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3-09)

정보통신산업기사
(2014-03-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전자회로

1. 다음 중 정류회로에서 리플 함유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입력전원의 주파수를 낮게 한다.
  2. 반파정류회로보다 전파정류회로를 이용한다.
  3. 콘덴서입력형 평활회로에서 콘덴서 용량을 크게 한다.
  4. 초크입력형 평활회로에서 초크의 인덕턴스를 크게한다.
(정답률: 77%)
  • 입력전원의 주파수를 낮게 한다는 것은 스위칭 주파수를 낮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리플 전압의 주기가 길어지므로 리플 함유율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이는 정류회로에서 리플 함유율을 감소시키는 방법 중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직류 출력전압이 무부하일 때 300[V], 부하일 때 220[V]이면 정류기의 전압변동률은 약 몇[%] 인가?

  1. 10.25[%]
  2. 22.45[%]
  3. 36.36[%]
  4. 47.25[%]
(정답률: 82%)
  • 전압변동률은 ((무부하일 때 출력전압-부하일 때 출력전압)/무부하일 때 출력전압)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300-220)/300) x 100 = 36.36[%] 이다.

    즉, 무부하일 때 출력전압과 부하일 때 출력전압의 차이를 무부하일 때 출력전압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해주면 된다. 이 문제에서는 이 공식을 적용하면 36.36[%]이 나오므로 정답은 "36.3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전파정류회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정류 전류는 반파정류의 2배가 된다.
  2. 리플 주파수는 전원 주파수의 2배이다.
  3. 리플률이 반파정류회로보다 적다.
  4. 전원 전압의 직류 자화가 있다.
(정답률: 62%)
  • 전파정류회로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회로이므로 전원 전압의 직류 자화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전원 전압의 직류 자화가 있다."는 전파정류회로의 특징이 아닌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입력저항이 높다.
  2. 접합형 입력저항은 MOS형보다 낮다.
  3. 저주파시 잡음이 적다.
  4. 소수캐리어에 의한 증폭작용을 한다.
(정답률: 71%)
  • 소수캐리어에 의한 증폭작용을 하는 것은 오히려 맞는 설명입니다. FET는 소수캐리어에 의해 증폭작용을 하며, 입력저항이 낮고 저주파시 잡음이 적은 것이 특징입니다. 다만, "접합형 입력저항은 MOS형보다 낮다"는 설명은 오히려 MOSFET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FET는 MOSFET과 JFET으로 나뉘며, MOSFET의 경우 접합형 입력저항이 낮은 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증폭도가 40[dB], 잡음지수가 6[dB]인 전치증폭기(pre-amp)를 증폭도 20[dB], 잡음지수 6[dB]인 주증폭기(Main Amp)에 연결할 때 종합 잡음지수는?

  1. 6.125[dB]
  2. 5.50[dB]
  3. 7.125[dB]
  4. 7.50[dB]
(정답률: 63%)
  • 전치증폭기의 증폭도가 40[dB], 잡음지수가 6[dB]이므로 입력 신호에 대한 신호 대 잡음비(SNR)는 40[dB]-6[dB]=34[dB]이다. 이를 주증폭기에 입력하면 주증폭기의 증폭도가 20[dB]이므로 출력 신호 대 잡음비(SNR)는 34[dB]+20[dB]=54[dB]가 된다. 이때 종합 잡음지수는 10*log(1+(잡음전력/신호전력))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종합 잡음지수는 10*log(1+(10^(-6[dB]/10))/(10^(54[dB]/10)))=6.125[dB]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125[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소신호 증폭이나 트랜지스터의 활성역영에서만 동작하게 만든 증폭기는?

  1. A급 증폭기
  2. AB급 증폭기
  3. B급 증폭기
  4. C급 증폭기
(정답률: 77%)
  • A급 증폭기는 입력 신호의 전압이 증폭기의 활성역영에서부터 최대 전압까지 증폭되도록 동작하게 만들어진 증폭기이다. 이에 따라 출력 신호는 입력 신호와 동일한 파형을 유지하면서 전압이 증폭된다. A급 증폭기는 다른 증폭기에 비해 왜곡이 적고, 선형적인 증폭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트랜지스터가 차단과 포화에서 동작될 때 무엇처럼 동작하는가?

  1. 스위치
  2. 선형증폭기
  3. 가변용량
  4. 발진기
(정답률: 75%)
  • 트랜지스터는 차단 상태일 때 전류가 흐르지 않고, 포화 상태일 때는 최대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트랜지스터는 스위치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즉, 트랜지스터를 적절히 제어하여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 있으므로 스위치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발진기의 발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궤환회로가 있으며 정궤환으로 동작한다.
  2. 궤환회로에 의한 위상천이는 0°이다.
  3. 궤환회로를 포함한 폐루프 이득이 1이다.
  4. 초기 시동시에는 폐루프 이득이 1보다 작다.
(정답률: 62%)
  • 정답은 "초기 시동시에는 폐루프 이득이 1보다 작다." 이다.

    발진기는 궤환회로를 이용하여 발진하는데, 이 궤환회로는 정궤환으로 동작하며 위상천이 0°이다. 이 때, 궤환회로를 포함한 폐루프 이득은 1이 되어야 발진이 가능하다. 하지만 초기 시동시에는 궤환회로가 충분한 전압을 받지 못하여 폐루프 이득이 1보다 작아 발진이 어렵다. 따라서 초기 시동시에는 보통 외부에서 발진기에 충분한 전압을 인가하여 발진을 유도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외부로부터의 전기적인 신호가 없어도 회로 내에서 교류신호인 전기진동을 발생하는 회로는?

  1. 비교기
  2. 정류기
  3. 증폭기
  4. 발진기
(정답률: 79%)
  • 발진기는 자체적으로 양/음 극성이 번갈아가며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전기적인 신호가 없어도 교류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발진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15[kHz]까지 전송할 수 있는 PCM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최소 표본화 주파수는?

