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9-05)

정보통신산업기사
(2010-09-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전자회로

1.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펄스를 발생시키고자 할 때, 사용되는 것은?

  1.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2.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3.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4. 클램프 회로
(정답률: 61%)
  •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는 양수와 음수의 펄스를 번갈아가며 발생시키는 회로로,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펄스를 발생시키기에 적합합니다.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는 특정 조건에서만 펄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연속적인 펄스 발생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클램프 회로는 입력 신호를 특정 범위 내로 제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펄스 발생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그림 (B)와 같은 회로에 그림 (A)와 같은 파형의 전압을 인가할 경우 출력에 나타나는 전압파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64%)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그림 (B)의 회로는 정류기와 필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정류기는 입력 전압의 음극을 차단하고 양극만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며, 필터는 정류된 전압의 변동을 완화시켜 안정된 전압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입력 전압이 그림 (A)와 같은 경우에도 출력 전압은 부드러운 곡선으로 나타날 것이다.

    그러나 보기 중에서 ""은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이 동일한 경우이므로 부적합하다. ""는 입력 전압이 음극을 차단하는 경우에는 출력 전압이 없으므로 부적합하다. ""은 필터가 없는 경우이므로 출력 전압이 부드럽게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가 가장 적합한 선택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의 논리회로는 어떤 논리작용을 하는가?

  1. AND
  2. OR
  3. NAND
  4. EX-OR
(정답률: 63%)
  • 이 그림의 논리회로는 EX-OR(배타적 논리합) 작용을 한다. 왼쪽에 있는 두 입력(A, B) 중 하나만 1일 때 출력이 1이 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입력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작용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수정 발진회로에서 수정 진동자의 전기적 직렬 공진주파수 fs, 병렬 공진주파수 fp라 할 때, 안정된 발진을 하기 위한 출력 발진주파수 fo는?

  1. fs < fo < fp
  2. fs > fo > fp
  3. fo > fp
  4. fo < fs
(정답률: 78%)
  • 수정 발진회로에서는 수정 진동자의 공진주파수 범위 내에서 안정된 발진을 위해 출력 발진주파수를 설정해야 한다. 이때, 직렬 공진주파수 fs는 수정 진동자의 내부 저항과 캐패시턴스에 의해 결정되고, 병렬 공진주파수 fp는 수정 진동자의 내부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안정된 발진을 위해서는 출력 발진주파수 fo가 직렬 공진주파수 fs보다는 작아야 하고, 병렬 공진주파수 fp보다는 커야 한다. 따라서, "fs < fo < fp"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듀얼 J-K 플립플롭인 74HC76을 이용한 카운터 회로를 제작하여 출입문을 통과하는 인원을 파악하려고 한다. 최대 1000명을 계수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몇 개의 IC가 필요한가?

  1. 4개
  2. 5개
  3. 8개
  4. 10개
(정답률: 40%)
  • 74HC76 하나는 2비트 카운터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1000을 2진수로 나타내면 1111101000이 된다. 따라서 최소한 10비트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74HC76을 5개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신호주파수가 4[kHz] 최대주파수 편이가 20[kHz]인 경우 FM 변조지수는?

  1. 0.2
  2. 0.4
  3. 5
  4. 10
(정답률: 78%)
  • FM 변조지수는 최대주파수 편이를 신호주파수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FM 변조지수는 20[kHz] / 4[kHz] = 5 이므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PNP와 NPN 트랜지스터를 조합하여 이루어진 Push-Pull 증폭회로는?

  1. D급 증폭회로
  2. C급 증폭회로
  3. B급 증폭회로
  4. A급 증폭회로
(정답률: 68%)
  • B급 증폭회로는 PNP와 NPN 트랜지스터를 조합하여 이루어진 Push-Pull 증폭회로 중에서, 출력 신호의 왜곡이 적고 효율성이 높은 회로이기 때문에 선택된다. 이 회로는 입력 신호가 없을 때에도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스탠바이 전력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지만, 이를 보완하기 위해 스탠바이 전력을 줄이는 회로도 개발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단상에서 브리지 정류회로와 동일한 출력 파형을 얻을 수 있는 것은?

  1. 클리핑 회로
  2. 클램핑 회로
  3. 반파정류 회로
  4. 전파정류 회로
(정답률: 48%)
  • 브리지 정류회로는 AC 입력 신호를 양방향으로 전달하면서 양쪽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전압을 정류하는 회로입니다. 이와 유사한 출력 파형을 얻을 수 있는 것은 전파정류 회로입니다. 전파정류 회로는 무선 송수신기에서 사용되며, 반도체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전파의 반향을 제거하고 정류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콜피츠 발진기에서 컬렉터와 베이스 사이 및 이미터와 베이스 사이의 리액턴스 조건이 순서대로 옳은 것은?

  1. 유도성, 유도성
  2. 용량성, 용량성
  3. 유도성, 용량성
  4. 용량성, 유도성
(정답률: 64%)
  • 정답은 "유도성, 용량성"입니다.

    콜피츠 발진기에서는 컬렉터와 베이스 사이의 리액턴스는 유도성이어야 합니다. 이는 컬렉터 전류가 베이스 전류에 의해 유도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이미터와 베이스 사이의 리액턴스는 용량성이어야 합니다. 이는 베이스 전류가 이미터 전하를 축적하여 전류를 유도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전가산기(full adder)의 구성으로 옳은 것은?

