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3-05)

정보통신산업기사
(2017-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전자회로

1. RC 평활회로에서 시정수 RC = 1이고 5[V]의 구형펄스를 입력했을 때 커패시턴스의 방전 시 파형으로 맞는 것은?

(정답률: 79%)
  • RC 평활회로에서 입력 신호가 구형펄스일 때, 출력 신호는 RC 시간 상수에 따라 지연되어 나타납니다. 이때 RC = 1 이므로 시간상수는 1초입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가 5[V]의 구형펄스일 때, 출력 신호는 5[V]에서 시작하여 1초 후에 약 0[V]까지 지연되어 나타납니다. 이에 해당하는 파형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초크입력형 평활회로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출력직류전압이 낮다.
  2. 전압변동률이 적다.
  3. 첨두 역전압이 높다.
  4. 부하저항이 적을수록 맥동이 적다.
(정답률: 60%)
  • "첨두 역전압이 높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초크입력형 평활회로의 특징은 출력직류전압이 낮고 전압변동률이 적으며 부하저항이 적을수록 맥동이 적다는 것입니다. 첨두 역전압은 다른 회로의 특징이며, 초크입력형 평활회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크로스오버(Cross Over) 일그러짐은 어떤 증폭방식에서 발생하는가?

  1. A급
  2. B급
  3. AB급
  4. C급
(정답률: 66%)
  • 크로스오버 일그러짐은 B급에서 발생한다. 이는 B급 증폭기에서 출력 신호가 왜곡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다른 등급의 증폭기에 비해 일그러짐이 적은 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그림의 회로에 대한 선형동작을 위한 교류 콜렉터(Collector) 전류의 최대 변동값 Ic(p-p)(Peak to Peak)은 얼마인가? (단, 베이스-이미터 전압 VBE= 0으로 가정한다.)

  1. 20[mA]
  2. 50[mA]
  3. 60[mA]
  4. 70[mA]
(정답률: 53%)
  • 이 회로는 에미터 전압이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콜렉터 전류의 최대 변동값은 콜렉터 전압이 최대로 변할 때 발생한다. 이 때 콜렉터 전압은 VCC - VCE(sat) 이므로, 최대 변동값은 VCE(sat)일 때 발생한다. 따라서, Ic(p-p) = (VCC - VCE(sat)) / RC = (12V - 0.2V) / 240Ω = 50mA 이다. 따라서 정답은 "50[m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이미터 플로워(Emitter Follower)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입력 임피던스가 높다.
  2. 출력 임피던스가 낮다.
  3. 전압 이득이 1에 가깝다.
  4. 전류 이득이 1에 가깝다.
(정답률: 60%)
  • 입력 임피던스가 높다는 것은 입력 신호가 들어오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고, 출력 임피던스가 낮다는 것은 출력 신호가 쉽게 나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에 반해, 이미터 플로워의 전압 이득은 1에 가깝고, 전류 이득도 1에 가깝습니다. 이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크기가 거의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이미터 플로워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지는 않지만, 출력 신호를 입력 신호와 같은 크기로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무궤환시 회로와 비교해서 부궤환시 증폭기의 일반적 특성이 아닌 것은?

  1. 부하변동에 의한 이득 변동이 감소한다.
  2. 저역 차단주파수가 증가한다.
  3. 이득이 감소한다.
  4. 일그러짐과 잡음이 감소한다.
(정답률: 51%)
  • 정답: 저역 차단주파수가 증가한다.

    이유: 부궤환시 증폭기는 무궤환시 증폭기와 달리 입력 저항이 작고 출력 저항이 크기 때문에 부하변동에 의한 이득 변동이 감소하고, 이득이 감소하며 일그러짐과 잡음이 감소한다. 하지만 이로 인해 저역 차단주파수가 증가하게 된다. 이는 부궤환시 증폭기의 대역폭이 좁아지는 단점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수정발진기의 주파수 안정도가 양호한 이유로 틀린 것은?

  1. 수정진동자의 Q(Quality Factor)가 높다.
  2. 발진을 만족하는 유도성 주파수 범위가 매우 좁다.
  3. 수정진동자는 항온조 내에 둔다.
  4. 부하변동을 전혀 받지 않는다.
(정답률: 65%)
  • "수정진동자의 Q(Quality Factor)가 높다."가 틀린 이유는, Q값이 높을수록 주파수 안정도는 높아지지만, Q값이 높을수록 발진 주파수 범위가 좁아지기 때문에 발진 주파수 범위를 넘어서면 안정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하변동을 전혀 받지 않는다."가 옳은 이유는, 수정발진기는 부하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 회로 구성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즉, 부하가 바뀌어도 발진 주파수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안정도가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발진기에서 이용되는 궤환회로로 옳은 것은?

  1. 정궤환회로
  2. 부궤환회로
  3. 정궤환과 부궤환 모두 사용한다.
  4. 궤환회로를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71%)
  • 발진기에서 이용되는 궤환회로는 "정궤환회로"입니다. 이는 궤환의 회전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회로로, 궤환의 회전 방향이 바뀌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인 발진이 가능합니다. 부궤환회로는 궤환의 회전 방향이 바뀌는 회로로, 발진 시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교류 신호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가 아닌 것은?

  1. 진폭
  2. 주파수
  3. 증폭도
  4. 위상
(정답률: 75%)
  • 교류 신호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는 진폭, 주파수, 위상이다. 증폭도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교류 신호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콜렉터 변조 회로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직선성이 우수하다.
  2. 피변조파의 동작점을 C급으로 한다.
  3. 100[%] 변조가 가능하다.
  4. 소전력 송신기에 매우 적합하다.
(정답률: 60%)
  • 틀린 것은 "100[%] 변조가 가능하다." 이다. 콜렉터 변조 회로는 최대 50[%]까지만 변조가 가능하다. 이 회로는 소전력 송신기에 적합한 이유는 소형화가 가능하고, 소비전력이 적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설명과 같은 특징을 갖는 변조방식은 어느 것인가?

