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5-31)

정보통신산업기사
(2014-05-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전자회로

1. 전원공급기를 처음 켰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서지전류로 인하여 발생되는 손상은 어떤 방법으로 막는 것이 바람직한가?

  1. 여러 개의 다이오드를 병렬로 연결하고 이들 각 다이오드와 직렬로 낮은 값의 저항을 연결한다.
  2. 여러 개의 다이오드를 직렬로 연결한다.
  3. 여러 개의 다이오드를 직렬로 연결하고 마지막 다이오드에 낮은 값의 캐패시터를 연결한다.
  4. 변압기의 1차측에 퓨즈를 직렬로 연결한다.
(정답률: 80%)
  • 전원공급기를 처음 켰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서지전류는 전원 스위치를 켰을 때 전원공급기 내부의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가 급격하게 방전되면서 발생한다. 이러한 서지전류로 인한 손상을 막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다이오드를 병렬로 연결하고 이들 각 다이오드와 직렬로 낮은 값의 저항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이오드가 전류의 방향을 제한하고, 저항이 전류를 제한하여 서지전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전원 정류회로의 리플 함유율을 적게 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출력측 평활형 콘덴서의 정전용량을 작게 한다.
  2. 평활형 초크 코일의 인덕턴스를 크게 한다.
  3. 입력측 평활용 콘덴서의 정전용량을 크게 한다.
  4. 교류입력전원의 주파수를 높게 한다.
(정답률: 70%)
  • "출력측 평활형 콘덴서의 정전용량을 작게 한다."가 틀린 이유는, 평활용 콘덴서는 전원의 리플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정전용량이 작을수록 리플 제거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올바른 답은 "출력측 평활형 콘덴서의 정전용량을 크게 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다이오드를 사용한 정류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평활형 초크 코일의 삽입장소에 따라 험(Hum)을 작게 할 수 있다.
  2. 다이오드 내부저항이 클수록 전압변동률이 나빠진다.
  3. 3상 반파정류회로의 경우 출력측에 전원주파수의 3배 주파수가 나타난다.
  4. 부하 임피던스가 낮을수록 리플함유율이 작아진다.
(정답률: 64%)
  • "부하 임피던스가 낮을수록 리플함유율이 작아진다."가 틀린 설명이다. 부하 임피던스가 낮을수록 리플함유율은 오히려 커진다. 이는 부하 임피던스가 낮을수록 다이오드가 전류를 더 많이 공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하 임피던스가 낮을수록 정류회로의 효율은 떨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그림의 회로는 두 개의 비반전 증폭기를 종속 접속한 것이다. 저항 10[kΩ]에 흐르는 전류 Io는 몇 [μA]인가? (단, 각 연산 증폭기는 이상적이다.)

  1. 25[μA]
  2. 50[μA]
  3. 70[μA]
  4. 120[μA]
(정답률: 62%)
  • 이 회로에서는 각 연산 증폭기의 입력 저항이 무한대이므로, 입력 전류는 0이다. 따라서, 전류 Io는 전압 분배 법칙에 따라 R2와 R3에 걸리는 전압의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R2와 R3는 직렬 연결이므로, 전압 분배 법칙에 따라 R2와 R3에 걸리는 전압은 같다. 따라서, Io는 (10[V]/(10[kΩ]+10[kΩ]))*1000 = 5[μA]이다. 하지만, 이 전류는 각 연산 증폭기의 출력 저항에 의해 증폭되므로, 최종적으로 Io는 5[μA]*14 = 70[μ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70[μ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이미터접지 트랜지스터 증폭기회로에서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전압 위상차는 얼마인가?

  1. 0°의 위상차가 있다.
  2. 180°의 위상차가 있다.
  3. 90°의 위상차가 있다.
  4. 270°의 위상차가 있다.
(정답률: 83%)
  • 이미터접지 트랜지스터 증폭기회로는 고주파 증폭기로서,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전압 위상차는 180°의 위상차가 있다. 이는 트랜지스터의 작동 원리에 기인한 것으로, 입력신호와 출력신호가 서로 반대 위상을 가지기 때문이다. 즉, 입력신호가 양의 반주기에 해당하는 구간에서 출력신호는 음의 반주기에 해당하는 구간에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은 고주파 신호의 증폭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0.1[V]의 교류 입력이 10[V]로 증폭되었을 때 증폭도는 몇 [dB]인가?

  1. 10[dB]
  2. 20[dB]
  3. 30[dB]
  4. 40[dB]
(정답률: 62%)
  • 증폭도는 20log(Av)로 계산된다. 여기서 Av는 전압 증폭비를 의미한다. 전압 증폭비는 출력 전압(Vout)을 입력 전압(Vin)으로 나눈 값이다.

    즉, Av = Vout/Vin = 10[V]/0.1[V] = 100

    따라서, 증폭도 = 20log(100) = 40[dB]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발진주파수의 변동원인과 관계없는 것은?

  1. 전원 전압의 변동
  2. 부하의 변동
  3. 건전지 충전의 변화
  4. 주위 온도의 변화
(정답률: 70%)
  • 발진주파수는 전원 전압의 변동, 부하의 변동, 주위 온도의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건전지 충전의 변화는 발진주파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건전지 충전의 변화는 전원 전압의 변동과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직접적으로 발진주파수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수정 발진회로에서 수정 진동자의 전기적 직렬 공진 주파수를 fs, 병렬 공진 주파수를 fp 라 할 때, 가장 안정된 발진을 하기 위한 조건은? (단, fa 는 발진 주파수이다.)

  1. fp < fa < fs
  2. fa = fs
  3. fs < fa < fp
  4. fa = fp
(정답률: 86%)
  • 수정 발진회로에서는 수정 진동자의 공진 주파수가 발진 주파수와 일치해야 안정된 발진이 가능하다. 따라서 fa는 fs와 fp의 중간에 위치해야 한다. 만약 fa가 fs보다 작거나 fp보다 크다면, 수정 진동자는 해당 주파수에서 공진하지 않기 때문에 안정된 발진이 어렵다. 따라서 정답은 "fs < fa < f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수정발진기에서 발진자가 어떤 임피던스 상태일 때 안정된 발진상태를 나타내는가?