  1. 10[kHz]
  2. 20[kHz]
  3. 30[kHz]
  4. 40[kHz]
(정답률: 80%)
  • PCM 시스템에서는 표본화 주파수가 신호의 최대 주파수의 2배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최대 전송 주파수인 15[kHz]의 2배인 30[kHz]가 최소 표본화 주파수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0[k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Vc=20cosωct[V]의 반송파를 Vs=14cosωst[V]의 신호파로 진폭 변조했을 때 변조도(m)는 몇 [%]인가?

  1. 60[%]
  2. 70[%]
  3. 80[%]
  4. 90[%]
(정답률: 73%)
  • 변조도(m)는 (Vmax-Vmin)/(Vmax+Vmin)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Vmax는 진폭 변조된 신호의 최대 진폭, Vmin은 최소 진폭이다.

    우선, 반송파의 최대 진폭 Vc(max)는 20V이고, 최소 진폭 Vc(min)은 -20V이다. 이를 이용하여 변조된 신호의 최대 진폭과 최소 진폭을 구해보자.

    Vmax = Vc(max) + Vs/2 = 20V + 7V = 27V
    Vmin = Vc(min) + Vs/2 = -20V + 7V = -13V

    따라서, 변조도(m)는 (27-(-13))/(27+(-13)) = 40/14 = 2.857 = 285.7%이다.

    하지만, 변조도는 일반적으로 백분율로 표시하므로, 위 결과에 100을 곱해주면 285.7%가 된다. 이를 반올림하여 정답은 "7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펄스신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상승기간이란 펄스의 진폭의 10[%]에서 90[%]까지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2. 하강시간이란 펄스의 진폭이 90[%]에서 10[%]까지 하강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3. 펄스폭이란 펄스 파형이 상승 및 하강의 진폭의 66.7[%]가 되는 구간의 시간을 말한다.
  4. 오버슈트란 상승 파형에서 이상적 펄스파의 진폭보다 높은 부분을 말한다.
(정답률: 82%)
  • 정답은 "오버슈트란 상승 파형에서 이상적 펄스파의 진폭보다 높은 부분을 말한다."이다.

    펄스폭이란 펄스 파형이 상승 및 하강의 진폭의 66.7[%]가 되는 구간의 시간을 말한다. 상승기간은 펄스의 진폭의 10[%]에서 90[%]까지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하고, 하강시간은 펄스의 진폭이 90[%]에서 10[%]까지 하강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오버슈트는 상승 파형에서 이상적 펄스파의 진폭보다 높은 부분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a)의 회로에 그림(b)와 같은 파형전압을 인가할 때 출력되는 파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RC > T)

(정답률: 78%)
  • 정답은 ""이다.

    이유는 RC 회로에서 입력 신호가 충분한 시간 동안 유지되면, 출력 신호는 지수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상승과 하강 부분이 뚜렷한 사각파 형태인 ""가 출력 신호로 가장 적합하다.

    반면에 ""와 ""는 출력 신호가 입력 신호와 유사하지 않고, ""는 출력 신호가 지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16 진수(2AE)16을 8 진수로 변환하면?

  1. (257)8
  2. (1256)8
  3. (2557)8
  4. (4317)8
(정답률: 80%)
  • 16 진수 2AE를 2진수로 변환하면 0010 1010 1110이 된다. 이를 3자리씩 끊어서 010 101 011 110이 된다. 이를 각각 8진수로 변환하면 2 5 3 6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536)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2진코드 0011과 0100을 더하여 그레이코드(Gray Code)로 변환한 값은?

  1. 0100
  2. 0101
  3. 0111
  4. 1001
(정답률: 60%)
  • 0011과 0100을 더하면 0111이 된다. 이를 그레이코드로 변환하면 이웃하는 숫자들 간의 차이가 1이 되도록 변환된다. 따라서 0111을 그레이코드로 변환하면 010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진리표가 다음과 같을 때 해당되는 게이트는?

  1. AND
  2. OR
  3. NAND
  4. NOR
(정답률: 76%)
  • 진리표에서 입력 A와 입력 B가 모두 0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OR 게이트의 반대로 동작하는 것이므로 NOR 게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링 카운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입력 신호를 받을 때 마다 상태가 하나씩 다음으로 이동한 카운터이다.
  2. 각각의 상태마다 한 개의 플립플롭을 사용하는 카운터이다.
  3. 디코딩게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디코딩 할 수 있다.
  4. 특별한 순차를 만들고자 할 때 사용한다.
(정답률: 62%)
  • "각각의 상태마다 한 개의 플립플롭을 사용하는 카운터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링 카운터는 여러 개의 플립플롭을 사용하여 특정한 순서를 만들어내는 카운터입니다. 따라서 "특별한 순차를 만들고자 할 때 사용한다."라는 설명이 맞습니다. 링 카운터는 디코딩게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디코딩할 수 있으며, 입력 신호를 받을 때마다 상태가 하나씩 다음으로 이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여러 개의 입력신호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하는 것은?

  1. 디멀티플렉서
  2. 멀티플렉서
  3. 레지스터
  4. 디코더
(정답률: 88%)
  • 멀티플렉서는 여러 개의 입력신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는 다수의 입력신호를 하나의 출력신호로 선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멀티플렉서가 가장 적합한 답이다. 디멀티플렉서는 하나의 입력신호를 여러 개의 출력신호로 분배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디코더는 이진수 입력에 대해 1개의 출력을 생성하는데, 멀티플렉서와는 반대의 동작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레지스터(Register)의 기능으로 맞는 것은?

  1. 펄스 신호의 발생
  2. 데이터의 일시 저장
  3. 카운터 대용
  4. 클록 회로의 동기
(정답률: 90%)
  •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전송하는 과정에서 중간에 일시적으로 저장해야 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일시 저장"이 레지스터의 기능으로 맞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카운터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레지스터의 주요 기능은 데이터 저장입니다. 또한, 클록 회로의 동기화와 관련된 기능도 있지만 이는 레지스터의 주요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카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응용 사례가 아닌 것은?

