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8-30)

정보통신산업기사
(2009-08-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전자회로

1. 다음 중 시미트 트리거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주로 선형 증폭기로 사용한다.
  2. 계단파 발진기로 사용한다.
  3. 삼각파의 입력으로 정현파가 출력된다.
  4.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갖는 비교기이다.
(정답률: 73%)
  • 시미트 트리거 회로는 입력 신호가 일정 임계값을 넘어설 때 출력이 전환되는 회로로, 이 때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갖는 비교기로 사용된다. 따라서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갖는 비교기이다."가 적합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과 같은 카르노도를 간략화한 것은?

  1. A+BC
  2. B+AC
  3. B+CD
(정답률: 45%)
  • 카르노도에서 인접한 두 셀은 단 하나의 변수만 다르다. 따라서 "A+BC"와 "B+AC"를 합치면 "AB+C"가 되고, "B+CD"와 "AB+C"를 합치면 "AB+CD"가 된다. 이제 "AB+C"와 "AB+CD"를 합치면 "AB+C"가 남게 되므로, 정답은 "AB+C"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의 논리회로에서 3개의 입력단자에 각각 1의 입력이 들어오면 출력 A와 B의 값은?

  1. A = 1, B = 0
  2. A = 1, B = 1
  3. A = 0, B = 0
  4. A = 0, B = 1
(정답률: 82%)
  • 입력단자에 1의 입력이 들어오면 AND 게이트에서는 두 입력이 모두 1이어야 출력이 1이 되므로 출력 A는 0이 되고, OR 게이트에서는 두 입력 중 하나 이상이 1이면 출력이 1이 되므로 출력 B는 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A = 0, B =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연산 증폭기의 등가회로이다. 이 연산 증폭기의 역할은?

  1. 적분기
  2. 미분기
  3. 대수 증폭기
  4. 감산기
(정답률: 73%)
  • 이 등가회로는 입력 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이므로 "적분기"이다. 즉, 입력 신호의 시간적인 변화율을 적분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수정발진회로가 갖는 가장 큰 특징은?

  1. 잡음의 경감
  2. 출력의 증대
  3. 효율의 증대
  4. 발진주파수의 안정
(정답률: 77%)
  • 수정발진회로는 발진주파수가 안정적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회로 내부에서 발진주파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외부 요인에 의해 주파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정적인 발진주파수를 유지함으로써 잡음을 경감시키고, 출력과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D형 Latch 회로의 주 용도는?

  1. 10진 계수기
  2. 논리 연산기
  3. 일시 기억장치
  4. 정수 연산장치
(정답률: 57%)
  • D형 Latch 회로는 입력 신호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일시 기억장치로 사용된다. 입력 신호가 들어오면 클럭 신호에 따라 출력이 변경되며, 출력은 입력 신호가 변경되기 전까지 유지된다. 이러한 특성으로 D형 Latch 회로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거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동기식 카운터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리플 카운터라고도 한다.
  2. 플립-플롭의 단수와 동작 속도와는 무관하다.
  3. 단수의 증가함에 따라 최종단 플립-플롭에서 변화의 지연이 커진다.
  4. 전단의 출력이 후단의 트리거 입력이 된다.
(정답률: 46%)
  • 동기식 카운터는 입력 신호가 동기화되어 있어서 모든 플립-플롭이 동시에 클럭 신호에 의해 변경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리플 카운터라고도 불린다. 단수의 증가함에 따라 최종단 플립-플롭에서 변화의 지연이 커지는 것은 맞지만, 플립-플롭의 단수와 동작 속도와는 무관하다. 이는 모든 플립-플롭이 동시에 변경되기 때문이다. 또한 전단의 출력이 후단의 트리거 입력이 된다는 것도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h 파라미터 중 단위가 없는 것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hi와 hr
  2. hr와 hf
  3. hr와 ho
  4. hf와 ho
(정답률: 79%)
  • 정답은 "hr와 hf"이다.

    hi는 입자의 초기 높이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길이 단위로 표시된다. hr은 입자의 잔류 높이를 나타내며, 길이 단위로 표시된다. hf는 입자의 자유 수면 위 높이를 나타내며, 길이 단위로 표시된다. ho는 유체의 초기 높이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길이 단위로 표시된다.

    따라서, hr와 hf는 단위가 없는 것으로만 짝지어진다. 입자의 높이가 아니라, 입자와 유체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는 값이기 때문에 단위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그림의 회로 용도로 적합한 것은? (단, 다이오드는 이상적이고 VR1<VR2이다.)

  1. 클리퍼
  2. 전압배율기
  3. 정류기
  4. 피크검출기
(정답률: 75%)
  • 이 회로는 입력 신호의 양수 부분만 출력으로 전달하고, 음수 부분은 잘라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클리퍼"로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의 기능은?

  1. 무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2.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3.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4. 시미트 트리거
(정답률: 79%)
  • 이 논리회로는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는 입력신호가 없을 때도 출력신호가 유지되는 회로로, 이 회로에서는 R1, R2, C1, C2가 서로 교차되어 연결되어 있어서 양쪽의 커패시터가 서로 교차충전되고 방전되면서 출력신호가 유지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송신기의 주파수 체배증폭기 및 RF 전력증폭기 등으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A급 증폭기
  2. B급 증폭기
  3. AB급 증폭기
  4. C급 증폭기
(정답률: 79%)
  • C급 증폭기는 주파수 체배증폭기 및 RF 전력증폭기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데, 이는 C급 증폭기가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력을 증폭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비해 A급 증폭기는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력을 증폭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하지만, 효율성이 낮아서 주로 오디오 증폭기 등에서 사용됩니다. B급 증폭기는 A급 증폭기보다 효율성이 높지만, 왜곡이 발생할 수 있어서 주로 저출력 전자기기에서 사용됩니다. AB급 증폭기는 A급과 B급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효율성과 왜곡 방지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어서 주로 고출력 전자기기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의 회로는 어떤 논리 동작을 하는가? (단, X1, X2 : 입력, Y : 출력이며 정논리인 경우이다.)