  1. 용량성
  2. 유도성
  3. 저항성
  4. 어떤 상태든지 상관없다.
(정답률: 79%)
  • 수정발진기에서 발진자가 유도성 임피던스 상태일 때 안정된 발진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유도성 임피던스 상태에서 발진자의 에너지가 저장되고, 이 에너지가 주기적으로 발진자 내부에서 왕복하면서 발진이 유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도성 임피던스 상태에서는 안정된 발진상태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PCM에서 미약한 신호는 진폭을 크게 하고 진폭이 큰 신호는 진폭을 줄이는 기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프리엠퍼시스(Pre-emphasis)
  2. 압신(Companding)
  3. 디엠퍼시스(De-emphasis)
  4. FM 복조시의 리미팅(Limiting)
(정답률: 81%)
  • 압신(Companding)은 PCM에서 미약한 신호는 진폭을 크게 하고 진폭이 큰 신호는 진폭을 줄이는 기능을 말합니다. 이는 소리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즉, 작은 신호를 더 크게 만들어서 노이즈와 같은 잡음을 줄이고, 큰 신호를 작게 만들어서 왜곡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PCM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N비가 좋다.
  2. 넓은 주파수 대역을 차지한다.
  3. 신호파를 표본화(Sampling)한다.
  4. 잡음에 대해서 극히 약한 방식이다.
(정답률: 83%)
  • 잡음에 대해서 극히 약한 방식이다. - PCM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신호를 표본화하여 디지털화하는 과정에서 잡음이 발생할 수 있지만,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적절한 샘플링 주파수와 양자화 비트 수를 설정하고, 노이즈 제거 필터링 등의 기술을 적용하여 잡음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잡음에 대해서 극히 약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클리핑(Clipping) 회로에서 입력이 Vi= 6sin(200t)[V]인 경우 출력 전압 Vo의 최고치 전압은?

  1. 2[V]
  2. 3[V]
  3. 4[V]
  4. 5[V]
(정답률: 68%)
  • 클리핑 회로에서 입력 전압이 양수일 때는 다이오드가 역방향이므로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과 같아진다. 따라서 입력 전압의 최고치인 6[V]가 출력 전압의 최고치가 된다. 하지만 입력 전압이 음수일 때는 다이오드가 정방향이므로 출력 전압은 0[V]이 된다. 따라서 출력 전압의 최고치는 6[V]와 0[V] 중에서 더 작은 값인 5[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슈미트 트리거 회로의 응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톱니파 발생회로
  2. 구형파 발생회로
  3. A-D 변환회로
  4. 전압비교 회로
(정답률: 64%)
  • 슈미트 트리거 회로는 입력 신호의 노이즈나 왜곡을 제거하여 안정적인 출력 신호를 만들어내는 회로이다. 따라서 입력 신호가 주기적인 톱니파 형태인 "톱니파 발생회로"는 슈미트 트리거 회로의 응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슈미트 트리거 회로는 입력 신호의 노이즈나 왜곡을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입력 신호가 주기적인 형태를 띄는 회로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과 같은 논리 함수를 구현할 때 최소의 게이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단순화시킨 것으로 맞는 것은?

(정답률: 60%)
  • 논리식을 보면, Y = (A+B)(A'+C) 이다. 이를 단순화시키기 위해 분배법칙을 사용하면, Y = AA' + AB + AC + BB' + BC 이다. 여기서 AA'와 BB'는 항상 0이므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AB와 AC는 A(B+C)로 단순화시킬 수 있으므로, Y = A(B+C) + BC 이다. 이를 논리 게이트로 구현하면, AND 게이트 2개와 OR 게이트 1개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과 같은 파형을 클록(Cp)형 T 플립플롭에 가하였을 때, 출력 파형으로 맞는 것은? (단, T 플립플롭은 상승 엣지(Edge)에서 동작하고 클록이 입력되기 전의 T 플립플롭의 출력은 0이다.)

(정답률: 65%)
  • T 플립플롭은 클록(Cp) 입력이 상승 엣지에서 동작하므로, 클록이 1이 되는 순간 T 플립플롭의 상태가 변경된다. 따라서 입력 파형에서 1이 되는 구간에서 T 플립플롭의 출력이 변경된다. 입력 파형에서 1이 되는 구간은 2번째와 4번째이므로, T 플립플롭의 출력은 0에서 1로 변경되고 유지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레지스터 A에 1011101, 레지스터 B에 1101100이 저장되어 있다. 두 수의 EX-OR 연산 결과는?

  1. 0110001
  2. 1001100
  3. 1001110
  4. 1111101
(정답률: 72%)
  • 레지스터 A와 B의 비트별 EX-OR 연산을 수행하면 다음과 같다.

    1. 1 ⊕ 1 = 0
    2. 0 ⊕ 1 = 1
    3. 1 ⊕ 0 = 1
    4. 1 ⊕ 1 = 0
    5. 1 ⊕ 0 = 1
    6. 0 ⊕ 1 = 1
    7. 1 ⊕ 0 = 1

    따라서, 두 수의 EX-OR 연산 결과는 "0110001"이 된다.

    보기에서 "1001100", "1001110", "1111101"은 레지스터 A와 B의 비트별 EX-OR 연산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비동기식 카운터의 플립플롭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플립플롭 2개를 사용하여 16진 카운터 계수를 나타낸다.
  2. T 플립플롭으로 구성한다.
  3. J-K 플립플롭으로 구성할 때 입력 J=K=1로 한다.
  4. T 플립플롭으로 구성할 때 입력 T=1로 하여 Toggle 상태로 한다.
(정답률: 60%)
  • "J-K 플립플롭으로 구성할 때 입력 J=K=1로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비동기식 카운터에서는 J-K 플립플롭 대신 T 플립플롭을 사용합니다. T 플립플롭은 입력 T=1로 하여 Toggle 상태로 구성합니다. 따라서 "플립플롭 2개를 사용하여 16진 카운터 계수를 나타낸다."라는 설명은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기억상태를 읽는 동작만 할 수 있는 메모리는?