  1. BPSK
  2. DPSK
  3. QAM
  4. QPSK
(정답률: 82%)
  • 이 변조방식은 직교적인 두 개의 캐리어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변조방식으로, 직교한 두 개의 캐리어 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와 위상을 가진 신호를 만들어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QAM은 다른 변조방식에 비해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펄스변조방식이 아닌 것은?

  1. 펄스진폭변조(PAM)
  2. 펄스폭변조(PWM)
  3. 펄스수변조(PNM)
  4. 펄스반응변조(PRM)
(정답률: 68%)
  • 펄스반응변조(PRM)은 펄스의 간격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다른 세 가지 방식은 펄스의 진폭, 폭, 수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정답은 "펄스반응변조(PR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슈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의 출력 파형으로 적합한 것은?

  1. 구형파
  2. 램프파
  3. 톱니파
  4. 정현파
(정답률: 64%)
  • 슈미트 트리거는 입력 신호가 일정 임계값을 넘어서면 출력이 전환되는 회로이다. 이 때, 구형파는 일정한 주기와 진폭을 가지고 있어서 입력 신호가 일정 임계값을 넘어서면 출력이 전환되는데 적합하다. 반면에 램프파, 톱니파, 정현파는 주기나 진폭이 일정하지 않아서 슈미트 트리거의 출력 파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저역통과 RC 회로에서 시정수(Time Consta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출력신호 최종값의 50[%]에 도달할 때까지의 입력신호에 대한 응답 상승속도
  2. 출력신호 최종값의 63.2[%]에 도달할 때까지의 입력신호에 대한 응답 상승속도
  3. 출력신호 최종값의 76.5[%]에 도달할 때까지의 입력신호에 대한 응답 상승속도
  4. 출력신호 최종값의 81.2[%]에 도달할 때까지의 입력신호에 대한 응답 상승속도
(정답률: 67%)
  • 정답은 "출력신호 최종값의 63.2[%]에 도달할 때까지의 입력신호에 대한 응답 상승속도"입니다. 이유는 RC 회로에서 시정수는 RC 값으로 결정되며, 이 값은 출력신호가 입력신호의 63.2%까지 상승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시정수는 출력신호의 최종값이 아닌, 일정한 비율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므로, "출력신호 최종값의 63.2[%]에 도달할 때까지의 입력신호에 대한 응답 상승속도"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논리식 를 단순화한 것은?

  1. Z = A
  2. Z =
  3. Z = B
  4. Z =
(정답률: 76%)
  • 논리식을 단순화하면 A와 B가 같을 때 Z가 A와 같다는 것을 나타내는 식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Z = A"이다. 이유는 A와 B가 같을 때, A와 B의 부정값은 모두 거짓이 되므로, 논리식의 OR 연산 결과는 거짓이 된다. 따라서 Z는 거짓이 아닌 참이 되어야 하므로 Z는 A와 같은 값을 가져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의 카르노 맵을 간략화한 논리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62%)
  • 논리식은 "" 이다.

    이유는 카르노 맵에서 같은 색으로 칠해진 네모칸들은 같은 논리식을 가지고 있으며, 가능한 최소한의 변수를 사용하여 논리식을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카르노 맵에서 "" 라는 논리식을 얻기 위해 같은 색으로 칠해진 네모칸들을 그룹화하면 "", "", "" 이렇게 3개의 그룹이 만들어진다. 이때, "" 논리식은 3개의 그룹에서 각각의 변수들이 모두 포함되지 않은 부분을 찾아서 AND 연산으로 결합하면 된다. 따라서, "" 논리식은 " AND AND "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16진수 (2AE)16을 8진수로 변환하면?

  1. (257)8
  2. (1256)8
  3. (2557)8
  4. (4317)8
(정답률: 71%)
  • 16진수 2AE를 2진수로 변환하면 0010 1010 1110이 된다. 이를 3비트씩 끊어서 8진수로 변환하면 1256이 된다. 즉, 2진수 0010은 2진수 010로, 1010은 012로, 1110은 016으로 변환하여 1256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56)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은 디지털시계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항목은 무엇인가?

  1. 플립플롭 회로
  2. 카운터 회로
  3. 증폭 회로
  4. 드라이브 회로
(정답률: 74%)
  • 디지털 시계는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카운터 회로를 사용한다. 카운터 회로는 입력 신호를 받아서 일정한 간격으로 카운트를 증가시키는 회로로, 이를 통해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시계에서는 카운터 회로가 필수적인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비동기식 계수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Ripple Counter는 비동기식 계수기이다.
  2. 전단의 출력이 다음 단의 트리거로 작용한다.
  3. 각 단의 지연이 거의 없어 반응이 비교적 빠른 계수기이다.
  4. 상향 또는 하향으로 설계할 수 있다.
(정답률: 52%)
  • 각 단의 지연이 거의 없어 반응이 비교적 빠른 계수기이다. - 이유: 비동기식 계수기는 각 단의 출력이 다음 단의 트리거로 작용하기 때문에, 각 단의 지연이 거의 없어 반응이 빠르다. 이는 전체 계수기의 속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레지스터의 기능으로 옳은 것은?

  1. 펄스 방생기이다.
  2. 카운터의 대용으로 쓰인다.
  3. 회로를 동기시킨다.
  4.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정답률: 82%)
  •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CPU가 처리할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필요할 때 빠르게 접근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레지스터는 CPU의 성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기기

21. 다음 정보 단말기의 기능 중 성격이 다른 것은?

  1. 입ㆍ출력 기능
  2. 에러 제어 기능
  3. 입ㆍ출력 제어 기능
  4. 송ㆍ수신 제어 기능
(정답률: 72%)
  • 입ㆍ출력 기능은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기능을 말하며, 나머지 기능들은 모두 단말기의 입ㆍ출력을 제어하거나 에러를 제어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입ㆍ출력 기능"이 성격이 다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VDSL 방식에서 가입자의 컴퓨터가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알맞은 것은?