  1. AND
  2. OR
  3. NOR
  4. NAND
(정답률: 43%)
  • 이 회로는 X1과 X2가 모두 1일 때만 Y가 1이 되는 AND 게이트의 동작을 한다. 따라서 정답은 "AN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그림의 회로에서 트랜지스터 Q2의 주된 역할은? (단, Q1, Q2의 특성은 동일하다.)

  1. 전류 증폭률을 크게 한다.
  2. 회로의 바이어스 안정을 도모 한다.
  3. 잡음을 감소시킨다.
  4. 증폭기의 대역폭을 넓힌다.
(정답률: 78%)
  • 트랜지스터 Q2의 주된 역할은 회로의 바이어스 안정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는 Q2가 Q1의 베이스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Q1의 작동을 제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Q2는 회로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회로의 출력 파형으로 적합한 것은? (단, 시정수는 입력전압 Vi의 주기에 비하여 작다.)

(정답률: 85%)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입력신호가 0V에서 5V까지 변화하므로, 출력신호도 0V에서 5V까지 변화해야 합니다. 이를 만족하는 파형은 "" 입니다. ""와 ""는 출력신호의 변화폭이 입력신호의 변화폭보다 작으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는 입력신호가 0V에서 5V까지 변화할 때 출력신호가 5V에서 0V까지 변화하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베이스를 기준으로 PNP 트랜지스터가 활성영역에서 동작하기 위한 바이어스가 옳은 것은? (단, B : 베이스, E : 이미터, C : 컬렉터)

  1. E 는 +, C 는 -
  2. E 는 -, C 는 +
  3. E 는 +, C 는 +
  4. E 는 -, C 는 -
(정답률: 75%)
  • "E 는 +, C 는 -"이 옳은 바이어스이다. PNP 트랜지스터는 NPN 트랜지스터와는 반대로 베이스와 이미터가 양극성이 반대이며,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에 양의 전압이 인가되어야 활성영역에서 동작한다. 이때, 컬렉터와 이미터 사이에는 음의 전압이 인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E 는 +, C 는 -"이 옳은 바이어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FET 이상형 발진기에서 발진주파수 f[㎐]는 약 얼마인가? (단, C = 0.01[㎌], R = 10[㏀]이다.)

  1. 476
  2. 650
  3. 720
  4. 850
(정답률: 38%)
  • FET 이상형 발진기에서 발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 = 1 / (2πRC)

    여기서, C = 0.01[㎌], R = 10[㏀] 이므로,

    f = 1 / (2π × 0.01 × 10) = 1 / (0.628) ≈ 1.59[㎒]

    하지만, 이상형 발진기에서는 발진주파수가 일정하지 않고, 일정한 주파수를 유지하기 위해 일부 구성요소를 추가해야 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발진주파수가 약 1.59[㎒]에 가까운 값인 "650"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그림에서 발진회로로 적합한 것은?

  1. Z1, Z2 : 유도성, Z3 : 용량성
  2. Z1, Z3 : 유도성, Z2 : 용량성
  3. Z2, Z3 : 유도성, Z1 : 용량성
  4. Z1, Z2Z3 : 유도성
(정답률: 73%)
  • 발진회로에서는 고주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유도성과 용량성을 적절히 조합하여 회로를 구성합니다. 이 그림에서는 Z1과 Z2가 인덕터로 유도성을 가지고 있고, Z3이 콘덴서로 용량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Z1, Z2 : 유도성, Z3 : 용량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시간에서 turn-off 시간은?

  1. 하강시간
  2. 상승시간 + 지연시간
  3. 축적시간
  4. 축적시간 + 하강시간
(정답률: 72%)
  •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시간은 상승시간, 하강시간, 지연시간, 축적시간 등으로 구성됩니다.

    상승시간은 트랜지스터가 ON 상태로 전환되는 시간을 의미하며, 하강시간은 트랜지스터가 OFF 상태로 전환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지연시간은 트랜지스터가 전환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축적시간은 트랜지스터가 전환된 후에도 일정 시간 동안 전류가 유지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시간에서 turn-off 시간은 축적시간 + 하강시간입니다. 이는 전류가 유지되는 시간과 OFF 상태로 전환되는 시간을 모두 고려한 값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TR, R 및 C 등을 이용한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에서 무안정, 단안정, 쌍안정의 구별은 무엇으로 결정되는가?

  1. 바이어스 전류의 크기
  2. 전원전압
  3. 콘덴서의 크기
  4. 결합회로 구성
(정답률: 86%)
  •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에서 무안정, 단안정, 쌍안정의 구별은 결합회로 구성에 따라 결정됩니다. 결합회로는 TR, R 및 C 등의 요소들이 상호작용하여 회로의 동작을 결정하는데, 이 때 요소들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따라 회로의 동작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결합회로 구성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바이어스 전류의 크기, 전원전압, 콘덴서의 크기 등은 결합회로 구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결합회로 구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의 출력 D는?

