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10-04)

정보통신산업기사
(2014-10-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전자회로

1. 전압 변동률이 15[%]의 정류 회로에서 무부하시 전압이 6[V]일 때, 부하시 전압은 약 얼마인가?

  1. 2.4[V]
  2. 3.5[V]
  3. 4.7[V]
  4. 5.2[V]
(정답률: 69%)
  • 전압 변동률이 15[%]이므로, 무부하시 전압이 6[V]일 때 부하시 전압은 6[V]에서 6[V]의 15[%]인 0.9[V]만큼 감소하여 5.1[V]가 된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은 "5.2[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그림과 같이 회로에 정현파가 인가됐을 때 나타나는 파형은? (단, 다이오드 D1의 항복전압은 VZ1=5[V], D2의 항복전압은 VZ2=6[V]이고, 각 다이오드는 이상적이라고 가정한다.)

(정답률: 77%)
  • 다이오드 D1의 항복전압이 VZ1=5[V]이므로, D1은 Vin이 5[V]보다 작을 때만 conducing 상태가 된다. 따라서 Vin이 5[V]보다 작을 때는 D1이 conducing 상태가 되어 Vout=Vin-0.7[V]이 된다. 그러나 Vin이 5[V]보다 클 때는 D1이 blocking 상태가 되어 Vout는 D2의 항복전압인 VZ2=6[V]이 된다. 따라서 Vout의 파형은 Vin의 파형을 따라가다가 5[V]를 넘어서면 6[V]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반파정류기의 리플 함유율을 적게 하는 방법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입력측 평활용 콘덴서의 정전용량을 크게 한다.
  2. 출력측 평활용 콘덴서의 정전용량을 적게 한다.
  3. 평활용 초크코일의 인덕턴스를 크게 한다.
  4. 시정수를 작게 한다.
(정답률: 61%)
  • 출력측 평활용 콘덴서의 정전용량을 적게 하는 것은 반파정류기의 리플 함유율을 줄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는 출력측에서 발생하는 리플 전압을 감소시켜 전원 회로의 안정성을 높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출력측 평활용 콘덴서의 정전용량을 적게 한다."는 맞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다이오드의 종류에 따른 용도로 틀린 것은?

  1. PIN 다이오드 : RF 스위치용
  2. 버랙터(Varactor) 다이오드 : 전압제어 발진기용
  3. 임팻(IMPATT) 다이오드 : 디지털 표시장치용
  4. 제너 다이오드 : 전압안정화 회로용
(정답률: 62%)
  • 임팻(IMPATT) 다이오드는 고주파 발진기용으로 사용되며, 주로 마이크로파 주파수 범위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디지털 표시장치용으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임팻(IMPATT) 다이오드 : 디지털 표시장치용"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높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 일정한 크기의 스펙트럼을 가진 연속성 잡음은 무엇인가?

  1. 트랜지스터 잡음
  2. 자연잡음
  3. 백색잡음
  4. 지터잡음
(정답률: 78%)
  • 백색잡음은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한 크기의 스펙트럼을 가지는 연속성 잡음으로, 주파수 대역이 높아질수록 에너지 밀도가 감소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높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 일정한 크기의 스펙트럼을 가진 연속성 잡음은 백색잡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트랜지스터 잡음은 전자기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잡음, 자연잡음은 자연에서 발생하는 잡음, 지터잡음은 디지털 신호 처리에서 발생하는 잡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부궤환 증폭회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이득증가
  2. 비선형 일그러짐 감소
  3. 잡음감소
  4. 고주파 특성의 개선
(정답률: 70%)
  • 정답: "이득증가"

    이유: 부궤환 증폭회로는 입력신호를 증폭시켜 출력신호로 변환하는 회로이므로 이득증가는 부궤환 증폭회로의 특징 중 하나이다. 다른 세 가지 특징인 비선형 일그러짐 감소, 잡음감소, 고주파 특성의 개선은 모두 부궤환 증폭회로의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그림의 연산 증폭기 회로의 전압증폭률(Vo/Vs)은 얼마인가?

  1. -5
  2. -1
  3. 5
  4. 10
(정답률: 71%)
  • 전압증폭률은 -Rf/R1 이므로, -5이다.

    이유는 입력신호가 양수일 때, Rf와 R1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전류가 발생하게 되어, 출력신호가 입력신호와 반대방향으로 나오게 된다. 따라서 전압증폭률은 음수가 되며, 이 회로에서는 -Rf/R1 = -5 이므로 전압증폭률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그림의 발진기 회로에서 궤환율(β)은 얼마인가? (단, R=1[kΩ], R1=18[kΩ], R2=2[kΩ], C=1[μF]이다. )

  1. 0.6
  2. 0.7
  3. 0.8
  4. 0.9
(정답률: 65%)
  • 발진기 회로에서 궤환율(β)은 R1과 R2의 비율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β = R1 / (R1 + R2) = 18 / (18 + 2) = 0.9 이다. 따라서 정답은 "0.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증폭도 A인 증폭기에 궤환율 β로 정궤환 되었을 경우 발진이 이루어지는 조건으로 맞는 것은?

  1. Aβ = 1
  2. Aβ = 0
  3. Aβ > 1
  4. Aβ < 1
(정답률: 82%)
  • 정궤환 조건은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위상이 180도 차이가 나는 경우이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Aβ = -1 이다. 그러나 발진 조건은 위상이 0도가 되는 경우이므로, 위상차가 180도에서 0도로 바뀌기 위해서는 Aβ = 1이 되어야 한다. 즉,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크기가 같아지면서 위상차가 180도에서 0도로 바뀌는 것이 발진 조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음성 신호의 송신측 PCM 과정이 아닌 것은?

  1. 표본화
  2. 부호화
  3. 양자화
  4. 복호화
(정답률: 88%)
  • 복호화는 음성 신호의 송신측 과정이 아니라 수신측에서 암호화된 정보를 해독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반송파의 위상과 진폭을 상호 직교하며 신호를 혼합하는 변조 방식은?