  1. IP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DHCP 방식
  2. 별도의 PPPoE(외장형 모뎀), PPPoA(내장형 모뎀) 접속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증을 통하여 접속
  3. NMS를 통하여 자동으로 할당하는 방식
  4. EMS를 통하여 고정 IP를 할당받는 방식
(정답률: 64%)
  • VDSL 방식에서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방식을 통해 가입자에게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합니다. DHCP 방식은 가입자가 인터넷에 접속할 때마다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해주는 방식으로, 가입자는 별도의 인증 절차나 프로그램 없이 간편하게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IP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DHCP 방식"이 VDSL 방식에서 가입자의 컴퓨터가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알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정보통신시스템의 구성 분류에서 정보 전송시스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통신회선
  2. 변복조장치
  3. 통신제어장치
  4. 중앙처리장치
(정답률: 72%)
  • 정보 전송시스템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시스템으로, 통신회선, 변복조장치, 통신제어장치 등이 해당됩니다. 하지만 중앙처리장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시스템으로, 정보 전송시스템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중앙처리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DSU가 필요한 데이터 전송방식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전송하고자 하는 비트열을 그대로 전송한다.
  2. 회선용량이 크다.
  3. 각종 전송신호의 왜곡이 최소화된다.
  4. 반송파 주파수를 사용한다.
(정답률: 60%)
  • DSU가 필요한 데이터 전송방식은 "전송하고자 하는 비트열을 그대로 전송한다." 입니다. 이 방식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지 않고, 디지털 신호 그대로 전송하기 때문에 회선용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DSU를 사용하여 각종 전송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반송파 주파수를 사용한다." 입니다. 이는 DSU가 아닌 모뎀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다중화 방식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주파수 분할 다중화
  2. 진폭 분할 다중화
  3. 시분할 다중화
  4. 코드 분할 다중화
(정답률: 59%)
  • 진폭 분할 다중화는 다중화 방식의 종류가 아니다. 이유는 진폭 분할 다중화는 하나의 채널을 여러 개의 서브채널로 분할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서브채널에서 여러 개의 신호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고속회선을 저속장치들이 공유하는 집중화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메시지 교환 집중화기
  2. 패킷 교환 집중화기
  3. 데이터 교환 집중화기
  4. 회선 교환 집중화기
(정답률: 46%)
  • 데이터 교환 집중화기는 고속회선을 저속장치들이 공유하는 집중화기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는 데이터를 패킷으로 분할하여 전송하고, 각 패킷을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따라서 고속회선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메시지 교환 집중화기, 패킷 교환 집중화기, 회선 교환 집중화기는 모두 고속회선을 저속장치들이 공유하는 집중화기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비동기 전송방식인 AT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양한 종류의 트래픽을 통합할 수 있다.
  2. 가변길이의 셀을 교환한다.
  3. 통계적 다중화방식(STDM)에 의한 효율적인 대역폭의 사용이 가능하다.
  4. 셀은 5바이트의 헤더와 48바이트의 페이로드로 구성된다.
(정답률: 64%)
  • "가변길이의 셀을 교환한다."이 부분이 틀린 설명입니다. ATM에서는 고정된 크기의 셀을 교환합니다. 셀은 5바이트의 헤더와 48바이트의 페이로드로 구성되며, 이 고정된 크기의 셀 교환 방식을 사용하여 통계적 다중화방식(STDM)에 의한 효율적인 대역폭의 사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종류의 트래픽을 통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OSI 7 계층과 네트워크 기기 간의 연결이 올바른 것은?

  1. 전송 계층 - 리피터
  2. 네트워크 계층 - 허브
  3. 데이터링크 계층 - 브리지
  4. 물리 계층 - 라우터
(정답률: 80%)
  • 데이터링크 계층은 물리 계층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나누고, 에러 검출 및 수정을 수행합니다. 브리지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세그먼트로 전송되는 프레임을 중계하여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링크 계층과 브리지는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회선교환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통신정보를 패킷 단위로 교환한다.
  2. 속도와 코드 변환이 있다.
  3. 가상회선방식이 존재한다.
  4. 회선을 점유하고 통신한다.
(정답률: 68%)
  • 회선교환방식은 통신을 할 때, 두 대의 기기가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회선을 점유하고 통신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회선을 점유하고 통신한다."가 가장 적합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Network Layer을 지원하는 이더넷 스위치는 어떤 장비인가?

  1. L2 Switch
  2. L3 Switch
  3. L4 Switch
  4. L7 Switch
(정답률: 63%)
  • 정답은 "L3 Switch"이다. L3 Switch는 Network Layer에서 작동하는 장비로, IP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하며 라우팅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L3 Switch는 다른 장비와 다르게 IP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하기 때문에 Network Layer을 지원하는 이더넷 스위치이다. L2 Switch는 Data Link Layer, L4 Switch는 Transport Layer, L7 Switch는 Application Layer에서 작동하는 장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전화기의 기능과 구성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통화상태와 신호상태를 분리하는 것은 훅(hook) 스위치이다.
  2. 전화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국제적으로 300~3400[Hz]이다.
  3. 수화기는 전기에너지를 음성에너지로 바꾸어주는 장치로서 진동관은 자유진동이 커야 한다.
  4. 송화기는 음성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어주는 장치이다.
(정답률: 68%)
  • "수화기는 전기에너지를 음성에너지로 바꾸어주는 장치로서 진동관은 자유진동이 커야 한다."가 적합하지 않다. 이유는 진동관은 초기 전화기에서 사용되었던 기술로, 현재는 대부분 전자식 수화기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진동관은 전기 신호를 기계적인 진동으로 변환하여 음성을 전달하는데 사용되었으나, 이제는 대부분 전자식 수화기에서는 전기 신호를 직접 음성으로 변환하기 때문에 진동관이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G3 FAX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디지털 전송방식을 사용한다.
  2. PM 또는 FM 변조방식을 사용한다.
  3. 전송제어절차는 권고 T.30에 규정되어 있다.
  4. 전송 시 MH 또는 MR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압축 전송한다.
(정답률: 61%)
  • 정답: "전송 시 MH 또는 MR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압축 전송한다."

    PM 또는 FM 변조방식을 사용하는 것은 G3 FAX의 통신 방식 중 하나이지만, 전송 시 MH 또는 MR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압축 전송하는 것은 G3 FAX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전송 시 MH 또는 MR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압축 전송한다."가 정답이 아닙니다.