  1. ROM
  2. Address
  3. RAM
  4. Register
(정답률: 71%)
  • ROM은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기억된 정보를 읽는 동작만 가능하고 쓰기가 불가능한 메모리이다. 따라서 기억상태를 읽는 동작만 할 수 있는 메모리는 RO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그림과 같은 논리 회로는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가?

  1. 일치 회로
  2. 반가산기
  3. 전가산기
  4. 반감산기
(정답률: 83%)
  • 이 논리 회로는 두 개의 입력(A, B)을 받아서 합(S)과 자리올림(C)을 출력하는 반가산기입니다. 입력된 두 비트를 더하고, 자리올림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C가 1이 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C가 0이 됩니다. 따라서 이 회로는 두 비트의 덧셈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비교회로(Comparato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2개의 입력을 비교하여 비교한 결과를 출력에 나타내는 회로이다.
  2. 출력의 종류는 3가지이다.
  3. 2개의 입력이 같은 값일 때 출력은 배타적 NOR(XNOR)로 표시된다.
  4. 2개의 입력이 다른 값일 때 출력은 배타적 OR(XOR)로 표시된다.
(정답률: 56%)
  • 정답은 "2개의 입력이 같은 값일 때 출력은 배타적 NOR(XNOR)로 표시된다." 이다.

    비교회로(Comparator)는 2개의 입력을 비교하여 비교한 결과를 출력에 나타내는 회로이다. 출력의 종류는 3가지이며, 2개의 입력이 다른 값일 때 출력은 배타적 OR(XOR)로 표시된다. 배타적 OR(XOR)는 두 입력 값이 다를 때 1을 출력하고, 같을 때는 0을 출력한다. 따라서, 2개의 입력이 다른 값일 때 출력은 배타적 OR(XOR)로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기기

21. 정보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시에 발생하는 에러의 검출, 정정 등을 담당하는 장치는?

  1. 전송 제어 장치
  2. 회선 제어 장치
  3. 신호 제어 장치
  4. 중앙 처리 장치
(정답률: 79%)
  • 전송 제어 장치는 데이터 전송 시에 발생하는 에러를 검출하고 정정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를 위해 전송된 데이터를 확인하고,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를 재전송하거나 정정하여 수신측에 전달합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DTE와 DCE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인 조건들을 표준화한 것은?

  1. 토폴로지
  2. DCC 아키텍처
  3. DTE/DCE 인터페이스
  4. 참조 모형
(정답률: 90%)
  • DTE와 DCE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호 연결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규격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구성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인 조건들을 표준화한 것이 DTE/DCE 인터페이스입니다. 따라서 DTE와 DCE를 연결할 때는 이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라 연결해야 하며, 이를 준수하지 않으면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정보 단말기의 기능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송ㆍ수신 제어 기능
  2. 출력 변환 기능
  3. 에러 제어 기능
  4. 다중화 기능
(정답률: 77%)
  • 다중화 기능은 정보 단말기의 기능 중 하나가 아니며, 다중화는 여러 개의 신호를 하나의 통신 회선으로 전송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중화 기능은 정보 단말기의 기능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모뎀의 기능 중에서 디지털신호가 '1'이나 '0'이 계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1. 스크램블 기능
  2. 타이밍 기능
  3. 등화 기능
  4. 테스트 기능
(정답률: 89%)
  • 스크램블 기능은 디지털 신호를 무작위로 섞어서 전송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1'이나 '0'이 계속되는 것을 방지하고,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DSU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신호 파형의 변환
  2. 신호 전송 속도의 변환
  3. 제어 신호의 삽입
  4. 에러 검출 및 정정
(정답률: 77%)
  • DSU는 데이터 통신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장비로, 신호 파형의 변환, 신호 전송 속도의 변환, 제어 신호의 삽입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DSU는 에러 검출 및 정정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전송되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이지만, DSU는 단순히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에러 검출 및 정정 기능은 갖추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PSTN의 전송구간에서 신호가 바르게 된 것은?

  1. 컴퓨터 → 모뎀 : 아날로그 신호
  2. 모뎀 → 모뎀 : 디지털 신호
  3. 모뎀 → 컴퓨터 : 디지털 신호
  4. 컴퓨터 → 컴퓨터 : 아날로그 신호
(정답률: 70%)
  • PSTN은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야 한다. 따라서 "컴퓨터 → 모뎀 : 아날로그 신호"와 "모뎀 → 모뎀 : 디지털 신호"는 PSTN의 전송구간에서 신호가 바르게 된 것이 아니다. 그러나 "모뎀 → 컴퓨터 : 디지털 신호"는 PSTN의 전송구간에서 신호가 바르게 된 것이다. 이는 모뎀이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PSTN을 통해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다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신호로 바꾸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비트 단위의 다중화에 사용되고, 시간 슬롯이 낭비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 다중화는?

  1. 주파수 분할 다중화
  2.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3.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4. 코드 분할 다중화
(정답률: 73%)
  •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는 시간을 일정한 주기로 나누어 사용하는 방식으로, 각 사용자는 정해진 시간에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시간 슬롯이 낭비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며, 비트 단위의 다중화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방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OSI Layer 계층과 네트워크 기기 간의 연결이 올바른 것은?

  1. Transfer Layer - Repeater
  2. Network Layer - Hub
  3. Data Layer - Bridge
  4. Physical Layer - Router
(정답률: 86%)
  • 정답은 "Data Layer - Bridge" 입니다.

    Data Layer는 MAC 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계층이며, Bridge는 이 계층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기기입니다. Bridge는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Bridge는 MAC 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Data Layer와 연결됩니다. 따라서, "Data Layer - Bridge"가 올바른 연결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음과 같은 이유로 올바른 연결이 아닙니다.