  1. ASK
  2. FSK
  3. PSK
  4. QAM
(정답률: 88%)
  • QAM은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약자로, 직교하는 두 개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조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높은 대역폭을 가진 신호를 전송할 수 있어 효율적이며, 디지털 통신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반송파의 위상과 진폭을 상호 직교하며 신호를 혼합하는 변조 방식은 QA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시간에서 Turn-off 시간에 해당되는 것은?

  1. 하강시간
  2. 축적시간 + 하강시간
  3. 상승시간 + 지연시간
  4. 축적시간
(정답률: 81%)
  • Turn-off 시간은 트랜지스터가 전류를 차단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 시간은 축적된 전하가 제거되는 "축적시간"과 전류가 0까지 하강하는 "하강시간"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축적시간 + 하강시간"입니다. 상승시간과 지연시간은 Turn-on 시간과 관련된 개념이므로 이 문제와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클램퍼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이 아닌 것은?

  1. 다이오드
  2. 저항
  3. 커패시터
  4. 인덕터
(정답률: 58%)
  • 클램퍼 회로는 입력 신호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회로이다. 이를 위해 입력 신호를 저항과 다이오드, 커패시터로 구성된 회로에 연결하고, 이 회로의 출력을 원하는 최대값과 최소값으로 클램핑한다. 따라서 클램퍼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은 다이오드, 저항, 커패시터이며, 인덕터는 클램퍼 회로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논리함수 의 부정을 구한 것은?

  1. 0
  2. 1
(정답률: 68%)
  • 주어진 논리함수는 AND 게이트와 NOT 게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부정을 구하면 NOT 게이트의 출력값이 반대가 되므로, AND 게이트의 출력값이 0일 때 NOT 게이트의 출력값은 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그림의 회로에서 주파수가 1,024[kHz]인 디지털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최종 출력주파수(Fo)는 얼마인가?

  1. 512[kHz]
  2. 256[kHz]
  3. 128[kHz]
  4. 64[kHz]
(정답률: 79%)
  • 주파수 나눗셈 회로에서 입력 주파수를 나누는 값은 8이므로, 출력 주파수는 입력 주파수의 1/8인 128[kHz]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8[k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의 논리회로도가 나타내는 플립플롭회로는 무엇인가?

  1. T 플립플롭
  2. D 플립플롭
  3. J-K 플립플롭
  4. S-R 플립플롭
(정답률: 81%)
  • 이 논리회로도는 D 플립플롭을 나타낸다. D 플립플롭은 데이터 입력(D)과 클럭 입력(C)을 받아서 이전 상태를 기억하고, 클럭 신호가 들어올 때마다 데이터 입력을 현재 상태로 갱신하는 회로이다. 이 논리회로도에서는 D 입력이 1이면 Q 출력이 1이 되고, D 입력이 0이면 Q 출력이 0이 된다. 따라서 이 회로는 D 플립플롭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비동기식 카운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기식 카운터에 비해 입력신호의 전달지연시간이 길다.
  2. 동기식에 비해 논리상의 오차 발생비율이 많다.
  3. 구조상으로 동기식에 비해 회로가 간단하다.
  4. 같은 클럭펄스에 의해 트리거 된다.
(정답률: 51%)
  • "같은 클럭펄스에 의해 트리거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비동기식 카운터는 입력신호가 도착하는 시점에 카운트가 증가하므로 입력신호의 전달지연시간이 길어도 문제가 없습니다. 또한, 구조상으로 동기식에 비해 회로가 간단하고 논리상의 오차 발생비율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2n개의 입력 데이터를 n개의 스트로브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 중 1개를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 논리회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디멀티플렉서
  2. 디코더
  3. 인코더
  4. 멀티플렉서
(정답률: 76%)
  • 멀티플렉서는 다수의 입력 중에서 하나의 출력을 선택하는 논리회로로, 2의 n승 개의 입력 데이터를 n개의 스트로브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정답은 "멀티플렉서"입니다. 디멀티플렉서는 하나의 입력을 다수의 출력으로 분배하는 논리회로이고, 디코더는 이진수 입력에 대해 하나의 출력을 선택하는 논리회로입니다. 인코더는 다수의 입력 중에서 유효한 입력에 대해 이진수 출력을 생성하는 논리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연산 논리 장치라 하며 CPU 내에서 모든 연산이 이루어지는 곳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LSI
  2. ALU
  3. Accumulator
  4. Flag Register
(정답률: 81%)
  • ALU는 Arithmetic Logic Unit의 약자로, 산술 연산과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CPU의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따라서 모든 연산이 ALU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CPU 내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입니다. LSI는 Large Scale Integration의 약자로, 대규모 집적 회로를 의미하며, CPU 내에서 여러 가지 부품들이 LSI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Accumulator는 CPU 내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중 하나이며, Flag Register는 CPU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기억된 정보를 보존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리플래시(Refresh)를 해주어야 하는 기억소자는?

  1. Dynamic ROM
  2. Static ROM
  3. Dynamic RAM
  4. Static RAM
(정답률: 86%)
  • Dynamic RAM은 충전된 전하가 시간이 지나면서 빠져나가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리플래시를 해주어야 합니다. 이에 반해, Static RAM은 전하가 빠져나가지 않기 때문에 주기적인 리플래시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또한, ROM은 읽기 전용 메모리이기 때문에 리플래시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억된 정보를 보존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리플래시를 해주어야 하는 기억소자는 Dynamic RA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기기

21. 컴퓨터 시스템의 처리결과를 데이터 또는 문자로 바꿔주는 장치는?

  1. 플로터
  2. OMR
  3. OCR
  4. 카드 리더
(정답률: 69%)
  • 플로터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처리된 그래픽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 데이터를 문자나 숫자로 바꾸는 것이 아니라 그래픽으로 출력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또는 문자로 바꿔주는 장치"와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므로, 플로터가 정답입니다. OMR은 광학식 마크 인식기, OCR은 광학 문자 인식기, 카드 리더는 카드의 자료를 읽어들이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정보 단말기의 기능 중 통신 장비 간의 약속된 부호를 송ㆍ수신하여 에러를 검출하거나 정정하는 기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입ㆍ출력 제어 기능
  2. 다중화 제어 기능
  3. 송ㆍ수신 제어 기능
  4. 에러 제어 기능
(정답률: 66%)
  • 정보 단말기에서 통신 장비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잘못 전송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보 단말기는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해 약속된 부호를 사용하여 에러를 검출하고 정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기능을 에러 제어 기능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에러 제어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정보 단말기의 입ㆍ출력 기능에 속하는 것은?