    PM 또는 FM 변조방식을 사용하는 이유는, G3 FAX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기 때문입니다. PM은 진폭 변조 방식으로, 신호의 진폭을 변화시켜 정보를 전송합니다. FM은 주파수 변조 방식으로, 신호의 주파수를 변화시켜 정보를 전송합니다. 이러한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G3 FAX는 안정적이고 고화질의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화상응답 시스템(VRS)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영상이 아닌 그림과 문자만을 서비스한다.
  2. 센터와 단말장치 사이에 광대역의 전송로를 사용한다.
  3. 화면정지, 다시보기, 앞으로 가기, 뒤로 가기 등 자유자재로 다양한 화면상태의 표현이 가능하다.
  4. 방송정보와 같이 단방향이 아닌 양방향 정보를 제공한다.
(정답률: 83%)
  • "동영상이 아닌 그림과 문자만을 서비스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VRS는 화상 통화를 통해 수화 인터프리터가 음성을 수화로 번역하여 전달하는 서비스이므로, 동영상이 아닌 실시간 화상 통화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무선통신설비에 있어서 어떤 원인으로 전기설비 계통에 문제가 생겨 전위상승이 생겼을 때를 대비하여 취하는 조치는 어느 것인가?

  1. 무선설비의 접지
  2. 전원용량을 높임
  3. 전원계통에 평활회로 부착
  4. 전원계통의 수시 방전
(정답률: 63%)
  • 전기설비 계통에 문제가 생겨 전위상승이 생길 경우, 무선통신설비의 접지를 취하는 것은 무선설비와 전기설비 간의 전기적 차이를 최소화하여 무선설비가 전기적 손상을 입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이를 통해 무선통신설비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기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지만, 무선통신설비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100[mW]의 신호 전력을 [dBm]으로 환산하면 얼마인가?

  1. 10[dBm]
  2. 20[dBm]
  3. 30[dBm]
  4. 40[dBm]
(정답률: 63%)
  • 100[mW]의 신호 전력을 [dBm]으로 환산하면 20[dBm]이다.

    [dBm]은 [mW]를 로그함수로 변환한 단위이다. 이 때, 1[mW]의 전력을 [dBm]으로 환산하면 0[dBm]이 된다. 따라서, 100[mW]의 전력을 [dBm]으로 환산하려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0log(100[mW]) = 10(2) = 20[dBm]

    즉, 100[mW]의 전력은 20[dBm]으로 환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All IP
  2. All Optic
  3. BroadBand
  4. Low Speed Data
(정답률: 84%)
  •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특징은 "Low Speed Data"가 아닙니다. 이는 과거 2G, 3G 시대에서 사용되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의미하며,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는 높은 속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Low Speed Data"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사용 파장이 0.1[m]라면 주파수는 얼마인가?

  1. 3[MHz]
  2. 3[GHz]
  3. 30[GHz]
  4. 300[GHz]
(정답률: 76%)
  • 파장과 주파수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파장 = 속도 ÷ 주파수

    여기서 속도는 빛의 속도인 3 × 10^8[m/s]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파장 0.1[m]을 위의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0.1[m] = 3 × 10^8[m/s] ÷ 주파수

    이를 주파수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주파수 = 3 × 10^8[m/s] ÷ 0.1[m] = 3 × 10^9[Hz] = 3[GHz]

    따라서 정답은 "3[G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샤논의 통신용량 공식에서 통신용량은 대역폭에 몇 배 비례하는가?

  1. 1배
  2. 4.5배
  3. 2배
  4. 3배
(정답률: 79%)
  • 샤논의 통신용량 공식에서 통신용량은 대역폭에 1배 비례한다. 이는 대역폭이 증가하면 통신용량도 비례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역폭이 2배가 되면 통신용량도 2배가 되고, 대역폭이 3배가 되면 통신용량도 3배가 된다. 이와 같이 대역폭과 통신용량은 비례 관계에 있으며, 이를 샤논의 통신용량 공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VOD(Video On Demand) 시스템의 구성 중 전체 시스템의 리소스를 조정하고 운영하는 시스템의 중앙 처리부를 담당하는 구간은?

  1. Pumping 부
  2. 전송부
  3. 사용자부
  4. Main Control 부
(정답률: 73%)
  • Main Control 부는 VOD 시스템의 중앙 처리부로, 전체 시스템의 리소스를 조정하고 운영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는 사용자부와 전송부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Pumping 부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관리하여 전체 시스템이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조정합니다. 따라서 VOD 시스템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Main Control 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디지털 TV 방송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영상 및 음향신호의 압축이 용이하고 녹화 재생 시에 화질이나 음질의 열화가 적다.
  2. 다양한 멀티미디어의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3. 오류정정 기술을 사용하고 저장 및 복제에 따른 손실이 적다.
  4. 상호간섭이 비교적 많고 신호의 열화가 완만하다.
(정답률: 77%)
  • 상호간섭이 비교적 많고 신호의 열화가 완만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디지털 TV 방송은 아날로그 TV 방송과 달리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상호간섭이 적고 신호의 열화가 적습니다. 이는 디지털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보다 더욱 정확하고 안정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전송개론

41. T1 전송시스템은 한 프레임 당 125[s] 시간 동안 총 24채널을 다중화 한다. 이 때 전송로 상의 전송속도는 얼마인가?

  1. 1.544[Mbps]
  2. 2.048[Mbps]
  3. 6.312[Mbps]
  4. 1.536[Mbps]
(정답률: 73%)
  • T1 전송시스템은 DS1 디지털 회선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전송속도는 1.544[Mbps]이다. 이는 24채널을 다중화하여 한 프레임 당 125[s] 시간 동안 전송하는 것으로, 각 채널의 전송속도는 64[kbps]이다. 따라서, 전송로 상의 전송속도는 24채널의 전송속도를 합산한 값인 1.544[Mbps]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주파수대역폭이 fd[Hz]이고 통신로의 채널용량이 6fd[bps]인 통신로에서 필요한 S/N비는?

