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6-10)

정보통신산업기사
(2017-06-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전자회로

1. 다음 중 콘덴서 입력형 평활회로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량 C가 클수록 정류기(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감소한다.
  2. 용량 C가 클수록 정류기(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의 시간이 짧아진다.
  3. 정류기(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는 펄스 파형이다.
  4. 용량 C가 클수록 출력전압의 맥동률은 작아진다.
(정답률: 52%)
  • "정류기(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는 펄스 파형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용량 C가 클수록 정류기(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감소합니다. 이는 콘덴서가 충전되는 시간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콘덴서의 용량이 클수록 정류기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작아집니다.

    또한, 용량 C가 클수록 정류기에 흐르는 전류의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출력전압의 맥동률은 작아집니다. 이는 콘덴서가 충전되는 시간이 더 짧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전압 안전계수가 0.1인 정전압회로의 입력전압이 ±5[v] 변화할 때 출력전압의 변화는?

  1. 0.01[mV]
  2. 1.2[mV]
  3. 0.2[mV]
  4. 0.5[mV]
(정답률: 82%)
  • 전압 안전계수가 0.1이므로 입력전압의 10%까지는 출력전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입력전압이 ±5[v]에서 변화하는 범위는 10[v]이므로, 출력전압의 변화는 10[v]의 0.1인 1[v]의 1/20000인 0.5[mV]이다. 따라서 정답은 "0.5[m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트랜지스터 증폭회로에서 부궤환을 걸었을 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안정도가 좋아진다.
  2. 비직선 일그러짐이 적어진다.
  3. 주파수 특성이 개선된다.
  4. 대역폭이 감소한다.
(정답률: 75%)
  • 대역폭이 감소하는 이유는 부궤환을 걸면 증폭회로의 총 증폭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부궤환을 걸면 입력 신호가 출력 신호로 되돌아가서 다시 증폭되는데, 이 과정에서 일부 신호가 서로 상쇄되어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증폭회로의 대역폭이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전압궤환증폭기에서 무궤환시 이득이 A, 궤환율이 β일 때 궤환시 전압이득은 Af=A/(1-βA)이다. βA=1 인 경우 어떤 회로로 동작한 것인가?

  1. 부궤환 회로이다.
  2. 파형정형 회로이다.
  3. 발진회로이다.
  4. 궤환회로도 아니고 발진회로도 아니다.
(정답률: 75%)
  • βA=1인 경우 Af가 무한대가 되어 궤환시 전압이 무한대로 증폭된다. 이는 궤환회로에서는 불가능한 일이므로 궤환회로가 아니라 발진회로로 동작한 것이다. 발진회로는 양의 피드백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진동하는 회로로, 궤환회로와는 달리 외부 신호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βA=1인 경우 발진회로로 동작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전압이득이 50인 저주파 증폭기가 약 10[%] 정도의 왜율을 가지고 있다. 이를 2[%]정도로 개선하기 위하여 걸어주어야 하는 부궤환을 β는 얼마인가?

  1. 10
  2. 4
  3. 0.1
  4. 0.08
(정답률: 60%)
  • 전압이득이 50이므로 출력전압은 입력전압의 50배가 된다. 따라서, 왜율은 출력전력/입력전력 = 50/51 = 0.98이 된다. 이를 2[%]로 개선하려면, 출력전력을 입력전력의 99.98[%]로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출력전압을 1.99배로 증폭시켜야 한다. 이때, 부궤환의 증폭계수는 출력전압/입력전압 = 1.99/1 = 1.99이므로, β는 1.99-1 = 0.99가 된다. 그러나 부궤환의 증폭계수는 일반적으로 안정성을 고려하여 0.1~0.5 사이의 값을 사용하므로, β는 0.08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푸시풀(Push-Pull) 증폭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우주 고조파가 상쇄된다.
  2. 비직선 일그러짐이 적다.
  3. A급 증폭기에서만 사용된다.
  4. 입력신호가 없을 때 전력손실이 매우 적다.
(정답률: 71%)
  • 정답은 "A급 증폭기에서만 사용된다." 이다.

    푸시풀 증폭기는 입력신호가 없을 때 전력손실이 매우 적고, 비직선 일그러짐이 적으며 우주 고조파가 상쇄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A급 증폭기에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등급의 증폭기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발진회로의 주파수 변동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전원전압의 변동
  2. 온도변화
  3. 부하변동
  4. 기생진동
(정답률: 71%)
  • 기생진동은 발진회로의 주파수 변동원인이 아닙니다. 기생진동은 외부에서 발생하는 불안정한 진동으로, 발진회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변동원이 아닙니다. 따라서 발진회로의 주파수 변동원인 전원전압의 변동, 온도변화, 부하변동과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비정현파 신호가 출력되는 발진기는?

  1. 멀티바이브레이터
  2. 빈(Wien) 브릿지형 발진기
  3. 콜피츠 발진기
  4. 수정 발진기
(정답률: 67%)
  • 멀티바이브레이터는 여러 개의 콘덴서와 저항으로 이루어진 회로로, 이 회로에서는 양자간의 전하 이동이 일어나면서 비정현파 신호가 출력됩니다. 따라서 멀티바이브레이터는 비정현파 신호가 출력되는 발진기입니다. 반면에 빈(Wien) 브릿지형 발진기, 콜피츠 발진기, 수정 발진기는 모두 정현파 신호가 출력되는 발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변조도가 50[%]인 진폭변조 송신기에서 반송파의 평균 전력이 400[mW]일 때, 피변조파의 평균전력은?