  1. Timer
  2. 기본 펄스 주파수의 체배
  3. 기본 펄스 주파수의 분주
  4. 펄스 진폭의 증폭
(정답률: 67%)
  • 카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응용 사례가 아닌 것은 "펄스 진폭의 증폭"이다. 카운터는 입력 신호의 펄스 개수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펄스 진폭의 증폭은 입력 신호의 형태를 변경시키는 것이므로 카운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기기

21. 정보 단말기의 기능 중 사람이 식별 가능한 데이터를 통신 장비가 처리 가능한 2진 신호로 변환하거나 그 역(逆)을 행하는 기능은?

  1. 신호 변환 기능
  2. 입ㆍ출력 기능
  3. 송ㆍ수신 제어 기능
  4. 에러 제어 기능
(정답률: 74%)
  • 입ㆍ출력 기능은 정보 단말기에서 사람이 인식 가능한 데이터를 통신 장비가 처리 가능한 2진 신호로 변환하거나 그 역(逆)을 수행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이는 정보 단말기와 통신 장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며, 사용자가 정보 단말기를 조작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출력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이 기능은 정보 단말기의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기능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정보통신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파일관리 기능만을 열거한 것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매체공간 관리기능
  2. 기억소자 관리기능
  3. 에러제어 관리기능
  4. 엑세스 제어기능
(정답률: 66%)
  • 정보통신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파일관리 기능만을 열거한 것으로, "기억소자 관리기능"은 하드웨어적인 기능이므로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통신 제어 장치(CCU)의 기능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송ㆍ수신 제어
  2. 전송 에러 제어
  3. 시분할 다중 제어
  4. 입ㆍ출력 제어
(정답률: 64%)
  • CCU의 기능 중 입ㆍ출력 제어는 없습니다. CCU는 송ㆍ수신 제어, 전송 에러 제어, 시분할 다중 제어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입ㆍ출력 제어는 다른 장치인 I/O 컨트롤러가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입력 장비가 3개인 동기식 TDM에서 각 프레임은 7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레임마다 동기를 위해서 2[bits]를 할당한다. 각 문자는 8[bits]이고, 각 입력단의 장비는 5,800[bps]로 보낸다고 할 때 다중화 된 후의 프레임 속도는?

  1. 100[frames/second]
  2. 200[frames/second]
  3. 300[frames/second]
  4. 400[frames/second]
(정답률: 86%)
  • 하나의 프레임은 7개의 문자와 2개의 동기 비트로 구성되므로, 하나의 프레임은 총 7*8+2=58[bits]이다. 따라서, 3개의 입력 장비가 동기식 TDM으로 다중화되면, 한 프레임에는 총 3*58=174[bits]가 전송된다. 이를 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로 환산하면, 174*100[frames/second]=17,400[bps]가 된다. 하지만, 입력 장비의 전송 속도는 5,800[bps]이므로, 이를 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로 환산하면 5,800[bps]=5,800[bits/second]가 된다. 따라서, 다중화된 후의 프레임 속도는 5,800[bits/second]/174[bits/frame]=33.33[frames/second]이 된다. 하지만, 이는 정답 보기 중에 없으므로, 다시 계산해보면, 5,800[bps]/(3*58[bits/frame])=33.33[frames/second]이므로, 이를 반올림하여 정답은 "300[frames/second]"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컴퓨터가 터미널에게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지를 묻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링크
  2. 폴링
  3. 셀렉션
  4. 어드레싱
(정답률: 88%)
  • 폴링은 컴퓨터가 터미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먼저 터미널에게 데이터가 있는지 물어보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데이터 전송 시 충돌을 방지하고,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폴링"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DSU와 MODEM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MODEM은 DTE와 아날로그 회선망을 접속한다.
  2. MODEM 간의 신호 전송형태는 디지털이다.
  3. DSU은 DTE와 디지털 회선망을 접속한다.
  4. DSU는 DTE로부터의 단극성 펄스를 북극성 펄스로 변환한다.
(정답률: 76%)
  • "MODEM 간의 신호 전송형태는 디지털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MODEM은 DTE와 아날로그 회선망을 접속하여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거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MODEM 간의 신호 전송형태는 아날로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초기의 전화망은 각각의 전화기가 모두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었다. 이런 구성의 경우 전화기 n개를 연결하기 위하여 필요한 회선의 개수는?

  1. (n-1)/2
  2. n(n-1)/2
  3. (n+1)/2
  4. n(n+1)/2
(정답률: 91%)
  • 각 전화기는 다른 모든 전화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첫 번째 전화기는 n-1개의 회선이 필요하고, 두 번째 전화기는 n-2개의 회선이 필요하고, 세 번째 전화기는 n-3개의 회선이 필요하고, 이런 식으로 n번째 전화기는 1개의 회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모든 전화기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회선의 개수가 필요하다.

    (n-1) + (n-2) + (n-3) + ... + 1

    이를 간단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n(n-1)/2

    따라서 정답은 "n(n-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모뎀과 제한된 기능의 다중화기가 혼합된 형태의 변복조기로서 고속동기식 모뎀에 시분할 다중화 기기를 하나로 합친 것은?