  1. 15
  2. 31
  3. 63
  4. 127
(정답률: 74%)
  • 채널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C = B log₂(1 + S/N)

    여기서 B는 주파수대역폭, S는 신호의 전력, N은 잡음의 전력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B = fd, C = 6fd으로 주어졌으므로 다음과 같이 풀 수 있습니다.

    6fd = fd log₂(1 + S/N)

    6 = log₂(1 + S/N)

    1 + S/N = 2⁶ = 64

    S/N = 63

    따라서 정답은 "6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나이퀴스트(Nyquist) 표본화 주기는 어느 것인가?

(정답률: 65%)
  • 정답은 ""이다.

    나이퀴스트 표본화 주기는 원래 신호의 최대 주파수의 2배보다 작아야 한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최대 주파수가 4 Hz인 경우, 나이퀴스트 표본화 주기는 0.25초가 되어야 한다. ""는 0.25초이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의 그림과 같이 신호공간 다이어그램으로 표현되는 변조 방식은?

  1. 8진 DFSK
  2. 16진 PSK
  3. 16진 QAM
  4. 8진 QAM
(정답률: 74%)
  • 이 그림은 16진 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으로 표현된다. QAM은 직교하는 두 개의 캐리어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직교하는 두 개의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다르게 조절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4개의 직교하는 캐리어 신호를 사용하여 16개의 서로 다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그림은 16진 QAM 방식으로 표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동축 케이블에서 부하를 단락했을 때 입력 임피던스가 200[Ω] 부하를 개방했을 때 입력 임피던스가 200[Ω]일 때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는?

  1. 400[Ω]
  2. 200[Ω]
  3. 100[Ω]
  4. 20[Ω]
(정답률: 70%)
  • 동축 케이블에서 부하를 단락했을 때 입력 임피던스는 특성 임피던스와 같아지게 된다. 따라서 입력 임피던스가 200[Ω]이므로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도 200[Ω]이다. 따라서 정답은 "200[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동축 케이블과 광케이블의 혼합망으로 방송국에서 원거리까지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광단국에서 가입자까지는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망은?

  1. FTTH
  2. FTTO
  3. HCO
  4. HFC
(정답률: 56%)
  • HFC는 Hybrid Fiber Coaxial의 약자로, 광케이블과 동축 케이블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따라서 방송국에서 원거리까지는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광단국에서 가입자까지는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혼합망 구조를 HFC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광섬유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접속 손실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광섬유 심선 접속 부위의 간격
  2. 광섬유 심선 단면의 경사
  3. 광섬유 Core의 직경 및 모양의 상이
  4. 관로의 재질과 모양
(정답률: 80%)
  • 광섬유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접속 손실은 광섬유 심선 접속 부위의 간격, 광섬유 심선 단면의 경사, 광섬유 Core의 직경 및 모양의 상이 등과 같은 광섬유 자체의 문제와 연관이 있습니다. 하지만 관로의 재질과 모양은 광섬유 케이블의 접속 손실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관로의 재질과 모양"이 이 문제의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광섬유 기반의 광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거리를 제한하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어느 것인가?

  1. 광 손실
  2. 광 분산
  3. 광 전반사
  4. 광 굴절
(정답률: 76%)
  • 광섬유 기반의 광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거리를 제한하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광 손실"입니다. 광섬유를 통해 전송되는 광 신호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쇠되는데, 이는 광섬유 내부에서 일어나는 광 손실 때문입니다. 광 손실은 광섬유의 특성상 발생하는 것으로, 광섬유 내부에서 광 신호가 반사, 굴절, 분산되는 등의 현상으로 인해 신호가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광섬유 기반의 광통신 시스템에서는 광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적인 개선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한 번에 한 문자씩 전송하며, Start bit와 Stop bit를 두어 문자와 문자를 구분하는 데이터 전송 방식은?

  1. 직렬 전송 방식
  2. 병렬 전송 방식
  3. 비동기식 전송 방식
  4. 동기식 전송 방식
(정답률: 75%)
  • 비동기식 전송 방식은 한 번에 한 문자씩 전송하며, Start bit와 Stop bit를 두어 문자와 문자를 구분하는 데이터 전송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시간적인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서 비동기식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통화로 신호방식(Channel Associated Signaling)에서 1개 또는 다수의 신호주파수를 음성주파수 대역내에 두는 방식으로 주파수 이용효율이 좋은 반면 통신신호와의 간섭에 대한 처리가 필요한 방식은?

  1. 직류 방식
  2. In-band 방식
  3. Out-of-band 방식
  4. 혼합 방식
(정답률: 65%)
  • In-band 방식은 통화로 신호와 제어신호를 같은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하는 방식으로, 주파수 이용효율이 좋지만 통신신호와의 간섭에 대한 처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방식은 간섭 방지를 위한 추가적인 기술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기저대역(Baseband) 전송방식에서 다음 그림의 전송방식으로 올바른 것은?

  1. 바이폴라 RZ 방식
  2. AMI 방식
  3. 차분(Differential) 방식
  4. CMI 방식
(정답률: 69%)
  • 차분(Differential) 방식은 이전 신호와 현재 신호의 차이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전 신호와 현재 신호가 같으면 0을, 다르면 1을 전송합니다. 이 방식은 신호의 절대값이 아닌 변화량에 대한 정보만을 전송하기 때문에 신호의 크기에 덜 민감하고, 노이즈에 강합니다. 따라서 기저대역 전송방식에서는 차분 방식이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데이터를 변조하지 않은 상태, 즉 직류펄스의 형태 그대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RZ, NRZ, AMI(Bipolar), Manchester, CMI 등의 방식이 사용되는 전송방식은?