  1. 400[mW]
  2. 450[mW]
  3. 500[mW]
  4. 549[mW]
(정답률: 71%)
  • 진폭변조에서 변조도가 50[%]이므로, 피변조파의 진폭은 원래 진폭의 절반인 0.5배가 된다. 따라서 피변조파의 전력은 원래 전력의 0.5^2 = 0.25배가 된다. 반송파의 평균 전력이 400[mW]이므로, 피변조파의 평균 전력은 400[mW] x 0.25 = 100[mW]이다. 이를 원래 전력으로 환산하면 100[mW] / 0.5 = 200[mW]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0[mW] x 2.25 = 450[m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900[kHz]의 반송파를 5[kHz]의 신호주파수로 진폭 변조한 경우 피변조파에 나타나는 주파수 성분이 아닌 것은?

  1. 895[kHz]
  2. 900[kHz]
  3. 905[kHz]
  4. 910[kHz]
(정답률: 80%)
  • 900[kHz]의 반송파를 5[kHz]의 신호주파수로 진폭 변조한 경우, 피변조파에는 원래의 반송파 주파수인 900[kHz]와 변조신호의 주파수인 895[kHz]와 905[kHz]가 나타납니다. 그러나 910[kHz]는 변조신호의 주파수와 반송파의 주파수를 더한 값으로, 피변조파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910[k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음성 신호의 송신측 PCM(Pulse Code Modulation) 과정이 아닌 것은?

  1. 표본화
  2. 부호화
  3. 양자화
  4. 복호화
(정답률: 84%)
  • 정답은 "복호화"입니다.

    PCM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표본화, 양자화, 부호화 과정을 거칩니다. 이때 송신측에서는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므로, 복호화 과정은 수신측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복호화"는 PCM의 송신측 과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FM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아날로그 정보 신호의 기본 주파수를 2[kHz], 최대 주파수 편이가 125[kHz]인 경우 Carson 법칙을 적응할 때 전송에 필요한 대역폭은?

  1. 127[kHz]
  2. 254[kHz]
  3. 312[kHz]
  4. 428[kHz]
(정답률: 70%)
  • Carson 법칙에 따르면, FM 변조 방식에서 전송에 필요한 대역폭은 최대 주파수 편이의 2배와 기본 주파수의 2배를 더한 값과 같다. 따라서, 대역폭은 2(125[kHz]) + 2(2[kHz]) = 254[kHz]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54[k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펄스가 최대진폭의 10[%]에서 90[%]까지 상승하는 시간은?

  1. 지연시간
  2. 선형시간
  3. 축적시간
  4. 상승시간
(정답률: 83%)
  • 정답은 "상승시간"입니다.

    펄스가 최대진폭의 10[%]에서 90[%]까지 상승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은 펄스의 상승속도를 측정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러한 상승속도를 측정하는 시간을 상승시간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펄스가 최대진폭의 10[%]에서 90[%]까지 상승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은 펄스의 상승속도를 측정하는 것이며, 이를 상승시간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단안정희로와 쌍안정회로는 어떻게 결정 되는가?

  1. 결합회로의 구성에 따라 결정된다.
  2. 출력 전압의 부궤환율에 따라 결정된다.
  3. 입력 전류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4. 바이어스 전압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정답률: 69%)
  •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단안정희로와 쌍안정회로는 결합회로의 구성에 따라 결정됩니다. 멀티바이브레이터는 여러 개의 회로 요소가 결합된 복잡한 회로이기 때문에, 각 요소들의 상호작용에 따라 단안정희로와 쌍안정회로의 동작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멀티바이브레이터를 설계할 때는 각 요소들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결합회로를 구성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10진수 8을 3초과 코드(Excess-3 code)로 맞게 변환한 값은?

  1. 1000
  2. 1001
  3. 1011
  4. 1111
(정답률: 78%)
  • 10진수 8을 3초과 코드로 변환하려면 먼저 3을 더한 값인 11을 2진수로 나타내야 한다. 11을 2진수로 나타내면 "101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그림의 X, Y 입력에 대한 동작파형의 논리 게이트는 무엇인가?

  1. NAND 게이트
  2. AND 게이트
  3. OR 게이트
  4. NOT 게이트
(정답률: 77%)
  • X와 Y가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0이 되는 AND 게이트와 NOT 게이트를 연결한 형태이므로 NAND 게이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JK플립플롭에서 입력 J=0, K=1 이고, 클록 펄스가 인가되면 Qt+1(입력 후의 값)의 출력상태는?

  1. 0
  2. 1
  3. 반전
  4. 부정
(정답률: 59%)
  • JK플립플롭에서 J=0, K=1 이면, 이전 상태에 관계없이 Q의 상태가 항상 0으로 유지됩니다. 따라서, 클록 펄스가 인가되어도 Q의 상태는 변하지 않고 계속 0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과 같은 멀티플렉서 회로에서 제어입력 A와 B가 각각 1일 때 출력 Y의 값은?

  1. 0011
  2. 0110
  3. 1001
  4. 1010
(정답률: 69%)
  • 제어입력 A와 B가 각각 1일 때, AND 게이트의 출력은 1이 되고, OR 게이트의 출력은 0이 된다. 그러므로, 출력 Y는 NOT 게이트의 입력으로 1이 들어가므로 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10"이다.

    보기에서 "0011", "0110", "1001"은 각각 A와 B의 값에 따라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의 출력이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1010"은 A와 B가 각각 1일 때 출력이 0이 되는 유일한 경우이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M×N 디코더(Decode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ND 회로의 집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2. 2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하는 회로이다.
  3. 10진수를 BCD(Binary Coded Decimal)로 표현할 때 사용한다.
  4. 명령 해독이나 번지를 해독할 때 사용한다.
(정답률: 70%)
  • 2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하는 회로이다.

    M×N 디코더는 입력 신호 중 하나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논리 회로이다. 이 때, 입력 신호는 2진수 형태로 주어지며, 출력 신호는 AND 게이트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10진수를 BCD(Binary Coded Decimal)로 표현하는 것은 인코더(Encoder)의 역할이다. 인코더는 10진수를 4비트 BCD 코드로 변환하는 회로이다.