  1. 입력 변화 기능
  2. 입ㆍ출력 제어 기능
  3. 에러 제어 기능
  4. 송ㆍ수신 제어 기능
(정답률: 69%)
  • 정보 단말기의 입ㆍ출력 기능 중 "입력 변화 기능"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단말기가 인식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키보드로 입력한 문자를 인식하거나 마우스로 클릭한 위치를 인식하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입력 변화 기능"이 정보 단말기의 입ㆍ출력 기능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PCM(Pulse Code Modulatio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재생하는 방식이다.
  2. 표본화, 양자화, 부호화 단계로 구성된다.
  3. PCM 잡음에는 양자화잡음 등이 있다.
  4. 표본화율(Sampling Rate)은 원신호의 최소 주파수를 1/2 이하로 하는 나이키스트(Nyquist) 이론을 바탕으로 한다.
(정답률: 80%)
  • "표본화율(Sampling Rate)은 원신호의 최소 주파수를 1/2 이하로 하는 나이키스트(Nyquist) 이론을 바탕으로 한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PCM은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재생하는 방식이며, 표본화, 양자화, 부호화 단계로 구성됩니다. 또한 PCM 잡음에는 양자화잡음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외장형 케이블 모뎀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기존에 사용하던 전화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케이블 TV와는 별도로 구성된 케이블 망을 사용한다.
  3. 하향으로는 256QAM 또는 64QAM 변조방식이 사용된다.
  4. PC와의 인터페이스는 EIA-232D(RS-232C) 방식을 사용한다.
(정답률: 76%)
  • 외장형 케이블 모뎀은 케이블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장치로, 케이블 TV와는 별도로 구성된 케이블 망을 사용합니다. 하향으로는 256QAM 또는 64QAM 변조방식이 사용되는 이유는, 이 방식이 더 높은 속도와 대역폭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즉, 더 많은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PC와의 인터페이스는 EIA-232D(RS-232C) 방식을 사용합니다. 또한, 기존에 사용하던 전화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전송시스템에서 다중화(Multiplexing)란 무엇인가?

  1. 다중신호를 다중 통신채널에 보내는 것
  2. 다중신호를 하나의 통신채널에 보내는 것
  3. 동일신호를 다중 통신신호로 보내는 것
  4. 동일신호를 하나의 통신채널에 보내는 것
(정답률: 83%)
  • 다중화는 여러 개의 신호를 하나의 통신채널에 보내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대역폭 사용이 가능해지며, 여러 개의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중신호를 하나의 통신채널에 보내는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주파수분할다중화기(FDM)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기식 데이터 다중화에 사용된다.
  2. 1,200[bps] 이하에서 사용된다.
  3. 채널간 완충지역으로 가드밴드(Guard Band)를 주어야 한다.
  4. 별도의 모뎀이 필요 없다.
(정답률: 62%)
  • "동기식 데이터 다중화에 사용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주파수분할다중화기(FDM)는 여러 개의 채널을 하나의 통신 회선으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로, 각 채널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따라서 별도의 모뎀이 필요하며, 채널간 완충지역으로 가드밴드(Guard Band)를 주어야 한다. 주로 1,200[bps] 이상의 속도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4위상 PSK 변ㆍ복조기에서 변조속도가 2,400[baud]일 때 데이터 전송속도는?

  1. 9,600[baud]
  2. 4,800[baud]
  3. 2,400[baud]
  4. 1,200[baud]
(정답률: 83%)
  • 4위상 PSK 변ㆍ복조기에서 1개의 심볼(symbol)은 2개의 비트(bit)를 나타내므로, 변조속도가 2,400[baud]일 때 1초당 전송되는 심볼의 수는 2,400개이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속도는 2,400[baud] x 2[비트/심볼] = 4,800[baud]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데이터 회선 종단장치(DCE)의 일종으로 디지털 전송로에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DSU
  2. MODEM
  3. CPU
  4. FEP
(정답률: 76%)
  • DSU는 데이터 서비스 단위(Data Service Unit)의 약자로, 디지털 전송로에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DSU는 데이터 회선 종단장치(DCE)의 일종으로 분류됩니다. MODEM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DSU와는 다른 역할을 합니다. CPU는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를 의미하며, FEP는 프론트 엔드 프로세서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전화기의 기능 중 상대방의 번호를 발생시키는 기구로 다이얼(Dial)이 있다. 다음 중 다이얼 신호가 아닌 것은?

  1. DP(Dial Pulse) 신호
  2. PB(Push Button) 신호
  3. MFC(Multi Frequency Code) 신호
  4. HS(Hook Switch) 신호
(정답률: 77%)
  • HS(Hook Switch) 신호는 전화기 수화기를 들거나 놓을 때 발생하는 신호로, 다이얼링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다이얼 신호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CATV 방송에서 입력측 (C/Ni)=20이고, 출력측 (C/No)=10이라고 가장하면 잡음지수(Noise Factor)는 얼마인가?

  1. 0.5
  2. 1
  3. 2
  4. 3
(정답률: 82%)
  • 잡음지수는 출력측 잡음의 전력과 입력측 잡음의 전력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NF = (C/No) / (C/Ni)이다. 따라서 NF = 10 / 20 = 0.5이다. 따라서 정답은 "0.5"이어야 한다. 따라서 이 문제는 잘못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디지털 TV와 IPTV 방송의 영상압축 전송기술의 방식이 아닌 것은?