  1. 입력 2개, 출력 4개
  2. 입력 2개, 출력 3개
  3. 입력 3개, 출력 2개
  4. 입력 3개, 출력 3개
(정답률: 68%)
  • 전가산기는 3개의 입력(A, B, Carry-in)과 2개의 출력(Sum, Carry-out)으로 구성된다. 이는 두 개의 이진수를 더할 때, 각 자리수의 합과 자리올림수를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입력과 출력 개수이다. 따라서 "입력 3개, 출력 2개"가 옳은 구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의 회로에 입력으로 단위 계단함수를 입력하였더니 응답이 그림과 같았다. 다음 중 상승시간(tr)으로 적합한 것은?

  1. 0.8[msec]
  2. 1[msec]
  3. 2.2[msec]
  4. 9[msec]
(정답률: 52%)
  • 상승시간(tr)은 입력신호가 0V에서 90%의 최대값까지 상승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그림에서 입력신호가 0V에서 0.9V까지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면 약 2.2[msec]이므로 정답은 "2.2[m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FET에서 VGS=0.7[V]로 일정히 유지하고 VDS를 6[V]에서 10[V]로 변화시켰을 때, ID가 10[mA]에서 12[mA]로 변한 경우 드레인 저항(rd)은?

  1. 0.2[kΩ]
  2. 0.5[kΩ]
  3. 2[kΩ]
  4. 8[kΩ]
(정답률: 70%)
  • 드레인 저항은 VDS와 ID의 변화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 VGS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게이트-소스 전압이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ID의 증가는 VDS의 증가와 비례한다.

    드레인 저항은 ΔVDS/ΔID로 계산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 ΔVDS는 4[V]이고, ΔID는 2[mA]이다. 따라서 드레인 저항은 2[kΩ]이다.

    따라서 정답은 "2[k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의 검파회로에서 입력 Vi에 피변조파가 가해지는 경우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FM의 동기 검파회로이다.
  2. 시정수 RC의 값은 매우 작아야 한다.
  3.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 전류의 특성이 직선적일수록 좋다.
  4. 위상 변조시 복조회로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57%)
  •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 전류의 특성이 직선적일수록 좋은 이유는, 이는 다이오드의 저항값이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작은 저항값은 입력 신호에 대한 손실이 적어지고, 출력 신호의 왜곡이 줄어들기 때문에 좋습니다. 따라서 검파회로에서는 직선적인 특성을 가진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LC 병렬 공진 회로에서 공진주파수[Hz]는?

(정답률: 73%)
  • LC 병렬 공진 회로에서 공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L은 인덕턴스, C는 캐패시턴스를 나타냅니다. 이 공식에서 주파수는 Hz 단위로 나타내며,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는 각각 헨리(Henry)와 파라드(Farad) 단위로 나타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공진주파수는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카운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토글(T) 프립플롭의 원리를 이용한다.
  2. MOD-N 카운터는 모듈러스가 N이다.
  3. 동기식 카운터는 고속에 주로 사용된다.
  4. 플립플롭이 4개라면 계수는 4가지의 경우가 존재한다.
(정답률: 73%)
  • "플립플롭이 4개라면 계수는 4가지의 경우가 존재한다."는 틀린 설명이다. 플립플롭이 4개라면 계수는 16가지의 경우가 존재한다. 이는 2진수로 표현할 수 있는 수의 개수와 같다. 예를 들어, 4개의 플립플롭으로 이루어진 이진 카운터는 0000부터 1111까지 총 16개의 수를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단상 전파정류기의 DC 출력 전력은 반파정류기 전력의 몇 배가 되는가?

  1. 2
  2. 4
  3. 8
  4. 16
(정답률: 48%)
  • 단상 전파정류기는 반파정류기의 출력 전력의 2배가 된다. 이는 전류가 한 번만 흐르기 때문에 반파정류기의 출력 전력의 절반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상 전파정류기의 DC 출력 전력은 반파정류기 전력의 2배가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4"가 아니라 "8"이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회로에서 S=1, R=0이 인가되었을 때 Q와 의 출력 상태는?

  1. Q = 0, Q = 1
  2. Q = 1, Q = 1
  3. Q = 0, Q = 0
  4. Q = 1, Q = 0
(정답률: 58%)
  • S=1, R=0 이므로 Q는 1이 되고, 는 0이 된다. 이유는 S=1이므로 Q는 1이 되어야 하고, R=0이므로 는 0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Q = 1, Q = 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듀티 사이클(duty cycle)이 0.1이고, 주기가 30[ms]인 펄스의 폭은?

  1. 0.3[ms]
  2. 1[ms]
  3. 3[ms]
  4. 10[ms]
(정답률: 85%)
  • 듀티 사이클이 0.1이라는 것은 주기 중 10%만큼의 시간 동안 펄스가 켜져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주기 30[ms] 중에서 펄스가 켜져 있는 시간은 30[ms] x 0.1 = 3[ms]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ms]"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부궤환 증폭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이득이 증가한다.
  2. 안정도가 향상된다.
  3. 왜곡이 감소한다.
  4. 잡음이 감소한다.
(정답률: 70%)
  • 정답: "이득이 증가한다."

    이유: 부궤환 증폭기의 이득은 입력 신호의 크기를 증폭시키는 정도를 나타내는데, 이득이 증가하면 입력 신호의 크기가 더욱 커져서 출력 신호가 왜곡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득이 증가한다고 해서 항상 이득이 좋아지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득이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안정도가 향상되고 왜곡과 잡음이 감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와 등가적인 스위치 회로는?