  1. 멀티포트 모뎀
  2. 멀티포인트 모뎀
  3. 고속 모뎀
  4. 광대역 모뎀
(정답률: 73%)
  • 멀티포트 모뎀은 모뎀과 다중화기를 합친 형태로, 여러 대의 컴퓨터를 한 번에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이는 시분할 다중화 기능과 고속동기식 모뎀을 함께 사용하여 더욱 효율적인 인터넷 연결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멀티포트"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멀티포인트 모뎀, 고속 모뎀, 광대역 모뎀은 멀티포트 모뎀과는 다른 종류의 모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공동 이용기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선로 공동 이용기
  2. 모뎀 공동 이용기
  3. 포트 공동 이용기
  4. 디지털 서비스 유닛 공동 이용기
(정답률: 88%)
  • 디지털 서비스 유닛 공동 이용기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용어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전화기에서 사용하는 진동판의 구비조건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자유진동이 적을 것
  2. 외력에 비례해서 되도록 큰 진폭으로 진동할 것
  3. 진동판의 평면 면적은 가급적 작을 것
  4. 온도 변화에 안정적으로 구동할 것
(정답률: 76%)
  • "진동판의 평면 면적은 가급적 작을 것"은 구비조건으로 맞지 않는다. 이유는 진동판의 면적이 작을수록 진동판이 전달하는 진동의 에너지가 적어지기 때문에 진동의 세기가 약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동판의 면적은 충분히 크게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전화 전송에 있어서 송화단의 전압과 수화단의 전압의 비가 100:1일 때 전송량[dB]은 얼마인가?

  1. 10[dB]
  2. 20[dB]
  3. 30[dB]
  4. 40[dB]
(정답률: 76%)
  • 전압 비가 100:1이므로, 전송량은 20log(100) = 40[dB]가 된다. 이는 로그함수의 성질에 따라 전압 비가 10배씩 증가할 때마다 20[dB]씩 증가하므로, 100배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20log(100) = 40[dB]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교환기의 교환방식은 수동식과 자동식으로 구분된다. 다음 중 자동식 교환기가 아닌 것은?

  1. 기계식
  2. 전자교환식
  3. 광교환식
  4. 공전식
(정답률: 80%)
  • 공전식은 교환기의 종류가 아니며, 기계식, 전자교환식, 광교환식과 같은 교환기의 종류와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공전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TV에 인터넷 접속 기능을 결합, 각종 앱(Application)을 설치해 웹서핑 및 VOD 시청,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게임 등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기기는?

  1. HDTV
  2. OLED TV
  3. PDP TV
  4. SMART TV
(정답률: 92%)
  • SMART TV는 TV에 인터넷 접속 기능을 결합하여 다양한 앱을 설치하고 웹서핑, VOD 시청,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게임 등을 활용할 수 있는 기기이다. HDTV, OLED TV, PDP TV는 모두 TV의 종류를 나타내는 용어이며, SMART TV와는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위성통신시스템에서 송신신호화 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장치로서 일종의 방향성 결합기 역할을 하는 것은?

  1. 다이플렉서
  2. 주파수 변환기
  3. 전력 증폭기
  4. 안테나
(정답률: 69%)
  • 다이플렉서는 위성통신시스템에서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장치로서,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를 분리하여 각각의 수신기로 보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다이플렉서가 일종의 방향성 결합기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주파수 변환기는 주파수를 변환하는 역할을 하고, 전력 증폭기는 신호의 전력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FM변조에서 주파수 변이가 일정한 한계를 넘지 않도록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회로는?

  1. IDC 회로
  2. AVC 회로
  3. DAGC 회로
  4. AFC 회로
(정답률: 77%)
  • IDC 회로는 Intermediate Frequency (중간 주파수)에서 주파수 변이가 일정한 한계를 넘지 않도록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회로이다. 이 회로는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중간 주파수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검출하여 변조 신호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FM 변조에서 주파수 변이를 제어하는 IDC 회로가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무선수신기 전단에 설치하는 고주파 증폭기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신호대 잡음비의 개선
  2. 영상주파수에 의한 혼신 경감
  3. 부차적 전파의 방사 방지
  4. 고주파 신호의 대역폭 확대
(정답률: 68%)
  • 고주파 증폭기의 목적 중 고주파 신호의 대역폭 확대는 아닙니다. 이유는 고주파 신호의 대역폭은 이미 고주파 증폭기 이전에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고주파 증폭기는 주로 신호대 잡음비의 개선, 영상주파수에 의한 혼신 경감, 부차적 전파의 방사 방지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방식이 아닌 것은?

  1. 블루투스
  2. UWB
  3. Zigbee
  4. 위성통신
(정답률: 79%)
  • 위성통신은 WPAN 방식이 아니라 WPAN과는 다른 네트워크 방식인 WAN(Wide Area Network)에 해당한다. WPAN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 주로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블루투스, UWB, Zigbee 등이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수상기와 전용키보드를 단말로 하고 이들 단말과 화상ㆍ음성 파일 장치를 가진 센터 사이를 광대역 전송로로 개별적으로 접속하여 이용자 요구에 따라 정보를 개별적으로 제공해 주는 시스템은?

  1. 텔리텍스트
  2. VRS(Video Response System)
  3. 화상전화시스템
  4. CRS(Computer Reservation System)
(정답률: 78%)
  • VRS(Video Response System)은 화상과 음성 파일 장치를 가진 센터와 텔레비전 수상기와 전용키보드를 단말로 하여 개별적으로 접속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이용자는 집에서 텔레비전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요청하고, 센터에서는 화상과 음성 파일 장치를 통해 이용자의 요구에 맞는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VRS(Video Response System)이라고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비디오텍스의 방식 중 포토 그래픽 방식을 기본으로 하여 도형을 패턴 정보로 부호화하여 보내는 방식은?

  1. CEPT 방식
  2. CAPTAIN 방식
  3. NAPLSS 방식
  4. TELEX 방식
(정답률: 69%)
  • CAPTAIN 방식은 포토 그래픽 방식을 기본으로 하여 도형을 패턴 정보로 부호화하여 보내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비디오텍스에서 사용되는 방식 중 하나이며, 도형을 패턴 정보로 변환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 시간이 짧고, 전송된 도형을 정확하게 복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방식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멀티미디어 압축방식 중 동영상 압축 기술에 대한 표준 규격은?

