 증가)시키면 입력신호 전력대 양자화 잡음전력의 비는 몇 dB 개선되는가?

  1. 3
  2. 4
  3. 5
  4. 6
(정답률: 알수없음)
  • 양자화 레벨의 수를 2배 증가시키면 양자화 잡음의 크기는 6dB 감소한다. 이는 양자화 레벨이 2배 증가하면 양자화 간격이 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력신호 전력대 양자화 잡음전력의 비는 6dB 개선된다. 따라서 정답은 "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설비기준

61. 정보를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거나 읽어내는 명령을 한 후부터 실제로 정보가 기억 또는 읽기 시작할 때까지의 소요 시간을 의미하는 것은?

  1. 접근 시간(access time)
  2. 실행 시간(run time)
  3. 지연 시간(idle time)
  4. 탐색 시간(seek time)
(정답률: 알수없음)
  • 접근 시간은 컴퓨터에서 기억 장치에 접근하여 정보를 읽거나 기록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는 정보를 읽거나 기록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이며, 컴퓨터의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접근 시간과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컴퓨터에서 보수(complement)를 사용하는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가산의 결과를 정확하게 얻기 위해
  2. 감산을 가산의 방법으로 처리하기 위해
  3. 승산의 연산과정을 간단히 하기 위해
  4. 재산의 불필요한 과정을 생략하기 위해
(정답률: 알수없음)
  • 보수는 감산을 가산의 방법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사용한다. 이는 컴퓨터에서 뺄셈 연산을 수행할 때 보수를 이용하여 가산 연산으로 바꾸어 처리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빠르고 정확한 계산이 가능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에서 산술 연산의 기본 연산은?

  1. 덧셈
  2. 뺄샘
  3. 곱셈
  4. 나눗셈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에서 산술 연산의 기본 연산은 덧셈이다. 이는 컴퓨터에서 모든 숫자는 이진수로 표현되기 때문이다. 이진수에서 덧셈은 각 자리수를 더하고, 자리올림이 발생하면 다음 자리수에 더해주는 간단한 연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산술 연산의 기본 연산은 덧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가장 최근에 인출된 명령어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일시적인 저장 레지스터는?

  1. MBR
  2. PC
  3. IR
  4. MAR
(정답률: 알수없음)
  • IR은 Instruction Register의 약자로, CPU가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 코드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입니다. 따라서 가장 최근에 인출된 명령어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일시적인 저장 레지스터는 IR입니다. MBR은 Memory Buffer Register의 약자로, 메모리와 CPU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레지스터입니다. PC는 Program Counter의 약자로,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입니다. MAR은 Memory Address Register의 약자로, 메모리에서 읽거나 쓸 데이터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기계어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계산속도가 느리다.
  2. 작성된 프로그램은 판독이 어렵다.
  3. 하나의 명령으로 한 가지 처리만 된다.
  4. 컴퓨터 기종마다 명령어 체계가 다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계산속도가 느리다."는 기계어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기계어는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컴퓨터가 처리하는 속도는 매우 빠릅니다. 다만, 기계어는 사람이 이해하기 어렵고 작성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프로그래밍 언어가 개발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데이터 처리 방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일괄 처리 방식은 일정한 시간 내에 수집된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이다.
  2. 시분할 처리 방식은 한 대의 컴퓨터를 동시에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 사용하는 방식이다.
  3. 실시간 처리 방식은 데이터를 입력하는 즉시 처리 결과가 출력되어 되돌려 받는 방식이다.
  4. 온라인 처리 방식은 입⋅출력장치가 CPU의 직접 제어를 받지 않고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설명은 "온라인 처리 방식은 입⋅출력장치가 CPU의 직접 제어를 받지 않고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이다. 온라인 처리 방식은 입⋅출력장치가 CPU의 직접 제어를 받아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실시간 처리 방식과 유사하지만, 입력과 출력 사이에 일정한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선형리스트 중에서 데이터의 입력순서와 출력순서가 바뀌는 것은?