  1. 동기식 전송방식
  2. 비동기식 전송방식
  3. 기저대역 전송방식
  4. 반송대역 전송방식
(정답률: 71%)
  • 기저대역 전송방식은 데이터를 변조하지 않은 상태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직류펄스의 형태 그대로 전송하기 때문에 대역폭을 적게 사용하면서도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른 전송방식에 비해 더 효율적인 대역폭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대역폭이 제한적인 통신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OSI 계층에서 통신망 연결에 필요한 데이터 교환 기능의 제공 및 관리를 규정하는 계층으로서 네트워크 연결관리, 경로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1. 데이터링크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전송 계층
  4. 세션 계층
(정답률: 76%)
  • 네트워크 계층은 OSI 계층 중에서 IP 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경로 설정 및 라우팅을 수행하는 계층입니다. 따라서 통신망 연결에 필요한 데이터 교환 기능의 제공 및 관리를 담당하며,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OSI 7계층에서 하위 3계층에서 발생한 데이터 분실 등의 오류를 회복시키는 계층은?

  1. 네트워크 계층
  2. 트랜스포트 계층
  3. 세션 계층
  4. 데이터링크 계층
(정답률: 64%)
  • 트랜스포트 계층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고 복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하위 3계층에서 발생한 데이터 분실 등의 오류를 회복시키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네트워크 계층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로를 결정하고, 데이터링크 계층은 물리적인 데이터 전송을 담당합니다. 세션 계층은 데이터 전송의 세션 관리를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보기는 OSI 7계층을 나타낸 것이다. 하위 계층부터 상위 계층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나 ⇒ 사 ⇒ 가 ⇒ 다 ⇒ 마 ⇒ 라 ⇒ 바
  2. 나 ⇒ 사 ⇒ 다 ⇒ 가 ⇒ 마 ⇒ 바 ⇒ 라
  3. 나 ⇒ 사 ⇒ 가 ⇒ 다 ⇒ 마 ⇒ 바 ⇒ 라
  4. 나 ⇒ 사 ⇒ 다 ⇒ 가 ⇒ 바 ⇒ 마 ⇒ 라
(정답률: 74%)
  • 정답은 "나 ⇒ 사 ⇒ 가 ⇒ 다 ⇒ 마 ⇒ 바 ⇒ 라" 이다.

    이유는 OSI 7계층에서는 하위 계층부터 상위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각 계층은 바로 아래 계층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물리 계층 (나)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2. 데이터 링크 계층 (사) : 오류 검출 및 재전송을 수행하며, 물리 계층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 관리한다.
    3. 네트워크 계층 (가) : 경로 설정 및 라우팅을 수행하며,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나누어 관리한다.
    4. 전송 계층 (다) :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며, 데이터를 세그먼트 단위로 나누어 관리한다.
    5. 세션 계층 (마) :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유지하며,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세션을 관리한다.
    6. 표현 계층 (바) : 데이터의 형식을 변환하고 암호화/복호화를 수행한다.
    7. 응용 계층 (라) :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상호작용하며, 데이터를 처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IPv6가 지원하는 주소 유형이 아닌 것은?

  1. 유니 캐스트
  2. 멀티 캐스트
  3. 브로드 캐스트
  4. 애니 캐스트
(정답률: 64%)
  • IPv6는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대신에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주소를 지원합니다. 브로드캐스트는 네트워크 상의 모든 호스트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IPv6에서는 이러한 방식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지원하지 않습니다. 대신에 멀티캐스트를 사용하여 필요한 호스트들에게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IPv4에서 Class C의 경우 IP 주소 범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0.0.0.0 - 127.255.255.255
  2. 128.0.0.0 - 191.255.255.255
  3. 192.0.0.0 - 223.255.255.255
  4. 224.0.0.0 - 239.255.255.255
(정답률: 78%)
  • IPv4에서 Class C는 첫 번째 옥텟이 192에서 223까지인 IP 주소 범위를 나타낸다. 따라서 "192.0.0.0 - 223.255.255.255"가 올바른 IP 주소 범위이다. 다른 보기들은 Class A, B, D의 IP 주소 범위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Class C 네트워크 200.13.94.0의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0 일 경우 사용 가능한 최대 호스트 수는 몇 개인가?

  1. 30
  2. 62
  3. 126
  4. 254
(정답률: 69%)
  • Class C 네트워크에서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0인 경우, 네트워크 ID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제외한 호스트 주소는 마지막 8비트(1바이트)를 사용하므로 2의 8승에서 2를 뺀 값인 254개의 호스트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25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입력되는 정보 마지막에 1[bit]를 추가하여 추가된 Bit로 에러를 검사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ASCII
  2. Parity Check
  3. CRC
  4. ARQ
(정답률: 81%)
  • Parity Check는 입력된 정보에 대해 1의 개수가 짝수인지 홀수인지를 검사하여 마지막에 1[bit]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에러를 검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입력된 정보에 대해 추가된 1[bit]를 통해 에러를 검사하는 것이 Parity Check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ASCII는 문자 인코딩 방식, CRC는 순환 중복 검사 방식, ARQ는 자동 재전송 요청 방식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오류 검사 방식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허프만 코드
  2. 해밍 코드
  3. CRC
  4. 군 계수 검사코드
(정답률: 61%)
  • 허프만 코드는 오류 검사 방식이 아니라 데이터 압축 방식이기 때문에 오류 검사 방식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해밍 코드, CRC, 군 계수 검사코드는 모두 오류 검사 방식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설비기준

61. 10진수의 산술연산은 팩형식(Pack Decimal)의 데이터에 대하여 행하며, 필드의 길이는 16바이트까지 지정할 수 있는데 10진수의 최대 자리수는?

  1. 15자리
  2. 16자리
  3. 31자리
  4. 32자리
(정답률: 54%)
  • 10진수의 최대 자리수는 31자리이다. 이는 16바이트의 팩형식 데이터에서 각 바이트가 2자리씩 표현되므로, 16바이트 * 2자리 = 32자리에서 1자리를 빼면 된다. 따라서 최대 31자리까지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ROM과 RAM의 차이점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RAM은 휘발성 메모리라고 한다.
  2. EEPROM은 한 번 쓰면 지울 수 없다.
  3. RAM은 동적 RAM과 정적 RAM으로 나눌 수 있다.
  4. ROM의 종류에는 EPROM, EEPROM, PROM 등이 있다.
(정답률: 80%)
  • 정답은 "EEPROM은 한 번 쓰면 지울 수 없다."가 아니다.