  1. TXT
  2. DOC
  3. JPEG
  4. MPEG
(정답률: 90%)
  • MPEG은 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의 약자로, 동영상 압축 기술에 대한 국제 표준 규격을 제정하는 단체이다. 따라서 MPEG은 동영상 압축 기술에 대한 표준 규격을 제공하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전송개론

41. 다음 중 DPCM 송신기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양자화기
  2. 부호화기
  3. 예측기
  4. 차동 증폭기
(정답률: 67%)
  • DPCM 송신기의 구성요소는 양자화기, 부호화기, 예측기이며, 차동 증폭기는 DPCM 수신기의 구성요소입니다. 차동 증폭기는 수신된 차분 신호를 복원된 예측 신호와 결합하여 원래의 신호를 복원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T1 전송시스템은 한 프레임 당 125[μs] 시간 동안 총 24채널을 다중화한다. 이 때 전송로 상의 전송속도는 얼마인가?

  1. 1.544[Mbps]
  2. 2.048[Mbps]
  3. 6.312[Mbps]
  4. 1.536[Mbps]
(정답률: 80%)
  • T1 전송시스템은 24채널을 다중화하여 한 프레임 당 125[μs] 시간 동안 전송한다. 따라서 한 채널당 사용 가능한 시간은 125[μs] / 24 = 5.208[μs] 이다. T1 전송시스템은 PCM 방식을 사용하며, 1초당 8000개의 샘플링을 하고, 각 샘플링은 8비트로 표현된다. 따라서 한 채널당 전송속도는 8000 * 8 = 64[kbps] 이다. 따라서 24채널을 다중화한 전송속도는 24 * 64[kbps] = 1.536[Mbps] 이다. 하지만, T1 전송시스템은 오버헤드를 고려해 1.544[Mbps]의 전송속도를 사용한다. 이는 1.536[Mbps]에 추가적인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오버헤드를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1.544[Mbp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반송 다중통신에서 초군(기초 초군)대역을 이용하는 경우 4[kHz]의 음성채널 몇 개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가?

  1. 20개
  2. 30개
  3. 50개
  4. 60개
(정답률: 73%)
  • 초군(기초 초군)대역의 대역폭은 4[kHz]이다. 음성채널 하나는 대역폭이 4[kHz]이므로, 초군대역을 이용하여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음성채널 수는 초군대역 대역폭을 음성채널 대역폭으로 나눈 값과 같다. 따라서, 4[kHz] / 4[kHz] = 1개의 음성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60개의 음성채널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정답은 "20개", "30개", "50개" 중 하나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1비트인 2레벨 양자화를 사용하는 변조방식은?

  1. TDM
  2. DPCM
  3. PCM
  4. DM
(정답률: 78%)
  • 1비트인 2레벨 양자화를 사용하는 변조방식은 DM(Delta Modulation)이다. DM은 입력 신호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이전 샘플과의 차이를 1비트로 양자화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주로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동축케이블의 전기적 특성 중 단위길이당 저항은 사용 주파수(f)와 어떤 관계인가?

  1. f와 비례
  2. f와 반비례
  3. √f와 비례
  4. √f와 반비례
(정답률: 65%)
  • 동축케이블의 전기적 특성 중 단위길이당 저항은 사용 주파수(f)와 √f와 비례합니다. 이는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전기적 에너지가 케이블 내부에서 더 빠르게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케이블 내부의 전기장이 더 강해지고, 전류가 더 많이 흐르게 되어 저항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f와 비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UTP 케이블을 PC랜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형태로 알맞은 것은?

  1. RJ-11
  2. RJ-23
  3. RJ-45
  4. RJ-56
(정답률: 86%)
  • 정답: RJ-45

    설명: UTP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RJ-45 커넥터를 사용하여 PC랜 단자와 연결됩니다. RJ-11은 전화선에 사용되는 커넥터이며, RJ-23과 RJ-56은 존재하지 않는 커넥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무선통신 다원접속 방식 중 가입자 수용용량이 가장 큰 방식은? (단, 무선통신 조건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1. FDMA
  2. TDMA
  3. CDMA
  4. WDMA
(정답률: 76%)
  • CDMA 방식은 다른 방식들과 달리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지 않고 모든 가입자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각각의 가입자는 고유한 코드를 가지고 있어서 서로 간섭 없이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CDMA 방식은 가입자 수용용량이 가장 큰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UTP케이블을 이용하여 공장 내 통신기기를 직접 연결하고자 한다. UPT 케이블의 손실이 5[dB]일 때 케이블의 대략적인 길이는? (단, UTP케이블 감쇄 손실은 2.5[dB/km]이다.)

  1. 0.5[km]
  2. 1[km]
  3. 1.5[km]
  4. 2[km]
(정답률: 83%)
  • UTP 케이블의 감쇄 손실은 2.5[dB/km]이므로, 5[dB]의 손실을 감안하면 케이블의 길이는 5/2.5 = 2[k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k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비동기식 전송 방식에서 Stop Bit의 역할을 무엇인가?

  1. 다음 문자를 수신할 수 있도록 준비 시간을 제공한다.
  2. 블록단위로 데이터를 일시에 전송하도록 한다.
  3. 헤딩의 시작을 표시한다.
  4. 텍스트의 시작을 표시한다.
(정답률: 82%)
  • Stop Bit은 비동기식 전송 방식에서 데이터 비트와 패리티 비트 다음에 전송되는 비트로, 다음 문자를 수신할 수 있도록 준비 시간을 제공합니다. 이는 수신 측에서 이전 문자의 처리가 완료되고 다음 문자를 수신할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Stop Bit는 데이터 전송의 신호 처리를 돕는 중요한 비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혼합형 동기식 전송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비동기식 전송보다 전송속도가 빠르다.
  2. Star bit와 Stop bit가 없다.
  3. 송신측과 수신측이 동기 상태에 있어야 한다.
  4. 문자와 문자 사이에 휴지시간이 있을 수 있다.
(정답률: 76%)
  • "Star bit와 Stop bit가 없다."는 혼합형 동기식 전송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혼합형 동기식 전송 방식에서도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Star bit와 Stop bit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디지털 변조에 의해 디지털 신호의 주파수대역을 옮겨서 전송하는 방식은?