    - Transfer Layer - Repeater: Transfer Layer는 TCP/UD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계층이며, Repeater는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는 기기입니다. 두 기기는 서로 다른 계층에서 동작하므로 연결이 올바르지 않습니다.
    - Network Layer - Hub: Network Layer는 IP 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계층이며, Hub는 여러 개의 포트를 가진 네트워크 기기로, 데이터를 모든 포트로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Hub는 IP 주소를 이용하지 않고 단순히 데이터를 모든 포트로 전송하므로 Network Layer와 연결될 수 없습니다.
    - Physical Layer - Router: Physical Layer는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계층이며, Router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기입니다. 두 기기는 서로 다른 계층에서 동작하므로 연결이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네트워크 장비 중 경로 결정(Path Determination)과 스위칭(Switching) 기능을 가진 장비는?

  1. 허브(Hub)
  2. 리피터(Repeater)
  3. 트랜시버(Transceiver)
  4. 라우터(Router)
(정답률: 86%)
  • 라우터는 경로 결정과 스위칭 기능을 모두 가진 장비로,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는 호스트나 서브넷 간의 패킷 전송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라우터가 정답입니다.

    - 허브는 여러 대의 호스트를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비로, 패킷을 전달하는 기능만 가지고 있습니다.
    - 리피터는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는 역할을 합니다.
    - 트랜시버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와 같은 역할을 하며,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필요한 물리적인 연결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영상통신기기 중 카메라에 사용되는 센서로 노출된 이미지를 전기적인 형태로 바꾸어 전송 또는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1. SSD
  2. CCD
  3. MHS
  4. ROM
(정답률: 81%)
  • CCD는 Charge-Coupled Device의 약자로,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센서입니다. 따라서 카메라에서 노출된 이미지를 전기적인 형태로 바꾸어 전송하거나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SSD는 Solid State Drive의 약자로, 저장장치에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MHS는 Mobile High-definition Link의 약자로, 모바일 기기와 TV 등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ROM은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읽기 전용 메모리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디지털 전송방식 중 Run-Length 부호화 방식의 압축률은 얼마인가? (단, 전 화소수 : 200, 부호화 Bit수 : 2)

  1. 50
  2. 100
  3. 200
  4. 300
(정답률: 86%)
  • Run-Length 부호화 방식은 같은 값이 연속해서 나타나는 경우 그 값을 한 번만 기록하고 그 값이 연속해서 나타나는 횟수를 함께 기록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전 화소수가 200이고 부호화 Bit수가 2인 경우, 최대 2^2=4개의 서로 다른 값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같은 값이 연속해서 나타나는 경우에는 그 값을 한 번만 기록하고 그 값이 연속해서 나타나는 횟수를 2진수로 표현하여 기록한다. 예를 들어, 10개의 화소 중에서 5개가 0이고 5개가 1인 경우, Run-Length 부호화 방식을 적용하면 "0 100 1 100"과 같이 기록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10개의 화소를 8개의 Bit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압축률은 8/10=0.8이 된다. 따라서, 전 화소수가 200인 경우에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압축률을 계산할 수 있다. 전 화소수가 200이므로, 최대 2^2=4개의 서로 다른 값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같은 값이 연속해서 나타나는 경우에는 그 값을 한 번만 기록하고 그 값이 연속해서 나타나는 횟수를 2진수로 표현하여 기록하면, 전체 Bit 수는 2+8+2+8+...=2+8*(100-1)=798이 된다. 따라서, 압축률은 798/200=3.99이므로, 반올림하여 정답은 "1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VoIP 서비스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음성과 데이터를 하나의 망으로 전송한다.
  2. IP(인터넷 프로토콜)과 연계되어 다양한 부가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3. 기존의 데이터망을 이용하므로 통신요금이 저렴하다.
  4. 각 통화는 회선을 독점으로 점유하여 대역폭 사용이 비효율적이다.
(정답률: 85%)
  • 각 통화는 회선을 독점으로 점유하여 대역폭 사용이 비효율적이다. - 이유: VoIP는 실시간으로 음성을 전송하기 때문에, 통화 중에는 해당 회선을 독점하여 대역폭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동시에 여러 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 대역폭 사용이 비효율적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동영상 압축전송 기술로 디지털 TV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것은?

  1. 돌비(Dolby Digital)
  2. H.264
  3. MPEG2
  4. MPEG4
(정답률: 82%)
  • 돌비(Dolby Digital)는 오디오 압축 기술이며, 디지털 TV 방송 서비스에서는 주로 음향 효과를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동영상 압축전송 기술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반면, H.264, MPEG2, MPEG4는 모두 동영상 압축 기술로 디지털 TV 방송 서비스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도파기 길이가 15[cm]라 한다면, 이 안테나의 고유주파수는 얼마인가? (단, 전파속도는 3×108[m/sec]로 한다.)

  1. 0.5[GHz]
  2. 1[GHz]
  3. 2[GHz]
  4. 3[GHz]
(정답률: 74%)
  • 반파장 안테나의 길이는 전파의 파장의 절반에 해당한다. 따라서, 안테나의 길이를 파장으로 나누면 2가 된다. 고유주파수는 전파의 주파수이므로, 전파의 속도를 파장으로 나눈 값과 같다.

    안테나의 길이는 15[cm]이므로, 파장은 2×15[cm] = 0.3[m]이 된다. 따라서, 고유주파수는 3×108[m/sec] ÷ 0.3[m] = 1×109[Hz] = 1[GHz]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G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위성서비스는?

  1. 디지털 위성서비스
  2. VSAT 서비스
  3. 종합디지털 방송(ISDM) 서비스
  4. GMPCS 서비스
(정답률: 69%)
  • 위성을 이용하여 지구 상의 어느 곳에서든 인터넷, 전화, 데이터 통신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VSAT(Very Small Aperture Terminal)는 작은 크기의 위성 안테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식을 말한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보이는 작은 안테나가 VSAT 서비스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지구와 정지위성까지의 거리가 약 36,000[km]라고 할 때 지구에서 발사한 전파가 위성에서 중계되어 지구까지 돌아오는 시간은 대략 얼마인가? (단, 위성 중계기 내에서의 지연시간은 무시하고, 전파속도는 3×108[m/sec]로 한다.)