    따라서, M×N 디코더는 2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하는 것이 아니며, 10진수를 BCD로 표현하는 것과도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추가 설명) M×N 디코더는 주로 메모리 주소 해독 등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2^16(64K)개의 메모리 주소를 해독하기 위해서는 16개의 입력선이 필요하며, 이를 M×N 디코더를 이용하여 64K개의 출력선으로 변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디지털 IC의 정상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 게이트 출력부에 연결할 수 있는 표준 부하의 숫자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팬 아웃
  2. 틸트
  3. 잡음 허용치
  4. 전달 지연 시간
(정답률: 71%)
  • 팬 아웃은 디지털 IC의 출력부에 연결할 수 있는 표준 부하의 숫자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이는 출력부에서 제공되는 전류의 한계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팬 아웃이 높을수록 출력부에서 더 많은 부하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기기

21. 단말기의 구성 중 전송제어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회선접속부
  2. 입출력제어부
  3. 회선제어부
  4. 신호변환부
(정답률: 71%)
  • 전송제어장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회선 접속, 입출력 제어, 회선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 중에서 신호 변환은 전송되는 데이터의 형식을 변환하는 것으로 전송제어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신호변환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정보 단말기의 입·출력 장치에 속하는 것은?

  1. 변·복조부
  2. 회선 접속부
  3. 오류처리부
  4. 출력 장치부
(정답률: 71%)
  • 정보 단말기의 입·출력 장치 중 출력 장치는 컴퓨터에서 처리한 결과를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출력 장치부"가 정보 단말기의 입·출력 장치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ADSL방식에서 가입자의 컴퓨터가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알맞은 것은?

  1. IP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DHCP 방식
  2. 별도의 PPoE(외장형 모뎀) 또는 PPPoA(내장형 모뎀) 접속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증을 통해 접속하는 방식
  3. NMS를 통하여 자동으로 할당하는 방식
  4. EMS를 통하여 고정 IP를 할당받는 방식
(정답률: 58%)
  • ADSL 방식에서는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 별도의 PPoE(외장형 모뎀) 또는 PPPoA(내장형 모뎀) 접속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증을 통해 접속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는 가입자의 인증 정보를 확인하고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와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입니다. DHCP 방식은 IP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방식이며, NMS와 EMS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으로 IP 할당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전송시스템에서 다중화(Multiplexing)란 무엇인가?

  1. 다중신호를 다중 통신채널에 보내는 것
  2. 다중신호를 하나의 통신채널에 보내는 것
  3. 동일신호를 다중 통신채널에 보내는 것
  4. 동일신호를 하나의 통신채널에 보내는 것
(정답률: 79%)
  • 다중화는 여러 개의 신호를 하나의 통신채널에 보내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대역폭 사용이 가능해지며, 여러 개의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중신호를 하나의 통신채널에 보내는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비트 단위의 다중화에 사용되고, 시간 슬롯이 낭비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 다중화는?

  1. 주파수 분할 다중화
  2.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3.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4. 코드 분할 다중화
(정답률: 64%)
  •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는 시간을 일정한 주기로 나누어 사용하는 방식으로, 각 사용자는 정해진 시간에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시간 슬롯이 낭비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며, 비트 단위의 다중화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방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초기 전화망은 각각의 전화기가 모두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전화기 n개를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회선의 개수는?

  1. (n-1)/2
  2. n(n-1)/2
  3. (n+1)/2
  4. n(n+1)/2
(정답률: 84%)
  • 각 전화기는 다른 모든 전화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첫 번째 전화기는 n-1개의 회선이 필요하고, 두 번째 전화기는 n-2개의 회선이 필요하고, 세 번째 전화기는 n-3개의 회선이 필요하고, 이와 같이 n번째 전화기는 1개의 회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필요한 회선의 총 개수는 (n-1) + (n-2) + (n-3) + ... + 1 이다. 이를 간단하게 표현하면, n(n-1)/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네트워크에서 보안을 위한 가장 일차적인 솔루션으로 신뢰하지 않은 외부 네트워크와 신뢰하는 내부 네트워크 사이를 지나는 패킷을 미리 정한 규칙에 따라 차단 또는 허용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방화벽
  2. VPN
  3. 침입탐지 시스템(IDS)
  4. DRM
(정답률: 82%)
  • 방화벽은 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가장 일차적인 솔루션으로, 신뢰하지 않은 외부 네트워크와 신뢰하는 내부 네트워크 사이를 지나는 패킷을 미리 정한 규칙에 따라 차단 또는 허용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외부에서 내부로의 불법적인 침입을 막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화벽이 네트워크 보안의 가장 기본이 되는 솔루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데이터 링크 장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네트워크 장비는 MAC 주소를 기반으로 작동한다.
  2. LAN카드 자체는 물리 계층에서 작동하지만, 드라이버를 포함하면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작동한다.
  3. 데이터링크 계층과 관련된 장비는 리피터, 스위치, 허브가 있다.
  4. 브리지(Bridge)는 두 개의 근거리통신망(LAN)울 서로 연결해 주는 통신망 연결 장치이다.
(정답률: 68%)
  • "데이터링크 계층과 관련된 장비는 리피터, 스위치, 허브가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데이터링크 계층과 관련된 장비는 리피터, 스위치, 허브, 브리지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모뎀의 기능 중에서 디지털신호가 '1' 이나 '0' 이 계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1. 스크램블 기능
  2. 타이밍 기능
  3. 등화 기능
  4. 테스트 기능
(정답률: 84%)
  • 스크램블 기능은 디지털 신호를 무작위로 섞어서 전송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1' 이나 '0' 이 계속되는 것을 방지하고,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네트워크 장비인 라우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한다.
  2.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3. 하나의 네트워크 세그먼트 안에서 크기를 확장한다.
  4. 서로 다른 VLAN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준다.
(정답률: 72%)
  • "하나의 네트워크 세그먼트 안에서 크기를 확장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라우터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며, 서로 다른 VLAN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준다. 하지만 라우터는 네트워크 세그먼트의 크기를 확장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세그먼트를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즉, 라우터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장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CATV방송에서 입력측 (C/Ni)=20 이고, 출력측 (C/No)=10 이라고 가정하면 잡음지수(Noise Factor)는?