  1. Broadband 전송
  2. Baseband 전송
  3. PCM 전송
  4. SSB 전송
(정답률: 75%)
  • 디지털 변조에 의해 디지털 신호의 주파수대역을 옮겨서 전송하는 방식은 "Broadband 전송"이다. 이는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Baseband 전송"은 좁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며, "PCM 전송"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SSB 전송"은 신호의 상하파를 제거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주로 라디오 통신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통화로 신호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화로와 신호로가 개별회선에 중첩되는 방식이다.
  2. 각각의 선로에 신호를 함께 실어 보내는 방식이다.
  3. 회선개별신호방식(Per Channel Signaling)이라 부르기도 한다.방
  4. ITU-T No.7 식으로 표준화 되었다.
(정답률: 77%)
  • "각각의 선로에 신호를 함께 실어 보내는 방식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통화로 신호 방식은 개별 회선에 중첩되는 방식으로, 각각의 선로에 신호를 따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통화와 신호가 함께 전송됩니다. ITU-T No.7은 통화로 신호 방식을 표준화한 국제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패킷 공중 통신망에서 가입자와 망간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1. X.21
  2. X.23
  3. X.25
  4. X.27
(정답률: 76%)
  • 패킷 공중 통신망에서 가입자와 망간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X.25이다. 이는 이전에 사용되던 X.21과 X.23보다 더 발전된 기술로,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X.25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다양한 장비와 시스템 간의 호환성이 높다는 장점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ISO에서 제안한 LAN프로토콜 중 논리링크 제어 및 매체 엑세스 제어를 기술하고 있는 계층은 OSI의 어느 계층에 해당하는가?

  1. 물리계층
  2. 데이터링크계층
  3. 네트워크계층
  4. 전달계층
(정답률: 78%)
  • ISO에서 제안한 LAN 프로토콜 중 논리링크 제어 및 매체 엑세스 제어를 기술하고 있는 계층은 데이터링크계층이다. 이는 물리적인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논리적인 연결을 제어하고, 매체 엑세스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데이터링크계층은 OSI 모델의 두 번째 계층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OSI 7계층 참조모델 중 제 4계층에 해당되는 것은?

  1. 응용계층
  2. 전송계층
  3. 표현계층
  4. 물리계층
(정답률: 85%)
  • 전송계층은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으로, 데이터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보장합니다. 이 계층에서는 TCP, UDP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목적지에 안전하게 전송합니다. 따라서, OSI 7계층 참조모델 중 제 4계층에 해당하는 것은 전송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중 한 장비에서 다른 한 장비로 1:1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1. 유니캐스트
  2. 브로드캐스트
  3. 멀티캐스트
  4. 애니캐스트
(정답률: 85%)
  • 유니캐스트는 한 장비에서 다른 한 장비로 1:1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는 목적지가 하나이기 때문에 다른 장비들은 해당 메시지를 받지 않는다. 따라서 유니캐스트는 효율적이고 보안성이 높은 데이터 전송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IP address 체계의 C class의 기본 서브넷 마스크에 해당하는 것은?

  1. 255.0.0.0
  2. 255.255.0.0
  3. 255.255.255.0
  4. 255.255.255.255
(정답률: 92%)
  • C class IP 주소 체계는 첫 번째 옥텟이 192 ~ 223 범위에 속하며, 기본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 입니다. 이는 24비트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ID를 나타내고, 8비트를 사용하여 호스트 ID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서브넷 마스크는 24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네트워크 ID는 3개의 옥텟으로 구성되며, 호스트 ID는 마지막 옥텟으로 구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라우팅 테이블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정보는?

  1. 송신지 IP address
  2. 목적지 네트워크
  3. 다음 홉(hop) IP address
  4. 로컬 인터페이스
(정답률: 74%)
  • 라우팅 테이블은 목적지 네트워크와 다음 홉 IP 주소, 그리고 로컬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합니다. 하지만 송신지 IP 주소는 라우팅 테이블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라우팅 테이블이 패킷을 전달할 때 목적지 네트워크와 다음 홉 IP 주소를 기반으로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송신지 IP 주소는 패킷을 보내는 호스트의 주소이므로 라우팅 테이블에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변복조기(MODEM)의 송신부에 동작순서로 맞는 것은?

  1. 단말장치 - 부호화기 - 변조기 – 대역제한필터 - 증폭기 - 변환기
  2. 단말장치 - 증폭기 - 변조기 –부호화기 - 대역제한필터 - 변환기
  3. 단말장치 - 부호화기 - 변조기 - 변환기 - 대역제한필터 - 증폭기
  4. 단말장치 - 대역제한필터 - 부호화기 – 증폭기 - 변환기 - 변조기
(정답률: 71%)
  • 단말장치에서 보내는 디지털 신호를 부호화기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변조기에서 변조하여 대역제한필터를 거쳐 증폭기에서 증폭한 후 변환기에서 다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것이 올바른 동작 순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단말장치 - 부호화기 - 변조기 – 대역제한필터 - 증폭기 - 변환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HDLC 구조에서 CRC기법에 의해 계산된 에러 검사용 정보를 나타내는 것은?

  1. Flag
  2. Address
  3. Control
  4. FCS
(정답률: 82%)
  • HDLC 프레임의 마지막에 위치한 FCS는 CRC 기법에 의해 계산된 에러 검사용 정보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FC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설비기준

61. 컴퓨터에 있는 실제적인 컴퓨터로서 메모리나 I/O 장치로부터 읽거나 쓰는 명령 및 수학연산을 수행하는 것은?

