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5-09)

정보통신산업기사
(2010-05-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전자회로

1. 다음 회로의 명칭은?

  1. 미분기
  2. 적분기
  3. 가산기
  4. 증폭기
(정답률: 87%)
  • 이 회로는 입력 신호의 변화율을 측정하여 출력으로 나타내는 회로로, 이를 미분기라고 부릅니다. 즉, 입력 신호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출력으로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의 출력 X는?

  1. X =
  2. X = (A+B)ㆍ
  3. X = + (AㆍB)
  4. X = (AㆍB) + (A+B)
(정답률: 82%)
  • 입력 A와 B가 OR 게이트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그 결과가 NOT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므로, NOT 게이트의 출력은 A와 B 중 하나라도 1이면 0이 되고, 둘 다 0일 때만 1이 된다. 이 출력값이 AND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므로, AND 게이트의 출력은 A와 B가 모두 1일 때만 1이 되고, 그 외에는 0이 된다. 이 출력값과 OR 게이트의 출력값을 더하면, A와 B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1이 되고, 둘 다 0일 때는 NOT 게이트의 출력값이 1이므로 1이 된다. 따라서 X = + (AㆍB)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진폭변조에서 변조도가 1인 경우 피변조파 출력은 반송파 전력의 몇 배가 되는가?

  1. 1
  2. 1.5
  3. 2
  4. 2.5
(정답률: 62%)
  • 진폭변조에서 변조도가 1인 경우, 피변조파의 최대 진폭은 반송파 진폭의 2배가 된다. 따라서 피변조파의 최대 전력은 반송파 전력의 4배가 된다. 그러나 진폭변조는 대부분 변조도가 1보다 작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기에서는 변조도가 1보다 큰 경우만 고려하였다. 변조도가 1.5인 경우, 피변조파의 최대 진폭은 반송파 진폭의 2.5배가 된다. 따라서 피변조파의 최대 전력은 반송파 전력의 6.25배가 된다. 이에 따라 정답은 "1.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연산 증폭회로에서 출력전압 Vo는? (단, R2/R1 = R4/R3이다.)

  1. Vo = V1 - V2
(정답률: 59%)
  • 입력신호 Vi가 R1과 R2를 통해 R3과 R4로 전달되면, R3과 R4에서는 Vi에 대한 각각의 전압이 형성된다. 이때, R2/R1 = R4/R3 이므로, V1 = Vi x (R2 + R1) / R1 이고, V2 = Vi x (R4 + R3) / R3 이다. 따라서, Vo = V1 - V2 = Vi x (R2 / R1 - R4 / R3) 이다. 이때, R2/R1 = R4/R3 이므로, R2 / R1 - R4 / R3 = 0 이 되어 Vo = 0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불 대수식 R S T + R S ( + V)를 간략화 하면?

  1. R S
  2. R S V
  3. R S T
  4. R S
(정답률: 85%)
  • 먼저 + V 를 간략화해보면, + V = 1 이 된다. 따라서 원래 식은 R S T + R S (1) 이 된다. 여기서 R S (1) 은 1을 곱하는 것과 같으므로, 최종적으로 R S T + R S = R S (T + 1)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R 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반가산 논리회로에 게이트 구성이 옳은 것은?

  1.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
  2. AND 게이트와 EX-OR 게이트
  3. OR 게이트와 EX-OR 게이트
  4. OR 게이트와 NOR 게이트
(정답률: 76%)
  • 반가산기는 두 개의 입력(A, B)과 두 개의 출력(S, C)을 가지며, 덧셈 연산을 수행한다. 이때, S는 A와 B를 더한 값의 일의 자리수를, C는 A와 B를 더한 값의 십의 자리수를 나타낸다.

    AND 게이트는 두 입력이 모두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는 게이트이다. EX-OR 게이트는 두 입력이 서로 다를 때 출력이 참이 되는 게이트이다.

    반가산기에서는 두 개의 입력을 AND 게이트로 연결하여 Carry 출력을 구하고, 두 개의 입력을 EX-OR 게이트로 연결하여 Sum 출력을 구한다. 따라서 "AND 게이트와 EX-OR 게이트"가 옳은 게이트 구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RLC 직렬공진 회로에서 선택도 Q는? (단, ωo는 공진시 각주파수이다.)

(정답률: 46%)
  • 선택도 Q는 RLC 직렬공진 회로에서 공진시에 전류의 최대값을 갖는 주파수 ωo와 그 주파수에서의 전류값을 나타내는 값이다.

    선택도 Q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Q = ωo × (L/C)1/2 / R

    따라서, RLC 직렬공진 회로에서 R값이 작을수록 Q값은 커지게 된다. 그리고 R값이 작을수록 공진폭이 넓어지므로, 선택도 Q가 높을수록 좁은 대역폭에서 공진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직류 전원회로의 구성 순서로 옳은 것은?

  1. 정류회로 → 변압회로 → 평활회로 → 정전압회로
  2. 변압회로 → 정류회로 → 평활회로 → 정전압회로
  3. 변압회로 → 평활회로 → 정류회로 → 정전압회로
  4. 변압회로 → 정류회로 → 정전압회로 → 평활회로
(정답률: 67%)
  • 정답은 "변압회로 → 정류회로 → 평활회로 → 정전압회로"입니다.

    - 변압회로: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환하는 회로
    - 정류회로: 교류 전원에서 직류 전원을 만드는 회로
    - 평활회로: 정류된 직류 전원에서 나머지 노이즈를 제거하고 안정적인 전원을 만드는 회로
    - 정전압회로: 안정적인 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회로

    따라서,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환한 후, 교류 전원에서 직류 전원을 만들고, 나머지 노이즈를 제거하여 안정적인 전원을 만들고, 마지막으로 안정적인 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회로를 구성하는 것이 옳은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과 같은 회로의 입력에 정현파(Vi)를 인가했을 때, 회로의 전달 특성은? (단, 다이오드의 커인전압은 무시하며, 순방향 저항은 Rf이고, Rf<R이다.)

