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5-10)

정보통신산업기사
(2009-05-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전자회로

1. 정논리(Positive Logic)의 다음 회로에서 A, B, C를 입력, Y를 출력이라고 하면 이는 어떤 논리 게이트인가?

  1. AND 게이트
  2. OR 게이트
  3. EX-OR 게이트
  4. NAND 게이트
(정답률: 45%)
  • 이는 OR 게이트이다. 입력 A, B, C 중 하나 이상이 1이면 출력 Y도 1이 되기 때문이다. OR 게이트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 게이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회로에서 입력전압 Vi=2[V], R1=10[kΩ]일 때 출력전압 Vo가 6[V]일 경우 Rf값은 몇 [kΩ]인가?

  1. 20
  2. 40
  3. 60
  4. 80
(정답률: 32%)
  • 이 회로는 비-인버팅 증폭기 회로이다. 출력전압은 입력전압에 비례하여 증폭되며, 증폭비는 Rf/R1이다. 따라서, 증폭비가 3이 되도록 하려면 Rf값은 3×10[kΩ]=30[kΩ]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문제에서 출력전압이 6[V]로 주어졌으므로, Rf값은 Vo/Vi×R1=6[V]/2[V]×10[kΩ]=30[kΩ]/3=10[kΩ]이 된다. 따라서, 증폭비가 3이 되도록 하려면 Rf값은 3×10[kΩ]=30[kΩ]이 되지만, 출력전압이 6[V]로 주어졌으므로 Rf값은 10[kΩ]이 된다. 이에 따라 보기에서 정답은 "2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과 같은 카르노 맵에서 얻어지는 불 대수식은?

  1. Y=AB
(정답률: 83%)
  • 카르노 맵에서 인접한 셀들은 한 비트만 다르기 때문에, 인접한 셀들의 불 대수식은 한 비트만 다르다. 따라서, 카르노 맵에서 인접한 셀들의 불 대수식을 합치면, 한 비트씩 제거할 수 있어서 최소항을 구할 수 있다. 그림에서 인접한 셀들의 불 대수식을 합치면 ""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수정편의 리액턴스 특성이다. 발진에 이용되는 각 주파수의 범위는?

  1. ωs<ω<ωp
  2. ωp<ω
  3. ωs>ω
  4. ωs
(정답률: 89%)
  • 수정편의 리액턴스는 주파수에 따라 변화하는데, 주파수가 낮을수록 리액턴스 값이 크고, 주파수가 높을수록 리액턴스 값이 작아진다. 따라서, 그래프에서 ωs는 리액턴스 값이 큰 지점이고, ωp는 리액턴스 값이 작아져서 0에 가까워지는 지점이다. 따라서, ωs<ω<ωp 범위에서는 리액턴스 값이 크고, 이 범위를 발진에 이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FET 증폭회로의 전압이득은 약 얼마인가? (단, gm=5[℧], rds=100[kΩ])

  1. -15.5
  2. -23.8
  3. -33.8
  4. -50
(정답률: 56%)
  • FET 증폭회로의 전압이득은 -gm x rds 이다. 따라서, 전압이득은 -5[℧] x 100[kΩ] = -500[Ω] 이다. 이를 dB로 변환하면 20log(-500) = -23.8[dB] 이다. 따라서 정답은 "-23.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JK플립플롭을 사용하여 D형 플립플롭을 만들려면 외부 결선은 어떻게 하는 것이 적합한가?

(정답률: 62%)
  • D형 플립플롭은 2개의 입력과 2개의 출력이 있으며, 이전 상태를 기억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JK플립플롭을 사용하여 D형 플립플롭을 만들 때는 J와 K 입력에 D 입력을 연결하고, 클럭 입력에는 외부 클럭 신호를 연결해야 합니다. 이때, D 입력이 1일 때 Q 출력이 1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K 입력에는 1을, J 입력에는 0을 연결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 정답입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J와 K 입력을 반대로 연결하거나, 클럭 입력을 연결하지 않는 등 올바르지 않은 외부 결선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T형 플립플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토글 플립플롭(toggle flip-flop)이라고도 한다.
  2. 클록이 들어올 때마다 상태가 반전된다.
  3. 출력파형의 주파수는 입력파형의 주파수와 동일하다.
  4. 1/2분주회로 또는 계수회로에 많이 쓰인다.
(정답률: 55%)
  • 출력파형의 주파수는 입력파형의 주파수와 동일하지 않다. T형 플립플롭은 입력 신호가 클록 신호와 함께 들어오면 T 입력에 따라 출력이 반전되거나 유지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출력파형의 주파수는 입력파형의 주파수와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달링턴(Darlington) 이미터 플로워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전류 증폭률은 단일 이미터 플로워보다 커진다.
  2. 입력저항이 단일 이미터 플로워보다 커진다.
  3. 전압이득은 1에 가깝다.
  4. 출력저항은 단일 이미터 플로워보다 100배 이상 커진다.
(정답률: 63%)
  • "전류 증폭률은 단일 이미터 플로워보다 커진다.", "입력저항이 단일 이미터 플로워보다 커진다.", "전압이득은 1에 가깝다." 모두 달링턴 이미터 플로워의 특징이지만, "출력저항은 단일 이미터 플로워보다 100배 이상 커진다."는 특징이 아니다. 달링턴 이미터 플로워는 출력저항이 낮아져서 부하에 대한 전압 안정성이 높아지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이오드 직선검파회로에서 변조도 50[%], 진폭 10√2[V]인 AM 피변조파가 인가되었을 때 부하저항 RL에 나타나는 변조 신호파의 실효치는? (단, 검파효율은 80[%]이다.)