  1. 120[ms]
  2. 360[ms]
  3. 240[ms]
  4. 180[ms]
(정답률: 83%)
  • 전파가 지구에서 위성까지 갈 때 거리는 36,000[km]이고, 돌아올 때도 같은 거리를 가므로 총 거리는 72,000[km]이다. 전파속도는 3×108[m/sec]이므로, 72,000[km]를 미터 단위로 변환하면 7.2×107[m]이 된다. 따라서 전파가 왕복하는 시간은 다음과 같다.

    7.2×107[m] ÷ 3×108[m/sec] = 0.24[sec] = 240[ms]

    따라서 정답은 "240[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2010년 6월에 발사되어 한반도 주변 기상 및 해양관측, 위성통신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천리안 위성의 궤도는?

  1. 랜덤 궤도
  2. 극지 궤도
  3. 저 궤도
  4. 정지 궤도
(정답률: 83%)
  • 천리안 위성은 지구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어야 하는 통신 위성이므로 정지 궤도를 사용합니다. 정지 궤도는 지구의 자전 속도와 일치하여 항상 같은 지점을 바라보는 궤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샤논의 통신용량 공식에서 통신용량은 대역폭에 몇 배 비례하는가?

  1. 1배
  2. 1.5배
  3. 2배
  4. 3배
(정답률: 87%)
  • 샤논의 통신용량 공식에서 통신용량은 대역폭에 1배 비례한다. 이는 공식에서 대역폭이 증가하면 통신용량도 비례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역폭이 2배가 되면 통신용량도 2배가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일반적으로 동영상을 자연스럽게 보이기 위해 1초당 몇 개 이상의 프레임을 보여주어야 하는가?

  1. 1
  2. 5
  3. 15
  4. 30
(정답률: 83%)
  • 일반적으로 동영상을 자연스럽게 보이기 위해서는 1초당 30개 이상의 프레임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이는 인간의 눈이 초당 약 30번의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0fps(프레임/초)는 일반적인 동영상의 표준이 되었습니다. 1fps나 5fps는 움직임이 끊겨 보이고, 15fps는 여전히 부자연스러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HDTV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주사선 수가 1,125개이다.
  2. 화면 종횡비가 9 : 16이다.
  3. 음성신호 변조가 디지털 방식이다.
  4. 영상신호 변조방식은 ASK 변조방식이다.
(정답률: 78%)
  • 영상신호 변조방식은 ASK 변조방식이 아니라, 주로 8VSB 변조방식이 사용된다. ASK 변조방식은 주로 RF ID나 저속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전송개론

41. 표본화 주파수가 10[kHz]이고 원신호 파형의 주파수가 1[kHz]라면, 1주기당 PAM 신호는 몇 개인가?

  1. 1개
  2. 2개
  3. 5개
  4. 10개
(정답률: 84%)
  • 표본화 주파수는 10[kHz]이므로 1초당 10,000개의 샘플링이 이루어진다. 원신호 파형의 주파수가 1[kHz]이므로 1초당 1,000개의 주기가 존재한다. 따라서 1주기당 PAM 신호는 10,000/1,000 = 10개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디지털 방송과 휴대 인터넷 등의 고속전송시스템에서 가장 적합한 다중화 방식은?

  1. STDM
  2. FDM
  3. TDM
  4. OFDM
(정답률: 64%)
  • OFDM은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의 약자로, 다수의 하위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다른 다중화 방식과 달리 주파수 대역을 겹치지 않게 하여 간섭을 최소화하고, 높은 대역폭을 이용하여 고속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과 휴대 인터넷 등의 고속전송시스템에서 가장 적합한 다중화 방식으로 OFDM이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WDM에서 사용되는 레이저(Laser) 광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고휘도(高輝度)
  2. 지향성(指向性)
  3. 열광(熱光)
  4. 편광현상(偏光現像)
(정답률: 81%)
  • WDM에서 사용되는 레이저 광의 특징 중에서 "열광"은 아닙니다. 이는 레이저 광이 발생할 때 발생하는 열로 인해 광섬유의 손실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레이저 광은 고휘도, 지향성, 편광현상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하나의 광섬유에 다수의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광신호를 결합하는 수동 광소자는?

  1. 광감쇠기(Optical Attenuator)
  2. 광변조기(Optical Modulator)
  3. 광아이솔레이터(Optical Isolator)
  4. 광커플러(Optical Coupler)
(정답률: 77%)
  • 광커플러는 하나의 광섬유에 여러 개의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광신호를 결합하는 수동 광소자입니다. 이는 광섬유에서 전송되는 광신호를 분배하거나 결합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광커플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5[dBm] 레벨의 신호가 전송 매체상의 A지점, B지점, C지점을 거쳐서 D지점까지 전달되는 경우, A지점-B지점간에서 3[dB]의 손실이 발생하고, B지점-C지점 사이에서는 증폭기가 있어서 7[dB]의 이득이 있고, C지점-D지점간에 3[dB]의 손실이 발생한다면, D지점에서의 신호의 전력 레벨은?