(정답률: 75%)
  • 다이오드의 커인전압은 무시하므로, 다이오드는 정류기능을 한다. 즉, 입력 전압이 양수일 때는 다이오드가 열리고,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과 동일하다. 하지만 입력 전압이 음수일 때는 다이오드가 닫히므로, 출력 전압은 0V이다. 따라서, 입력 전압이 양수일 때는 회로가 전달되고, 음수일 때는 차단된다. 이에 따라 전달 특성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과 같은 회로의 명칭은?

  1. 시미트 트리거회로
  2. 차동 증폭회로
  3. 푸시풀 증폭회로
  4. 부트스트랩회로
(정답률: 80%)
  • 이 회로는 시미트 트리거회로라고 불립니다. 이는 입력 신호가 변화할 때 출력이 바뀌는 플립플롭을 구성하는 회로로, 이 회로에서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와 두 개의 저항으로 구성된 차동 증폭회로와 푸시풀 증폭회로, 그리고 부트스트랩회로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회로는 디지털 회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컴퓨터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주파수변조에서 반송파의 전력이 10[W], 최대주파수편이 Δf=5[kHz] 신호파의 주파수 fs=1[kHz]인 경우 변조지수 mf는?

  1. 3
  2. 4
  3. 5
  4. 6
(정답률: 80%)
  • 주파수변조에서 변조지수 mf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mf = Δf / fs

    여기서 Δf는 최대주파수편이고, fs는 신호파의 주파수이다.

    따라서, mf = 5[kHz] / 1[kHz] = 5

    따라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과 같은 D형 플립플롭으로 구성된 카운터 회로의 명칭은?

  1. 3진 링카운터
  2. 6진 링카운터
  3. 7진 시프트카운터
  4. 8진 시프트카운터
(정답률: 88%)
  • 이 카운터 회로는 3개의 D형 플립플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플립플롭은 이전 플립플롭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들입니다. 이 회로는 3진수를 카운트하는데 사용되며, 각각의 플립플롭은 0, 1, 2를 나타내는 3진수 값을 저장합니다. 따라서 이 회로는 "3진 링카운터"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차동증폭기에서 CMR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MRR = 차동이득/동상이득으로 정의된다.
  2. 차동증폭기의 성능을 나타내는 기준이다.
  3. 차동증폭기의 CMRR은 클수록 좋다.
  4. CMRR은 동상이득이 무한대에 가까울수록 좋다.
(정답률: 68%)
  • "CMRR은 동상이득이 무한대에 가까울수록 좋다."가 틀린 설명이다. 실제로 CMRR은 동상이득이 무한대에 가까울수록 좋은 성능을 가지지만, CMRR이 무한대가 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CMRR은 높을수록 좋은 성능을 가지지만, 무한대가 될 수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반송주파수 1000[kHz]를 1~5[kHz] 주파수대의 음성신호로 진폭변조한 경우 상측파대의 주파수 대역은?

  1. 995~999[kHz]
  2. 1001~1005[kHz]
  3. 999~1005[kHz]
  4. 996~1000[kHz]
(정답률: 78%)
  • 반송주파수 1000[kHz]를 1~5[kHz] 주파수대의 음성신호로 진폭변조하면, 상측파와 하측파가 생성됩니다. 상측파의 주파수는 원래의 반송주파수에 음성신호의 최대 주파수 5[kHz]를 더한 값이 됩니다. 따라서, 1000[kHz] + 5[kHz] = 1005[kHz]가 상측파의 최대 주파수가 됩니다. 최소 주파수는 원래의 반송주파수에서 음성신호의 최소 주파수 1[kHz]를 뺀 값이 됩니다. 따라서, 1000[kHz] - 1[kHz] = 999[kHz]가 상측파의 최소 주파수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1~1005[k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JK 플립플롭에서 토글(Toggle) 기능이 되기 위한 J, K의 각각 입력은?

  1. J=0, K=0
  2. J=0, K=1
  3. J=1, K=0
  4. J=1, K=1
(정답률: 66%)
  • JK 플립플롭에서 토글(Toggle) 기능은 현재 상태를 반전시키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J와 K의 입력이 모두 1인 경우에는 현재 상태가 반전되므로 토글 기능이 가능합니다. 다른 입력들은 현재 상태를 유지하거나 변경하지 않기 때문에 토글 기능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J=1, K=1"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수정발진기에서 안정된 발진을 하기 위한 수정편의 임피던스는?

  1. 유도성
  2. 용량성
  3. 유도성+저항성
  4. 용량성+저항성
(정답률: 74%)
  • 정답은 "유도성"이다.

    수정발진기에서 안정된 발진을 하기 위해서는 편의 임피던스가 발진기의 내부 임피던스와 일치해야 한다. 이때, 유도성 편의 임피던스는 주파수가 높을수록 증가하므로, 발진기의 내부 임피던스와 일치시키기 쉽다. 따라서, 유도성 편의 임피던스가 안정된 발진을 위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트랜지스터에서 α가 0.99일 때 β는?

  1. 96
  2. 97
  3. 98
  4. 99
(정답률: 78%)
  • β는 α와 전류증폭계수인 hfe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α가 0.99일 때, β는 0.99 x hfe가 됩니다. 보기에서 hfe는 100이므로, β는 0.99 x 100 = 99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9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과 같은 콜피츠 발진기의 발진주파수(fo)는?