  1. 4[V]
  2. 5[V]
  3. 8[V]
  4. 10[V]
(정답률: 30%)
  • AM 피변조파의 진폭은 10√2[V]이므로, 변조 신호의 최대 진폭은 5√2[V]이다. 따라서, 변조 신호의 최대 진폭이 부하저항에 나타나는 실효치 전압은 다음과 같다.

    Vout = (5√2[V] × 0.5 × 0.8) / √2 = 2[V]

    따라서, 정답은 "4[V]"가 아닌 "2[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전압 증폭도가 20[dB]와 60[dB]인 증폭기를 직렬로 연결하면 종합 전압이득은 얼마인가?

  1. 10
  2. 100
  3. 1000
  4. 10000
(정답률: 48%)
  • 전압 증폭도가 20[dB]인 증폭기를 사용하면 입력 전압의 10배가 출력되고, 60[dB]인 증폭기를 사용하면 입력 전압의 1,000,000배가 출력된다. 이 두 증폭기를 직렬로 연결하면 종합 전압이득은 각 증폭기의 전압이득을 곱한 값이 된다. 따라서 20[dB]와 60[dB]인 증폭기를 직렬로 연결하면 종합 전압이득은 20[dB]와 60[dB]의 합인 80[dB]가 된다. 이는 입력 전압의 10,000,000배가 출력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정답은 "100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수정 발진기의 주파수 안정도가 양호한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수정편의 Q가 매우 높다.
  2. 수정 진동자의 온도 특성이 안정적이다.
  3. 발진조건을 만족시키는 유도성 주파수 범위가 넓다.
  4. 부하변동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다.
(정답률: 62%)
  • 수정편의 Q가 매우 높다는 것은 수정 내부의 에너지 손실이 매우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수정의 진동이 외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수정 발진기의 주파수 안정도가 양호하다는 것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아래 논리회로에서 각 입력에 대한 출력 (Y1 Y2 Y3 Y4)은?

  1. 1000
  2. 1111
  3. 1100
  4. 1101
(정답률: 85%)
  • 입력 A, B, C, D가 모두 1일 때, AND 게이트를 통과하면 출력 Y1은 1이 된다. 또한 OR 게이트를 통과하면 출력 Y2, Y3, Y4도 모두 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1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과 같은 회로의 명칭은? (단, S는 합, C는 자리올림이다.)

  1. Counter
  2. Full Adder
  3. Exclusive OR
  4. Half Adder
(정답률: 62%)
  • 이 회로는 두 개의 입력(A, B)을 받아서 합(S)과 자리올림(C)을 출력하는 회로이다. 하지만 자리올림 입력이 없으므로 반가산기(Half Adder)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제너 다이오드를 주로 사용하는 회로는?

  1. 증폭회로
  2. 검파회로
  3. 전압안정화회로
  4. 저주파발진회로
(정답률: 75%)
  • 제너 다이오드는 양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여 입력 전압의 크기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전압안정화회로에서는 입력 전압의 크기에 따라 제너 다이오드의 저항값이 변화하여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킵니다. 따라서 전압안정화회로에서는 제너 다이오드를 주로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연산증폭기에서 차신호에 대한 전압이득이 10000이고 공통모드 신호에 대한 전압이득이 0.5일 때 증폭기의 CMRR는 얼마인가?

  1. 20000
  2. 10000
  3. 4000
  4. 1000
(정답률: 40%)
  • CMRR은 차동모드 전압이득과 공통모드 전압이득의 비율로 정의된다. 따라서 CMRR은 10000/0.5 = 20000이 된다. 즉, 차동모드 신호에 대한 증폭이 공통모드 신호에 대한 증폭보다 20000배 높다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논리 IC 중 전력소모가 가장 적은 것은?

  1. DTL
  2. TTL
  3. CMOS
  4. ECL
(정답률: 81%)
  • CMOS가 전력소모가 가장 적은 이유는 CMOS는 입력 신호가 없을 때 전력을 소모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CMOS는 출력이 고정되어 있을 때도 전력을 소모하지 않으며, 입력 신호가 변경될 때에도 매우 적은 전력을 소모한다. 이에 비해 DTL, TTL, ECL은 입력 신호가 없어도 일정한 전력을 소모하며, 입력 신호가 변경될 때에도 많은 전력을 소모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논리식 를 간단히 하면?

  1. AC+BC
(정답률: 40%)
  • 답: ""

    논리식을 간단히 하면 AC+BC 이다. 이유는 논리식에서 AB를 AC+BC로 대체할 수 있기 때문이다. AB는 AC와 BC의 합이므로, AB를 AC+BC로 대체하면 논리식이 간단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다음 그림에서 펄스의 반복 주파수 f[MHz]는? (단, 시간축 단위는 [μs]이다.)

  1. 0.0625
  2. 0.125
  3. 0.25
  4. 0.5
(정답률: 48%)
  • 주기 T는 4μs이므로, 주파수 f는 1/T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f = 1/4 = 0.25MHz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과 같은 연산 증폭회로에서 Z에 흐르는 전류 I의 값은 얼마인가?