  1. 0.5
  2. 1
  3. 2
  4. 3
(정답률: 79%)
  • 잡음지수는 출력측 신호 대비 입력측 신호의 비율에 로그를 취한 값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잡음지수 = 10log(C/Ni / C/No) = 10log(20/10) = 10log2 = 3.01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3"이 되어야 하지만, 주어진 보기에서는 "2"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오차가 있거나, 문제에서 잡음지수를 다른 방식으로 계산하도록 요구하고 있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이용한 VoIP서비스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프록시 서버(Proxy Server)
  2. 게이트웨이(Gateway)
  3. 게이트키퍼(Gate Keeper)
  4. 중앙제어장치(Central Controller)
(정답률: 72%)
  • 중앙제어장치(Central Controller)는 VoIP 서비스에서 사용되지 않는 용어입니다. VoIP 서비스에서는 프록시 서버(Proxy Server), 게이트웨이(Gateway), 게이트키퍼(Gate Keeper) 등이 사용됩니다. 중앙제어장치(Central Controller)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관리나 제어에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자동식 교환방식 중 광교환 방식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공간분할방식
  2. 시간분할방식
  3. 파장분할방식
  4. 코드분할방식
(정답률: 51%)
  • 코드분할방식은 광신호를 다른 광신호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지털 코드를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는 광교환 방식이 아닌 광통신 방식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코드분할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위성통신시스템에서 지구국의 기본 구성이 아닌 것은?

  1. 열제어계
  2. 안테나계
  3. 인터페이스계
  4. 송수신계
(정답률: 70%)
  • 위성통신시스템에서 "열제어계"는 지구국의 기본 구성이 아닙니다. 이는 위성 내부의 온도와 열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위성의 안정성과 수명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는 지구국에서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위성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작동하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열제어계"는 위성통신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위성통신에서 사용하는 다원 접속방식 중 CDMA 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가입자 수용 용량이 크다.
  2. 전력제어 및 동기 기술이 필요 없다.
  3. 간섭과 방해에 강하다.
  4. 다중경로 페이딩을 극복할 수 있다.
(정답률: 70%)
  • CDMA 방식은 다른 다원 접속 방식에 비해 전력제어 및 동기 기술이 필요하지 않아서 장점으로 꼽힙니다. 이는 CDMA 방식이 각 사용자마다 고유한 코드를 사용하여 신호를 구분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전력제어나 동기화 기술이 필요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정지위성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지표면에서 약 36,000km 상공에 위치한다.
  2. 저궤도 위성보다 운영비가 저가이며 전파지연시간은 크다.
  3. 최소한 3개 이상이 있어야 지구 전역을 커버할 수 있다.
  4. 주로 군사, 과학, 기상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정답률: 71%)
  • 주로 군사, 과학, 기상용으로 많이 사용된다는 설명은 오히려 정지위성에 관한 설명 중 적합한 것이다. 정지위성은 지구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군사, 과학, 기상 등의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정지위성은 국가의 군사력 강화나 기상예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은 TRS(Trunked Radil 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주로 하나의 기지국은 Cellular보다 좁은 서비스 지역(Area)을 구성한다.
  2.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시간을 이용하여 다수의 가입자군이 일정 주파수 채널을 공동으로 사용한다.
  3. 일제통화, 선별통화, 개별통화 기능이 있다.
  4. 통화누설이 없고, 잡음과 혼신이 적은 양호한 통화품질을 유지한다.
(정답률: 73%)
  • "주로 하나의 기지국은 Cellular보다 좁은 서비스 지역(Area)을 구성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TRS는 Cellular과 달리 하나의 기지국이 넓은 서비스 지역을 커버하지 않고, 여러 개의 작은 서비스 지역을 구성하여 사용한다. 이는 더 많은 가입자를 수용하고, 더 효율적인 주파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문자, 그림, 애니메이션, 동영상 등의 다양한 정보매체를 디지털 형식으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멀티미디어
  2. 아날로그 매체
  3. 모자전신매체
  4. 음성매체
(정답률: 90%)
  • 정답은 "멀티미디어"이다. 멀티미디어는 다양한 정보매체를 디지털 형식으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문자, 그림, 애니메이션, 동영상 등의 다양한 매체를 하나의 디지털 매체로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아날로그 매체나 모자전신매체, 음성매체와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위치정보와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교통안내, 긴급구난, 인터넷 등 Mobile Officemff 제공하는 것은?

  1. Telematics
  2. RFID
  3. CDMA
  4. VoIP
(정답률: 76%)
  • Telematics는 위치정보와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교통안내, 긴급구난, 인터넷 등 Mobile Office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RFID는 물건의 식별을 위한 기술, CDMA는 휴대전화 통신 기술, VoIP는 음성통화를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기술이므로, 이들은 Telematics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스마토폰, 태블릿, 스마트TV 등과 같이 기존의 기능에 컴퓨터의 기능이 부가된 기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와이브로기기
  2. 블루투스기기
  3. 유선데이터기기
  4. 스마트기기
(정답률: 88%)
  • 스마트기기는 기존의 기능에 컴퓨터의 기능이 부가된 기기를 의미합니다.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TV 등은 모두 인터넷에 연결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앱을 다운로드하여 추가적인 기능을 확장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스마트기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전송개론

41. 다음 중 표본화 종류가 아닌 것은?