(정답률: 69%)
  • 콜피츠 발진기는 L과 C로 이루어진 고주파 회로입니다. 이 회로에서 발진주파수는 L과 C의 값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L과 C의 값이 가장 적절한 것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그림과 같은 회로의 기능은?

  1. 반파정류
  2. 전파정류
  3. 증폭
  4. 발진
(정답률: 75%)
  • 이 회로는 반파정류기로서, 입력 신호의 음극성 부분만 출력으로 전달하고 양극성 부분은 차단합니다. 이를 통해 입력 신호의 주파수를 반으로 줄이고, 직류 신호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반파정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회로의 기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5비트 리플 카운터(ripple counter)의 입력에 4[MHz]의 구형파를 인가할 때, 최종단플립플롭의주파수는?

  1. 125[kHz]
  2. 250[kHz]
  3. 500[kHz]
  4. 800[kHz]
(정답률: 63%)
  • 5비트 리플 카운터는 2^5=32개의 상태를 가지며, 입력 신호에 따라 1씩 증가하면서 이동한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주파수가 4[MHz]일 때, 최종단플립플롭의 주파수는 4[MHz]/32=125[kHz]가 된다. 이는 카운터의 비트 수에 따라 입력 신호의 주파수를 나눈 값이 최종단플립플롭의 주파수가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기기

21. 다음 중 동기식 변복조기와 비동기식 변복조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기식은 대화형이나 지능형 단말기에 주로 사용되고 주파수편이 변조방식(FSK)을 사용한다.
  2. 비동기식은 FSK가 주로 이용되고 저속도용이다.
  3. 동기식은 고속변조에 사용되며 PSK나 QAM을 주로 사용한다.
  4. 비동기식은 시작 비트와 정지 비트를 사용하여 글자를 구분한다.
(정답률: 62%)
  • "동기식은 대화형이나 지능형 단말기에 주로 사용되고 주파수편이 변조방식(FSK)을 사용한다." 이 설명은 비동기식과 혼동되어 잘못된 설명이다. 동기식 변복조기는 고속 데이터 전송에 주로 사용되며 PSK나 QAM을 주로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CATV의 기본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헤드엔드
  2. 중계전송망
  3. 가입자설비
  4. 교환장치
(정답률: 63%)
  • CATV의 기본구성요소는 헤드엔드, 중계전송망, 가입자설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교환장치는 일반적으로 전화망에서 사용되는 장비로, CATV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교환장치는 CATV의 기본구성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FM 송신기에서 신호의 높은 주파수 성분을 강조하는 것은?

  1. 리미터 회로
  2. 스켈치 회로
  3. 디엠퍼시스 회로
  4. 프리엠퍼시스 회로
(정답률: 50%)
  • 프리엠퍼시스 회로는 FM 송신기에서 사용되는 회로로, 고주파 신호를 강조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FM 방식에서 주파수 변화에 따라 신호의 진폭이 변화하기 때문에, 높은 주파수 성분을 강조함으로써 더욱 선명하고 깨끗한 음질을 전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MHS(Message Handling System)의 기본 구성이 아닌 것은?

  1. Message Transfer Agent(MTA)
  2. User Agent(UA)
  3. Message Analysis(MA)
  4. Message Store(MS)
(정답률: 55%)
  • MHS(Message Handling System)의 기본 구성은 Message Transfer Agent(MTA), User Agent(UA), Message Store(MS)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Message Analysis(MA)는 MHS의 기본 구성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MA는 메시지를 분석하고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MHS의 일부 기능 중 하나일 뿐이며, 기본 구성 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주파수 범위의 표시가 옳은 것은?

  1. VHF : 3~30[MHz]
  2. UHF : 30~300[MHz]
  3. SHF : 3~30[GHz]
  4. EHF : 300~3000[GHz]
(정답률: 64%)
  • 주파수는 초당 발생하는 파동의 수를 나타내는데, 이 수치가 높을수록 짧은 파장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파의 진동수가 높아지며, 이는 전자기파의 진동수와도 동일합니다. 이에 따라 VHF는 주파수가 낮은 대역, SHF는 주파수가 높은 대역을 나타내며, SHF의 주파수 범위는 3~30G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모뎀의 기능 중에서 디지털 신호가 "1"이나 "0"이 계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1. 스크램블 기능
  2. Timing 기능
  3. 등화 기능
  4. 테스트 기능
(정답률: 80%)
  • 스크램블 기능은 디지털 신호를 무작위로 섞어서 전송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1"이나 "0"이 계속되는 것을 방지하고,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2개의 음성대역폭을 이용하여 광대역에서 얻을 수 있는 통신속도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1. 역다중화기
  2. 집중화기
  3. TDM
  4. STDM
(정답률: 63%)
  • 역다중화기는 여러 개의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각각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2개의 음성대역폭을 이용하여 광대역에서 얻을 수 있는 통신속도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인 집중화기는 여러 개의 디지털 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합치는 역할을 하므로,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TDM과 STDM은 시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여러 개의 신호를 시간적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와는 관련이 있지만, 역다중화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위성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창에 해당되는 것은?

  1. 1[GHz] 미만
  2. 1~10[GHz]
  3. 100~200[GHz]
  4. 300[GHz] 이상
(정답률: 72%)
  • 위성통신에 사용되는 전파는 대기권을 통과하여 지구와 위성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그러나 전파의 주파수가 너무 높으면 대기권에서 흡수되어 통신이 불가능해집니다. 따라서, 위성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는 대기권에서 흡수되지 않는 범위인 1~10[GHz]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무선가입자망 기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WLL
  2. MMDS
  3. LMDS
  4. FTTH
(정답률: 78%)
  • FTTH는 광섬유를 이용한 유선 인터넷 기술이므로, 무선가입자망 기술에 해당되지 않는다. WLL은 무선 지역망, MMDS는 중간 주파수 다중 배송 시스템, LMDS는 광대역 무선 접속 기술로 모두 무선가입자망 기술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G3 FAX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디지털 전송방식을 사용한다.
  2. PM 또는 FM 변조방식을 사용한다.
  3. 전송제어절차는 권고 T.30에 규정되어 있다.
  4. 전송시 MH 또는 MR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압축 전송한다.
(정답률: 62%)
  • 정답: "전송시 MH 또는 MR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압축 전송한다."