  1. 0
  2. i1
  3. (Z/R)i1
  4. i1+i2
(정답률: 60%)
  • 이 연산 증폭회로는 입력 전압에 대해 출력 전압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입력 전압이 Z에 인가되면, Z와 R을 거쳐 출력 전압으로 변환된다. 이 과정에서 전류도 함께 변환되므로, Z에 흐르는 전류 I의 값은 입력 전압 V를 전압 분배 법칙에 따라 계산한 후, Z와 R의 병렬 저항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i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외부 트리거 입력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만 폭이 0.1[ms]이고 전압이 5[V]인 펄스를 발생시켜 출력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시미트 트리거회로
  2.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3.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4.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정답률: 40%)
  • 외부 트리거 입력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만 펄스를 발생시켜야 하므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가 가장 적합하다.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는 입력신호가 인가될 때만 한 번 발생하는 펄스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나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는 입력신호와 상관없이 주기적으로 펄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시미트 트리거회로는 입력신호를 감지하여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이지만, 펄스의 폭과 전압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기기

21. 다음 중 컴퓨터가 설치된 장소와 동일 장소에 여려 개의 단말기가 밀집되어 있는 경우, 다수의 단말기를 컴퓨터의 포트에 연결하기 위한 것은?

  1. 모뎀 공동이용기
  2. 회선 공동이용기
  3. DSU 공동이용기
  4. CSU 공동이용기
(정답률: 57%)
  • 여러 개의 단말기를 컴퓨터의 포트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회선 공동이용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여러 개의 단말기가 하나의 회선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로, 각 단말기는 회선 공동이용기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단말기들 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뎀, DSU, CSU 등으로, 이들은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며, 여러 개의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원격 감시기의 전파를 발사해서 목표물에 반사되어 수신된 시간이 0.1[㎲]일 때 목표물까지의 거리는?

  1. 15[m]
  2. 10[m]
  3. 5[m]
  4. 1[m]
(정답률: 38%)
  • 원격 감시기에서 발사된 전파가 목표물에 반사되어 다시 수신되는 시간은 왕복 시간이므로, 목표물까지의 거리는 전파의 속도인 3x10^8[m/s]에 왕복 시간의 절반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거리 = (3x10^8[m/s] x 0.1[㎲]) / 2 = 15[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비동기식 전송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각 문자는 앞에 시작 비트와 뒤에 정지 비트를 갖는다.
  2. 직렬 펄스로 전송한다.
  3. 패리티 비트에 의해 수신단에서 오전송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4. 정확한 전송이 되도록 모뎀, 터미널 등에 의해 타이밍 신호가 공급된다.
(정답률: 40%)
  • "정확한 전송이 되도록 모뎀, 터미널 등에 의해 타이밍 신호가 공급된다."는 비동기식 전송의 특징이 아니라 동기식 전송의 특징이다. 이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송신측과 수신측이 타이밍 신호를 주고받아 동기화를 맞추기 때문이다. 비동기식 전송은 각 문자마다 시작 비트와 정지 비트를 갖고, 직렬 펄스로 전송되며, 패리티 비트를 통해 오전송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무선통신에서 변조를 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복사를 쉽게 하기 위하여
  2. 잡음과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3. 송ㆍ수신 장치를 단순화 하기 위하여
  4. 전송 효율을 높이고 다중화 기능을 위하여
(정답률: 58%)
  • 송ㆍ수신 장치를 단순화 하기 위하여 변조를 하는 이유는, 무선 통신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주파수를 가진 신호로 변조하여 전송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변조를 하면, 송ㆍ수신 장치를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복잡한 회로와 소프트웨어가 필요하지만, 변조를 하면 간단한 회로와 소프트웨어로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송ㆍ수신 장치를 단순화하기 위해서 변조를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지능 다중화기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송량이 많을 경우 전송지연이 발생 할 수 있다.
  2. 지능 다중화기는 동기식이다.
  3. 실제 데이터가 있는 터미널에만 동적으로 TIME SLOT을 할당한다.
  4. 기억 메모리 및 주소제어가 필요하다.
(정답률: 75%)
  • "지능 다중화기는 동기식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지능 다중화기는 비동기식으로 동작한다. 이는 데이터가 도착하는 즉시 처리되며, 시간 슬롯을 할당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PC와 PC, PC와 전화간의 음성 통화를 지원할 수 있는 것은?

  1. MHS
  2. 텔레텍스트
  3. DMB
  4. 인터넷 폰
(정답률: 70%)
  • 인터넷 폰은 인터넷을 통해 음성 통화를 지원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PC와 PC, PC와 전화간의 음성 통화를 모두 지원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고속의 데이터 전송기술인 xDSL에서 사용되는 변조방식이 아닌 것은?

  1. QAM
  2. DMT
  3. CAP
  4. PCM
(정답률: 66%)
  • PCM은 Pulse Code Modulation의 약자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입니다. xDSL에서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PCM은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PCM입니다. xDSL에서는 QAM, DMT, CAP 등의 변조 방식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통신 위성체는 통신기기 시스템과 공통기기 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다. 다음 중 공통기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텔레메트리 명령계
  2. 중계기계
  3. 추진계
  4. 자세 제어계
(정답률: 32%)
  • 공통기기 시스템은 위성체 내에서 여러 시스템이 공유하는 기기들을 말한다. 이 중에서 "중계기계"는 통신기기 시스템에 해당한다. 중계기계는 지상국과 위성체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기기로, 통신기기 시스템의 일부이다. 따라서 정답은 "중계기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위성통신의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상재해의 영향이 적다.
  2. 회선설정의 유연성이 있다.
  3. 고품질의 광대역 통신이 가능하다.
  4. 전송지연 없이 통신이 가능하다.
(정답률: 79%)
  • 정답: "전송지연 없이 통신이 가능하다."

    설명: 위성통신은 지상과는 달리 공중에서 통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상 재해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으며, 회선 설정의 유연성이 높아서 어디서든 통신이 가능하고 고품질의 광대역 통신이 가능합니다. 또한, 전송 거리가 멀어도 전송지연이 거의 없어 실시간 통신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종이에 기록된 문자를 반사광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입력장치는?