  1. MPEG4
  2. H.264
  3. WMT9
  4. AC3
(정답률: 69%)
  • AC3은 오디오 코덱으로, 영상압축 전송 기술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디지털 TV와 IPTV 방송의 영상압축 전송 기술의 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디지털 TV 방송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영상 및 음향신호의 압축이 용이하고 녹화 재생시 화질이나 음질의 열화가 적다.
  2. 다양한 멀티미디어의 많은 정보를 서비스할 수 있다.
  3. 오류 정정 기술을 사용할 수 있고 저장 및 복제에 따른 손실이 적다.
  4. 상호간섭이 비교적 많고, 신호의 열화가 급격한 편이다.
(정답률: 85%)
  • "상호간섭이 비교적 많고, 신호의 열화가 급격한 편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이는 디지털 TV 방송의 특성 중 하나인 아날로그 TV 방송과는 다른 점이다. 디지털 TV 방송은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아날로그 TV 방송보다 상호간섭이 적고, 신호의 열화가 적은 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위성통신을 이용한 통신서비스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HDTV 방송
  2. 재난대비 백업회선
  3. 웹서버 운영
  4. 해상 전화통화
(정답률: 77%)
  • 웹서버 운영은 위성통신을 이용한 통신서비스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웹서버 운영은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위성통신은 인터넷 속도가 느리고 지연시간이 길어서 웹서버 운영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100[mW]의 신호 전력을 [dBm]으로 환산하면 얼마인가?

  1. 10[dBm]
  2. 20[dBm]
  3. 30[dBm]
  4. 40[dBm]
(정답률: 71%)
  • 100[mW]의 신호 전력을 [dBm]으로 환산하면 20[dBm]이다.

    [dBm]은 [mW]를 로그함수로 변환한 단위이다. 이 때, 1[mW]의 전력을 [dBm]으로 환산하면 0[dBm]이 된다. 따라서, 100[mW]의 전력을 [dBm]으로 환산하려면 10log(100[mW]) = 20[dB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정지 위성통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신 영역이 넓고 고품질의 통신이 가능하다.
  2. 다원접속(Multiple Access)이 가능하다.
  3. 방송에 이용시 난시청 지역을 해소할 수 있다.
  4. 전파의 전송지연이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률: 77%)
  • 전파의 전송지연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는 실제로는 불가능하며, 모든 통신 시스템에서 일정한 전송 지연이 발생한다. 이유는 전파가 지구와 위성 간을 왕복하는 시간, 위성에서 처리되는 시간 등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4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말기는?

  1. PCS 단말기
  2. CDMA 단말기
  3. PSTN 단말기
  4. LTE Advanced 단말기
(정답률: 86%)
  • 4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는 LTE (Long-Term Evolution)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LTE Advanced 단말기"가 4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말기입니다. 다른 보기인 "PCS 단말기", "CDMA 단말기", "PSTN 단말기"는 모두 4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등 모든 것을 디지털 처리한 후 전송하는 TV 방식과 거리가 먼 것은?

  1. SDTV
  2. HDTV
  3. UHDTV
  4. 아날로그TV
(정답률: 87%)
  • 아날로그TV는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등을 아날로그 신호로 처리하고 전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디지털 처리를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TV 방식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전자칩을 부착하고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사물의 정보를 확인하고 감지하는 센서 기술을 이용한 것은?

  1. WiBro
  2. Telemetics
  3. RFID
  4. DMB
(정답률: 87%)
  • RFID는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약자로,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전자칩을 부착한 사물의 정보를 감지하고 확인하는 센서 기술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RFID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고품질의 영상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서비스가 가능한 것은?

  1. CATV
  2. DMB
  3. IPTV
  4. RFID
(정답률: 83%)
  • DMB는 이동성이 뛰어나며, 고화질의 영상과 오디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고품질의 영상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전송개론

41. 다음 중 표본화 종류가 아닌 것은?

  1. 순시 표본화
  2. Flat-top Sampling
  3. Natural Sampling
  4. Time Sampling
(정답률: 71%)
  • 정답: Time Sampling

    설명: Time Sampling은 표본화의 종류가 아니라, 표본화를 수행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Time Sampling은 시간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샘플을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Time Sampling은 표본화 종류가 아니라, 표본화를 수행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주파수대역폭이 fd[Hz]이고 통신로의 채널용량이 6fd[bps]인 통신로에서 필요한 S/N비는?

  1. 15
  2. 31
  3. 63
  4. 127
(정답률: 80%)
  • 채널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C = B log₂(1 + S/N)

    여기서 B는 주파수대역폭, S는 신호의 전력, N은 잡음의 전력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B = fd, C = 6fd으로 주어졌으므로 다음과 같이 풀 수 있습니다.

    6fd = fd log₂(1 + S/N)

    6 = log₂(1 + S/N)

    1 + S/N = 2⁶ = 64

    S/N = 63

    따라서 정답은 "6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PCM에서 입력신호의 최고주파수(fm)와 표본화 주파수(fs)의 조건으로 맞는 것은?

  1. fs = fm
  2. fs ≥ 2fm
  3. fs ≤ 2fm
  4. fs ≥ fm/2
(정답률: 71%)
  • 정답은 "fs ≥ 2fm"이다.

    이유는 나이퀴스트 샘플링 정리에 따라, 입력신호의 최고주파수(fm)보다 높은 주파수 성분은 표본화 주파수(fs)가 2배 이상이어야만 정확하게 표본화할 수 있다. 따라서, "fs ≥ 2fm" 조건이 맞아야 입력신호를 정확하게 표본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음성의 디지털 부호화 기술 중 파형 부호화 방식이 아닌 것은?

  1. LPC
  2. PCM
  3. DPCM
  4. DM
(정답률: 63%)
  • LPC는 파형 부호화 방식이 아닌 선형 예측 부호화 방식이다. LPC는 음성 신호를 작은 세그먼트로 나누어 각 세그먼트를 이전 세그먼트와의 선형 예측으로 모델링하고, 예측 오차를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PCM, DPCM, DM은 모두 파형 부호화 방식으로,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전송선로에서 누화(Cross Talk)의 영향을 줄이는 방법과 관계없는 것은?

  1. 누화 보상
  2. 프로징(Frogging)
  3. 압신기(Compander)
  4. 시험감쇄(Test Attenuation)
(정답률: 66%)
  • 시험감쇄(Test Attenuation)는 전송선로에서 신호가 전달되는 동안 발생하는 감쇄를 측정하여 보상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누화(Cross Talk)의 영향을 줄이는 방법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시험감쇄(Test Attenuati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주배선반(MDF)에서 댁내 배선이 1페어(pair)인 아파트에서 1페어 동선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초고속인터넷 방식은?