  1. ABC
  2. AB+BC
(정답률: 64%)
  •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AND 게이트를 통해 C가 1이 되고, 입력 B와 C가 모두 1일 때, AND 게이트를 통해 D가 1이 된다. 따라서, 출력 D는 입력 A, B, C가 모두 1일 때 1이 된다.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기기

21. 다음 중 데이터 전송의 5단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패킷 조립
  2. 회로 연결
  3. 링크 조립
  4. 링크 절단
(정답률: 65%)
  • 패킷 조립은 데이터 전송의 5단계 중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데이터 전송의 5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회로 연결
    2. 링크 조립
    3. 패킷화
    4. 전송
    5. 링크 절단

    패킷 조립은 패킷화 단계에서 이루어지며, 전송할 데이터를 작은 패킷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조립하여 전송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패킷 조립은 데이터 전송의 5단계 중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컬러 TV에서 NTSC 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음성 신호는 FM 변조를 이용한다.
  2. 영상 신호에는 AM 변조를 이용한다.
  3. 주사선의 수는 525개로 비월주사 방식을 이용한다.
  4. 색부 반송파의 위상을 1주사선마다 반전해서 전송한다.
(정답률: 47%)
  • "음성 신호는 FM 변조를 이용한다."는 NTSC 방식의 특징 중 하나이다. NTSC 방식은 영상 신호에는 AM 변조를 이용하고, 주사선의 수는 525개로 비월주사 방식을 이용한다. 하지만 "색부 반송파의 위상을 1주사선마다 반전해서 전송한다."는 NTSC 방식의 특징이 아니다. 이는 PAL 방식에서 사용되는 방식이다. 즉, NTSC 방식에서는 색부 반송파의 위상을 반전시키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DSU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Unipolar 신호를 Bipolar 신호로 바꾸어 준다.
  2. Bipolar 신호를 Unipolar 신호로 바꾸어 준다.
  3. 디지털 전송로 양단에 접속되어 운용된다.
  4. PSTN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53%)
  • DSU는 디지털 전송로 양단에 접속되어 운용되며, Unipolar 신호를 Bipolar 신호로 바꾸어 주거나 Bipolar 신호를 Unipolar 신호로 바꾸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PSTN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므로 "PSTN에 주로 사용된다."는 거리가 먼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문자가 도형 등을 입력하기 위해 평면 모양으로 구성된 입력면내에 지시펜으로 위치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단말장치는?

  1. OCR
  2. OMR
  3. COM
  4. Tablet
(정답률: 75%)
  • Tablet은 평면 모양으로 구성된 입력면내에 지시펜으로 위치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단말장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OCR은 광학 문자 인식, OMR은 광학 마크 인식, COM은 컴퓨터와 통신하는 장치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각 단말의 채널에 시간폭을 제어하고 실제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단말에만 시간을 할당에 주는 것은?

  1. 주파수분할 다중화기
  2. 코드분할 다중화기
  3. 지능형 다중화기
  4. 동기식 다중화기
(정답률: 28%)
  • 지능형 다중화기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각 단말의 채널에 시간폭을 제어하고 실제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단말에만 시간을 할당해주는 다중화기이다. 이를 통해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전송 속도와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지능형 다중화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MODEM에서 송신기의 구성 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1. 스크램블러
  2. 검파기
  3. 변조기
  4. 대역 제한 필터
(정답률: 36%)
  • MODEM에서 송신기의 구성 요소는 스크램블러, 변조기, 대역 제한 필터이다. 이 중에서 검파기는 수신기의 구성 요소이므로 송신기와 거리가 먼 것이다. 검파기는 수신된 신호를 해독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화상통신 서비스에서 단말 대 단말의 형태인 것은?

  1. 팩시밀리 통신
  2. CAI
  3. 쌍방향 CATV
  4. Videotex
(정답률: 35%)
  • 팩시밀리 통신은 화상통신 서비스에서 단말 대 단말의 형태이다. 이는 두 개의 단말기가 서로 직접 통신하여 정보를 주고받는 형태를 말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단말 대 서버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인공위성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랜덤위성
  2. 위상위성
  3. 자동위성
  4. 정지위성
(정답률: 40%)
  • 인공위성은 주로 우주공간에서 지구를 관측하거나 통신, 탐사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그 중에서도 "자동위성"은 존재하지 않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동위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정보통신 시스템에서 컴퓨터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와 거리가 먼 것은?

  1. 주파수분할
  2. 시분할
  3. 실시간처리
  4. 원격일괄처리
(정답률: 69%)
  • 주파수분할은 데이터 처리와는 거리가 먼 기술입니다. 주파수분할은 주파수 대역을 나누어 각각의 대역에서 독립적인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데이터 처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예를 들어, 라디오 방송에서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여러 개의 방송을 동시에 송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전(全)전자 교환기의 통화로계 구성이 아닌 것은?

  1. 통화로망
  2. 중계선 정합부
  3. 가입자선 정합부
  4. 주변제어장치
(정답률: 74%)
  • 전자 교환기의 통화로계 구성에는 "통화로망", "중계선 정합부", "가입자선 정합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주변제어장치"는 전자 교환기의 통화로계 구성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주변제어장치는 전자 교환기와 외부 장치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장치로, 통화로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주변제어장치가 전자 교환기의 통화로계 구성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통신제어장치에 대한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회선과 컴퓨터간에 데이터의 입ㆍ출력
  2. 전송회선과의 전기적 인터페이스
  3. 수신된 데이터의 연산처리
  4. 전송제어, 회선감시 및 접속제어
(정답률: 39%)
  • 통신제어장치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받는 기능 뿐만 아니라 전송된 데이터를 연산하고 처리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수신된 데이터의 연산처리"는 옳지 않은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팩시밀리(facsimile)의 기본 동작이 아닌 것은?

  1. 광전변환
  2. 기록변환
  3. 송ㆍ수신 주사
  4. 영상, 음성신호의 변환
(정답률: 44%)
  • 팩시밀리의 기본 동작은 광전변환, 기록변환, 송ㆍ수신 주사이다. 하지만 영상, 음성신호의 변환은 팩시밀리의 기본 동작이 아니다. 팩시밀리는 이미지나 문서를 전송하기 위한 기술로, 이미지나 문서를 스캔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전송하는 것이 주요 기능이다. 따라서 영상, 음성신호의 변환은 팩시밀리의 기본 동작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비충격식 프린터가 아닌 것은?