  1. OMR
  2. OCR
  3. MMR
  4. MICR
(정답률: 59%)
  • OCR은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의 약자로, 광학 문자 인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종이에 기록된 문자를 반사광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입력장치는 OCR입니다. OMR은 Optical Mark Recognition, MMR은 Mixed Mail Reading, MICR은 Magnetic Ink Character Recognition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전전자 교환기의 통화부로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가입자선 정합부
  2. 통화로 망
  3. 입출력 장치
  4. 중계선 정합부
(정답률: 32%)
  • 전전자 교환기의 통화부는 가입자선 정합부, 통화로 망, 중계선 정합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입출력 장치는 전전자 교환기의 외부와 연결되는 장치로, 통화부의 구성요소는 아닙니다. 입출력 장치는 전화기, 팩스기, 모뎀 등이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중경로 전파에 의하여 수신신호가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페이딩
  2. 동일채널 간섭
  3. 지연확산
  4. 인접채널 간섭
(정답률: 76%)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중경로 전파로 인해 수신신호가 강도와 위상이 변화하는 현상을 페이딩이라고 한다. 이는 주로 건물 내부나 도시 지역에서 발생하며, 이로 인해 수신신호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다중 안테나 기술이나 다중 주파수 할당 기술 등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디지털 지상파방송 ATSC의 사양으로 틀린 것은?

  1. 비디오 압축 : MPEG-2
  2. 오디오 압축 : 돌비 AC-3
  3. 전송용량 : 19.39[Mbps]
  4. 변조방식 : FM
(정답률: 53%)
  • ATSC의 변조방식은 8VSB(8-Level Vestigial Sideband)이며, FM이 아닌 이유는 8VSB가 더욱 안정적인 신호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FM은 주파수 변조 방식으로, 신호의 진폭을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고 왜곡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ATSC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CATV의 핵심 구성요소로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각 채널의 신호를 변환하여 중계 전송망을 통해 가입자에게 송출하는 것은?

  1. 헤드엔드
  2. 간선제어기
  3. 프레임 메모리
  4. 게이트웨이 프로세서
(정답률: 46%)
  •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각 채널의 신호를 변환하여 중계 전송망을 통해 가입자에게 송출하는 것은 CATV의 핵심 기능 중 하나인데, 이를 담당하는 장비가 바로 "헤드엔드"입니다. 헤드엔드는 수신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중계 전송망을 통해 가입자에게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처리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CATV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단말기의 데이터를 전송신호로 변환하는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컴퓨터가 처리하는데 쉽게 하기 위함
  2. 유선의 경제적인 운용 이점을 활용하기 위함
  3. 다양한 신호를 효율적으로 증폭하기 위함
  4. 공통된 신호선을 이용하여 신호를 데이터 형식으로 전송한다.
(정답률: 29%)
  • 단말기의 데이터를 전송신호로 변환하는 목적은 컴퓨터가 처리하는데 쉽게 하기 위함입니다. 공통된 신호선을 이용하여 신호를 데이터 형식으로 전송하면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쉽게 추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유선의 경제적인 운용 이점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신호선을 공유하여 여러 개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공통선 신호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No.6 신호방식과 No.7 신호방식이 있다.
  2. 국간 신호방식으로 R2 MFC 방식이라 한다.
  3. 프로토콜 계층으로 MTP, SCCP 및 TACP 등의 구조로 되어있다.
  4. 공통된 신호선을 이용하여 신호를 데이터 형식으로 전송한다.
(정답률: 35%)
  • 정답: "국간 신호방식으로 R2 MFC 방식이라 한다."

    설명: 공통선 신호방식은 No.6 신호방식과 No.7 신호방식이 있으며, 프로토콜 계층으로 MTP, SCCP 및 TACP 등의 구조로 되어있으며, 공통된 신호선을 이용하여 신호를 데이터 형식으로 전송한다. R2 MFC 방식은 국내에서 사용되는 전화망에서 사용되는 국간 신호방식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DTE와 DCE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인 조건들을 표준화한 것은?

  1. 토폴로지
  2. DCE 아키텍처
  3. DTE/DCE 인터페이스
  4. 참조 모형
(정답률: 74%)
  • DTE와 DCE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호 연결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인 조건들을 표준화한 것이 DTE/DCE 인터페이스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DTE/DCE 인터페이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CATV의 구성에서 전송계로만 이루어진 것은?

  1. 수신설비, 스튜디오설비, 송출설비
  2. 간선, 분배선, 인입선
  3. 보안기, 컨버터, 결합기
  4. 변조기, 복조기, 분배기
(정답률: 65%)
  • 간선, 분배선, 인입선은 CATV의 구성 중에서 전송계에 해당합니다. 간선은 CATV의 중앙에서부터 지역별로 나누어진 대규모 케이블을 말하며, 분배선은 각 지역에서 집으로 들어가는 작은 굵기의 케이블을 말합니다. 인입선은 각 집안에서 셋톱박스나 TV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말합니다. 이들은 모두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수신설비, 스튜디오설비, 송출설비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데스크톱 화상회의 시스템에서 화상신호를 부호화 및 복호화 하는 것은?

  1. 라우터
  2. CRT
  3. 모뎀
  4. 코덱
(정답률: 58%)
  • 코덱은 화상회의 시스템에서 화상신호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기술이다. 즉, 화상신호를 압축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압축된 신호를 해제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대역폭을 절약하고, 화질을 유지하면서도 실시간으로 화상회의를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그림, 차트, 도표, 설계도면을 읽어 디지털화하여 컴퓨터에 입력시키는 것은?