  1. ADSL
  2. HDSL
  3. 광랜
  4. FTTH
(정답률: 50%)
  • 주배선반(MDF)에서 댁내 배선이 1페어(pair)인 경우, ADSL이 가장 적합한 초고속인터넷 방식입니다. 이는 ADSL이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의 약자로, 다운로드 속도와 업로드 속도가 다른 비대칭형 인터넷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1페어 동선은 다운로드 속도가 더 빠르게 지원되는 ADSL에 적합하며, 광랜이나 FTTH는 광케이블과 같은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1페어 동선과는 호환되지 않습니다. HDSL은 대역폭이 높은 대칭형 인터넷 방식으로, 1페어 동선에서는 사용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광통신시스템에서의 손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커넥터 손실
  2. 접속 손실
  3. 전반사 손실
  4. 광섬유 손실
(정답률: 71%)
  • 전반사 손실은 광섬유에서 광파가 인터페이스에서 다른 매질로 진행될 때 발생하는 손실로, 광섬유의 두께나 질량 등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모두 광통신시스템에서의 손실에 해당되지만, 전반사 손실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동축케이블과 비교할 때 광섬유케이블이 갖는 장점이 아닌 것은?

  1. 장거리 전송이 가능하다.
  2. 경제적이고 수명이 길다.
  3. 전송용량이 훨씬 크다.
  4. 접속과 제조가 용이하다.
(정답률: 76%)
  • 광섬유케이블이 갖는 장점 중 접속과 제조가 용이하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광섬유케이블은 동축케이블에 비해 접속과 제조가 어렵고 복잡합니다. 이유는 광섬유케이블은 광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광섬유케이블의 끝단을 정밀하게 연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광섬유케이블의 접속과 제조는 전문 기술과 장비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통신용 주파수 대역 내 통신신호와의 간섭이 없다는 이점이 있으나 다중전송방식의 주파수 이용효율이 낮고 다중분리 필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는 통화로 신호방식은?

  1. 직류방식
  2. In-band 방식
  3. Out-of-band 방식
  4. 혼합방식
(정답률: 64%)
  • Out-of-band 방식은 통신용 주파수 대역 외부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주파수 대역 내 간섭 없이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다중전송방식의 주파수 이용효율이 낮고 다중분리 필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혼합형 동기식 전송 방식(Isochronous Transmission)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일반적으로 비동기식 전송보다 전송속도가 빠르다.
  2. 동기식 전송과 비동기 전송의 특성을 혼합한 방식이다.
  3. 문자와 무자 사이에 휴지시간이 없다.
  4. Start bit와 Stop bit를 가진다.
(정답률: 82%)
  • 답: "문자와 무자 사이에 휴지시간이 없다."가 아닌 것은 "Start bit와 Stop bit를 가진다."입니다.

    혼합형 동기식 전송 방식은 동기식 전송과 비동기식 전송의 특성을 혼합한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비동기식 전송보다 전송속도가 빠릅니다. 하지만 이 방식은 문자와 무자 사이에 휴지시간이 없는 것이 아니라, 전송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휴지시간이 다르게 설정됩니다.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의 경우에는 휴지시간이 거의 없지만, 비디오 데이터의 경우에는 일정한 휴지시간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디지털 정보통신시스템이 9,600[bps]로 동작하여야 할 경우 신호요소가 4[bit]로 인코드 된다면 이상적인 전송채널에서 최소 얼마의 대역폭이 필요한가?

  1. 1,200[Hz]
  2. 2,400[Hz]
  3. 4,800[Hz]
  4. 9,600[Hz]
(정답률: 81%)
  • 디지털 정보통신시스템에서는 4[bit]의 신호요소를 전송해야 하므로, 1초당 9,600[bps]의 전송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9,600[bps] / 4[bit] = 2,400[Hz]의 대역폭이 필요하다. 이는 나타내고자 하는 디지털 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을 의미하며, 이상적인 전송채널에서는 최소한 이만큼의 대역폭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2,400[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프로토콜의 전송방식은?

  1. 문자(중심)방식
  2. 바이트(중심)방식
  3. 비트(중심)방식
  4. 혼합동기방식
(정답률: 77%)
  • HDLC 프로토콜의 전송방식은 비트(중심)방식입니다. 이는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전송하며,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비트 패턴을 사용하여 동기화를 유지합니다. 이 방식은 전송 효율이 높고 오류 검출 및 복구 기능이 강화되어 있어 신뢰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OSI 7계층에서 논리적인 통신로의 설정 및 종단 시스템간의 데이터 전송에서 오류 검출 및 정정, 흐름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계층은?

  1. 데이터링크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트랜스포트 계층
  4. 세션 계층
(정답률: 43%)
  • 트랜스포트 계층은 종단 시스템 간의 데이터 전송에서 오류 검출 및 정정, 흐름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논리적인 통신로의 설정과 함께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안정적인 전송을 가능하게 하며, TCP와 UDP 프로토콜 등이 이 계층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프로토콜의 기본 구성요소 중 전송의 조정이나 오류 제어를 위한 제어정보를 규정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구문(Syntax)
  2. 의미(Semantics)
  3. 타이밍(Timing)
  4. 동기(Synchronization)
(정답률: 68%)
  • 정답은 "의미(Semantics)"이다. 프로토콜의 기본 구성요소 중 제어정보는 데이터의 의미를 규정하며, 데이터의 전송 조건과 오류 제어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제어정보를 규정하는 것은 데이터의 의미를 규정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OSI 7계층의 하위 계층에 해당하는 것은?

  1. 물리계층, 데이터링크계층, 네트워크계층
  2. 세션계층, 표현계층, 네트워크계층
  3. 물리계층, 트랜스포트계층, 표현계층
  4. 데이터링크계층, 트랜스포트계층, 세션계층
(정답률: 90%)
  • 정답은 "물리계층, 데이터링크계층, 네트워크계층" 입니다. 이는 OSI 7계층 중에서 가장 하위에 위치하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적인 매체와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을 다룹니다. 물리계층은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데이터링크계층은 물리적인 매체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 관리하며, 네트워크계층은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한 경로를 설정하고 관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네트워크 연결 장치에 속하는 브리지(Bridge)는 주소표의 정보와 프레임의 무엇을 비교하여 패킷을 전달하는가?