(정답률: 61%)
  •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와 등가적인 스위치 회로는 모두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등가적이다.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는 입력 신호를 받아서 출력 신호를 결정하는 논리 게이트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관계가 같기 때문에 등가적이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기기

21. 다음 중 CCTV의 기본적인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촬상장치
  2. 전송장치
  3. 교환장치
  4. 표시장치
(정답률: 69%)
  • CCTV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는 촬상장치, 전송장치, 표시장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교환장치는 CCTV 시스템에서 여러 개의 카메라를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되지만, 기본적인 구성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FM 송신기에서 IDC 회로의 주사용 목적은?

  1. 최대 주파수편이 변동 방지
  2. 신호의 왜곡 방지
  3. 선택 특성 조정
  4. 고조파 변형 방지
(정답률: 66%)
  • FM 송신기에서 IDC 회로의 주사용 목적은 "최대 주파수편이 변동 방지"입니다. 이는 IDC 회로가 주파수 변동에 따라 발생하는 주파수편이 변동을 최대한 막아주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고 선택 특성을 조정하며 고조파 변형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공중데이터망에서 ITU-T의 DTE/DCE 간의 인터페이스 표준규격은?

  1. V.21
  2. V.26
  3. X.24
  4. X.27
(정답률: 74%)
  • 공중데이터망에서 DTE/DCE 간의 인터페이스 표준규격은 X.24이다. 이는 ITU-T에서 제정한 규격으로, 시리얼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X.24은 DTE와 DCE 간의 물리적, 전기적, 기계적 특성을 정의하며, 데이터 전송 속도, 프로토콜, 오류 제어 등의 기능을 포함한다. 따라서 공중데이터망에서는 X.24 규격을 준수하는 장비들이 사용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문서의 정형화 및 표준화된 양식과 코드를 이용하여 컴퓨터 처리가 가능한 상호간 통신에 의해 교환되는 시스템은?

  1. TELETEXT
  2. MHS
  3. EDI
  4. FAX
(정답률: 48%)
  • EDI는 Electronic Data Interchange의 약자로, 문서의 정형화 및 표준화된 양식과 코드를 이용하여 컴퓨터 처리가 가능한 상호간 통신에 의해 교환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TELETEXT", "MHS", "FAX"는 이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정답은 "EDI"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HDTV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변조방식은 NTSC 방식이다.
  2. 화면의 종횡비는 9:16이다.
  3. 주사선수는 1050개 이상이다.
  4. 음성품질은 CD급 수준이다.
(정답률: 44%)
  • 화면의 종횡비는 9:16이다. HDTV의 종횡비는 16:9이다. NTSC는 아날로그 TV 방식으로, HDTV의 디지털 방식과는 다른 변조 방식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마이크로파의 중계방식이 아닌 것은?

  1. 간접 중계방식
  2. 검파 중계방식
  3. 헤테로다인 중계방식
  4. 무급전 중계방식
(정답률: 49%)
  • 정답: 무급전 중계방식

    간접 중계방식은 중계기가 수신한 신호를 다시 송신하는 방식이며, 검파 중계방식은 수신된 신호를 검파하여 다시 송신하는 방식입니다. 헤테로다인 중계방식은 수신된 신호를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무급전 중계방식은 중계기가 수신한 신호를 전기적으로 증폭하여 다시 송신하는 방식이므로 마이크로파의 중계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동영상 압축 기술로 고품질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것은?

  1. MPEG-2
  2. JPEG
  3. AC-3
  4. MPEG-1
(정답률: 84%)
  • MPEG-2는 고품질의 동영상 압축 기술로, 대용량의 영상 데이터를 작은 용량으로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어 고품질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MPEG-2가 고품질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PC를 LAN에 연결하여 고속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장치로 PC 내에 실장 되는 것은?

  1. NIC(Network Interface Card)
  2. MODEM(Modulator & Demodulator)
  3. DSU(Digital Service Unit)
  4. CSU(Channel Service Unit)
(정답률: 59%)
  • NIC(Network Interface Card)은 컴퓨터와 네트워크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로, LAN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해지며, 인터넷이나 로컬 네트워크 등에서 사용됩니다. 반면, MODEM은 전화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DSU와 CSU는 디지털 회선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데이터회선종단장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MODEM
  2. DSU
  3. CSU
  4. DTE
(정답률: 43%)
  • DTE는 데이터회선종단장치(Data Terminal Equipment)에 해당되지 않는다. DTE는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소비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컴퓨터, 프린터, 스캐너 등이 해당된다. 반면, MODEM은 모뎀(Modulator-Demodulator)의 약자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거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DSU는 디지털회선종단장치(Digital Service Unit)의 약자로, 디지털 회선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CSU는 채널서비스유닛(Channel Service Unit)의 약자로, 디지털 회선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를 강화하거나, 회선의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T1급 회선의 데이터 전송속도는?

  1. 64[kbps]
  2. 1.544[Mbps]
  3. 6.312[Mbps]
  4. 44.736[Mbps]
(정답률: 74%)
  • T1급 회선은 24개의 DS0 회선을 묶어서 만들어진 회선으로, 각 DS0 회선의 전송속도는 64kbps이다. 따라서 T1급 회선의 전송속도는 24개의 DS0 회선을 묶어서 계산하면 24 x 64kbps = 1.544Mbps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44[Mbp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시스템 중 호텔, 병원, 학교 등 특정 대상의 관찰을 주목적으로 하는 것은?