  1. 디지타이저
  2. 그래픽단말기
  3. 터치스크린
  4. 문자판독기
(정답률: 62%)
  • 디지타이저는 그림, 차트, 도표, 설계도면 등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화하여 컴퓨터에 입력시키는 장치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그래픽을 생성하거나 입력받는 기능이 있지만, 디지타이저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에 특화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전송개론

41. HDLC 프로토콜에서 흐름 제어와 오류 제어를 위해 사용되며 제어 필드의 처음 2비트가 10이면 무슨 프레임인가?

  1. I-프레임
  2. U-프레임
  3. S-프레임
  4. T-프레임
(정답률: 24%)
  • 제어 필드의 처음 2비트가 10인 프레임은 S-프레임이다. S-프레임은 흐름 제어와 오류 제어를 위해 사용되며, 수신측에게 특정 상황을 알리거나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수신측에게 데이터를 받을 준비가 되었는지 물어보는 RR(Receive Ready) 프레임이나, 송신측에게 데이터를 보내도록 요청하는 RNR(Receive Not Ready) 프레임 등이 S-프레임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디지털 정보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위상을 변화시켜 전송하는 디지털 변조방식은?

  1. ASK
  2. FSK
  3. PSK
  4. PCM
(정답률: 70%)
  • PSK는 디지털 정보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위상을 변화시켜 전송하는 디지털 변조방식입니다. ASK는 진폭을 변화시키는 방식, FSK는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방식, PCM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UTP 케이블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가격이 싸고 설치가 쉽다.
  2. STP 케이블 보다 유연성이 좋다.
  3. 외부가 전자파 간섭이나 잡음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4. 전화 가입자선으로는 적합하나 데이터 전송선으로는 부적합하다.
(정답률: 68%)
  • "전화 가입자선으로는 적합하나 데이터 전송선으로는 부적합하다."는 적절한 설명이다. UTP 케이블은 전화 가입자선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데이터 전송에는 외부 간섭에 취약하므로 STP 케이블이 더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8비트 정보에 1개의 스타트(Start) 비트와 1개의 스톱 비트를 추가하여 전송하면 전송효율은 약 몇 [%]인가?

  1. 25[%]
  2. 50[%]
  3. 80[%]
  4. 100[%]
(정답률: 56%)
  • 전송하는 비트의 수는 10비트가 되므로 전송효율은 8/10 = 80[%]이다. 스타트 비트는 전송할 데이터의 시작을 알리고, 스톱 비트는 전송이 끝났음을 알리기 때문에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지만, 전송하는 비트의 수를 늘리기 때문에 전송효율은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데이터 전송방식에 대한 설명 중 동기식 전송방식에 해당하는 것은?

  1. 정보전송 형태는 문자단위로 이루어진다.
  2. 각 문자 앞에는 1개의 start 비트가 있다.
  3. 수신측 단말에 버퍼기억장치가 필요하다.
  4. 전송되는 각 글자 사이에는 일정치 않은 휴식 기간이 있을 수있다.
(정답률: 36%)
  • 동기식 전송방식은 각 문자 앞에 start 비트를 붙여 송신측과 수신측의 클록을 동기화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때 수신측은 송신측과 동일한 클록으로 데이터를 받아들이기 때문에 수신측 단말에 버퍼기억장치가 필요하다. 이는 수신측이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속도가 송신측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해두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전송제어 5단계 중 3단계에 해당하는 것은?

  1. 회선접속
  2. 정보전송
  3. 회선전달
  4. 데이터링크 설정
(정답률: 64%)
  • 전송제어 5단계 중 3단계는 "회선전달"입니다. 이는 데이터가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를 전달되는 단계로, 데이터가 실제로 전송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정보전송"은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병렬 전송 방식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전송속도가 느리다.
  2. 전송로 비용이 상승한다.
  3. 주로 원거리 전송에 사용한다.
  4. 직병렬 변환회로가 필요하다.
(정답률: 60%)
  • 병렬 전송 방식은 여러 개의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에 따라 전송로 비용이 상승한다는 단점이 있다. 즉,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전선의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전송로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병렬 전송 방식은 주로 짧은 거리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며, 원거리 전송에는 비용적인 측면에서 적합하지 않다. 또한, 병렬 전송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직병렬 변환회로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OSI 7 계층에서 데이터의 압축, 암호화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계층은?

  1. 물리계층
  2. 세션계층
  3. 표현계층
  4. 데이터링크계층
(정답률: 48%)
  • 표현계층은 데이터의 형식을 변환하고, 데이터의 압축, 암호화 등의 역할을 수행하여 상위 계층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하위 계층에서 사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합니다. 따라서, OSI 7 계층에서 데이터의 압축, 암호화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계층은 "표현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PCM 방식의 송신측 과정에서 가장 적합한 것은?

  1. 압축 →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 전송
  2. 부호화 → 표본화 → 양자화 → 압축 → 전송
  3. 표본화 → 압축 → 양자화 → 부호화 → 전송
  4. 양자화 → 표본화 → 부호화 → 압축 → 전송
(정답률: 41%)
  • PCM 방식에서는 먼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표본화를 진행합니다. 그리고 표본화된 디지털 신호를 압축하여 데이터를 줄입니다. 그 다음, 양자화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더욱 정밀하게 표현합니다. 이후, 부호화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전송 가능한 형태로 변환합니다. 마지막으로, 전송을 위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합니다. 따라서, "표본화 → 압축 → 양자화 → 부호화 → 전송"이 가장 적합한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위성통신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광역성
  2. 동보성
  3. 대용량, 고품질 전송
  4. 전송지연 없이 통신 가능
(정답률: 74%)
  • "전송지연 없이 통신 가능"은 위성통신의 특징이 아니라 기술적인 한계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입니다. 위성통신은 지상과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신호가 전달되는데 일정한 시간이 소요됩니다. 이를 "지연시간"이라고 하는데, 이는 위성통신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전송지연 없이 통신 가능"은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직류 억압 부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Bipolar 방식
  2. Manchester 방식
  3. CMI 방식
  4. NRZ 방식
(정답률: 39%)
  • NRZ 방식은 직류 억압 부호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NRZ 방식이 데이터가 0인 경우에도 신호의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다른 방식들은 데이터가 0인 경우에는 신호의 상태가 바뀌어 직류 억압 부호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직류 억압 부호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채널 대역폭이 100[㎑]이고, S/N 이 15 일 때 채널용량은 몇 [kbps]인가?