  1. 레이저 프린터
  2. 잉크젯 프린터
  3. 도트 프린터
  4. 열전사 프린터
(정답률: 56%)
  • 도트 프린터는 인쇄물을 만들기 위해 인쇄물 표면에 작은 점들을 찍어내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에 비해 레이저 프린터와 잉크젯 프린터는 비충격식 프린터로, 인쇄물 표면에 물질을 뿌리거나 녹여서 인쇄물을 만들어냅니다. 열전사 프린터는 열을 이용하여 인쇄물을 만들어내는 방식이므로 비충격식 프린터입니다. 따라서, 도트 프린터가 비충격식 프린터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FM이 AM보다 충격성 잡음에 강한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진폭제한기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2. 스켈치 회로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3. 대역폭이 넓기 때문이다.
  4. IDC 회로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정답률: 23%)
  • "진폭제한기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FM은 진폭제한기를 사용하여 신호의 진폭을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하므로 충격성 잡음에 강합니다. 반면, AM은 진폭제한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충격성 잡음에 취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원접속기술인 CDMA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가입자용량이 아날로그 셀룰러방식보다 크다.
  2. 주파수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하다.
  3. 다중경로 페이딩에 강하다.
  4. 전력제어가 필요 없다.
(정답률: 53%)
  • CDMA는 코드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다원접속기술이다. 이 때문에 주파수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하고, 다중경로 페이딩에 강하며, 가입자용량이 아날로그 셀룰러방식보다 크다. 또한 CDMA는 전력제어가 필요 없는데, 이는 코드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를 구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력을 조절하지 않아도 각 사용자가 서로 간섭 없이 통신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스펙트럼 확산 변조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스펙트럼 확산 다원접속을 위해 FDMA방식이 사용된다.
  2. 대역 확산방식으로는 주파수 도약 및 직접확산 등의 방식이 있다.
  3. 주파수에 대한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낮기 때문에 제3자가 수신하기 어렵다.
  4. 비록 제3자가 수신하여도 확산 변조시의 PN부호를 알지 못하면 해독이 어렵다.
(정답률: 37%)
  • "스펙트럼 확산 다원접속을 위해 FDMA방식이 사용된다."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주파수에 대한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낮기 때문에 제3자가 수신하기 어렵다."입니다.

    "스펙트럼 확산 다원접속을 위해 FDMA방식이 사용된다."는 스펙트럼 확산 변조를 사용하는 다원접속 방식 중 하나로,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여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대역 확산방식으로는 주파수 도약 및 직접확산 등의 방식이 있다."는 스펙트럼 확산 변조 방식 중 대역 확산 방식의 종류를 설명한 것입니다.

    "비록 제3자가 수신하여도 확산 변조시의 PN부호를 알지 못하면 해독이 어렵다."는 스펙트럼 확산 변조의 특징 중 하나로, PN 부호를 알지 못하면 데이터를 해독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하나의 고속통신 회선에 다수의 부채널을 접속하기 위한 통신 장비로 다수의 단말 회선을 소수의 회선으로 통합화하는 기기는?

  1. 집중화기
  2. 다중화기
  3. 자동응답기
  4. 호출기
(정답률: 28%)
  • 집중화기는 다수의 단말 회선을 소수의 회선으로 통합화하는 기기로, 하나의 고속통신 회선에 다수의 부채널을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집중화기가 정답이다. 다중화기는 하나의 회선을 여러 개의 회선으로 분할하는 기기이며, 자동응답기는 전화나 인터넷 등에서 자동으로 응답하는 기기, 호출기는 특정인을 호출하는 기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주파수분할 다중화(FDM)에서 다른 대역으로부터 신호의 간섭을 막아주기 위한 완충 대역은?

  1. 보호대역
  2. 데이터대역
  3. 유도대역
  4. 감시대역
(정답률: 50%)
  • 보호대역은 주파수분할 다중화에서 다른 대역으로부터 신호의 간섭을 막아주기 위한 대역으로, 이 대역은 데이터대역과 유도대역 사이에 위치하며, 데이터대역과 유도대역의 주파수가 겹치지 않도록 설정된 대역이다. 따라서 보호대역은 데이터대역과 유도대역의 신호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LAN의 통신망 구조가 아닌 것은?

  1. 버스형
  2. 링형
  3. 스타형
  4. 종형
(정답률: 46%)
  • LAN의 통신망 구조 중 "종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버스형"은 모든 장치가 하나의 통신선을 공유하는 구조, "링형"은 모든 장치가 순환하는 링 형태의 구조, "스타형"은 중앙에 허브나 스위치가 있고 각 장치가 이에 연결되는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위성을 이용한 위치, 속도 및 시진 측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1. DBS(Direct Broadcasting System)
  2.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3. TRS(Trunked Radio System)
  4. VRS(Video Response System)
(정답률: 70%)
  •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은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속도 및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입니다. GPS 수신기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GPS가 위성을 이용한 위치, 속도 및 시간 측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전송개론

41. 대표적인 랜덤 에러 정정부호로 복수개의 에러(Burst Error)를 정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부호는?

  1. 해밍 부호
  2. 리드솔로몬 부호
  3. 컨버루션 부호
  4. 순환중복검사 부호
(정답률: 50%)
  • 리드솔로몬 부호는 다른 부호들과 달리 복수개의 에러를 정정할 수 있는 강력한 부호이기 때문에 가장 적합하다. 이 부호는 데이터에 추가적인 정보를 추가하여 에러를 검출하고 정정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를 통해 복수개의 에러를 정정할 수 있으며, 특히 데이터 전송 시 발생하는 Burst Error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정합필터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최적 임계치는 입력신호 에너지의 반과 같다.
  2. 정합필터는 본질적으로 동기 검파기이다.
  3. 신호성분을 강조하고 잡음성분을 억제한다.
  4. 곱셈기와 미분기로 구현할 수 있다.
(정답률: 40%)
  • "최적 임계치는 입력신호 에너지의 반과 같다."는 정합필터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다.