  1. 0[dBm]
  2. 1[dBm]
  3. 3[dBm]
  4. 6[dBm]
(정답률: 70%)
  • A지점에서의 전력 레벨은 5[dBm]이다. B지점에서의 전력 레벨은 5[dBm] - 3[dB] = 2[dBm]이다. C지점에서의 전력 레벨은 2[dBm] + 7[dB] = 9[dBm]이다. D지점에서의 전력 레벨은 9[dBm] - 3[dB] = 6[dBm]이다. 따라서 정답은 "6[dB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지상 마이크로파 통신시스템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변복조 장치
  2. 광검출기
  3. 송수신 장치
  4. 중계 장치
(정답률: 73%)
  • 지상 마이크로파 통신시스템에서 광검출기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광검출기는 광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광 신호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지상 마이크로파 통신시스템에서는 전기 신호를 주고받기 때문에 광검출기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광검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BS)의 서비스 제공 가능지역(Service Coverage)을 확대하는 방법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기지국(BS)의 송신 출력을 높인다.
  2. 기지국(BS)의 안테나 높이를 증가시킨다.
  3. 중계기(Repeater)나 반사기(Reflector)를 사용하여 전파 음영지역(Coverage Hole)을 제거한다.
  4. 기지국(BS)의 수신기의 수신 한계 레벨(Threshold Sensitivity)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64%)
  • 기지국(BS)의 수신기의 수신 한계 레벨(Threshold Sensitivity)를 증가시킨다는 것은 기지국이 수신하는 신호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므로, 서비스 제공 가능지역을 확대하는 방법으로는 알맞지 않습니다. 오히려 서비스 제공 가능지역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지국(BS)의 수신기의 수신 한계 레벨(Threshold Sensitivity)를 증가시킨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광섬유에서의 신호원은 무엇인가?

  1. 무선파
  2. 극초단파
  3. 초단파
(정답률: 90%)
  • 광섬유에서의 신호원은 빛입니다. 광섬유는 빛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빛이 광섬유에서의 신호원이 됩니다. 무선파, 극초단파, 초단파는 광섬유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통신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No.7 CCS(Common Channel Signaling)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신호와 이용자 정보의 동시전달이 망 접속의 설정과 동시에 가능, 호 접속 상태와 무관하므로 통화 중에도 신호전송이 가능하다.
  2. 통화로와 신호로가 개별회선에 중첩되는 방식으로 전송로 사용이 효율적이다.
  3. 새로운 서비스와 부가 서비스의 도입을 포함하는 새로운 요구에 대해서 커다란 유연성을 갖는다.
  4. 단일 64[kbps] 채널로 거의 1,000개 이상의 이용자 정보 채널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집중화된 신호장비를 사용하기 때문에 개별 채널 방식에 비해 경제적이다.
(정답률: 53%)
  • 정답: "신호와 이용자 정보의 동시전달이 망 접속의 설정과 동시에 가능, 호 접속 상태와 무관하므로 통화 중에도 신호전송이 가능하다."

    설명: No.7 CCS의 장점으로는 호 접속 상태와 무관하게 신호전송이 가능하다는 것이 포함되어 있지만, "통화로와 신호로가 개별회선에 중첩되는 방식으로 전송로 사용이 효율적이다."는 장점도 포함되어 있다. 이는 단일 64[kbps] 채널로 많은 이용자 정보 채널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동기식 전송방식이 아닌 것은?

  1. 비트 동기방식
  2. 문자 동기방식
  3. 스트로브 동기방식
  4. 프레임 동기방식
(정답률: 80%)
  • 스트로브 동기방식은 비동기식 전송방식에 속하며, 데이터를 전송할 때 클럭 신호를 사용하지 않고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신호를 사용하여 동기화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동기식 전송방식이 아닌 것은 "스트로브 동기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프로토콜의 전송방식은?

  1. 문자(중심)방식
  2. 바이트(중심)방식
  3. 비트(중심)방식
  4. 혼합동기방식
(정답률: 80%)
  • HDLC 프로토콜의 전송방식은 비트(중심)방식입니다. 이는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전송하며,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비트 패턴을 사용하여 동기화를 유지합니다. 이 방식은 전송 효율이 높고 오류 검출 및 복구 기능이 강화되어 있어 신뢰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문자 동기 전송방식에서 SYN 문자의 기능은?

  1. 수신측이 문자 동기를 맞추도록 한다.
  2. 데이터의 완료를 표시한다.
  3. 데이터의 시작을 표시한다.
  4. 질의가 끝났음을 알린다.
(정답률: 84%)
  • SYN 문자는 데이터의 시작을 표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수신측이 데이터의 시작을 인식하고 동기를 맞추기 위해 SYN 문자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OSI 모델의 7계층 중 암호화 및 데이터 압축 등을 수행하는 계층은?

  1. 응용 계층
  2. 표현 계층
  3. 전송 계층
  4. 세션 계층
(정답률: 79%)
  • 암호화 및 데이터 압축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데이터를 변환하거나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이러한 기술은 데이터의 형식이나 구조를 변경하므로, 이를 처리하는 계층은 표현 계층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현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비트방식의 데이터링크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1. SDLC
  2. HDLC
  3. BSC
  4. LAP-B
(정답률: 77%)
  • BSC는 비트방식의 데이터링크 프로토콜이 아닙니다. BSC는 문자 방식의 프로토콜로, 비트 단위가 아닌 문자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따라서, BSC는 비트방식의 데이터링크 프로토콜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인터넷망에서 노드 역할을 하고 있는 Router의 기능은 OSI 7 Layer의 참조모델에서 보면, 어떤 계층의 기능을 주로 수행하는가?

  1. 데이터링크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전송 계층
  4. 응용 계층
(정답률: 74%)
  • Router는 인터넷망에서 노드 역할을 하며, 패킷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때 Router는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확인하고, 다음에 전달할 경로를 결정합니다. 이러한 기능은 OSI 7 Layer의 참조모델에서 네트워크 계층에서 수행됩니다. 따라서 Router는 주로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잘 알려진 서버포트 번호연결이 잘못된 것은?

  1. Telnet - 23
  2. SMTP - 25
  3. FTP - 18
  4. HTTP - 80
(정답률: 76%)
  • FTP는 TCP 포트 번호 21을 사용하므로, 올바른 연결은 "FTP - 21"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FTP - 18"은 잘못된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IP address 체계의 C class의 기본 서브넷 마스크에 해당하는 것은?