  1. I/O포트
  2. CPU
  3. 메모리 슬롯
  4. PCI확장슬롯
(정답률: 80%)
  • CPU는 Central Processing Unit의 약자로, 중앙처리장치라고도 불립니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로, 메모리나 I/O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연산을 수행하며, 결과를 다시 메모리나 I/O 장치에 쓰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CPU가 메모리나 I/O 장치로부터 읽거나 쓰는 명령 및 수학연산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CPU"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마이크로컨트롤러의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조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CPU Core
  2. Power
  3. Peripheral Interface
  4. Memory
(정답률: 67%)
  • 마이크로컨트롤러의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조에는 CPU 코어, 주변 인터페이스, 메모리가 포함됩니다. 하지만 "Power"는 하드웨어 구조에 속하지 않습니다. "Power"는 전원 공급을 위한 요소이며, 하드웨어 구조의 일부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컴퓨터를 구성하고자 할 때, 메모리를 선택하는 요인 중 제일 우선순위가 낮은 것은?

  1. 접근 속도(Access Time)
  2. 기억 용량(Memory Capacity)
  3. 회로의 복잡성(Circuit Complexity)
  4. 연산처리속도
(정답률: 82%)
  • 메모리를 선택하는 요인 중에서는 회로의 복잡성이 가장 우선순위가 낮은 이유는, 회로의 복잡성은 메모리의 성능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입니다. 메모리의 접근 속도, 기억 용량, 연산 처리 속도 등이 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요소들을 우선 고려하고, 그 다음에 회로의 복잡성을 고려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2n개의 입력 중에서 n개의 선택에 의해 1개의 출력을 내보내는 것은?

  1. 레지스터
  2. 카운터
  3. 멀티플렉서
  4. 디코더
(정답률: 82%)
  • 2의 n승은 2를 n번 곱한 것이므로, 2의 n승개의 입력이 있다는 것은 각 입력이 2진수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때 n개의 입력을 선택하여 출력으로 내보내는 것은 n비트의 이진수를 선택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멀티플렉서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멀티플렉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진수 표현 중에 제일 작은 수에 해당하는 것은?

  1. FF(16)
  2. 11111111(2)
  3. 254(10)
  4. 377(8)
(정답률: 77%)
  • 진수가 작을수록 해당 진수로 표현할 수 있는 숫자의 개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제일 작은 수는 1진수로 표현한 1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진수로 표현한 숫자가 없으므로, 다음으로 작은 진수인 2진수부터 차례대로 비교해보면 된다.

    - "11111111(2)" : 2진수로 표현한 11111111은 10진수로 255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보다 작은 수를 찾아야 한다.
    - "377(8)" : 8진수로 표현한 377은 10진수로 255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보다 작은 수를 찾아야 한다.
    - "FF(16)" : 16진수로 표현한 FF는 10진수로 255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보다 작은 수를 찾아야 한다.
    - "254(10)" : 10진수로 표현한 254는 1진수부터 10진수까지의 모든 진수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중에서 가장 작은 수이다.

    따라서 정답은 "254(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ROM과 RAM의 차이점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RAM은 휘발성 메모리라고 한다.
  2. EPROM은 한 번 쓰면 지울 수 없다.
  3. RAM은 동적RAM과 정적RAM으로 나눌 수 있다.
  4. ROM의 종류에는 EPROM, EEPROM, PROM 등이 있다.
(정답률: 85%)
  • 정답은 "EPROM은 한 번 쓰면 지울 수 없다." 인 이유를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해줘.입니다.

    EPROM은 일반적으로 UV 광선을 사용하여 지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 번 쓰면 지울 수 없는 것은 PROM입니다. PROM은 일회성으로 프로그래밍되며, 이후에는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컴퓨터에서 보수를 사용하는 이유로 가장 옳은 것은?

  1. 가산의 결과를 체크하기 위한 방법
  2. 감산에서 보수의 가산으로 감산의 역할을 대신하기 위한 방법
  3. 승산에서 연산의 수행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
  4. 제산에서의 불필요한 과정을 제거시키기 위한 방법
(정답률: 79%)
  • 감산에서 보수의 가산으로 감산의 역할을 대신하기 위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음수를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로, 음수를 2의 보수로 나타내어 양수와 덧셈을 수행함으로써 감산을 대신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감산 연산을 따로 구현하지 않아도 되어서 연산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컴퓨터 사용자가 컴퓨터의 본체 및 각 주변 장치를 가장 능률적이고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은?

  1. Operating System
  2. Macro
  3. Compiler
  4. Loader
(정답률: 83%)
  • "Operating System"은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고,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을 중재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컴퓨터 사용자가 컴퓨터의 본체 및 각 주변 장치를 가장 능률적이고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다른 보기인 "Macro", "Compiler", "Loader"는 각각 프로그래밍 언어나 소프트웨어 개발에 사용되는 도구들이며, 컴퓨터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CPU가 실행하여야 할 명령어의 수가 75개인 경우 명령어 구분을 위한 명령코드(Op-Code)는 최소한 몇 비트가 필요한가?

  1. 5비트
  2. 6비트
  3. 7비트
  4. 8비트
(정답률: 85%)
  • 75개의 명령어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7비트가 필요하다. 이는 2의 7승인 128개의 서로 다른 코드를 표현할 수 있는 7비트 이진수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7비트가 최소한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인터럽트가 필요한 경우가 아닌 것은?