  1. 데이터링크계층의 발신지 주소
  2. 발신노드의 물리 주소
  3. 데이터링크계층의 목적지 주소
  4. 네트워크계층의 목적지 주소
(정답률: 71%)
  • 브리지는 데이터링크계층의 목적지 주소를 비교하여 패킷을 전달합니다. 이는 브리지가 목적지 주소를 확인하여 해당 패킷이 어느 포트로 전달되어야 하는지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발신지 주소나 발신노드의 물리 주소는 패킷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네트워크계층의 목적지 주소는 브리지가 아닌 라우터에서 사용되는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IP address 체계의 B class에서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수용할 수 있는 최대 호스트 수는 몇 개인가?

  1. 128개
  2. 254개
  3. 65,534개
  4. 16,277,214개
(정답률: 85%)
  • B class의 IP 주소 체계에서는 네트워크 ID가 16비트이고 호스트 ID가 16비트이므로 총 2의 16승인 65,536개의 호스트를 수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첫 번째 호스트 ID(0)와 마지막 호스트 ID(모든 비트가 1인 65,535)는 예약되어 있으므로 실제로 사용 가능한 호스트 수는 65,534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네트워크 계층 중 접속형 연결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가상회선교환방식이다.
  2. 패킷 수신 순서는 전송 순서의 역순이다.
  3. 초기 설정과정이 필요하다.
  4. 상대 주소는 접속 설정 시에만 필요하다.
(정답률: 58%)
  • "패킷 수신 순서는 전송 순서의 역순이다."는 접속형 연결방식과 관련이 없는 설명이므로 맞지 않는 것이다. 이유는 패킷이 전송되는 순서와 수신되는 순서는 독립적이기 때문이다. 패킷은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 순서와 수신 순서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HDLC의 제어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RR : 수신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알림
  2. UA : 비 번호제 명령에 대한 응답
  3. SNRM : 정규 응답 모드로의 데이터링크 설정을 요청
  4. SARM : 비동기 평형 모드로의 연결설정 요구
(정답률: 62%)
  • "SARM : 비동기 평형 모드로의 연결설정 요구"가 HDLC의 제어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SARM은 HDLC에서 사용되는 제어 명령어 중 하나로, 비동기 평형 모드로의 연결설정 요구를 의미한다. 이 명령어는 비동기 방식으로 통신하는 장치들 간에 HDLC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할 때 사용된다. SARM 명령어는 비동기 방식에서 HDLC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초기 설정을 요구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SARM 명령어는 HDLC에서 사용되는 제어 명령어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전송 방식 중 양쪽 방향으로 송수신이 가능하지만 한쪽이 송신하면 다른 한쪽은 수신하는 방식은?

  1. 단방향 전송방식
  2. 반이중 전송방식
  3. 전이중 전송방식
  4. 병렬 전송방식
(정답률: 85%)
  • 반이중 전송방식은 양쪽 방향으로 송수신이 가능하지만, 한쪽이 송신하면 다른 한쪽은 수신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전송하는 쪽과 받는 쪽이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기 때문에, 한쪽이 송신할 때 다른 한쪽은 수신만 가능한 방식입니다. 따라서 반이중 전송방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설비기준

61. 다음 중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컴퓨터 하드웨어에 대한 자원을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이다.
  2. 응용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자원에 대한 연계 역할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이다.
  3. 컴퓨터에서 항상 수행되고 있으며, 운영체제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커널(Kernel)이다.
  4. 사용자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경우 쉽게 접근하여 운영체제의 프로그램을 변경할 수 있다.
(정답률: 78%)
  • "사용자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경우 쉽게 접근하여 운영체제의 프로그램을 변경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보안상의 이유로 막혀있으며, 일반 사용자는 운영체제의 프로그램을 변경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들로 올바르게 구성된 것은?

  1. ㉮ 절대 로더, ㉯ 상대 로더, ㉰ 주기억장치, ㉱ 링킹 로더
  2. ㉮ 절대 로더, ㉯ 링키지 에디터, ㉰ 보조기억장치, ㉱ 링킹 로더
  3. ㉮ 링킹 로더, ㉯ 링키지 에디터, ㉰ 보조기억장치, ㉱ 로딩 이미지
  4. ㉮ 링키지 에디터, ㉯ 링킹 로더, ㉰ 주기억장치, ㉱ 로딩 이미지
(정답률: 62%)
  • 주어진 그림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메모리에 로딩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 과정은 크게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컴파일러가 소스 코드를 목적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이고, 두 번째는 목적 코드를 실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메모리에 로딩하는 과정이다. 이 두 번째 과정에서 필요한 것이 링킹 로더와 링키지 에디터이다. 링키지 에디터는 여러 개의 목적 파일을 하나의 실행 파일로 합치는 역할을 하고, 링킹 로더는 이렇게 합쳐진 실행 파일을 메모리에 로딩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보조기억장치에서 메모리로 로딩되는데, 이를 위해 보조기억장치와 주기억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것이 로딩 이미지이다. 따라서 정답은 "㉮ 링키지 에디터, ㉯ 링킹 로더, ㉰ 보조기억장치, ㉱ 로딩 이미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16진수 FA.5를 8진수로 변환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241.218
  2. 352.228
  3. 261.238
  4. 372.248
(정답률: 67%)
  • 16진수 FA.5를 2진수로 변환하면 1111 1010.0101이 된다. 이를 3비트씩 끊어서 8진수로 변환하면 372.248이 된다. 3비트씩 끊어서 변환하는 이유는 8진수가 3비트씩 끊어서 표현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2의 보수를 이용한 뺄셈 0011 - 1101의 연산 결과 값은?