  1. CATV
  2. CCTV
  3. HDTV
  4. VRS
(정답률: 83%)
  • 정답: CCTV

    설명: CCTV는 Closed Circuit Television의 약자로, 특정 대상의 관찰을 주목적으로 하는 시스템입니다. CATV는 Community Antenna Television의 약자로, 지역 커뮤니티에 케이블 TV를 제공하는 시스템입니다. HDTV는 High Definition Television의 약자로, 고화질 TV를 제공하는 시스템입니다. VRS는 Video Relay Service의 약자로, 청각 장애인을 위한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모뎀(Modem)의 변복조 방식이 아닌 것은?

  1. QAM
  2. DPSK
  3. FSK
  4. SSB
(정답률: 79%)
  • SSB는 Single Sideband의 약자로, 모뎀의 변복조 방식 중 하나가 아니라 주파수 대역폭을 줄이기 위한 방식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SSB입니다. QAM은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약자로, 직교한 두 개의 캐리어 신호를 이용하여 진폭과 위상을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DPSK는 Differential Phase Shift Keying의 약자로, 이전 비트와 현재 비트의 위상 차이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FSK는 Frequency Shift Keying의 약자로, 두 개의 캐리어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를 변조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이동통신 채널의 한 특징으로 이동체의 움직임에 따라 수신신호의 주파수가 변하는 것은?

  1. 페이딩 현상
  2. 동일채널간섭 효과
  3. 도플러 효과
  4. 지연확산 현상
(정답률: 55%)
  • 이동체의 움직임에 따라 수신신호의 주파수가 변하는 것을 도플러 효과라고 합니다. 이는 이동체와 수신기 사이의 거리가 계속 변하면서, 수신기에서 받는 신호의 주파수가 이동체의 속도와 방향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G4 팩스에서 사용하는 압축 부호화 방식은?

  1. MMR 부호화
  2. MMH 부호화
  3. MR 부호화
  4. MH 부호화
(정답률: 69%)
  • G4 팩스에서 사용하는 압축 부호화 방식은 MMR 부호화이다. MMR 부호화는 Modified Modified Read 압축 방식으로,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압축하기 위해 흑백 이미지를 2x2 픽셀 블록으로 나누어 처리하고, 각 블록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압축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MR 부호화보다 더 효율적인 압축률을 보이며, 이미지의 선명도와 해상도를 유지하면서도 파일 크기를 줄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멀티미디어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정보 매체의 통합성을 갖는다.
  2. 단일 채널의 단방향성을 유지한다.
  3. 사용자와 시스템간의 상호작용성을 갖는다.
  4. 압축에 의한 정보전송이 가능하다.
(정답률: 74%)
  • "단일 채널의 단방향성을 유지한다."는 멀티미디어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단일 채널에서 정보를 보내는 쪽과 받는 쪽이 구분되어 있으며, 정보의 흐름이 일방향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멀티미디어는 보통 여러 개의 채널을 통해 정보를 전송하며, 양방향적인 상호작용성을 갖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비동기 전송방식인 AT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양한 종류의 트래픽을 통합할 수 있다.
  2. 가변길이의 셀을 교환한다.
  3. STDM에 의한 효율적인 대역폭의 사용이 가능하다.
  4. 셀은 5바이트의 헤더와 48바이트의 페이로드로 구성된다.
(정답률: 62%)
  • "가변길이의 셀을 교환한다."이 부분이 틀린 설명입니다. ATM에서는 고정된 크기의 셀을 사용하며, 셀의 크기는 53바이트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헤더 5바이트와 페이로드 48바이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고정된 크기의 셀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속도 및 시간 측정을 가능하게 해주는 시스템은?

  1. GPS
  2. DMB
  3. VRS
  4. ARS
(정답률: 84%)
  • GPS는 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약자로, 전 세계적으로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속도 및 시간을 측정하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GPS가 정답입니다. DMB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VRS는 가상현실 서비스, ARS는 자동응답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리피터(Repeater)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멀티 네트워크 케이블을 접속하는 기기이다.
  2. 에러를 확인하지 않고 신호를 재생하여 전달한다.
  3. 데이터링크 계층 레벨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4. 프레임이나 패킷의 내용을 처리하여 분석하는 기능을 갖는다.
(정답률: 55%)
  • 정답은 "에러를 확인하지 않고 신호를 재생하여 전달한다."이다. 리피터는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는 역할을 하지만, 에러를 확인하거나 처리하는 기능은 없다. 따라서 에러가 있는 신호도 그대로 재생되어 전달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정보통신 시스템의 통신회선 종단에 위치한 신호변환장치 중 디지털 전송로인 경우 단극성 신호를 쌍극성 신호로 변환이 가능한 것은?

  1. 모뎀
  2. 음향결합기
  3. MUX
  4. DSU
(정답률: 68%)
  • DSU는 디지털 신호 변환 장치로, 디지털 전송로에서 단극성 신호를 쌍극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이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 중 하나로, 전송되는 신호의 형태를 적절하게 변환하여 효율적인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DSU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통신제어장치의 기본 기능이 아닌 것은?

  1. 문자의 조립 및 분해
  2. 전송제어
  3. 회선감시 및 접속제어
  4. 데이터의 분석
(정답률: 61%)
  • 통신제어장치의 기본 기능은 문자의 조립 및 분해, 전송제어, 회선감시 및 접속제어이다. 그러나 데이터의 분석은 통신제어장치의 기본 기능이 아니다. 데이터의 분석은 보안 및 네트워크 최적화와 같은 추가적인 기능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전송개론

41. DCE의 일종으로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전송로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장치는?