    G3 FAX는 디지털 전송방식을 사용하며, 전송제어절차는 권고 T.30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G3 FAX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AM 변조방식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PM 또는 FM 변조방식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MH(Modified Huffman) 또는 MR(Modified Read) 방식은 G3 FAX에서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전송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가입자망에 사용되는 고속모뎀인 ADSL에 사용되는 변조방식이 아닌 것은?

  1. QAM
  2. DMT
  3. CAP
  4. FSK
(정답률: 63%)
  • ADSL에서 사용되는 변조방식은 QAM, DMT, CAP이지만 FSK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FSK가 주파수 이동키(Key) 변조 방식으로, ADSL에서는 주파수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다른 변조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위성통신의 다원접속에서 통신영역을 분할하여 한정된 자원을 반복하여 이용하는 방식으로 spot beam을 이용하는 방식은?

  1. FDMA 방식
  2. CDMA 방식
  3. SDMA 방식
  4. TDMA 방식
(정답률: 56%)
  • 위성통신에서 spot beam을 이용하여 통신영역을 분할하여 한정된 자원을 반복하여 이용하는 방식은 SDMA 방식이다. SDMA 방식은 공간 분할 다중 접속 기술로,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방향성을 부여하여 서로 간섭 없이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spot beam을 이용하여 통신영역을 분할하는 것은 SDMA 방식의 특징과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팩시밀리 통신에서 송신원고 내용을 베이스밴드의 전기신호로 바꾸는 과정은?

  1. Reflection
  2. Scanning
  3. Modulation
  4. Light variation
(정답률: 53%)
  • 송신원고 내용을 베이스밴드의 전기신호로 바꾸는 과정은 "Modulation"입니다. "Scanning"은 무선 주파수를 스캔하여 사용 가능한 주파수를 찾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Modulation"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데이터단말장치(DTE)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데이터 입력 기능
  2. 데이터 출력 기능
  3. 데이터 송수신 기능
  4. 데이터 변복조 기능
(정답률: 76%)
  • 데이터 단말 장치(DTE)의 기능 중 데이터 변조 기능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데이터 변조는 데이터 통신에서 보안과 관련된 기술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변조하여 무단 접근을 방지하거나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기능은 데이터 단말 장치(DTE)가 아닌 다른 보안 장치나 소프트웨어에서 수행됩니다. 따라서, 데이터 입력, 출력, 송수신 기능은 데이터 단말 장치(DTE)의 기능에 포함되지만, 데이터 변조 기능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멀티미디어 또는 하이퍼미디어 표준화 그룹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JPEG
  2. MPEG
  3. JHEG
  4. MHEG
(정답률: 43%)
  • JHEG는 존재하지 않는 표준화 그룹이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또는 하이퍼미디어 표준화 그룹에 해당되지 않는다. JPEG은 이미지 압축 표준화 그룹, MPEG은 동영상 압축 표준화 그룹, MHEG는 멀티미디어 하이퍼미디어 표준화 그룹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ATM 교환방식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적으로 대역폭을 할당한다.
  2. 셀은 53바이트로 구성된다.
  3. 효율적인 대역폭의 활용이 가능하다.
  4. 다양한 서비스의 융통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정답률: 61%)
  • 정답은 "정적으로 대역폭을 할당한다." 이다.

    ATM 교환방식은 동적으로 대역폭을 할당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필요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역폭을 할당하여 효율적인 대역폭의 활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다양한 서비스의 융통성을 확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TV에서 NTSC 방식과 PAL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사선수는 NTSC 방식은 525개, PAL 방식은 625개이다.
  2. 화면의 가로세로비는 NTSC 방식은 4:3이고, PAL 방식은 16:9이다.
  3. NTSC 방식은 미국, 한국 등이고, PAL 방식은 독일, 서유럽 등에서 사용된다.
  4. NTSC 및 PAL 방식에서 음성 변조는 모두 FM 방식이다.
(정답률: 52%)
  • 화면의 가로세로비는 NTSC 방식은 4:3이 아니라 PAL 방식이 4:3이다. NTSC 방식은 3: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문자나 도형을 입력하기 위하여 평면 모양으로 구성된 입력면내를 지시 펜으로 지시함으로써 그 위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은?

  1. 타블렛
  2. 플로터
  3. 조이스틱
  4. 마우스
(정답률: 79%)
  • 타블렛은 평면 모양으로 구성된 입력면내를 지시 펜으로 지시함으로써 그 위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컴퓨터 입력장치이지만, 평면 모양으로 구성된 입력면내를 지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마이크로파 중계방식에서 수신한 마이크로파를 증폭하기 쉬운 주파수로 변환하여 충분히 증폭한 다음 다시 마이크로파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중계방식은?