  1. QUEUE
  2. STACK
  3. FIFO
  4. HEAP
(정답률: 알수없음)
  • 데이터의 입력순서와 출력순서가 바뀌는 자료구조는 "STACK"입니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구조로, 가장 마지막에 삽입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출력됩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입력순서와 출력순서가 반대가 됩니다. 반면, 큐(Queue)는 선입선출(FIFO) 구조로, 가장 먼저 삽입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출력됩니다. FIFO와 HEAP도 마찬가지로 입력순서와 출력순서가 바뀌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단일 채널로 복수 개의 입ㆍ출력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은?

  1. Multiplexer
  2. Demultiplexer
  3. Encoder
  4. Decoder
(정답률: 알수없음)
  • Multiplexer는 단일 채널로 복수 개의 입력 장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복수 개의 입ㆍ출력 장치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Multiplex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8진수 (1234)8을 10진수로 변환한 후, 다시 8421 코드로 변환하면?

  1. 0110 0111 1001
  2. 0110 0111 1000
  3. 0110 0110 0010
  4. 0110 0110 1000
(정답률: 알수없음)
  • 8진수 (1234)8을 10진수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1234)8 = 1 x 8^3 + 2 x 8^2 + 3 x 8^1 + 4 x 8^0 = 668

    10진수 668을 2진수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668 / 2 = 334 ... 0
    334 / 2 = 167 ... 0
    167 / 2 = 83 ... 1
    83 / 2 = 41 ... 1
    41 / 2 = 20 ... 1
    20 / 2 = 10 ... 0
    10 / 2 = 5 ... 0
    5 / 2 = 2 ... 1
    2 / 2 = 1 ... 0
    1 / 2 = 0 ... 1

    따라서 10진수 668을 2진수로 변환하면 1010011100이 된다.

    8421 코드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1010 0111 00

    맨 왼쪽의 1은 8의 자리를 나타내므로 8의 코드인 1을 적는다.
    다음 0은 4의 자리를 나타내므로 4의 코드인 0을 적는다.
    다음 1은 2의 자리를 나타내므로 2의 코드인 1을 적는다.
    맨 오른쪽의 0111은 1의 자리를 나타내므로 1의 코드인 1, 2의 자리를 나타내므로 2의 코드인 1, 4의 자리를 나타내므로 4의 코드인 1, 8의 자리가 아니므로 8의 코드인 0을 적는다.

    따라서 8421 코드로 변환한 결과는 "0110 0110 10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DMA(Direct Memory Access)제어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DMA 제어 방식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거치지 않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2. DMA 장치는 블록으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3. DMA장치는 일반적으로 플로피 디스크를 포함, I/O 주변장치와 기억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4. DMA 제어 방식은 프로그램 I/O제어 방식 또는 인터럽트 I/O제어 방식보다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DMA 제어 방식은 프로그램 I/O 제어 방식 또는 인터럽트 I/O 제어 방식보다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으며, 오히려 더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 "DMA 제어 방식은 프로그램 I/O 제어 방식 또는 인터럽트 I/O 제어 방식보다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전기통신망에 접속되는 단말기기 및 그 부속 설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전원설비
  2. 단말장치
  3. 정보통신설비
  4. 입ㆍ출력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통신망에 접속되는 단말기기 및 그 부속 설비를 단말장치라고 부릅니다. 이는 전기통신망과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정보의 입력, 출력, 처리 등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전화기, 컴퓨터, 스마트폰 등이 단말장치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우리나라 전기통신사업의 구분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일반통신사업, 사설통신사업, 특정통신사업
  2. 기간통신사업, 별정통신사업, 부가통신사업
  3. 공중통신사업, 일반통신사업, 별정통신사업
  4. 전화통신사업, 통신공사업, 통신망사업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적합한 것은 "기간통신사업, 별정통신사업, 부가통신사업"입니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신사업의 구분으로, 기간통신사업은 일정 기간 동안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 별정통신사업은 특정 분야나 지역에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 부가통신사업은 기존 통신서비스에 추가적인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을 의미합니다. 이에 비해 다른 보기들은 일반적인 통신사업의 구분이나, 특정 분야나 지역에 대한 구분이나 통신사업과는 관련이 없는 구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통신위원회의 설치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전기통신의 표준화에 관한 업무추진
  2. 전기통신기자재의 형식승인에 관한 심의
  3. 불법통신의 근절 및 건전한 정보문화 확립
  4. 전기통신사업자간 또는 전기통신사업자와 이용자간 분쟁의 재정
(정답률: 알수없음)
  • 통신위원회의 설치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전기통신사업자간 또는 전기통신사업자와 이용자간 분쟁의 재정"입니다. 이는 전기통신사업자와 이용자 간의 분쟁을 조정하고, 이를 위한 재정을 관리하기 위한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기통신의 표준화, 기자재 승인, 불법통신 근절 등과 같은 다른 업무를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자만 시공할 수 있는 공사는?