  1. MODEM
  2. DSU
  3. DTE
  4. FEP
(정답률: 66%)
  • DSU는 Digital Service Unit의 약자로,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전송로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DSU가 정답입니다. MODEM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며, DTE는 Data Terminal Equipment의 약자로, 컴퓨터나 터미널과 같은 데이터 통신 장치를 의미합니다. FEP는 Front End Processor의 약자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양자화 오차를 줄이기 위해 원래보다 1비트를 더 추가하여 양자화 한다면 신호대 잡음비는 약 몇 [dB] 개선되는가?

  1. 3[dB]
  2. 6[dB]
  3. 9[dB]
  4. 12[dB]
(정답률: 53%)
  • 양자화 오차를 줄이기 위해 원래보다 1비트를 더 추가하여 양자화 한다는 것은, 더 많은 양자화 레벨을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양자화된 신호가 원래 신호에 더 가깝게 매칭되도록 하여 양자화 오차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양자화 레벨이 늘어남에 따라 양자화된 신호의 변화량이 줄어들게 되므로, 신호대 잡음비가 개선된다. 이 때, 양자화 레벨을 1비트 더 추가한다는 것은 기존의 양자화 레벨의 2배가 되므로, 신호대 잡음비는 6[dB] 개선된다.

    따라서, 정답은 "6[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위성통신 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정지위성 방식
  2. 랜덤위성 방식
  3. 위상위성 방식
  4. 주파수위성 방식
(정답률: 43%)
  • 주파수위성 방식은 존재하지 않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주파수위성 방식은 위성통신 방식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광통신에서 수광 소자에 해당하는 것은?

  1. 레이저 다이오드(LD)
  2. 발광 다이오드(LED)
  3. 고체 레이저
  4. PIN Photo 다이오드
(정답률: 50%)
  • PIN Photo 다이오드는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수광 소자이다. 다른 보기들은 광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발광 다이오드나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광을 집중시켜 주는 고체 레이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HDLC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문자방식 프로토콜이다.
  2. 반이중, 전이중 통신방식에서 사용 가능하다.
  3. 데이터링크 형식은 점대점, 멀티포인트에 사용 가능하다.
  4. 에러검출 방식으로 CRC 방식을 사용한다.
(정답률: 58%)
  • HDLC는 비트 방식 프로토콜이므로 "문자방식 프로토콜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HDLC는 반이중, 전이중 통신방식에서 사용 가능하며, 데이터링크 형식은 점대점, 멀티포인트에 사용 가능합니다. 또한, 에러검출 방식으로 CRC 방식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4[kHz]의 음성신호를 재생시키기 위한 표본화 주파수의 주기는?

  1. 125[μs]
  2. 165[μs]
  3. 200[μs]
  4. 250[μs]
(정답률: 67%)
  • 표본화 주파수의 주기는 표본화 주파수의 역수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주파수가 4[kHz]일 때 표본화 주파수는 4[kHz]의 2배인 8[kHz] 이상이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CD 품질의 오디오에서는 44.1[kHz]의 표본화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이 경우, 표본화 주파수의 주기는 1/44.1[kHz] = 22.7[μs]가 됩니다. 따라서, 8[kHz]의 표본화 주파수를 사용할 때의 주기는 1/8[kHz] = 125[μs]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신호대 잡음비가 15이고, 대역폭이 1200[Hz]라고 하면 통신용량은?

  1. 1200[bps]
  2. 2400[bps]
  3. 4800[bps]
  4. 9600[bps]
(정답률: 60%)
  • 신호대 잡음비(SNR)가 15이므로, 신호의 전력은 잡음의 전력보다 15배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샤넌-하트리 공식을 적용하면, 통신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통신용량 = 대역폭 x log2(1 + SNR)

    = 1200 x log2(1 + 15)

    ≈ 4800 [bps]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통신용량이 4800[bps]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PCM 통신 방식에서 송신순서로 옳은 것은?

  1.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2. 양자화 → 표본화 → 부호화
  3. 표본화 → 부호화 → 양자화
  4. 양자화 → 부호화 → 표본화
(정답률: 83%)
  • 정답은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이다.

    먼저, 표본화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다음으로, 양자화는 디지털 신호의 크기를 제한된 범위 내에서 근사화하는 과정으로, 무한한 크기를 가진 아날로그 신호를 유한한 크기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마지막으로, 부호화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이진수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디지털 신호를 이진수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이진수를 디지털 신호로 복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무선통신에서 페이딩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다이버시티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편파 다이버시티
  2. 적응 다이버시티
  3. 공간 다이버시티
  4. 주파수 다이버시티
(정답률: 37%)
  • 정답: "편파 다이버시티"

    설명: 편파 다이버시티는 무선신호를 여러 경로로 전송하여 페이딩을 방지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주파수 다이버시티, 공간 다이버시티, 적응 다이버시티와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주파수 다이버시티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고, 공간 다이버시티는 서로 다른 안테나를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합니다. 적응 다이버시티는 수신기에서 신호를 분석하여 최적의 수신 경로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광섬유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접속 손실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광섬유 심선 접속 부위의 간격
  2. 괌섬유 심선 단면의 경사
  3. 광섬유 Core의 직경 및 모양의 상이
  4. 관로의 재질과 모양
(정답률: 79%)
  • 광섬유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접속 손실은 광섬유 심선 접속 부위의 간격, 광섬유 심선 단면의 경사, 광섬유 Core의 직경 및 모양의 상이 등과 같은 광섬유 케이블 내부의 요소들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관로의 재질과 모양은 광섬유 케이블 외부의 요소로서 접속 손실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관로의 재질과 모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HDLC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프레임은?