  1. 무급전 중계방식
  2. 헤테로다인 중계방식
  3. 검파 중계방식
  4. 직접 중계방식
(정답률: 64%)
  • 헤테로다인 중계방식은 수신한 마이크로파를 먼저 증폭하기 쉬운 주파수로 변환한 후 충분히 증폭하고, 다시 원래의 주파수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기 쉬운 주파수로 변환하여 증폭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어서 더 멀리까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음성신호를 패킷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터넷 망에서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1. WiBro
  2. Telematics
  3. WCDMA
  4. VoIP
(정답률: 86%)
  • 음성신호를 패킷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터넷 망에서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VoIP이다. 이는 인터넷을 통해 음성 통화를 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로, 기존의 전화망과는 달리 인터넷 회선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음성 통화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전송개론

41. 표본화 잡음의 주된 발생원인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표본화 주기의 변동
  2. 외부누화의 침입
  3. 저역통과 여파기의 차단특성
  4. 전송선로의 특성변동
(정답률: 48%)
  • 저역통과 여파기는 고주파 신호를 차단하고 저주파 신호를 통과시키는 필터로, 이 필터의 차단특성이 불완전하면 고주파 잡음이 전송선로에 침입하여 표본화 잡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역통과 여파기의 차단특성이 주된 발생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PCM 방식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 압축기
  2. 표본화 → 양자화 → 압축기 → 부호화
  3. 표본화 → 압축기 → 양자화 → 부호화
  4. 표본화 → 부호화 → 양자화 → 압축기
(정답률: 81%)
  • 정답은 "표본화 → 압축기 → 양자화 → 부호화" 입니다.

    먼저, 표본화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이후에는 압축기를 통해 데이터를 압축하고, 양자화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표현합니다. 마지막으로, 부호화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이진수로 변환하여 저장하게 됩니다. 따라서, "표본화 → 압축기 → 양자화 → 부호화"가 옳은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전송효율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 프레임의 길이를 동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ARQ 방식은?

  1. 정지-대기 ARQ
  2. Go-back-N ARQ
  3. Selective-repeat ARQ
  4. Adaptive ARQ
(정답률: 68%)
  • Adaptive ARQ는 전송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해 프레임의 길이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ARQ 방식이다. 이 방식은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프레임의 크기를 조절하여 전송 속도를 최적화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ARQ 방식보다 더 효율적인 전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Adaptive ARQ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디지털 신호 재생 중계기의 기본 기능이 아닌 것은?

  1. Reshaping
  2. Regeneration
  3. Retiming
  4. Recovery
(정답률: 66%)
  • 디지털 신호 재생 중계기의 기본 기능은 신호를 재생하면서 "Reshaping", "Regeneration", "Retiming"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들은 신호를 다시 형태로 만들고, 신호를 재생하면서 신호의 강도를 증폭하고, 신호의 타이밍을 조절하는 것이다. 반면에 "Recovery"는 신호를 복원하는 것으로, 디지털 신호 재생 중계기의 기본 기능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광섬유케이블의 분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파장 및 모드에 따른 전파속도차 때문에 발생한다.
  2. 단일모드 광섬유에서는 색분산 및 모드분산이 생긴다.
  3. 다중모드 광섬유에서는 색분산보다 모드분산 비중이 더 크다.
  4. GIF 광섬유를 사용하면 모드분산을 줄일 수 있다.
(정답률: 52%)
  • "단일모드 광섬유에서는 색분산 및 모드분산이 생긴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단일모드 광섬유에서는 파장에 따른 전파속도차 때문에 색분산이 발생합니다. 이는 광섬유 내에서 파장이 다른 빛이 서로 다른 속도로 전파되어 광신호가 왜곡되는 현상입니다. 하지만 모드분산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모드분산은 다중모드 광섬유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광섬유 내에서 여러 개의 광모드가 서로 다른 경로를 따라 전파되어 광신호가 왜곡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단일모드 광섬유에서는 색분산은 생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다중모드 광섬유에서는 색분산보다 모드분산 비중이 더 크다."와 "GIF 광섬유를 사용하면 모드분산을 줄일 수 있다."는 모두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동축 케이블이 꼬임 쌍선 구리 케이블에 비해 잡음에 강한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내부 도선 때문
  2. 케이블 직경 때문
  3. 외부 도체 때문
  4. 절연 물질 때문
(정답률: 58%)
  • 동축 케이블은 외부 도체로부터 잡음을 차단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꼬임 쌍선 구리 케이블보다 잡음에 강합니다. 외부 도체로부터의 잡음이 케이블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동축 케이블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데이터 전송제어에서 사용되는 전송제어 문자가 아닌 것은?

  1. ETB
  2. FCS
  3. SOH
  4. STX
(정답률: 50%)
  • FCS는 Frame Check Sequence의 약자로, 데이터 전송 중 오류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값이다. 따라서 FCS는 전송제어 문자가 아니며, 나머지 보기인 ETB, SOH, STX는 모두 데이터 전송제어에서 사용되는 전송제어 문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4상 PSK 변조방식을 사용한 모뎀의 데이터 신호속도가 2400[bps]일 때 변조속도는?

  1. 1200[baud]
  2. 1200[bps]
  3. 2400[baud]
  4. 4800[baud]
(정답률: 42%)
  • 4상 PSK 변조방식은 2개의 비트를 한 번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2400[bps]의 데이터 신호속도는 1200[baud]의 변조속도를 가지게 됩니다. 이는 데이터 신호속도와 변조속도가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동기식 전송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tart-stop 전송이라고 한다.
  2. 블록과 블록 사이에는 휴지 간격이 없다.
  3. 송신측과 수신측이 항상 동기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4. 수신측 단말기에는 반드시 버퍼 기억장치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정답률: 64%)
  • "start-stop 전송이라고 한다."는 동기식 전송과는 관련이 없는 용어이다. 동기식 전송에서는 블록과 블록 사이에 휴지 간격이 없으며, 송신측과 수신측이 항상 동기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하지만 수신측 단말기에는 반드시 버퍼 기억장치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스트로브(strobe) 신호와 비지(busy)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형태는?

  1. 병렬 전송
  2. 직렬 전송
  3. 동기식 전송
  4. 비동기식 전송
(정답률: 60%)
  • 병렬 전송은 여러 개의 데이터 비트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스트로브 신호와 비지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동기화하고 전송합니다. 따라서 병렬 전송은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고, 동기화가 잘 되어 있어 신뢰성이 높은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인접한 다른 선로와 전자기적 유도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은?