    정합필터는 입력신호와 비슷한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강조하고, 다른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억제하는 필터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정합필터는 본질적으로 동기 검파기이다.

    곱셈기와 미분기로 구현할 수 있는 이유는, 정합필터는 입력신호와 비슷한 주파수를 강조하기 위해 입력신호와 정형화된 신호를 곱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곱셈기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정형화된 신호를 미분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를 미분기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정합필터는 곱셈기와 미분기로 구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대역폭이 가장 넓은 전송매체는?

  1. CCP 케이블
  2. 동축 케이블
  3. STP 케이블
  4. UTP 케이블
(정답률: 50%)
  • 동축 케이블은 내부에 구리선과 외부에 단단한 금속막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자기파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대역폭이 넓어서 높은 주파수 신호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축 케이블이 가장 대역폭이 넓은 전송매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양자화 잡음이 나타나지 않는 변조방식은?

  1. PCM
  2. ADPCM
  3. DM
  4. FDM
(정답률: 10%)
  • FDM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신호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지 않기 때문에 양자화 잡음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반면, PCM, ADPCM, DM은 모두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양자화 잡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PCM 방식에서 표본화 주파수가 8[㎑] 이면 표본화 주기는 몇 [㎲]인가?

  1. 12[㎲]
  2. 85[㎲]
  3. 100[㎲]
  4. 125[㎲]
(정답률: 67%)
  • PCM 방식에서 표본화 주파수가 8[㎑]이면, 1초당 8번의 표본화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표본화 주기는 1/8초, 즉 125[㎲]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HDLC에서 비트스터핑(bit stuffing)을 행하는 목적은?

  1. 데이터의 투명도 보장
  2. 주소부 구분
  3. 데이터 프레임의 순서정리
  4. 각종 프레임의 구분
(정답률: 50%)
  • HDLC에서 비트스터핑을 행하는 목적은 "데이터의 투명도 보장"입니다. 이는 데이터 전송 중에 데이터 내에 포함된 특정 패턴이 프레임의 경계 패턴과 중복되어 오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비트스터핑을 통해 데이터의 투명도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정지-대기(stop-and-wait) ARQ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착오 검출능력이 우수한 부호를 사용해야 한다.
  2. 전이중(full duplex) 모드이다.
  3. 구현방법이 단순하다.
  4. 응답 대기시간으로 인해 전송효율이 떨어진다.
(정답률: 42%)
  • 정지-대기 ARQ는 반송파(acknowledgement)를 받기 전까지 다음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응답 대기시간으로 인해 전송효율이 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응답 대기시간으로 인해 전송효율이 떨어진다."가 적합하지 않은 설명이다.

    전이중(full duplex) 모드란, 동시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모드를 의미한다. 정지-대기 ARQ는 단방향 통신 방식으로 동작하므로 전이중 모드가 아니라 반 이중(duplex) 모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OSI 7계층 참조모델에서 HDLC 프로토콜은 어느 계층과 관련이 있는가?

  1. 데이터링크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전송 계층
  4. 세션 계층
(정답률: 37%)
  • HDLC 프로토콜은 데이터링크 계층과 관련이 있습니다. HDLC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프레임으로 나누어 전송하고, 오류 검출 및 제어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HDLC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화 과정의 순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부호화 → 표본화 → 양자화 → 대역제한 필터링
  2. 대역제한 필터링 →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3. 표본화 → 대역제한 필터링 → 양자화 → 부호화
  4. 대역제한 필터링 → 표본화 → 부호화 → 양자화
(정답률: 34%)
  •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과정은 대역제한 필터링으로 불필요한 주파수를 제거한 후, 표본화로 시간적으로 연속된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이산적인 신호로 변환합니다. 이후, 양자화로 이산적인 신호의 크기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여 근사값으로 변환하고, 부호화로 이진수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로 완성합니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순서는 "대역제한 필터링 →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HDLC 링크 구성 방식에 따른 동작 모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선택 거절 모드(SRM)
  2. 비동기 응답 모드(ARM)
  3. 정규 응답 모드(NRM)
  4. 비동기 균형 모드(ABM)
(정답률: 53%)
  • 선택 거절 모드(SRM)는 HDLC 링크 구성 방식에 따른 동작 모드 중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HDLC 링크 구성 방식에 따른 동작 모드는 비동기 응답 모드(ARM), 정규 응답 모드(NRM), 비동기 균형 모드(ABM)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8진 PSK 변조방식에서 반송파간의 위상차는?

  1. 45도
  2. 90도
  3. 180도
  4. 360
(정답률: 48%)
  • 8진 PSK 변조방식에서는 8개의 위상을 사용하여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반송파간의 위상차는 360도를 8로 나눈 값인 45도가 된다. 즉, 각 위상간의 차이는 45도이므로 반송파간의 위상차도 45도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단일모드 광섬유(single mode fiber) 케이블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색분산이 존재한다.
  2. 모드간 간섭이 없다.
  3. 제조 및 접속이 어렵다.
  4. 모드가 한 개밖에 존재하지 않아 고속, 대용량 전송이 어렵다.
(정답률: 65%)
  • "모드가 한 개밖에 존재하지 않아 고속, 대용량 전송이 어렵다."는 단일모드 광섬유의 특징이 아니라 잘못된 설명입니다. 오히려 단일모드 광섬유는 모드가 한 개뿐이므로 고속, 대용량 전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수신한 8비트 PCM 데이터를 순시 진폭 값으로 변환하는 과정은?