  1. Instantaneous Sampling
  2. Flat-top Sampling
  3. Natural Sampling
  4. Time Sampling
(정답률: 62%)
  • 정답: Time Sampling

    설명: 다른 세 가지 표본화 종류는 모두 시간과 관련이 있지만, "Time Sampling"은 존재하지 않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이것은 표본화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표본화 주파수가 10[kHz]이고 원신호 파형의 주파수가 1[kHz]라면, 1주기당 PAM신호는 몇 개인가?

  1. 1게
  2. 2개
  3. 5개
  4. 10개
(정답률: 80%)
  • 표본화 주파수가 10[kHz]이므로 1초당 10,000개의 샘플링이 이루어진다. 원신호 파형의 주파수가 1[kHz]이므로 1초당 1,000개의 주기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1주기당 PAM신호는 10개가 된다. 이는 1초당 10,000개의 샘플링 중에서 1주기당 1,000개의 샘플링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음성의 디지털 부호가 기술 중에서 파형 부호화 방식이 아닌 것은?

  1. LPC
  2. PCM
  3. DPCM
  4. DM
(정답률: 61%)
  • LPC는 파형 자체를 부호화하지 않고, 음성 신호를 선형 예측하는 방식으로 부호화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파형 부호화 방식이 아니다. LPC는 선형 예측 부호화 방식으로, 음성 신호를 작은 일련의 숫자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전송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샤논의 정리에서 채널의 통신용량을 늘리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신호(S) 세력을 높인다.
  2. 잡음(N) 세력을 높인다.
  3. 대역폭(B)을 줄인다.
  4. C/N비(C:채널용량, N:잡음전력)를 감소시킨다.
(정답률: 67%)
  • 정답: "신호(S) 세력을 높인다."

    설명: 샤논의 정리에서 채널의 통신용량은 C = B log₂(1 + S/N)로 계산된다. 여기서 S는 신호의 세력, N은 잡음의 세력, B는 대역폭을 나타낸다. 따라서 채널의 통신용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S/N 비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신호의 세력을 높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PCM방식에서 입력신호의 최대신호가 2[kHz]인 경우, 나이퀴스트(Nyquist) 표본화 주파수(fs)와 표본화 주기(Ts)의 계산값은?

  1. fs=2[kHz], Ts=500[μs]
  2. fs=4[kHz], Ts=250[μs]
  3. fs=6[kHz], Ts=167[μs]
  4. fs=8[kHz], Ts=125[μs]
(정답률: 81%)
  • 나이퀴스트(Nyquist) 표본화 주파수(fs)는 입력신호 최대 주파수의 2배인 4[kHz]가 되며, 표본화 주기(Ts)는 1/fs로 계산하면 250[μs]가 된다. 이는 입력신호를 1초에 4,000번 샘플링하여 디지털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fs=4[kHz], Ts=250[μ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길이 500[m] 광섬유 4개를 응착접속하여 하나의 광섬유로 사용하고자 한다. 연결한 광섬유의 총 손실의 몇 [dB]인가? (단, 광섬우의 손실 : 2[dB/km], 융착접속 손실 : 0.1[dB])

  1. 2.3[dB]
  2. 2.4[dB]
  3. 4.3[dB]
  4. 4.4[dB]
(정답률: 65%)
  • 광섬유의 손실은 길이당 2[dB/km]이므로 500[m]의 광섬유 손실은 2[dB/km] × 0.5[km] = 1[dB]이다. 또한, 4개의 광섬유를 융착접속하여 하나의 광섬유로 만들 때, 각각의 광섬유에서 손실이 발생하므로 0.1[dB] × 4 = 0.4[dB]의 융착접속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총 손실은 1[dB] + 0.4[dB] = 1.4[dB]이다. 따라서 정답은 "4.3[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UTP 케이블을 이용하여 공장 내 통신기기를 직접 연결하고자 한다. UTP 케이블의 손실이 5[dB]일 때 케이블의 길이는? (단, UTP 케이블 감쇠 손실은 2.5[dB/km]이다.)

  1. 0.5[km]
  2. 1[km]
  3. 1.5[km]
  4. 2[km]
(정답률: 76%)
  • UTP 케이블의 감쇠 손실은 2.5[dB/km]이므로, 케이블의 길이가 x[km]일 때 손실은 2.5x[dB]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손실은 5[dB]이므로, 2.5x = 5를 만족하는 x를 구하면 된다. 따라서 x = 2[k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지상 마이크로파 통신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변복조 장치
  2. 광검출기
  3. 송수신 장치
  4. 중계 장치
(정답률: 68%)
  • 지상 마이크로파 통신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광검출기는 광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요소이며, 지상 마이크로파 통신시스템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광검출기는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광통신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디지털 정보통신시스템이 9,600[bps]로 동작하여야 할 경우 신호요소가 4[bit]로 인코드된다면 이상적인 전송채널에서 최소 얼마의 대역폭을 지녀야 하는가?

  1. 1,200[Hz]
  2. 2,400[Hz]
  3. 4,800[Hz]
  4. 9,600[Hz]
(정답률: 82%)
  • 디지털 정보통신시스템에서는 4[bit]의 신호요소를 전송해야 하므로, 1초당 9,600[bps]의 전송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9,600[bps] / 4[bit] = 2,400[Hz]의 대역폭이 필요하다. 이는 나타내고자 하는 디지털 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을 의미하며, 이상적인 전송채널에서는 최소한 이만큼의 대역폭을 지녀야만 신호를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2,400[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공통선 신호방식(Common Channel Signaling)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통화채널과 분리된 별도의 신호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된다.
  2. 축적 프로그램 제어 방식에 의해 신속한 상호 전달 능력과 망의 상태관리나 보수 과금 정보 전송도 수행할 수 있다.
  3. 신호망의 일부 손상이 통신망의 마비를 초래할 수 있다.
  4. 신호전송의 전기적 조건에 따라서 직류방식, In-Band 방식 등 으로 나눈다.
(정답률: 71%)
  • 정답은 "신호전송의 전기적 조건에 따라서 직류방식, In-Band 방식 등 으로 나눈다."입니다.