  1. 열잡음
  2. 신호감쇠
  3. 누화잡음
  4. 지연왜곡
(정답률: 73%)
  • 인접한 다른 선로와 전자기적 유도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은 누화잡음입니다. 이는 인접한 다른 선로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적 신호가 전선을 따라 전파되어 신호가 약해지고 왜곡되는 현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왜곡된 신호는 잡음으로 들리게 되며, 이를 누화잡음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통신로의 채널용량을 결정하는 것은?

  1. 대역폭과 BER
  2. 대역폭과 전송속도
  3. 전송속도와 BER
  4. 대역폭과 신호대잡음비
(정답률: 71%)
  • 통신로의 채널용량은 단위 시간당 전송 가능한 정보의 양을 의미합니다. 이를 결정하는 요소는 대역폭과 신호대잡음비입니다. 대역폭은 채널에서 전송 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을 의미하며, 신호대잡음비는 전송되는 신호와 채널 내 잡음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대역폭이 넓고 신호대잡음비가 높을수록 채널로 전송 가능한 정보의 양이 많아지므로 채널용량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디지털 통신망에서 slip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데이터의 손실
  2. 데이터의 제어방법
  3. 데이터의 전송방법
  4. 데이터의 서비스 종류
(정답률: 78%)
  • Slip은 시간 동기화 오차로 인해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손실"이 가장 적절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비트의 평균 에너지대 잡음전력(Eb/No)비가 동일한 경우 오류확률이 가장 낮은 변조방식은? (단, 모두 동기식 검파를 가정한다.)

  1. BPSK
  2. QPSK
  3. 8PSK
  4. 16PSK
(정답률: 30%)
  • BPSK는 2진 변조 방식으로, 한 번에 하나의 비트를 전송한다. 따라서 다른 변조 방식들보다 더 간단하고 오류 확률이 낮다. Eb/No 비가 동일한 경우, BPSK는 다른 변조 방식들보다 더 낮은 에너지를 사용하여 더 높은 신호 대 잡음비를 가지기 때문에 오류 확률이 가장 낮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LAN에 사용하는 UTP 케이블 등급 중 100[Mbps]의 통신속도를 제공해주는 것은?

  1. Category 2
  2. Category 3
  3. Category 4
  4. Category 5
(정답률: 72%)
  • Category 5 케이블은 100MHz의 대역폭을 지원하며, 100Mbps의 통신속도를 제공해줍니다. 따라서 LAN에서 100Mbps의 속도를 원할 때는 Category 5 케이블을 사용합니다. Category 2, 3, 4 케이블은 각각 4Mbps, 10Mbps, 16Mbps의 속도를 지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CEPT(32채널)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유럽방식 PCM의 표본화 주파수가 8[kHz]일 경우 1채널당 점유되는 시간은?

  1. 3.9[μs]
  2. 5.2[μs]
  3. 2.048[μs]
  4. 125[μs]
(정답률: 24%)
  • CEPT(32채널) 방식은 32개의 채널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방식이므로, 1채널당 전송되는 시간은 전체 시간을 32로 나눈 값이 된다.

    따라서, 1채널당 점유되는 시간은 1/32(전체 시간)이 된다.

    PCM의 표본화 주파수가 8[kHz]이므로, 1초당 8000개의 샘플링이 이루어진다.

    1채널당 전송되는 샘플의 개수는 1초당 전송되는 샘플의 개수인 8000개를 32로 나눈 값이 된다.

    따라서, 1채널당 전송되는 샘플의 개수는 8000/32 = 250개가 된다.

    1채널당 점유되는 시간은 전체 시간을 32로 나눈 값이므로, 전체 시간은 1채널당 점유되는 시간에 32를 곱한 값이 된다.

    전체 시간 = 1/8000초 * 250 = 31.25[μs]

    1채널당 점유되는 시간 = 31.25[μs] / 32 = 0.9765625[μs]

    따라서, 1채널당 점유되는 시간은 약 0.9766[μs]이 되며,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3.9[μ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전송부호가 가져야 하는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직류(DC)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2. 동기정보가 충분히 포함되어야 한다.
  3. 전송도중에 발생하는 에러의 검출과 정정이 가능해야 한다.
  4. 전송대역폭을 작게 차지해야 한다.
(정답률: 72%)
  • 정답은 "전송대역폭을 작게 차지해야 한다."입니다.

    전송부호는 전송되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호화 기술입니다. 이 때, 전송부호가 가져야 하는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직류(DC)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2. 동기정보가 충분히 포함되어야 한다.
    3. 전송도중에 발생하는 에러의 검출과 정정이 가능해야 한다.

    직류(DC) 성분을 포함하는 이유는, 전송되는 데이터가 0으로만 이루어져 있을 경우, 부호화된 신호가 전혀 변하지 않아서 수신측에서 데이터를 구분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동기정보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이 정보가 충분하지 않으면 수신측에서 데이터를 올바르게 해석할 수 없습니다.

    에러의 검출과 정정은 전송 중에 발생하는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이 불가능하면 전송된 데이터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전송대역폭을 작게 차지해야 한다는 조건은 전송 부호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전송대역폭이 크면 전송 속도가 느려지고, 대역폭을 줄이면 전송 속도가 빨라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데이터 전송에서 다수의 에러를 검출하고 정정할 수 있는 부호방식은?