  1. 100[kbps]
  2. 200[kbps]
  3. 300[kbps]
  4. 400[kbps]
(정답률: 50%)
  • 채널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채널용량 = 채널 대역폭 x log2(1 + S/N)

    여기서 채널 대역폭은 100[㎑], S/N은 15이다. 따라서,

    채널용량 = 100 x log2(1 + 15) = 400[kbps]

    따라서 정답은 "400[kbp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잘못된 비트를 검출하여 정정도 할 수 있는 코드는?

  1. 해밍코드
  2. 패리티코드
  3. 그레이코드
  4. 아스키코드
(정답률: 71%)
  • 해밍코드는 데이터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할 수 있는 코드이다. 이 코드는 데이터 비트에 추가적인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오류 검출 및 정정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해밍코드가 잘못된 비트를 검출하여 정정할 수 있는 코드이다. 패리티코드는 오류 검출만 가능하고, 그레이코드와 아스키코드는 데이터 표현 방식에 대한 코드이므로 잘못된 비트를 검출하여 정정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PCM 방식에서 표본화 주파수가 8[㎑]이면 표본화 주기는 몇 [㎲]인가?

  1. 8[㎲]
  2. 56[㎲]
  3. 64[㎲]
  4. 125[㎲]
(정답률: 64%)
  • PCM 방식에서 표본화 주파수가 8[㎑]이면 표본화 주기는 1/8[㎑] = 125[㎲]이다. 따라서 정답은 "1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프로토콜의 기능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단순화
  2. 라우팅
  3. 전송제어
  4. 데이터의 분할 및 조립
(정답률: 45%)
  • 단순화는 프로토콜의 기능이 아니라 개발자나 사용자를 위한 설계 원칙이다. 따라서 "단순화"가 프로토콜의 기능으로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예측기를 사용하지 않고 양자화하는 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1. DM
  2. PCM
  3. ADM
  4. DPCM
(정답률: 44%)
  • PCM은 Pulse Code Modulation의 약자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예측기를 사용하지 않고,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각 샘플마다 해당하는 양자화 레벨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양자화합니다. 따라서 예측기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5000[bps]데이터 신호속도를 1시가 동안 전송했을 때 에러 비트가 18 비트였다면 비트 에러율은 얼마인가?

  1. 10-4
  2. 10-5
  3. 10-6
  4. 10-7
(정답률: 39%)
  • 전송된 비트 수는 5000 x 3600 = 18,000,000 비트이다. 에러 비트는 18 비트이므로, 비트 에러율은 18/18,000,000 = 1/1,000,000 = 10-6이다. 이는 전송된 비트 중에서 1 비트당 평균 10-6 비트의 에러가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4진 PSK의 반송파 간의 위상차는 몇 도인가?

  1. 45도
  2. 90도
  3. 180도
  4. 360도
(정답률: 50%)
  • 4진 PSK에서는 4개의 위상 상태를 사용하므로, 각 위상 상태 간의 위상 차이는 360도를 4로 나눈 90도가 된다. 따라서, 4진 PSK의 반송파 간의 위상차는 90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광섬유의 재료 자체(불순물)에 흡수되어 열로 변환됨으로써 발생하는 손실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흡수손실
  2. 결합손실
  3. 산란손실
  4. 마이크로밴딩손실
(정답률: 70%)
  • 광섬유의 재료 자체에 흡수되어 열로 변환되는 손실을 "흡수손실"이라고 한다. 이는 광섬유 내부에서 빛이 흡수되어 전기 신호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로, 광섬유의 소재와 제조 과정 등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동선과 비교한 광섬유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저손실이다.
  2. 유연성이 좋다.
  3. 무게가 가볍다.
  4. 광대역 전송에 적합하다.
(정답률: 63%)
  • "무게가 가볍다."는 동선과 비교한 광섬유의 특징과 관련이 없는 설명입니다.

    광섬유의 유연성이 좋은 이유는 광섬유가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소재는 높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광섬유를 구부리거나 굽히는 등의 형태 변화에도 강하게 유지됩니다. 이러한 유연성은 광섬유의 설치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며,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설비기준

61. 분기(branch), 인터럽트 혹은 서브루틴 명령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다음 중 어느 레지스터의 내용이 변경되어야 하는가?