  1. 0111
  2. 1011
  3. 0110
  4. 1001
(정답률: 59%)
  • 2의 보수를 이용한 뺄셈은 먼저 빼려는 수의 비트를 모두 반전시킨 후 1을 더한 값을 빼는 것과 같다. 따라서 0011의 2의 보수는 1101이 된다. 그리고 0011 - 1101은 0011 + (-1101)과 같으므로 0011 + 0011의 2의 보수인 1101을 더한 값인 10000이 나온다. 이때 결과 값은 4비트로 표현되어야 하므로 오른쪽에서부터 4비트만 남기고 나머지는 버리면 011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1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전자계산기 명령(Instruction)의 주소 지정 방식인 간접 주소 지정 방식(Indirect Address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명령의 오퍼랜드가 지정하는 부분에 실제 데이터가 저장된 부분의 주소를 기록하고 있는 주소 지정 방식
  2. 기억장치에 최소 2번 접근하여 오퍼랜드를 얻을 수 있는 주소 지정 방식
  3. 처리 속도는 느리지만 짧은 길이의 오퍼랜드로 긴 주소에 접근할 수 있는 주소 지정 방식
  4. 오퍼랜드의 길이가 길어 소용량 기억장치의 주소를 나타내는 데 적합한 주소 지정 방식
(정답률: 51%)
  • "기억장치에 최소 2번 접근하여 오퍼랜드를 얻을 수 있는 주소 지정 방식"이 틀린 설명입니다.

    간접 주소 지정 방식은 명령의 오퍼랜드가 지정하는 부분에 실제 데이터가 저장된 부분의 주소를 기록하고 있는 주소 지정 방식입니다. 이 때, 오퍼랜드의 길이가 길어 소용량 기억장치의 주소를 나타내는 데 적합합니다. 처리 속도는 직접 주소 지정 방식에 비해 느리지만, 긴 주소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억장치에 최소 2번 접근하여 오퍼랜드를 얻을 수 있는 주소 지정 방식은 간접 주소 지정 방식이 아닌 다른 주소 지정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운영체제의 목적과 관련된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용가능도 : 컴퓨터를 사용하고자 할 때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정도
  2. 응답시간 : 사용자가 컴퓨터에 일을 지시하고 나서 그 결과를 얻기까지 걸리는 시간
  3. CPU 사용률 : 일정 시간동안 시스템이 처리할 수 있는 일의 양
  4. 신뢰도 : 주어진 문제를 정확하게 해결하고 작동하는 정도
(정답률: 66%)
  • CPU 사용률 : 일정 시간동안 시스템이 처리할 수 있는 일의 양은 운영체제의 목적과 관련된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이다. 이 용어는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하고 최적화하는 데 사용된다. CPU 사용률은 CPU가 일을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며, 높은 CPU 사용률은 시스템이 많은 작업을 처리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운영체제는 CPU 사용률을 최적화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은 NOR 게이트 진리표이다. 출력 X의 a, b, c, d 값으로 옳은 것은? (단, A, B는 입력이고 X는 출력이다.)

  1. a=0, b=0, c=0, d=1
  2. a=1, b=0, c=1, d=1
  3. a=0, b=1, c=0, d=0
  4. a=1, b=0, c=0, d=0
(정답률: 74%)
  • NOR 게이트는 입력 중 하나라도 1이면 출력이 0이 되는 논리 게이트이다. 따라서, 입력 A와 B가 모두 0이 아니면 출력 X는 0이 된다. 이를 바탕으로 주어진 진리표를 분석해보면, a=1, b=0, c=0, d=0일 때 A와 B가 모두 0이므로 출력 X는 1이 된다. 나머지 보기들은 A와 B 중 하나 이상이 1인 경우가 있으므로 출력 X는 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a=1, b=0, c=0, d=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부동 소수점 표현(Floating Point Representatio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정 소수점 표현보다 표현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2. 아주 작은 수의 표현보다 아주 큰 수의 표현에만 적합하다.
  3. 과학, 공학, 수학적인 응용에 주로 사용하는 표현 방법이다.
  4. 수의 표현에 필요한 자릿수에 있어서 효율적이다.
(정답률: 75%)
  • "아주 작은 수의 표현보다 아주 큰 수의 표현에만 적합하다."가 틀린 설명이다. 부동 소수점 표현은 아주 작은 수부터 아주 큰 수까지 모두 표현할 수 있으며, 고정 소수점 표현보다 더 큰 범위의 수를 표현할 수 있다. 이는 소수점의 위치를 유동적으로 조절하여 표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동 소수점 표현은 아주 작은 수부터 아주 큰 수까지 다양한 범위의 수를 표현해야 하는 과학, 공학, 수학적인 응용에서 주로 사용되며, 수의 표현에 필요한 자릿수에 있어서도 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운영체제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분산처리 시스템은 데이터를 여러 컴퓨터로 분산해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2. 데이터베이스는 상호 연관 있는 데이터들의 집합과 처리를 말한다.
  3. 다중 프로세싱이란 여러 CPU를 같이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4. UNIX는 단일 사용자 환경을 제공한다.
(정답률: 78%)
  • "UNIX는 단일 사용자 환경을 제공한다."는 틀린 설명이다. UNIX는 다중 사용자 환경을 제공한다. 이는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시스템에 접속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32비트 컴퓨터에서 8 Full Word와 6 Nibble은 각각 몇 비트인가?

  1. 256비트, 48비트
  2. 128비트, 24비트
  3. 256비트, 24비트
  4. 128비트, 48비트
(정답률: 63%)
  • 8 Full Word는 8개의 워드이며, 각 워드는 32비트이므로 8 x 32 = 256비트이다. 6 Nibble은 6개의 니블이며, 각 니블은 4비트이므로 6 x 4 = 24비트이다. 따라서 정답은 "256비트, 24비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국선단자함에서 동단자함 또는 동단자함에서 동단자함까지(건물간 구간) 연결하는 통신케이블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구내간선케이블
  2. 구내배선케이블
  3. 수평간선케이블
  4. 수평배선케이블
(정답률: 72%)
  • 구내간선케이블은 건물 내부에서 건물 간 구간을 연결하는 통신케이블로, 국선단자함에서 동단자함 또는 동단자함에서 동단자함까지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구내간선케이블"입니다. "구내배선케이블"은 건물 내부에서 각 층의 단자함과 각 장치를 연결하는 케이블이며, "수평간선케이블"과 "수평배선케이블"은 네트워크 구성에서 다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정보통신설비의 설치 및 유지ㆍ보수에 관한 공사와 이에 따른 부대공사 중 통신설비공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전송단국설비, 다중화설비, 중계설비, 분배설비 등의 공사
  2. 무선CATV설비, 방송통신융합시스템설비, 무선적외선설비 등의 공사
  3. 구내통신선로설비ㆍ방송공동수신설비, 키폰전화설비 등의 공사
  4. 영상 및 음향설비, 송출설비, 방송관리시스템설비 등의 공사
(정답률: 68%)
  • 정답은 "영상 및 음향설비, 송출설비, 방송관리시스템설비 등의 공사"입니다. 이는 정보통신설비의 설치 및 유지보수와 관련된 부대공사 중에서도 통신설비에 해당하지 않는 공사들입니다. 영상, 음향, 송출, 방송 관리 등은 통신과는 다른 분야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은 누화에 관한 규정이다. 괄호 안에 적합한 것은?