    EEPROM은 일반적으로 지울 수 있고 다시 쓸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이다. 하지만 일부 EEPROM은 한 번 쓰면 지울 수 없는 종류도 있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사진 및 그 외의 자료로부터 이미지를 읽어 들이는 장치는?

  1. 키보드
  2. 스캐너
  3. 마우스
  4. 광학 문자 판독기(OCR)
(정답률: 77%)
  • 스캐너는 사진 및 그 외의 자료로부터 이미지를 읽어 들이는 장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텍스트나 입력된 명령어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병렬 컴퓨터에서 컴퓨터의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중에 Super Scalar을 설명한 것은?

  1. 한 명령어를 실행하는 과정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실행하는 기술
  2. 파이프 라이닝을 여러 개 두고 병행 실행하는 기술
  3. 명령을 그룹화하여 한 번에 여러 개 명령을 동시에 처리하는 기술
  4. 동시수행가능 명령어를 컴파일 수준에서 하나로 압축하는 기술
(정답률: 55%)
  • Super Scalar은 파이프 라이닝을 여러 개 두고 병행 실행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한 명령어를 실행하는 과정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실행하는 파이프 라이닝 기술을 여러 개 적용하여 동시에 여러 명령어를 실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컴퓨터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정보 데이터 비트가 4비트 1011 일 때 짝수 패리티 비트의 전체 해밍코드는? (단, 왼쪽 비트가 1번째 비트이다.)

  1. 0110011
  2. 1001001
  3. 0100101
  4. 1011010
(정답률: 37%)
  • 해밍코드에서 짝수 패리티 비트는 해당 비트를 포함하는 1, 3, 5, 7번째 비트 등의 합이 짝수가 되도록 설정된 비트이다. 따라서 1번째, 3번째, 5번째 비트를 패리티 비트로 설정하면 된다.

    1011의 1, 3, 5번째 비트를 더하면 1+1+0 = 2 이므로 짝수가 된다. 따라서 패리티 비트는 각각 0이 된다.

    따라서 전체 해밍코드는 0 1 0 1 0 1 1 이 되며, 이를 역순으로 나열하면 1 1 0 1 0 1 0 이 된다. 이는 보기에서 "1011010"과 일치하므로 정답은 "01100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어셈블리 언어(Assembly Language)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어려운 기계어 명령들을 쉬운 기호로 표현된다.
  2. 어셈블리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에 종속적이다.
  3. 기계어에 비해 프로그래밍하기 쉽다.
  4. 하드웨어에 직접 접근할 수 없다.
(정답률: 68%)
  • 하드웨어에 직접 접근할 수 없다는 것은 어셈블리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의 보호 기능으로 인해 메모리나 입출력 장치 등에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보안과 안정성을 위해 필요한 제한적인 접근 권한으로 인해 발생하는 제약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주소 지정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직접 주소 지정방식보다 간접 주소 지정의 주소 범위가 더 넓다.
  2. 간접 주소 지정방식은 두 번 이상 메모리에 접속해야 실제 데이터를 가져온다.
  3. 레지스터 간접 주소 지정방식에서 레지스터 안에 있는 값은 실제 데이터 주소이다.
  4. 즉시(또는 즉치) 주소 지정방식에서 오퍼랜드는 기억장치의 주소 값이다.
(정답률: 50%)
  • "즉시(또는 즉치) 주소 지정방식에서 오퍼랜드는 기억장치의 주소 값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즉시 주소 지정방식에서 오퍼랜드는 기억장치에 있는 데이터 값 자체를 나타내며, 주소 값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스케줄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3,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주기억장치, 입출력장치, 처리시간 등의 시스템 자원을 언제 배분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2. 처리 능력의 최대 응답시간, 변환 시간, 대기 시간의 단축 예측이 가능해야 한다.
  3. 여러 개의 CPU가 공동으로 하나의 일을 수행하는 경우에 전체로서 그 일의 실행시간을 최단으로 하도록 제어한다.
  4. 동적 스케줄링은 각 태스크를 프로세서에게 할당하고 실행되는 순서가 사용자의 알고리즘에 따르거나 컴파일할 때에 컴파일러에 의해 결정되는 스케줄링이다.
(정답률: 67%)
  • 3번이 틀린 설명입니다. 스케줄링은 처리 능력의 최대 응답시간, 변환 시간, 대기 시간의 단축 예측이 가능해야 하며, 여러 개의 CPU가 공동으로 하나의 일을 수행하는 경우에 전체로서 그 일의 실행시간을 최단으로 하도록 제어하는 등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Process Scheduling 정책 중 남은 시간이 가장 짧은 JOB을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은?

  1. FIFO
  2. SJF
  3. HRN
  4. SRT
(정답률: 58%)
  • 정답은 "SRT"입니다. SRT는 Shortest Remaining Time의 약자로,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남은 실행 시간과 대기 중인 프로세스들의 예상 실행 시간을 비교하여 가장 짧은 시간이 남은 프로세스를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남은 시간이 가장 짧은 JOB을 우선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SRT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C 언어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3,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어셈블리어와 연계되는 언어이다.
  2. 강력하고 융통성이 많다.
  3. UNIX 체제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4. 객체지향성 언어이다.
(정답률: 83%)
  • "C 언어는 UNIX 체제에서 사용 가능하지만, 일부 특정한 기능들은 UNIX에서는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따라서 3번은 틀린 설명입니다. C 언어는 UNIX 체제에서 개발된 언어이며, UNIX 운영체제의 핵심 언어로 사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방송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정으로 잘못 설명된 것은?