  1. 실험국의 무선설비설치공사
  2. 정보통신부장관이 고시하는 정보통신설비의 단말기 설치공사
  3. 건축물에 설치되는 5회선 이하의 구내통신선로설비공사
  4. 라우터 및 허브의 증설을 수반하는 10회선의 근거리통신망 선로의 증설공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공사업자만 시공할 수 있는 공사는 "라우터 및 허브의 증설을 수반하는 10회선의 근거리통신망 선로의 증설공사"입니다. 이는 근거리통신망(LAN)의 선로를 증설하면서 라우터와 허브를 추가로 설치하는 작업으로, 이는 정보통신공사업자의 전문적인 기술과 노하우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공사들은 일반적인 건설공사나 전기공사 등에서도 시공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시ㆍ도지사가 반드시 정보통신공사업 등록을 취소하여야 하는 경우는?

  1. 법령 규정에 위한하여 부실하게 시공한 때
  2. 정보통신기술자를 공사현장에 배치하지 아니한 때
  3. 타인의 등록증을 대여 받아 이를 사용한 때
  4. 폐업신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허위로 신고한 때
(정답률: 알수없음)
  • 타인의 등록증을 대여 받아 이를 사용한 경우는 법적으로 불법이기 때문에 시ㆍ도지사가 정보통신공사업 등록을 취소하여야 합니다. 이는 정보통신공사업법 제26조 제1항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전송설비 및 선로설비는 전력유도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건설ㆍ보전되어야 한다. 전력유도에 의한 잡음전압이 몇 밀리볼트(mV)를 초과하는 경우 전력유도 방지조치를 하여야 하는가?

  1. 1
  2. 3.5
  3. 5
  4. 10
(정답률: 알수없음)
  • 전력유도에 의한 잡음전압이 3.5mV를 초과하는 경우 전력유도 방지조치를 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3.5"가 아닌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전기통신의 표준화에 관한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설치한 기구는?

  1.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답률: 알수없음)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는 전기통신의 표준화에 관한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설치된 기구입니다. 따라서 이 기구가 정답입니다. 한국정보사회진흥원은 정보통신산업의 발전과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정책연구 및 지원을,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정보통신정책의 연구와 개발을,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전자통신 분야의 연구와 개발을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유선ㆍ무선ㆍ광선 기타 전자적 방식에 의하여 부호ㆍ문자ㆍ음향 또는 영상 등의 정보를 저장ㆍ제어ㆍ처리하거나 송ㆍ수신하기 위한 기계ㆍ기구ㆍ선로 기타 필요한 설비를 말하는 것은?

  1. 교환설비
  2. 전송설비
  3. 정보통신설비
  4. 선로설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설비는 부호, 문자, 음향, 영상 등의 정보를 저장, 제어, 처리하거나 송수신하기 위한 기계, 기구, 선로 등을 말합니다. 따라서, 유선, 무선, 광선 등의 전자적 방식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데 필요한 모든 설비를 포함합니다. 교환설비는 통화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설비, 전송설비는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설비, 선로설비는 정보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선로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시험 성적서
  2. 통신규약
  3. 공사 설계서
  4. 이용약관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컴퓨터와 모뎀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신호의 형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통신규약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국무총리
  2. 한국통신사장
  3. 과학기술부장관
  4. 정보통신부장관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인물은 정보통신기술 분야에서 활동하는 인물이며, 따라서 정보통신부장관이 가장 적합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