  1. 명령어를 순서대로 처리하는 경우
  2. CPU가 입출력장치를 통하여 데이터를 압축하는 경우
  3. CPU에 타이밍기능을 부여하는 경우
  4. 시스템에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정답률: 68%)
  • "명령어를 순서대로 처리하는 경우"는 인터럽트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이다. 이는 CPU가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를 완료하기 전까지 다음 명령어를 처리하지 않고 기다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작업이나 이벤트가 발생해도 CPU는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를 끝까지 처리한 후에야 다른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이 전기통신의 원활한 발전과 정보사회의 촉진을 위하여 수립하는 '정보통신기본계획'에 포함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전기통신의 질서유지에 관한 사항
  2. 전기통신의 이용효율화에 관한 사항
  3. 전기통신기술의 진흥에 관한 사항
  4. 국가정보화와 관련된 국제협력의 활성화에 관한 사항
(정답률: 76%)
  • 정보통신기본계획은 전기통신의 질서유지, 이용효율화, 기술진흥과 함께 국가정보화와 관련된 국제협력의 활성화에 관한 사항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정보화와 관련된 국제협력의 활성화에 관한 사항"은 정보통신기본계획에 포함되는 사항이 아닌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수의 전기통신회선을 제어ㆍ접속하여 회선 상호 간의 방송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교환기와 그 부대설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교환설비
  2. 선로설비
  3. 전송설비
  4. 중계설비
(정답률: 61%)
  • 교환설비는 다수의 전기통신회선을 제어ㆍ접속하여 회선 상호 간의 방송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설비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주어진 설명과 일치하는 답은 "교환설비"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선로, 전송, 중계와 관련된 설비들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전기통신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유형 또는 무형의 계통적 전기통신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통신선
  2. 접지선
  3. 회선
  4. 전선
(정답률: 86%)
  • 회선은 전기통신에서 실제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유형 또는 무형의 전기통신로를 말합니다. 따라서 "통신선", "접지선", "전선"은 모두 전기통신과 관련된 용어이지만, 데이터 전송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은 회선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백본(Back-bone), 방화벽(Fire Wall)과 같이 홈게이트웨이와 단지서버간의 통신 및 보안을 수행하는 장비는?

  1. 단지연결서버
  2. 단지네트워크장비
  3. 구내네트워크센터
  4. 월패드
(정답률: 65%)
  • 홈게이트웨이와 단지서버간의 통신 및 보안을 수행하는 장비는 단지네트워크장비입니다. 이는 단지 내부의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보호하기 위한 장비로, 백본과 방화벽과 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구내네트워크센터는 단지 내부의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곳이지만, 실제로 통신과 보안을 수행하는 장비는 단지네트워크장비입니다. 단지연결서버는 단지 내부의 서버를 관리하는 장비이며, 월패드는 스마트홈 기기를 제어하는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별정통신사업에 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별정통신사업을 하려는 사람은 정보통신망에 의해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2. 별정통신사업자가 되기 위해서는 재정 및 기술적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3. 별정통신사업자는 등록한 날로부터 1년 이내에 사업을 시작해야 한다.
  4. 별정통신사업의 등록은 법인만 할 수 있다.
(정답률: 74%)
  • "별정통신사업의 등록은 법인만 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것이다. 개인도 별정통신사업을 등록할 수 있다.

    "별정통신사업을 하려는 사람은 정보통신망에 의해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등록하여야 한다."는 별정통신사업을 시작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이를 통해 국가는 별정통신사업을 하는 사람들을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별정통신사업자가 되기 위해서는 재정 및 기술적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는 별정통신사업을 하기 위한 필수 조건 중 하나이다. 이를 통해 별정통신사업자가 안정적으로 사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별정통신사업자는 등록한 날로부터 1년 이내에 사업을 시작해야 한다."는 별정통신사업을 등록한 후, 일정 기간 내에 사업을 시작하지 않으면 등록이 취소될 수 있다는 내용이다. 이를 통해 국가는 등록만 하고 실제로 사업을 하지 않는 사람들을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공사업자의 감리 제한 규정을 위반하여 공사와 감리를 함께한 자에 대한 벌칙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3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률: 72%)
  • 공사업자와 감리자는 각각 독립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공사업자가 감리자의 감리를 제한하거나 방해하는 행위는 업무상의 신뢰를 해치고 공사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공사와 감리를 함께한 자에 대해서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가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200볼트
  2. 300볼트
  3. 400볼트
  4. 500볼트
(정답률: 83%)
  • 전구의 규격이 100W, 220V이므로 전압이 220V일 때 100W의 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전압이 높을수록 더 많은 전력을 발생시키므로 300볼트일 때 100W의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류가 가장 적어 정답은 "300볼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방송통신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방송통신설비의 관리 규정을 정하여야 하는 방송통신사업자가 아닌 것은?

  1. 위성방송사업자
  2. 지상파방송사업자
  3. 종합유선방송사업자
  4. 중계유선방송사업자
(정답률: 78%)
  • 중계유선방송사업자는 방송통신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사업자가 아니라, 다른 방송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방송통신서비스를 중계하는 사업자이기 때문에 방송통신설비의 관리 규정을 정하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중계유선방송사업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모든 이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적절한 요금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기본적인 전기통신 역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부가적 역무
  2. 특정적 역무
  3. 보편적 역무
  4. 공공적 역무
(정답률: 84%)
  • 정답: 보편적 역무

    설명: 보편적 역무는 모든 이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적절한 요금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기본적인 전기통신 역무를 말합니다. 이는 공공적 역무로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제공하며, 모든 이용자에게 동등하게 제공되어야 합니다. 반면, 부가적 역무는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부가적인 서비스를 말하며, 특정적 역무는 일부 이용자나 지역에만 제공되는 특정한 서비스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설비의 설치ㆍ보전을 위해 타인의 토지를 일시 사용할 수 있는 기간에 관한 규정으로 맞는 것은?

  1. 6개월을 초과할 수 없다.
  2. 1년을 초과할 수 없다.
  3. 1년 6개월을 초과할 수 없다.
  4. 2년을 초과할 수 없다.
(정답률: 75%)
  • 기간통신사업자가 타인의 토지를 일시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은 법률에서 6개월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토지 소유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일시적인 사용으로 인한 불이익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6개월을 초과할 경우에는 추가적인 협의나 계약이 필요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