    공통선 신호방식은 통화채널과 분리된 별도의 신호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며, 축적 프로그램 제어 방식에 의해 신속한 상호 전달 능력과 망의 상태관리나 보수 과금 정보 전송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신호망의 일부 손상이 통신망의 마비를 초래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일반적으로 비동기식 전송보다 빠르고 동기식 전송보다 느린 방식은?

  1. 비트 방식
  2. 문자 방식
  3. 혼합형 동기식 방식
  4. 비혼합형 동기식 방식
(정답률: 79%)
  • 혼합형 동기식 방식은 비동기식 전송과 동기식 전송의 장점을 결합한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 시간을 최소화하면서도 데이터의 신뢰성과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어 전송하고, 각 블록의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하는 동기식 전송과 동시에 다음 블록을 전송하는 비동기식 전송을 혼합하여 사용합니다. 따라서 혼합형 동기식 방식은 일반적으로 비동기식 전송보다 빠르고 동기식 전송보다 느린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문자 동기 전송방식에서 SYN 문자의 기능으로 맞는 것은?

  1. 수신측이 문자 동기를 맞추도록 한다.
  2. 데이터의 완료를 표시한다.
  3. 데이터의 시작을 표시한다.
  4. 질의가 끝났음을 알린다.
(정답률: 82%)
  • 정답은 "수신측이 문자 동기를 맞추도록 한다."이다. SYN 문자는 데이터의 시작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송신측과 수신측의 문자 동기를 맞추기 위한 신호로 사용된다. 송신측이 SYN 문자를 보내면, 수신측은 이를 받아들여 문자 동기를 맞추고, ACK 문자를 보내어 송신측에게 수신 준비가 되었음을 알린다. 이후 데이터 전송이 시작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OSI 7계층 참조모델의 각 계층별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제2계층(물리 계층) : 물리적 연결, 활성화와 비활성화
  2. 제3계층(네트워크 계층) : 통신망 내 및 통신망 사이의 경로 선택과 중계 기능
  3. 제4계층(트랜스포트 계층) : 종단 상호간의 에러검출 및 서비스 품질 감시
  4. 제5계층(세션 계층) : 회화 관리 및 동기 기능 수행
(정답률: 79%)
  • "제2계층(물리 계층) : 물리적 연결, 활성화와 비활성화"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물리 계층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적 매체와 인터페이스를 다루는 계층으로, 데이터의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다룹니다. 따라서 물리적 연결과 활성화/비활성화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올바른 설명은 "제1계층(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적 매체와 인터페이스 다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OSI 모델의 7계층 중 암호화 및 데이터 압축 등을 수행하는 계층은?

  1. 응용 계층
  2. 표현 계층
  3. 전송 계층
  4. 세션 계층
(정답률: 73%)
  • 암호화 및 데이터 압축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데이터를 변환하거나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이러한 기술은 데이터의 형식이나 구조를 변경하므로, 이를 처리하는 계층은 표현 계층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현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에서 설명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은 무엇인가?

  1.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2. IGRP(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3.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4. BGP(Border Gateway Protocol)
(정답률: 70%)
  • 위 그림은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의 동작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RIP는 거리 벡터(distance vector) 라우팅 프로토콜 중 하나로, 라우터 간에 경로 정보를 교환하여 최적의 경로를 찾아내는 프로토콜이다. RIP는 라우터 간에 주기적으로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교환하며, 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변화에 대응하여 최적의 경로를 찾아낸다. RIP는 구형 라우터에서도 지원되는 등 호환성이 높고, 구성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전송제어 프로토콜(TCP)에서 오류제어를 위해 사용하는 방식은?

  1. 패리티(Parity)
  2. CRC
  3. Checksum
  4. Blocksum
(정답률: 53%)
  • TCP에서 오류제어를 위해 사용하는 방식은 Checksum이다. Checksum은 데이터의 일부분을 더해서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간단하고 빠르게 오류를 검출할 수 있으며, 오류 검출률도 높다. 따라서 TCP에서는 Checksum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물리적으로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만 논리적으로 새로운 그룹을 만들어서 각각의 그룹 내에서만 통신이 가능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GSM
  2. VLAN
  3. GPRS
  4. DECT
(정답률: 80%)
  • VLAN은 물리적으로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만 논리적으로 새로운 그룹을 만들어서 각각의 그룹 내에서만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인터넷 프로토콜을 대표하는 TCP와 IP를 각각 OSI 7Layer의 RM(Reference Modal)에 대응시키면 어떤 Layer에 해당되는가?

  1. L4/L3
  2. L7/L3
  3. L4/L2
  4. L4/L1
(정답률: 76%)
  • TCP는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에 해당하는 L4에 대응되고, IP는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에 해당하는 L3에 대응된다. 따라서 TCP와 IP는 각각 "L4/L3"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패리티검사 방법에서 에러의 발생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는 몇 개의 오류가 동시에 발생할 경우인가?

  1. 4개
  2. 3개
  3. 5개
  4. 1개
(정답률: 62%)
  • 패리티검사 방법은 데이터의 비트 수를 짝수로 만들어서 1의 개수가 짝수인지 홀수인지에 따라 패리티 비트를 설정하는 방법이다. 이때, 패리티 비트는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하지만, 패리티 비트는 한 개의 비트만 사용하기 때문에 동시에 발생하는 2개 이상의 오류는 검출할 수 없다. 따라서, 패리티검사 방법에서 에러의 발생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는 4개의 오류가 동시에 발생할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통신방식에 의한 분류 중 양방향으로 송신이 가능하지만 동시에 송신이 불가능한 방식은?