  1. 부호화
  2. 복호화
  3. 양자화
  4. 표본화
(정답률: 44%)
  • 8비트 PCM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로 표현된 것이므로,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복호화 과정이 필요하다. 복호화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이 경우에는 PCM 데이터를 순시 진폭 값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PCM 데이터를 이진수로 변환하고, 이진수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는 양자화와 표본화도 함께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수신된 마이크로파를 검파하여 원 신호로 만든 다음 증폭한 후 다시 마이크로파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중계방식은?

  1. 검파 중계방식
  2. 헤테로다인 중계방식
  3. 직접 중계방식
  4. 무급전 중계방식
(정답률: 31%)
  • 검파 중계방식은 수신된 마이크로파를 검파하여 원 신호로 만든 다음 증폭한 후 다시 마이크로파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수신된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여 증폭하기 때문에 원래의 신호를 유지하면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검파 중계방식은 신호의 왜곡이 적고 전송 거리가 먼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전송하려는 부호어들의 최소 해밍 거리가 7일 때, 수신기 정정할 수 있는 최대 오류의 수는 얼마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56%)
  • 해밍 거리가 7이라는 것은 어떤 두 부호어 간에 최소 7개의 비트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최대 오류의 수는 6개 이하일 때만 수신기가 부호어를 올바르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정할 수 있는 최대 오류의 수는 3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정보 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변조시키는 변조방식은?

  1. QAM
  2. ASK
  3. FSK
  4. PSK
(정답률: 73%)
  • 정보 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변조시키는 변조방식은 QAM입니다. QAM은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약자로, 진폭 변조와 위상 변조를 동시에 사용하여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ASK는 진폭 변조, FSK는 주파수 변조, PSK는 위상 변조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OSI 7 계층에서 데이터 형식 코드변환, 암호화 등의 역할을 하는 계층은?

  1. 응용계층
  2. 표현계층
  3. 네트워크 계층
  4. 데이터 링크 계층
(정답률: 60%)
  • 표현계층은 데이터의 형식을 코드 변환하고,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이는 데이터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기 전에 필요한 작업으로, 데이터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현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동선케이블 전송선로와 비교하여 광 전송선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경량 및 저손실
  2. 대용량 전송
  3. 접속이 쉬움
  4. 외부 유도잡음이 적음
(정답률: 60%)
  • 광 전송선로는 접속이 쉬운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광섬유 케이블의 단선을 통해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달리 동선케이블 전송선로는 접속이 복잡하고 어려운 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ADPCM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양자화기만 적응형으로 만든다.
  2. 예측기만 적응형으로 만든다.
  3. 양자화기 및 예측기 모두 적응형으로 만든다.
  4. 양자화기 및 예측기 모드 비적응형으로 만든다.
(정답률: 56%)
  • ADPCM은 음성 신호를 압축하는 기술 중 하나로, 양자화기와 예측기를 모두 적응형으로 만들어 사용한다. 이는 입력 신호의 특성에 따라 적응적으로 압축 방식을 결정하기 위함이다. 양자화기는 입력 신호의 크기를 줄이는 역할을 하고, 예측기는 이전 샘플들을 기반으로 다음 샘플을 예측하여 차이값을 계산하고 이를 양자화기에 전달한다. 이렇게 적응적으로 압축 방식을 결정하면 더 효율적인 압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상호 변조 왜곡의 방지대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다중화 방식을 TDM에서 FDM으로 변경한다.
  2. 필터를 이용하여 통과대역 밖의 신호를 잘라낸다.
  3. 입력신호의 크기를 너무 크게 하지 않는다.
  4. 송수신장치를 선형영역에서 동작시킨다.
(정답률: 32%)
  • 다중화 방식을 TDM에서 FDM으로 변경하는 것은 상호 변조 왜곡을 방지하는 대책이 아니다. TDM과 FDM은 다중화 방식 중 서로 다른 방식이기 때문이다. TDM은 시간을 분할하여 여러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고, FDM은 주파수를 분할하여 여러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상호 변조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른 대책들을 적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설비기준

61. 서브루틴의 호출에 이용되는 자료구조는?

  1. 큐(queue)
  2. 스택(stack)
  3. 배열(array)
  4. 리스트(list)
(정답률: 50%)
  • 서브루틴의 호출 시에는 호출한 위치를 기억하고, 호출된 서브루틴이 끝나면 다시 호출한 위치로 돌아와야 합니다. 이를 위해 호출한 위치를 저장하는 자료구조가 필요한데, 이를 스택(stack)이라고 합니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Last-In-First-Out) 구조로,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꺼내지게 됩니다. 따라서 서브루틴 호출 시에는 호출한 위치를 스택에 저장하고, 서브루틴이 끝나면 스택에서 호출한 위치를 꺼내어 돌아갑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택은 서브루틴 호출의 흐름을 관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10진수 -800을 팩(packed) 10진수 형식으로 바꾼 것은?

  1. 800D
  2. 800C
  3. -800
  4. +800
(정답률: 39%)
  • 팩 10진수 형식에서 가장 왼쪽 비트는 부호 비트이며, 0은 양수, 1은 음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800을 팩 10진수 형식으로 바꾸면 부호 비트가 1이 되고, 나머지 비트는 800의 10진수 값을 16진수로 표현한 것이 됩니다. 이에 따라 "-800"이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ROM과 RAM의 차이점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RAM은 휘발성 메모리라고 한다.
  2. 어느 ROM이나 한 번 쓰면 지울 수 없다.
  3. RAM은 동적 RAM과 정적 RAM으로 나눌 수 있다.
  4. ROM의 종류에는 EPROM, EEPROM, PROM 등이 있다.
(정답률: 62%)
  • 정답은 "어느 ROM이나 한 번 쓰면 지울 수 없다." 이다.