  1. ARQ
  2. 군계수 체크 코드
  3. Reed-Solomon 코드
  4. 패리티 체크 코드
(정답률: 52%)
  • Reed-Solomon 코드는 다수의 에러를 검출하고 정정할 수 있는 부호방식으로, 데이터 전송 중에 발생한 에러를 검출하고 정정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습니다. 이는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어 부호화하고, 이 부호화된 블록에 추가적인 정보를 첨부하여 에러를 검출하고 정정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Reed-Solomon 코드는 데이터 전송에서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부호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광섬유 케이블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경량성이다.
  2. 전자유도의 영향이 없다.
  3. 대용량 전송이 가능하다.
  4. 차폐용 등 테이프를 사용하여 누화가 없다.
(정답률: 66%)
  • 광섬유 케이블은 전자기파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전자유도의 영향이 없다는 것이 특징 중 하나이다. 따라서 "전자유도의 영향이 없다."가 아닌 "차폐용 등 테이프를 사용하여 누화가 없다."가 틀린 것이다. 광섬유 케이블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차폐용 등 테이프를 사용하여 누화를 방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PCM 시스템에서 신호전력 대 양자화 잡음전력비가 40[dB]일 때 양자화시 사용하는 비트 수는?

  1. 5비트
  2. 6비트
  3. 7비트
  4. 8비트
(정답률: 38%)
  • 신호전력 대 잡음전력비가 40[dB]이면, 신호전력은 잡음전력의 10^4배이다. 이때, 양자화 잡음은 잡음전력의 절반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양자화 잡음전력은 신호전력의 10^(-8)배 이하여야 한다.

    양자화 잡음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양자화 잡음전력 = (양자화 단계 크기)^2 / 12

    여기서, 양자화 단계 크기는 2의 비트 수에 반비례한다. 즉, 비트 수가 늘어날수록 양자화 단계 크기는 작아지며, 양자화 잡음전력은 작아진다.

    따라서, 양자화 잡음전력이 신호전력의 10^(-8)배 이하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7비트 이상이 필요하다.

    정답: 7비트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설비기준

61. 다음과 같은 카르노맵(Karnaugh map)이 있을 때, 이를 간략화하여 얻은 논리식으로 옳은 것은?

  1. Y = A
  2. Y = BC + AC
  3. Y = + A
  4. Y = + AB
(정답률: 5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는 동안 컴퓨터의 내부나 외부에서 응급상태가 발생하여 현재 수행중인 프로그램을 일시적으로 중지하고 응급상태를 처리하는 기법은?

  1. DMA
  2. Time sharing
  3. Subroutine
  4. Interrupt
(정답률: 77%)
  • Interrupt는 컴퓨터가 수행 중인 프로그램을 일시적으로 중지하고 외부나 내부에서 발생한 응급상황을 처리하기 위한 기법이다. 따라서 위의 보기 중에서 Interrupt가 가장 적절한 답이다. DMA는 입출력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기법이고, Time sharing은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컴퓨터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기법이며, Subroutine은 하나의 큰 프로그램을 작은 단위로 나누어 처리하는 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운영체제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처리능력의 향상
  2. 처리시간의 단축
  3. 컴퓨터 모델의 다양화
  4. 사용가용도의 향상
(정답률: 75%)
  • 운영체제의 목적은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 및 응용 프로그램의 요구에 따라 자원을 할당하고 제어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컴퓨터 모델의 다양화"는 운영체제의 목적이 아닙니다. 이는 하드웨어 제조업체의 역할이며, 운영체제는 다양한 하드웨어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순차 액세스(sequential access)만 가능한 보조기억장치는?

  1. CD-ROM
  2. 자기 디스크
  3. 자기 드럼
  4. 자기 테이프
(정답률: 70%)
  • 자기 테이프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고 쓰는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순차 액세스만 가능한 보조기억장치입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임의의 위치에서 읽거나 쓰는 랜덤 액세스는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기계어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계산속도가 느리다.
  2. 작성된 프로그램은 판독이 어렵다.
  3. 하나의 명령으로 한가지 처리만 된다.
  4. 컴퓨터 기종마다 명령어 체계가 다르다.
(정답률: 45%)
  • "계산속도가 느리다."는 기계어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기계어는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컴퓨터가 매우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계산속도가 느리다는 문제는 기계어가 아닌 다른 요소에서 발생하는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반도체 기억소자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자기코어
  2. 플립플롭
  3. EPROM
  4. RAM
(정답률: 57%)
  • 자기코어는 반도체 기억소자가 아니라 자기 기억소자이기 때문에 관련이 없다. 자기코어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기억소자로, 플립플롭, EPROM, RAM과는 다른 원리로 동작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디지타이저의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CAD 프로그램에 의한 작업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2. 도형 등을 X-Y 좌표방식으로 입력시키는 장치이다.
  3. 도면이나 그림 등을 처리하는 입출력 공용의 장치이다.
  4. X-Y 플로터의 일종이다.
(정답률: 67%)
  • 디지타이저는 도형 등을 X-Y 좌표방식으로 입력시키는 장치입니다. 이는 디지털화된 도면이나 그림 등을 컴퓨터에 입력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사용자가 펜이나 마우스 등을 이용해 도형의 좌표를 입력하면 컴퓨터가 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합니다. 이후 CAD 프로그램 등에서 이 데이터를 활용해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명령 수행시 memory로부터 명령을 fetch하고 그것의 주소부분으로부터 다시 유효주소를 memory에서 가져와서 동작하는 방식은?

  1. 상대 주소지정 방식(relative addressing mode)
  2. 절대 주소지정 방식(absolute addressing mode)
  3. 간접 주소지정 방식(indirect addressing mode)
  4. 직접 주소지정 방식(direct addressing mode)
(정답률: 79%)
  • 간접 주소지정 방식은 명령어에서 직접적으로 주소를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주소에 저장된 값이 유효한 주소를 가리키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명령어에서 가져온 주소는 유효한 주소가 아니라 다시 한번 memory에서 값을 가져와야 합니다. 이 방식은 포인터(pointer)를 사용하여 메모리 주소를 간접적으로 참조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8비트에 BCD 코드 2개의 숫자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기억장치의 공간 이용도를 높일 수 있어 주로 10진수 연산에 사용되는 것은?