  1. “특고압”이란 6,000볼트를 초과하는 전압을 말한다.
  2. “선로설비란 일정한 형태의 방송통신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동선ㆍ광섬유 등의 전송매체로 제작된 선조ㆍ케이블 등과 전주ㆍ관로ㆍ통신터널ㆍ배관ㆍ맨홀ㆍ핸드홀ㆍ배선반 등과 그 부대설비를 말한다.
  3. “전력유도”란 전철시설 또는 전기공작물 등이 그 주위에 있는 방송통신설비에 정전유도나 전자유도 등으로 인한 전압이 발생되도록 하는 현상을 말한다.
  4. 국선단자함“이란 국선과 구내간선케이블 또는 구내케이블을 종단하여 상호 연결하는 통신용 분배함을 말한다.
(정답률: 74%)
  • "전력유도"란 전철시설 또는 전기공작물 등이 그 주위에 있는 방송통신설비에 정전유도나 전자유도 등으로 인한 전압이 발생되도록 하는 현상을 말한다. - 방송통신설비와는 관련이 없는 전력 유도 현상이므로 잘못된 설명이다.

    “특고압”이란 6,000볼트를 초과하는 전압을 말한다. - 6,000볼트를 초과하는 전압을 특고압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사업자의 교환설비로부터 이용자방송통신설비의 최초 단자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구성되는 회선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내선
  2. 국선
  3. 통신선
  4. 중계선
(정답률: 73%)
  • 국선은 사업자의 교환설비로부터 이용자방송통신설비의 최초 단자에 이르기까지의 회선을 말합니다. 즉, 전화나 인터넷 등을 이용하기 위해 집이나 사무실 등에 설치된 장비와 통신사의 교환설비를 연결하는 회선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내선"은 집이나 사무실 등 내부에서 사용되는 회선, "통신선"은 일반적인 통신에 사용되는 회선, "중계선"은 여러 개의 국선을 연결하는 회선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에서 정의하는 것은 무엇인가?

  1. 위치추적시스템
  2. 위치제공시스템
  3. 위치기반시스템
  4. 위치정보시스템
(정답률: 72%)
  • 위치정보시스템은 위치를 파악하고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그림에서 보이는 GPS와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하고,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위치정보시스템"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도급받은 공사의 일부에 대하여 수급인이 제3자와 체결하는 계약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하수급
  2. 하도급
  3. 제3 도급
  4. 재하청
(정답률: 67%)
  • 정답: 하도급

    하도급은 원래 도급받은 공사의 일부를 수급인이 제3자에게 맡기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수급인과 제3자 간의 계약을 하도급 계약이라고 합니다. 하수급은 수도, 하청은 공사 전체를 맡는 것을 의미하며, 제3 도급은 이미 도급받은 공사를 다시 제3자에게 맡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정보통신설비의 설치 및 유지, 보수에 관한 공사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전기통신 관계법령 및 전기설비 공사업에 의한 전기설비공사
  2. 방송법 및 방송관계 법령에 의한 방송설비공사
  3. 수전설비를 제외한 정보통신 전용 전기시설 설비공사
  4. 정보통신설비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어, 저장 및 처리하는 정보설비공사
(정답률: 54%)
  • 정보통신설비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어, 저장 및 처리하는 정보설비공사는 정보통신설비의 설치 및 유지, 보수에 관한 공사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 이유는 정보설비공사는 정보를 제어, 저장 및 처리하는 시설을 설치하는 공사이기 때문에 정보통신설비의 설치 및 유지, 보수와는 다른 범위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별정통신사업에 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별정통신사업을 하려는 사람은 정보통신망에 의해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2. 별정통신사업자가 되기 위해서는 재정 및 기술적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3. 별정통신사업자는 등록한 날로부터 1년 이내에 사업을 시작해야 한다.
  4. 별정통신사업자의 등록은 법인만 할 수 있다.
(정답률: 62%)
  • "별정통신사업자의 등록은 법인만 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별정통신사업을 하려는 사람은 정보통신망에 의해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등록하여야 하며, 등록 시 재정 및 기술적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등록한 날로부터 1년 이내에 사업을 시작해야 한다. 법인 뿐만 아니라 개인 사업자도 등록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공사업자가 품위 유지, 기술 향상, 공사시공 방법의 개량 및 기타 공사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하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의 인가를 받아 설립한 기구는?

  1. 정보통신공사협회
  2. 정보통신공제조합
  3.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
  4.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정답률: 53%)
  • 정보통신공사협회는 공사업자들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의 인가를 받아 설립된 기구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정보통신공제조합,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는 해당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전기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할 때의 의무사항이 아닌 것은?

  1. 정당한 사유 없이 역무제공을 거부해서는 아니 된다.
  2. 사업자는 업무 처리시 공평하고 신속하게 하여야 한다.
  3. 역무의 요금결정은 합리적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4. 보편적 역무제공을 위한 부가통신역무를 제공하여야 한다.
(정답률: 67%)
  • 보편적 역무제공을 위한 부가통신역무를 제공하는 것은 전기통신사업자의 의무사항 중 하나입니다. 이는 모든 이용자에게 동등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제공하지 않으면 일부 이용자들이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통신사업자는 보편적 역무제공을 위한 부가통신역무를 제공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구내에 전기통신설비를 설치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구내에서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하는 사업은?

  1. 구내통신사업
  2. 별정통신사업
  3. 부가통신사업
  4. 기간통신사업
(정답률: 46%)
  • 구내통신사업은 특정 구내에서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고, 부가통신사업은 기존 통신사업과 연계하여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며, 기간통신사업은 일정 기간 동안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하지만 별정통신사업은 구내에 전기통신설비를 설치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구내에서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구내에만 국한되지 않고 전국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별정통신사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평형회선은 회선 상호 간 방송통신콘텐츠의 내용이 혼입되지 않도록 두 회선 사이의 근단누화 또는 원단누화의 감쇠량을 얼마 이상으로 유지하여야 하는가?

  1. 68[dB]
  2. 70[dB]
  3. 72[dB]
  4. 74[dB]
(정답률: 78%)
  • 평형회선은 회선 상호 간 방송통신콘텐츠의 내용이 혼입되지 않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근단누화 또는 원단누화의 감쇠량이 충분해야 합니다. 이 감쇠량은 단위로 dB(decibel)로 표시되며, 평형회선에서는 68dB 이상의 감쇠량이 필요합니다. 이는 충분한 감쇠량을 보장하여 회선 상호 간 방송통신콘텐츠의 내용이 혼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8[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