    이유는 ROM은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처음에 데이터가 기록되면 그 이후로는 수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ROM에 저장된 데이터는 읽을 수만 있고 쓸 수는 없다. 이와 달리 RAM은 Random Access Memory의 약자로,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는 휘발성 메모리이다.

    따라서, ROM과 RAM은 데이터를 다루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RAM은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컴퓨터가 켜져 있는 동안에만 데이터가 유지된다. 반면에 ROM은 주로 시스템의 부팅 프로그램이나 펌웨어 등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저장된다.

    또한, RAM은 동적 RAM과 정적 RAM으로 나눌 수 있으며, 동적 RAM은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만 데이터가 유지되는 반면에 정적 RAM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데이터가 유지된다. ROM의 종류에는 EPROM, EEPROM, PROM 등이 있으며, 각각의 종류에 따라 데이터를 기록하고 지우는 방식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10진수 -13.625를 IEEE 754 형태로 옳게 표현한 것은? (단, 부호 : 1비트, 지수 : 8비트, 가수 : 23 비트이다.)

  1. 0 0000 1101 1011 0100 0000 0000 0000 0000
  2. 0 1000 0100 1011 0100 0000 0000 0000 0000
  3. 1 0000 1101 1011 0100 0000 0000 0000 0000
  4. 1 1000 0100 1011 0100 0000 0000 0000 0000
(정답률: 50%)
  • -13.625을 2진수로 변환하면 -1101.101이 된다. 이를 정규화하면 -1.101101 x 2^3이 된다. 여기서 부호는 음수이므로 첫 번째 비트는 1이 된다. 지수는 2^3을 정규화하기 위해 127을 더한 값인 130이 된다. 이를 2진수로 변환하면 10000010이 된다. 가수는 소수점 이하 부분인 101101을 가수 부분에 채우고 나머지 비트는 0으로 채운다. 따라서 최종적으로는 "1 1000 0100 1011 0100 0000 0000 0000 00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불대수 공식 중 틀린 것은?

  1. X + 0 = 0
  2. X + X = X
  3. XㆍX=X
(정답률: 50%)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AND 연산자(&)와 OR 연산자(+)가 혼합되어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AND 연산자와 OR 연산자는 서로 다른 연산이므로 혼합해서 사용할 수 없다.

    "X + 0 = 0"은 맞는 공식이다. 이는 OR 연산자를 사용한 것으로, X와 0 중 하나만 참이어도 결과는 참이 된다. 따라서 X + 0은 X와 같다.

    "X + X = X"도 맞는 공식이다. 이는 X와 X 중 하나만 참이어도 결과는 참이 된다. 따라서 X + X는 X와 같다.

    "XㆍX=X"도 맞는 공식이다. 이는 AND 연산자를 사용한 것으로, X와 X가 모두 참일 때 결과는 참이 된다. 따라서 XㆍX는 X와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어떤 명령이 수행되기 전에 가장 우선적으로 행하여야 하는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1. PC ← PC+1
  2. MAR ← PC
  3. MBR ← M
  4. PC ← 0
(정답률: 56%)
  • MAR은 Memory Address Register의 약자로,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쓸 때 사용하는 레지스터입니다. 따라서 다른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전에 MAR에 메모리 주소를 저장해야 합니다. "MAR ← PC"는 현재 PC(Program Counter)에 저장된 값을 MAR에 저장하는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입니다. 이는 다음에 실행될 명령어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MAR에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입니다. 따라서 "MAR ← PC"가 가장 우선적으로 행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프로그램 언어의 조건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다양한 응용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어야 한다.
  2. 명령문이 통일성 있고 단순, 명료해야 한다.
  3. 가능한 외부적인 지원은 차단하고, 많은 내부적 지원이 가능해야 한다.
  4. 언어의 확장성이 좋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분명해야 한다.
(정답률: 63%)
  • "가능한 외부적인 지원은 차단하고, 많은 내부적 지원이 가능해야 한다."는 프로그램 언어의 조건으로 맞지 않는다. 이는 오히려 프로그램의 제한을 높이고 개발자의 편의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프로그램 언어는 다양한 응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하며, 명령문이 통일성 있고 단순하고 명료해야 한다. 또한 언어의 확장성이 좋고 구조가 간단하고 분명해야 한다. 이러한 조건들은 개발자가 프로그램을 보다 쉽게 작성하고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n개의 입력으로 최대 2n개의 출력을 나타내는 조합논리회로로서, 출력 중에서 하나는 1이 되고, 나머지 출력은 0이 되는 것은?

  1. 인코더
  2. 디코더
  3. 멀티플렉서
  4. 디멀티플렉서
(정답률: 40%)
  • 디코더는 n개의 입력을 받아 2n개의 출력 중 하나만 1이 되고 나머지는 0이 되는 조합논리회로이다. 따라서 디코더는 주어진 조건에 따라 정확히 원하는 출력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인코더, 멀티플렉서, 디멀티플렉서는 이와 다른 기능을 수행하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제어의 흐름을 의미하는 것으로 프로세스에서 실행의 개념만을 분리한 것이며, 프로세스의 구성을 제어의 흐름 부분과 실행환경 부분으로 나눌 때, 프로세스의 실행 부분을 담당함으로써 실행의 기본단위가 되는 것은?