  1. 누산기(accumulator)
  2.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
  3. 인덱스 레지스터(index register)
  4. PSW(program status word)
(정답률: 50%)
  • 분기, 인터럽트 혹은 서브루틴 명령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의 내용이 변경되어야 합니다. 이는 다음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가리키는 레지스터이기 때문입니다. 분기 명령어는 다음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프로그램 카운터에 저장하고, 인터럽트나 서브루틴 명령어는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주소를 스택에 저장한 후, 다음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프로그램 카운터에 저장합니다. 따라서 프로그램 카운터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중요한 레지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병행 프로그래밍에서 임계 구역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동시에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접근해서 안되는 공유 자원을 접근하는 코드의 일부를 말한다.
  2. 동시에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독점 자원을 접근하는 코드의 일부를 말한다.
  3. 동시에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순차적으로 접근해서는 안되는 공유 자원을 접근하는 코드의 일부를 말한다.
  4. 동시에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순차적으로 독점 자원을 접근하는 코드의 일부를 말한다.
(정답률: 37%)
  • 병행 프로그래밍에서 임계 구역은 "동시에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접근해서 안되는 공유 자원을 접근하는 코드의 일부"를 말합니다. 이는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접근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공유 자원(예: 변수, 파일 등)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임계 구역에 진입하는 프로세스는 상호 배제를 위해 동기화 메커니즘(예: 뮤텍스, 세마포어 등)을 사용하여 다른 프로세스의 접근을 막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비선점 스케줄링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FIFO(first in first out)
  2. SJF(short job forst)
  3. HRN(highest response ratio next)
  4. SRT(shortest remaining time)
(정답률: 35%)
  • 정답: FIFO(first in first out)

    설명: 비선점 스케줄링은 프로세스가 CPU를 할당받은 후에도 중간에 선점되지 않는 스케줄링 방식을 말합니다. SJF, HRN, SRT은 모두 프로세스의 실행 시간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실행 시간이 짧은 프로세스에게 우선적으로 CPU를 할당합니다. 하지만 FIFO는 먼저 도착한 프로세스에게 우선적으로 CPU를 할당하는 방식으로, 실행 시간과는 무관합니다. 따라서 FIFO는 비선점 스케줄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CPU의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flag)가 아닌 것은?

  1. 패리티(parity) 플래그
  2. 사인(sign) 플래그
  3. 트랩(trap) 플래그
  4. 제로(zero) 플래그
(정답률: 40%)
  • CPU의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flag) 중에서 "트랩(trap) 플래그"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른 세 개의 플래그인 "패리티(parity) 플래그", "사인(sign) 플래그", "제로(zero) 플래그"는 CPU의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 중 하나로, 각각 연산 결과의 패리티, 부호, 값이 0인지 아닌지를 나타냅니다. 하지만 "트랩(trap) 플래그"는 예외 상황이 발생했을 때 CPU가 해당 예외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플래그입니다. 예를 들어, 0으로 나누기나 잘못된 메모리 접근 등의 예외가 발생하면 CPU는 해당 예외를 처리하기 위해 "트랩(trap) 플래그"를 설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AND 마이크로 동작을 수행한 결과와 같은 동작을 하는 것은?

  1. Mask 동작
  2. Shift 동작
  3. EX-OR 동작
  4. Packing 동작
(정답률: 60%)
  • AND 마이크로 동작은 두 비트가 모두 1일 때만 결과가 1이 되는 연산이다. Mask 동작은 AND 연산과 같은 원리로, 특정 비트 패턴을 만들어 해당 패턴과 AND 연산을 수행하는 동작이다. 따라서 Mask 동작이 AND 마이크로 동작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Shift 동작은 비트를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이며, EX-OR 동작은 두 비트가 다를 때만 결과가 1이 되는 연산이다. Packing 동작은 여러 비트를 하나의 바이트로 묶는 동작이므로 AND 마이크로 동작과는 다른 동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그레이 코드(Gray Code)의 특성과 거리가 먼 것은?

  1. 데이터전송
  2. 입출력장치
  3. 사칙연산
  4. A/D convertor
(정답률: 34%)
  • 그레이 코드는 이웃하는 두 수의 비트가 항상 한 비트씩만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데이터 전송이나 입출력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칙연산과 A/D convertor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사칙연산"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9의 고정 소수점형식으로 표현한 것 중 틀린 것은?

  1. 10001001
  2. 11110110
  3. 11100110
  4. 11110111
(정답률: 15%)
  • 정답은 "11110111"입니다.

    -9를 2의 보수로 나타내면 11110111이 됩니다. 하지만 이진수에서 고정 소수점 형식은 소수점을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누어진 고정된 자릿수를 가지는 형식입니다. 따라서 소수점을 기준으로 왼쪽에는 정수부, 오른쪽에는 소수부가 위치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8비트의 고정 소수점 형식에서는 소수점 왼쪽에 4비트, 오른쪽에 4비트가 위치하게 됩니다. 따라서 -9를 8비트의 고정 소수점 형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1.1110 1111

    여기서 소수점을 기준으로 왼쪽 4비트는 -2^3 + 2^2 + 2^1 + 2^0 = -8 + 4 + 2 + 1 = -1이 됩니다. 오른쪽 4비트는 2^-1 + 2^-2 + 2^-3 + 2^-4 = 0.5 + 0.25 + 0.125 + 0.0625 = 0.9375가 됩니다.

    따라서 올바른 선택지는 "111001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중앙처리장치와 유사한 기능을 보유한 입출력 프로세서 혹은 입출력 컴퓨터를 추가하여 입출력 기능을 강화시킨 것은?

  1. 중앙처리장치에 의한 입출력
  2. 폴링에 의한 입출력
  3. DMA에 의한 입출력
  4. 채널에 의한 입출력
(정답률: 42%)
  • 채널에 의한 입출력은 입출력 프로세서를 추가하여 입출력 기능을 강화시킨 것으로, 입출력 작업을 전용 프로세서에게 맡겨 처리함으로써 중앙처리장치의 부담을 줄이고 입출력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입출력 작업을 전용 프로세서에게 맡기는 방식으로 입출력 기능을 강화시키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자기보수(Self Complement)코드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그레이 코드
  2. 3-초과 코드
  3. 2421 코드
  4. 코드
(정답률: 39%)
  • 정답은 "그레이 코드"입니다.