  1. 부동소수점 형식
  2. 팩 10진수 형식
  3. 언팩 10진수 형식
  4. 8진 데이터 형식
(정답률: 68%)
  • 팩 10진수 형식은 BCD 코드 2개의 숫자를 8비트에 압축하여 저장하는 방식으로, 기억장치의 공간 이용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10진수 연산에 특화되어 있어서 주로 사용됩니다. 반면에 부동소수점 형식은 실수를 표현하는 방식이며, 언팩 10진수 형식은 BCD 코드 1개의 숫자를 4비트에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8진 데이터 형식은 8진수를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진리표를 가지는 게이트 명칭은? (단, X는 출력임)

  1. NAND
  2. XOR
  3. XNOR
  4. NOR
(정답률: 57%)
  • 진리표에서 입력 A와 입력 B가 같을 때만 출력이 0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XOR 게이트의 진리표와 일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XOR"입니다.

    XOR 게이트는 두 입력이 서로 다를 때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 게이트입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A XOR B = (A AND NOT B) OR (NOT A AND 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공사업자
  2. 감리업자
  3. 용역업자
  4. 도급업자
(정답률: 67%)
  • 이 그림은 건설 현장에서 일어나는 업무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용역"이란 일반적으로 인력을 제공하는 일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인력을 제공하는 업체인 "용역업자"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기간통신 사업자로부터 전기통신 회선설비를 임차하여 기간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전기통신역무 외의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하는 사업은?

  1. 특수통신사업
  2. 부가통신사업
  3. 별정통신사업
  4. 임차통신사업
(정답률: 39%)
  • 기간통신 사업자로부터 전기통신 회선설비를 임차하여 제공하는 전기통신역무 외의 업무는 부가통신사업이다. 부가통신사업은 기존 전기통신업무 외에 추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예를 들어 인터넷, IPTV, VoIP 등이 해당된다. 따라서, 기간통신 사업자로부터 전기통신 회선설비를 임차하여 제공하는 업무는 부가통신사업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방송통신위원회가 수립하여 공고하는 전기통신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것은?

  1. 전기통신사업에 관한 사항
  2. 전기통신설비에 관한 사항
  3. 전기통신의 질서유지에 관한 사항
  4. 전기통신서비스의 진흥에 관한 사항
(정답률: 56%)
  • 전기통신기본계획은 전기통신사업의 원활한 진행과 전기통신의 질서유지를 위해 수립되는 계획이다. 따라서 전기통신서비스의 진흥에 관한 사항은 전기통신기본계획에 포함되어서는 안 되는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전류
  2. 전기통신신호
  3. 정보통신신호
  4. 전압 또는 전류
(정답률: 24%)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전기통신선로이며, 전기통신선로는 전기통신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선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기통신신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전기통신망에 접속되는 단말기기 및 그 부속설비를 말하는 것은?

  1. 교환설비
  2. 단말장치
  3. 전송장치
  4. 통신설비
(정답률: 70%)
  • 전기통신망에 접속되는 단말기기 및 그 부속설비는 사용자와 통신망을 연결하는 마지막 장치이며, 데이터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기기를 단말장치라고 합니다. 따라서, "단말장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전파연구소장
  2. 방송통신위원회
  3. 지식경제부장관
  4.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정답률: 48%)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라디오나 TV 등의 전파를 이용한 통신 장비인 무전기와 같은 것들입니다. 이러한 장비들은 전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국가에서는 이를 관리하기 위해 방송통신위원회를 설립하여 전파 관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방송통신위원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정보통신공사업의 등록기준에서 법인의 경우 자본금은?

  1. 5천만원 이상
  2. 1억원 이상
  3. 1억5천만원 이상
  4. 2억원 이상
(정답률: 40%)
  • 정보통신공사업은 대규모 자본금이 필요한 산업 중 하나이며, 법인의 경우 자본금이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등록이 가능하다. 이는 고객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자본금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업체가 재무적으로 안정적이며, 고객에게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증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정보통신공사업의 등록기준에서 법인의 경우 자본금은 "1억5천만원 이상"이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등록을 하지 아니하고 별정통신사업을 경영한 자에 대한 벌칙은?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5천만원 이하의 벌금
  4.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억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38%)
  • 별정통신사업은 반드시 등록을 해야 하는데, 등록을 하지 않고 경영한 경우에는 법에 위반된 것이므로 처벌을 받아야 합니다. 이 때, 처벌의 종류는 징역과 벌금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등록을 하지 않고 별정통신사업을 경영한 자에 대한 처벌을 묻고 있으므로, 등록을 하지 않은 것이 범죄로 인정되어 징역과 벌금 중 하나 이상을 받게 됩니다. 이 중에서 정답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5천만원 이하의 벌금"입니다. 이는 다른 보기들보다 징역과 벌금 모두가 높은 범위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보편적 역무의 구체적 내용을 정할 시 고려사항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정보화 촉진
  2. 이용자의 이익과 안전
  3. 전기통신역무의 보급 정도
  4.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정도
(정답률: 65%)
  • 이용자의 이익과 안전은 보편적 역무의 구체적 내용을 정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요소이다. 이는 정보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든 이용자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사기 예방, 서비스 품질 개선 등 이용자의 이익과 안전을 고려하지 않으면 보편적 역무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0.5미터
  2. 1미터
  3. 1.2미터
  4. 1.5미터
(정답률: 56%)
  • 이미지에서 보이는 물체의 길이가 약 1미터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