  1. Working Set
  2. PCB
  3. Thread
  4. Segmentation
(정답률: 41%)
  • 제어의 흐름을 담당하는 것은 프로세스의 실행 부분이므로, 이를 분리하여 실행의 기본 단위가 되는 것은 Thread이다. PCB는 프로세스의 상태와 정보를 저장하는 구조체이며, Working Set은 메모리 관리에서 사용되는 개념이고, Segmentation은 메모리 관리 기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입출력장치와 마이크로프로세서 사이의 접속장치(Interface)에서 악수하기(Handshaking)의 의미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CPU의 병렬데이터를 I/O장치에 맞추어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기
  2. CPU와 I/O 자이 사이의 제어신호 교환하기
  3. I/O장치의 전압높이를 CPU에 맞추기
  4. CPU가 사용하지 않는 버스를 I/O 장치에서 제어하기
(정답률: 22%)
  • CPU와 I/O 자이 사이의 제어신호 교환하기가 가장 적합한 것은, 입출력장치와 마이크로프로세서 사이의 접속장치에서 악수하기(Handshaking)의 의미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CPU와 입출력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 및 제어를 위한 신호 교환을 의미합니다. CPU와 입출력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 및 제어를 위한 신호 교환을 통해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자만 시공할 수 있는 공사는?

  1. 실험국의 무선설비설치공사
  2. 간이무선국의 무선설비설치공사
  3. 건축물에 설치되는 5회선 이하의 구내통신선로설비공사
  4. 허브의 증설을 수반하는 10회선의 근거리통신망 선로의 증설공사
(정답률: 44%)
  • 정답은 "허브의 증설을 수반하는 10회선의 근거리통신망 선로의 증설공사"입니다. 이유는 이 공사는 정보통신공사업자만이 시공할 수 있는 법적 규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규제가 없거나 일부 업체들도 시공이 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대통령령이 정하는 구내에 전기통신설비를 설치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그 구내에서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하는 사업은?

  1. 기간통신사업
  2. 별정통신사업
  3. 부가통신사업
  4. 일반통신사업
(정답률: 36%)
  • 별정통신사업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구내에 전기통신설비를 설치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그 구내에서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하는 사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구내에 전기통신설비를 설치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하는 사업은 별정통신사업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3일
  2. 5일
  3. 7일
  4. 9일
(정답률: 50%)
  • 주어진 그림에서는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의 요일이 나열되어 있고, 각각의 요일에는 해당하는 숫자가 적혀있다. 따라서 "7일"은 일요일을 의미하며, 정답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지식경제부장관이 전기통신기술의 진흥을 위하여 수립하는 시행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전기통신의 질서유지에 관한 사항
  2. 전기통신기술의 표준화에 관한 사항
  3. 전기통신기술의 연구ㆍ개발에 관한 사항
  4. 전기통신기술의 국제협력에 관한 사항
(정답률: 17%)
  • 전기통신의 질서유지는 법적인 측면에서 규제되는 사항이므로, 지식경제부장관이 전기통신기술의 진흥을 위한 시행계획에 포함되어서는 안 된다. 나머지 보기들은 전기통신기술의 발전과 관련된 기술적, 국제적, 정책적 측면에서 중요한 사항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전기통신을 행하기 위하여 계통적ㆍ유기적으로 연결ㆍ구성된 전기통신설비의 집합체를 말하는 것은?

  1. 정보통신망
  2. 전기통신망
  3. 통신설비망
  4. 정보통신설비망
(정답률: 17%)
  • 전기통신망은 전기통신설비들이 계통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 집합체를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정보통신망, 통신설비망, 정보통신설비망은 전기통신망과는 구성과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정보통신공사 발주자는 누구에게 공사의 설계를 발주 받아야 하는 가?

  1. 공사업자
  2. 감리원자
  3. 용역업자
  4. 하도급업자
(정답률: 44%)
  • 정보통신공사 발주자는 공사의 설계를 용역업자에게 발주 받아야 한다. 이는 공사의 설계는 기술적인 전문성이 필요하며,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과 경험이 있는 용역업자가 적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발주자는 용역업자를 선택하여 공사의 설계를 발주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보편적 역무의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유선전화 서비스
  2. 긴급통신용 전화 서비스
  3. 유지보수를 위한 전화 서비스
  4. 장애인 등에 대한 요금감면 전화 서비스
(정답률: 50%)
  • 보편적 역무의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유지보수를 위한 전화 서비스"입니다. 일반적으로 보편적 역무는 공공기관이나 기업체에서 제공하는 일반적인 서비스를 의미하며, 유지보수를 위한 전화 서비스는 특정 기술이나 제품에 대한 유지보수를 위한 서비스로서 일반적인 서비스 범주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전기통신역무에 관한 이용약관의 신고시 이용약관에 포함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전기통신역무의 종류 및 내용
  2.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하는 시간
  3. 수수료ㆍ실비를 포함한 전기통신역무의 요금
  4. 전기통신사업자 및 그 이용자의 책임에 관한 사항
(정답률: 31%)
  •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하는 시간"은 이용약관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전기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특성상 24시간 제공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일부 서비스는 정기적인 점검이나 유지보수를 위해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약관에서는 전기통신역무의 종류 및 내용, 수수료ㆍ실비를 포함한 전기통신역무의 요금, 전기통신사업자 및 그 이용자의 책임에 관한 사항 등을 다루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의 등록을 할 수 있는 자는?

  1.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
  2. 정보통신공사업법이 규정에 위반하여 벌금형의 선고를 받고 2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3. 정보통신공사업법의 규정에 의하여 등록이 취소된 후 2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4. 정보통신공사업법의 규정에 위반하여 금고의 실형을 선고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된 후 4년을 경과한 자
(정답률: 53%)
  • 정보통신공사업법의 규정에 위반하여 금고의 실형을 선고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된 후 4년을 경과한 자는 등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범죄를 저지른 사람에 대한 처벌 기간이 지나면 다시 사회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3년간
  2. 5년간
  3. 7년간
  4. 하자담보책임기간까지
(정답률: 47%)
  • 이미지에서 보이는 내용은 "5년간의 하자보수" 이므로 정답이 "5년간"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