  1. I-프레임
  2. S-프레임
  3. U-프레임
  4. D-프레임
(정답률: 60%)
  • HDLC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프레임은 I-프레임입니다. 이는 Information 프레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입니다. S-프레임은 Supervisory 프레임으로, 프레임의 수신 및 송신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프레임입니다. U-프레임은 Unnumbered 프레임으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입니다. D-프레임은 Data Link Connection Control 프레임으로, 데이터 링크 계층 제어를 위한 프레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파장이 서로 다른 복수의 광 신호를 한 가닥의 광섬유에 다중화시키는 다중화 방식은?

  1. FDM
  2. TDM
  3. WDM
  4. OFDM
(정답률: 61%)
  • 다중화 방식 중에서 파장이 서로 다른 복수의 광 신호를 한 가닥의 광섬유에 다중화시키는 방식은 WDM입니다. WDM은 Wave Division Multiplexing의 약자로, 각기 다른 파장을 가진 광 신호를 겹쳐서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광섬유의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서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매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CDMA 이동통신에서 원근(far-near) 문제 해결을 위해 사용되는 기술은?

  1. 주파수 재사용(frequency reuse)
  2. 핸드오버(handover)
  3. 전력 제어(power control)
  4. 다원 접속(multiple access)
(정답률: 40%)
  • CDMA 이동통신에서 원근 문제는 멀리 있는 사용자와 가까이 있는 사용자가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력 제어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력 제어는 가까이 있는 사용자에게는 낮은 전력을, 멀리 있는 사용자에게는 높은 전력을 할당하여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원근 문제를 해결하고 더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통화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광섬유 케이블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코어의 굵기가 가늘고 경량이다.
  2. 전자파 유도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3. 광대역 전송이 가능하다.
  4. 빛을 이용하므로 전송속도가 빠르고 전송손실이 크다.
(정답률: 68%)
  • "빛을 이용하므로 전송속도가 빠르고 전송손실이 크다."가 틀린 것이다. 광섬유 케이블은 빛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속도가 매우 빠르고, 전송손실이 적다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8진 PSK에서 반송파간의 위상차는?

  1. π
  2. π/2
  3. π/4
  4. π/8
(정답률: 79%)
  • 8진 PSK에서는 8개의 위상 상태를 사용하여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각 위상 상태는 45도씩 차이가 나므로, 반송파간의 위상차는 45도씩 차이가 나게 된다. 따라서, 360도를 8등분한 45도가 정답인 "π/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정보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화시키는 디지털 변조방식은?

  1. ASK
  2. FSK
  3. PSK
  4. QAM
(정답률: 77%)
  • QAM은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약자로, 정보신호를 진폭과 위상의 변화로 표현하는 디지털 변조 방식입니다. 따라서 QAM은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화시키는 방식이며, 다른 보기인 ASK, FSK, PSK는 각각 진폭, 주파수, 위상을 변화시키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표본화 주기를 만족시키지 못함으로 인해 주파수 영역에서 스펙트럼이 겹쳐지게 되는 것은?

  1. 절단오차
  2. 엘리어싱
  3. 반올림오차
  4. 양자화오차
(정답률: 78%)
  • 엘리어싱은 표본화 주기가 주파수 영역에서 충분히 작지 않아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 때, 고주파 신호가 낮은 주파수 신호로 잘못 인식되어 스펙트럼이 겹쳐지게 됩니다. 따라서, 엘리어싱은 표본화 주기를 충분히 작게 설정하지 않아서 생기는 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QPSK 변조방식에서 변조속도가 2400[baud]이면 데이터 전송속도는?

  1. 1200[bps]
  2. 2400[bps]
  3. 4800[bps]
  4. 9600[bps]
(정답률: 60%)
  • QPSK 변조방식에서 1개의 심볼(symbol)은 2개의 비트(bit)를 전송하므로, 2400[baud]의 변조속도는 4800[bps]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가지게 됩니다. 즉, 1초당 2400개의 심볼을 전송하므로, 1초당 4800개의 비트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4800[bp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스펙트럼 효율(대역폭 효율)이 가장 좋은 변조방식은?

  1. BPSK
  2. QPSK
  3. 8진 PSK
  4. 16진 PSK
(정답률: 43%)
  • 스펙트럼 효율은 주어진 대역폭에서 전송할 수 있는 비트 수를 의미합니다. 변조방식 중에서는 PSK(Phase Shift Keying)가 스펙트럼 효율이 높은 방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SK는 신호의 위상을 변화시켜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BPSK(이진 PSK)는 2개의 위상을 사용하고, QPSK(사분 PSK)는 4개의 위상을 사용합니다. 8진 PSK는 8개의 위상을 사용하고, 16진 PSK는 16개의 위상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위상의 개수가 많을수록 더 많은 비트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16진 PSK가 스펙트럼 효율이 가장 좋은 변조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단일모드 광섬유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모드 간 분산의 영향이 크다.
  2. 광대역 전송이 가능하다.
  3. 장거리 대용량 시스템에 주로 사용된다.
  4. 코어의 직경이 10[μm] 정도로 비교적 접속하기가 어렵다.
(정답률: 31%)
  • "모드 간 분산의 영향이 크다."는 단일모드 광섬유의 특징 중 하나가 아니라 다중모드 광섬유의 특징 중 하나이다. 단일모드 광섬유는 모드 간 분산이 작아 광신호가 거의 변형 없이 전송되므로 장거리 대용량 시스템에 주로 사용되며, 광대역 전송이 가능하다. 코어의 직경이 작아 접속하기가 어렵다는 것도 단일모드 광섬유의 특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설비기준

61. 다음 중 이항 연산이 아닌 것은?