    그레이 코드는 자기보수 코드의 일종으로, 이진수에서 한 비트만 바뀌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이용해 디지털 회로에서 신호가 변할 때 발생하는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기에서 제시된 다른 코드들은 모두 자기보수 코드의 다른 종류입니다.

    - 3-초과 코드: 0과 1을 번갈아가며 나열하되, 3개 이상의 연속된 숫자를 허용하지 않는 코드입니다.
    - 2421 코드: 4비트 이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할 때 사용하는 코드로, 각 자리수마다 2, 4, 2, 1의 가중치를 부여합니다.
    - 코드: 4개의 숫자를 번갈아가며 나열하는 코드로, 0과 1이 번갈아가면서 나타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그레이 코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전송로(버스) 중 입출력 인터페이스 사이의 버스가 아닌것은?

  1. 제어버스
  2. 주소버스
  3. 데이터버스
  4. 시스템버스
(정답률: 40%)
  • 시스템버스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는 직접적인 연결이 없으며, 컴퓨터 시스템 내부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연결하는 버스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제어버스, 주소버스, 데이터버스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전기통신설비가 다른 사람의 전기통신설비와 접속되는 경우에 그 건설과 보전에 관한 책임 등의 한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설정되어야 하는 것은?

  1. 분계점
  2. 단자함
  3. 접속점
  4. 기준점
(정답률: 50%)
  • 분계점은 전기통신설비가 다른 사람의 전기통신설비와 접속되는 경우에 그 건설과 보전에 관한 책임 등의 한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설정되는 지점으로, 이는 전기통신망의 경계를 나타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인 단자함, 접속점, 기준점은 모두 전기통신설비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용어이지만, 분계점은 전체 전기통신망을 나누는 경계선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장 적절한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
  2. 2
  3. 3
  4. 5
(정답률: 40%)
  • 주어진 그림에서, 모든 숫자들은 각각의 선들이 교차하는 지점의 개수를 나타낸다. "5"는 모든 선들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숫자들보다 더 많은 교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자 외의 자가 시공할 수 있는 경미한 공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실험국의 무선설비 설치공사
  2. 간이무선국의 무선설비 설치공사
  3. 건축물에 설치되는 5회선 이하의 구내통신선로 설비공사
  4. 연면적 이천 제곱미터 이하의 건축물의 자가 유선방송설비 공사
(정답률: 62%)
  • 연면적 이천 제곱미터 이하의 건축물의 자가 유선방송설비 공사는 정보통신공사업자 외의 자가 시공할 수 있는 경미한 공사에 속하지 않는다. 다른 보기들은 무선설비나 구내통신선로 설비공사 등으로 정보통신공사업자 외의 자가 시공할 수 있는 경미한 공사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재직 중에 통신에 관하여 알게 된 타인의 비밀을 누설한 자에 대한 벌칙은?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 5천만원 이하의 벌금
  4.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억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35%)
  • 재직 중인 사람이 통신에 관한 비밀을 누설하면, 이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는 "통신비밀침해"에 해당합니다. 이에 따라 처벌을 받게 되는데, 이 중에서도 가장 높은 벌금과 징역형이 부과되는 경우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억원 이하의 벌금"입니다. 이는 통신비밀침해가 다른 범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심각한 범죄로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보편적 역무의 구체적 내용을 정할시 고려사항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정보화촉진
  2. 사회복지 증진
  3. 전기통신기본계획
  4. 공공의 이익과 안전
(정답률: 32%)
  • 보편적 역무의 구체적 내용을 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정보화촉진, 사회복지 증진, 공공의 이익과 안전 등과 같은 사회적 가치와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적절한 역할과 책임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전기통신기본계획"은 구체적인 정책이나 계획으로서 보편적 역무의 구체적 내용을 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기통신기본계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통신규약
  2. 기술기준
  3. 안전기준
  4. 상호규약
(정답률: 53%)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컴퓨터와 모뎀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선이다. 이 연결선은 컴퓨터와 모뎀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규약에 따라 제작되었다. 따라서 정답은 "통신규약"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00분의 10
  2. 100분의 30
  3. 100분의 50
  4. 100분의 70
(정답률: 43%)
  • 이 그림은 원의 반을 두 번 나누어 놓은 것입니다. 즉, 전체를 2로 나눈 것이므로 100분의 5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보호기
  2. 퓨즈
  3. 스위치
  4. 차단기
(정답률: 24%)
  • 주어진 그림에서 보이는 것은 전기 회로에서 과전류를 막기 위한 장치인 "보호기"이다. 이 장치는 전류가 과도하게 흐를 경우 회로를 차단하여 전기기기나 전선 등이 손상되는 것을 막아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방송통신위원회가 전기통신설비 통합운영계획을 수립하여 최종적으로 누구의 승인을 얻어야 하는가?

  1. 대통령
  2. 국무총리
  3. 설비의 설치자
  4. 관계 행정기관의 장
(정답률: 36%)
  • 전기통신설비 통합운영계획은 국가 전략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대통령의 승인이 필요하다. 대통령은 국가의 최고 지도자로서 국가 전략과 안보 등을 고려하여 이러한 계획을 승인하거나 거부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사업자의 교환설비로부터 이용자 전기통신설비의 최초단자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구성되는 회선은?

  1. 국선
  2. 단말장치
  3. 전송설비
  4. 국선접속설비
(정답률: 58%)
  • 국선은 사업자의 교환설비로부터 이용자 전기통신설비의 최초단자에 이르기까지의 회선을 말한다. 즉, 이용자와 사업자 간의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회선이며, 단말장치, 전송설비, 국선접속설비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이용자와 사업자 간의 통신을 위한 회선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회선이 국선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