  1. 단방향 전송방식
  2. 반이중 전송방식
  3. 전이중 전송방식
  4. 병렬 전송방식
(정답률: 81%)
  • 반이중 전송방식은 양방향으로 송신이 가능하지만, 동시에 송신이 불가능한 방식입니다. 이는 송신과 수신이 동시에 일어나면 충돌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송신과 수신을 번갈아가며 진행하는 방식으로 통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설비기준

61. 다음 중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과 정적메모리(SRAM)의 2가지 결합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1. NV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mory)
  2. EPLD(Electrically Programmable Logic Device)
  3.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4. OTP(One Time Programmable)
(정답률: 70%)
  • NVRAM은 SRAM과 EEPROM의 결합으로, SRAM의 빠른 속도와 EEPROM의 비휘발성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선택지 중에서 유일하게 이 두 가지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즉,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있어서 SRAM과 같이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만 데이터가 유지되지만, 전원이 차단되어도 데이터가 유지되는 EEPROM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입·출력 겸용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자기디스크
  2. 콘솔(Console)
  3. OCR(Optical Character Reader)
  4. 자기 테이프
(정답률: 67%)
  • OCR은 입·출력 겸용장치가 아닌데, 이는 입력장치로서 사용되는 광학 문자 판독기이기 때문이다. OCR은 인쇄된 문서나 이미지에서 문자를 인식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OCR은 출력장치가 아니며, 입력장치로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16진수 3B7F를 2진수로 바르게 변환된 것은?

  1. 0011 1000 1110 1111
  2. 1111 1011 0111 0011
  3. 1111 0111 1011 0011
  4. 0011 1011 0111 1111
(정답률: 74%)
  • 16진수 3B7F를 2진수로 변환하면 각 자리마다 4비트씩 채워진다. 3은 0011, B는 1011, 7은 0111, F는 1111로 변환된다. 따라서 3B7F는 0011 1011 0111 1111로 변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오류 검출용 코드에 해당하는 코드는?

  1. BCD 코드
  2. Execess-3 코드
  3. 해밍 코드
  4. Gray 코드
(정답률: 83%)
  • 해밍 코드는 오류 검출 및 수정을 위한 코드이다. 따라서, 다른 코드들은 오류 검출용 코드가 아니므로 해밍 코드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보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1. 하드웨어
  2. 운영체제
  3. 응용 프로그램
  4. 미들웨어
(정답률: 84%)
  • 이 그림은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드웨어,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미들웨어가 모두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도 운영체제는 다른 요소들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중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하드웨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응용 프로그램이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정답은 "운영체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운영체제의 프로세스 관리기능 중 교착상태의 발생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상호배제 : 한 개 의 프로세스만이 공유자원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2. 점유와 대기 : 공유자원과 자원을 사용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프로세스들이 원형으로 구성되어, 자신의 할당자원 외에 앞이나 뒤에 프로세스의 자원을 요구해야 한다.
  3. 비 선점 : 하나의 자원을 점유하였으면 다른 프로세스에 할당되어 사용되고 있는 자원을 추가적으로 점유하기 위해 대기하는 프로세스가 있어야 한다.
  4. 환형대기 : 다른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은 사용이 끝날 때까지 강제로 빼앗을 수 없어야 한다.
(정답률: 50%)
  • "상호배제 : 한 개 의 프로세스만이 공유자원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교착상태의 발생 조건 중 하나이다. 이는 공유자원을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사용하려고 할 때, 한 번에 하나의 프로세스만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자원을 점유하는 것을 방지하여 교착상태를 예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C 언어의 변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변수는 값을 저장하는 기억장소의 주소, 길이, 타입의 세 가지 속성을 지닌다.
  2. 변수 이름은 영어 알파벳 문자나 밑줄 문자(_)로 시작해야 한다.
  3. 변수 이름의 영문 대문자와 소문자는 서로 구별되지 않는다.
  4. C 언어의 키워드는 변수 이름으로 사용될 수 없다.
(정답률: 82%)
  • "변수 이름의 영문 대문자와 소문자는 서로 구별되지 않는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C 언어에서는 변수 이름의 대소문자를 구별한다. 예를 들어, "num"과 "Num"은 서로 다른 변수 이름으로 인식된다. 이는 C 언어의 식별자 규칙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은 어떤 프로그래밍 번역기에 대한 설명인가?

  1. Translator
  2. Linking Loader
  3. Generator
  4. Interpreter
(정답률: 67%)
  • 이 그림은 코드를 한 줄씩 읽어들여 실행하는 프로그래밍 번역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래밍 번역기를 Interpreter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Interpre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와 데이터는 어디에 존재하여야 하는 가?

  1. 메인 메모리
  2. CD-ROM
  3. HDD
  4. Floppy Disk
(정답률: 72%)
  •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와 데이터는 메인 메모리에 존재하여야 한다. 이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메인 메모리에서 명령어와 데이터를 읽어와 처리하기 때문이다. CD-ROM, HDD, Floppy Disk 등은 보조 저장 장치로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어올 수 있지만,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직접 접근하여 처리할 수는 없다. 따라서 메인 메모리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논리식 를 간략화하면?

  1. Y = 1
  2. Y = AB
(정답률: 66%)
  • 논리식을 간략화하면 Y = AB가 된다. 이유는 논리식에서 AND 연산자(&)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A와 B가 모두 참일 때만 Y가 참이 된다. 따라서 Y는 A와 B의 곱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를 간략화한 것이 Y = A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공사에 관한 계획서, 설계도면, 시방서, 공사비명세서, 기술계산서 및 이와 관련된 서류를 작성하는 행위를 무엇이라 하는가? (단, 건축사법에 따른 건축물의 건축 등의 공사는 제외한다.)