  1. 255.0.0.0
  2. 255.255.0.0
  3. 255.255.255.0
  4. 255.255.255.255
(정답률: 88%)
  • C class IP 주소 체계는 첫 번째 옥텟이 192 ~ 223 범위에 속하며, 기본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 입니다. 이는 24비트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ID를 나타내고, 8비트를 사용하여 호스트 ID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서브넷 마스크는 24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네트워크 ID는 3개의 옥텟으로 구성되며, 호스트 ID는 마지막 옥텟으로 구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IPv6의 주소체계는 몇 비트로 구성되어 있는가?

  1. 32
  2. 48
  3. 64
  4. 128
(정답률: 84%)
  • IPv6의 주소체계는 128비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IPv4의 32비트 주소체계보다 약 4배 더 많은 주소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며, 인터넷의 확장성과 보안성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IPv6 주소는 16진수로 표현되며, 콜론(:)으로 구분된 8개의 16비트 블록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는 유효한 IPv6 주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ARQ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Stop-and-Wait ARQ
  2. Go-back-N ARQ
  3. Pre-emptive ARQ
  4. Selective repeat ARQ
(정답률: 70%)
  • Pre-emptive ARQ는 ARQ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는 데이터 전송 중에 재전송을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전송을 중단하고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ARQ의 기본 원칙인 재전송과는 다른 방식입니다. Stop-and-Wait ARQ, Go-back-N ARQ, Selective repeat ARQ는 모두 ARQ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두 부호어의 비트열이 A=(100100), B=(010100)일 때 두 부호어의 해밍거리는 얼마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82%)
  • 해밍 거리란 두 비트열이 얼마나 다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A와 B를 비교해보면 첫 번째 비트는 A가 1이고 B가 0이므로 다르고, 두 번째 비트는 A가 0이고 B가 1이므로 다릅니다. 나머지 비트들은 모두 같으므로, A와 B의 해밍 거리는 2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설비기준

61. 컴퓨터의 연산장치에서 산술ㆍ논리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장치는?

  1. 누산기(Accumulator)
  2. 데이터 레지스터(Data Register)
  3. 감산기(Substracter)
  4. 상태 레지스터(Status Register)
(정답률: 70%)
  • 누산기는 산술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장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누산기와는 다른 기능을 수행합니다. 데이터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 감산기는 뺄셈 연산을 수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상태 레지스터는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주기억장치의 용량이 512[kbyte]인 컴퓨터에서 32비트의 가상주소를 사용하고, 페이지의 크기가 4[kbyte]면 주기억장치의 페이지 수는 몇 개인가?

  1. 32
  2. 64
  3. 128
  4. 512
(정답률: 82%)
  • 가상주소가 32비트이므로 가상주소 공간은 2^32 바이트이다. 페이지의 크기가 4[kbyte]이므로 페이지 크기는 2^12 바이트이다. 따라서 페이지 수는 가상주소 공간을 페이지 크기로 나눈 값이다.

    2^32 바이트 / 2^12 바이트 = 2^20 페이지

    주기억장치의 용량이 512[kbyte]이므로 페이지 수는 512[kbyte]를 페이지 크기로 나눈 값과 같다.

    512[kbyte] / 4[kbyte] = 128 페이지

    따라서 주기억장치의 페이지 수는 128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데이터의 일부분이나 전체를 지우고자 할 때 사용되는 연산은?

  1. OR
  2. AND
  3. MOVE
  4. Complement
(정답률: 68%)
  • 정답은 "MOVE"나 "Complement"이 아니라 "AND"이다. "AND" 연산은 두 개의 비트열을 비교하여 둘 다 1인 경우에만 1을 반환하는 연산이다. 따라서 데이터의 일부분이나 전체를 지우고자 할 때, 해당 비트열을 0으로 설정하고자 할 때 "AND" 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1010101 비트열에서 3번째부터 6번째 비트를 0으로 지우고자 한다면, 00001111 비트열과 "AND" 연산을 수행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컴퓨터 운영체제에서 커널의 코드를 실행하기 위해 커널의 특정 루틴을 호출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생성상태(Created State)
  2. 스케줄(Schedule)
  3. 관리자호출(Supervisor Call)
  4. 대기상태(Wake Up)
(정답률: 74%)
  • 커널의 코드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모드에서 커널 모드로 전환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자 모드에서 커널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관리자호출(Supervisor Call)이라고 합니다. 이를 통해 커널의 특정 루틴을 호출하여 운영체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관리자호출(Supervisor Cal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에 대한 비교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컴파일러는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인터프리터는 생성하지 않는다.
  2. 컴파일러는 전체 프로그램을 한꺼번에 처리하고, 인터프리터는 대화식인 행 단위로 처리한다.
  3. 컴파일러는 실행속도가 느리고, 인터프리터는 빠르다.
  4. 인터프리터는 BASIC, LISP 등이 있고, 컴파일러는 COBOL, C, C# 등이 있다.
(정답률: 75%)
  • "컴파일러는 실행속도가 느리고, 인터프리터는 빠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컴파일러로 생성된 목적 프로그램은 실행속도가 빠르고, 인터프리터는 실행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다. 이는 컴파일러가 전체 프로그램을 한꺼번에 처리하여 최적화된 코드를 생성하고, 인터프리터는 대화식으로 행 단위로 해석하며 실행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마이크로프로세서 내부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프로그램 카운터 : 프로그램메모리의 어느 위치에 있는 명령어를 수행할 것인가를 나타낸다.
  2. 명령어 레지스터 : 프로그램 카운터의 값을 변경한다.
  3. 해독장치 : 명령어를 지정한다.
  4. 타이밍 발생기 : 다음 명령어의 위치를 가리킨다.
(정답률: 76%)
  • 프로그램 카운터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현재 실행하고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메모리 위치를 가리키는 레지스터이다. 따라서 "프로그램 카운터 : 프로그램메모리의 어느 위치에 있는 명령어를 수행할 것인가를 나타낸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인터럽트의 발생원인이 아닌 것은?