  1. OR
  2. AND
  3. Complement
  4. 산술 연산
(정답률: 48%)
  • Complement는 이항 연산이 아닌 단항 연산이다. 이항 연산은 두 개의 항을 대상으로 하는 연산이지만, 단항 연산은 한 개의 항을 대상으로 하는 연산이다. Complement는 어떤 값의 보수를 구하는 연산으로, 한 개의 항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이항 연산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instruction cycle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fetch cycle
  2. direct cycle
  3. indirect cycle
  4. execute cycle
(정답률: 30%)
  • "Direct cycle"은 컴퓨터 구조에서 사용되지 않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instruction cycle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표(table) 및 배열(array) 구조의 데이터를 처리하고자 할 경우 명령어들의 유용한 주소지정 방식은?

  1. 간접 주소 지정
  2. 메모리 참조 주소 지정
  3. 인덱스 주소 지정
  4. 직접 주소 지정
(정답률: 53%)
  • 표(table) 및 배열(array) 구조의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인덱스(index)를 사용하여 각 요소(element)에 접근하고 처리합니다. 인덱스 주소 지정은 각 요소에 대한 고유한 번호를 부여하여 해당 요소에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인덱스 주소 지정이 표(table) 및 배열(array) 구조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가장 유용한 주소지정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일련의 프로그램들이 차지하는 주소공간의 영역을 정의하는 주소의 목록 또는 기호화된 표현은?

  1. memory dump
  2. memory map
  3. memory page
  4. memory module
(정답률: 71%)
  • "memory map"은 일련의 프로그램들이 차지하는 주소공간의 영역을 정의하는 주소의 목록 또는 기호화된 표현이다. 다른 보기들은 메모리와 관련된 용어이지만, "memory map"은 메모리 공간을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따라서 "memory map"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컴퓨터에서 보수(complement)를 사용하는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가산의 결과를 정확하게 얻기 위해
  2. 감산을 가산의 방법으로 처리하기 위해
  3. 승산의 연산과정을 간단히 하기 위해
  4. 제산의 불필요한 과정을 생략하기 위해
(정답률: 62%)
  • 보수는 감산을 가산의 방법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사용한다. 이는 컴퓨터에서 뺄셈 연산을 수행할 때 보수를 이용하여 가산 연산으로 바꾸어 처리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빠르고 정확한 계산이 가능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JK 플립플롭에서 J=0, K=1로 입력될 때 플립플롭은?

  1. 먼저 내용에 대한 complement로 된다.
  2. 먼저 내용이 그대로 남는다.
  3. 0으로 변한다.
  4. 1로 변한다.
(정답률: 63%)
  • 정답은 "0으로 변한다."입니다.

    JK 플립플롭은 J와 K 입력에 따라 다음 상태를 결정합니다. J=0, K=1일 때, 이는 "초기값을 0으로 설정하고, 클럭 신호가 들어올 때마다 현재 상태를 반전시킨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현재 상태가 0이므로 반전된 값인 1이 아닌, 0으로 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장치들을 직렬로 연결시키는 하드웨어적인 우선순위 제어 방식은?

  1. hand shaking
  2. daisy chain
  3. spooling
  4. polling
(정답률: 59%)
  • "Daisy chain"은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장치들을 직렬로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각 장치는 이전 장치로부터 인터럽트를 받아 처리한 후 다음 장치로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하드웨어적으로 우선순위를 제어할 수 있어서, 먼저 연결된 장치일수록 우선순위가 높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기억장치의 접근속도가 0.5[μs]이고, 데이터 워드가 32비트일 때 대역폭은?

  1. 8M[bit/sec]
  2. 16M[bit/sec]
  3. 32M[bit/sec]
  4. 64M[bit/sec]
(정답률: 30%)
  • 대역폭은 초당 전송 가능한 데이터 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32비트 데이터 워드를 0.5[μs]에 접근할 수 있다면, 초당 64바이트(32비트 x 2)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를 비트로 환산하면 64 x 8 = 512[bit/sec]가 되며, 이를 M[bit/sec]로 환산하면 64M[bit/sec]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4M[bit/se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10진수 -543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는 수치 자료의 표현방법은?

  1. 고정 소수점 표현
  2. 부동 소수점 표현
  3. 팩(packed)형 10진 표현법
  4. 언팩(unpacked)형 10진 표현법
(정답률: 66%)
  • 팩(packed)형 10진 표현법은 10진수를 4비트씩 묶어서 16진수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543은 0xFFFD로 표현된다. 이 방법은 저장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연산속도도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논리적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는 작업은?

  1. 링킹(linking)
  2. 코딩(coding)
  3. 로딩(loading)
  4. 디버깅(debugging)
(정답률: 72%)
  • 디버깅은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논리적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디버깅이 정답입니다. 링킹은 여러 개의 오브젝트 파일을 하나의 실행 파일로 만드는 작업, 코딩은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작업, 로딩은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올리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설명의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합한 것은?

  1. 국무총리
  2. 방송통신위원회
  3. 지식경제부장관
  4. 해당 지방자치단체장
(정답률: 62%)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방송통신위원회" 로고이며, 이는 방송통신분야의 규제와 발전을 총괄하는 정부기관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방송통신위원회"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정보통신공사업법 시행령에서 정보통신공사의 구분이 아닌 것은?