  1. 감리
  2. 설계
  3. 용역
  4. 공사
(정답률: 77%)
  • 설계는 건축물을 건축하기 전에 필요한 계획서, 설계도면, 시방서, 공사비명세서, 기술계산서 등을 작성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는 건축물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건축하기 위해 필수적인 작업으로, 건축물의 디자인과 기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건축물 건축 등의 공사는 제외하더라도, 건축물 건축 전반에 걸쳐서 설계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이 전기통신기본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미리 관계 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야 하는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전기통신의 이용 효율화에 관한 사항
  2. 전기통신의 질서유지에 관한 사항
  3. 전기통신설비에 관한 사항
  4. 전기통신사업에 관한 사항
(정답률: 62%)
  •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이 전기통신기본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미리 관계 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야 하는 사항 중 "전기통신설비에 관한 사항"은 전기통신기본계획 수립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전기통신설비는 전기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적인 시설이며, 이에 대한 계획 수립은 전기통신서비스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전기통신설비에 관한 사항은 관계 행정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전기통신기본계획 수립에 반영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방송통신기자재 등에 대한 적합성평가를 전부 또는 일부가 면제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시험·연구, 기술개발 등 사용목적이 한정되는 기자재를 제조하거나 수입하는 경우
  2. 국내에서 판매하지 아니하고 수출 전용으로 제조하는 경우
  3. 전시회, 경기대회 등 행사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4. 잠정인증을 요청하는 사람이 해당 기자재에 대하여 지정시험기관의 시험결과를 제출하는 경우
(정답률: 70%)
  • 방송통신기자재 등에 대한 적합성평가를 면제되지 않는 경우는 "전시회, 경기대회 등 행사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입니다. 이는 해당 기자재가 판매를 목적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전과 보호를 위해 적합성평가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사용목적이 한정되거나 국내에서 판매하지 않거나, 잠정인증을 요청하는 경우 등으로 인해 적합성평가가 면제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방송통신설비가 다른 사람의 방송통신설비와 접속되는 경우, 그 건설과 보전에 관한 책임 등의 한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 설정하는 것은 무엇인가?

  1. 절분기
  2. 분계점
  3. 접속점
  4. 분배기
(정답률: 81%)
  • 분계점은 방송통신설비가 다른 사람의 방송통신설비와 접속되는 경우, 그 건설과 보전에 관한 책임 등의 한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 설정하는 것입니다. 이는 두 개 이상의 통신망이 연결되는 지점으로, 각각의 통신망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분리하고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분계점은 통신망 간의 경계를 구분하고, 각각의 통신망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다른 통신망으로 전파되지 않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정보통신의 표준 제정, 보급 및 정보통신 기술 지원 등 표준화에 관한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설립한 법인은?

  1.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 정보통신정책심의위원회
  3.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4.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
(정답률: 66%)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는 정보통신의 표준 제정, 보급 및 정보통신 기술 지원 등 표준화에 관한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설립된 법인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정보통신과 관련된 다른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모든 이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적절한 요금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기본적인 전기통신 역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부가적 역무
  2. 특정적 역무
  3. 보편적 역무
  4. 공공적 역무
(정답률: 80%)
  • 정답: 보편적 역무

    설명: 보편적 역무는 모든 이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적절한 요금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기본적인 전기통신 역무를 말합니다. 이는 공공적 역무로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제공하며, 모든 이용자에게 동등하게 제공되어야 합니다. 반면, 부가적 역무는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부가적인 서비스를 말하며, 특정적 역무는 일부 이용자나 지역에만 제공되는 특정한 서비스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공사업자가 설계도서 및 관련 규정에 따라 공사를 적합하지 않게 시공하는 경우 감리원이 어떠한 조치를 내릴 수 있는가?

  1. 공사 발주자에게 공사 도급을 파기하도록 할 수 있다.
  2. 공사 발주자에게 공사업자로 하여금 설계변경 요구를 하도록 할 수 있다.
  3. 공사 발주자의 동의를 얻어 공사중지명령을 할 수 있다.
  4. 공사 발주자의 동의를 얻어 공사업자를 교체할 수 있다.
(정답률: 77%)
  • 공사 발주자의 동의를 얻어 공사중지명령을 할 수 있는 이유는, 감리원이 공사업자의 시공 불량을 발견하면 즉시 조치를 취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공사업자가 이미 일정 부분까지 시공을 완료한 경우, 감리원이 공사를 중지시키면 추가적인 비용과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사 발주자의 동의를 얻어 공사중지명령을 내리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공사업자는 시공 불량을 개선하고, 추가적인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교환설비나 전송설비, 전산설비 등이 설치되는 장소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전화국
  2. 통신기계실
  3. 옥외통신실
  4. 무선국
(정답률: 78%)
  • 교환설비나 전송설비, 전산설비 등이 설치되는 장소를 통신기계실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통신 시스템의 중심지로서, 통신 장비들이 모여 있는 곳입니다. 전화국은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며, 옥외통신실은 건물 외부에 설치된 통신설비를 관리하는 곳입니다. 무선국은 무선 통신을 담당하는 장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일반적으로 부가통신사업을 경영하고자 할 때 취해야 할 행정절차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미래창조과학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2. 미래창조과학부장관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3. 미래창조과학부장관에게 승인을 받아야 한다.
  4. 미래창조과학부장관에게 허가를 얻어야 한다.
(정답률: 78%)
  • 부가통신사업은 국가에서 관리하는 중요한 사업이므로, 이를 경영하고자 하는 경우 미래창조과학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합니다. 이는 해당 사업이 법적으로 인정받아 정식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절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은 누화에 관한 규정이다. 괄호 안에 적합한 것은?

  1. 48
  2. 56
  3. 68
  4. 76
(정답률: 81%)
  • 누화 규정에서는 "6자리의 수를 맞추면 1등, 5자리의 수를 맞추면 2등, 4자리의 수를 맞추면 3등, 3자리의 수를 맞추면 4등, 2자리의 수를 맞추면 5등, 1자리의 수를 맞추면 6등"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따라서, "68"은 2자리의 수를 맞춘 것으로 5등 이상의 등수를 받을 수 없으므로, 1등, 2등, 3등, 4등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48", "56", "76"보다는 높은 등수를 받을 확률이 더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