  1. 전원 이상
  2. 오퍼레이터 조작 또는 타이머
  3. 서브 프로그램 호출
  4. 제어감시(SVC)
(정답률: 54%)
  • 서브 프로그램 호출은 인터럽트의 발생원인이 아닙니다. 인터럽트는 일반적으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서 발생하는 예기치 않은 상황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CPU는 현재 실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ISR)으로 이동합니다. 서브 프로그램 호출은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내에서 명시적으로 호출되는 것으로, 인터럽트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보기는 운영체제의 어떤 자원관리기능에 대한 설명인가?

  1. 디스크 관리 기능
  2. 입출력 장치 관리 기능
  3. 프로세스 관리 기능
  4. 기억장치 관리 기능
(정답률: 74%)
  • 위 그림은 운영체제에서의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중 하나인 LRU(Least Recently Used) 알고리즘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 운영체제가 어떻게 기억장치를 관리하는지 알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기억장치 관리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컴퓨터 언어에서 미리 정의한 자료의 형태를 기본 자료형이라 하는데 그 종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배열형
  2. 문자형
  3. 정수형
  4. 실수형
(정답률: 76%)
  • 배열형은 여러 개의 기본 자료형을 하나의 변수에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으로, 기본 자료형이 아닌 복합 자료형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배열형은 기본 자료형의 종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마이크로컴퓨터의 명령어수가 126개라면 OP Code는 몇 비트인가?

  1. 5비트
  2. 6비트
  3. 7비트
  4. 8비트
(정답률: 79%)
  • 126개의 명령어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7비트가 필요합니다. 이는 2의 7승인 128개의 조합으로 모든 명령어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OP Code는 7비트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정보통신설비공사 중 '통신선로설비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지능망설비 공사
  2. 통신케이블설비 공사
  3. 통신관로설비 공사
  4. 통신구설비 공사
(정답률: 83%)
  • "지능망설비 공사"는 통신선로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통신망을 지능화하는 설비를 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통신선로설비 공사"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정보통신공사업자의 공사시공능력 평가항목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정보통신분야 국가기술자격자 보유 현황
  2. 공사실적, 자본금, 기술력
  3. 공사품질의 신뢰도
  4. 공사 품질관리수준
(정답률: 66%)
  • "정보통신분야 국가기술자격자 보유 현황"은 정보통신공사업자의 기술력과 관련된 항목이며, 다른 보기들은 공사시공능력 평가와 관련된 항목입니다. 따라서 "정보통신분야 국가기술자격자 보유 현황"이 관계가 없는 것입니다. 이 항목은 해당 업체가 국가에서 인정하는 기술자격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업체의 기술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의 하자담보 책임기간이 다른 하나는?

  1. 터널식 통신구공사
  2. 전송설비공사
  3. 교환기설치공사
  4. 위성통신설비공사
(정답률: 79%)
  • 정보통신공사의 하자담보 책임기간은 일반적으로 1년이지만, "터널식 통신구공사"는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통신시설이므로 다른 공사들과는 달리 3년의 책임기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자의 변경신고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영업소 소재지의 변경
  2. 상호 또는 명칭의 변경
  3. 사무실 면적의 변경
  4. 자본금의 변동
(정답률: 66%)
  • 정보통신공사업자의 변경신고사항 중에서 사무실 면적의 변경은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정보통신공사업자의 영업활동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이다. 다른 변경신고사항들은 업체의 식별정보나 영업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기 때문에 변경사항을 신고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인터넷, 무선, 위성
  2. 데이터, 무선, 위성
  3. 발진, 변조, 복조
  4. 유선, 무선, 광선
(정답률: 85%)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유선, 무선, 광선의 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에 따라 정답은 "유선, 무선, 광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전기통신사업법에서 규정하는 보편적 역무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유선전화 서비스
  2. 긴급통신용 전화서비스
  3. 고령층 대상 전화서비스
  4. 저소득층에 대한 요금감면 전화서비스
(정답률: 79%)
  • 고령층 대상 전화서비스는 전기통신사업법에서 규정하는 보편적 역무의 내용이 아닙니다. 이 서비스는 고령층에게 특화된 서비스로, 고령층이 보다 편리하게 전화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입니다. 이는 고령층의 사회적 참여와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적 목적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합한 것은?

  1. 보호기
  2. 증폭기
  3. 변조기
  4. 유도기
(정답률: 89%)
  • 이 그림은 전파를 발생시키는 송신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송신기에서 발생한 전파는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발신됩니다. 그러나 이때 발생한 전파는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약해지는데, 이를 보호하기 위해 전파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보호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전기통신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그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기통신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하고 있는 법률은?

  1. 전기통신사업법
  2. 전기통신기본법
  3. 정보통신공사업법
  4. 정보화촉진기본법
(정답률: 81%)
  • 전기통신기본법은 전기통신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하여 전기통신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법률입니다. 따라서 이 법은 전기통신사업의 기본 원칙과 규제, 관리, 보호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사업자의 교환설비로부터 이용자 방송통신설비의 최초 단자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구성되는 회선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국선
  2. 내선
  3. 전송회선
  4. 통신채널
(정답률: 81%)
  • 국선은 사업자의 교환설비와 이용자의 방송통신설비를 연결하는 회선을 말합니다. 이 회선은 전화나 인터넷 등의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 회선으로, 이용자의 집이나 사무실 등과 같은 지점에서부터 사업자의 교환설비까지 연결됩니다. 따라서 국선은 이용자와 사업자 간의 연결을 위한 중요한 회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시 '감리'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설계도서에 의해 시공되는 지 감독
  2. 관련규정에 의해 시공되는 지 감독
  3. 품질관리에 대한 지도
  4. 도급관리에 대한 지도
(정답률: 66%)
  • 정보통신공사시 '감리'의 역할은 설계도서나 관련규정에 따라 시공되는 것을 감독하고, 품질관리에 대한 지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지만 '도급관리에 대한 지도'는 감리의 역할이 아니다. 감리는 도급관리를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시공과 품질에 대한 감독과 지도를 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