  1. 통신설비공사
  2. 방송설비공사
  3. 정보설비공사
  4. 회선설비공사
(정답률: 40%)
  • 정보통신공사업법 시행령에서 "회선설비공사"는 구분되지 않는다. 이는 다른 보기들과 달리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용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선설비공사"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발주자는 누구에게 정보통신공사의 설계를 발주하여야 하는가?

  1. 감리원
  2. 도급인
  3. 용역업자
  4. 정보통신기술자
(정답률: 61%)
  • 발주자는 정보통신공사의 설계를 발주하기 위해 용역업자에게 발주하여야 합니다. 이는 용역업자가 정보통신공사의 설계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감리원은 발주자의 요구사항을 검토하고 감리하는 역할을 하며, 도급인은 공사를 수행하는 업체를 말합니다. 정보통신기술자는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전문가로서 설계나 구현에 참여할 수 있지만, 발주자가 직접 정보통신공사의 설계를 발주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역무에 관한 그 역무별 요금 및 이용조건을 정하여 공시하여야 하는 것은?

  1. 시행규칙
  2. 통신규약
  3. 기술기준
  4. 이용약관
(정답률: 60%)
  •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역무에 관한 그 역무별 요금 및 이용조건을 정하여 공시하는 것은 이용자들이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용약관은 서비스 이용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어 이용자들이 서비스를 이용할 때 준수해야 할 사항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약관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전기통신사업자의 구분이 아닌 것은?

  1. 기간통신사업자
  2. 특수통신사업자
  3. 별정통신사업자
  4. 부가통신사업자
(정답률: 54%)
  • 특수통신사업자는 전기통신사업자의 하나로서, 일반적인 통신망과는 별도로 특수한 목적을 위한 통신망을 운영하는 사업자를 말한다. 예를 들어, 방송통신사업자나 철도통신사업자 등이 해당된다. 따라서, "특수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사업자의 구분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방송통신위원회가 기간통신사업자를 허가함에 있어 심사하여야 하는 사항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재정 및 기술적 능력
  2. 전기통신설비의 규모의 적정성
  3. 기간통신역무 제공계획의 타당성
  4. 전기통신발전을 위한 재정적 지원
(정답률: 65%)
  • 전기통신발전을 위한 재정적 지원은 방송통신위원회가 기간통신사업자를 허가함에 있어 심사하여야 하는 사항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기간통신사업자의 재정적 지원이 전기통신발전을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기간통신사업자가 제대로 역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계획 등을 평가하는데 필요한 사항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전보통신공사업법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공사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한다.
  2. 정보통신공사업의 등록 및 공사의 도급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다.
  3. 정보통신공사의 적정한 시공을 도모한다.
  4. 정보통신공사에 필요한 기술자를 양성한다.
(정답률: 55%)
  • 정보통신공사에 필요한 기술자를 양성하는 것은 전보통신공사업법의 목적이 아니라 교육부나 고용노동부 등 다른 법률이나 제도의 역할이다. 따라서 "정보통신공사에 필요한 기술자를 양성한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사업자의 교환설비로부터 이용자 전기통신설비의 최초 단자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구성되는 회선은?

  1. 국선
  2. 내선
  3. 전송회선
  4. 통신채널
(정답률: 74%)
  • 국선은 전화국과 가입자 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회선으로, 사업자의 교환설비와 이용자 전기통신설비의 최초 단자 사이에 구성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국선이 정답입니다. 내선은 교환기 내부에서 사용되는 회선, 전송회선은 국간 통신을 위한 회선, 통신채널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논리적인 경로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선로설비의 회선상호간, 회선과 대지간 및 회선의 심선상호간의 절연저항은?

  1. 직류 200볼트 절연저항계로 측정하여 2메가옴 이상이어야 한다.
  2. 직류 300볼트 절연저항계로 측정하여 5메가옴 이상이어야 한다.
  3. 직류 500볼트 절연저항계로 측정하여 10메가옴 이상이어야 한다.
  4. 직류 700볼트 절연저항계로 측정하여 12메가옴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률: 45%)
  • 선로설비의 회선상호간, 회선과 대지간 및 회선의 심선상호간의 절연저항은 안전한 전기적 운용을 위해 중요한 요소이다. 이 중에서도 회선과 대지간의 절연저항은 가장 중요하다. 이유는 회선과 대지간의 절연저항이 낮을 경우, 전기적으로 접지된 대지와 회선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기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선과 대지간의 절연저항은 직류 500볼트 절연저항계로 측정하여 10메가옴 이상이어야 안전한 운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다른 보기들은 절연저항이 낮아서 안전한 운용이 불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선택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전기통신설비의 용어에 대한 정의로 옳은 것은?

  1. 전기통신을 하기 위한 기계ㆍ기구ㆍ선로 기타 전기통신에 필요한 설비를 말한다.
  2. 전기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로 구성설비로서 전송ㆍ선로설비를 말한다.
  3. 전기통신사업에 제공하기 위한 통신 및 교환기를 말한다.
  4. 통신설비에 사용하는 장치ㆍ기기ㆍ부품 또는 선조 등을 말한다.
(정답률: 62%)
  • "전기통신을 하기 위한 기계ㆍ기구ㆍ선로 기타 전기통신에 필요한 설비를 말한다."가 옳은 정의이다. 이는 전기통신을 위해 필요한 모든 설비를 포괄하는 포괄적인 정의이다. 다른 보기들은 일부분만을 정의하고 있거나, 특정한 종류의 설비만을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