  1. 48
  2. 56
  3. 68
  4. 76
(정답률: 82%)
  • 누화 규정에서는 "6과 8은 반드시 함께 나와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은 "68"이다. "48"과 "56"은 6과 8이 함께 나오지 않으므로 적합하지 않고, "76"은 6과 8이 함께 나오지만 순서가 반대이므로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방송통신설비가 다른 사람의 방송통신설비와 접속되는 경우에 그 건설과 보전에 관한 책임 등의 한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설정하여야 하는 것은?

  1. 접속점
  2. 분계점
  3. 단자반
  4. 경계점
(정답률: 83%)
  • 방송통신설비가 다른 사람의 방송통신설비와 접속되는 경우, 각각의 책임 범위를 명확히 하기 위해 분계점을 설정해야 합니다. 분계점은 두 개 이상의 회선이 만나는 지점으로, 이 지점에서는 각 회선의 신호를 분리하거나 결합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분계점을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회선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다른 회선으로 전파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접속점은 단순히 두 개의 회선이 연결되는 지점을 의미하며, 분계점과는 달리 신호를 분리하거나 결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와 관련하여 정답은 "분계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정보통신공사업법에서 정의하는 정보통신공사의 기본적인 사항을 나열한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조사ㆍ평가ㆍ시공ㆍ자문ㆍ유지관리ㆍ기술관리
  2. 설계ㆍ조사ㆍ검사ㆍ분석ㆍ유지관리ㆍ기술관리
  3. 조사ㆍ자문ㆍ시공ㆍ감리ㆍ유지관리ㆍ기술관리
  4. 조사ㆍ설계ㆍ시공ㆍ감리ㆍ유지관리ㆍ기술관리
(정답률: 73%)
  • 정보통신공사업법에서 정의하는 정보통신공사의 기본적인 사항은 "조사ㆍ설계ㆍ시공ㆍ감리ㆍ유지관리ㆍ기술관리" 입니다. 이는 정보통신시설의 설치, 유지보수, 관리 등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기업이 갖추어야 할 역량과 업무 범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조사는 시설 설치 전 현장 조사를 의미하며, 설계는 시설 설치 계획 및 설계를 의미합니다. 시공은 설치 작업을 의미하며, 감리는 시설 설치 과정에서의 품질 검사를 의미합니다. 유지관리는 설치된 시설의 정상적인 운영을 위한 유지보수 작업을 의미하며, 기술관리는 기술적인 지원 및 관리 업무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 등록이 취소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타인에게 등록증이나 등록수첩을 빌려준 경우
  2. 등록기준에 관한 사항을 거짓으로 신고한 경우
  3. 최근 7년간 2번의 영업정지처분을 받은 경우
  4. 부정한 방법으로 공사업의 등록을 한 경우
(정답률: 76%)
  • 정보통신공사업 등록이 취소되는 경우는 등록기준에 관한 사항을 거짓으로 신고한 경우, 타인에게 등록증이나 등록수첩을 빌려준 경우, 부정한 방법으로 공사업의 등록을 한 경우입니다. 따라서 최근 7년간 2번의 영업정지처분을 받은 경우는 정보통신공사업 등록이 취소되는 경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선로의 도달이 어려운 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하는 증폭장치는?

  1. 전송장치
  2. 발진장치
  3. 제어장치
  4. 중계장치
(정답률: 78%)
  • 선로의 도달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전파가 약해지기 때문에 신호를 증폭시켜 전달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장치가 중계장치입니다. 중계장치는 신호를 받아 증폭시켜 다른 지점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선로의 도달이 어려운 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하는 증폭장치는 중계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에서 세대망과 단지망을 상호 접속하는 장치는?

  1. 단지서버
  2. 세대단자함
  3. 월패드
  4. 홈게이트웨이
(정답률: 77%)
  • 홈게이트웨이는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에서 세대망과 단지망을 상호 접속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와 집 안의 모든 기기들을 연결해주는 중앙 집중형 제어 장치로서, 인터넷 연결, 보안, 에너지 관리, 홈 자동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홈게이트웨이가 세대망과 단지망을 상호 접속하는 장치로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른 용어로 맞는 것은?

  1. 정보전송설비
  2. 인터넷설비
  3. 정보통신망
  4. 컴퓨터통신망
(정답률: 77%)
  • 전기통신사업법에서는 "정보통신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모든 설비와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인터넷설비, 컴퓨터통신망 등도 정보통신망의 일부분입니다. 따라서, "정보전송설비"과 "인터넷설비", "컴퓨터통신망"은 정보통신망의 일부분이지만, 보다 포괄적인 개념인 "정보통신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 등록을 위하여 첨부하는 서류가 아닌 것은?

  1. 기업진단보고서
  2. 정보통신기술자 명단
  3. 사무실 보유를 증명하는 서류
  4. 법인 인감 증명서
(정답률: 53%)
  • 법인 인감 증명서는 정보통신공사업 등록을 위하여 첨부하는 서류가 아닙니다. 이는 법인의 인감이 유효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서류이지만, 정보통신공사업 등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반면, 기업진단보고서는 기업의 경영상태를 평가하는 보고서, 정보통신기술자 명단은 기술력을 증명하는 서류, 사무실 보유를 증명하는 서류는 사업장의 위치와 규모를 확인하는 서류로, 정보통신공사업 등록을 위하여 첨부하는 서류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